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97865A1 -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 Google Patents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97865A1
WO2022097865A1 PCT/KR2021/007165 KR2021007165W WO2022097865A1 WO 2022097865 A1 WO2022097865 A1 WO 2022097865A1 KR 2021007165 W KR2021007165 W KR 2021007165W WO 2022097865 A1 WO2022097865 A1 WO 20220978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k
box
forks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71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진후
Original Assignee
박진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후 filed Critical 박진후
Publication of WO20220978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978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45Utensils for removing the contents from the package, e.g. spoons, forks,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 B65D2585/366Pizz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support having a fork, and more specifically, a fork that can be used as a fork by separating at least three or more forks along the edge of the support portion formed in a plate shape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It relates to a box support provided.
  • a box support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contents due to sagging of the box during delivery is used in a pizza or chicken box.
  • This box support secures a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x, and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moving inside the box.
  • the box is easily penetrated and the tip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ox, and at the same time the box penetrates and loses the function of the support body, thereby damaging the box contents.
  • the fork of the supporter has the handle toward the bottom instead of the tip of the support pointing upward, and in actual use, the handle is stuck on oily food,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in terms of hygiene and convenience.
  •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only a part of the problem is solved, and neither the structural stability nor the usability can be solv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k of a new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fork by separating at least three or more forks along the rim of the support part formed in a plate shape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It is to provide a box support equipped with.
  • the cross section of the ben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rib is formed in a 'L' shape to rotate the fork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ork is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open portion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bent box support body is to provide
  • a box support having a fork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by forming an inclination angle of 1.8 degrees to 2.2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fork part, and forming an inclination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art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a support portion formed of a plate and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support part on which the fork part is located to separate the fork part
  • a box support having a fork is provided.
  • the fork portion forms an inclination angle of 1.8 degrees to 2.2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axis, and forms an inclination par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with the connection part as an axis, so that th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the loa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n opening through which an edge of the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fork portion is disposed to form a space; a rib extending to a ring-shaped wall on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 bent pa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rib to an outer surface of the fork part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fork part; and a cutting part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ork part so that the end of the bent part is formed to be sharp and the fork part is detachable.
  • the opening part rotates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fork part is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the bent part on the axis of the bent part so that the fork part can be separated as the cut part is bent and unfold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o a space.
  • the rib is
  • the loa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supports the load transferred to the support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support.
  • the box support having a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t least three fork parts along the edge of the support part made of a plate shape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so that it can be used as a fork to maintain the space of the box and separate the fork parts. It has the convenient advantage of not having to purchase a fork.
  • the box support having a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clination angle of 1.8 degrees to 2.2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fork part, and forms an inclination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with the connection part as an axis to support the loa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 the box support having a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cut part connected to the fork part by placing the user's finger in the opening part and pulling the upper part of the fork part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par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ox support having a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FIG. 1 is disassembled.
  • FIG. 3 is a bottom view showing FIG. 1 as a bottom view.
  •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fork portion of the box support having a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art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 the terms 'top of the box' and 'top of the box'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an that when the box is placed on the floor, it is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loor and vertically rais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x” or “bottom of the box”. Or it includes supporting to be spaced apar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ox support having a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FIG. 1 disassembled
  • FIG. 3 is a bottom view showing FIG.
  •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fork portion of the box support having a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x support 10 having a fork includes a support part 100 , a fork part 200 , and a connection part 300 .
  • the box support 10 having a fork is formed of a plate, the support portion 100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At least three or more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support part and include a fork part 200 having a length extending from the support par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x, and a connection part 300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support part where the fork part is located to separate the fork part. .
  • the support part 10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x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from being pressed and formed as a plate.
  • the support part 100 is provided inside the pizza box or a box having a large area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therein to support the load appli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from being 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 the support part 1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a large area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it is possible to safely mainta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x.
  • At least three fork parts 20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support part 100 , and have a length extending from the support part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x.
  • the fork 200 has a predetermined width, it is formed as an extended body frame, and a sharp tip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frame.
  • At least three of these fork parts 200 are arranged to position the support part 100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x by the connection part 300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100 .
  • the fork part 200 forms an inclination angle of 1.8 degrees to 2.2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and forms the inclined part 210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100 with the connection part 300 as an axi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It serves to support the load.
