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232A -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232A
KR20220009232A KR1020200087689A KR20200087689A KR20220009232A KR 20220009232 A KR20220009232 A KR 20220009232A KR 1020200087689 A KR1020200087689 A KR 1020200087689A KR 20200087689 A KR20200087689 A KR 20200087689A KR 20220009232 A KR20220009232 A KR 20220009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collection
booth body
sample
cha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484B1 (ko
Inventor
김준현
김지연
허민희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7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4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8Arrangements to prevent overuse, e.g. by counting the number of uses
    • A61B2560/0285Apparatus for single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에 관한 것으로, 검체를 채취하고자 하는 피검사자가 드나들 수 있는 내부공간의 형성이 가능하며, 검체 채취 후 폐기되는 일회용 부스본체와, 상기 일회용 부스본체와 결합되어 검체 채취를 위한 외형을 형성하고, 검체 채취 후에는 일회용 부스본체와 분리되어 소독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프레임부재와, 상기 일회용 부스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피검사자의 검체를 상기 부스본체 외부에 위치한 검사자가 공간이 분리된 환경에서 채취할 수 있게 돕는 채취보조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비접촉식 공간분리형태의 검체채취환경 조성 및 이를 통한 안전한 검체채취는 물론이거니와 검체채취 후에는 부스본체를 바로 폐기함으로써, 감염전파를 차단할 뿐 아니라 신속한 검체채취가 가능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SIMPLE SPUTUM COLLECTION BOOTH CAPABLE FOR 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
본 발명은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체채취의 임시부스로 활용하는 한편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 접촉차단을 통해 바이러스 전염의 우려없이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검체를 채취할 수 있고, 검체채취 후 부스를 폐기함으로써 감염전파를 차단하도록 한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에 관한 것이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중동호흡기증후근(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신종인플루엔자A(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H1N1), 그리고,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뒤 현재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 virus disease 19; COVID-19) 등 각종 호흡기 감염질환의 환자로부터 나오는 공기 중의 감염성 입자(바이러스)는 먼 거리를 이동하여 환자와 접촉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전파되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즉, 기침, 재채기, 구토, 말하기 등을 통해 비말(飛沫, Droplet)의 형태로 기류를 타고 공기 중에 퍼진 감염성 입자를 제3자(피감염자)가 흡입하게 되면서 발생한다. 특히, 재채기나 기침은 배출속도와 비말의 양이 크고 입자농도가 높아 공기감염의 주원인이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각종 호흡기 감염질환의 유증상 시 명확한 진단을 위해 의료진이 감염환자(유증상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게 되는데, 보호장구(마스크, 고글 등)를 착용하더라도 감염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에, 호흡기 감염질환 관련 의료시설(병원, 선별진료소 등)에는 감염환자 또는 감염의심자를 격리상태에서 검체(객담 등)를 채취하기 위한 채담부스가 대부분 설치되어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33088호를 통해, 호흡기 감염증 검사를 위한 검체채취시 입실공간이 음압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감염균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채취용 부스(이하 "종래 기술 1"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4482호를 통해, 병원 등에서 환자 또는 피시험자로부터 객담을 채취할 수 있는 장소를 일정한 공간으로 제한하고, 객담 채취가 이루어지는 도중과 객담 채취가 완료된 후 제균을 실시하여 전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염 방지용 무인 객담 채취 부스(이하 "종래 기술 2"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 1은 자외선 램프에 의한 본체 입실공간에서의 살균처리 그리고 펜을 작동시켜 상기 입실공간의 음압 형성을 통해 내부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만들어 감염성 입자의 외부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종래 기술 2는 객담 채취가 이루어지는 도중과 객담 채취가 완료된 후에 충분한 시간동안 제균을 실시하여 전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객담 채취실 사용자가 많을 때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일 뿐, 상기 본체의 입실공간이나 객담 채취실 내에 위치한 피검사자 스스로에 의한 간접 검체채취가 아닌 검사자 주도하에 의한 직접 검체채취가 가능토록 하기 위한 기술요소가 그 어디에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 최선의 검체채취 및 그에 따른 명확하고 신속한 질환진단이 어렵다는 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더욱이, 상기 종래 기술들은 구조적 관계상 부피 및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사용자(검사자 등)가 휴대하고 다닐 수 없고, 그러한 이유로 필요로 하는 장소로의 이동활용성이 크게 떨어진다.
