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624B1 -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624B1
KR102097624B1 KR1020180086294A KR20180086294A KR102097624B1 KR 102097624 B1 KR102097624 B1 KR 102097624B1 KR 1020180086294 A KR1020180086294 A KR 1020180086294A KR 20180086294 A KR20180086294 A KR 20180086294A KR 102097624 B1 KR102097624 B1 KR 10209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unit
main body
unit
length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636A (ko
Inventor
김현성
허동화
윤홍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드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to KR102018008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6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7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connected by a hinged linkage mechanism, e.g. of the single-bar or multi-bar linka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76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 A61F2002/30484Mechanically expandable devices located on the first prosthetic part for locking into or onto the second prosthetic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9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chanically expandable devices, e.g.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78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with non-sharp protrusions, for instance contacting the bone for anchoring, e.g. keels, pegs, pins, posts, shanks, stems, stru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시 좌, 우 양측의 가변 유닛이 중앙의 메인 바디에 밀착한 상태에서 삽입되기 때문에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최소 침습 수술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후 가변 유닛의 후단부를 밀어줄 때 가변 유닛의 관절 부분이 꺾어지면서 좌, 우 양측으로 펼쳐지게 되어 상, 하부의 척추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 하부 척추뼈 사이에서 골유합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바디 양측의 가변 유닛이 메인 바디에 바짝 밀착된 상태에서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최소 침습 수술에 상당히 적합하며, 메인 바디 양측에 구비된 가변 유닛을 전방으로 밀어주면 관절이 꺾이면서 좌, 우 양측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케이지가 차지하는 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가 있어 상, 하부 척추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SPACE EXPANDING INTERVERTEBRAL FUSION CAGE DEVICE}
본 발명은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술시 최소 침습으로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 후 케이지가 차지하는 면적을 확장시켜서 척추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를 위한 기존의 개복 절개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크고 수술 시 발생하는 출혈량이 커서 수술 이후의 환자 회복이 더디고, 수술 후 커다란 흉터가 남게 되어 환자의 이후 생활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개복 절개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복강경 수술도구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의 새로운 수술 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최소 침습 수술은 수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 도구를 써서 환자의 신체 표면에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은 시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가 적고 시술 시 출혈량이 개복 수술에 비해 현저히 적으므로,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외부로 드러나는 흉터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그 시술 건수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존재하는 디스크는 관절의 기능을 하며 척추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크의 안쪽에 수용된 수핵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수핵의 대부분은 수분(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수분량이 줄어들어 디스크는 완충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섬유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허리통증이 발생하고, 여기서 더 진행되면 섬유가 심하게 늘어나거나 파열되면서 뒤쪽에 위치한 신경근을 눌러서 골반, 다리 등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척추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거나 척추 뼈가 내려앉으면서 척추변형이 일어나는 등 각종 부작용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디스크로 인해 수반되는 질병 치료의 한 방법으로, 손상된 척추 간 디스크를 제거한 후, 두 개의 인접한 척추 사이의 공간을 보형재, 소위 케이지(Cage)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즉, 보형재는 척추 간 디스크의 원래 높이인 두 개의 인접한 척추체 사이의 원래 거리가 회복되도록 하여 척추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형재를 척추 간에 삽입하는 수술방법으로, 배를 열고 척추 전방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ALIF(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옆구리 부위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LLIF(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의 중앙에서 측면으로 30~40mm 떨어진 지점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보형재를 삽입하는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PLIF(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등과 같은 것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674490호의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척추뼈와 상기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된 상기 메인 바디가 차지하는 면적을 변경시키는 가변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가 차지하는 면적을 변경시키는 가변 유닛을 이용하여 케이지 자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 하부 두 개의 척추뼈를 지지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메인 바디와 가변 유닛에 형성된 골유합 공간이 충분하지가 않아 케이지와 상, 하부의 척추뼈가 골유합 되는데 시간이 오래걸릴 뿐만 아니라, 골유합이 단단하고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결국, 수술 후 회복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수가 있으며, 상황이 심각한 경우는 재수술을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고통이 발생할 수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674490호(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시술시 좌, 우 양측의 가변 유닛이 중앙의 메인 바디에 밀착한 상태에서 삽입되기 때문에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최소 침습 수술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후 가변 유닛의 후단부를 밀어줄 