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66887A2 - 치아 손상 방지를 위한 후두경 - Google Patents

치아 손상 방지를 위한 후두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66887A2
WO2018066887A2 PCT/KR2017/010800 KR2017010800W WO2018066887A2 WO 2018066887 A2 WO2018066887 A2 WO 2018066887A2 KR 2017010800 W KR2017010800 W KR 2017010800W WO 2018066887 A2 WO2018066887 A2 WO 201806688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ade
laryngoscope
groove
tooth damage
ai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8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8066887A3 (ko
Inventor
백승은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ublication of WO201806688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66887A2/ko
Publication of WO201806688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6688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yngoscope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ryngoscop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ooth to prevent tooth damage of a patient during laryngoscope manipulation.
  • the laryngoscope is used for endotracheal intubation, and the endotracheal intubation refers to the operation of placing a tube (tracheal tube) of PVC material having a certain length and internal diameter into the trachea using the laryngoscope.
  • tracheal intubation The purpose of such tracheal intubation is to secure the patient's airways during anesthesia and surgery or wh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required.
  • the tube inserted through such tracheal intubation is used by connecting an anesthesia or a ventilator.
  • the airway using the laryngoscope is made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connected to the blade, and the airway is secured by manipulating the handle in the direction of elevating the operator, so that the blade's maxillary teeth are frequently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teeth. Damage will occur. Intravascular intubation often results in unconsciousness of the patient, thus preventing the patient from responding to tooth damage, and the operator may not be aware of the patient's tooth damag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873929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only the distal end of the blade is elevated by lever operation only to solve the problem of tooth damage of the patient, but the structure of the laryngoscope is difficult to disinfect and st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used easily because of high manufacturing cost.
  • the lever, the cross-section of the wire, screw, the elevated blade may cause a wound on the skin mucous membrane inside the oral cavity.
  • U.S. Patent Publication No. 2005-0240081 discloses a laryngoscope with a cushion mounted on a blade to prevent tooth damage, which is hardly considered to be a shock absorber, and completes prevention of tooth damage. There is a difficulty in inserting the blade into the oral cavity as a cushioned form.
  •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Document No. 10-0873929 (2008.12.08)
  • Patent Document 2 United State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0240081 (2005.10.27)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pecifically, a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eth of the blade to simplify the manufacture, and to propose a laryngoscope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the tooth damage whil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ing a blade 100 including a first end 110 is inserted into the airway and a handle 200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blade 100 and
  •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120 and the lower surface 130 of the blade 100 provides a tooth damage prevention laryngoscop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 the groove when the first end 110 is inserted into the airway, the groov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eth of the object to be inserted of the blade 100.
  • it may further include a finish 160 of a flexible material mounted to the groove.
  • the finish 160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groove.
  • the tooth damage can be achieved by forming only a simple groove is easy to manufacture and low manufacturing cost.
  • the finish of the flexible material that is detachably provided in such a groove is provided to prevent tooth damage even if the blade is in contact with the teeth.
  • the operator can secure the airway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laryngoscope, which can prevent tooth damage according to the oral structure of the pati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ade of a first embodiment.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nish portion is provided in the blade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ade of a second embodiment
  •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nish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third embodiment blade.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5.
  •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ade and the handle of the third embodiment is mounted.
  • FIG. 8 is a view showing how to secure the airway by using a laryng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embodiment laryngoscope includes a blade 100 and a handle 200.
  • the blade 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when the airway is secured, and its size vari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nd specifically, the first end 110, the upper surface 120, the lower surface 130 and Side 140.
  • the first end 110 is inserted into the airway of the patient to secure the airway.
  • a PVC tube is inserted into the airway.
  • Securing the airway of the first end 110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200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blade 100, as shown in Figure 8 when the handle 200 is flipp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rator first end (110) ) Is raised and the airway is secured by lifting the epiglottis. In this process, the blade 100 is frequently applied to the pressure of the patient's teeth to damage the teeth.
