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300A -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300A
KR20210046300A KR1020190129863A KR20190129863A KR20210046300A KR 20210046300 A KR20210046300 A KR 20210046300A KR 1020190129863 A KR1020190129863 A KR 1020190129863A KR 20190129863 A KR20190129863 A KR 20190129863A KR 20210046300 A KR20210046300 A KR 20210046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inlet
laundry treatment
module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김태웅
강혜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6300A/ko
Priority to PCT/KR2020/013872 priority patent/WO2021075811A1/ko
Priority to US17/769,969 priority patent/US20220372685A1/en
Priority to CN202080072974.4A priority patent/CN114555878B/zh
Priority to AU2020368815A priority patent/AU2020368815B2/en
Priority to EP20877790.4A priority patent/EP4047118A4/en
Publication of KR2021004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3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air flow, e.g. blowing air during the washing process to prevent entanglement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기 모듈과 건조기 모듈을 일체로 설치하고 단일 건조 모듈을 통해 건조 열풍을 생성하도록 하여 제품의 사이즈를 감소시키되, 공통 건조 모듈을 통해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 세탁 드럼과 건조 드럼에서 각각 건조 중인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건조 열풍의 공급량 및 회수량을 차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체 건조 행정 시간을 감소하고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세탁기의 건조 행정 및 건조기의 건조 행정을 동시에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INTEGRATED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 모듈과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 모듈이 공통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장치로서 세탁기는 캐비닛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동시키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져 세탁물을 세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상기 드럼의 자세(posture)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및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 세탁기로 분류된다.
프론트 로딩 세탁기는 세워진(upright) 드럼을 갖는 탑 로딩 방식과는 다르게 눕혀진 드럼을 가지며, 이에 따라 세탁물은 세탁기의 전방부를 통해 상기 세탁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와 같은 프론트 로딩 세탁기는 탑 로딩 세탁기와 비교하여 적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더 큰 세탁 용량을 갖는다. 또한, 프론트 로딩 세탁기는 높은 세탁성능을 가지며 세탁물의 엉킴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프론트 로딩 세탁기에는 건조 모듈이 장착되어 건조 기능을 추가한 콤보(combo)형 건조-세탁기도 널리 보편화 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콤보형 건조-세탁기에 설치된 건조 모듈은 건조 용량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전체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많은 건조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건조 시간 단축을 위해서, 다른 세탁물 처리장치로서 세탁물의 건조를 전용 목적으로 개발된 건조기, 특히 프론트 로딩 세탁기와 마찬가지 타입인 프런트 로딩 건조기가 콤보형 세탁기와 함께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세탁기와 건조기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방식으로 함께 설치될 수 있으나 수평방향으로 차지하는 면적이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세탁기와 건조기를 수직방향으로 적층하는, 특히 세탁기 위에 건조기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탁기와 건조기를 수직방향으로 단순히 적층하는 배열은 세탁기와 건조기에 각각 독립적인 기능 모듈, 특히 건조 모듈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적층된 제품의 높이가 지나치게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세탁기와 건조기가 함께 설치되는 위치에 대해서 상당히 큰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세탁기와 건조기가 적층된 전체 위치가 일반 가정의 층고보다 더 높게 되는 경우에는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으로서 중국공개특허공보 제108950976에는 세탁기와 건조기가 단일 캐비닛의 내부에 함께 적층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되, 제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일부 구성품을 세탁기와 건조기가 함께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제품의 사이즈, 특히 제품의 높이를 줄이기 위한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선행문헌에는 세탁기와 건조기의 공용 부품으로서 구동 모터, 건조 모듈을 공유화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공유 건조 모듈은, 공통 덕트, 공통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 히터, 팬/모터, 공통 덕트의 출구 및 입구를 전환하기 위한 입구, 출구 밸브를 포함한다.
