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41851A1 - 내세탁성이 향상된 섬유용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세탁성이 향상된 섬유용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41851A1
WO2021241851A1 PCT/KR2021/002115 KR2021002115W WO2021241851A1 WO 2021241851 A1 WO2021241851 A1 WO 2021241851A1 KR 2021002115 W KR2021002115 W KR 2021002115W WO 2021241851 A1 WO2021241851 A1 WO 20212418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formula
fibers
wash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21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현
Original Assignee
(주)컬러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컬러케미 filed Critical (주)컬러케미
Publication of WO20212418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41851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68Deodor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68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23Polyamines or polyalkylenei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3Polyvinylalcohol; Ether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69(Co)polymerised monomers containing nitrogen, e.g. carbonamides, nitriles or amines
    • C11D3/3776Heterocyclic compounds, e.g. lacta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textiles that can maintain antibacterial activ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adding it during a rinsing process when washing textiles.
  • antibacterial agents were largely divided into aromatic halogen compounds, organosilicon quaternary ammonium salts, and other compounds.
  • aromatic halogen compounds organosilicon quaternary ammonium salts
  • other compounds the most commonly used are metal or metal-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quaternary ammonium salts and organosilicon quaternary ammonium salts.
  • metal or metal-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quaternary ammonium salts
  • organosilicon quaternary ammonium salts organosilicon quaternary ammonium salts.
  • chitin and chitosan have also been actively use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24069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ntibacterial fiber nonwoven fabric by treating a nano-sized silver colloidal solution, which is an inorganic metal material.
  • a nano-sized silver colloidal solution which is an inorganic metal material.
  • DABM N-dodecyl-N,N-dimethylglycine cysteamine hydrochloride
  • B . pumilus a quaternary ammonium surfactant
  • Bacillus fumirus B . pumilus
  • citric acid (CA) and chitosan are used for durable press (DP) processing and antibacterial processing.
  • antibacterial agents for textiles are mainly used for products that come in direct contact with the human body or are used for hygiene, such as hospital sheets, military uniforms, underwear, socks, scrubbers, and dishcloths. Antibacterial treatment can cause harm to the human body due to contamination by microorganism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ntibacterial agent capable of maintaining antibacterial activity for a long time by improving durability against washing.
  • the present inventors have researched to develop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textiles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ior art that imparts antibacterial properties in the textile processing step and has improved washing resistance at the same tim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when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textiles was treated, it had a continuous antibacterial effect on various microorganisms in various textile materia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fibers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to [Formula 2]:
  • R 1 is an alkyl ether, an amine or an amine salt
  • a and b are each a molar ratio of the monomers, a is 0 to 20%, b is 100 to 80%,
  • x 10 to 1,000 repeating units.
  •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hysical bonding by electrostatic attraction with various fiber materials such as cellulosic fibers, nylon, and weight deduction polyester, in particular, fibers such as cotton or knitted fabrics and nylon. Washability is improved and antibacterial activity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fibers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to [Formula 2]:
  • R 1 is an alkyl ether, an amine or an amine salt
  • a and b are each a molar ratio of the monomers, a is 0 to 20%, b is 100 to 80%,
  • x 10 to 1,000 repeating units.
  • antibacterial refers to inhibiting the growth or growth of all microorganisms having a harmful effect, and the microorganism may be Gram-positive or Gram-negative.
  • the Gram-positive bacteria are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Staphylococcus aureus , Bacillus subtilis , Staphylococcus epidermidis , or Listeria monocytogenes .
  • the Gram-negative bacteria are, but are not limited to , Escherichia coli , Salmonella typhimurium , Klebsiella pneumoniae , Pseudomonas aeruginosa , Shigella sonnei , Shigella sonnei, Neisseria gonorrhoeae . Clostridium difficile ( Clostridium difficile ) or Yersinia pestis may be.
  • the antibacterial is used in the same context as mildew resistance or antiviral, and it means comprehensively inhibiting the growth or growth of all harmful bacteria such as microorganisms, fungi, and viruses.
  •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e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Klebsiella pneumoniae for the fiber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Escherichia coli , ATCC 25922), Salmonella ( Salomonella typhimurium , KCTC 1925), characterized in that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 and pen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1).
  •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Klebsiella pneumoniae for the fiber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 Escherichia coli ATCC 25922
  • Salmonella Salomonella typhimurium , KCTC 1925
  •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textiles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to [Formula 2] may be a fabric softener added during the rinsing process during washing.
  • fabric softener is a laundry aid used in the final rinse after washing, and is used interchangeably with fabric rinse aid.
  • fabric softeners are widely used at home for flexibility, wrinkle prevention, and antistatic protection of textile products after washing, but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art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properties to clothes or textile products after washing.
  •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amount of 0.01 to 20% by weight, 0.05 to 10% by weight, 0.1 to 5% by weight, 0.5 to 4% by weight, or 1 to 3% by weight relative to the fiber weight (owf, on weight fabric) It can be added during the rinsing process during washing.
  •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text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alkyl chloride (C12-C18) benzyldimethylammonium and alkyl chloride (C12-C18) dimethylethylbenzylammonium.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substances.
  •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500 to 500,000 g/mol, 800 to 400,000 g/mol, or 1,000 to 300,000 g/mol.
  • the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may impart flexibility to the fiber, and thus may be suitable as an additional component of an antibacterial rinse.
  •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text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eodorizing function.
  • Common odor-causing substances that cause discomfort in clothes or textiles include ammonia, trimethylamine, acetic acid, hydrogen sulfide, and methylmercaptane.
  • there are cigarette odors in daily life made up of various combinations of ingredients, food waste odors, sweat odors, and odors caused by metabolism of bacteria or mold.
  • the deodorizing target may be, but not limited to, ammonia, trimethylamine, hydrogen sulfide, acetic acid, methyl mercaptan, preferably ammonia.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polymer of an allyl monomer and 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for example, a random copolymer.
  • the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by a radical initiator.
  • the allyl monomer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llylamine hydrochloride.
