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35768A1 -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35768A1
WO2021235768A1 PCT/KR2021/005989 KR2021005989W WO2021235768A1 WO 2021235768 A1 WO2021235768 A1 WO 2021235768A1 KR 2021005989 W KR2021005989 W KR 2021005989W WO 2021235768 A1 WO2021235768 A1 WO 20212357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wab
subject
mask
specimen
detachab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59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용남
Original Assignee
박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남 filed Critical 박용남
Priority to CN202180035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768358A/zh
Priority to AU2021274490A priority patent/AU2021274490A1/en
Priority to JP2022570634A priority patent/JP7482552B2/ja
Priority to US17/926,609 priority patent/US20230200789A1/en
Priority to EP21808362.4A priority patent/EP4154823A1/en
Publication of WO20212357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357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검사자가 검체채취면봉을 이용해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되, 검체 채취가 이루어지는 동안 마스크안의 오염원이 마스크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기밀이 유지됨으로써, 검사 주변 오염 및 검사자 감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피검사자의 안면 또는 안면 일부를 차폐시키는 마스크;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피검사자의 입 또는 코에 삽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검체채취면봉; 상기 마스크에 형성되며, 검체채취면봉이 출입될 수 있는 직경의 통로를 갖는 면봉출입공부; 및 상기 면봉출입공부에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검체채취면봉을 상기 면봉출입공부의 통로로 가이드하기 위해 개방되는 개방수단이 형성된 탈착캡;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면봉출입공부를 향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본 발명은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한 상태에서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 중에, 피검사자로부터 오염원이 마스크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사람의 코와 입을 가려 방한 효과를 제공하거나, 특정의 유해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전문가들에게 방진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이 외에도 산업 발달의 영향으로 인해, 화석 연료 사용이 급증하면서 오존층이 파괴됨에 따라 자외선 지수가 높아지고, 사람들은 높은 지수의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마스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용도외에도 마스크는 전염병 예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대유행(Pandemic)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수의 감염자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바, 감염 및 전염을 예방하기 위한 마스크 착용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한편, 감염의심자에 대한 검체채취과정에서, 검사자인 의료인 및 다음 피검사자로의 전염 방지를 위해 검체채취장소 환경 오염을 방지해야할 필요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확한 바이러스 검사를 위해서는 의료인이 상기도(입인두도찰물, 비인두도찰물, 비강도찰물 등) 검체를 충분한 양으로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상기도 검체 채취는 피검사자가 마스크 착용을 해제한 상태에서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구인두(입)와 비인두(코)에서 채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입 또는 코에서 검체 채취시, 의료인은 반드시 멸균된 면봉을 이용해야 하며, 환자가 다소 불편해하더라도 비인두후벽과 구개인두후벽을 여러번 도찰(swab)하여 충분한 검체를 얻어야 한다. 이러한 검체 채취 과정에서, 피검사자는 반사신경부위의 자극으로 인해 재채기나 기침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피검사자의 재채기나 기침으로 인해 검체채취장소의 비말 및 에어로졸 전파 형태 등의 광범위한 공간 오염은 물론 검사자인 의료인 전염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실제적으로 감염의심자를 검사하는 의료인 감염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피검사자에 대한 검체채취과정에서, 피검사자의 재채기로 인한 비말 및 에어로졸 등 배출, 그리고 호흡에 의한 오염원 배출 등 오염원 관리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2-00586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54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자의 안면비구강내에서 검체채취면봉의 도찰 및 채취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피검사자의 안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 검사 중에 검체채취장소 오염 및 검사자 감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검사자의 안면 또는 안면 일부를 차폐시키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에 형성되며, 검체채취면봉이 출입될 수 있는 직경의 통로를 갖는 면봉출입공부; 및 상기 면봉출입공부에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검체채취면봉을 상기 면봉출입공부의 통로로 가이드하기 위해 개방되는 개방수단이 형성된 탈착캡;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면봉출입공부를 향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면봉출입공부는 피검사자의 입/코에 대응되는 시창(視窓)에 형성되며, 시창은 몸체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봉출입공부는 마스크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되, 전방을 향해 점점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탈착캡은 상기 면출입공부에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는 중공(中空)의 형태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봉출입공부는 마스크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되, 면봉출입공부의 선단부는 