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64086A1 -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64086A1
WO2022164086A1 PCT/KR2022/000541 KR2022000541W WO2022164086A1 WO 2022164086 A1 WO2022164086 A1 WO 2022164086A1 KR 2022000541 W KR2022000541 W KR 2022000541W WO 2022164086 A1 WO2022164086 A1 WO 202216408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mol
organometallic complex
compound
organic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05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규리
김현아
한갑종
오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랩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랩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랩토
Priority to CN202280009411.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783207A/zh
Publication of WO20221640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640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86Platin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dop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6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platin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5Metal complexes of the platinum group, i.e. Os, Ir, Pt, Ru, Rh or Pd

Definition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organometallic complex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the organometallic complex.
  • novel organometallic compl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organic material layer material of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introducing various aryl groups, heteroaryl groups, and the like.
  •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terial for the organic material layer exhibits excellent characteristics in efficiency, driving voltage, and lifespan.
  • aryl refers to a polyunsaturated, aromatic, hydrocarbon substituent which may be a single ring or multiple rings (1 to 3 rings) fused or covalently bonded together.
  • the heteroaryl includes 5- to 6-membered monocyclic heteroaryl, and polycyclic heteroaryl fused with one or more benzene rings, which may be partially saturated. Also included are structures in which one or more heteroaryls are bonded through a chemical bond.
  • the heteroaryl group includes a divalent aryl group in which a heteroatom in the ring is oxidized or quaternized to form, for example, an N-oxide or a quaternary salt.
  • substituents include -F; -Cl; -Br; -CN; -NO 2 ; -OH; -F, -Cl, -Br, -CN, -NO 2 or a C1-C20 alkyl group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H; -F, -Cl, -Br, -CN, -NO 2 or a C1-C20 alkoxy group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H; C1 ⁇ C20 alkyl group, C1 ⁇ C20 alkoxy group, -F, -Cl, -Br, -CN, -NO 2 or -OH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C6 ⁇ C30 aryl group; C1 ⁇ C20 alkyl group, C1 ⁇ C20 alkoxy group, -F, -Cl, -Br, -CN, -NO 2 or -OH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C6 ⁇ C30 hetero
  • M is selected from one-period transition metal, two-period transition metal, and three-period transition metal, Z 1 is O or S or CR 2 R 3 , and A i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ylene; naphthylene; fluorenylene; pyridylene; quinorylene; dibenzofuranylene; dibenzothiophennylene; and is selected from, p is an integer from 0 to 5, W 1 to W 4 are each independently N or CR 4 ,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a deuterium atom, a halogen atom, CF 3 , cya No,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il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or more and 20 or less carbon atom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having 6 or more
  • the organometallic complex represented by Formula 1 can be synthesized using a known organic synthesis method.
  • the method for synthesizing the organometallic complex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ference to Preparation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the organometallic complex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serve as a cathode and an anode, respectively, and have the roles of a cathode and an anode depending on the work function energy position of the electrode material.
  • the anode injects holes into the organic material layer
  • the cathode injects electrons.
  • the injected holes and electrons move through the organic material layer in opposite voltage directions, respectively.
  • the moving electrons meet within the van der Waals radius in the organic layer, they form an electron-hole pair called "excitons". Since a hole is a positive polaron, it is actually a particle with a mobility in a state in which one electron is insufficient. emitt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ometallic complex to be used as an additive in the light emitting layer of a phosphorescent OLED having an internal quantum efficiency of 100%.
  • the device 100 forms an electrode and an organic material layer on the substrate 110.
  • a rigid or flexible material may be used as the substrate material, for example, soda lime glass, alkali-free glass, aluminosilicate glass, etc.
  • PC polycarbonate
  • PES polyethersulfone
  • COC cyclic olefin copolymer
  • PET polyethylene terphthalate
  •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 the hole injection layer 130 , the hole transport layer 140 , and the electron blocking layer 150 are also referred to as hole transport regions, and play a role of smooth hole injection and transport into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the hole mobility of the organic material layer is electron Because it is faster than the mobility, it has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electron transport region.
  • the hole injection layer 130 in the hole transport region may be formed on the anode by various methods such as vacuum deposition, spin coating, casting, LB, and the like.
  • the deposition conditions are set at 100 to 500°C depending on the compound used as the hole injection layer material, the structure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hole injection layer, etc. Thus, it can be freely adjusted,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dition.
  • the hole transport region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00 to about 10,000 ⁇ , and the organic material layers of each hole transport region are not limited to the same thickness.
  • 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is 50 ⁇
  •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may be 1000 ⁇
  • the thickness of the electron blocking layer may be 500 ⁇ .
  • the thickness condition of the hole transport region may be determined to a degree that satisfies efficiency and lifetime within a range in which a driving voltage incre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oes not increase.
  • the charge-generating material is general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very low HOMO and LUMO.
  • the LUMO of the charge-generating material has a value similar to the HOMO of the hole transport layer 215 material. Due to the low LUMO, holes are easily transferred to the adjacent hole transport layer 215 by using the electron vacancy characteristic of the LUMO, thereby improving electrical properties.
  • the charge-generating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 p-dopant.
  • the p-dopant may be one of a quinone derivative, a metal oxide, and a cyano group-containing comp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dopant include tetracyanoquinonedimethane (TCNQ) and 2,3,5,6-tetrafluoro-tetracyano-1,4-benzoquinonedimethane quinone derivatives such as phosphorus (F4-TCNQ) and the like; metal oxides such as tungsten oxide and molybdenum oxide; and a cyano group-containing comp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light emitting layer 160 is a region where holes and electrons meet to form excitons.
  •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layer should have an appropriate energy band gap to exhibit high light emitting characteristics and a desired light emitting color. In general, two materials having two roles: a host and a dopan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s selected as a material having a fast electron mobility or a slow electron mobility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t is necessary to select various materials, and in some cases, Liq or Li may be doped.
  • 2-bromopyridin-2-amine (3-bromopyridin-2-amine) 20.0 g (115.6 mmol), (5-chloro-2-methoxyphenyl) boronic acid ((5-chloro- 2-methoxyphenyl)boronic acid) 25.9 g (138.7mmol), Pd(PPh 3 ) 4 6.7 g (5.8 mmol), 260 mL (520.2 mmol) of 2M Na 2 CO 3 solution, 400 mL of toluene and 200 mL of ethanol were mixed, and then reacted at 80° C. for 2 hours.
