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10733A1 -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 Google Patents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10733A1
WO2017010733A1 PCT/KR2016/007339 KR2016007339W WO2017010733A1 WO 2017010733 A1 WO2017010733 A1 WO 2017010733A1 KR 2016007339 W KR2016007339 W KR 2016007339W WO 2017010733 A1 WO2017010733 A1 WO 20170107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ace
fusion
piec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73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드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드릭스
Publication of WO20170107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107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expandable cage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more particularly, a spac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that allows a sufficient support area to prevent stagnation between vertebrae and neighboring vertebrae in advance.
  • An extended cage device is provided.
  • nucleus of the nucleus is composed of water (water). As the body ages, the amount of water gradually decreases, and the disk loses its buffer function.
  • the prosthesis is to restore the vertebral function by restoring the original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vertebral bodies, the original height of the intervertebral disc.
  • the prior art is an intervertebral expansion cage inserted between the vertebral bodies to expand the space between the vertebral bodies, an upp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vertebral body located above the vertebral body, and a low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vertebral body located below the vertebral body.
  • a cage main body including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ends of the upper support part and the lower support part to each other; And a sliding member that slides between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to widen or narrow the gap between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 variable unit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block that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maintain the increased area, the insertion block has an autologous bone fragment or b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lacement artificial material is filled.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ain body,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space-increasing cage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and FIG. 3 (b) show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FIG. 3 (c) shows a top view of the main body, and FIG. 3 (d) shows a side view of the main body.
  •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spatially expanded cage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ateral lateral interbody fusion (OLIF) using a psoas anterior approach.
  • Fig. 11 (a) is a plan view showing the neighboring vertebrae from above, and
  • Fig. 11 (b) shows the main body, the variable unit and the insertion block inserted between the vertebrae and the neighboring vertebrae obliquely from the front of the abdome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pace expansion c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0,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pace expansion c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directions
  • Figure 3 (a) is the main body
  • 3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 FIG. 3 (c) is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100
  • FIG. Side views of the main body 100 are shown respectively.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variable unit 200 as shown.
  • the main body 100 is referred to as the vertebrae 410 (refer to FIGS. 10 (b) and 11 (b) below which the disk is removed) and the adjacent vertebrae 420 (see FIGS. 10 (b) and 11 (b)). ) Is to change the area occupied by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between, the cortical bone (not shown) portion of the vertebrae 410 and neighboring vertebrae 420, as well as the cortical bone (not shown) In order to support up to, it is provided to ensure sufficient support area.
  • variable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vertebrae 410 and the neighboring vertebrae 420 in a state stored in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ure 1 (a), then as shown in Figure 1 (b)
  • the insertion block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t is withdrawn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to increase the support area between the vertebrae 410 and the neighboring vertebrae 420 to secure a sufficient support area.
  • the main body 100 has at least one penetrating fusion space portion 110, 12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filling the bone fusion space (110, 120) with a bone fragment or bone replacement artificial material This will help to speed up bone fusion and bone regeneration.
  •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is maintained between the vertebrae 410 and the adjacent vertebrae 420 reliably and firmly fixed, and the main body according to bone fusion and bone regeneration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01p (see FIG. 3 (d) hereinafter) projecting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maintain the mutual fixation state with the 100.
  • the first inclined surface 101s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02s are technical means for easily inserting the main body 100 between the vertebrae 410 and the neighboring vertebrae 420 of the subject.
  •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first bone fusion space 110 penetrating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 the main body 100 includes first communication slots 130 penetrating through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bone fusion space 110.
  • the main body 100 includes an operating space 150 penetrating through the main body 100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ne fusion space 110 and the second bone fusion space 120.
  • the main body 100 penetrates through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to communicate with the working space 150 and the second bone fusion space 1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variable unit 200. Slot 140.
  • the main body 100 penetrates through the rea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is inserted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variable unit 200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to have an area. It includes an insertion slot 160 is inserted into which the insertion block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maintain the increased state.
