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490B1 -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 Google Patents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490B1
KR101674490B1 KR1020150098092A KR20150098092A KR101674490B1 KR 101674490 B1 KR101674490 B1 KR 101674490B1 KR 1020150098092 A KR1020150098092 A KR 1020150098092A KR 20150098092 A KR20150098092 A KR 20150098092A KR 101674490 B1 KR101674490 B1 KR 101674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ace
fusion
sides
vertebr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드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to KR102015009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490B1/ko
Priority to PCT/KR2016/007339 priority patent/WO201701073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척추뼈와 상기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된 상기 메인 바디가 차지하는 면적을 변경시키는 가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SPACE EXTENSION TYPE CAGE APPARATUS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본 발명은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를 위한 기존의 개복 절개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크고 수술 시 발생하는 출혈량이 커서 수술 이후의 환자 회복이 더디고, 수술 후 커다란 흉터가 남게 되어 환자의 이후 생활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개복 절개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복강경 수술도구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의 새로운 수술 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최소 침습 수술은 수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 도구를 써서 환자의 신체 표면에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은 시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가 적고 시술 시 출혈량이 개복 수술에 비해 현저히 적으므로,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외부로 드러나는 흉터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그 시술 건수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존재하는 디스크는 관절의 기능을 하며 척추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크의 안쪽에 수용된 수핵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수핵의 대부분은 수분(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수분량이 줄어들어 디스크는 완충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섬유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허리통증이 발생하고, 여기서 더 진행되면 섬유가 심하게 늘어나거나 파열되면서 뒤쪽에 위치한 신경근을 눌러서 골반, 다리 등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척추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거나 척추 뼈가 내려앉으면서 척추변형이 일어나는 등 각종 부작용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디스크로 인해 수반되는 질병 치료의 한 방법으로, 손상된 척추 간 디스크를 제거한 후, 두 개의 인접한 척추 사이의 공간을 보형재, 소위 케이지(Cage)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즉, 보형재는 척추 간 디스크의 원래 높이인 두 개의 인접한 척추체 사이의 원래 거리가 회복되도록 하여 척추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형재를 척추 간에 삽입하는 수술방법으로, 배를 열고 척추 전방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ALIF(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옆구리 부위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LLIF(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의 중앙에서 측면으로 30~40mm 떨어진 지점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보형재를 삽입하는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PLIF(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등과 같은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352820호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척추체간에 삽입되어 상기 척추체간의 공간을 확장시키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로서, 상기 척추체간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척추체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와, 상기 척추체간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척추체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지본체;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참고로, 척추뼈를 포함한 모든 뼈는 일반적으로 치밀하고 단단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최외곽의 피질골과, 이러한 피질골의 내측에 듬성듬성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해면골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케이지는 피질골이 있는 부분까지 받침 지지를 해주지 못하여 시술후 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해면골 부분에 케이지가 파묻혀버리는 침체(subsidence)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침체 현상은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결국에는 재수술을 해야만 하는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352820호(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최소한의 개구를 형성하여 최소 침습 수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피시술자의 고통과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척추뼈와 상기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된 상기 메인 바디가 차지하는 면적을 변경시키는 가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는, 상기 가변 유닛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 블록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측에 관통되는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연통하는 제1 연통 슬롯과, 상기 메인 바디에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에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작동 공간부 및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연통하며, 상기 가변 유닛이 결합되는 제2 연통 슬롯과,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측 끝면에 관통되며, 상기 가변 유닛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블록이 삽입되는 삽입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에는 상기 자가뼈 조각 또는 상기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블록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되는 골융합 연통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에 배치되는 삽입 본체와, 상기 삽입 본체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작동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변 유닛의 일부가 양측면에 접촉되는 간격 유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골융합 연통 공간부에는 상기 자가뼈 조각 또는 상기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블록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되는 골융합 연통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에 배치되는 삽입 본체와, 상기 삽입 본체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편을 포함하며, 상기 골융합 연통 공간부에는 상기 자가뼈 조각 또는 상기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 유닛은, 상기 제2 연통 슬롯을 통하여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내측 단부의 상, 하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작동 공간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삽입 블록의 전방측 단부의 양측면과 접촉되는 걸림편과,
