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41890A1 -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41890A1
WO2021241890A1 PCT/KR2021/004990 KR2021004990W WO2021241890A1 WO 2021241890 A1 WO2021241890 A1 WO 2021241890A1 KR 2021004990 W KR2021004990 W KR 2021004990W WO 2021241890 A1 WO2021241890 A1 WO 20212418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nd plate
spinal fusion
fusion cage
bloc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49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국진
Original Assignee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Priority to EP21811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59168A1/en
Priority to BR112022023936A priority patent/BR112022023936A2/pt
Priority to US17/927,592 priority patent/US20230201003A1/en
Priority to JP2023515549A priority patent/JP2023528544A/ja
Priority to AU2021278632A priority patent/AU2021278632A1/en
Publication of WO20212418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418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61F2/446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having a circular or kidney shaped cross-s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33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having indirect contact with screw heads, or having contact with screw heads maintained with the aid of additional components, e.g. nuts, wedges or head covers
    • A61B17/8042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having indirect contact with screw heads, or having contact with screw heads maintained with the aid of additional components, e.g. nuts, wedges or head covers the additional component being a cover over the screw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49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61F2/447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substantially parallelepipedal, e.g. having a rectangular or trapezoidal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3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 A61F2002/30387Dovetai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0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screwing complementary threads machined on the par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76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76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 A61F2002/30507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using a threaded locking member, e.g. a locking screw or a set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76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 A61F2002/3051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using a locking wedge or b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61F2002/30553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for adjusting a position by translation along a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61F2002/30556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for adjustin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9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chanically expandable devices, e.g.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93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772Apertures or holes, e.g. of circular cross section
    • A61F2002/30784Plurality of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78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with non-sharp protrusions, for instance contacting the bone for anchoring, e.g. keels, pegs, pins, posts, shanks, stems, stru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저높이로 추체 사이에 삽입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엔드플레이트를 통해 삽입되는 뼈스크류에 의해 정착력이 향상된 척추 유합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한개의 케이지로 일정한 범위 내의 높이를 가지는 케이지를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자 입장에서 생산해야 하는 제품군이 적어지고, 재고 또한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케이지와 달리 환자의 추체 간격에 따라 선형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므로, 환자 상태에 따른 최적의 높이로 수술이 가능하다. {대표도} 도 1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저높이로 추체 사이에 삽입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엔드플레이트를 통해 삽입되는 뼈스크류에 의해 정착력이 향상된 척추 유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추체는 몸통을 이루는 32~35개의 척추골(vertebra)과 척추골 사이의 추간판 (intervertebral disk) 즉, 디스크로 이루어지며, 상단의 두개골과 하단의 골반을 연결하는 우리 몸의 중추를 이루는 부분이다.
척추골은 위로부터 7개의 경추(cervical), 12개의 흉추(thoracic), 5개의 요추(lumber), 5개의 천추(sacrum), 3~5개의 미추(coccyx)로 이루어지는데, 성인에서는 5개의 천추가 유합하여 1개의 천골이 되고, 3~5개의 미추가 유합하여 1개의 미골이 된다.
오랫동안 심각한 척추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 척추의 유합술이 있다. 이러한 척추 유합술은 추간판(디스크; intervertebral disc)을 제거하고 이를 대체하는 케이지(Cage)를 삽입하여 인접하는 추체를 서로 유합시키는 수술법이다.
이러한 척추 유합술은 요추에 시술될 경우, 케이지의 삽입방향에 따라, 후방추체 유합술(Posterial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횡추간공 추체 유합술(Transformatio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측방 추체 유합술(Lateral 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LLIF), 사측방 추체유합술 (Oblique Lumbar Interbody Fusion, OLIF), 전방추체 유합술(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LIF)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후방추체 유합술(PLIF)은 척추의 중심선을 따라 절개를 하고, 척추체가 모두 노출되도록 개방하고 척추뼈의 후방측 일부를 제거한 후 디스크를 제거하고 PLIF 케이지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후방추체 유합술(PLIF)은 척추 유합술 중 가장 오래전부터 시행해온 것으로써, 두마디나 세마디 유합술을 할 때 꼭 필요한 방법이다. 하지만, 수술과정으로 인해 신경과 인대와 근육에 유착이 될 가능성이 많고, 절개영역이 커서 치유시간이 길며, 사람에 따라서는 후유증이 큰 단점이 있다.
PLIF 케이지는 한쌍의 작은 케이지가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모든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케이지 중에서 가장 작다.
횡추간공 추체 유합술(TLIF)은, 척추 근육 양옆을 따라 작게 절개를 하고 최소한으로 척추체를 노출시키고 난 이후 척추 관절 부위를 신경공이 나오는 방향으로 제거하면서 TLIF 케이지를 디스크를 삽입하는 수술 방법이다. 이 수술기법은 출혈도 적고, 수술 시간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한 마디 수술인 경우에 적합하지만 여러 부위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PLIF 수술을 해야 한다. TLIF 케이지는 대부분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추체에 넣고 회전시켜 TLIF 케이지의 볼록한 부분이 배쪽을 향하도록 한다. TLIF 케이지는 PLIF 케이지보다는 크지만 지지면적이 이후에 언급할 LLIF 케이지 또는 ALIF 케이지 보다는 작다.
전방추체 유합술(ALIF)은 수술회복도 빠르고 유착도 걱정할 필요가 없는 등의 여러가지 장점이 있지만, 전방(배쪽)을 절개하여 내장을 제치며 척추쪽으로 접근해서 시행하므로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ALIF 케이지는 모든 척추 유합술 케이지 중에서 가장 큰 지지면적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ALIF 케이지 중에서 시술 후 케이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류를 추체에 삽입 고정할 수 있는 홀을 가지는 자립형 케이지(Integrated Cage)가 개시된 바 있다(US2014-0277487A).