  • variable unit 200 is mounted so as to be accessible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ing the insertion piece 210, the engaging piece 220 and the access piece 230 largely.
  • the insertion piece 210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slot 140.
  • the locking piece 220 extends from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end of the insertion piece 210 and is fixed to both edges of the working space 150 to be in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block 300. will be.
  • the access piece 230 extends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insertion piece 210 so as to be accommodated or withdrawn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 the front and rear end portions of the access piece 230 are accessible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slot 1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lot 140.
  • the access piece 230 is to maintain the state drawn out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 the entrance piece 230 extends from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entrance piece 230 and extends from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guide piece 231 insert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slot 130 and the entrance piece 230.
  • th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cond guide piece 232 inserted into the second communication slot 140.
  • a pair of insertion rods 500 and 500 to be described later has an end portion and insertion block 300 of second guide piece 232 as shown in FIGS. 5 and 6. It is coupled to the insertion piece 210 via both sides of the, the access piece 230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by applying a force in a direction to space the pair of insertion rods 500, 500 mutually.
  • both sides of the insertion block 300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0 is disposed between the vertebrae 410 and the adjacent vertebrae 420, a pair of insertion rods (Fig. 8 and 9) Guided along the 500, 500 is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air of insertion rods 500 and 500 are guided by the first guide groove 301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33, and ends of each of the pair of insertion rods 500 and 500 are inserted into the rods.
  • the main body 100 and the variable unit 200 are mounted between the grooves 211 between the vertebrae 410 and the adjacent vertebrae 420.
  •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variable unit 200 is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100, the variable unit 200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block 300 that protrudes to maintain a state of increasing the area.
  • the insertion block 300 forms a bone fusion communication space 311 penetrat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ne fusion space 120, the insertion body 310 is disposed in the second bone fusion space 120 And, it extends from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body 310 is disposed in the working space 150,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ing a space maintaining piece 320, a portion of the variable unit 200 in contact with both sides. .
  • the bone fusion communication space 311 is to be filled with autologous bone fragments or bone replacement artifici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help the bone fusion and bone regeneration is made quickly.
  • the third inclined surface 322 and the fourth inclined surface 323 allow the insertion block 300 including the gap maintaining piece 320 to be easily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slot 160 of the main body 100. It is a technical means.
  • the insertion block 300 further includes a third bone fusion space 321 penetrating the gap maintaining piece 320 and dispos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orking space 150, the third bone fusion space 321 ) Can be filled with autologous bone fragments or bone replacement artifacts, helping to speed up bone fusion and bone regeneration.
  • the insertion block 300 protrude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body 310 to engage with at least one fastening hole 170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00.
  • At least one fastening protrusion 330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fastening protrusion 330 may be referred to as a technical means provided so that the insertion block 300 may be firmly fastened and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 FIGS. 5 to 9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dure for performing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pace expanding c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5 to 9 refer to FIGS. 1 to 4.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inserting a pair of insertion rods 500 and 500 into a main body 100 which is a main part of a space expanding cage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able unit 200 is pulled out from the main body 100 by opening the pair of insertion rods 500 and 500 of FIG. 6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lock 300 is moved toward the main body 100 along a pair of insertion rods 500 and 500.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lock 3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 a pair of insertion rods 500 and 500 are prepared, and a front end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insertion rods 500 and 500 is stored in the main body 100. 2 Aim at the side of the second guide groove 233 formed at each end of the guide piece 232.
  • a pair of insertion rods 500 and 500 are coupled to the insertion piece 210 via both ends of the second guide piece 232 and the insertion block 300 as shown in FIG. 6, and the variable unit 200.
  • the stored main body 100 is pushed between the vertebrae 410 and the adjacent vertebrae 420.
  • the access piece 230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7 by applying a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eparating the pair of insertion rods 500 and 500 from each other.