  • the laryngoscope has a groove for preventing tooth damage of the patient on the blade upper surface 120.
  • the groove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tooth.
  • the laryngoscope further includes a finish 160 of flexible material mounted to the groove.
  • the finish portion 16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particular, silicon in order to absorb the impact even if the teeth in contact with the finish portion 160. Tooth damage may be prevented due to the groove, but since the blade 100 itself is made of stainless steel, which is a hard material, it may cause discomfort to the patient during tooth contact. Therefore, even when the tooth contact of the blade 100 is made by mounting the flexible end 160 of the flexible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ooth damage. Since the finishing portion 160 is contaminated with saliva of the patient when the airway is secured, it is preferable to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groove so that it is replaceable every time it is used.
  • the blade 100 is also sterilized after use because it is contaminated with saliva of the patient when the airway is secured. Since the finish portion 160 provided in the groove of the blade 100 is detachably provided, the finish portion 160 may be disinfected by the blade 100 and alternatively, the finish portion 160 may be provided as a disposable. Thus, it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mounting every time use without disinfection process.
  • the first exemplary laryngoscop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lade 150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130.
  • the first blade 150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accurate tracheal intubation is achieved by pressing the tongue when the airway is secured.
  • the first blade 150 also varies in size depending on age and gender.
  • the first embodiment laryngoscope may further include a light 170.
  • the light 170 is a part that allows the operator to accurately intubate the trachea by illuminating the airway into which the laryngoscope is inserted.
  • the blade 100 is provided with a groove to prevent tooth damage, but the groov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20 more broadly than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as shown in Figure 3, the groove is formed to extend to one end of the blade (100).
  • the laryngoscope also preferably includes a finishing portion 160 of a flexible material mounted in the groove, w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ooth damage even when tooth contact of the blade 100 is made.
  • the end 160 of the laryngoscop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being integrated or fixed in the groove of the blade 100, and may also be provided in a separate form.
  • a manufacturer who manufactures a laryngoscope can produce an integrated or separate laryngoscope accordingly.
  • the laryngoscope is provided with groove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ades 120 and 130, and grooves are also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140 so that the grooves are generally grooved on the surface of the blade 1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eth of the patient as a whole. This is the provided form.
  • the laryngoscope is provided with grooves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osition blade 100 corresponding to the teeth of the patient even when the handle 200 is operated up, down,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tooth damage more effectively.
  • the laryngoscope also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finishing portion 160 made of a flexible material detachably mounted to the groove, but unlike the laryngoscop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finishing portion 160 of the laryngoscope of the third embodiment ) Is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entire blade 100.
  • the finishing portion 16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etachable groove 161 to be easily removable.
  • the detachable groove 161 may be in the form of a straight gro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puzzle, zigzag, and zipper shape.
  • the finish portion 160 of the third embodiment may be mounted to surround the groove of the blade 100, but since the finish portion 16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first end 110 of the finish portion 160 After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end portion 160 by pushing in the groove dir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치아 손상 방지 후두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손상 방지 후두경은 기도에 삽입되는 제 1 단부(110)를 포함하는 블레이드(100) 및 상기 블레이드(100) 하단에 장착되는 핸들(200)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100)의 상면(120) 및 하면(1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손상 방지를 위한 후두경
본 발명은, 치아 손상 방지를 위한 후두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에 상응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후두경 조작 시 환자의 치아 손상이 방지되는 후두경에 관한 것이다.
후두경은 기관 내 삽관시 이용하는 것으로, 기관 내 삽관은 후두경을 사용해 기관 내로 일정한 길이와 내경을 가진 PVC 재질의 튜브(기관튜브)를 거치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기관 삽관의 목적은 마취 및 수술시 또는 심폐소생이 필요한 경우 환자의 기도 확보에 있으며, 이를 위해 기관 내 삽관을 실시한다. 이러한 기관 삽관을 통해 삽관된 튜브는 마취기나 인공호흡기를 연결하여 이용하게 된다.
