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07982A1 -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07982A1
WO2022107982A1 PCT/KR2020/017815 KR2020017815W WO2022107982A1 WO 2022107982 A1 WO2022107982 A1 WO 2022107982A1 KR 2020017815 W KR2020017815 W KR 2020017815W WO 2022107982 A1 WO2022107982 A1 WO 202210798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and
dust
unit
discharged
foreig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8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김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완 filed Critical 김태완
Publication of WO202210798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079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5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using material mover cooperating with retainer, deflector or discharg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sand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from pet sand required when raising pets.
  • dogs and cats were bred for the purpose of trading, and they were bred in a certain place outdoors instead of in an indoor space.
  • pet animals such as dogs and cats are expanding as a means to get closeness to nature and animals in the city center, to know nature through commun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 the demand for pets in various ways is increasing gradually.
  • Cats unlike other pets, have a characteristic of burying their poop in the sand when pooping or urinating, so sand (aka cat sand) is essential for this purpose, and without sand, smooth bowel movements cannot be achieved.
  • sand aka cat san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from pet sand to prevent dust from scattering or foreign substances flying from the sand used.
  •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san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ransfer unit when transferring the sand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 a dust suction means is provided at a point where a lot of dust can be generated as the sand moves, including a transfer unit that returns the sand after transferring it, and a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that separat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sand. It also aims to prevent
  • the purpose is to measure sand so that several people can work at the same time in various fields at the time of packing.
  • a sand bag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upper part, and the sand inside is discharged while the sand bag is inserted, and the sand discharge part is discharged to the transfer outlet at the bottom;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outlet and has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discharged sand is seated, and a transfer unit that transfers the settled sand to the other side, discharges it, and repeats the return, and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unit
  • a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and discharg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nd separating the dust from the sand through vibration, a dust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dust generated from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and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ar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du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etering unit that receives the separated sand and supplies it by measuring a predetermined amount.
  • the sand discharging unit includes a support leg, a body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leg, an upper open side, an inner side inclined, and a transport outlet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upper open surface of the body a support frame comprising a plurality of frames crossing the sand bag and supporting the sand bag; characterized in that
  • the fixed discharge member includes a vertical body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and inclined so that the cross s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is widened, and a discharge groov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body and through which the sand in the sand bag moves and is discharg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 the transfer unit is installed such that one side is provided under the sand discharging unit, the other side is formed adjacent to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unit, and a portion of the driving roller formed on both sides is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and a conveyance belt whose movement direction is revers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roller, and rotatably arranged with a gap between the driving rollers and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veying belt, the width of the conveying belt being divided into equal par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riven roller supported on both sides by dividing.
  • the conveying belt includes a conveying section from a driving roller on one side of which s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o a driving roller on the other side from which sand is discharged, and a driving roller on the other side from which s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belt.
  • the return section up to the roller is operated indefinitely, but the driven roller is disposed in the conveyance section to support the conveyance belt, and a pair of the first driven rollers are inclined in a concave shape to make the surface of the conveying belt in a concave shape.
  • It is disposed in the return section to support the conveyance belt and maintain ten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driven roller that is arranged side by side in a flat form.
  • a flattening member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and discharging part and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surface of the conveying belt to evenly spread the conveyed sand on the surface of the conveying belt is further provided.
  •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is provided in a separation space where the main frame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nd the upper end are closed, and the sand provided from the conveying unit is transported forward, and contains dust through vibration.
  • Separation and discharge means for scattering and dropping foreign substances to separate them from the s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reign material receptor for receiving the foreign material includ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and and to be discharged to one side.
  • the separating and discharging means is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toward the front, and the sand discharged from the transfer unit is moved after being seated,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downward; I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orous network to prevent lateral deviation of the sand, and a side wall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on the outside thereof, and extending inward from the main fram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a support frame formed, a guide member formed under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a lower end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to constrain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receiver, and the guide member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receiver
  • An elastic body that is provided to contain and generates vibration while repeating compression and extension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and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ide wall, and an asymmetric protrusion surfac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protrusion surface is rota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body that provides a
  • the metering unit includes a metering body provided adjacent to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to receive sand from which dust has been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and transport it to the lower side through the inside to discharge the sand to the metering out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interior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a metering conveyor which is separately installed rotatab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etering outlet formed for each of the divided spaces to discharge the san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to the outside.
  • a shock absorbing member is provided on one surface to absorb the shock through the collision of the sand and a breakage preventing member for smoothing the descent angle is further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 a dust suction means is provided at a point where a lot of dust can be generated as the sand moves, including a transfer unit that returns the sand after transferring it, and a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that separat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s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it from happening.
  • FIG.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sand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for p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a) is a view showing the conveying belt support form of the first driven roller among the cut-away cross-sections in the A-A' direction of the conveying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b) is A- of the conveying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except for those that cover the inside so that the inside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ecked.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state in which sand is provided from a transfer unit to a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in FIG. 1 .
