WO2022216092A1 - 전극 조립체, 배터리 셀,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 배터리 셀, 배터리 팩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16092A1
WO2022216092A1 PCT/KR2022/005064 KR2022005064W WO2022216092A1 WO 2022216092 A1 WO2022216092 A1 WO 2022216092A1 KR 2022005064 W KR2022005064 W KR 2022005064W WO 2022216092 A1 WO2022216092 A1 WO 20222160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assembly
battery
separato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50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병구
류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EP22785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22271A1/en
Priority to US18/265,136 priority patent/US20240006722A1/en
Priority to JP2023534274A priority patent/JP2023553034A/ja
Publication of WO20222160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160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71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M50/474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inside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ode assemblies, battery cells, battery packs and automobiles.
  • Secondary batteries that are easy to apply according to product groups and ha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are not only portable devices, but also electric vehicles (EVs) and hybrid vehicles (HEVs) driven by an electric drive source. It is universally applied.
  • EVs electric vehicles
  • HEVs hybrid vehicles
  • the types of secondary batteries currently widely used include a lithium ion battery, a lithium polymer battery, a nickel cadmium battery, a nickel hydrogen battery, a nickel zinc battery, and the like.
  • the operating voltage of such a unit secondary battery cell is about 2.5V to 4.5V. Accordingly, when a higher output voltage is require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to form a battery pack. In additio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form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charge/discharge capacity required for the battery pack. Accordingly,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and the type of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required output voltage and/or charge/discharge capacity.
  • the battery cell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 a separator which is an insul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electrode assembly is wound to form a jelly roll-shaped electrode assembly, which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can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to configure the battery.
  • a strip-shaped electrode tab may be connected to each uncoated reg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xternally exposed electrode terminal.
  •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is a cap plate of a sealing body sealing the opening of the battery can
  •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s the battery can.
  • a battery cel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uncoated region and a negative electrode uncoated region are position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respectively, and a current collecting plate is welded to the uncoated region to improve current collection efficiency (so-called tab-less battery cells) have been presented.
  • FIG. 1 to 4 are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tab-less battery cell.
  • FIG. 1 shows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plate
  • FIG. 2 shows the winding process of the electrode plate
  • FIG. 3 shows the process of welding the current collector plate to the bent surface of the uncoated area.
  •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ab-less battery cell tak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negative electrode
  •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n anode
  • the negative electrode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plate
  • the positive electrode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plate.
  •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active material 21 is coated on a sheet-shaped current collector 20, and on one long side along the winding direction (X). It includes an uncoated region 22 .
  • the electrode assembly (A) is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 together with two separators 12 as shown in FIG. 2 and then winding them in one direction (X). At this time, the uncoated portions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 the uncoated region 10a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0 and the uncoated region 11a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 are bent toward the core. After that, the current collecting plates 30 and 31 are welded to the uncoated regions 10a and 11a, respectively, to be coupled thereto.
  • a separate electrode tab is not coupled to the positive uncoated region 10a and the negative uncoated region 11a, the current collecting plates 30 and 31 are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de terminals, and a current path is used to wind the electrode assembly A. Since it is formed with a large cross-sectional area along the axial direction (refer to the arrow),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can be lowered. This is because resistan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th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 the conventional tab-less battery cell 40 includes a battery can 41 and a sealing body 42 as shown in FIG. 4 .
  • the sealing body 42 includes a cap plate 42a, a sealing gasket 42b, and a connecting plate 42c.
  • the sealing gasket 42b surrounds the edge of the cap plate 42a and is fixed by the crimping portion 43 .
  • the electrode assembly A is fixed in the battery can 41 by the beading portion 44 to prevent vertical flow.
  • the positive terminal is the cap plate 42a of the sealing body 42
  • the negative terminal is the battery can 41
  •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30 coupled to the uncoated region 10a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42c attached to the cap plate 42a through the strip-shaped leads 45
  •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31 coupled to the uncoated portion 11a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attery can 41 .
  • the insulator 46 covers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30 to prevent the battery can 41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nd the uncoated region 10a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0 from contacting each other and causing a short circuit.
  • a lead 45 in the form of a strip is used.
  • the lead 45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30 or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30 .
  • the lead 45 is in the form of a thin strip, the cross-sectional area is small, so that when a rapid charging current flows, a lot of heat is generated.
  • excessive heat generated in the lead 45 may be transferr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 side and contract the separator 12 to cause an internal short circuit, which is a major cause of thermal runaway.
  • a battery pack mounted in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hundreds of battery cells 40 . Accordingly, the inefficiency of the electrical wiring causes considerable inconvenience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maintenance of the battery pack.
  •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hrinkage of the separator due to high temperature even if th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fixing part fixed to the separator, even if it does no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coupled to the core reg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 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and increase the energy density by improving the electrode terminal structure of the battery cell to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in the battery can as devised under the background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 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an electrode terminal structure of a battery cell to increase a cross-sectional area of a current path, thereby improving an internal heat problem occurring during rapid charging.
  • 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cell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in which electrical wiring for series and/or parallel connection of the battery cells can be perform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 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manufactured using a battery cell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first electrod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are stacked and woun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 current collector and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provided on the current collector Including, wherein the first electrode is provided o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provided on the edge portion closest to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fixing portion fix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eparator do.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battery can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de terminal rivete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attery can; a gasket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and an out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it provides a battery cell comprising a sealing body for sealing the opening of the battery can.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cell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shrinkage of the separator may occur due to a high temperature in the core part due to a decrease in the heat release rate, and this may cause the separator to fail to perform a normal function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may occur.
  • the negative electrode tab may be coupled to the core part, and in this case, even if the separator in the core is thermally damaged and shrinks, the negative electrode tab may function to physically fix the separator.
  • the separator by having a fixing part fixed to the separator in th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or from shrinking due to high temperature even if it does no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coupled to the core reg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
  • the size of the battery cell can be increased, which improves the electrode terminal structure of the battery cell to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in the battery can, thereby lowering the internal resistance and It can be implemented by increasing the energy density.
  •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used in a conventional tab-less battery cell.
  •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winding process of an electrode assembly included in a conventional tab-less battery cell.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urrent collecting plate is welded to a bent surface of an uncoated region in the electrode assembly of FIG. 2 .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tab-less battery cell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unwinding state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FIG. 5 .
  • 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FIG. 5 .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iveting structure of an electr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circle in FIG. 8 .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n uncoated segmental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uncoated region is 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includ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first electrode (2), a separator (4, 5) and a second electrode (3) are stacked and wound, the first electrode (2) and the second electrode (3) At least one includes a current collector 91 and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92 provided o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first electrode is provided i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92 and is located at a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It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that is provided on the closest edge portion (6) and includes a fixing portion (7) fix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eparator (4, 5).
  •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92 may be coated on the current collector 91 of the electrode.
  • the first electrode 2 may be provid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electrode 3
  •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provid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 the fixing part 7 is provided o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92 and may be provided on the edge part 6 closest to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fixing part 7 When the fixing part 7 is provided in the uncoated part where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provided, price competitiveness may decrease in order to make the uncoated part. Since the fixing part 7 is provided o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92, it is advantageous in price competitiveness and can prevent shrinkage of the separator due to high temperature.
  • the winding center refers to a position at which the stacked electrode and the separator start to be wound, and may be provided in a core reg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edge portion 6 closest to the winding center means a portion provided on the winding center side among the two edge portions provided in the winding axis direction of the electrode.
  • the separator 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 and the second electrode 3 , and at least a portion may be fixed to the fixing part 7 . Since the separator 4 is fixed to the fixing part 7 , it is possible to prevent shrinkage of the separator due to high temperature even in an electrode assembly that does no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coupled.
  • FIG 5 is a view showing a non-wound state (1)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parator Reference numerals 4 and 5 may include a first separation membrane 4 and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5 .
  • the first electrode 2 should be larger than the second electrode 3
  • the separators 4 and 5 should be larger than the first electrode 2 and the second electrode 3 . do.
  • a larger size means that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provided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perpendicular to the winding axis.
  • the fixing part 7 is provided on th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first electrode, is provided on the edge part 6 closest to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is fixed to at least a part of the separators 4 and 5 .
  • 6 and 7 are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respectively, illustr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FIG. 5 .
  • the fixing part 7 is disposed from the first electrode 1 to the electrode. It is provided on the edge part 6 of the active material layer closest to the winding center of the assembly, and the fixing part 7 is fixed to a part of the separation membranes 4 and 5 so as not to be separated.
  •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the uncoated portions 8 and 9 that do not include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uncoated portion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current collector provided at one end side of the winding shaft of the electrode assembly. (8, 9) may be provided.
  • the uncoated regions 8 and 9 may be provided at one end side of the winding shaft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first electrode 2 and the second electrode 3 . According to an example, the uncoated regions 8 and 9 may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be exposed. Preferably, the uncoated area 8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uncoated area 9 of the second electrode may be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opposite directions (see FIG. 7 ).
  • the uncoated regions 8 and 9 are exposed and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ing plates 78 and 79, thereby lowering internal resistance and increasing energy density, and tabs or leads are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Even if it does not have a bond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rinkage of the separator due to high temperature.
  •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92 may be provided in a region excluding the uncoated regions 8 and 9 . According to an example,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92 may be provided in a region from the edge of the current collector excluding the edge where the uncoated part is provided. In additio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92 cannot extend or be exposed from both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do not overlap each other with the separator 4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separators 4 and 5 include a first separator 4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 and the second electrode 3 and the first separator of the first electrode and and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5 provid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opposite surfa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4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5 is fixed to the fixing part 7 .
  • the first separator 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 and the second electrode 3 and fixed to the fixing part 7
  • the second separator 5 may be It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2 and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eparator 4 and fixed to the fixing part 7 .
  • the fixing part 7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2 and fixed to the first separator 4 , or it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ectrode 2 and the second separator 5 . ) can be fixed. Preferably, 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ectrode 2 to be fixed to the first separator 4 and the second separator 5 .
  • the size of the battery cell can be increased. Also, in such a battery cel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hrinkage of the separator due to high temperature.
  • the fixing part 7 does not overlap the second electrode 3 in the unwound state 1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unwound state (1)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2), the separator (4), and the second electrode (3) are stacked, and the first electrode (2) is the second electrode (3) A larger one may be provided.
  • the fact that the first electrode 2 is larger than the second electrode 3 means that the first electrode 2 is larger than the second electrode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electrode assembly perpendicular to the winding axis. This means that it will be available for a long time. In this case, the separator 4 should be longer than the first electrode 2 and the second electrode 3 .
  • the fixing part 7 may be provided on the edge part 6 closest to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referring to FIG. 6 , in the stacked st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fixing part 7 is the second It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electrode 3 .
  • the fixing part 7 does not overlap the second electrode 3 ,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separator even during charging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reduce the lifespan of the battery.
  • the width (7W) of the fixing part may be 12 mm or less, 11.5 mm or less, 11 mm or less, 10.5 mm or less, or 10 mm or less.
  • the width (7W) of the fixing part may be 2mm or more, 3mm or more, or 4mm or more.
  • the width (7W) of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separation membranes 4 and 5 in the above rang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rac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even at a high temperature.
  • the width (7W) of the fixing part may be 15% to 65%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core (80).
