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35269A1 -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35269A1
WO2022035269A1 PCT/KR2021/010768 KR2021010768W WO2022035269A1 WO 2022035269 A1 WO2022035269 A1 WO 2022035269A1 KR 2021010768 W KR2021010768 W KR 2021010768W WO 2022035269 A1 WO2022035269 A1 WO 20220352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rain
extract
culture
lysate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07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보람
전경찬
김운기
남태욱
김덕윤
고광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Priority to EP21856275.9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01415A4/en
Priority to CN202180050162.4A priority patent/CN116529355A/zh
Priority to JP2023510332A priority patent/JP7535174B2/ja
Priority to US18/041,369 priority patent/US20230293600A1/en
Publication of WO20220352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352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and uses thereof.
  • a healthy gut symbiotic microbiota has complex interactions with human cells and performs a variety of function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the immune system through the regulation of metabolism and immune response, and maintenance of intestinal homeostasis.
  •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KBL1027 strain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the culture of the strain the lysate of the strain
  • the extract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culture
  • the extract of the lysate the strain
  • the strain to provide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of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having a therapeutic or prophylactic effect on an inflammatory disease.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strain, the culture of the strain, the lysate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culture, the lysat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xtract, o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e strain.
  •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ance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for example,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that produce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a culture of the strain, a lysate of the strain, the strain of the extract, the extract of the culture, the extract of the lysate, or the material derived from the strain (eg,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inducing the secretion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that produce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 a culture of the strain a lysate of the strain
  • the strain of the extract the extract of the culture, the extract of the lysate
  • the material derived from the strain eg,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inducing the secretion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 the present invention discovers a novel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isolated from healthy Koreans, and promotes excellent anti-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P. prausnichii strain The effect of improving symptoms of inflammatory diseases was confirmed.
  •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KBL1027 strain.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strain, the culture of the strain, the lysate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culture, the lysate It relates to an extract, or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e strain.
  •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that produce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a culture of the strain, a lysate of the strain, an extract of the strain, an extract of the culture, and the lysate of the extract, or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e strain.
  •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may be a substance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the culture of the strain the lysate of the strain
  • the extract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culture
  • the extract of the lysate and the strain It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 the composition may be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 the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or a prebiotic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be a 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microbial balance.
  •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KBL1027 strain.
  • the strain may be an anti-inflammatory use,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induction use, a use to strengthen a close junction betwee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 use to improve the intestinal microbial balance, 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allevia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 the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7 strain may have a 16s rRNA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4.
  • the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is a novel strain having genetic characteristic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P. prausnitzii microorganisms.
  • the P. prausnitzii KBL1027 strain has an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with the P. prausnitzii DSM17677 strain of less than 100%, 99% or less, 98% or less, 97 % or less, 96% or less, 95% or less, 94% or less, 93% or less, 92% or less, 91% or less, 90% or less, 89% or less, 88% or less, 87% or less, 86% or less, or 85% or less It may be the following. Even if 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base identity is not specifi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learly implement the P.
  •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verage Nucleotide Identity
  • the prausnitzii KBL1027 strain having a low average base identity with the P. prausnitzii DSM17677 strain e.g.
  • 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base identity may be 5% or more, 10% or more, 20% or more, 30% or more, 40% or more, 50% or more, 60% or more, 70% or more, or 80% or more,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going to be
  • the P. prausnichii KBL1027 strain-specific compared to the P. prausnichii DSM17677 strain belonging to the same species as the strain There were many genes.
  • the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vel strain having genetic characteristic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P. prausnitzii microorganisms.
  • the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7 strain may include a cell wall and capsule function gene.
  • the cell wall and capsule function genes may be those that perform the functions of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 or rhamnose containing glycans.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 may include one or more gen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1) to (7):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 may include one or more gen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1) to (13):
  • the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7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specifically may hav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by inducing anti-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 the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may induce anti-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 the amount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s greater than 1 times, 1.5 times or more, 2 times or more, 2.5 times or more, 3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LPS alone. or more, 3.5 times or more, 4 times or more, more than 4 times, 4.1 times or more, 4.2 times or more, 4.3 times or more, 4.4 times or more, or 4.5 times or more.
  •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may be IL-10.
  •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is an immune regulatory cytokine,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lammatory responses, tumorigenesis, allergies and autoimmune diseases.
  • IL-10 is an important immune-regulating cytokine produced by various cells, and not only suppresses the inflammatory response, but also various immune cells such as T cells, B cells, NK (natural killer) cells, antigen presenting cells, and mast cells. It functions to regulat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IL-10 also exhibits an immune activation function that eliminates infectious or non-infectious particles while minimiz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 IL-10 inhibits antigen-specific activity in most cells involved in an allergic reaction, and inhibits the movement of inflammatory cells such as eosinophils in the inflammatory site, thereby reducing the expression of IgE receptors, which are allergens, resulting in mononuclear cells or resin Effectively inhibits allergen responses in cells. Accordingly, the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production of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thereby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allergies, or autoimmune diseases.
  • the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7 strain may be to strengthen the close junction betwee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 a close junction-related gene eg Zo-1 or Occludin
  • close junction-related genes for example, Zo-1 Or Occludin
  • intestinal epithelial cells When the close junction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s weakened, leaky gut, a type of autoimmune disease, may occur. Specifically, intestinal epithelial cells must establish a barrier to induce “close junction” of cells to prevent other substances from entering.
  • -associated lymphoid tissue refers to a phenomenon that causes inflammation by triggering an immune response.
  • the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improve, or treat leaky gut syndrome or leaky gut by strengthening the close junction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nd preventing, improving, alleviat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Or it can be treated.
  •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7 strain may be to improve the intestinal microbial balance.
  • the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7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improve, alleviate or treat inflammatory reactions, allergic diseases, autoimmune diseases, etc. by improving the imbalance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in vivo.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 may have one or more characteristic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1) to (5):
  • a strain having a lipopolysaccharide cell wall for example, a strain of the phylum Proteo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an animal;
  • the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7 strain may have preventive, ameliorating or therapeutic activity for inflammatory diseases.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 may have one or more characteristic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1) and (2):
  • Prevents weight loss due to inflammatory disease for example, when dextran sulfate sodium (DSS) and the above strain are administered togeth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DSS alone (weight change%) less than 1 times, 0.9 times or less, 0.8 times or less, 0.7 times or less, 0.6 times or less, or 0.5 times or less;
  • DSS dextran sulfate sodium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strain may be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 the inflammatory disease is a disease accompanying inflammation, and diseases accompanying inflammation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flammatory skin disease, inflammatory collagen vascular disease, atopic dermatitis, allergic disease, autoimmune disease, autoimmune disease Immune inflammatory disease, eczema, asthma, allergic asthma, bronchial asthma, rhinitis, allergic rhinitis, conjunctivitis, allergic conjunctivitis, food allergy, rheumatoid arthritis, rheumatic fever, lupus, systemic scleroderma, psoriasis, psoriatic arthritis, asthma, Guilian-Barre syndrome, myasthenia gravis, dermatomyositis, polymyositis, multiple sclerosis,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polyarteritis nodosa, Hashimoto's thyroiditis, temporal arteritis, childhood diabetes, alopecia areata, pemphigus
  • the atopic dermatitis refers to a chronic or recurrent inflammatory skin condition showing itching.
  • the allergic disease means that basophils to which immunoglobulin E (IgE) produced by the immune system exposed to the antigen and histamine secreted by mast cells induce inflammation in the surrounding tissues.
  • IgE immunoglobulin E
  • the autoimmune disease refers to an inflammatory response caused by autoimmunity in an organ or tissue due to an immune response to a substance in the body.
  • the autoimmune disease may be, for example, an inflammatory skin disease.
  • the inflammatory skin disease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opic dermatitis, psoriasis, eczema, acne, contact dermatitis and seborrheic dermatitis.
  • the autoimmune disease may be a local autoimmune disease or a systemic autoimmune disease.
  • the local autoimmune disease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ype 1 diabetes, hypothyroidism, hyperthyroidism, idiopathic thrombocytopenia, and vitiligo,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ystemic autoimmune disease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rheumatoid arthritis, Sjogren's syndrome, Behcet's disease, systemic sclerosis,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an inflammatory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 cause is often unknown, and drug development research f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being conducted enormously, and using the next-generation sequencing method
  •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 the diversity of the intestinal flora was decreased in the patient group compared to healthy normal subjects, and the imbalance of the intestinal flora was revealed, such as Proteobacteria predominate.
  • the 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ulcerative colitis (UC), enteritis,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nd Crohn's disease (CD). It may be more than a species.
  • Inflammatory disease may be one that causes one or more symptoms or pathological phenomena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1) to (10):
  • an increase in the relative abundance of harmful bacteria for example, a strain having a lipopolysaccharide cell wall, for example, a strain of the phylum Proteo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an animal;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specifically, may hav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by inducing the production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 the amount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s greater than 1 times, 1.5 times or more, 2 times or more, 2.5 times or more, 3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LPS alone. or more, 3.5 times or more, 4 times or more, more than 4 times, 4.1 times or more, 4.2 times or more, 4.3 times or more, 4.4 times or more, or 4.5 times or more.
  •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may be IL-10.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eature of strengthening the close junction betwee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of an animal.
  • a close junction-related gene eg Zo-1 or Occludin
  • the expression level of a close junction-related gene is greater than one-fold compared to a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DSS alone , 1.1 times or more, 1.2 times or more, 1.3 times or more, 1.4 times or more, or 1.5 times or more, or close junction related genes (eg Zo-1 or Occludin ) expression level of more than 1 times, 1.01 times or more, 1.05 times or more, 1.1 times or more, 1.15 times or more, 1.2 times or more, 1.25 times or more, or 1.3 times or more.
  •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improve the intestinal microbial balance.
  • the composition may have one or more characteristic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1) to (5):
  •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reventive, ameliorating or therapeutic activity for inflammatory diseases.
  • the composition may have one or more characteristic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1) to (2):
  • Prevents weight loss of animals due to inflammatory disease for example, when dextran sulfate sodium (DSS) and the composition are administered togeth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DSS alone (Weight change) %) is less than 1 times, 0.9 times or less, 0.8 times or less, 0.7 times or less, 0.6 times or less, or 0.5 times or less,
  • the rate of decrease in intestinal length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DSS alone is less than 1 times, 0.9 times or less, 0.8 times or less, 0.7 times or less, 0.6 times or less, 0.5 times or less, 0.4 times or less, 0.3 times or less, 0.2 times or less, or 0.1 times or less.
