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77098A1 - 오버튜브 - Google Patents

오버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77098A1
WO2022177098A1 PCT/KR2021/015443 KR2021015443W WO2022177098A1 WO 2022177098 A1 WO2022177098 A1 WO 2022177098A1 KR 2021015443 W KR2021015443 W KR 2021015443W WO 2022177098 A1 WO2022177098 A1 WO 20221770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le
overtube
tube
lesion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4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은주
전성헌
Original Assignee
(주)스코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코프로 filed Critical (주)스코프로
Publication of WO20221770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770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39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vertube that can easily remove a large tumor through an endoscope by forming an enlarged tube at the distal end and forming a hole for introducing a lesion such as a tumor on the side of the enlarged tube. it's about
  • an endoscope is a device that can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y observing an internal organ or inside a body cavity using a small camera without opening or incision of the body such as surgery or an autopsy.
  • Such an endoscope is generally used by being inserted into an overtube so that it can be bent along the curvature of the inside of the human body. That is, the overtube is a tool used together with the surgical equipment, and is used to guide the surgical equipment to a desired position on the body.
  • the endoscope inclu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capable of observing the lesion site as well as band ligation, an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54887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1'), it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endoscope. It may also include a technical configuration such as a band ligator in which a plurality of bands capable of sequentially ligating the lesion site by each thread are provided on the body to be coupled.
  • the general endoscope is formed relatively thin and long and has a small diameter
  • the band ligator provided at the tip of the endoscope also has a diameter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endoscope, ligation of lesions having a small diameter can be easily performed. .
  • a general endoscope has an outer diameter of 0.58 to 17.78 mm, whi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ligate a les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endoscope, about 2 cm or more.
  • a general overtube has a cross-sectional area that is at least three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endoscope.
  • the overtub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flexible area and the non-flexible area are formed.
  • a technique for preventing unnecessary bending during bending of a flexible region by configuring different strengths has been proposed.
  • a cleaning tip of a catheter in a suction-washing system for removing unwanted substances from a body cavity and delivering a fluid to the body cavity Techniques such as an overtube using
  • the conventional overtube or the overtube disclosed in the prior literatu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only serves to guide various surgical tools.
  •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45383 discloses a gap-maintaining jaw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of the overtube, and a lesion sit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of the overtube by each band.
  • an overtube including a band ligation part to be ligated, and a guide cap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gap maintaining jaw part and provided so as to focus the lesion area to be ligated while protecting the band ligation par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vertube capable of easily removing a large tumor through an endoscope by forming an expansion tube at the distal end and forming a hole for introducing a lesion such as a tumor on the side of the expansion tube.
  • the over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ircular tube body inserted to secure a path through which the endoscope enters and exits when the endoscope is inserted; a first hole formed in an oval shape on the 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tube body to introduce a lesion into the tube; and an extended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e to become narrower in width.
  • the end expansion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tube body at an angle of 1 to 15 degrees.
  • the end expansion tub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ol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hole.
  • a large tumor can be easily removed through an endoscope by forming an expansion tube at the distal end and forming a hole for introducing a lesion such as a tumor on the side of the expansion tub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one side of an over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other side of the overtub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vertube by cutting it in a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round a first hole of the overtub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ip.
  •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ip is mounted on the guide rib.
  • 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lip is pulled and mov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rib in FIG. 6 .
  • FIG.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lip is mounted on an extension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a guide rib.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one side of the over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the overtub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tube by cutting it in a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
  • the overtub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ircular tube body 110 that is inserted to secure a path for the endoscope to enter and exit when the endoscope is inserted, and is formed in an oval shape on the 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tube body to introduce a lesion into the inside. It includes a first hole 130, and an extension groove 135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e to gradually narrow in width.
  • the overtube 100 is used as a means to secure a path for the endoscope to enter and exit when the endoscope is inserted through the esophagus or rectum.
  • a case in which the overtube 100 is inserted through the esophagu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tube body 110 is a circular tube inserted from the mouth through the esophagus and duodenum to the inside of the stomach, into which the endoscope can pass.