상기 삽입편의 외측 단부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출입편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편의 전, 후방측 단부는 상기 제1 연통 슬롯 및 상기 제2 연통 슬롯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고, 상기 삽입 블록이 상기 메인 바디에 삽입되면, 상기 출입편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편은, 상기 출입편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연통 슬롯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편과, 상기 출입편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연통 슬롯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편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한 쌍의 삽입봉이 상기 제2 가이드편의 단부와 상기 삽입 블록의 양측면을 거쳐 상기 삽입편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봉은 상기 펼쳐진 출입편과 상기 메인 바디를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밀어넣으며, 상기 삽입 블록의 양측면은, 상기 메인 바디가 상기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삽입봉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메인 바디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는 메인 바디와, 이러한 메인 바디의 양측에 구비되어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지지 면적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 유닛을 포함한 구조로부터, 메인 바디와 가변 유닛이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케이지에 비하여 재수술이나 질환의 재발 가능성을 극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가변 유닛이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출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척추뼈의 해면골 부분은 물론 치밀하고 단단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최외곽의 피질골 부분까지 받침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침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바디에 삽입되어 가변 유닛이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 면적이 증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삽입 블록을 더 포함함으로써, 시술후 확실한 체결 및 고정 상태의 유지를 통하여 충분한 지지 면적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침체 현상 등과 같은 치명적인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바디와 전술한 삽입 블록에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복부의 전방 대각선 방향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OLIF(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요근 전방접근법을 이용한 측방 요추체간 유합술), 옆구리 부위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DLIF(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측방 경유 척추고정술)와 같은 수술 방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1(a)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가변 유닛이 메인 바디로부터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 1(b)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가변 유닛이 메인 바디로부터 작동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의 전체적인 구조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들로, 도 3(a)는 메인 바디의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3(b)는 메인 바디의 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3(c)는 메인 바디의 평면도를, 도 3(d)는 메인 바디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에 삽입되는 삽입 블록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로, 도 4(a)는 삽입 블록의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4(b)는 삽입 블록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시술하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에 한 쌍의 삽입봉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메인 바디에 한 쌍의 삽입봉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한 쌍의 삽입봉을 화살표 방향으로 벌려 가변 유닛을 메인 바디로부터 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한 쌍의 삽입봉을 따라 삽입 블록을 메인 바디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삽입 블록이 메인 바디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측방 경우 척추고정술(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로써 시술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로, 도 10(a)는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를 위에서 바라본 시점에서 나타낸 평면 개념도를, 도 10(b)는 메인 바디와 가변 유닛 및 삽입 블록이 옆구리로부터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요근 전방접근법을 이용한 측방 요추체간 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OLIF)로써 시술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로, 도 11(a)는 이웃한 척추뼈를 위에서 바라본 시점에서 나타낸 평면 개념도를, 도 11(b)는 메인 바디와 가변 유닛 및 삽입 블록이 복부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1(a)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로부터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 1(b)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로부터 작동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들로, 도 3(a)는 메인 바디(100)의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3(b)는 메인 바디(100)의 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3(c)는 메인 바디(100)의 평면도를, 도 3(d)는 메인 바디(100)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100)에 삽입되는 삽입 블록(3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로, 도 4(a)는 삽입 블록(300)의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 4(b)는 삽입 블록(300)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0)와 가변 유닛(2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메인 바디(100)는 디스크가 제거된 척추뼈(410, 이하 도 10(b) 및 도 11(b) 참조)와 이웃한 척추뼈(420, 이하 도 10(b) 및 도 11(b) 참조) 사이에 삽입된 메인 바디(100)가 차지하는 면적을 변키는 것이며, 척추뼈(410) 및 이웃한 척추뼈(420) 각각의 해면골(이하 미도시) 부분은 물론, 피질골(이하 미도시) 부분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지 면적의 확보를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변 유닛(200)은 도 1(a)와 같이 메인 바디(100)에 수납된 상태로 척추뼈(410) 및 이웃한 척추뼈(420)에 삽입된 후, 도 1(b)와 같이 후술할 삽입 블록(300)이 삽입되면 메인 바디(100)의 양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척추뼈(410) 및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서 지지 면적을 증대시켜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데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바디(100)와 가변 유닛(200)이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의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케이지에 비하여 재수술이나 질환의 재발 가능성을 극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메인 바디(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된 골융합 공간부(110, 120)가 형성되며, 골융합 공간부(110, 120)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메인 바디(100)는,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서 메인 바디(100)가 확실하고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골융합 및 골재생에 따른 메인 바디(100)와의 상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메인 바디(100)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101p, 이하 도 3(d) 참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메인 바디(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경사면(101s)과, 메인 바디(10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메인 바디(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102s)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경사면(101s) 및 제2 경사면(102s)은 피시술자의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 메인 바디(10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인 것이다.