다만,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공통 건조 모듈은 세탁기와 건조기에 대해서 동시에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입구 밸브와 출구 밸브를 조절하여 동시에 세탁 드럼과 건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고 열풍을 회수할 수 있다고만 기재되어 있을 뿐이며, 동시 건조 행정 수행간 각 세탁 드럼과 건조 드럼에 공급되는 열풍량을 조절 및 제어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동시 건조 행정 수행 중에 세탁 드럼 및 건조 드럼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세탁물에 대한 건조가 완료되더라도 건조가 완료된 측으로 지속적으로 열풍에 계속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열풍에 의한 세탁물의 손상이나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 드럼 및 건조 드럼에 대한 건조 행전의 진행 상황 및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건조 시간만큼 계속적으로 열풍이 공급되고 드럼이 구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전력 소비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중국공개특허공보 제10895097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통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기 모듈과 건조기 모듈을 일체로 설치하고 단일 건조 모듈을 통해 건조 열풍을 생성하도록 하여 제품의 사이즈를 감소시키되, 공통 건조 모듈을 통해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 세탁 드럼과 건조 드럼에서 각각 건조 중인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건조 열풍의 공급량 및 회수량을 차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체 건조 행정 시간을 감소하며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세탁기의 건조 행정 및 건조기의 건조 행정을 동시에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는, 내부에 공통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공통 수용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상기 공통 수용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세탁물 처리 모듈; 열풍을 생성하여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에 각각 공급하고,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서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각각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공통 건조 모듈;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출구 유로 전환 밸브;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입구 유로 전환 밸브; 상기 제1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 센서; 상기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 센서; 및 상기 제1 습도 센서 및 상기 제2 습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 및 상기 입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 동시에 열풍 공급 중에 상기 제1 습도 센서로 측정된 제1 습도에 관한 신호 및 상기 제2 습도 센서로 측정된 제2 습도에 관한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여,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이 변경되도록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동시 건조 행정 수행 중 전체 건조 행정 시간을 감소하며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세탁기의 건조 행정 및 건조기의 건조 행정을 동시에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1 공급 덕트와, 상기 제2 출구와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2 공급 덕트를 포함하는 열풍 공급 덕트; 및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1 회수 덕트와,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2 회수 덕트를 포함하는 열풍 회수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습도 센서는 상기 제1 입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1 회수 덕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습도 센서는 상기 제2 입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2 회수 덕트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통 건조 모듈은, 내부에 열풍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를 구비하는 공통 덕트; 상기 공통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출구 및 상기 제2 출구로 배출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 및 송풍 팬; 및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로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응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기 전에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소정의 목표 습도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모두 상기 목표 습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차이값을 연산한다.
또한, 상기 목표 습도는 상대 습도 60%이다.
또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대 습도 10%가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입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며,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고,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캐비닛 내부의 공통 수용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에 공통 건조 모듈의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동시에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상기 공통 건조 모듈의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동시 건조 행정 단계;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로 회수되는 열풍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 단계; 상기 측정된 습도들의 차이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 및 상기 차이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출구 및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변환하여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 공급되는 열풍의 비율을 조절하는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습도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입구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1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 측정 단계; 및 상기 제2 입구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2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 측정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습도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를 소정의 목표 습도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목표 습도 이하가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목표 습도 도달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모두 상기 목표 습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목표 습도는 상대 습도 60%이다.
또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대 습도 10%가 된다.
또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며,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는 출구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고,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는 입구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의 개도량이 조절된 상태로 상기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동시에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동시 건조 행정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의 개도량이 조절된 상태로 동시 건조 행정이 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동시 행정 진행 시간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시 행정 진행 시간 판단 단계에서 상기 동시 건조 행정이 개시된 이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측정 단계, 상기 목표 습도 도달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 및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를 재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공통 건조 모듈을 통해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에서 각각 건조 중인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각각의 처리 모듈별로 건조 열풍의 공급량 및 회수량을 차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체 건조 행정 시간을 감소하며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세탁기의 건조 행정 및 건조기의 건조 행정을 동시에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행정 모드 별 건조 열풍이 건조기 모듈과 세탁기 모듈로 공급되거나 건조 열풍의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를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는 외장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통 수용 공간을 구비한 공통 캐비닛(10), 공통 수용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 공통 수용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 공통 캐비닛(10)의 전면으로서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 사이에 배치되는 제어 패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서로 세탁물 처리 행정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을 공통 캐비닛(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체로 적층 설치하되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이 적어도 일부 기능 부품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단순 적층하는 방식에 비해서 세탁물 처리장치의 사이즈, 특히 높이방향 사이즈를 현저히 하여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탑 로딩 방식보다는 프론트 로딩이 적합하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은 각각 공통 캐비닛(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도어(21)와 제2 도어(31)를 각각 구비한다.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31)의 내측에는 각각 세탁물의 처리를 위한 제1 드럼(22)과 제2 드럼(32)이 배치된다.
제1 세탁물 처리 모듈(20)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30)은 서로 동일한 세탁물 처리 행정을 수행하거나 서로 상이한 세탁물 처리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상부 세탁기 모듈 - 하부 세탁기 모듈, 상부 건조기 모듈 -하부 건조기 모듈, 상부 세탁기 모듈 - 하부 건조기 모듈, 상부 건조기 모듈 -하부 세탁기 모듈의 조합으로 각각 적용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이하에서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로서 건조기 모듈(20),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서 세탁기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 패널(40)은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 및 접근성을 고려하여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 사이의 위치로서 공통 캐비닛(10)의 전면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패널(40)은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41)와,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의 현재 상태 및 행정 진행 상황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2)를 포함한다. 제어 패널(40)은 후술하는 제어부(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70)로 전달한다.
도 2는 도 1의 개략 단면도로서, 공통 건조 모듈(50)을 통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는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열풍을 공급하고,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부터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 및 제거하는 공통 건조 모듈(50)을 포함한다.
