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45803A1 -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45803A1
WO2022045803A1 PCT/KR2021/011457 KR2021011457W WO2022045803A1 WO 2022045803 A1 WO2022045803 A1 WO 2022045803A1 KR 2021011457 W KR2021011457 W KR 2021011457W WO 2022045803 A1 WO2022045803 A1 WO 20220458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region
adhesive layer
film layer
protec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14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가영
이대희
신원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023,12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14663A1/en
Publication of WO20220458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458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Definitions

  • the embodiment relates to a protective she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sheet attached to a black barrel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micro-miniature camera module has been developed, and the micro-miniature camera module is widely used in small electronic products such as smart phones, notebook computers, and game machines.
  • such a camera device includes a lens through which light is incident, an image sensor that captures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and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for images obtained from the image sensor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device. Included.
  • these image sensors and components are generally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se camera devices include a lens barrel that houses the lens.
  • These lens barrels are generally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by using a plastic injection or die-casting casting method.
  • the black coating layer of the lens barrel is easily damag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amera module, resulting in poor appearance.
  • a protective sheet capable of minimizing the adhesive material remaining on the black coating layer of the lens barrel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 a protective sheet capable of preventing an adhesive material from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lens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 a protective sheet an optical film layer; and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layer and including a first open region, wherein an outer width of the optical film layer is greater than an outer width of the adhesive layer, and on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layer is of the adhesive layer The central region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exposed by a difference from the outer width of the adhesive layer.
  •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t least one air passage.
  •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of the optical film lay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air passage.
  • the air passage includes one end adjacent to the inner end of the adhesive layer,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outer end of the adhesive layer, and an inner region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air passage
  • the width is the same, and the width decreases from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toward the inner region.
  • a camera module includes a lens barrel including an opening in which a lens is accommodated; and an open area for opening the opening of the lens barrel, and a protective sheet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wherein the protective sheet includes: an optical film layer; and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layer and including an open region overlapping the opening of the lens barrel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an outer width of the optical film layer is greater than an outer width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 the silver includes at least one air passage.
  • the lens barrel includes a black coating layer, and the protective sheet is attached on the black coating layer of the lens barrel.
  • the air passage includes a region in which the width varies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 the protective sheet includes an open area for open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lens receiving portion of the lens barrel.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damage to the black coating layer of the lens barrel can be minimized, and reliability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the adhesive component of the protective sheet remaining on the lens can be solved.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mera modul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view showing a protective she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5 is a view showing a protective she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C-C' of the protective sheet of FIG. 5 .
  • FIG. 8 is a block dia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 the terminology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one or more) of A and (and) B, C", it is combined with A, B,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 the autofocus function used below is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focuses on a subject by adjusting the distance from the image sensor by moving the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subject so that a clear image of the subject can be obtained on the image sensor.
  • the first direction may mean the x-axis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s
  •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direction.
  • the second direction may mean a y-axis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 the third direc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 the third direction may mean a z-axis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 the third direction may mean an optical axis direction.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mera module 20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 is a dotted line portion 15 of FIG. 2 . is an enlarged view of
  • the camera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member 1500 disposed on the filter 610 .
  • the lens driving device 100 may drive a lens or a lens barrel 400 .
  • the lens driving device 100 may be a lens driving device for AF or a lens driving device for OIS, where the meaning of “for AF” and “for OIS” is as described in the camera module for AF and the camera module for OIS. can be the same.
  • the lens driv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300 coupled to the base 210 and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mponent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together with the base 210 . .
  • the lens driv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not shown)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circuit board 25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supports the housing 140 with respect to the base 210 .
  • Each of the first coil 120 and the second coil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50 and receive a driving signal (driving current) from the circuit board 250 .
  • the upper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per springs
  •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the upper springs
  • the first coil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hrough the upper springs and the support member.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250 .
  • the circuit board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il 120 and/or the second coil 230 .
  • the bobbin 110 and the lens or lens barrel 400 coupled thereto may be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coil 120 and the magnet 130 , thereby causing the bobbin 110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 AF driving can be implemented.
  • the housing 140 may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by an electromagnetic force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econd coil 230 and the magnet 130 , thereby realizing handshake correction or OIS driving.
  • the circuit boar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and the AF position sensor, a driving signal may be provided to each of the coil and the AF position sensor through the circuit board, and an output of the AF position sensor may be transmitted to the circuit board.
  • the seating portion 500 of the holder 600 may include a protrusion 500a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60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ating portion may be in the form of a recess, a cavity, or a hole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600 .
  • the protrusion 500a of the seating part 500 may serve to prevent the lens or the lower end of the lens barrel 400 from contacting or colliding with the filter 610 (or/and the blocking member 1500 ).
  • the shape of the protrusion 500a viewed from the upper side may match the shape of the filter 6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the shape of the protrusion 500a may be similar to or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filter 610 .
  • the holder 600 may be attached to or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800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epoxy, a thermosetting adhesive, or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 the adhesive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6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800 .
