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82173A1 - 장세척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세척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82173A1
WO2022182173A1 PCT/KR2022/002726 KR2022002726W WO2022182173A1 WO 2022182173 A1 WO2022182173 A1 WO 2022182173A1 KR 2022002726 W KR2022002726 W KR 2022002726W WO 2022182173 A1 WO2022182173 A1 WO 20221821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leansing composition
bowel cleansing
present
ascorb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27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준엽
권수경
차재명
정윤호
윤홍진
강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준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30494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22182173(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준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준제약
Publication of WO20221821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82173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65Polymer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el cleansing composition
  • a bowel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polyethylene glycol (PEG) and an ascorbate component.
  • Colorectal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cancers worldwide, and the incidence rate is steadily increasing. Because colon cancer does not show any specific symptoms, it is difficult to detect it early, and colonoscopy is essential for early detection and diagnosis of colorectal cancer.
  • Colonoscopy is widely used for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nd is important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ecancerous lesions. Since proper visualization of the colon lumen is essential for diagnosing colorectal cancer, it is important to clean the colon. Inadequate colonic condition may reduce the quality of colonoscopy, decrease the detection rate of lesions, prolong the insertion time of the colonoscope, or reduce intubation spe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wel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polyethylene glycol (PEG) and an ascorbate component.
  • PEG polyethylene glyco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wel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polyethylene glycol (PEG) and an ascorbate component.
  • PEG polyethylene glycol
  • the ascorbate component may include ascorbic acid and/or ascorbate, and the ascorbate may include sodium ascorbate and the like.
  • the ascorbate component includes ascorbic acid and sodium ascorbate.
  • the ascorbate component may include ascorbic acid and ascorbate, for example, the ascorbate component comprises 3.5:1 to 5:1 of ascorbic acid and ascorbate, more than Specifically, i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4.319:1.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140 g to 180 g of polyethylene glycol and more than 20 g of ascorbate component and 25 g or less.
  • the content of the ascorbate component may be 21 g or more and 25 g or less, and specifically 25 g.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160 g of polyethylene glycol and 25 g of an ascorbate component.
  • the content of polyethylene glycol and ascorbate in the (1) bowel cleansing composition may be per liter.
  • the bowel washing solution prepared from the bowel washing composition of (1) may be administered in a dose of 800 ml to 1200 ml, specifically, it may be administered in a dose of 1000 ml.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1) contains more than 20 g of ascorbate component per liter and not more than 25 g of ascorbate component per liter, so that compared with the case containing higher or lower content than the above, the intestinal cleansing power is excellent, and at the same time, it is excellent in medication convenience and medication compliance. , it has excellent safety and, in particular,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gastric retention or adverse reactions.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160 g of polyethylene glycol per liter and 25 g of ascorbate component per liter.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2) above is an intestinal cleansing solution.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2) may be administered in a dose of 800 ml to 1200 ml, specifically, it may be administered in a dose of 1000 ml.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2) may be administered in a dose of 400 ml to 600 ml. In this case,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2) may be administered twic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2) contains 25 g of ascorbate per liter, so it has excellent intestinal cleansing power, convenience and compliance with medication, and excellent safety. can be minimized.
  • Gastric retention is a risk factor for aspiration, and as the amount of gastric retention increases, the risk of aspiration increases. Pneumonia, bacterial pneumonia, or acute airway obstruction may occur.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amount of storage in the stomach in that colonoscopy is mostly performed under sedative anesthesia due to the unique pain and discomfort. Recently, gastric retention has become a problem in patients taking high osmotic pressure bowel preparations.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gastric retention even though it is a high osmotic pressure formulation. That is,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excellent intestinal cleanliness, medication convenience, medication compliance, and safety while taking a small dose, and in particular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gastrointestinal retention.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lfate such as sodium sulfat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1) and (2) may further include a sulfate such as sodium sulfat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1) and (2) may contain 16 g to 20 g of sulfate.
  • the intestinal cleansing composition of (1) and (2) above may contain 16 g to 20 g (16 g/L to 20 g/L) of sulfate per liter.
