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37647A1 -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37647A1
WO2021137647A1 PCT/KR2020/019467 KR2020019467W WO2021137647A1 WO 2021137647 A1 WO2021137647 A1 WO 2021137647A1 KR 2020019467 W KR2020019467 W KR 2020019467W WO 2021137647 A1 WO2021137647 A1 WO 20211376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erived
floridoside
red algae
amin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94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은경
우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데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데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데나
Priority to EP20909089.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85895A4/en
Priority to KR1020227022471A priority patent/KR20220130680A/ko
Priority to US17/765,211 priority patent/US20220370322A1/en
Publication of WO20211376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376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comprising red algae-derived floridoside and an amine group-containing compound, and more particularly, to floridosides such as glycerol galactoside and glycerol glucoside and DNA, RNA nucleic acids, especially nucleic acids.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comprising nucleobases (purine, pyrimidine), nucleosides (ribonucleoside, deoxyribonucleoside), or amino acids as constituent materials.
  • nucleobases purine, pyrimidine
  • nucleosides ribonucleoside, deoxyribonucleoside
  • amino acids as constituent materials.
  • Ultraviolet rays are divided into long-wavelength ultraviolet rays (UV A, 320-400nm), medium-wavelength ultraviolet rays (UV B, 280-320nm), and short-wavelength ultraviolet rays (UV C, 200-280nm) according to their wavelength range. It promotes the production of pigments, which can cause spots or blemishes, and react with sebum secreted from the epidermis to produce lipid peroxide, which can cause skin troubles, and in severe cases can even cause skin cancer.
  • Blue light is a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80 to 500 nm among visible light, and is widely emitted from displays and lighting devices such as smartphones, computers, and TVs. When exposed repeated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active oxygen is reduced and the skin In addition to premature aging of the skin, various skin diseases can be induced.
  • UV A penetrates into the dermis layer and mainly causes pigmentation and skin aging, and is involved in inflammatory reactions and photosensitive skin disease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natural materials that can effectively block UV A and B without phototoxicity or allergy. is becoming
  • Titanium dioxide and zinc oxide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as ultraviolet scattering agents, are difficult to disperse and cause skin whitening. When the content of titanium dioxide and zinc oxide increases, it gives strong irritation to the skin.
  • most commonly used synthetic UV organic absorbers are compounds having an intramolecular conjugated double bond, and when they receive UV light, the energy level of electrons in the molecule rises and becomes an excited state, so it is unstable,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actual efficacy and absorb UV light When a molecule returns to its ground state, it emits energy in various forms, causing side effects such as skin irritation, fever, and light emission.
  • flavonoid pigments such as gallic acid and caffeic acid, which are the UV defense mechanisms of terrestrial plants, and aromatic compounds such as phenylalanine, tryptophan, and purine are being studied.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5-0012443 discloses a cosmetic containing a herbal extract having an ultraviolet absorption function.
  • mycosporine-like amino acid (MAA) derived from marine plants or microalgae is known to have a defense mechanism against UV rays and is being actively studied.
  •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81410 discloses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UV protection containing a peptide derivative derived from a microalgae extract.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comprising a red algae-derived floridoside and an amine group-containing compound.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unscreen comprising the composition.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unscreen comprising the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xcellent effect in blocking and preventing ultraviolet rays in a wide range of 280 to 400 nm.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ause skin whitening and irritation, which are the disadvantages of inorganic UV scattering agents among conventional UV blocking materials, and does not cause side effects such as phototoxicity, skin irritation, heat, and light emission, which are the disadvantages of organic UV absorbers, It can be usefully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compositions such as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for blocking and preventing UV rays.
  • 1 is a graph measuring the ultraviolet absorption capacity of florido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shows a 1 H-NMR graph of florido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a 13 C-NMR graph of florido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graph measuring the ultraviolet absorption capacity of the glycoside covalent derivative of floridoside and nucleo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graph measuring the ultraviolet absorption capacity of the glycosidic covalent derivative of floridoside and nucleo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8 and 9 are graphs measuring the ultraviolet absorption capacity of a glycoside covalent derivative of floridoside and an amino ac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comprising red algae-derived floridoside and an amine group-containing compound.
