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96309A1 -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96309A1
WO2021096309A1 PCT/KR2020/016029 KR2020016029W WO2021096309A1 WO 2021096309 A1 WO2021096309 A1 WO 2021096309A1 KR 2020016029 W KR2020016029 W KR 2020016029W WO 2021096309 A1 WO2021096309 A1 WO 202109630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verter
current
voltage
signal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02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설승기
권용철
유지원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109630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9630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Abstract

실시예들은, 인버터의 지령 신호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로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의 지령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령 발생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정보에서의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결정하고, 그리고 보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보상기;를 포함한 제어 시스템에 관련된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보상 신호에 더 기초하거나, 또는 상기 보상 신호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가 영전류 구간에서 벗어나도록 촉진하는 오프셋 신호에 더 기초한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인버터가 3상 부하에 연결된 경우, 보다 정확하게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방법과 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이용 되는 전류 정보 측정 상의 오차를 능동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에 관련된다.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유용한 기기로 인버터가 있다. 인버터는 내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입력 전력을 원하는 크기의 전압 및 주파수를 가지는 출력 전력으로 변환한다. 인버터의 출력 전압은 부하로 최적의 전력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부하가 모터인 경우에는 모터의 속도 및 토크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인버터는 목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3상 전압형 인버터는 전력 분야에서 활용이 가장 많이 되는 유형의 인버터이다.
도 1은 일반적인 3상 전압형 2레벨 인버터의 한 상의 등가 모델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3상 2레벨 인버터의 일반적인 회로도이다.
일반적으로 3상 2레벨(level) 인버터의 하나의 상(phase)은 도 1과 같은 회로 구조로 표현될 수 있다. 한상에 대해서 인버터는,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3상 2레벨 인버터는 도 2와 같이, 통상 도 1의 레그(leg)가 병렬로 3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3상 2레벨 인버터의 n단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전압인 극전압(pole voltage) 지령(v xn *)과 상기 인버터에서 실제로 출력되는 극전압(v xn) 사이에 전압의 오차(δv xn)가 있는 경우, 상기 전압 오차(δv xn)는 아래의 수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01
상기 전압 오차(δv xn)는 인버터가 이상적(Ideal)인 전압원으로 동작하는 경우, 0의 값을 가진다. 그러나, 실제 인버터는 스위치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도통전압(Conduction voltage)과, 인버터의 암쇼트(Arm short)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데드타임(Dead time), 그리고, 인버터 스위치에 병렬로 기생하는 캐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 C p) 등을 가진다. 따라서 실제 인버터에서는 전술한 요소들로 인해 상기 전압 오차(δv xn)가 존재한다. 상기 전압 오차(δv xn)는 운전 상황에 따라 변하는 값을 가질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전압 오차(δv xn)를 발생시키는 인버터의 특성은 인버터 비선형성(Nonlinearity)으로 지칭된다. 상기 전압 오차(δv xn)는 발생 특성에 따라 스위치 도통전압으로 인한 전압 오차, 데드타임으로 인한 전압 오차와 같은 다수의 전압 오차를 포함하며,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체적인 전압 오차는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로 지칭된다.
이러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δv xn)는 인버터의 제어 성능을 저하시키는 열화 요소이다.
먼저, 전압 합성 오차(δv xn)는 인버터의 전류 제어 성능을 저하시킨다. 전류 제어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가청 소음이 증가하거나, 전류 THD(Total Harmonic Distortion)가 증가하거나, 또는 인버터의 부하가 전동기 부하인 경우에는 토크 맥동(Ripple)이 증가하는 등의 성능 저하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각 상의 전류가 영(Zero)전류 지점을 지날 때,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δv xn)는 상 전류(phase current)가 영전류 근처에 계속 머물게 하는 영전류 클램핑(ZCC, Zero Current Clamping) 현상 또한 초래한다.
나아가, 인버터의 출력 전압 자체를 다시 제어 정보로 활용하는 경우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δv xn)는 제어 안정성(Stability)도 저하 시킬 수 있다. 인버터의 출력 전압 자체를 다시 제어 정보로 활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엔코더(Encoder), 레졸버(Resolver)등과 같은 전동기의 회전자 위치 센서(Position sensor)를 부착하지 않는 센서리스(Sensorless) 제어의 경우, 전동기 고장 판단 등을 위하여 출력 전압 정보를 이용한 각종 관측기(Observer)를 구성하는 경우, 또는 전동기의 기본 토크를 제어하는 전류 이외에 추가적인 전압/전류 신호를 주입하여 전동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주입하여 제어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경우에서 인버터의 출력 전압 정보가 제어를 위해 활용된다. 하지만, 가격 문제 및 기술적 문제 때문에, 직접 센서 등을 통해 인버터의 출력 전압을 실제로 측정하고 그 실제 측정 결과(즉, 실제 출력 전압 정보)를 제어 신호로 사용하는 경우 대신에, 인버터에 인가한 전압 지령을 제어 신호를 위한 출력 정보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압 지령을 제어 신호로 그대로 사용하면,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δv xn)로 인해, 인버터의 전압 지령과 실제 출력 전압이 상이하게 된다. 그러면, 센서리스 제어, 각종 관측기 및 신호 주입 제어의 경우에 시스템 제어 성능을 크게 악화시킨다.
또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δv xn)는 전류 궤환(Feedback)에 의한, 폐루프(Closed loop) 전류 제어를 사용하지 않는 유도전동기 V/F 제어에 있어 제어 성능이 크게 악화되며, 상기 전압 합성 오차(δv xn)를 정확하게 보상하지 않는다면 기동 및 저속 운전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개루프(Open loop) 제어의 경우엔 상 전류(phase current)를 직접 제어하지 않기 때문에, 영전류 클램핑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특히 운전 주파수가 1Hz미만인 극저속(Extreme low speed) 영역에서는 전류가 영전류 근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현재 범용(General purpose) 인버터의 상당수가 제어의 간편함과 범용성을 이유로, 폐루프 전류 제어를 활용한 벡터 제어 대신에, 개루프 V/F 제어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δv xn)는 이 개루프 V/F 제어에서 성능 저하의 주된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미리 설정해둔 운전 정보와 스위치의 제조사로부터 제공되는 사전 정보 등에 기반하여 이론적으로 인버터 비선형성으로 인한 전압 합성 오차를 계산하고, 이론적으로 계산된 값에 대응하는 보상 전압을 제어 신호에 인가하는,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δv xn) 보상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도 3은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에 따른 보상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는, 인버터의 전압 지령에 인가한 보상 전압과 실제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 발생하는 보상 후 오차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는 인버터의 임의의 상 x의 출력 전류(i xs)에 대해 원점 대칭의 개형을 갖는다. 그러면 보상 전압 또한 전류의 방향과 크기가 원점 대칭의 형태를 가진다.
도 3에서 파란색 선이 실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다. 측정된 전압 합성 오차 값이 시스템 설계 값(또는 전류 측정 값)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측정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가 도 3의 빨간색 파형으로 계산되면, 실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상쇄하기 위해 인가되는 보상 전압은 실제 오차에 근사한 전압이다. 그러면, 보상 결과는 도 4와 같이 추가 오차를 초래한다. 이 보상 전압에 따른 추가 오차는 도 4에서와 같이 영전류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파형을 갖는 그래프로 나타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상 전압과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사이의 차이는 영전류 근처에서 상 전류(i xs)를 왜곡하게 만든다. 정현파 전압 지령을 사용하는 경우, 실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및 이에 근사한 보상 전압이 원점 대칭 형태를 가지므로, 그 둘 사이의 차이도 마찬가지로 원점 대칭의 형태를 가진다. 근사한 보상 전압에 따른 추가 오차는 상 전류(i xs)의 상승 또는 하강에서 동일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상 전류(i xs)에 홀수 고조파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보상 전압 또는 실제 전압 합성 오차가 원점 대칭이 아니면, 상 전류(i xs)의 파형에 짝수 고조파가 유발된다.
따라서, 준비된 인버터에 대해서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직접 측정한 뒤, 측정된 값에 대응하는 전압을 보상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특허문헌 1(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5946호)은 각 상의 전류를 측정하여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 전압으로 결정한 뒤, 인버터의 전압 지령에 해당 보상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나,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설계와 실제 구현 사이의 괴리(구현 결함)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정확하게 측정했다고 생각되는 측정 전류 값에 구현 결함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현 결함은, 예를 들어 인버터 출력 전류의 측정 오차(예컨대, 오프셋(offset)/스케일(scale) 오차 전류), DC link 전압의 변화, 스위치 내부 온도 변화로 인한 도통 전압 또는 on/off 지연, 게이트 드라이버의 온도/운전 조건 변화로 인한 신호 전달 지연 등을 포함한다. 이들 요소는 모두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할 때 악영향을 미친다. 측정 값에 기초한 보상 전압과 실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사이의 차이를 유발하여, 보상의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특히 인버터 출력 전류 측정에서 발생하는, 전류 오프셋 오차는 영전류 근처에서 완전한 보상을 방해한다.