그리고, US9585762, US2019-0133782A에서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립형 ALIF 케이지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US9585762는 수직형 라쳇(302)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높이가 아닌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 특징이다. US2019-0133782A는 높이가 조절되지만,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US9585762
(특허문헌 2) US2019-0133782A
(특허문헌 3) US2014-0277487A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저높이로 추체 사이에 삽입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한쌍의 엔드플레이트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접하는 추체에 맞닿는 제1엔드플레이트 및 제2엔드플레이트;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의 말단부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말단이동블럭;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의 근위부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근위이동블럭; 회전에 의해 상기 근위이동블럭과 상기 말단이동블럭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말단이동블럭과 상기 근위이동블럭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 및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및 제2엔드플레이트에 배치돼서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엔드플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해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이동블럭 및 상기 근위이동블럭에는 블럭슬라이더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에는 상기 블럭슬라이더에 대해 미끄럼운동하는 플레이트슬라이더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말단이동블럭의 블럭슬라이더의 폭방향 거리는, 상기 조절부재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말단이동블럭의 블럭슬라이더의 폭방향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이다,
상기 말단이동블럭의 주위에는 블럭보조슬라이더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 엔드플레이트에는 상기 보조블럭슬라이더에 미끄럼운동하는 플레이트보조슬라이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보조슬라이더는 상기 말단이동블럭의 폭방향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블럭보조슬라이더는 상기 블럭슬라이더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절부재는 일단에 상기 말단이동블럭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부를 가지고, 타단에 상기 근위이동블럭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지지자리를 가지며, 회전지지부재가 상기 근위이동블럭을 통해 상기 회전지지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직가이드부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가이드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가이드와 슬라이딩운동하는 제2수직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수직가이드는 2쌍이 배치되고, 상기 수직가이드 중 1쌍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가이드 중 다른 1쌍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수직가이드는 상기 제1 또는 제2 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이고, 상기 제2수직가이드는 상기 기둥의 외면의 일부를 감싸는 채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채널은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에 폭방향으로 오목하게 배치되는 제1홈부와, 상기 홈부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홈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둥의 주위에는 상기 연장부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홈부는 근위부측에 배치되는 제1홈벽과 상기 제1홈벽에 이격되어 말단부측에 배치되는 제2홈벽과 상기 제1홈벽과 제2홈벽을 연결하는 제3홈벽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둥의 폭방향 두께는 상기 제1홈부의 폭방향 깊이와 동일하고,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 두께는 상기 제1홈벽과 상기 제2홈벽의 길이방향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홈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어 근위부측에 배치되는 제1연장벽과,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어 말단부측에 배치되는 제2연장벽과,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벽과 상기 제2연장벽을 연결하는 제3연장벽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벽은 상기 제1홈벽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연장벽은 상기 제2홈벽과 평면을 이루며, 상기 제3연장벽은 상기 제3홈벽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홈부의 폭방향 깊이는 상기 제1홈부의 폭방향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홈부의 주위에는 상기 기둥의 삽입을 유도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연장벽과 상기 제2연장벽의 길이방향 두께의 합은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3연장벽의 폭방향 두께는 상기 기둥의 폭방향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및 제2엔드플레이트의 측부에는 관통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근위측 단부에는 센터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근위이동블럭에는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터홈을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관통하여 상기 근위이동블럭에 고정되는 커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커버플레이에는 파지를 위한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에 형성된 뼈스크류홀을 통해 삽입되는 뼈스크류; 및 상기 뼈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근위 이동블럭에 체결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뼈스크류를 커버하는 잠금플레이트와, 상기 잠금플레이트에 관통하여 상기 근위이동블럭에 고정되는 잠금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이동블럭에는 상기 조절부재의 전단에 잠금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잠금볼트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잠금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상기 뼈스크류를 향해 돌출되는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잠금볼트는 결합시 상기 조절부재와 접촉하여 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한개의 케이지로 일정한 범위 내의 높이를 가지는 케이지를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자 입장에서 생산해야 하는 제품군이 적어지고, 재고 또한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케이지와 달리 환자의 추체 간격에 따라 선형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므로, 환자 상태에 따른 최적의 높이로 수술이 가능하다.