  • the reinforcing material 900 may be disposed under the circuit board 800 , and may include a protrusion 901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801 of the circuit board 800 and for mounting the image sensor 810 .
  • the image sensor 81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901 of the reinforcement 9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800 through the wire 21 .
  • the wire 21 may connect the terminal 813 of the image sensor 810 and the terminal 1830 of the circuit board 800 to each other.
  • the circuit board 800 may include various circuits, devices, control units, etc. to convert an image formed on the image sensor 81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 it to an external device.
  • a circuit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mage sensor and various devices may be formed on the circuit board 800 .
  • the blocking member 1500 may be disposed on the edg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610 , and at least a portion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or lens barrel 400 and incident toward the edge region of the filter 610 is It may serve to block passage through the filter 610 .
  • the blocking member 1500 may be coupled or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1610 .
  • the filter 610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view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blocking member 150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lter 610 along each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610 .
  • the filter 610 and the image sensor 81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blocking member 1500 may include a terminal 1830 and/or a wire 21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8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t least some of them may overlap.
  • the wire 21 and the terminal 183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gold, silver, copper, or a copper alloy, and the conductive material may have a property of reflecting light.
  •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lter 610 may be reflected by the terminal 1830 and the wire 21 of the circuit board 800, and an instantaneous flash, that is, a flare phenomenon may occur by this reflected light, and , such a flare phenomenon may distort an image formed on the image sensor 810 or deteriorate image quality.
  • the motion sensor 820 may be mounted or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800 ,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830 through a circuit pattern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800 .
  • an adhesive member 17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800 and the upper surface 900a of the second region S2 of the reinforcing material 900 , and the circuit board 800 is formed by the adhesive member 1700 .
  • Silver may be attached to or fixed to the reinforcement 900 .
  • the adhesive member 1700 may be an epoxy, a thermosetting adhesive,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or an adhesive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90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810 .
  • it is an image sensor,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8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901a of the protrusion 901 .
  • the first height H1 from the upper surface 900a of the second region S2 of the reinforcing material 900 to the upper surface 901a of the protrusion 901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900 at the lower surface 900b of the reinforcing material 900 . ) of the second height H2 to the upper surface 900a of the second region S2 (H1:H2) may be 1:0.67 to 1:2.1.
  •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rotrusion 901 is insignificant, so that the flatnes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900 cannot be improved, and the image sensor 810 ), the effect of reducing the step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8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800 is reduced, so that the reliability of wire bonding between the two cannot be secured.
  • H1 may be 80 [ ⁇ m] ⁇ 150 [ ⁇ m]
  • H2 may be 100 [ ⁇ m] ⁇ 170 [ ⁇ m].
  •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region S1 of the reinforcing material 900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second area S2 of the reinforcing material 900 (T1>T2). Since T1>T2, the warpage of the upper surface 901a of the protrusion 901 of the reinforcing member 900 can be suppressed, and the flatness of the upper surface 901a of the protrusion 901 can be improved.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the reliability of the image sensor 81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901 may be improved, and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camera module may be improved.
  • the embodiment may not be affected by the overall height of the camera module.
  • the image sensor 9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901a of the protrusion 901,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8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810 is reduced, so that the circuit board 800 and the image sensor ( 810) shortens the length of the wir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wire bonding.
  • the protective sheet 420 may have a donut shape. Specifically, the protective sheet 420 may expose the opening of the lens barrel 400 . For example, a region of the protective sheet 420 overlapping with the lens 410 accommodated in the lens barrel 4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may be opened.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component of the protective sheet 420 from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lens 410 ,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 the optical film layer 421 may function to protect the black coating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400 .
  • the optical film layer 42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state of the black coating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400 covered by the optical film layer 421 from the outside.
  • the optical film layer 421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lens barrel 400 in the inner region B and the outer region A of the optical film layer 421 .
  • the inner region (B) and the outer region (A) of the optical film layer 421 ar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black coating layer of the lens barrel 4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us the spaced space is utilized to The protective sheet 420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lens barrel 400 .
  • On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layer 421 may include a first area in which the adhesive layer 422 is disposed and a second area in which the adhesive layer 422 is not disposed.
  • the second region may include an outer region A adjacent to the outer end of the optical film layer 421 and an inner region B adjacent to the inner end of the optical film layer 421 .
  • the width of the air passage 423 may chang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 the width of one end and the width of the other end of the air passage 42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a width of a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side of the protective sheet 420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protective sheet 420 . That is, the width of the air passage 423 may gradually decreas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sheet 420 .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sheet 420 and remai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400 .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2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 the display module 7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whose color changes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 the display module 751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three-dimensiona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3D display).
  • the interface unit 770 serves as a passage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A.
  • the interface unit 7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terminal 200A,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terminal 200A to an external device.