즉,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최대한 보상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내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저압 합성 오차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 그리고 구현 결함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정확한 보상 전압을 결정하기 위해 시스템 내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측정, 및/또는 구현 결함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논리적 측정에 따른 보상 전압에 인위적인 전압을 추가로 인가함으로써,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최대한 보상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은: 인버터의 지령 신호 및 보상 신호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로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의 지령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령 발생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정보에서의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결정하고, 그리고 보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보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보상 신호에 더 기초하거나, 또는 상기 보상 신호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가 영전류 구간에서 벗어나도록 촉진하는 오프셋 신호에 더 기초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셋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오프셋 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셋 신호 발생기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의 상승 또는 하강을 판단하고;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상승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음의 오프셋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하강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양의 오프셋 신호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셋 신호 발생기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제1 임계 기준, +I th 보다 큰 경우,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하강할 것으로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제2 임계 기준, - I th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상승할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계 기준의 값, I th는 다음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02
여기서, I s,min은 상기 인버터의 상 전류의 최소 값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계 기준의 값, I th는 특정 전압 포인트에 대응하는 전류의 값 보다 크도록 설정되며, 상기 특정 전압 포인트는, 상기 인버터의 비선형 저항 성분이 변곡하는 전압 포인트에서 상기 인버터의 비선형 저항 성분이 0이 되는 전압 포인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셋 신호가 전류 신호, I * offset인 경우, 상기 오프셋 신호는, 다음의 수학식을 만족하도록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03
여기서, L sh는 인버터의 출력 인덕턴스이고, e xs는 x상의 역기전력이며, Vdc는 상기 인버터에 제공되는 전압이고, Ts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샘플링 한 주기를 나타낸다.
일 실시에예서, 상기 오프셋 신호가 전류 신호, I * offset인 경우, 3상(x, y, z) 상에서 전류 센서 및 전체 제어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출력 전류(i xs) 측정의 전류 오프셋 오차, I xs,offset의 최대값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오프셋 신호가 다음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는 하는 경우, 상기 오프셋 신호 발생기는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전류 값 중 보다 작은 전류 값을 상기 오프셋 신호가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04
[수학식 2]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05
여기서, L sh는 인버터의 출력 인덕턴스이고, Ts는 샘플링 한 주기를 나타내고, V xs,max는 3상(x,y,z) 중 x상에서 ZCC를 고려하고 있는 운전 영역에서의 최대 상전압 출력을 나타내고, e xs는 3상(x,y,z) 중 x상의 역기전력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버터가 유도 전동기에 출력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I s,min는 인버터의 상 전류(i s)의 크기의 최소값으로서, 상기 I s,min 는 유도 전동기의 자화 전류의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오프셋 신호가 인가된 상기 보상 신호를 상기 지령 신호에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보상 신호 및 상기 오프셋 신호를 지령 신호에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셋 신호 발생기는, 판단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음의 오프셋 신호가 출력되는 제1 경로 또는 상기 양의 오프셋 신호가 출력되는 제2 경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인버터의 출력 전류와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사이의 대응 관계를 기록한 참조표를 저장하며, 수신한 인버터의 출력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서의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상기 참조표로부터 검색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기는 상기 전압 합성 오차에 대응한 신호 및 오프셋 신호에 기초한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보상 신호를 상기 지령 신호에 인가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의 상승 또는 하강을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지령 신호에 인가될 상기 보상 신호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상승할 경우 제1 참조표로부터 상기 보상 신호를 검색하거나, 또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하강할 경우 제2 참조표로부터 상기 보상 신호를 검색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참조표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상승하는 파형을 포함한, 해당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대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상승할 때의 오프셋 전류에 기초한 해당 보상 신호를 기록하고, 상기 제2 참조표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하강하는 파형을 포함한, 해당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대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하강할 때의 오프셋 전류에 기초한 해당 보상 신호를 기록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인버터의 지령 신호 및 보상 신호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로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의 지령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령 발생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정보에서의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보상기를 포함하되, 상기 인버터가 3상 부하에 출력 신호를 인가하도록 연결된 경우에서, 상기 보상 신호는, 상기 3상 부하를 비활성화 시키면서 상기 3상 중 2상을 통전시키는 전류를 상기 인버터에 인가하여 획득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상을 통전시키는 전류는, 상기 3상 중 제1 상(phase)이 고정자 좌표계의 0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서로 상이한 세 각(angle) 중 적어도 하나의 각에서의 d축 전류로서, q축 크기는 0의 값을 가지며, 상기 제1 상은 다른 제2 및 제3 상과 서로 ±120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상을 통전시키는 전류는, 상기 3상 부하가 전동기인 경우, 고정자의 dq축 좌표계를 기준으로, 전기각으로 -30도, +90도, 및 -150도의 세 각도에서의 d축 전류 중 적어도 하나로서, -30도에서의 d축 전류는 제1 및 제2상을 통전하고, +90도에서의 d축 전류는 제2 및 제3 상을 통전하며, -150도에서의 d축 전류는 제3 및 제1 상을 통전하는 전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이 a상, 상기 제2 상이 b상 및 상기 제3 상이 c상인 경우, ab상, bc상 및 ca상에서의 d축 전압 지령(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06
)은 각각 다음의 수학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07
여기서, s는 각 상에서의 중성점을 나타내고, v xn는 x상에서의 극전압, i xs는 x상에서의 상 전류, δv xn는 각 상에서의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및 R xs는 각 상에서의 고정자 저항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상을 통전시키는 전류는, 상기 3상 부하의 양의 정격 전류에서 음의 정격 전류 범위 내에서 단계별로 인가되며, 각 단계는 DC 정상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오프셋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오프셋 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오프셋 신호에 더 기초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대한 보상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 시스템은, 구현 결함에 따른 보상의 오차가 발생하는 전류 영역을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정확한 값을 산출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구현 결함에 따른 오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현 결함에 따른 오차로부터의 보상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시스템은 인버터의 출력 전류의 측정 내 오차에 강인하다. 또한, 전류 지령이 없는 개루프(open-loop) 제어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영전류 클램핑 현상이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저주파수 운전 영역에서 뚜렷한 성능 개선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버터의 결선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그리고 인버터의 출력 전압을 측정할 필요 없이,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오차를 계산하여,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phase) 스위치의 도통 전압, 데드타임, 및 저항의 불균형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이들에 의한 오차를 계산하고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스위치의 도통 전압, 게이트 드라이버의 온/오프 딜레이 등과 같은, 구성요소의 상세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나아가, 유도 전동기, 동기 전동기 등과 같은, 전동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인버터의 출력이 전동기에 연결만 되어 있는 경우에도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제어, 전동기 제어 등의 모든 제어에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 고정자 저항 성분도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얻을 수 있다.
만약 전류 전압 센서에 약간의 크기(scale)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센서를 인버터의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의 계산 및 부하의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이 크기 오차는 부하의 제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필요한 도면이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된다. 아래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목적일 뿐 한정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아래의 도면 들에서 과장, 생략 등 다양한 변형이 적용된 일부 요소들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3상 2레벨 인버터의 한 상의 등가 모델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3상 2레벨 인버터의 일반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은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따른 보상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인버터의 전압 지령에 인가한 보상 전압과 실제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 발생하는 보상 후 추가 오차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3상 부하에 연결된 도 2의 인버터에서 x 상의 전동기 부하를 포함한 등가 모델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2레벨 인버터에서 전류의 방향 및 스위치의 상태에 따른 도통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등가 모델에서 스위치의 도통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인버터 스위치에 병렬로 기생하는 캐패시턴스를 고려한 인버터의 x상의 등가 모델의 개념도이다.
도 9a는 데드 타임이 설정되고 상 전류(i xs)가 양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인버터의 각 상에서 전류 방향에 따른 도통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데드 타임이 설정되고 상 전류(i xs)가 음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인버터의 각 상에서 전류 방향에 따른 도통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데드 타임에 의한 전압 오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2a는 I x0 > 0의 상황에서 인버터 출력 전류 측정에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경우 보상의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b는 I x0 < 0의 상황에서 인버터 출력 전류 측정에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경우 보상의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양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경우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의 상승/하강에 따른 영전류 클램핑의 유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음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경우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의 상승/하강에 따른 영전류 클램핑의 유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프셋 신호 발생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6은 스위칭 전류 맥동으로 인한 전류 오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프셋 신호 발생기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knee poin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오프셋 신호 발생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b상에 대한 오차 측정용 전류가 흐를 경우 인버터 부하를 고려한 등가 회로 모델이고, 도 2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c상에 대한 오차 측정용 전류가 흐를 경우 인버터 부하를 고려한 등가 회로 모델이며, 도 2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상에 대한 오차 측정용 전류가 흐를 경우 인버터 부하를 고려한 등가 회로 모델이다.