또, 최저높이에서 케이지가 삽입되므로, 기존의 적절한 추체간격에 맞추어 시험삽입물을 별도로 생산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의사 입장에서도 복수의 시험삽입물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면서 삽입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유합 케이지의 실시예1의 최저 높이 상태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척추 유합 케이지의 후면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1의 최고 높이 상태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척추 유합 케이지의 후면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 척추 유합 케이지에 커버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척추 유합 케이지에서 센터홈의 주위에 뼈스크류를 삽입한 상태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척추 유합 케이지에 커버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1의 척추 유합 케이지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1의 척추 유합 케이지의 후면상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1의 제1엔드플레이트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제1엔드플레이트의 후면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1의 제2엔드플레이트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2엔드플레이트의 후면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제2엔드플레이트의 수직가이드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5는 실시예1의 근위 이동블럭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근위 이동블럭의 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1의 말단 이동블럭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말단 이동블럭의 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9은 실시예1의 조절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예1의 커버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예1의 본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척추 유합 케이지의 실시예의 최저 높이 상태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3는 도 1의 척추 유합 케이지의 후면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실시예2의 최고 높이 상태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3의 척추 유합 케이지의 후면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실시예2의 척추 유합 케이지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7은 실시예2의 척추 유합 케이지의 후면상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실시예2의 척추 유합 케이지의 잠금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실시예2의 제1엔드플레이트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제1엔드플레이트의 후면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실시예2의 제2엔드플레이트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제2엔드플레이트의 후면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제2엔드플레이트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4는 실시예2의 근위 이동블럭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근위 이동블럭의 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6은 실시예2의 말단 이동블럭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말단 이동블럭의 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8은 실시예2의 조절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실시예2의 잠금플레이트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9의 잠금플레이트의 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1는 실시예2의 잠금 볼트의 전면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2는 실시예2의 뼈스크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에 대해 정의한다. 말단방향은 척추 유합 케이지가 삽입되는 방향이고, 근위방향은 상기 말단방향의 반대방향이다. 길이방향은 상기 말단방향과 근위방향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상의 방향을 의미한다. 두께방향은 엔드플레이트의 두께 방향, 즉 위아래 척추를 향하는 가상의 직선방향이다. 또, 폭방향은 길이방향과 두께방향에 모두 직각인 방향으로, 엔드플레이트의 수평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9는 실시예1에 따른 척추 유합케이지(100) 전체를 도시하고 있고, 도 8 내지 도 21은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의 각 요소들을 도시하고 있다. 또, 도 22 내지 도 28은 실시예2에 따른 척추 유합케이지(300) 전체를 도시하고 있고, 도 29 내지 도 42는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300)의 각 요소들을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1의 척추 유합케이지(100)와 실시예2의 척추 유합 케이지(300)는 뼈스크류와 관련된 부분이 상이하고, 그 외의 부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1의 척추 유합케이지(100)와 실시예2의 척추 유합 케이지(300)를 동시에 설명하고, 이후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는 크게 상하로 마주 보게 배치되는 제1엔드플레이트(102,302) 및 제2엔드플레이트(104,304)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이동하는 말단이동블럭(108,308) 및 근위이동블럭(106,306), 상기 근위이동블럭(106,306)에 관통하여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과 연결하는 조절부재(110,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에 배치돼서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해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는 추체에 맞닿는 면에 치형돌기를 가지는 제1플레이트바디(122,322)와 제2플레이트바디(146,346)를 가진다. 상기 치형돌기는 추체에 대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1플레이트바디(122,322)와 상기 제2플레이트바디(146,346)의 중심부에는 뼈형성물질(bone graft)을 삽입하기 위한 제1윈도우(145,345) 및 제2윈도우(172,37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 또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바디(122,322)에는 길이방향에 따라 근위방향으로 근위이동블럭자리(130,330)이 형성되고, 말단방향으로 말단이동블럭자리(138,338)가 형성된다. 상기 근위이동블럭자리(130,330)에 연장되어 플레이트경사부(128,328)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경사부(128,328)의 양측으로 한쌍의 플레이트슬라이더(132,332)가 대향하여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12 및 도 13 또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플레이트바디(146,346)에 길이방향에 따라 근위방향으로 근위이동블럭자리(156,356)이 형성되고, 말단방향으로 말단이동블럭자리(164,364)가 형성된다. 상기 근위이동블럭자리(156,356)에 연장되어 플레이트경사부(154,354)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경사부(154,354)의 양측으로 한쌍의 플레이트슬라이더(158,358)가 대향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말단이동블럭자리(138,156,338,356)의 주위로 플레이트경사부(139,165,339,365)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경사부(139,165,339,365)는 상기 말단이동블럭자리(138,164,338,364)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경사부(139,165,339,365)의 외측으로 플레이트슬라이더(142,168,342,368)가 각각 형성된다. 또, 상기 플레이트슬라이더(142,168,342,368)의 외측으로 상기 플레이트슬라이더(142,168,342,368)에 대향되도록 플레이트보조슬라이더(144,170,344,370)가 형성될 수 있다.
ALIF에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가 사용되면, 척추구조상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는 근위측이 말단측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두께방향,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하중을 받을 경우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말단측에 응력흐름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보조슬라이더(144,170,344,370)는 응력분포를 고르게 하기 위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위부에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슬라이더(132,158,332,358)와 상기 말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슬라이더(142,168,342,368)는 상기 제1플레이트바디(122,322)의 표면에서 두께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플레이트바디(122,322)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바디(146,346)의 중심을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근위부에 형성되는 플레이트슬라이더(132,158,332,358)의 폭방향 외측 주위로 플레이트보조지지부(133,157,333,357)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보조지지부(133,157,333,357)는 상기 근위이동블럭(106)의 블럭보조지지부(181,381)과 지지면적을 넓혀서 더욱 안정적으로 하중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말단이동블럭자리(138,164,338,364)에 연장되어 보강경사부자리(140,166,340,366)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경사부자리(140,166,340,366)는 하기(下記)하는 보강경사부(200,40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의 이동시 상기 보강경사부(200,300)가 상기 제1플레이트바디(122,322) 또는 제2플레이트바디(146,346)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바디(122,322) 및 상기 제2플레이트바디(146,346)의 측부에는 각각 제1측면홀(123,323)과 제2측면홀(153,35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홀(123,323) 및 상기 제2측면홀(153,353)은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의 내부공간과 주위를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추가적으로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의 내부로 뼈형성물질을 장입할 때 뼈형성물질이 외부에 배출되어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근위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슬라이더(132,158,332,358)와 말단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슬라이더(142,168,342,368)는 상기 조절부재(110,310)의 축선에 대한 폭방향 거리가 상이하다. 즉, 상기 조절부재(110,310)의 축선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슬라이더(132,158,332,358)의 폭방향 거리는, 상기 조절부재(100,300)의 축선으로부터 말단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슬라이더(142,168,342,368)의 폭방향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ALIF과 같이 폭 방향의 길이가 긴 경우에 조절부재(110,310)를 지지하는 근위이동블럭(106,306)은 상기 조절부재(110,310)의 축선에 대하여 폭방향 길이를 작게 해야만 상기 근위이동블럭(106,306) 주위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에서 상기 근위이동블럭(106,306)의 주위로 뼈형성물질을 추가로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하기 편리할 뿐 아니라, 삽입량도 늘릴 수 있다.