  • the red algae may include Gimpa-rae-hongjogang, rhesus red-crystals, or true red algae.
  • the red seaw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order of the seaweed.
  • the true red alga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includes an order of the order Cordyceps, Coral serrata, agaric serrata, serrata, Gammoth, chrysanthemum, serrata, serrata, or serrata.
  • the floridid is a low-molecular carbohydrate stored in cells of red algae and is a kind of galactose glycoside. Floridid has an average mass of 254.234 Da, a monoisotopic mass of 254.100174 Da, and a molecular formula of C 9 H 18 O 8 .
  • 2-O- glycerol - ⁇ -D- galacto para no seed (2-O-glycerol- ⁇ -D-galactopyranoside)
  • 2- O - ⁇ -D- galacto para no seed glycerol (2- O - ⁇ - It is also called D-galactopyranosylglycerol).
  • the red algae-derived floridid may be red algae-derived glycerol galactoside and/or red algae-derived glycerol glucoside.
  • Galactoside is a glycoside containing galactose as a sugar component, and is a compound in which hydrogen in the hydroxyl group at carbon 1 of galactose is replaced with an organic component.
  • ⁇ -galactosides and ⁇ -galactosides there are ⁇ -galactosides and ⁇ -galactosides.
  • the glycerol galactoside may be a floridosid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 salt thereof, or an isomer thereof.
  • glycerol galactoside may be isofloridosid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a salt thereof, or an isomer thereof.
  • the isofloridide is also referred to as 1-O-glycerol- ⁇ -D-galactoparanoside.
  • the floridoside and isofloridide are preferably derived from red algae.
  • the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may be a compound in which red algae-derived floridoside and an amine group-containing compound are (covalently) bonded or mixed.
  • the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may be one obtained by alkylation of red algae-derived floridoside with an amine group-containing compound.
  • the amine group-containing compou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ucleobases, nucleosides, and amino acids.
  • the nucleobas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enine, guanine, cytosine, thymine and uracil.
  • the nucleoside may be a ribonucleoside or a deoxyribonucleoside.
  •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formed by covalently bonding or mixing red algae-derived floridoside and an amine group-containing compound, and exhibits excellent UV protection and prevention effects.
  • the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includes a covalent glycoside derivative of a flopidopsis derived from red seaweed oil and an amine group-containing compound.
  • the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may include a floridoside derived from red algae and a covalent glycoside derivative of a nucleobase.
  • the sunscreen composition may include a glycoside covalent derivative of floridoside derived from red algae and a nucleoside.
  • the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may include floridoside derived from red algae and a covalent glycoside derivative of amino acids.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un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ultraviolet absorption performance, and surprisingly, the wavelength over a wide ultraviolet region of 280 to 400 nm including both UV B (290 to 320 nm) and UV A (320 to 400 nm)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absorb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naturally-derived sunscreen or a composition that helps absorb ultraviolet rays.
  • the red algae-derived floridoside and the covalent glycoside derivative of nucleobase, nucleoside or amino aci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oluble in water, stable to heat and light, and have no toxicity. There is no irritation to the skin,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bsorbing UV rays of 280-400 nm, so it has an excellent effect in blocking UV A and B. As shown in Figures 6 to 9, the red algae-derived floridoside and nucleobases, nucleosides or glycosidic covalent derivatives of amino acids have an excellent ability to absorb wavelengths over a wide range of ultraviolet rays from 280 to 400 nm. appear.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preferably contains 1 to 30% by weight of the red algae-derived floridoside and a nucleobase, a nucleoside, or a glycoside covalent derivative of an amino acid.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ultraviolet rays preferably blocks blue light.
  • This blue light blocking effect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blue light penetrates to the deepest part of the skin.
  • red algae a type of red algae
  • Jeollanam-do extraction wa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using a mixed solvent containing ethanol and methanol, followed by hot water extraction for 6 hours. This was filtered to remove salts and polysaccharides, concentrated,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were repeated to obtain 254 Daltons of 95% or more floridoside powder, which was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 the obtained material was purified through a hilic column to finally obtain a sample of 99% or more of floridoside.