  • the width 7W of the fixing part may be 15% or more, 20% or more, 25% or more, 30% or more, or 35% or mo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core 80 .
  • the width (7W) of the fixing part may be 65% or less, 60% or less, 55% or less, 50% or less, 45% or les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core 80 .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80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attery, and accordingly, the width (7W) of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separators 4 and 5 within the above range to prevent contraction of the separator at high temperatures. have.
  • the width (7W) of the fixing part means the length of the por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second electrode 3 in the unwound state 1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fixing part 7 may be fixed to the separation membranes 4 and 5 within the range of the fixing part width (7W), thereby preventing the separation membrane from shrinking due to high temperature.
  • the first electrode 2 , the separators 4 and 5 , and the second electrode 3 may not be fix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fixing part 7 (see FIG. 6 ). . Therefore, it can be easy to wind 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wrinkles or wrinkles during winding.
  • the first electrode 2 may be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3 may be an anode.
  • the fixing part 7 may be a lamination tape.
  • the lamination tape may be a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capable of lamination on at least one surface, or a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capable of lamination on both surfaces.
  • the lamination means having adhesive strength at a high temperature, and making it soft by applying heat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lamination tape to have adhesive strength.
  • the lamination tape may be fix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s 4 and 5 .
  • the fixing part 7 is not limited in size, shape or type as long as it is fixed to the separator, and may be, for example, a double-sided tape. According to an example, both sides of the double-sided tape may have adhesive strength, and may be fixed by adher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eparator.
  •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lamination tape may be 180°C or higher, 190°C or higher, 200°C or higher, 210°C or higher, 220°C or higher, 230°C or higher, or 240°C or higher.
  •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lamination tape may be 320 °C or less, 310 °C or less, 300 °C or less, 290 °C or less, 280 °C or less, or 270 °C or less.
  •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lamination tap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substrate, and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lamination tape is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separator, and the lamination tape is fixed to the separator until the separator is melte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shrinkage of the separation membrane.
  •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mination tape at room temperature may be 20gf/100mm to 40gf/100mm, 23gf/100mm to 37gf/100mm, or 25gf/100mm to 35gf/100mm.
  •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mination tape at room temperature may be 20gf/100mm or more, 23gf/100mm or more, 25gf/100mm or more, 27gf/100mm or more, or 29gf/100mm or more.
  •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mination tape at room temperature may be 40gf/100mm or less, 37gf/100mm or less, 35gf/100mm or less, 33gf/100mm or less, or 31gf/100mm or less.
  • the lamination tape has adhesive strength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Having the adhesive force at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means that the adhesive layer of the lamination tape is softened by applying heat to have adhesive force, and the adhesive force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electrode fairness.
  • the lamination tape may have an adhesive strength higher than that at room temperature, and is fixed to the separation membranes 4 and 5 to prevent shrinkage of the separation membrane even at a high temperature.
  • the lamination tape may have an adhesive strength at about 40°C or higher, 45°C or higher, 50°C or higher, 55°C or higher, 60°C or higher, or 65°C or higher.
  • the lamination tape may have adhesive strength at preferably about 50° C. or higher, more preferably at 60° C. or higher.
  • the rate of change of the adhesive force of the lamination tape may satisfy Equation 1 below.
  • Equation 1 X1 i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mination tape when left at 23° C. for 20 minutes, and X2 i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mination tape when stored at 65° C. for 20 minutes after leaving at 23° C. for 20 minutes.
  • X1 i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mination tape when left at 23° C. for 20 minutes, and may b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mination tape at room temperature.
  • X2 i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mination tape when stored at 65° C. for 20 minutes after leaving at 23° C. for 20 minutes, and may b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mination tape after lamination.
  • the lamination refers to having an adhesive force by applying heat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lamination tape to make it soft, and may be performed by a lamination process.
  • the lamination tape can maintain adhesive strength even before and after lamination, and is fixed to the separators 4 and 5 to prevent shrinkage of the separator due to high temperature.
  • X1 means the adhesive force of the lamination tape when left at 23° C. for 20 minutes, and the adhesive layer of the lamination tape on the SUS304 substrate is reciprocally compressed once with a 2 kg rubber roller and pressed at 23° C.
  • the backplate film from the colored polyimide may be measured using a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at an angle of 180° and a peeling rate of 300 mm/min.
  • the X2 mean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mination tape when stored at 65°C for 20 minutes after leaving at 23°C for 20 minutes, and the adhesive layer of the lamination tape on the substrate on SUS304 is reciprocated and compressed once with a 2kg rubber roller and pressed at 23°C After leaving for 20 minutes at 65° C. and storing at 65° C. for 20 minutes, the back plate film from the colored polyimide was measured using a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at a 180° angle and a peeling rate of 300 mm/min. .
  • the fixing part 7 includes two points provided on the edge sid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one point provided between the two points of the separator. fixed with at least a portion.
  • the two points and the one point may be the minimum parts to be fixed to the separation membranes 4 and 5 , and if they are fixed to the separation membrane, the size and shape thereof are not limited.
  • the three points including the two points and the one point are provided in the fixing part 7, and include three or more parts spaced apart, even if it consists of an area without being spaced apart.
  • the location or are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40% or more, 50% or more, or 60% or more of the length of the fixing part 7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fixed to the separator.
  • the fixing part 7 may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membranes 4 and 5,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membrane from shrinking at a high temperature.
  • the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a length of an edg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or a length between edge portions facing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of the electrode assembly.
  • 40% or more of the length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may be a continuous length range or a non-continuous length rang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assembly 7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can 51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de terminal 50 rivete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attery can; a gasket 54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and an out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a sealing body 74 for sealing the opening of the battery can.
  • the electrode terminal riveted to the bottom of the battery can may have a riveting structure.
  • the battery cell 70 includes the electrode assembly 7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hrinkage of the separator due to high temperature, an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battery cell 70 by solving the high temperature safety problem. can do it
  • the space efficiency in the battery can 51 is increased, thereby lowering the internal resistance and increasing the energy density,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battery cell 70 .
  • the first electrode 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an 51
  • the second electrode 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50
  • the sealing body ( 74 can be insulated from the battery can 51 .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iveting structure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circle.
  • the riveting structure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includes a cylindrical battery can 51 with one open side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
  • the electrode terminal 50 riveted through the hole 53 , and a gasket 54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5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53 may be included.
  • the battery can 51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 the battery can 51 may be made of a steel materi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lectrode terminal 50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 the electrode terminal 50 may be made of aluminu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gasket 54 may be made of a polymer resin having insulation and elasticity.
  • the gasket 54 may be made of polypropylen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fluoride, et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lectrode terminal 50 includes the body part 50a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3 and one side of the body part 50a exposed through the outer surface 52a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
  • the flat portion 50d and the inner surface 52b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 'parallel' means substantially parallel when observed with the naked eye.
  • the angle ⁇ between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and the inner surface 52b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may be 0° to 60° or less.
  • the size of the angle is determined by the caulking strength when the electrode terminal 50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53 of the battery can 51 by the caulking method. In one example, as the caulking strength increases, the angle ⁇ may decrease to 0°. If the angle exceeds 60°, the sealing effect of the gasket 54 may be reduced.
  • a recess portion 5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and the flat portion 50d.
  • the recessed portion 55 may have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asymmetric groove.
  • the asymmetric groove may be approximately V-shaped.
  • the asymmetric groove may include a sidewall 55a of the flat portion 50d and an inclined surface 55b of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connected to an end of the sidewall 55a.
  • the sidewall 55a may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52b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
  • the term 'vertical' means a case that is substantially vertical when observed with the naked eye.
  • the recess portion 55 is formed by the shape of a caulking jig when the electrode terminal 50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53 of the battery can 51 by a caulking method.
  • the thickness of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may de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body portion 50a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increases.
  • the gasket 54 includes an outer gasket portion 54a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flange portion 50b and the outer surface 52a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 and an inner flange portion 50c ) and an inner gasket portion 54b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52b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
  • the thickness of the outer gasket portion 54a and the inner gasket portion 54b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Preferably,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edge 56 of the through hole 53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52b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in the area of the inner gasket portion 54b and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 the thickness of the region may be relatively small. Preferably, there may be a minimum thickness point in the gasket region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edge 56 of the through hole 53 and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 the inner edge 56 of the through hole 53 may include an opposite surface 57 facing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53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are corner-cut to form a surface tapered toward the electrode terminal 50 .
  • the upper end and/or low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53 may be deformed into a smooth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In this case, the stress applied to the gasket 54 near the upper end and/or low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53 may be further alleviated.
  • the inner gasket portion 54b may extend longer than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at an angle of 0° to 60° with the inner surface 52b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
  • the height H1 of the flat portion 50d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52b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H2 of the end portion of the inner gasket portion 54b.
  • the height H1 of the flat portion 50d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52b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H3 of the end portion of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 the radius R1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50a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to the edge of the outer flange portion 50b is based on the radius R2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 It may be 10% to 60%.
  • the radius R3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50a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to the edge of the flat portion 50d is 4 to 30 based on the radius R2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 It can be %.
  • R3 When R3 becomes small, the welding space becomes insufficient when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refer to 79 in FIG. 14) is welded to the flat portion 50d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and the welding area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de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resistance. can do.
  • R3 should be smaller than R1, and when R3 is increased, the thickness of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becomes thinner, so that the force of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to compress the gasket 54 is weakened, so that the sealing ability of the gasket 54 may be reduced. have.
  • the welding process can be easily performed by sufficiently securing a welding area between the flat portion 50d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and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79 in FIG. 14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of the welding area an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sealing ability of the gasket 54 .
  • the riveting structure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may be formed using a caulking jig that moves up and down.
  • a gasket 54 is interposed in the through hole 53 formed in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to insert a preform (not shown)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
  • the preform refers to the electrode terminal before riveting.
  • the caulking jig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attery can 51 .
  • the caulking jig has grooves and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final shape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preform to form the electrode terminal 50 by riveting the preform.
  • the preform is transformed into the riveted electrode terminal 50 .
  • the outer gasket portion 54a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flange portion 50b and the outer surface 52a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is elastically compressed and its thickness is decreased
  • the inner gasket portion 54b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edge 56 of the through hole 53 and the preform is elastically compressed by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 the thickness is further reduced than other areas.
  • a reg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inner gasket portion 54b is intensively reduced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circle in FIG. 9 . Accordingly, sealing properties and sealing properties between the riveted electrode terminal 50 and the battery can 51 are remarkably improved.
  • the gasket 54 is compressed sufficiently to ensure a desired sealing strength without being physically damaged while the preform is riveted.
  • the gasket 54 when the gasket 54 is made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the gasket 54 preferably has a compression ratio of 50% or more at the point where it is compressed to a minimum thickness.
  • the compression ratio is the ratio of the thickness change before and after compression to the thickness before compression.
  • the gasket 54 when the gasket 54 is made of polyfluoroethylen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sket 54 has a compression ratio of 60% or more at the point where it is compressed to a minimum thickness.
  • the gasket 54 when the gasket 54 is made of polypropylen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sket 54 has a compression ratio of 60% or more at the point where it is compressed to a minimum thickness.