공통 건조 모듈(50)은, 내부에 공통 유로가 형성되고,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로 각각 건조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출구(51c) 및 제2 출구(51d)를 구비하며,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로부터 각각 열풍을 회수하기 위한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를 구비하는 공통 덕트(51)를 포함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공급 유로 및 열풍 회수 유로를 최적화하여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하방향으로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통 건조 모듈(50)의 제1 출구(51c)는 공통 덕트(51)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건조기 모듈(2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공급 덕트(61)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공통 건조 모듈(50)의 제2 출구(51d)는 공통 덕트(51)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세탁기 모듈(3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 공급 덕트(62)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건조 모듈(50)의 공통 덕트(51)를 통과한 열풍은 제1 공급 덕트(61)와 제2 공급 덕트(62)를 포함하는 열풍 공급 덕트로 분기되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에 각각 연결된다.
제1 공급 덕트(61)의 타단부는 건조기 모듈(20), 보다 상세히는 건조 드럼(22)의 유입구(22a)에 연결되고, 제2 공급 덕트(62)의 타단부는 세탁기 모듈(30), 보다 상세히는 세탁기 터브(33)의 유입구(33a)에 연결된다.
공통 건조 모듈(50)의 제1 입구(51a)는 건조기 모듈(2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공통 덕트(51)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회수 덕트(63)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공통 건조 모듈(50)의 제2 입구(51b)는 세탁기 모듈(3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공통 덕트(51)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회수 덕트(64)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수 덕트(63) 및 제2 회수 덕트(64)를 포함하는 열풍 회수 덕트로 회수되는 열풍이 공통 덕트(51)로 합쳐지는 형태로 유로 구조가 형성된다.
제1 회수 덕트(63)의 타단부는 건조 드럼(22)의 배출구(22b)에 연결되고, 제2 회수 덕트(64)의 타단부는 세탁기 터브(33)의 배출구(33b)에 연결된다.
공통 덕트(51)의 내부에는 열풍을 생성하기 위한 히터(53), 송풍 팬(54)이 배치된다. 나아가 열풍 진행 방향으로 히터(53)의 상류에는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로부터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응축기(52)가 배치된다.
공통 덕트(51)의 외부에는 송풍 팬(54)에 인접하여 송풍 팬(54)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 모터(55)가 설치된다. 송풍 팬(54)의 구동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팬(54)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전용 송풍 모터(55)로부터 전달받거나, 세탁 드럼(32)의 구동 모터 또는 건조 드럼(22)의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팬(54) 구동용 전용 송풍 모터(55)에 의해서 송풍 팬(54)이 구동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히터(53), 응축기(52)에 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발열원으로서 히터(53)는 전열 히터(53), 가스 히터(53), 히트 펌프 방식의 콘덴서 등이 적용 가능하며, 응축기(52)로서 수냉 방식의 제습 수단, 히트 펌프 방식의 증발기 등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히트 펌프 모듈(80)로 구현되는 히터(53), 응축기(52)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공통 덕트(51)의 출구 측에는 제1 출구(51c)와 제2 출구(51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가 설치되고, 공통 덕트(51)의 입구 측에는 제1 입구(51a)와 제2 입구(5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가 설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는 적어도 4개의 행정 모드를 갖게 된다.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각 행정 모드별로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와 제2 출구(51d)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만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1 출구(51c)와 제2 출구(51d)로 동시에 열풍이 공급되도록 공통 건조 모듈(50)의 출구 유로를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각 행정 모드별로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와 제2 입구(51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만 열풍이 회수되도록 하거나 제1 입구(51a)와 제2 입구(51b)로 동시에 열풍이 회수되도록 공통 건조 모듈(50)의 입구 유로를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와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열풍을 공급하는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공급되는 열풍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1, 2 입구(51a, 51b)와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와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각각 밸브 구동을 위한 밸브 액추에이터(A1, A2)에 연결되며, 각 밸브 액추에이터(A1, A2)에 의해서 밸브 위치가 제어된다.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예를 들면 일종의 삼방 밸브의 형태를 갖는다. 다만, 이러한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 이들 밸브 액추에이터(A1, A2)는 3방향(3-way) 유로를 각 행정 모드별로 전환하고 공통 건조 모듈(50)의 입, 출구를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고 볼 것이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당연히 속한다.
각 행정 모드 별로 세부적인 밸브 위치 제어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는, 제1 입구(51a)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 센서(SH1)와, 제2 입구(51b)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 센서(SH1)를 포함한다.