  • the composition may be to improve the intestinal microbial balance.
  • the composition may increase the diversity of the intestinal flora of an animal.
  • the composition may increase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Prevotella genus and/or Paraprevotellaceae family strain in the intestine of an animal.
  • the composition may be to reduce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genus and/or Proteobacteria phylum in the intestine of animals.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f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According to th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specifically produce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thus the composition was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f the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may include.
  • the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e excellent symptom improvement effect of colitis disease compared to other strains belonging to the same species based on the experiment, and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and adhesion betwee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The effect of enhancing the expression levels of Zo-1 and Occludin genes related to the synaptic function and restoring the intestinal flora was confirmed.
  •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material specifically produced by the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was experimentally and genomically confirmed, and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production ability by the P. prausnitzii KBL1027 strain culture was tested. It was confirmed based on BMDM.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strain, the culture of the strain, the lysate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culture, the lysate It relates to an extract, or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e strain.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strain may be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ance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for example,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that produce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a culture of the strain, a lysate of the strain, the strain of the extract, the extract of the culture, the extract of the lysate, or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e strain.
  •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that produce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 a culture of the strain a lysate of the strain
  • the strain of the extract the extract of the culture, the extract of the lysate, or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e strain.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strain may be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6 strain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0BP or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preferably may be a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7 strain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strain may be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the culture of the strain the lysate of the strain
  • the extract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culture, the extract of the lysate
  • the strain It relates to a prebio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strain may be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the culture of the strain the lysate of the strain
  • the extract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culture, the extract of the lysate
  • the strain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microbial balanc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strain may be a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KBL1027 strain, the culture of the strain, the lysate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culture, the lysate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xtract of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the strain.
  •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 the inflammatory disease, etc.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having an accession number KCTC14231BP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KBL1027 strain, the culture of the strain, the lysate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strain, the extract of the culture, the lysate It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intestinal microbial balance, comprising administer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xtract of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the strain.
  • an increase in the diversity of the intestinal flora of the animal was induced, and the dysbiosis of the intestinal flora of the animal was improved, and specifically, in the intestinal flora of the animal It prevented an increase in the relative abundance of harmful bacteria, for example, a strain having a lipopolysaccharide cell wall, for example, a strain of the phylum Proteobacteria, and increased the relative abundance of a strain of the genus Bacteroides in the intestinal flora of an animal.
  • the term 'active ingredient' refers to a component that alone exhibits a desired activity or can exhibit activity together with a carrier that is not active by itself.
  • prevention means suppressing or delaying the onset of a disease, disorder or disease. Prevention may be considered complete if the onset of the disease, disorder or condition is suppressed or delay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 the term 'treatment' refers to a specific disease, disorder and/or symptom according to the disease or condition, partially or completely alleviating, ameliorating, alleviating, inhibiting or delaying, reducing the severity, or reducing the severity of one or more symptoms or characteristics. means to reduce the incidenc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exhibit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be formulated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ccording to a method that can be clearly implement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may be prepared in dosage form or by introduction into a multi-dose container.
  •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refers to a compound that facilitates the addition of a compound into a cell or tissue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refers to a compound that is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is administered to a human, usual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t refers to a composition that does not cause an allergic reaction such as disorder or dizziness or a reaction similar thereto.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re those commonly used in formulation, and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gum,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fillers, anti-aggrega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fragrances, emulsifier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 additives such as fillers, anti-aggrega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fragrances, emulsifier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 the content of the additiv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the content range used for conventional formulation.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 food composition, or a probiotic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s an oral preparation.
  • oral preparation include tablets, troches, lozenges, aqueous suspensions, oily suspensions, prepared powders, granules, emulsions, hard capsules, soft capsules, syrups or elixirs, and the like.
  • a binder such as lactose, saccha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mylopectin, cellulose or gelatin; excipients such as dicalcium phosphate and the like; disintegrants such as corn starch or sweet potato starch; Magnesium stearate, calcium stearate, sodium stearyl fumarate, etc. may be used, and sweeteners, fragrances, syrups, etc. may be used.
  • a liquid carrier such as fatty oil may be additionally used.
  • the term 'excipient' refers to any substance other than a therapeutic agent, used as a carrier or medium for delivery of a therapeutic agent, or added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by improving handling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r permitting and facilitating unit dosage formation of the composition.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 food composition, or a probiotic composition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ampl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 food composition, or a probiotic composition
  • oral formulations such as , syrup, aerosol, injections of sterile injection solutions, etc. there is.
  • the term 'oral administration' means that the active substance is administered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for absorption, that is, a substance prepared for digestion.
  • a preferred dosage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 food composition, or a probiotic composition, is the patient's condition and weight, age, sex, health condition, dietary constitution specificity, the nature of the preparation, the degree of disease, the composition of the composition.
  • the r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method, administration period or interval, excretion rate and drug form,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term 'effective dosag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refers to an amount of the composition of an active ingredient sufficient to treat a specific symptom.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administration time and/or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the type and extent of a response to be achieved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 type and age of the subject to be administered, may vary depending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weight, general health, symptoms or severity of disease, sex, diet, excretion, components of drugs or other compositions used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with the subject, and similar factors well known in the pharmaceutical arts. It can be,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determine and prescribe an effective dosage for the desired treatment.
  •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may be administered divided into several times.
  •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Tak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nto consideration, it can be administered in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0.001 to 10,000 mg, 0.001 to 5,000 mg, 0.001 to 1,000 mg, 0.001 to 500 mg, 0.001 to 300 mg, 0.001 to 100 mg, 0.001 to 50 mg, 0.001 per kg body weight.
  • the daily dose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0.001 to 10 g/day, 0.001 to 5 g/day, 0.01 to 10 g/day, or 0.01 to 5 g/day, based on oral administration of an adult patient. It may be 1 day. In addition, the total daily dose may be divided and administer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s needed.
  • the term “culture of the strain” means a product obtained after culturing the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ulture is the entire culture of the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lution thereof, It may be a concentrate, a dried product, a freeze-dried product, a lysate, and/or a fraction, and the concentrate may be obtained by centrifugation or evaporation of the culture, and the dried product may be obtained by drying the culture using a dryer, etc.
  • the culture may be in a solid (solid, for example, dry), liquid (liquid), or fluidized pha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ulture may refer to an entire medium including a cultured strain obtained by culturing the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ertain period, its metabolites, and/or extra nutrients.
  • the culture may be one in which the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moved or not.
  • the culture may mean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strain (cells) in the culture culture of the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dium.
  • the culture may be a culture solution (or culture) in which the strain (cells) is removed from the culture solution in which the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ltured in a medium.
  • the culture solution (or culture) from which the strain is removed may be a cell-free culture solution (or culture) or a culture solution containing dead cells. supernatant), and/or a culture solution containing dead cells (or a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solution).
  • the culture may be one that exhibits an anti-inflammatory activity equivalent to the activity exhibited by the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prevention, improvement, or therapeutic activity of inflammatory diseases.
  • the culture may include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e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shredded product of the strain” may mean a product obtained by crushing the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emical or physical force.
  • the lysate may exhibit the same level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as the activity exhibited by the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herapeutic activity of inflammatory diseases.
  • the lysate may include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e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extract” refers to a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lture of the strain, a lysate of the strain, or a mixture thereof, regardless of the extraction method, the extraction solvent, the extracted component or the form of the extract. It may mean a product obtained, and is a broad concept including all substances that can be obtained by processing or processing in other ways after extraction.
  • the extract may be an extract of a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ract of a culture of the strain, or an extract of a lysate of the strain.
  • the extract may be one that exhib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at the same level as the activity exhibited by the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ure of the strain, or the lysate of the strain, 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there is.
  • the extract may include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e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icalibacterium prausnichii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by promoting anti-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strains, thereby exhibiting a therapeutic effect on inflammatory diseases. Preven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It can be used in the composition for use.
  • Figure 1a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testinal flora of KO-16 subjects and KO-13 subjects from which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strains were isolated based on 16S rRNA and KBL1026 strains.
  • Figure 1b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testinal flora distribution of KO-16 subjects and KBL1026 subjects isolated from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7 strains.
  • 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in body weigh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b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in colon length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strain Picalibacterium prausnitzii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c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change in colon length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strain Picalibacterium prausnitzii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H&E staining after administration of the Picalibacterium prausnichii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a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gene IL-10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P. prausnichii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b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close junction gene Zo-1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strain Picalibacterium prausnitzii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c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close junction gene Occludi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strain Picalibacterium prausnitzii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a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in the diversity of the intestinal flora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b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main component through the weighted UniFrac distance of the intestinal flora after administration of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c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LefSE) for examining changes in the intestinal flora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P. prausnitzii strai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LefSE univariate analysis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with a scanning transfer microscope.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by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specifically produced by the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7 strain.
  • FIG. 8 is a view showing a gene specifically present in the genome of a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according to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 FIG. 9 is a view showing genes belonging to the cell wall and capsule functions that are specifically present in the genome of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 Novel F. prausnitzii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samples for isolating intestinal flora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fecal samples provided from different healthy general adults who had not taken antibiotics for 6 months (Seoul National University IRB approval number: 1602/001-001).
  • the fecal sample was immediately transported to the laboratory and immediately transferred to an anaerobic chamber (Coy Laboratory Products Inc.) to be used for strain isolation. Samples were streaked in YCFAG medium containing 1.5% agar in a direct smear format, and then incubated at 37°C under anaerobic conditions for up to 48 hours.
  • strain name denomination order SEQ ID NO: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6 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GGTCAGTTACTACGCAAGAGGACTCTGGCCAGACTGCCGTTGACAAAA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TTTATGACTTGGGCTACACACGTACTACAATGGCGTTAAACAAAGAAGCAAGACCGCGAGGTGGAGCAAAACTCAGAAACAACGTCCCAGTTCGGACTGCAGGCTGCAACTCGCCTGCACGAAGTCGGAATTGCTAGTAATCGCAGATCAGCATGCT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TGAGAGCCGGGGGGACCCGAAGTCGGT 3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GGTCAGTTACTACGCAAGAGGACT
  • the two new isolated strains were named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6 strain and Picalibacterium prausnichii KBL1027 strain, respectively, and deposited at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Biological Resources Center on July 7, 2020, and each with an accession number KCTC14230BP (P. prausnitzii KBL1026) and KCTC14231BP (P. prausnitzii KBL1027) were given.