  • the first hole 130 is formed through the 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tube body 110 , and may be formed in an elongated ov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110 .
  • Equipment such as forcep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ndoscope inserted into the overtube 100 may approach the lesion through the first hole 130 and pull the lesion.
  • the lesion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overtube 100 through the first hole 130 by pulling the lesion with the endoscope equipment.
  • An extended groove portion 135 having a width gradually narrowing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e 130 .
  • the extended groove 135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first hole 130 as a wedge-shaped through hole.
  • the overtube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tal end tube portion 120 form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increases and decreases at the distal end of the tube body portion 110 .
  • the inner diameter and outer diameter of the distal tube portion 120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and then becom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and outer diameter of the tube body portion 110 .
  • the outer circumferential contour of the distal end tube 120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 the end diameter of the distal tube portion 120 may be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end diameter of the tube body portion 110 .
  • the first hole 130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istal end tube 120 .
  • the extended groove portion 135 is also formed on the side of the distal end expansion tube 120 , and the lower end of the extended groove portion 135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nd expansion tube portion 120 and the tube body portion 110 . .
  • the end-expanded tube portion 120 may be connected to the tube body portion 110 at an angle of 1 to 15 degrees.
  • the imaginary center line of the end-expanded tube portion 120 may be disposed to cross the center line of the tube body 110 at an angle of 1 to 15 degrees obliquely.
  • the distal end tube 12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tube body 110 at an angle. 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stal end tube 120 with respect to the tube body 110 is too large, it may be difficult to insert the overtube 100 into the stomach, so the inclination angle is preferably within 15 degrees.
  • the first hole 130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angle connected to the side contour of the tube body 110 is maximized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distal tube portion 120 . Accordingly, the first hole 130 of the distal end tube 12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issue with the lesion, and the bending angle of the equipment at the end of the endoscope passing through the first hole 130 can be reduced to be less bent. have. Therefore, the lesion site can be easily picked up with the endoscope equipment through the first hole 130 and drawn into the distal end tube 120 .
  • the end expansion tube 1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ole 14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hole 130 .
  • the second hole 140 may also have the same size as or smaller than the first hole 130 and may be formed through an elliptical shape.
  • the second hole 140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angle connected to the side contour of the tube body 110 from the side of the distal tube portion 120 is minimized.
  •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le 140 may be disposed slightly below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istal tube portion 120 and the tube body portion 110 .
  •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hole of the overtub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ip
  •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ip is mounted on the guide rib
  • FIG. 7 is the clip in FIG. It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is pulled and mov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rib.
  • a pair of guide ribs 150 may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xtended groove 135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expansion tube 120 .
  • a pair of guide ribs 15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extended groove portion 135 to form a predetermined acute angle.
  • the pair of guide ribs 150 may have a cross-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formed in a “L” shape, and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 a clip 170 may be mounted between the pair of guide ribs 150 .
  • the clip 170 is guided by a pair of guide ribs 150 and is retracted as it is pulled back to fix the lesion drawn into the distal tube 120 through the first hole 130 .
  • the clip 170 may be connected so that a pair of body parts 171 may apply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lip is opened by an elastic connection part 173 .
  • toothed parts 175 are formed on each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171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introduced lesion circumference can be securely fixed.
  • a protrusion 177 may be formed at an end of one body portion 171 in an inward direction, and a groove portion 178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other body portion 171 in an inward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clip 170 is closed, the protrusion 177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78 so that the clip 170 can maintain a fixed state around the lesion.
  • the clip 170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pair of guide ribs 150 and disposed around the lower edge of the first hole 130 .
  • a string (not shown) connected to the elastic connection portion 173 of the clip 170 is pulled, as shown in FIG.
  • the clip 170 may be closed by a pair of guide ribs 150 as in FIG. If the clip 170 is pulled further down, the toothed portions 175 of the clip 170 can be fixed by biting tightly around the lesion. Then, it is possible to excise the inside of the portion fixed to the clip 170 with another endoscopic device, and then remove the resected lesion fragment by suction.
  • FIG.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lip is mounted on an extension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a guide rib. That is, FIG. 8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xtension guide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rib.