  • both sides of the insertion block 300, the main body 100 is disposed between the vertebrae 410 and the adjacent vertebrae 420, a pair of insertion rods 500, as shown in FIG. Guided along the 500, the insertion block 300 is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 the operator may separate the pair of insertion rods 500 and 500 from the main body 100.
  • Such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pace expansion cage device in addition to ALIF, LLIF, TLIF, PLIF which is a widely known surgical method, DLIF (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lateral transverse spinal surgery) as shown in FIG.
  • DLIF 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lateral transverse spinal surgery
  • OLIF 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using the psoas anterior approach
  •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spatially expanded cage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
  • DLIF 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 FIG. 10 (a) is a plan view showing the vertebrae 410 and the neighboring vertebrae 420 when viewed from above
  • FIG. 10 (b) is the main body 100, the variable unit 200, and the insertion.
  • Block 30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ertion between the vertebrae 410 and the adjacent vertebrae 420 from the side.
  •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pace-expandable c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ateral 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OLIF) using a psoas anterior approach.
  • OLIF lateral 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 Figure 11 (a) is a plan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neighboring vertebrae from above
  • Figure 11 (b) is the main body 100
  • the variable unit 200 and the insertion block 300 is obliquely in front of the abdome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ertion between the vertebrae 410 and the adjacent vertebrae 420.
  • reference numeral 'r' denotes the back part of the subject, that is, the rear
  • 'f' denotes the abdomen part of the operator, that is, the front.
  •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block 300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0 accommodated in the variable unit 200 is inserted between the spine 410 and the adjacent vertebrae 420 from the side of the subject as shown in FIG.
  • the variable unit 200 may maintain the unfolded state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 the variable unit 200 may maintain the unfolded state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pace-expandable cag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stagnation between vertebrae and neighboring vertebrae by securing a sufficient support area. It can be se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척추뼈와 상기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된 상기 메인 바디가 차지하는 면적을 변경시키는 가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본 발명은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를 위한 기존의 개복 절개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크고 수술 시 발생하는 출혈량이 커서 수술 이후의 환자 회복이 더디고, 수술 후 커다란 흉터가 남게 되어 환자의 이후 생활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개복 절개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복강경 수술도구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의 새로운 수술 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최소 침습 수술은 수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 도구를 써서 환자의 신체 표면에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은 시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가 적고 시술 시 출혈량이 개복 수술에 비해 현저히 적으므로,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외부로 드러나는 흉터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그 시술 건수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존재하는 디스크는 관절의 기능을 하며 척추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크의 안쪽에 수용된 수핵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수핵의 대부분은 수분(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수분량이 줄어들어 디스크는 완충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섬유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허리통증이 발생하고, 여기서 더 진행되면 섬유가 심하게 늘어나거나 파열되면서 뒤쪽에 위치한 신경근을 눌러서 골반, 다리 등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척추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거나 척추 뼈가 내려앉으면서 척추변형이 일어나는 등 각종 부작용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디스크로 인해 수반되는 질병 치료의 한 방법으로, 손상된 척추 간 디스크를 제거한 후, 두 개의 인접한 척추 사이의 공간을 보형재, 소위 케이지(Cage)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즉, 보형재는 척추 간 디스크의 원래 높이인 두 개의 인접한 척추체 사이의 원래 거리가 회복되도록 하여 척추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형재를 척추 간에 삽입하는 수술방법으로, 배를 열고 척추 전방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ALIF(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옆구리 부위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LLIF(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의 중앙에서 측면으로 30~40mm 떨어진 지점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보형재를 삽입하는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PLIF(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등과 같은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352820호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척추체간에 삽입되어 상기 척추체간의 공간을 