때 가변 유닛의 관절 부분이 꺾어지면서 좌, 우 양측으로 펼쳐지게 되어 상, 하부의 척추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 하부 척추뼈 사이에서 골유합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척추뼈와 이웃한 제2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며 중앙에 배치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좌, 우 양측에 구비되며 제1 척추뼈와 제2 척추뼈의 사이에 삽입될 때는 메인 바디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고, 제1 척추뼈와 제2 척추뼈의 사이에 삽입된 후 후단부를 밀어줄 때 선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관절 부분이 상기 메인 바디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면서 좌, 우 양측에 밀착되었던 부분이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이격되는 가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 유닛의 선단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변 유닛의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척추뼈와 제2 척추뼈의 사이에 삽입된 후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가변 유닛의 관절 부분이 상기 메인 바디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도록 한 후, 상기 메인 바디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 유닛이 꺾어진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의 후단부 중앙에는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결합공이 구비되고, 제1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 결합공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1 돌출결합부가 형성되고, 제1 결합공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2 돌출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유닛의 중앙에는 상기 제1 결합공과 마주보도록 제2 결합공이 구비되고, 제2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 결합공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제1 돌출결합부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오목결합부가 형성되고, 제2 결합공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제2 돌출결합부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오목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유닛이 전진 이동하여 상기 제1 돌출결합부와 제1 오목결합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돌출결합부와 제2 오목결합부가 결합된 후 상기 가변 유닛이 꺾어진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결합공과 제1 결합공을 차례로 관통 결합하여 나사산에 조임 결합되는 결합 볼트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변 유닛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전방 가변 유닛; 상기 제1 전방 가변 유닛과 결합하여 메인 바디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는 관절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 유닛의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후방 가변 유닛;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전방 가변 유닛; 및 상기 제2 전방 가변 유닛과 결합하여 메인 바디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는 관절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 유닛의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후방 가변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와 제1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를 더한 것은 상기 제2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와 제2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를 더한 것과 같으나, 제1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가 제2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보다 크면 제1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는 제2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가 제2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보다 작으면 제1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는 제2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태는 상기 제1 전방 가변 유닛과 제2 후방 가변 유닛이 평행한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후방 가변 유닛과 제2 전방 가변 유닛이 평행한 상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가변 유닛의 후단부가 전진 이동할 때 상기 가변 유닛의 관절 부분이 메인 바디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 바디의 좌, 우 양측면 소정의 위치는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변 유닛의 관절 부분은 돌출 형성된 부분에 인접하여 밀착된 상태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 유닛은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관절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메인 바디의 돌출 형성된 부분만큼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메인 바디 양측의 가변 유닛이 메인 바디에 바짝 밀착된 상태에서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최소 침습 수술에 상당히 적합하며, 메인 바디 양측에 구비된 가변 유닛을 전방으로 밀어주면 관절이 꺾이면서 좌, 우 양측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케이지가 차지하는 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가 있어 상, 하부 척추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변 유닛이 관절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꺾어지면서 가변 유닛과 메인 바디 사이에 넓은 공간을 통해 상, 하부 척추뼈와 골유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옆구리를 기준으로 전방 대각선 방향에서 또는 후방 대각선 방향에서 최소 침습 수술로 삽입 후 별도의 기구를 이용해서 가변 유닛의 후방을 전방으로 일정 부분 밀어주기만 하면 가변 유닛이 관절을 이용해서 좌, 우 양측으로 펼쳐지면서 척추뼈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균형있게 펼쳐지기 때문에 케이지를 척추뼈에서 반듯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후방을 밀어서 위치를 옮겨주거나 하는 등의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어 시술이 간단하고 시술에 걸리는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1(a)는 후방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 1(b)는 전방측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시 변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케이지 장치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시 변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케이지 장치를 후방측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를 이용하여 척추뼈에 삽입 시술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척추뼈에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한 직후의 모습이고, 도 5(b)는 기구를 이용하여 가변 유닛의 후방을 밀어서 가변 유닛이 양측으로 펼쳐진 모습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는 메인 바디(100)와 가변 유닛(200)을 포함하며, 고정 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인 바디(100)는 제1 척추뼈와 이웃한 제2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며 케이지의 중앙에 배치되는 사각 기둥 형상이다.
