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37451A1 -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37451A1
WO2021137451A1 PCT/KR2020/017450 KR2020017450W WO2021137451A1 WO 2021137451 A1 WO2021137451 A1 WO 2021137451A1 KR 2020017450 W KR2020017450 W KR 2020017450W WO 2021137451 A1 WO2021137451 A1 WO 20211374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k composition
printing
conveyor belt
layer
continuous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4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정현
함은정
김진아
Original Assignee
(주)쓰리디머티리얼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디머티리얼즈 filed Critical (주)쓰리디머티리얼즈
Priority to EP20909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936306B1/en
Priority to US17/594,222 priority patent/US20220184894A1/en
Publication of WO20211374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374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79Handling of additively manufactured objects, e.g. using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57Recyc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64Conditioning of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 재질의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빌드 플랫폼을 설치하여, 빌드 플랫폼 상부 표면에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고, 도포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광 조사수단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키는 인쇄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되,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을 통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인쇄물 블록이 인쇄 공정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하여, 인쇄물 블록의 이송을 통해 후속 레이어의 인쇄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빌드 플랫폼의 교체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연속적인 인쇄물의 출력이 가능한 동시에, 인쇄 진행 중, 광 조사수단에 의해 조사되는 광 패턴을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언제든지 출력되는 인쇄물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어, 인쇄 작업의 효율성과 인쇄물의 다양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본 발명은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 재질의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빌드 플랫폼을 설치하여, 빌드 플랫폼 상부 표면에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고, 도포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광 조사수단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키는 인쇄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되,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을 통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인쇄물 블록이 인쇄 공정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하여, 인쇄물 블록의 이송을 통해 후속 레이어의 인쇄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빌드 플랫폼의 교체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연속적인 인쇄물의 출력이 가능한 동시에, 인쇄 진행 중, 광 조사수단에 의해 조사되는 광 패턴을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언제든지 출력되는 인쇄물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어, 인쇄 작업의 효율성과 인쇄물의 다양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3D 프린팅 산업은 빠르게 신규산업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각 산업부분에서 적극적으로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3D 프린팅이란 적층 제조(AM: Additive Manufacturing)라고도 불리며, 디지털 디자인 데이터를 이용, 소재를 적층(績層)하여 3차원 물체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종래의 3차원 물체의 제조기술이 주로 입체형상의 재료를 기계가공 등을 통하여 자르거나 깎는 방식으로 입체물을 생산하는 절삭가공(Subtractive Manufacturing) 형식이었다면, 3D 프린팅에서는 이와 반대로 프린팅 소재를 차근차근 적층해 나가면서 입체물을 생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3D 프린팅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5910호에 개시된 스테레오 리소그래피(SLA) 방식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3D 프린팅 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드 플랫폼(10) 상에 슬롯 다이 코터(20) 등을 사용하여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고, 광 조사수단(30)을 통해 도포된 잉크 조성물을 선택적으로 경화시켜 인쇄물 레이어를 형성하고 있으며, 빌드 플랫폼의 수직 이동을 통해, 이와 같은 잉크 조성물의 도포와 광 조사를 통한 경화로 이루어지는 레이어 인쇄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적층된 인쇄물 레이어(40)를 통해 3D 인쇄물(50)을 생산하는 배치(Batch) 타입의 인쇄방식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치 타입 3D 프린팅 방식은, 먼저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물을, 빌드 플랫폼 표면에 인쇄물이 도포되는 면적과 인쇄물 레이어가 적층되는 높이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3차원 블럭에 배치하고, 이를 