  • Example 2 Structural analysis of the intestinal flora of a subject possessing a new strain
  • the obtained stool sample was stored in a -80°C cryogenic freezer for the purpose of intestinal flora analysis, and the frozen sample was moved to the laboratory and QIAamp FAST DNA stool mini kit (Qiagen) was used to extract total bacterial genomic DNA in feces.
  • the extracted DNA was amplified using the 515F/806R primers (SEQ ID NOs: 5 and 6) of Table 3 below targeting the V4 region of the 16S rRNA gene of bacteria, and then nucleotide sequence data was generated using MiSeq (Illumina). .
  • the structure of the intestinal flora was identified by confirming the entire genetic information of the intestinal bacteria using the QIIME pipeline.
  • FIG. 1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stinal flora based on 16S rRNA, as shown in FIG. 1a, the KO-16 subject from which the P. prausnitzii KBL1027 strain was isolated, the intestinal flora than the KO-13 subject from which the KBL1026 strain was isola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versity is high (Fig. 1a).
  • the KO-16 subject had a relative abundance ( relative abundance) was confirmed to be highly dominant at 15.5% or more (Fig. 1b).
  • the KO-13 subject from which the KBL1026 strain was isolated confirmed that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intestinal Pi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was 0.8%, accounting for a very low rate (FIG. 1b).
  • Example 3 Analysis of the inflammatory disease improvement effect using an animal model
  • DSS dextran sulfate sodium
  • FIG. 2A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of the mouse body weight according to acute enteritis.
  • the DSS control group (DSS+PB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Water+PBS) not administered with DSS, confirming the construction of a colitis mouse model.
  • the KBL1027 administration group (DSS+KBL1027) confirmed a significantly improved effect in weight loss compared to the DSS control group (DSS+PBS).
  • the KBL1026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DSM17677 administration group did not have a significant change in weight compared to the DSS control group (DSS+PBS).
  • FIG. 2B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length of the mouse after autopsy.
  • H&E staining was performed to observ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e colon caused by administration of a single strain of P. prausnitzii. Specifically, after autopsy, the distal part of the colon was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solution, and then paraffin tissue samples were sectioned to a thickness of 5 ⁇ m, stained with H&E reagent, and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The results of H&E staining are shown in FIG. 3 , and in the DSS control group (DSS+PBS),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Water+PBS),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 the colon tissue and significant destruction of the mucosal layer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 KBL1027 administration group (DSS+KBL1027) was histologically confirmed that inflammation was relieved compared to the DSS control group (DSS+PBS).
  • mice intestinal tissue was obtain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n Example 2, preserved in RNAlater (Thermo Fisher Scientific) solution, and stored frozen at -81 ° C.
  • RNAlater Thermo Fisher Scientific
  • an easy-spin total RNA extraction kit (Intron) was used.
  • the extracted RNA was immediately synthesized into cDNA using the high capacity RNA-to-cDNA kit (Applied biosystems) in the same amount, and then the gene expression level was analyzed using the rotor-gene SYBR green PCR kit (Qiagen).
  • the primers in Table 4 were used to target IL-10 known as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Zo-1 related to the tight junction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nd Occludin genes, and the expression level of the HPRT house keeping gene.
  • 4A (IL-10), FIG. 4B (Zo-1), and FIG. 4C (Occludin) show the results of gene expression analysis by correcting the .
  • the expression level of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ge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KBL1027 administration group (DSS+KBL1027) compared to the DSS control group (DSS+PBS). This means that the P. prausnitzii KBL1027 strain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in vivo through immune regulation inducing IL-10 production.
  • Example 4 Analysis of changes in intestinal flora using an animal model
  • mice were obtain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n Example 3 and stored frozen at -81 °C. From the frozen sample, total bacterial genomic DNA was extrac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 1, and large-scale sequencing data was generated by targeting the V4 region of the 16S rRNA gene of the bacteria. The entire genetic information of intestinal bacteria was confirmed using the QIIME pipeline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the microbiota in mouse feces, and univariate analysis (LefSE) was performed for each group,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5A to 5C.
  • LefSE univariate analysis
  •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rough weighted UniFrac distance of the intestinal flora analyzed based on 16S rRNA are shown in FIG. 5B, and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PCA plot that the DSS control group had a very different intestinal flora structure from the normal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KBL1027 administration group had an intestinal flora structure between the DSS control group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KBL1027 strain administration changed the species constituting the intestinal flora and modulated its structure.
  • Figure 5c shows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LefSE) to analyze which intestinal flora was changed by KBL1027 strain administration.
  • LefSE univariate analysis
  • DSS control group the superiority of the genus Bacteroides and Proteobacteria in which the cell wall, which is a representative harmful bacteria, is composed of lipopolysaccharide (LPS) was confirmed.
  • LPS lipopolysaccharide
  • KBL1027 administration group an increase in Prevotella and Paraprevotellaceae was confirmed. This means that administration of KBL1027 strain helped alleviate colitis by changing the intestinal flora.
  • the samples obtained by culturing P. prausnitzii KBL1026, KBL1027, and DSM17677 strains in YBHI medium at 37 ° C and anaerobic conditions for 48 hours were fixed using karnovsky's solution and 2% osmium tetroxide, ethanol dehydration, critical point.
  • a pre-treatment process of drying was performed. Thereafter, it was fixed to a stub, and after platinum coating, it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transfer microscope (Carl Zeiss). The observation photos are shown in FIG.
  • BMDM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
  • Pi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6, KBL1027, and DSM17677 strains were cultured in 500 ml of YBHI medium at 37 ° C, anaerobic conditions for 48 hours to obtain a supernatant through centrifugation and filter 0.45 ⁇ m proceed with.
  • a negative control a YBHI medium that was not inoculated with the strain was used, and the obtained medium and supernatant were stored frozen at -81 ° C., then freeze-dried, adjusted to 100 mg/ml, and diluted in PBS.
  • BMDM cells bone marrow from C57BL/6 mice was isolated, and 10% fetal bovine serum (FBS), 15% L292 cell culture medium,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antibiotic were added to DMEM medium.
  • FBS fetal bovine serum
  • L292 cells were purchased from the Korean Cell Line Bank.
  • the BMDM cells of the mouse were added to the negative control YBHI medium and the supernatant of the P. prausnichii KBL1026, KBL1027, and DSM17677 strains 1 It was replaced by adding it to the culture medium at a concentration of mg/ml.
  • LPS wa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100 ng/ml, and then the supernatant of each strain was added in the same amount.
  • LPS was treated at concentrations of 10 ng/ml and 100 ng/ml, and 1 ng of sodium butyrate (sigma aldrich) for comparison with the butyric acid metabolite produced by P. prausnitzii /ml, treated with 10 ng/ml. After 24 hours had elapsed, the culture medium was collected and stored frozen at -81 °C, and the amount of IL-10 cytokine was then meas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method using a mouse IL-10 ELISA kit (Thermo Fisher Scientific).
  • Genomic information of strain DSM17677 was obtained from NCBI and used for comparative genome analysis (accession number: GCA_000162015.1). For comparison of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of genomes, it was calculated through JSpeciesWS (http://jspecies.ribohost.com/jspeciesws/# analyses) 5 is shown. The ANI values of KBL1027 strain and KBL1026 strain were 96.13%, whereas that of DSM17677 strain was calculated to be 83.25%. This means that the KBL1027 strain has a higher genome sequence similarity with the KBL1026 strain than the previously known DSM17677 strain.
  • ANI nucleotide identity
  • FIG. 9 The genes belonging to the cell wall and capsule functions that are specifically present in the genome of the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are shown in FIG. 9, and the KBL1027 strain-specific genes are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 and rhamnose containing glycans were confirmed to form a cluster ( FIG. 9B ).
