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49861A1 -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 Google Patents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49861A1
WO2022149861A1 PCT/KR2022/000193 KR2022000193W WO2022149861A1 WO 2022149861 A1 WO2022149861 A1 WO 2022149861A1 KR 2022000193 W KR2022000193 W KR 2022000193W WO 2022149861 A1 WO2022149861 A1 WO 20221498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rotating
injection pipe
output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01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나호성
김동현
홍관선
류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80007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568510A/zh
Priority to US18/265,064 priority patent/US20230339138A1/en
Publication of WO20221498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498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1Rapid manufacturing of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ng, agglomerating or laminat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by spraying or proj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45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8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involving additional operations performed on the added layers, e.g. smoothing, grinding or thickness control
    • B29C64/19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involving additional operations performed on the added layers, e.g. smoothing, grinding or thickness control during lay-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29C64/241Driving means for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E04G21/0463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with boom control mechanisms, e.g. to automate concrete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29C64/336Feeding of two or mor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021/049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concrete mixing 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convey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을 출력 성형하는 건설용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등을 토출하는 노즐(10)을 분사관(60)이 추종하면서, 출력물 표면에 액재를 분사하여, 출력물 표면에 액재가 도포 처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건설용 3D 프린터에 의한 출력물의 출력과 동시에 출력물 표면에 대한 액재 분사 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로써 출력물의 신속하고 균일한 피복 처리가 가능하고, 출력물 조직의 적절한 습윤 상태 유지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을 출력 성형하는 건설용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등을 토출하는 노즐(10)을 분사관(60)이 추종하면서, 출력물 표면에 액재를 분사하여, 출력물 표면에 액재가 도포 처리되는 것이다.
건설용 3D 프린터는 주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등이 적용되는 유동상 재료를 선형으로 압출하여 적층함으로써 소기 형상의 구조물을 완성하는 장치로서, 전통적인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상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공정인 주형 구축 공정을 생략 또는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성형성 및 공사기간 등에 있어서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1895151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1895151호를 비롯한 종래의 건설용 3D 프린터는 도 1에서와 같이, 이동체(20)에 장착된 노즐(10)을 통하여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등의 유동상 재료를 선형 압출하고, 압출된 선형 출력물이 적층되어 경화됨에 따라 구조물이 완성되는데, 동 도면에서는 벽체를 출력하는 상황이 예시되어 있다.
건설용 3D 프린터의 출력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선형 압출물의 형태를 가지며, 이동체(20) 및 노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선형 압출물이 적층되면서 계획 구조물이 성형되는데, 도 1에 예시된 3D 프린터는 출력물을 토출하는 노즐(10)이 이동체(20)에 장착되되, 이동체(20)는 갠트리 크레인 형태의 프레임(90)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된 레일(92)을 따라 수평 왕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 밖에도 지브 크레인 등 노즐(10) 장착 이동체(20)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다양한 형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설용 3D 프린터의 출력 방식은 주형이 구축된후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이 완료되면 비로소 주형이 탈형되는 전통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 방식을 완전히 탈피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선형 압출물의 적층체가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성형 및 양생 전반이 수행되는 방식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출력물 표층부의 급격한 건조가 불가피하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출력물을 구성하는 적층체에 있어서, 거푸집 등 주형에 의한 성형물의 양생간 보습이 완전히 배제되는 바, 출력물의 출력 직후 급격한 건조가 진행되며, 이로 인하여 균열 및 강도 부족 등의 심각한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다.
이에, 종래기술에서는 기본 구조체에 대한 출력이 완료된 후, 출력물의 표면에 별도의 피복층을 형성하는 표면 처리 또는 미장 등의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후처리 공정은 전적으로 인력에 의하여 수행될 수 밖에 없었는 바, 공기 지연 및 공사비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건설용 3D 프린터에 있어서, 이동체(20)에 장착되어 유동상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10)을 추종하는 분사관(60)이 설치되어, 이동체(20) 및 노즐(10)의 이동과 동반하여 분사관(60)이 이동하고, 노즐(10)에서 압출된 출력물 표면에 대한 분사관(60)을 통한 액재의 분사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이다.