  •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following materials and reagents to determine whether the obtained sample was floridoside.
  • Preparative-liquid chromatography (prep-LC) (LC-Forte/R, YMC, Japan)
  • VisionHT Hilic (4.6 x 250 mm, 5 m, Grace, USA)
  • Kiesel gel 60F254 plate (Merck Co., Darmastdt, Germany)
  • the cytotoxicity test was performed on the sample identified as floridid using the Cell Counting Kit-8 kit (DOJINDO, CK04-05).
  • Raw 264.7 cells were cultured at 1x10 4 cells/well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in a 96-well plate at 37° C., 5% CO 2 in an incubator for 24 hours, followed by drug treatment. 37 °C, 5% CO 2 After incubation for 24 hours in an incubator, CCK-8 solution was added and reacted at 37 °C for 2 hours, and then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Test Example 2 patch test
  • a primary patch test applied to the human body was performed on the sample.
  •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evaluated for skin irritation by a dermatologist a total of 4 times during this test period (the date of the patch, the date of removal of the patch, 24 hours after removal of the patch, and after 120 hours).
  • the skin intelligence test was conducted using a Van der Bend chamber (Van der Bend, Brielle, the Netherlands). Samples were applied between the shoulder blades and the waistline, centering on the spine on the back using a Van der Bend chamber for each of 31 subjects.
  • the degree of irrita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 as shown in Table 2 below.
  • I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 a ribonucleoside was bound to the floridoside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using a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using Fmoc. As a result of 1 H-NMR spectrum and 13 C-NMR spectrum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 covalent glycosidic bond was formed between floridoside and ribonucleoside as shown in FIG. 7 .
  • the glycoside covalent derivative of floridoside and the nucleobase of Preparation Example 2 was diluted in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composition in which the content of the covalent derivative was 2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the glycoside covalent derivative of floridoside and nucleoside of Preparation Example 3 was diluted in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composition in which the content of the covalent derivative was 2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the glycoside covalent derivative of floridoside and amino acid of Preparation Example 4 was diluted in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composition in which the content of the covalent derivative was 2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3 (1.3 mg/cm 2 ) is spread well on the PMMA plate, dried for 15 minutes, and then put into the SPF-290ASTM SPF Testing Analyzer System and UV absorbance of 290-400 nm at 8 points on the plate measured. The average value was calculated by repeating measurements using three plates, respectively. Table 4 below shows SPF (UVB) and PA (UVA) measurement results.
  • Example 1 1 time 5.3 4.1
  • Example 2 1 time 3.4 2.8
  • Example 3 1 time 2.3 2.1 Episode 2 5.7 4.5 Episode 2 3.7 3.2 Episode 2 2.3 1.9 3rd time 5.6 4.5 3rd time 3.4 2.9 3rd time 2.5 2.0 Average 5.6 4.4 Average 3.5 3.0 Average 2.4 2.0 Standard Deviation 0.2 0.2 Standard Deviation 0.1 0.2 Standard Deviation 0.1 0.1
  • the floridid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exhibited enhanced UV protection effect by forming a glycosidic covalent bond with a nucleobase, a nucleoside, or an amino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이의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에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본 발명은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리세롤 갈락토시드, 글리세롤 글루코시드 등의 플로리도시드와 DNA, RNA 핵산, 특히 핵산의 구성물질인 핵염기(푸린, 피리미딘), 뉴클레오사이드(리보뉴클레오사이드, 디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 또는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그 파장 영역에 따라 장파장 외선 (UV A, 320~400nm), 중파장 자외선 (UV B, 280~320nm), 단파장 자외선 (UV C, 200~280nm)로 나뉘며, 홍반 형성이나 피부 세포내의 멜라닌 색소 생성을 촉진시켜 기미 또는 잡티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표피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함으로써 피부트러블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심할 경우 피부암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청색광(Blue light)은 가시광선 중 380~500nm의 파장을 갖는 빛으로 스마트폰, 컴퓨터, TV 등의 디스플레이와 조명기기 등에서 많이 방출되며, 장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활성산소가 감소되어 피부의 조기 노화뿐만 아니라 각종 피부질환이 유도될 수 있다.