슬라이싱하여 각각의 개별 레이어에 대한 광 조사패턴을 도출한 후, 도출된 조사패턴에 따라 잉크 조성물의 레이어 단위 도포 및 광 조사를 통한 경화 공정을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반복 수행함으로써 3D 인쇄물을 생산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배치 타입의 인쇄 방식은, 그 특성 상, 일단 하나의 배치에 대한 인쇄가 시작되면 인쇄 도중의 인쇄물 변경이 불가능함은 물론, 인쇄 설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가상의 3차원 블럭에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물이 충분히 채워져 배치된 후에야 인쇄를 시작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하나의 배치에 대한 인쇄가 종료된 이후에는 인쇄물을 수거하고, 빌드 플랫폼을 재정비하는 등의 후처리 공정에 따른 인쇄 설비의 다운 타임(down time)이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전체적인 3D 프린팅 제품의 생산 속도가 지연되는 동시에, 취급 인쇄물의 다양성 등의 측면에서 많은 제한을 가지게 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금속 재질의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빌드 플랫폼을 설치하여, 빌드 플랫폼 상부 표면에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고, 도포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광 조사수단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키는 인쇄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되,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을 통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인쇄물 블록이 인쇄 공정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하여, 인쇄물 블록의 이송을 통해 후속 레이어의 인쇄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빌드 플랫폼의 교체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연속적인 인쇄물의 출력이 가능한 동시에, 인쇄 진행 중, 광 조사수단에 의해 조사되는 광 패턴을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언제든지 출력되는 인쇄물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어, 인쇄 작업의 효율성과 인쇄물의 다양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일정 온도의 상변이 온도 구간 이상에서는 액상으로 존재하되, 상기 상변이 온도 구간 이하의 저온에서는 겔화된 고형으로 동결되는 상변이 온도를 갖는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3D 프린팅 방법에 있어서, 풀리 구동을 통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부 일측에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빌드 플랫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빌드 플랫폼의 상부 표면에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 레이어에 광 조사수단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 조사가 완료된 잉크 조성물 레이어 위에 다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고, 광 조사수단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진 방향으로 반복 적층되는 인쇄물 레이어를 통해 3D 인쇄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잉크 조성물의 도포와 광 조사를 통한 경화 공정은 상기 잉크 조성물의 상변이 온도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는 저온 챔버 내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인쇄 공정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일방향으로 구동되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인쇄물 블록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한 인쇄물 블록의 이송을 통해, 후속 레이어의 인쇄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은 인쇄 과정에서, 인쇄물 블록의 이송을 통해 후속 레이어의 인쇄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보함으로써 빌드 플랫폼의 재정비 등과 같이, 장비 교체 등에 소요되는 인쇄 설비의 다운 타임(down time)을 제거하여, 인쇄 설비의 가동 중단 없이 연속적인 인쇄물의 생산이 가능하여 3D 인쇄물의 생산성을 높여 주는 동시에, 하나의 생산 라인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인쇄물을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어 생산되는 인쇄물의 다양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3D 프린팅 공정에 적용되는 배치(Batch) 타입의 3D 프린팅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에 사용되는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의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예로써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이 인쇄 설비를 통해 구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풀리(100) 구동을 통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금속 재질의 컨베이어 벨트(200) 상부 일측에,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빌드 플랫폼(300)을 설치하여, 슬롯 다이 코터(400)를 통해 빌드 플랫폼 상부 표면에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고, 도포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광 조사수단(500)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킴으로써, 빌드 플랫폼(300) 표면을 따라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인쇄물 레이어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한 겹의 인쇄물 레이어가 인쇄되면, 슬롯 다이 코터(400)를 통해, 이렇게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인쇄물 레이어 위에 다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고, 도포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광 조사수단(500)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진 