면봉출입공부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직경차에 의한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탈착캡은 상기 단턱에 걸려 결합될 수 있는 걸림부를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수단은 복원력을 갖는 수지물로 제공되며, 탈착캡의 중앙을 중심으로 복수로 절개되어 검체채취면봉 삽입시 탈착캡안으로 말려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절개편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 중, 피검사자의 입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혀누름판이 더 마련되며, 상기 혀누름판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검사자가 설압자를 혀누름판에 대고 피검사자의 구강으로 설압자와 혀누름판을 함께 밀어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는 피검사자의 코와 입에 대응되는 부위에 검체채취면봉이 출입될 수 있는 면봉출입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면봉출입공부를 덮어 차폐시킬 수 있는 탈착캡을 면봉출입공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되, 탈착캡에 검체채취면봉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개방수단이 일방향으로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검체 채취과정에서 피검사자의 안면 기밀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피검사자의 호흡 및 비말로 인한 검사장소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을 물론 검사자인 의료인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착용 전,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착용후, 피검사자의 입 및 코에 검체채취면봉을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사용을 위한 검체채취면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의 탈착캡이 검체채취면봉에 의해 탈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의 탈착캡 설치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이하, '검체도구'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검체도구는 피검사자가 착용한 상태에서도 검사자가 검체채취면봉으로 검체를 도찰할 수 있도록 하되, 피검사자의 호흡이나 비말이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최소화하여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검사자 감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검체도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0)와, 면봉출입공부(200)와, 탈착캡(300)과, 검체채취면봉(400)을 포함한다.
마스크(100)는 검체도구의 일부를 구성하며, 적어도 피검사자의 코와 입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마스크(100)가 사람의 코와 입을 가리는 크기로 도시하였으나, 마스크(100)는 사람의 안면 전체를 차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스크(100)는 투명한 수지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마스크(100)는 사람의 호흡을 위한 용도이기 보다는 착용자의 호흡이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이므로, 수지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마스크(100)의 재질이 수지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소재, 우레탄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호흡공간을 확보하고, 착용자의 안면 크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주름부(110)를 통해 신축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마스크(100) 부피를 줄여 놓았다가 착용시에는 주름부(110)를 통해 마스크(100)가 늘어날 수 있으므로 보관 또는 휴대 및 착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마스크(100)에는 착용자의 호흡을 조금이라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마스크(100)의 상단부에 호흡필터(12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마스크(100)의 재질 특성상 착용자가 노약자나 유아일 경우 호흡이 곤란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크(100)는 호흡필터(120)를 마련하여 착용자의 호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호흡필터(120)는 마스크 착용중, 마스크(100)의 내측면에 김이 서리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물론 마스크(100)의 김서림 방지는 이외에도, 마스크(100)의 내측면에 김서림 방지 코팅을 할 수도 있다. 마스크(100)의 상단부 즉, 착용자의 콧등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와이어를 설치하여 기밀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마스크(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안면접촉부(13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안면접촉부(130)는 착용자의 얼굴에 맞닿는 부위로써 착용감을 높이고 기밀유지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안면접촉부(130)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스크(100)에는 착용끈(140)이 설치되어 착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스크(100)의 중앙부위에는 시창(視窓)(150)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시창(150)은 면봉출입공부(200)가 구성되는 부위이며, 검사자가 검체채취면봉(400)을 피검사자의 입속이나 콧속에 삽입할 때 시야를 확보해주는 구성이다. 시창(150)은 왜곡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평평한 전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의 재질은 투명하게 제공된다. 시창(150)의 형태는 특정되지 않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0)로부터 돌출된 원형임이 바람직하다.
면봉출입공부(200)는 검체채취면봉이 착용자의 호흡기를 향해 출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며, 시창(150)에 형성된다. 면봉출입공부(200)의 개수는 한 개 이상이며, 도 3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검체채취면봉(400)이 착용자의 콧속 또는 입속으로 삽입됨을 고려할 때, 면봉출입공부(200)의 개수는 두 개임이 바람직하다. 면봉출입공부(200)는 탈착캡(300)을 통해 개폐되며, 탈착캡(300)과의 끼움 결합을 위해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면봉출입공부(200)는 시창(15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전방으로 갈수록 면봉출입공부(200)의 직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면봉출입공부(200)의 구성은 탈착캡(300)의 억지끼움에 효과적일 수 있다.
