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37430A1 -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37430A1
WO2021137430A1 PCT/KR2020/016274 KR2020016274W WO2021137430A1 WO 2021137430 A1 WO2021137430 A1 WO 2021137430A1 KR 2020016274 W KR2020016274 W KR 2020016274W WO 2021137430 A1 WO2021137430 A1 WO 20211374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edle
hyaluronic acid
eye
fistula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2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문수
고미영
김수미
송종석
엄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테라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테라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테라피
Priority to AU202041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20417087B2/en
Priority to US17/787,901 priority patent/US20230041723A1/en
Priority to IL294370A priority patent/IL294370A/en
Priority to JP2022540868A priority patent/JP2023509680A/ja
Priority to EP20909236.0A priority patent/EP4085949A4/en
Priority to BR112022012792A priority patent/BR112022012792A2/pt
Priority to CA3166315A priority patent/CA3166315A1/en
Priority to CN202080091511.2A priority patent/CN115279436A/zh
Publication of WO20211374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374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2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76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promotion of self-sealing of the 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ection needle for suppressing fistula of the eye capable of self-seal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needle for suppressing fistula of the eye capable of self-sealing in which hyaluronic acid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needle, and its manufacture it's about how
  • the number of glaucoma patients increased by 49% in four years to 767,000 in 2015, and about 515,000 in 2011. During the same period,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increased by about 24% and the number of patients with macular degeneration by about 48%. As of 2015,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suffering from the three major blindness diseases has reached the level of over 1.2 million. If this trend continues, the number of patients worldwide is expected to increase to 200 million by 2020.
  • the ophthalmic disease is treated using intravitreal injection in which an antibody or anti-inflammatory agent is directly injected into the vitreous cavity.
  • Intravitreal injection is a technique widely used as a drug treatment for various diseases of the posterior segment.
  • triamcinolone acetonide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retinopathy, macular edema, and uveitis
  • antivascular endothelial Intravitreal injection of growth factor (anti-VEGF) has been tried in various ways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other diseases, and the number of ocular injections has increased rapidly (Gupta OP et al., Ophthalmology. 2010 Nov;117 (Gupta OP et al., Ophthalmology. 2010 Nov;117 (Gupta OP et al., Ophthalmology.
  • intraocular injection is repeated. may increase the risk of eye infections.
  • staphylococci that reside on the surface of the eyeballs, and bacteria penetrate through the passages left after the ocular examination or injection to cause intraocular infections.
  • the bleeding-free injection needle coated with chitosan crosslinked by introducing a catechol group and an oxidized catechol group according to Korea Patent No. 10-1576503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or is a bleeding-free injection that can suppress bleeding occurring during injection.
  • the needle when the needle is used for the eye tissue, the adhesion with the tissue is strong and the friction with the tissue is high, so the user feels stiff, and the eyeball is pressed during injection.
  • the drug is repeatedly injected into the white part of the eye during clinical application, as shown in FIG. 1, chitosan with a catechol group introduced remains in the injected white part, and when oxidation progresses over time, the color of the polym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lor of the injection site is exposed due to the chang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diligent effort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result of coating a biocompatible polymer such as gelatin, collagen, hyaluronic acid, etc. on the surface of the injection needle, when applying ocular injection
  • a biocompatible polymer such as gelatin, collagen, hyaluronic acid, etc.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jection for inhibiting fistula of the ey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iocompatibl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injection needle. provide needl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the steps of (a) performing an oxygen plasma treatment of the needle; and (b) coating the needle with a biocompatible polymer in one or more biocompatible polymer solu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 FIG. 1 is a photograph of applying a chitosan-coated injection needle into which a catechol group is introduced to an eye tiss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hotograph comparing the sealing for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olecular weight of hyaluronic acid of a sealable injection needle coated with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aling force of a general injection needle.
  • FIG 3 is an image of observing a 30G injection needle coated with hyaluronic acid in two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a needle penetration force tester (Needle Penetration Force Tester) of a sealable injection needle coated with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concentration values of six cytokines in the aqueous humor of rabbit eyes injected with a sealable needle coated with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concentration values of six cytokines in the vitreous fluid of rabbit eyes injected with a sealable needle coated with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needle when a needle is manufactured by coating hyaluronic acid on the surface of the needle, it immediately blocks the hole that inevitably occurs as the needle comes out when applying ocular injection, resulting in water leakage and extraocular reflux of the drug.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prevent intraocular infection by preventing bacterial penetration and preventing inf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ection needle for inhibiting fistula of the ey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iocompatibl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injection needle.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reating a plasma with a needle; and (b) coating the needle with a biocompatible polymer in a solution of one or more biocompatible 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It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jection needle for inhibiting fistula of the eye. .
  • the needle for inhibiting fistula of the ey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iocompatibl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needle.
  • the biocompatible polymer coated on the needle for inhibiting fistula of the ey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nionic polymer, a cationic polymer, a neutral polymer, and a synthetic polymer.
  • it may be an anionic polymer such as hyaluronic acid or alginate, carboxymethylcellulose, etc., a cationic polymer such as chitosan, a neutral polymer such as gelatin, collagen, dextran, or a synthetic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glycol.