  •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for flattening the sand on the conveying belt in Figure 1;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sand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from pet sand required when raising pets.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pet sand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a) is a first driven roller of the cut-away section in the A-A' direction of the conveying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conveying belt support form
  • (b) is a view showing the conveying belt supporting form of the second driven roller among the cut-away cross-sections in the A-A' direction of the conveying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It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veying part
  • FIG. 4 is an enlarged view excluding those that cover the inside so that the inside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ecked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improved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the conveying part in FIG. It is an enlarged view of a state in which sand is provided to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from the
  • the sand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for pets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sand discharge unit 100 , a transfer unit 200 , a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300 , a dust discharge unit 400 , and a metering unit 500 .
  • a sand bag (P)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and fixed, and the sand inside is discharged with the sand bag (P) inserted and discharged to the lower transfer outlet (not shown). .
  • the sand bag (P) may store sand therein,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cut or penetrat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sharp or pointed object. However,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high-tensi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slowed down as much as possible from being touched or torn by the load of sand.
  • the sand discharging unit 100 includes a supporting leg 110 , a body 120 , a supporting frame 130 , and a fixed discharging member 140 .
  • the support leg 11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but in one embodiment is shown to be provided at the corner point of the squa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ody 120 is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leg 110 , the upper part is opened, the inner surface is made inclined, and the transfer outlet (not shown) is formed at the lower part, and the sand flowing into the body 120 .
  • the transfer outlet (not shown)
  • it sits on an internal slope, moves along the slope, and passes through the transfer outlet (not shown).
  • the support frame 13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s crossing the upper open surface 131 of the body 120 to support the sand bag P.
  • a frame that crosses the open surface 131 of the body 120 back and forth and is branch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and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20 , through which the body 120 open surface
  • the sand bag (P) is able to distribute and discharge the sand while distributing the load when it is seated on the top.
  • the fixed discharge member 14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30, and the sand bag P is inserted therethrough to discharge the sand in the sand bag P at the same time as it is fixed.
  • the fixed discharge member 140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body 141 and the vertical body 141, which is formed in a radial shape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and is inclined so that the cross s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is widened, and the sand ba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ischarge groove 142 through which the sand in (P) moves and is discharged, and is similar in shape to a Phillips screwdriver.
  •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20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outlet (not shown) to form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discharged sand is seated.
  • the conveying unit 200 includes a driving roller 210 , a conveying belt 220 and a driven roller 230 .
  • One side of the driving roller 210 is provided under the sand discharging unit 100 ,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adjacent to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unit 300 , and includes a front and rear pair.
  • the driving roller 210 on one side is located at the lower rear end of the transfer outlet (not shown) and transfers all of the san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ransfer outlet (not show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belt 220 to be described later. It should be positioned so that it can be seated.
  • the conveying belt 220 is installed so that a part of the driving roller 210 formed on both sides is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and the movement direction is reversed based on the driving roller 210 .
  • the sand is seated in the sand discharging unit 100, the seated sand is transported forward and discharged, and after discharging, the sand is rotated based on the driving roller 210 in the front and back toward the sand discharging unit 100 again. is moved to
  • the driven roller 230 is rotatably arranged with an interval between the driving rollers 210 and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20, and the width of the conveyance belt 220 is divided equally. This will support both sides.
  • the conveying belt 220 includes a conveying section S1 from one driving roller 210 on which s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o the other driving roller 210 through which sand is discharged, and the other side from which sand is discharged.
  • the return section S2 from the driving roller 210 to the driving roller 210 on one side on which the s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is operated indefinitely.
  • the forward operation section of the transfer belt 220 is referred to as the transfer section (S1)
  • the rear operation section is referred to as the return section (S2).
  • the driven roller 230 is divided into a first driven roller 231 and a second driven roller 232 .
  • the first driven roller 231 is disposed in the conveying section S1 to support the conveying belt 220, and a pair of them is inclined in a concave shape to make the surface of the conveying belt 220 in a concave shape to form an upper surface. It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sand seated on the transfer belt 220 from escaping.
  • the second driven roller 232 is disposed in the return section S2 and arranged side by side in a flat shape to support the conveyance belt 220 .
  • the foreign material separator 3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unit 200 to receive the sand discharged through the transfer unit 200 and separate the dust from the sand through vibration.
  • the dust does not simply refer to scattered dust, but includes foreign substances having a certain volume.
  •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300 includes a main frame 310 , a separation and discharge means 320 , a scattered dust suction body 330 , and a foreign material receiver 340 .
  • main frame 310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t is preferable that four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square for stability when supported.
  • the separating and discharging means 320 is provided in the separation space closed at both sides and the top of the main frame 310, and transfers the sand provided from the transfer unit 200 forward, and a foreign material containing dust through vibration. is separated from the sand by scattering and dropping.
  • the porous mesh body 321, the side wall 322, the support protrusion 323, the guide member 324, the elastic body 325 and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body 326 are provided. made including
  • the porous mesh body 321 is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sand discharged from the transfer unit 200 is seated and then moved,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to the lower portion.
  • the discharge hole should be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and so that dust or foreign substances other than the sand can be discharged.