후두경을 이용한 기도 확보는 블레이드에 연결된 핸들의 조작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주로 시술자 방향으로 거상시키는 방향으로 핸들을 조작하여 기도를 확보하게 되므로, 블레이드의 상악 치아에의 접촉이 빈번하게 유발되어 환자의 치아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기관 내 삽관 시 환자는 의식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치아 손상에 따른 반응을 나타내지 못하게 되고, 시술자 또한 환자의 치아 손상을 알아차리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현대인들은 틀니, 보철 등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기도 확보 시 분실되는 경우 책임 소재가 문제된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중환자실 입원 시 치아 상태를 확인하고 있으며 틀니, 보철 및 부러진 치아가 기관에 흡인되는 경우 별도의 내시경 시술로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발생한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방지하기 위해 치아 손상 방지가 가능한 후두경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873929호는 환자의 치아 손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버 조작만으로 블레이드의 말단 부분만이 거상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후두경의 구조가 복잡하여 소독 및 보관에 어려움이 있고, 제조단가가 높아 쉬이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레버 조작 시 와이어, 나사, 거상되는 블레이드의 단면에 의해 구강 내부의 피부 점막에 상처를 유발할 수 있다.
미국공개특허문헌 제2005-0240081호는 치아 손상 방지를 위해 블레이드에 쿠션이 장착된 후두경을 개시하나 이는 단순히 충격의 완충만이 가능할 뿐 치아 손상 방지를 온전히 이룬다고 보기 어려우며, 홈이 형성되지 않은 채로 쿠션을 장착한 형태로서 구강 내로의 블레이드 삽입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873929호 (2008.12.08)
(특허문헌 2) 미국공개특허문헌 제2005-0240081호 (2005.10.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의 치아에 상응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제조가 간편하여 제조단가가 낮으면서도 치아 손상 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후두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도에 삽입되는 제 1 단부(110)를 포함하는 블레이드(100) 및 상기 블레이드(100) 하단에 장착되는 핸들(200)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100)의 상면(120) 및 하면(1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홈이 형성된 치아 손상 방지 후두경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110)가 기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홈은, 상기 블레이드(100)의 삽입 대상 개체의 치아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에 장착되는 가요성 재질의 마감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160)는 상기 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두경을 이용하여 기도 확보시에도 블레이드의 치아 접촉에 따른 환자의 치아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간단한 홈만을 형성하여 치아 손상을 달성할 수 있어 제조가 간편하면서도 제조 단가가 낮다.
또한, 이러한 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요성 재질의 마감부가 구비되어 블레이드의 치아 접촉이 이루어지더라도 치아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의 상하좌우 조작 시에도 치아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손상된 치아, 보철물이 기관에 흡인되어 내시경 시술로 이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또한, 치아 손상 이후 2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시술자는 환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치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후두경을 적절히 선택하여 기도 확보가 가능하다.
도 1은 제 1 실시예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 블레이드에 마감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 2 실시예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 블레이드에 마감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 블레이드에 마감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예 블레이드와 핸들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경을 이용하여 기도 확보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제 1 실시예
먼저,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 후두경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후두경은 블레이드(100) 및 핸들(200)을 포함한다.
블레이드(100)는 기도 확보 시 환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연령 및 성별에 따라 그 크기(size)가 다양하며 구체적으로는 제 1 단부(110), 상면(120), 하면(130) 및 측면(140)을 포함한다.