  • the interface unit 770 includes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d an audio I/O (Input/O) Output) port, video I/O (Input/Output) port, and may include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시트는, 광학 필름층; 및 상기 광학 필름층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오픈 영역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름층의 외측폭은 상기 접착층의 외측폭보다 크고, 상기 광학 필름층의 일면은, 상기 접착층의 제1 오픈 영역을 통해 중앙 영역이 노출되고, 상기 접착층의 외측폭과의 차이에 의해 외측 영역이 노출된다.

Description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실시 예는 보호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랙 배럴(black barrel) 상에 부착되는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고,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스마트폰을 비롯한 대부분의 모바일 전자기기에는 물체로부터 화상을 얻기 위한 카메라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모바일 전자기기는 간편한 휴대성을 위해 점차 소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카메라 장치는 일반적으로 광이 입사되는 렌즈와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촬상되는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로부터 얻은 화상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카메라 장치가 장착된 전자기기로 송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들이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센서와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외부의 전자기기와 연결된다.
이러한 카메라 장치는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렌즈 배럴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 또는 다이캐스팅 주조 공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 소재 등 비금속 소재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모바일 전자기기 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의 케이스에는 상기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에 수용된 렌즈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진다. 이때, 상기 렌즈 배럴의 표면에는 반사 방지를 위한 블랙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랙 코팅층은 빛의 반사를 방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 렌즈 배럴의 블랙 코팅층은 카메라 모듈의 제조 공정에서 쉽게 손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른 외관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
실시 예에서는 렌즈 배럴의 블랙 코팅층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배럴의 블랙 코팅층 상에 잔존하는 접착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렌즈의 표면에 접착물질아 남아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도록 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시트는, 광학 필름층; 및 상기 광학 필름층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오픈 영역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름층의 외측폭은 상기 접착층의 외측폭보다 크고, 상기 광학 필름층의 일면은, 상기 접착층의 제1 오픈 영역을 통해 중앙 영역이 노출되고, 상기 접착층의 외측폭과의 차이에 의해 외측 영역이 노출된다.
상기 광학 필름층은 상기 제1 오픈 영역과 오버랩되는 제2 오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름층의 상기 제2 오픈 영역의 폭은 상기 접착층의 제1 오픈 영역의 폭보다 크며, 상기 광학 필름층의 일면은, 상기 접착층이 배치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광학 필름층의 외측단과 인접한 외측영역 및 상기 광학 필름층의 내측단에 인접한 내측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접착층의 내측단과 상기 접착층의 외측단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층의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은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한다.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접착층의 내측단과 인접한 일단부의 폭이, 상기 접착층의 외측단과 인접한 타단부의 폭이 서로 다르다.
또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접착층의 내측단과 인접한 일단부, 상기 접착층의 외측단과 인접한 타단부, 및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내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통로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폭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내부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가 수용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개구부를 오픈하는 오픈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면에 부착되는 보호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시트는, 광학 필름층; 및 상기 광학 필름층의 일면에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의 개구부와 오버랩되는 오픈 영역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름층의 외측폭은 상기 접착층의 외측폭보다 크고, 상기 접착층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은 블랙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블랙 코팅층 상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공기 통로는, 일단부 및 타단부 사이에 폭이 변화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상면의 블랙 코팅층 상에 부착되는 보호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렌즈 배럴의 렌즈 수용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오픈하는 오픈 영역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배럴의 블랙 코팅층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 시트의 접착 성분이 상기 렌즈 상에 남아 있음에 따른 발생할 수 있는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광학 필름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시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호 시트의 접착층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층에 형성된 공기 통로에 의해, 상기 보호 시트의 접착 성분이 상기 렌즈 배럴의 블랙 코팅층 상에 남지 않는 상태로, 상기 렌즈 배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점선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호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호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보호시트의 C-C'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Optical Axis) 방향은 카메라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에 결합되는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은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 피드백(CLAF, closed-loop auto focus) 제어는 포커스 조절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렌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피드백(feedback, 되먹임)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제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방향은 광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200)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점선 부분(15)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00)은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 렌즈 구동 장치(100), 필터(610), 홀더(holder, 600), 회로 기판(800), 보강재(900), 및 이미지 센서(8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은 "촬상기" 또는 "촬영기"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고, 홀더(600)는 센서 베이스(sensor base)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200)은 필터(610) 상에 배치되는 차단 부재(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200)은 접착 부재(6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200)은 모션 센서(motion sensor, 820), 제어부(830), 및 커넥터(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또는 렌즈 배럴(lens barrel, 400)은 렌즈 구동 장치(100)의 보빈(110)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 배럴(400)은 내부에 렌즈(410)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배럴(400)의 상면에는 블랙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 배럴(400)의 상면의 블랙 코팅층 상에는 보호 시트(42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시트(420)는 상기 렌즈 배럴(400)의 상면의 블랙 코팅층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시트(420)는 상기 카메라 