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75811A1 -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75811A1
WO2021075811A1 PCT/KR2020/013872 KR2020013872W WO2021075811A1 WO 2021075811 A1 WO2021075811 A1 WO 2021075811A1 KR 2020013872 W KR2020013872 W KR 2020013872W WO 2021075811 A1 WO2021075811 A1 WO 20210758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umidity
inlet
laundry treatment
module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38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동수
김태웅
강혜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80072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555878B/zh
Priority to US17/769,969 priority patent/US20220372685A1/en
Priority to AU2020368815A priority patent/AU2020368815B2/en
Priority to EP20877790.4A priority patent/EP4047118A4/en
Publication of WO20210758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758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3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air flow, e.g. blowing air during the washing process to prevent entanglement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washing machine module performing a washing process and a dryer module performing a drying process are provided inside a common cabine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t is about.
  •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includes a drum rotatable inside a cabinet and a driving device that rotates the drum to wash laundry. These washing machines are classified into top loading and front loading type washing machines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drum.
  • the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has a drum that is laid down differently from the top loading method having an upright drum, and accordingly, laundry is fed into the laundry through the front portion of the washing machine.
  • Such a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has a larger washing capacity while having a smaller size compared to a top loading washing machine.
  • the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has high washing performance and does not cause tangling of laundry, so it is widely used.
  • a combo-type dry-washing machine in which a drying module is installed and a drying function is added to the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is also widely used and widely used.
  • the drying module installed in the combo-type dryer-washer has a limited drying capacity,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drying time to dry the entire laundry after washing.
  • a dryer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drying laundry as another laundry treatment device in particular, a front loading dryer, which is the same type as a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is in use with a combo-type washing machine.
  • washing machines and dryers may be installed together in a way that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ea occup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excessively large.
  • Chi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8950976 discloses that the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 assembled in a way that they are stacked together inside a single cabinet, but some components for implementing the product's functions are shared by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yer.
  • An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device for reducing the size of a product, particularly the height of the product, is disclosed.
  • the prior literature discloses a configuration for sharing a drive motor and a drying module as common parts of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and in particular, the shared drying module includes a common duct, a condenser provided inside the common duct, a heater, a fan/motor, and a common It includes inlet and outlet valves for switching the outlet and inlet of the duct.
  • the common drying module disclosed in the relevant prior literature can supply hot air to the washing drum and drying drum at the same time and recover hot air by adjusting the inlet valve and the outlet valve in order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drying process for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yer.
  • a means for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hot air supplied to each washing drum and drying drum during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can supply hot air to the washing drum and drying drum at the same time and recover hot air by adjusting the inlet valve and the outlet valve in order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drying process for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yer.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installing a washing machine module and a dryer module integrally inside a common cabinet and generating dry hot air through a single drying module, the size of the product is reduced.
  • the drying module reduces the overall drying time and minimizes power consumption by differentially controlling the supply and collection amount of dry hot air by detecting the drying status of the laundry drying in the laundry drum and drying drum respectively in real time during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through the drying module.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drying process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ying process of the dryer at the same time, thereby providing an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cabinet having a commo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disposed above the common accommodation space; A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disposed below the common accommodation space; Hot air is generated and supplied to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and the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through a first outlet and a second outlet, respectively, and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and the second laundry through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 An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selectively ope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or simultaneously ope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lets and the second outlets;
  • An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selectively ope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or simultaneously ope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 a first humidity sensor measuring a first humidity of hot air recovered through the first inlet;
  • a second humidity sensor measuring a second humidity of the hot air recovered through the second inlet;
  • a control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umidity sensor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 a signal related to a first humidity measured by the first humidity sensor and a signal related to a second humidity measured by the second humidity sensor are respectively received,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is driven to change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 a hot air supply duct including a first supply duct fluidly connecting the first outlet and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and a second supply duct fluidly connecting the second outlet and the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 a hot air recovery duct including a first recovery duct fluidly connecting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and a second recovery duct fluidly connecting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 first humidity sensor is installed in the first recovery duct adjacent to the first inlet
  • second humidity sensor is installed in the second recovery duct adjacent to the second inlet
  • the common drying module includes: a common duct having a hot air passage formed therein and having the first and second inlets and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A heater and a blower fan disposed inside the common duct and generating hot air discharg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And a condenser for at least partially absorb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hot air recovered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 the controller compares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with a predetermined target humidity before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and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are If it is determined that all of them exceed the target humidity, the humidity difference value is calculated.
  • the target humidity is 60% relative humidity.
  •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10% relative humidity.
  • a first actuat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drives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 a second actuat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drives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outlet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decreases the opening amount of the second outlet at the predetermined ratio, and the second humidity
  • a control signal for increas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second outlet at the predetermined ratio and reduc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exit at the predetermined ratio is generated to generate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To the actuator.
  • control unit increases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inlet by the predetermined ratio and decreases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inlet by the predetermined ratio, and the second
  •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increase the opening amount of the second inlet by the predetermined ratio and reduce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inlet by the predetermined ratio. 2 Transfer to the actuator.
  • a simultaneous drying step A humidity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hot air recovered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 humidity difference value determining step of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easured humidity value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difference value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is converted to adjust the ratio of hot air supplied to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and the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It includes; adjusting the flow path opening ratio.
  • the humidity measuring step may include: a first humidity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first humidity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using a first humidity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inlet; And a second humidity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second humidity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using a second humidity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nlet.
  • the humidity measurement step whether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are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target humidity, and whether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reach a target humidit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arget humidity. It includes; determining step.
  • the humidity difference value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 the target humidity is 60% relative humidity.
  •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10% relative humidity.
  •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outlet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 opening amount of the second outlet is reduced by the predetermined ratio, And if the second humidity is higher than the first humidity, the opening ratio of the outlet passage is increased by the predetermined ratio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outlet is decreased by the predetermined ratio.
  •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inlet is increased by the predetermined ratio, and the opening amount of the second inlet is reduced by the predetermined ratio.
  • the second humidity is higher than the first humidity, increas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second inlet by the predetermined ratio and reduc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inlet by the predetermined ratio. do.
  •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is started while the opening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inlets and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are adjusted at the predetermined ratio.
  • the humidity measuring step the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humidity has been reached, the humidity difference value determining step, and the Perform the flow path opening ratio adjustment step again.
  • An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and a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detecting the drying state of the laundry being dried in real time during simultaneous drying through a common drying modu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3 to 6 are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s for distinguishing and explaining a state in which dry hot air is supplied to the dryer module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for each stroke mode or the supply of the dry hot air is blocked.
  • FIG. 7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an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8 to 9 are flow charts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 the term “and/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forms an exterior and is disposed on a common cabinet 10 having a commo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disposed above the common accommodation space.
  •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20, the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30 disposed below the common accommodation space, and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20 and the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30 as front surfaces of the common cabinet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panel 40 disposed between.
  •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20 and the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30, which respectively independently perform laundry treatment steps with each other, are integrally stacked and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common cabinet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iz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especially the height direction siz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mple lamination method. You will be able to.
  •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20 and the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30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ront loading is more suitable than the top loading method, and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20 and the second laundry
  • the processing module 30 includes a first door 21 and a second door 31 respectively disposed in front of the common cabinet 10.
  • a first drum 22 and a second drum 32 for treating laundry are disposed, respectively.
  • the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20 and the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30 may perform the same laundry treatment process or different laundry treatment processes.
  • an upper washing machine module-a lower washing machine module an upper dryer module-a lower dryer module, an upper washing machine module-a lower dryer module, and an upper dryer module-a lower washing machine module can be appli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for convenience hereinafter, a dryer module 20 as a first laundry treatment module disposed at the top, and a washing machine as a second laundry treatment module disposed at the bottom will be described below for convenience. do.
  • the control panel 4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ommon cabinet 10 as a location between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operation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As shown, the control panel 40 includes an operation unit 41 to which a user's operation command is input, and a display unit 42 that displays the current state and administrative progress of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ncludes.
  • the control panel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70 to be described later, converts a user's manipulation command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41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70.
  •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ry hot ai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through the common drying module 50.
  • the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supplies hot air simultaneously or individually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nd the dryer module 20 And a common drying module 50 that at least partially absorbs and removes moisture included in the hot air recovered from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 the common drying module 50 has a common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has a first outlet 51c and a second outlet 51d for supplying dry hot air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respectively. And a common duct 51 having a first inlet 51a and a second inlet 51b for recovering hot air from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respectively.
  • a common duct 51 having a first inlet 51a and a second inlet 51b for recovering hot air from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respectively.