  • the inclined part 210 forms an inclination angle of 1.8 degrees to 2.2 degrees, and by the load transferred to at least three or more body frames, a force is generated in which the lower parts of the body frames are pulled to each other, thereby supporting the support part 100. makes it sturdy
  • the inclination angl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1.8 degrees, the inclined portion 210 is formed like a typical pizza saver, and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is heavy, the bonding for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connected to the fork portion 200 may be weakened. And if i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2.2 degrees, the fork part 200 may not support the load transmit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us the bonding force of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weakened.
  • connection part 300 since the fork part 20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300 and serves as a fork,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separate fork in the external environment.
  • connection part 300 is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support part 100 where the fork part 200 is located to separate the fork part 200 .
  • connection part 300 includes an open part 310 , a rib 320 , a bent part 330 , and a cut part 340 .
  • the opening 310 forms a space through the edge of the support part 100 on which the fork part 200 is disposed.
  • the opening 310 rotates the upper portion of the fork 200 to be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the bent portion 330 about the bent portion 330 , and as the cut portion 340 is bent and unfolded, the fork portion 200 ) is formed as a space that can be separated.
  • the opening 310 makes it possible to tear off the fork 200 from the cut 340 by gripp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ork 200 with a finger and pulling it outward of the rim of the support 100 .
  • the rib 320 exte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00 as a ring-shaped wall.
  • the rib 320 serves to support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upport part 100 by the loa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support part.
  • the bent part 33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rib 32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ork part 200 in response to the arrangement of the fork part 200 .
  • the bent portion 330 is formed in a 'L' shape in its cross section connected to the rib 320 to receive a load transmitted to the rib 320, and a cut portion 340 coupled to the fork 200 is formed. do.
  • the cut portion 340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ork portion 200 so that the end of the bent portion 330 is sharply formed as shown in FIG. 4 to detach the fork portion 200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판으로 형성되고,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어 지지부로부터 박스의 하면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진 포크부 및 포크부가 위치한 지지부의 테두리에 포크부를 분리하도록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본 고안은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의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된 포크부를 분리하여 포크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자 또는 치킨 박스에는 배달 중 박스의 처짐으로 인한 내용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박스 지지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박스 지지체는 박스의 상면과 하면 사이 공간을 확보하고,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여 내용물이 박스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박스 지지체는 포장 박스를 개봉한 이후에는 폐기되고 있으나, 포장 박스 개봉 후 박스 지지체를 단순 폐기하기에는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2966호(2012.07.25 공개)인 '포크용 피자 세이버'를 살펴보면, 피자 배달 박스의 윗부분을 지지하는 삼각 본체와 삼각 본체의 세 꼭짓점에 달려있는 세 지지대와 지지대의 끝 부분에 달려있는 포크의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침상의 첨단부가 하측을 향하여 배치됨에 따라, 하중에 의해 침상의 첨단부가 손상될 경우 포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침상의 첨단부가 하측으로 배치되어 하중이 가해질 경우, 박스가 쉽게 관통되어 첨단부가 박스의 외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박스가 관통되면서 지지체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박스 내용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크의 분리 방식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고, 포크의 기능을 더 포함하면서 약화된 하중의지지 기능의 유지가 불완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추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5190호(2017.07.03. 공개) "포크 기능을 구비한 박스 지지체"를 살펴보면, 상단 지지부와 포크 부분의 분리 방식에 대한 다양한 접근 대안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지지체의 포크는 첨단부가 상향으로 되어 있는 대신 손잡이 부분이 하단으로 향해 있어, 실제 사용 시 손잡이가 기름진 음식물 위에 꽂힌 상태가 되어 위생 및 편리성의 관점에서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들은 사안의 일부만을 해결할 뿐, 구조적 안정성 및 사용 편리성을 모두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의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된 포크부를 분리하여 포크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새로운 구조의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리브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절곡부의 단면이 'ㄴ'자로 형성되어 포크부를 회동하여 포크부의 상부가 개방부의 내부에 인접하거나 이격되어 절곡부로부터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포크부를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1.8도 내지 2.2도의 경사각을 이루되, 연결부를 축으로 지지부의 내측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박스의 상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판으로 형성되고,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박스의 하면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진 포크부; 및