  • Synthesis example 1 Synthesis of compound 2-3 (LT18-30-434)
  • Synthesis example 2 Synthesis of compound 2-4 (LT18-35-582)
  • Synthesis example 8 Synthesis of compound 2-50 (LT18-30-565)
  • the ITO electrode Before depositing the organic material, the ITO electrode was subjected to oxygen plasma treatment at 2 ⁇ 10 - 2 Torr at 125 W for 2 minutes.
  • the device After the device was manufactured, it was encapsulated in a glove box filled with nitrogen gas to prevent the device from contacting air and moisture. After forming the barrier with 3M's adhesive tape, barium oxide, a moisture absorbent that can remove moisture, was added and a glass plate was attached.
  • Example 1 2-3 (LT18-30-434) 4.16 20.98 96.99 green
  • Example 2 2-4 (LT18-35-582) 4.15 20.48 92.01 green
  • Example 3 2-5 (LT18-35-583) 5.10 21.88 97.97 green
  • Example 4 2-45 (LT18-30-420) 4.74 24.42 98.05 green
  • Example 5 2-46 (LT18-30-422) 4.76 22.64 98.91 green
  • Example 6 2-47 (LT18-30-438) 4.59 21.73 98.70 green
  • Example 7 (LT18-30-459) 4.77 22.38 98.64 green
  • Example 8 2-50 (LT18-30-565) 4.48 23.91 98.48 green
  • Example 9 2-52 (LT18-30-556) 4.65 24.84 99.10 green
  • Example 10 2-81 (LT19-35-720) 4.15 22.48 95.01 green Comparative Example 1 REF 5.28 15.3 87.52 green
  • the organic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by being used in an 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 particular, a light emitting layer.
  •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hen the organic compound is us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xhibits original characteristics and at the same time exhibits high efficiency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lifespan characteristics in the green light emission wavelength reg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compound. .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실질적인 광 색과 광 효율 향상에 기여하는 유기 금속 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1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본 발명은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 효율이 높은 유기 전계발광 소자 및 이를 위한 신규한 유기 금속 착물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자기 발광 현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로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가 주목받고 있다.
OLED에 있어, 1963년 Pope 등에 의하여 안트라센(Anthracene) 방향족 탄화수소의 단결정을 이용한 캐리어 주입형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EL)의 연구가 최초로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로부터 유기물에서 전하주입, 재결합, 여기자 생성, 발광 등의 기초적 메커니즘과 전기발광 특성 등이 이해되고 연구되어왔다.
특히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자의 구조 변화 및 물질 개발 등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Sun, S., Forrest, S. R., Appl. Phys. Lett. 91, 263503 (2007)/Ken-Tsung Wong, Org. Lett., 7, 2005, 5361-5364].
OLED 디스플레이의 기본적 구조는, 일반적으로 양극(Anode),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발광층 (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그리고 음극(Cathode)의 다층 구조로 구성되며, 전자 유기 다층막이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된 샌드위치 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현상이란 유기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해주는 현상을 말한다. 유기 발광 현상을 이용하는 유기 발광 소자는 통상 양극과 음극 및 이들 사이에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유기물층은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기 다른 물질로 구성된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으며, 예컨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에서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주게 되면, 양극에서는 정공이, 음극에서는 전자가 유기물층으로 주입되고,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만났을 때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며, 이 엑시톤이 바닥상태로 떨어질 때 빛이 나게 된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는 자발광, 고휘도, 고효율, 낮은 구동전압, 넓은 시야각, 높은 콘트라스트, 고속 응답성 등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기 발광 소자에서 유기물층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기능에 따라, 발광 재료와 전하 수송 재료, 예컨대 정공 주입 재료,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 전자 주입 재료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발광 재료는 발광색에 따라 청색, 녹색, 적색 발광 재료와 좀 더 나은 천연색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노란색 및 주황색 발광 재료가 있다. 또한, 색순도의 증가와 에너지 전이를 통한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광 재료로서 호스트/도판트 계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원리는 발광층을 주로 구성하는 호스트보다 에너지 대역 간극이 작고 발광 효율이 우수한 도판트를 발광층에 소량 혼합하면, 호스트에서 발생한 엑시톤이 도판트로 수송되어 효율이 높게 빛을 내는 것이다. 이때 호스트의 파장이 도판트의 파장대로 이동하므로, 이용하는 도판트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파장의 빛을 얻을 수 있다.
발광소자의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유기EL소자의 발광층에 인광발광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인광발광은 일중항 여기 상태에서 항간 교차라고 불리는 무방사 전이에 의해 발생하는 삼중항 여기 상태로의 발광 현상으로서, 일중항 여기 상태로부터의 발광 현상인 형광발광에 비해 높은 양자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질을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을 발광재료로 사용함으로써, 높은 발광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인광발광 물질을 사용한 유기EL소자는 현재까지 이리듐을 중심금속으로 한 여러 종류의 착물를 사용하는 소자가 개발되어 있지만, 최근은 백금을 중심 금속으로한 착물의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그 중 적색 인광발광재료를 사용한 유기EL소자로서, 백금 착물인 (2,3,7,8,12,13,17,18-옥타에틸-21H,23H-포르피나토-N,N,N,N)백금(II)(Pt(OEP))을 발광층에 사용한 소자가 보고되고 있다(특허문헌: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75884호).
이상과 같이, 차세대 표시 소자의 성능과 수명 향상을 위해서 여러 가지 검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는 백금 착물을 이용한 인광발광재료를 사용한 유기EL소자는 소자의 특성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특히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그 연구는 초기단계일 뿐, 소자의 발광 특성, 발광 효율, 색순도 및 구조의 최적화 등 과제는 수없이 많다. 이것들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신규한 인광발광재료의 개발, 그리고 그 재료의 효율적인 공급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밝혀내었다.