탈착캡(300)은 면봉출입공부(200)를 덮어씌워 면봉출입공부(200)의 통로를 폐쇄시키며, 면봉출입공부(200)에 탈착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수지물로 제공된다. 탈착캡(300)은 면봉출입공부(200)에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1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탈착캡(300)은 일측이 개구된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탈착캡(300)의 타측면에는 개방수단(310)이 형성된다. 개방수단(310)은 검체채취면봉(400)을 면봉출입공부(200)로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며, 면봉출입공부(200)를 향해 일방향으로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탈착캡(300)은 검체채취면봉(400)이 개방수단(310)을 통해 탈착캡(300) 안으로 삽입되더라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개방수단(310)은 구성이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캡(300)의 타측면을 사방으로 절개할 수 있는 절개선(310)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절개선(310)의 두께는 탈착캡(300)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된 라인으로 제공되어, 검체채취면봉(400)으로 외력을 가할 때, 절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개방수단(310)은 탈착캡(300)의 재질 특성상, 검체채취면봉(400)이 통과되는 순간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봉출입공부(200)를 향해 절개되어 일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절개편(311)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절개선(310)은 이미 절개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절개선(310)의 형태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절개선(310)은 일측만 고정된 원형으로 형성되어 검체채취면봉(400)으로 힘을 가하였을 때, 일측을 중심으로 원형의 절개편이 말려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검체채취면봉(400)이 제공되며, 검체채취면봉(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410)와, 간섭판(420)과, 손잡이(430)를 포함한다. 절단부(410)는 검체채취면봉(400)과 손잡이(430)의 분리를 위한 구성으로써, 검체채취면봉(400) 및 손잡이(43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간섭판(420)은 검체채취면봉(400)이 면봉출입공부(200)를 통해 피검사자의 특정 신체부위 도찰(swab) 후, 마스크(100) 밖으로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검체가 탈착캡(300)에 접촉되지 않도록 탈착캡(300)을 간섭하여 면봉출입공부(200)로부터 탈착캡(300)을 탈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간섭판(420)은 손잡이(430)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면봉출입공부(200)의 직경에 비해서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손잡이(430)는 검사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바(bar)의 형태로 제공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간섭판(420)은 주름부로 구성되어, 상기한 원형의 절개편을 형성하는 개방수단과 셋트를 이루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검체채취면봉(400)은 절개선(310)을 절개하여 통과하였다가, 검사자가 검체채취면봉(400)을 당김으로써 주름부의 요홈에 위치된 절개선(310)을 간섭하여 탈착캡(300)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피검사자용 마스크를 피검사자가 착용후, 검사자에 의해 검체가 채취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피검사자는 착용끈(140)을 이용하여 마스크(100)를 안면에 착용한다. 이때, 안면접촉부(130)는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호흡공간(안면공간)의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검사자는 검체채취면봉(400)을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자의 입속 또는 콧속에 삽입하여, 도찰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검사자가 검체채취면봉(400)을 탈착캡(300)의 개방수단(310)으로 밀어넣는다. 이때, 검체채취면봉(40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수단인 절개선(310)을 절개하여 벌리면서 삽입되고, 면봉출입공부(200)의 통로를 통해 호흡공간으로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벌어졌던 절개편(311)은 복원되면서 검체채취면봉(400)의 손잡이(430)에 밀착이 된다. 이에 따라, 피검사자의 호흡공간은 기밀이 유지될 수 있으며, 설령 피검사자가 재채기를 하여 호흡공간내에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절개편(310)이 외측으로 펼쳐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호흡이나 비말 등이 마스크(100) 밖으로 새어나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후, 검사자는 시창(150) 및 마스크(100)를 통해 피검사자의 안면을 확인하면서, 검체채취면봉(400)으로 도찰을 실시하고, 도찰이 완료되면 검체채취면봉(400)을 마스크(100) 밖으로 빼낸다.