  • FIG. 9B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clusters of genes 1, 3, 4, and 5 in FIG. 9A on the genome sequence of the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This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result means that the P. prausnichii KBL1027 strain specifically produce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및 그 용도
본 발명은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인체의 내부에는 인체의 세포수보다 10배 많은 약 100조에 이르는 미생물이 공생하고 있다. 이들의 유전자 수는 인간의 100배가 넘으며, 장내 미생물총은 개인별, 병증별로 특이하게 구조화되어 있다. 건강한 장내 공생 미생물총은 인체 세포와 복잡한 상호 작용을 하며 물질 대사, 면역 반응의 조절을 통한 면역계 발달과 장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균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효능을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의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물질, 예를 들어 세포 외 다당류를 생산하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 유래 물질 (예를 들어,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유도하는 세포 외 다당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강한 한국인에서 분리된 신규한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를 발굴하고, 기존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와 대비하여 탁월한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촉진과 염증성 질환의 증상 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예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세포 외 다당류를 생산하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포 외 다당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물질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장내 미생물 균형도 개선용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균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균주는 항염 용도,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유도 용도, 장 상피세포 간 밀착연접 강화 용도, 장 내 미생물 균형도 개선 용도,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완화 또는 치료 용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16s rRNA 서열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 실시예에서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 및 상기 균주와 동일한 종에 속하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DSM17677 균주의 평균 염기 동일성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을 비교한 결과, 동일한 종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평균 염기 동일성을 나타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종래의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미생물들과 구별되는 유전적 특성을 가지는 신규한 균주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DSM17677 균주와의 평균 염기 동일성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이 100% 미만, 99% 이하, 98% 이하, 97% 이하, 96% 이하, 95% 이하, 94% 이하, 93% 이하, 92% 이하, 91% 이하, 90% 이하, 89% 이하, 88% 이하, 87% 이하, 86% 이하, 또는 85% 이하인 것일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 평균 염기 동일성의 하한값이 특정되지 않더라도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DSM17677 균주와 낮은 평균 염기 동일성을 가지는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를 명확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평균 염기 동일성의 하한값은 5% 이상, 10% 이상,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또는 80%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실시예에서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의 비교유전체 분석 결과, 상기 균주와 동일한 종에 속하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DSM17677 균주와 비교하여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 특이적인 유전자가 다수 존재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종래의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미생물들과 구별되는 유전적 특성을 가지는 신규한 균주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세포벽 및 캡슐(Cell Wall and Capsule) 기능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포벽 및 캡슐 기능 유전자는 엑소폴리사카라이드 생합성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 또는 람노오스 포함 글라이칸 (rhamnose containing glycans)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하기 (1) 내지 (7)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1)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 glycosyltransferase EpsF (EC 2.4.1.-)
(2) Tyrosine-protein kinase EpsD (EC 2.7.10.2)
(3) Alpha-D-GlcNAc alpha-1,2-L-rhamnosyltransferase (EC 2.4.1.-) rgpA
(4) Alpha-L-Rha alpha-1,3-L-rhamnosyltransferase (EC 2.4.1.-) rgpB
(5) capsular polysaccharide biosynthesis protein
(6) Lipoprotein releasing system ATP-binding protein LolD
(7) Putative N-acetylgalactosaminyl-diphosphoundecaprenol glucuronosyltransferase TuaG
예를 들어,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하기 (1) 내지 (1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1)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 glycosyltransferase EpsF (EC 2.4.1.-)
(2) Tyrosine-protein kinase EpsD (EC 2.7.10.2)
(3) Alpha-D-GlcNAc alpha-1,2-L-rhamnosyltransferase (EC 2.4.1.-) rgpA
(4) Alpha-L-Rha alpha-1,3-L-rhamnosyltransferase (EC 2.4.1.-) rgpB
(5) capsular polysaccharide biosynthesis protein
(6) Lipoprotein releasing system ATP-binding protein LolD
(7) Putative N-acetylgalactosaminyl-diphosphoundecaprenol glucuronosyltransferase TuaG
(8) Predicted transcriptional regulator of N-Acetylglucosamine utilization, GntR family NagQ
(9) Membrane-bound lytic murein transglycosylase B (EC 3.2.1.-)
(10) Inosine-uridine preferring nucleoside hydrolase (EC 3.2.2.1)
(11) LysR family transcriptional regulator YnfL
(12) Cation efflux system protein CusA
(13) Cobalt-zinc-cadmium resistance protein CzcA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항염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항염증 사이토카인 생성을 유도하여 항염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항염증 사이토카인 생성을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PS와 상기 균주를 함께 투여한 경우, LPS를 단독 투여한 대조군 대비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량 (pg/mL)이 1배 초과, 1.5배 이상, 2배 이상, 2.5배 이상, 3배 이상, 3.5배 이상, 4배 이상, 4배 초과, 4.1배 이상, 4.2배 이상, 4.3배 이상, 4.4배 이상, 또는 4.5배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L-1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은 면역 조절 사이토카인으로, 염증 반응, 종양 발생,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IL-10은 다양한 세포에서 생성되는 중요한 면역 조절 사이토카인으로, 염증 반응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T세포, B세포, NK(natural killer)세포, 항원 제시 세포, 비만 세포 등 여러 면역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IL-10은 감염성 혹은 비감염성 입자를 염증 반응을 최소화하면서도 제거하는 면역 활성화 기능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IL-10은 알레르기 반응에 관련된 대부분의 세포에서 항원 특이 활성을 억제하며, 염증부위에서 호산구 등의 염증세포의 이동을 저해시켜, 알레르기 유발원인 IgE 수용체 등의 발현이 감소하여 단핵세포나 수지세포에서 효과적으로 알레르겐 반응을 저지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는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의 생성을 유도하여, 염증성 질환, 알레르기 또는 자가면역 질환 등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장 상피세포 간 밀착연접을 강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 및 상기 균주를 함께 투여한 경우, DSS를 단독 투여한 대조군 대비 밀착연접 관련 유전자 (일 예로 Zo-1 또는 Occludin)의 발현량이 1배 초과, 1.1배 이상, 1.2배 이상, 1.3배 이상, 1.4배 이상, 또는 1.5배 이상, 또는 DSS 및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DSM17677 균주를 함께 투여한 대조군 대비 밀착연접 관련 유전자 (일 예로 Zo-1 또는 Occludin)의 발현량이 1배 초과, 1.01배 이상, 1.05배 이상, 1.1배 이상, 1.15배 이상, 1.2배 이상, 1.25배 이상, 또는 1.3배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장 상피세포의 밀착연접이 약해질 경우, 자가면역 질환의 일종인 장누수증후군(intestinal permeability), 즉 새는 장(leaky gut)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 상피세포가 방어막을 세워 다른 물질이 들어오지 못하게 세포의 “밀착연접”을 유도하여야 하는데, 밀착연접 관련 단백질 발현 및 생성에 문제가 생길 경우, 외부 물질이 유입되면서 소화기연관림프조직(gut-associated lymphoid tissue, GALT)은 면역반응을 일으켜 염증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는 장 상피세포의 밀착연접을 강화하여, 장누수증후군(intestinal permeability) 또는 새는 장(leaky gut)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염증 반응을 예방, 개선,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장 내 미생물 균형도를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장 내 미생물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숙주와 미생물총 사이에 비정상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그 결과 면역 항상성이 무너져 자가면역, 알레르기 및 만성 염증성 질환 등의 면역 매개성 질환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생체 내에서 장 내 미생물총의 불균형을 개선하여 염증반응, 알러지질환, 자가면역질환 등을 예방, 개선,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하기 (1) 내지 (5)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특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1) 동물의 장 내 균총 다양성 증가를 유도함,
(2) 동물의 장 내 균총의 불균형(dysbiosis)을 개선함,
(3) 동물의 장 내 프레보텔라(Prevotella) 속 및/또는 파라프레보텔라세아에(Paraprevotellaceae) 과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를 유도함, 또는 상대적 풍부도 감소를 방지함,
(4)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유해균, 예를 들어 리포다당류 세포벽을 가지는 균주, 일 예로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문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를 방지함,
(5)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박테로이드(Bacteroides) 속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의 증가를 방지함.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하기 (1) 및 (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특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1) 염증성 질환에 의한 체중 감소를 방지함, 예를 들어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 및 상기 균주를 함께 투여한 경우, DSS를 단독 투여한 대조군 대비 체중 감소율(Weight change%)이 1배 미만, 0.9배 이하, 0.8배 이하, 0.7배 이하, 0.6배 이하, 또는 0.5배 이하,
(2) 염증성 질환에 의한 장 길이 감소를 방지함, 예를 들어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 및 상기 균주를 함께 투여한 경우, DSS를 단독 투여한 대조군 대비 장길이 감소율(%)이 1배 미만, 0.9배 이하, 0.8배 이하, 0.7배 이하, 0.6배 이하, 0.5배 이하, 0.4배 이하, 0.3배 이하, 0.2배 이하, 또는 0.1배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염증을 동반하는 질환은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피부질환,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질환, 자가면역 질환, 자가면역성 염증성 질환, 습진, 천식, 알레르기성 천식, 기관지 천식,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음식 알레르기,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열, 루프스, 전신성 경피증, 건선, 건선 관절염, 천식, 길리안-바레 증후군(Guilian-Barre syndrome), 중증 근무력증, 피부근염, 다발성근염,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성 뇌척수염,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하시모토 갑상선염, 측두동맥염, 소아기 당뇨병, 원형탈모증, 천포창, 아프타구내염,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베게너 육아종증, 쇼그렌증후군, 애디슨병, 베체트병, 부종,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만성 부비동염, 인후염, 편도염, 기관지염, 폐렴, 위궤양, 위염, 대장염, 통풍, 습진, 여드름,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강직성 척수염, 섬유근통(fibromyalgia), 골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패혈증, 맥관염, 및 활액낭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토피 피부염은 가려움증을 보이는 만성 또는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항원에 노출된 면역 체계가 생산한 면역글로불린 E (IgE)가 결합된 호염기구 및 비만 세포가 분비하는 히스타민 등이 주변 조직의 염증을 유발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자가면역질환은 체내 물질에 대해 면역반응이 일어나 장기 또는 조직에 자가면역에 의한 염증 반응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자가면역질환은 예를 들어 염증성 피부질환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은 예를 들어 아토피, 건선, 습진, 여드름,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및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자가면역질환은 국소 자가면역질환 또는 전신 자가면역질환일 수 있다. 상기 국소 자가면역질환은 예를 들어 제1형 당뇨병, 갑상선 기능저하증, 항진증,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및 백반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신 자가면역질환은 전신홍반루푸스, 류마티스관절염, 쇼그렌증후군, 베체트병, 전신성 경화증, 다발성 근염, 및 피부근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위장관의 염증성 질환으로, 원인 불명인 경우가 많으며, 염증성 장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 개발 연구가 막대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염증성 장질환 및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장내 균총을 분석한 결과, 건강한 정상인에 비해 환자군에서는 장내 균총의 다양성이 감소하고 프로테오박테리아 (Proteobacteria)가 우점하고 있는 등 장내 균총의 불균형이 나타났다.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염증성 대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장염(enteritis), 과민성 대장 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및 크론병(Crohn's disease; CD)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염증성 질환은 하기 (1) 내지 (10)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증상 또는 병리적 현상을 유발하는 것일 수 있다:
(1)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도,
(2)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3) 자가면역의 과활성화,
(4) 동물의 체중 감소,
(5) 동물의 장 길이 감소,
(6) 동물의 장 상피세포의 밀착 연접 약화,
(7) 동물의 장 내 균총의 불균형(dysbiosis),
(8)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유해균, 예를 들어 리포다당류 세포벽을 가지는 균주, 일 예로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문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
(9)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박테로이드(Bacteroides) 속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
(10)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프레보텔라(Prevotella) 속 및/또는 파라프레보텔라세아에(Paraprevotellaceae) 과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감소.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항염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항염증 사이토카인 생성을 유도하여 항염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PS와 상기 조성물을 함께 투여한 경우, LPS를 단독 투여한 대조군 대비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량 (pg/mL)이 1배 초과, 1.5배 이상, 2배 이상, 2.5배 이상, 3배 이상, 3.5배 이상, 4배 이상, 4배 초과, 4.1배 이상, 4.2배 이상, 4.3배 이상, 4.4배 이상, 또는 4.5배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L-1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동물의 장 상피세포 간 밀착연접을 강화하는 특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 및 상기 조성물을 함께 투여한 경우, DSS를 단독 투여한 대조군 대비 밀착연접 관련 유전자 (일 예로 Zo-1 또는 Occludin)의 발현량이 1배 초과, 1.1배 이상, 1.2배 이상, 1.3배 이상, 1.4배 이상, 또는 1.5배 이상, 또는 DSS 및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DSM17677를 함께 투여한 대조군 대비 밀착연접 관련 유전자 (일 예로 Zo-1 또는 Occludin)의 발현량이 1배 초과, 1.01배 이상, 1.05배 이상, 1.1배 이상, 1.15배 이상, 1.2배 이상, 1.25배 이상, 또는 1.3배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장 내 미생물 균형도를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하기 (1) 내지 (5)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특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1) 동물의 장 내 균총 다양성 증가를 유도함,
(2) 동물의 장 내 균총의 불균형(dysbiosis)을 개선함,
(3)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유해균, 예를 들어 리포다당류 세포벽을 가지는 균주, 일 예로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문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를 방지함,
(4)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박테로이드(Bacteroides) 속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를 방지함,
(5)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프레보텔라(Prevotella) 속 및/또는 파라프레보텔라세아에(Paraprevotellaceae) 과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를 유도함, 또는 상대적 풍부도 감소를 방지함.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하기 (1) 내지 (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특징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1) 염증성 질환에 의한 동물의 체중 감소를 방지함, 예를 들어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 및 상기 조성물을 함께 투여한 경우, DSS를 단독 투여한 대조군 대비 체중 감소율(Weight change%)이 1배 미만, 0.9배 이하, 0.8배 이하, 0.7배 이하, 0.6배 이하, 또는 0.5배 이하,
(2) 염증성 질환에 의한 동물의 장 길이 감소를 방지함, 예를 들어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 및 상기 조성물을 함께 투여한 경우, DSS를 단독 투여한 대조군 대비 장길이 감소율(%)이 1배 미만, 0.9배 이하, 0.8배 이하, 0.7배 이하, 0.6배 이하, 0.5배 이하, 0.4배 이하, 0.3배 이하, 0.2배 이하, 또는 0.1배 이하.