방향으로 반복 적층되는 인쇄물 레이어(600)를 통해 3D 인쇄물(700)을 생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서는, 인쇄 공정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인쇄물 블록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속 레이어의 인쇄 공간을 용이하게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는 매 레이어 단위의 인쇄 공정 완료 시마다 구동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 두께의 다수개의 레이어 단위 인쇄 주기마다 한 번씩 구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한 인쇄물 블록의 이송을 통해, 후속 레이어의 인쇄 공간이 지속적으로 확보됨으로써, 인쇄 설비의 구동을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별도의 제한이 따르지 않는 3D 인쇄물의 연속 생산이 가능하여, 인쇄 설비의 가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쇄물의 작업 공정 중 언제라도, 광 조사수단에 의해 조사되는 광 패턴을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출력되는 인쇄물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인쇄 작업의 효율성과 출력되는 인쇄물의 다양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속 생산 방식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인쇄물 블록을 인쇄 공정을 지연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출력되는 3D 인쇄물을 수거할 수 있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의 설명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UV)을 포함하여 특정 파장의 광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3D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잉크 조성물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빌드 플랫폼 등과 같은 인쇄판면에 3D 프린팅을 위한 한 겹의 인쇄 레이어를 증착할 수 있도록 액상의 점도를 가지나, 일정 온도 범위의 상변이 온도 구간(ΔT)을 넘어, 그 이하의 저온 상태에서는 점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겔(gel)화된 고형으로 굳어지는 특성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에 사용되는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의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예로써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잉크 조성물은 20℃ 정도의 상온에서는 대략 1,000,000cPs 이하의 점도를 갖는 액상으로 존재하나, 이후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그 점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15℃ 정도에서는 10,000,000cPs 이상으로 증가하고, 10℃ 이하에서는 그 점도가 1,000,000,000cPs 이상으로 단단하게 굳어진 고형으로 상변이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온 상변이 특성을 갖는 잉크 조성물은, 분자량이 50 ~ 1,000이고 광경화가 가능한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모노머와 분자량이 500 ~ 1,000,000 이고 역시 광경화가 가능한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올리고머로서, 라디칼(Radical) 방식으로 광경화가 가능한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 또는 분자량이 50 ~ 1,000이고 광경화가 가능한 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와 분자량이 500 ~ 1,000,000 이고 역시 광경화가 가능한 에폭시기를 갖는 올리고머로서 양이온(Cataionic) 방식으로 광경화가 가능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이 둘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잉크 조성물의 상변이 특성을 이용하여, 3D 프린팅이 이루어지는 제 공정을 잉크 조성물의 상변이 온도 이하의, 0℃ ~ 10℃ 저온 환경이 유지되는 저온 챔버 내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되는 도 4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원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저온의 프린팅 환경을 통해, 슬롯 다이 코터에 의해 인쇄 영역에 레이어 단위로 도포되는 액상의 잉크 조성물이, 도포됨과 함께 신속하게 냉각되어 겔(gel)화된 고형으로 상변이됨으로써 유동성이 제거되고, 이와 같이 고형화된 미경화 인쇄물 블록은 그 자체로, 광 조사를 통해 경화된 3D 인쇄물을 지지하는 동시에, 후속으로 도포되는 잉크 조성물 레이어의 인쇄면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인쇄가 진행됨에 따라,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최초에 인쇄면을 형성하던 빌드 플랫폼이 인쇄 공간을 벗어난 이후에도 인쇄 공간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미경화 인쇄물 블록의 경사면을 통해 연속적인 인쇄 공정이 그대로 유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이 인쇄 설비를 통해 구현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 방법에서는 잉크 조성물의 레이어 단위 도포와 광 조사를 통한 경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인쇄물의 인쇄 공정을 잉크 조성물의 상변이 온도 이하의 저온 환경이 유지되는 저온 챔버(800) 내에서 수행하는데, 이때, 저온 챔버(800) 내부에는 내부 대기를 항상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냉풍기 등의 온도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저온 챔버(800) 내부에는 풀리(100) 구동을 통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금속 재질의 컨베이어 벨트(200)가 구비되고, 컨베이어 벨트(200) 상부 일측에,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빌드 플랫폼(300, 도 2 참조)을 구비하여, 슬롯 다이 코터(400)를 통해 빌드 플랫폼 상부 표면에 액상의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고, 도포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광 조사수단(500)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킴으로써, 빌드 플랫폼(300) 표면을 따라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인쇄물 