모듈(300)의 사용시, 상기 렌즈 배럴(400)에서 제거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0)는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을 구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은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 또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F용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OIS용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 기능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렌즈 구동 장치(100)는 AF용 렌즈 구동 장치이거나 또는 OIS용 렌즈 구동 장치일 수 있으며, 여기서 "AF용" 및 "OIS용"의 의미는 AF용 카메라 모듈 및 OIS용 카메라 모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200)의 렌즈 구동 장치(100)는 OIS용 렌즈 구동 장치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0)는 하우징(140), 하우징(140) 내에 배치되고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을 장착하기 위한 보빈(110), 보빈(110)에 배치되는 제1 코일(120), 하우징(140)에 배치되고 제1 코일(120)과 대향하는 마그네트(130), 보빈(110)의 상부와 하우징(1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탄성 부재(미도시), 보빈(110)의 하부와 하우징(1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탄성 부재(미도시), 보빈(110)(또는/및 하우징(140))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코일(230), 제2 코일(230) 아래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250), 및 회로 기판(250)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00)는 베이스(210)에 결합되고, 베이스(210)와 함께 렌즈 구동 장치(100)의 구성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커버 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00)는 회로 기판(250)과 상부 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하우징(140)을 베이스(210)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20)과 제2 코일(230) 각각은 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회로 기판(250)으로부터 구동 신호(구동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부 탄성 부재는 복수의 상부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 부재는 상부 스프링들과 연결되는 지지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스프링들 및 지지 부재를 통하여 제1 코일(120)은 회로 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250)은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는 제1 코일(120) 및/또는 제2 코일(23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120)과 마그네트(130)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빈(110) 및 이에 결합된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빈(110)의 광축 방향으로의 변위가 제어됨으로서, AF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230)과 마그네트(130)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하우징(140)이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떨림 보정 또는 OIS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AF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카메라 모듈(200)의 렌즈 구동 장치(100)는 보빈(110)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sensing magnet, 미도시), 및 하우징(140)에 배치되는 AF 위치 센서(예컨대, 홀 센서(hall senso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00)는 하우징 또는/및 베이스에 배치되고 AF 위치 센서가 배치 또는 장착되는 회로 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AF 위치 센서가 보빈에 배치되고, 센싱 마그네트가 하우징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00)는 센싱 마그네트에 대응하여 보빈(110)에 배치되는 밸런싱 마그네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F 위치 센서는 보빈(100)의 이동에 따른 센싱 마그네트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부 탄성 부재(또는 하부 탄성 부재) 또는/및 지지 부재를 통하여, AF 위치 센서는 회로 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250)은 AF 위치 센서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AF 위치센서의 출력은 회로 기판(25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렌즈 구동 장치(100)는 AF용 렌즈 구동 장치일 수도 있으며, AF용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빈,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magnet), 보빈과 하우징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보빈(또는/및 하우징)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는 상술한 상부 탄성 부재 및 하부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에는 구동 신호(예컨대, 구동 전류)가 제공될 수 있고, 코일과 마그네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코일은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고, 마그네트는 보빈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AF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AF용 렌즈 구동 장치는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sensing magnet), 하우징에 배치되는 AF 위치 센서(예컨대, 홀 센서(hall sensor), 및 AF 위치 센서가 배치되고 하우징 또는/및 베이스에 배치 또는 장착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AF 위치 센서가 보빈에 배치되고, 센싱 마그네트가 하우징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1의 렌즈 구동 장치(100) 대신에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과 결합되고,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하우징은 홀더(600)의 상면에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홀더(600)에 부착 또는 고정된 하우징은 이동되지 않을 수 있고, 홀더(600)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코일과 AF 위치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회로 기판을 통하여 코일 및 AF 위치 센서 각각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고, AF 위치 센서의 출력이 회로 기판으로 전송될 수 있다.
홀더(600)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베이스(2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610)는 홀더(600)에 장착되며, 홀더(600)는 필터(610)가 안착되는 안착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접착 부재(612)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베이스(210)를 홀더(600)에 결합 또는 부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612)는 베이스(210)의 하면과 홀더(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양자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 부재(612)는 상술한 접착 역할 외에 렌즈 구동 장치(1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612)는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일 수 있다.
필터(610)는 홀더(600)의 안착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600)의 안착부(500)는 홀더(6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500a)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안착부는 홀더(60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홈(recess), 캐비티(cavity), 또는 홀(hole) 형태일 수도 있다.
안착부(500)의 돌출부(500a)는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의 하단이 필터(610)(또는/및 차단 부재(1500))와 접촉 또는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돌출부(500a)는 필터(610)의 측면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500a)는 필터(610)의 측면을 감싸도록 필터(610)의 측면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500a)의 내측면은 필터(610)의 측면과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양자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는 필터(610)를 홀더(600)의 안착부(500) 내측에 용이하게 실장하기 위한 가공 공차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돌출부(500a)의 상면은 필터(610)의 상면(610)보다 광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이 렌즈 구동 장치(100)에 장착되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필터(6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의 하단이 필터(610)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측에서 바라본 돌출부(500a)의 형상은 필터(610)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돌출부(500a)의 형상은 필터(610)의 형상과 유사하거나 다를 수도 있다.