  • the sulfate may be anhydrous, for example, anhydrous sodium sulf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electrolyte components such as sodium chloride and potassium chlorid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1) and (2) may further include electrolyte components such as sodium chloride and potassium chlorid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1) and (2) above may include 2 to 3.5 g of sodium chloride and 0.5 to 2 g of potassium chlorid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1) and (2) above may contain 2 to 3.5 g (2 to 3.5 g/L) of sodium chloride per liter, and 0.5 to 2 g (0.5 to 2 g/L) of potassium chloride per liter. may includ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140 to 180 g of polyethylene glycol and 40 g or less of the ascorbate component.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140 to 180 g of polyethylene glycol and 25 to 40 g of ascorbate component.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140 to 180 g of polyethylene glycol and 25 g or less of the ascorbate component.
  • the ascorbate component may be 10 g to 25 g.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70 to 90 g of polyethylene glycol and 15 to 40 g of ascorbate component.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70 to 90 g of polyethylene glycol and 25 g or less of an ascorbate component.
  • the ascorbate component may be 10 g to 25 g.
  • the ascorbate component may be 8 g to 15 g.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lfate such as sodium sulfat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3) to (7) may further include a sulfate such as sodium sulfat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3) to (5) may contain 16 g to 20 g of sulfat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6) and (7) may include 8 g to 10 g of sulfate.
  • the sulfate may be anhydrous, for example, anhydrous sodium sulf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electrolyte components such as sodium chloride and potassium chlorid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3) to (7) may further include electrolyte components such as sodium chloride and potassium chlorid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3) to (7) may include sodium chloride and potassium chlorid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3) to (5) may include 2 to 3.5 g of sodium chloride and 0.5 to 2 g of potassium chloride.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6) and (7) may include 1 to 1.75 g of sodium chloride and 0.25 to 2 g of potassium chloride.
  • the content of polyethylene glycol, ascorbate components (ascorbic acid, ascorbate), sulfate, electrolyte, etc. in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3) to (5) above may be the content per liter and the content of polyethylene glycol, ascorbate components (ascorbic acid, ascorbate), sulfate, electrolyte, etc. in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6) and (7) above may be content per 500 ml.
  • the solution prepared from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3) to (5) may be administered in a dose of 800 ml to 1200 ml.
  • the solution prepared from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6) and (7) may be administered in a dose of 400 ml to 600 ml.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excellent intestinal cleansing ability.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excellent medication convenience and medication compliance, so that the user can complete the dose without giving up or failing midway, and thus can fully exhibit the medicinal effect.
  • the safety of the bowel wash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prescribed without a doctor and patient face-to-face due to its characteristics, and the patient takes it by himself.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fely used because they are excellent in intestinal cleanliness, convenience in taking, and adherence to medication, as well as in safety.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for example, may further include a sweetener and/or a flavoring agent.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1) to (7)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 intestinal cleansing composition may refer to a dry composition in powder or granular state, and may refer to a liquid solutio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ry composition, and mixed with water may be prepared and administered as a solution.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 solution mixed with water.
  •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ethylene glycol (PEG) may be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conventional polyethylene glycol, for example,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100 to 10,000, but is limited thereto not.
  •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ethylene glycol may be 2,000 to 8,000, specifically 2,000 to 5,000, and more specifically, 3,000 to 4,000.
  • the polyethylene glyco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lyethylene glycol 3350 (PEG3350) or polyethylene glycol 4000 (PEG4000).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stinal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i) 140 g to 180 g of polyethylene glycol (PEG) and more than 20 g and 25 g or less of ascorbate component.
  • PEG polyethylene glycol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es 140 g to 180 g of polyethylene glycol (PEG) and more than 20 g and not more than 25 g of an ascorbate component per liter.
  • PEG polyethylene glycol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stinal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iii) 160 g of polyethylene glycol per liter and 25 g of ascorbate component per liter.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i) to (v), wherein the ascorbate component comprises ascorbic acid and ascorbate in a weight ratio of 3.5:1 to 5:1. composition.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any one of (i) to (x) above, wherein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y one of 2 to 3.5 g sodium chloride per liter and 0.5 to 2 g potassium chloride per liter It is an intestinal cleansing composition.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t all of the total dose at one time point (referred to as non-divided administration or divided administration on the same day) or divided into several time points (referred to as divided administration or divided administration over two days).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ver several hours on the evening before the examination or in the morning of the day of the examination. 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total dose may be taken and the remainder may be taken after a period of time, for example, 0.5 to 3 hours.
  • a portion of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aken the evening before the test, and the rest may be taken in the morning of the test day.
  • each dose can be taken within a specific time. Specifically, each dose may be taken within 2 hours, within 1 hour, or within 30 minutes.
  • water may be additionally taken after taking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ose of 0.5 to 2 L for example, a dose of 1 L or less, more specifically, a dose of 0.5 L of water may be additionally taken.