태양광선 중 단파장 자외선 C는 오존층과 대기권에서 흡수산란되어 지표면에는 도달되지 않으나, UV A와 B는 약 6%가 지표면에 도달하고, 이들 자외선은 체내에서 비타민 D 합성, 피부병치료, 살균효과 등의 이로운 점도 있으나, 일광화상, 피부노화, 광과민성 피부병, 피부암, 돌연변이 유발과 같은 해로운 측면도 있다. 특히 자외선 A는 진피층까지 침투하여 주로 색소 침착 및 피부노화를 유발하고, 염증 반응 및 광과민성 피부병 발생에 관여하므로, 광독성이나 알레르기가 없고, 효과적으로 자외선 A, B를 차단할 수 있는 천연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자외선 산란제로 종래 사용되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은 분산이 어렵고 피부 백탁 현상을 일으킨다. 이산화티탄, 산화아연의 함량이 높아지면 피부에 강한 자극을 준다. 또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합성 자외선 유기흡수제들은 대부분 분자 내 공역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로, 자외선을 받으면 분자 내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 상승하여 여기 상태가 되므로 불안정하여 실제 효능이 유지되기 어렵고 자외선을 흡수한 분자가 기저상태로 돌아올 때 다양한 형태로 에너지를 발산하여 피부자극 및 발열, 발광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천연 유래 자외선 차단제로서 육상식물의 자외선 방어기작인 갈릭산(gallic acid), 카페익산(caffeic acid) 등 플라보노이드 색소와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퓨린 등 계열의 방향족 화합물 등이 연구되고 있다. 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12443호에는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가지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해양식물이나 미세조류 유래의 마이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mycosporine like amino acid(MAA))이 자외선에 대한 방어기작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81410호에는 미세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천연유래 자외선 차단성분 후보군들의 구조와 UV 흡수능의 범위에 대한 상관관계 및 강도 등에 대한 연구까지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아서 산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인체에 무해하고,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안정적이고 사용하기에 용이한 자외선 280 ~ 400nm의 넓은 범위의 천연 자외선 차단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1244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81410호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흡수능이 있으나, 종래의 자외선 차단 소재 중 무기 자외선 산란제의 단점인 피부 백탁현상과 자극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단점인 광독성과 피부자극, 발열, 발광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인체에 무해하고 부작용이 없으며, 제형 면에서 안정하고 사용하기에 용이한 천연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홍조류로부터 유래된 특정 물질과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혼합 또는 결합시킨 조성물이 280 ~ 400nm의 넓은 범위에서 자외선 흡수능을 나타냄을 발견하고, 이를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280 ~ 400nm의 넓은 범위의 자외선 차단 및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의 자외선 차단 소재 중 무기 자외선 산란제의 단점인 피부 백탁현상과 자극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단점인 광독성과 피부자극, 발열, 발광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자외선 차단 및 방지를 위한 화장품, 의약품 등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리도시드의 자외선 흡수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리도시드의 1H-NMR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리도시드의 13C-NMR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 도 5는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리도시드의 Mass spectrum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리도시드와 핵염기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의 자외선 흡수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리도시드와 뉴클레오사이드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의 자외선 흡수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리도시드와 아미노산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의 자외선 흡수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floridoside)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홍조류는 김파래홍조강, 붉은털홍조강 또는 진정홍조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김파래홍조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김파래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정홍조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단풀목, 산호말목, 우뭇가사리목, 꼬시래기목, 도박목, 국수나물목, 끈적이목, 팔손이풀목, 또는 마디털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로리도시드는 홍조류가 세포에 저장하는 저분자의 탄수화물로 갈락토오스 배당체의 일종이다. 플로리도시드는 평균질량(average mass) 254.234 Da, 단일동위원소 질량(monoisotopic mass)이 254.100174 Da이고, 분자식 이 C 9H 18O 8이다. 2-O-글리세롤-α-D-갈락토파라노시드(2-O-glycerol-α-D-galactopyranoside), 2- O- α-D-갈락토파라노시드글리세롤(2- O- α-D-galactopyranosylglycerol)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는 홍조류 유래 글리세롤 갈락토시드 및/또는 홍조류 유래 글리세롤 글루코시드일 수 있다.