  • the pair of guide ribs 150 may have a pair of extension guide portions 160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lower edge of the first hole 130 to be integrally formed.
  • a pair of extension guide units 160 may also have a cross-section formed in a “L” shape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 the clip 170 is initi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dge of the first hole 130 , and a pair of extension guide units 160 may stably support the clip 170 . Since the elastic connection part 173 of the clip 170 acts as a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ip 170 is opened, the clip 170 may be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air of extension guide parts 160 .
  • each of the pair of guide ribs 150 and the pair of extension guide parts 160 is The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ccordingly, when the clip 170 is pulled and closed, the clip 170 may be closed while gently sliding with the pair of extension guide portions 160 and the pair of guide ribs 150 .
  • a large tumor can be easily removed through an endoscope by forming an expansion tube at the distal end and forming a hole for introducing a lesion such as a tumor on the side of the expansion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버튜브는, 내시경 삽입시 내시경이 드나드는 길을 확보하기 위해 삽입되는 원형의 튜브본체부; 상기 튜브본체부의 말단부 측면에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병변을 도입하는 제1구멍; 및 상기 제1구멍의 하부에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연장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버튜브
본 발명은 오버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말단부에 확관부를 형성하고 확관부 측면에 종양 등의 병변을 도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여 내시경을 통해 큰 종양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오버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Endoscope)은 수술이나 부검과 같은 신체의 개복이나 절개 없이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내장 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관찰하여 그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러한 내시경은 일반적으로 인체의 내부의 굴곡을 따라 휘어질 수 있도록 오버튜브에 끼워서 사용된다. 즉, 오버튜브는 수술장비와 함께 사용되는 도구로서, 수술장비를 신체의 원하는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울러, 내시경은 병변 부위를 관찰함과 아울러 밴드 결찰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포함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8873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의 선단에 결합되는 몸체에 각각의 실에 의해 순차적으로 병변 부위를 결찰할 수 있는 복수의 밴드가 마련되는 밴드 결찰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내시경은 비교적 가늘고 길게 형성되면서 작은 직경을 가짐은 물론 내시경의 선단에 마련되는 밴드 결찰기 또한 내시경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짐에 따라 작은 직경을 가지는 병변의 결찰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내시경은 0.58~17.78㎜의 외경을 가지는데, 내시경보다 큰, 대략 2㎝ 이상의 큰 직경을 가지는 병변을 결찰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이때, 일반적인 오버튜브는 내시경의 단면적에 비해 적어도 3배 이상의 넓은 단면적을 가진다.
상기한 오버튜브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3175호(이하 "선행문헌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버튜브를 복수의 층으로 구성하고, 가요성 영역과 비가요성 영역의 강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가요성 영역의 굴곡시 불필요한 굴곡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6696호(이하 '선행문헌3'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체강으로부터 원하지 않는 물질을 제거하고, 체강에 유체를 전달시키기 위한 흡입-세척 시스템에서 카테터의 세척 팁을 사용하는 오버튜브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오버튜브나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오버튜브는 각종 수술도구를 안내하는 역할만을 하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5383호(이하 '선행문헌4'라 한다)는 오버튜브의 선단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간격 유지턱부, 오버튜브의 선단 외측면에 병변 부위로 각 밴드에 의해 결찰하는 밴드 결찰부, 및 간격 유지턱부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밴드 결찰부를 보호하면서 선단은 결찰 하고자 하는 병변 부위를 포커싱 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캡을 포함하는 오버튜브를 개시한다.