도 23은, 도 22의 오차 측정용 전류를 사용하여 전압 합성 오차를 측정 가능한 시스템 모델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도 22a 내지 도 22c의 실시 예에 따른 실험 결과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실험 결과에 기초한 상 전압 지령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6은, 도 25의 상전압 지령에 기초한 인버터 비선형으로 인한 전압 합성 오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보상 전압이 전혀 없을 때의 상전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b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오프셋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채 보상할 때의 상전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7c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오프셋 전압까지 고려했을 때의 상전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kHz 스위칭 주파수 조건에서 보상 전압, 오프셋 전압을 적용한 THD 결과를 비교한 도면이고, 도 2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kHz 스위칭 주파수 조건에서 보상 전압, 오프셋 전압을 적용한 THD 결과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험에에 따른, 보상 전압만을 인가한 경우 상전류, 선간 전압 지령 및 실제 선간 전압을 400Hz 차단 주파수를 가지는 저역 통과 필터로 스위칭 파형을 제거한 후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험예에 따른, 보상 전압 및 제1 오프셋 전류를 인가한 경우 상전류, 선간 전압 지령 및 실제 선간 전압을 400Hz 차단 주파수를 가지는 저역 통과 필터로 스위칭 파형을 제거한 후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 예에 따른, 보상 전압 및 제2 오프셋 전류를 인가한 경우 상전류, 선간 전압 지령 및 실제 선간 전압을 400Hz 차단 주파수를 가지는 저역 통과 필터로 스위칭 파형을 제거한 후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에 대해 간단히 살펴본다.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는 스위치 도통 전압으로 인한 오차, 및/또는 데드 타임으로 인한 오차를 포함한다.
도 5는, 3상 부하에 연결된 도 2의 인버터에서 x 상의 전동기 부하를 포함한 등가 모델의 개념도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3상 2레벨 인버터는 3상 부하로 전압을 출력한다. R-L, Back EMF 부하 등과 같은 3상 부하의 경우, 도 2의 인버터에서 각 상은 도 5의 등가모델로 모델화될 수 있다. 도 5에서 x는 임의의 상을 나타내며, s는 각 상들의 부하의 중성점이다. 중성점(s)이 3상 외의 다른 노드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3상에서 흐르는 전류의 합은 0이다(i as + i bs + i cs = 0).
한 상에서 전류의 방향과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서 도통 전압이 결정된다. 임의의 상(x)의 레그에서 윗상 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를 S x=1, 아랫상 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를 S x=0이라 정의한다. 레그 전류의 도통 경로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및 상 전류(i xs) 방향에 의존한다.
도 6은, 도 5의 2레벨 인버터에서 전류의 방향 및 스위치의 상태에 따른 도통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상 전류(i xs)는 출력 방향이 양(+)의 방향으로 지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윗상 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상 전류(i xs)가 양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트랜지스터(예컨대, IGBT)의 도통 전압이 생긴다. 반면, 윗상 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상 전류(i xs)가 음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다이오드의 도통 전압이 생긴다. 다른 한편, 아랫상 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상 전류(i xs)가 양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다이오드의 도통 전압이 생긴다. 반면 아랫상 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상 전류(i xs)가 양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트랜지스터의 도통 전압이 생긴다.
이와 같이, 인버터의 스위치 도통 전압(v SW)은 전류가 흐를 때 트랜지스터(IGBT, MOSFET 등) 또는 다이오드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 전류(i xs)에서의 윗상 스위치 도통 전압의 함수는 다음의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08
여기서, v Transistor(i xs)는 상 전류(i xs)에서의 트랜지스터 도통 전압의 함수이고, v Diode(i xs)는 상 전류(i xs)에서의 다이오드 도통 전압의 함수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등가 모델에서 스위치의 도통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전류(i xs)가 음의 방향인 경우 음의 스위치 도통 전압이 발생한다.
이 스위치 도통 전압 함수 v SW(i sw)를 이용하면, 스위칭 한 주기 동안의 평균 도통 전압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 한 주기는 온(S x=1) 상태 및 오프(S x=0) 상태를 포함한다.
먼저 스위치 한 주기 중 윗상 스위치가 켜져 있는 비율을 D x라 할 때, 이상적인 경우의 인버터 스위칭 한 주기 평균 출력 전압 v xn *은 다음의 수식으로 결정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09
반면 인버터의 도통 전압을 고려할 때, 전류가 스위칭 한 주기 동안 출력 인덕터에 의해서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실제 인버터 평균 출력 전압 v xn은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10
상기 [수식 3] 및 [수식 4]에 기초할 때, 도통전압에 의한 스위칭 주기 평균 전압 왜곡(δv xn_on)은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11
즉, 스위치 도통 전압으로 인한 오차는 스위칭 주기 평균 전압 왜곡이다.
데드타임으로 인한 전압 합성 오차는 스위치 도통 전압 보다 주요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의 원인이다. 데드타임은 인버터에서 위/아랫상 스위치가 동시에 켜져, DC link 전압이 단락 되어 스위치가 소손되는 암쇼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 상태가 변화할 때 사이에 두 스위치를 모두 끈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T dead)을 말한다.
도 8은, 인버터 스위치에 병렬로 기생하는 캐패시턴스를 고려한 인버터의 x상(phase)의 등가 모델의 개념도이다.
실제 인버터는 기생 캐패시턴스의 특성을 가지므로, 도 8과 같이 모델링될 수도 있다.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도 9에서 스위치 도통 전압(v SW)은 무시된다.
도 8의 인버터 모델에서, 윗상 스위치가 켜진 경우(S x=1, High state) 전류 방향에 관계없이 극전압은 V dc/2가 되며, 아랫상 스위치가 켜진 경우(S x=0, Low state) 극전압은 -V dc/2 된다.
하지만 데드타임 구간에서는 트랜지스터(IGBT)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전류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윗상/아랫상 스위치의 기생 캐패시턴스를 충/방전 시키거나 혹은 다이오드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데드 타임이 설정되는 경우 인버터의 각 상에서 전류 방향에 따른 도통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상 전류(i xs)가 양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상 전류(i xs)가 음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버터의 각상은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에 의해, 한 스위치 주기 동안 Low state→High state→Low state를 왕복하게 되며 각 변화 사이에 T dead 동안 데드타임이 삽입되도록 설정된다.
도 9a에서는, 에선 i xs > 0, 즉 전류가, 인버터에서 나가는, 양의 방향일 때 상 전류의 도통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i xs > 0일 때 스위치 주기의 시작 구간에서, 아랫상 스위치가 도통 되어 있을 때(S x = 0), 아랫상 전류는 트랜지스터(IGBT)가 아닌 다이오드를 통해서 흐르게 된다. 이 아랫상 스위치 도통 구간에서 데드타임 구간으로 넘어가게 되더라도, 첫번째 데드타임 구간에서 극전압(v xn)은 -V dc/2가 된다. 이는 구간이 넘어가는 과정에서 그대로 아랫상 다이오드를 통해서 전류가 도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구간 동안에는 다이오드만 연결되는 상태로 볼 수 있다. 데드타임 구간 이후 상태(S x = 1) 구간으로 넘어가게 되면, 스위치의 과도 상태를 지나 극전압은 다시 V dc/2로 바뀌게 된다. 상태(S x=1) 구간에서 상 전류(i xs)는 윗상 트랜지스터(IGBT)를 통해서 도통하게 된다. 상태(S x=1) 구간에서 다시 아랫상 스위치 도통 구간(S x=0)으로 넘어가는 두번째 데드타임 구간에서는 윗상의 트랜지스터(IGBT)에서 흐르던 전류가 바로 아랫상으로 전환 되지 않고, 윗상의 기생 캐패시턴스를 충전하고 아랫상 기생 캐패시턴스를 방전하도록, 캐패시터를 통해 전류가 도통하게 된다. 이후 아랫상 스위치가 켜지거나, 아랫상 기생 캐패시턴가 모두 방전되고 나면, 다시 아랫상 다이오드를 통해서 극전압은 -V dc/2가 된다.
도 9b에서는, i xs < 0, 즉 전류가 부하에서 인버터로 들어오는, 음의 방향일 때, 상 전류(ixs) 도통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i xs < 0일 때, 도 9a와 비교하여 경로는 반대 순서로 형성되고,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전류는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n번째 샘플링 한주기 동안 극전압의 평균, v xn[n]은 [수식 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12
여기서, T s는 샘플링 한 주기의 시간을 말하며, t(n)은 n번째 샘플링이 시작할 때의 시점을 의미한다. 도 9에서 S x=0 에서 S x=1로 넘어갈 때의 데드타임으로 인한 평균 전압 합성 오차, δv xn_DT_on[n]는 A l/T sw이다. 도 9에서 S x=1에서 S x=0 로 넘어갈 때의 데드타임으로 인한 평균 전압 합성 오차, δv xn_DT_off[n]는 -A g/T sw로 계산된다. 스위칭 한주기동안의 총 데드타임으로 인한 전압 합성 오차는 δv xn_DT_on[n]와 δv xn_DT_off[n]의 합으로 나타난다.
샘플링은 스위칭 한 주기 동안 한 번 샘플링을 수행하는 싱글 샘플링(single sampling)과 두 번 샘플링을 수행하는 더블 샘플링(double sampling)이 있을 수 있다.
더블 샘플링의 경우, T s =0.5 T sw이며, δv xn[n]은 스위칭 한주기동안의 전압 합성 오차가 아닌 샘플링 한주기동안의 전압 합성 오차를 의미하므로 δv xn[n]은 δv xn_DT_on[n]| double와 δv xn_DT_off[n]| double 가 [수식 7]에 표현된 바와 같이, 같이 번갈아 가며 나타나게 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13
그러므로 더블 샘플링에선 스위칭 한 주기 동안의 평균 전압 합성 오차는 δv xn_DT_on[n]| double 과 δv xn_DT_off[n]| double 의 평균이 된다.