갈락토시드(galactoside)는 갈락토스를 당성분으로 하는 글리코시드로서 갈락토스의 1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 중 수소가 유기 성분으로 대체된 화합물이다. 결합 배위에 따라 α-갈락토시드와 β-갈락토시드가 있다.
상기 글리세롤 갈락토시드로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리도시드, 그의 염 또는 그의 이성질체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19467-appb-img-000001
또한, 상기 글리세롤 갈락토시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소플로리도시드(isofloridoside), 그의 염 또는 그의 이성질체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20019467-appb-img-000002
상기 이소플로리도시드는 1-O-글리세롤-α-D-갈락토파라노시드라고도 한다.
상기 플로리도시드 및 이소플로리도시드는 홍조류로부터 유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floridoside)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이 (공유)결합 또는 혼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아민기 함유 화합물로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가 알킬레이션(alkylation)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민기 함유 화합물은 핵염기, 뉴클레오사이드, 및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핵염기는 아데닌, 구아닌, 사이토신, 티민 및 우라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뉴클레오사이드는 리보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는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floridoside)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공유결합 또는 혼합시켜 형성된 조성물로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 및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홍조유 유래 플로피도시도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핵염기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뉴클레오사이드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미노산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가지며, 놀랍게도 UV B(290~320nm), UV A(320~400nm)를 모두 포함하는 280~400 nm의 넓은 자외선 영역에 걸쳐서 파장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되거나, 자외선 흡수를 도와주는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핵염기,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아미노산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는 물에 잘 녹고, 열과 빛에 안정하며, 독성이 없어서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고, 280-400 nm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특징을 보여, 자외선 A, B 차단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핵염기,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아미노산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는 280~400 nm의 넓은 자외선 전 영역에 걸쳐서 파장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핵염기,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아미노산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를 1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청색광(blue light)을 차단한다. 청색광은 피부 가장 깊은 곳까지 침투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청색광 차단 효과는 특히 의미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플로리도시드의 제조
전라남도 장흥과 완도에서 수확한 꼬시래기(홍조류의 일종)를 채취한 후, 에탄올, 메탄올을 함유하는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추출한 후, 6시간 동안 열수 추출을 하였다. 이를 여과하여 염과 다당류를 제거하여 농축하고, 분획, 정제 과정을 반복하여 254 달톤의 95% 이상의 플로리도시드 분말을 얻고, 이를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얻어진 재료를 hilic 컬럼를 통해 정제하여 최종적으로 플로리도시드 99% 이상의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샘플이 플로리도시드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 재료와 시약을 이용하여 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Preparative-liquid chromatography (prep-LC) (LC-Forte/R, YMC, Japan)
Venusil Hilic (21.2 x 250 mm, 5 □m, Agela, USA)
VisionHT Hilic (4.6 x 250 mm, 5 □m, Grace, USA)
Kiesel gel 60F254 plate (Merck Co., Darmastdt, Germany)
RP-18 F254s plates (Merck Co., Darmastdt, Germany)
Bruker AVANCE II 400 (1H NMR at 400 MHz, 13C NMR at 100 MHz)
6530 Accurate-Mass Triple quald. LC-MS/MS (Agilent Technologies, Germany)
구조분석에 이용한 모든 화합물들은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해 사용하였다.
NMR 구조 분석
1H-NMR spectrum상의 chemical shift로부터 수소관련 화학적 환경을 해석하였고, coupling constant로부터 인접 수소와의 입체배열을 해석하였고 integration으로부터 수소의 개수를 확인하였으며, 13C-NMR spectrum으로부터 화합물을 구성하는 탄소수 및 탄소의 주위 환경을 해석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H-NMR 스펙트럼에서 당에서 기인한 anomer proton signal (δ H 5.03, d, J = 4.0 Hz, H-1), sugar moiety로 보이는 oxygenated methine proton signals 그리고 oxygenated methylene proton signals (δ H 3.60-3.99, m, H-2, 3, 4, 5 그리고 6)이 관측되었으며, 이는 글루코스(glucose) 혹은 갈락토스(galactose)일 것으로 예상된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3C-NMR 스펙트럼에서 총 탄소의 개수가 9개인 것을 통하여, 당 한 분자를 포함하여 3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glycerol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며, 당에서 기인한 anomer carbon signal δ C 98.03(C-1), oxygenated methine carbon signals [δ C 71.03 (C-5), 69.32 (C-3), 69.21 (C-4) 그리고 68.44 (C-2)] 그리고 oxygenated methylene carbon signal δ C 61.10 (C-6)을 통하여 당은 갈락토스(galactos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글리세롤(Glycerol)의 존재는 한 개의 oxygenated methine carbon signal δ C 78.68 (C-2'), 그리고 두 개의 oxygenated methylene carbon signals [δ C 61.35 (C-1') 그리고 60.31 (C-3')]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위 화합물(샘플)이 2- O- α-D-galactopyranosylglycerol(floridoside)인 것으로 그 구조가 확인되었다.