  • the pressure forming of the upper part of the preform can be performed in stages. That is, the preform can be deformed several times by pressure forming step by step. At this tim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aulking jig may be increased in stage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sket 54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caulking process by dispers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preform several times. In particular, when the portion of the inner gasket portion 54b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edge 56 of the through hole 53 and the preform is intensively compressed by the inner flange portion 50c, damage to the gasket is minimized.
  • the riveting structure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as shown in FIG. have.
  • the caulking jig presses and forms the upper part of the preform through vertical movement inside the battery can 51 .
  • a rotary jig used in the prior art for pressure forming of a preform may be used.
  • the rotary rotary jig rotates in a st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can 51 . Therefore, the rotary jig having a large rotation radius may interfere with the inner wall of the battery can 51 . In addition, when the depth of the battery can 51 is large, the length of the rotary rotary jig is increased that much. In this case, as the rotation radius of the end of the rotary rotary jig increases, the pressure forming of the preform may not be properly performed. Therefore, pressure forming using a caulking jig is more effective than a method using a rotary rotary jig.
  • the riveting structure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pplicable to a battery cell.
  • the battery cell may include a battery can 51 .
  • the battery can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 the size may be a diameter of 30 mm to 55 mm and a height of 60 mm to 120 mm of the circles at both ends.
  • the circular diameter x height of the cylindrical battery can may be 46 mm x 60 mm, 46 mm x 80 mm, 46 mm x 90 mm or 46 mm x 120 mm.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is, for example, a cylindrical battery cell in which the ratio of the form factor (defined as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divided by the height, i.e. the ratio of the height H to the diameter ⁇ ) is greater than approximately 0.4.
  • the ratio of the form factor defined as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divided by the height, i.e. the ratio of the height H to the diameter ⁇
  • the form factor means a value indicating the diameter and height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example, a 46110 cell, a 48750 cell, a 48110 cell, a 48800 cell, a 46800 cell, or a 46900 cell.
  • the first two numbers indicate the diameter of the cell
  • the next two numbers indicate the height of the cell
  • the last number 0 indicates that the cell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 diameter of about 46 mm, a height of about 11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0.418.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 diameter of about 48 mm, a height of about 75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0.640.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 diameter of about 48 mm, a height of about 11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0.418.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 diameter of about 48 mm, a height of about 8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0.600.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 diameter of about 46 mm, a height of about 8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0.575.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 diameter of about 46 mm, a height of about 9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0.511.
  • battery cells having a form factor ratio of about 0.4 or less have been used. That is, conventionally, for example, 18650 cells, 21700 cells, and the like have been used. For an 18650 cell, its diameter is approximately 18 mm, its height is approximately 65 mm, and the form factor ratio is 0.277. For a 21700 cell, its diameter is approximately 21 mm, its height is approximately 70 mm, and the form factor ratio is 0.300.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cell 70 tak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heet-shaped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are woun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exposed first electrode plate. and an electrode assembly 71 including an uncoated region 72 and an uncoated region 73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 the first electrode plate may b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a positive electrode plate.
  •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 the wind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7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nd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used in manufacturing the tab-less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 the electrode assembly 71 only the uncoated regions 72 and 73 that are exposed and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or are illustrated in detail, and the winding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is omitted.
  • the battery cell 70 also includes a battery can 51 housing the electrode assembly 7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72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 one side (lower part) of the battery can 51 is open.
  •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50 is riveted to the through hole 53 through a caulking process.
  • the battery cell 70 may also include a gasket 54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5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53 .
  • the battery cell 70 may also include a seal 74 that seals the open end of the battery can 51 to be insulated from the battery can 51 .
  • the sealing body 74 may include a non-polar cap plate 74a and a sealing gasket 74b interposed between the edge of the cap plate 74a and the open end of the battery can 51 .
  • the cap plate 74a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steel, or nickel.
  • the sealing gasket 74b may be made of insulating and elastic polypropylen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fluoride, or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aterials of the cap plate 74a and the sealing gasket 74b.
  • the cap plate 74a may include a vent notch 77 that is rupture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battery can 51 exceeds a threshold value.
  • the vent notch 77 may b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cap plate 74a.
  • the vent notches 77 may form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circular pattern, a straight pattern, or other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cap plate 74a.
  • the battery can 51 is extended and bent inside the battery can 51 in order to fix the sealing body 74, and a crimping part ( 75) may be included.
  • the battery can 51 may also include a beading portion 76 press-fitted into the battery can 51 in an area adjacent the open end.
  • the beading portion 76 supports the edge of the sealing body 74, particular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gasket 74b, when the sealing body 74 is fixed by the crimping portion 75 .
  • the battery cell 7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78 welded to the uncoated portion 72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78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steel, or nickel.
  • at least a portion 78a of an edge not in contact with the uncoated portion 72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beading portion 76 and the sealing gasket 74b to form a crimping portion. (75) can be fixed.
  • at least a portion 78a of the edge of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78 may b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6a of the beading portion 76 adjacent to the crimping portion 75 by welding.
  • the battery cell 70 may also include a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79 that is welded to the uncoated portion 73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 a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79 that is welded to the uncoated portion 73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 the central portion 79a may be welded to the flat portion 50d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
  • the welding tool is inserted through the winding core 80 present in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71 to reach the welding point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79 . .
  • the electrode terminal 50 supports the welding region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79 , so that a stro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welding reg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elding quality by application.
  • the flat portion 50d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has a large area, a wide welding area can also be secured. Accordingly,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70 can be lowered by lowering the contact resistance of the welding region.
  • the face-to-face welding structure of the riveted electrode terminal 50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79 is very useful for rapid charging using a high c-rate current. This is because the current density per unit area can be lowered in the cross s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s, so that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the current path can be low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 any one of laser welding, ultrasonic welding, spot welding, and resistance welding may be used.
  • the area of the flat portion 50d can be adju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elding method, and is preferably 2 mm or more for welding strength and ease of the welding process.
  • the diameter of the flat portion 50d is preferably 4 mm or more.
  • the diameter of the flat portion 50d satisfies the corresponding con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welding strength, and there is no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welding process by inserting the laser welding tool into the core 80 of the electrode assembly 71 .
  • the diameter of the flat portion 50d is preferably 2 mm or more.
  • the diameter of the flat portion 50d satisfies the corresponding con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welding strength, and there is no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welding process by inserting the ultrasonic welding tool into the core 80 of the electrode assembly 71 .
  • Battery cell 70 may also include an insulating cap 80'.
  • the insulating cap 80 ′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79 and the inner surface 52a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51a of the sidewall of the battery can 51 and the electrode assembly 71 .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 the insulating cap 80 ′ includes a welding hole 80a exposing the flat portion 50d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towar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79 , and the surface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79 . and one side (upper) edge of the electrode assembly 71 may be covered.
  • the uncoated portions 72 and 73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or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bent from the outer periphery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71 to the core side to form curved surfaces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71 . can do.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78 is welded to a curved surface formed by bending the uncoated portion 72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79 is formed by bending the uncoated portion 73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It can be welded to the bent surface formed while
  •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or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have an improved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electrode plate (refer to FIG. 4 ).
  • FIG 11 is a plan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plate 9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plate 90 includes a sheet-shaped current collector 91 made of a foil of a conductive material, an active material layer 92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91 , and the current collector 91 .
  • the uncoated region 93 on which the active material is not coated is included at the long side end of the .
  • the uncoated region 93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tched segment pieces 93a.
  •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93a form a plurality of groups, and the segment segments 93a belonging to each group may have the same height (length in the Y direction) and/or width (length in the X direction) and/or the spacing pitch.
  • the number of segments 93a belonging to each group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than illustrated.
  • the segment 93a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and may be deformed into a quadrangle, a flat quadrilateral, a semicircle, or a semiellipse.
  • the height of the segment 93a may be increased step by step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 the core-side uncoated region 93 ′ adjacent to the core may not include the segment 93a , and the height of the core-side uncoated region 93 ′ may be smaller than that of other uncoated regions.
  • the electrode plate 90 may include an insulating coating layer 94 covering the boundary between the active material layer 92 and the uncoated region 93 .
  •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94 includes an insulating polymer resin, and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n inorganic filler.
  •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94 prevents the end of the active material layer 92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opposite polarity active material layer through the separator, and serves to structurally support the bending of the fragment 93a.
  •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94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eparator.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in which the uncoated segmental structure of the electrode plate 90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manufactured by the winding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 the protrusion structure of the uncoated regions 72 and 73 extending outside the separator is illustrated in detail, and the winding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is omitted.
  • a pattern in which the heights of the uncoated regions 72 and 73 change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That is, the heights of the uncoated regions 72 and 73 may vary irregularly depending on the position at which the cross-section is cut. For example, when the side portion of the trapezoidal segment 93a is cut, the height of the uncoated region in the cross section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gment 93a.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heights of the uncoated areas 72 and 73 shown in the drawing showing the cross-s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correspond to the average of the heights of the uncoated areas included in each winding turn.
  • the uncoated regions 72 and 73 may be bent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to the core side as shown in FIG. 13 .
  • the bent portion 101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box.
  • the curved surfaces 102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while radially adjacent segments overlap each other in multiple layers.
  • the core-side uncoated region 93 ′ in FIG. 11 is not bent due to its low height, and the height h of the innermost bent segment is formed by the core-side uncoated region 93 ′ having no segment structure. less than or equal to the radial length r of the winding area.
  • the winding core 80 in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not closed by the bent segment pieces. If the winding core 80 is not closed, there is no difficulty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process,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In addition, by inserting a welding tool through the winding core 80 , the electrode terminal 50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79 can be easily welded.
  • the cap plate 74a of the sealing body 74 has no polarity.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78 is connected to the sidewall of the battery can 51 so that the outer surface 52a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has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electrode terminal 50 .
  • a bus bar is placed on the top of the battery cell 70 using the outer surface 52a of the bottom 52 of the battery can 51 and the electrode terminal 50 . Wiring such as connec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is, the energy density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ells that can be mounted in the same space.
  • the positive active material coated o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active material is known in the art.
  • the positive active material has the general formula A[A x M y ]O 2+z (A includes at least one element of Li, Na, and K; M is Ni, Co, Mn, Ca, Mg, Al,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i, Si, Fe, Mo, V, Zr, Zn, Cu, Al, Mo, Sc, Zr, Ru, and Cr; x ⁇ 0, 1 ⁇ x+y ⁇ 2, - 0.1 ⁇ z ⁇ 2; the stoichiometric modulus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x, y, z and M are selected such that the compound remains electrically neutral).
  • the positive active material is an alkali metal compound xLiM 1 O 2 -(1-x)Li 2 M 2 O 3 (M 1 is at least one element having an average oxidation state 3) disclosed in US6,677,082, US6,680,143, etc. contains; M 2 contains at least one element having an average oxidation state 4; 0 ⁇ x ⁇ 1).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s the general formula LiaM 1 xFe 1 -xM 2 yP 1 -yM 3 zO 4-z
  • M 1 is Ti, Si, Mn, Co, Fe, V, Cr, Mo, Ni, Nd , Al, Mg and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Al
  • M 2 is Ti, Si, Mn, Co, Fe, V, Cr, Mo, Ni, Nd, Al, Mg, Al, As, Sb, Si, contain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Ge, V and S
  • M 3 contains a halogen element optionally including F; 0 ⁇ a ⁇ 2, 0 ⁇ x ⁇ 1, 0 ⁇ y ⁇ 1, 0 ⁇ z ⁇ 1; the stoichiometric modulus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a, x, y, z, M 1 , M 2 , and M 3 are selected such that the compound remains electrically neutral), or Li 3 M 2 (PO 4 ) 3 [M contain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i,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primary particles and/or secondary particles in which the primary particles are aggregated.