검사자가 검체채취면봉(400)을 마스크(100) 밖으로 당기면, 검체채취면봉(400)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다가, 간섭판(420)이 절개편(310)을 간섭하여 탈착캡(300)에 탈거 압력을 작용한다. 이후, 검체채취면봉(40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캡(300)을 면봉출입공부(200)로터 분리시킨다. 이후, 검사자는 외부로 노출된 검체채취면봉(400)의 절단부(410)를 절단하여, 검사 킷트를 통해 바이러스 진단을 실시한다.
한편, 탈착캡(300)과 면봉출입공부(200)간 결합구조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 구조를 통해 면봉출입공부(200)에 탈착캡(300)이 억지끼움 결합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은 탈착캡(300)과 면봉출입공부(200)의 결합에 대한 변형예로써, 면봉출입공부(200)의 선단부(210)는 직경이 면봉출입공부(20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단턱을 형성한다. 또한, 탈착캡(300)에는 면봉출입공부(200)의 단턱(210)에 걸려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부(32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탈착캡(300)은 걸림부(320)가 단턱(210)에 의해 벌어졌다가 복원되면서 단턱(210)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면봉출입공부(2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후, 검체채취면봉(400)을 이용한 도찰 후 채취과정에 대한 일련의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탈착캡(300)과 면봉출입공부(200)의 결합에 대한 다른 변형예로써, 탈착캡(300)과 면봉출입공부(200)는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탈착캡(30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면봉출입공부(20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를 형성하여 서로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입속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피검사자의 혀는 무의식적으로 기도를 가려 검사자의 검체 채취를 어렵게 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검체도구는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설압자가 입속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0)의 시창(150)에 피검사자의 콧속을 도찰할 수 있는 면봉출입공부(200) 및 탈착캡(300)이 구성되고, 그의 하부에는 혀누름부(160)가 구성된다. 혀누름부(160)는 시창(150)의 하부에 설치되며, 피검사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하였을 때 피검사자의 입에 대응된다. 혀누름부(160)는 코에 대응되는 면봉출입공부(200)가 마련된 시창(150)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피검사자의 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61)을 형성한다. 혀누름부(160)가 코에 대응되는 면봉출입공부(200)가 마련된 시창(150)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누름부(160)와 상기 시창(150) 사이에는 가이드홈(170)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70)은 검사자의 설압자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가이드홈(170)의 구성을 통해, 설압자는 혀누름부(160)의 수용홈(161)에 수용된 피검사자의 혀를 제압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170)의 안쪽에는 입속 검체 채취를 위한 면봉출입공부(200)가 구성된다.
이후, 피검사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마스크(100)를 착용하고, 검사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압자로 혀누름부(160)를 상방에서 가압하여 수용홈(161)에 수용된 피검사자의 혀를 제압한다. 이때, 검사자가 마스크(100) 밖에서 설압자를 피검사자의 입속에 삽입하더라도, 설압자는 혀누름부(160)를 통해 피검사자의 혀를 간접적으로 제압하는 바, 마스크(100) 안의 호흡공간은 기밀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이후, 검사자는 가이드홈(170)에 위치한 탈착캡(300)에 검체채취면봉(400)을 밀어 넣어 검체를 채취한다. 이와 같이, 검사자가 설압자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입속 검체 채취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후, 검사자는 검체채취면봉(400)을 마스크(100) 밖으로 빼낸 후, 설압자도 마스크(100) 밖으로 빼낸다. 이때, 혀누름부(160)는 복원되어 원위치된다.