제1 습도 센서(SH1)는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드럼(22)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습도를 측정하여 건조 드럼(2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진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제2 습도 센서(SH1)는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드럼(32) 및 터브(33)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습도를 측정하여 세탁 드럼(3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진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제1 습도 센서(SH1)와 제2 습도 센서(SH1)는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습도 센서(SH1)로 측정된 제1 습도에 관한 신호와, 제2 습도 센서(SH1)로 측정된 제2 습도에 관한 신호는 주기적으로 제어부(7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의 동시 건조 행정 시에 제어부(70)는 제1 습도와 제2 습도를 근거로 하여 건조 드럼(22)과 세탁 드럼(32) 내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수신된 제1 습도와 제2 습도를 근거로 하여 건조가 덜 진행된 측, 즉 더 높은 습도를 갖는 열풍을 배출하는 측으로 더 많은 열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술한 각각의 밸브 액추에이터(A1, A2)로 전달하고, 액추에이터(A1, A2)는 해당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밸브를 구동하여 제1, 2 입구(51a, 51b)의 개도량 및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을 조절하게 된다.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시 제1 습도와 제2 습도에 근거한 제1, 2 입구(51a, 51b)의 개도량 및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 제어에 관한 상세 구성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1 습도 센서(SH1)와 제2 습도 센서(SH1)는, 건조 드럼(22) 내의 세탁물과 세탁 드럼(32) 내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각각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갖기 때문에 건조기 모듈(20)로부터의 회수 유로와 세탁기 모듈(30)로부터의 회수 유로가 합쳐지기 전 상태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습도 센서(SH1)와 제2 습도 센서(SH1)는 열풍 진행 방향으로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보다 더 상류의 위치로서 각각 제1 입구(51a)와 제2 입구(51b)에 인접해서 제1 회수 덕트(63)의 내부 및 제2 회수 덕트(64)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습도 센서(SH1)와 제2 습도 센서(SH1)는 공기 중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6은 각 행정 모드 별 건조 열풍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공급되거나 건조 열풍의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를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는 건조 열풍의 공급 및 회수 상태를 기준으로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행정 모드를 갖는다.
제1 행정 모드는, 건조기 모듈(20) 단독으로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행정으로서 세탁기 모듈(30)은 정지 상태이거나 세탁 행정이 수행되는 행정 모드로서, 제1 행정 모드에서 건조 열풍은 건조기 모듈(20)로만 공급된다.
제2 행정 모드는, 세탁기 모듈(30) 단독으로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행정으로서 건조기 모듈(20)은 정지 상태가 되는 행정 모드로서, 제2 행정 모드에서 건조 열풍은 세탁기 모듈(30)로만 공급된다.
제3 행정 모드는, 건조기 모듈(20)에서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동시에 세탁기 모듈(30)에서 세탁 행정이 수행되고 이어서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행정 모드로서, 제3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이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건조 열풍은 건조기 모듈(20)로만 공급되나, 세탁기 모듈(30)이 세탁 행정을 완료하고 건조 행정을 수행하게 되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열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통해서 열풍의 공급 및 회수 유로가 전환된다.
제4 행정 모드는,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에서 동시에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행정 모드로서, 건조 열풍은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공급된다.
먼저, 도 3에는 제1 행정 모드 및 제3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로만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은 정지된 상태이고, 제3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은 세탁 행정이 수행 중인 상태이기 때문에 건조 열풍은 세탁기 모듈(30)로 공급되지 않고 전부 건조기 모듈(20)로만 공급되고, 건조기 모듈(20)로부터 회수된다.
건조기 모듈(20)로만 건조 열풍이 공급되어 건조기 모듈(20) 단독으로 건조 행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를 전부 개방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출구(51d)를 전부 차단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2)를 통해 구동되며, 입구 유로 밸브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를 전부 개방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입구(51b)를 전부 차단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1)를 통해 구동된다. 이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모듈(20)에 대한 단독 열풍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도 3에는 삼방 밸브에 해당하는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와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가 플랩 밸브(flap valve)의 형태로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이하에서는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와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가 플랩 밸브의 형태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1 행정 모드 및 제3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로만 공통 건조 모듈(50)을 통해서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동안, 건조 드럼(2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는 제1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제1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측정된 제1 습도가, 예를 들면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건조기 모듈(2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완료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에 대한 과건조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제2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로만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은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건조 열풍은 건조기 모듈(20)로 공급되지 않고 전부 세탁기 모듈(30)로만 공급된다.
세탁기 모듈(30)로만 건조 열풍이 공급되어 세탁기 모듈(30) 단독으로 건조 행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를 전부 차단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출구(51d)를 전부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2)를 통해 구동되며, 입구 유로 밸브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를 전부 차단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입구(51b)를 전부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1)를 통해 구동된다. 이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단독 열풍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제2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로만 공통 건조 모듈(50)을 통해서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동안, 전술한 제1 행정 모드 및 제3 행정 모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탁 드럼(3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는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측정된 제2 습도가, 예를 들면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완료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에 대한 과건조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제3 행정 모드 및 제4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이 진행 중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고 건조 행정 진행을 위해서, 제4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 모두에 대해서 건조 행정 진행을 위해서 건조 열풍은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공급되고, 동시에 회수된다.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건조 열풍이 공급되어 동시에 건조 행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 및 제2 출구(51d)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2)를 통해 구동되며, 입구 유로 밸브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1)를 통해 구동된다. 이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에 대해서 각각 열풍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시 기본적으로 건조 드럼(22)과 세탁 드럼(32)에 대해서 각각 동일한 유량으로 건조 열풍이 공급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 및 제2 출구(51d)가 동일한 개도량을 갖도록 제어되며,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가 동일한 개도량을 갖도록 제어된다.