한편, 메인 바디(100)는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바디(100)의 전방측에 관통되는 제1 골융합 공간부(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제1 골융합 공간부(110)와 연통하는 제1 연통 슬롯(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에 관통되어 제1 골융합 공간부(11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골융합 공간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에 관통되어 제1 골융합 공간부(110)와 제2 골융합 공간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공간부(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작동 공간부(150) 및 제2 골융합 공간부(120)와 연통하며, 가변 유닛(200)이 결합되는 제2 연통 슬롯(140)을 포함한다.
또한,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의 후방측 끝면에 관통되며, 메인 바디(100)의 후방부로부터 삽입되어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후술할 삽입 블록(300)이 삽입되는 삽입 슬롯(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골융합 공간부(110)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가변 유닛(200)은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크게 삽입편(210)과 걸림편(220)과 출입편(2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삽입편(210)은 제2 연통 슬롯(140)을 통하여 삽입되는 것이다.
걸림편(220)은 삽입편(210)의 내측 단부의 상, 하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작동 공간부(150)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며, 삽입 블록(300)의 전방측 단부의 양측면과 접촉되는 것이다.
출입편(230)은 삽입편(210)의 외측 단부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출입편(230)의 전, 후방측 단부는 제1 연통 슬롯(130) 및 제2 연통 슬롯(140)으로부터 출입 가능하다.
이때, 삽입 블록(300)이 메인 바디(100)에 삽입되면, 출입편(230)은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출입편(230)은 출입편(23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연통 슬롯(130)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편(231)과, 출입편(23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연통 슬롯(140)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편(232)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언급하겠지만, 후술할 한 쌍의 삽입봉(500, 500, 이하 도 5 내지 도 9 참조)이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2 가이드편(232)의 단부와 삽입 블록(300)의 양측면을 거쳐 삽입편(210)에 결합되고,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상호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함으로써 출입편(23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삽입 블록(300)의 양측면은, 메인 바디(100)가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따라 안내되어 메인 바디(100)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삽입 블록(300)의 양측면을 따라 한 쌍의 삽입봉(500, 500) 각각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함몰된 제1 안내홈(301)과, 제2 가이드편(232)의 단부에 한 쌍의 삽입봉(500, 500) 각각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제2 안내홈(233)과, 삽입편(210)에 형성되는 봉 삽입홈(21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의 외주면은 제1 안내홈(301)과 제2 안내홈(233)에 안내되고, 한 쌍의 삽입봉(500, 500) 각각의 단부는 봉 삽입홈(211)에 결합되어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 메인 바디(100) 및 가변 유닛(200)을 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출입편(230)은 출입편(2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출입편(230)의 상,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리브(23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메인 바디(100)로부터 가변 유닛(200)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메인 바디(100)의 후방부로부터 삽입되어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블록(3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삽입 블록(300)은 제2 골융합 공간부(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되는 골융합 연통 공간부(311)를 형성하며, 제2 골융합 공간부(120)에 배치되는 삽입 본체(310)와, 삽입 본체(31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작동 공간부(150)에 배치되며, 가변 유닛(200)의 일부가 양측면에 접촉되는 간격 유지편(3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골융합 연통 공간부(311)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간격 유지편(320)은 간격 유지편(32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간격 유지편(3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경사면(322)과, 간격 유지편(32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간격 유지편(32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4 경사면(323)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제3 경사면(322) 및 제4 경사면(323)은 메인 바디(100)의 삽입 슬롯(160)을 통하여 간격 유지편(320)을 포함한 삽입 블록(30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인 것이다.
한편, 삽입 블록(300)은 간격 유지편(320)에 관통되어 작동 공간부(15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 골융합 공간부(321)를 더 포함하며, 제3 골융합 공간부(321)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 블록(300)은 삽입 본체(310)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되어 메인 바디(100)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170)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편(3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체결 돌편(330)은 삽입 블록(300)이 메인 바디(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과정에 관하여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시술하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9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우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의 주요부인 메인 바디(100)에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메인 바디(100)에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화살표 방향으로 벌려 가변 유닛(200)을 메인 바디(100)로부터 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따라 삽입 블록(300)을 메인 바디(100)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삽입 블록(300)이 메인 바디(10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도 5와 같이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준비하고 한 쌍의 삽입봉(500, 500) 각각의 전방측 단부를 메인 바디(100)에 수납된 가변 유닛(200)의 제2 가이드편(232)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제2 안내홈(233)측에 조준한다.
