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757B1 -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757B1
KR101983757B1 KR1020170040801A KR20170040801A KR101983757B1 KR 101983757 B1 KR101983757 B1 KR 101983757B1 KR 1020170040801 A KR1020170040801 A KR 1020170040801A KR 20170040801 A KR20170040801 A KR 20170040801A KR 101983757 B1 KR101983757 B1 KR 101983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filter
cyclone
present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897A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씨제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씨제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씨제이텍
Priority to KR102017004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75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6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in more than on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벤토나이트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저장부와, 위 모래를 흡입하는 싸이클론과, 위 싸이크론을 통하여 낙하되는 모래를 선별기로 투입하는 모래 공급부와, 위 모래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모래를 상부체망과 하부받침을 통해 걸러내는 선별기와, 위 선별기를 통해 걸러진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보관통과, 위 싸이크론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백필터 및 필터부와, 위 필터부 내부의 공기을 흡입할 수 있는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링브로워로 구성되어 고양이 모래를 선별함과 아울러 선별시 발생하는 분진을 모두 제거하여 모래 사용시에는 미세한 입자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Sand Sorting Manufacturing Equipment for Pet}
본 발명은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벤토나이트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저장부와, 위 모래를 흡입하는 싸이클론과, 위 싸이크론을 통하여 낙하되는 모래를 선별기로 투입하는 모래 공급부와, 위 모래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모래를 상부체망과 하부받침을 통해 걸러내는 선별기와, 위 선별기를 통해 걸러진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보관통과, 위 싸이크론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백필터 및 필터부와, 위 필터부 내부의 공기을 흡입할 수 있는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링브로워로 구성되어 고양이 모래를 선별함과 아울러 선별시 발생하는 분진을 모두 제거하여 모래 사용시에는 미세한 입자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물 애호가들의 견해를 들어보면 동물들로부터 위로를 얻기도 하고 기쁨도 얻기도 하면서 생활한다는 것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국내에서 사육하고 있는 애완동물들은 수백만 가정이상이 된다는 통계의 자료만 보아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람이 살아가기 위한 의식주(衣食住)가 기본적인 필수요소이며, 현대사회는 산업과 문명의 발달로 인해 도시화되어 자연에서 벗어나 인공적인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도시화된 인공적인 환경에서도 인간의 본능은 환경친화적이며 자연에 속하여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은 욕구가 절실하며, 핵가족화와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외면과 고독함과 외로움에 따른 우울증 등의 경제발전에 따른 사회적 모순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
예전의 농경사회에서는 개, 고양이는 물론, 햄스터, 고슴도치, 토끼 등과 같은 중소형 동물은 부족한 식(食)을 위해 사육되거나 또는, 매매를 목적으로 사육하였으나, 현재는 단순한 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도심속에서 자연과 동물의 친근함을 얻고 교감을 통해 자연을 알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을 애완용 동물이 확대되고 있으며, 동물애호가나 마니아에 의해 다각적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점증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현재, 다종의 애완동물이 일반가정이나 영업소 및 동물원이나 농장 등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특히, 고양이나 햄스터, 고슴도치, 토끼 등과 같은 중소형 동물은 동물이라는 개념을 넘어 가족이며 인생의 동반자의 역할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이다.
고양이나 햄스터, 고슴도치, 토끼 등과 같은 중소형 동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집과 음식 및 기타 도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음식과 동물 우리의 경우에는 동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사료와 우리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애완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생각하고 함께 살아가는 동반자로 취급되고 있으므로, 애완동물용 용품이 다각도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동물우리라는 개념이 단순히 가둬 기르고 잠자리를 위해 수단이 아니라, 인간과 마찬가지로 각종 놀이기구와 위생적이고 청결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화장실 공간, 사료공간, 잠자리 공간 등의 각종 편의시설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애완동물이 가족의 일원이며 동반자 역할을 수행한다고는 하지만, 지능이 낮고 동물의 본능에 충실하게 생활하게 되므로, 동물 특유의 세균과 냄새를 풍기게 되며, 대,소변이나 분비물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고, 분비물을 스스로 처리할 수 없으므로, 실내에서 사육되는 경우 각종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어 청결한 위생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가정의 실내에서 고양이, 강아지, 햄스터, 고슴도치, 토끼 등과 같은 애완동물을 우리에 가둬 기르는 과정에서, 우리 바닥에는 볏짚이나 갈대, 나무 톱밥 또는 모래, 펄프 모래 등으로 구성된 베딩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고양이의 경우에는 대,소변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명 고양이 모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양이 모래는 단순히 바닥을 구분하고 배설물을 은폐하기 위해 사용될 뿐, 기능성이 없고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건조로 인해 부스러져 미세한 입자가 발생되고, 바람에 쉽게 날려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주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고양이 모래는 분진에 의한 피해가 크고, 배설물에 대한 기능 즉, 악취에 대한 탈취기능을 거의 없으므로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무방비한 상태로 악취에 대한 탈취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56232호(2014.01.21.