한편, 싱글 샘플링의 경우, T s = T sw 이므로 δv xn_DT_on[n]| single 와 δv xn_DT_off[n]| single 가 모두 더블 샘플링의 경우에 비해서 절반의 값을 가진다. 이로 인해, 싱글 샘플링에서 샘플링 한 주기의 평균 전압 합성 오차는 [수식 8]과 같이 δv xn_DT_on[n]| single 와 δv xn_DT_off[n]| single 의 합으로 나타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14
결국 싱글샘플링의 δv xn[n]은 더블 샘플링의 경우의 전압 합성 오차의 평균과 그 값이 같다. 더블샘플링의 경우만 계산하면, 싱글샘플링의 전압 합성 오차는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더블 샘플링 기준으로 수식을 전개한다.
δv xn_DT_off[n]에서 -A g/T s 는 임의의 x상에서 출력되는 상 전류(i xs)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전류(i xs)에 따라 A g는 C p, V dc, T s, T dead, 및 i xs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 xn_DT_off[n]는 다음의 수식으로 정리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15
또한, 수식 9와 유사하게 상 전류(i xs)에 따른 A l을 정리할 수 있고, 그러면 δv xn_DT_on[n]을 다음의 수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16
한 스위칭 구간의 데드타임으로 인한 총 전압 합성 오차는 δv xn_DT_on[n]와 δv xn_DT_off[n]의 평균으로 나타나므로,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17
도 10은 데드타임에 의한 전압 오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Infineon 사의 FS50R12KT4_B15 IGBT를 사용하여 표 1의 조건으로 실험하여 얻은 데드타임에 의한 오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18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타임으로 인한 오차 또한 비선형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통 전압으로 인한 오차와 데드타임으로 인한 오차는 비선형적이며, 모두 영전류 부분에서 저항이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1)은 인버터(3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어기(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은 인버터(30)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응답한 인버터(30)의 출력 신호(예컨대, 출력 전압)를 수신하는 부하(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버터(30)는 부하(5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인버터(30)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변환하여 원하는 전압(즉 이에 대응하는 전류)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인버터(30)는 3상 인버터일 수도 있다. 또한, 인버터(30)는 3상 2레벨 인버터일 수도 있다.
부하(50)는 인버터의 출력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부하(50)는 유도 전동기, 동기 전동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기10는 인버터(30)의 출력 지령을 제어하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지령 발생기(110); 및 상기 지령 신호를 보상하는 보상기(130)를 포함한다.
지령 발생기(110)는 인버터(30)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신호(예컨대, 전압)을 출력하게 하는 지령 신호(예컨대, 전압 지령)를 인버터(30)에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령 신호는 인버터(30)의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상기 출력 정보는, 예를 들어, 인버터(30)의 실제 출력 신호(예컨대, 실제 출력 전류) 또는 인버터(30)의 이전 지령 신호 등을 포함한다. 센서리스 방식에서 지령 신호는 인버터(30)의 이전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보상기(130)는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에 대응하는 보상 신호(예컨대, 보상 전압 또는 보상 전류)를 상기 지령 신호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정확한 보상을 위해서는, 우선 시스템에 존재하는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지령 발생기(110)가 이전 전압 지령인 dq축 전압 지령(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19
)을 인버터의 출력 정보로 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지령 발생기(110)는 수신한 dq축 전압 지령(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20
)을 abc상의 전압 지령(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21
)으로 변환하고, abc상의 전압 지령(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22
)을 극전압 지령(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23
)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상기(130)는 인버터(30)의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 전압을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인버터(30)의 출력 정보가 상기 극전압 지령(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24
)인 경우, 이에 기초하여 보상 전압을 결정한다. 다른 일 실 시예에서, 인버터(30)의 출력 정보가 실제 측정 전류(i abcs)인 경우 이에 기초하여 보상 전압을 결정한다.
보상기(130)는 지령 발생기(110)로부터 출력된, 아직 보상되지 않은 인버터(30)의 전압 지령에 보상 전압을 인가한다.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에 대응하는 보상전압이 인가된 이후 인버터(30)의 최종 전압 지령(V s* abcn)이 인버터(30)에 제공된다.
상기 보상 전압은 실시간(on-line) 측정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따른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미리 획득한 경우, 미리 획득된 결과를 기록한 참조표(Loop Up Table)가 상기 보상기(130)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참조표는 상 전류 또는 상 전류 지령에 대해서 일대일로 대응하는,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대응 관계를 기록한다. 즉, 참조표에는 인버터의 출력 전류별 인버터 비선형서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가 기록된다.
그러면, 상기 보상기(130)는 참조표에서 인버터(30)의 출력 정보(즉,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전압 합성 오차를 검색하고, 검색된 전압 합성 오차의 값을 보상 전압의 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인버터(30)의 전압 지령에 기초한 보상 전압이 상기 인버터(30)의 전압 지령에 인가되어 인버터(30)의 제어 신호로 인버터(30)에 제공된다.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에 대한 명료한 설명을 위해, 도 11의 제어 시스템(1) 내에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는 측정으로부터 획득된 인버터(30)의 출력 전류(i xs)로부터 정확하게 산출된 것으로 (즉,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는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측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보상기(130)는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측정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에 매칭하는 보상 전압을 결정하고, 결정된 보상 전압을 상기 지령 신호에 인가한다. 그러면, 보상 전압이 인가된 제어 신호는 인버터(30)에 출력하고자 하는 전압을 출력시켜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시스템은 설계 상의 시스템과 다르게, 구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가진다. 상기 구현 결함은, 예를 들어 인버터 출력 전류의 측정 오차(예컨대, 오프셋(offset)/스케일(scale) 오차 전류), DC link 전압의 변화, 스위치 내부 온도 변화로 인한 도통 전압 또는 on/off 지연, 게이트 드라이버의 온도/운전 조건 변화로 인한 신호 전달 지연 등과 같은 인버터의 운전을 구현하는 과정에서의 차이, 또는 인버터 하드웨어 자체의 제조 차이를 포함한다.
이들 요소는 모두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할 때 악영향을 미치며, 특히 인버터 출력 전류 측정의 전류 오프셋 오차는 영전류 근처에서 완전한 보상을 매우 방해한다.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가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측정된 것을 전제로, 인버터 출력 전류 측정의 전류 오차가 없다면, 인버터(30)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출력 전압 지령과 동일한 값을 가진다.
인버터의 출력 전압은 실측으로부터 얻어진 출력 전류의 값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실측으로부터 얻어진 인버터(30)의 출력 전류(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25
)에 전류 오프셋 오차(I x0)가 포함되어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실측으로부터 얻어진 인버터(30)의 출력 전류(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26
)는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27
예상되는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따른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는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계산되면, 논리적 계산 결과에 매칭하는 전압이 보상 전압으로 결정될 것이다. 그러면,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경우, 실측으로부터 얻어진, 인버터의 출력 전류(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28
)에 따른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위한 보상 전압은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29
여기서, 각각의 전압은 해당 전류에서의 함수로 표현된다. 즉 측정된 출력 전류(i xs)에 전류 오프셋 오차(I x0)가 있으면, 논리적 계산 결과에 매칭하는 보상 전압이 I x0만큼 평행이동 된다. 그러면, 이 보상 전압과, 시스템에 실제 존재하는, 실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사이의 오차(즉, “보상의 오차”)는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30
도 12a 및 도 12b는, 인버터 출력 전류 측정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경우 보상의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I x0 > 0의 상황에서 보상의 오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b는 I x0 < 0의 상황에서 보상의 오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I x0의 부호는 인버터(30)의 출력 전류(i xs)에 대응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31
)는 영전류 근처에서 큰 기울기를 가지며 급격히 전류의 부호가 변화하는 형태를 가진다. 그러면, 보상의 오차(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32
)는 영전류 근처(영전류 구간)에서 매우 큰 값을 가지는 펄스(pulse) 형태를 가진다.
즉, 전류 오프셋 오차(I x0)는 보상 전압에 따른 추가적인 오차로서, 보상의 오차를 영전류 근처에서 초래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1의 제어 시스템(1)은 전류 오프셋 오차에 의해 초래되는, 영전류 구간에서 보상의 오차를 탈출하기 위해,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를 더 포함한다.
전류 오프셋 오차는 구현 결함과 관련되며, 또한 해당 시스템에 전류 오프셋 오차 이외의 다른 구현 차이가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류 오프셋 오차에 의한 보상의 오차는 정확하게 보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보상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오차(예컨대, 전류 오프셋 오차)를 계산하여 상기 보상의 오차를 상쇄하는 대신에, 보상의 오차가 존재하는 영전류 구간을 탈출하도록 인위적인 전압 차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인위적으로 더 제공되는 추가 전압은 논리적 측정 과정과 상이한, 오프셋 전압으로 지칭된다. 오프셋 전압은 해당 전압에 대응하는 오프셋 전류를 통해 인가된다.