상기 조성물은 장 내 미생물 균형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동물의 장 내 균총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은 동물의 장 내 프레보텔라(Prevotella) 속 및/또는 파라프레보텔라세아에(Paraprevotellaceae) 과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은 동물의 장 내 박테로이드(Bacteroides) 속 및/또는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문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의 세포 외성 다당류(extracellular polysaccharide)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 실시예에 의하면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가 특이적으로 세포 외성 다당류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상기 조성물은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의 세포 외성 다당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실험에 기반하여 같은 종에 속하는 다른 균주에 비해 탁월한 대장염 질환의 증상 개선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과 장 상피세포간 밀착연접 기능과 관련된 Zo-1Occludin 유전자 발현량 강화, 그리고 장내 균총의 회복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가 특이적으로 생성하는 세포 외성 다당류 물질을 실험적, 유전체 적으로 확인하였으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 배양액에 의한 항염증 사이토카인 IL-10 생성능을 BMDM을 기반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에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가 유용하게 활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물질, 예를 들어 세포 외 다당류를 생산하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는 기탁번호 KCTC14230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6 균주 또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일 예로,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일 예로,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균형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일 예로,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 상기 염증성 질환 등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 내 미생물 균형도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를 투여한 결과, 동물의 장 내 균총 다양성 증가가 유도되었고, 동물의 장 내 균총의 불균형(dysbiosis)을 개선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유해균, 예를 들어 리포다당류 세포벽을 가지는 균주, 일 예로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문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를 방지하였으며,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박테로이드(Bacteroides) 속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를 방지하였으며,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프레보텔라(Prevotella) 속 및/또는 파라프레보텔라세아에(Paraprevotellaceae) 과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를 유도, 또는 상대적 풍부도 감소를 방지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를 투여하여 동물의 장 내 미생물 균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질병, 장애 또는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을 의미한다. 질병, 장애 또는 질환의 발병이 예정된 기간 동안 억제되거나 지연된 경우 예방은 완전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특정 질병, 장애 및/또는 질환 또는 질환에 따른 증상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경감, 개선, 완화, 저해 또는 지연시키며,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특징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예를 들어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결정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예를 들어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제제화에 사용되는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경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정제,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실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 등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 등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 푸마르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 방향제, 시럽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캡슐제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부형제'는, 치료제가 아닌, 어느 물질을 의미하며, 치료제의 전달을 위한 담체 또는 매체로 이용되거나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취급 및 저장 특성을 개선하거나 또는 조성물의 단위 투여량 형성을 허용 및 촉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에멀젼, 시럽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경구 투여'는, 활성물질이 소화되도록 제조된 물질, 즉 흡수를 위한 위장기관으로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체질 특이성, 제제의 성질, 질병의 정도, 조성물의 투여시간, 투여방법, 투여기간 또는 간격, 배설율 및 약물 형태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며, 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 투여량'은, 특정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충분한 활성 성분의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이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고,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일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중 1 ㎏ 당 0.001 내지 10,000 mg, 0.001 내지 5,000 mg, 0.001 내지 1,000 ㎎, 0.001 내지 500 mg, 0.001 내지 300 mg, 0.001 내지 100 mg, 0.001 내지 50 mg, 0.001 내지 30 mg, 0.001 내지 10 mg, 0.001 내지 5 mg, 0.001 내지 1 mg, 0.001 내지 0.5 mg, 0.001 내지 0.1 mg, 0.001 내지 0.05 mg, 0.001 내지 0.01 mg, 0.01 내지 10,000 mg, 0.01 내지 5,000 mg, 0.01 내지 1,000 ㎎, 0.01 내지 500 mg, 0.01 내지 300 mg, 0.01 내지 100 mg, 0.01 내지 50 mg, 0.01 내지 30 mg, 0.01 내지 10 mg, 0.01 내지 5 mg, 0.01 내지 1 mg, 0.01 내지 0.5 mg, 0.01 내지 0.1 mg, 0.01 내지 0.05 mg, 0.1 내지 10,000 mg, 0.1 내지 5,000 mg, 0.1 내지 1,000 ㎎, 0.1 내지 500 mg, 0.1 내지 300 mg, 0.1 내지 200 mg, 0.1 내지 100 mg, 0.1 내지 50 mg, 0.1 내지 30 mg, 0.1 내지 10 mg, 0.1 내지 5 mg, 0.1 내지 1 mg, 0.1 내지 0.5 mg, 1 내지 10,000 mg, 1 내지 5,000 mg, 1 내지 1,000 ㎎, 1 내지 500 mg, 1 내지 300 mg, 1 내지 200 mg, 1 내지 100 mg, 1 내지 50 mg, 1 내지 10 mg, 1 내지 5 mg, 10 내지 10,000 mg, 10 내지 5,000 mg, 10 내지 1,000 ㎎, 10 내지 500 mg, 10 내지 300 mg, 10 내지 200 mg, 10 내지 100 mg, 10 내지 50 mg, 10 내지 40 mg, 10 내지 30 mg, 10 내지 20 mg, 100 내지 10,000 mg, 100 내지 5,000 mg, 100 내지 1,000 ㎎, 100 내지 500 mg, 100 내지 300 mg, 또는 100 내지 200 mg의 일일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성인 환자의 경구 투여 기준으로 0.001 내지 10 g/1일, 0.001 내지 5 g/1일, 0.01 내지 10 g/1일, 또는 0.01 내지 5 g/1일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일일 총 투여량을 분할하여 필요에 따라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균주의 배양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를 배양한 다음 수득한 산물을 의미하고, 상기 배양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의 전체 배양물, 이의 희석액, 농축물, 건조물, 동결건조물, 파쇄물, 및/또는 분획물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농축물은 상기 배양물을 원심분리 또는 증발시켜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물은 상기 배양물을 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건조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동결 건조물은 상기 배양물을 동결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동결건조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파쇄물은 상기 균주 또는 배양물을 물리적으로 또는 초음파처리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분획물은 상기 배양물, 파쇄물 등을 원심분리,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에 적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고상(고체, 예를 들면 건조물), 액상(액체), 또는 유동상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에서, 상기 배양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를 일정기간 배양하여 얻은 배양된 균주, 이의 대사물, 및/또는 여분의 영양분 등을 포함하는 전체 배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배양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가 제거 또는 제거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배양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를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물에서 균주(균체)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배양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를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에서 균주(균체)를 제거한 배양액(또는 배양물)일 수 있다. 상기 균주를 제거한 배양액(또는 배양물)은 무세포(cell free) 배양액(또는 배양물)이거나 사균체를 포함하는 배양액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여과, 원심분리하여 균주를 제거한 여액(원심분리한 상등액), 및/또는 사균체를 포함하는 배양액(또는 배양액의 건조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가 나타내는 활성과 동등한 수준의 항염 활성,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양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균주의 파쇄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를 화학적 또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파쇄하여 얻은 산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쇄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가 나타내는 활성과 동등한 수준의 항염 활성,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파쇄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추출하여 얻어진 산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의 파쇄물의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의 파쇄물이 나타내는 활성과 동등한 수준의 항염 활성,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추출물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는 종래 균주 대비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촉진이 우수하여 항염 특성을 나타내 염증성 질환의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용 조성물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a는 16S rRNA에 기반하여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를 분리한 KO-16 대상자 및 KBL1026 균주를 분리한 KO-13 대상자의 장내 균총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를 분리한 KO-16 대상자 및 KBL1026 균주를 분리한 KO-13 대상자의 장내 균총 분포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투여에 따른 체중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투여에 따른 대장 길이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투여에 따른 대장 길이 변화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투여 후 H&E 염색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투여에 따른 항염증 사이토카인 유전자 IL-10의 발현량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투여 에 따른 밀착 연접 유전자 Zo-1의 발현량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투여 에 따른 밀착 연접 유전자 Occludin의 발현량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투여에 따른 장 내 균총의 다양성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투여 후 장 내 균총의 weighted UniFrac distance를 통한 주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투여에 따른 장 내 균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단변량 분석 (LefSE)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를 주사전사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가 특이적으로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에 의한 항염 효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의 유전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를 그 기능 특성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의 유전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벽과 캡슐 (Cell Wall and Capsule) 기능에 속하는 유전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규 균주의 분리
한국인의 장내 균총에서 신규한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들을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장내 균총 분리용 시료는 6개월간 항생제를 복용하지 않은 서로 다른 건강한 일반인 성인들로부터 제공받은 분변 시료로부터 분리, 동정하였다 (서울대학교 IRB 승인번호: 1602/001-001). 분변 시료는 수득 직후 본 연구실에 운송되어 즉시 혐기 챔버 (Coy Laboratory Products Inc.)로 옮겨져 균주 분리에 사용하였다. 시료는 직접 도말 형식으로 1.5 % 한천 (agar)이 포함된 YCFAG 배지에 스트리킹 후, 37 ℃, 혐기 조건에서 최대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순수 분리된 집락 (colony)을 무작위적으로 선발하여 YBHI 배지에서 배양하였고, 균주의 장기 보관을 위해서는 지수기에 도달한 배양액에 글리세롤 (25 % v/v)을 첨가하여 -80 ℃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Wizard genomic purification kit (Promega)을 사용하여 균주의 genomic DNA를 추출한 뒤 16S rRNA 유전자를 타겟으로 아래 표 1의 27F/1492R 프라이머 (서열번호 1 및 2)를 이용하여 PCR반응을 수행하였다.