또한, 상기 이동체(20)에는 노즐(10)의 토출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체(30)가 설치되고, 회전체(30)에는 분사관(60)의 지지축(40)이 연결되어, 회전체(30)가 회전됨에 따라 지지축(40) 및 분사관(60)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30)에는 일단에 분사관(60)의 지지축(40)이 설치된 회동판(70)이 연결되되, 평면상 회동판(70)의 내부가 회전체(30)에 힌지 연결되고, 회동판(70)의 타단은 회전체(30)와 신축체(73)로 연결되어, 신축체(73)가 신축됨에 따라 회동판(70)이 평면상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30)에는 일단에 로울러(50)가 설치된 회동판(70)이 연결되되, 평면상 회동판(70)의 내부가 회전체(30)에 힌지 연결되고, 회동판(70)의 타단은 회전체(30)와 신축체(73)로 연결되어, 신축체(73)가 신축됨에 따라 회동판(70)이 평면상 회전되며, 상기 로울러(50)는 출력물 표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30)에는 평면상 중심이 회전체(30)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환형의 래크(35)가 설치되고, 이동체(20)에는 구동모터(23)와 연결되고 상기 래크(35)에 치합되는 피니언(25)이 설치되어, 피니언(25)이 회전됨에 따라 래크(35) 및 회전체(30)가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건설용 3D 프린터에 의한 출력물의 출력과 동시에 출력물 표면에 대한 액재 분사 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로써 출력물의 신속하고 균일한 피복 처리가 가능하고, 출력물 조직의 적절한 습윤 상태 유지가 가능하다.
특히, 종래 건설용 3D 프린터에 있어서 불가피하였던 출력물 표층부의 과급한 건조 및 이로 인한 균열 및 강도 잠식을 획기적으로 완화 및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완성된 구조물의 미관은 물론 구조적 성능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건설용 3D 프린터를 통한 구조체 출력 후 수행되었던 피복 내지 미장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체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기를 단축하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설용 3D 프린터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3은 도 2 실시예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도 2 실시예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5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작동 방식 비교도
도 6은 도 2 실시예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7은 도 2 실시예의 작동 방식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양면 처리형 실시예 요부 발췌 사시도
도 9는 도 8 실시예의 요부 발췌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중 처리형 실시예 요부 발췌 사시도
도 11은 도 10 실시예의 작동 방식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복합 처리형 실시예 요부 발췌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건설용 3D 프린터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는 갠트리 크레인 형식의 프레임(90)에 승강식 레일(92)이 구성되고, 이 레일(92)을 따라 이동체(20)가 횡방향 주행 왕복하면서 이동체(20) 및 노즐(10)이 이동하게 된다.
즉, 3D 프린터의 기본 골조로서 자주식 갠트리 크레인 형태의 프레임(90)이 적용되고 있는데, 자주식 프레임(90)이 종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노즐(10)이 장착된 이동체(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프레임(90)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된 레일(92)에 의하여 이동체(20)의 상하 방향 이동이 수행되며, 이동체(20)가 레일(92)을 따라 횡방향으로 주행함에 따라 노즐(10)의 좌측 이동 또는 우측 이동이 수행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노즐(10)이 장착되는 이동체(20)에는 다수의 주행륜(22)이 설치된 브래킷(21)이 접합될 수 있으며, 이들 주행륜(22)이 상기 레일(92)을 따라 주행함에 따라 브래킷(21) 및 이동체(20)가 레일(92)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브래킷(21)과 연결된 벨트가 구성되어 이동체(20)를 구동하고 있으나, 이 밖에 이동체(20)의 주행륜(22)에 별도의 동력원이 연결되어 자주식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체(20)에 장착되는 노즐(10)은 이동체(20)의 하측으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등의 유동성 재료를 토출하게 되며, 이로써 각각의 출력층을 형성하는 선형 압출물이 이동체(2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적층되면서 목표 구조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노즐(10)의 상단에는 유동성 재료가 일시 저류되는 호퍼(15)가 구성될 수 있으며, 호퍼(15)에는 공급관(95)이 연결되어 유동성 재료를 지속적으로 노즐(10)에 공급하게 된다.
