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56676A1 - 체내 이물질 흡입기 - Google Patents

체내 이물질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56676A1
WO2021256676A1 PCT/KR2021/004480 KR2021004480W WO2021256676A1 WO 2021256676 A1 WO2021256676 A1 WO 2021256676A1 KR 2021004480 W KR2021004480 W KR 2021004480W WO 2021256676 A1 WO2021256676 A1 WO 20212566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ction
tube body
suction body
skin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44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국현
Original Assignee
이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국현 filed Critical 이국현
Priority to CN202180003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158263A/zh
Priority to US18/011,105 priority patent/US20230172637A1/en
Publication of WO20212566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566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0Instruments, other than pincettes or toothpick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from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1Piston pumps, e.g.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61B2017/306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holding by means of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61M2202/049Tox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이물질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일정길이 연장되며, 피부와 접촉되는 흡입본체와, 상기 흡입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승강 가능하도록 흡입본체에 외삽되며, 손으로 감싸 파지할 수 있는 파지관체와, 상기 파지관체와 연결되어 흡입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파지관체의 승강에 연동되면서 상기 내부공간에 선택적으로 부압을 발생시키는 피스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한 조작을 통해 피부속으로 침투한 이물질을 신속하게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내 이물질 흡입기
본 발명은 해충에 물렸을 때 피부속으로 침투한 이물질을 간편한 조작을 통해 신속하게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체내 이물질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등산이나 캠핑, 레저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모기, 개미, 벌 등과 같은 해충이나 독충, 뱀 등에 물리거나 쏘이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 경우 피부 속에 침투된 해충의 침이나 독 등을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야외로 나가지 않더라도 아파트 등에 서식하는 모기들이 계절에 상관없이 출몰하여 사람들에게 많은 피해를 유발하고 있으며, 사람에 따라서는 알러지 반응으로 인해 병원을 찾는 경우까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충에게 물리거나 쏘였을 때 피부속으로 침투한 해충의 침, 액, 독 등의 이물질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구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 중, 원통형 몸체를 해충에게 물린 피부 부위에 밀착하고 몸체 양쪽의 손잡이에 두 손가락을 끼우고 잡아당겨 몸체 내부에 부압을 생성시킴으로서 피부속으로 침투한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기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종래 개시된 이물질 흡입기는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손잡이에 걸어 몸체로부터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 손만으로 조작을 할 수 없거나 할 수 있다 하더라도 매우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뒷목이나 어깨, 엉덩이 등과 같이 손의 각도 상 손잡이를 당기는 조작이 곤란한 부분이 많아 사용자 혼자서 사용할 수 있는 신체부위에 많은 제한이 따르고, 이물질을 흡입하는 동안 손잡이를 당긴 채 계속 잡고 있어야만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속으로 침투한 해충의 침, 독 등의 이물질을 흡입 제거함에 있어서 파지한 상태에서 눌러주는 조작방식을 통해 한 손만으로도 쉽고 편리한 조작이 가능함과 함께 사용자 혼자서도 신체부위에 따른 제한없이 보다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체내 이물질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일정길이 연장되며, 피부와 접촉되는 흡입본체와, 상기 흡입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승강 가능하도록 흡입본체에 외삽되며, 손으로 감싸 파지할 수 있는 파지관체와, 상기 파지관체와 연결되어 흡입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파지관체의 승강에 연동되면서 상기 내부공간에 선택적으로 부압을 발생시키는 피스톤체를 포함하는 체내 이물질 흡입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이물질 흡입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관체를 감싸 파지한 상태에서 해당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흡입본체를 눌러주면 흡입 조작이 이루어지므로, 한 손만으로도 쉽고 편하게 조작하여 피부속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흡입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지 및 눌러주는 구조에 따라 손의 각도와 관계없이 흡입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 혼자서도 특별한 제한없이 다양한 신체부위에 폭넓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조작상태의 고정이 가능하므로 흡입과정동안 계속적으로 파지하고 눌러줄 필요가 없음과 함께 상황에 맞게 흡입력의 조정도 가능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이물질 흡입기를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이물질 흡입기의 분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이물질 흡입기의 정면을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체내 이물질 흡입기의 단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5는 접촉헤드가 흡입본체에 끼워진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
도 6은 파지관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접촉헤드를 피부에 밀착시킨 사용예를 일 예시한 도면,
도 7은 파지관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흡입본체를 눌러주는 사용예를 일 예시한 도면,
도 8은 흡입본체에 대하여 파지관체가 상대적으로 상승되는 사용예를 일 예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피스톤의 1차 및 2차 상승에 따라 흡입본체에 부압이 생성되어 흡입력이 각각 인가되는 사용예를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갯수,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 예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 후, 좌, 우, 상, 하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이 달라지면 이 같은 용어들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이물질 흡입기(10, 이하,“흡입기”로 약칭함.)는 흡입본체(100)와, 파지관체(300)와, 피스톤체(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흡입본체(100)는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 밀착되면서 피부속 이물질의 흡입작용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흡입기(10)의 본체부분이다.