  • an arrangement plate tha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30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unit 200 so that the transferred sand collides and sits flat on the top of the porous mesh body 321 in a flattened state. (327)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side wall 322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orous mesh body 321 to prevent lateral deviation of the sand, and a receiving port 20 in which an insertion hole 21 is formed is provided on the outside.
  • the support protrusion 323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main frame 3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hole 20 .
  • the guide member 32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323 , and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member 324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21 to constrain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20 .
  • the elastic body 325 is provided to contain the guide member 324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323 and the receiving port 20, and repeats compression and extension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to generate vibration.
  • the side wall ( 322) A periodic external force is provided to the elastic body 325 through repetition of periodic pressing and releasing of the lower portion.
  •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body 326 provides external force is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bar 328 cros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322 and rotational power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bar 328 to rotate. It is made to include a sieve 329 . As the external force transfer bar 328 rotates, the external force transfer bar 328 rotates in conjunction and periodically repeats the operation of pushing up the lower part of the side wall 322 to the upper part, and the side wall 322 is pushed up.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fter being compressed, the elastic body 325 is re-stretch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porous network body 321 can be vibrated.
  • the scattered dust suction body 330 is provided on the separation space to suck the scattered dust through the separation and discharge means 320 .
  • the foreign material receptor 340 is provided under the separation and discharge means 320 to receive foreign materials including dust separated from the sand and falling, and to be discharged to one side.
  • the dust discharge unit 400 discharges the dust generated by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300 .
  • the dust discharging unit 400 operates through a motor, and it sucks and stores scattered dust,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a driving roller in the front, not by sucking and discharging only the dust generated from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unit 300 .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210 and in the front of the breakage prevention body 7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uck the dust scattered or buried by being installed in the transfer path or at the point immediately after discharging the sand.
  • the metering unit 50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300 to receive sand from which dust has been separated, and to measure and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sand.
  • the metering unit 500 includes a metering body 510 , a bulkhead 520 , and a metering conveyor 530 .
  • the metering body 51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300 to receive sand from which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300 and transport it to the lower side through the inside to the metering outlet 511. drain the sand
  • the partition wall 520 divides the inside of the measuring body 510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thus the weighing outlet 511 is also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 the metering conveyor 530 is formed for each compartment and is individually installed rotatab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etering outlet 511 to discharge the san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to the outside.
  • a certain amount of the sand which is seated and moved on the upper part of the weighing conveyor 5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interference with the end of the weighing outlet 511, and the weighing conveyor 530 operates according to the time setting. Through the repetition of a certain amount of sand is discharged and metered.
  • the sand delivered through the breakage prevention body 7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passes through the separation hole and is discharged to the bottom. , and then separated and collected by the user.
  • a shock absorbing member 710 is provided on one surface to absorb shock through the collision of the sand and the angle of descent.
  • a breakage preventing body 700 that softens the can be further provided.
  •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breakage prevention body 700 is to keep the flow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sand as the front end is inclined in a drooping shape towar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and, and to make the descending curve due to its own weight more gentle.
  • the speed reducing member 800 made of a cloth material for preventing damage by slowing the movement speed of the sand provided from the porous mesh body 321 together with the damage prevention body 700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deceleration member 80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porous mesh body 321 so that the sand hits the deceleration member 800, the advance speed is slowed, and the descent angle is smoothed by hitting the damage prevention body 700 agai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sand over the second time.
  • a flattening member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and discharging part 100 and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surface of the conveying belt 220 to evenly spread the conveyed sand on the surface of the conveying belt 220 . 600 may be further provided.
  • planarization separation space H between the end of the planarization member 600 and the transfer belt 220 is formed to a degree smaller than the sand particles.
  • the sand moves along the transfer belt 22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attening member 600 and presses the transfer belt 220 , and the pressurized transfer belt 220 . ) is pressed as it retains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can pass through the planarization separation space (H).
  • the san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lattening separation space H moves in a single-layer spread state, and thereafter, it is possible to bring about a higher effect in removing dust from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300 .