또한, 상기 신규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소자의 효율 상승, 구동 전압 하강 및 안정성 상승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신규한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1주기 전이금속, 2주기 전이금속 및 3주기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되고,
Z1은 O 또는 S 또는 CR2R3이며,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 나프틸렌; 플루오레닐렌; 피리딜렌; 퀴노릴렌; 디벤조퓨라닐렌; 디벤조티오펜닐렌; 및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02
중에서 선택되며,
p는 0 내지 5인 정수이고,
W1 내지 W4은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R4이고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F3,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형성 탄소수 6 이상 30 이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형성 탄소수 2 이상 30 이하의 헤테로아릴기이거나, 또는 인접하는 기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유기 금속 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1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되,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유기 금속 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유기 금속 착물이 상기 유기물층을 구성하는 전자저지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전자수송 기능과 전자주입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층 및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의 선택된 어느 1층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유기 금속 착물은 다양한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등을 도입하여, 유기 발광 소자를 비롯한 유기 전자 소자의 유기물층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기물층의 재료로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를 비롯한 유기 전자 소자는 효율, 구동전압, 수명 등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릴"은 다른 의미로 명시되지 않는 한, 함께 융합 또는 공유 결합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1개 내지 3개의 고리)일 수 있는 다중불포화, 방향족, 탄화수소 치환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이란 용어는 (다중 고리의 경우 각각의 별도의 고리에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아릴 기(또는 고리)를 의미하고, 질소 및 황 원자는 경우에 따라 산화되고, 질소 원자(들)은 경우에 따라 4차화된다. 헤테로아릴 기는 탄소 또는 이종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릴은 각 고리에 적절하게는 4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개의 고리원자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융합고리계를 포함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아릴이 화학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구조도 포함한다. 상기 아릴의 구체적인 예로 페닐, 나프틸, 비페닐, 안트릴, 인데닐, 플루오레닐, 페난트릴, 트라이페닐레닐, 피렌일, 페릴렌일, 크라이세닐, 나프타세닐, 파이렌일, 플루오란텐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헤테로아릴은 5 내지 6원 단환 헤테로아릴, 및 하나 이상의 벤젠 환과 융합된 다환식 헤테로아릴을 포함하며, 부분적으로 포화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헤테로아릴이 화학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구조도 포함된다.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고리 내 헤테로원자가 산화되거나 사원화되어, 예를 들어 N-옥사이드 또는 4차 염을 형성하는 2가 아릴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헤테로아릴의 구체적인 예로 퓨릴, 티오펜일,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 트리아진일, 테트라진일,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퓨라잔일, 피리딜, 피라진일, 피리미딘일, 피리다진일 등의 단환 헤테로아릴, 벤조퓨란일, 벤조티오펜일, 이소벤조퓨란일, 벤조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이소티아졸릴, 벤조이속사졸릴, 벤조옥사졸릴, 이소인돌릴, 인돌릴, 인다졸릴, 벤조티아디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신놀리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카바졸릴, 페난트리딘일, 벤조디옥솔릴 등의 다환식 헤테로아릴 및 이들의 상응하는 N-옥사이드(예를 들어, 피리딜 N-옥사이드, 퀴놀릴 N-옥사이드), 이들의 4차 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이라는 표현에서 "치환"은 탄화수소 내의 수소 원자 하나 이상이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기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용한 치환기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치환기는, -F; -Cl; -Br; -CN; -NO2; -OH;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30 아릴기;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30 헤테로아릴기;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C20 사이클로알킬기;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및 -N(G1)(G2)으로 표시되는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G1 및 G2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 C1~C10 알킬기; 또는 C1~C10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30 아릴기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금속 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1주기 전이금속, 2주기 전이금속 및 3주기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3주기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이리듐(Ir), 백금(Pt), 오스뮴(Os), 금(Au), 하프늄(Hf), 유로퓸(Eu), 테르븀(Tb) 및 튤륨(Tm)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Os, Ir, 및 Pt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P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1주기 전이금속, 2주기 전이금속 및 3주기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되고, Z1은 O 또는 S 또는 CR2R3이며,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 나프틸렌; 플루오레닐렌; 피리딜렌; 퀴노릴렌; 디벤조퓨라닐렌; 디벤조티오펜닐렌; 및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04
중에서 선택되며, p는 0 내지 5인 정수이고, W1 내지 W4은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R4이고,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F3,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형성 탄소수 6 이상 30 이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형성 탄소수 2 이상 30 이하의 헤테로아릴기이거나, 또는 인접하는 기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들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05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06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07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08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09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10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11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12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13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14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15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16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17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18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19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20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21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22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23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24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25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26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27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은 공지의 유기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합성 가능하다. 상기 유기 금속 착물의 합성방법은 후술하는 제조예를 참조하여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화학식 1의 유기 금속 착물은 발광층 재료로 유용하며, 이밖의 여러층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이들 전극 사이에 배치된 1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각각 음극과 양극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극재료의 일함수 에너지 위치에 따라 음극과 양극의 역할을 갖는다. 전압이 인가되면, 양극은 정공을 유기물층에 주입하고, 음극은 전자를 주입한다.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각각 반대 전압 방향을 향하여 유기물층을 통하여 이동한다. 이동하는 전자가 유기물층 안에서 반데르발스 반경 안에 만나게 되면 전자-정공쌍인 "엑시톤"을 형성한다. 정공은 포지티브 폴라론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전자가 한 개 부족한 상태의 이동도를 갖는 입자이므로 전자와 만나면 부족한 전자를 공급받아 안정한 상태로 이완되며, 이때 전자가 갖는 에너지와 정공이 갖는 에너지 차이만큼 광이 방출된다.
일반적으로 OLED는 단일항 상태의 광 방출 현상인 "형광" 현상만을 이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 와서는 삼중항 상태의 광 방출 현상인 "인광" 현상을 이용하는 OLED가 제작되었다. 이는 높은 중원자 효과를 갖는 Ir, Pt, Re 등의 전이금속을 중심으로 한 유기금속 착물을 사용하여 삼중항 상태의 전자의 광 방출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인광 OLED가 100%의 내부양자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100%의 내부양자효율을 갖는 인광 OLED의 발광층에 첨가물로 사용될 유기금속 착물에 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개략적인 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각 층은 재료가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역할에 알맞은 전기, 화학적 특성을 갖고 있는 재료면 중복 사용될 수 있다.