등록) 애완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양이 모래를 선별함과 아울러 선별시 발생하는 분진을 모두 제거하여 모래 사용시에는 미세한 입자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벤토나이트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저장부와, 위 모래를 흡입하는 싸이클론과, 위 싸이크론을 통하여 낙하되는 모래를 선별기로 투입하는 모래 공급부와, 위 모래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모래를 상부체망과 하부받침을 통해 걸러내는 선별기와, 위 선별기를 통해 걸러진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보관통과, 위 싸이크론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백필터 및 필터부와, 위 필터부 내부의 공기을 흡입할 수 있는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링브로워로 구성되어 고양이 모래를 선별함과 아울러 선별시 발생하는 분진을 모두 제거하여 모래 사용시에는 미세한 입자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모래는 탈취효과와, 흡착효과를 동시에 제공함함과 아울러 선별 작업시 분진을 모두 제거하여 모래 사용시에는 미세한 입자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좌측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배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요부인 모래 저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싸이크론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모래투입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모래 선별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인 백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필터부의 분해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본체(10)는 벤토나이트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저장부(20)와, 위 모래를 흡입하는 싸이클론(30)과, 위 싸이크론(30)을 통하여 낙하되는 모래를 선별기(50)로 투입하는 모래 공급부(40)와, 위 모래 공급부(40)를 통하여 공급되는 모래를 상부체망(54)과 하부체망(58)을 통해 걸러내는 선별기(50)와, 위 선별기(50)를 통해 걸러진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보관통(60)(70)과, 위 싸이클론(30)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백필터(80) 및 필터부(90)와, 위 필터부(90) 내부로 공기을 흡입할 수 있는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링브로워(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벤토나이트 모래를 모래 저장부(20)에 투입시키면 링브로워(100)는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위 링브로워(10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은 모래 저장부(20)에 채워진 모래를 파이프(11)를 통하여 싸이크론(30)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모래 저장부(20)에는 모래 배출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작동 플레이트(24)와, 위 작동 플레이트(24)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25)와, 위 조절레버(25)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23)이 형성된다.
다음, 위 싸이크론(30) 내부로 유입되는 모래는 망사체(34)로 낙하된 후 배출구(33) 빠져 나가는 구성이며, 이때 발생하는 분진은 뚜껑(35)에 형성된 분진 배출구(36)를 통하여 백필터(80)로 유입되는 구성이다.
한편, 위 배출구(33)에서 낙하되는 모래는 선별기(50) 상단에 형성된 모래 공급부(40)에 쌓이게 된다.
여기서, 위 모래 공급부(40)에는 모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커버(44)와 조절레버(43)가 형성된다.
그리고, 모래 선별기(50) 내부에는 상부체망(54)과 하부받침(58)이 각각으로 형성되며, 위 상부체망(54)과 하부받침(58)에는 모터(51)(51')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각각의 링크(52)(52')와 로드(53)(53')가 형성되며, 위 로드(53)(53')는 브래킷(57)(57')에 조립된 고정축(55)(55')을 작동시키며, 위 고정축(55)(55')은 상부체망(54)과 하부받침(58)을 각각으로 전진 및 후진을 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모래는 상부체망(54)을 통하여 1차로 걸러진 후, 별도의 모래 보관통(60)으로 낙하되어 저장된다.
또한, 위 상부체망(54)에서 빠진 모래는 2차로 하부받침(58)으로 낙하된 후 별도의 모래 보관통(70)으로 낙하되는 구성이다.
한편, 분진을 흡입하는 백필터(80)와 필터부(90) 내부에는 여과망(82)(91)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81)와 고정부재(92)가 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좌측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여기서.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저장부(20)와, 위 모래를 흡입하는 싸이클론(30)과, 위 싸이크론(30)을 통하여 낙하되는 모래를 선별기(50)로 투입하는 모래 공급부(40)와, 위 모래 공급부(40)를 통하여 공급되는 모래를 상부체망(54)과 하부받침(58)을 통해 걸러내는 선별기(50)와, 위 선별기(50)를 통해 걸러진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보관통(60)(70)과, 위 싸이클론(30)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백필터(80) 및 필터부(90)와, 위 필터부(90) 내부의 공기을 흡입할 수 있는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링브로워(100)가 형성되어 연동된다.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요부인 모래 저장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모래 저장부(20)에는 모래 배출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작동 플레이트(24)와, 위 작동 플레이트(24)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25)와, 위 조절레버(25)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위 작동 플레이트(24)는 커버(22)에 의해 지지된 후,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성이며, 작동 플레이트(24)는 조절레버(25)의 작동으로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작동 플레이트(24)의 하측은 배출구(33)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또는 밀폐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싸이크론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싸이크론(30) 내부로는 모래 저장부(20)와 연결된 투입 파이프(32)를 통하여 모래가 유입된다.