양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을 경우, 영전류 구간에서 (예컨대, 보상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또는 보상전압이 인가된) 인버터(30)의 전압 지령에, 양의 오프셋 전압을 추가로 인가하게 된다. 반면,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음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경우 영전류 근처에서 음의 오프셋 전압을 더 인가하게 된다.
도 12에서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양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을 경우 보상의 오차(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33
)는 음의 펄스 형태를 가지고, 음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을 경우 보상의 오차(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34
)는 양의 펄스 형태를 가진다. 한편, 실제 시스템에서는 전류에 따라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35
에 대응한 음의 전압이 실제 전동기에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양/음의 펄스는 영전류 구간을 통과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다른 결과를 발생시킨다.
도 13은 양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경우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의 상승/하강에 따른 영전류 클램핑의 유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음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경우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의 상승/하강에 따른 영전류 클램핑의 유무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36
는 보상 전압에 의해 보상되기 이전의, 중성점(s)에서의 인버터(30)의 상전압 지령을 나타낸다.
정현파와 같이 전류가 양과 음의 상태를 교차로 갖는 경우, 전류가 영(zero)이 되는 부분은 음에서 양으로 전환하는 구간; 및 양에서 음으로 전환하는 구간을 포함한다.
먼저 양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존재할 때 (즉, 보상의 오차는 음의 펄스 형태) 양의 오프셋 전압이 추가되면,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가 음으로부터 양으로 전환하는 것을 촉진한다. 따라서, 양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상태에서 양의 오프셋 전압의 추가는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가 영전류 구간을 보다 신속하게 벗어나게 한다.
또한, 양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상태에서 양의 오프셋 전압의 추가는 출력 전류(i xs) 양으로부터 음으로 전환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출력 전류(i xs)는 오히려 영전류 구간에서 오래 머물게 되고, 결국 영전류 클램핑이 초래된다. 이는 도 13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상태에서 양의 오프셋 전압의 추가된 경우,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가 음에서 양으로 전환될 때 파형의 변화가 거의 없으나,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가 양에서 음으로 전환될 때 영전류 클램핑이 발견되며, 출력 전류(i xs)에 상대적으로 큰 파형의 변화가 있다.
한편, 음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존재할 때 음의 오프셋 전압이 추가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가 양으로부터 음으로 전환하는 것을 촉진한다. 따라서, 음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있는 상태에서 음의 오프셋 전압의 추가는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가 영전류 구간을 보다 신속하게 벗어나게 한다.
또한, 음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존재할 때 음의 오프셋 전압의 추가는, 출력 전류(i xs)가 음으로부터 양으로 전환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출력 전류(i xs)는 오히려 영전류 구간에서 오래 머물게 되고, 결국 영전류 클램핑이 초래된다. 이는 도 14에서 확인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의 전류 오프셋 오차가 존재할 때 음의 오프셋 전압이 추가되면,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가 양에서 음으로 전환될 때 파형의 변화가 거의 없으나, 인버터의 출력 전류(i xs)가 음에서 양으로 전환될 때 상대적으로 큰 파형의 변화가 있다.
이에 기초할 때,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오프셋 전압이 인버터(30)의 출력 전류(i xs)를 영전류 구간에서 신속하게 벗어나기 위해서는, 영전류 구간이 음에서 양으로의 전환 구간인지 또는 양에서 음으로의 전환 구간인지를 판단한 뒤; 인버터(30)의 출력 전류(i xs)가 해당 구간에서 탈출을 촉진하는, 적절한 오프셋 전압을 인가해야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인버터의 임의의 상 x에서의 출력되는 상 전류, 즉 출력 전류(i xs)가 상승할지 또는 하강할지를 판단한다. 출력 전류(i xs)가 상승하면 음에서 양으로 전환하는 영전류 구간에 도달하게 된다. 출력 전류(i xs)가 하강하면 양에서 음으로 전환하는 영전류 구간에 도달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상 전류(i xs)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비교하여 상승 또는 하강 여부를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값을 갖는 오프셋 전압을 출력한다.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상 전류(i xs)가 제1 임계 전류(+I th) 보다 큰 경우, 하강 시기가 올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상 전류(i xs)가 제2 임계 전류(-I th) 보다 낮은 경우, 상승 시기가 올 것으로 판단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어서,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상 전류(i xs)가 하강할 것으로 판단되면 측정된 상 전류(i xs)에 음의 오프셋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 -I * offset를 인가하고; 상 전류(i xs)가 상승할 것으로 판단되면 측정된 상 전류(i xs)에 양의 오프셋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 +I * offset를 인가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 동작에 응답하여 + I * offset 또는 -I * offset 가 입력되는 경로와 스위칭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동작은 I * offset와 I th의 설정 값에 의존한다. 적절하지 못한 값이 I * offset와 I th의 값으로 설정되면, 오히려 성능의 개선에 악영향을 미친다.
상기 I * offset은 아래 수식 15와 같이 3상(x, y, z) 상에서, 전류 센서 및 전체 제어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출력 전류(i xs) 측정의 전류 오프셋 오차, I xs,offset의 최대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전류 오프셋 오차의 최대 값은 전류 측정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서, 예를 들어 인버터 제조 시에 해당 최대값이 획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37
한편, 인버터를 갖는 시스템 제어에 있어, 인버터의 스위치 또한 논리적 측정 값과 실제 측정 값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요소이다. 예를 들어, 전류 오프셋 오차 이외에도, 인버터 비선형성의 정확한 보상을 어렵게 하는, 스위칭 전류 맥동(Ripple)에 의한 전류 오차가 있다. 위에서 서술한 수식들에서는 출력 인덕턴스가 무한한 값을 가지므로, 출력 인덕턴스에 의해서 출력 전류가 스위칭 구간 동안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출력 인덕턴스도 유한한(Finite) 값을 가진다.
도 16은 스위칭 전류 맥동으로 인한 전류 오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버터의 스위칭 동안 싱글 샘플링의 경우엔 한 번 출력 전류(i xs)가 측정되고, 더블 샘플링의 경우엔 두 번 출력 전류(i xs)가 측정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유한한 출력 인덕턴스로 인해, 제n 샘플링 시 스위칭 구간 동안 극전압(v xn)에 의해 출력 전류(i xs)가 임의의 기울기로 변화하게 된다. 임의의 기울기를 갖는 전류 측정 결과로부터 스위칭 시점의 전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에 대한 보상은 스위칭 시점의 출력 전류(i xs)로 결정된다. 이러한 스위칭 시점의 전류 정보의 부정확성은 보상의 오차의 다른 원인이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오프셋 전압(또는 이에 대응하는 전류(I * offset))은 스위칭 전류 맥동으로 인한 전류 오차에 기초하여 더 설정된다. 출력 전류(i xs)의 맥동이 의존하는 고주파 영역의 출력 인덕턴스가 L sh이며 x상 부하의 역기전력이 e xs인 경우, I * offset은 스위칭 시점에서 변할 수 있는 전류의 크기 보다 커야 한다. 인버터(30)의 최대 출력 상전압이 부하에 인가된 경우를 가정하면 I * offset의 하한 값은 [수식 16]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38
여기서, L sh는 인버터의 출력 인덕턴스이고, e xs는 x상의 역기전력이며, V dc는 도 2의 상기 인버터에 제공되는 전압이며, T s는 (예컨대, 제어 신호의 전송에 의한)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 샘플링 한 주기를 나타낸다.
하지만 최대 상전압 출력 기준으로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I * offset를 설정하는 것은 매우 제한적인 운전 조건일 수 있으며, I * offset이 과도하게 크게 설정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I * offset이 과도하게 클 경우, 영전류 근처의 전류 파형을 심하게 왜곡할 수 있다. 영전류 클램핑의 반대로, 영전류를 너무 빨리 지나가 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도한 보상을 막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I * offset의 하한 값을 최대 상전압 출력 기준 대신에, 저속 영역에서 ZCC가 일어나는, 영전류 구간에 한정된 상전압 출력 기준으로 설정해야 한다. 그러면, I * offset의 하한 값은 [수식 17]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39
여기서, V xs,max는 3상(x,y,z) 중 x상에서 영전류 클램핑을 고려하고 있는 운전 영역에서의 최대 상전압 출력을 의미한다.
또한,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수식 15] 및 [수식 17]를 만족하는 전류 값 중에서 되도록 작은 값을 오프셋 전류(I * offset )로 출력하도록 더 구성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I * offset가 설정되면, 주입되는 오프셋 전압의 피크 값(peak value)인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40
은 다음과 같은 근사 값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41
그러면,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0.5 i * offset에서 피크 전압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42
을 갖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I th는 다음의 수식과 같이, 인버터의 상 전류(i s)의 크기의 최소값, I s,min보다 작도록 설정된다. I th의 경우 단순히, 인버터의 상 전류(i s)의 전류의 상승, 하강 만을 판단하는 전류이기 때문이다 .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43
부하(50)가 유도 전동기인 경우, 상 전류(i s)의 크기는 자화(Magnetizing) 전류의 크기보다 큰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I s,min은 자화 전류의 크기와 같다. 즉,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자화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 전류(i s)의 상승/하강 여부를 결정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부하(50)가 동기 전동기인 경우, I s,min는 임의로 지정된 최소 출력 전류일 수 있다.