레이어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컨베이어 벨트(200) 또는 빌드 플랫폼에는 냉각 루프 등과 같은 냉각 수단(미도시)이 각각 연결되어 컨베이어 벨트 및 빌드 플랫폼의 표면 온도가 항상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빌드 플랫폼(300)의 경사 각도는 잉크 조성물의 특성과 인쇄 대상 3D 인쇄물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벨트 상면과 10°~ 60°범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한 겹의 인쇄물 레이어가 인쇄되면, 슬롯 다이 코터(400)를 통해, 이렇게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인쇄물 레이어 위에 다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고, 도포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광 조사수단(500)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진 방향으로 반복 적층되는 인쇄물 레이어(600)를 통해 3D 인쇄물(700)을 생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서는, 인쇄 공정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200)를 통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인쇄물 블록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속 레이어의 인쇄 공간을 용이하게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는 매 레이어 단위의 인쇄 공정 완료 시마다 구동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 두께의 다수개의 레이어 단위 인쇄 주기마다 한 번씩 구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200)에 의해 인쇄물 블록이 이송되는 저온 챔버(800)의 일측 외벽에는, 이송되는 인쇄물 블록으로부터 3D 인쇄물(700)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동시에, 저온 챔버(800) 내에서 고형화된 미경화 잉크 조성물을 다시 액상으로 환원하여 수집, 재사용하기 위한 분리수거실(900)이 연결되는데, 이때, 분리수거실의 작업 환경은 잉크 조성물의 상변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 환경으로 유지함으로써 이송되는 인쇄물 블록을 구성하는 미경화 잉크 조성물이 분리수거실에서 다시 액상으로 상변이되도록 구성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물 블록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200)는 분리수거실(900)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분리수거실(900) 내부에는 내부 대기를 항상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온도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연장부에도 분리수거실(900) 내부와 동일한 온도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온도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저온 챔버(800)와 분리수거실(900)의 경계벽에는 인쇄물 블록이 이송되는 이송 통로(910)가 형성되고, 이송 통로(910)에는 두 공간의 온도 차이에 의한 열교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 커튼 또는 커튼 월 등과 같은 단열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는, 이송되는 인쇄물 블록을 구성하는 미경화 잉크 조성물이 분리수거실(900)의 작업 환경에 의해 다시 액상으로 상변이되어, 인쇄 공정에서 경화된 3D 인쇄물과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3D 인쇄물의 분리 작업을 위해 인쇄 공정을 중단하지 않고도, 연속적인 3D 프린팅 공정을 수행하면서 경화된 3D 인쇄물을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분리수거실(900) 내부로 연장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200)의 하부에는 잉크 수집조(920)가 구비되어 액상으로 다시 상변이된 잉크 조성물을 수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송되는 인쇄물 블록을 구성하는 미경화 잉크 조성물은 분리수거실(900)에서 다시 액상으로 상변이되어 컨베이어 벨트(200) 하부에 구비되는 잉크 수집조(920)에 수거되고, 이와 같이 잉크 수집조(920)를 통해 수거된 잉크 조성물은 수거 라인(930)을 통해, 여과기(940)를 거쳐 필터링된 이후, 슬롯 다이 코터(400)에 공급되는 잉크 조성물이 저장되는 잉크 저장조(950)로 수송되어, 다시 공급 라인(960)을 통해 슬롯 다이 코터(400)로 공급됨으로써, 인쇄 과정에서 미경화된 잉크 조성물을 낭비 없이 효과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변이된 잉크 조성물과 분리되어 수거된 3D 인쇄물(700)은 세척 용액을 통한 세척 과정을 통해 인쇄물 표면에 잔존하는 미경화 잉크 조성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건조함으로써 생산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의 전 과정에서, 앞서의 도 3에서 설명하였던 상변이 특성을 갖는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겔화된 고형으로 동결되되, 상온에서는 다시 액상으로 상변이되는 잉크 조성물의 특성을 활용하여, 앞서 설명한 분리수거실의 작업 환경이나 잉크 조성물의 저장 및 수거, 공급 라인 등을 모두 상온 환경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수거되는 3D 인쇄물의 세척 등 후처리 공정 역시 모두 상온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3D 프린팅에 요구되는 제반 공정에 따른 인쇄 및 후처리 공정 설비의 구축은 물론 이를 통한 공정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의 일부 사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한정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당연하므로 이러한 변형이나 개량은 그 범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사항의 범위에 있는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300 : 빌드 플랫폼 20, 400 : 슬롯 다이 코터
30, 500 : 광 조사수단 40, 600 : 적층된 인쇄물 레이어
50, 700 : 3D 인쇄물 100 : 풀리
200 : 컨베이어 벨트 800 : 저온 챔버
900 : 분리수거실 910 : 이송 통로
920 : 잉크 수집조 930 : 수거 라인
940 : 여과기 950 : 잉크 저장조