이후,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이 도 6과 같이 제2 가이드편(232)의 단부와 삽입 블록(300)의 양측면을 거쳐 삽입편(210)에 결합되고, 가변 유닛(200)이 수납된 메인 바디(100)를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 밀어넣게 된다.
계속하여,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상호 이격시키는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작용함으로써 도 7과 같이 출입편(23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다음으로, 삽입 블록(300)의 양측면은, 메인 바디(100)가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따라 안내되고, 삽입 블록(300)은 도 9와 같이 메인 바디(100)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후, 시술자는 한 쌍의 삽입봉(500, 500)을 메인 바디(100)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는 이미 널리 알려진 수술 방법인 ALIF, LLIF, TLIF, PLIF 외에도, 도 10과 같은 DLIF(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측방 경유 척추고정술)은 물론, 도 11과 같은 OLIF(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요근 전방접근법을 이용한 측방 요추체간 유합술)과 같은 수술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측방 경우 척추고정술(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로써 시술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10(a)는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를 위에서 바라본 시점에서 나타낸 평면 개념도를, 도 10(b)는 메인 바디(100)와 가변 유닛(200) 및 삽입 블록(300)이 옆구리로부터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요근 전방접근법을 이용한 측방 요추체간 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OLIF)로써 시술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11(a)는 이웃한 척추뼈를 위에서 바라본 시점에서 나타낸 평면 개념도를, 도 11(b)는 메인 바디(100)와 가변 유닛(200) 및 삽입 블록(300)이 복부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0 및 도 11에서 도면 부호 'r'은 피시술자의 등 부분, 즉 후방을 나타내며, 'f'는 피시술자의 배 부분, 즉 전방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가변 유닛(200)이 수납된 메인 바디(100)를 피시술자의 옆구리로부터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삽입 블록(300)을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가변 유닛(200)이 수납된 메인 바디(100)를 피시술자의 복부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420) 사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삽입 블록(300)을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가변 유닛(200)이 메인 바디(100)의 양측면으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침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메인 바디
101p...돌기
101s...제1 경사면
102s...제2 경사면
110...제1 골융합 공간부
120...제2 골융합 공간부
130...제1 연통 슬롯
140...제2 연통 슬롯
150...작동 공간부
160...삽입 슬롯
170...체결홀
200...가변 유닛
210...삽입편
211...봉 삽입홈
220...걸림편
230...출입편
231...제1 가이드편
232...제2 가이드편
233...제2 안내홈
234...걸림 리브
300...삽입 블록
301...제1 안내홈
310...삽입 본체
311...골융합 연통 공간부
320...간격 유지편
321...제3 골융합 공간부
322...제3 경사면
323...제4 경사면
330...체결 돌편
340...도구 체결홀
410...척추뼈
420...척추뼈(410)와 이웃한 척추뼈
500, 500...삽입봉

Claims (7)

  1.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척추뼈와 상기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된 상기 메인 바디가 차지하는 면적을 변경시키는 가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측에 관통되는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연통하는 제1 연통 슬롯과,
    상기 메인 바디에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에 관통되어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공간부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작동 공간부 및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연통하며, 상기 가변 유닛이 결합되는 제2 연통 슬롯과,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측 끝면에 관통되며, 상기 가변 유닛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블록이 삽입되는 삽입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골융합 공간부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는,
    상기 가변 유닛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 블록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 블록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되는 골융합 연통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에 배치되는 삽입 본체와,
    상기 삽입 본체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작동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변 유닛의 일부가 양측면에 접촉되는 간격 유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골융합 연통 공간부에는 상기 자가뼈 조각 또는 상기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 블록은,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되는 골융합 연통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골융합 공간부에 배치되는 삽입 본체와,
    상기 삽입 본체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측 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편을 포함하며,
    상기 골융합 연통 공간부에는 상기 자가뼈 조각 또는 상기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유닛은,
    상기 제2 연통 슬롯을 통하여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내측 단부의 상, 하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작동 공간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삽입 블록의 전방측 단부의 양측면과 접촉되는 걸림편과,
    상기 삽입편의 외측 단부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출입편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편의 전, 후방측 단부는 상기 제1 연통 슬롯 및 상기 제2 연통 슬롯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고,
    상기 삽입 블록이 상기 메인 바디에 삽입되면, 상기 출입편은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출입편은,
    상기 출입편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연통 슬롯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편과,
    상기 출입편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연통 슬롯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KR1020150098092A 2015-07-10 2015-07-10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KR101674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092A KR101674490B1 (ko) 2015-07-10 2015-07-10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PCT/KR2016/007339 WO2017010733A1 (ko) 2015-07-10 2016-07-06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092A KR101674490B1 (ko) 2015-07-10 2015-07-10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490B1 true KR101674490B1 (ko) 2016-11-09