ESI-MS를 측정한 결과, negative mode에서 253 [M-H] -, positive mode에서 277 [M+Na] +으로 관측되어, 분자량이 254인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1: 세포독성 시험
플로리도시드로 밝혀진 샘플에 대하여 Cell Counting Kit-8 kit (DOJINDO, CK04-05)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확인시험을 시행하였다.
raw 264.7 cell을 1x10 4cells/well로 96 웰 플레이트에서 10% FBS를 함유한 DMEM 배지에 37℃, 5% CO 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약물을 처리하였다. 37℃, 5% CO 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 후, CCK-8 용액을 첨가하여 37℃에서 2시간 반응시킨 다음,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농도(ppm) 흡광도(nm) AVERAGE 표준편차 생존능력(%)
플로리도시드 1 2.726 2.589 2.466 2.594 0.106 83
10 2.692 2.735 2.810 2.746 0.049 88
100 2.676 2.790 2.810 2.759 0.059 88
500 2.721 2.801 2.849 2.790 0.053 89
1000 2.751 2.769 2.824 2.781 0.031 89
con 3.113 3.1 3.182 3.132 0.036 10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플로리도시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생존능력(viability)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플로리도시드는 세포보호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첩포 시험(patch test)
상기 샘플에 대하여 인체적용 primary patch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본 시험 기간 중 총 4 회 (첩포일, 첩포 제거일, 첩포 제거 후 24 시간 경과 후, 120 시간 경과 후), 피부과 전문의에 의해 피부자극 여부를 판정받았다.
피부첩보 시험은 Van der Bend chamber (Van der Bend, Brielle, the Netherlands)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 각 31 명을 대상으로 Van der Bend chamber 를 이용하여 등에 척추를 중심으로 어깨뼈와 허리선 사이에 샘플을 적용하였다.
시험부위를 증류수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샘플을 정제수에 10% 녹인 후 35 ㎕씩 Van der Bend chamber 에 적하시킨 후, 시험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48 시간 동안 피부에 첩포하였으며,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마킹 펜(marking pen) 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 분 경과 후, 24 시간 경과 후, 120 시간 경과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하기 표 2와 같이 국제 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평가기준에 따라 자극정도를 분류하였다.