  •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may be a carbon material, lithium metal or a lithium metal compound, silicon or a silicon compound, tin or a tin compound.
  • a metal oxide having a potential of less than 2V, such as TiO 2 and SnO 2 may also be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As the carbon material both low-crystalline carbon, high-crystalline carbon,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separator is a porous polymer film, for example, a porous polymer film made of a polyolefin-based polymer such as an ethylene homopolymer, a propylene homopolymer, an ethylene/butene copolymer, an ethylene/hexene copolymer, or an ethylene/methacrylate copolymer. Or they can be used by laminating them.
  • the separator may be a conventional porous nonwoven fabric,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made of high melting point glass fib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or the like.
  •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may include a coating layer of inorganic particles.
  • the separation membrane itself is made of a coating layer of inorganic particles.
  • Particles constituting the coating layer may have a structure combined with a binder so that an interstitial volume exists between adjacent particles.
  • 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material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5 or more.
  • the inorganic particles are Pb(Zr,Ti)O 3 (PZT), Pb 1-x La x Zr 1-y Ti y O 3 (PLZT), PB(Mg 3 Nb 2/3 )O 3 -PbTiO 3 (PMN-PT), BaTiO 3 , hafnia(HfO 2 ), SrTiO 3 , TiO 2 , Al 2 O 3 , ZrO 2 , SnO 2 , CeO 2 , MgO, CaO, ZnO and Y 2 O 3 a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electrolyte may be a salt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 B ⁇ .
  • a + includes an ion composed of an alkali metal cation such as Li + , Na + , K + or a combination thereof.
  • B - is F - , Cl - , Br - , I - , NO 3 - , N(CN) 2 - , BF 4 - , ClO 4 - , AlO 4 - , AlCl 4 - , PF 6 - , SbF 6 - , AsF 6 - , BF 2 C 2 O 4 - , BC 4 O 8 - , (CF 3 ) 2 PF 4 - , (CF 3 ) 3 PF 3 - , (CF 3 ) 4 PF 2 - , (CF 3 ) 5 PF - , (CF 3 ) 6 P - , CF 3 SO 3 - , C 4 F 9 SO 3 - , CF
  • the electrolyte can also be used by dissolving it in an organic solvent.
  • organic solvent propylene carbonate (PC), ethylene carbonate (EC), diethyl carbonate (DEC), dimethyl carbonate (DMC), dipropyl carbonate (DPC) , dimethyl sulfoxide, acetonitrile, dimethoxyethane, diethoxyethane, tetrahydrofuran, N-methyl-2-pyrrolidone (N-methyl- 2-pyrrolidone, NMP), ethyl methyl carbonate (EMC), gamma butyrolactone ( ⁇ butyrolactone),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 PC propylene carbonate
  • EC ethylene carbonate
  • DEC diethyl carbonate
  • DMC dimethyl carbonate
  • DPC dipropyl carbonate
  • dimethyl sulfoxide acetonitrile, dimethoxyethane, diethoxyethane, tetrahydrofuran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battery cells.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used to manufacture a battery pack.
  • FIG.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attery pack 200 includes an assembly to which cylindrical battery cells 201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pack housing 202 for accommodating them.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1 is a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parts such as a bus bar, a cooling unit, and an external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201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battery pack.
  • the battery pack 200 may be mounted in a vehicle.
  • the vehicle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vehicle, or a plug-in hybrid vehicle.
  • the automobile includes a four-wheeled vehicle or a two-wheeled vehicle.
  •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200 of FIG. 14 .
  • a vehicle 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pack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V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pack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전극, 분리막 및 제2 전극이 적층되어 권취된 전극 조립체로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구비된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전극 활물질층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전지 캔; 상기 전지 캔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 리벳팅된 전극 단자;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관통 홀의 외경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 및 상기 전지 캔의 개방부를 밀봉하는 밀봉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배터리 셀,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본 출원은 2021년 4월 8일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1-0045993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배터리 셀,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 또한 갖기 때문에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 전지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5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 및 전기적 연결 형태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및/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차 전지 셀의 종류로서,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 배터리 셀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은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절연체인 분리막을 개재하고 이를 권취하여 젤리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고, 이를 전해질과 함께 전지 캔 내부에 삽입하여 전지를 구성한다. 그리고 양극 및 음극 각각의 무지부에는 스트립 형태의 전극 탭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전극 탭은 전극 조립체와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참고로, 양극 전극 단자는 전지 캔의 개방구를 밀봉하는 밀봉체의 캡 플레이트이고, 음극 전극 단자는 전지 캔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배터리 셀에 의하면, 양극 무지부 및/또는 음극 무지부와 결합되는 스트립 형태의 전극 탭에 전류가 집중되기 때문에 저항이 크고 열이 많이 발생하며 집전 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8650이나 21700의 폼 팩터를 가진 소형 원통형 배터리 셀은 저항과 발열이 큰 이슈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원통형 배터리 셀을 전기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해 폼 팩터를 증가시킬 경우, 급속 충전 과정에서 전극 탭 주변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면서 원통형 배터리 셀이 발화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양극 무지부 및 음극 무지부가 위치하도록 설계하고, 이러한 무지부에 집전 플레이트를 용접시켜 집전 효율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배터리 셀(소위 탭-리스(Tab-less) 배터리 셀)이 제시되었다.
도 1 내지 도 4은 탭-리스 배터리 셀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는 전극판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2는 전극판의 권취 공정을 나타내고, 도 3은 무지부의 절곡면에 집전 플레이트가 용접되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4는 탭-리스 배터리 셀을 길이 방향(Y)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제1 전극은 음극이고, 제2 전극은 양극일 수 있으며, 상기 음극은 음극판, 상기 양극은 양극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양극판(10)과 음극판(11)은 쉬트 모양의 집전체(20)에 활물질(21)이 코팅된 구조를 가지며, 권취 방향(X)을 따라 한쪽 장변 측에 무지부(22)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A)는 양극판(10)과 음극판(11)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2장의 분리막(12)과 함께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일방향(X)으로 권취시켜 제작한다. 이때, 양극판(10)과 음극판(11)의 무지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권취 공정 이후, 양극판(10)의 무지부(10a)와 음극판(11)의 무지부(11a)는 코어측으로 절곡된다. 그 이후에는, 무지부(10a, 11a)에 집전 플레이트(30, 31)를 각각 용접시켜 결합시킨다.
양극 무지부(10a)와 음극 무지부(11a)에는 별도의 전극 탭이 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집전 플레이트(30, 31)가 외부의 전극 단자와 연결되며, 전류 패스가 전극 조립체(A)의 권취축 방향(화살표 참조)을 따라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므로 배터리 셀의 저항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항은 전류가 흐르는 통로의 단면적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통형 배터리 셀의 폼 팩터가 증가하고 급속 충전 시 충전 전류의 크기가 커지면 탭-리스 배터리 셀에서도 발열 문제가 또 다시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탭-리스 배터리 셀(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캔(41)과 밀봉체(42)를 포함한다. 밀봉체(42)는 캡 플레이트(42a), 밀봉 가스켓(42b) 및 연결 플레이트(42c)를 포함한다. 밀봉 가스켓(42b)은 캡 플레이트(42a)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클림핑부(43)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전극 조립체(A)는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비딩부(44)에 의해 전지 캔(41) 내에 고정된다.
통상적으로 양극 단자는 밀봉체(42)의 캡 플레이트(42a)이고 음극 단자는 전지 캔(41)이다. 따라서, 양극판(10)의 무지부(10a)에 결합된 집전 플레이트(30)는 스트립 형태의 리드(45)를 통해 캡 플레이트(42a)에 부착된 연결 플레이트(42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음극판(11)의 무지부(11a)에 결합된 집전 플레이트(31)는 전지 캔(41)의 바닥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슐레이터(46)는 집전 플레이트(30)를 커버하여 극성이 다른 전지 캔(41)과 양극판(10)의 무지부(10a)가 서로 접촉하여 단락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집전 플레이트(30)가 연결 플레이트(42c)에 연결될 때에는 스트립 형태의 리드(45)가 사용된다. 리드(45)는 집전 플레이트(30)에 별도로 부착하거나, 집전 플레이트(30)와 일체로 제작된다. 그런데, 리드(45)는 두께가 얇은 스트립 형태이므로 단면적이 작아서 급속충전 전류가 흐를 경우 열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리드(45)에서 발생한 과도한 열은 전극 조립체(A) 측으로 전달되어 분리막(12)을 수축시킴으로써 열 폭주의 주요 원인인 내부 단락을 일으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탭-리스 배터리 셀(40)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밀봉체(42)의 캡 플레이트(42a)와 전지 캔(41)의 바닥 면에 버스 바 부품을 연결해야 하므로 공간 효율성이 떨어진다.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팩은 수 백 개의 배터리 셀(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기적 배선의 비효율성은 전기 자동차의 조립 과정, 그리고 배터리 팩의 유지 보수 시에도 상당한 번거로움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극 조립체의 전극은 분리막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코어 영역에 음극 탭이 결합된 구조를 갖지 않아도, 고온에 의한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배경 하에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전지 캔 내의 공간 효율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을 낮추고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전류 패스의 단면적을 확대함으로써 급속 충전 시 생기는 내부 발열 문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셀의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을 위한 전기적 배선 작업을 배터리 셀의 한 쪽에서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배터리 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선된 구조를 가진 배터리 셀을 이용하여 제작된 배터리 팩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제1 전극, 분리막 및 제2 전극이 적층되어 권취된 전극 조립체로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구비된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전극 활물질층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전지 캔; 상기 전지 캔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 리벳팅된 전극 단자;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관통 홀의 외경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 및 상기 전지 캔의 개방부를 밀봉하는 밀봉체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의 외경이 작은 경우,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데 있어서 큰 무리가 없으나, 고용량 고출력을 요하는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의 외경이 커지면서 열이 코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속도가 느려진다.
이와 같이 코어에서 열이 잘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 열 방출 속도의 저하로 인하여 코어 부분에서 고온에 의하여 분리막의 수축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분리막이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원통형 배터리 셀의 경우, 코어 부분에 음극 탭이 결합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코어에서 분리막이 열 데미지를 입어 수축이 발생하더라도, 음극 탭이 물리적으로 분리막을 고정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분리막의 수축을 물리적으로 방해할 수 있는 음극 탭이 적용되지 않은 전극 조립체의 경우 분리막 수축에 따른 문제 발생에 취약할 수 있다.