확장시키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로서, 상기 척추체간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척추체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와, 상기 척추체간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척추체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지본체;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참고로, 척추뼈를 포함한 모든 뼈는 일반적으로 치밀하고 단단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최외곽의 피질골과, 이러한 피질골의 내측에 듬성듬성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해면골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케이지는 피질골이 있는 부분까지 받침 지지를 해주지 못하여 시술후 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해면골 부분에 케이지가 파묻혀버리는 침체(subsidence)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침체 현상은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결국에는 재수술을 해야만 하는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최소한의 개구를 형성하여 최소 침습 수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피시술자의 고통과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척추뼈와 상기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된 상기 메인 바디가 차지하는 면적을 변경시키는 가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는, 상기 가변 유닛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 블록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측에 관통되는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연통하는 제1 연통 슬롯과, 상기 메인 바디에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에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작동 공간부 및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연통하며, 상기 가변 유닛이 결합되는 제2 연통 슬롯과,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측 끝면에 관통되며, 상기 가변 유닛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블록이 삽입되는 삽입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에는 상기 자가뼈 조각 또는 상기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블록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되는 골융합 연통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에 배치되는 삽입 본체와, 상기 삽입 본체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작동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변 유닛의 일부가 양측면에 접촉되는 간격 유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골융합 연통 공간부에는 상기 자가뼈 조각 또는 상기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블록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되는 골융합 연통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에 배치되는 삽입 본체와, 상기 삽입 본체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편을 포함하며, 상기 골융합 연통 공간부에는 상기 자가뼈 조각 또는 상기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 유닛은, 상기 제2 연통 슬롯을 통하여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내측 단부의 상, 하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작동 공간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삽입 블록의 전방측 단부의 양측면과 접촉되는 걸림편과,
상기 삽입편의 외측 단부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출입편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편의 전, 후방측 단부는 상기 제1 연통 슬롯 및 상기 제2 연통 슬롯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고, 상기 삽입 블록이 상기 메인 바디에 삽입되면, 상기 출입편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편은, 상기 출입편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연통 슬롯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편과, 상기 출입편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연통 슬롯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편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한 쌍의 삽입봉이 상기 제2 가이드편의 단부와 상기 삽입 블록의 양측면을 거쳐 상기 삽입편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봉은 상기 펼쳐진 출입편과 상기 메인 바디를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밀어넣으며, 상기 삽입 블록의 양측면은, 상기 메인 바디가 상기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삽입봉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메인 바디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는 메인 바디와, 이러한 메인 바디의 양측에 구비되어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지지 면적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 유닛을 포함한 구조로부터, 메인 바디와 가변 유닛이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케이지에 비하여 재수술이나 질환의 재발 가능성을 극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가변 유닛이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출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척추뼈의 해면골 부분은 물론 치밀하고 단단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최외곽의 피질골 부분까지 받침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침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바디에 삽입되어 가변 유닛이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 면적이 증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삽입 블록을 더 포함함으로써, 시술후 확실한 체결 및 고정 상태의 유지를 통하여 충분한 지지 면적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침체 현상 등과 같은 치명적인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바디와 전술한 삽입 블록에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복부의 전방 대각선 방향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OLIF(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요근 전방접근법을 이용한 측방 요추체간 유합술), 옆구리 부위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DLIF(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측방 경유 척추고정술)와 같은 수술 방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1(a)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가변 유닛이 메인 바디로부터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 1(b)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가변 유닛이 메인 바디로부터 작동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의 전체적인 구조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들로, 