  •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prepare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ropriately selecting various allyl monomers other than the allylamine hydrochloride, and under suitable reaction conditions.
  • the molar ratios a and b of the monomers in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but each a may be 0 to 20%, 3 to 20%, 5 to 15%, or 10 to 15%, and b is 100 to 80%, 97 to 80%, 95 to 85% or 90 to 85%.
  •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represented by Formula 1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500 to 100,000 g/mol, 800 to 400,000 g/mol, or 1,000 to 300,000 g/mol.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polymer of methylamine and epichlorohydrin.
  • epichlorohydrin may have a ratio of 1 to 1.5 moles based on 1 mole of methylamine.
  • the repeating unit x in [Formula 2]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10 to 1,000, 50 to 500, 100 to 500, or 200 to 400.
  • the methylamine may be monomethylamine, and in the case of monomethylamine,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may have a form of a network polymer.
  • the polymer of [Formula 2] may have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 ⁇ 10 3 to 1 ⁇ 10 4 g/mol.
  • the polymer can be manufactured by a known polymerization method, and can be prepared based on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1864962.
  •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text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laundry aid, it is possible to easily impart antibacterial, anti-fouling or antiviral properties to clothes or textile products using a home washing machine.
  • the term "textile” is a long, thin, and softly bendable natural or artificial wire object, which is not only a raw material for textiles, but also a raw material for textile products such as ropes and nets, and a raw material for papermaking. is used as
  • the fiber is used in the same context as clothing or textile products, and refers to all products manufactured using fibers as a raw material.
  • the fiber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tton, nylon, polyester, wool, and silk,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text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ntibacterial rinse by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 1] to [Formula 2] alone or in combination during washing during washing, and the dyed dye may be used as an antibacterial rinse. Fibers exposed to the surface and exhibiting anionic properties, such as nylon, may be added together with citric acid.
  •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text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art antibacterial properties to fibers by adding them during the rinsing process when washing using a normal washing machine at home without any special equipment used to impart antibacterial properties to fibers in the textile industry.
  • bacteria or mold are sterilized or sterilized during textile washing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laundry detergent for clothes, but it is common that continuous antibacterial properties are not provided after washing.
  •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during the rinsing process during washing, the antibacterial effect can be maintained by remaining in clothes or textile products after washing.
  •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during the rinsing process during washing,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impart antibacterial properties by preventing harmful bacteria from parasitizing the fabric even after washing.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to [Formula 2] contained in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sistant to electrostatic attraction with various types of fibers such as cellulosic fibers, nylon, and reduced-weight polyester. It is possible to physically bond with each other, so that even after washing 2 or more, 5 or more, 10 or more, 20 or more, or 50 or more times, it has washing resistance and can continuously maintain antibacterial properties.
  • a stirrer, a cooler, and a thermometer were installed in a 4-neck flask with a capacity of 1.0 L.
  • 100 g of 65% 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and 5 g of allylamine hydrogenchloride salt were diluted with 60 g of distilled water, which was referred to as a monomer mix.
  • 18 g of distilled water and a monomer mix were added to the flask and circulated with nitrogen gas.
  • APS solution was prepared by diluting 1.1 g of ammonium persulfate (APS) in 70 g of distilled water.
  •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72 °C while circulating nitrogen, and the APS solution was added dropwise to the monomer mix at 72 °C to 74 °C for 5 hours. After holding at 75° C. for an additional 3 hours, it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Distilled water is add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reactor becomes 20% by weight of solid content, and the mixture is stirred for 10 minutes. A random copolymer of (polydialyldimethylammonium chloride) and allylamine hydrochloride was obtained at a concentration of 20%.
  • a stirrer, a condenser, and a thermometer were installed in a 4-neck flask with a capacity of 1.0 L.
  • 100 g of distilled water and 100 g of 40% monomethylamine aqueous solution were placed in a reactor and stirred at 10°C.
  • 44 g of epichlorohydrin was added dropwise at less than 85° C. for 50 minutes with a metering pump.
  • 2.6 g of a 36% aqueous solution of caustic soda was added dropwise through a metering pump for 95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 Distilled water was add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reactor was 20% by weight of solids, and the mixture was stirred for 10 minutes to obtain a polyamine polymer having the following [Formula 2] in which x is 300-920 at a concentration of 20%.
  • Example 1 Analysis of antibacterial effect of 2.5% (o.w.f) cationic random copolymer
  • the standard cloth used for antibacterial evaluation was cotton, and 0.05% of Tween 80 as a nonionic surfactant was added to the inoculum solution to conduct the experiment.
  • the concentration unit for the inoculum is dogs/mL.
  • strain number of bacteria control Test group (Preparation Example 1) strain 1 initial number of bacteria 2.2 ⁇ 10 4 2.2 ⁇ 10 4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9.8 ⁇ 10 6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strain 2 initial number of bacteria 2.2 ⁇ 10 4 2.2 ⁇ 10 4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3.8 ⁇ 10 7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 Example 2 Analysis of the antibacterial effect of 1.5% (o.w.f) cationic random copolymer
  • Example 2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0% of the fiber weight (owf, on weight fabric) was added by weight only of a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PDADMAC) cationic polymer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to 500,000 After washing, dehydration, and drying with a vacuum cleaner, the antibacterial property was evaluated by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KS K 0693:2016).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PDADMAC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 Example 4 Analysis of antibacterial effect of 2.0% (o.w.f) cationic random copolymer
  • Example 6 Analysis of the antibacterial effect of a mixture of cationic random copolymer and alkyl(C12-C18)benzyldimethylammonium chloride
  • Example 7 Analysis of the antimicrobial effect of a mixture of cationic polyamine polymer and alkyl(C12-C18)dimethylethylbenzylammonium chloride
  • Example 2 Example 3
  • Example 4 Example 5
  • Example 6 Example 7 strain 1 71.6% 99.3% 99.6% 99.0% 99.7% 99.9% 99.9% strain 2 88.2% 99.0% 99.4% 99.2% 99.9% 99.9% 99.9% 99.9%
  • Test environment temperature (25 ⁇ 10)°C, relative humidity (60 ⁇ 30)%
  • each of the cationic random copolymer of [Formula 1] obtained from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cationic polyamine polymer of [Formula 2] obtained from Preparation Example 2 was washed with an antibacterial rinse in the rinsing step. It was found that by administering it as a fiber, antibacterial properties against harmful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pneumoniae can be imparted to the fiber.