다만, 건조 드럼(22) 내부의 세탁물 포량이 세탁 드럼(32) 내부의 세탁물 포량보다 더 많은 경우 및 세탁 드럼(32)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경우와 같이 건조기 모듈(20)로 더 많은 공급되어야 할 상황에서는 더 많은 건조 열풍이 건조 드럼(22)으로 공급되고 건조 드럼(22)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도록 제1 입구(51a)의 개도량이 제2 입구(51b)의 개도량보다 더 크게, 제1 출구(51c)의 개도량이 제2 출구(51d)의 개도량보다 더 크게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시에 공통 건조 모듈(50)을 통해서 건조 열풍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공급되는 동안, 건조 드럼(2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 및 세탁 드럼(3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는 각각 제1 습도 센서(SH1) 및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제1 습도 센서(SH1) 및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측정된 제1 습도 및 제2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상대 습도에 도달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제1 습도가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고 제2 습도가 상대 습도 60%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 건조기 모듈(2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중단하고 세탁기 모듈(30)로 전부 건조 열풍이 전달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도 4의 상태로 전환하여 건조 드럼(22) 내의 세탁물에 대한 과건조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어부(70)는 제2 습도가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고 제1 습도가 상대 습도 60%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중단하고 건조기 모듈(20)로 전부 건조 열풍이 전달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도 3의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에 제1 습도 및 제2 습도가 모두 상대 습도 60% 미만이나 제1 습도와 제2 습도의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동시 건조 행정이 전체적으로 예상보다 더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어부(70)는 제1 습도 및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고 해당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 바람직하게는 상대 습도 10%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 중에서 더 높은 습도를 갖는 열풍을 배출하고 있는 쪽으로 더 많은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의 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1 습도가 제2 습도보다 상대 습도 10%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소정의 비율로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의 개도량을 늘리고 소정의 비율은 제2 출구(51d)의 개도량을 줄이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를 제어하고, 동일한 소정의 비율로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의 개도량이 조절되도록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제어한다.
이 때, 공통 덕트(51)의 제1, 2 입구(51a, 51b) 및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이 조절되는 소정의 비율은 5%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습도와 제2 습도의 편차에 기반하여 공통 덕트(51)의 제1, 2 입구(51a, 51b) 및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을 조절하고 공급되는 건조 열풍을 차별화함으로써 동시 건조 행정이 전체적으로 지연됨으로써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 제1 습도 및 제2 습도 측정에 관한 상세 내용,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의 제어에 관한 상세 내용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의 다른 실시예로서,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가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가 각각 두 개의 밸브로 구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제1 입구(51a)를 개폐하기 위한 전용의 목적을 갖는 제1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1)와, 제2 입구(51b)를 개폐하기 위한 전용의 목적을 갖는 제2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2)를 포함한다.
나아가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제1 출구(51c)를 개폐하기 위한 전용의 목적을 갖는 제1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1)와, 제2 출구(51d)를 개폐하기 위한 전용의 목적을 갖는 제2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2)를 포함한다.
제1, 2 입구(51a, 51b)의 동시 차단, 제1, 2 출구(51c, 51d)의 동시 차단이 불가한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와는 달리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건조기 열풍 유로와 세탁기 열풍 유로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풍 유로 동시에 차단함으로써,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의 건조 행정 과정에서 생성되어 응축기(52)에 축적된 린트(lint) 및 먼지의 제거 및 응축기(52)의 세척 중 잔류된 린트 및 먼지가 세탁 드럼(32)이나 건조 드럼(22)으로 재유입되어 세탁 드럼(32)이나 건조 드럼(22)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1)와 제2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2)는 각각 전용의 밸브 엑추에이터(V21, V22)로 구동되며, 제1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1)와 제2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2)는 각각 전용의 밸브 엑추에이터(V11, V12)로 구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의 제어부(70)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며,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7에 도시된 제어부(70)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를 포함하는 행정 모드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행정 모드 선택 신호 수신 단계(S1)가 수행된다.
행정 모드 선택 신호 수신 단계(S1)에서 제어부(70)는 도 7의 제어 패널(40)의 조작부(41)로부터 물리적으로 입력되는 선택 명령을 통해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다른 형태로서, 제어부(70)는 제어 패널(40)이 아닌 통신부(CM)를 통해서 무선 방식으로 입력되는 선택 명령을 통해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CM)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서 유저 모바일 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70)는, 수신된 선택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 중에서 어떤 행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행정 모드 판단 단계(S2)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70)는 특정 행정 모드가 선택되었다는 정보를 도 7의 디스플레이부(42) 또는 유저 모바일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행정 모드 판단 단계(S2)에서 제1 행정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만의 단독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건조기 열풍 유로를 개방하는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3)를 수행한다.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3)에서 제어부(70)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와 제1 출구(51c)는 전부 개방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입구(51b)와 제2 출구(51d)는 전부 차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도 7의 밸브 액추에이터(A1, A2)로 전달한다.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3)가 완료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 건조 행정 수행 단계(S4)를 수행한다.