제 1 단부(110)는 환자의 기도 내로 삽입되어 기도 확보를 하는 부분으로, 제 1 단부(110)의 삽입으로 기도 확보가 되면, PVC 재질의 튜브가 기도에 삽입된다. 제 1 단부(110)의 기도 확보는 블레이드(100) 하단에 장착되는 핸들(200)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핸들(200)을 시술자 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제 1 단부(110)가 거상되어 후두개를 들어 올려 기도가 확보된다. 이 과정에서 블레이드(100)가 환자의 치아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치아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특히, 후두경 조작의 특성상 상악 치아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제 1 실시예 후두경은 블레이드 상면(120)에 환자의 치아 손상 방지를 위한 홈이 존재한다. 치아 손상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제 1 단부(110)가 기도에 삽입되는 경우 홈은 상악 치아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 상면(120)에 위치하는 홈으로 인해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기도 확보 시에도 블레이드(100)의 치아 접촉이 방지되어 치아가 손상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 후두경은 홈에 장착되는 가요성 재질의 마감부(16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마감부(160)는, 마감부(160)에 치아가 접촉되더라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가요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으로 인해 치아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나, 블레이드(100) 자체는 딱딱한 재질인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치아 접촉 시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홈에 가요성 재질의 마감부(160)가 장착됨으로써 블레이드(100)의 치아 접촉이 이루어지더라도 치아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마감부(160)는 기도 확보 시 환자의 타액 등으로 오염되므로 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 시마다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100) 또한 기도 확보 시 환자의 타액 등으로 오염되므로 사용 후 소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100)의 홈에 구비되는 마감부(160)는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마감부(160)는 블레이드(100)와 분리하여 소독이 가능하며, 대안적으로 마감부(160)는 일회용으로 구비되어 소독 과정 없이 사용 시마다 장착하는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 후두경은 하면(130) 상에 위치하는 제 1 날(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날(150)은 소정의 넓이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기도 확보 시 혀를 압박함으로써 정확한 기관 삽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제 1 날(150) 또한 블레이드(100)와 마찬가지로 연령 및 성별에 따라 그 크기(size)가 다양하다.
또한, 제 1 실시예 후두경은 라이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이트(170)는 후두경이 삽입되는 기도를 밝게 비춰줌으로써 시술자의 정확한 기관 삽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2. 제 2 실시예
다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 후두경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블레이드(100)에 홈이 구비되어 치아 손상 방지 기능을 갖되 제 1 실시예에 비해 상면(120)에 홈이 더 넓게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홈이 블레이드(100)의 일단부에까지 연장 형성된다.
제 2 실시예 후두경 또한 홈에 장착되는 가요성 재질의 마감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블레이드(100)의 치아 접촉 이 이루어지더라도 치아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후두경의 마감부(160)는 블레이드(100)의 홈에 일체형 또는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분리되는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후두경을 제조하는 제조업자는 이에 맞추어 일체형 또는 분리형의 후두경을 제조할 수 있다.
3. 제 3 실시예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 후두경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예 후두경은 블레이드 상면(120) 및 하면(130)에 홈이 구비됨과 동시에 양 측면(140)에도 홈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환자의 치아에 상응하는 위치의 블레이드(100)의 면에 전체적으로 홈이 구비된 형태이다.
제 3 실시예 후두경은 핸들(200)을 상하좌우 조작하더라도 환자의 치아에 상응하는 위치 블레이드(100) 면 전체적으로 홈이 구비되기 때문에, 치아 손상 방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후두경 또한 홈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요성 재질의 마감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후두경과 다르게 제 3 실시예 후두경의 마감부(160)는 블레이드(100)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도 5) 이러한 제 3 실시예 후두경의 특징적인 마감부(160)의 형태로 인해, 마감부(160)에는 탈착 홈(161)이 구비되어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탈착 홈(161)은 일자형 홈의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퍼즐형, 지그재그형 및 지퍼형의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 3 실시예의 마감부(160)는 블레이드(100)의 홈을 감싸면서 장착될 수도 있으나, 마감부(160)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 1 단부(110)를 마감부(160)의 중앙에 관통시킨 후, 마감부(160)를 홈 방향으로 밀어 끼워넣는 방식의 장착도 가능하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후두경
110: 제 1 단부
120: 상면
130: 하면
140: 측면
150: 제 1 날
160: 마감부
161: 탈착홈
170: 라이트
180: 연결부
200: 핸들

Claims (4)

  1. 기도에 삽입되는 제 1 단부(110)를 포함하는 블레이드(100); 및
    상기 블레이드(100) 하단에 장착되는 핸들(200);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100)의 상면(120) 및 하면(1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홈이 형성된,
    치아 손상 방지 후두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110)가 기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홈은, 상기 블레이드(100)의 삽입 대상 개체의 치아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치아 손상 방지 후두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장착되는 가요성 재질의 마감부(160)를 더 포함하는,
    치아 손상 방지 후두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160)는,
    상기 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치아 손상 방지 후두경.