상기 포크부가 위치한 상기 지지부의 테두리에 상기 포크부를 분리하도록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는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1.8도 내지 2.2도의 경사각을 이루되, 상기 연결부를 축으로 상기 지지부의 내측방향으로 경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박스의 상면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포크부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의 테두리가 관통하여 공간을 형성한 개방부;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링 형상의 벽체로 연장된 리브; 상기 포크부의 배치에 대응하여 상기 리브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포크부의 외측면으로 연장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말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포크부를 분리가능하게 상기 포크부의 외측면에 연결된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절곡부를 축으로 상기 포크부의 상부가 인접하거나 이격되게 회동하여 상기 절단부가 꺽이고 펴짐에 따라 상기 포크부가 분리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박스의 상면의 하중이 상기 지지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는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의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된 포크부를 분리하여 포크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박스의 공간을 유지하면서 별도의 포크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는 포크부를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1.8도 내지 2.2도의 경사각을 이루되, 연결부를 축으로 지지부의 내측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박스의 상면의 하중을 지지하여 박스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여 박스의 내부의 내용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개방부에 위치하여 포크부의 상부를 개방부의 외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포크부에 연결된 절단부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크부가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병행하여 박스의 상면이 인가하는 하중에도 지지부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저면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의 포크부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박스의 상면' 및 '박스의 상부'라는 용어는 박스를 바닥에 위치 시 바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여 "박스의 하면" 또는 "박스의 하부"로부터 수직하게 높거나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지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저면으로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의 포크부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10)는 지지부(100), 포크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10)는 판으로 형성되고,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00). 지지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어 지지부로부터 박스의 하면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진 포크부(200) 및 포크부가 위치한 지지부의 테두리에 포크부를 분리하도록 연결된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부(100)는 박스의 상면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박스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판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지지부(100)는 피자박스 또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고 넓은 면적을 가진 박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박스의 상면이 인가하는 하중을 지지하여 박스의 상면이 하부방향으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례로, 박스의 상면이 넓게 형성된 피자박스의 경우 중앙이 하부로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피자박스의 내부에 뜨거운 피자가 수용되면 습기의 발생으로 피자박스의 상면의 중앙이 더욱 하부로 함몰되어 피자가 손상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1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는 면적이 넓어 박스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공간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포크부(200)는 지지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어 지지부(100)로부터 박스의 하면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
즉, 포크부(200)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면 연장된 바디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바디프레임의 하단에 뾰족한 첨단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포크부(200)는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어 지지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300)에 의해 지지부(100)를 박스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시킨다.
특히, 포크부(200)는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1.8도 내지 2.2도의 경사각을 이루되, 연결부(300)를 축으로 지지부(100)의 내측방향으로 경사부(210)를 형성하여 박스의 상면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경사부(210)는 1.8도 내지 2.2도의 경사각을 이루게 하여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된 바디프레임으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바디프레임의 하부가 서로 잡아당겨지는 힘이 발생하여 지지부(100)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해준다.
또한, 경사부(210)는 경사각을 1.8도 보다 작게 형성하면 일반적인 피자세이버와 같이 형성되어 박스의 상면이 무거울 경우 포크부(200)에 연결된 연결부(300)의 접합력이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2.2도 보다 크게 형성하면 하부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포크부(200)가 지지하지 못하여 연결부(300)의 접합력이 약해질 수 있다.
또한, 포크부(200)는 연결부(300)로부터 분리되어 포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서 별도의 포크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300)는 포크부(200)가 위치한 지지부(100)의 테두리에 포크부(200)를 분리하도록 연결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300)는 개방부(310), 리브(320), 절곡부(330) 및 절단부(340)를 포함한다.
개방부(310)는 포크부(200)가 배치된 지지부(100)의 테두리가 관통하여 공간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310)는 절곡부(330)를 축으로 포크부(200)의 상부가 인접하거나 이격되게 회동하여 절단부(340)가 꺽이고 펴짐에 따라 포크부(200)가 분리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개방부(310)는 포크부(200)의 상부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지지부(100)의 테두리의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겨 포크부(200)를 절단부(340)로부터 뜯어내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리브(320)는 지지부(100)의 하면에 링 형상의 벽체로 연장된다.
특히, 리브(320)는 박스의 상면의 하중이 지지부(100)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절곡부(330)는 포크부(200)의 배치에 대응하여 리브(320)의 일측으로부터 포크부(200)의 외측면으로 연장된다.
이로 인해, 절곡부(330)는 리브(320)에 연결된 그 단면이 'ㄴ'자로 형성되어 리브(320)로 전달되는 하중을 인가 받으면서, 포크부(200)에 결합되는 절단부(340)를 형성한다.