  • the biocompatible polymer may be hyaluronic acid, collagen, or a mixture of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 the ocular injection coated with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good biocompatibility with the ocular tissue, and has a sealing effect in order to suppress not only leakage of drugs but also bacteria that may exist in the eyelids enter the injection passage to suppress inflammation in the eyes, At this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eeling of use is not stiff compared to a general syringe 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tissue during injection.
  •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yaluronic acid may be 20 ⁇ 1000 KDa, preferably 66 ⁇ 850 KDa, more preferably 151 ⁇ 749 KDa.
  •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yaluronic acid is less than 20 KD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lecular weight is small, the water absorption amount is low, the expansion rate is low, and the physical properties are weak, so that it is easily absorbed into the tissue and cannot sufficiently block the fistula, and when it exceeds 1000 KDa, the molecular weight is Due to its high physical properties, the feeling of use is stiff when puncturing an injection, or the polymer film coated on the needle cannot be fixed to the tissue, and the film peels off and is pushed out of the fistula that occurs after the needle and cannot block the fistula.
  • the amount of the coated hyaluronic acid may be 12.6 ⁇ 276 ⁇ g, preferably 12.6 ⁇ 138 ⁇ g.
  • the amount of hyaluronic acid is less than 12.6 ⁇ g, the amount of polymer is small, so there is little swelling due to moisture in the tissu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stula cannot be sufficiently blocked due to weak physical properties, and when it exceeds 276 ⁇ g, the coated polymer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thick, the user feels the feeling of use is stiff,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ye may be pressed due to force during injection.
  •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needle may be 0.1 to 40 ⁇ m, preferably,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front 1/2 that first touches the eye is 0.1-10 ⁇ m, and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rear 1/2 is 20 -40 ⁇ m. At this time, when the coating thickness exceeds 40 ⁇ m, the thickness of the coated polymer film becomes thick, so that the user feels stiff,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ye may be pressed by force during injection.
  • the eye is diabetic retinopathy (diabetic retinopathy), macular degeneration (macular degeneration), uveitis (uveitis), retinopathy of prematurity (retinopathy of prematurity), corneal graft rejection (corneal graft rejection), angiogenic glaucoma
  • an ophthalmic disea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eovascular glaucoma) and proliferative retinopathy, and preferably diabetic retinopathy, macular degeneration or uveitis. All eye diseases are free.
  • the injection needle for suppressing fistula of the eye comprises the steps of: (a) treating the injection needle with plasma; and (b) coating the needle with a biocompatible polymer in one or more biocompatible polymer solu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 the step (b) may be performed for 0.5 to 18 hours at a temperature of 15 ⁇ 25 °C coating.
  • the oxygen plasma treatment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5 to 25° C. for 5 minutes to 20 minutes, preferably 8 minutes to 12 minutes, and most preferably 10 minutes.
  •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yaluronic acid may be 20 ⁇ 1000 KDa
  • the concentration of the hyaluronic acid solution may be 0.1 ⁇ 2.0w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lf-sealing ocular fistula suppression needle, which can be self-sealing, to the remaining hole when the instrument is removed after surgery and a procedure performed by inserting an instrument into the eyeball by drilling a hole in the eye, such as vitrectomy, after surgery. It provides a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immediately close the generated hole.
  • Example 1 Selection of a polymer suitable for eye tissue
  • HA hyaluronic acid
  • alginate alginate
  • CMC carboxymethylcellulose
  • chitosan gelatin
  • collagen and dextran and a catechol group as a polymer
  • Eye syringes each coated with chitosan were prepared.
  • Chitosan into which a catechol group is introduced is a polymer disclosed in a prior patent (Korean Patent No. 10-1576503, title of invention: a bleeding-free injection needle coated with chitosan crosslinked by introducing a catechol group and an oxidized catechol group).
  • the sealing force and feeling of use in pig eye tissues were compared and confirmed with an eye syringe coated with various biocompatible polymers, and the experiment was independently performed 5 times.
  •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sealing power and feeling of use with an eye syringe coated with various biocompatible polym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ye injection coated with hyaluronic acid had superior sealing power and feel compared to other biocompatible polymers.
  • the sealing force confirmed the leakage of the solution after injection into the pig's eyeball, and the feeling of use was judged by the user's feeling that the polymer coating gets caught in the eye when the needle is injected into the eye and the pressure of the eyeball.
  • chitosan with a catechol group introduced is a bleeding-free injection needle that can suppress bleeding that occurs during injection. Eyeball compression was observed.
  • chitosan with a catechol group introduced remains in the injected white part, and when oxidation progresses over time, the injection site Discoloration may occur.
  • the ocular injection coated with hyaluronic acid has good biocompatibility with the ocular tissue, and has a sealing effect to suppress not only drug leakage but also bacteria that may exist in the eyelids enter the injection passage to suppress inflammation in the eyeball.
  •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were selected as polymers suitable for ocular injection because the feeling of use was not stiff compared to the general syringe 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tissue.