반대로, 도 2 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최소상태에서 추체(vertebrae body)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말단방향이 빈틈없는 구조로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의 말단측과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의 말단측의 폭방향 길이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근위이동블럭(106,306)이 상기 조절부재(110,310)의 축선에 대하여 폭방향 길이를 작게 하기 위해 블럭슬라이더(180,380)가 상기 조절부재(110,310)의 축선에 대하여 폭방향 길이가 작게 된다. 이로 인한 구조의 안정성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에 형성되는 블럭슬라이더(204,504)는 가능한 상기 조절부재(110,310)의 축선에 대하여 폭방향 길이를 크게 하도록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근위측의 블럭슬라이더(180,380)와 말단측의 블럭슬라이더(204,404)는 대략적으로 근위측이 좁고 말단측이 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근위이동블럭(106,306)은 도 15 및 도 16 또는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110,31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조절부재홀(188,388)을 가지는 근위연결관체(190,390)를 중심으로 근위측에 블럭경사부(174,374)가 형성된다. 상기 블럭경사부(174)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엔드플레이트(102,104,302,304)에 형성되는 플레이트슬라이더(132,158,332,358)에 미끄럼 결합하는 블럭슬라이더(180,380)이 배치된다. 상기 조절부재홀(188,388)은 상기 조절부재(110,310)과 맞닿아 지지하는 지지부(184,384)와, 상기 지지부(184,384)의 말단측에 상기 조절부재(110,3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턱(186,386)이 형성된다.
또, 지지부(184,384)에 위치하는 상기 조절부재(110,310)의 근위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핀홀(178,378)이 상기 근위이동블럭(106,306)의 측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근위이동블럭(106,306)의 측부에는 기구가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기구자리(176,37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재(110,310)가 삽입되는 영역보다 근위측에는 기구 또는 플레이트와 같은 다른 임플란트와 연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부(182,382)가 형성된다.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은 도 17 및 도 18 또는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상기 조절부재(110,310)와 나사결합되는 이동블럭나사부(202,402)를 가지는 말단연결관체(198,398)가 형성되고, 상기 말단연결관체(198,398)의 양측으로 날개부(196,396)를 가진다. 상기 날개부(196,396)에는 블럭경사부(194,394)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96,396)의 양측으로 블럭슬라이더(204,404)가 배치된다. 상기 블럭슬라이더(204,404)의 외측으로는 블럭보조슬라이더(206,406)가 형성된다. 상기 블럭슬라이더(204,404)와 상기 블럭보조슬라이더(206,406)는 제1 및 제2엔드플레이트(102,104,302,304)의 플레이트슬라이더(142,168,342,368) 및 플레이트보조슬라이더(144,170,344,370)와 각각 미끄럼 결합하게 된다.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은 추체 사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말단벽(192,392)을 가지며, 상기 말단벽(192,392)은 상기 블럭경사부(194,394)와 일체이다. 그리고, 높이가 가장 낮은 상태에서 상기 말단벽(192,392)이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 단부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의 단부와 맞닿아 전체적으로 하나의 삽입부를 구성한다. 특히, 상기 말단벽(192,392)의 양측에는 말단절곡면(208,408)이 형성되어, 삽입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의 중심에는 보강경사부(200,400)가 형성되어, 상기 블럭슬라이더(204,404) 및 상기 블럭보조슬라이더(206,406)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는 것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경사부(200,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의 보강경사부자리(140,166,340,366)에 삽입되면서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 및 상기 근위이동블럭(106,306)은 대략 쐐기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를 가세하여 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상기 조절부재(110,310)는 도 19 또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볼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부재(110,310)는 조절부재지지면(210,410)과 조절나사부(214,314)를 가진다. 상기 조절부재지지면(210,410)과 상기 조절나사부(214,414) 사이에는 연결부(212,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지지면(210,410)의 근위측으로 핀자리(218,418)가 형성되고, 그 중심에 공구홈(216,416)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110,3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부(214,414)는 수나사이지만 도면상에서는 자세한 표현을 생략한다.
상기 조절부재지지면(210,410)은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의 지지부(184)와 접하며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조절나사부(214,414)는 상기 조절부재(110,310)의 이동블럭나사부(202,402)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이동블럭나사부(202,402)는 암나사이지만 도면상에서는 자세한 표현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턱(186,386)에 상기 조절부재지지면(210,410)의 말단측 여유면이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조절부재(110,310)는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에서 말단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 상기 핀자리(218,418)에 핀부재(118,318)가 삽입되어 상기 핀자리(218,418)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절부재(110,310)는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의 근위측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조절부재(120,320)가 상기 조절부재(110,310) 내부의 제위치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가이드부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 또는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22,322)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가이드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 또는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22,322)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가이드와 슬라이딩운동하는 제2수직가이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가이드는 2쌍이 배치되고, 상기 수직가이드 중 1쌍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22,322)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가이드 중 다른 1쌍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22,322)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된다. 즉, 다음의 3가지의 경우가 발생한다. 첫번째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의 양측에 제1수직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22,322)의 양측에 제2수직가이드가 설치되는 경우이다. 두번째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의 양측에 제2수직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22,322)의 양측에 제1수직가이드가 설치되는 경우이다. 세번째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의 양측에 제1수직가이드와 제2수직가이드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22,322)의 양측에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에 대응되도록 제2수직가이드와 제1수직가이드가 설치되는 경우이다. 이하에서는, 첫번째의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수직가이드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124,324)이고, 상기 제2수직가이드는 상기 기둥(124,324)의 외면의 일부를 감싸는 채널(150,350)을 가진다.