  • the additional water may be taken after taking all of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solution), or may be taken while taking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solution).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1) to (7) above may be administered in divided doses (on the same day or two days), and the content of polyethylene glycol and ascorbate component in each dose during divided administration is respectively independently the same or different.
  • the contents of polyethylene glycol and ascorbate components in the first composition (first dose) and the second composition (second dose) are each independently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content of the ascorbate component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each dose during divided administration.
  • the content of the ascorbate component is The higher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first.
  • a composition having a low content of the ascorbate component may be administered first.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1) to (7) may be administered.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4) (or (6)) may be administered.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5) (or (7)) may be administered.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4) (or (6)) may be administered.
  • the dosage of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800 ml to 1200 ml, specifically 1000 ml. Specifically, when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is administered in two divided doses, the single dose may be 400 ml to 600 ml, specifically 500 m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dministering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includes taking (administration) all of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t one time (referred to as non-divided administration or divided administration on the same day) or dividing it into several time points (administration) (split administration) or two-day divided administration).
  • the method may include administering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dministering the intestina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dministering a bowel cleansing composition having a different content of ascorbate.
  • the method comprises administering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1) to (7) in divided doses having different contents of the ascorbate component, in this case, the ascorbate component It may include first administering a composition having a high content of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first administering a composition having a low content of the ascorbate component.
  • the method may administer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5) (or (7)) after administering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4) (or (6)).
  • it may include administering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4) (or (6)) after administering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5) (or (7)).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in which a composition having a high ascorbate concentration is first administered (dose) and a composition having a low ascorbate concentration is administered (taken) later.
  • the method may include administering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5) (or (7)) after administering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4) (or (6)). hav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bowel washing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bowel washing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said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bowel cleansing.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non-divided administration, and divided administration are the same as discussed above unless contradictory to each other.
  • the bowel cleans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dosing convenience and medication compliance, is safe, and exhibits excellent bowel cleansing effect.
  • compositions A to D of Table 1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administered with the compositions A to D of Table 1 in a double-blind manner, and intestinal cleanliness, medication compliance, gastric retention, side effects (adverse events), etc. were evaluated.
  • Composition D i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coolprep acid.
  • the composition of Table 1 was divided into two doses (first administration and secondary administration) as shown in Table 2 below. Specifically, the compositions of A to C are taken by dissolv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ministration compositions in water to make a solution of 500 ml, and the composition of D is by dissolving each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administration compositions in water to make a solution of 1000 ml. was made to take. For each of the compositions A to D, an additional 500 ml of water was added when taking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ions. The first dose composition was taken the evening before the test, and the second dose composition was taken in the morning of the test day.
  • Intestinal cleanliness was confirmed through colonoscopy and evaluated using the Harefield Cleanliness Scal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Harefield cleanliness scale, grades A and B were evaluated as successful bowel cleansing, and grades C and D were evaluated as unsuccessful bowel cleansing. Grade A indicates that all parts of the large intestine (rectum, S-colon, descending colon, transverse colon, ascending colon) are in the state of 'empty and clear' or 'clear liquid', indicating very good cleanlines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 compositions A to C showed excellent bowel prep power despite taking 1000ml less of the drug compared to composition D (Table 3).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all patients taking Compositions A and B succeeded in bowel cleansing, and the number of successful bowel cleansing of Compositions A and B was 100% (Table 4). Composition B showed a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 cleanliness grade of A compared to composition C.
  • Table 5 shows the ratio of intestinal cleanliness evaluated as grade A in each part of the large intestine (Right colon, Transverse colon, Descending colon, Sigmoid colon, Rectum).
  • the ascending colon is a place with a high risk of serrated polyps, and cleansing of the ascending colon is important. It can be confirmed that it exhibits excellent A grade, indicating excellent intestinal cleanliness.
  • Medication compliance for each composition in Table 1 was evaluated. Medication adherence was evaluated as yes/no as to whether there was an intention to take the same composition again through a patient questionnaire.
  • compositions A to C showed a higher intention to take again compared to composition D.
  • gastric retention was evaluated. Specifically, gastric fluid was inhaled during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and gastric retention was quantified using an inhalation bottle, and the occurrence of gastric retention was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 composition A had the least amount of gastric retention among Compositions A to C taking only 1L of the drug solution.