이렇듯 도면상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자주식 프레임(90) 및 레일(92)에 의한 이동체(20)의 이동이 수행되고 있으나, 이 밖에도 노즐(10) 장착 이동체(20)의 자유로운 상하종횡 이동이 가능하다면 지브 크레인 등 다양한 형식이 본 발명의 건설용 3D 프린터 본체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건설용 3D 프린터인 본 발명은 이동체(20)에 장착되어 유동상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10)을 추종하는 분사관(60)이 설치되어, 이동체(20) 및 노즐(10)의 이동과 동반하여 분사관(60)이 이동하는 것으로,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0)에서 압출된 출력물 표면에 분사관(60)을 통한 액재의 분사가 수행되며, 이로써 출력물 표면에 액재의 도포층이 형성되어 출력물 조직의 보습 처리 및 출력물 표면의 피막 형성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분사관(60)은 도 4에서와 같이, 노즐(10)의 토출 방향과 평행한 관체로서, 출력물을 지향하는 분사구(61) 다수가 분사관(60)에 장착되며, 분사관(60)에는 외부로부터 액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호스가 연결되어, 분사관(60)으로 압송된 액재가 분사구(61)에서 분사됨에 따라 출력물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물에 분사되는 액재로는 출력물의 표면 보습을 위한 물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각종 피복액 또는 보강성 약액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직립 관체인 분사관(60)이 노즐(10)의 유동상 재료 토출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설치되어, 노즐(10)에서 토출된 선형 압출물이 적층된 출력물 표면에 분사관(60) 및 분사구(61)를 통한 액재 분사가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하여 출력된 출력물과 본 발명에 의하여 출력된 출력물을 비교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는 출력층간 불연속면 및 이로 인한 표면 요철이 심각한 상태일 뿐 아니라, 출력물 표층부의 급격한 건조로 인한 균열 발생이 불가피한 반면,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는 표면에 피복층이 형성됨과 동시에 출력물 조직에 대한 고도의 보습이 가능한 바, 미관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 역시 확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분사관(60)은 지지축(40), 승강체(41) 및 회전체(30) 등을 통하여 이동체(20)와 연결되는데, 지지축(40) 상단에 연결된 승강체(41)에 의하여 지지축(40)이 승강됨에 따라 분사관(60)이 동반 승강되면서 분사관(60)와 출력물간 대면 범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체(41)로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의 유체압 실린더나 리니어 액튜에이터 등의 축방향 이동 내지 신축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승강체(41)의 작동을 통하여 분사관(60)의 출력물 대면 범위가 조절됨으로써, 출력물의 적층 상태 또는 재료 특성에 따라 액재의 도포 범위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분사관(60)이 노즐(10)의 이동을 추종함과 동시에, 분사관(60)이 필요에 따라 평면상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이동체(20)에는 노즐(10)의 토출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체(30)가 설치되고, 회전체(30)에는 분사관(60)의 지지축(40)이 연결되는 구성을 통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회전체(30)가 회전됨에 따라 지지축(40) 및 분사관(60)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체(30)에 대한 분사관(60) 장착은 회전체(30)의 외곽부에 전술한 승강체(41) 상단이 장착되고, 분사관(60) 상단이 연결된 지지축(40)이 상기 승강체(41) 하단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체(30)에 있어서의 분사관(60) 설치 부위로서 회전체(30) 외곽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판(31)이 활용될 수 있는데,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회전체(30)의 돌출판(31)에 분사관(60)을 장착함에 있어서, 돌출판(31)에 장공을 절개 형성하고 이 장공에 승강체(41) 등 분사관(60) 연결 구성을 장착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분사관(60) 연결 구성의 장공내 체결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분사관(60)의 평면상 연결 지점 즉, 평면상 분사관(60)의 중심점과 노즐(10)의 중심점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듯, 분사관(60)의 중심점과 노즐(10)의 중심점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노즐(10)의 토출구 구경 변동 또는 토출 속도 변동에 따라 출력물의 평면상 폭이 변동되어도 분사관(60) 위치의 탄력적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 건설용 3D 프린터의 이동체(20)에 대한 회전체(30)의 선회 내지 원호 이동에 있어서, 그 작동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0)에는 평면상 중심이 회전체(30)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환형의 래크(35)가 설치되고, 이동체(20)에는 구동모터(23)와 연결되고 상기 래크(35)에 치합되는 피니언(25)이 설치되어, 피니언(25)이 회전됨에 따라 래크(35) 및 회전체(30)가 회전되는 방식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20) 및 회전체(30)의 상호 회전 가능 연결은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평면상 노즐(10)의 중심점과 일치하는 회전축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20) 본체는 중심에 노즐(10)이 장착된 원통형 내지 원반형으로 구성하고, 회전체(30)는 환체로 구성하여, 이동체(20)와 회전체(30)가 평면상 동심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상 명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체(20)의 외주면과 회전체(30)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 또는 윤활 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회전체(3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은 노즐(10), 이동체(20)의 본체, 회전체(30) 및 환형 래크(35)가 모두 평면상 동심을 이루도록 결합 내지 설치되는 구조라 할 수 있으며, 이동체(20)에 고정된 구동모터(23)에 의하여 래크(35)에 치합된 피니언(25)이 회전됨으로써, 회전체(30) 및 이에 장착된 분사관(60) 등이 평면상 선회 내지 원호 이동하게 된다.