또한, I th은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의 knee point 전류, I knee보다 크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44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 knee poin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Knee point는 논리적으로 측정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에서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전압 포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Knee point는 상기 전압 합성 오차의 성분(예컨대, 비선형 저항 성분)이 증가분이 감소하는 포인트(변곡점)에서 비선형 저항 성분이 0이 되는 포인트(또는 선형 저항 성분이 시작되는 포인트) 범위의 임의의 점일 수 있다.
또한, 영전류 구간이 종료되는 포인트 범위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knee point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의 최대값의 90%에 해당하는 포인트일 수 있으며, I knee는 이 전압 포인트에 대응하는 전류를 나타낸다.
만약 I knee 보다 I th가 작을 경우엔, 영전류 구간을 확실히 넘지 못한 상황에서 오프셋 지령 i * xs,offset의 부호가 변화할 수 있으며, 이는 전류 및 전압 파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인버터(30)의 출력 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I * offset 및/또는 I th 에 기초하여 오프셋 전압을 생성한다.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전류 오프셋 오차 자체를 산출하지 않으며, 전류 오프셋 오차를 상쇄하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오차를 극복하기 위해 해당 오차를 정확하게 산출한 뒤 이를 상쇄하는 역 신호로 보상하는 종래의 기술과 접근 방법이 전혀 상이하다.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오프셋 전압으로 인해 인버터(30)의 출력 전류가 영전류 클램핑 상황을 신속하게 벗어나게 되고, 그 결과, 영전류 클램핑의 원인인 전류 오프셋 오차를 상쇄하지 않고도 영전류 구간에서 발생하는 보상의 오차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보상기(130) 및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를 갖는 제어 시스템(1)은 다양한 시스템 구조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1)은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에 의해 생성된 오프셋 전압(즉, 이에 대응하는 전류, I * offset)이 인버터(30)의 출력 정보와 함께 보상기(130)에 인가되고, 이들에 기초한 보상 전압이 인버터(30)의 전압 지령에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의 제어 시스템(1)에 포함된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인버터(30)의 출력 정보를 수신하고, 인버터(30)의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오프셋 전압(즉, 이에 해당하는 전류)을 인버터의 전압 지령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는 인버터(30)의 전압 지령에 직접 오프셋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전류(i s)의 크기와 방향에 기초하여, 상 전류(i xs)가 영전류 구간을 신속하게 탈출하게 하는 오프셋 전압을 직접적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 외에, 상기 도 20의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세부 구성요소는 도 15의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세부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서 최종적으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는 지령 발생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지령, 보상기(130)로부터 출력되는 보상 전압, 및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로부터 출력되는 오프셋 전압을 포함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의 제어 시스템(1)은 보상 전압과 별개의 오프셋 전압을 생성하는 것이 아닌, 보상 전압에 오프셋 전압을 반영한 새로운 보상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1의 참조표는 도 11의 참조표에 오프셋 전압을 반영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오프셋 전압은 출력 전류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존하므로, 도 21의 제어 시스템(1)은 상승 시 사용되는 제1 참조표 및 하강 시 사용되는 제2 참조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 상기 도 21의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세부 구성요소는 도 15의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의 세부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오프셋 전압이 더 인가된 제어 신호를 사용하면, 시스템의 제어 성능이 개선된다.
상기 오프셋 전압을 더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1)은 인버터의 출력 전류의 측정 내 오차에 강인하다. 또한, 전류 지령이 없는 개루프(open-loop) 제어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범용인버터의 유도전동기에 많이 쓰이는 V/F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영전류 클램핑 현상이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저주파수 운전 영역에서 뚜렷한 성능 개선을 가진다.
전술한 도 11, 19, 도 21의 제어 시스템(1)이 본 명세서에 서술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시스템(1)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데이터 엔트리를 위한 입력 장치, 물리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 및 디스플레이, 인쇄 또는 다른 데이터 표시를 위한 출력 장치,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예컨대, 메모리)와 같은, 본 명세서에 서술된 동작에 필요한 다른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에서 보상 전압은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는 측정으로부터 획득된 인버터(30)의 출력 전류(i xs)로부터 정확하게 산출된 것으로 (즉,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는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측정된 것으로) 가정되었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1)에서 정확한 보상 전압을 생성하는 것이 상기 오프셋 전압을 인가하는 것만큼 중요하다. 예를 들어, 도 11의 참조표에 저장된 비선형성 전압 합성 오차의 값이 부정확하다면, 전술한 보상의 오차가 더욱 커져, 오프셋 전압 인가의 효과가 반감될 것이다.
따라서, 보상의 정확성을 위해서, 인버터(30)의 출력 전류에 따른 비선형성 전압 합성 오차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제어 시스템(1)이 3상 부하를 갖는 경우, 상기 제어 시스템(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3상 부하를 구동할 때와 같은 결선 구조를 가진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선 구조 상에서, a상이 고정자 좌표계의 0도로 설정된 경우, 제어기(10)는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측정을 위한 전류(이하, “오차 측정용 전류”)로, 서로 상이한 각도에서 부하에 대한 양의 정격 전류로부터 음의 정격 전류를 인버터(30)로 출력한다.
위와 같이 설정된 고정자의 좌표계 상에서, 상기 오차 측정용 전류는, dq축 좌표계를 기준으로 특정 각도에서의 d축 전류일 수 있다. 상기 오차 측정용 전류의 q축 전류는 0의 값(즉, 0A)을 가진다. 즉, 오차 측정용 전류는 해당 각도로 부하의 정격 전류 범위의 크기를 갖는 전류의 d축 성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부하(50)가 3상 부하인 경우, 상기 오차 측정용 전류는 서로 상이한 세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d축 전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 각도는 서로 간에 120도의 차이를 가진다.
일부 실시 예에서, 부하(50)가 동기 좌표계 상의 제어를 받는 3상 전동기 부하일 수 있다. 이 경우, 3상 전동기 부하는 측정 과정에서 비활성화되어야 한다(회전자 구속 상태). 상기 오차 측정용 전류는 3상 전동기 부하가 구속되어 있지 않아도 활성화되지 않는 각도에서의 d축 전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차 측정용 전류는 고정자의 dq축 좌표계를 기준으로, 전기각으로 -30도, +90도, 및/또는 -150도의 세 각도에서의 d축 전류일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차 측정용 전류에 따른 인버터 부하를 고려한 등가 회로 모델의 개념도이다.
도 22a는 ab상에 대한 오차 측정용 전류가 흐를 경우 인버터 부하를 고려한 등가 회로 모델이고, 도 22b는 bc상에 대한 오차 측정용 전류가 흐를 경우 인버터 부하를 고려한 등가 회로 모델이며, 도 22c는 ca상에 대한 오차 측정용 전류가 흐를 경우 인버터 부하를 고려한 등가 회로 모델이다.
상기 세 각도에서의 오차 측정용 전류를 인버터(30)에 입력하면, 각각의 각도별로 각각 ab상, bc상 및 ca상으로만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류(예컨대, -30도에서의 오차 측정용 전류)는 a상, b상 c상 모두에서 흐를 수 있지만,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간주되는 두 상(예컨대, ab상) 이외의 다른 한 상(예컨대, c상)에서는 전류의 흐름이 서로 상쇄되어, 2상(two phase)에서만 통전되는 것과 등가적이다. 2상 통전에서 각 상의 전류의 크기는 동일하나, 방향은 서로 반대이므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계산하는데 용이하다.
제어기(10)가 고정자의 dq축 좌표계를 기준으로 -30도에서의 d축 전류를 오차 측정용 전류로 인버터(30)에 인가하는 경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상이 통전된다.
여기서, 도 22a의 오차 측정용 전류로 인버터(30)에 대한 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인버터(30)의 동기좌표계 기준 전압 지령(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45
)은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46
한편, 제어기(10)가 고정자의 dq축 좌표계를 기준으로 +90도에서의 d축 전류를 오차 측정용 전류로 인버터(30)에 인가하는 경우,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c상이 통전된다.
그리고,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가 고정자의 dq축 좌표계를 기준으로 -120도에서의 d축 전류를 오차 측정용 전류로 인버터(30)에 인가하는 경우, ca상이 통전된다.
이와 같이, 제어기(10)는 전술한 오차 측정용 전류를 인버터(30)에 인가할 경우, 제어기(10)에서 3상이 모두 결선된 상황에서도 인버터(30)에 인가할 전류를 선택함으로써 2상(two phase)을 선택적으로 통전시킬 수 있다.
상기 [수식 25]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 22b 및 도 22c의 오차 측정용 전류로 인버터(30)에 대한 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인버터(30)의 동기좌표계 기준 전압 지령(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47
)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2a 내지 도 22c의 전압 지령을 제1 내지 제3 측정용 전압 지령으로 지칭하는 경우, DC 정상상태에서 각각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48
이를 통해 계산되는 d축 전압지령(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49
)은 2상에서의 인버터 비선형성의 전압 합성 오차 정보를 다음과 같이 포함하고 있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50
오차 측정을 위해 양과 음의 정격 전류 범위에서 크기별로 단계적인 전류 제어가 진행되는 경우, 전류가 수렴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져야 DC 정상 상태에 도달하며, [수식 17]이 성립한다. 따라서, 부하(50)가 동기 전동기인 경우 해당 단계에서 동기 전동기 시정수 이상의 시간이 소모된다. 부하(50)가 유도 전동기인 경우 해당 단계에서 회전자 시정수 이상의 시간이 소모된다. 일반적으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시정수가 수십ms에서 대용량 전동기인 경우 수초를 가지므로, 오차 측정을 위한 전류 제어는 수십초 내지 10여분의 시간이 소모될 수 있다.