소자(100)는 기판(110) 위에 전극 및 유기물층을 형성하며, 이때 기판재료는 경성 또는 연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성 재료로는 소다라임 글래스, 무알칼리 글래스,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글래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성 재료로는 PC(폴리카보네이트), PES(폴리에써술폰), COC(싸이클릭올리펜코폴리머), PET(폴리에틸렌에써프탈레이트),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양극(120)은 기판 상부에 물질을 증착법, 전자빔 증발 또는 스퍼터링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양극재료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내부로 정공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높은 일함수를 갖는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 방향에 따라 전면발광일 경우 반사형 전극을 사용하며, 후면발광일 경우 투과형 전극, 양면발광일 경우에는 반투과 전극을 사용한다. 이들의 재료로는 ITO(산화인듐주석), IZO(산화인듐아연), SnO2(산화주석), ZnO(산화아연) 등을 적절한 두께로 형성하여 투과도를 조절하여 제조한다. 또는, 산화물이 아닌 Mg(마그네슘), Al(알루미늄), Al-Li(알루미늄-리튬), Ca(칼슘), Mg-In(마그네슘-인듐), Mg-Ag(마그네슘-은)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최근에 와서는 CNT(탄소나노튜브), Graphene(그래핀) 등 탄소기판 유연 전극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정공 주입층(130), 정공 수송층(140), 전자저지층(150)은 정공 수송영역이라고도 하며, 유기전계발광소자 내로 원활한 정공 주입과 수송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유기물층의 정공이동도가 전자이동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전자 수송영역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상기 정공수송영역중 정공 주입층(130)은 양극 위로 진공증착법,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LB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공 증착법에 의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경우, 그 증착 조건은 정공 주입층 재료로 사용하는 화합물, 목적으로 하는 정공 주입층의 구조 및 열적 특성 등에 따라 100 내지 500℃에서 증착 속도를 1Å/s 전후로 하여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정한 조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핀 코팅법에 의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경우 코팅 조건은 정공 주입층 재료로 사용하는 화합물과 계면으로 형성되는 층들 간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지만, 고른 막형성을 위해 코팅속도, 코팅 후 용매 제거를 위한 열처리 등이 필요하다.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은, 예를 들면, m-MTDATA, TDATA, 2-TNATA, NPB, β-NPB, TPD, Spiro-TPD, Spiro-NPB, methylated-NPB, TAPC, HMTPD, TCTA(4,4',4"-트리스(N-카바졸일)트리페닐아민(4,4',4"-tris(Ncarbazolyl) triphenylamine)), Pani/DBSA (Polyaniline/Dodecylbenzenesulfonic acid:폴리아닐린/도데실벤젠술폰산), PEDOT/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4-styrene sulfonate):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4-스티렌술포네이트)), Pani/CSA (Polyaniline/Camphor sulfonicacid : 폴리아닐린/캠퍼술폰산), PANI/PSS (Polyaniline)/Poly(4-styrenesulfonate):폴리아닐린)/폴리(4-스티렌술포네이트))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28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29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의 두께는 약 100 내지 약 10,000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정공 수송영역의 해당 유기물층들은 같은 두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정공 주입층의 두께가 50Å이면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1000Å, 전자 저지층의 두께는 500Å을 형성할 수 있다. 정공 수송영역의 두께 조건은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전압 상승이 커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효율과 수명을 만족하는 정도로 정할 수 있다.
정공 수송 영역은 발광층과 마찬가지로 특성 향상을 위해 도핑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공 수송 영역 내로 전하-생성 물질의 도핑은 유기 발광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하-생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HOMO와 LUMO가 굉장히 낮은 물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전하-생성 물질의 LUMO는 정공수송층(215) 물질의 HOMO와 유사한 값을 갖는다. 이러한 낮은 LUMO로 인하여 LUMO의 전자가 비어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인접한 정공수송층(215)에 쉽게 정공을 전달하여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전하-생성 물질은 예를 들면, p-도펀트일 수 있다. 상기 p-도펀트는 퀴논 유도체, 금속 산화물 및 시아노기-함유 화합물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p-도펀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테트라사이아노퀴논다이메테인(TCNQ) 및 2,3,5,6-테트라플루오로-테트라사이아노-1,4-벤조퀴논다이메테인(F4-TCNQ) 등과 같은 퀴논 유도체; 텅스텐 산화물 및 몰리브덴 산화물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 및 시아노기-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30
전자 저지층(150)은 전자 수송 영역으로부터 정공 수송 영역으로의 전자 주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층이다. 전자 저지층은 정공 수송영역으로 이동하는 전자를 저지할 뿐 아니라 발광층(220)에서 형성된 엑시톤이 정공수송영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높은 T1 값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높은 T1값을 갖는 발광층의 호스트 등을 전자저지층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발광층(160)은 정공과 전자가 만나 엑시톤을 형성하는 영역으로 발광층을 이루는 재료는 높은 발광 특성 및 원하는 발광색을 나타내도록 적절한 에너지밴드갭을 가져야 하며 일반적으로 호스트와 도판트 두가지 역할을 가지는 두 재료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호스트는 하기 TPBi, TBADN, ADN("DNA"라고도 함), CBP, CDBP, TCP, mC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특성이 적절하다면 재료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31
발광층의 도판트는 본 발명에서 언급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화합물을 재료로 사용하며, 일반적인 도판트의 함량은 0.01% 내지 20%로 선택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 위에 전자수송영역이 증착되며 전자수송영역은 정공저지층(170), 전자 수송층(180), 전자 주입층(190)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한 개의 유기물층을 포함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한다.
상기 전자수송영역의 형성은 정공수송영역과 마찬가지 조건으로 형성하며 형성조건 및 방법은 정공수송영역 형성조건을 참조한다.
전자수송영역 중 정공저지층(170)은 BCP, Bphen 및 하기 Balq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재료의 특성과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목적에 따라 재료의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32
전자수송층(180)은 상기 BCP, Bphen 및 하기 Alq3, Balq, TAZ, NTAZ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33
전자수송층은 유기전계발광소자 구조에 따라 빠른 전자이동도 혹은 느린 전자이동도의 재료로 선택되므로 다양한 재료의 선택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 하기 Liq나 Li이 도핑되기도 한다.
전자주입층(190)은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금속재료를 선택하며, 예를들어 LiF, NaCl, CsF, Li2O, BaO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음극(200)은 양극과 다르게 상대적으로 낮은 일함수를 갖는 금속, 전기전도성 화합물, 합금 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로들면, Li(리튬), Mg(마그네슘), Al(알루미늄), Al-Li(알루미늄-리튬), Ca(칼슘), Mg-In(마그네슘-인듐), Mg-Ag(마그네슘-은) 등을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음극은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발광 방향에 따라 투과도 및 재료가 결정된다. 전면발광의 경우 미소공진효과를 최대로 할 수 있는 반투과형 전극재료 및 두께로 결정되며, 후면발광의 경우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선택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발광층에 포함함으로써 저전압 구동, 고효율 및 장수명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중간체 합성예 1: 중간체(1)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34
1구 500 mL 플라스크에 4-브로모-9,9-다이메틸-9H-플루오렌(4-bromo-9,9-dimethyl-9H-fluorene) 10.0 g(36.6 mmol), Bis(pinacolato)diboron 13.9 g(54.9 mmol), Pd(dppf)Cl2 -CH2Cl2 1.5 g(1.8 mmol), KOAc 10.8 g(109.8 mmol) 및 다이옥산 183 mL를 넣고 하루종일 환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DCM으로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노란색 오일의 화합물(13 g)에 메탄올을 첨가하여 고체화하였다. 흰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을 9.9 g(수율: 85.1%)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2: 중간체(3)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35
(중간체(2)의 합성)
1구 2000 mL 플라스크에 3,5-다이-tert-부틸아닐린(3,5-di-tert-butylaniline) 15.0 g(73.1 mmol), 2,6-다이브로모피리딘(2,6-Dibromopyridine) 51.9 g(219.2 mmol), Pd(dba)2 2.1 g(3.7 mmol), Xantphos 4.2 g(7.3 mmol), NaOtBu 21.1 g(219.2 mmol) 및 톨루엔 730 mL를 넣고 8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DCM으로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2))을 10.3 g (수율: 27.5%)을 얻었다.