  • Composition D is coolprep acid, which was approved and marketed in 2011, and its osmolality is about 550 mOsmol/kg. It is unexpected that composition A exhibits a similar gastrointestinal retention (ml) despite the significantly higher osmolality (about 1330 mOsmol/kg) of composition A compared to composition D, which has been safely taken.
  • compositions B and C having an osmotic pressure of about 1430 mOsmol/kg had an increase in gastric retention by about 30ml compared to composition 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Composition A can show sufficient intestinal cleansing power while taking only 1 L of the drug solution and minimize the occurrence of gastrointestinal retention.
  • the intestinal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25 g/L or less of ascorbate can show excellent intestinal cleansing power even with a small amount of pharmaceutical solution and minimize the occurrence of gastric retention.
  • the occurrence of adverse events for each composition in Table 1 was evaluated.
  • the occurrence of adverse events was evaluated by physical examination and vital signs such as nausea, vomiting, abdominal pain, thirst, dehydration, headache, dizziness, and fainting after taking the composition.
  •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composition C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patients with adverse events, an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composition A showed the least number of adverse events. That 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A exhibits the most excellent safe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을 포함하고 장세척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장 정결력, 복약편의성, 복약순응도, 안전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장세척을 위한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및 아스코르베이트(ascorbate) 성분을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대장암은 전 세계적으로 흔히 발생하는 암 중의 하나로, 그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장암은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어려우며 이러한 대장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진단하기 위해서는 대장 내시경 검사가 필수적이다.
대장 내시경은 대장암 검진에 널리 사용되며 전암성 병변을 발견하고 제거하는데 중요하다. 대장 내강의 적절한 가시화가 대장암을 진단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에, 대장을 깨끗하게 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적절한 대장 상태는 대장 내시경 검사의 질을 떨어트려 병변의 발견율을 감소시키고, 대장 내시경의 삽입 시간을 연장시키거나, 삽관 속도 감소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성공적인 대장 내시경 검사 및 질병의 진단을 위해서는 약효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장세척제의 정해진 용법 및 용량을 지켜 약액을 전부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세척의 대표적인 성분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장세척제로 4L를 복용하는 제품이 개발되었으나 약액의 양이 많아 복용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후 2L를 복용하는 제품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복용량을 줄인 제품에 대한 요구가 있다.
따라서, 장 세정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자의 순응도를 높이면서 안전한 장 세척을 위한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및 아스코르베이트(ascorbate) 성분을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장세척 조성물의 투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및 아스코르베이트(ascorbate) 성분을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및/또는 아스코르브산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스코르브산염은 아스코르브산나트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염을 3.5:1 내지 5:1, 보다 구체적으로 4.319: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140g 내지 180g 및 아스코르베이트 성분 20g 초과 25g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은 21g 이상 25g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25g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160g 및 아스코르베이트 성분 25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1) 장세척 조성물에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은 리터 당 함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1)의 장세척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장세척 용액은 800 ml 내지 1200 ml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00ml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1)의 장세척 조성물은 리터 당 아스코르베이트 성분 20g 초과 25g 이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보다 높거나 낮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장 정결력이 우수하고 복약편의성, 복약순응도가 우수한 동시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특히, 위장 내 저류액 발생이나 이상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리터 당 폴리에틸렌글리콜 160g 및 리터당 아스코르베이트 성분 25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의 장세척 조성물은 장세척 용액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2)의 장세척 조성물은 800 ml 내지 1200 ml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00ml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2)의 장세척 조성물은 400 ml 내지 600 ml의 용량을 투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의 장세척 조성물은 2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2)의 장세척 조성물은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을 리터 당 25g 포함함으로써, 장 정결력이 우수하고 복약편의성, 복약순응도가 우수한 동시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특히, 위장 내 저류액 발생이나 이상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위장 내 저류액은 흡인(aspiration)의 위험인자로, 위장 내 저류액이 증가하면 흡인으로 인한 위험이 증가하며, 흡인되는 양과 빈도, 흡인물의 형태, 구강 위생, 호흡기의 상태, 면역 기능 등에 따라 화학성 폐렴, 세균성 폐렴, 혹은 급성 기도 폐쇄 등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대장 내시경이 특유의 고통 및 불편감으로 인해 대부분 수면마취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위장 내 저류액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고삼투압 장세척 제제를 복용하는 환자들에서 위장 내 저류액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1) 및 (2)의 장세척 조성물은 고삼투압 제제임에도 위장 내 저류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장세척 조성물들은 적은 용량으로 복용하면서도 우수한 장 정결력, 복약편의성, 복약순응도, 안전성을 나타낼 수 있고, 특히 위장 내 저류액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황산나트륨 등의 황산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및 (2)의 장세척 조성물은 황산나트륨 등의 황산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 및 (2)의 장세척 조성물은 16g 내지 20g의 황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 및 (2)의 장 세척 조성물은 리터 당 16g 내지 20g (16g/L 내지 20g/L)의 황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산염은 무수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무수황산나트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등의 전해질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및 (2)의 장세척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등의 전해질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 및 (2)의 장세척 조성물은 2 내지 3.5 g의 염화나트륨, 0.5 내지 2 g의 염화칼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 및 (2)의 장세척 조성물은 리터 당 2 내지 3.5 g(2 내지 3.5 g/L)의 염화나트륨, 리터 당 0.5 내지 2 g(0.5 내지 2 g/L)의 염화칼륨을 포함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140 내지 180g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40 g 이하의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140 내지 180g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25 내지 40 g의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140 내지 180g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25 g 이하의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10 g 내지 25 g일 수 있다.