도 3(a)는 메인 바디의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3(b)는 메인 바디의 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3(c)는 메인 바디의 평면도를, 도 3(d)는 메인 바디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에 삽입되는 삽입 블록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로, 도 4(a)는 삽입 블록의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4(b)는 삽입 블록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시술하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에 한 쌍의 삽입봉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메인 바디에 한 쌍의 삽입봉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한 쌍의 삽입봉을 화살표 방향으로 벌려 가변 유닛을 메인 바디로부터 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한 쌍의 삽입봉을 따라 삽입 블록을 메인 바디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삽입 블록이 메인 바디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측방 경우 척추고정술(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로써 시술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로, 도 10(a)는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를 위에서 바라본 시점에서 나타낸 평면 개념도를, 도 10(b)는 메인 바디와 가변 유닛 및 삽입 블록이 옆구리로부터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요근 전방접근법을 이용한 측방 요추체간 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OLIF)로써 시술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로, 도 11(a)는 이웃한 척추뼈를 위에서 바라본 시점에서 나타낸 평면 개념도를, 도 11(b)는 메인 바디와 가변 유닛 및 삽입 블록이 복부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1(a)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로부터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 1(b)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로부터 작동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들로, 도 3(a)는 메인 바디(100)의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3(b)는 메인 바디(100)의 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3(c)는 메인 바디(100)의 평면도를, 도 3(d)는 메인 바디(100)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100)에 삽입되는 삽입 블록(3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로, 도 4(a)는 삽입 블록(300)의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4(b)는 삽입 블록(300)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0)와 가변 유닛(2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메인 바디(100)는 디스크가 제거된 척추뼈(410, 이하 도 10(b) 및 도 11(b) 참조)와 이웃한 척추뼈(420, 이하 도 10(b) 및 도 11(b) 참조) 사이에 삽입된 메인 바디(100)가 차지하는 면적을 변키는 것이며, 척추뼈(410) 및 이웃한 척추뼈(420) 각각의 해면골(이하 미도시) 부분은 물론, 피질골(이하 미도시) 부분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지 면적의 확보를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변 유닛(200)은 도 1(a)와 같이 메인 바디(100)에 수납된 상태로 척추뼈(410) 및 이웃한 척추뼈(420)에 삽입된 후, 도 1(b)와 같이 후술할 삽입 블록(300)이 삽입되면 메인 바디(100)의 양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척추뼈(410) 및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서 지지 면적을 증대시켜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데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바디(100)와 가변 유닛(200)이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의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케이지에 비하여 재수술이나 질환의 재발 가능성을 극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메인 바디(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된 골융합 공간부(110, 120)가 형성되며, 골융합 공간부(110, 120)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메인 바디(100)는,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서 메인 바디(100)가 확실하고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골융합 및 골재생에 따른 메인 바디(100)와의 상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메인 바디(100)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101p, 이하 도 3(d) 참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메인 바디(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경사면(101s)과, 메인 바디(10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메인 바디(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102s)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경사면(101s) 및 제2 경사면(102s)은 피시술자의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 메인 바디(10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인 것이다.
한편, 메인 바디(100)는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바디(100)의 전방측에 관통되는 제1 골융합 공간부(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제1 골융합 공간부(110)와 연통하는 제1 연통 슬롯(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에 관통되어 제1 골융합 공간부(11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골융합 공간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에 관통되어 제1 골융합 공간부(110)와 제2 골융합 공간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공간부(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작동 공간부(150) 및 제2 골융합 공간부(120)와 연통하며, 가변 유닛(200)이 결합되는 제2 연통 슬롯(140)을 포함한다.
또한,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의 후방측 끝면에 관통되며, 메인 바디(100)의 후방부로부터 삽입되어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후술할 삽입 블록(300)이 삽입되는 삽입 슬롯(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골융합 공간부(110)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가변 유닛(200)은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크게 삽입편(210)과 걸림편(220)과 출입편(2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삽입편(210)은 제2 연통 슬롯(140)을 통하여 삽입되는 것이다.
걸림편(220)은 삽입편(210)의 내측 단부의 상, 하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작동 공간부(150)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며, 삽입 블록(300)의 전방측 단부의 양측면과 접촉되는 것이다.
출입편(230)은 삽입편(210)의 외측 단부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출입편(230)의 전, 후방측 단부는 제1 연통 슬롯(130) 및 제2 연통 슬롯(140)으로부터 출입 가능하다.