(중간체(3)의 합성)
1구 50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2) 8.5 g(16.4 mmol), 페닐보론산(Phenylboronic acid) 1.6 g(13.1 mmol), Pd(PPh3)4 0.6 g(0.5 mmol), 에탄올 41 mL, 톨루엔 82 mL 및 2M K2CO3 20 mL(41.1 mmol)를 넣고 8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EA로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HEX)로 정제하였다.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3)을 4.4 g (수율: 51.8%, Mixture)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3: 중간체(4)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36
1구 50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3) 4.9 g(9.5 mmoL), 중간체(1) 4.6 g(14.2 mmol), Pd(PPh3)4 1.1 g(0.9 mmol), 에탄올 23 mL, 톨루엔 47 mL 및 2M K2CO3 23 mL(47.3 mmol)를 넣고 80℃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EA로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로 정제하였다. 추가로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로 재정제하였다. 옅은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4))을 2.4 g(수율: 54.6%)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4: 중간체(5)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37
1구 25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3) 3.2 g(6.2 mmoL), 중간체(1) 5.2 g(16.2 mmol), Pd(PPh3)4 0.7 g(0.6 mmol), 에탄올 15 mL, 톨루엔 31 mL 및 2M K2CO3 18 mL(37.5 mmol)를 넣고 85℃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EA로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로 정제하였다. 베이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5))을 4.2 g(수율: 90.5%)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5: 중간체(6)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38
1구 500 mL 플라스크에 4-브로모-9,9-디페닐플로렌(4-Bromo-9,9-diphenylfluorene) 10.0 g(25.2 mol), Bis(pinacolate)diboron 7.7 g(30.2 mmol), Pd(dppf)Cl2-CH2Cl2 1.0 g(1.3 mmol), KOAc 7.2 g(75.5 mmol) 및 Dioxane 120 mL를 넣고 하루종일 환류 및 교반하였다. 상온에서 식힌 후 셀라이트 여과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HEX)로 정제하여 흰색 액체의 화합물(중간체(6)) 8.9 g(수율: 79.9%)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6: 중간체(8)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39
(중간체(7)의 합성)
1구 50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2) 8.0 g(15.5 mmol), 중간체(6) 4.8 g(10.8 mmol), Pd(PPh3)4 0.4 g(0.3 mmol), 톨루엔 77 mL, 에탄올 39 mL 및 2M K2CO3 30 mL(30.9 mmol)를 넣고 7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한 후 EA를 이용하여 추출하며, 수분 및 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로 정제하여 노란색 오일의 화합물(중간체(7) 5.1 g(수율: 55.3%)을 얻었다.
(중간체(8)의 합성)
1구 50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7) 5.1 g(6.7 mmol), 페닐보론산 (Phenylboronic acid) 1.2 g(10.1 mmol), Pd(PPh3)4 0.4 g(0.4 mmol), 톨루엔 34 mL, 에탄올 17 mL 및 2M K2CO3 10 mL(20.2 mmol)를 넣고 80℃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한 후 EA를 이용하여 추출하며, 수분 및 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HEX)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8)) 3.7 g(수율: 72.8%)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7: 중간체(11)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40
(중간체(9)의 합성)
1구 1 L 플라스크에서 3-브로모피리딘-2-아민(3-bromopyridin-2-amine) 20.0 g(115.6 mmol), (5-클로로-2-메톡시페닐)보론산((5-chloro-2-methoxyphenyl)boronic acid) 25.9 g(138.7mmol), Pd(PPh3)4 6.7 g(5.8 mmol), 2M Na2CO3 용액 260 mL(520.2 mmol), 톨루엔 400 mL 및 에탄올 200 mL를 혼합한 다음, 80℃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고 EA로 추출한 후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EA)로 정제하고 소량의 DCM에 녹인 후 메탄올를 천천히 적가 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9)) 20.3 g(수율: 74.8%)을 얻었다.
(중간체(10)의 합성)
1구 2 L 플라스크에 중간체(9) 19.0 g(81.0 mmol)을 THF 162 mL에 녹인 후 아세트산(AcOH) 437 mL를 넣고 온도를 -15℃로 냉각하였다. 황산(H2SO4) 4.3 mL(81.1 mmol)를 넣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Butyl nitrile 17 mL (145.7 mmol)를 천천히 적가 한 후 -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 시킨 다음, 상온으로 온도를 승온 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확인 후 감압 증류하여 아세트산(AcOH)을 제거한 다음 얼음물에 반응물을 넣고 포화 Na2CO3로 중성화 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증류수로 씻어주고, 얻은 고체를 다시 CHCl3에 녹여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로 정제하였다. 1차 정제된 고체를 CHCl3에 녹인 후 헥산를 천천히 적가 하면서 결정화하여, 흰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0)) 8.3 g(수율: 50.3%)을 얻었다.
(중간체(11)의 합성)
1구 500 mL 플라스크에서 중간체(10) 5.0 g(24.6 mmol), 피나콜디보론(Bis(pinacolato)diboron) 9.4 g(36.8 mmol), Pd(dba)2 1.4 g(2.5 mmol), P(Cy)3BF4 1.8 g(4.9 mmol), KOAc 7.2 g(73.7 mmol) 및 Dioxane 120 mL를 혼합한 다음, 10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1)) 7.2 g(수율: 99.0%)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8: 중간체(13)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41
(중간체(12)의 합성)
중간체(11) 4.7 g(9.4 mmol)과 중간체(2) 2.2 g(7.5 mmol)을 톨루엔 30 mL와 THF 15 mL에 녹이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Pd(PPh3)4) 561.0 mg(563.7 μmol)과 2M K2CO3 15 mL(28.2 mmol)를 같이 넣고 8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한 후 CHCl3와 물을 가하여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2)) 2.6 g(수율: 44.8%)을 얻었다.