가변 유닛(200)은 메인 바디(100)의 좌, 우 양측에 구비되며 제1 척추뼈와 제2 척추뼈의 사이에 삽입될 때는 메인 바디(10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삽입된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0)의 좌, 우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된다.
가변 유닛(200)은 제1 척추뼈와 제2 척추뼈의 사이에 삽입된 후 후단부(210b, 220b)를 밀어줄 때 선단부(210f, 220f)와 후단부(210b, 220b) 사이의 관절 부분(210j, 220j)이 메인 바디(100)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면서 좌, 우 양측에 밀착되었던 부분이 메인 바디(100)에서 이격된다.
가변 유닛(200)의 선단부(210f, 220f)는 메인 바디(100)의 전방 양측에 돌출 형성된 좌측 결합부(106l)와 우측 결합부(106r)에 핀(p)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 유닛(300)은 가변 유닛(200)의 후단부(210b, 220b)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척추뼈와 제2 척추뼈의 사이에 삽입된 후 별도의 기구에 의해 전진 이동하면서 가변 유닛(200)의 관절 부분(210j, 220j)이 메인 바디(100)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도록 한 후, 메인 바디(100)의 후단에 결합되어 가변 유닛(200)이 꺾어진 상태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관절 부분(210j, 220j)은 메인 바디(100)의 좌측(l)에 위치하는 관절 부분(210j)과 메인 바디(100)의 우측(r)에 위치하는 관절 부분(220j)으로 구성된다.
각 관절 부분(210j, 220j)은 핀(p)으로 관통 결합하여 연결되는 부분을 말하며, 핀(p)을 축으로 회동하여 꺾어진다.
메인 바디(100)의 후단부 중앙에는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결합공(107)이 구비되고, 제1 결합공(107)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 결합공(107)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1 돌출결합부(108s)가 형성되고, 제1 결합공(107)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2 돌출결합부(108l)가 형성된다.
고정 유닛(300)의 중앙에는 제1 결합공(107)과 마주보도록 제2 결합공(301)이 구비되고, 제2 결합공(30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s)이 형성되며, 제2 결합공(301)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제1 돌출결합부(108s)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오목결합부(302s)가 형성되고, 제2 결합공(301)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제2 돌출결합부(108l)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오목결합부(도면에서는 안보임)가 형성된다.
고정 유닛(300)이 전진 이동하여 제1 돌출결합부(108s)와 제1 오목결합부(302s)가 결합되고, 제2 돌출결합부(108l)와 제2 오목결합부(미도시)가 결합된 후 가변 유닛(200)이 꺾어진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2 결합공(301)과 제1 결합공(107)을 차례로 관통 결합하여 나사산(s)에 조임 결합되는 결합 볼트(400)를 더 구비한다.
척추뼈 사이에서 고정 유닛(300)을 밀어서 전진 이동 시킬 때는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며, 고정 유닛(300)이 완전히 전진 이동하여 제1 돌출결합부(108s)와 제1 오목결합부(302s)가 결합되고, 제2 돌출결합부(108l)와 제2 오목결합부(미도시)가 결합되면, 또 다른 기구를 이용하여 결합 볼트(400)를 제2 결합공(301)과 제1 결합공(107)에 차례로 관통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가변 유닛(200)은 메인 바디(100)의 좌측(l)에 구비되는 좌측 가변 유닛(210)과 메인 바디(100)의 우측(r)에 구비되는 우측 가변 유닛(220)으로 구성된다.
좌측 가변 유닛(210)은 제1 전방 가변 유닛(212)과 제1 후방 가변 유닛(213)으로 구성되며, 우측 가변 유닛(220)은 제2 전방 가변 유닛(222)과 제2 후방 가변 유닛(223)으로 구성된다.
제1 전방 가변 유닛(212)의 선단부(210f)는 메인 바디(100)의 전방 좌측에 돌출 형성된 좌측 결합부(106l)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p) 결합한다.