하지만, 선행문헌4의 오버튜브도 오버튜브의 선단 내경이 본체부 내경과 동일하고, 오버튜브의 선단 개구를 통해 종양과 같은 병변 부위를 도입하므로, 오버튜브의 내경보다 큰 종양을 제거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말단부에 확관부를 형성하고 확관부 측면에 종양 등의 병변을 도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여 내시경을 통해 큰 종양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오버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버튜브는, 내시경 삽입시 내시경이 드나드는 길을 확보하기 위해 삽입되는 원형의 튜브본체부; 상기 튜브본체부의 말단부 측면에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병변을 도입하는 제1구멍; 및 상기 제1구멍의 하부에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연장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본체부의 말단부에 내경이 커졌다 작아지도록 형성된 말단확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멍은 상기 말단확관부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말단확관부는 상기 튜브본체부에 1~15도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말단확관부는 상기 제1구멍의 반대쪽 측면에 형성된 제2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단확관부의 내주면에 상기 연장홈부의 좌우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리브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 사이에 장착되어 뒤로 당김에 따라 오므림으로써 상기 제1구멍을 통해 상기 말단확관부 내부로 끌어들인 병변을 고정하는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오버튜브에 의하면, 말단부에 확관부를 형성하고 확관부 측면에 종양 등의 병변을 도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여 내시경을 통해 큰 종양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튜브의 일측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오버튜브의 타측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오버튜브를 중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오버튜브의 제1구멍 주위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클립이 가이드리브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클립이 당겨져서 가이드리브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가이드리브에서 연장형성된 연장가이드부에 클립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튜브의 일측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오버튜브의 타측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오버튜브를 중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오버튜브(100)는, 내시경 삽입시 내시경이 드나드는 길을 확보하기 위해 삽입되는 원형의 튜브본체부(110), 튜브본체부의 말단부 측면에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병변을 도입하는 제1구멍(130), 및 제1구멍의 하부에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연장홈부(135)를 포함한다.
오버튜브(100)는 식도 또는 직장를 통한 내시경 삽입시 내시경이 드나들 수 있는 길을 확보해주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오버튜브(100)가 식도를 통해 삽입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튜브본체부(110)는 입으로부터 식도, 십이지장을 거쳐 위 내부까지 삽입되는 원형의 튜브로서, 그 내부로 내시경이 통과할 수 있다.
제1구멍(130)은 튜브본체부(110)의 말단부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데, 튜브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버튜브(100) 내부로 삽입되는 내시경 단부에 구비되는 집게 등의 장비를 제1구멍(130)을 통해 병변에 접근하여 병변을 잡아당길 수 있다. 이러한 내시경 장비로 병변을 끌어당겨 제1구멍(130)을 통해 오버튜브(100) 내부 공간으로 병변을 도입할 수 있다.
제1구멍(130)의 하부에는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연장홈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연장홈부(135)는 쐐기 형태의 관통공으로서 제1구멍(13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내부로 도입된 병변을 아래의 연장홈부(135) 쪽으로 더 당길수록 병변과 신체 조직의 연결부 단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연결부를 다른 내시경 장비로 절제하기가 더욱 쉽게 만들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튜브(100)는 튜브본체부(110)의 말단부에 내경이 커졌다 작아지도록 형성된 말단확관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말단확관부(120)의 내경 및 외경은 튜브본체부(110)의 내경 및 외경보다 점점 커졌다가 다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말단확관부(120)의 외주면 윤곽은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말단확관부(120)의 단부 직경은 튜브본체부(110)의 단부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튜브본체부(110)의 말단부에 말단확관부(120)를 형성함으로써, 말단확관부(120)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켜 더욱 큰 병변을 수용할 수 있다.