이때, 삽입 블록(300)이 메인 바디(100)에 삽입되면, 출입편(230)은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출입편(230)은 출입편(23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연통 슬롯(130)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편(231)과, 출입편(23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연통 슬롯(140)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편(232)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언급하겠지만, 후술할 한 쌍의 삽입봉(500, 500, 이하 도 5 내지 도 9 참조)이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2 가이드편(232)의 단부와 삽입 블록(300)의 양측면을 거쳐 삽입편(210)에 결합되고,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상호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함으로써 출입편(23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삽입 블록(300)의 양측면은, 메인 바디(100)가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따라 안내되어 메인 바디(100)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삽입 블록(300)의 양측면을 따라 한 쌍의 삽입봉(500, 500) 각각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함몰된 제1 안내홈(301)과, 제2 가이드편(232)의 단부에 한 쌍의 삽입봉(500, 500) 각각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제2 안내홈(233)과, 삽입편(210)에 형성되는 봉 삽입홈(21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의 외주면은 제1 안내홈(301)과 제2 안내홈(233)에 안내되고, 한 쌍의 삽입봉(500, 500) 각각의 단부는 봉 삽입홈(211)에 결합되어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 메인 바디(100) 및 가변 유닛(200)을 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출입편(230)은 출입편(2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출입편(230)의 상,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리브(23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메인 바디(100)로부터 가변 유닛(200)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메인 바디(100)의 후방부로부터 삽입되어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블록(3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삽입 블록(300)은 제2 골융합 공간부(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되는 골융합 연통 공간부(311)를 형성하며, 제2 골융합 공간부(120)에 배치되는 삽입 본체(310)와, 삽입 본체(31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작동 공간부(150)에 배치되며, 가변 유닛(200)의 일부가 양측면에 접촉되는 간격 유지편(3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골융합 연통 공간부(311)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간격 유지편(320)은 간격 유지편(32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간격 유지편(3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경사면(322)과, 간격 유지편(32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간격 유지편(32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4 경사면(323)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제3 경사면(322) 및 제4 경사면(323)은 메인 바디(100)의 삽입 슬롯(160)을 통하여 간격 유지편(320)을 포함한 삽입 블록(30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인 것이다.
한편, 삽입 블록(300)은 간격 유지편(320)에 관통되어 작동 공간부(15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 골융합 공간부(321)를 더 포함하며, 제3 골융합 공간부(321)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 블록(300)은 삽입 본체(310)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되어 메인 바디(100)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170)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편(3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체결 돌편(330)은 삽입 블록(300)이 메인 바디(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과정에 관하여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시술하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9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우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100)에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메인 바디(100)에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화살표 방향으로 벌려 가변 유닛(200)을 메인 바디(100)로부터 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따라 삽입 블록(300)을 메인 바디(100)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삽입 블록(300)이 메인 바디(10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도 5와 같이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준비하고 한 쌍의 삽입봉(500, 500) 각각의 전방측 단부를 메인 바디(100)에 수납된 가변 유닛(200)의 제2 가이드편(232)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제2 안내홈(233)측에 조준한다.
이후,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이 도 6과 같이 제2 가이드편(232)의 단부와 삽입 블록(300)의 양측면을 거쳐 삽입편(210)에 결합되고, 가변 유닛(200)이 수납된 메인 바디(100)를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 밀어넣게 된다.