상기 기둥(124,324)의 주위에는 수용부(126,326)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26,326)는 하기(下記)하는 연장부(148,348)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근위측에 제1수용홈(1261,3261)이 형성되고, 말단측에 제2수용홈(1262,3262)이 형성된다.
상기 채널(150,350)은 상기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에 폭방향으로 오목하게 배치되는 제1홈부와, 상기 홈부에서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148,348)에 의해 형성되는 제2홈부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실시예1의 연장부(148)에는 상단부에 안내부(147)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148)가 상기 수용부(126)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실시예2의 연장부(348)에는 컷오프부(349)가 근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컷오프부(349)는 뼈스크류(320)이 삽입될 때, 상기 연장부(348)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1홈부는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근위부측에 배치되는 제1홈벽(1491,3491)과 상기 제1홈벽(1491,3491)에 이격되어 말단부측에 배치되는 제2홈벽(1492,3492)과 상기 제1홈벽(1491,3491)과 제2홈벽(1492,3492)을 연결하는 제3홈벽(1493,3493)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홈부는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어 근위부측에 배치되는 제1연장벽(1511,3511)과,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어 말단부측에 배치되는 제2연장벽(1512,3512)과,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벽(1511,3511)과 상기 제2연장벽(1512,3512)을 연결하는 제3연장벽(1513,3513)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부(148,348)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는 대략 U자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벽(1511,3511)은 상기 제1홈벽(1491,3491)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연장벽(1512,3512)은 상기 제2홈벽(1492,3492)과 평면을 이루며, 상기 제3연장벽(1513,3513)은 상기 제3홈벽(1493,3493)과 평면을 이룬다. 이 결과,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는 전체적으로 채널(150,350)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기둥(124,324)이 상기 채널(150,350)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홈부의 폭방향 깊이는 상기 제1홈부의 폭방향 깊이보다 작다. 이 때, 상기 기둥(120,324)의 폭방향 두께는 상기 제1홈부의 폭방향 깊이와 동일하고, 상기 기둥(124,324)의 길이방향 두께는 상기 제1홈벽(1491,3491)과 상기 제2홈벽(1492,3492)의 길이방향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둥(124,324)이 상기 채널(150,350)에 삽입될 때, 상기 제1홈부에서는 상기 기둥(124,324)의 길이방향 2면과 폭방향 1면이 감싸지지만, 상기 제2홈부에서는 상기 기둥(124,324)의 폭방향 1면은 전체가 감싸지지만 길이방향 2면은 일부만이 감싸지게 된다.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연장벽(1511,3511)과 상기 제2연장벽(1512,3512)의 길이방향 두께의 합은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의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폭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최대로 하기 위해 상기 제3연장벽(1513,3513)의 폭방향 두께는 상기 기둥(124,324)의 폭방향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홈부의 주위에는 상기 기둥(124,324)의 삽입을 유도하는 안내홈(152,352)이 형성돼서,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가 조립될 때 또는 높이를 올렸다가 다시 내리는 경우, 상기 기둥(124,324)이 자연스럽게 상기 제1홈부측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척추 유합 케이지(100)와 실시예2의 척추 유합 케이지(300)의 다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1의 척추 유합 케이지(100)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 또는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의 근위부에 센터홈(155)가 형성된다. 실시예1에서는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에만 센터홈(155)이 형성된다.
상기 센터홈(155)는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를 추체 사이에 삽입한 후,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이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근위부의 제1플레이트바디(122) 또는 제2플레이트바디(146)에 형성된다. 상기 센터홈(155)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스크류(120)가 걸치도록 하여 추체에 삽입된다. 상기 뼈스크류(120)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240)와, 상기 나사부(2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크류헤드(236)와, 상기 스크류헤드(236)에 형성되어 드라이버 등의 기구와 결합하는 공구홈(2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커버플레이트(112)가 상기 근위이동블럭(106)에 상기 뼈스크류(120)를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스크류(120)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근위이동블럭(106) 및 상기 센터홈(155)의 노출을 방지하고, 특히 상기 커버플레이트(112)를 고정할 때 커버볼트(114)가 직접 상기 근위이동블럭(106)에 형성된 볼트체결부(182)에 체결되면서 상기 조절부재(11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술하면, 상기 커버볼트(114)가 잠기면서 상기 조절부재(110)에 접촉하면, 상기 커버볼트(114)는 상기 조절부재(110)에 대해 록너트(lock nut)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12) 및 상기 커버볼트(114)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12)에는 상기 커버볼트(114)가 안착되는 볼트자리(224)와, 상기 커버볼트(114)를 상기 커버플레이트(112)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도록 설치되는 고정링(116)이 안착되는 고정링자리(2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112)의 커버플레이트바디(220)에는 기구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112)를 파지하는 기구자리(228)가 형성된다. 실시예1에서 상기 기구자리(228)는 상기 커버플레이트바디(220)의 양측에 오목하게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플레이트바디(220)에는 상기 센터홈(155)를 커버할 수 있는 연장부(222)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 또는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볼트(114)는 상기 근위이동블럭(106)의 볼트체결부(182)에 나사결합되는 커버볼트나사부(234)와, 상기 커버볼트(234)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커버볼트헤드(230)를 가진다. 상기 커버볼트헤드(230)와 상기 커버볼트나사부(234) 사이에는 고정링지지부(235)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실시예2의 척추 유합 케이지(300)는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302)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304)에 뼈스크류홀(334,36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뼈스크류홀(334,360)을 통해 뼈스크류(320)이 관통하여 추체에 설치된다.