건조기 건조 행정 수행 단계(S4)에서 제어부(70)는 건조 드럼(22)의 구동을 위해 구동부(90) 중에서 제1 구동부(91)로의 전력 공급 전에 도 7에 도시된 센서부(SM) 중에서 제1 도어(21) 센서로부터 건조기 모듈(20)의 제1 도어(21)가 닫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도어(21)가 닫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전원부(PM)로부터 제1 구동부(91)로 전력을 공급하여 건조 드럼(22)을 초기 구동시켜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감지된 포량과 메모리(71)에 미리 저장된 포량별 필요 건조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예상되는 건조 행정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 또는 유저 모바일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70)는 제1 구동부(91)에 대한 초기 구동 결과 예상되는 건조 행정 시간이 결정되면 히트 펌프 모듈(80) 및 공통 건조 모듈(50)의 송풍 모터(55)로 전력을 공급하여 건조 열풍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1 행정 모드에서 세탁기 모듈(30)은 사용이 정지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70)는 전원부(PM)로부터 구동부(90) 중에서 세탁 드럼(32)의 구동을 위한 제2 구동부(92)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행정 모드 판단 단계(S2)에서 제2 행정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세탁기 모듈(30)만의 단독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세탁기 열풍 유로를 개방하는 세탁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5)를 수행한다.
세탁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5)에서 제어부(70)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공통 덕트(51)의 제2 입구(51b)와 제2 출구(51d)는 전부 개방하고,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와 제1 출구(51c)는 전부 차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도 7의 밸브 액추에이터(A1, A2)로 전달한다.
세탁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5)가 완료되면, 제어부(70)는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 행정 수행 단계(S6)를 수행한다.
세탁기 건조 행정 수행 단계(S6)에서 제어부(70)는 세탁 드럼(32)의 구동을 위한 제2 구동부(92)로의 전력 공급 전에 도 7의 제2 도어(31) 센서로부터 세탁기 모듈(30)의 제2 도어(31)가 닫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도어(31)가 닫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전원부(PM)로부터 제2 구동부(92)로 전력을 공급하여 세탁 드럼(32)을 초기 구동시켜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감지된 포량과 메모리(71)에 미리 저장된 포량별 필요 건조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예상되는 건조 행정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 또는 유저 모바일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예상되는 세탁기 모듈(30)의 건조 행정 시간은 전술한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 시간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70)는 제2 구동부(92)에 대한 초기 구동 결과 예상되는 건조 행정 시간이 결정되면 히트 펌프 모듈(80) 및 공통 건조 모듈(50)의 송풍 모터(55)로 전력을 공급하여 건조 열풍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2 행정 모드에서 건조기 모듈(20)은 사용이 정지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70)는 전원부(PM)로부터 건조 드럼(22)의 구동을 위한 제1 구동부(91)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 9에는 제1 행정 모드 내지 제4 행정 모드 중에서 제3 행정 모드 또는 제4 행정 모드가 수행되어 진행되는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정 모드 판단 단계(S2)에서 제3 행정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만의 단독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건조기 열풍 유로를 개방하는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7)를 수행한다.
상기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7)는 전술한 제1 행정 모드 선택시의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3)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수행되며, 건조기 모듈(20)에 대해서만 열풍 유로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부(70)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와 제1 출구(51c)는 전부 개방하고, 공통 덕트(51)의 제2 입구(51b)와 제2 출구(51d)는 전부 차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도 7의 밸브 액추에이터(A1, A2)로 전달한다.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7)가 완료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에 대해서 건조 행정을 수행하고, 세탁기 모듈(30)에 대해서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 건조/세탁기 세탁 행정 수행 단계(S8)를 수행한다.
건조기 건조/세탁기 세탁 행정 수행 단계(S8)에서 제어부(70)는 제1 구동부(91) 및 제2 구동부(92)로의 전력 공급 전에 도 7의 제1 도어(21) 센서 및 제2 도어(31) 센서로부터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31)가 닫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31)가 닫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전원부(PM)로부터 제1 구동부(91) 및 제2 구동부(92)로 전력을 공급하여 건조 드럼(22) 및 세탁 드럼(32)을 초기 구동시켜 건조 드럼(22)의 포량 및 세탁 드럼(32)의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감지된 건조 포량과 메모리(71)에 미리 저장된 건조 포량별 필요 건조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예상되는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 시간 정보, 및 감지된 세탁 포량과 메모리(71)에 미리 저장된 세탁 포량별 필요 건조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예상되는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 시간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부(42) 또는 유저 모바일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70)는 제1 구동부(91)에 대한 초기 구동 결과 예상되는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 시간이 결정되면 히트 펌프 모듈(80) 및 공통 건조 모듈(50)의 송풍 모터(55)로 전력을 공급하여 건조 열풍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어부(70)는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세탁기 모듈(30)에 건조 열풍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 건조 행정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 건조 행정 진입 여부 판단 단계(S9)를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 중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이 완료된 것을 판단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을 종료하고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을 계속 진행한다.