절단부(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330)의 말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포크부(200)를 분리가능하게 포크부(200)의 외측면에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Claims (4)

  1. 판으로 형성되고, 박스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박스의 하면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진 포크부; 및
    상기 포크부가 위치한 상기 지지부의 테두리에 상기 포크부를 분리하도록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포크부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의 테두리가 관통하여 공간을 형성한 개방부;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링 형상의 벽체로 연장된 리브;
    상기 포크부의 배치에 대응하여 상기 리브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포크부의 외측면으로 연장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말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포크부를 분리가능하게 상기 포크부의 외측면에 연결된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는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1.8도 내지 2.2도의 경사각을 이루되, 상기 연결부를 축으로 상기 지지부의 내측방향으로 경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박스의 상면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절곡부를 축으로 상기 포크부의 상부가 인접하거나 이격되게 회동하여 상기 절단부가 꺽이고 펴짐에 따라 상기 포크부가 분리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박스의 상면의 하중이 상기 지지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PCT/KR2021/007165 2020-11-04 2021-06-08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WO202209786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72 2020-11-04
KR2020200003972U KR200493329Y1 (ko) 2020-11-04 2020-11-04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7865A1 true WO2022097865A1 (ko) 2022-05-12

Family

ID=7487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7165 WO2022097865A1 (ko) 2020-11-04 2021-06-08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3329Y1 (ko)
WO (1) WO2022097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29Y1 (ko) * 2020-11-04 2021-03-11 박진후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7885A1 (en) * 2004-08-17 2006-02-23 Jason Hilbourne Connectible pizza spacer
KR200421613Y1 (ko) * 2006-04-20 2006-07-14 감병국 피자포장용 지지기구
KR101262823B1 (ko) * 2012-03-27 2013-05-13 김민중 피자 고정구
KR20170075183A (ko) * 2015-12-23 2017-07-0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크 기능을 구비한 아치형 박스 지지체
KR200493329Y1 (ko) * 2020-11-04 2021-03-11 박진후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966A (ko) 2011-01-16 2012-07-25 안광준 포크용 피자 세이버
KR101754808B1 (ko) 2015-12-23 2017-07-0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크 기능을 구비한 박스 지지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7885A1 (en) * 2004-08-17 2006-02-23 Jason Hilbourne Connectible pizza spacer
KR200421613Y1 (ko) * 2006-04-20 2006-07-14 감병국 피자포장용 지지기구
KR101262823B1 (ko) * 2012-03-27 2013-05-13 김민중 피자 고정구
KR20170075183A (ko) * 2015-12-23 2017-07-0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크 기능을 구비한 아치형 박스 지지체
KR200493329Y1 (ko) * 2020-11-04 2021-03-11 박진후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29Y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97865A1 (ko)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PL165619B1 (pl) Uchwyt do ampulki szklanej PL PL PL PL PL
WO2017047919A1 (ko) 버튼 출몰식 디스펜서 용기
USD416959S (en) Weight lifting device
WO2015072606A1 (ko) 후크어셈블리
WO2012115460A2 (ko) 립스틱 용기
CN109875353A (zh) 杯套构造
USD428327S (en) Cord reel
WO2013154376A1 (ko) 물품포장기용 비닐포장지 세트
USD418741S (en) Clothing separator
CN211565596U (zh) 一种用于口腔技工室的防脱落火钳
CN102961076B (zh) 一种纸巾盒
CN215582949U (zh) 自带放大观察的昆虫饲养盒
CN206534948U (zh) 一种安全型输液港蝶翼无损伤针
WO2014098318A1 (ko) 수납형 상자 손잡이
CN206437546U (zh) 制衣吊挂系统主梁装置
WO2018147601A1 (ko)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WO2021049818A1 (ko) 주방용 조리용기
CN210734924U (zh) 一种新型的床垫袋
CN214966797U (zh) 一种用于泌尿外科的遮挡帘
CN211984617U (zh) 一种机械制图教学用图纸挂架
CN215099750U (zh) 一种拉盖式垃圾桶
CN218752270U (zh) 一种防倾倒式吸头底盒
CN219126161U (zh) 抽纸盒
CN208692008U (zh) 一种可多次抓捕的生物研究用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893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893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893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