한편, 피검사자에 대한 검체 채취가 완료되면, 탈착캡(300)이 분리되어 면봉출입공부(200)가 개방된 상태임은 이해 가능하다. 이때, 검체채취를 마친 피검사자의 호흡이 면봉출입공부(200)를 통해 새어나올 수 있으며, 피검사자가 재채기를 할 경우, 비말이 면봉출입공부(200)를 통해 마스크(100) 밖으로 새어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체 채취 완료 후에 피검사자로부터 오염원이 마스크(100)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폐덮개(50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덮개(500)는 각각의 면봉출입공부(200)를 차폐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면봉출입공부(200)가 두 개로 제공되어 있으므로, 차폐덮개(500)는 두 개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때, 일측의 차폐덮개(50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창(150)의 상단부에 축 결합되어 하방을 향해 회동되면서 면봉출입공부(200)를 개폐하고, 타측의 차폐덮개(500)는 시창(150)의 하단부에 축 결합되어 상방을 향해 회동되면서 면봉출입공부(200)를 개폐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차폐덮개(500)는 탈착캡(300)이 분리된 면봉출입공부(200)를 개폐시킬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차폐덮개(500)에는 고정수단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은 차폐덮개(500)가 면봉출입공부(200)를 닫았을 때, 차폐덮개(500)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함이다. 고정수단은 특정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후크, 단추 등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차폐덮개(500)는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차폐덮개(500)는 마스크(100)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더라도, 마스크(100)는 차폐덮개(500)를 이용해 면봉출입공부(200)를 차폐시킬 수 있으므로, 마스크 안의 공기가 마스크(100)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피검사자가 재채기를 하더라도 비말이 마스크(100)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염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는 피검사자가 착용한 상태에서도, 검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검체채취면봉이 마스크 안으로 삽입되더라도 외부와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검사자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오염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검사 장소 주변 환경 오염 및 검사자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피검사자의 안면 또는 안면 일부를 차폐시키는 마스크;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피검사자의 입 또는 코에 삽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검체채취면봉;
    상기 마스크에 형성되며, 검체채취면봉이 출입될 수 있는 직경의 통로를 갖는 면봉출입공부; 및
    상기 면봉출입공부에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검체채취면봉을 상기 면봉출입공부의 통로로 가이드하기 위해 개방되는 개방수단이 형성된 탈착캡;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면봉출입공부를 향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봉출입공부는 피검사자의 입/코에 대응되는 시창(視窓)에 형성되며, 시창은 몸체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에 대응되는 시창에는 혀누름부가 더 마련되되 혀누름부는 코에 대응되는 면봉출입공부로부터 이격되어 피검사자의 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혀누름부와 코에 대응되는 시창 사이에는 설압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입에 대응되는 면봉출입공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형성되어,
    검사자가 설압자를 가이드홈으로 삽입하여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피검사자의 혀를 제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면봉출입공부는 마스크로부터 돌출되되, 돌출된 방향을 향해 점점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탈착캡은 상기 면출입공부에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는 중공(中空)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면봉출입공부는 마스크로부터 돌출되되, 면봉출입공부의 선단부는 면봉출입공부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직경차에 의한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탈착캡은 상기 단턱에 걸려 결합될 수 있는 걸림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캡은 복원력을 갖는 수지물로 제공되며,
    상기 개방수단은 탈착캡의 일부에 마련된 절개선으로 구성되어, 검체채취면봉 삽입시 외력에 의해 절개되어 절개편을 형성하며, 절개편이 탈착캡안으로 말려들어가면서 탈착캡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채취면봉에는 검체채취면봉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면봉출입공부에 삽입되었다가 빠져나오면서 상기 개방수단을 간섭하여 탈착캡을 분리시킬 수 있는 간섭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PCT/KR2021/005989 2020-05-19 2021-05-13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WO2021235768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35842.9A CN115768358A (zh) 2020-05-19 2021-05-13 用于检测病毒的受检者用检体工具
AU2021274490A AU2021274490A1 (en) 2020-05-19 2021-05-13 Subject specimen tool for virus testing
JP2022570634A JP7482552B2 (ja) 2020-05-19 2021-05-13 ウイルス検査のための被検査者用検体道具
US17/926,609 US20230200789A1 (en) 2020-05-19 2021-05-13 Subject specimen tool for virus testing