이러한 흡입본체(100)는 내부공간(S)을 가지면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흡입본체(100)의 길이는 후술하는 파지관체(300)가 외삽된 상태에서 외주면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파지관체(30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본체(100)의 길이는 외삽된 파지관체(300)가 하강된 상태일 때 사용자가 파지관체(300)를 감싸 파지한 상태에서 해당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상단을 지지하여 누를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본체(100)의 하단에는 피부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촉헤드(1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촉헤드(110)는 피부에 밀착되는 밀착테(111)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는 끼움구(1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구(113)에 대응하여 흡입본체(100)의 하단 중앙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관통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관통구(130)에 끼움구(113)가 끼워짐으로써 접촉헤드(110)는 내부공간(S)과 연통되면서 흡입본체(100)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헤드(110)는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내부의 피부상태나 침투물의 흡입과정 등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헤드(110)는 흡입본체(1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비사용시에는 접촉헤드(110)를 뒤집은 상태에서 흡입본체(100)의 하단 외주면으로 외삽시켜 보다 편리하게 휴대 및 보관을 할 수 있다.
한편, 흡입본체(100)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되어 흡입본체(100)의 내외부를 관통시키는 가이드장공(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장공(150)은 흡입본체(100)의 양쪽 측면에 좌우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장공(150)은 후술하는 커넥팅핀(510)이 간섭없이 승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흡입본체(100)의 측면에는 가이드장공(150)의 상측부분에 스톱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돌기는 후술하는 파지관체(300)의 돌기공(330)에 삽입되어 흡입본체(100)에 대한 파지관체(300)의 상대적인 상하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톱돌기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스톱돌기(170a)와 제2스톱돌기(170b)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톱돌기(170a)는 흡입본체(100)에 대한 파지관체(300)의 상대적인 상승시 1차적으로 돌기공(330)에 삽입되고, 제2스톱돌기(170b)는 추가적인 상승시 2차적으로 돌기공(33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톱돌기(170a)와 제2스톱돌기(170b)는 각각 흡입본체(100)의 양쪽 측면에 좌우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본체(100)의 상단은 폐쇄되는데, 상단부가 측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폐쇄될 수 있으나,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상단이 개방되면서 별도의 마감캡(190)이 결합되어 폐쇄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흡입본체(100)는 접촉헤드(110)를 통해 피부에 밀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후술하는 파지관체(300)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상단이 눌림으로써 파지관체(300)의 상대적인 승강운동을 일으키며, 파지관체(300)와 연동된 후술하는 피스톤체(500)에 의해 내부공간(S)에 부압이 발생되면서 밀착된 피부에 흡입력을 인가하여 피부에 침투된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파지관체(300)는 침투물의 흡입시 피스톤체(500)의 조작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파지관체(300)는 상하단이 모두 개방된 원형관의 형상일 수 있으며, 흡입본체(100)에 외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파지관체(300)는 흡입본체(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흡입본체(100)의 외부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파지관체(300)는 흡입본체(100)에 외삽된 상태에서 흡입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원형관 형상의 파지관체(300) 내주면과 원통 형상의 흡입본체(100) 외주면 사이에는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파지관체(300)의 내경은 흡입본체(100)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클 수 있다.