  • HA hyaluronic acid
  • a general injection needle (30 G) was subjected to oxygen plasma treatment for 10 minutes, a hyaluronic acid solution having a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10 to 1190 KDa was placed on the needle, and the coating was performed while rotating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the above process was repeated twice to prepare a sealable injection needle.
  • Example 2 in order to compare and evaluate the sealing effect of a sealable injection needle (30G) coated with hyaluronic acid having various molecular weights, the dye solution was injected into the porcine eye tissue and then the needle was removed. was checked for leakage.
  • the thickness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coated film is different for injection to have a seal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It was prepar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hyaluronic acid film to be coated on the needle so that it can be injected without being stiff by reducing friction with the tissue when using.
  • FIG. 3 is an image of observing a 30 G injection needle coated with hyaluronic acid, the front side coated with hyaluronic acid was about 310.4 ⁇ m, and the back side was measured to be 371.6 ⁇ m.
  • Figure 4 is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needle penetration tester, when the needle penetrates the artificial tissue, the greatest force is 0.42 to 0.45 N, and the penetrating force at the position where the hyaluronic acid film is coated is 0.20 to 0.30 N, which is smaller than the greatest force. was measured.
  • Experimental Example 2-2 Comparative evaluation of sealing performance and feeling of use in pig eye tissue
  • the dye was applied to the pig eye tissue. After injecting the solution, it was checked whether the dye solution was leaked when the needle was withdrawn, and at the same time, the feeling of the coated hyaluronic acid caught in the eye tissue and the eye pressure phenomenon when the user injected the tissue into the tissue were compared and evaluated.
  • Table 4 shows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sealing performance and feeling of use according to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front and back. Compared with the needle coated with the same thickness, the needle coated with different thickness of hyaluronic acid on the front and back maintains the sealing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feeling of use was improved.
  • the sealing performance was compared and evaluated by applying the manufactured sealable injection needle (30 G) and the general injection needle (30 G) to the rabbit eye injection model.
  • the animal used for the evaluation was a New Zealand White Rabbit.
  • the test group was set as a 'control group' to which a general injection needle was applied and a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sealable injection needle prepared in Example 2 was applied, and a comparative experiment was conducted. Experiments were independently performed three times.
  • the rabbit was completely anaesthetized, it was injected into the rabbit eye with a general injection needle containing dye solution or a sealable injection needle, and then visually observed whether the dye solution leaked through the injection passage.
  • Table 5 shows the results of visually observing whether the injected dye solution leaks through the injection passage after injecting the dye solution with a general injection needle or a sealable injection needle. It was confirmed that the silver dye solution did not leak out.
  • the rabbit is completely anesthetized and then injected 4 times into the rabbit eye.
  • the same procedure was performed on days 3 and 7.
  • the eyeballs of animals that have been ocularly injected up to 7 days are removed and stored frozen, and then intraocular aqueous humor and vitreous fluid are separated.
  • the concentrations of various inflammation-related cytokines, IL-4, IL-17, IL-1b, PEG2, TNG- ⁇ and IFN-g, in the isolated aqueous humor and vitreous humor were analyzed by ELISA method.
  • Figure 5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concentration values of 6 types of cytokines in the aqueous humor
  • Figure 6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concentration values of the 6 types of cytokines in the vitreous humor.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flammatory response when the inflammatory cytokine concentration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the ocular injection with a general needle and the ocular injection with a sealable needle.
  • the hyaluronic acid-coated ocular fistula suppression nee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very thin coating of an ocular self-seal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needle used for the eye, thereby preventing the hole that inevitably occurs as the needle comes out after injection into the ey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raocular infection by preventing leakage of the eye water and penetration of bacteria by blocking almost immediately.
  • Expensive drugs such as Lucentis or Eylea used for various cancer diseases such as macular degeneration (for example, about 1 million won per injection of Lucentis) It can prevent regurgitation, so that the required dose set by the pharmaceutical company can be secured,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patient considerab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알루론산이 주사바늘의 표면에 코팅된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은 안구주사 적용시 주사바늘이 빠져나오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구멍을 즉각적으로 막아 안수의 누수 및 약물의 눈 외역류를 방지하고 세균 침투를 막아 안구 내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알루론산이 주사바늘의 표면에 코팅된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고령인구가 증가하면서 눈의 노화가 계속되고, 눈의 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질환인 흔히 3대 실명질환이라고 일컬어지는 녹내장,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이 늘어나고 있다.
녹내장 환자수는 2011년 51만 5000여 명세서 2015년 76만 7000여명으로 4년 새 약 49%가 늘었고, 같은 기간 당뇨망막병증 환자수는 약 24%, 황반변성 환자수는 약 48%가 늘었다. 2015년 기준으로 3대 실명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수를 합치면 약 120만 명이 넘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추세라면 202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환자수가 2억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상기 안과질환은 유리체강 내에 항체나 항염증제제를 직접 주사하는 유리체강 내 주사(intravitreal injection)를 이용하여 치료한다.