제1구멍(130)은 말단확관부(1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홈부(135)도 말단확관부(120)의 측면에 형성되되, 연장홈부(135)의 하단이 말단확관부(120)와 튜브본체부(110)의 연결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확관부(120)는 튜브본체부(110)에 1~15도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말단확관부(120)의 가상의 중심선은 튜브본체부(110)의 중심선에 대해 1~15도 경사지게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식도와 연결되는 위의 입구 내벽은 식도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말단확관부(120)는 튜브본체부(110)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튜브본체부(110)에 대한 말단확관부(120)의 경사 각도가 너무 크면 오버튜브(100)를 위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경사 각도는 15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구멍(130)은 말단확관부(120)의 측면 중에서 튜브본체부(110)의 측면 윤곽과 연결되는 각도가 최대가 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말단확관부(120)의 제1구멍(130)은 병변이 있는 조직 내면에 밀착될 수 있고, 제1구멍(130)을 통과하는 내시경 단부의 장비가 꺽이는 각도를 덜 꺽이도록 줄일 수 있다. 그래서, 제1구멍(130)을 통해 내시경 장비로 병변 부위를 쉽게 집어서 말단확관부(120) 내측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확관부(120)는 제1구멍(130)의 반대쪽 측면에 형성된 제2구멍(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멍(140)도 제1구멍(130)과 같거나 작은 크기로 타원형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제2구멍(140)은 말단확관부(120)의 측면에서 튜브본체부(110)의 측면 윤곽과 연결되는 각도가 최소가 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멍(140)의 하단은 말단확관부(120)와 튜브본체부(110)의 연결부보다 약간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말단확관부(120)에 제2구멍(140)을 더 형성함으로써 말단확관부(120)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병변 조직의 부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오버튜브의 제1구멍 주위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5는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클립이 가이드리브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클립이 당겨져서 가이드리브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2(a),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확관부(120)의 내주면에는 연장홈부(135)의 좌우에 한 쌍의 가이드리브(15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리브(150)는 서로 소정의 예각을 이루도록 연장홈부(135)의 좌우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리브(150)는 그 폭방향 단면이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리브(150) 사이에는 클립(170)이 장착될 수 있다. 클립(170)은 한 쌍의 가이드리브(150)에 의해 안내되고 뒤로 당김에 따라 오므림으로써 제1구멍(130)을 통해 말단확관부(120) 내부로 끌어들인 병변을 고정할 수 있다.
클립(170)은 한 쌍의 몸체부(171)가 탄성연결부(173)에 의해 클립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몸체부(171)가 오므려졌을 때 마주보는 몸체부(171)의 각 내측면에는 톱니부(175)가 형성되어, 도입된 병변 주위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일측 몸체부(171)의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기부(177)가 형성되고, 타측 몸체부(171)의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홈부(17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클립(170)을 오므렸을 때 돌기부(177)가 홈부(178)에 삽입되어 클립(170)이 병변 주위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클립(170)은 한 쌍의 가이드리브(150) 상단에 장착되고 제1구멍(130)의 하부 테두리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내시경 장비로 병변을 제1구멍(130) 통해 말단확관부(120) 내부로 끌어들인 다음, 클립(170)의 탄성연결부(173)에 연결된 줄(미도시)을 잡아당기면, 도 7에서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리브(150)에 의해 클립(170)이 오므려질 수 있다. 클립(170)을 더욱 아래로 당기면 클립(170)의 톱니부(175)들이 병변 주위를 꽉 물어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다른 내시경 장비로 클립(170)에 고정된 부위 바로 안쪽을 절제한 다음, 절제된 병변 조각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가이드리브에서 연장형성된 연장가이드부에 클립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즉, 도 8은 가이드리브에 연장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가이드리브(150)에는 한 쌍의 연장가이드부(160)가 제1구멍(130)의 하부 테두리 양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가이드부(160)도 그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클립(170)은 초기에 제1구멍(130)의 하부 테두리 양측에 배치되는데, 한 쌍의 연장가이드부(160)가 클립(17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클립(170)의 탄성연결부(173)는 클립(170)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므로, 클립(170)이 한 쌍의 연장가이드부(160) 내측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가이드리브(150)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도 8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가이드리브(150)와 한 쌍의 연장가이드부(160)의 각 연결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170)을 잡아당겨서 오므릴 때, 클립(170)이 한 쌍의 연장가이드부(160)와 한 쌍의 가이드리브(150)로 부드럽게 슬라이딩하면서 오므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버튜브에 의하면, 말단부에 확관부를 형성하고 확관부 측면에 종양 등의 병변을 도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여 내시경을 통해 큰 종양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내시경 삽입시 내시경이 드나드는 길을 확보하기 위해 삽입되는 원형의 튜브본체부;