PCT/KR2017/010800 2016-10-07 2017-09-28 치아 손상 방지를 위한 후두경 WO2018066887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843 2016-10-07
KR1020160129843A KR101880364B1 (ko) 2016-10-07 2016-10-07 치아 손상 방지를 위한 후두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887A2 true WO2018066887A2 (ko) 2018-04-12
WO2018066887A3 WO2018066887A3 (ko) 2018-06-21

Family

ID=6183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800 WO2018066887A2 (ko) 2016-10-07 2017-09-28 치아 손상 방지를 위한 후두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0364B1 (ko)
WO (1) WO201806688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94113A (ja) * 2020-06-10 2021-12-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口腔用治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952B1 (ko) * 2020-07-09 2021-02-10 (주)비스코인스트루먼트 치아 손상 방지용 후두경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976A (en) * 1993-11-29 1995-08-08 Nash; Jeanne L. Teeth protector for laryngoscope blade
US6623425B2 (en) * 2001-07-23 2003-09-23 Cartledge Medical Products, Llc Modified laryngoscope blade to reduce dental injuries during intubation
US20050240081A1 (en) 2004-04-22 2005-10-27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Laryngoscope blade
KR100873929B1 (ko) 2006-12-19 2008-12-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두경
KR101070416B1 (ko) * 2010-11-26 2011-10-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부착식 내시경 가이드를 가지는 후두경
US9198567B1 (en) * 2013-06-12 2015-12-01 Nkosiyalinda Dube Laryngoscope with pressure sensitive bla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94113A (ja) * 2020-06-10 2021-12-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口腔用治具
JP7272324B2 (ja) 2020-06-10 2023-05-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口腔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782A (ko) 2018-04-17
KR101880364B1 (ko) 2018-07-19
WO2018066887A3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0762B1 (en) Device for tracheal intubation
EP3184076B1 (en) Intraoral dental suction and isolation system
US20190083731A1 (en) Oral suction device
US5938591A (en) Self retaining laryngoscope
US5733241A (en) Fiberoptic intubation stylet
US9283342B1 (en) Endotracheal tube insertion device
WO2018066887A2 (ko) 치아 손상 방지를 위한 후두경
KR101782722B1 (ko) 일회용 삽관 장치
US20120029293A1 (en) Disposable, Self-Contained Laryngoscope and Method of Using Same
CN205095199U (zh) 牙垫
US9084572B2 (en) Collapsible laryngoscope
WO2023219449A2 (ko)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CN204181988U (zh) 一种医用牙垫结构
WO2012070858A2 (ko) 탈부착식 내시경 가이드를 가지는 후두경
WO2022025712A1 (ko) 기관 삽관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가이드 키트
WO2022145941A1 (ko) 치과용 시술보조기구
CN213158655U (zh) 一种经口腔纤支镜气管插管辅助装置
CN215995202U (zh) 一种新型的口咽通气道
CN214596728U (zh) 多功能口咽通气道
KR102364437B1 (ko) 의료용 마우스피스
CN215690784U (zh) 一种气管导管咬合装置
CN212140404U (zh) 一种一次性喉镜片
CN215780733U (zh) 一种带保护套的气管插管钳
WO2022139381A1 (ko)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TWM653190U (zh) 麻醉插管保護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86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586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