  • the first outlet 51c of the common drying module 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upply duct 61 for guidi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mon duct 51 toward the dryer module 20, and the common drying module (
  • the second outlet 51d of 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ly duct 62 for guidi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mon duct 51 towar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That is, as shown,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common duct 51 of the common drying module 50 is branched into the hot air supply duct including the first supply duct 61 and the second supply duct 62, and the dryer module (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re respectively connected.
  •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ly duct 61 is connected to the dryer module 20, more specifically to the inlet 22a of the drying drum 2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ly duct 62 is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 In more detail, it is connected to the inlet (33a) of the washing machine tub (33).
  • the first inlet 51a of the common drying module 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ecovery duct 63 for guidi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dryer module 20 to the common duct 51, and the common drying module (
  • the second inlet 51b of 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covery duct 64 for guidi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to the common duct 51. That is, as shown, the flow path structure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hot air recovered by the hot air recovery duct including the first recovery duct 63 and the second recovery duct 64 is combined into the common duct 51.
  •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covery duct 63 is connected to the outlet 22b of the drying drum 2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covery duct 64 is connected to the outlet 33b of the washing machine tub 33.
  • a heater 53 and a blowing fan 54 for generating hot air are disposed inside the common duct 51. Further, a condenser 52 for at least partially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hot air recovered from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s disposed upstream of the heater 53 in the direction of the hot air progress.
  • a blowing motor 55 for driving the blowing fan 54 is installed outside the common duct 51 adjacent to the blowing fan 54.
  • the driving of the blowing fan 54 is transmitted from a separate dedicated blowing motor 55 for driving the blowing fan 54, as shown, or a driving motor of the washing drum 32 or a driving motor of the drying drum 22. It can be configured to be delivered from For convenienc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basis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blowing fan 54 is driven by the dedicated blowing motor 55 for driving the blowing fan 54 as shown.
  • the heater 53 may be an electric heater 53, a gas heater 53, a heat pump type condenser, and the like, and as the condenser 52, a water cooling type dehumidification means, a heat pump type evaporator Etc. are applicable.
  • the heater 53 and the condenser 52 implemented as the heat pump module 80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 an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for selectively ope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let 51c and the second outlet 51d or simultaneously opening is provided, and the common duct 51 ) Is provided with an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that selectively opens at least one of the first inlet 51a and the second inlet 51b or simultaneously opens.
  • the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has at least four stroke modes.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llows hot air to be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let 51c and the second outlet 51d of the common duct 51 for each stroke mode, or the first outlet 51c and the second outlet. It serves to switch the outlet flow path of the common drying module 50 so that hot ai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outlet 51d.
  •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allows hot air to be recovered only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inlet 51a and the second inlet 51b of the common duct 51 for each stroke mode, or the first inlet 51a and the first inlet 51a. 2 It serves to switch the inlet flow path of the common drying module 50 so that hot air is simultaneously recovered to the inlet 51b.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are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in a stroke mode in which hot ai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inlets (51a, 51b) and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51c, 51d) so as to control the flow rate of hot air supplied to (30).
  •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are connected to valve actuators A1 and A2 for driving valves, respectively, and the valve positions are controlled by the respective valve actuators A1 and A2.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have, for example, a form of a three-way valve.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and these valve actuators A1 and A2 switch the 3-way flow path for each stroke mode, and the common drying module 50
  • Any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inlet and the outlet will be regarded as applicable without limitation, and such modifications naturall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valve position control for each stroke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 the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cludes a first humidity sensor SH1 for measuring a first humidity of hot air recovered through the first inlet 51a, and a second inlet 51b. ) And a second humidity sensor (SH1) for measuring the second humidity of the hot air recovered through.
  • the first humidity sensor SH1 has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humidity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drying drum 22 of the dryer module 20 to check the drying progress of the laundry inside the drying drum 22, and the second The humidity sensor SH1 has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humidity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drum 32 and the tub 33 of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to check the drying progress of the laundry inside the washing drum 32. .
  • the first humidity sensor SH1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SH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 the signal related to the first humidity measured by the first humidity sensor SH1,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 The signal related to the second humidity measured by SH1) is configured to b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
  •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the drying state of the laundry in the drying drum 22 and the laundry drum 32 based on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You can check.
  • the control unit 70 i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flow path so that more hot air can be supplied to a side where drying is less advanced, that is, a side that discharges hot air having a higher humidity based on the received first humidity and second humidity.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each of the valve actuators A1 and A2 described above, and the actuators A1 and A2 drive the valve based on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nd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inlets 51a and 51b and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51c and 51d is adjusted.
  • FIG. 9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inlets 51a and 51b and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51c and 51d based on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during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is shown in FIG. 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 the dryer module 20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state before the recovery flow path from) and the recovery flow path from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re combined. Therefore, the first humidity sensor (SH1)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SH1) are located closer to the first inlet (51a) and the second inlet (51b) as a position more upstream than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in the hot air travel direction. Thus,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installed inside the first recovery duct 63 and inside the second recovery duct 64.
  • first humidity sensor SH1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SH1 measure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air and convert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 3 to 6 are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s for distinguishing and explaining a state in which dry hot air is supplied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or the supply of the dry hot air is blocked for each stroke mode.
  • the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has at least four stroke modes including a first stroke mode to a fourth stroke mode based on a state of supply and collection of dry hot air. .
  • the first stroke mode is a stroke in which the drying stroke is performed by the dryer module 20 alone,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s in a stationary state or a stroke mode in which the washing stroke is performed. ) Only.
  • the second stroke mode is a stroke in which the dry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lone, and the dryer module 20 is in a stopped state. In the second stroke mode, dry hot air is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only. .
  • the third stroke mode is an administration mode in which a dry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dryer module 20, a wash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nd then a drying operation is performed.
  •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s During the washing process, the drying hot air is supplied only to the dryer module 20, but when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completes the washing process and performs the drying process, the hot air is simultaneously transferred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 the supply and recovery flow paths of hot air are switched through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to be supplied.
  • the fourth stroke mode is a stroke mode in which a drying step is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nd the dry hot ai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dry hot air is supplied only to the dryer module 20 in the first and third stroke modes.
  •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n the first stroke mode,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s in a stopped state, and in the third stroke mode,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stroke is being performed. Not supplied, all are supplied only to the dryer module 20, and are recovered from the dryer module 20.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opens all the first outlets 51c of the common duct 51 so that the drying hot air is supplied only to the dryer module 20 so that the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the dryer module 20 alone. It is driven through the valve actuator A2 so as to completely block the second outlet 51d of the common duct 51, and the inlet flow path valve opens all the first inlets 51a of the common duct 51, and the common duct ( It is driven through the valve actuator A1 to completely block the second inlet 51b of 51). Through this, as shown in FIG. 3, a single hot air circulation passage for the dryer module 20 is formed.
  • FIG. 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corresponding to the three-way valve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p valv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convenienc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p valve.
  • the drying state of the laundry inside the drying drum 22 is determined by the first humidity sensor ( It is monitored in real time through SH1).
  •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at the first humidity measured through the first humidity sensor SH1 reaches, for example, 60% relative humidity, the drying process for the dryer module 20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drying of laundry an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laundry.
  •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dry hot air is supplied only to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n the second stroke mode.
  • dry hot air is not supplied to the dryer module 20 but is supplied only to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blocks all the first outlets 51c of the common duct 51 so that drying hot air is supplied only to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so that the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lone. It is driven through the valve actuator A2 to open all the second outlet 51d of the common duct 51, and the inlet flow path valve blocks all the first inlet 51a of the common duct 51, and the common duct ( It is driven through the valve actuator A1 to fully open the second inlet 51b of 51). Through this, as shown in FIG. 4, a single hot air circulation passage for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s formed.
  •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that the second humidity measured through the second humidity sensor SH1 reaches, for example, 60% relative humidity, the drying process for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drying of laundry an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laundry.
  • FIG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dry hot ai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n the third and fourth stroke modes.
  • the dryer module 20 and the dryer module 20 in the fourth stroke mode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drying process for all of the washing machine modules 30, the drying hot ai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nd recovered at the same time.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is provided with the first outlet 51c and the second of the common duct 51 so that the drying hot ai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so that the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It is driven through the valve actuator A2 to at least partially open the outlet 51d, and the inlet flow path valve is a valve to at least partially open the first inlet 51a and the second inlet 51b of the common duct 51. It is driven through the actuator A1. Through this, hot air circulation flow paths are formed for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is a common duct 51 so that dry hot air is basically supplied to the drying drum 22 and the washing drum 32 at the same flow rate during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 the first outlet 51c and the second outlet 51d are controlled to have the same opening amount
  •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is the first inlet 51a and the second inlet 51b of the common duct 51. ) Is controlled to have the same opening amount.