유리체강내 주입술은 후안부의 여러 질환에 대한 약물치료로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며, 특히 당뇨망막병증, 황반부종, 포도막염을 치료하기 위한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triamcinolone acetonide) 유리체강내 주입술에 이어 최근에는 항 혈관 내피성장인자(anti-VEGF)의 유리체강내 주입술이 연령관련 황반변성 및 기타 여러 질환에 다양하게 시도하여 좋은 결과를 얻어 안구주사 시술이 급격히 증가하였다(Gupta OP et al., Ophthalmology. 2010 Nov;117(11):2134-40; Scanlon PH et al., Health Technol Assess. 2015 Sep;19(74):1-116; Rasmussen A et al., Acta Ophthalmol. 2017 Mar;95(2):128-132).
이에 따라 유리체강내 주입술로 인한 합병증 발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중 감염성 안내염은 다른 합병증들에 비하여 그 발생 빈도는 낮지만 실명에 이르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주의를 요하고 있다(Souied EH et al., A Retrospective Claims Database Analysis. Ophthalmic Epidemiol. 2016;23(2):71-9; Rayess N et al., Br J Ophthalmol. 2016 Aug;100(8):1058-61; VanderBeek BL et al., JAMA Ophthalmol. 2015 Oct;133(10):1159-64). 그러나 유리체강내 주입술은 약효가 지속되지 않아 일회 주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인 투여가 필요하고, 투여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안구 내 주사를 반복 시행하므로 주사바늘의 통로를 따라 균이 안구로 들어가 안감염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안구주사로 인해 발생한 안구 내 감염의 원인균을 분석해 보면 대부분 안구 표면에 상재하는 포도구균으로 안구조사 과정이나 주사 후 남은 통로를 통해 세균이 침투해 안구 내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구 내 감염은 실명에 이를 수 있는 안과에서 가장 무서운 합병증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감염성 안내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현재 무균적 환경과 포비딘 아이오딘(povidone iodine) 용액과 소독된 개검기 등을 사용하는 것밖에 없다. 그러므로 안구주사 사용시 동반되는 감염성 안내염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명확한 예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본 발명자에 의하여 개시된 한국등록특허 10-1576503호에 의한 카테콜 기 및 산화된 카테콜 기가 도입되어 가교된 키토산으로 코팅된 무출혈 주사바늘은 주사 시 발생하는 출혈을 억제할 수 있는 무출혈 주사바늘인 반면 이를 안구 조직에 사용 시에는 조직과의 접착력이 강하여 조직과의 마찰력이 높아 사용자가 뻑뻑하다고 느끼며, 주사 시 안구가 눌리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임상에 적용 시 안구의 흰자 부분에 약물을 수 차례 반복하여 주사하게 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콜기가 도입된 키토산은 주사한 흰자 부위에 남아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가 진행될 시 고분자의 색 변화로 인하여 주사부위의 색 노출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젤라틴(gelatin), 콜라겐(collage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과 같은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주사바늘의 표면에 코팅시킬 경우, 안구주사 적용시 주사바늘이 빠져나오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구멍을 즉각적으로 막아 약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세균 침투를 막아 안구 내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 후 누공의 생성을 억제하여 안수의 누수, 약물의 누출 및 세균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및 콜라겐(collage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주사바늘의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주사바늘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b)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collage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용액 내에서 상기 주사바늘에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테콜기가 도입된 키토산이 코팅된 주사바늘을 안구 조직에 적용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히알루론산으로 코팅한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의 히알루론산 분자량에 따른 밀봉력 특성을 비교한 결과와 일반 주사바늘의 밀봉력과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히알루론산이 2단계로 코팅되어 있는 30G 주사바늘을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히알루론산으로 코팅한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의 니들 침투력 시험기(Needle Penetration Force Tester)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히알루론산으로 코팅한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로 주사한 토끼 안구의 방수 내에서 6종의 사이토카인의 농도 값을 확인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히알루론산으로 코팅한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로 주사한 토끼 안구의 유리체액 내에서 6종의 사이토카인의 농도 값을 확인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구현예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히알루론산을 주사바늘의 표면에 코팅시켜 주사바늘을 제조할 경우, 안구주사 적용시 주사바늘이 빠져나오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구멍을 즉각적으로 막아 안수의 누수(leakage) 및 약물의 눈 외역류를 방지하고 세균 침투를 막아 안구 내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주사바늘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주사바늘을 플라즈마를 처리하는 단계; 및 (b)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용액 내에서 상기 주사바늘에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은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주사바늘의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에 