제1 후방 가변 유닛(213)은 제1 전방 가변 유닛(212)과 핀(p)으로 관통 결합하여 메인 바디(100)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는 관절 부분(210j)을 형성하며, 후단부(210b)는 고정 유닛(300)의 좌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p) 결합한다.
제2 전방 가변 유닛(222)의 선단부(220f)는 메인 바디(100)의 전방 우측에 돌출 형성된 우측 결합부(106r)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p) 결합한다.
제2 후방 가변 유닛(223)은 제2 전방 가변 유닛(222)과 핀(p)으로 관통 결합하여 메인 바디(100)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는 관절 부분(220j)을 형성하며, 후단부(220b)는 고정 유닛(300)의 우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p) 결합한다.
상, 하부의 척추뼈(500) 사이에서 메인 바디(100)와 가변 유닛(210, 220)이 확실하고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골유합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인 바디(100)의 상면과 저면 그리고 가변 유닛(210, 220)의 상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돌기(101, 211, 221)가 돌출 형성된다.
메인 바디(100)에는 몸통의 측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골유합 공간이 몸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형성된다. 제1 골유합 공간부(103), 제2 골유합 공간부(104) 및 제3 골유합 공간부(105)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차례로 형성된다.
가변 유닛(210, 220)이 메인 바디(100)로부터 이격되어 가변 유닛(210, 220)과 메인 바디(1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외에 메인 바디의 몸통에 형성되는 제1 골유합 공간부(103), 제2 골유합 공간부(104) 및 제3 골유합 공간부(105)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메인 바디(100)의 삽입 방향에 해당하는 선단부에는 위, 아래에 경사면(102)을 형성함으로써,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한 삽입시 혈관이나 신경 등 주변 조직들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가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제1 전방 가변 유닛(212)의 길이와 제1 후방 가변 유닛(213)의 길이를 더한 것은 제2 전방 가변 유닛(222)의 길이와 제2 후방 가변 유닛(223)의 길이를 더한 것과 같다.
즉, 메인 바디(100)의 좌, 우 측면에 밀착되었을 때 제1 전방 가변 유닛(212)과 제1 후방 가변 유닛(213)으로 구성되는 좌측 가변 유닛(210)과 제2 전방 가변 유닛(222)과 제2 후방 가변 유닛(223)으로 구성되는 우측 가변 유닛(220)의 길이가 같은 것을 알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방 가변 유닛(212)의 길이가 제2 전방 가변 유닛(222)의 길이보다 크면 제1 후방 가변 유닛(213)의 길이는 제2 후방 가변 유닛(223)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 전방 가변 유닛(212)의 길이가 제2 전방 가변 유닛(222)의 길이보다 작으면 제1 후방 가변 유닛(213)의 길이는 제2 후방 가변 유닛(223)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유닛(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는 제1 전방 가변 유닛(212)과 서로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는 제2 후방 가변 유닛(223)이 평행한 상태를 형성하고, 제1 후방 가변 유닛(213)과 서로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는 제2 전방 가변 유닛(222)이 평행한 상태를 형성한다.
도 5b를 참고하면, 고정 유닛(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는 평행사변형 또는 직사각형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가변 유닛(210, 220)의 후단부(210b, 220b)가 전진 이동할 때 가변 유닛(210, 220)의 관절 부분(210j, 220j)이 메인 바디(100)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도록 하기 위해 메인 바디(100)의 좌, 우 양측면 소정의 위치는 각각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100)의 몸통 좌측면에서 후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측면으로 약 1mm 정도 돌출되는 돌출형성부(109l)를 형성하며, 메인 바디(100)의 몸통 우측면에서 선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측면으로 약 1mm 정도 돌출되는 돌출형성부(109r)를 형성한다. 이와 반대로 메인 바디(100)의 몸통 좌측면에서 선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측면으로 약 1mm 정도 돌출되는 돌출형성부(109l)를 형성하고, 메인 바디(100)의 몸통 우측면에서 후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측면으로 약 1mm 정도 돌출되는 돌출형성부(109r)를 형성할 수도 있다.
결국, 돌출형성부(109l, 109r)가 형성되는 위치는 각각 관절 부분(210j, 220j)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3, 도 4 및 도 5a를 참고하면, 가변 유닛(210, 220)의 관절 부분(210j, 220j)은 돌출 형성된 부분(109l, 109r)에 인접하여 밀착된 상태로 삽입된다.