  •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inlet 51a is larger than the opening amount of the second inlet 51b so that more dry hot air can be supplied to the drying drum 22 and recovered from the drying drum 22.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opening amount of the outlet 51c is greater than the opening amount of the second outlet 51d.
  • the drying hot ai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through the common drying module 50 during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the drying state of the laundry inside the drying drum 22 and the washing drum (32)
  • the drying state of the laundry inside is monitored in real time through the first humidity sensor SH1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SH1, respectively.
  • the control unit 70 indicates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measured through the first humidity sensor SH1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SH1 has reached a predetermined relative humidity.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humidity reaches 60% relative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is lower than 60% relative humidity, the drying process for the dryer module 20 is stopped, and the dry hot air is transferred to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s much as possible,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are switched to the state of FIG. 4 to prevent overdrying of the laundry in the drying drum 22 an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 the control unit 70 stops the drying process for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nd returns to the dryer module 20.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are switched to the state of FIG. 3 so that all dry hot air is transmitted.
  • both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are less than 60% relative humidity,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occurs severely, and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may be delayed more than expected as a whole. .
  • the controller 70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preferably 10% of the relative humidity, the dryer module Controls to switch states of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so that more hot air can be supplied to the side discharging hot air having a higher humidity among the 20 and washing machine module 30 .
  •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preferably 10% of the relative humidity
  • the control unit 70 increases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outlet 51c of the common duct 51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 ratio of control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to reduce the opening amount of the second outlet 51d, and the first inlet 51a and the second inlet 51b of the common duct 51 at the same predetermined ratio.
  •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is controlled so that the opening amount of is adjusted.
  • the predetermined ratio of the opening degrees of the first and second inlets 51a and 51b and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51c and 51d of the common duct 51 to be adjusted is about 5%.
  •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inlets 51a and 51b and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51c and 51d of the common duct 51 is adjusted and supplied.
  • FIG.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and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re each composed of two valves.
  •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opens and closes the first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1 and the second inlet 51b having a dedicated purpos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inlet 51a. It includes a second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2) having a purpose dedicated to the following.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has a first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1 having a dedicated purpos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outlet 51c, and a dedicated purpos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outlet 51d. And a second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2.
  • the embodiment shown in FIG. It may be configured to block the dryer hot air flow path and the washing machine hot air flow path at the same time.
  • the first outlet flow passage switching valve V21 and the second outlet flow passage switching valve V22 are driven by dedicated valve actuators V21 and V22, respectively, and the first inlet flow passage switching valve V11 and the second inlet passage switching valve V12 is driven by dedicated valve actuators V11 and V12, respectively.
  • FIG. 7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70 of the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8 to 9 are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low chart for the control method of 1).
  • an administration mode selection signal receiving step S1 of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dministration modes including at least a first administration mode to a fourth administration mode is performed.
  • the control unit 70 is a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to fourth stroke modes through a selection command physically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41 of the control panel 40 of FIG. 7. Is received.
  • the control unit 70 may receive a signal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 modes through a selection command input in a wireless mann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M) instead of the control panel 40. May be.
  • the communication unit CM is connected to a user mobile device (not shown) through any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known in the art.
  • control unit 70 performs an administration mode determination step (S2) of determining which of the first to fourth administration modes is selected based on the received selection signal.
  • control unit 70 may provi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pecific administration mode has been select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42 of FIG. 7 or the user mobile device.
  • the controller 70 opens the dryer hot air passage opening the dryer hot air passage as a preparatory step for performing an independent drying stroke of only the dryer module 20 Step S3 is performed.
  • the controller 70 opens all of the first inlet 51a and the first outlet 51c of the common duct 51 as shown in FIG. 3, and the common duct 51 ) Of the second inlet (51b) and the second outlet (51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shutting off all, and transmits it to the valve actuators (A1, A2) of FIG.
  • the controller 70 performs a dryer drying step performing step (S4) of performing a drying step for the dryer module 20.
  • the control unit 70 is selected from the sensor unit SM shown in FIG. 7 before power is supplied from the driving unit 90 to the first driving unit 91 for driving the drying drum 22. 1 From the sensor of the door 21,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first door 21 of the dryer module 20 is closed.
  • control unit 70 may detect the amount of cloth by initially driving the drying drum 22 by supply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PM to the first driving unit 91.
  • the control unit 70 may compare the detected cloth amount with required drying time data for each cloth amount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71 and transmit the estimated drying tim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42 or the user mobile device.
  • control unit 70 supplies power to the heat pump module 80 and the blower motor 55 of the common drying module 50 when the expected drying stroke time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initial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91 So that dry hot air is generated.
  •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use of the washing machine is stopped. Therefore, the control unit 70 provides a second driving unit 92 for driving the washing drum 32 from the driving unit 90 from the power unit PM. Control so that no power is supplied to the furnace.
  • the controller 70 is a washing machine as a preparatory step for performing an independent drying stroke of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only.
  • a washing machine hot air flow path opening step S5 of opening the hot air flow path is performed.
  • the controller 70 opens all of the second inlet 51b and the second outlet 51d of the common duct 51, and the common duct 51 ) Of the first inlet (51a) and the first outlet (51c)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shutting off all, and transmits it to the valve actuators A1 and A2 of FIG. 7.
  • control unit 70 performs a washing machine drying process step S6 of performing a drying process for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from the sensor of the second door 31 of FIG. 7 before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driving unit 92 for driving the washing drum 32.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second door 31 is closed.
  • control unit 70 may detect the amount of cloth by initially driving the laundry drum 32 by supplying power from the power unit PM to the second driving unit 92.
  • the control unit 70 may compare the detected cloth amount with required drying time data for each cloth amount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71 and transmit the estimated drying tim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42 or the user mobile device.
  • the expected drying stroke time of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may be different from the drying stroke time of the dryer module 20 described above.
  • control unit 70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heat pump module 80 and the blower motor 55 of the common drying module 50 when the expected drying stroke time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initial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92 So that dry hot air is generated.
  • the control unit 70 does not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PM to the first driving unit 91 for driving the drying drum 22. Control to avoid.
  • FIG. 9 shows steps performed by performing a third or fourth administration mode among the first to fourth administration modes.
  • the controller 70 sets the dryer hot air flow path as a preparatory step for performing an independent drying stroke of only the dryer module 20.
  • the dryer hot air passage opening step (S7) to be opened is performed.
  • the dryer hot air flow path opening step (S7)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dryer hot air flow path opening step (S3) when the first stroke mode is selected, and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hot air flow path can be generated only for the dryer module 20.
  • the first inlet 51a and the first outlet 51c of the common duct 51 are all open, and the second inlet 51b and the second outlet 51d of the common duct 51 are all blocked.
  • a control signal to be used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valve actuators A1 and A2 of FIG. 7.
  • the control unit 70 When the dryer hot air passage opening step (S7)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70 performs a drying process for the dryer module 20 and a drying process for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to perform a washing process for the dryer/washer washing process. Perform (S8).
  •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first door 21 sensor and the second door 31 of FIG. 7 before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driving unit 9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92. ) From the sensor,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31 are closed.
  • control unit 70 supplies electric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PM to the first driving unit 9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92 to (22) and the laundry drum 32 are initially driven to detect the laundry volume of the drying drum 22 and the laundry drum 32.
  • the control unit 70 compares the detected dry cloth amount with the required drying time data for each dry cloth amount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71, and the estimated dry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yer module 20, and the detected washing cloth amount and the memory 71 By comparing the required drying time data for each amount of laundry previously stored in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the estimated washing administ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42 or the user mobile device, respectively.
  • the control unit 70 operates the blower motor of the heat pump module 80 and the common drying module 50 ( 55), and control to generate dry hot air.
  • control unit 70 determines whether the washing process of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has been completed, determines whether or not dry hot air is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nd determines whether to enter the drying process at the same time.
  • the determination step S9 is performed.
  • control unit 70 ends the drying process of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 To continue the washing administration.
  • the controller 70 is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 the washing machine hot air flow path opening step (S5) of opening the hot air flow path and the washing machine drying process step (S6) are performed.
  • the controller 70 is And a drying/washing machine hot air flow path simultaneous opening step S10 of simultaneously opening the dryer hot air flow path and the washing machine hot air flow path as a preparatory step for performing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for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common ducts 51 so that the hot air flow path can be simultaneously generated for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all of the inlets 51a and 51b and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51c and 51d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valve actuators A1 and A2 of FIG. 7.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is a control unit of the common duct 51 so that the drying hot ai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so that the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It is driven through the valve actuator A2 to at least partially open the 1 outlet 51c and the second outlet 51d, and the inlet flow path valve comprises a first inlet 51a and a second inlet 51b of the common duct 51. ) Is driven through the valve actuator A1 to at least partially open.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is formed of the common duct 51 so that the drying hot air is basically supplied to the drying drum 22 and the washing drum 32 at the same flow rate for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 the first outlet 51c and the second outlet 51d are controlled to have the same opening amount
  •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has the first inlet 51a and the second inlet 51b of the common duct 51 It is controlled to have the same opening amount.