분사관(60) 장착 회전체(30)의 회전 방향 및 속도는 구동모터(23)의 정회전, 역회전 및 회전속도 가감 작동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모터(23) 내지 래크(35)의 제어는 구동모터(23)와 연결된 제어반 또는 전산 제어장치에 의하여 자동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분사관(60)의 평면상 회전 이동은 도 7에서와 같이, 출력물의 평면 선형 변화 부위에서도 분사관(60)에 의한 액재 분사 및 분사구(61)의 출력물 지향 상태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유용한 기능으로서, 동 도면상 예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상방인 노즐(10)의 전진 부위와 도면상 우측 방향인 노즐(10)의 횡방향 이동 부위와, 이들 부위를 연결하는 만곡 부위 모두에 대하여 분사관(60)의 안정적인 추종 및 분사구(61)의 출력물 지향성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양면 처리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벽체인 출력물을 기준으로 출력물 벽체 양 측면 모두에 액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평면상 출력물 양측에 각각 별도의 분사관(60)이 구성되며, 이들 양측 분사관(60) 및 분사구(61)는 평면상 출력물의 중심선을 축으로 상호 대칭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양면 처리형 실시예에 있어서, 분사관(60)이 장착되는 회전체(30) 역시 각각의 분사관(60)별로 별도로 구성되어, 도 9에서와 같이, 단일 이동체(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별도의 회전체(30)가 구성되며, 이들 2조의 회전체(30)를 구동하는 래크(35), 피니언(25) 및 구동모터(23) 역시 상측 회전체(30) 및 하측 회전체(30) 각각에 대하여 별도로 구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측 회전체(30)의 래크(35)는 회전체(30)의 상면에 설치되고, 하측 회전체(30)의 래크(35)는 회전체(30)의 저면에 설치되고 있으며, 상측 회전체(30)를 구동하는 피니언(25) 및 구동모터(23)는 이동체(20)의 상면에 장착되고, 하측 회전체(30)를 구동하는 피니언(25) 및 구동모터(23)는 이동체(20)의 저면에 장착되어, 양측 분사관(60)이 각각 장착되는 상측 회전체(30) 및 하측 회전체(30)가 상호 종속 내지 동조되지 않고 완전히 개별적인 독립 작동이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은 분사관(60)로 출력물을 정리함에 있어서 출력물 표면당 단일 분사관(60)에 의한 단발적 액재 도포가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최초 도포용 선행 분사관(60)에 후속되는 추가 도포 분사관(60)이 구성되는 다중 처리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회전체(30)에는 일단에 분사관(60)의 지지축(40)이 설치된 회동판(70)이 연결되되, 평면상 회동판(70)의 내부가 회전체(30)에 힌지 연결되고, 회동판(70)의 타단은 회전체(30)와 신축체(73)로 연결되어, 신축체(73)가 신축됨에 따라 회동판(70)이 평면상 회전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판(70)은 평면상 중앙부가 절곡된 형태의 판체로서, 상기 중앙부에 구성된 힌지를 통하여 회전체(30)와 회동판(70)이 노즐(10)과 평행한 힌지축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회동판(70)의 분사관(60) 설치측 타측 단부와 회전체(30) 외곽부 사이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신축체(73)가 설치되며, 이로써 신축체(73)가 신축됨에 따라 회동판(70)이 회동되어 평면상 회동판(70)의 각도가 변동될 수 있다.