또한, 파지관체(300)는 흡입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승강이 가능하도록 흡입본체(100)보다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파지관체(30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바, 사용자의 손으로 감싸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파지관체(300)는 사용자 손바닥의 상하 폭과 비슷하거나 약간 짧은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파지관체(300)에는 후술할 커넥팅핀(510)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핀삽입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삽입공(310)은 파지관체(300)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관체(300)에는 흡입본체(100)에 형성된 제1 및 제2스톱돌기(170a, 170b)가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돌기공(3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공(330) 또한 제1 및 제2스톱돌기(170a, 170b)에 대응하여 좌우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관체(300)에는 사용자가 파지관체(300)를 손으로 감싸 파지할 때 손가락에 걸림이 발생하여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일정깊이로 요입된 손가락요홈(3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요홈(350)은 파지관체(300)를 감싸는 복수의 손가락에 대응하여 상하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손가락요홈(350)은 각각 좌우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피스톤체(500)는 이물질의 흡입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흡입본체(100)의 내부공간(S)에 부압을 생성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피스톤체(500)는 흡입본체(100)의 내부공간(S)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 설치될 수 있으며, 흡입본체(100)의 하단쪽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승이 이루어지면 내부공간(S)에 부압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체(500)는 파지관체(300)와 연결되어 파지관체(300)의 승강에 연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피스톤체(500)는 커넥팅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핀(510)은 일단이 피스톤체(500)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은 흡입본체(100)의 가이드장공(150)을 관통하여 파지관체(300)의 핀삽입공(31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피스톤체(500)와 파지관체(30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넥팅핀(510)은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져 피스톤체(500)와 파지관체(300)를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핀(510)과의 결합을 위해 피스톤체(500)의 상측부에는 커넥팅핀(510)이 끼워져 고정되는 핀고정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체(500)의 하측부에는 흡입본체(100) 내주면과의 기밀을 위한 패킹링(5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모기와 같은 해충에 물렸을 때, 먼저, 도 6에 일 예시된 것처럼, 파지관체(300)를 손으로 감싸 파지한 상태에서 흡입본체(100)의 접촉헤드(110)를 물린 부위의 피부에 접촉 밀착시킨다
이 때, 파지관체(300) 및 피스톤체(500)는 흡입본체(100)의 하단쪽으로 하강된 상태이며, 만약 상승되어 있는 경우라면 하강시켜 준 후,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접촉헤드(110)를 통해 흡입본체(100)가 피부에 밀착되면, 도 7에 일 예시된 것처럼, 파지관체(300)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 흡입본체(100)의 상단에 안착시킨 후, 엄지손가락에 일정한 힘을 주어 흡입본체(100)의 상단을 눌러준다.
이렇게 흡입본체(100)의 상단을 눌러주는 경우, 흡입본체(100)가 허공에 위치된 것과 같이 어떠한 지지도 받지 않는 상태라면, 파지관체(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흡입본체(100)가 눌리므로 파지관체(300)에 대하여 흡입본체(100)가 상대적으로 하강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상기 흡입본체(100)의 경우에는 피부에 밀착되어 지지가 이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도 8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흡입본체(100)를 눌러주게 되면 지지되지 않았을 때와는 반대로 흡입본체(100)에 대하여 파지관체(300)가 상대적으로 상승을 하게 된다.
즉, 파지관체(30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흡입본체(100)을 눌러 힘을 가하는 경우, 눌리는 흡입본체(100)는 피부에 지지되어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파지관체(300)가 흡입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상승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승되는 파지관체(300)는 1차적으로 돌기공(300)에 제1스톱돌기(170a)가 삽입됨으로써 상승된 위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9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위와 같은 흡입본체(100)에 대한 파지관체(300)의 상대적인 상승에 따라 커넥터핀(510)을 통해 연결된 피스톤체(500) 또한 연동하여 흡입본체(100) 내부에서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파지관체(300)와 피스톤체(500)를 연결한 커넥터핀(510)은 가이드장공(150)을 따라 상승되므로 어떠한 간섭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피스톤체(500)의 상승에 따라 흡입본체(100)의 내부공간(S)에는 부압이 생성됨으로써 접촉헤드(110)가 밀착된 피부로 흡입력을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접촉헤드(110)는 피부를 내측으로 견인하면서 피부에 흡착이 되고, 피부 속의 이물질은 피부로부터 추출되어 흡입되는 이물질 흡입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흡입작용이 이루어지는 동안 접촉헤드(110)는 피부에 흡착이 된 상태이고 상승된 파지관체(300)는 제1스톱돌기(170a)에 의해 일정 힘으로 고정이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파지했던 손을 놓더라도 흡입력의 인가 및 이물질의 흡입작용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상태에서 흡입본체(100)를 더욱 힘을 가하여 눌러주면 파지관체(300)가 추가로 상승되고, 2차적으로 돌기공(300)에 제2스톱돌기(170a)가 삽입됨으로써 더욱 상승된 위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파지관체(300)의 추가 상승에 따라 피스톤체(500) 또한 연동하여 추가로 상승됨으로써 흡입본체(100)의 내부공간(S)에는 부압이 증가되어 피부에는 보다 큰 흡입력이 인가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았는 바, 본 발명의 흡입기는 파지관체를 감싸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흡입본체를 눌러주는 방식으로 조작이 이루어지므로 별다른 불편함없이 한 손만으로도 쉽고 편리한 조작이 가능함과 함께 다양한 신체부위에 제한없이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파지관체의 상승상태가 단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흡입과정동안 계속적으로 파지하고 눌러줄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황에 맞게 흡입력의 조정도 가능하여 사용편의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Claims (4)

  1.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일정길이 연장되며, 피부와 접촉되는 흡입본체와;
    상기 흡입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승강 가능하도록 흡입본체에 외삽되며, 손으로 감싸 파지할 수 있는 파지관체와;
    상기 파지관체와 연결되어 흡입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파지관체의 승강에 연동되면서 상기 내부공간에 선택적으로 부압을 발생시키는 피스톤체;를 포함하는 체내 이물질 흡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본체는 파지관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은 파지관체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눌림이 가능한 체내 이물질 흡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본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된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체는 가이드장공을 관통하는 커넥팅핀에 의해 파지관체와 연결되는 체내 이물질 흡입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공의 상측 흡입본체의 외주면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쌍의 스톱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파지관체에는 상기 한쌍의 스톱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돌기공이 형성되는 체내 이물질 흡입기.