  • step S10 the simultaneous opening step (S10) of the dryer/washing machine hot air flow path
  • the control unit 70 performs a dryer/washer simultaneous drying process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a drying process for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It proceeds to step S11.
  • control unit 70 measures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hot air recovered through the first inlet 51a and the second inlet 51b of the common drying module 50 in real time. Perform (S12).
  • the control unit 70 measures the first humidity in real time using the first humidity sensor SH1 to check the dry state of the laundry inside the drying drum 22.
  • a first humidity measurement step is performed, and a first humidity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 second humidity in real time through the second humidity sensor SH1 in order to check the dry state of the laundry inside the laundry drum 32 is performed.
  • the control unit 70 indicates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measured through the first humidity sensor SH1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SH1 has reached a predetermined target humidity, for example.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humidity reaches 60% of the relative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is lower than 60% of the relative humidity, the drying process for the dryer module 20 is stopped and the dry hot air is transferred to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By switching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to the state of FIG. 4, overdrying of the laundry in the drying drum 22 can be prevented, an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prevented.
  • the control unit 70 stops the drying process for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nd returns to the dryer module 20.
  •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are controlled to be switched to the state of FIG. 3 so that all dry hot air is transmitted.
  • both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are less than 60% relative humidity,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occurs severely, and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may be delayed more than expected as a whole. .
  • control unit 70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ce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preferably 10% of the relative humidity, a humidity difference value determination step ( S13) is performed.
  • the controller 70 allows the first humidity and the second humidity to reach the target humidity.
  • the drying time until the drying time is controlled to continue with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of the dryer/washer (S11).
  •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first outlet 51c of the common duct 51.
  • control unit 70 may supply more hot air to the side discharging hot air having a higher humidity among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 V2 and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are controlled to switch states.
  • the control unit 70 increases the opening amount of the first outlet 51c of the common duct 51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 ratio of control the out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2 to reduce the opening amount of the second outlet 51d, and the first inlet 51a and the second inlet 51b of the common duct 51 at the same predetermined ratio.
  • the inlet flow path switching valve V1 is controlled so that the opening amount of is adjusted.
  • the predetermined ratio of the opening degrees of the first and second inlets 51a and 51b and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51c and 51d of the common duct 51 to be adjusted is about 5%.
  • the flow path opening ratio adjustment step In addition to (S14), the drum rotation speed adjustment step (S15) of further increa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on the side of discharging hot air having a higher humidity among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may be performed. .
  • the control unit 70 continues to perform the step of performing simultaneous drying of the dryer/washing machine (S16), and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fter the adjustment of the flow path opening ratio and the drum rotation speed is completed.
  • the elapsed time determination step 17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ime has elapsed.
  •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to 5 to 10 minutes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cloth included in the drying drum 22 and the washing drum 32 and the remaining drying time.
  • the control unit 7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humidity measurement step S12 again, and ends the above-described drying process according to the humidity measurement result, or
  • the humidity difference value determination step (S13), the flow path opening ratio adjustment step (S14), the drum rotation speed adjustment step (S15), and the drying process of the dryer/washer are performed again (S16).
  • Step (S8) and the step (S9) of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simultaneous drying process is omitted, but the rest of the steps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so that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are the same as the dryer module 20 and the washing machine module 30
  • the washing machine hot air flow path is simultaneously opened (S10), and the above-described steps are perform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기 모듈과 건조기 모듈을 일체로 설치하고 단일 건조 모듈을 통해 건조 열풍을 생성하도록 하여 제품의 사이즈를 감소시키되, 공통 건조 모듈을 통해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 세탁 드럼과 건조 드럼에서 각각 건조 중인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건조 열풍의 공급량 및 회수량을 차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체 건조 행정 시간을 감소하며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세탁기의 건조 행정 및 건조기의 건조 행정을 동시에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 모듈과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 모듈이 공통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장치로서 세탁기는 캐비닛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동시키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져 세탁물을 세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상기 드럼의 자세(posture)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및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 세탁기로 분류된다.
프론트 로딩 세탁기는 세워진(upright) 드럼을 갖는 탑 로딩 방식과는 다르게 눕혀진 드럼을 가지며, 이에 따라 세탁물은 세탁기의 전방부를 통해 상기 세탁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와 같은 프론트 로딩 세탁기는 탑 로딩 세탁기와 비교하여 적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더 큰 세탁 용량을 갖는다. 또한 프론트 로딩 세탁기는 높은 세탁성능을 가지며 세탁물의 엉킴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프론트 로딩 세탁기에는 건조 모듈이 장착되어 건조 기능을 추가한 콤보(combo)형 건조-세탁기도 널리 보편화 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콤보형 건조-세탁기에 설치된 건조 모듈은 건조 용량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전체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많은 건조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건조 시간 단축을 위해서, 다른 세탁물 처리장치로서 세탁물의 건조를 전용 목적으로 개발된 건조기, 특히 프론트 로딩 세탁기와 마찬가지 타입인 프런트 로딩 건조기가 콤보형 세탁기와 함께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세탁기와 건조기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방식으로 함께 설치될 수 있으나 수평방향으로 차지하는 면적이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세탁기와 건조기를 수직방향으로 적층하는, 특히 세탁기 위에 건조기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탁기와 건조기를 수직방향으로 단순히 적층하는 배열은 세탁기와 건조기에 각각 독립적인 기능 모듈, 특히 건조 모듈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적층된 제품의 높이가 지나치게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세탁기와 건조기가 함께 설치되는 위치에 대해서 상당히 큰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세탁기와 건조기가 적층된 전체 위치가 일반 가정의 층고보다 더 높게 되는 경우에는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으로서 중국공개특허공보 제108950976에는 세탁기와 건조기가 단일 캐비닛의 내부에 함께 적층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되, 제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일부 구성품을 세탁기와 건조기가 함께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제품의 사이즈, 특히 제품의 높이를 줄이기 위한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선행문헌에는 세탁기와 건조기의 공용 부품으로서 구동 모터, 건조 모듈을 공유화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공유 건조 모듈은, 공통 덕트, 공통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 히터, 팬/모터, 공통 덕트의 출구 및 입구를 전환하기 위한 입구, 출구 밸브를 포함한다.
다만,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공통 건조 모듈은 세탁기와 건조기에 대해서 동시에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입구 밸브와 출구 밸브를 조절하여 동시에 세탁 드럼과 건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고 열풍을 회수할 수 있다고만 기재되어 있을 뿐이며, 동시 건조 행정 수행간 각 세탁 드럼과 건조 드럼에 공급되는 열풍량을 조절 및 제어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동시 건조 행정 수행 중에 세탁 드럼 및 건조 드럼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세탁물에 대한 건조가 완료되더라도 건조가 완료된 측으로 지속적으로 열풍에 계속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열풍에 의한 세탁물의 손상이나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 드럼 및 건조 드럼에 대한 건조 행전의 진행 상황 및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건조 시간만큼 계속적으로 열풍이 공급되고 드럼이 구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전력 소비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통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기 모듈과 건조기 모듈을 일체로 설치하고 단일 건조 모듈을 통해 건조 열풍을 생성하도록 하여 제품의 사이즈를 감소시키되, 공통 건조 모듈을 통해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 세탁 드럼과 건조 드럼에서 각각 건조 중인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건조 열풍의 공급량 및 회수량을 차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체 건조 행정 시간을 감소하며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세탁기의 건조 행정 및 건조기의 건조 행정을 동시에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는, 내부에 공통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공통 수용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상기 공통 수용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세탁물 처리 모듈; 열풍을 생성하여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에 각각 공급하고,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서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각각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공통 건조 모듈;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출구 유로 전환 밸브;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입구 유로 전환 밸브; 상기 제1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 센서; 상기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 센서; 및 상기 제1 습도 센서 및 상기 제2 습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 및 상기 입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 동시에 열풍 공급 중에 상기 제1 습도 센서로 측정된 제1 습도에 관한 신호 및 상기 제2 습도 센서로 측정된 제2 습도에 관한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여,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이 변경되도록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동시 건조 행정 수행 중 전체 건조 행정 시간을 감소하며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세탁기의 건조 행정 및 건조기의 건조 행정을 동시에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1 공급 덕트와, 상기 제2 출구와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2 공급 덕트를 포함하는 열풍 공급 덕트; 및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1 회수 덕트와,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2 회수 덕트를 포함하는 열풍 회수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습도 센서는 상기 제1 입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1 회수 덕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습도 센서는 상기 제2 입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2 회수 덕트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통 건조 모듈은, 내부에 열풍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를 구비하는 공통 덕트; 상기 공통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출구 및 상기 제2 출구로 배출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 및 송풍 팬; 및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로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응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기 전에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소정의 목표 습도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모두 상기 목표 습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차이값을 연산한다.