    상기 튜브본체부의 말단부 측면에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병변을 도입하는 제1구멍; 및
    상기 제1구멍의 하부에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연장홈부를 포함하는 오버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부의 말단부에 내경이 커졌다 작아지도록 형성된 말단확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멍은 상기 말단확관부의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확관부는 상기 튜브본체부에 1~15도 경사지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확관부는 상기 제1구멍의 반대쪽 측면에 형성된 제2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확관부의 내주면에 상기 연장홈부의 좌우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리브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 사이에 장착되어 뒤로 당김에 따라 오므림으로써 상기 제1구멍을 통해 상기 말단확관부 내부로 끌어들인 병변을 고정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PCT/KR2021/015443 2021-02-17 2021-10-29 오버튜브 WO20221770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158A KR102296937B1 (ko) 2021-02-17 2021-02-17 오버튜브
KR10-2021-0021158 2021-0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098A1 true WO2022177098A1 (ko) 2022-08-25

Family

ID=7779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443 WO2022177098A1 (ko) 2021-02-17 2021-10-29 오버튜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6937B1 (ko)
WO (1) WO202217709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248A (ja) * 1996-11-13 1998-05-26 Olympus Optical Co Ltd 吸引生検具
JPH10286224A (ja) * 1997-04-15 1998-10-27 Asahi Optical Co Ltd 結紮処置用内視鏡
JP2003052713A (ja) * 2001-06-04 2003-02-2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装置
JP2005103140A (ja) * 2003-10-01 2005-04-21 Olympus Corp 大腸全層切除の処置用挿入補助具とその医療器具システム
WO2015069952A1 (en) * 2013-11-11 2015-05-14 Cross Bay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ubal patency catheter and delivery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873B1 (ko) 2003-05-30 2006-02-02 (주) 태웅메디칼 의료용 밴드 결찰기
JP4700384B2 (ja) * 2004-04-07 2011-06-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用結紮縫合装置及び医療用結紮縫合システム
KR101563175B1 (ko) 2014-02-24 2015-11-06 (주) 태웅메디칼 내시경용 오버튜브
TWI554295B (zh) 2014-02-27 2016-10-21 梓源生技有限公司 外套管及引流灌洗套組
KR102045383B1 (ko) 2017-07-28 2019-11-15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오버튜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248A (ja) * 1996-11-13 1998-05-26 Olympus Optical Co Ltd 吸引生検具
JPH10286224A (ja) * 1997-04-15 1998-10-27 Asahi Optical Co Ltd 結紮処置用内視鏡
JP2003052713A (ja) * 2001-06-04 2003-02-2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装置
JP2005103140A (ja) * 2003-10-01 2005-04-21 Olympus Corp 大腸全層切除の処置用挿入補助具とその医療器具システム
WO2015069952A1 (en) * 2013-11-11 2015-05-14 Cross Bay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ubal patency catheter and delivery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937B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03169T3 (es) Dispositivo de intubación para alimentación enteral
US6352503B1 (en) Endoscopic surgery apparatus
JP5133245B2 (ja) 直腸挿入可能な外科システム
ES2381753T3 (es) Puerto quirúrgico y conjunto introductor rompible
CA2582268C (en) Intubation system for use with an endoscope
US5259366A (en) Method of using a catheter-sleeve assembly for an endoscope
ES2340211T3 (es) Dispositivo de cepo medico.
JP7035200B2 (ja) 止血クリップ
JP2000033071A (ja) 内視鏡治療装置
CN111163702B (zh) 用于组织牵开的装置和方法
CA2582818C (en) Intubation device for colonic decompression
ES2245794T3 (es) Conducto transnasal.
WO2022177098A1 (ko) 오버튜브
US8460248B2 (en) Endoscopic bite guard and related methods of use
WO2019022335A1 (ko) 오버튜브
EP3833237B1 (en) Protective sleeve
JP2000023909A (ja) 消化管内視鏡検査に用いる消化管内腔一時閉塞固定用バルーン付き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方法
US20220354515A1 (en) Endoscopic side snare tools and methods for use
JP4129325B2 (ja) 内視鏡用結紮装置
US20230054185A1 (en) Over the scope clip with compliant mechanism
US20210113231A1 (en) Endoscopic tools with soft tip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268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