960 : 공급 라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에서는, 금속 재질의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빌드 플랫폼을 설치하여, 빌드 플랫폼 상부 표면에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고, 도포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광 조사수단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키는 인쇄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되,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을 통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인쇄물 블록이 인쇄 공정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하여, 인쇄물 블록의 이송을 통해 후속 레이어의 인쇄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빌드 플랫폼의 교체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연속적인 인쇄물의 출력이 가능한 동시에, 인쇄 진행 중, 광 조사수단에 의해 조사되는 광 패턴을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언제든지 출력되는 인쇄물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어, 인쇄 작업의 효율성과 인쇄물의 다양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겔화된 고형으로 동결되되, 상온에서는 다시 액상으로 상변이되는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인쇄되는 3D 인쇄물의 수거를 위한 분리수거실의 작업 환경이나, 잉크 조성물의 수거 및 공급 라인은 물론, 수거되는 3D 인쇄물의 세척 등 후처리 공정 역시 모두 상온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3D 프린팅에 요구되는 제반 공정에 따른 인쇄 및 후처리 공정 설비의 구축 용이성과 함께, 이를 통한 공정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11)

  1. 일정 온도의 상변이 온도 구간 이상에서는 액상으로 존재하되, 상기 상변이 온도 구간 이하의 저온에서는 겔화된 고형으로 동결되는 상변이 온도를 갖는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3D 프린팅 방법에 있어서,
    풀리 구동을 통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부 일측에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빌드 플랫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빌드 플랫폼의 상부 표면에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 레이어에 광 조사수단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 조사가 완료된 잉크 조성물 레이어 위에 다시 광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레이어 단위로 도포하고, 광 조사수단을 통해 광 패턴을 조사하여 선별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벨트 상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진 방향으로 반복 적층되는 인쇄물 레이어를 통해 3D 인쇄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잉크 조성물의 도포와 광 조사를 통한 경화 공정은 상기 잉크 조성물의 상변이 온도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는 저온 챔버 내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인쇄 공정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일방향으로 구동되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인쇄물 블록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한 인쇄물 블록의 이송을 통해, 후속 레이어의 인쇄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빌드 플랫폼은,
    컨베이어 벨트 상면과 10°~ 60°범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매 레이어 단위의 인쇄 공정 완료 시마다 구동되거나, 또는 일정 두께의 다수개의 레이어 단위 인쇄 주기마다 한 번 씩 구동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인쇄물 블록이 이송되는 저온 챔버의 일측 외벽에는, 이송되는 인쇄물 블록으로부터 3D 인쇄물을 분리하여 수거하기 위한 분리수거실이 연결되고,
    상기 저온 챔버와 분리수거실의 경계벽에는 인쇄물 블록이 이송되는 이송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분리수거실 내부로 연장되어 인쇄물 블록을 이송함으로써, 상기 분리수거실에서 생산된 3D 인쇄물의 수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실은,
    상기 잉크 조성물의 상변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 조건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통로에는,
    에어 커튼 또는 커튼 월로 이루어지는 단열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저온 챔버와 분리수거실의 온도 차이에 의한 열교환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실로 연장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는 잉크 조성물의 수거를 위한 잉크 수집조를 구비하여,
    인쇄물 블록에 포함되어 분리수거실로 이송된 후, 분리수거실에서 다시 액상으로 상변이되어 3D 인쇄물과 분리되는 미경화 잉크 조성물을 수거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수집조를 통해 수거되는 잉크 조성물은,
    여과기을 거쳐 필터링된 후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챔버는,
    0℃ ~ 10℃ 저온 환경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실은,
    상온 환경으로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실에서 3D 인쇄물을 수거한 이후에는,
    세척 용액을 이용하여 인쇄물 표면에 잔존하는 미경화 잉크 조성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PCT/KR2020/017450 2019-12-31 2020-12-02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WO20211374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909566.0A EP3936306B1 (en) 2019-12-31 2020-12-02 Continuous production-type 3d printing method
US17/594,222 US20220184894A1 (en) 2019-12-31 2020-12-02 Continuous production-type 3d prin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633A KR102292615B1 (ko) 2019-12-31 2019-12-31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KR10-2019-0179633 2019-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451A1 true WO2021137451A1 (ko) 2021-07-08