본 발명들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전극에 분리막과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코어 영역에 음극 탭이 결합된 구조를 갖지 않아도 고온에 의한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고온 안전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배터리셀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전지 캔 내의 공간 효율성을 증가시켜 내부 저항을 낮추고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는 종래의 탭-리스 배터리 셀에 사용되는 전극판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탭-리스 배터리 셀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의 권취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극 조립체에서 무지부의 절곡면에 집전 플레이트가 용접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종래의 탭-리스 배터리 셀을 길이 방향(Y)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비권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자의 리벳팅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점선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을 길이 방향(Y)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무지부 분절구조를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에 적용한 전극 조립체를 길이 방향(Y)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지부가 절곡된 전극 조립체를 길이 방향(Y)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0: 권취 중심
1: 비권취 상태의 전극 조립체
2: 제1 전극
3: 제2 전극
4: 제1 분리막
5: 제2 분리막
6: 전극 조립체의 권취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부
7: 고정부
7W: 고정부의 폭
8: 제1 전극 무지부
9: 제2 전극 무지부
10: 양극판
10a: 양극판의 무지부
11: 음극판
11a: 음극판의 무지부
12: 분리막
20: 집전체
21: 활물질
22: 무지부
30, 31: 집전 플레이트
40: 탭-리스 배터리 셀
41: 전지 캔
42: 밀봉체
42a: 캡 플레이트
42b: 밀봉 가스켓
42c: 연결 플레이트
43: 클림핑부
44: 비딩부
45: 리드
46: 인슐레이터
50: 전극 단자
50a: 몸체부
50b: 외부 플랜지부
50c: 내부 플랜지부
50d: 평탄부
51: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전지 캔
51a: 전지 캔 측벽의 내주면
52: 바닥
52a: 외부면
52b: 내부면
53: 관통 홀
54: 가스켓
54a: 외부 가스켓부
54b: 내부 가스켓부
55: 리세스부
55a: 평탄부의 측벽
55b: 내부 플랜지부의 경사면
56: 관통 홀의 내측 엣지
57: 내부 플랜지부와 마주보는 대향면
70: 배터리 셀
71: 전극 조립체
72: 제1 전극판의 무지부
73: 제2 전극판의 무지부
74: 밀봉체
74a: 캡 플레이트
74b: 밀봉 가스켓
75: 클림핑부
76: 비딩부
76a: 비딩부의 내주면
77: 벤트 노치
78: 제1집전 플레이트
78a: 제1집전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79: 제2집전 플레이트
79a: 중앙부
80: 권심
80': 절연 캡
80a: 용접 홀
90: 전극판
91: 집전체
92: 활물질층
93: 무지부
93': 코어측 무지부
93a: 분절편
94: 절연 코팅층
100: 전극 조립체
101: 절곡되는 부분
102: 절곡면
200: 배터리 팩
201: 원통형 배터리 셀
202: 팩 하우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A 내지 B"라 함은 A 이상 B 이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A와 B를 모두 포함하는 수치범위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제1 전극(2), 분리막(4, 5) 및 제2 전극(3)이 적층되어 권취된 전극 조립체로서, 상기 제1 전극(2) 및 제2 전극(3) 중 적어도 하나는 집전체(91) 및 상기 집전체 상에 구비된 전극 활물질층(9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전극 활물질층(92)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부(6)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막(4, 5)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는 고정부(7)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전극 활물질층(92)은 전극의 집전체(91) 상에 코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2)은 제2 전극(3) 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전극 활물질층은 제2 전극 활물질층 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전극 활물질층(92)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부(6)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가 상기 전극 활물질층이 구비되지 않은 무지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무지부를 만들기 위하여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전극 활물질층(92)에 구비됨으로써, 가격 경쟁력이 있으며 고온에 의한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하다.
상기 권취 중심부란 적층된 전극과 분리막을 권취하기 시작하는 위치를 의미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코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권취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부(6)는 상기 전극의 권취축 방향으로 구비되는 두 가장자리부 중에서 상기 권취 중심부 측에 구비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분리막(4)은 제1 전극(2)과 제2 전극(3)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7)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에 상기 분리막(4)이 고정됨으로써 음극 탭이 결합된 구조를 갖지 않는 전극 조립체에서도 고온에 의한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 안전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배터리셀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전지 캔 내의 공간 효율성을 증가시켜 내부 저항을 낮추고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비권취 상태(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로써 제1 전극(2), 분리막(4, 5) 및 제2 전극(3)이 적층되고 비권취 상태(1)인 것으로, 상기 분리막(4, 5)은 제1 분리막(4) 및 제2 분리막(5)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전극(2)이 상기 제2 전극(3)보다 크기가 커야 하며, 상기 분리막(4, 5)은 제1 전극(2) 및 제2 전극(3)보다 크기가 커야 한다. 여기서 크기가 크다는 것은 권취축의 수직인 전극 조립체의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부(7)는 제1 전극의 활물질층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부(6)에 구비되어 분리막(4, 5)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비권취 상태(1)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제1 전극(1)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활물질층의 가장자리부(6)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7)는 상기 분리막(4, 5)의 일부에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활물질층을 구비하지 않는 무지부(8, 9)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의 일 단부측에 구비된 상기 집전체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무지부(8, 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지부(8, 9)는 상기 제1 전극(2)과 제2 전극(3)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의 일 단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무지부(8, 9)는 전극 조립체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의 무지부(8)와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부(9)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무지부(8, 9)가 전극 조립체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노출되어 집전 플레이트(78, 79)와의 전기적 연결됨으로써, 내부 저항을 낮추고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에 탭이나 리드가 결합된 구조를 갖지 않아도 고온에 의한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활물질층(92)은 상기 무지부(8, 9)를 제외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 활물질층(92)은 상기 집전체의 가장자리부에서 무지부가 구비된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활물질층(92)은 전극 조립체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거나 노출될 수 없으며, 제1 전극 활물질층과 제2 전극 활물질층은 분리막(4)을을 개재하여 서로 겹쳐지지 않는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분리막(4, 5)은 상기 제1 전극(2)과 상기 제2 전극(3) 사이에 구비된 제1 분리막(4) 및 상기 제1 전극의 상기 제1 분리막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제2 분리막(5)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막(4) 및 상기 제2 분리막(5)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고정부(7)에 고정된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분리막(4)은 제1전극(2)과 제2 전극(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7)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분리막(5)은 상기 제1전극(2)과 의 상기 제1 분리막(4)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제1전극(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분리막(4)에 고정될 수 있거나, 상기 제1 전극(2)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분리막(5)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2)의 일측 및 타측에도 구비되어 상기 제1 분리막(4) 및 제2 분리막(5)에 고정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의 전극에서 분리막(4, 5)에 고정되는 고정부(7)를 구비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2)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7)가 제1 분리막(2) 및 제2 분리막(3)에 고정됨으로써, 배터리 셀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런 배터리 셀에서도 고온에 의한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비권취 상태(1)에서 상기 제2 전극(3)과 겹쳐지지 않는다.
상기 전극 조립체의 비권취 상태(1)는 제1 전극(2), 분리막(4) 및 제2 전극(3)이 적층된 상태로써, 상기 제1 전극(2)은 상기 제2 전극(3)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이 상기 제2 전극(3)보다 크게 구비된다는 것은 권취축의 수직인 전극 조립체의 길이방향(Y)으로 상기 제1 전극(2)이 상기 제2 전극(3)보다 더 길게 구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분리막(4)은 상기 제1 전극(2) 및 상기 제2 전극(3) 보다 더 길게 구비 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부(6)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적층된 상태에서 고정부(7)는 상기 제2 전극(3)과 겹쳐지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가 상기 제2 전극(3)과 겹쳐지지 않음으로써, 상기 전극 조립체 충전 시에도 분리막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지의 수명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의 폭(7W)은 12mm 이하, 11.5mm 이하, 11mm 이하, 10.5mm 이하 또는 10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폭(7W)은 2mm 이상, 3mm 이상 또는 4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폭(7W)은 상기 범위에서 분리막(4, 5)에 고정되며, 고온에서도 분리막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의 폭(7W)은 권심(80)의 외주면 대비 15% 내지 65%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폭(7W)은 권심(80)의 외주면 대비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또는 3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폭(7W)은 권심(80)의 외주면 대비 65% 이하, 60% 이하, 55% 이하, 50% 이하, 4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권심(80)의 외주면은 전지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부의 폭(7W)은 상기 범위에서 분리막(4, 5)에 고정되어 고온에서 분리막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폭(7W)이란 상기 전극 조립체의 비권취 상태(1)에서 제2 전극(3)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고정부의 폭(7W) 이내의 범위에서 고정부(7)가 분리막(4, 5)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온에 의한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7)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기 제1 전극(2), 상기 분리막(4, 5) 및 상기 제2 전극(3)이 고정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도 6 참조). 따라서, 권취 시에 주름 또는 구김의 발생을 억제하여 권취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은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3)은 양극일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7)는 라미네이션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는 적어도 일면에 라미네이션이 가능한 접착층을 갖는 테이프일 수 있으며, 양면에 라미네이션이 가능한 접착층을 갖는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이란 고온에서 접착력을 갖는 것으로,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층에 열을 가해 부드럽게 만들어서 접착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는 상기 분리막(4, 5)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분리막에 고정되는 것이라면 그 크기, 형태 또는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양면 테이프는 양면이 모두 접착력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열 분해 온도는 180℃ 이상, 190℃ 이상, 200℃ 이상, 210℃이상, 220℃이상, 230℃이상 또는 24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열 분해 온도는 320℃ 이하, 310℃ 이하, 300℃ 이하, 290℃ 이하, 280℃ 이하 또는 27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열 분해 온도는 기재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열 분해 온도가 분리막의 녹는점보다 높아 분리막이 용융되기 전까지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를 분리막에 고정하여, 분리막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상온에서의 접착력은 20gf/100mm 내지 40gf/100mm, 23gf/100mm 내지 37gf/100mm 또는 25gf/100mm 내지 35gf/100mm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상온에서의 접착력은 20gf/100mm 이상, 23gf/100mm 이상, 25gf/100mm 이상, 27gf/100mm 이상 또는 29gf/10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상온에서의 접착력은 40gf/100mm 이하, 37gf/100mm 이하, 35gf/100mm 이하, 33gf/100mm 이하 또는 31gf/100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가 상기 분리막(4, 5)에 고정되어 고온에 의한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는 일정 온도 이상에서 접착력을 갖는다. 일정 온도 이상에서 접착력을 갖는다는 것은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층에 열을 가해 부드럽게 만들어서 접착력을 갖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접착력은 전극 공정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라미네이션 테이프는 상온 접착력보다 높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분리막(4, 5)에 고정되어 고온에서도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는 약 40℃이상, 45℃이상, 50℃이상, 55℃이상, 60℃이상 또는 65℃이상에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에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이 발휘될 수 있으며, 이는 배터리 셀 공정에서 고정부(7)가 분리막(4, 5)에 고정되는 온도 범위를 설정할 수 있어서 유리하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 변화율은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0.8 ≤ [X1 / X2] x 100(%) ≤ 1.2
상기 식 1에 있어서, X1은 23℃ 에서 20분 방치 시의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이고, X2는 23℃ 에서 20분 방치 후 65℃ 에서 20분 보관 시의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이다.