(중간체(13)의 합성)
중간체(12) 2.6 g(4.2 mmol)과 페닐보론산(phenylboronic acid) 1.0 g(8.4 mmol)을 톨루엔 20 mL와 에탄올 10 mL에 녹이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Pd(PPh3)4) 243.0 mg(210.6 μmol)과 2M K2CO3 6.5 mL(12.6 mmol)을 같이 넣고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확인 후 상온으로 냉각한 후 CHCl3와 물을 가하여 층을 분리하고, 분리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3)) 1.8 g(수율: 70.5%)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8: 중간체(14)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42
중간체(11) 4.8 g(16.2 mmol)과 중간체(2) 4.0 g(7.7 mmol)을 톨루엔 40 mL와 에탄올 15 mL에 녹이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Pd(PPh3)4) 536.0 mg(464.0 μmol)과 2M K2CO3 23 mL(46.4 mmol)을 같이 넣고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확인 후 상온으로 냉각한 후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 메탄올로 차례대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건조한 고체를 CHCl3에 녹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로 정제하고 혼합용액(DCM/MeOH)로 고체화하여, 흰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4)) 2.6 g(수율: 48.7%)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9: 중간체(15)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43
1구 500 mL 플라스크에 (2-Methylbenzofuro[2,3-b]pyridin-8-yl trifluoromethanesulfonate) 8.0 g(24.1 mol), Bis(pinacolate)diboron 7.4 g(29.0 mmol), Pd(dba)2 1.4 g(2.4 mmol), PCy3HBF4 1.8 g(4.8 mmol), KOAc 6.9 g(72.4 mmol) 및 Dioxane 120 mL를 넣고 하루종일 환류 및 교반하였다. 상온에서 식힌 후 증류수을 첨가하여 반응 종결시키며, DCM으로 추출하였다. 수분 및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불순물이 섞여 있는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5)) 7.0 g을 다른 처리과정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중간체 합성예 10: 중간체(16)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44
1구 50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3) 6.1 g(crude mixture), 중간체(15) 7.0 g(24.2 mmol), Pd(dba)2 1.4 g(2.4 mmol), PCy3HBF4 1.8 g(4.8 mmol), K3PO4 15.1 g(71.4 mmol) 및 Toluene 60 mL를 넣고 하루 동안 환류 및 교반한다. 상온으로 냉각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며, CHCl3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수분 및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오일을 EA로 고체화하고, MeOH로 여과하여 흰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6)) 1.6 g(수율: 36.3%)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11: 중간체(17)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45
1구 50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2) 12.4 g(24.0 mmol), 중간체(15) 14.9 g(48.4 mmol), Pd(dba)2 1.4 g(2.4 mmol), PCy3HBF4 1.8 g(4.83 mmol), K3PO4 15.1 g(71.4 mmol) 및 Toluene 120 mL를 넣고 하루 동안 환류 및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한 후 증류수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CHCl3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수분 및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메탄올로 여과하여 갈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7)) 3.1 g(수율: 17.9%)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12: 중간체(18)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46
1구 25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12) 4.5 g(7.4 mmol), 4-tert-부틸페닐보론산((4-(tert-butyl)phenyl)boronic acid) 2.7 g(14.9 mmol), Pd(PPh3)4 429.0 mg(371.6 μmol), K3PO4 4.7 g(22.3 mmol), 톨루엔 30 mL, 에탄올 10 mL 및 증류수 10 mL를 넣고 혼합한 다음,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증류수를 투입하고 CHCl3로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반응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로 정제하고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흰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8)) 4.1 g(수율: 82.7%)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13: 중간체(20)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47
(중간체(19)의 합성)
1구 25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2) 6.7 g(13.0 mmol), 4-싸이아노페닐보론산(4-cyanophenylboronic acid) 1.5 g(10.4 mmol), Pd(PPh3)4 0.5 g(0.4 mmol), 에탄올 32 mL, 톨루엔 64 mL 및 2M K2CO3 16 mL(32.4 mmol)를 넣고 8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EA로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로 정제하였다.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9))을 3.2 g(수율: 56.5%)을 얻었다.
(중간체(20)의 합성)
1구 25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19) 3.2 g(5.9 mmol), 중간체(11) 2.1 g(7.1 mmol), Pd(PPh3)4 0.3 g(0.3 mmol), 에탄올 14 mL, 톨루엔 29 mL 및 2M K2CO3 8.9 mL(17.8 mmol)를 넣고 85℃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EA로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혼합용액(DCM/MeOH)으로 슬러리하여 아이보리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20))을 1.4 g(수율: 39.3%)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14: 중간체(21)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48
1구 500 mL 플라스크에 4-브로모-9,9'-스파이로비플루오렌(4-Bromo-9,9'-spirobifluorene) 10.0 g(25.3 mmol), Bis(pinacolate)diboron 7.7 g(30.2 mmol), Pd(dppf)Cl2-CH2Cl2 1.0 g(1.3 mmol), KOAc 7.2 g(75.5 mmol) 및 Dioxane 120 mL를 넣고 하루종일 환류 및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후 셀라이트 여과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한다.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HEX)로 정제하여 흰색 액체의 화합물(중간체(21)) 7.0 g(수율: 62.5%)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15: 중간체(22)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49
1구 25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3) 3.2 g(6.2 mmoL), 중간체(21) 4.1 g(9.3 mmol), Pd(PPh3)4 0.7 g(0.6 mmol), 에탄올 15 mL, 톨루엔 31 mL 및 2M K2CO3 18 mL(37.5 mmol)를 넣고 85℃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EA로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로 정제하였다. 베이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22))을 3.0 g(수율: 64.3%)을 얻었다.
상기 합성된 중간체 화합물을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다양한 유기 금속 착물을 합성하였다.
합성예 1: 화합물 2-3(LT18-30-434)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50
1구 25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4) 2.4 g(3.8 mmol), PtCl2(PhCN)2 1.8 g(3.8 mmol) 및 벤조나이트릴(Benzonitirile) 76 mL를 넣고 1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HEX)로 정제한 다음, 메탄올로 슬러리하여 옅은 주황색 고체의 화합물 2-3(LT18-30-434)을 1.2 g(수율: 38.1%)을 얻었다.
합성예 2: 화합물 2-4(LT18-35-582)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51
1구 25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5) 4.0 g(5.4 mmol), PtCl2(PhCN)2 2.5 g(5.4 mmol) 및 벤조나이트릴(Benzonitirile) 107 mL를 넣고 190℃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로 정제한 다음 추가로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HEX)로 재정제한 후 메탄올로 슬러리하여 주황색 고체의 화합물 2-4(LT18-35-582) 58.0 mg(수율: 1.2%)을 얻었다.