  • Example 8 Analysis of the deodorizing effect of PDADMAC cationic polymer
  • Test method Put a 10 cm ⁇ 10 cm cotton standard cloth in a 5 L tetra bag, inject 3 L of gas with the initial concentration adjusted, and measure the gas concentration 2 hours later with a detection tube
  • Used detection tube Ammonia detection tube 3La, hydrogen sulfide detection tube 4-LT, acetic acid detection tube 81L
  • the standard cloth used for the antibacterial evaluation was cotton, and 0.05% of Tween 80 as a nonionic surfactant was added to the inoculum solution.
  • the concentration unit for the inoculum is dogs/mL.
  • Example 10 Analysis of the antibacterial effect of cationic random copolymers on various fiber types
  • the main washing was performed in a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and then the cationic random copolymer of [Formula 1] obtained from Preparation Example 1 in the rinsing process (rinsing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 60 ° C) was weighed by weight of each of cotton fiber, nylon and polyester 2.5% of the weight of the fiber (owf, on weight fabric) was added and rinsed at room temperature to 60°C for 10 minutes. After rinsing, dehydration, and drying using general drying (natural drying), iron drying, or a household washing and drying machine, the antibacterial property was evaluated by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KS K 0693:2016).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washing, rinsing, dehydration and drying we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without administering the cationic random copolymer of [Formula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5 to 7 below.
  • Antimicrobial evaluation was performed by adding 0.05% of Tween 80 to the inoculum solution as a nonionic surfactant.
  • the concentration unit for the inoculum is dogs/mL.
  • Cotton control test group dry naturally iron drying strain 1 initial number of bacteria 1.8 ⁇ 10 4 1.8 ⁇ 10 4 1.8 ⁇ 10 4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9.8 ⁇ 10 6 ⁇ 10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99.9% strain 2 initial number of bacteria 1.9 ⁇ 10 4 1.9 ⁇ 10 4 1.9 ⁇ 10 4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3.8 ⁇ 10 7 ⁇ 10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99.9%
  • Nylon control test group dry naturally dryer drying strain 1 initial number of bacteria 1.8 ⁇ 10 4 1.8 ⁇ 10 4 1.8 ⁇ 10 4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9.8 ⁇ 10 6 ⁇ 10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99.9% strain 2 initial number of bacteria 1.9 ⁇ 10 4 1.9 ⁇ 10 4 1.9 ⁇ 10 4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3.8 ⁇ 10 7 ⁇ 10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99.9%
  • Polyester control test group dry naturally dryer drying strain 1 initial number of bacteria 1.8 ⁇ 10 4 1.8 ⁇ 10 4 1.8 ⁇ 10 4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9.8 ⁇ 10 6 ⁇ 10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99.9% strain 2 initial number of bacteria 1.9 ⁇ 10 4 1.9 ⁇ 10 4 1.9 ⁇ 10 4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3.8 ⁇ 10 7 ⁇ 10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99.9%
  • Example 11 Evaluation of washing resistance of a cationic random copolymer having an antibacterial effect
  • the fibers used for the antimicrobial evaluation were cotton, polyester, and nylon, and 0.05% of Tween 80 as a nonionic surfactant was added to the inoculum solution.
  • the concentration unit for the inoculum is dogs/mL.
  • Cotton control test group After 10 washes strain 1 initial number of bacteria 1.8 ⁇ 10 4 -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9.8 ⁇ 10 6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strain 2 initial number of bacteria 1.9 ⁇ 10 4 -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3.8 ⁇ 10 7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Polyester control test group After 10 washes strain 1 initial number of bacteria 1.8 ⁇ 10 4 -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9.3 ⁇ 10 6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strain 2 initial number of bacteria 1.9 ⁇ 10 4 -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3.3 ⁇ 10 7 ⁇ 10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Nylon control test group After 10 washes strain 1 initial number of bacteria 1.8 ⁇ 10 4 - Bacteria count after 18 hours 9.8 ⁇ 10 6 1.2 ⁇ 10 4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99.9% strain 2 initial number of bacteria 1.9 ⁇ 10 4 1.9 ⁇ 10 4
  •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text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of imparting antibacterial properties in the yarn stage or in dyeing and post-processing using special expensive chemicals, tools and instruments in the textile industry. have. That is, ordinary people can easily impart antibacterial properties to various textile materials by using a general household washing machine to a fiber to which antibacterial properties are provided or no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세탁시 헹굼 과정에서 투입하여 장기간 항균력을 유지할 수 있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하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을 섬유 린스로서 일반 가정용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시 첨가함으로써 다양한 섬유에 대해 손쉽게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용 항균 조성물은 섬유에 대한 내세탁성이 향상되고 장기간 동안 항균력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세탁성이 향상된 섬유용 항균 조성물
본 발명은 섬유 세탁시 헹굼 과정에서 투입하여 장기간 항균력을 유지할 수 있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섬유 항균 가공의 초창기에 항균제는 크게 방향족 할로겐 화합물, 유기실리콘 제4급 암모늄염 및 기타 화합물로 나누어서 사용하였으나, 항균 가공의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항균제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금속 또는 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무기물 입자, 제4급 암모늄염 및 유기실리콘 제4급 암모늄염이다. 최근에는 키틴 및 키토산도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0624069호에 무기금속물질인 나노 사이즈의 은(silver) 콜로이드 용액을 처리하여 항균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인 N-도데실-N,N-다이메틸글리신 시스테아민염산염(N-dodecyl-N,N-dimethylglycine cysteamine hydrochloride, DABM)을 처리한 양모 섬유에서 바실러스 푸미루스( B. pumilus)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구연산(citric acid, CA)과 키토산이 듀어러블 프레스(durable press, DP) 가공 및 항균 가공에 사용됨이 보고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용 항균제는 병원용 시트, 군복, 내의류, 양말, 수세미, 행주 등과 같이 인체에 직접적으로 접하거나 위생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에 주로 사용되며, 물에 의한 세탁이 잦아서 내세탁성 기능을 갖지 못한 항균제 처리시 미생물에 의한 오염에 의해 인체에 해를 입을 수 있다. 이에, 세탁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켜 오랫동안 항균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항균제가 필요하다.