홀더(600)는 필터(610)가 실장 또는 배치되는 부위에 필터(61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810)에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501)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개구(501)는 홀더(600)를 광축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으며, "관통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개구(501)는 홀더(600)의 중앙을 관통할 수 있으며, 안착부(500) 내에 마련될 수 있고, 개구(501)의 면적은 필터(61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홀더(600)는 회로 기판(800) 상에 배치되며, 내부에 필터(610)를 수용할 수 있다. 홀더(600)는 상측에 위치하는 렌즈 구동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0)의 베이스(210)의 하면은 홀더(6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구동 장치(100)의 베이스(210)의 하면은 홀더(600)의 상면에 접할 수 있고, 홀더(6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610)는 홀더(600)의 안착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610)는 렌즈 배럴(400)을 통과하는 광에서의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이미지 센서(810)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610)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필터(610)는 광축(OA)과 수직한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610)는 UV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홀더(600)의 안착부(500)에 부착될 수 있다.
회로 기판(800)은 홀더(6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홀더(600)는 회로 기판(8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하여 홀더(600)는 회로 기판(800)의 상면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접착 부재는 홀더(600)의 하면과 회로 기판(8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800)은 홀더(600)의 개구(501)에 대응하는 개구(801)를 구비할 수 있다. 회로 기판(800)의 개구(801)는 광축 방향으로 회로 기판(800)을 관통하는 관통 홀 형태일 수 있다.
회로 기판(800)의 개구(801) 내에는 이미지 센서(810)가 배치될 수 있다.
보강재(900)는 회로 기판(800)의 아래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800)의 개구(801)에 대응하고 이미지 센서(810)가 실장되기 위한 돌출부(90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901)는 보강재(900)의 상면의 일 영역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10)는 돌출부(901)의 상면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800)의 개구(801)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보강재(900)의 돌출부(901)의 상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810)는 와이어(21)를 통하여 회로 기판(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어(21)는 이미지 센서(810)의 단자(813)와 회로 기판(800)의 단자(183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보강재(900)는 기설정된 두께와 경도를 갖는 판재형 부재로서, 이미지 센서(8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접촉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900)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보강재(90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 예컨대, SUS,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보강재(900)는 글라스 에폭시, 플라스틱,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재(900)는 회로 기판(800)의 접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ESD(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로부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그라운드(Ground)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810)는 필터(61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광이 포함하는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일 수 있다.
회로 기판(800)은 이미지 센서(810)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각종 회로, 소자,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회로 기판(800)에는 이미지 센서, 및 각종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600)는 제1 홀더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고, 회로 기판(800)은 제2 홀더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810)는 렌즈 구동 장치(100)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필터(610)와 이미지 센서(810)는 광축(OA) 방향 또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홀더(600)의 돌출부(500a)는 광축 방향으로 필터(610)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단 부재(1500)는 필터(6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부재(1500)는 "마스킹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부재(1500)는 필터(610)의 상면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을 통과하여 필터(610)의 가장 자리 영역을 향하여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필터(610)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부재(1500)는 필터(1610)의 상면에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610)는 광축 방향으로 보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차단 부재(1500)는 필터(610)의 상면의 각 변을 따라 필터(610)에 대하여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단 부재(1500)는 필터(1610)의 상면의 각 변에서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부재(1500)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부재(1500)는 필터(610)에 도포되는 불투명한 재질의 접착성 물질로 구비되거나 또는 필터(610)에 부착되는 필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610)와 이미지 센서(810)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차단 부재(1500)는 광축 방향으로 회로 기판(800)에 배치된 단자(1830) 및/또는 와이어(21)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와이어(21) 및 단자(1830)는 도전성 물질, 예컨대, 금, 은, 동, 동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도전성 물질은 광을 반사시키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필터(610)를 통과한 광은 회로 기판(800)의 단자(1830) 및 와이어(21)에 의하여 반사될 수 있고, 이러한 반사광에 의하여 순간적인 번쩍임, 즉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플레어 현상은 이미지 센서(810)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왜곡시키거나 이미지 화질을 저하시킬수 있다.
차단 부재(1500)는 광축 방향으로 단자(1830) 및/또는 와이어(21)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 통과한 광 중에서 회로 기판(800)의 단자(1830), 또는/및 와이어(21)로 향하는 광을 차단하여 상술한 플레어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810)에 결상되는 이미지가 왜곡되거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션 센서(820)는 회로 기판(800)에 실장 또는 배치되며, 회로 기판(800)에 마련되는 회로 패턴을 통하여 제어부(8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션 센서(820)는 카메라 모듈(200)의 움직임에 의한 회전 각속도 정보를 출력한다. 모션 센서(820)는 2축 또는 3축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각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830)는 회로 기판(800)에 실장 또는 배치된다.