합성예 3: 화합물 2-5(LT18-35-583)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52
1구 10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8) 3.1 g(4.2 mmoL), Pt(PhCN)2Cl2 2.1 g(4.4 mmoL) 및 Benzonitrile 28 mL를 넣고 9시간 동안 190℃에서 교반하였다. 상온에서 냉각한 후 생성된 고체를 헥산으로 여과한 후 DCM에 녹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HEX)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헥산으로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5(LT18-35-583) 433.0 mg(수율: 9.5%)을 얻었다.
합성예 4: 화합물 2-45(LT18-30-420)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53
1구 250 mL 플라스크에서 중간체(13) 1.7 g(2.9 mmol), 비스벤조나이트릴 다이클로로플래티늄(Bis(benzonitrile)dichloroplatinum(II)) 1.5 g(3.2 mmol)을 벤조나이트릴 60 mL에 녹인 후, 190℃에서 3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벤조나이트릴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로 정제하고 소량의 DCM에 녹인 후 메탄올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결정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45(LT18-30-420) 718.0 mg(수율: 31.3%)을 얻었다.
합성예 5: 화합물 2-46(LT18-30-422)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54
1구 25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14) 2.6 g(3.8 mmol), 비스벤조나이트릴 다이클로로플래티늄(Bis(benzonitrile)dichloroplatinum(II)) 2.0 g(4.1mmol)을 벤조나이트릴 75 mL에 녹인 후, 190℃에서 6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벤조나이트릴을 감압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EA)로 정제하고 DCM으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46(LT18-30-422) 1.9 g(수율: 56.9%)을 얻었다.
합성예 6: 화합물 2-47(LT18-30-438)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55
1구 25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16) 1.6 g(2.7 mmol), Pt(PhCN)2Cl2 1.3 g(2.8 mmol) 및 Benzonitrile 53 mL를 넣고 3시간 동안 190℃에서 교반하였다. 상온에서 냉각한 후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DCM에 녹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HEX)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오일을 EA로 고체화하며, HEX으로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47(LT18-30-438) 748 mg(수율: 34.8 %)을 얻었다.
합성예 7: 화합물 2-48(LT18-30-459)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56
1구 25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17) 3.1 g(4.3 mmol), Pt(PhCN)2Cl2 2.1 g(4.5 mmol) 및 Benzonitrile 85 mL를 넣고 4시간 동안 190℃에서 교반하였다. 상온에서 냉각한 후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DCM에 녹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HEX)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EA로 여과하여 주황색 고체의 화합물 2-48(LT18-30-459) 683.0 mg(수율: 17.6 %)을 얻었다.
합성예 8: 화합물 2-50(LT18-30-565)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57
1구 50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18) 4.0 g(6.1 mmol), 비스벤조나이트릴 다이클로로플래티늄(Bis(benzonitrile)dichloroplatinum(II)) 3.2 g(6.7 mmol)을 벤조나이트릴 120 mL에 녹인 후, 190℃에서 2.5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벤조나이트릴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로 정제하고 혼합용액(DCM/MeOH)으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50(LT18-30-565) 1.1 g(수율: 20.5%)을 얻었다.
합성예 9: 화합물 2-52(LT18-30-556)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58
1구 25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20) 1.5 g(2.3 mmol), PtCl2(PhCN)2 1.1 g(2.3 mmol) 및 벤조나이트릴(Benzonitirile) 46.2 mL를 넣고 1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메탄올을 사용하여 슬러리한 후 고체를 감압필터 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EA)로 정제하였다. 혼합용액(DCM/MeOH)로 슬러리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52(LT18-30-556) 1.0 g(수율: 51.8%)을 얻었다.
합성예 10: 화합물 2-81(LT19-35-720)의 합성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59
1구 10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22) 3.1 g(4.0 mmoL), Pt(PhCN)2Cl2 2.1 g(4.4 mmoL) 및 Benzonitrile 28 mL를 넣고 9시간 동안 190℃에서 교반하였다. 상온에서 냉각한 후 생성된 고체를 헥산으로 여과한 후 DCM에 녹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HEX)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헥산으로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81(LT19-35-720) 1.0 mg(수율: 26.5%)을 얻었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하여, Jasco V-630 기기를 이용하여 UV/VIS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Jasco FP-8500 기기를 이용하여 PL(photoluminescence)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화합물 UV(nm) PL(nm)
시험예 1 2-3
(LT18-30-434)
251, 340, 355 500
시험예 2 2-4
(LT18-35-582)
256, 335 502
시험예 3 2-5
(LT18-35-583)
248, 271, 338 505
시험예 4 2-45
(LT18-30-420)
270, 328, 345 505
시험예 5 2-46
(LT18-30-422)
241, 320, 363 510
시험예 6 2-47
(LT18-30-438)
248, 335 506
시험예 7 2-48
(LT18-30-459)
254, 317, 338 509
시험예 8 2-50
(LT18-30-565)
276, 346 509
시험예 9 2-52
(LT18-30-556)
260,275, 330, 343 527
시험예 10 2-81
(LT19-35-720)
275, 310, 350 506
<소자 제작>
소자 제작을 위해 투명 전극인 ITO는 양극 층으로 사용하였고, 2-TNATA는 정공 주입층, NPB는 정공 수송층, CBP는 발광층의 호스트, Alq3는 전자 수송층, Liq는 전자 주입층, Al은 음극으로 사용하였다. 이 화합물들의 구조는 하기의 화학식과 같다.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60
< 소자 제작 비교실시예 >
인광 유기발광소자는 ITO(180 nm) / 2-TNATA (60 nm) / NPB (20 nm) / CBP:도판트 3% (40 nm) / Alq3 (30 nm) / Liq (2 nm) / Al (100 nm) 순으로 증착하여 소자를 제작하였다.
유기물을 증착하기 전에 ITO 전극은 2 Х 10- 2Torr에서 125 W로 2분간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하였다.
유기물은 9 Х 10- 7Torr의 진공도에서 증착하였으며 Liq는 0.1 Å/sec, CBP는 0.18 Å/sec의 기준으로 도판트는 0.02 Å/sec으로 동시 증착하였고, 나머지 유기물들은 모두 1 Å/sec의 속도로 증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도판트 물질은 REF로 선택하였다.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61
소자 제작이 끝난 후 소자의 공기 및 수분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질소 기체로 채워져 있는 글러브 박스 안에서 봉지를 하였다. 3M사의 접착용 테이프로 격벽을 형성 후 수분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흡습제인 바륨산화물(Barium Oxide)을 넣고 유리판을 붙였다.