도 3을 참고하면, 가변 유닛(210, 220)은 선단부(210f, 220f)와 후단부(210b, 220b)에서 관절 부분(210j, 220j)으로 갈수록 메인 바디(100)의 돌출 형성된 부분(109l, 109r)만큼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메인 바디(100)의 몸통 좌, 우 측면을 돌출 형성시킴으로써, 고정 유닛(300)을 기구를 이용하여 전진 이동시킬 때 가변 유닛(210, 220)의 관절 부분(210j, 220j)이 메인 바디(100)의 몸통 바깥쪽으로 쉽게 꺾어질 수가 있는 것이다.
만약, 돌출 형성된 부분(109l, 109r)이 없는 상태로 가변 유닛(210, 220)이 메인 바디(100)의 몸통 좌, 우 측면에 바짝 밀착되어 있다면 고정 유닛(300)을 전진 이동시키더라도 가변 유닛(210, 220)의 관절 부분(210j, 220j)이 메인 바디(100)의 바깥쪽으로 쉽게 꺾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가변 유닛(210, 220)의 선단부(210f, 220f)는 메인 바디(100)의 전방 양측의 결합부(106l, 106r)에 핀(p)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메인 바디(10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가변 유닛(210, 220)은 메인 바디(100)의 후방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야 가변 유닛(210, 220)의 후단부(210b, 220b)에 핀(p) 결합된 고정 유닛(300)이 전진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가 있을 것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 장치를 상, 하부 척추뼈(500) 사이에 삽입한 직후의 모습이며, 도 5b를 참고하면, 케이지 장치를 상, 하부 척추뼈(500) 사이에 삽입한 다음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고정 유닛(300)을 전진 이동시킨 다음 결합 볼트(40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옆구리를 기준으로 전방 대각선 방향에서 또는 후방 대각선 방향에서 최소 침습 수술로 삽입 후 별도의 기구를 이용해서 가변 유닛(210, 220)의 후방을 전방으로 일정 부분 밀어주기만 하면 가변 유닛(210, 220)이 관절을 이용해서 좌, 우 양측으로 펼쳐지면서 척추뼈(500)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균형있게 펼쳐지기 때문에 케이지를 척추뼈(500) 사이에서 반듯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후방을 밀어서 위치를 옮겨주거나 하는 등의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어 시술이 간단하고 시술에 걸리는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시술시 좌, 우 양측의 가변 유닛이 중앙의 메인 바디에 밀착한 상태에서 삽입되기 때문에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최소 침습 수술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후 가변 유닛의 후단부를 밀어줄 때 가변 유닛의 관절 부분이 꺾어지면서 좌, 우 양측으로 펼쳐지게 되어 상, 하부의 척추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 하부 척추뼈 사이에서 골유합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메인 바디
101, 211, 221...돌기
102...경사면
103...제1 골유합 공간부
104...제2 골유합 공간부
105...제3 골유합 공간부
106l...좌측 결합부
106r...우측 결합부
107...제1 결합공
108s...제1 돌출 결합부
108l...제2 돌출 결합부
109l, 109r...돌출 형성부
200...가변 유닛
210...좌측 가변 유닛
220...우측 가변 유닛
212...제1 전방 가변 유닛
213...제1 후방 가변 유닛
222...제2 전방 가변 유닛
223...제2 후방 가변 유닛
210f, 220f...선단부
210b, 220b...후단부
210j, 220j...관절 부분
300...고정 유닛
301...제2 결합공
302s...제1 오목 결합부
400...결합 볼트
500...척추뼈

Claims (8)

  1. 제1 척추뼈와 이웃한 제2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며 중앙에 배치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좌, 우 양측에 구비되며 제1 척추뼈와 제2 척추뼈의 사이에 삽입될 때는 메인 바디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고, 제1 척추뼈와 제2 척추뼈의 사이에 삽입된 후 후단부를 밀어줄 때 선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관절 부분이 상기 메인 바디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면서 좌, 우 양측에 밀착되었던 부분이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이격되는 가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 유닛의 선단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변 유닛의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척추뼈와 제2 척추뼈의 사이에 삽입된 후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가변 유닛의 관절 부분이 상기 메인 바디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도록 한 후, 상기 메인 바디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 유닛이 꺾어진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의 후단부 중앙에는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결합공이 구비되고, 제1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 결합공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1 돌출결합부가 형성되고, 제1 결합공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2 돌출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유닛의 중앙에는 상기 제1 결합공과 마주보도록 제2 결합공이 구비되고, 제2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 결합공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제1 돌출결합부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오목결합부가 형성되고, 제2 결합공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제2 돌출결합부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오목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유닛이 전진 이동하여 상기 제1 돌출결합부와 제1 오목결합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돌출결합부와 제2 오목결합부가 결합된 후 상기 가변 유닛이 꺾어진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결합공과 제1 결합공을 차례로 관통 결합하여 나사산에 조임 결합되는 결합 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유닛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전방 가변 유닛;