상기 X1은 23℃ 에서 20분 방치 시의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으로서, 상온에서의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일 수 있다. 상기 X2는 23℃ 에서 20분 방치 후 65℃ 에서 20분 보관 시의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으로서, 라미네이션 이후의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일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은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층에 열을 가해 부드럽게 만들어서 접착력을 갖는 것을 말하며,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라미네이션 테이프는 상기 라미네이션 전후에도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분리막(4, 5)에 고정되어 고온에 의한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 측정 방법에 관하여, 상기 X1은 23℃ 에서 20분 방치 시의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을 의미하고, SUS304 기판에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층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압착하고 23℃에서 20분 방치 후, 상기 유색 폴리이미드에서 백플레이트 필름을 180° 각도 및 300m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X2는 23℃ 에서 20분 방치 후 65℃ 에서 20분 보관 시의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을 의미하고, SUS304에 기판에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층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압착하고 23℃에서 20분 방치하고 65℃에서 20분 보관 후, 상기 유색 폴리이미드에서 백플레이트 필름을 180°각도 및 300m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부 측에 구비된 두 개의 점, 및 상기 두 개의 점 사이에 구비된 하나의 점에서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일부와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7)에서 상기 두 개의 점 및 상기 하나의 점은 상기 분리막(4, 5)에 고정되기 위한 최소의 부분일 수 있으며, 분리막에 고정되는 것이라면 그 크기 및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점과 상기 하나의 점을 포함하는 세 개의 점은 상기 고정부(7) 내에 구비되며, 이격된 세 부분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거나, 이격되지 않고 면적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라도 상기 분리막(4, 5)에 고정되는 것이라면 위치나 면적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 방향의 길이 40% 이상, 50% 이상 또는 60% 이상이 상기 분리막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상기 고정부(7)가 상기 분리막(4, 5)에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고온에서의 분리막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권취축 방향의 가장자리부의 길이이거나,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부 사이의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 방향의 길이 40% 이상은 연속된 길이 범위이거나 연속되지 않은 길이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71);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전지 캔(51); 상기 전지 캔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 리벳팅된 전극 단자(50);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관통 홀의 외경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54); 및 상기 전지 캔의 개방부를 밀봉하는 밀봉체(74)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셀(70)을 제공한다. 일 예로, 전지 캔의 바닥에 리벳팅된 전극 단자는 리벳팅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70)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71)를 포함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분리막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온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여 배터리셀(70)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70)의 전극 단자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지 캔(51) 내의 공간 효율성을 증가시켜 내부 저항을 낮추고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배터리 셀(70)의 크기를 증가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2)은 상기 전지 캔(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3)은 상기 전극 단자(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밀봉체(74)는 상기 전지 캔(51)으로부터 절연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자(50)의 리벳팅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점선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자(50)의 리벳팅 구조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전지 캔(51)과, 전지 캔(51)의 바닥(52)에 형성된 관통 홀(53)을 통해 리벳팅된 전극 단자(50)와, 전극 단자(50)와 관통 홀(53)의 외경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5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지 캔(51)은 도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에서, 전지 캔(51)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 단자(50)는 도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에서, 전극 단자(5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켓(54)은 절연성 및 탄성이 있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서, 가스켓(54)은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플루오르화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전극 단자(50)는, 관통 홀(53)에 삽입된 몸체부(50a), 전지 캔(51) 바닥(52)의 외부면(52a)을 통해 노출된 몸체부(50a)의 일측 둘레로부터 외부면(52a)을 따라 연장된 외부 플랜지부(50b) 및 전지 캔(51) 바닥(52)의 내부면(52b)을 통해 노출된 몸체부(50a)의 타측 둘레로부터 내부면(52b)을 향해 연장된 내부 플랜지부(50c) 및 내부 플랜지부(50c)의 내측에 구비된 평탄부(50d)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평탄부(50d)와 전지 캔(51) 바닥(52)의 내부면(52b)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여기서, '평행'이라 함은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플랜지부(50c)와 전지 캔(51) 바닥(52)의 내부면(52b) 사이의 각도(θ)는 0° 내지 60° 이하일 수 있다. 각도의 크기는 콜킹 공법으로 전극 단자(50)가 전지 캔(51)의 관통 홀(53)에 설치될 때 콜킹 강도에 의해 결정된다. 일 예에서, 콜킹 강도가 증가할수록 각도(θ)는 0°까지 감소할 수 있다. 각도가 60°를 초과하면 가스켓(54)의 실링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 플랜지부(50c)와 평탄부(50d) 사이에 리세스부(55)가 구비될 수 있다. 리세스부(55)는 비대칭 홈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비대칭 홈은 대략 V자형일 수 있다. 비대칭 홈은 평탄부(50d)의 측벽(55a)과 상기 측벽(55a)의 단부와 연결된 내부 플랜지부(50c)의 경사면(5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55a)은 전지 캔(51) 바닥(52)의 내부면(52b)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수직'이라 함은 육안상으로 관찰했을 때 실질적으로 수직인 경우를 의미한다. 리세스부(55)는 콜킹 공법으로 전극 단자(50)가 전지 캔(51)의 관통 홀(53)에 설치될 때 콜킹 지그의 형상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바람직하게, 내부 플랜지부(50c)의 두께는 전극 단자(50)의 몸체부(50a)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스켓(54)은, 외부 플랜지부(50b)와 전지 캔(51) 바닥(52)의 외부면(52a) 사이에 개재된 외부 가스켓부(54a)과, 내부 플랜지부(50c)와 전지 캔(51) 바닥(52)의 내부면(52b) 사이에 개재된 내부 가스켓부(54b)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가스켓부(54a)과 내부 가스켓부(54b)은 두께가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부 가스켓부(54b)의 영역 중 전지 캔(51) 바닥(52)의 내부면(52b)과 연결된 관통 홀(53)의 내측 엣지(56)와 내부 플랜지부(50c) 사이에 개재된 영역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관통 홀(53)의 내측 엣지(56)와 내부 플랜지부(50c) 사이에 개재된 가스켓 영역에서 최소 두께 지점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관통 홀(53)의 내측 엣지(56)는 내부 플랜지부(50c)와 마주보는 대향면(57)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지 캔(51)의 바닥(52)과 수직을 이루는 관통 홀(53) 내벽의 상단과 하단은 전극 단자(50)를 향해 테이퍼진 표면을 형성하도록 모따기(corner cutting)되어 있다. 하지만, 관통 홀(53) 내벽의 상단 및/또는 하단은 곡률을 가진 부드러운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 홀(53) 내벽의 상단 및/또는 하단 근처에서 가스켓(54)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보다 완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부 가스켓부(54b)은 전지 캔(51) 바닥(52)의 내부면(52b)과 0° 내지 60°의 각도를 이루며 내부 플랜지부(50c)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전지 캔(51) 바닥(52)의 내부면(52b)을 기준으로 평탄부(50d)의 높이(H1)가 내부 가스켓부(54b)의 단부 높이(H2)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또한, 전지 캔(51) 바닥(52)의 내부면(52b)을 기준으로 평탄부(50d)의 높이(H1)가 내부 플랜지부(50c)의 단부 높이(H3)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높이 파라미터인 H1, H2 및 H3가 상기 조건을 충족하면, 내부 플랜지부(50c)와 내부 가스켓부(54b)이 다른 부품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전극 단자(50)의 몸체부(50a)의 중심으로부터 외부 플랜지부(50b)의 가장자리까지의 반경(R1)은 전지 캔(51) 바닥(52)의 반경(R2)을 기준으로 10% 내지 60%일 수 있다.
R1이 작아지면 전극 단자(50)에 전기 배선 부품(버스 바)을 용접할 때 용접 공간이 부족해 진다. 또한, R1이 커지면 전극 단자(50)를 제외한 전지 캔(51) 바닥(52)의 외부면(52a)에 전기 배선 부품(버스바)을 용접할 때 용접 공간이 감소한다.
비율 R1/R2를 10% 내지 60% 사이에서 조절하면 전극 단자(50) 및 전지 캔(51) 바닥(52)의 외부면에 대한 용접 공간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단자(50)의 몸체부(50a)의 중심으로부터 평탄부(50d)의 가장자리까지의 반경(R3)은 전지 캔(51) 바닥(52)의 반경(R2)을 기준으로 4 내지 30%일 수 있다.
R3이 작아지면 전극 단자(50)의 평탄부(50d)에 집전 플레이트(도 14의 79 참조)를 용접할 때 용접 공간이 부족해 지고, 전극 단자(50)의 용접 면적이 감소하여 컨택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R3은 R1보다는 작아야 하고 R3이 커지면 내부 플랜지부(50c)의 두께가 얇아져서 내부 플랜지부(50c)가 가스켓(54)을 압착하는 힘이 약해져 가스켓(54)의 실링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R3/R2를 4% 내지 30% 사이에서 조절하면 전극 단자(50)의 평탄부(50d)와 집전 플레이트(도 14의 79)의 용접 면적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영역의 컨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가스켓(54)의 실링 능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단자(50)의 리벳팅 구조는 상하 운동을 하는 콜킹 지그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먼저, 전지 캔(51)의 바닥(52)에 형성된 관통 홀(53)에 가스켓(54)을 개재시켜 전극 단자(50)의 프리폼(미도시)을 삽입한다. 프리폼은 리벳팅 되기 전의 전극 단자를 지칭한다.
다음으로, 콜킹 지그를 전지 캔(51)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한다. 콜킹 지그는 프리폼을 리벳팅하여 전극 단자(50)를 형성하기 위해 프리폼과 대향하는 면에 전극 단자(50)의 최종 형상에 대응되는 홈과 돌기를 가진다.
다음으로, 콜킹 지그를 하부로 이동시켜 프리폼의 상부를 가압 포밍하여 프리폼을 리벳팅된 전극 단자(50)로 변형시킨다.
콜킹 지그에 의해 프리폼이 가압되는 동안, 외부 플랜지부(50b)와 전지 캔(51) 바닥(52)의 외부면(52a) 사이에 개재된 외부 가스켓부(54a)이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그 두께가 감소한다. 또한, 관통 홀(53)의 내측 엣지(56)와 프리폼 사이에 개재된 내부 가스켓부(54b) 부위가 내부 플랜지부(50c)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다른 영역보다 두께가 더욱 감소한다. 특히, 내부 가스켓부(54b)의 두께가 집중적으로 감소되는 영역은 도 9의 점선원으로 표시된 부분이다. 이에 따라, 리벳팅된 전극 단자(50)와 전지 캔(51) 사이의 실링성 및 밀폐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바람직하게, 가스켓(54)은 프리폼이 리벳팅되는 과정에서 물리적으로 손상되지 않으면서 소망하는 실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충분히 압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서, 가스켓(54)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경우, 가스켓(54)은 그것이 최소 두께로 압축되는 지점에서 압축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율은 압축전 두께에 대한 압축 전후의 두께 변화의 비율이다.