(6)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70 내지 90g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15 내지 40 g의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70 내지 90g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25 g 이하의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10 g 내지 25 g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8 g 내지 15 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황산나트륨 등의 황산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3) 내지 (7)의 장세척 조성물은 황산나트륨 등의 황산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3) 내지 (5)의 장세척 조성물은 16g 내지 20g의 황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6) 및 (7)의 장세척 조성물은 8g 내지 10g의 황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산염은 무수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무수황산나트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등의 전해질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3) 내지 (7)의 장세척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등의 전해질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3) 내지 (7)의 장세척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3) 내지 (5)의 장세척 조성물은 2 내지 3.5g의 염화나트륨, 0.5 내지 2g의 염화칼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6) 및 (7)의 장세척 조성물은 1 내지 1.75g의 염화나트륨, 0.25 내지 2g의 염화칼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3) 내지 (5)의 장세척 조성물에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염), 황산염, 전해질 등의 함량은 리터 당 함량일 수 있고, 상기 (6) 및 (7)의 장세척 조성물에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염), 황산염, 전해질 등의 함량은 500 ml 당 함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3) 내지 (5)의 장세척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용액은 800 ml 내지 1200 ml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6) 및 (7)의 장세척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용액은 400 ml 내지 600 ml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들은 우수한 장 정결력을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들은 복약 편의성 및 복약 순응도가 우수하여 복용자가 중도 포기나 실패 없이 복용을 완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효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장세척제는 그 특성상 의사와 환자의 대면 없이 처방되어 환자 스스로 복용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건강한 성인뿐만 아니라 환자나 노약자 등도 복용하기 때문에 장세척제의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상기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들은 장 정결력, 복약 편의성 및 복약순응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들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감미제 및/또는 착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내지 (7)의 장세척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장세척 조성물"은 분말, 과립 상태의 건조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고, 이를 포함하는 액체 상태의 용액 조성물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장세척 조성물들은 건조 조성물일 수 있고, 물과 혼합되어 용액으로 제조되고 투여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장세척 조성물은 물과 혼합된 용액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의 평균 분자량은 통상적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평균 분자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평균분자량 100 내지 10,00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평균 분자량은 2,000 내지 8,000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2,000 내지 5,000 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3,000 내지 4,00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글리콜3350(PEG3350)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4000(PEG40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i) 폴리에틸렌글리콜(PEG) 140g 내지 180 g 및 아스코르베이트 성분 20g 초과 25g 이하를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이다.
(ii) 상기 (i) 장세척 조성물에서, 상기 장세척 조성물은 리터 당 폴리에틸렌글리콜(PEG) 140g 내지 180 g 및 아스코르베이트 성분 20g 초과 25g 이하를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iii) 리터 당 폴리에틸렌글리콜 160g 및 리터 당 아스코르베이트 성분 25g을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이다.
(iv) 상기 (i) 내지 (iii)의 장세척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염을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이다.
(v) 상기 (i) 내지 (iv)의 장세척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브산염은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인, 장세척 조성물이다.
(vi) 상기 (i) 내지 (v)의 장세척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염을 3.5: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장세척 조성물이다.
(vii) 상기 (i) 내지 (vi)의 장세척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세척 조성물은 800 ml 내지 1200 ml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장세척 조성물이다.
(viii) 상기 (i) 내지 (vii)의 장세척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황산나트륨을 더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이다.
(ix) 상기 (i) 내지 (viii)의 장세척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이다.