  • planarization member 600 i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and passing through the planarization separation space H may be damaged, a flexible cover member (not shown) is overlaid on the end of the planarization member 600 . It is possible At this time, the planarization separation space (H) between the cover member (not shown) and the transfer belt 220 should be formed to have the same spacing as described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ield of a pet sand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from pet sand required when raising p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포대가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래포대가 삽입된 상태로 내부의 모래가 배출되어 하부의 이송배출구로 배출되는 모래배출부와, 일측이 상기 이송배출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모래가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안착된 모래를 타측으로 이송 후 배출시킨 뒤 복귀를 반복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타측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모래를 제공받아 진동을 통하여 상기 모래로부터 먼지를 분리시키는 이물질분리부와, 상기 이물질분리부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배출시키는 먼지배출부 및 상기 이물질분리부와 연접하게 구비되어 먼지가 분리된 모래를 제공받아 일정량만큼 계량하여 공급하는 계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애완동물용 모래에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되는 모래로부터 먼지가 비산하거나 이물질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먼지 등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모래를 이송시 이송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래를 계량하여 포장시 다방면에서 동시에 여러명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키울 때 필요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에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정이 늘어나고 고독사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이 고독을 해결하고자 애완견, 애완묘를 기르는 가정이 매우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물론, 고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닌 사회 내에서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것이 차츰 일상화 되는 사회적 분위기를 통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예전에는 개, 고양이는 매매를 목적으로 사육하였으며, 실내공간에서 사육하지 않고 실외 일정한 장소에 우리를 설정하여 사육하였으나, 현대사회는 개, 고양이를 비롯한 애완동물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단순한 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도심속에서 자연과 동물의 친근함을 얻고 교감을 통해 자연을 알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을 개, 고양이와 같은 애완용 동물이 확대되고 있으며, 동물애호가나 마니아에 의해 다각적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점증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고양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집과 음식 및 기타 도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음식과 동물 우리의 경우에는 동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사료와 우리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고양이의 경우에는 다른 애완동물과는 다르게 대, 소변시 용변을 모래에 묻어버리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위한 모래(일명 고양이 모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모래가 없으면 원활한 용변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모래를 파헤치거나 공급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함유되어 공기중에 비산되어 흡입하게 되어 기관지나 폐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대기환경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는 현재에 이를 극복하고자 가정에서는 창문을 닫고 공기청정기를 틀고 지내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실내공기의 질을 중요시하며, 소비자가 모래를 구매 후 먼지를 분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공급 또는 판매 전에 먼지가 제거된 모래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먼지가 제거된 모래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장과 같은 작업장에서 기계장치를 통하여 먼지 제거가 진행이 되는데, 모래 재료를 사와서 붙고, 옮기고, 먼지분리하고, 먼지제거된 모래를 일정량으로 개량을 진행시 작업현장에 아주 많은 량의 모래가 발생하게 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헤치는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이물질 제거 장치의 작동시 발생하는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 또는 배출시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래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전체 모래의 이탈이나 파손없이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먼지가 제거된 모래를 정량으로 배출시켜 포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용 모래에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되는 모래로부터 먼지가 비산하거나 이물질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먼지 등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모래를 이송시 이송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래를 이송 뒤 복귀하는 이송부와, 모래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분리부를 포함하여 모래가 이동하며 먼지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지점에 먼지흡입수단을 구비하여 작업환경에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래를 계량하여 포장시 다방면에서 동시에 여러명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래포대가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래포대가 삽입된 상태로 내부의 모래가 배출되어 하부의 이송배출구로 배출되는 모래배출부와, 일측이 상기 이송배출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모래가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안착된 모래를 타측으로 이송 후 배출시킨 뒤 복귀를 반복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타측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모래를 제공받아 진동을 통하여 상기 모래로부터 먼지를 분리시키는 이물질분리부와, 상기 이물질분리부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배출시키는 먼지배출부 및 상기 이물질분리부와 연접하게 구비되어 먼지가 분리된 모래를 제공받아 일정량만큼 계량하여 공급하는 계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래배출부는, 지지레그와, 상기 지지레그에 고정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지며 하부에 이송배출구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의 상부 개방면을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모래포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래포대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과 동시에 상기 모래포대 내의 모래를 배출시키는 고정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배출부재는, 상단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단면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수직몸체와, 상기 수직몸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모래포대 내의 모래가 이동하여 배출되는 배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일측이 상기 모래배출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타측이 상기 이물질분리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구동롤러와,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롤러의 일부가 내측면에 둘러쌓여지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를 기준으로 이동방향이 역전되는 이송벨트와, 상기 구동롤러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되, 상기 이송벨트의 폭을 등분할하여 양측으로 지지하는 종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벨트는, 모래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일측의 구동롤러부터 모래가 배출되는 타측의 구동롤러까지인 이송구간과, 모래가 배출된 타측의 구동롤러부터 모래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일측의 구동롤러까지인 복귀구간을 무한 동작하되, 상기 종동롤러는, 상기 이송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지지하며, 한 쌍이 오목한 형태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상기 이송벨트의 표면을 오목한 형태로 만드는 제1종동롤러와, 상기 복귀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지지하며 장력을 유지하며, 평평한 형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종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래배출부의 전단에 형성되며, 오목한 형태의 상기 이송벨트의 표면과 대응되는 호 형태로 이루어져 이송되는 모래를 상기 이송벨트의 표면에 골고루 펼치는 평탄화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분리부는, 지면에 수직으로 이격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 양측면과 상단이 폐쇄된 분리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에서 제공되는 모래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되, 진동을 통하여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비산 및 낙하시켜 상기 모래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배출수단과, 