PCT/KR2021/004480 2020-06-19 2021-04-09 체내 이물질 흡입기 WO20212566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03698.0A CN114158263A (zh) 2020-06-19 2021-04-09 体内异物吸入器
US18/011,105 US20230172637A1 (en) 2020-06-19 2021-04-09 Suction device for foreign substances from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816A KR102169530B1 (ko) 2020-06-19 2020-06-19 체내 이물질 흡입기
KR10-2020-0074816 2020-06-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6676A1 true WO2021256676A1 (ko) 2021-12-23

Family

ID=7303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4480 WO2021256676A1 (ko) 2020-06-19 2021-04-09 체내 이물질 흡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72637A1 (ko)
KR (1) KR102169530B1 (ko)
CN (1) CN114158263A (ko)
WO (1) WO2021256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530B1 (ko) * 2020-06-19 2020-10-23 이국현 체내 이물질 흡입기
KR102512465B1 (ko) 2020-11-17 2023-03-22 신진 약제 도포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01U (ko) * 1998-07-02 2000-02-07 양진성 진공 흡입식 여드름 제거기
KR20130005162U (ko) * 2012-02-22 2013-08-30 (주)에이텍스 어린이용 콧물 흡입기
KR20150122490A (ko) * 2014-04-23 2015-11-02 신동호 체내 이물질 제거용 흡입기
KR20200000289U (ko) * 2018-07-26 2020-02-05 조영행 체내 이물질 흡입기
WO2020113123A1 (en) * 2018-11-29 2020-06-04 Simon Eric M Syringe accessory device and methods of use
KR102169530B1 (ko) * 2020-06-19 2020-10-23 이국현 체내 이물질 흡입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7636A (en) * 1940-09-18 1941-12-23 Frank W Benton Blackhead extractor
US8454624B2 (en) * 2011-02-25 2013-06-04 James T. DeLuca Device for removing a lodged mas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01U (ko) * 1998-07-02 2000-02-07 양진성 진공 흡입식 여드름 제거기
KR20130005162U (ko) * 2012-02-22 2013-08-30 (주)에이텍스 어린이용 콧물 흡입기
KR20150122490A (ko) * 2014-04-23 2015-11-02 신동호 체내 이물질 제거용 흡입기
KR20200000289U (ko) * 2018-07-26 2020-02-05 조영행 체내 이물질 흡입기
WO2020113123A1 (en) * 2018-11-29 2020-06-04 Simon Eric M Syringe accessory device and methods of use
KR102169530B1 (ko) * 2020-06-19 2020-10-23 이국현 체내 이물질 흡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2637A1 (en) 2023-06-08
CN114158263A (zh) 2022-03-08
KR102169530B1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56676A1 (ko) 체내 이물질 흡입기
WO2011049267A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WO2010027135A1 (ko) 복강경용 투관침
WO2018124434A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WO2013100233A1 (ko) 카테타 시술용 가이드 와이어 삽입기
US4915691A (en) Aspirator
TW200505518A (en) Med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nasally administering or removing a substance
WO2020027504A1 (ko) 음압조절수단이 구비된 지방흡입 및 이식용 주사기
WO2013133468A1 (ko) 쑥뜸 장치
WO2011131138A1 (zh) 一次性自动无痛安全采血器
WO2017200294A1 (ko) 피부 관리기
TW200932295A (en) Laryngeal mask airway installation kit, clip device, and laryngeal mask airway
WO2016052790A1 (ko) 휴대용 침 세트
WO2020138746A1 (ko) 동물용 검체채취도구
WO2015156460A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WO2018190561A1 (ko) 흡수부재 보관장치
WO2017078282A1 (ko) 말벌 포획장치
WO2014148690A1 (ko) 일회용 주사기의 안전 캡
KR20100011454A (ko) 환자이동용 의료보조기
WO2016137084A1 (ko) 위생 포충기
WO2018066887A2 (ko) 치아 손상 방지를 위한 후두경
WO2012078003A2 (ko)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WO2013058600A2 (ko) 혈소판 축출 키트.
KR102129119B1 (ko) 한손 채혈용 주사기 보조 장치
US5933936A (en) Syringe needle safety vise and associated disinfec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26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26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