또한, 섬유용 항균제와 관련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원사단계에서 항균성을 부여하거나, 섬유 염색 및 후가공(finishing; Pad-Cure)에서 항균성을 부여하는 기술이 대다수일 뿐 아니라, 항균 활성이 공지된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와 같은 항균 물질의 경우 유해성이 커서 일반 섬유 1㎏ 당 0.5g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해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섬유 가공 단계에서 항균성(방미성/항바이러스성)을 부여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세탁 후 헹굼 단계에서 간편하게 섬유에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는 섬유용 항균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섬유 가공 단계에서 항균성을 부여하는 종래기술과 차별화됨과 동시에 내세탁성이 향상된 섬유용 항균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일반 가정용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시 헹굼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용 항균 조성물을 처리하면 다양한 섬유소재에서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지속적인 항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2115-appb-img-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2115-appb-img-0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 1은 알킬에테르, 아민 또는 아민염이고,
a와 b는 각각 단량체들의 몰비율로서, a는 0 내지 20%이고, b는 100 내지 80%이며,
상기 [화학식 2]에서,
x는 10 내지 1,000의 반복 단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용 항균 조성물은 셀룰로오스계 섬유, 나일론, 감량가공(weight deduction)한 폴리에스터 등 다양한 섬유소재, 특히 면 또는 교직물 및 나일론과 같은 섬유와 정전기적인 인력에 의한 물리적 결합이 가능하여 내세탁성이 향상되고 장기간 동안 항균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2115-appb-img-000003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2115-appb-img-0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 1은 알킬에테르, 아민 또는 아민염이고,
a와 b는 각각 단량체들의 몰비율로서, a는 0 내지 20%이고, b는 100 내지 80%이며,
상기 [화학식 2]에서,
x는 10 내지 1,000의 반복 단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항균"은 유해성을 가지는 모든 미생물의 생장 또는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미생물은 그람양성균 또는 그람음성균일 수 있다.
상기 그람양성균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고초균( Bacillus subtilis), 표피포도구균( Staphylococcus epidermidis), 또는 리스테리아균( Listeria monocytogenes) 일 수 있다.
상기 그람음성균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대장균( Escherichia coli), 살모넬라균( Salomonella typhimurium),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시겔라소네이균( Shigella sonnei), 임질균( Neisseria gonorrhoeae),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Clostridium difficile) 또는 페스트균( Yersinia pestis) 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항균은 방미성(mildew resistance) 또는 항바이러스성(antiviral)과 동일한 맥락으로 사용되어 미생물, 곰팡이, 바이러스 등 모든 유해균의 생장 또는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섬유용 항균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대장균( Escherichia coli, ATCC 25922), 살모넬라균( Salomonella typhimurium, KCTC 1925),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 및 페니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1)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은 세탁시 헹굼 과정에서 투입되는 섬유 유연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섬유 유연제"는 세탁 후 마지막 헹굼 과정에서 사용하는 세탁보조제로, 섬유 린스와 혼용된다. 통상적으로 섬유 유연제는 세탁 후 섬유 제품의 유연성, 구김 방지 및 정전기 방지 등을 위해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세탁 후 의류 또는 섬유 제품의 항균성 및 탈취성을 부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섬유용 항균 조성물은 섬유 중량(o.w.f, on weight fabric) 대비 0.01 내지 20중량%, 0.05 내지 10중량%, 0.1 내지 5 중량%, 0.5 내지 4중량%, 또는 1 내지 3중량%의 양으로 세탁 시 헹굼 과정에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용 항균 조성물은 폴리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염화알킬(C12-C18) 벤질다이메틸암모늄 및 염화알킬(C12-C18) 다이메틸에틸벤질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평균 분자량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500 내지 500,000g/mol, 800 내지 400,000g/mol, 또는 1,000 내지 300,000g/mol 일 수 있다.
상기 폴리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는 섬유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항균 린스의 추가 성분으로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용 항균 조성물은 탈취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통상 의류나 섬유 제품의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악취 원인 물질은 암모니아(ammonia),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초산(acetic acid),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메틸메르캅탄(methylmercaptane)을 들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상 생활중의 담배 냄새, 음식물 찌꺼기 냄새, 땀 냄새,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대사에 의한 냄새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취 대상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초산, 메틸메르캅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알릴(allyl) 모노머와 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일 예로서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라디칼 개시제에 의해 중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릴 모노머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알릴아민 염산염일 수 있다. 해당 기술의 당업자라면 상기 알릴아민 염산염 이외의 다양한 알릴 모노머를 적절히 선택하고, 호적의 반응 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에서 단량체들의 몰비율 a 및 b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각각 a는 0 내지 20%, 3 내지 20%, 5 내지 15% 또는 10 내지 15% 일 수 있고, b는 100 내지 80%, 97 내지 80%, 95 내지 85% 또는 90 내지 85% 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500 내지 100,000g/mol, 800 내지 400,000g/mol, 또는 1,000 내지 300,000g/mol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메틸아민(methylamine)과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때, 메틸아민 1몰에 대해 에피클로로히드린은 1 내지 1.5몰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에서 반복 단위 x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10 내지 1,000, 50 내지 500, 100 내지 500, 또는 200 내지 400 일 수 있다.