회로 기판(800)는 렌즈 구동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800)은 렌즈 구동 장치(100)의 회로 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800)를 통하여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1 코일(120), 및 제2 코일(230) 각각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고, AF 위치 센서(또는 OIS 위치 센서)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AF 위치 센서(또는 OIS 위치 센서)의 출력은 회로 기판(8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커넥터(840)는 회로 기판(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10)의 하면과 돌출부(901)의 상면(901a) 사이에는 접착 부재(1750)가 배치될 수 있고, 접착 부재(1750)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810)는 돌출부(901)의 상면(901a)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접착 부재(1750)는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접착 필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회로 기판(800)의 하면과 보강재(900)의 제2 영역(S2)의 상면(900a) 사이에는 접착 부재(1700)가 배치될 수 있고, 접착 부재(1700)에 의하여 회로 기판(800)은 보강재(900)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부재(1700)는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접착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901)의 상면의 면적은 이미지 센서(810)의 하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미지 센서(810)의 하면의 가장 자리는 돌출부(901)의 상면(901a)의 가장 자리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보강재(900)의 제2 영역(S2)의 상면(900a)에서 돌출부(901)의 상면(901a)까지의 제1 높이(H1)와 보강재(900)의 하면(900b)에서 보강재(900)의 제2 영역(S2)의 상면(900a)까지의 제2 높이(H2)의 비율(H1:H2)은 1:0.67 ~ 1: 2.1일 수 있다.
제2 높이를 제1 높이로 나눈 값(H2/H1)이 0.67 미만인 경우에는 보강재(900)가 회로 기판(800)을 지지할 수 없을 정도로 휘어지거나 변형되기 쉽다.
또한 제2 높이를 제1 높이로 나눈 값(H2/H1)이 2.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돌출부(901)의 돌출된 높이가 미미하여 보강재(900)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없고, 이미지 센서(810)의 상면과 회로 기판(800)의 상면 간의 광축 방향으로의 단차를 줄이는 효과가 감소되어 양자 간의 와이어 본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예컨대, H1는 80[㎛] ~ 150[㎛]일 수 있고, H2는 100[㎛] ~ 170[㎛]일 수 있다.
보강재(900)의 하면(900b)을 기준으로 보강재(900)의 돌출부(901)의 상면(901a)의 높이는 보강재(900)에 배치된 회로 기판(800)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예컨대, 보강재(900)는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영역(S1)은 이미지 센서(810)가 부착되는 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S2)은 회로 기판(800)이 부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보강재(900)의 제1 영역(S1)은 제2 영역(S2)을 기준으로 보강재의 하면에서 보강재의 상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0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810)는 돌출부(90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재(900)의 제1 영역(S1)은 보강재(900)의 제2 영역(S2)보다 돌출되는 돌출부(901)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900)의 제1 영역(S1)의 두께(T1)는 보강재(900)의 제2 영역(S2)의 두께(T2)보다 두껍다(T1>T2). T1>T2이므로, 보강재(900)의 돌출부(901)의 상면(901a)의 왜곡(warpage)가 억제될 수 있고, 돌출부(901)의 상면(901a)의 평탄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시 예는 돌출부(901)의 상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81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광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보강재(900)의 제2 영역(S2)은 일정한 두께를 가짐으로써, 실시 예는 카메라 모듈의 전체 높이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910)가 돌출부(901)의 상면(901a)에 배치되기 때문에, 회로 기판(800)의 상면과 이미지 센서(810)의 상면 사이의 높이 차이가 줄어들어 회로 기판(800)과 이미지 센서(810) 간의 와이어 길이가 짧아지고, 이로 인하여 와이어 본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재(900)의 돌출부(901)의 측면과 회로 기판의 개구의 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100[㎛] ~ 250[㎛]일 수 있다.
D1이 100[㎛] 미만인 경우에는 회로 기판(800)을 보강재(900)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공차가 작아져서 회로 기판(800)의 개구(801)와 보강재(900)의 돌출부(901) 사이의 오정렬이 발생될 수 있고, 회로 기판(800)과 돌출부(901) 간의 충돌에 의하여 회로 기판(800)이 파손될 수 있다.