상기 뼈스크류홀(334,360)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폭방향에 대해서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뼈스크류홀(334,360)의 주위에는 상기 뼈스크류(320)를 상기 뼈스크류홀(334,360)을 향해 안내하는 안내면(336,362)이 형성된다. 상기 뼈스크류(320)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440)와, 상기 나사부(4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크류헤드(436)와, 상기 스크류헤드(436)에 형성되어 드라이버 등의 기구와 결합하는 공구홈(4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뼈스크류(3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예2의 척추 유합 케이지(100)은 잠금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부재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뼈스크류(320)를 커버하는 잠금플레이트(312)와, 상기 잠금플레이트(312)에 관통하여 상기 근위이동블럭(306)에 고정되는 잠금볼트(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잠금플레이트(312)는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판형의 잠금플레이트바디(420)를 가지며, 상기 잠금플레이트바디(420)의 양측으로 연재되는 커버부(422)는 상기 잠금볼트(414)의 커버를 위해 약각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플레이트바디(420)에는 기구자리(428)이 형성되며, 실시예2에서 상기 기구자리(428)는 상기 커버부(422)의 양측에 관통된 홀이다.
또, 상기 잠금플레이트바디(420)의 중심부에는 잠금볼트자리(424)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볼트(114)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볼트자리(422)의 주위에는 고정링(316)이 안착될 수 있는 고정링자리(426)가 배치된다.
상기 잠금볼트(114)는 상기 근위이동블럭(306)의 상기 조절부재(310)의 전단에 잠금볼트(314)가 결합될 수 있는 볼트체결부(382)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볼트(314)가 상기 근위이동블럭(306)에 체결될 때, 상기 잠금볼트(314)가 상기 조절부재(310)에 접촉시키면, 상기 잠금볼트(314)가 상기 조절부재(310)을 밀어붙이는 것과 동시에 접촉영역에서 마찰력이 발생된다. 이 결과, 상기 조절부재(310)은 나사영역에서 마찰력이 증대하여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302)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304)에 하중, 특히 반복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조절부재(310)가 풀리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잠금볼트(314)는 상기 잠금볼트자리(424)에 안착될 수 있는 잠금볼트헤드(430)와, 상기 볼트체결부(382)와 체결되는 나사산을 가지는 잠금나사부(434)와,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홈(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잠금볼트(314)가 상기 잠금플레이트(31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잠금볼트(314)에 링홈을 배치하고, 상기 링홈에 고정링(316)을 끼울 수 있다.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의 시술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술기구를 활용해서 추체까지의 수술경로를 확보하고 대상이 되는 디스크를 제거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케이지 홀더로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를 디스크가 제거된 추체 사이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조절부재(110,310)의 공구홈(216,416)에 드라이버 등과 같은 기구를 삽입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근위이동블럭(106,306)과 상기 말단이동블럭(108,308)을 서로 근접시키고, 이 결과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를 서로 이격시킨다.
그리고, 실시예1의 경우는 상기 센터홈(155)에 뼈스크류(120)를 설치한다. 또, 실시예2의 경우는 상기 뼈스크류홀(334,360)을 관통하여 뼈스크류(320)를 설치한다.
이후, 실시예1의 경우는 커버플레이트(112)를 상기 근위이동블럭(106)에 커버볼트(114)에 의해 설치한다. 또, 실시예2의 경우는 잠금플레이트(312)를 상기 근위이동블럭(306)에 잠금볼트(314)에 의해 설치한다.
만일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를 잘못 삽입하거나 재수술을 위해 제거하자 하는 경우, 상술한 수술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를 제거한다.
즉, 상기 커버볼트(114) 또는 상기 잠금볼트(314)를 풀러서 상기 커버플레이트(112) 또는 상기 잠금플레이트(312)를 상기 근위이동블럭(106,306)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케이지 홀더로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110,310)에 드라이버 등의 기구를 삽입하여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근위이동블럭(106,306)과 상기 말단이동블럭(108)의 거리를 이격시키고, 이 결과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302)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104,304) 사이의 거리를 근접시켜서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게 하고 추체로부터 이탈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한개의 케이지로 일정한 범위 내의 높이를 대응할 수 있어서 재고부담 및 생산부담을 줄일 수 있고, 수술시 반복작업이 줄어서 의사의 수고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술시간 역시 감소하므로 출혈량이 감소하여 환자의 회복시간 역시 크게 짧아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해당분야에서 널리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호의 설명}
100: 척추 유합 케이지 102: 제1엔드플레이트
104: 제2엔드플레이트 106: 근위이동블럭
108: 말단이동블럭 110: 조절부재
112: 커버플레이트 114: 커버볼트
116: 고정링 118: 핀부재
120: 뼈스크류 122: 제1플레이트바디
123: 제1측면홀 124: 기둥
126: 수용부 128,139,154,165: 플레이트경사부
130,156: 근위이동블럭자리 132,142,158,168: 플레이트슬라이더
133,157: 플레이트보조지지부 138,164: 말단이동블럭자리
140,166: 보강경사부자리 144,170: 플레이트보조슬라이더
145: 제1윈도우 146: 제2플레이트바디
147: 안내부 148: 연장부
150: 채널 152: 안내홈
153: 제2측면홀 155: 센터홈
172: 제2윈도우 174,194: 블럭경사부
176: 기구자리 178: 핀홀
180,204: 블럭슬라이더 181: 블럭보조지지부
182: 볼트체결부 184: 지지부
186: 지지턱 188: 조절부재홀
190: 근위연결관체 192: 말단벽
196: 날개부 198: 말단연결관체
200: 보강경사부 202: 이동블럭나사부
206: 블럭보조슬라이더 208: 말단만곡면
210: 조절나사고정부 212: 조절나사지지부
214: 조절나사부 216: 공구홈
218: 핀자리 220: 커버플레이트바디
222: 연장부 224: 볼트자리
226: 고정링자리 228: 기구자리
230: 커버볼트헤드 232: 공구홈
234: 커버볼트나사부 235: 고정링지지부
236: 뼈스크류헤드 238: 공구홈
240: 뼈스크류나사부
1261: 제1수용홈 1262: 제2수용홈
1491: 제1홈벽 1492: 제2홈벽
1493: 제3홈벽 1511: 제1연장벽
1512: 제2연장벽 1513: 제3연장벽
300: 척추 유합 케이지 302: 제1엔드플레이트
304: 제2엔드플레이트 306: 근위이동블럭
308: 말단이동블럭 310: 조절부재
312: 잠금플레이트 314: 잠금볼트