결국, 어떠한 장소에라도 간단히 검체채취시설(임시부스)로 설치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거니와 피검사자의 검체를 검사자가 직접 채취할 수 있게 하되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 접촉차단을 통해 바이러스 전염의 우려를 원천봉쇄할 수 있도록 하는 채담부스의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33088호(2017.12.0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4482호(2016.11.03.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체채취가 가능한 부스본체를 간이식으로 구성하되, 일회용 비닐봉지와 탄성 프레임을 이용하여 필요시에만 펼쳐서 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어, 미사용시에는 부피축소를 통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채담부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체 채취가 완료된 후에는 일회용 비닐봉지와 탄성 프레임을 분리하여, 비닐봉지는 폐기하고 탄성 프레임은 소독 후 재사용함으로써, 감염병 전파를 방지하면서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채담부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탄성 프레임의 전면에 채취보조수단을 추가장치하여,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 접촉없이 해당 채취보조수단을 이용해서 부스 외부에 위치한 검사자가 부스 안에 위치한 피검사자로부터 검체채취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채담부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검체를 채취하고자 하는 피검사자가 드나들 수 있는 내부공간의 형성이 가능하며, 검체 채취 후 폐기되는 일회용 부스본체와, 상기 일회용 부스본체와 결합되어 검체 채취를 위한 외형을 형성하고, 검체 채취 후에는 일회용 부스본체와 분리되어 소독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프레임부재와, 상기 일회용 부스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피검사자의 검체를 상기 부스본체 외부에 위치한 검사자가 공간이 분리된 환경에서 채취할 수 있게 돕는 채취보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채담부스가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부재는 미사용 시에는 접어서 부피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탄성에 의해 펼쳐짐이 가능하여 부피변경이 가능한 탄성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프레임은 탄성에 의해 펼쳐진 경우 환형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회 접거나 꼬아서 부피를 줄인 후, 접혀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고정기구가 사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부스본체는 일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되는 비닐봉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부스본체는 상기 내부공간의 육안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본체는 펼쳐진 상태의 프레임부재가 전면에 끼워지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채취보조수단은 상기 부스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검체를 채취하고자 하는 검사자 양 손의 출입 및 상기 내부공간의 육안확인이 가능한 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채취보조수단은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개구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검사자가 양 손에 착용 가능케 된 한 쌍의 보호장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간이 채담부스는 검체채취가 가능한 부스본체를 간이식으로 구성하되, 일회용 비닐봉지와 탄성 프레임을 이용하여 필요시에만 펼쳐서 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어, 미사용시에는 부피축소를 통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검체채취시설이 구축되지 않은 장소에서 간단히 펼쳐서 간이 채담부스로써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채담부스 전면에 장치된 채취보조수단을 이용해서 부스 외부에 위치한 검사자가 부스 내부에 위치한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비접촉식 공간분리형태의 검체채취환경 조성 및 이를 통한 안전한 검체채취는 물론 검사자가 필요로 하는 최선의 검체채취 및 더욱 신속한 검체채취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검체채취시 의료진(검사자 등)의 안전을 높이는 반면 불안은 경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한편, 새로운 유형의 호흡기 감염질환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지금, 해당 감염증의 확산억제 및 방지 그리고 최종소멸을 위한 의료대응체계의 확립과 아울러 호흡기 감염질환과 관련한 의료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간이 채담부스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에 있어서, 탄성 프레임의 접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간이 채담부스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는, 검체를 채취하고자 하는 피검사자가 드나들 수 있는 내부공간의 형성이 가능한 부스본체(20)와, 상기 부스본체(20)와 결합되어 검체 채취를 위한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재(10)와, 상기 부스본체(20)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피검사자의 검체를 상기 부스본체 외부에 위치한 검사자가 공간이 분리된 환경에서 채취할 수 있게 돕는 채취보조수단(22)(2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스본체(20)는 피검사자가 드나들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검체 채취 후에는 폐기되는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검체채취가 가능한 부스본체를 간이식으로 구성하고, 검체 채취가 완료된 후에는 질병의 감염경로를 차단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부스본체를 사용 후 폐기되는 일회용으로 구성함으로써, 검체채취시설이 구축되지 않은 장소에서 간단히 간이 채담부스로써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스본체(20)는 일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되는 비닐봉지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부스본체(20)는 상기 내부공간의 육안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의 비닐봉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스본체(20)는 피검사자의 검체를 상기 부스본체 외부에 위치한 검사자가 공간이 분리된 환경에서 채취할 수 있게 돕는 채취보조수단이 전면에 구비되며, 그 반대편인 후면에는 피검사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개방되는 개방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채취보조수단이 형성된 부스본체(20)의 전면에 상기 프레임부재(10)가 끼워지어 상기 부스본체(20)의 검체 채취를 위한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닐봉지인 부스본체(20)의 전면에 끼워지어 부스본체가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10)는 검체 채취 후에는 일회용 부스본체(20)와 분리가 가능하며, 일회용으로 폐기되는 부스본체와는 달리 소독이 가능하여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기 프레임부재(10)는 미사용 시에는 접어서 부피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탄성에 의해 펼쳐짐이 가능하여 부피변경이 가능한 탄성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접혀짐과 펼쳐짐이 가능한 대략 환형(環形)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굵기를 가지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짐으로써, 꼬아지거나 펼쳐짐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재(10)는 