Family

ID=5752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092A KR101674490B1 (ko) 2015-07-10 2015-07-10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4490B1 (ko)
WO (1) WO2017010733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730B1 (ko) * 2017-04-27 2017-11-21 정병오 경추 유합술용 케이지
KR20200011636A (ko)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메드릭스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20200031826A (ko)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메드릭스 하나씩 차례로 삽입 후 공간을 확장하는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WO2020106087A1 (ko) * 2018-11-21 2020-05-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확장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KR102511113B1 (ko) 2022-04-08 2023-03-15 김현성 양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511114B1 (ko) 2022-04-08 2023-03-15 김현성 단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WO2023140414A1 (ko) * 2022-01-18 2023-07-27 (주)스파인닥터스 척추간 삽입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8745B2 (ja) * 2002-11-01 2009-11-04 ウォーソー・オーソペディ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脊椎移植片
US7951199B2 (en) * 2005-06-15 2011-05-31 Miller Jimmy D Lateral expandable interbody fusion cage
KR101352820B1 (ko) 2012-01-11 2014-01-17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US20140277473A1 (en) * 2013-03-15 2014-09-18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an expandable intervertebral device
US9060876B1 (en) * 2015-01-20 2015-06-23 Ouroboros Medical, Inc. Stabilized intervertebral scaffold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3376B2 (en) * 2002-06-14 2011-10-25 Us Spine, Inc. Percutaneous posterior lateral in-situ cage
US8506635B2 (en) * 2010-06-02 2013-08-13 Warsaw Orthopedic, Inc. System and methods for a laterally expanding implant
US20140194992A1 (en) * 2013-01-04 2014-07-10 Medevice Ip Holdings, Llc Expandable interbody (lateral, posterior, anterior) multi-access cage for spinal surge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8745B2 (ja) * 2002-11-01 2009-11-04 ウォーソー・オーソペディ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脊椎移植片
US7951199B2 (en) * 2005-06-15 2011-05-31 Miller Jimmy D Lateral expandable interbody fusion cage
KR101352820B1 (ko) 2012-01-11 2014-01-17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US20140277473A1 (en) * 2013-03-15 2014-09-18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an expandable intervertebral device
US9060876B1 (en) * 2015-01-20 2015-06-23 Ouroboros Medical, Inc. Stabilized intervertebral scaffolding system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730B1 (ko) * 2017-04-27 2017-11-21 정병오 경추 유합술용 케이지
KR20200011636A (ko)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메드릭스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20200031826A (ko)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메드릭스 하나씩 차례로 삽입 후 공간을 확장하는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WO2020106087A1 (ko) * 2018-11-21 2020-05-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확장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KR20200059524A (ko) * 2018-11-21 2020-05-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확장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KR102179189B1 (ko) 2018-11-21 2020-1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확장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WO2023140414A1 (ko) * 2022-01-18 2023-07-27 (주)스파인닥터스 척추간 삽입체
KR102511113B1 (ko) 2022-04-08 2023-03-15 김현성 양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511114B1 (ko) 2022-04-08 2023-03-15 김현성 단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0733A1 (ko)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490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US107799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an expandable intervertebral device
US8926701B2 (en) Allograft intervertebral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290985B1 (en) Intersomatic cage for posterior fusion surgery to the lumbar column
US1026519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anting an interbody device
US6258125B1 (en) Intervertebral allograft spacer
USRE38614E1 (en) Intervertebral allograft spacer
US9180017B2 (en) Lumbar implant
US20010049560A1 (en) Intervertebral allograft spacer
US20020065558A1 (en) Method of implanting an intervertebral spacer
US20130178940A1 (en) Expandable cage spinal implant
US20120296433A1 (en) Spine surgery device
JP7326311B2 (ja) 展開可能なアンカーを有する椎間ケージ
KR102097624B1 (ko)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1632908B1 (ko) 추체간 유합술용 케이지 어셈블리
KR101674491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케이지 장치
KR20200031826A (ko) 하나씩 차례로 삽입 후 공간을 확장하는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511114B1 (ko) 단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511113B1 (ko) 양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20200059524A (ko) 수평 확장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KR102379915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케이지
KR101105080B1 (ko) 더블 엑스형 추간 케이지 및 이의 사용방법
CN217886300U (zh) 可撑开型腰椎融合器
KR102634172B1 (ko) 높이 확장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KR20230046664A (ko) 각도 확장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