상기 메틸아민은 모노메틸아민일 수 있으며, 모노메틸아민일 경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망상 고분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2]의 고분자는 5 × 10 3 내지 1 × 10 4 g/mol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는 공지의 중합 방법으로 제조 가능하며, 한국등록특허 제10-1864962호에 기재된 제조방법을 기초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용 항균 조성물을 세탁보조제로 사용할 경우 가정용 세탁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의류 또는 섬유 제품에 항균성, 방미성 또는 항바이러스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섬유(textile)"는 길고 가늘며 연하게 굽힐 수 있는 천연 또는 인조의 선으로 된 물체로, 직물의 원료가 될 뿐만 아니라 로프, 그물 등 섬유 제품의 원료 및 제지의 원료로 쓰인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섬유는 의류 또는 섬유 제품과 동일한 맥락으로 사용되어 섬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모든 제품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는 면, 나일론, 폴리에스터, 울 및 실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섬유용 항균 조성물은 세탁시 헹굼 과정에서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경우에 따라 병용하여 항균 린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색한 염료가 표면에 노출되어 음이온성을 띄는 섬유, 예컨대 나일론의 경우 구연산과 함께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용 항균 조성물은 섬유 산업 분야에서 섬유에 항균성 부여를 위해 사용하는 별도의 특수 장비 없이도 일반 가정에서 통상의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시 헹굼 과정에서 투입함에 의해 섬유에 항균성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판 중인 의류용 세탁 세제를 사용하여 섬유 세탁시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살균 또는 제균되지만, 세탁 이후 지속적인 항균성이 부여되지 않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을 세탁시 헹굼 과정에서 투여할 경우 세탁 후 의류 또는 섬유 제품 내에 잔존하여 항균 효과를 지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을 통해 박테리아나 곰팡이를 살균 또는 제균하더라도 세탁 이후 생활 환경으로부터 다양한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곰팡이들과 같은 유해균에 노출되어 유해균이 섬유에 기생하게 되면 민감한 트러블, 예컨대 피부 알레르기를 야기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을 세탁시 헹굼 과정에서 투입할 경우 세탁 이후에도 섬유에 유해균이 기생할 수 없도록 함에 의해 항균성을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섬유용 항균 조성물에 함유되는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셀룰로오스계 섬유, 나일론 및 감량가공한 폴리에스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섬유와 정전기적인 인력에 의한 물리적 결합이 가능하여 2회 이상, 5회 이상, 10회 이상, 20회 이상, 또는 50회 이상의 세탁 이후에도 내세탁성을 지녀 지속적으로 항균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원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원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1.0 L 용량의 4구 플라스크(4-neck flask)에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를 설치하였다. 65% 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100g과 알릴아민 염산염(allylamine hydrogenchloride salt) 5g을 증류수 60g으로 희석하였으며, 이를 모노머 믹스(monomer mix)라 칭하였다. 증류수 18g과 모노머 믹스를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로 순환시켰다. APS(ammonium persulfate) 1.1 g을 증류수 70g에 희석하여 APS 용액을 제조하였다.
질소를 순환하면서 72℃로 승온하고, 모노머 믹스에 APS 용액을 72℃ 내지 74℃에서 5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75℃에서 추가로 3시간 동안 유지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기의 농도가 고형분 무게비로 20%가 되도록 증류수를 넣어주고, 10분간 교반하여 몰비율 %가 a는 0~40, b는 60~100인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폴리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와 알릴아민 염산염의 랜덤(random) 공중합체를 20% 농도로 수득하였다.
[화학식1]
Figure PCTKR2021002115-appb-img-000005
제조예 2. 양이온성 폴리아민 중합체의 제조
1.0 L 용량의 4구 플라스크에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를 설치하였다. 증류수 100g과 40% 모노메틸아민(monomethylamine) 수용액 100g을 반응기에 넣고 10℃에서 교반했다.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 60g을 45℃ 미만에서 120분 동안 정량 펌프로 적하한 후, 추가적으로 에피클로로히드린 44g을 50분 동안 85℃ 미만에서 정량 펌프로 적하하였다. 이어서, 36% 가성소다 수용액 2.6g을 95분 동안 정량 펌프로 적하 투입한 후, 상온으로 냉각했다. 반응기의 농도가 고형분 무게비로 20%가 되도록 증류수를 넣어주고, 10분간 교반하여 x가 300~920인 하기 [화학식 2]를 갖는 폴리아민(polyamine) 중합체를 20% 농도로 수득하였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2115-appb-img-000006
실시예 1. 2.5% (o.w.f)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의 항균 효과 분석
세탁기에서 세제로 본 세탁을 진행하고, 이후 헹굼 과정(헹굼 온도 20℃~40℃)에서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a=20, b=80)를 무게 중량으로 섬유 무게의 2.5%(o.w.f, on weight fabric) 첨가하여 20℃~40℃에서 10분간 헹굼 과정을 진행하였다. 헹굼을 진행한 후 탈수하고, 일반 건조 또는 가정용 세탁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항균성(방미성/항바이러스)을 정균 감소율(KS K 0693:2016)로 평가하였다. 한편, 대조군의 경우에는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지 않고,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항균성 평가에 사용한 표준포는 면(cotton)이며,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Tween 80을 접종균액에 0.05%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한편, 접종균에 대한 농도 단위는 개/mL이다.