< 소자 제작 실시예 1 내지 10 >
상기 소자 제작 비교 실시예에서, 비교화합물(REF)을 이용하는 대신에 하기 표 2에 나타낸 각각의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소자 제작 비교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소자를 제작하였다.
상기 소자 제작 비교 실시예 및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전기적 발광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화합물 구동전압
[V]
효율
[cd/A]
수명
(%)
발광색
실시예 1 2-3
(LT18-30-434)
4.16 20.98 96.99 녹색
실시예 2 2-4
(LT18-35-582)
4.15 20.48 92.01 녹색
실시예 3 2-5
(LT18-35-583)
5.10 21.88 97.97 녹색
실시예 4 2-45
(LT18-30-420)
4.74 24.42 98.05 녹색
실시예 5 2-46
(LT18-30-422)
4.76 22.64 98.91 녹색
실시예 6 2-47
(LT18-30-438)
4.59 21.73 98.70 녹색
실시예 7 2-48
(LT18-30-459)
4.77 22.38 98.64 녹색
실시예 8 2-50
(LT18-30-565)
4.48 23.91 98.48 녹색
실시예 9 2-52
(LT18-30-556)
4.65 24.84 99.10 녹색
실시예 10 2-81
(LT19-35-720)
4.15 22.48 95.01 녹색
비교실시예 1 REF 5.28 15.3 87.52 녹색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화합물은 유기 발광 소자를 비롯한 유기 전자 소자의 유기물층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를 비롯한 유기 전자 소자는 바람직한 특징, 예컨대 높은 소자 효율, 포화 방출 색상 및 더 긴 소자 수명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화합물은 비교 화합물(REF)에 비하여 약간 진한 녹색으로 이동된 색상을 나타내면서, 효율 또한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화합물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유기물층, 특히 발광층에 사용되는 것에 의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품질 향상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화합물을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층에 사용할 경우에,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본래의 특성을 발현하면서 동시에 상기 유기화합물의 특성에 의해 녹색 발광 파장 영역에서 고효율 특성과 개선된 수명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금속 착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62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1주기 전이금속, 2주기 전이금속 및 3주기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되고,
    Z1은 O 또는 S 또는 CR2R3이며,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 나프틸렌; 플루오레닐렌; 피리딜렌; 퀴노릴렌; 디벤조퓨라닐렌; 디벤조티오펜닐렌; 및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63
    중에서 선택되며,
    p는 0 내지 5인 정수이고,
    W1 내지 W4은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R4이고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F3,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형성 탄소수 6 이상 30 이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형성 탄소수 2 이상 30 이하의 헤테로아릴기이거나, 또는 인접하는 기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은 오스뮴(Os), 이리듐(Ir), 및 백금(Pt)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 금속 착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은 백금(Pt)인, 유기 금속 착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유기 금속 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유기 금속 착물.
    [화학식 2]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64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65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66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67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68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69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70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71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72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73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74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75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76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77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78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79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80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81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82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83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84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85
    Figure PCTKR2022000541-appb-img-000086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금속 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착물이 도판트 물질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7.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1층 이상의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진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의 유기 금속 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발광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영역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호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PCT/KR2022/000541 2021-01-28 2022-01-12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WO202216408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09411.XA CN116783207A (zh) 2021-01-28 2022-01-12 有机金属配合物及包括其的有机电致发光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47 2021-01-28
KR1020210011947A KR102284600B1 (ko) 2021-01-28 2021-01-28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4086A1 true WO2022164086A1 (ko) 2022-08-04

Family

ID=7731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0541 WO2022164086A1 (ko) 2021-01-28 2022-01-12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84600B1 (ko)
CN (1) CN116783207A (ko)
WO (1) WO20221640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8920A (zh) * 2023-10-19 2023-11-21 浙江华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Pt配合物及其在有机发光装置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104A (ko) * 2021-11-12 2023-05-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240118031A (ko) * 2023-01-25 2024-08-02 주식회사 로오딘 신규한 다기능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CN117229328B (zh) * 2023-11-15 2024-02-13 浙江华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螺芴结构Pt配合物及其在有机发光装置的应用
CN118290488B (zh) * 2024-04-16 2024-09-17 浙江华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Pt配合物及其在有机发光装置的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9551A1 (en) * 2005-09-14 2007-03-15 Fuji Photo Film Co., Ltd. Composition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20130012568A (ko) * 2011-07-25 2013-02-04 유니버셜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4좌 배위자 백금 착물
US20160285014A1 (en) * 2015-03-23 2016-09-2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180166637A1 (en) * 2016-12-13 2018-06-14 Samsung Display Co., Ltd.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90355918A1 (en) * 2003-06-02 2019-11-21 Udc Ireland Limit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Metal Complex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3804B1 (en) 2003-11-04 2013-07-31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Platinum complex and luminescent element
KR20180073222A (ko) 2016-12-22 201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금속 화합물,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한 진단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55918A1 (en) * 2003-06-02 2019-11-21 Udc Ireland Limit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Metal Complex Compounds
US20070059551A1 (en) * 2005-09-14 2007-03-15 Fuji Photo Film Co., Ltd. Composition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20130012568A (ko) * 2011-07-25 2013-02-04 유니버셜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4좌 배위자 백금 착물
US20160285014A1 (en) * 2015-03-23 2016-09-2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180166637A1 (en) * 2016-12-13 2018-06-14 Samsung Display Co., Ltd.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8920A (zh) * 2023-10-19 2023-11-21 浙江华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Pt配合物及其在有机发光装置的应用
CN117088920B (zh) * 2023-10-19 2024-01-23 浙江华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Pt配合物及其在有机发光装置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83207A (zh) 2023-09-19
KR102284600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64331A1 (ko)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2164086A1 (ko)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WO2020027389A1 (ko)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WO2012074210A9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10074422A1 (en) Novel compound for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and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5084114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15099486A1 (en) 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15037965A1 (en) 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15012618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14017844A1 (ko) 아크리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EP2817387A1 (en) 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0122359A1 (ko)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20111733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14104704A1 (en) 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14098455A1 (ko) 신규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19245263A1 (ko) 헤테로고리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유기 발광 소자의 유기물층용 조성물 및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WO2014081206A1 (en) 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ce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ontaining the same
WO2021150026A1 (ko) 다환 방향족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WO2018174682A1 (ko)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2270835A1 (ko)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WO2014098518A1 (en) 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0101397A1 (ko)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14010897A1 (ko)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WO2023200196A1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WO2015076601A1 (ko) 신규한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461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09411.X

Country of ref document: C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461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