코팅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음이온성 고분자, 양이온성 고분자, 중성 고분자 및 합성 고분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또는 알지네이트,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음이온성 고분자, 키토산 등과 같은 양이온성 고분자, 젤라틴, 콜라겐, 덱스트란 등과 같은 중성 고분자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합성 고분자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 콜라겐 또는 히알루론산과 콜라겐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으로 코팅된 안구주사는 안구 조직과의 생체적합성이 좋으며, 약물의 누출뿐만 아니라 눈꺼풀에 존재할 수 있는 균들이 주사 통로로 들어가 안구 내의 염증 유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밀봉 효과가 있고, 이때 주사 시 조직과의 마찰력을 줄여 사용감이 일반 주사기와 비교하여 뻑뻑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20~1000 KDa, 바람직하게는 66~850 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749 KDa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20 KDa 미만일 때는 분자량이 작아 수분 흡수량이 적어 팽창률이 낮고, 물리적인 물성이 약하여 조직에 쉽게 흡수되어 누공을 충분하게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1000 KDa 초과할 경우에는 분자량이 커 물리적인 물성이 단단하여 주사를 찌를 시 사용감이 뻑뻑하거나 주사침에 코팅되어 있는 고분자 필름이 조직에 고정되지 못하고 필름이 벗겨져 주사바늘 후 생기는 누공에서 밀려나 누공을 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팅된 히알루론산의 양은 12.6~276 ㎍, 바람직하게는 12.6~138 ㎍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양이 12.6 ㎍ 미만일 때는 고분자의 양이 적어 조직 내 수분에 의한 팽창이 적고, 물리적인 물성이 약하여 누공을 충분하게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276 ㎍을 초과할 경우에는 코팅된 고분자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져 사용자가 사용감이 뻑뻑하다고 느끼며, 주사 시 힘이 들어가 안구가 눌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의 코팅 두께가 0.1~4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안구에 먼저 닿는 앞쪽 1/2의 코팅두께는 0.1-10 ㎛이고, 뒤쪽 1/2의 코팅두께는 20-40 ㎛일 수 있다. 이 때, 코팅 두께가 40 ㎛ 초과할 경우에는 코팅된 고분자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져 사용자가 사용감이 뻑뻑하다고 느끼며, 주사 시 힘이 들어가 안구가 눌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구는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황반변성(macular degeneration), 포도막염(uveitis), 미숙아 망막병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각막 이식 거부(corneal graft rejection), 혈관신생성녹내장(neovascular glaucoma) 및 증식성망막증(proliferative retinopathy)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안과질환을 앓고 있는 객체의 안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 또는 포도막염일 수 있으나, 안구주사를 치료 수단으로 하는 안과질환이면 모두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은 (a) 주사바늘을 플라즈마를 처리하는 단계; 및 (b)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용액 내에서 상기 주사바늘에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15~25℃의 온도에서 0.5~18시간 동안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소 플라즈마 처리는 15~25℃의 온도에서 5분 내지 20분, 바람직하게는 8분 내지 12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20~1000 KDa일 수 있으며,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의 농도는 0.1~2.0wt%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체절제술과 같은 안구에 구멍을 뚫고 기구를 안구 내 삽입하여 시행하는 수술 및 술기 이후, 기구 제거 시 남아있는 구멍에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을 적용하여 수술 후 발생한 구멍을 즉각적으로 막는데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안구 조직에 적합한 고분자 선정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알지네이트(alginate),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CMC), 키토산(chitosan), 젤라틴(gelatin), 콜라겐(collagen) 및 덱스트란(dextran)과 고분자인 카테콜기가 도입된 키토산으로 각각 코팅된 안구주사기를 제조하였다.
카테콜기가 도입된 키토산은 선행특허(한국등록특허 10-1576503호, 발명의 명칭: 카테콜 기 및 산화된 카테콜 기가 도입되어 가교된 키토산으로 코팅된 무출혈 주사바늘)에 개시된 고분자이다.
여러 생체적합성 고분자들을 사용하여 코팅한 안구주사기로 돼지 안구 조직에서의 밀봉력과 사용감을 비교 확인하였으며, 실험은 독립적으로 5회 수행하였다.
표 1은 여러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코팅된 안구주사기로 밀봉력 및 사용감 비교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히알루론산으로 코팅된 안구주사가 밀봉력 및 사용감이 다른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 밀봉력은 돼지 안구 주사 후 용액의 누출을 확인하였으며, 사용감은 주사바늘을 안구에 주입시 고분자 코팅이 안구에 걸리는 사용자의 느낌 및 안구눌림 현상으로 판단하여 사용감이 좋으면 높은 점수를 주었다.
이때 카테콜기가 도입된 키토산은 주사 시 발생하는 출혈을 억제할 수 있는 무출혈 주사바늘인 반면 이를 안구 조직에 사용 시에는 조직과의 접착력이 강하여 조직과의 마찰력이 높아 사용자가 뻑뻑하다고 느끼며, 주사 시 안구 눌리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임상에 적용 시 안구의 흰자 부분에 약물을 수 차례 반복하여 주사하게 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콜기가 도입된 키토산은 주사한 흰자 부위에 남아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가 진행될 시 주사부위의 변색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히알루론산으로 코팅된 안구주사는 안구 조직과의 생체적합성이 좋으며, 약물의 누출뿐만 아니라 눈꺼풀에 존재할 수 있는 균들이 주사 통로로 들어가 안구 내의 염증 유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밀봉 효과가 있고, 이때 주사 시 조직과의 마찰력을 줄여 사용감이 일반 주사기와 비교하여 뻑뻑하지 않으므로, 안구주사에 적합한 고분자로 히알루론산과 콜라겐을 선정하였다.