상기 세 각도에서의 오차 측정용 전류를 인버터(30)에 입력하는 측정용 전류 제어를 ab상, bc상 및 ca상에 대한 통전이 되도록 3회 반복하면,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성분과 선형 저항 성분을 다음의 과정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51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52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53
이와 같이, 제어기(10)는 오차 측정용 전류를 인버터(30)에 인가하여, 각 상에서의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성분(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54
,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55
,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56
) 및 선형 저항 성분(R as, R bc, R cs)을 각각 얻을 수 있다.
제어기(10)는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측정(또는 산출)하는 과정에서 고정자 저항 성분을 획득하고, 이를 저장하여 인버터(3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도 22 등에 기초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측정하는 과정은 제어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3와 같이, 오프셋 신호 발생기(150)가 없는 인버터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어, 인버터 비선형성의 전압 합성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도 22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서 하나의 스케일은 20초에 해당한다.
도 24의 실험 예에서 부하(50)는 유도 전동기로서, 상기 실험 예의 조건은 표 2와 같다.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57
1회의 2상(two phase) 통전 제어 동작은 총 121 단계로 이루어지고, 각 단계에서 해당 전류 레벨로 1초씩 해당 2상 통전을 위한 각도에서의 오차 측정용 전류를 인버터(30)에 인가하였다.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변동을 상대적으로 잘 관찰할 수 있도록, 전류 레벨이 크도록 설정되었다.
상 간의 회로 성분의 불평형을 고려하는 경우, ab상, bc상, 및 ca상에 대한 통전이 수행되었다. 각 상에 대한 통전은 12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도 24a는 ab 상으로 통전된 경우, 도 24b는 bc 상으로 통전된 경우, 도 24c는 ca상으로 통전된 경우 비선형성 오차를 나타낸다. 각 실험 결과는 획득된 고정자 성분에 기초하여 관측 결과에서 선형 저항 성분을 제외한, 비선형성 오차 부분만을 그래프화한 것이다.
도 25는, 도 24의 실험 결과에 기초한 상 전압 지령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6은, 도 25의 상전압 지령에 기초한 인버터 비선형으로 인한 전압 합성 오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통전 시험을 통하여 추정된 d축 전압(v ds e)을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얻어진 v ds e로부터 상 전압을 복원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축 전압 지령이 얻어지면, 도 25와 같이 상전압 지령이 복원된다. 복원된 직선 기울기는 저항 성분으로 분리하고, 저항 성분을 제외한 전압을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로 분리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6과 같은 인버터 비선형으로 인한 전압 합성 오차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 간의 회로 성분의 완전한 평형이 전제되는 경우, 1회의 통전 제어만 수행되면 되며, 그러면 보다 신속하게 (예컨대, 120초) 실험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술한 실험 조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기 전동기(예컨대, IPM)가 부하(50)로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이상에 대한 통전 제어는 상이한 시간(예컨대, 대략 20초)이 소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인버터의 결선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그리고 인버터의 출력 전압을 측정할 필요 없이,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오차를 계산하여,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정확한 참조 표를 생성하여, 보상기(130)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phase) 스위치의 도통 전압, 데드타임, 및 저항의 불균형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이들에 의한 오차를 계산하고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스위치의 도통 전압, 게이트 드라이버의 온/오프 딜레이 등과 같은, 구성요소의 자세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나아가, 유도 전동기, 동기 전동기 등과 같은, 전동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인버터의 출력이 전동기에 연결만 되어 있는 경우에도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제어, 전동기 제어 등의 모든 제어에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 고정자 저항 성분도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얻을 수 있다. 만약 전류 전압 센서에 약간의 크기(scale)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센서를 인버터의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의 계산 및 부하의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이 크기 오차는 부하의 제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각도 수치는 a상이 고정자 좌표계의 0도로 설정된 특정 고정자 좌표계 상에서의 상대적 벡터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a상 이외의 다른 상이 고정자 좌표계의 0도로 변형되어 설정된 경우에도 전술한 원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일부 실시 예에서, 부하(50)가 3상 전동기 부하가 아닌 경우, 상기 오차 측정용 전류는 -30도의 각도 이외의 다른 각도에서의 d축 전류일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본 발명의 일 실험 예에 따른, 전혀 보상 전압이 없을 때, 오프셋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채 보상할 때, 오프셋 전압까지 고려했을 때의 상전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a는 보상 전압이 전혀 없을 때의 상전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b는 오프셋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채 보상할 때의 상전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7c는 오프셋 전압까지 고려했을 때의 상전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의 실험 예에서, 3Hz 운전 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지 않았을 경우의 파형(도 27a), 도 22에 기초하여 획득된 전압 합성 오차에 매칭하는 보상 전압을 오프셋 전압 없이 보상한 경우의 파형(도 27b) 및 도 22에 기초하여 획득된 전압 합성 오차에 매칭하는 보상 전압을 오프셋 전압과 함께 보상하였을 경우의 파형(도 27c)를 실험하였다. 오프셋 전류(I * offset)는 0.1 A이며, 상승 하강 판단을 위한 임계 전류(I th)는 0.7 A로 설정하였다.
전술한 3가지 실험 조건이 상기 표 2의 유도 전동기에 적용되었다.
도 27a는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전혀 보상하지 않았을 때 삼상 전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전압 합성 오차로 인해 상당히 왜곡된 파형의 형태가 나타난다.
도 27b는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오프셋 변조 없이 보상했을 때 삼상 전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보상에 의해 도 27a에 비해 왜곡이 완화된다. 그러나, 인버터 출력 전류 측정의 전류 오프셋 오차 등과 같은 구현 차이로 인한 오차는 여전히 남아 있어, 약간의 왜곡이 존재한다.
상기 실험 예를 통해 전술한 실시 예들의 보상 방법의 정확한 성능 개선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왜곡을 비교해야 타당하다. 그러나, PWM 전압을 직접 측정한 성능 비교가 어려우므로, 상 전류의 THD를 비교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도 2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kHz 스위칭 주파수 조건에서 보상 전압, 오프셋 전압을 적용한 THD 결과를 비교한 도면이고, 도 2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kHz 스위칭 주파수 조건에서 보상 전압, 오프셋 전압을 적용한 THD 결과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8a에서는 2kHz 스위칭 시의 운전 주파수에 따른 THD 결과를 도시하였고, 도 28b에서는 15kHz 스위칭 시의 운전 주파수에 따른 THD 결과를 도시하였다.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의 실시 예가 가장 낮은 THD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낮은 운전 주파수 영역 및/또는 높은 스위칭 주파수 설정에서 뚜렷한 THD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 예에 따른, 상전류, 선간 전압 지령 및 실제 선간 전압을 400Hz 차단 주파수를 가지는 저역 통과 필터로 스위칭 파형을 제거한 후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a는 보상 전압만을 인가한 경우 상전류, 선간 전압 지령 및 실제 선간 전압을 400Hz 차단 주파수를 가지는 저역 통과 필터로 스위칭 파형을 제거한 후의 파형을 도시하고, 도 29b는 보상 전압 및 제1 오프셋 전류를 인가한 경우 상전류, 선간 전압 지령 및 실제 선간 전압을 400Hz 차단 주파수를 가지는 저역 통과 필터로 스위칭 파형을 제거한 후의 파형을 도시하며, 도 29c는 보상 전압 및 제2 오프셋 전류를 인가한 경우 상전류, 선간 전압 지령 및 실제 선간 전압을 400Hz 차단 주파수를 가지는 저역 통과 필터로 스위칭 파형을 제거한 후의 파형을 도시한다.
도 29의 실험 예에서, 선간 전압은 ab상 전압을 400Hz 1차 RC Filter로 저역(Low pass) 통과(Filtering) 하여, PWM 전압을 제거한 뒤, 보상전압에 오프셋 전압 적용 여부에 따른 선간(Line to line) 전압의 파형을 획득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1, 도 19, 도 21 등의 오프셋 전압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시스템은, ZCC를 보다 빠르게 벗어날 수 있도록 오프셋 전압을 더 주입하는 방식이다. 이는 전동기에 교류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상 전압을 측정해보면, 실제 측정된 상전압 또는 선간전압이 매끄러운 정현파가 아닌, 상전류가 영전류 근처를 통과할 때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전압이 주입된 형태로 나타난다.
도 29a는 오프셋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보상 전압만 인가한 결과를 나타내고, 도 29b는 I * offset = 0.1A가 더 인가되는 결과, 도 29c는 I * offset = 0.2A가 더 인가된 결과를 나타낸다.