회동판(70)과 회전체(30)를 연결하는 신축체(73)로는 유체압 실린더 등의 축방향 변동 내지 이동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회동판(70)의 평면각이 변동됨으로써, 회동판(70)에 장착된 분사관(60) 외주면과 출력물의 중심선간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판(70) 관련 구성을 통하여 출력물의 선형 변화 구간에 대한 후속 분사관(60)의 안정적인 이동은 물론, 필요에 따라 선행 분사관(60)과 후속 분사관(60)에 이종의 액재를 공급함으로써, 이종 액재의 순차 도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2는 전술한 회동판(70) 관련 구성을 응용하여, 선행 분사관(60)에 후속되는 처리로서 액재 도포가 아닌 로울러(50)에 의한 표면 압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로써 액재 도포층을 비롯한 출력물 표층부에 대한 고도의 평탄화가 가능할 뿐 아니라, 해당 부위의 출력물 조직을 치밀화하는 복합 처리가 가능하다.
즉, 도 12에서와 같이, 회전체(30)에는 일단에 로울러(50)가 설치된 회동판(70)이 연결되되, 평면상 회동판(70)의 내부가 회전체(30)에 힌지 연결되고, 회동판(70)의 타단은 회전체(30)와 신축체(73)로 연결되어, 신축체(73)가 신축됨에 따라 회동판(70)이 평면상 회전되는 구성으로서, 회동판(70)의 회전 작동 및 로울러(50) 방향 조절 등의 기본적 작동 방식은 전술한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Claims (5)

  1. 건설용 3D 프린터에 있어서,
    이동체(20)에 장착되어 유동상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10)을 추종하는 분사관(60)이 설치되어, 이동체(20) 및 노즐(10)의 이동과 동반하여 분사관(60)이 이동하고;
    노즐(10)에서 압출된 출력물 벽체 측면 표면에 대한 분사관(60)을 통한 액재의 분사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체(20)에는 노즐(10)의 토출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체(30)가 설치되고;
    회전체(30)에는 분사관(60)의 지지축(40)이 연결되어;
    회전체(30)가 회전됨에 따라 지지축(40) 및 분사관(60)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회전체(30)에는 일단에 분사관(60)의 지지축(40)이 설치된 회동판(70)이 연결되되, 평면상 회동판(70)의 내부가 회전체(30)에 힌지 연결되고;
    회동판(70)의 타단은 회전체(30)와 신축체(73)로 연결되어, 신축체(73)가 신축됨에 따라 회동판(70)이 평면상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회전체(30)에는 일단에 로울러(50)가 설치된 회동판(70)이 연결되되, 평면상 회동판(70)의 내부가 회전체(30)에 힌지 연결되고;
    회동판(70)의 타단은 회전체(30)와 신축체(73)로 연결되어, 신축체(73)가 신축됨에 따라 회동판(70)이 평면상 회전되며;
    상기 로울러(50)는 출력물 표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회전체(30)에는 평면상 중심이 회전체(30)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환형의 래크(35)가 설치되고;
    이동체(20)에는 구동모터(23)와 연결되고 상기 래크(35)에 치합되는 피니언(25)이 설치되어;
    피니언(25)이 회전됨에 따라 래크(35) 및 회전체(30)가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PCT/KR2022/000193 2021-01-07 2022-01-05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WO20221498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07906.9A CN116568510A (zh) 2021-01-07 2022-01-05 打印物表面处理型建设用3d打印机
US18/265,064 US20230339138A1 (en) 2021-01-07 2022-01-05 Printed object surface treatment-type 3d printer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791 2021-01-07
KR1020210001791A KR102331860B1 (ko) 2021-01-07 2021-01-07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9861A1 true WO2022149861A1 (ko) 2022-07-14

Family

ID=7893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0193 WO2022149861A1 (ko) 2021-01-07 2022-01-05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39138A1 (ko)
KR (1) KR102331860B1 (ko)
CN (1) CN116568510A (ko)
WO (1) WO2022149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860B1 (ko) * 2021-01-07 2021-12-0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0762A (ko) * 2016-04-22 2017-11-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콘크리트 프린트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KR20180016100A (ko) * 2016-08-05 2018-02-1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콘크리트 프린트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KR20200019273A (ko) * 2018-08-02 2020-02-24 한국과학기술원 접착제 도포 기능을 갖는 3d 프린터 및 그 구동 방법