Figure PCTKR2020016274-appb-T000001
실시예 2: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의 제조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을 제조하기 위하여 10~119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가진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15 mg을 1 mL의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일반주사바늘(30 G)을 10분 동안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였고, 그 주사바늘에 10~119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가진 히알루론산 용액을 올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회전시키며 코팅을 수행하였고, 상기 과정을 2회 반복하여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히알루론산 분자량에 따른 돼지 안구 조직에서의 밀봉 성능 비교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2와 같이 여러 분자량을 가진 히알루론산으로 코팅한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30G)의 밀봉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돼지 안구 조직에 염료용액을 주사 후 주사바늘을 빼내었을 때 염료용액의 유출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도 2와 표 2은 히알루론산 분자량에 따른 밀봉력 특성 비교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일반 주사바늘(30 G)은 주사된 통로로 염료용액이 새어 나와 밀봉 효과가 없는 반면에 176~350 KDa의 범위를 가진 히알루론산으로 코팅한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과 601~850 KDa의 범위를 가진 히알루론산으로 코팅한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이 안구 조직에서 가장 밀봉 효과가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CTKR2020016274-appb-T000002
실험예 2: 주사바늘의 히알루론산 코팅 두께 조절 및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실험예 1에서 안구 조직에서 가장 밀봉 효과가 좋은 601~850 KDa의 범위를 가진 히알루론산으로 코팅할 시 주사에 코팅된 필름의 앞과 뒤의 두께를 달리하여 밀봉 효과가 있으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사용 시 조직과의 마찰을 줄여 뻑뻑하지 않게 주사할 수 있도록 주사바늘에 코팅할 히알루론산 필름의 두께를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앞과 뒤의 두께를 달리하여 히알루론산이 코팅된 주사바늘의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확대하여 주사바늘에 코팅되어 있는 필름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도 3은 히알루론산이 코팅되어 있는 30 G 주사바늘을 관찰한 이미지이며, 히알루론산이 코팅된 앞쪽은 약 310.4 ㎛이며, 뒤쪽은 371.6 ㎛로 측정되었다.
30G이 주사바늘은 다음과 같은 규격을 갖는다.
Figure PCTKR2020016274-appb-T000003
이는 주사바늘이 주사되는 앞쪽은 조직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얇게 코팅하였고, 밀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뒤쪽은 앞쪽보다 두껍게 코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1: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의 침투력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제조한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30G)에 코팅된 히알루론산 필름이 생체 조직에 주사 시 조직에 침투하는 힘을 확인하기 위하여 니들 침투력 시험기(Needle Penetration Force Tester)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독립적으로 3회 수행하였다.
도 4는 니들 침투력 시험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이며, 니들이 인공조직을 침투 시 가장 큰 힘은 0.42~0.45 N, 히알루론산 필름이 코팅 된 위치에서의 침투력은 가장 큰 힘보다 작은 0.20~0.30 N으로 측정되었다.
실험예 2-2: 돼지 안구조직에서의 밀봉 성능 및 사용감 비교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앞과 뒤의 두께를 달리하여 히알루론산이 코팅된 주사바늘과 앞과 뒤의 두께가 동일하게 히알루론산이 코팅된 주사바늘의 밀봉 성능 및 사용감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돼지 안구 조직에 염료용액을 주사 후 주사바늘을 빼내었을 때 염료용액의 유출 유무를 확인하였고, 동시에 사용자가 조직에 주입 시 코팅된 히알루론산이 안구 조직에 걸리는 느낌 및 안구눌림현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표 4는 앞과 뒤의 코팅 두께에 따른 밀봉 성능 및 사용감 비교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앞과 뒤의 히알루론산의 두께가 다르게 코팅된 주사바늘이 두께가 동일하게 코팅된 주사바늘과 비교하여 밀봉 효과는 유지하면서 사용감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CTKR2020016274-appb-T000004
실험예 2-3: 토끼 안구주사 모델에서의 밀봉 성능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제조된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30 G)과 일반 주사바늘(30 G)를 토끼 안구주사 모델에 적용하여 밀봉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동물은 New Zealand White 종의 토끼(Rabbit)이다. 시험군은 일반 주사바늘을 적용한 ‘대조군’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을 적용한 ‘실험군’으로 설정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은 독립적으로 3회 수행하였다.
토끼를 완전한 마취상태를 유도한 후 토끼 안구에 염료용액이 든 일반 주사바늘 또는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로 주사한 후 주사통로를 통하여 염료용액이 새어 나오는지 육안 관찰하였다.