(x) 상기 (i) 내지 (ix)의 장세척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세척 조성물은 리터 당 16g 내지 20g의 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이다.
(xi) 상기 (i) 내지 (x)의 장세척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세척 조성물은 리터 당 2 내지 3.5 g의 염화나트륨 및 리터 당 0.5 내지 2 g의 염화칼륨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이다.
(xii) 상기 (i) 내지 (xi)의 장세척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세척 조성물은 용액의 형태로 투여되거나 용액인 것인, 장세척 조성물이다.
상기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총 복용량을 한 시점에 모두 복용(비분할 투여 또는 당일 분할 투여라고 함)하거나 여러 시점으로 나누어 복용(분할 투여 또는 이틀 분할 투여라고 함)할 수 있다.
비분할 투여(당일 분할 투여)의 일 예로,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을 검사 전날 저녁 또는 검사 당일 오전에 수시간에 걸쳐 복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총 복용량의 일부를 복용하고 일정 시간 뒤, 예를 들어, 0.5 내지 3 시간 후 나머지를 복용할 수 있다.
분할 투여(또는 이틀 분할 투여)의 일 예로,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을 검사 전날 저녁에 일부를 복용하고, 검사 당일 오전에 나머지를 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을 복용함에 있어서, 각 복용량은 특정 시간 이내에 복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복용량을 2 시간 이내, 1시간 이내 또는 30분 이내에 복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용액)의 복용 후에 추가로 물을 복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세척 조성물(용액)의 복용 후, 예를 들어 0.5 내지 2 L의 용량, 구체적으로 1 L 이하의 용량, 보다 구체적으로 0.5 L 용량의 물을 추가로 복용할 수 있다. 추가로 복용하는 물은 장세척 조성물(용액)을 모두 복용한 후 복용할 수도 있고, 장세척 조성물(용액)을 복용하는 사이에 복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1) 내지 (7)의 장세척 조성물은 분할 투여(당일 또는 이틀)될 수 있고, 분할 투여 시 각 복용량에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이 2회 분할 투여되는 경우, 첫 번째 조성물(첫 번째 복용량)과 두 번째 조성물(두 번째 복용량)에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1) 내지 (7)의 장세척 조성물을 분할 투여하는 경우, 분할 투여 시 각 복용량에서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1) 내지 (7)의 장세척 조성물이 분할 투여되고, 분할 투여 시 각 복용량에서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이 상이한 경우,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이 높은 조성물을 먼저 투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이 낮은 조성물을 먼저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1) 내지 (7)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한 후 상기 (1) 내지 (7)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4) (또는 (6))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한 후 상기 (5) (또는 (7))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5) (또는 (7))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한 후 상기 (4) (또는 (6))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800 ml 내지 1200 ml, 구체적으로 1000 ml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세척 조성물이 2회 분할투여되는 경우 1회 투여 용량은 400 ml 내지 600 ml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500 ml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을 한 시점에 모두 복용(투여) (비분할 투여 또는 당일 분할 투여라고 함)하거나 여러 시점으로 나누어 복용(투여) (분할 투여 또는 이틀 분할 투여라고 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한 후 상기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이 다른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1) 내지 (7)의 장세척 조성물을 상이한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을 갖는 복용량으로 분할 투여함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이 높은 조성물을 먼저 투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의 함량이 낮은 조성물을 먼저 투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4) (또는 (6))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한 후 상기 (5) (또는 (7))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5) (또는 (7))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한 후 상기 (4) (또는 (6))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코르베이트 농도가 높은 조성물을 먼저 투여(복용)하고 아스코르베이트 농도가 낮은 조성물을 나중에 투여(복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4) (또는 (6))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한 후 상기 (5) (또는 (7))의 장세척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장세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세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장세척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들 및 용도에서, 장세척 조성물, 비분할 투여, 분할 투여(당일, 이틀)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앞서 살핀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장세척 조성물은 복용편의성 및 복약순응도가 우수하고, 안전하며, 우수한 장 세척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작위로 임의선별된 환자들을 4개 군으로 나누어 이중맹검법으로, 하기 표 1의 조성물 A 내지 D를 투여하고 장 정결도, 복약 순응도, 위장 내 저류액, 부작용(이상사례) 등을 평가하였다. 조성물 D는 시판 제품인 쿨프렙산이다.