균 주 균 수 대조군 시험군(제조예 1)
균주 1 초기 균수 2.2 × 10 4 2.2 × 10 4
18 시간 후 균수 9.8 × 10 6 < 10
정균 감소율 - 99.9%
균주 2 초기 균수 2.2 × 10 4 2.2 × 10 4
18 시간 후 균수 3.8 × 10 7 < 10
정균 감소율 - 99.9%
* 균주 1: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균주 2: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실시예 2. 1.5% (o.w.f)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의 항균 효과 분석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a=40, b=60)를 무게 중량으로 섬유 무게의 1.5%(o.w.f, on weight fabric) 첨가한 것 이외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세탁, 탈수 및 건조를 실시한 후 항균성을 정균 감소율(KS K 0693:2016)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PDADMAC 양이온 고분자의 항균 효과 분석
평균 분자량이 10,000~500,000인 폴리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PDADMAC) 양이온성 고분자만을 무게 중량으로 섬유 무게의 2.0%(o.w.f, on weight fabric) 첨가한 것 이외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세탁, 탈수 및 건조를 실시한 후 항균성을 정균 감소율(KS K 0693:2016)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2.0% (o.w.f)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의 항균 효과 분석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a=20, b=80)를 무게 중량으로 섬유 무게의 2.0%(o.w.f, on weight fabric) 첨가한 것 이외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세탁, 탈수 및 건조를 실시한 후 항균성을 정균 감소율(KS K 0693:2016)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양이온성 폴리아민 중합체의 항균 효과 분석
제조예 2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2]의 양이온성 폴리아민 중합체(x= 400)를 무게 중량으로 섬유 무게의 2.5%(o.w.f, on weight fabric) 첨가한 것 이외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세탁, 탈수 및 건조를 실시한 후 항균성을 정균 감소율(KS K 0693:2016)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 및 염화알킬(C12-C18)벤질다이메틸암모늄 혼합물의 항균 효과 분석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a=10, b=90)와 5% 농도의 염화알킬(C12)벤질다이메틸암모늄을 무게비로 1:1로 희석한 후 희석액을 무게 중량으로 섬유 무게의 1.5%(o.w.f, on weight fabric) 첨가한 것 이외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세탁, 탈수 및 건조를 실시한 후 항균성을 정균 감소율(KS K 0693:2016)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양이온성 폴리아민 중합체 및 염화알킬(C12-C18)다이메틸에틸벤질암모늄 혼합물의 항균 효과 분석
제조예 2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2]의 양이온성 폴리아민 중합체(x= 900)와 5% 농도의 염화알킬(C18)다이메틸에틸벤질암모늄을 무게비로 1:1로 희석한 후 희석액을 무게 중량으로 섬유 무게의 2.5%(o.w.f, on weight fabric) 첨가한 것 이외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세탁, 탈수 및 건조를 실시한 후 항균성을 정균 감소율(KS K 0693:2016)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균 주 미처리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균주 1 71.6% 99.3% 99.6% 99.0% 99.7% 99.9% 99.9%
균주 2 88.2% 99.0% 99.4% 99.2% 99.9% 99.9% 99.9%
* 시험환경: 온도 (25 ± 10)℃, 상대 습도 (60 ± 30)%
* 균주 1: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균주 2: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 접종균 농도: 균주 1의 경우 1.2 × 10 5 개/mL, 균주 2의 경우 1.3 × 10 5 개/mL
상기 표 2의 결과에 따르면,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 및 제조예 2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2]의 양이온성 폴리아민 중합체 각각을 세탁시 헹굼 단계에서 항균 린스로서 투여함으로써 섬유에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간균 등의 유해균에 대한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 PDADMAC 양이온 고분자의 탈취 효과 분석
세탁기에서 세제로 본 세탁을 진행하고, 이후 헹굼 과정(헹굼 온도 상온~60℃)에서 분자량 1,000~300,000을 갖는 20%(w/w) 폴리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를 무게 중량으로 섬유 무게의 2.5%(o.w.f, on weight fabric) 첨가하여 상온~60℃에서 10분간 헹굼 과정을 진행하였다. 헹굼을 진행한 후 탈수하고, 일반 건조 또는 가정용 세탁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초산에 대한 탈취성(일본 섬유 평가 시험 협의회 시험법(JTECE))을 평가하였다. 한편, 대조군의 경우에는 섬유에 20%(w/w) 폴리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를 처리하지 않고,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탈취 물질 농도 단위 (㎎/㎏) 대조군 시험군
암모니아 초기 농도 100.0 100.0
2 시간 후 농도 99.3 0
감소율(%) - 99.9
황화수소 초기 농도 4.0 4.0
2 시간 후 농도 3.8 0
감소율(%) - 99.9
초산 초기 농도 30.0 30.0
2 시간 후 농도 29.4 0
감소율(%) - 99.9
* 시험 방법: 5 L 테트라백에 10 ㎝ × 10 ㎝의 면 표준포를 넣고 초기 농도를 조정한 가스 3 L를 주입한 뒤 2 시간 후의 가스 농도를 검지관으로 측정함
* 사용 검지관: 암모니아 검지관 3La, 황화수소 검지관 4-LT, 초산 검지관 81L
* 측정 시간: 2 시간 경과 후
* 탈취율 (%) = [(Cb - Cs)/Cb] × 100
* Cb: Blank, 2 시간 경과 후 시험 가스백 안에 남아 있는 시험 가스 농도
* Cs: 항균 린스(실시예 9의 시료), 2시간 경과 후 시험 가스백 안에 남아 있는 시험 가스 농도
실시예 9. 다양한 균주에 대한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의 항균 효과 분석
세탁기에서 세제로 본 세탁을 진행하고, 이후 헹굼 과정(헹굼 온도 상온~60℃)에서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a=20, b=80)를 무게 중량으로 섬유 무게의 2.5%(o.w.f, on weight fabric) 첨가하여 상온~60℃에서 10분간 헹굼 과정을 진행하였다. 헹굼을 진행한 후 탈수하고, 일반 건조 또는 가정용 세탁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항균성을 정균 감소율(KS K 0693:2016)로 평가하였다. 한편, 대조군의 경우에는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지 않고,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항균성 평가에 사용한 표준포는 면(cotton)이며,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Tween 80을 접종균액에 0.05% 첨가하여 수행하였다. 한편, 접종균에 대한 농도 단위는 개/mL이다.