여기서, 유입되는 모래는 망사체(34)로 낙하된 후 배출구(33) 빠져 나가는 구성이며, 이때 발생하는 분진은 뚜껑(35)에 형성된 분진 배출구(36)를 통하여 백필터(80)로 유입되는 구성이다.
한편, 위 배출구(33)에서 낙하되는 모래는 선별기(50) 상단에 형성된 모래 공급부(40)에 쌓이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모래 투입구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모래 공급부(40)에는 모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커버(44)가 형성되며, 위 조절커버(44)는 조절레버(43)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있다.
여기서, 조절레버(43)는 브래킷(42)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그리고 모래 공급부(40)의 양측에는 선별기(50)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모래 선별기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모래 선별기(50) 내부에는 상부체망(54)과 하부받침(58)이 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 상부체망(54)과 하부받침(58)에는 모터(51)(51')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각각의 링크(52)(52')와 로드(53)(5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체망(54)과 연결되는 로드(53)는 상기 상부체망(54)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마련되고, 상기 하부받침(58)과 연결되는 로드(53')는 상기 하부받침(58)으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틸팅되어 마련될 수 있다.
위 로드(53)(53')는 브래킷(57)(57')에 조립된 고정축(55)(55')을 작동시키며, 위 고정축(55)(55')은 상부체망(54)과 하부받침(58)을 각각으로 전진 및 후진을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모래는 상부체망(54)을 통하여 1차로 걸러진 후, 모래 보관통(60)으로 낙하되어 저장된다.
또한, 위 상부체망(54)에서 빠진 모래는 2차로 하부받침(58)으로 낙하된 후 모래 보관통(70)으로 낙하되는 구성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인 백필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필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분진을 흡입하는 백필터(80)와 필터부(90) 내부에는 여과망(82)(91)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81)와 고정부재(92)가 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모래는 탈취효과와, 흡착효과를 동시에 제공함함과 아울러 선별 작업시 분진을 모두 제거하여 모래 사용시에는 미세한 입자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10. 본체 20. 모래 저장부
21. 모래 저장호퍼 22. 커버
23. 브래킷 24. 작동 플레이트
25. 조절레버 26. 받침부재
30. 싸이크론 31. 저장통
32. 투입 파이프 33. 배출구
34. 망사체 35. 뚜껑
36. 분지 배출구
40. 모래 공급부 41. 고정 플레이트
42. 브래킷 43. 조절레버
44. 조절커버
50. 선별기 51,51' 모터
52,52'.링크 53,53'. 로드
54. 상부체망 55,55'.고정축
56,56'.가이드홈 57,57'. 브래킷
58. 하부받침
60, 70. 모래보관탱크
80. 백필터 81. 지지 플레이트
82. 여과망 83. 뚜껑
84. 수거통
90. 필터부 91. 여과망
92. 고정부재 93. 커버
100. 링브로워

Claims (5)

  1. 벤토나이트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저장부(20)와,
    위 모래를 흡입하는 싸이클론(30)과,
    위 싸이크론(30)을 통하여 낙하되는 모래를 선별기(50)로 투입하는 모래 공급부(40)와,
    위 모래 공급부(40)를 통하여 공급되는 모래를 상부체망(54)과 하부받침(58)을 통해 걸러내는 선별기(50)와,
    위 선별기(50)를 통해 걸러진 모래를 저장하는 모래 보관통(60)(70)과,
    위 싸이크론(30)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백필터(80) 및 필터부(90)와,
    위 필터부(90) 내부의 공기을 흡입할 수 있는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링브로워(100)가 형성되어 벤토나이트 모래의 선별과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며,
    위 모래 선별기(50) 내부에는 상부체망(54)과 하부받침(58)이 각각으로 형성되되,
    위 상부체망(54)과 하부받침(58)에는 모터(51)(51')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각각의 링크(52)(52')와 로드(53)(53')가 형성되어 브래킷(57)(57')에 조립된 고정축(55)(55')에 연결되며,
    위 로드(53)(53')는 상기 고정축(55)(55')을 작동시키며, 위 고정축(55)(55')은 상부체망(54)과 하부받침(58)의 가이드홈(56,56')을 따라 각각 전, 후진되되,
    상기 상부체망(54)과 연결되는 로드(53)는 상기 상부체망(54)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마련되고, 상기 하부받침(58)과 연결되는 로드(53')는 상기 하부받침(58)으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틸팅되어 마련되며,
    모래는 상부체망(54)을 통하여 1차로 걸러진 후, 모래 보관통(60)으로 낙하되어 저장되며,