CN108247056B (zh) * 2018-03-03 2020-04-24 吉林大学 一种对送粉式激光增材制造制件同步改性的方法
KR20200142925A (ko) * 2019-06-14 2020-12-2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3d 프린팅 노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3d 프린팅 장비
KR102331860B1 (ko) * 2021-01-07 2021-12-0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2081A1 (en) * 2013-09-10 2015-03-12 Ryan Winston MONCHAMP External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US10201941B2 (en) * 2015-07-31 2019-02-12 The Boeing Company Systems for additively manufacturing composite parts
DE102015117238A1 (de) * 2015-10-09 2017-04-13 GEFERTEC GmbH Bearbeitungsmodul für eine Vorrichtung zur additiven Fertigung
CN106985258A (zh) * 2017-02-14 2017-07-28 龙泉市金宏瓷业有限公司 用于陶瓷圆筒打印件的3d打印机
KR20190022080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기판 정렬이 가능한 버퍼챔버
KR102021417B1 (ko) * 2017-12-14 2019-09-16 송재원 방사형 토출 노즐을 구비한 3d 프린터 장치
KR20180064332A (ko) * 2018-04-30 2018-06-14 윤진원 조형재료의 분사 방향이 가변 가능한 3차원 프린터
CN109604099B (zh) * 2018-12-06 2020-10-09 湖南省铭德云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汽车零部件加工用改进型喷漆工装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0762A (ko) * 2016-04-22 2017-11-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콘크리트 프린트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KR20180016100A (ko) * 2016-08-05 2018-02-1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콘크리트 프린트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CN108247056B (zh) * 2018-03-03 2020-04-24 吉林大学 一种对送粉式激光增材制造制件同步改性的方法
KR20200019273A (ko) * 2018-08-02 2020-02-24 한국과학기술원 접착제 도포 기능을 갖는 3d 프린터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142925A (ko) * 2019-06-14 2020-12-2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3d 프린팅 노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3d 프린팅 장비
KR102331860B1 (ko) * 2021-01-07 2021-12-0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39138A1 (en) 2023-10-26
KR102331860B1 (ko) 2021-12-01
CN116568510A (zh)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49859A1 (ko) 출력물 표면 정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WO2022149861A1 (ko) 출력물 표면 처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CN110773358A (zh) 一种轨枕脱模剂喷涂设备
CN113522572A (zh) 一种电缆桥架加工用无死角高效喷漆设备
CN112696537B (zh) 一种连续碳纤维缠绕复合增强中空壁缠绕管及其制备方法
CN109013181B (zh) 一种铝塑板自动加工生产线
CN112351867A (zh) 机器人化的建造系统
CN211436728U (zh) 一种轨枕脱模剂喷涂设备
CN210791462U (zh) 大型长梁或柱形结构pc构件布料车
CN109482386B (zh) 一种用于丝杆螺纹槽的涂抹黄油设备
CN200978522Y (zh) 墙面抹灰机
CN212596689U (zh) 一种聚脲喷涂保温板复合金刚砂涂层滚砂连续生产线
CN211160374U (zh) 一种轨道板脱模剂喷涂设备
CN109356619B (zh) 一种新型混凝土模喷设备
CN207857223U (zh) 一种新型胶管粘合层在线喷涂装置
CN220267135U (zh) 一种墙面粉刷装置
CN110886372A (zh) 一种水泥砂浆自动涂抹机
CN220238979U (zh) 一种钢结构施工用喷漆装置
CN215254301U (zh) 一种粉墙装修用滚筒刷
CN117259094B (zh) 抽油泵泵筒外表面喷漆加工装置
CN219865041U (zh) 一种隧道内面喷浆行进车
CN212406181U (zh) 一种高层建筑施工机器人
CN113216567B (zh) 一种室内屋顶抹灰机及方法
CN111495701B (zh) 纺织面料与珠光胶涂覆装置
CN220111434U (zh) 一种球阀阀芯喷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368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07906.9

Country of ref document: C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523441334

Country of ref document: SA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368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