다른 예에서, 가스켓(54)이 폴리플루오르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경우, 가스켓(54)은 그것이 최소 두께로 압축되는 지점에서 압축율이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에서, 가스켓(54)이 폴리플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경우, 가스켓(54)은 그것이 최소 두께로 압축되는 지점에서 압축율이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콜킹 지그의 상하 이동을 적어도 2회 이상 실시하여 프리폼 상부의 가압 포밍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프리폼을 단계적으로 가압 포밍하여 여러 번에 걸쳐 변형할 수 있다. 이 때, 콜킹 지그에 가해지는 압력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프리폼에 가해지는 응력을 여러 번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콜킹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가스켓(5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관통 홀(53)의 내측 엣지(56)와 프리폼 사이에 개재된 내부 가스켓부(54b) 부위가 내부 플랜지부(50c)에 의해 집중적으로 압축될 때 가스켓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콜킹 지그를 이용한 프리폼의 가압 포밍이 완료된 후, 콜킹 지그를 전지 캔(51)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자(50)의 리벳팅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킹 지그는 전지 캔(51)의 내부에서 상하 운동을 통해 프리폼의 상부를 가압 포밍한다. 경우에 따라, 프리폼의 가압 포밍을 위해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로타리(rotary) 회전 지그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로타리 회전 지그는 전지 캔(51)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 운동을 한다. 따라서, 회전 반경이 큰 로타리 회전 지그는 전지 캔(51)의 내벽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전지 캔(51)의 깊이가 큰 경우 로타리 회전 지그의 길이도 그만큼 길어진다. 이 경우, 로타리 회전 지그 단부의 회전반경이 커지면서 프리폼의 가압 포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콜킹 지그를 이용한 가압 포밍이 로타리 회전 지그를 이용한 방식보다 더욱 효과적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자(50)의 리벳팅 구조는 배터리 셀에 적용이 가능하다.
일 예에서, 상기 배터리 셀은 전지 캔(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 캔은 원통형일 수 있다. 그 크기는 양단부의 원형의 직경이 30 mm 내지 55 mm, 높이가 60 mm 내지 120 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통형 전지 캔의 원형 직경 x 높이는 46 mm x 60 mm, 46 mm x 80 mm, 46 mm x 90 mm 또는 46 mm x 120 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통형 배터리 셀은, 예를 들어 폼 팩터의 비(원통형 배터리 셀의 직경을 높이로 나눈 값, 즉 높이(H) 대비 직경(Φ)의 비로 정의됨)가 대략 0.4보다 큰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여기서, 폼 팩터란, 원통형 배터리 셀의 직경 및 높이를 나타내는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은, 예를 들어 46110 셀, 48750 셀, 48110 셀, 48800 셀, 46800 셀, 46900 셀일 수 있다. 폼 팩터를 나타내는 수치에서, 앞의 숫자 2개는 셀의 직경을 나타내고, 그 다음 숫자 2개는 셀의 높이를 나타내고, 마지막 숫자 0은 셀의 단면이 원형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6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11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418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75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640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11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418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8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600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6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8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575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6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9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511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종래에는, 폼 팩터의 비가 대략 0.4 이하인 배터리 셀들이 이용되었다. 즉, 종래에는, 예를 들어 18650 셀, 21700 셀 등이 이용되었다. 18650셀의 경우, 그 직경이 대략 1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65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277이다. 21700셀의 경우, 그 직경이 대략 21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7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300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70)을 길이 방향(Y)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70)은 쉬트 형상의 제1전극판과 제2전극판이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권취되고,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노출된 상기 제1전극판의 무지부(72)와 상기 제2전극판의 무지부(73)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71)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1전극판은 음극판이고 제2전극판은 양극판일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전극 조립체(71)의 권취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탭-리스 배터리 셀의 제조 시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의 권취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전극 조립체(71)를 도시함에 있어서는 분리막 외측으로 노출되어 연장된 무지부(72, 73)만을 상세히 도시하고 제1전극판, 제2전극판 및 분리막의 권취 구조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배터리 셀(70)은 또한 전극 조립체(71)를 수납하며 제1전극판의 무지부(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 캔(5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지 캔(51)의 일 측(하부)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전지 캔(51)의 바닥(52)은 전극 단자(50)가 콜킹 공정을 통해 관통 홀(53)에 리벳팅된 구조를 가진다.
배터리 셀(70)은 또한 전극 단자(50)와 관통 홀(53)의 외경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54)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셀(70)은 또한 전지 캔(51)으로부터 절연 가능하도록 전지 캔(51)의 개방 단부를 밀봉하는 밀봉체(7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밀봉체(74)는 극성이 없는 캡 플레이트(74a) 및 캡 플레이트(74a)의 가장자리와 전지 캔(51)의 개방단부 사이에 개재된 밀봉 가스켓(74b)을 포함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74a)는 알루미늄, 스틸, 니켈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밀봉 가스켓(74b)은 절연성 및 탄성이 있는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플루오르화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캡 플레이트(74a)와 밀봉 가스켓(74b)의 소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캡 플레이트(74a)는 전지 캔(51) 내부의 압력이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 파열되는 벤트 노치(77)를 포함할 수 있다. 벤트 노치(77)는 캡 플레이트(74a)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벤트 노치(77)는 캡 플레이트(74a)의 표면에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 패턴, 직선 패턴 또는 그 밖의 다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전지 캔(51)은, 밀봉체(74)를 고정하기 위해, 전지 캔(51)의 내측으로 연장및 절곡되어 밀봉 가스켓(74b)과 함께 캡 플레이트(74a)의 가장자리를 감싸서 고정하는 클림핑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 캔(51)은 또한 개방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전지 캔(51)의 내측으로 압입된 비딩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딩부(76)는 밀봉체(74)가 클림핑부(75)에 의해 고정될 때, 밀봉체(74)의 가장자리, 특히 밀봉 가스켓(74b)의 외주 표면을 지지한다.
배터리 셀(70)은 또한 제1전극판의 무지부(72)와 용접되는 제1집전 플레이트(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집전 플레이트(78)는 알루미늄, 스틸, 니켈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제1집전 플레이트(78)는 제1전극판의 무지부(72)와 접촉하지 않는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78a)가 비딩부(76)와 밀봉 가스켓(74b) 사이에 개재되어 클림핑부(7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집전 플레이트(78)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78a)는 클림핑부(75)와 인접한 비딩부(76)의 내주면(76a)에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 셀(70)은 또한 제2전극판의 무지부(73)와 용접되는 제2집전 플레이트(79)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집전 플레이트(79)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중앙부(79a)는 전극 단자(50)의 평탄부(50d)와 용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집전 플레이트(79)가 용접될 때 용접 도구는 전극 조립체(71)의 코어에 존재하는 권심(80)을 통해 삽입되어 제2집전 플레이트(79)의 용접 지점까지 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집전 플레이트(79)가 전극 단자(50)의 평탄부(50d)에 용접될 때 전극 단자(50)가 제2집전 플레이트(79)의 용접 영역을 지지하므로 용접 영역에 강한 압력을 인가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 단자(50)의 평탄부(50d)는 면적이 넓으므로 용접 영역 또한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용접 영역의 접촉 저항을 낮춤으로써 배터리 셀(70)의 내부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리벳팅된 전극 단자(50)와 제2집전 플레이트(79)의 면대면 용접 구조는 하이 씨레이트(c-rate) 전류를 이용한 급속 충전에 매우 유용하다.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단면에서 단위 면적당 전류 밀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전류 패스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종래보다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전극 단자(50)의 평탄부(50d)와 제2집전 플레이트(79)의 용접 시에는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스폿 용접 및 저항 용접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평탄부(50d)의 면적은 용접 방식에 따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데, 용접 강도와 용접 공정의 용이성을 위해 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서, 평탄부(50d)와 제2집전 플레이트(79)가 레이저로 용접되고 원형 패턴의 형태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라인으로 용접될 경우 평탄부(50d)의 직경은 4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탄부(50d)의 직경이 해당 조건을 충족할 경우 용접 강도 확보가 가능하고, 레이저 용접 도구를 전극 조립체(71)의 권심(80)에 삽입하여 용접 공정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다른 예에서, 평탄부(50d)와 제2집전 플레이트(79)가 초음파로 용접되고 원형 패턴으로 용접될 경우 평탄부(50d)의 직경은 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탄부(50d)의 직경이 해당 조건을 충족할 경우 용접 강도 확보가 가능하고, 초음파 용접 도구를 전극 조립체(71)의 권심(80)에 삽입하여 용접 공정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배터리 셀(70)은 또한 절연 캡(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캡(80')은 제2집전 플레이트(79)와 전지 캔(51) 바닥(52)의 내부면(52a) 사이, 그리고 전지 캔(51) 측벽의 내주면(51a)과 전극 조립체(7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절연 캡(80')은 전극 단자(50)의 평탄부(50d)를 제2집전 플레이트(79) 측으로 노출시키는 용접 홀(80a)을 포함하고, 제2집전 플레이트(79)의 표면과 전극 조립체(71)의 일측(상부) 가장자리를 커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전극판 및/또는 제2전극판의 무지부(72, 73)는 전극 조립체(71)의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전극 조립체(71)의 상부 및 하부에 절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집전 플레이트(78)는 제1전극판의 무지부(72)가 절곡되면서 형성된 절곡면에 용접되고, 제2집전 플레이트(79)는 제2전극판의 무지부(73)가 절곡되면서 형성된 절곡면에 용접될 수 있다.
무지부(72, 73)가 절곡될 때 생기는 응력을 완화하기 위해 제1전극판 및/또는 제2전극판은 종래의 전극판(도 4 참조)과 다른 개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90)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극판(90)은 도전성 재질의 포일로 이루어진 쉬트 형상의 집전체(91)와, 집전체(91)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활물질층(92)과, 집전체(91)의 장변 단부에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9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무지부(93)는 노칭 가공된 복수의 분절편(93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절편(93a)은 복수의 그룹을 이루며, 각 그룹에 속한 분절편(93a)들은 높이(Y방향 길이) 및/또는 폭(X 방향 길이) 및/또는 이격 피치가 동일할 수 있다. 각 그룹에 속한 분절편(93a)들의 수는 도시된 것보다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분절편(93a)은 사다리꼴 모양일 수 있는데, 사각형, 평형사변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절편(93a)의 높이는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가면서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코어측과 인접한 코어측 무지부(93')는 분절편(93a)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코어측 무지부(93')의 높이는 다른 무지부 영역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극판(90)은 활물질층(92)과 무지부(93) 사이의 경계를 덮는 절연 코팅층(94)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코팅층(94)은 절연성이 있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무기물 필러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코팅층(94)은 활물질층(92)의 단부가 분리막을 통해 대향하고 있는 반대 극성의 활물질층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절편(93a)의 절곡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극판(90)이 전극 조립체로 권취되었을 때, 절연 코팅층(94)은 적어도 일부가 분리막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90)의 무지부 분절구조를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에 적용한 전극 조립체(100)를 길이 방향(Y)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0)는 도 5를 통해 설명한 권취 공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막 밖으로 연장된 무지부(72, 73)의 돌출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제1전극판, 제2전극판 및 분리막의 권취 구조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하부로 돌출된 무지부(72)는 제1전극판으로부터 연장된 것이고, 상부로 돌출된 무지부(73)는 제2전극판으로부터 연장된 것이다.
무지부(72, 73)의 높이가 변화하는 패턴은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즉, 단면이 잘리는 위치에 따라서 무지부(72, 73)의 높이는 불규칙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사다리꼴 분절편(93a)의 사이드 부분이 잘리면 단면에서의 무지부 높이는 분절편(93a)의 높이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에 도시된 무지부(72, 73)의 높이는 각 권취 턴에 포함된 무지부 높이의 평균에 대응한다고 이해하여야 한다.