Family

ID=7668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450 WO2021137451A1 (ko) 2019-12-31 2020-12-02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84894A1 (ko)
EP (1) EP3936306B1 (ko)
KR (1) KR102292615B1 (ko)
WO (1) WO202113745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286A (ko) * 2012-05-25 2015-03-05 복셀젯 아게 특정 구축 플랫폼 및 구동 시스템을 가지고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디바이스
WO2015190168A1 (ja) * 2014-06-11 2015-12-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三次元造形装置および三次元造形方法
KR20170045717A (ko) * 2015-10-19 2017-04-27 제록스 코포레이션 인쇄 프로세스
KR20170057002A (ko) * 2015-11-16 2017-05-24 이병극 3d 조형물의 후처리 장치
KR20170115720A (ko) * 2016-04-08 2017-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3d 프린팅 지지체용 잉크 조성물
KR20180125910A (ko) 2018-06-11 2018-11-26 주식회사 힉스 Sla 3d 프린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8456A (en) * 1989-06-12 1993-09-28 3D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stereolithographically produced objects
DE102012022859A1 (de) 2012-11-25 2014-05-28 Voxeljet Ag Aufbau eines 3D-Druckgerätes zur Herstellung von Bauteilen
DE102014014895A1 (de) * 2014-10-13 2016-04-14 Voxelje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auteilen in einem Schichtbauverfahren
DE102016219037A1 (de) * 2016-09-30 2018-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ditives Fertigungsverfahren
US20190126536A1 (en) * 2017-11-02 2019-05-02 General Electric Company Cartridge vat-based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9144896A1 (zh) * 2018-01-25 2019-08-01 广州迈普再生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3d打印机的压电喷头及其工作方法以及3d打印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286A (ko) * 2012-05-25 2015-03-05 복셀젯 아게 특정 구축 플랫폼 및 구동 시스템을 가지고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디바이스
WO2015190168A1 (ja) * 2014-06-11 2015-12-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三次元造形装置および三次元造形方法
KR20170045717A (ko) * 2015-10-19 2017-04-27 제록스 코포레이션 인쇄 프로세스
KR20170057002A (ko) * 2015-11-16 2017-05-24 이병극 3d 조형물의 후처리 장치
KR20170115720A (ko) * 2016-04-08 2017-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3d 프린팅 지지체용 잉크 조성물
KR20180125910A (ko) 2018-06-11 2018-11-26 주식회사 힉스 Sla 3d 프린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936306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6306B1 (en) 2024-02-07
EP3936306A4 (en) 2022-11-23
KR102292615B1 (ko) 2021-08-24
KR20210085996A (ko) 2021-07-08
EP3936306A1 (en) 2022-01-12
US20220184894A1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4436B2 (en) Method and production line for making tangible products by layerwise manufacturing
EP37083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with shared components
CN1061296C (zh) 轮胎的组装和硫化
EP3322582A1 (en) 3d ceramic printer and a method using the same
RU2469007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лит из керам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CN102173193A (zh) 一种用于纸张印刷或覆膜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201979802U (zh) 一种用于纸张印刷或覆膜的控制系统
WO2020166755A1 (ko) 3d프린터
CN101987491B (zh) 汽车制动气室橡胶隔膜循环二次硫化装置
WO2021137451A1 (ko) 연속 생산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
CN103143489A (zh) 一种层架式热固化机
CN107053668B (zh) 一种纤维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其专用设备
CN111486714A (zh) 一种联锁片自动化生产用养护窑进出料装置及其使用方法
CN212857633U (zh) 3d砂模打印机
FI126800B (en) Method for casting concrete products
WO2021137450A1 (ko) 저온 상변이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3d 프린팅 방법
CN212241526U (zh) 一种陶瓷砖布料装置
CN112428412A (zh) 一种市政构件全自动生产线
CN214187750U (zh) 一种市政构件全自动生产线
CN110861207A (zh) 双面叠合混凝土预制构件生产系统
CN217144929U (zh) 一种组合式大尺寸聚合物3d打印后处理装置
EP406703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forms for a wind turbine blade, manufacturing arrangement for manufacturing preforms for a wind turbine blade, and mould for a manufacturing arrangement
CN212288865U (zh) 一种热压机的余热利用装置
CN219898891U (zh) 一种涂布均匀的涂布机
JP2977094B2 (ja) 鋳造用シェルすなわち鋳造用シェル組立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95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095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005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