계속하여,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상호 이격시키는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작용함으로써 도 7과 같이 출입편(23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다음으로, 삽입 블록(300)의 양측면은, 메인 바디(100)가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따라 안내되고, 삽입 블록(300)은 도 9와 같이 메인 바디(100)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후, 시술자는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메인 바디(100)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는 이미 널리 알려진 수술 방법인 ALIF, LLIF, TLIF, PLIF 외에도, 도 10과 같은 DLIF(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측방 경유 척추고정술)은 물론, 도 11과 같은 OLIF(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요근 전방접근법을 이용한 측방 요추체간 유합술)과 같은 수술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측방 경우 척추고정술(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로써 시술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10(a)는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를 위에서 바라본 시점에서 나타낸 평면 개념도를, 도 10(b)는 메인 바디(100)와 가변 유닛(200) 및 삽입 블록(300)이 옆구리로부터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요근 전방접근법을 이용한 측방 요추체간 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OLIF)로써 시술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11(a)는 이웃한 척추뼈를 위에서 바라본 시점에서 나타낸 평면 개념도를, 도 11(b)는 메인 바디(100)와 가변 유닛(200) 및 삽입 블록(300)이 복부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0 및 도 11에서 도면 부호 'r'은 피시술자의 등 부분, 즉 후방을 나타내며, 'f'는 피시술자의 배 부분, 즉 전방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가변 유닛(200)이 수납된 메인 바디(100)를 피시술자의 옆구리로부터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삽입 블록(300)을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가변 유닛(200)이 수납된 메인 바디(100)를 피시술자의 복부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삽입 블록(300)을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메인 바디
101p...돌기
101s...제1 경사면
102s...제2 경사면
110...제1 골융합 공간부
120...제2 골융합 공간부
130...제1 연통 슬롯
140...제2 연통 슬롯
150...작동 공간부
160...삽입 슬롯
170...체결홀
200...가변 유닛
210...삽입편
211...봉 삽입홈
220...걸림편
230...출입편
231...제1 가이드편
232...제2 가이드편
233...제2 안내홈
234...걸림 리브
300...삽입 블록
301...제1 안내홈
310...삽입 본체
311...골융합 연통 공간부
320...간격 유지편
321...제3 골융합 공간부
322...제3 경사면
323...제4 경사면
330...체결 돌편
340...도구 체결홀
410...척추뼈
420...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
500, 500...삽입봉

Claims (7)

  1.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척추뼈와 상기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된 상기 메인 바디가 차지하는 면적을 변경시키는 가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는,
    상기 가변 유닛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 블록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측에 관통되는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연통하는 제1 연통 슬롯과,
    상기 메인 바디에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에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작동 공간부 및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연통하며, 상기 가변 유닛이 결합되는 제2 연통 슬롯과,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측 끝면에 관통되며, 상기 가변 유닛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블록이 삽입되는 삽입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에는 상기 자가뼈 조각 또는 상기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 블록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되는 골융합 연통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에 배치되는 삽입 본체와,
    상기 삽입 본체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작동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변 유닛의 일부가 양측면에 접촉되는 간격 유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골융합 연통 공간부에는 상기 자가뼈 조각 또는 상기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 블록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되는 골융합 연통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에 배치되는 삽입 본체와,
    상기 삽입 본체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편을 포함하며,
    상기 골융합 연통 공간부에는 상기 자가뼈 조각 또는 상기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유닛은,
    상기 제2 연통 슬롯을 통하여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내측 단부의 상, 하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작동 공간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삽입 블록의 전방측 단부의 양측면과 접촉되는 걸림편과,
    상기 삽입편의 외측 단부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출입편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편의 전, 후방측 단부는 상기 제1 연통 슬롯 및 상기 제2 연통 슬롯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고,
    상기 삽입 블록이 상기 메인 바디에 삽입되면, 상기 출입편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출입편은,
    상기 출입편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연통 슬롯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편과,
    상기 출입편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연통 슬롯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편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한 쌍의 삽입봉이 상기 제2 가이드편의 단부와 상기 삽입 블록의 양측면을 거쳐 상기 삽입편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봉은 상기 펼쳐진 출입편과 상기 메인 바디를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밀어넣으며,