    위 상부체망(54)에서 빠진 모래는 2차로 하부받침(58)으로 낙하된 후 모래 보관통(70)으로 낙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위 링브로워(10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은 모래 저장부(20)에 채워진 모래를 파이프를 통하여 싸이크론(30)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위 모래 저장부(20)에는 모래 배출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작동 플레이트(24)와, 위 작동 플레이트(24)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25)와, 위 조절레버(25)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23)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위 싸이크론(30) 내부로 유입되는 모래는 망사체(34)로 낙하된 후 배출구(33)로 빠짐과 함께 발생하는 분진은 뚜껑(35)에 형성된 분진 배출구(36)를 통하여 백필터(80)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5. 삭제
KR1020170040801A 2017-03-30 2017-03-30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KR101983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801A KR101983757B1 (ko) 2017-03-30 2017-03-30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801A KR101983757B1 (ko) 2017-03-30 2017-03-30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897A KR20180110897A (ko) 2018-10-11
KR101983757B1 true KR101983757B1 (ko) 2019-05-29

Family

ID=6386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801A KR101983757B1 (ko) 2017-03-30 2017-03-30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242A (ko) 2020-11-20 2022-05-27 김태완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339B1 (ko) * 2019-05-10 2019-10-21 (주)미래체육시설안전기술 놀이터 모래의 이물질 제거 및 살균장치
CN110293050A (zh) * 2019-06-26 2019-10-01 宁德师范学院 一种石灰石粗细筛分设备
CN111838043A (zh) * 2020-07-28 2020-10-30 周占磊 一种养殖业饲料投喂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473A (ja) * 1999-12-20 2000-05-16 Taiwa Seiki:Kk 穀物の揺動選別機
KR200205219Y1 (ko) * 2000-07-05 2000-12-01 장재영 골재선별장치
JP2005103379A (ja) * 2003-09-29 2005-04-21 Yamatake Corp 吸引装置及び吸引装置用の分離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212A (ja) * 1994-03-18 1995-10-09 Yamamoto Mfg Co Ltd アマランサスの選別システム
KR101010679B1 (ko) * 2009-02-27 2011-01-24 이상웅 로터리필터 및 이 로터리필터가 적용된 쓰레기 선별장치
KR101356232B1 (ko) 2012-02-06 2014-01-29 이학섭 애완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473A (ja) * 1999-12-20 2000-05-16 Taiwa Seiki:Kk 穀物の揺動選別機
KR200205219Y1 (ko) * 2000-07-05 2000-12-01 장재영 골재선별장치
JP2005103379A (ja) * 2003-09-29 2005-04-21 Yamatake Corp 吸引装置及び吸引装置用の分離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242A (ko) 2020-11-20 2022-05-27 김태완 애완동물용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897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757B1 (ko) 애완용 모래 선별 제조장치
US11540486B2 (en) Animal litter and litter box system
JP2018515149A (ja) 脱着可能なリタートレイを有する動物の排泄物処理の円筒形システム
US3937182A (en) Pet toilet
US5690052A (en) Method for sorbing liquid using ground wheat grain litter
KR20060086648A (ko) 포유모돈과 자돈이 분리기거 가능한 친환경 돈사
US20190059316A1 (en) Cat litter process
CN108471718A (zh) 畜舍,尤其用于畜养猪的畜舍
KR200493055Y1 (ko) 반려동물의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US20170049071A1 (en) Flushable cat litter
US20030192816A1 (en) Cleaning system for animal litter and bedding
US6494165B2 (en) Animal litter box
US20020185081A1 (en) Aqua clean birdcage companion
US6014947A (en) Ground grain animal litter
US5678508A (en) Easy clean and change litter box machine
KR20110125310A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애완용 모래와 그 제조방법
US5645013A (en) Pet litter box
US9095121B1 (en) Cage for animal pets employing Zeolite elements to eliminate pet odor
JP2015159782A (ja) 小動物用トイレおよび排泄物処理用チップ体
JP3088484U (ja) 固まらない粒状物を使用する為のペット用便器
LT6137B (lt) Pakratas gyvūnams ir jo gamybos būdas
JP3224824U (ja) ペット用トイレに用いる篩
US10701893B1 (en) Litter box
JP3129962U (ja) ペット尿吸収処理材。
JP4343822B2 (ja)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こ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