기호 Score 피부반응 평가기준
- 0 Negative reaction: 무자극
± 0.5 Doubtful or slight reaction: 미자극 희미한 또는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가벼운 홍반
+ 1 Weak(non-vesicular) positive reaction: 경자극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Strong(vesicular) positive reaction: 중자극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 Extreme positive reaction: 강자극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평균 피부반응도 계산공식에 따라 평균 점수(mean score)를 산정한 후, 피부첩포 시험 결과 판정표에 따라 자극유무를 판정하였다. 피부첩포 시험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번호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120시간 경과 후
1 - - -
2 - - -
3 - - -
4 - - -
5 - - -
6 - - -
7 - - -
8 - - -
9 - - -
10 - - -
11 - - -
12 - - -
13 - - -
14 - - -
15 - - -
16 - - -
17 - - -
18 - - -
19 - - -
20 - - -
21 - - -
22 - - -
23 - - -
24 - - -
25 - - -
26 - - -
27 - - -
28 - - -
29 - - -
30 - - -
31 - - -
반응도 ± 0 0 0
+ 0 0 0
++ 0 0 0
+++ 0 0 0
Mean score 0.00
판정
제조예 2: 플로리도시드와 핵염기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의 합성
Fmoc을 이용한 고체상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을 사용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플로리도시드에 푸린을 결합시켰다. 1H-NMR spectrum, 13C-NMR spectrum 분석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리도시드(floridoside)와 핵염기(nucleobase) 간에 글리코시드 공유결합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3: 플로리도시드와 뉴클레오사이드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의 합성
Fmoc을 이용한 고체상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을 사용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플로리도시드에 리보뉴클레오사이드를 결합시켰다. 1H-NMR spectrum, 13C-NMR spectrum 분석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리도시드와 리보뉴클레오사이드 간에 글리코시드 공유결합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4: 플로리도시드와 아미노산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의 합성
Fmoc을 이용한 고체상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을 사용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플로리도시드에 알라닌을 결합시켰다. 1H-NMR spectrum, 13C-NMR spectrum 분석결과,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리도시드와 아미노산 간에 글리코시드 공유결합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2의 플로리도시드와 핵염기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를 증류수에 희석하여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공유결합 유도체의 함량이 25 중량%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3의 플로리도시드와 뉴클레오사이드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를 증류수에 희석하여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공유결합 유도체의 함량이 25 중량%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4의 플로리도시드와 아미노산의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를 증류수에 희석하여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공유결합 유도체의 함량이 25 중량%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3: in vitro 자외선 UVA 평가 시험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자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in vitro 자외선 UVA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PMMA 플레이트에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1.3 mg/cm 2)을 잘 펴서 바르고 15분 동안 건조한 다음 SPF-290AS™ SPF Testing Analyzer System 에 넣어 플레이트 상에서 8개 포인트의 290-400 nm의 자외선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3개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SPF(UVB)와 PA(UVA) 측정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횟수 SPF PA 횟수 SPF PA 횟수 SPF PA
실시예 1 1회 5.3 4.1 실시예 2 1회 3.4 2.8 실시예 3 1회 2.3 2.1
2회 5.7 4.5 2회 3.7 3.2 2회 2.3 1.9
3회 5.6 4.5 3회 3.4 2.9 3회 2.5 2.0
평균 5.6 4.4 평균 3.5 3.0 평균 2.4 2.0
표준편차 0.2 0.2 표준
편차
0.1 0.2 표준
편차
0.1 0.1
상기 표 4와 도 6 내지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플로리도시드는 핵염기,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아미노산과 글리코시드 공유결합을 형성함으로써 강화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12)

  1.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는 홍조류 유래 글리세롤 갈락토시드, 홍조류 유래 글리세롤 글루코시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조류 유래 글리세롤 갈락토시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리도시드(floridoside), 그의 염 또는 그의 이성질체인 것인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19467-appb-img-000003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조류 유래 글리세롤 갈락토시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소플로리도시드(isofloridoside), 그의 염 또는 그의 이성질체인 것인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KR2020019467-appb-img-000004
    .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기 함유 화합물은 핵염기, 뉴클레오사이드 및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이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는 아민기 함유 화합물에 의하여 알킬화된 것인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핵염기는 아데닌, 구아닌, 사이토신, 티민, 우라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핵염기인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뉴클레오사이드는 리보튜클레오사이드 또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 또는 이들 둘을 모두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상기 아민기 함유 화합물은 글리코시드 공유결합 유도체를 형성하는 것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약학 조성물.
PCT/KR2020/019467 2019-12-30 2020-12-30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WO202113764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909089.3A EP4085895A4 (en) 2019-12-30 2020-12-30 UV-BLOCKING COMPOSITION WITH FLORIDOSIDE FROM RED ALGAE AND A COMPOUND CONTAINING AMINE GROUPS
KR1020227022471A KR20220130680A (ko) 2019-12-30 2020-12-30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US17/765,211 US20220370322A1 (en) 2019-12-30 2020-12-30 Uv blocking composition comprising red algae-derived floridoside and amine group-containing comp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8205 2019-12-30
KR10-2019-0178205 2019-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647A1 true WO2021137647A1 (ko) 2021-07-08

Family

ID=7668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9467 WO2021137647A1 (ko) 2019-12-30 2020-12-30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70322A1 (ko)
EP (1) EP4085895A4 (ko)
KR (1) KR20220130680A (ko)
WO (1) WO2021137647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443A (ko) 1993-10-29 1995-05-16 김광호 미니 디스크의 시간환산방법
JP2005508999A (ja) * 2001-11-14 2005-04-07 ラレナ アマノリ属紅藻の抽出物を含有する製品およびそれの細胞保護剤としての使用
EP1743628A1 (fr) * 2005-07-13 2007-01-17 Sime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extrait d'algue rouge comprenant une association de floridoside et d'acide iséthionique.