D1이 250[㎛] 초과인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와 회로 기판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여 와이어 본딩의 신뢰성이 나빠질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의 렌즈 배럴(400)의 상면에는 보호 시트(42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보호 시트(420)는 도너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시트(420)는 상기 렌즈 배럴(400)의 개구부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시트(420)는 상기 렌즈 배럴(400) 내에 수용된 렌즈(410)와 광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보호 시트(420)의 접착성분이 상기 렌즈(410)의 표면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호 시트(4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호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시트(420)를 상측에서 바라면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시트(420)를 하측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의 보호 시트(420)는 광학 필름층(421) 및 접착층(422)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층(421)은 렌즈 배럴(400)의 상면의 블랙 코팅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 필름층(421)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외부에서 상기 광학 필름층(421)에 의해 덮인 상기 렌즈 배럴(400)의 상면의 블랙 코팅층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광학 필름층(421)은 상기 렌즈 배럴(40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학 필름층(421)은 중앙에 오픈 영역(OR)이 형성된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배럴(400)의 상면이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광학 필름층(421)은 오픈 영역(OR)을 포함하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층(421)은 오픈 영역(OR)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 필름층(421)은 상기 렌즈(410)의 상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렌즈(410)의 상면에는 이물질이 남아있어서는 안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시트(420)를 구성하는 접착층(422)은 상기 렌즈 배럴의 상면에만 배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렌즈(421)의 상면을 노출하는 오픈영역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광학필름층(421)은 접착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실시 예에서의 광학 필름층(421)운 상기 렌즈(410)의 상면을 커버하는 형상, 즉 상기 오픈 영역(OR)을 포함하지 않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실시 예에서의 광학 필름층(421)은 상기 오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예에서의 상기 광학 필름층(421)은 상기 오픈 영역을 통해 상기 보호시트를 렌즈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외부에서 상기 렌즈의 상면이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학 필름층(421)에 오픈 영역(OR)이 포함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광학 필름층(421)에는 상기 오픈 영역(OR)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외측 폭(W1)은 상기 렌즈 배럴(400)의 외측폭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내측 폭(W2) 또는 오픈 영역(OR)의 폭은 상기 렌즈 배럴(400)의 내측폭 또는 개구부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학 필름층(421)은 상기 렌즈 배럴(400)의 블랙 코팅층의 전체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층(421)은 상기 렌즈 배럴(400)의 개구부 내에 수용된 렌즈(410)와는 접촉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렌즈(410)의 상면에 보호 시트(420)의 접착 성분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 필름층(421)은 상기 외측폭(W1)과 내측폭(W2)에 대응하는 폭(W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일면에는 접착층(4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422)의 면적은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422)의 외측 폭(W3)은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외측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422)의 내측 폭은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내측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의 접착층(422)은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일면은 상기 접착층(422)이 배치된 영역과, 상기 접착층(422)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422)은 접착층의 외측폭과 내측폭에 대응하는 폭(W5)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422)의 폭(W5)은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폭(W4)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일면은, 상기 접착층(422)이 배치된 제1 영역과, 상기 접착층(422)이 배치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외측단에 인접한 외측 영역(A)과, 내측단에 인접한 내측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일면에서, 외측단에 인접한 외측 영역(A)과, 내측단에 인접한 내측 영역(B)에는 상기 접착층(42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내측 영역(B) 및 외측 영역(A)에서, 상기 광학 필름층(421)을 상기 렌즈 배럴(4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내측 영역(B)과 외측 영역(A)은 상기 렌즈 배럴(400)의 블랙 코팅층의 표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격된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보호 시트(420)를 렌즈 배럴(4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호시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보호시트의 C-C'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시트(420)를 상측에서 바라면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시트(420)를 하측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5의 (a) 및 (b)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의 보호 시트(420)는 광학 필름층(421) 및 접착층(422)을 포함한다.
보호 시트(420)는 광학 필름층(421) 및 접착층(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층(421)과 접착층(422)의 기본적인 특징은 도 4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광학 필름층(421)은 상기 렌즈 배럴(40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학 필름층(421)은 중앙에 오픈 영역(OR)이 형성된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일면에는 접착층(4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일면은, 상기 접착층(422)이 배치된 제1 영역과, 상기 접착층(422)이 배치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외측단에 인접한 외측 영역(A)과, 내측단에 인접한 내측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일면에서, 외측단에 인접한 외측 영역(A)과, 내측단에 인접한 내측 영역(B)에는 상기 접착층(42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내측 영역(B) 및 외측 영역(A)에서, 상기 광학 필름층(421)을 상기 렌즈 배럴(4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내측 영역(B)과 외측 영역(A)은 상기 렌즈 배럴(400)의 블랙 코팅층의 표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격된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보호 시트(420)를 렌즈 배럴(4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422)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공기 통로(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통로(423)는 상기 접착층(422)의 외측단과 내측단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층(422)은 복수의 공기 통로(423)를 통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통로(423)는 상기 렌즈 배럴(400)과 상기 보호 시트(420) 사이의 공기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공기 통로(423)를 통해 상기 렌즈 배럴(400)로부터 상기 보호 시트(420)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통로(423)는 상기 접착층(422)과 상기 렌즈 배럴(400) 사이의 미접촉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접착층(422)의 접착성분이 상기 렌즈 배럴(400)의 상면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통로(423)는 상기 렌즈 배럴(400)로부터 상기 보호 시트(42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400)에 상기 보호 시트(420)의 접착성분이 남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통로(423)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아, 상기 공기 통로(423)의 일단의 폭과 타단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통로(423)는, 상기 보호 시트(420)의 내측과 인접한 부분의 폭이, 외측과 인접한 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통로(423)는 보호 시트(4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보호 시트(420)의 외측에서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렌즈 배럴(400)의 상면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400)의 개구부 내에는 렌즈(41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서 상기 공기 통로(423)를 통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 예에서의 공기 통로(423)의 일단 및 타단은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통로(423)의 일단부의 폭과 타단부의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기 통로(423)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경우, 상기 공기 통로(423)는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에서, 공기 통로(423)의 내부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통로(423)는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에서 내부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공기 통로(423)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공기 통로(423)를 통해 이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층(421)의 내측 영역(B) 및 외측 영역(A)은 상기 접착층(422)의 공기 통로(423)를 통해 서로 연통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A)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A, 이하 "단말기"라 한다.)