상기 분리공간 상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배출수단을 통하여 비산하는 먼지를 흡입하는 비산먼지흡입체와, 상기 분리배출수단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래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용하여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물질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배출수단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배출되는 모래가 안착 후 이동되며,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다공망체와, 상기 다공망체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래의 측방이탈을 방지하며, 외측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용구가 구비되는 측벽과,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내향하도록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구의 상부 에 이격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단 일부가 상기 삽입홀을 관통 삽입되어 상기 수용구의 동작방향을 구속시키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용구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부재를 내포하도록 구비되어 외력에 따라 압축 및 신장을 반복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탄성체와, 상기 측벽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둘레면을 따라 비대칭 돌출면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측벽 하부에 주기적인 가압과 해제의 반복을 통하여 상기 탄성체에 주기적인 외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전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량부는, 상기 이물질분리부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분리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모래를 제공받아 내부를 거쳐 하부 일측으로 이송시켜 계량배출구로 상기 모래를 배출하는 계량몸체와, 상기 계량몸체의 내부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격벽과, 상기 구획 공간 별 형성되는 상기 계량배출구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개별 설치되어 상부에 안착된 모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계량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량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상기 모래는 상기 계량배출구의 단부와의 간섭에 따라 일정량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계량컨베이어는 시간 설정에 따른 동작의 반복을 통하여 일정량의 모래를 계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를 거쳐 상기 계량부로 배출되는 모래의 이동라인 상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일면에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모래의 충돌을 통한 충격흡수 및 하강각도를 완만하게 하는 파손방지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애완동물용 모래에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되는 모래로부터 먼지가 비산하거나 이물질이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먼지 등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모래를 이송시 이송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래를 이송 뒤 복귀하는 이송부와, 모래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분리부를 포함하여 모래가 이동하며 먼지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지점에 먼지흡입수단을 구비하여 작업환경에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래를 계량하여 포장시 다방면에서 동시에 여러명이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벨트의 A-A'방향의 절개단면 중 제1종동롤러의 이송벨트 지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벨트의 A-A'방향의 절개단면 중 제2종동롤러의 이송벨트 지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분리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를 가리는 것들을 제외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부의 확대도.
도 6은 도 1에서 이송부로부터 이물질분리부로 모래가 제공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도 1에서 이송벨트에 모래의 평탄화를 위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키울 때 필요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에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애완동물용 모래에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되는 모래로부터 먼지가 비산하거나 이물질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먼지 등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모래를 이송시 이송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래를 계량하여 포장시 다방면에서 동시에 여러명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벨트의 A-A'방향의 절개단면 중 제1종동롤러의 이송벨트 지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벨트의 A-A'방향의 절개단면 중 제2종동롤러의 이송벨트 지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분리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를 가리는 것들을 제외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부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이송부로부터 이물질분리부로 모래가 제공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서 이송벨트에 모래의 평탄화를 위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후 모래가 이송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는 크게 모래배출부(100), 이송부(200), 이물질분리부(300), 먼지배출부(400) 및 계량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모래배출부(100)는 모래포대(P)가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래포대(P)가 삽입된 상태로 내부의 모래가 배출되어 하부의 이송배출구(미도시)로 배출된다.
상기 모래포대(P)는 내부에 모래를 저장할 수 있으며 날카롭거나 뾰족한 물건을 통하여 외부에서 절개나 관통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고인장력 재질로 이루어져 모래의 하중에 의하여 터치거나 찢어지는 것을 최대한 늦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래배출부(100)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레그(110), 바디(120), 지지프레임(130) 및 고정배출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레그(110)는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되, 일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모서리 지점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바디(120)는 상기 지지레그(110)에 고정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지며 하부에 이송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되, 상기 바디(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모래가 이송배출구(미도시)를 곧장 통과하는 것이 아닌 내부의 경사면에 안착되어 경사면을 따라 이동 후 이송배출구(미도시)를 통과하게 됨에 따라 모래가 낙하하며 가해지는 충격량을 줄여주어 모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상기 바디(12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120)의 상부 개방면(131)을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모래포대(P)를 지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120)의 개방면(131)을 전후로 가로지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바디(120)의 측면에 결합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바디(120) 개방면(131)을 복수 개로 구획시킴에 따라 모래포대(P)가 상부에 안착시 하중분산과 더불어 모래를 분산시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배출부재(140)는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래포대(P)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과 동시에 상기 모래포대(P) 내의 모래를 배출시킨다.
상기 고정배출부재(140)는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상부에 1개만 형성되도록 도시되었으나, 모래포대(P)의 부피 및 상기 바디(120)의 수용용량을 감안하여 여러 개를 형성시켜 안착 안정감을 높일 수 있고 모래 배출량을 늘릴 수 있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배출부재(140)는 상단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단면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수직몸체(141)와, 상기 수직몸체(14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모래포대(P) 내의 모래가 이동하여 배출되는 배출홈(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십자 드라이버와의 형상과 유사하다.
상기 이송부(200)는 일측이 상기 이송배출구(미도시)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모래가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안착된 모래를 타측으로 이송 후 배출시킨 뒤 복귀를 반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송부(200)는 구동롤러(210), 이송벨트(220) 및 종동롤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롤러(210)는 일측이 상기 모래배출부(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타측이 상기 이물질분리부(300)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측의 상기 구동롤러(210)는 상기 이송배출구(미도시)의 하부 후단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배출구(미도시)를 통과한 모래 모두를 이후 설명될 이송벨트(220)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이송벨트(220)는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롤러(210)의 일부가 내측면에 둘러쌓여지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210)를 기준으로 이동방향이 역전된다.