KR100969325B1 (ko) * 2010-02-08 2010-07-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조류로부터 비독성 자외선 차단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독성 자외선 차단제
KR20130081410A (ko) 2012-01-09 2013-07-17 임무송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연결고정구
KR20150008238A (ko) * 2013-07-11 2015-01-2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9132621A1 (ko) * 2017-12-29 2019-07-04 주식회사 아데나 글리세롤 갈락토시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443A (ko) 1993-10-29 1995-05-16 김광호 미니 디스크의 시간환산방법
JP2005508999A (ja) * 2001-11-14 2005-04-07 ラレナ アマノリ属紅藻の抽出物を含有する製品およびそれの細胞保護剤としての使用
EP1743628A1 (fr) * 2005-07-13 2007-01-17 Sime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extrait d'algue rouge comprenant une association de floridoside et d'acide iséthionique.
KR100969325B1 (ko) * 2010-02-08 2010-07-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조류로부터 비독성 자외선 차단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독성 자외선 차단제
KR20130081410A (ko) 2012-01-09 2013-07-17 임무송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연결고정구
KR20150008238A (ko) * 2013-07-11 2015-01-2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9132621A1 (ko) * 2017-12-29 2019-07-04 주식회사 아데나 글리세롤 갈락토시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85895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70322A1 (en) 2022-11-24
KR20220130680A (ko) 2022-09-27
EP4085895A4 (en) 2024-01-10
EP4085895A1 (en)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monpatana et al. Susceptibility of anthocyanins to ex vivo degradation in human saliva
EP3007557B1 (en) Preparation of (s,s)-secoisolariciresinol diglucoside and (r,r)-secoisolariciresinol diglucoside
WO2022145663A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산균 사균체 또는 상기 유산균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3341371B1 (en) Aden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uv-photoprotective agents
DE19512484A1 (de) Kohlenhydratmodifizierte Cytostatika
WO2010041832A2 (ko) 패 유래 화합물 함유 항산화 활성 조성물
WO2019132621A1 (ko) 글리세롤 갈락토시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137647A1 (ko)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Sundaram et al. Dalspinin isolated from Spermacoce hispida (Linn.) protects H9c2 cardiomyocytes from hypoxic injury by modulating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KR20170003915A (ko) 생물학적 물질 및 미생물의 보존과 보호를 위한 글리코펩티드 유도체
Nawwar et al. Polyphenols in Ammania auriculata: Structures,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DE69434805T2 (de) Ringerweiterte Nukleoside und Nukleotide
WO2018186724A1 (ko)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2131613A1 (ko) 로즈마린산과 레몬밤잎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bou-Hussein et al. Nucleoside constituents of the Egyptian tunicate Eudistoma laysani
WO2018236007A1 (ko) 유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P3907230A1 (en) Novel benzimidazol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as anti-cancer agent comprising the same
KR101034010B1 (ko)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842941B1 (ko) 매생이 유래의 알코올에 의한 위장점막 손상 억제물질 및이의 용도
WO2021010596A1 (ko) 산화 그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111540A1 (ko)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017674A1 (ko) 차즈기잎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luteolin-7-o-diglucuronide, apigenin-7-o-diglucuronid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피로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0876371B1 (ko) L-아스코르빈산-2-O-말레산-α-토코페롤디에스테르·1-프로판올 부가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71404A1 (ko) 펜타사이클릭 트리터펜 카페익 액씨드 에스터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3229102A1 (ko) 신규한 미백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90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090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