펼쳐진 상태에서 부스본체(20)의 전면에 끼워짐으로써, 부스본체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채취보조수단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채취보조수단은 상기 부스본체(20)의 전면에 형성되어 검체를 채취하고자 하는 검사자 양 손의 출입 및 상기 내부공간의 육안확인이 가능한 된 개구부(2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본체(20)의 전면에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24)를 통해 검사자가 양 손을 부스본체(20) 내부에 넣어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채취보조수단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4)에 한 쌍의 보호장갑(22)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장갑(22)은 부스본체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개구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검사자가 양 손에 착용 가능케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에 있어서, 탄성 프레임의 접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 프레임(10)은 탄성에 의해 펼쳐진 경우 환형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회 접거나 꼬아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미사용시에는 부피축소를 통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프레임(1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프레임을 접은 후 접혀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고정기구(40)가 사용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고정기구(40)는 갈고리 형상의 후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가 고정된 일측의 반대편에는 후크와 결합의 견고함을 위해 홈(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40)와 홈(42)은 90°간격으로 각각 2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 프레임(10)은 예컨대, 상하방향으로 접은 후 어느 하나의 후크(40)를 홈(42)에 고정시키고나서, 다시 탄성 프레임(10)을 좌우방향으로 접고 나머지 후크(40)를 홈(42)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접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채담부스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간이 채담부스는, 각종 호흡기 감염질환의 유증상을 보이는 감염환자·감염의심자(이하 "피검사자)를 격리상태에서 검체를 채취할 목적으로 설치사용하되, 의료시설(병원, 선별진료소 등)에서 통상적으로 설치사용하는 기존 채담부스와 달리, 사용자(검사자)가 휴대하고 다니며 검체채취가 필요한 어떠한 장소에서라도 간단히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프레임(10)을 펼친 후 비닐봉지 형태의 부스본체(20)의 전면에 탄성 프레임(10)을 끼움으로써 상기 부스본체(20)의 외형을 형성하고, 부스본체 내측으로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부스본체(20) 안으로 피검사자가 진입 가능한 것이며, 상기와 같이 피검사자가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부스본체 전면에 장치된 채취보조수단을 이용해서 부스본체(20) 외부에 위치한 검사자가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피검사자와 검사자 간 공간분리환경의 조건에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검체채취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스본체(20) 외부에 위치한 검사자가 상기 내부공간을 들여다보면서 상기 개구부(24)들을 통해 검사자가 자신의 양 손을 투입시켜 내부공간에 위치한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사자는 별도의 장갑을 끼고 개구부(24)를 통해 양 손을 투입하거나 양 손에 상기 보호장갑(22)을 착용한 상태로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검사자가 한 쌍의 상기 보호장갑(22)을 양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수 있음에 따라, 피검사자와 검사자 간 접촉이 완벽하게 봉쇄될 수 있고 그로써 감염의 우려없는 안전한 상황에서 검체채취가 가능하다.
지금까지의 과정으로 검체채취를 완료한 다음에는, 상기 프레임부재(10)를 일회용 부스본체(20)와 분리하여 부스본체는 폐기하고,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소독하여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간이 채담부스에 의하면, 휴대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거니와 미사용시 부피축소를 통해 용이한 보관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내는 한편 검체채취시설이 구축되지 않은 장소에서 간단히 펼쳐서 간이 채담부스로써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본체(20) 전면에 장치된 채취보조수단를 이용해서 부스 외부에 위치한 검사자가 부스 내부에 위치한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비접촉식 공간분리형태의 검체채취환경 조성 및 이를 통한 안전한 검체채취는 물론이거니와 검체채취 후에는 부스본체를 바로 폐기함으로써, 감염전파를 차단할 뿐 아니라 안전하면서도 신속한 검체채취가 가능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프레임부재 20: 부스본체
22: 보호장갑 24: 개구부
30: 개방부 40: 후크
42: 홈

Claims (8)

  1. 검체를 채취하고자 하는 피검사자가 드나들 수 있는 내부공간의 형성이 가능하며, 검체 채취 후 폐기되는 일회용 부스본체;
    상기 일회용 부스본체와 결합되어 검체 채취를 위한 외형을 형성하고, 검체 채취 후에는 일회용 부스본체와 분리되어 소독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프레임부재; 및
    상기 일회용 부스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피검사자의 검체를 상기 부스본체 외부에 위치한 검사자가 공간이 분리된 환경에서 채취할 수 있게 돕는 채취보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채담부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미사용 시에는 접어서 부피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탄성에 의해 펼쳐짐이 가능하여 부피변경이 가능한 탄성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채담부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프레임은 탄성에 의해 펼쳐진 경우 환형의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채담부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프레임은 복수회 접거나 꼬아서 부피를 줄인 후, 접혀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고정기구가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채담부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본체는 일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되는 비닐봉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채담부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스본체는 상기 내부공간의 육안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채담부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본체는 펼쳐진 상태의 프레임부재가 전면에 끼워지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채취보조수단은 상기 부스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검체를 채취하고자 하는 검사자 양 손의 출입 및 상기 내부공간의 육안확인이 가능한 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채담부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채취보조수단은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개구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검사자가 양 손에 착용 가능케 된 한 쌍의 보호장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채담부스.