구분 서열 (5’→ 3’) 서열번호
정방향 AGAGTTTGATYMTGGCTCAG 1
역방향 TACGGYTACCTTGTTACGACT 2
이를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 (Qiagen)를 사용하여 정제한 후, ABI3711 automatic sequencer (마크로젠)를 이용해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16S rRNA 분석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으며, 이 서열정보를 이용하여 천랩의 EzBioCloud 프로그램 (http://www.ezbiocloud.net/identify)으로 다중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균주의 동정을 완료하였다.
균주명 명명 서열 서열번호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6 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GGTCAGTTACTACGCAAGAGGACTCTGGCCAGACTGCCGTTGACAAAA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TTTATGACTTGGGCTACACACGTACTACAATGGCGTTAAACAAAGAGAAGCAAGACCGCGAGGTGGAGCAAAACTCAGAAACAACGTCCCAGTTCGGACTGCAGGCTGCAACTCGCCTGCACGAAGTCGGAATTGCTAGTAATCGCAGATCAGCATGCT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TGAGAGCCGGGGGGACCCGAAGTCGGT 3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GGTCAGTTACTACGCAAGAGGACTCTGGCCAGACTGCCGTTGACAAAA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TTTATGACTTGGGCTACACACGTACTACAATGGCGTTAAACAAAGAGAAGCAAGACCGCGAGGTGGAGCAAAACTCAGAAACAACGTCCCAGTTCGGACTGCAGGCTGCAACTCGCCTGCACGAAGTCGGAATTGCTAGTAATCGCAGATCAGCATGCT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TGAGAGCCGGGGGGACCCGAAGTCGGTAGTCTAACCGCAAGGAG 4
분리된 신규 균주 2종을 각각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6 균주 및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로 명명하였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20년 7월 7일 기탁하여 각각 기탁번호 KCTC14230BP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6) 및 KCTC14231BP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2. 신규 균주 보유 대상자의 장내 균총의 구조 분석
실시예 1에서 분리된 신규 균주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6 균주는 KO-13 대상자에서 유래하였으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는 KO-16 대상자에서 유래하였다. 신규 균주 보유 대상자의 장내 균총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확보한 대변 시료는 장내 균총 분석의 목적으로 -80℃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되었으며, 냉동 보관된 시료를 실험실로 옮겨 QIAamp FAST DNA stool mini kit (Qiagen)를 이용하여 분변 내 총 박테리아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박테리아의 16S rRNA 유전자의 V4 영역을 타겟으로 하는 아래 표 3의 515F/806R 프라이머 (서열번호 5 및 6)를 이용하여 증폭된 후 MiSeq (Illumina)을 이용하여 염기서열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대용량 염기서열 분석은 QIIME pipeline을 사용하여 장내 세균의 전체 유전정보를 확인하여 장내 균총의 구조를 파악하였다.
구분 서열 (5’→ 3’) 서열번호
정방향 ATGATACGGCGACCACCGAGATCTACACTATGGTAATTGTGTGCCAGCMGCCGCGGTAA 5
역방향 CAAGCAGAAGACGGCATACGAGATAGTCAGTCAGCCGGACTACHVGGGTWTCTAAT 6
16S rRNA에 기반하여 장내 균총을 분석한 결과,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를 분리한 KO-16 대상자는, KBL1026 균주를 분리한 KO-13 대상자보다 장 내 균총의 다양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도 1a).
또한 균총의 종 (species) 레벨에서 1 %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균들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KO-16 대상자는 장내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relative abundance)가 15.5 % 이상으로 높게 우점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b). 반면 KBL1026 균주를 분리한 KO-13 대상자는 장내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가 0.8 %로 매우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b).
이러한 대상자의 장내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상대적 풍부도 차이는 신규 확보된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6 및 KBL1027 균주가 같은 종에 속하지만, 유래한 대상자들의 장내 균총 환경이 상이하기 때문에 균주의 기능성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실시예 3. 동물 모델을 이용한 염증성 질환 개선 효과 분석
(1) 동물 모델 구축 및 식이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6 또는 KBL1027 균주의 단일 균주 투여에 의한 생체 내 염증성 질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 실험을 실시하였다 (서울대학교 IACUC 승인번호: SNU-160602-9). 염증성 질환의 예시로서 염증성 장질환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균주의 염증성 질환 개선 효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같은 종에 속하며 항염증 효능이 알려진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DSM17677 균주를 독일 균주은행 (DSMZ)에서 분양 받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장염 마우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C57BL/6 7~8주령 암컷 마우스를 각 8 마리의 군집으로 구분한 후 2.5 %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 (dextran sulfate sodium, DSS)을 식수에 용해하여 총 5일간 음용시켜 급성 장염을 유도하였다. 정상 대조군에는 DSS가 첨가되지 않은 식수를 공급하였다.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6, KBL1027, 또는 DSM17677 균주를 각각 YBHI 액체 배지에서 지수기에 도달하도록 37℃, 혐기 조건에서 배양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PBS에 2x108 CFU/ml이 되도록 희석시킨 후, DSS 공급 개시 일주일 전부터 실험 종료시까지 상기 희석된 균주를 각각 매일 200 μl씩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여 장착 (colonization)시켰다. 정상 대조군에는 PBS를 매일 200 μl씩 경구 투여하였다.
(2) 체중 변화 분석
DSS 공급은 5일 후 (Day 5 오전) 중단하였으며, DSS 공급 개시일 (Day 0)로부터 9일 동안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매일 측정하여 도 2a에 나타냈다. 도 2a는 급성 장염에 따른 마우스 체중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DSS를 투여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Water+PBS)에 비해 DSS 대조군(DSS+PBS)은 유의한 체중의 감소가 나타나 대장염 마우스 모델의 구축을 확인하였다. 또한, KBL1027 투여군(DSS+KBL1027)은 DSS 대조군(DSS+PBS)에 비해 체중 감소에 있어 유의하게 개선된 효과를 확인하였다. 반면, KBL1026 투여군과 DSM17677 투여군은 DSS 대조군(DSS+PBS)에 비해 유의한 무게 변화가 없었다.
(3) 장 길이 분석
DSS 공급 개시 9일째 되는 날 실험을 종료하고 마우스를 부검하여 장 길이 변화를 측정하여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KBL1027 투여군이 DSS 대조군에 비해 대장 길이 감소 폭이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c는 마우스 부검 후 장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4) 장의 조직병리학적 분석
또한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단일 균주 투여로 인한 대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헤마톡시린&에오신 (Hematoxylin&Eosin, H&E) 염색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부검 후 대장의 distal 부분을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시킨 후 파라핀 조직표본을 5 μm 두께로 절편 후 H&E 시약으로 염색하고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H&E 염색 결과를 도 3에 나타냈으며, DSS 대조군(DSS+PBS)에서 정상 대조군(Water+PBS)에 비해 대장 조직내 염증 세포들의 침윤 및 점막층 조직의 현저한 파괴를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KBL1027 투여군(DSS+KBL1027)은 DSS 대조군(DSS+PBS)에 비해 염증이 완화되었음을 조직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5) 마커 유전자를 이용한 생체 내 염증성 질환 개선 효과 분석
조직의 면역세포 분석을 위해 실시예 2의 실험 종료시 마우스의 장 조직을 수득하여 RNAlater (Thermo Fisher Scientific) 용액에 보존하여 -81 ℃에 냉동보관 하였으며, RNA를 추출하기 위하여 easy-spin total RNA extraction kit (Intron)을 사용하였다. 추출한 RNA는 즉시 동량으로 high capacity RNA-to-cDNA kit (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하여 cDNA로 합성시킨 후 roter-gene SYBR green PCR kit (Qiagen)를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항염증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IL-10과 장 상피세포간 막 (tight junction)과 관련된 Zo-1, 및 Occludin 유전자를 타겟으로 표 4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였으며, HPRT 항존유전자 (house keeping gene)로 발현량을 보정하여 유전자 발현량 분석 결과를 도 4a (IL-10), 도 4b (Zo-1), 및 도 4c (Occludin)에 나타냈다.