보상전압만 인가하는 경우, ZCC가 일어날 때 상전압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오프셋 전압 인가 시 영전류 근처에서 선간 전압의 크기가 오히려 커지며, 영전류 영역을 빠르게 벗어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도 29b, 및 29c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보다 큰 오프셋 신호(I * offset=0.2A)를 적용할 경우, 더 잘 나타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은 인버터의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정확하게 보상함으로써 인버터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인버터를 이용하는 전력 분야에서 높은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0)

  1.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인버터의 지령 신호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로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의 지령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령 발생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정보에서의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결정하고, 그리고 보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보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보상 신호에 더 기초하거나, 또는 상기 보상 신호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가 영전류 구간에서 벗어나도록 촉진하는 오프셋 신호에 더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오프셋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오프셋 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신호는 상기 결정된 전압 합성 오차에 대응하고, 상기 보상 신호에 대응한 전압 합성 오차는 출력을 의도한 전압과 상기 인버터에서 실제 출력된 전압 사이의 오차이고,
    상기 오프셋 신호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가 영전류 구간에서 벗어나도록 촉진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신호 발생기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의 상승 또는 하강을 판단하고;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상승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음의 오프셋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하강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양의 오프셋 신호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신호 발생기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제1 임계 기준, +I th 보다 큰 경우,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하강할 것으로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제2 임계 기준, - I th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상승할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기준의 값, I th는 다음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값으로 설정되며,
    [수학식]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58
    여기서, I s,min은 상기 인버터의 상 전류의 최소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기준의 값, I th는 특정 전압 포인트에 대응하는 전류의 값 보다 크도록 설정되며,
    상기 특정 전압 포인트는, 상기 인버터의 비선형 저항 성분이 변곡하는 전압 포인트에서 상기 인버터의 비선형 저항 성분이 0이 되는 전압 포인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신호가 전류 신호, I * offset인 경우,
    상기 오프셋 신호는, 다음의 수학식을 만족하도록 값을 갖도록 설정되며,
    [수학식]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59
    여기서, L sh는 인버터의 출력 인덕턴스이고, e xs는 x상의 역기전력이며, Vdc는 상기 인버터에 제공되는 전압이고, Ts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샘플링 한 주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신호가 전류 신호, I * offset인 경우, 3상(x, y, z) 상에서 전류 센서 및 전체 제어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출력 전류(i xs) 측정의 전류 오프셋 오차, I xs,offset의 최대값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오프셋 신호가 다음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는 하는 경우, 상기 오프셋 신호 발생기는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전류 값 중 보다 작은 전류 값을 상기 오프셋 신호가 갖도록 설정되며,
    [수학식 1]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60
    [수학식 2]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61
    여기서, L sh는 인버터의 출력 인덕턴스이고, Ts는 샘플링 한 주기를 나타내고, V xs,max는 3상(x,y,z) 중 x상에서 ZCC를 고려하고 있는 운전 영역에서의 최대 상전압 출력을 나타내고, e xs는 3상(x,y,z) 중 x상의 역기전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가 유도 전동기에 출력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I s,min는 인버터의 상 전류(i s)의 크기의 최소값으로서, 상기 I s,min 는 유도 전동기의 자화 전류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오프셋 신호가 인가된 상기 보상 신호를 상기 지령 신호에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보상 신호 및 상기 오프셋 신호를 지령 신호에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신호 발생기는,
    판단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음의 오프셋 신호가 출력되는 제1 경로 또는 상기 양의 오프셋 신호가 출력되는 제2 경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인버터의 출력 전류와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사이의 대응 관계를 기록한 참조표를 저장하며,
    수신한 인버터의 출력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서의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상기 참조표로부터 검색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는 상기 전압 합성 오차에 대응한 신호 및 오프셋 신호에 기초한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보상 신호를 상기 지령 신호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의 상승 또는 하강을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지령 신호에 인가될 상기 보상 신호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상승할 경우 제1 참조표로부터 상기 보상 신호를 검색하거나, 또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하강할 경우 제2 참조표로부터 상기 보상 신호를 검색하며,
    상기 제1 참조표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상승하는 파형을 포함한, 해당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대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상승할 때의 오프셋 전류에 기초한 해당 보상 신호를 기록하고,
    상기 제2 참조표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하강하는 파형을 포함한, 해당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대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가 하강할 때의 오프셋 전류에 기초한 해당 보상 신호를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5.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인버터의 지령 신호 및 보상 신호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로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의 지령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령 발생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정보에서의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보상기를 포함하되,
    상기 인버터가 3상 부하에 출력 신호를 인가하도록 연결된 경우에서,
    상기 보상 신호는, 상기 3상 부하를 비활성화 시키면서 상기 3상 중 2상을 통전시키는 전류를 상기 인버터에 인가하여 획득된,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에 대응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2상을 통전시키는 전류는,
    상기 3상 중 제1 상(phase)이 고정자 좌표계의 0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서로 상이한 세 각(angle) 중 적어도 하나의 각에서의 d축 전류로서, q축 크기는 0의 값을 가지며, 상기 제1 상은 다른 제2 및 제3 상과 서로 ±120도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2상을 통전시키는 전류는,
    상기 3상 부하가 전동기인 경우, 고정자의 dq축 좌표계를 기준으로, 전기각으로 -30도, +90도, 및 -150도의 세 각도에서의 d축 전류 중 적어도 하나로서,
    -30도에서의 d축 전류는 제1 및 제2상을 통전하고,
    +90도에서의 d축 전류는 제2 및 제3 상을 통전하며,
    -150도에서의 d축 전류는 제3 및 제1 상을 통전하는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이 a상, 상기 제2 상이 b상 및 상기 제3 상이 c상인 경우,
    ab상, bc상 및 ca상에서의 d축 전압 지령(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62
    )은 각각 다음의 수학식으로 산출되며,
    [수학식]
    Figure PCTKR2020016029-appb-img-000063
    여기서, s는 각 상에서의 중성점을 나타내고, v xn는 x상에서의 극전압, i xs는 x상에서의 상 전류, δv xn는 각 상에서의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 및 R xs는 각 상에서의 고정자 저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2상을 통전시키는 전류는,
    상기 3상 부하의 양의 정격 전류에서 음의 정격 전류 범위 내에서 단계별로 인가되며, 각 단계는 DC 정상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오프셋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오프셋 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오프셋 신호에 더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PCT/KR2020/016029 2019-11-14 2020-11-13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 WO202109630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896A KR102146387B1 (ko) 2019-11-14 2019-11-14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19-0145896 2019-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6309A1 true WO2021096309A1 (ko) 2021-05-20

Family

ID=7224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029 WO2021096309A1 (ko) 2019-11-14 2020-11-13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6387B1 (ko)
WO (1) WO2021096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387B1 (ko) * 2019-11-14 2020-08-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157A (ja) * 1991-07-25 1993-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ータ装置の出力電圧誤差補正装置
JP2001186773A (ja) * 1999-12-27 2001-07-06 Toyo Electric Mfg Co Ltd Pwmインバータ制御装置
JP2005224038A (ja) * 2004-02-06 2005-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バータ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6166664A (ja) * 2004-12-09 2006-06-22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圧形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
US20080094863A1 (en) * 2006-10-18 2008-04-24 Neacsu Dorin O Inverter-filter non-linearity blanking time and zero current clamping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KR102146387B1 (ko) * 2019-11-14 2020-08-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946A (ko) 2017-01-26 2017-0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도 전동기 구동용 전압보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압보상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157A (ja) * 1991-07-25 1993-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ータ装置の出力電圧誤差補正装置
JP2001186773A (ja) * 1999-12-27 2001-07-06 Toyo Electric Mfg Co Ltd Pwmインバータ制御装置
JP2005224038A (ja) * 2004-02-06 2005-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バータ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6166664A (ja) * 2004-12-09 2006-06-22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圧形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
US20080094863A1 (en) * 2006-10-18 2008-04-24 Neacsu Dorin O Inverter-filter non-linearity blanking time and zero current clamping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KR102146387B1 (ko) * 2019-11-14 2020-08-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387B1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8485C (zh) 显示装置
WO2016148423A1 (en) Motor driving apparatus
WO20171553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WO2010104297A9 (ko) 능동형 정전력 공급장치
WO2017061693A1 (ko) 모터 구동 장치, 모터 구동 장치의 제어 방법, 인버터 장치 및 전원 장치
WO2013100736A1 (en) Led luminescence apparatus
WO2015139232A1 (zh) 一种应用的推荐方法、系统及服务器
WO2014077596A1 (ko) 인버터의 리플 및 옵셋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11508A1 (ko) 모터 구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232818A1 (zh) Pfc电源的交流电压有效值获取方法及装置
WO2018194201A1 (ko) 교류전원의 위상각 제어 통신을 이용한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EP2591159A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096309A1 (ko) 인버터 비선형성에 의한 전압 합성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
EP2761724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impedence control method
WO2015122655A1 (ko) 동력 장치 및 동력 장치에 포함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
WO2021225376A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1045402A1 (ko) 유도 가열 장치
EP2436239A2 (en) Led driver
WO2016093534A1 (ko)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WO2022119278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ischarging a dc link capacitor
WO2019172643A1 (ko) 전원 장치
WO2021107485A1 (en) Display apparatus
WO2015060644A1 (ko)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
WO2021225411A1 (ko) 정밀하게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
WO2018016854A2 (ko) 비동기 디지털 통신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881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881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