KR1020200087689A 2020-07-15 2020-07-15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 KR102423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89A KR102423484B1 (ko) 2020-07-15 2020-07-15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89A KR102423484B1 (ko) 2020-07-15 2020-07-15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232A true KR20220009232A (ko) 2022-01-24
KR102423484B1 KR102423484B1 (ko) 2022-07-21

Family

ID=8005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689A KR102423484B1 (ko) 2020-07-15 2020-07-15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4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274876U (zh) * 2014-11-28 2015-04-22 绍兴市妇幼保健院 一种移动半封闭防护医疗操作舱
KR101674482B1 (ko) 2016-05-13 2016-11-09 케이디엠씨 주식회사 감염 방지용 무인 객담 채취 부스
KR20170133088A (ko)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채취용 부스
KR20190096647A (ko) * 2018-02-09 2019-08-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체 전파 방지를 위한 의료용 텐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274876U (zh) * 2014-11-28 2015-04-22 绍兴市妇幼保健院 一种移动半封闭防护医疗操作舱
KR101674482B1 (ko) 2016-05-13 2016-11-09 케이디엠씨 주식회사 감염 방지용 무인 객담 채취 부스
KR20170133088A (ko)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채취용 부스
KR20190096647A (ko) * 2018-02-09 2019-08-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체 전파 방지를 위한 의료용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484B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ğalar et al. Protective measures for COVID-19 for healthcare providers and laboratory personnel
Chandy et al. Interventional radiology and COVID-19: evidence-based measures to limit transmission
Christian et al. Possible SARS coronavirus transmission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ice et al. Is the fit of N95 facial masks effected by disinfection? A study of heat and UV disinfection methods using the OSHA protocol fit test
Azap et al. Medical mask or N95 respirator: when and how to use?
Branch-Elliman et al. Protecting the frontline: designing an infection prevention platform for preventing emerging respiratory viral illnesses in healthcare personnel
Maza-Solano et al. Strategies for the practice of otolaryngology and head and neck surgery during the monitoring phase of COVID-19
Crespo‐Lessmann et al. Multidisciplinary consensus on sputum induction biosafe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han Preventive and control measures of COVID-19 Patients: A Review
Franczuk et al. Spirometry during the SARS-CoV-2 Pandemic. Guideliness and Practical Advice from the Expert Panel of Respiratory Physiopathology Assembly of Polish Respiratory Society
Bowdle et al. Elastomeric respirators for COVID-19 and the next respiratory virus pandemic: essential design elements
KR102423484B1 (ko)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
Kadam et al. Autopsy Practice, Potential Sources of Occupational Hazards: a review for safety and prevention
Xuejie et al. Ophthalmologists’ strategy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coronavirus pneumonia with conjunctivitis or with conjunctivitis as the first symptom
Gruszecka et al. Preliminary information on prevention of infections caused by SARS-COV-2 virus in endoscopic laboratories
Roy et al. COVID–19 PANDEMIC: A DENTAL PERSPECTIVE OF INFECTION PREVENTION PROTOCOLS AND QUESTIONNAIRE ASSESSMENT OF PATIENTS.
EP4157135A1 (en) A protective nasal mask device
WO2016098132A1 (en) Breathing device for preventing airborne diseases
PSHL et al. Armamentarium for Reduction of Transmission of COVID-19 Infection in Dental Operatory
Rodella et al. COVID-19 pandemic: Practical advice for Endoscopy Units. Mistakes to be avoided. Experience of the Italian North-Eastern Venetian Region
Mohkam et al. Prevention of the Emerging COVID-19 Infection in Dialysis Centers
Ahmad et al. Ideal guidance and procedures for donning and doff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 be used by health workers during management of patients confirmed with COVID-19 or person under investigation
Lange Respiratory protection and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lessons from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haudhari et al. Infection Control Measures for Orthopaedic Operatories Dur-ing Covid-19 Crisis: An Update
Özsürekçi et al. COVID-19 Pandemic Experience in a Tertiary Care Center in Turkey: What have We Lear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