    상기 제1 전방 가변 유닛과 결합하여 메인 바디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는 관절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 유닛의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후방 가변 유닛;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전방 가변 유닛; 및
    상기 제2 전방 가변 유닛과 결합하여 메인 바디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는 관절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 유닛의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후방 가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와 제1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를 더한 것은 상기 제2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와 제2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를 더한 것과 같으나,
    제1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가 제2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보다 크면 제1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는 제2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가 제2 전방 가변 유닛의 길이보다 작으면 제1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는 제2 후방 가변 유닛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태는 상기 제1 전방 가변 유닛과 제2 후방 가변 유닛이 평행한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후방 가변 유닛과 제2 전방 가변 유닛이 평행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유닛의 후단부가 전진 이동할 때 상기 가변 유닛의 관절 부분이 메인 바디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 바디의 좌, 우 양측면 소정의 위치는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변 유닛의 관절 부분은 돌출 형성된 부분에 인접하여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유닛은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관절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메인 바디의 돌출 형성된 부분만큼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유닛의 선단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메인 바디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가변 유닛은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0180086294A 2018-07-25 2018-07-25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09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94A KR102097624B1 (ko) 2018-07-25 2018-07-25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94A KR102097624B1 (ko) 2018-07-25 2018-07-25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636A KR20200011636A (ko) 2020-02-04
KR102097624B1 true KR102097624B1 (ko) 2020-04-06

Family

ID=6957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294A KR102097624B1 (ko) 2018-07-25 2018-07-25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113B1 (ko) 2022-04-08 2023-03-15 김현성 양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511114B1 (ko) 2022-04-08 2023-03-15 김현성 단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2552A1 (ko) * 2022-02-14 2023-08-17 카틀라스 엘엘씨 척추용 확장형 케이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4732A1 (en) * 2009-03-13 2012-01-05 University Of Toledo Minimally Invasive Collapsible Cage
US8628576B2 (en) 2011-02-14 2014-01-14 Imds Corporation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s and instruments
US20140194992A1 (en) 2013-01-04 2014-07-10 Medevice Ip Holdings, Llc Expandable interbody (lateral, posterior, anterior) multi-access cage for spinal surge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8438C1 (nl) * 2001-07-02 2003-01-08 Baat Medical Engineering B V In- en uitklapbaar gereedschap voor plaatsing in een ruggenwervel.
KR101674490B1 (ko) 2015-07-10 2016-11-09 주식회사 메드릭스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4732A1 (en) * 2009-03-13 2012-01-05 University Of Toledo Minimally Invasive Collapsible Cage
US8628576B2 (en) 2011-02-14 2014-01-14 Imds Corporation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s and instruments
US20140194992A1 (en) 2013-01-04 2014-07-10 Medevice Ip Holdings, Llc Expandable interbody (lateral, posterior, anterior) multi-access cage for spinal surg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113B1 (ko) 2022-04-08 2023-03-15 김현성 양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511114B1 (ko) 2022-04-08 2023-03-15 김현성 단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636A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2342B2 (en)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
US10667922B2 (en) Expandable interbody fusion implant
JP5784757B2 (ja) 展開式の椎体間固定移植片
KR102097624B1 (ko)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20200031826A (ko) 하나씩 차례로 삽입 후 공간을 확장하는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379915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케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