표 5는 일반 주사바늘 또는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로 염료용액을 주입한 후 주사통로를 통하여 주입한 염료용액이 새어 나오는지 육안 관찰한 결과이며, 일반 주사바늘은 주사통로를 통하여 새어 나오는 반면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은 염료용액이 새어 나오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Figure PCTKR2020016274-appb-T000005
실험예 2-4: 토끼 안구주사 후 안구 내 방수와 유리체액에서의 염증 사이토카인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제조된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30G)이 일반 주사바늘(30 G)과 비교하여 안구주사 후 코팅물질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토끼를 완전한 마취상태를 유도한 후 토끼 안구에 4회 주사한다. 상기 과정을 3일과 7일에 동일하게 수행한다. 7일까지 안구주사를 완료한 동물의 안구를 적출하여 냉동보관 후 안구 내 방수와 유리체액을 분리한다. 분리한 방수와 유리체액 내에서의 다양한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IL-4, IL-17, IL-1b, PEG2, TNG-α 및 IFN-g 총 6종의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도 5는 방수 내에서 6종의 사이토카인의 농도 값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6은 유리체액에서의 6종의 사이토카인의 농도 값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때 일반 주사바늘로 안구 주사 시와 밀봉 가능한 주사바늘로 안구 주사 시의 염증 사이토카인 농도 값을 비교하였을 때 염증반응 차이가 없다고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이 코팅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은 안구에 사용하는 주사바늘의 표면에 안구 자기실링 물질을 매우 얇게 코팅함으로써 안구에 주사 후 주사바늘이 빠져나오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구멍을 거의 즉각적으로 막아 안수의 누수(leakage) 및 세균 침투를 막아 안구 내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황반변성 등 다양한 암질환에 사용하는 루센티스(Lucentis) 또는 아일리아(Eylea) 등의 고가의 약물(예를 들면 루센티스의 1회 주사시 약 100만원)을 주입시 종종 발생되는 약물의 눈 외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 제약사가 정하는 필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환자의 부담을 상당량 줄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주사바늘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콜라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과 콜라겐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20~1000 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의 코팅 두께가 0.1~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의 전반부 두께는 0.1~10 ㎛이고, 후반부 두께는 2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는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황반변성(macular degeneration), 포도막염(uveitis), 미숙아 망막병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각막 이식 거부(corneal graft rejection), 혈관신생성녹내장(neovascular glaucoma) 및 증식성망막증(proliferative retinopathy)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안과질환을 앓고 있는 객체의 안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9.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의 제조방법:
    (a) 주사바늘을 플라즈마를 처리하는 단계; 및
    (b)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용액 내에서 상기 주사바늘에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코팅하는 단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콜라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과 콜라겐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15~25℃의 온도에서 0.5~18시간 동안 코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15~25℃의 온도에서 5-2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의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20~1000 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의 제조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의 농도는 0.1~2.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의 제조방법.
PCT/KR2020/016274 2019-12-31 2020-11-18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 WO2021137430A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0417087A AU2020417087B2 (en) 2019-12-31 2020-11-18 Self-sealable injection needle for inhibiting formation of fistula on eyeba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7/787,901 US20230041723A1 (en) 2019-12-31 2020-11-18 Self-sealable injection needle for inhibiting formation of fistula on eyeba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IL294370A IL294370A (en) 2019-12-31 2020-11-18 An injection needle with a self-sealing mechanism, for delaying the formation of a fistula in the ey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needle
JP2022540868A JP2023509680A (ja) 2019-12-31 2020-11-18 自己シーリングが可能な眼球の瘻孔抑制用注射針及びその製造方法
EP20909236.0A EP4085949A4 (en) 2019-12-31 2020-11-18 SELF-SEALING INJECTION NEEDLE FOR INHIBITING FISTULA FORMATION ON THE EYEBAL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BR112022012792A BR112022012792A2 (pt) 2019-12-31 2020-11-18 Agulha de injeção autovedável para inibição de formação de fístula no globo ocular,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a mesma
CA3166315A CA3166315A1 (en) 2019-12-31 2020-11-18 Self-sealable injection needle for inhibiting formation of fistula on eyeba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02080091511.2A CN115279436A (zh) 2019-12-31 2020-11-18 一种用于抑制眼球上瘘管形成的可自密封注射针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9379 2019-12-31
KR10-2019-0179379 2019-12-31
KR10-2020-0047768 2020-04-21
KR1020200047768A KR102222519B1 (ko) 2019-12-31 2020-04-21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430A1 true WO2021137430A1 (ko) 2021-07-08

Family

ID=7517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274 WO2021137430A1 (ko) 2019-12-31 2020-11-18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041723A1 (ko)
EP (1) EP4085949A4 (ko)
JP (1) JP2023509680A (ko)
KR (1) KR102222519B1 (ko)
CN (1) CN115279436A (ko)
AU (1) AU2020417087B2 (ko)
BR (1) BR112022012792A2 (ko)
CA (1) CA3166315A1 (ko)
IL (1) IL294370A (ko)
WO (1) WO202113743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3436A (ja) * 2006-09-13 2010-02-04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被覆された医療装置
KR20100058778A (ko) * 2008-11-25 2010-06-04 한완석 세포재생 촉진용 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576503B1 (ko) 2015-04-03 2015-12-11 주식회사 이노테라피 카테콜 기 및 산화된 카테콜 기가 도입되어 가교된 키토산으로 코팅된 무출혈 주사바늘
KR20160005735A (ko) * 2013-05-03 2016-01-15 클리어사이드 바이오메디컬, 인코포레이드 안구용 주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18229B1 (ko) * 2016-09-23 2018-01-12 한국과학기술원 즉각적인 지혈능을 보유한 무출혈 주사바늘의 제조방법