균 주 균수 대조군 시험군
균주 1 초기 균수 2.2 × 10 4 2.2 × 10 4
18 시간 후 균수 9.8 × 10 6 < 10
정균 감소율 - 99.9%
균주 2 초기 균수 2.2 × 10 4 2.2 × 10 4
18 시간 후 균수 3.8 × 10 7 < 10
정균 감소율 - 99.9%
균주 3 초기 균수 2.2 × 10 4 2.2 × 10 4
18 시간 후 균수 3.6 × 10 7 1.0 × 10 3
정균 감소율 - 99.9%
균주 4 초기 균수 2.2 × 10 4 2.2 × 10 4
18 시간 후 균수 4.1 × 10 7 < 10
정균 감소율 - 99.9%
균주 5 초기 균수 1.8 × 10 4 1.8 × 10 4
18 시간 후 균수 3.1 × 10 7 1.6 × 10 4
정균 감소율 - 99.9%
균주 6 초기 균수 2.2 × 10 4 2.2 × 10 4
18 시간 후 균수 3.5 × 10 7 2.2 × 10 3
정균 감소율 - 99.9%
* 균주 1: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균주 2: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 균주 3: 대장균( Escherichia coli, ATCC 25922)
* 균주 4: 살모넬라균( Salomonella typhimurium, KCTC 1925)
* 균주 5: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
* 균주 6: 페니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1 [ Methicillin-resistant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상기 표 4의 결과에 따르면,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를 세탁시 헹굼 단계에서 항균 린스로서 투여함으로써 섬유에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간균, 대장균, 살모넬라균, 녹농균, 페니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다양한 균에 대한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 다양한 섬유 종류에 대한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의 항균 효과 분석
세탁기에서 세제로 본 세탁을 진행하고, 이후 헹굼 과정(헹굼 온도 상온~60℃)에서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를 무게 중량으로 면 섬유,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각 섬유 무게의 2.5%(o.w.f, on weight fabric) 첨가하여 상온~60℃에서 10분간 헹굼 과정을 진행하였다. 헹굼을 진행한 후 탈수하고, 일반 건조(자연 건조), 다리미 건조 또는 가정용 세탁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항균성을 정균 감소율(KS K 0693:2016)로 평가하였다. 한편, 대조군의 경우에는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지 않고,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 내지 표 7에 나타내었다.
항균성 평가에서 비이온계면활성제로 Tween 80을 접종균액에 0.05% 첨가하여 수행하였다. 한편, 접종균에 대한 농도 단위는 개/mL이다.
면(Cotton)
대조군 시험군
자연 건조 다리미 건조
균주 1 초기 균수 1.8 × 10 4 1.8 × 10 4 1.8 × 10 4
18 시간 후 균수 9.8 × 10 6 < 10 < 10
정균 감소율 - 99.9% 99.9%
균주 2 초기 균수 1.9 × 10 4 1.9 × 10 4 1.9 × 10 4
18 시간 후 균수 3.8 × 10 7 < 10 < 10
정균 감소율 - 99.9% 99.9%
나일론(Nylon) 대조군 시험군
자연 건조 건조기 건조
균주 1 초기 균수 1.8 × 10 4 1.8 × 10 4 1.8 × 10 4
18 시간 후 균수 9.8 × 10 6 < 10 < 10
정균 감소율 - 99.9% 99.9%
균주 2 초기 균수 1.9 × 10 4 1.9 × 10 4 1.9 × 10 4
18 시간 후 균수 3.8 × 10 7 < 10 < 10
정균 감소율 - 99.9% 99.9%
폴리에스터(Polyester) 대조군 시험군
자연 건조 건조기 건조
균주 1 초기 균수 1.8 × 10 4 1.8 × 10 4 1.8 × 10 4
18 시간 후 균수 9.8 × 10 6 < 10 < 10
정균 감소율 - 99.9% 99.9%
균주 2 초기 균수 1.9 × 10 4 1.9 × 10 4 1.9 × 10 4
18 시간 후 균수 3.8 × 10 7 < 10 < 10
정균 감소율 - 99.9% 99.9%
* 균주 1: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균주 2: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상기 표 5 내지 표 7의 결과에 따르면,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를 세탁시 헹굼 단계에서 항균 린스로서 투여함으로써 면,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의 다양한 섬유 소재에 대해 우수한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 항균 효과를 갖는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의 내세탁성 평가
세탁기에서 세제로 본 세탁을 진행하고, 이후 헹굼 과정(헹굼 온도 상온~60℃)에서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를 무게 중량으로 섬유 무게의 2.5%(o.w.f, on weight fabric) 첨가하여 상온~60℃에서 10분간 헹굼 과정을 진행하였다. 헹굼을 진행한 후 탈수하고, 가정용 세탁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KS K ISO 6330:2012, 5B [(41 ± 3)℃, 수평망 건조)하는 방식으로 10회 반복 세탁한 후 항균성을 정균 감소율(KS K 0693:2016)로 평가하였다. 세탁 횟수에 따른 항균 효과를 평가함에 의해 내세탁성을 분석하였다. 한편, 대조군의 경우에는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지 않고,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항균성 평가에 사용한 섬유는 면(cotton), 폴리에스터(polyester), 나일론(Nylon)이며,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Tween 80을 접종균액에 0.05% 첨가하여 수행하였다. 한편, 접종균에 대한 농도 단위는 개/mL이다.