EP21808362.4A EP4154823A1 (en) 2020-05-19 2021-05-13 Subject specimen tool for virus te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759A KR102426366B1 (ko) 2020-05-19 2020-05-19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KR10-2020-0059759 2020-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768A1 true WO2021235768A1 (ko) 2021-11-25

Family

ID=7870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5989 WO2021235768A1 (ko) 2020-05-19 2021-05-13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00789A1 (ko)
EP (1) EP4154823A1 (ko)
KR (1) KR102426366B1 (ko)
CN (1) CN115768358A (ko)
AU (1) AU2021274490A1 (ko)
WO (1) WO2021235768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6298A (ja) * 2006-01-25 2010-05-20 カンザー,スティーブ,エイチ. Rfidを利用して空気感染による伝染病を発見および抑制するための飛沫回収装置および方法
JP2011120647A (ja) * 2009-12-08 2011-06-23 Chieri Matsuzaki 診察・診断用マスク
KR20120058658A (ko) 2010-10-04 2012-06-0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예방 마스크 및 필터
KR200461199Y1 (ko) * 2010-10-19 2012-07-19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보호튜브를 가지는 실리콘 스왑
KR200474520Y1 (ko) * 2013-11-26 2014-09-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용 페이셜 마스크
KR101765474B1 (ko) 2015-11-26 2017-08-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러스 진단 키트
CN110448776A (zh) * 2019-08-05 2019-11-15 上海市肺科医院 一种能够方便清洁患者面部的呼吸面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7749A1 (en) * 2007-01-31 2010-04-08 Euan Roger Tovey Collection Device for Sampling Exhaled Airstreams
KR20110006452U (ko) *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KR101653614B1 (ko) * 2014-07-30 2016-09-02 이승찬 숨쉬기 용이한 기능성 마스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6298A (ja) * 2006-01-25 2010-05-20 カンザー,スティーブ,エイチ. Rfidを利用して空気感染による伝染病を発見および抑制するための飛沫回収装置および方法
JP2011120647A (ja) * 2009-12-08 2011-06-23 Chieri Matsuzaki 診察・診断用マスク
KR20120058658A (ko) 2010-10-04 2012-06-0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예방 마스크 및 필터
KR200461199Y1 (ko) * 2010-10-19 2012-07-19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보호튜브를 가지는 실리콘 스왑
KR200474520Y1 (ko) * 2013-11-26 2014-09-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용 페이셜 마스크
KR101765474B1 (ko) 2015-11-26 2017-08-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러스 진단 키트
CN110448776A (zh) * 2019-08-05 2019-11-15 上海市肺科医院 一种能够方便清洁患者面部的呼吸面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6637A (ja) 2023-06-22
CN115768358A (zh) 2023-03-07
AU2021274490A1 (en) 2023-02-02
EP4154823A1 (en) 2023-03-29
US20230200789A1 (en) 2023-06-29
KR20210142950A (ko) 2021-11-26
KR102426366B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4957A (en) Leak test adapt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leak testing face mask respirators
WO2018216943A1 (ko) 코 내시경용 보호커버체
Howard et al. Sterile field contamination from powered air-purifying respirators (PAPRs) versus contamination from surgical masks
KR102152235B1 (ko)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채담부스
WO2022019732A2 (ko) 검체채취도구 밀착삽입형 검진창을 갖는 바이러스 검체채취용 검사부스
JP2021173533A (ja) 検体採取のための装置と方法
Karligkiotis et al. How to obtain a nasopharyngeal swab specimen
WO2021235768A1 (ko)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CN111297406A (zh) 一种口咽拭子的采集方法
KR20210121672A (ko) 초간편 바이러스 자가 검체 채취 및 확인 스루 키트
JP7482552B2 (ja) ウイルス検査のための被検査者用検体道具
WO2021206010A1 (ja) 鼻咽頭検体採取時に用いる感染防止袋
JP7455210B2 (ja) 内視鏡用保護具および内視鏡用保護システム
CN213309593U (zh) 一种密闭式内窥镜口罩
WO2021256643A1 (ko) 검체 채취 장치
WO2022119425A2 (ko) 오염원 실드 기능을 갖는 일회용 면봉 그리퍼
JP2021188146A (ja) ガード具及びガード具の組立方法
Ronk et al. Hydrogen sulfide and the probabilities of'inhalation'through a tympanic membrane defect
WO2022050569A1 (ko)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CN219920361U (zh) 一次性咽拭子采集防护罩
Çufal et al. Association of Face Mask Use With Nasal Symptoms And Mucociliary Clearance.
CN210929748U (zh) 一种用于阻隔呼吸道病原体的头罩
CN212111442U (zh) 一种面罩式常见呼吸道病原体快速检测装置
KR20220009232A (ko)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
KR102335025B1 (ko) 비대면 클리닉과 비대면 클리닉을 위한 글로브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083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7063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83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219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274490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10513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