또한, 상기 목표 습도는 상대 습도 60%이다.
또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대 습도 10%가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입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며,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고,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캐비닛 내부의 공통 수용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에 공통 건조 모듈의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동시에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상기 공통 건조 모듈의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동시 건조 행정 단계;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로 회수되는 열풍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 단계; 상기 측정된 습도들의 차이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 및 상기 차이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출구 및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변환하여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 공급되는 열풍의 비율을 조절하는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습도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입구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1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 측정 단계; 및 상기 제2 입구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2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 측정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습도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를 소정의 목표 습도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목표 습도 이하가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목표 습도 도달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모두 상기 목표 습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목표 습도는 상대 습도 60%이다.
또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대 습도 10%가 된다.
또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며,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는 출구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고,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는 입구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의 개도량이 조절된 상태로 상기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동시에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동시 건조 행정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의 개도량이 조절된 상태로 동시 건조 행정이 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동시 행정 진행 시간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시 행정 진행 시간 판단 단계에서 상기 동시 건조 행정이 개시된 이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측정 단계, 상기 목표 습도 도달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 및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를 재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공통 건조 모듈을 통해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에서 각각 건조 중인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각각의 처리 모듈별로 건조 열풍의 공급량 및 회수량을 차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체 건조 행정 시간을 감소하며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세탁기의 건조 행정 및 건조기의 건조 행정을 동시에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행정 모드 별 건조 열풍이 건조기 모듈과 세탁기 모듈로 공급되거나 건조 열풍의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를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는 외장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통 수용 공간을 구비한 공통 캐비닛(10), 공통 수용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 공통 수용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 공통 캐비닛(10)의 전면으로서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 사이에 배치되는 제어 패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서로 세탁물 처리 행정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을 공통 캐비닛(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체로 적층 설치하되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이 적어도 일부 기능 부품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단순 적층하는 방식에 비해서 세탁물 처리장치의 사이즈, 특히 높이방향 사이즈를 현저히 하여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탑 로딩 방식보다는 프론트 로딩이 적합하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은 각각 공통 캐비닛(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도어(21)와 제2 도어(31)를 각각 구비한다.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31)의 내측에는 각각 세탁물의 처리를 위한 제1 드럼(22)과 제2 드럼(32)이 배치된다.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은 서로 동일한 세탁물 처리 행정을 수행하거나 서로 상이한 세탁물 처리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상부 세탁기 모듈 - 하부 세탁기 모듈, 상부 건조기 모듈 -하부 건조기 모듈, 상부 세탁기 모듈 - 하부 건조기 모듈, 상부 건조기 모듈 -하부 세탁기 모듈의 조합으로 각각 적용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이하에서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로서 건조기 모듈(20),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서 세탁기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 패널(40)은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 및 접근성을 고려하여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 사이의 위치로서 공통 캐비닛(10)의 전면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패널(40)은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41)와,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의 현재 상태 및 행정 진행 상황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2)를 포함한다. 제어 패널(40)은 후술하는 제어부(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70)로 전달한다.
도 2는 도 1의 개략 단면도로서, 공통 건조 모듈(50)을 통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는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열풍을 공급하고,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부터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 및 제거하는 공통 건조 모듈(50)을 포함한다.
공통 건조 모듈(50)은, 내부에 공통 유로가 형성되고,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로 각각 건조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출구(51c) 및 제2 출구(51d)를 구비하며,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로부터 각각 열풍을 회수하기 위한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를 구비하는 공통 덕트(51)를 포함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공급 유로 및 열풍 회수 유로를 최적화하여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하방향으로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통 건조 모듈(50)의 제1 출구(51c)는 공통 덕트(51)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건조기 모듈(2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공급 덕트(61)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공통 건조 모듈(50)의 제2 출구(51d)는 공통 덕트(51)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세탁기 모듈(3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 공급 덕트(62)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건조 모듈(50)의 공통 덕트(51)를 통과한 열풍은 제1 공급 덕트(61)와 제2 공급 덕트(62)를 포함하는 열풍 공급 덕트로 분기되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에 각각 연결된다.
제1 공급 덕트(61)의 타단부는 건조기 모듈(20), 보다 상세히는 건조 드럼(22)의 유입구(22a)에 연결되고, 제2 공급 덕트(62)의 타단부는 세탁기 모듈(30), 보다 상세히는 세탁기 터브(33)의 유입구(33a)에 연결된다.
공통 건조 모듈(50)의 제1 입구(51a)는 건조기 모듈(2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공통 덕트(51)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회수 덕트(63)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공통 건조 모듈(50)의 제2 입구(51b)는 세탁기 모듈(3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공통 덕트(51)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회수 덕트(64)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수 덕트(63) 및 제2 회수 덕트(64)를 포함하는 열풍 회수 덕트로 회수되는 열풍이 공통 덕트(51)로 합쳐지는 형태로 유로 구조가 형성된다.
제1 회수 덕트(63)의 타단부는 건조 드럼(22)의 배출구(22b)에 연결되고, 제2 회수 덕트(64)의 타단부는 세탁기 터브(33)의 배출구(33b)에 연결된다.
공통 덕트(51)의 내부에는 열풍을 생성하기 위한 히터(53), 송풍 팬(54)이 배치된다. 나아가 열풍 진행 방향으로 히터(53)의 상류에는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로부터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응축기(52)가 배치된다.
공통 덕트(51)의 외부에는 송풍 팬(54)에 인접하여 송풍 팬(54)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 모터(55)가 설치된다. 송풍 팬(54)의 구동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팬(54)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전용 송풍 모터(55)로부터 전달받거나, 세탁 드럼(32)의 구동 모터 또는 건조 드럼(22)의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팬(54) 구동용 전용 송풍 모터(55)에 의해서 송풍 팬(54)이 구동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히터(53), 응축기(52)에 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발열원으로서 히터(53)는 전열 히터(53), 가스 히터(53), 히트 펌프 방식의 콘덴서 등이 적용 가능하며, 응축기(52)로서 수냉 방식의 제습 수단, 히트 펌프 방식의 증발기 등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히트 펌프 모듈(80)로 구현되는 히터(53), 응축기(52)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공통 덕트(51)의 출구 측에는 제1 출구(51c)와 제2 출구(51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가 설치되고, 공통 덕트(51)의 입구 측에는 제1 입구(51a)와 제2 입구(5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가 설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는 적어도 4개의 행정 모드를 갖게 된다.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각 행정 모드별로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와 제2 출구(51d)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만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1 출구(51c)와 제2 출구(51d)로 동시에 열풍이 공급되도록 공통 건조 모듈(50)의 출구 유로를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각 행정 모드별로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와 제2 입구(51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만 열풍이 회수되도록 하거나 제1 입구(51a)와 제2 입구(51b)로 동시에 열풍이 회수되도록 공통 건조 모듈(50)의 입구 유로를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와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열풍을 공급하는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공급되는 열풍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1, 2 입구(51a, 51b)와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와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각각 밸브 구동을 위한 밸브 액추에이터(A1, A2)에 연결되며, 각 밸브 액추에이터(A1, A2)에 의해서 밸브 위치가 제어된다.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예를 들면 일종의 삼방 밸브의 형태를 갖는다. 다만, 이러한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 이들 밸브 액추에이터(A1, A2)는 3방향(3-way) 유로를 각 행정 모드별로 전환하고 공통 건조 모듈(50)의 입, 출구를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고 볼 것이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당연히 속한다.
각 행정 모드 별로 세부적인 밸브 위치 제어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는, 제1 입구(51a)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 센서(SH1)와, 제2 입구(51b)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 센서(SH1)를 포함한다.