316: 고정링 318: 핀부재
320: 뼈스크류 322: 제1플레이트바디
323: 제1측면홀 324: 기둥
326: 수용부 328,339,354,365: 플레이트경사부
330,356: 근위이동블럭자리 332,342,358,368: 플레이트슬라이더
333,357: 플레이트보조지지부 334,360: 뼈스크류홀
336,362: 안내면 338,364: 말단이동블럭자리
340,366: 보강경사부자리 344,370: 플레이트보조슬라이더
345: 제1윈도우 346: 제2플레이트바디
348: 연장부 349: 컷오프부
350: 채널 352: 안내홈
353: 제2측면홀 372: 제2윈도우
374,394: 블럭경사부 376: 기구자리
378: 핀홀 380,404: 블럭슬라이더
381: 블럭보조지지부 382: 볼트체결부
384: 지지부 386: 지지턱
388: 조절부재홀 390: 근위연결관체
392: 말단벽 398: 말단연결관체
400: 보강경사부 402: 이동블럭나사부
406: 블럭보조슬라이더 408: 말단만곡면
410: 조절나사고정부 412: 조절나사지지부
414: 조절나사부 416: 공구홈
418: 핀자리 420: 커버플레이트바디
422: 날개부 424: 볼트자리
426: 고정링자리 428: 기구자리
430: 커버볼트헤드 432: 공구홈
434: 커버볼트나사부 435: 고정링지지부
3261: 제1수용홈 3262: 제2수용홈
3491: 제1홈벽 3492: 제2홈벽
3493: 제3홈벽 3511: 제1연장벽
3512: 제2연장벽 3513: 제3연장벽

Claims (25)

  1. 인접하는 추체에 맞닿는 제1엔드플레이트 및 제2엔드플레이트;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의 말단부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말단이동블럭;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의 근위부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근위이동블럭;
    회전에 의해 상기 근위이동블럭과 상기 말단이동블럭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말단이동블럭과 상기 근위이동블럭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 및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및 제2엔드플레이트에 배치돼서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엔드플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해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이동블럭 및 상기 근위이동블럭에는 블럭슬라이더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에는 상기 블럭슬라이더에 대해 미끄럼운동하는 플레이트슬라이더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말단이동블럭의 블럭슬라이더의 폭방향 거리는, 상기 조절부재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말단이동블럭의 블럭슬라이더의 폭방향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이동블럭의 주위에는 블럭보조슬라이더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 엔드플레이트에는 상기 보조블럭슬라이더에 미끄럼운동하는 플레이트보조슬라이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보조슬라이더는 상기 말단이동블럭의 폭방향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보조슬라이더는 상기 블럭슬라이더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일단에 상기 말단이동블럭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부를 가지고, 타단에 상기 근위이동블럭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지지자리를 가지며, 회전지지부재가 상기 근위이동블럭을 통해 상기 회전지지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부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가이드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가이드와 슬라이딩운동하는 제2수직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수직가이드는 2쌍이 배치되고,
    상기 수직가이드 중 1쌍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가이드 중 다른 1쌍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가이드는 상기 제1 또는 제2 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이고, 상기 제2수직가이드는 상기 기둥의 외면의 일부를 감싸는 채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에 폭방향으로 오목하게 배치되는 제1홈부와, 상기 홈부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홈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주위에는 상기 연장부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부는 근위부측에 배치되는 제1홈벽과 상기 제1홈벽에 이격되어 말단부측에 배치되는 제2홈벽과 상기 제1홈벽과 제2홈벽을 연결하는 제3홈벽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폭방향 두께는 상기 제1홈부의 폭방향 깊이와 동일하고,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 두께는 상기 제1홈벽과 상기 제2홈벽의 길이방향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어 근위부측에 배치되는 제1연장벽과,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어 말단부측에 배치되는 제2연장벽과,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벽과 상기 제2연장벽을 연결하는 제3연장벽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벽은 상기 제1홈벽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연장벽은 상기 제2홈벽과 평면을 이루며, 상기 제3연장벽은 상기 제3홈벽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부의 폭방향 깊이는 상기 제1홈부의 폭방향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부의 주위에는 상기 기둥의 삽입을 유도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벽과 상기 제2연장벽의 길이방향 두께의 합은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장벽의 폭방향 두께는 상기 기둥의 폭방향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엔드플레이트의 측부에는 관통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근위측 단부에는 센터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이동블럭에는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터홈을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관통하여 상기 근위이동블럭에 고정되는 커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에는 상기 센터홈을 가리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에 형성된 뼈스크류홀을 통해 삽입되는 뼈스크류; 및
    상기 뼈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근위 이동블럭에 체결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뼈스크류를 커버하는 잠금플레이트와, 상기 잠금플레이트에 관통하여 상기 근위이동블럭에 고정되는 잠금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이동블럭에는 상기 조절부재의 전단에 잠금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잠금볼트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상기 뼈스크류를 향해 돌출되는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볼트는 결합시 상기 조절부재와 접촉하여 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 케이지.