또한,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이 완료된 이후에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진행하고자 하면, 제어부(70)는 도 8에 도시된 세탁기 열풍 유로를 개방하는 세탁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5) 및 세탁기 건조 행정 수행 단계(S6)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건조기 모듈(20)의 건조 행정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세탁기 모듈(30)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수행하고자 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에 대해서 동시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건조기 열풍 유로 및 세탁기 열풍 유로를 동시에 개방하는 건조기/세탁기 열풍 유로 동시 개방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건조기/세탁기 열풍 유로 동시 개방 단계(S10)는,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에 대해서 동시에 열풍 유로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부(70)는 공통 덕트(51)의 제1, 2 입구(51a, 51b) 및 제1, 2 출구(51c, 51d)를 전부 개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도 7의 밸브 액추에이터(A1, A2)로 전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로 동시에 건조 열풍이 공급되어 동시에 건조 행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 및 제2 출구(51d)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2)를 통해 구동되며, 입구 유로 밸브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밸브 액추에이터(A1)를 통해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시 건조 행정 진행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건조 드럼(22)과 세탁 드럼(32)에 대해서 각각 동일한 유량으로 건조 열풍이 공급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 및 제2 출구(51d)가 동일한 개도량을 갖도록 제어되며,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는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가 동일한 개도량을 갖도록 제어된다.
한편, 이와 같이 건조기/세탁기 열풍 유로 동시 개방 단계(S10)가 완료되면,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에 대해서 동시에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세탁기 동시 건조 행정 수행 단계(S11)로 진행한다.
동시 건조 행정 수행 단계(S11) 중에 제어부(70)는 실시간으로 공통 건조 모듈(50)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를 통해서 회수되는 열풍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 단계(S12)를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습도 측정 단계(S12)에서, 제어부(70)는 건조 드럼(2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제1 습도 센서(SH1)를 이용하여 제1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1 습도 측정 단계, 및 세탁 드럼(32)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 상태를 확인인기 위해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 제2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1 습도 측정 단계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70)는 제1 습도 센서(SH1) 및 제2 습도 센서(SH1)를 통해서 측정된 제1 습도 및 제2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목표 습도에 도달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제1 습도가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고 제2 습도가 상대 습도 60%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 건조기 모듈(2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중단하고 세탁기 모듈(30)로 전부 건조 열풍이 전달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도 4의 상태로 전환하여 건조 드럼(22) 내의 세탁물에 대한 과건조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어부(70)는 제2 습도가 상대 습도 60%에 도달하고 제1 습도가 상대 습도 60%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 세탁기 모듈(30)에 대한 건조 행정을 중단하고 건조기 모듈(20)로 전부 건조 열풍이 전달되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도 3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동시 건조 행정 진행 중에 제1 습도 및 제2 습도가 모두 상대 습도 60% 미만이나 제1 습도와 제2 습도의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동시 건조 행정이 전체적으로 예상보다 더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70)는 제1 습도 및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고 해당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 바람직하게는 상대 습도 1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S13)를 수행한다.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S13)에서, 제1 습도 및 제2 습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제1 습도와 제2 습도가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 시간 건조기/세탁기 동시 건조 행정 수행 단계(S11)를 계속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다만,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S13)에서, 제1 습도 및 제2 습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 및 상기 제2 출구(51d)의 개도량을 변환하여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로 공급되는 열풍의 비율을 조절하는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S14)를 수행한다.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S14)에서, 제어부(70)는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 중에서 더 높은 습도를 갖는 열풍을 배출하고 있는 쪽으로 더 많은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및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의 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1 습도가 제2 습도보다 상대 습도 10%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소정의 비율로 공통 덕트(51)의 제1 출구(51c)의 개도량을 늘리고 소정의 비율은 제2 출구(51d)의 개도량을 줄이도록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를 제어하고, 동일한 소정의 비율로 공통 덕트(51)의 제1 입구(51a) 및 제2 입구(51b)의 개도량이 조절되도록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를 제어한다.