제1 습도 센서(SH1)는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드럼(22)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습도를 측정하여 건조 드럼(2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진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제2 습도 센서(SH1)는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드럼(32) 및 터브(33)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습도를 측정하여 세탁 드럼(3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진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제1 습도 센서(SH1)와 제2 습도 센서(SH1)는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습도 센서(SH1)로 측정된 제1 습도에 관한 신호와, 제2 습도 센서(SH1)로 측정된 제2 습도에 관한 신호는 주기적으로 제어부(7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의 동시 건조 행정 시에 제어부(70)는 제1 습도와 제2 습도를 근거로 하여 건조 드럼(22)과 세탁 드럼(32) 내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수신된 제1 습도와 제2 습도를 근거로 하여 건조가 덜 진행된 측, 즉 더 높은 습도를 갖는 열풍을 배출하는 측으로 더 많은 열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술한 각각의 밸브 액추에이터(A1, A2)로 전달하고, 액추에이터(A1, A2)는 해당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밸브를 구동하여 제1, 2 입구(51a, 51b)의 개도량 및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을 조절하게 된다.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시 제1 습도와 제2 습도에 근거한 제1, 2 입구(51a, 51b)의 개도량 및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 제어에 관한 상세 구성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1 습도 센서(SH1)와 제2 습도 센서(SH1)는, 건조 드럼(22) 내의 세탁물과 세탁 드럼(32) 내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각각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갖기 때문에 건조기 모듈(20)로부터의 회수 유로와 세탁기 모듈(30)로부터의 회수 유로가 합쳐지기 전 상태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습도 센서(SH1)와 제2 습도 센서(SH1)는 열풍 진행 방향으로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보다 더 상류의 위치로서 각각 제1 입구(51a)와 제2 입구(51b)에 인접해서 제1 회수 덕트(63)의 내부 및 제2 회수 덕트(64)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습도 센서(SH1)와 제2 습도 센서(SH1)는 공기 중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6은 각 행정 모드 별 건조 열풍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공급되거나 건조 열풍의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를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는 건조 열풍의 공급 및 회수 상태를 기준으로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행정 모드를 갖는다.
제1 행정 모드는, 건조기 모듈(20) 단독으로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행정으로서 세탁기 모듈(30)은 정지 상태이거나 세탁 행정이 수행되는 행정 모드로서, 제1 행정 모드에서 건조 열풍은 건조기 모듈(20)로만 공급된다.
제2 행정 모드는, 세탁기 모듈(30) 단독으로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행정으로서 건조기 모듈(20)은 정지 상태가 되는 행정 모드로서, 제2 행정 모드에서 건조 열풍은 세탁기 모듈(30)로만 공급된다.
제3 행정 모드는, 건조기 모듈(20)에서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동시에 세탁기 모듈(30)에서 세탁 행정이 수행되고 이어서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행정 모드로서, 제3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이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건조 열풍은 건조기 모듈(20)로만 공급되나, 세탁기 모듈(30)이 세탁 행정을 완료하고 건조 행정을 수행하게 되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열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통해서 열풍의 공급 및 회수 유로가 전환된다.
제4 행정 모드는,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에서 동시에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행정 모드로서, 건조 열풍은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공급된다.
먼저, 도 3에는 제1 행정 모드 및 제3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로만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은 정지된 상태이고, 제3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은 세탁 행정이 수행 중인 상태이기 때문에 건조 열풍은 세탁기 모듈(30)로 공급되지 않고 전부 건조기 모듈(20)로만 공급되고, 건조기 모듈(20)로부터 회수된다.
건조기 모듈(20)로만 건조 열풍이 공급되어 건조기 모듈(20) 단독으로 건조 행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를 전부 개방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출구(51d)를 전부 차단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2)를 통해 구동되며, 입구 유로 밸브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를 전부 개방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입구(51b)를 전부 차단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1)를 통해 구동된다. 이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모듈(20)에 대한 단독 열풍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도 3에는 삼방 밸브에 해당하는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와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가 플랩 밸브(flap valve)의 형태로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이하에서는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와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가 플랩 밸브의 형태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1 행정 모드 및 제3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로만 공통 건조 모듈(50)을 통해서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동안, 건조 드럼(2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는 제1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제1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측정된 제1 습도가, 예를 들면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건조기 모듈(2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완료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에 대한 과건조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제2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로만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은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건조 열풍은 건조기 모듈(20)로 공급되지 않고 전부 세탁기 모듈(30)로만 공급된다.
세탁기 모듈(30)로만 건조 열풍이 공급되어 세탁기 모듈(30) 단독으로 건조 행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를 전부 차단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출구(51d)를 전부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2)를 통해 구동되며, 입구 유로 밸브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를 전부 차단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입구(51b)를 전부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1)를 통해 구동된다. 이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단독 열풍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제2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로만 공통 건조 모듈(50)을 통해서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동안, 전술한 제1 행정 모드 및 제3 행정 모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탁 드럼(3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는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측정된 제2 습도가, 예를 들면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완료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에 대한 과건조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제3 행정 모드 및 제4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이 진행 중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고 건조 행정 진행을 위해서, 제4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 모두에 대해서 건조 행정 진행을 위해서 건조 열풍은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공급되고, 동시에 회수된다.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건조 열풍이 공급되어 동시에 건조 행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 및 제2 출구(51d)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2)를 통해 구동되며, 입구 유로 밸브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1)를 통해 구동된다. 이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에 대해서 각각 열풍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시 기본적으로 건조 드럼(22)과 세탁 드럼(32)에 대해서 각각 동일한 유량으로 건조 열풍이 공급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 및 제2 출구(51d)가 동일한 개도량을 갖도록 제어되며,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가 동일한 개도량을 갖도록 제어된다.
다만, 건조 드럼(22) 내부의 세탁물 포량이 세탁 드럼(32) 내부의 세탁물 포량보다 더 많은 경우 및 세탁 드럼(32)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경우와 같이 건조기 모듈(20)로 더 많은 공급되어야 할 상황에서는 더 많은 건조 열풍이 건조 드럼(22)으로 공급되고 건조 드럼(22)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도록 제1 입구(51a)의 개도량이 제2 입구(51b)의 개도량보다 더 크게, 제1 출구(51c)의 개도량이 제2 출구(51d)의 개도량보다 더 크게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시에 공통 건조 모듈(50)을 통해서 건조 열풍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공급되는 동안, 건조 드럼(2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 및 세탁 드럼(3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는 각각 제1 습도 센서(SH1) 및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제1 습도 센서(SH1) 및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측정된 제1 습도 및 제2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상대 습도에 도달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제1 습도가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고 제2 습도가 상대 습도 60%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 건조기 모듈(2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중단하고 세탁기 모듈(30)로 전부 건조 열풍이 전달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도 4의 상태로 전환하여 건조 드럼(22) 내의 세탁물에 대한 과건조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어부(70)는 제2 습도가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고 제1 습도가 상대 습도 60%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중단하고 건조기 모듈(20)로 전부 건조 열풍이 전달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도 3의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에 제1 습도 및 제2 습도가 모두 상대 습도 60% 미만이나 제1 습도와 제2 습도의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동시 건조 행정이 전체적으로 예상보다 더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어부(70)는 제1 습도 및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고 해당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 바람직하게는 상대 습도 10%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 중에서 더 높은 습도를 갖는 열풍을 배출하고 있는 쪽으로 더 많은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의 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1 습도가 제2 습도보다 상대 습도 10%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소정의 비율로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의 개도량을 늘리고 소정의 비율은 제2 출구(51d)의 개도량을 줄이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를 제어하고, 동일한 소정의 비율로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의 개도량이 조절되도록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제어한다.
이 때, 공통 덕트(51)의 제1, 2 입구(51a, 51b) 및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이 조절되는 소정의 비율은 5%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습도와 제2 습도의 편차에 기반하여 공통 덕트(51)의 제1, 2 입구(51a, 51b) 및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을 조절하고 공급되는 건조 열풍을 차별화함으로써 동시 건조 행정이 전체적으로 지연됨으로써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 제1 습도 및 제2 습도 측정에 관한 상세 내용,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의 제어에 관한 상세 내용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의 다른 실시예로서,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가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가 각각 두 개의 밸브로 구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제1 입구(51a)를 개폐하기 위한 전용의 목적을 갖는 제1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1)와, 제2 입구(51b)를 개폐하기 위한 전용의 목적을 갖는 제2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2)를 포함한다.
나아가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제1 출구(51c)를 개폐하기 위한 전용의 목적을 갖는 제1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1)와, 제2 출구(51d)를 개폐하기 위한 전용의 목적을 갖는 제2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2)를 포함한다.
제1, 2 입구(51a, 51b)의 동시 차단, 제1, 2 출구(51c, 51d)의 동시 차단이 불가한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와는 달리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건조기 열풍 유로와 세탁기 열풍 유로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풍 유로 동시에 차단함으로써,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의 건조 행정 과정에서 생성되어 응축기(52)에 축적된 린트(lint) 및 먼지의 제거 및 응축기(52)의 세척 중 잔류된 린트 및 먼지가 세탁 드럼(32)이나 건조 드럼(22)으로 재유입되어 세탁 드럼(32)이나 건조 드럼(22)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1)와 제2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2)는 각각 전용의 밸브 엑추에이터(V21, V22)로 구동되며, 제1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1)와 제2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2)는 각각 전용의 밸브 엑추에이터(V11, V12)로 구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의 제어부(70)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며,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7에 도시된 제어부(70)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를 포함하는 행정 모드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행정 모드 선택 신호 수신 단계(S1)가 수행된다.