    상기 삽입 블록의 양측면은, 상기 메인 바디가 상기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삽입봉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메인 바디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PCT/KR2016/007339 2015-07-10 2016-07-06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WO201701073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092A KR101674490B1 (ko) 2015-07-10 2015-07-10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KR10-2015-0098092 2015-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0733A1 true WO2017010733A1 (ko) 2017-01-19

Family

ID=5752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7339 WO2017010733A1 (ko) 2015-07-10 2016-07-06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4490B1 (ko)
WO (1) WO2017010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730B1 (ko) * 2017-04-27 2017-11-21 정병오 경추 유합술용 케이지
KR102097624B1 (ko) 2018-07-25 2020-04-06 주식회사 메드릭스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20200031826A (ko)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메드릭스 하나씩 차례로 삽입 후 공간을 확장하는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179189B1 (ko) * 2018-11-21 2020-1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확장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KR20230111414A (ko) * 2022-01-18 2023-07-25 (주)스파인닥터스 척추간 삽입체
KR102511113B1 (ko) 2022-04-08 2023-03-15 김현성 양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511114B1 (ko) 2022-04-08 2023-03-15 김현성 단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1130A1 (en) * 2002-11-01 2004-05-21 Sdgi Holdings, Inc. Laterally expandable cage
US7951199B2 (en) * 2005-06-15 2011-05-31 Miller Jimmy D Lateral expandable interbody fusion cage
US8043376B2 (en) * 2002-06-14 2011-10-25 Us Spine, Inc. Percutaneous posterior lateral in-situ cage
US20110301712A1 (en) * 2010-06-02 2011-12-08 Warsaw Orthopedic, Inc. System and methods for a laterally expanding implant
US20140194992A1 (en) * 2013-01-04 2014-07-10 Medevice Ip Holdings, Llc Expandable interbody (lateral, posterior, anterior) multi-access cage for spinal surgery
US20140277473A1 (en) * 2013-03-15 2014-09-18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an expandable intervertebr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820B1 (ko) 2012-01-11 2014-01-17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US9060876B1 (en) * 2015-01-20 2015-06-23 Ouroboros Medical, Inc. Stabilized intervertebral scaffolding system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3376B2 (en) * 2002-06-14 2011-10-25 Us Spine, Inc. Percutaneous posterior lateral in-situ cage
WO2004041130A1 (en) * 2002-11-01 2004-05-21 Sdgi Holdings, Inc. Laterally expandable cage
US7951199B2 (en) * 2005-06-15 2011-05-31 Miller Jimmy D Lateral expandable interbody fusion cage
US20110301712A1 (en) * 2010-06-02 2011-12-08 Warsaw Orthopedic, Inc. System and methods for a laterally expanding implant
US20140194992A1 (en) * 2013-01-04 2014-07-10 Medevice Ip Holdings, Llc Expandable interbody (lateral, posterior, anterior) multi-access cage for spinal surgery
US20140277473A1 (en) * 2013-03-15 2014-09-18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an expandable intervertebr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490B1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10733A1 (ko)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US107799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an expandable intervertebral device
US8491657B2 (en) Expanding cage for vertebral surgery
JP6463677B2 (ja) 拡張可能椎間ケージ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KR101190761B1 (ko) 추간 해부학적 구조를 수복 및 유지하는 시스템 및 기술
US8506635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 laterally expanding implant
JP4080004B2 (ja) 伸縮自在でねじ溝の切られていない脊椎固定装置
WO2021071150A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EP19371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usion cage implantation
JP2006504501A (ja) 人工椎間板を植え込む際に使用するための器具類、方法、および機能
WO2021066524A2 (ko) 추간체 유합 보형재
US11918481B2 (en) Expandable device
KR20200060906A (ko) 네 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WO2018016682A1 (ko) 외과 수술용 확장형 케이지
WO2015141940A1 (ko) 최소 침습 추간체 고정 보형재 삽입장치
WO2021177543A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WO2017010734A1 (ko) 최소 침습 수술용 케이지 장치
WO2016144115A1 (ko) 직경이 가변되는 최소 침습 시술용 프로텍터 어셈블리
WO2021100953A1 (ko) 확장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WO2021194035A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WO2023140414A1 (ko) 척추간 삽입체
WO2020106087A1 (ko) 수평 확장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KR20200031826A (ko) 하나씩 차례로 삽입 후 공간을 확장하는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WO2023195609A1 (ko) 양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WO2023195610A1 (ko) 단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246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246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