즉, 상기 모래배출부(100)에서 모래가 안착되고, 안착된 모래를 전방으로 이송하여 배출시키고, 배출 후 전방의 구동롤러(21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다시 모래배출부(100)를 향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종동롤러(230)는 상기 구동롤러(210)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이송벨트(2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되, 상기 이송벨트(220)의 폭을 등분할하여 양측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220)는 모래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일측의 구동롤러(210)부터 모래가 배출되는 타측의 구동롤러(210)까지인 이송구간(S1)과, 모래가 배출된 타측의 구동롤러(210)부터 모래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일측의 구동롤러(210)까지인 복귀구간(S2)을 무한 동작한다.
즉, 상기 이송벨트(220)의 전방 동작 구간을 이송구간(S1)으로 하고, 후방 동작 구간을 복귀구간(S2)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동롤러(230)는 제1종동롤러(231)와 제2종동롤러(232)로 구분된다.
상기 제1종동롤러(231)는 상기 이송구간(S1)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220)를 지지하며, 한 쌍이 오목한 형태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상기 이송벨트(220)의 표면을 오목한 형태로 만들어 상부 표면에 안착된 모래가 이송벨트(2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종동롤러(232)는 상기 복귀구간(S2)에 배치되고 평평한 형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220)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물질분리부(300)는 상기 이송부(200)의 타측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2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모래를 제공받아 진동을 통하여 상기 모래로부터 먼지를 분리시킨다.
이때, 먼지는 단순 비산하는 먼지를 말하는 것이 아닌 일정 부피를 가지는 이물질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물질분리부(300)는 메인프레임(310), 분리배출수단(320), 비산먼지흡입체(330), 이물질수용체(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프레임(310)은 지면에 수직으로 이격 설치되도, 지지시 안정감을 위하여 사각 모서리 지점에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배출수단(320)은 상기 메인프레임(310) 상부 양측면과 상단이 폐쇄된 분리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200)에서 제공되는 모래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되, 진동을 통하여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비산 및 낙하시켜 상기 모래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분리배출수단(32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공망체(321), 측벽(322), 지지돌출구(323), 가이드부재(324), 탄성체(325) 및 회전동력전달체(3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공망체(321)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200)에서 배출되는 모래가 안착 후 이동되며,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공은 모래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모래를 제외한 먼지나 이물질을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이송부(200)의 타측단과 인접하도록 상기 이물질분리부(3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모래가 부딛히며 상기 다공망체(321)의 상부에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하는 배열판(32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벽(322)은 상기 다공망체(321)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래의 측방이탈을 방지하며, 외측에는 삽입홀(21)이 형성되는 수용구(2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출구(323)는 상기 메인프레임(310)에서 내향하도록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구(20)의 상부에 이격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24)는 상기 지지돌출구(323)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단 일부가 상기 삽입홀(21)을 관통 삽입되어 상기 수용구(20)의 동작방향을 구속시킨다.
상기 탄성체(325)는 상기 지지돌출구(323)와 상기 수용구(20)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부재(324)를 내포하도록 구비되어 외력에 따라 압축 및 신장을 반복하며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회전동력전달체(326)가 외력을 제공하는 일실시예는 상기 측벽(32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둘레면을 따라 비대칭 돌출면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측벽(322) 하부에 주기적인 가압과 해제의 반복을 통하여 상기 탄성체(325)에 주기적인 외력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동력전달체(326)가 외력을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는 상기 측벽(322)의 하부를 가로지르는 외력전달바(328)와, 상기 외력전달바(328)의 양측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동력체(329)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외력전달바(328)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외력전달바(328)가 연동하여 회전하며 측벽(322)의 하부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게 되고, 측벽(322)이 밀어올려지며 탄성체(325)는 압축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신장되며 상기 다공망체(321)를 진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산먼지흡입체(330)는 상기 분리공간 상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배출수단(320)을 통하여 비산하는 먼지를 흡입한다.
상기 이물질수용체(340)는 상기 분리배출수단(32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래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용하여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먼지배출부(400)는 상기 이물질분리부(300)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먼지배출부(400)는 모터를 통하여 작동하며, 비산하는 먼지를 흡입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설치 위치는 이물질분리부(300)에서 발생되는 먼지만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것이 아닌 전방의 구동롤러(210)의 하부와 이후 설명될 파손방지체(700)의 전방에 구비되어 모래가 이송경로 또는 모래를 배출 직후의 지점에 설치되어 비산되거나 묻어있는 먼지를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계량부(500)는 상기 이물질분리부(300)와 연접하게 구비되어 먼지가 분리된 모래를 제공받아 일정량만큼 계량하여 공급한다.
이때, 상기 계량부(500)는 계량몸체(510), 격벽(520), 계량컨베이어(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계량몸체(510)는 상기 이물질분리부(300)와 연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분리부(300)에서 먼지가 분리된 모래를 제공받아 내부를 거쳐 하부 일측으로 이송시켜 계량배출구(511)로 상기 모래를 배출한다.