행정 모드 선택 신호 수신 단계(S1)에서 제어부(70)는 도 7의 제어 패널(40)의 조작부(41)로부터 물리적으로 입력되는 선택 명령을 통해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다른 형태로서, 제어부(70)는 제어 패널(40)이 아닌 통신부(CM)를 통해서 무선 방식으로 입력되는 선택 명령을 통해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CM)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서 유저 모바일 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70)는, 수신된 선택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 중에서 어떤 행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행정 모드 판단 단계(S2)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70)는 특정 행정 모드가 선택되었다는 정보를 도 7의 디스플레이부(42) 또는 유저 모바일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행정 모드 판단 단계(S2)에서 제1 행정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만의 단독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건조기 열풍 유로를 개방하는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3)를 수행한다.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3)에서 제어부(70)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와 제1 출구(51c)는 전부 개방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입구(51b)와 제2 출구(51d)는 전부 차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도 7의 밸브 액추에이터(A1, A2)로 전달한다.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3)가 완료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 건조 행정 수행 단계(S4)를 수행한다.
건조기 건조 행정 수행 단계(S4)에서 제어부(70)는 건조 드럼(22)의 구동을 위해 구동부(90) 중에서 제1 구동부(91)로의 전력 공급 전에 도 7에 도시된 센서부(SM) 중에서 제1 도어(21) 센서로부터 건조기 모듈(20)의 제1 도어(21)가 닫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도어(21)가 닫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전원부(PM)로부터 제1 구동부(91)로 전력을 공급하여 건조 드럼(22)을 초기 구동시켜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감지된 포량과 메모리(71)에 미리 저장된 포량별 필요 건조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예상되는 건조 행정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 또는 유저 모바일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70)는 제1 구동부(91)에 대한 초기 구동 결과 예상되는 건조 행정 시간이 결정되면 히트 펌프 모듈(80) 및 공통 건조 모듈(50)의 송풍 모터(55)로 전력을 공급하여 건조 열풍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1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은 사용이 정지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70)는 전원부(PM)로부터 구동부(90) 중에서 세탁 드럼(32)의 구동을 위한 제2 구동부(92)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행정 모드 판단 단계(S2)에서 제2 행정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세탁기 모듈(30)만의 단독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세탁기 열풍 유로를 개방하는 세탁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5)를 수행한다.
세탁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5)에서 제어부(70)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공통 덕트(51)의 제2 입구(51b)와 제2 출구(51d)는 전부 개방하고,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와 제1 출구(51c)는 전부 차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도 7의 밸브 액추에이터(A1, A2)로 전달한다.
세탁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5)가 완료되면, 제어부(70)는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 행정 수행 단계(S6)를 수행한다.
세탁기 건조 행정 수행 단계(S6)에서 제어부(70)는 세탁 드럼(32)의 구동을 위한 제2 구동부(92)로의 전력 공급 전에 도 7의 제2 도어(31) 센서로부터 세탁기 모듈(30)의 제2 도어(31)가 닫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도어(31)가 닫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전원부(PM)로부터 제2 구동부(92)로 전력을 공급하여 세탁 드럼(32)을 초기 구동시켜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감지된 포량과 메모리(71)에 미리 저장된 포량별 필요 건조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예상되는 건조 행정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 또는 유저 모바일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예상되는 세탁기 모듈(30)의 건조 행정 시간은 전술한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 시간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70)는 제2 구동부(92)에 대한 초기 구동 결과 예상되는 건조 행정 시간이 결정되면 히트 펌프 모듈(80) 및 공통 건조 모듈(50)의 송풍 모터(55)로 전력을 공급하여 건조 열풍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2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은 사용이 정지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70)는 전원부(PM)로부터 건조 드럼(22)의 구동을 위한 제1 구동부(91)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 9에는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 중에서 제3 행정 모드 또는 제4 행정 모드가 수행되어 진행되는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정 모드 판단 단계(S2)에서 제3 행정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만의 단독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건조기 열풍 유로를 개방하는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7)를 수행한다.
상기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7)는 전술한 제1 행정 모드 선택시의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3)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수행되며, 건조기 모듈(20)에 대해서만 열풍 유로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부(70)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와 제1 출구(51c)는 전부 개방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입구(51b)와 제2 출구(51d)는 전부 차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도 7의 밸브 액추에이터(A1, A2)로 전달한다.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7)가 완료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에 대해서 건조 행정을 수행하고, 세탁기 모듈(30)에 대해서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 건조/세탁기 세탁 행정 수행 단계(S8)를 수행한다.
건조기 건조/세탁기 세탁 행정 수행 단계(S8)에서 제어부(70)는 제1 구동부(91) 및 제2 구동부(92)로의 전력 공급 전에 도 7의 제1 도어(21) 센서 및 제2 도어(31) 센서로부터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31)가 닫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31)가 닫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전원부(PM)로부터 제1 구동부(91) 및 제2 구동부(92)로 전력을 공급하여 건조 드럼(22) 및 세탁 드럼(32)을 초기 구동시켜 건조 드럼(22)의 포량 및 세탁 드럼(32)의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감지된 건조 포량과 메모리(71)에 미리 저장된 건조 포량별 필요 건조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예상되는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 시간 정보, 및 감지된 세탁 포량과 메모리(71)에 미리 저장된 세탁 포량별 필요 건조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예상되는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 시간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부(42) 또는 유저 모바일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70)는 제1 구동부(91)에 대한 초기 구동 결과 예상되는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 시간이 결정되면 히트 펌프 모듈(80) 및 공통 건조 모듈(50)의 송풍 모터(55)로 전력을 공급하여 건조 열풍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어부(70)는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세탁기 모듈(30)에 건조 열풍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 건조 행정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 건조 행정 진입 여부 판단 단계(S9)를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 중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이 완료된 것을 판단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을 종료하고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을 계속 진행한다.
또한,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이 완료된 이후에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진행하고자 하면, 제어부(70)는 도 8에 도시된 세탁기 열풍 유로를 개방하는 세탁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5) 및 세탁기 건조 행정 수행 단계(S6)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수행하고자 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에 대해서 동시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건조기 열풍 유로 및 세탁기 열풍 유로를 동시에 개방하는 건조기/세탁기 열풍 유로 동시 개방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건조기/세탁기 열풍 유로 동시 개방 단계(S10)는,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에 대해서 동시에 열풍 유로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부(70)는 공통 덕트(51)의 제1, 2 입구(51a, 51b) 및 제1, 2 출구(51c, 51d)를 전부 개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도 7의 밸브 액추에이터(A1, A2)로 전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건조 열풍이 공급되어 동시에 건조 행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 및 제2 출구(51d)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2)를 통해 구동되며, 입구 유로 밸브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1)를 통해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시 건조 행정 진행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건조 드럼(22)과 세탁 드럼(32)에 대해서 각각 동일한 유량으로 건조 열풍이 공급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 및 제2 출구(51d)가 동일한 개도량을 갖도록 제어되며,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가 동일한 개도량을 갖도록 제어된다.
한편, 이와 같이 건조기/세탁기 열풍 유로 동시 개방 단계(S10)가 완료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에 대해서 동시에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세탁기 동시 건조 행정 수행 단계(S11)로 진행한다.
동시 건조 행정 수행 단계(S11) 중에 제어부(70)는 실시간으로 공통 건조 모듈(50)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를 통해서 회수되는 열풍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 단계(S12)를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습도 측정 단계(S12)에서, 제어부(70)는 건조 드럼(2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제1 습도 센서(SH1)를 이용하여 제1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1 습도 측정 단계, 및 세탁 드럼(3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확인인기 위해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 제2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1 습도 측정 단계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70)는 제1 습도 센서(SH1) 및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측정된 제1 습도 및 제2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목표 습도에 도달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제1 습도가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고 제2 습도가 상대 습도 60%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 건조기 모듈(2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중단하고 세탁기 모듈(30)로 전부 건조 열풍이 전달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도 4의 상태로 전환하여 건조 드럼(22) 내의 세탁물에 대한 과건조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어부(70)는 제2 습도가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고 제1 습도가 상대 습도 60%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중단하고 건조기 모듈(20)로 전부 건조 열풍이 전달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도 3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에 제1 습도 및 제2 습도가 모두 상대 습도 60% 미만이나 제1 습도와 제2 습도의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동시 건조 행정이 전체적으로 예상보다 더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70)는 제1 습도 및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고 해당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 바람직하게는 상대 습도 1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S13)를 수행한다.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S13)에서, 제1 습도 및 제2 습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제1 습도와 제2 습도가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 시간 건조기/세탁기 동시 건조 행정 수행 단계(S11)를 계속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다만,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S13)에서, 제1 습도 및 제2 습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 및 상기 제2 출구(51d)의 개도량을 변환하여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로 공급되는 열풍의 비율을 조절하는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S14)를 수행한다.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S14)에서,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 중에서 더 높은 습도를 갖는 열풍을 배출하고 있는 쪽으로 더 많은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의 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1 습도가 제2 습도보다 상대 습도 10%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소정의 비율로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의 개도량을 늘리고 소정의 비율은 제2 출구(51d)의 개도량을 줄이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를 제어하고, 동일한 소정의 비율로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의 개도량이 조절되도록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제어한다.