PCT/KR2021/004990 2020-05-25 2021-04-21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WO2021241890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11832.1A EP4159168A1 (en) 2020-05-25 2021-04-21 Height-adjustable spinal fusion cage
BR112022023936A BR112022023936A2 (pt) 2020-05-25 2021-04-21 Gaiola de fusão espinhal ajustável em altura
US17/927,592 US20230201003A1 (en) 2020-05-25 2021-04-21 Height-adjustable spinal fusion cage
JP2023515549A JP2023528544A (ja) 2020-05-25 2021-04-21 高さ調節が可能な脊椎癒合ケージ
AU2021278632A AU2021278632A1 (en) 2020-05-25 2021-04-21 Height-adjustable spinal fusion c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513 2020-05-25
KR1020200062513A KR102489197B1 (ko) 2020-05-25 2020-05-25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890A1 true WO2021241890A1 (ko) 2021-12-02

Family

ID=7874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4990 WO2021241890A1 (ko) 2020-05-25 2021-04-21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01003A1 (ko)
EP (1) EP4159168A1 (ko)
JP (1) JP2023528544A (ko)
KR (3) KR102489197B1 (ko)
AU (1) AU2021278632A1 (ko)
BR (1) BR112022023936A2 (ko)
WO (1) WO20212418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3130A1 (en) * 2020-12-16 2022-06-23 Amplify Surgical, Inc. Anchored intervertebral implants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276A (ko) * 2006-11-23 2008-05-28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팽창이 가능한 추간 임플란트
KR20140009453A (ko) * 2011-03-10 2014-01-22 신세스 게엠바하 송곳 스크류 고정 부재 및 관련 시스템
US20140277487A1 (en) 2013-03-15 2014-09-18 Dan Davenport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
US9585762B2 (en) 2014-10-09 2017-03-07 K2M, Inc. Expandable spinal interbody spacer and method of use
US20170224505A1 (en) * 2013-03-13 2017-08-10 Life Spine, Inc. Expandable spinal interbody assembly
US20170258605A1 (en) * 2013-12-05 2017-09-14 Spinal Elements, Inc. Expandable interbody device
US20190133782A1 (en) 2017-11-09 2019-05-09 Globus Medical, Inc.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
KR20200025453A (ko) * 2018-08-30 2020-03-10 (주)시지바이오 추간체 유합 보형재
KR102117224B1 (ko) * 2020-03-06 2020-06-01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KR102147077B1 (ko) * 2019-10-07 2020-08-24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1028A2 (en) 2009-04-15 2010-10-21 Synthes Usa, Llc Arcuate fixation member
US9962272B1 (en) * 2017-06-28 2018-05-08 Amendia, Inc. Intervertebral implant device with lordotic expansion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276A (ko) * 2006-11-23 2008-05-28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팽창이 가능한 추간 임플란트
KR20140009453A (ko) * 2011-03-10 2014-01-22 신세스 게엠바하 송곳 스크류 고정 부재 및 관련 시스템
US20170224505A1 (en) * 2013-03-13 2017-08-10 Life Spine, Inc. Expandable spinal interbody assembly
US20140277487A1 (en) 2013-03-15 2014-09-18 Dan Davenport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
US20170258605A1 (en) * 2013-12-05 2017-09-14 Spinal Elements, Inc. Expandable interbody device
US9585762B2 (en) 2014-10-09 2017-03-07 K2M, Inc. Expandable spinal interbody spacer and method of use
US20190133782A1 (en) 2017-11-09 2019-05-09 Globus Medical, Inc.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
KR20200025453A (ko) * 2018-08-30 2020-03-10 (주)시지바이오 추간체 유합 보형재
KR102147077B1 (ko) * 2019-10-07 2020-08-24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KR102117224B1 (ko) * 2020-03-06 2020-06-01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3130A1 (en) * 2020-12-16 2022-06-23 Amplify Surgical, Inc. Anchored intervertebral im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635A (ko) 2024-01-12
US20230201003A1 (en) 2023-06-29
JP2023528544A (ja) 2023-07-04
BR112022023936A2 (pt) 2023-01-31
KR20210145519A (ko) 2021-12-02
EP4159168A1 (en) 2023-04-05
AU2021278632A1 (en) 2023-02-02
KR20230009339A (ko) 2023-01-17
KR102489197B1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49711A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WO2021049712A1 (ko)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WO2021241890A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WO2021071150A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WO2020013584A1 (ko) 경골정렬장치 및 그 유닛
WO2017052173A2 (ko) 실시간 지압력 및 인체스캔 제어방법
WO2020171606A1 (ko) 신규한 헤테로트리시클릭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17171378A2 (ko) 경골절삭가이드 결합 어셈블리
WO2022045491A1 (ko) 전립선비대증 시술장치
WO2017010733A1 (ko)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WO2019009533A1 (ko) 프로파일 조립체
WO2018009022A1 (ko) 목 근력운동장치
WO2022139454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O2021177543A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WO2010150999A2 (ko)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WO2021194035A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WO2017010734A1 (ko) 최소 침습 수술용 케이지 장치
WO2016085228A1 (ko)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WO2023152562A1 (ko) 척추용 확장형 케이지
WO2017039155A1 (ko) 척추경 스크류의 고정용 로드 인서터 및 이것을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 장치
WO2022211350A1 (ko) 척추 견인 치료기
WO2021015410A1 (ko) 구강고정장치
WO2023027232A1 (ko) 척추간 삽입체 및 이를 이식하기 위한 의료기구
WO2018147681A1 (ko) 골대체 임플란트
WO2024053770A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118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1554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2023936

Country of ref document: BR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118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10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2023936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21124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278632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10421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