[표 1] (단위: g)
Figure PCTKR2022002726-appb-img-000001
상기 표 1의 조성물은 하기 표 2와 같이 2회(1차 투여 및 2차 투여)로 나누어 복용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A 내지 C의 조성물은 1차 및 2차 투여 조성물 각각을 500ml의 용액이 되도록 물에 녹여 복용하고, D의 조성물은 1차 및 2차 투여 조성물 각각을 1000ml의 용액이 되도록 물에 녹여 복용하도록 하였다. A 내지 D의 조성물 모두 1차 및 2차 조성물 복용 시 각각 추가 물 500ml을 더 복용하도록 하였다. 1차 투여 조성물은 검사 전날 저녁에, 2차 투여 조성물은 검사 당일 오전에 복용하도록 하였다.
[표 2]
Figure PCTKR2022002726-appb-img-000002
장 정결도 평가 (1)
장 정결도는 대장 내시경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Harefield 정결도 척도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Harefield 정결도 척도에 따라, A 및 B 등급은 장세척이 성공한 것으로, C 및 D 등급은 장세척이 실패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A 등급은 대장의 모든 부위(직장, S-결장, 하행 결장, 횡행 결장, 상행결장)에서 ‘비어있고 깨끗함’ 또는 ‘투명한 액체’ 상태인 경우로, 정결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PCTKR2022002726-appb-img-000003
조성물 A 내지 C는 조성물 D에 대비 약액을 1000ml 적게 복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장정결력을 나타냈다(표 3). 특히, 조성물 A 및 B를 복용한 환자들은 모두 장정결에 성공하였고, 조성물 A 및 B의 장 정결도 성공 환자수는 100%임을 확인할 수 있다(표 4). 조성물 B는 조성물 C 대비 정결도 등급이 A인 환자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Figure PCTKR2022002726-appb-img-000004
장 정결도 평가 (2)
대장의 각 부분(Right colon, Transverse colon, Descending colon, Sigmoid colon, Rectum)에서 장 정결도가 A 등급으로 평가된 비율은 표 5와 같다.
[표 5]
Figure PCTKR2022002726-appb-img-000005
상행결장은 톱니모양 용종 발생의 위험이 높은 곳으로, 상행결장의 정결이 중요한데, 상행결장에서 조성물 B를 복용한 군에서의 A 등급 환자 비율이 가장 우수하였고, 조성물 A 역시 80% 이상의 환자에서 가장 우수한 A 등급을 나타내어 우수한 장 정결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복약 순응도 평가
상기 표 1의 각 조성물 별 복약순응도를 평가하였다. 복약순응도는 환자 설문을 통해 같은 조성물을 다시 복용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예/아니오로 평가하였다.
각 조성물 별 복약 순응도를 평가한 결과, 하기 표 6과 같이 조성물 A 내지 C가 조성물 D에 비해 다시 복용할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Figure PCTKR2022002726-appb-img-000006
위장 내 저류액 평가
내시경 검사 시, 위장 내 저류액 발생에 대해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EGD(Esophagogastroduodenoscopy)시 위의 액체를 흡입하고 흡입 병을 사용하여 위장 내 저류액을 정량화하여, 위장 내 저류액 발생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Figure PCTKR2022002726-appb-img-000007
약액을 1L만 복용하는 조성물 A 내지 C 중 위장 내 저류액이 가장 적은 것은 조성물 A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물 D는 2011년에 허가 받아 시판되어 온 쿨프렙산으로 이의 삼투압은 약 550 mOsmol/kg이다. 안전하게 복용해 온 조성물 D와 비교할 때 조성물 A의 삼투압(약 1330 mOsmol/kg)이 상당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위장 내 저류액(ml)을 보이는 것은 예상치 못한 결과이다. 반면 삼투압이 약 1430 mOsmol/kg인 조성물 B 및 C는 위장 내 저류액이 조성물 D 대비 약 30ml 정도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성물 A가 약액을 1L만 복용하면서도 충분한 장 정결력을 보이고 위장 내 저류액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25 g/L 이하의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을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이 적은 약액으로도 훌륭한 장 정결력을 보이며 위장 내 저류액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사례 평가
상기 표 1의 조성물별 이상사례 발생 여부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상사례 발생 여부는 조성물 복용 후 메스꺼움, 구토, 복통, 갈증, 탈수, 두통, 현기증, 혼절 등의 활력 징후 및 신체 검사에 의해 평가하였다.
조성물 투여에 따른 이상사례가 발생한 환자수는 표 8과 같이 나타났다.