이 때, 공통 덕트(51)의 제1, 2 입구(51a, 51b) 및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이 조절되는 소정의 비율은 5%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습도 및 제2 습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으로서 상대 습도 10%보다 더 큰 차이값을 갖는 경우, 예를 들면 상대 습도 15% 이상의 차이값을 갖는 경우에는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S14)에 추가하여,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 중에서 더 높은 습도를 갖는 열풍을 배출하는 쪽의 드럼의 회전수를 더 높이는 드럼 회전수 조절 단계(S15)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 개방 비율 및 드럼 회전수가 조절된 상태로 제어부(70)는 건조기/세탁기 동시 건조 행정 수행 단계(S16)를 계속 수행하고, 유로 개방 비율 및 드럼 회전수 조절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간 경과 여부 판단 단계(17)를 수행한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건조 드럼(22)과 세탁 드럼(32)에 포함되어 있는 포량 및 현재 남은 건조 행정 시간을 고려하여 5분 내지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시간 경과 여부 판단 단계(17)에서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전술한 습도 측정 단계(S12)를 재수행하고, 습도 측정 결과에 따라 전술한 건조 행정을 종료하거나,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S13),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S14), 드럼 회전수 조절 단계(S15), 건조기/세탁기 동시 건조 행정 수행 단계(S16)를 재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정 모드 판단 단계(S2)에서 제4 행정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3 행정 모드에서 수행되는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7), 건조기 건조/세탁기 세탁 행정 수행 단계(S8), 동시 건조 행정 진입 여부 판단 단계(S9)가 생략된 점만 다를 뿐 나머지 단계는 동일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제어부(70)는 바로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이 동시건조기/세탁기 열풍 유로 동시 개방 단계(S10)를 수행하고, 전술한 이후 단계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내부에 공통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공통 수용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상기 공통 수용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세탁물 처리 모듈;
    열풍을 생성하여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에 각각 공급하고,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서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각각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공통 건조 모듈;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출구 유로 전환 밸브;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입구 유로 전환 밸브;
    상기 제1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 센서;
    상기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 센서; 및
    상기 제1 습도 센서 및 상기 제2 습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 및 상기 입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 동시에 열풍 공급 중에 상기 제1 습도 센서로 측정된 제1 습도에 관한 신호 및 상기 제2 습도 센서로 측정된 제2 습도에 관한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여,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이 변경되도록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2. 제1 항에서,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1 공급 덕트와, 상기 제2 출구와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2 공급 덕트를 포함하는 열풍 공급 덕트; 및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1 회수 덕트와,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2 회수 덕트를 포함하는 열풍 회수 덕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3. 제2 항에서,
    상기 제1 습도 센서는 상기 제1 입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1 회수 덕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습도 센서는 상기 제2 입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2 회수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4. 제1 항에서,
    상기 공통 건조 모듈은,
    내부에 열풍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를 구비하는 공통 덕트;
    상기 공통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출구 및 상기 제2 출구로 배출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 및 송풍 팬; 및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로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응축기;
    를 포함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5. 제1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기 전에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소정의 목표 습도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모두 상기 목표 습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차이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6. 제5 항에서,
    상기 목표 습도는 상대 습도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7. 제5 항에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대 습도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8. 제5 항에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입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제2 액추에이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9. 제8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며,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9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고,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11. 캐비닛 내부의 공통 수용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에 공통 건조 모듈의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동시에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상기 공통 건조 모듈의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동시 건조 행정 단계;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로 회수되는 열풍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 단계;
    상기 측정된 습도들의 차이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 및
    상기 차이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출구 및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변환하여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 공급되는 열풍의 비율을 조절하는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 항에서,
    상기 습도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입구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1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 측정 단계; 및
    상기 제2 입구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2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 측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 항에서,
    상기 습도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를 소정의 목표 습도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목표 습도 이하가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목표 습도 도달 여부 판단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 항에서,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모두 상기 목표 습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 항에서,
    상기 목표 습도는 상대 습도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2 항에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대 습도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3 항에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며,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는 출구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 항에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고,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는 입구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 항에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의 개도량이 조절된 상태로 상기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동시에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동시 건조 행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 항에서,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의 개도량이 조절된 상태로 동시 건조 행정이 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동시 행정 진행 시간 판단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 항에서,
    상기 동시 행정 진행 시간 판단 단계에서 상기 동시 건조 행정이 개시된 이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측정 단계, 상기 목표 습도 도달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 및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0/013872 2019-10-18 2020-10-12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07581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72974.4A CN114555878B (zh) 2019-10-18 2020-10-12 一体式洗涤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US17/769,969 US20220372685A1 (en) 2019-10-18 2020-10-12 Integrated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20368815A AU2020368815B2 (en) 2019-10-18 2020-10-12 Integrated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0877790.4A EP4047118A4 (en) 2019-10-18 2020-10-12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863 2019-10-18
KR1020190129863A KR20210046300A (ko) 2019-10-18 2019-10-18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5811A1 true WO2021075811A1 (ko) 2021-04-22

Family

ID=7553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3872 WO2021075811A1 (ko) 2019-10-18 2020-10-12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72685A1 (ko)
EP (1) EP4047118A4 (ko)
KR (1) KR20210046300A (ko)
CN (1) CN114555878B (ko)
AU (1) AU2020368815B2 (ko)
WO (1) WO2021075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6866B2 (en) * 2020-05-27 2024-01-09 Monotony.ai, Inc. Autonomous laundry washing and drying systems and methods
WO2024090986A1 (ko) * 2022-10-25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WO2024101817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694A (ja) * 1994-12-27 1996-07-09 Toshiba Corp ランドリー装置
KR20060038796A (ko) * 2004-11-01 200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일체형 세탁 장치
JP2008307151A (ja) * 2007-06-13 2008-12-25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CN102758342A (zh) * 2012-02-24 2012-10-31 上海鸿尔机械有限公司 双转笼式烘干机
CN108950976A (zh) 2017-05-27 2018-12-0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208562910U (zh) * 2018-06-26 2019-03-0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42112C (zh) * 2002-11-18 2006-02-1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滚筒式洗衣及烘干装置
KR100692582B1 (ko) * 2006-03-24 2007-03-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 건조방법
KR101276815B1 (ko) * 2006-08-29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건조기
KR20140028406A (ko) * 2012-08-28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와 이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0738412B2 (en) * 2016-12-29 2020-08-11 Lg Electronics Inc. Dual type drying machine
CN108085941A (zh) * 2018-01-02 2018-05-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烘干系统、洗涤烘干一体机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694A (ja) * 1994-12-27 1996-07-09 Toshiba Corp ランドリー装置
KR20060038796A (ko) * 2004-11-01 200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일체형 세탁 장치
JP2008307151A (ja) * 2007-06-13 2008-12-25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CN102758342A (zh) * 2012-02-24 2012-10-31 上海鸿尔机械有限公司 双转笼式烘干机
CN108950976A (zh) 2017-05-27 2018-12-0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208562910U (zh) * 2018-06-26 2019-03-0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47118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68815A1 (en) 2022-05-12
KR20210046300A (ko) 2021-04-28
US20220372685A1 (en) 2022-11-24
AU2020368815B2 (en) 2024-02-15
EP4047118A1 (en) 2022-08-24
CN114555878A (zh) 2022-05-27
CN114555878B (zh) 2023-12-08
EP4047118A4 (en)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75811A1 (ko)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4116001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5068934A1 (en) Laundry machine
WO2017099393A1 (ko)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WO2015080487A1 (en) Washing machine
WO201700318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8164548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EP3814566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0093102A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WO2009123407A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WO2018117422A1 (ko)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WO202014563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577267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317451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6137182A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1241916A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12390A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700317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8117526A1 (en) Washing machine
WO2022154402A1 (ko)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WO2024107020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2108146A1 (ko) 건조기
WO202324402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1182768A2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67433A1 (ko) 건조 겸용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777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368815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01012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110364

Country of ref document: RU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777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