구분 타겟유전자 서열 (5’→ 3’) 서열번호
정방향 HPRT TTATGGACAGGACTGAAAGAC 7
역방향 HPRT GCTTTAATGTAATCCAGCAGGT 8
정방향 IL-10 ATAACTGCACCCACTTCCCA 9
역방향 IL-10 TCATTTCCGATAAGGCTTGG 10
정방향 Zo-1 ACCCGAAACTGATGCTGTGGATAG 11
역방향 Zo-1 AAATGGCCGGGCAGAACTTGTGTA 12
정방향 Occludin GGAGGACTGGGTCAGGGAATA 13
역방향 Occludin CGTCGTCTAGTTCTGCCTGT 14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DSS 대조군(DSS+PBS)에 비해 KBL1027 투여군(DSS+KBL1027)에서 항염증 사이토카인인 IL-10 유전자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가 IL-10 생성을 유도하는 면역 조절을 통해 생체 내 염증성 질환 개선 효과에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 4b 및 도 4c의 결과에 의하면, 장 상피세포간 밀착연접 (tight junction)과 관련된 Zo-1Occludin의 경우 정상 대조군에 비해 DSS 대조군(DSS+PBS)에서 두 유전자 모두 유의한 발현량 감소를 보였다. 반면, DSS 대조군(DSS+PBS)에 비교하여 KBL1027 투여군(DSS+KBL1027)은 Zo-1 Occludin 모두 발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KBL1027 균주 투여가 Zo-1Occludin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장 상피세포간 밀착연접을 강화하여 생체 내 염증성 질환 완화에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4. 동물 모델을 이용한 장내 균총 변화 분석
DSS로 인한 급성 장염과 단일 균주의 장착 (colonization)이 유도하는 장내 균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예 3의 실험 종료시 마우스의 분변을 수득하여 -81 ℃에 냉동보관 하였다. 냉동 보관된 시료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따라 총 박테리아 genomic DNA를 추출 및 박테리아의 16S rRNA 유전자의 V4 영역을 타겟으로 대용량 염기서열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QIIME pipeline을 사용하여 장내 세균의 전체 유전정보를 확인하여 마우스 분변 내 균총의 구조를 파악하였으며, 그룹에 따른 단변량 분석 (LefSE)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냈다.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을 그룹에 따라 장 내 균총의 다양성 변화를 Faith's Phylogenetic diversity 지표로 확인한 결과를 도 5a에 나타냈으며, DSS 대조군(DSS+PBS)의 경우 정상 대조군(Water+PBS)보다 장 내 균총의 다양성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DSS로 인한 급성 장염에 따라, 유익균의 다양성의 감소 및 잠재적인 유해균의 우점으로 인해, 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피컬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투여군(DSS+KBL1027)에서 DSS 대조군(DSS+PBS)에 비해 장 내 균총의 다양성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DSM17677 투여군(DSS+ DSM17677)에서는 유의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동일한 피컬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라 하더라도 장 내 균총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나며, 피컬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 투여가 장 내 균총의 다양성을 회복시켜 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의 weighted UniFrac distance를 통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도 5b에 나타냈으며, PCA plot을 통해 DSS 대조군이 정상 대조군과 매우 다른 장 내 균총 구조를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KBL1027 투여군은 DSS 대조군과 정상 대조군 사이의 장 내 균총 구조를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KBL1027 균주 투여가 장 내 균총을 구성하고 있는 종을 변화시켜 그 구조를 조절 (modulation)하였음을 시사한다.
KBL1027 균주 투여에 의해 어떤 장 내 균총이 달라졌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 (LefSE)을 실시한 결과를 도 5c에 나타냈다. DSS 대조군에서는 박테로이드(Bacteroides) 속과 대표적인 유해균인 세포벽이 리포다당류 (lipopolysaccharide, LPS)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의 우점을 확인하였다. 한편 KBL1027 투여군에서는 Prevotella 및 Paraprevotellaceae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는 KBL1027 균주 투여가 이러한 장 내 균총을 변화시켜 대장염 완화에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5. F. prausnitzii KBL1027 균주 유래 물질의 항염 시험
(1) KBL1027 균주 특유의 세포 외성 다당류 관찰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간의 특이성 (strain specificity)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사용하여 박테리아 시료의 3차원 표면 형태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6, KBL1027, 그리고 DSM17677 균주를 YBHI 배지에 37 ℃, 혐기 조건으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은 시료를 karnovsky’s 용액 및 2 % osmium tetroxide를 이용한 고정, 에탄올 탈수, 임계점 건조의 전처리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후 시료대 (stub)에 고정하여 백금 증착 (coating) 후 주사전사현미경 (Carl Zeiss)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관찰 사진을 도 6에 나타냈으며, KBL1027의 경우 KBL1026 및 DSM17677 균주에 비해 균주 특이적으로 세포 표면에 세포 외성 다당류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물질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KBL1026의 경우 기존에 보고된 DSM17677과 비슷한 형태의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처럼 KBL1027 균주가 특이적으로 생성하는 물질을 박테리아 세포 표면의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이와 같은 균주 특이적 특성 (strain specificity)은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종에 속하는 다른 균주에 비해 KBL1027 균주의 뛰어난 염증성 질환 완화 기능성을 유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KBL1027 균주의 세포외성 다당류에 의한 항염 효능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가 생산하는 물질에 의한 면역조절효과의 검증을 위해 마우스의 골수유래 대식세포 (Bone-marrow derived macrophage, BMDM)를 분리하여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6, KBL1027, 그리고 DSM17677 균주의 배양액을 처리하여 항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인 IL-10의 생성능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균주의 배양액을 얻기 위하여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6, KBL1027, 그리고 DSM17677 균주를 YBHI 배지 500 ml에 37 ℃, 혐기 조건으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을 얻고 0.45 μm 필터를 진행함. 음성대조군으로 균주를 접종하지 않은 YBHI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확보한 배지 및 상등액은 -81 ℃에 냉동 보관 후 동결 건조하여 100 mg/ml이 되도록 동량으로 맞추어 PBS에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마우스의 BMDM 세포를 얻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의 골수를 분리하여 DMEM 배지에 10 %의 소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FBS), 15 %의 L292 세포 배양액을,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항생제를 첨가한 BMDM용 배지에 37 ℃, 5 %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를 이용하여 7일간 배양하였다. L292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 (Korean Cell Line Bank)에서 구입하였다.
마우스의 BMDM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2×104 cell씩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음성대조군 YBHI 배지와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6, KBL1027, 그리고 DSM17677 균주의 상등액을 1 mg/ml의 농도로 배양액에 첨가하여 교체하였다. 또한 LPS가 유도하는 염증 반응 자극시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하여 LPS를 100 ng/ml의 농도로 첨가 후 각 균주의 상등액을 동량으로 첨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LPS를 10 ng/ml, 100 n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피컬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가 생성하는 부티르산 대사체와의 비교를 위해 나트륨 부티르산 (sodium butyrate, sigma aldrich)을 1 ng/ml, 10 ng/ml로 처리하였다. 이후 24시간이 경과한 후 배양액을 모아 -81 ℃에 냉동 보관하였으며, 추후 mouse IL-10 ELISA kit (Thermo Fisher Scientific)을 이용하여 제조자 방식에 따라 IL-10 사이토카인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냈으며, 마우스의 BMDM 세포에서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의 배양액이 음성대조군인 YBHI배지, KBL1026과 DSM17677 균주의 배양액에 비교하여 가장 유의하게 항염증 사이토카인인 IL-10 생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LPS를 통한 염증 반응이 자극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음성대조군인 YBHI배지와 KBL1026 균주의 배양액보다 유의하게 IL-10 생성을 유도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가 특이적으로 생산하여 배출하는 물질이 항염증 사이토카인 IL-10 생성을 유도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6. F. prausnitzii KBL1027 균주의 비교유전체 분석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간의 특이성 (strain specificity)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유전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박테리아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KBL1026, 그리고 KBL1027 균주를 YBHI 배지에 37 ℃, 혐기 조건으로 배양하여 실시예 1의 방법을 따라 균주의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KBL1026의 경우는 MiSeq (Illumina)을 이용하여 대용량 염기서열 데이터를 생성하여 A5-MiSeq 파이프라인을 따라 assemble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5에 나타냈다. KBL1027의 경우는 RSII (PacBio)를 사용하여 유전체 전체 정보 (complete genome)를 확보하였다. DSM17677 균주의 유전체 정보는 NCBI에서 확보하여 비교유전체 분석에 사용하였다 (accession number: GCA_000162015.1). 유전체의 평균 염기 동일성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의 비교를 위하여 JSpeciesWS (http://jspecies.ribohost.com/jspeciesws/#analyse)를 통해 계산하였으며, 확보한 균주의 유전체 정보의 요약 및 비교를 표 5에 나타냈다. KBL1027 균주와 KBL1026 균주의 ANI 값은 96.13 %였으며, 반면 DSM17677 균주와는 83.25 %로 계산되었다. 이는 KBL1027 균주가 기존에 알려진 DSM17677 균주보다 KBL1026 균주와 더 유전체 염기서열 유사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구분 KBL1026 KBL1027 DSM17677
Size (bp) 3,105,066 3,124,218 3,090,349
GC content (%) 56.2 56.1 56.4
Contig N50 (bp) 330,297 - 63,061
Number of scaffolds 36 1 20
Number of coding sequences 3,193 3176 3,298
Number of RNAs 71 83 79
ANI (%) with KBL1027 96.13 100 83.25
확보한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의 유전체 정보를 바탕으로 RAST (https://rast.nmpdr.org/)를 사용하여 RASTtk 파이프라인을 따라 annotation을 진행하고 비교유전체 분석을 실시했다. DSM17677 균주와 비교하여 KBL1027 균주의 유전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는 총 61개였으며, KBL1026 균주와 비교하여 KBL1027 균주의 유전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는 총 15개였다. 이는 KBL1027 균주가 DSM17677 균주와 낮은 ANI 값을 지녔기 때문에 더 많은 유전자가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두 비교 균주인 KBL1026 균주와 DSM17677 균주와 각각 비교했을 때 KBL1027 균주의 유전체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의 개수를 그 기능 특성에 따라 도 8에 나타냈다.
이 중 실시예 5에서 밝혀진 세포 외성 다당류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물질 생성과 연관된 세포벽과 캡슐 (Cell Wall and Capsule) 기능의 경우, KBL1026 균주와 비교하면 7개, DSM17677 균주와 비교하면 10개의 유전자가 KBL1027 균주 특이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KBL1026 균주와 DSM17677 균주에는 모두 없고, KBL1027 균주의 유전체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 13개 (하기 (1) 내지 (13))를 확인하였으며, 이 중 7개 (하기 (1) 내지 (7))가 세포벽과 캡슐 (Cell Wall and Capsule) 기능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 glycosyltransferase EpsF (EC 2.4.1.-)
(2) Tyrosine-protein kinase EpsD (EC 2.7.10.2)
(3) Alpha-D-GlcNAc alpha-1,2-L-rhamnosyltransferase (EC 2.4.1.-) rgpA
(4) Alpha-L-Rha alpha-1,3-L-rhamnosyltransferase (EC 2.4.1.-) rgpB
(5) capsular polysaccharide biosynthesis protein
(6) Lipoprotein releasing system ATP-binding protein LolD
(7) Putative N-acetylgalactosaminyl-diphosphoundecaprenol glucuronosyltransferase TuaG
(8) Predicted transcriptional regulator of N-Acetylglucosamine utilization, GntR family NagQ
(9) Membrane-bound lytic murein transglycosylase B (EC 3.2.1.-)
(10) Inosine-uridine preferring nucleoside hydrolase (EC 3.2.2.1)
(11) LysR family transcriptional regulator YnfL
(12) Cation efflux system protein CusA
(13) Cobalt-zinc-cadmium resistance protein CzcA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의 유전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벽과 캡슐 (Cell Wall and Capsule) 기능에 속하는 유전자를 도 9에 나타냈으며, KBL1027 균주 특이적 유전자들은 엑소폴리사카라이드 생합성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과 람노오스 포함 글라이칸 (rhamnose containing glycans)의 기능을 수행하며 클러스터 (cluster)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9의 B). 도 9의 B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의 유전체 서열상에서 도 9의 A에서 1, 3, 4, 5번 유전자들의 cluster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비교유전체 분석 결과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KBL1027 균주가 특이적으로 세포 외성 다당류 물질을 생산함을 의미한다.