[표 8]
Figure PCTKR2022002726-appb-img-000008
이상사례가 발생한 환자수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조성물 C를 투여한 군이며, 가장 적게 나타난 것은 조성물 A를 투여한 군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조성물 A 이 가장 우수한 안전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물 B를 투여한 군에서는 조성물 C를 투여한 군에 비해 적은 이상사례 발생 환자수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폴리에틸렌글리콜(PEG) 140g 내지 180 g 및 아스코르베이트 성분 20g 초과 25g 이하를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세척 조성물은 리터 당 폴리에틸렌글리콜(PEG) 140g 내지 180 g 및 아스코르베이트 성분 20g 초과 25g 이하를 포함하는 것인, 장세척 조성물.
  3. 리터 당 폴리에틸렌글리콜 160g 및 리터 당 아스코르베이트 성분 25g을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염을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브산염은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인, 장세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염을 3.5: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장세척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세척 조성물은 800 ml 내지 1200 ml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장세척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황산나트륨을 더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장세척 조성물.
PCT/KR2022/002726 2021-02-26 2022-02-24 장세척을 위한 조성물 WO202218217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26388 2021-02-26
KR10-2021-0026388 2021-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2173A1 true WO2022182173A1 (ko) 2022-09-01

Family

ID=8304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2726 WO2022182173A1 (ko) 2021-02-26 2022-02-24 장세척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67063B1 (ko)
WO (1) WO202218217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628A (ko) * 2012-10-05 2014-04-15 주식회사태준제약 신규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비타민 씨를 함유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장관 하제 조성물
KR20190041233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한국팜비오 황산염을 포함하는 대장 하제 조성물
KR20190093501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태준제약 장세척 조성물
KR20190137925A (ko) * 2012-09-11 2019-12-11 노어긴 비.브이. Peg 및 아스코르베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200179442A1 (en) * 2009-04-21 2020-06-11 Dark Canyon Laboratories, Llc Colon lavage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79442A1 (en) * 2009-04-21 2020-06-11 Dark Canyon Laboratories, Llc Colon lavage system
KR20190137925A (ko) * 2012-09-11 2019-12-11 노어긴 비.브이. Peg 및 아스코르베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044628A (ko) * 2012-10-05 2014-04-15 주식회사태준제약 신규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비타민 씨를 함유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장관 하제 조성물
KR20190041233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한국팜비오 황산염을 포함하는 대장 하제 조성물
KR20190093501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태준제약 장세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063B1 (ko) 2022-11-14
KR20220122534A (ko) 2022-09-02
KR20220154654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ry et al. Pseudomembranous colitis caused by topical clindamycin phosphate
WO2021261930A1 (ko)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WO2015141897A1 (ko) 약학적 액제 조성물
EP2696690B1 (en) Sulfate salts as transit time enhancer
WO1998041212A1 (en) New formulation
WO2019245177A1 (ko) 무수황산나트륨, 황산칼륨, 무수황산마그네슘 및 시메티콘을 포함하는 장관하제 경구투여용 고형제제 조성물
Bogacz et al. Enteric-coated aspirin bezoar: elevation of serum salicylate level by barium study
WO2022182173A1 (ko) 장세척을 위한 조성물
WO201704391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dutasteride and capsule formulation comprising the same
WO20131474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form of non-aqueous liquid comprising revaprazan or its salt
Eisler et al. Absorption of levodopa after rectal administration
EP0600582B1 (en) Treatment for muscular dystrophy
Gould et al. Antibiotic-associated hemorrhagic colitis.
WO2022035003A1 (ko) 두타스테리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Shaoul et al. An assessment of bisacodyl-based bowel preparation for colonoscopy in children
Tether Intravenous neostigmine in diagnosis of myasthenia gravis
WO2011031100A2 (en) Aripiprazole-bentonite-aea hybr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20138921A1 (ko) 세벨라머 함유 경구투여용 현탁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078512A1 (ko) 유데나필의 신규한 반고형 제제
PEMBERTON et al. Oral ranitidine as prophylaxis for gastric stress ulcer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serum concentrations and cost comparisons
WO2021133017A1 (ko) 대장 하제 조성물
WO2021133051A1 (ko) 로피니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를 함유하는 주사제 조성물
WO2019177332A1 (ko) 멜록시캄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멜록시캄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CN106474149A (zh) 一种复方氨基糖苷类抗生素的口服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Balasubramanian et al. Pharmacokinetics of acrivastine after oral and colonic adminis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600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600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