KR101866005B1 (ko) * 2013-02-13 2018-06-08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니들 코팅용 조성물 및 마이크로 니들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94613A (zh) * 2003-11-10 2007-12-26 血管技术国际股份公司 医用植入物和抗瘢痕形成剂
DE102008018953A1 (de) * 2008-04-15 2009-10-22 S & V Technologies Ag Kanüle
WO2018017674A1 (en) * 2016-07-19 2018-01-25 Pathak Holdings, Llc Methods, compositions, and devices for drug / live cell microarrays
KR101549086B1 (ko) * 2014-11-10 2015-09-02 주식회사 스몰랩 마이크로 니들 및 마이크로 니들 패치
KR101676861B1 (ko) * 2015-04-10 2016-11-17 씨앤텍 주식회사 마이크로 니들 패치 제조장치와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
KR101891398B1 (ko) * 2016-07-19 2018-08-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니들,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
KR102238033B1 (ko) * 2018-01-18 2021-04-08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이식형 마이크로니들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3436A (ja) * 2006-09-13 2010-02-04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被覆された医療装置
KR20100058778A (ko) * 2008-11-25 2010-06-04 한완석 세포재생 촉진용 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866005B1 (ko) * 2013-02-13 2018-06-08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니들 코팅용 조성물 및 마이크로 니들 디바이스
KR20160005735A (ko) * 2013-05-03 2016-01-15 클리어사이드 바이오메디컬, 인코포레이드 안구용 주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76503B1 (ko) 2015-04-03 2015-12-11 주식회사 이노테라피 카테콜 기 및 산화된 카테콜 기가 도입되어 가교된 키토산으로 코팅된 무출혈 주사바늘
KR101818229B1 (ko) * 2016-09-23 2018-01-12 한국과학기술원 즉각적인 지혈능을 보유한 무출혈 주사바늘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UPTA O.P. ET AL., OPHTHALMOLOGY, vol. 117, no. 11, November 2010 (2010-11-01), pages 2134 - 40
RASMUSSEN A. ET AL., ACTA. OPHTHALMOL., vol. 95, no. 2, March 2017 (2017-03-01), pages 128 - 132
RAYESS N ET AL., BR J. OPHTHALMOL., vol. 100, no. 8, August 2016 (2016-08-01), pages 1058 - 61
SCANLON P.H. ET AL., HEALTH TECHNOL. ASSESS., vol. 19, no. 74, September 2015 (2015-09-01), pages 1 - 116
See also references of EP4085949A4
SOUIED E.H. ET AL.: "A Retrospective Claims Database Analysis", OPHTHALMIC EPIDEMIOL, vol. 23, no. 2, 2016, pages 71 - 9
VANDERBEEK B.L. ET AL., JAMA OPHTHALMOL, vol. 133, no. 10, October 2015 (2015-10-01), pages 1159 - 6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66315A1 (en) 2021-07-08
IL294370A (en) 2022-08-01
US20230041723A1 (en) 2023-02-09
CN115279436A (zh) 2022-11-01
EP4085949A4 (en) 2024-02-07
AU2020417087A1 (en) 2022-07-14
JP2023509680A (ja) 2023-03-09
KR102222519B1 (ko) 2021-03-04
EP4085949A1 (en) 2022-11-09
AU2020417087B2 (en) 2023-11-23
BR112022012792A2 (pt)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uer et al. 5-fluorouracil and glaucoma filtering surgery: III. Intermediate follow-up of a pilot study
Sunaric-Mégevand et al. Current approach to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Ruderman et al. A randomized study of 5-fluorouracil and filtration surgery
Azuara-Blanco et al. Dysfunctional filtering blebs
Hodkin et al. Early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Baerveldt implant in complicated glaucomas
Gandolfi et al. 5-Fluorouracil in combined trabeculectomy and clear-cornea phacoemulsification with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 one-yea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Verbraeken Treatment of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Mandelbaum et al.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US6872404B1 (en) Ophthalmologic uses of protein C
WO2021137430A1 (ko) 자기실링이 가능한 안구의 누공억제용 주사바늘 및 그 제조방법
Flynn et al. Recogni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ndophthalmitis
RU2803389C1 (ru) Самогерметизирующая инъекционная игл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разования фистулы на глазном яблок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й иглы
EP0665022A1 (en) Viscoelastic solution of N,O-carboxymethyl chitosan for ophthalmic use
Bauman et al. Surgical techniques i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uspected endophthalmitis
INTRAVÍTREA et al. Enzymatic vitrectomy by intravitreal autologous plasmin injection, as initial treatment for diffuse diabetic macular edema
Kuriyan et al.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Baziuk et al. Collagen shields and intraocular drug delivery: concentration of gentamicin in the aqueous and vitreous of a rabbit eye after lensectomy and vitrectomy
Quaranta et al. Endophthalmitis after compression sutures for enlarged conjunctival filtration bleb following trabeculectomy
Vallat et al. Primary systemic amyloidosis: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the vitreous
RU2754385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макулярных разрыв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утологичной обогащенной тромбоцитами плазмы
RU2120266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отслойки сетчатки
Verbraeken Endophthalmitis after lens extraction
Menchini et al. Efficacy of collagen shields after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Rajak et al. The inadvertent administration of intralenticular triamcinolone
Sedaghat et al. Corneal bee sting causing serious visual complications: a cas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92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166315

Country of ref document: C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4086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2012792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417087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01118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092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80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2012792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2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