면(Cotton) 대조군 시험군
10회 세탁 후
균주 1 초기 균수 1.8 × 10 4 -
18 시간 후 균수 9.8 × 10 6 < 10
정균 감소율 - 99.9%
균주 2 초기 균수 1.9 × 10 4 -
18 시간 후 균수 3.8 × 10 7 < 10
정균 감소율 - 99.9%
폴리에스터(Polyester) 대조군 시험군
10회 세탁 후
균주 1 초기 균수 1.8 × 10 4 -
18 시간 후 균수 9.3 × 10 6 < 10
정균 감소율 - 99.9%
균주 2 초기 균수 1.9 × 10 4 -
18 시간 후 균수 3.3 × 10 7 < 10
정균 감소율 - 99.9%
나이론(Nylon) 대조군 시험군
10회 세탁 후
균주 1 초기 균수 1.8 × 10 4 -
18 시간 후 균수 9.8 × 10 6 1.2 × 10 4
정균 감소율 - 99.9%
균주 2 초기 균수 1.9 × 10 4 1.9 × 10 4
18 시간 후 균수 3.8 × 10 7 < 10
정균 감소율 - 99.9%
* 균주 1: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균주 2: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 세탁조건: KS K ISO 6330:2012, 5B [(41 ± 3)℃, 수평망 건조]
상기 표 8의 결과에 따르면,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를 세탁 헹굼 단계에서 투입할 경우 10회 이상의 반복 세탁을 수행하여도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간균 등의 유해균에 대한 항균력이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랜덤 공중합체를 섬유 항균 린스의 유효성분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세탁성 역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용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면 섬유 산업 분야에서 특수 고가의 케미컬과 도구 및 기구들을 이용하여 원사단계에서 항균성을 부여하거나 또는 염색 및 후가공에서 항균성을 부여하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즉, 항균성이 부여되거나 또는 부여되지 못한 섬유를 일반인들이 일반 가정용 세탁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다양한 섬유소재에 대해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2115-appb-img-000007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2115-appb-img-0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 1은 알킬에테르, 아민 또는 아민염이고,
    a와 b는 각각 단량체들의 몰비율로서, a는 0 내지 20%이고, b는 100 내지 80%이며,
    상기 [화학식 2]에서,
    x는 10 내지 1,000의 반복 단위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탁시 헹굼 과정에서 투입되는 섬유 유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섬유 중량 대비 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헹굼 과정에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염화알킬(C12-C18) 벤질다이메틸암모늄 및 염화알킬(C12-C18) 다이메틸에틸벤질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탈취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탈취 대상은 암모니아, 초산 및 황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랜덤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용 항균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섬유는 면, 나일론, 폴리에스터, 울 및 실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섬유용 항균 조성물.
PCT/KR2021/002115 2020-05-29 2021-02-19 내세탁성이 향상된 섬유용 항균 조성물 WO202124185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477A KR102459230B1 (ko) 2020-05-29 2020-05-29 내세탁성이 향상된 섬유용 항균 조성물
KR10-2020-0065477 2020-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851A1 true WO2021241851A1 (ko) 2021-12-02

Family

ID=7874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2115 WO2021241851A1 (ko) 2020-05-29 2021-02-19 내세탁성이 향상된 섬유용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9230B1 (ko)
WO (1) WO202124185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6590A (ja) * 1994-05-26 1995-12-05 Lion Corp 色移り・再汚染防止剤および洗剤組成物
EP0431739B1 (en) * 1989-10-24 1998-12-09 Buckman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Microbicidal compositions of dimethylamine-epichlorohydrin amine polymers
KR20050090994A (ko) * 2002-12-23 2005-09-14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세탁 첨가제로서 소수성으로 변성된 중합체
US20160355761A1 (en) * 2014-02-14 2016-12-08 Lonza Ltd.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ing
US20170362551A1 (en) * 2014-12-15 2017-12-21 Ahlstrom-Munksjö Oyj Laundry aid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069B1 (ko) 2002-06-22 2006-09-18 (주)엔피텍 항균섬유부직포 제조방법
KR101864962B1 (ko) * 2016-12-14 2018-06-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염료 고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염료 고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1739B1 (en) * 1989-10-24 1998-12-09 Buckman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Microbicidal compositions of dimethylamine-epichlorohydrin amine polymers
JPH07316590A (ja) * 1994-05-26 1995-12-05 Lion Corp 色移り・再汚染防止剤および洗剤組成物
KR20050090994A (ko) * 2002-12-23 2005-09-14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세탁 첨가제로서 소수성으로 변성된 중합체
US20160355761A1 (en) * 2014-02-14 2016-12-08 Lonza Ltd.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ing
US20170362551A1 (en) * 2014-12-15 2017-12-21 Ahlstrom-Munksjö Oyj Laundry aid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230B1 (ko) 2022-10-26
KR20210147762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2649B1 (en) Durable and regenerable microbiocidal textiles
KR100693383B1 (ko) 항균 마감재를 갖는 섬유 기질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Barnes et al. Synthesis and antimicrobial applications of 5, 5′-ethylenebis [5-methyl-3-(3-triethoxysilylpropyl) hydantoin]
US5700742A (en) Antimicrobial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Sun et al. Durable and Regenerable Antibacterial Finishing of Fabrics: Biocidal Properties.
US7629000B2 (en) Method for making antimicrobial polyester-containing articles with improved wash durability and articles made thereby
US20080102217A1 (en) Process for anti-microbial textiles treatment
US20100120311A1 (en) Method for providing textiles with desensitized silver components
US20030056297A1 (en) Multifunctional textiles
US5336305A (en) Flexible material having barrier properties
TWI676723B (zh) 抗菌/抗真菌加工製品的製法及利用此製法得到之抗菌/抗真菌加工製品
WO2021241851A1 (ko) 내세탁성이 향상된 섬유용 항균 조성물
KR20170020762A (ko) 수용성 폴리머 및 수용성 항균제를 포함하는 액체 항균제
CN102154823A (zh) 一种抗菌、防臭和杀菌纤维结构物的加工方法
JPH0724680B2 (ja) 抗菌加工法
JP3710952B2 (ja) 繊維製品用抗菌剤及び抗菌加工繊維製品
US20230407559A1 (en) Use of siliceous quaternary amines in durable antimicrobial treatment of textile for use in healthcare environment
CN107056830A (zh) 一种有机硅两性离子抗菌剂及其制备方法
CN101046048A (zh) 纺织物抗菌洗涤方法
JPH0782663A (ja) 抗菌性繊維の製造方法
JPH10168757A (ja) 繊維製品の抗菌性能付与方法
中島照夫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Chemically Modified Cellulose Fabrics against Infectious Bacteria Found in Hospitals, Including MRSA
Rajendran et al. Materials for Healthcare and Hygiene Applications
JP2000073279A (ja) 抗菌性白衣用布帛および白衣
JPH0640814A (ja) 抗菌性繊維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141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141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