상기 격벽(520)은 상기 계량몸체(510)의 내부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계량배출구(511)도 복수 개로 구획된다.
상기 계량컨베이어(530)는 상기 구획 공간 별 형성되고 상기 계량배출구(5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개별 설치되어 상부에 안착된 모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계량컨베이어(530)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상기 모래는 상기 계량배출구(511)의 단부와의 간섭에 따라 일정량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계량컨베이어(530)는 시간 설정에 따른 동작의 반복을 통하여 일정량의 모래를 배출 계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계량부(500)의 상부에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모래의 평균 입자크기보다 큰 분리홀이 형성되는 분리철망을 더 형성함으로써 모래의 평균 입자보다 큰 모래를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아래에서 설명될 파손방지체(700)를 거쳐 전달되는 모래가 분리홀을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평균 모래입자보다 큰 모래의 경우 분리홀을 통과하지 못하여 분리철망의 위에 남겨지게 되고,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분리 수거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200)를 거쳐 상기 계량부(500)로 배출되는 모래의 이동경로 상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일면에 충격흡수부재(710)가 구비되어 상기 모래의 충돌을 통한 충격흡수 및 하강각도를 완만하게 하는 파손방지체(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손방지체(700)의 경사진 방향은 모래의 이동방향을 향하여 전단부가 처진 형태로 경사져 모래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흐름을 유지하며 자중에 의한 하강곡선을 좀 더 완만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손방지체(700)와 더불어 상기 다공망체(321)로부터 제공되는 모래의 이동속도를 늦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천 재질로 이루어진 감속부재(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속부재(800)는 상기 다공망체(321)의 전단에 구비되어 모래가 상기 감속부재(800)에 부딛히며 진출속도가 늦춰지고 상기 파손방지체(700)에 다시 부딛히며 하강각도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모래의 파손을 2차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모래배출부(100)의 전단에 형성되며, 오목한 형태의 상기 이송벨트(220)의 표면과 대응되는 호 형태로 이루어져 이송되는 모래를 상기 이송벨트(220)의 표면에 골고루 펼치는 평탄화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탄화부재(600)의 단부와 이송벨트(220) 간의 평탄화 이격공간(H)은 모래입자보다 작은 정도로 형성된다.
이때, 모래가 평탄화 이격공간(H)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모래가 이송벨트(220)를 타고 이동하며 상기 평탄화부재(600)와 접촉 후 이송벨트(220)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이송벨트(220)는 소정의 탄력성을 보유함에 따라 눌려지며 평탄화 이격공간(H)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평탄화 이격공간(H)을 통과한 모래는 단층으로 펼쳐진 상태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후 이물질분리부(300)에서 먼지제거에 더욱 높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평탄화부재(600)는 경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평탄화 이격공간(H)을 통과하는 모래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평탄화부재(600)의 단부에 연성의 커버부재(미도시)를 덧씌우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미도시)와 이송벨트(220) 간 평탄화 이격공간(H)은 전술된 것과 같이 동일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키울 때 필요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에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분야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11)

  1. 모래포대가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래포대가 삽입된 상태로 내부의 모래가 배출되어 하부의 이송배출구로 배출되는 모래배출부;
    일측이 상기 이송배출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모래가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안착된 모래를 타측으로 이송 후 배출시킨 뒤 복귀를 반복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타측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모래를 제공받아 진동을 통하여 상기 모래로부터 먼지를 분리시키는 이물질분리부;
    상기 이물질분리부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배출시키는 먼지배출부;
    상기 이물질분리부와 연접하게 구비되어 먼지가 분리된 모래를 제공받아 일정량만큼 계량하여 공급하는 계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배출부는,
    지지레그;
    상기 지지레그에 고정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지며 하부에 이송배출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의 상부 개방면을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모래포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래포대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과 동시에 상기 모래포대 내의 모래를 배출시키는 고정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배출부재는,
    상단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단면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수직몸체;
    상기 수직몸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모래포대 내의 모래가 이동하여 배출되는 배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일측이 상기 모래배출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타측이 상기 이물질분리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구동롤러;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롤러의 일부가 내측면에 둘러쌓여지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를 기준으로 이동방향이 역전되는 이송벨트;
    상기 구동롤러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되, 상기 이송벨트의 폭을 등분할하여 양측으로 지지하는 종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모래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일측의 구동롤러부터 모래가 배출되는 타측의 구동롤러까지인 이송구간과, 모래가 배출된 타측의 구동롤러부터 모래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일측의 구동롤러까지인 복귀구간을 무한 동작하되,
    상기 종동롤러는,
    상기 이송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지지하며, 한 쌍이 오목한 형태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상기 이송벨트의 표면을 오목한 형태로 만드는 제1종동롤러;
    상기 복귀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지지하며 장력을 유지하며, 평평한 형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종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배출부의 전단에 형성되며, 오목한 형태의 상기 이송벨트의 표면과 대응되는 호 형태로 이루어져 이송되는 모래를 상기 이송벨트의 표면에 골고루 펼치는 평탄화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분리부는,