[수탁번호]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4230BP
수탁일자 : 20200707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4231BP
수탁일자 : 20200707
Figure PCTKR2021010768-appb-img-000001
Figure PCTKR2021010768-appb-img-000002

Claims (23)

  1.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16S rRNA 서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세포 외 다당류를 생산하는 것인, 균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세포벽 및 캡슐 기능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인, 균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벽 및 캡슐 기능 유전자는 엑소폴리사카라이드 생합성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 또는 람노오스 포함 글라이칸 (rhamnose containing glycans)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균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벽 및 캡슐 기능 유전자는 하기 (1) 내지 (7)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인, 균주:
    (1)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 glycosyltransferase,
    (2) Tyrosine-protein kinase,
    (3) Alpha-D-GlcNAc alpha-1,2-L-rhamnosyltransferase,
    (4) Alpha-L-Rha alpha-1,3-L-rhamnosyltransferase,
    (5) capsular polysaccharide biosynthesis protein,
    (6) Lipoprotein releasing system ATP-binding protein,
    (7) Putative N-acetylgalactosaminyl-diphosphoundecaprenol glucuronosyltransferase.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하기 (1) 내지 (1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인, 균주:
    (1)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 glycosyltransferase,
    (2) Tyrosine-protein kinase,
    (3) Alpha-D-GlcNAc alpha-1,2-L-rhamnosyltransferase,
    (4) Alpha-L-Rha alpha-1,3-L-rhamnosyltransferase,
    (5) capsular polysaccharide biosynthesis protein,
    (6) Lipoprotein releasing system ATP-binding protein,
    (7) Putative N-acetylgalactosaminyl-diphosphoundecaprenol glucuronosyltransferase,
    (8) Predicted transcriptional regulator of N-Acetylglucosamine utilization, GntR family,
    (9) Membrane-bound lytic murein transglycosylase B,
    (10) Inosine-uridine preferring nucleoside hydrolase,
    (11) LysR family transcriptional regulator,
    (12) Cation efflux system protein,
    (13) Cobalt-zinc-cadmium resistance protein.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항염증 사이토카인 생성을 유도하는 특징을 갖는 것인, 균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장 상피세포 간 밀착연접을 강화하는 특징을 갖는 것인, 균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장 내 미생물 균형도를 개선하는 특징을 갖는 것인, 균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 내 미생물 균형도 개선은 하기 (1) 내지 (5)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균주:
    (1) 동물의 장 내 균총 다양성 증가를 유도함,
    (2) 동물의 장 내 균총의 불균형을 개선함,
    (3)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프레보텔라(Prevotella) 속 및/또는 파라프레보텔라세아에(Paraprevotellaceae) 과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를 유도함,
    (4)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리포다당류 세포벽을 가지는 유해균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를 방지함,
    (5) 동물의 장 내 균총에서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문, 박테로이드(Bacteroides) 속 및/또는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문 균주 상대적 풍부도의 증가를 방지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하기 (1) 내지 (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특징을 갖는 것인, 균주:
    (1) 염증성 질환에 의한 체중 감소를 방지함,
    (2) 염증성 질환에 의한 장 길이 감소를 방지함.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피부질환,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질환, 자가면역 질환, 자가면역성 염증성 질환, 습진, 천식, 알레르기성 천식, 기관지 천식,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음식 알레르기,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열, 루프스, 전신성 경피증, 건선, 건선 관절염, 천식, 길리안-바레 증후군(Guilian-Barre syndrome), 중증 근무력증, 피부근염, 다발성근염,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성 뇌척수염,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하시모토 갑상선염, 측두동맥염, 소아기 당뇨병, 원형탈모증, 천포창, 아프타구내염,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베게너 육아종증, 쇼그렌증후군, 애디슨병, 베체트병, 부종,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만성 부비동염, 인후염, 편도염, 기관지염, 폐렴, 위궤양, 위염, 대장염, 통풍, 습진, 여드름,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강직성 척수염, 섬유근통(fibromyalgia), 골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패혈증, 맥관염, 및 활액낭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염증성 대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장염(enteritis), 과민성 대장 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및 크론병(Crohn's disease; CD)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조성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는 상기 균주의 세포 외성 다당류에 의한 것인,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균형도 개선용 조성물.
  21.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서,
    상기 균주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균주인,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
  22.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생산하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로서,
    상기 균주는 기탁번호 KCTC14231BP를 가지는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KBL1027 균주인,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물질은 세포 외 다당류인,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 외 다당류.
PCT/KR2021/010768 2020-08-14 2021-08-12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및 그 용도 WO202203526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56275.9A EP4201415A4 (en) 2020-08-14 2021-08-12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AND USES THEREOF
CN202180050162.4A CN116529355A (zh) 2020-08-14 2021-08-12 普氏栖粪杆菌菌株及其用途
JP2023510332A JP7535174B2 (ja) 2020-08-14 2021-08-12 フィーカリバクテリウムプラウスニッツィ菌株およびその用途
US18/041,369 US20230293600A1 (en) 2020-08-14 2021-08-12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and uses there 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2564 2020-08-14
KR10-2020-0102564 2020-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5269A1 true WO2022035269A1 (ko) 2022-02-17

Family

ID=8024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0768 WO2022035269A1 (ko) 2020-08-14 2021-08-12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93600A1 (ko)
EP (1) EP4201415A4 (ko)
JP (1) JP7535174B2 (ko)
KR (1) KR20220021878A (ko)
CN (1) CN116529355A (ko)
WO (1) WO20220352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1351A (zh) * 2022-05-06 2022-08-19 大连工业大学 一株具有益生功能的毕赤酵母菌dpuy-f1及在缓解结肠炎症状中的应用
JP2023536414A (ja) * 2020-08-26 2023-08-25 エンテロバイオ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ィーカリバクテリウム・プラウスニッツイを含むアトピー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の薬学的組成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356A (ko) * 2013-03-05 2015-12-01 리엑스유니버시테이트 그로닝겐 염증을 억제하기 위한 페칼리 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htf-f (dsm 26943)의 용도
US20190030089A1 (en) * 2016-01-25 2019-01-31 Institut National De La Recherche Agronomique (Inra)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cncm 1-4573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gastrointestinal inflammation
KR20190086382A (ko) *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패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찌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20200053531A (ko) * 2017-09-08 2020-05-18 에벨로 바이오사이언시즈, 인크. 박테리아 세포외 소포
KR20200079292A (ko) * 2017-10-30 2020-07-02 세레스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항생제 내성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356A (ko) * 2013-03-05 2015-12-01 리엑스유니버시테이트 그로닝겐 염증을 억제하기 위한 페칼리 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htf-f (dsm 26943)의 용도
US20190030089A1 (en) * 2016-01-25 2019-01-31 Institut National De La Recherche Agronomique (Inra)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cncm 1-4573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gastrointestinal inflammation
KR20200053531A (ko) * 2017-09-08 2020-05-18 에벨로 바이오사이언시즈, 인크. 박테리아 세포외 소포
KR20200079292A (ko) * 2017-10-30 2020-07-02 세레스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항생제 내성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190086382A (ko) *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패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찌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201415A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36414A (ja) * 2020-08-26 2023-08-25 エンテロバイオ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ィーカリバクテリウム・プラウスニッツイを含むアトピー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の薬学的組成物
JP7466253B2 (ja) 2020-08-26 2024-04-12 エンテロバイオ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ィーカリバクテリウム・プラウスニッツイを含むアトピー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の薬学的組成物
CN114921351A (zh) * 2022-05-06 2022-08-19 大连工业大学 一株具有益生功能的毕赤酵母菌dpuy-f1及在缓解结肠炎症状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878A (ko) 2022-02-22
US20230293600A1 (en) 2023-09-21
EP4201415A1 (en) 2023-06-28
JP2023538016A (ja) 2023-09-06
JP7535174B2 (ja) 2024-08-15
EP4201415A4 (en) 2024-08-21
TW202212564A (zh) 2022-04-01
CN116529355A (zh)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336649B2 (en)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and use thereof
WO2022035269A1 (ko)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균주 및 그 용도
WO2018143678A1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WO2019216662A1 (ko)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그 용도
AU2020339348B2 (en)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27 strain and use thereof
WO2019226002A1 (ko)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kbl693 균주 및 그 용도
WO2023055188A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WO2018164468A1 (en) Bacillus amyloliquefaciens gf423 strain, and composition for providi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lipidemia, including polypeptide produced by the same
WO2020091312A1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장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66549A1 (ko)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bl409 균주 및 그 용도
WO2023038419A1 (ko) 비피더스 유산균 생장촉진 및 장내 유해균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억제 효능을 갖는 장 건강 균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eps da-bacs 및 그 다당류
WO2017047962A1 (ko) 신규 유산균 및 퇴행성 뇌질환 또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30581A1 (ko) 신규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32 균주의 발견 및 장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응용
WO2018034492A1 (ko)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th17-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39561A1 (ko)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20226438A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WO2023014054A1 (ko) 블라우티아 속 균주, 류코노스톡 속 균주 또는 루미노코쿠스 속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WO2022265431A1 (ko)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조절 t 세포의 병용 투여 용도
WO2022231178A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atg-v5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WO2024172621A1 (ko) 신규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3200203A1 (ko) 신규한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8101611A1 (ko) 막 필터를 이용한 고농도 사균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사균
WO2022146096A1 (ko)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 또는 루미노코쿠스 속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WO2024107012A1 (ko)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그의 유래의 배양액 및 그의 항알러지 용도
WO2019035644A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슈도모나스 속 미생물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562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1033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50162.4

Country of ref document: C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562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