무지부(72, 73)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12에서, 절곡되는 부분(101)은 점선 박스로 표시하였다. 무지부(72, 73)가 절곡될 때, 반경 반향으로 인접하고 있는 분절편들이 여러 겹으로 서로 중첩되면서 전극 조립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절곡면(102)이 형성된다. 이 때, 코어측 무지부(도 11의 93')는 높이가 낮아서 절곡되지 않으며, 가장 안쪽에서 절곡되는 분절편의 높이(h)는 분절편 구조가 없는 코어측 무지부(93')에 의해 형성된 권취 영역의 반경 방향 길이(r) 보다 같거나 작다. 따라서, 전극조립체(100)의 코어에 있는 권심(80)이 절곡된 분절편들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다. 권심(80)이 폐쇄되지 않으면, 전해질 주액 공정에 어려움이 없고, 전해액 주액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권심(80)을 통해 용접 도구를 삽입하여 전극 단자(50)와 제2 집전 플레이트(79)의 용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70)은 밀봉체(74)의 캡 플레이트(74a)가 극성을 갖지 않는다. 그 대신, 제1집전 플레이트(78)가 전지 캔(51)의 측벽에 연결되어 있어서 전지 캔(51) 바닥(52)의 외부면(52a)이 전극 단자(50)와는 반대 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복수의 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하고자 할 때, 전지 캔(51) 바닥(52)의 외부면(52a)과 전극 단자(50)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70)의 상부에서 버스 바 연결 등의 배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 공간에 탑재할 수 있는 셀들의 수를 증가시켜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극판에 코팅되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판에 코팅되는 음극 활물질은 당업계에 공지된 활물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양극 활물질은 일반 화학식 A[AxMy]O2+z(A는 Li, Na 및 K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 M은 Ni, Co, Mn, Ca, Mg, Al, Ti, Si, Fe, Mo, V, Zr, Zn, Cu, Al, Mo, Sc, Zr, Ru, 및 Cr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 x ≥ 0, 1 ≤ x+y ≤ 2, - 0.1 ≤ z ≤ 2; x, y, z 및 M에 포함된 성분의 화학량론적 계수는 화합물이 전기적 중성을 유지하도록 선택됨)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양극 활물질은 US6,677,082, US6,680,143 등에 개시된 알칼리 금속 화합물 xLiM1O2-(1-x)Li2M2O3(M1은 평균 산화 상태 3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 M2는 평균 산화 상태 4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 0≤x≤1)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양극 활물질은, 일반 화학식 LiaM1xFe1-xM2yP1-yM3zO4-z(M1은Ti, Si, Mn, Co, Fe, V, Cr, Mo, Ni, Nd, Al, Mg 및 Al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 M2는 Ti, Si, Mn, Co, Fe, V, Cr, Mo, Ni, Nd, Al, Mg, Al, As, Sb, Si, Ge, V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 M3는 F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할로겐족 원소를 포함; 0 < a ≤ 2, 0 ≤ x ≤ 1, 0 ≤ y < 1, 0 ≤ z < 1; a, x, y, z, M1, M2, 및 M3에 포함된 성분의 화학량론적 계수는 화합물이 전기적 중성을 유지하도록 선택됨), 또는 Li3M2(PO4)3[M은 Ti, Si, Mn, Fe, Co, V, Cr, Mo, Ni, Al, Mg 및 Al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로 표시되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양극 활물질은 1차 입자 및/또는 1차 입자가 응집된 2차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음극 활물질은 탄소재, 리튬금속 또는 리튬금속화합물, 규소 또는 규소화합물, 주석 또는 주석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위가 2V 미만인 TiO2, SnO2와 같은 금속 산화물도 음극 활물질로 사용 가능하다. 탄소재로는 저결정 탄소,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분리막은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분리막의 적어도 한 쪽 표면에는 무기물 입자의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리막 자체가 무기물 입자의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코팅층을 구성하는 입자들은 인접하는 입자 사이 사이에 인터스티셜 볼륨(interstitial volume)이 존재하도록 바인더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무기물 입자는 유전율이 5이상인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Pb(Zr,Ti)O3(PZT), Pb1-xLaxZr1-yTiyO3(PLZT), PB(Mg3Nb2/3)O3-PbTiO3(PMN-PT), BaTiO3, hafnia(HfO2), SrTiO3, TiO2, Al2O3, ZrO2, SnO2, CeO2, MgO, CaO, ZnO 및 Y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은 A+B-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염일 수 있다. 여기서, A+는 Li+, Na+, K+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한다. 그리고 B-는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AlO4 -, AlCl4 -, PF6 -, SbF6 -, AsF6 -, BF2C2O4 -, BC4O8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4F9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한다.
전해질은 또한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carbonate, EC),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ipropyl carbonate, DPC), 디메틸설프옥사이드 (dimethyl sulfoxide), 아세토니트릴 (acetonitrile), 디메톡시에탄 (dimethoxyethane), 디에톡시에탄 (diethoxyetha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N-메틸-2-피롤리돈 (N-methyl-2-pyrrolidone, 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EMC), 감마 부티로락톤(γbutyrolacto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배터리 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은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200)은 원통형 배터리 셀(201)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합체 및 이를 수용하는 팩 하우징(202)을 포함한다. 원통형 배터리 셀(201)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이다. 도면에서는, 도면 도시의 편의상 원통형 배터리 셀(201)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 냉각 유닛, 외부 단자 등의 부품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배터리 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배터리 팩(200)은 자동차에 탑재될 수 있다. 자동차는 일 예로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일 수 있다. 자동차는 4륜 자동차 또는 2륜 자동차를 포함한다.
도 15는 도 14의 배터리 팩(200)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V)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200)을 포함한다. 자동차(V)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2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동작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8)

  1. 제1 전극, 분리막 및 제2 전극이 적층되어 권취된 전극 조립체로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구비된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전극 활물질층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의 일 단부측에 구비된 상기 집전체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전극 활물질층이 구비되지 않은 무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제1 분리막 및 상기 제1 전극의 상기 제1 분리막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제2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막 및 상기 제2 분리막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고정부와 고정되는 것인 전극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비권취 상태에서 상기 제2 전극과 겹쳐지지 않는 것인 전극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폭은 12mm 이하인 것인 전극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기 제1 전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제2 전극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인 전극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양극인 것인 전극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라미네이션 테이프인 것인 전극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열 분해 온도는 180℃ 이상인 것인 전극 조립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상온 접착력은 20gf/100mm 내지 40gf/100mm인 것인 전극 조립체.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는 40℃ 이상에서 접착력을 갖는 것인 전극 조립체.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 변화율이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식 1]
    0.8 ≤ [X2 / X1] x 100(%) ≤ 1.2
    상기 식 1에 있어서, X1은 23℃ 에서 20분 방치 시의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이고, X2는 23℃ 에서 20분 방치 후 65℃ 에서 20분 보관 시의 라미네이션 테이프의 접착력이다.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부 측에 구비된 두 개의 점, 및 상기 두 개의 점 사이에 구비된 하나의 점에서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는 것인 전극 조립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 방향의 길이 40% 이상이 상기 분리막에 고정되어 있는 것인 전극 조립체.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전지 캔; 상기 전지 캔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 리벳팅된 전극 단자;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관통 홀의 외경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 및 상기 전지 캔의 개방부를 밀봉하는 밀봉체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셀.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전지 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밀봉체는 상기 전지 캔으로부터 절연 가능한 것인 배터리 셀.
  17. 청구항 15에 따른 배터리 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18. 청구항 17에 따른 배터리 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
PCT/KR2022/005064 2021-04-08 2022-04-07 전극 조립체, 배터리 셀,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21609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785001.3A EP4322271A1 (en) 2021-04-08 2022-04-07 Electrode assembly, battery cell, battery pack, and vehicle
US18/265,136 US20240006722A1 (en) 2021-04-08 2022-04-07 Electrode assembly, battery cell, battery pack, and vehicle
JP2023534274A JP2023553034A (ja) 2021-04-08 2022-04-07 電極組立体、バッテリーセル、バッテリーパック、および自動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5993 2021-04-08
KR10-2021-0045993 2021-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6092A1 true WO2022216092A1 (ko) 2022-10-13

Family

ID=8347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5064 WO2022216092A1 (ko) 2021-04-08 2022-04-07 전극 조립체, 배터리 셀,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06722A1 (ko)
EP (1) EP4322271A1 (ko)
JP (1) JP2023553034A (ko)
KR (1) KR20220139818A (ko)
CN (2) CN115207273A (ko)
WO (1) WO2022216092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113A (ja) * 1991-09-20 1993-04-02 Toshiba Battery Co Ltd 有機電解液電池
US6677082B2 (en) 2000-06-22 2004-01-13 The University Of Chicago Lithium metal oxide electrodes for lithium cells and batteries
US6680143B2 (en) 2000-06-22 2004-01-20 The University Of Chicago Lithium metal oxide electrodes for lithium cells and batteries
KR20050118579A (ko) * 2004-06-14 2005-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권취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20086270A (ko) *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이차전지
KR20180080908A (ko) * 2017-01-05 2018-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KR20200134672A (ko) *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210045993A (ko) 2018-08-22 2021-04-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업링크 데이터 채널 상에서의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을 위한 전력 제어를 위한 스펙트럼 효율 결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113A (ja) * 1991-09-20 1993-04-02 Toshiba Battery Co Ltd 有機電解液電池
US6677082B2 (en) 2000-06-22 2004-01-13 The University Of Chicago Lithium metal oxide electrodes for lithium cells and batteries
US6680143B2 (en) 2000-06-22 2004-01-20 The University Of Chicago Lithium metal oxide electrodes for lithium cells and batteries
KR20050118579A (ko) * 2004-06-14 2005-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권취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20086270A (ko) *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이차전지
KR20180080908A (ko) * 2017-01-05 2018-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KR20210045993A (ko) 2018-08-22 2021-04-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업링크 데이터 채널 상에서의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을 위한 전력 제어를 위한 스펙트럼 효율 결정
KR20200134672A (ko) *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562604U (zh) 2022-10-11
KR20220139818A (ko) 2022-10-17
CN115207273A (zh) 2022-10-18
EP4322271A1 (en) 2024-02-14
JP2023553034A (ja) 2023-12-20
US20240006722A1 (en)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58864A2 (ko) 전극 단자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77378A1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216076A1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셀, 배터리 셀 가공장치,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차량
WO2022139451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3096062A1 (ko) 전극 단자의 리벳팅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77360A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75523A1 (ko) 원통형 배터리 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및 자동차 및 집전판
WO2023063540A1 (ko) 배터리의 제조방법
WO2022216092A1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셀,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13933A1 (ko)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90575A1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77179A2 (ko)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220654A1 (ko) 이차전지
WO2023068494A1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55088A1 (ko)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77362A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4014939A1 (ko)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77356A1 (ko) 전극 단자의 리벳팅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90937A1 (ko) 절연테이프, 젤리롤, 이차 전지,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55091A1 (ko)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및 원통형 배터리 셀 제조 방법
WO2023063541A1 (ko) 배터리 및 이에 적용되는 집전판,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4019592A1 (ko) 전극 단자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96390A1 (ko) 전극 단자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14018A1 (ko) 전극 조립체,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96389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850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65136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34274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850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850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