    지면에 수직으로 이격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 양측면과 상단이 폐쇄된 분리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에서 제공되는 모래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되, 진동을 통하여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비산 및 낙하시켜 상기 모래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배출수단;
    상기 분리공간 상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배출수단을 통하여 비산하는 먼지를 흡입하는 비산먼지흡입체;
    상기 분리배출수단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래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용하여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물질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배출수단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배출되는 모래가 안착 후 이동되며,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다공망체;
    상기 다공망체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래의 측방이탈을 방지하며, 외측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용구가 구비되는 측벽;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내향하도록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구의 상부 에 이격형성되는 지지돌출구;
    상기 지지돌출구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단 일부가 상기 삽입홀을 관통 삽입되어 상기 수용구의 동작방향을 구속시키는 가이드부재;
    상기 지지돌출구와 상기 수용구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부재를 내포하도록 구비되어 외력에 따라 압축 및 신장을 반복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상기 측벽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둘레면을 따라 비대칭 돌출면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측벽 하부에 주기적인 가압과 해제의 반복을 통하여 상기 탄성체에 주기적인 외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전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부는,
    상기 이물질분리부와 연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분리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모래를 제공받아 내부를 거쳐 하부 일측으로 이송시켜 계량배출구로 상기 모래를 배출하는 계량몸체;
    상기 계량몸체의 내부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격벽;
    상기 구획 공간 별 형성되는 상기 계량배출구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개별 설치되어 상부에 안착된 모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계량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상기 모래는 상기 계량배출구의 단부와의 간섭에 따라 일정량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계량컨베이어는 시간 설정에 따른 동작의 반복을 통하여 일정량의 모래를 계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를 거쳐 상기 계량부로 배출되는 모래의 이동라인 상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일면에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모래의 충돌을 통한 충격흡수 및 하강각도를 완만하게 하는 파손방지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PCT/KR2020/017815 2020-11-20 2020-12-08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WO202210798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70A KR102473500B1 (ko) 2020-11-20 2020-11-20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20-0156170 2020-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7982A1 true WO2022107982A1 (ko) 2022-05-27

Family

ID=8170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815 WO2022107982A1 (ko) 2020-11-20 2020-12-08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3500B1 (ko)
WO (1) WO202210798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135A (ja) * 1994-11-28 1996-06-04 Sumitomo Metal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9990074659A (ko) * 1998-03-12 1999-10-05 민병률 제설재의 혼합 이송장치
KR20060085438A (ko) * 2005-01-24 2006-07-27 이명섭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78841B1 (ko) * 2008-01-02 2009-01-15 주식회사 이지엠 모래 및 골재의 선별처리시스템
KR101346130B1 (ko) * 2013-08-29 2013-12-31 주식회사 세형산업 포대 이송 및 절개수단을 갖는 저장탱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423B1 (ko) * 2011-04-13 2013-05-10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파쇄 장치
KR101983757B1 (ko) * 2017-03-30 2019-05-29 주식회사 비씨제이텍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135A (ja) * 1994-11-28 1996-06-04 Sumitomo Metal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9990074659A (ko) * 1998-03-12 1999-10-05 민병률 제설재의 혼합 이송장치
KR20060085438A (ko) * 2005-01-24 2006-07-27 이명섭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78841B1 (ko) * 2008-01-02 2009-01-15 주식회사 이지엠 모래 및 골재의 선별처리시스템
KR101346130B1 (ko) * 2013-08-29 2013-12-31 주식회사 세형산업 포대 이송 및 절개수단을 갖는 저장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242A (ko) 2022-05-27
KR102473500B1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1674A (en) Continuous clean bag filter apparatus and method
EP0739657A1 (en) Separatio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valuables from defective goods such as paper diaper, and separation method
JPS621545B2 (ko)
CN1487847A (zh) 个人便携式空气净化器
WO2022107982A1 (ko)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HU204449B (en) Apparatus for separating granule-mixtures
CN110884810A (zh) 一种垃圾回收自动分类压缩存储转运设备
CA2486054A1 (en) Multiple inser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CN109277282A (zh) 一种马铃薯分拣平台
CN220346541U (zh) 一种硅藻土气流分级机
CN210186667U (zh) 移动式脉冲除尘器
CN208177901U (zh) 药材色选系统
CN209139183U (zh) 一种环保粮食除尘装置
CN109436436B (zh) 一种隔离分区式格栅输送系统
CA1324772C (en) Integrated dust containment system for rotary crusher/breakers and the like
JP2002096918A (ja) ベルトコンベアの防塵装置
US4337866A (en) Mail sorting apparatus and system
JPH05169045A (ja) ゴミ選別仕分け回収装置
CN210064564U (zh) 一种封闭式卸粮机
CN213855732U (zh) 一种用于小麦分离杂质的高效净化防堵吸风分离器
CN214609982U (zh) 一种可防止灰尘散逸的砂石运输设备
CN220496983U (zh) 一种高效的筛分装置
CN213079139U (zh) 一种高效的中药筛选装置
CN214877877U (zh) 一种具有物料筛分功能的输送线
CN211140849U (zh) 一种粉料生产系统的出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625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625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