는 몸체(850), 무선 통신부(710), A/V 입력부(720), 센싱부(740), 입/출력부(750), 메모리부(760), 인터페이스부(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몸체(850)는 바(bar)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r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몸체(8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850)는 프론트(front) 케이스(851)와 리어(rear) 케이스(85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단말기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10)는 단말기(200A)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A)와 단말기(200A)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1)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40)는 단말기(200A)의 개폐 상태, 단말기(200A)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200A)의 방위, 단말기(200A)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200A)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A)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부(750)는 단말기(200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2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 모듈(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7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752)은 호(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메모리부(760)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사진,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부(760)는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예컨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70)는 단말기(200A)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A)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부(7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780)는 단말기(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7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7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광학 필름층; 및
    상기 광학 필름층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오픈 영역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름층의 외측폭은 상기 접착층의 외측폭보다 크고,
    상기 광학 필름층의 일면은,
    상기 접착층의 제1 오픈 영역을 통해 중앙 영역이 노출되고,
    상기 접착층의 외측폭과의 차이에 의해 외측 영역이 노출되는,
    보호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층은 상기 제1 오픈 영역과 오버랩되는 제2 오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름층의 상기 제2 오픈 영역의 폭은 상기 접착층의 제1 오픈 영역의 폭보다 크며,
    상기 광학 필름층의 일면은,
    상기 접착층이 배치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광학 필름층의 외측단과 인접한 외측영역 및 상기 광학 필름층의 내측단에 인접한 내측영역을 포함하는,
    보호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보호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접착층의 내측단과 상기 접착층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보호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층의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은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하는,
    보호 시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접착층의 내측단과 인접한 일단부의 폭이, 상기 접착층의 외측단과 인접한 타단부의 폭이 서로 다른.
    보호 시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접착층의 내측단과 인접한 일단부, 상기 접착층의 외측단과 인접한 타단부, 및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내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통로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폭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내부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보호 시트.
  8. 렌즈가 수용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개구부를 오픈하는 오픈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면에 부착되는 보호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시트는,
    광학 필름층; 및
    상기 광학 필름층의 일면에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의 개구부와 오버랩되는 오픈 영역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름층의 외측폭은 상기 접착층의 외측폭보다 크고,
    상기 접착층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블랙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블랙 코팅층 상에 부착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일단부 및 타단부 사이에 폭이 변화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CT/KR2021/011457 2020-08-26 2021-08-26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204580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23,125 US20230314663A1 (en) 2020-08-26 2021-08-26 Protective sheet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904A KR20220026855A (ko) 2020-08-26 2020-08-26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107904 2020-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5803A1 true WO2022045803A1 (ko) 2022-03-03

Family

ID=8035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1457 WO2022045803A1 (ko) 2020-08-26 2021-08-26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14663A1 (ko)
KR (1) KR20220026855A (ko)
WO (1) WO202204580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032A (ko) * 1992-08-08 1994-03-14 이혁 접착테이프
KR200440100Y1 (ko) * 2007-03-26 2008-05-23 홍-우 프레시젼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마이크로렌즈의 보호용 스티커
KR20080107869A (ko) * 2007-06-08 2008-1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렌즈 보호시트
KR20150066790A (ko) * 2013-12-09 2015-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커버 테이프
CN108307636A (zh) * 2015-05-13 2018-07-20 琳得科株式会社 表面保护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032A (ko) * 1992-08-08 1994-03-14 이혁 접착테이프
KR200440100Y1 (ko) * 2007-03-26 2008-05-23 홍-우 프레시젼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마이크로렌즈의 보호용 스티커
KR20080107869A (ko) * 2007-06-08 2008-1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렌즈 보호시트
KR20150066790A (ko) * 2013-12-09 2015-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커버 테이프
CN108307636A (zh) * 2015-05-13 2018-07-20 琳得科株式会社 表面保护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14663A1 (en) 2023-10-05
KR20220026855A (ko)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40397A1 (ko) 센서 구동 장치
WO2018135784A1 (en)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WO2017188781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WO2019182307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WO2017122993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8056770A1 (ko) 카메라 렌즈 배럴, 카메라 모듈 및 광학 장치
WO2021162378A1 (ko)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4014222A1 (en) Camera module
WO2017090940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7010745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7188771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8182239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20004975A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WO2017179845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20036450A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9182305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WO2020004935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WO2021158031A1 (ko) 카메라 장치
WO2021221464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020738A2 (ko) 카메라 모듈
WO2022045803A1 (ko)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1230719A1 (ko) 카메라 모듈
WO2021210883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45800A1 (ko) 카메라 모듈
WO2023244045A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20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20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