이 때, 공통 덕트(51)의 제1, 2 입구(51a, 51b) 및 제1, 2 출구(51c, 51d)의 개도량이 조절되는 소정의 비율은 5%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습도 및 제2 습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으로서 상대 습도 10%보다 더 큰 차이값을 갖는 경우, 예를 들면 상대 습도 15% 이상의 차이값을 갖는 경우에는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S14)에 추가하여, 건조기 모듈(20) 및 세탁기 모듈(30) 중에서 더 높은 습도를 갖는 열풍을 배출하는 쪽의 드럼의 회전수를 더 높이는 드럼 회전수 조절 단계(S15)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 개방 비율 및 드럼 회전수가 조절된 상태로 제어부(70)는 건조기/세탁기 동시 건조 행정 수행 단계(S16)를 계속 수행하고, 유로 개방 비율 및 드럼 회전수 조절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간 경과 여부 판단 단계(17)를 수행한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건조 드럼(22)과 세탁 드럼(32)에 포함되어 있는 포량 및 현재 남은 건조 행정 시간을 고려하여 5분 내지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시간 경과 여부 판단 단계(17)에서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전술한 습도 측정 단계(S12)를 재수행하고, 습도 측정 결과에 따라 전술한 건조 행정을 종료하거나,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S13),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S14), 드럼 회전수 조절 단계(S15), 건조기/세탁기 동시 건조 행정 수행 단계(S16)를 재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정 모드 판단 단계(S2)에서 제4 행정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3 행정 모드에서 수행되는 건조기 열풍 유로 개방 단계(S7), 건조기 건조/세탁기 세탁 행정 수행 단계(S8), 동시 건조 행정 진입 여부 판단 단계(S9)가 생략된 점만 다를 뿐 나머지 단계는 동일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제어부(70)는 바로 건조기 모듈(20)과 세탁기 모듈(30)이 동시건조기/세탁기 열풍 유로 동시 개방 단계(S10)를 수행하고, 전술한 이후 단계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체형 의류 처리 장치(1) 공통 캐비닛(10)
제1 의류 처리 모듈(20) 제1 도어(21)
제1 드럼(22) 유입구(22a)
배출구(22b) 제2 의류 처리 모듈(30)
제1 도어(31) 제2 드럼(32)
터브(33) 유입구(33a)
배출구(33b) 제어 패널(40)
제1 공급 덕트(61) 제2 공급 덕트(62)
제1 회수 덕트(63) 제2 회수 덕트(64)
제1 습도 센서(SH1) 제2 습도 센서(SH1)
공통 건조 모듈(50) 공통 덕트(51)
제1 입구(51a) 제2 입구(51b)
제1 출구(51c) 제2 출구(51d)
응축기(52) 히터(53)
송풍 팬(54) 송풍 모터(55)
입구 유로 전환 밸브(V1) 제1 액추에이터(A1)
출구 유로 전환 밸브(V2) 제2 액추에이터(A2)

Claims (21)

  1. 내부에 공통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공통 수용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상기 공통 수용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세탁물 처리 모듈;
    열풍을 생성하여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에 각각 공급하고,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서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각각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공통 건조 모듈;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출구 유로 전환 밸브;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입구 유로 전환 밸브;
    상기 제1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 센서;
    상기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의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 센서; 및
    상기 제1 습도 센서 및 상기 제2 습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 및 상기 입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 동시에 열풍 공급 중에 상기 제1 습도 센서로 측정된 제1 습도에 관한 신호 및 상기 제2 습도 센서로 측정된 제2 습도에 관한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여,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이 변경되도록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2. 제1 항에서,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1 공급 덕트와, 상기 제2 출구와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2 공급 덕트를 포함하는 열풍 공급 덕트; 및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1 회수 덕트와,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을 유체 연결하는 제2 회수 덕트를 포함하는 열풍 회수 덕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3. 제2 항에서,
    상기 제1 습도 센서는 상기 제1 입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1 회수 덕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습도 센서는 상기 제2 입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2 회수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4. 제1 항에서,
    상기 공통 건조 모듈은,
    내부에 열풍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를 구비하는 공통 덕트;
    상기 공통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출구 및 상기 제2 출구로 배출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 및 송풍 팬; 및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로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응축기;
    를 포함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5. 제1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의 차이값을 연산하기 전에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소정의 목표 습도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모두 상기 목표 습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차이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6. 제5 항에서,
    상기 목표 습도는 상대 습도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7. 제5 항에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대 습도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8. 제5 항에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출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입구 유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제2 액추에이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9. 제8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며,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9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고,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11. 캐비닛 내부의 공통 수용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제2 세탁물 처리 모듈에 공통 건조 모듈의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동시에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과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상기 공통 건조 모듈의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동시 건조 행정 단계;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로 회수되는 열풍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 단계;
    상기 측정된 습도들의 차이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 및
    상기 차이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출구 및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변환하여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 공급되는 열풍의 비율을 조절하는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 항에서,
    상기 습도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입구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1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 측정 단계; 및
    상기 제2 입구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2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세탁물 처리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 측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 항에서,
    상기 습도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를 소정의 목표 습도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목표 습도 이하가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목표 습도 도달 여부 판단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 항에서,
    상기 제1 습도 및 상기 제2 습도가 모두 상기 목표 습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3 항에서,
    상기 목표 습도는 상대 습도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3 항에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대 습도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3 항에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며,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출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출구의 개도량을 줄이는 출구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 항에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는,
    상기 제1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고, 상기 제2 습도가 상기 제1 습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2 입구의 개도량을 늘리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입구의 개도량을 줄이는 입구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 항에서,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의 개도량이 조절된 상태로 상기 제1 출구 및 제2 출구를 통해 동시에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동시 건조 행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 항에서,
    상기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1, 2 입구 및 상기 제1, 2 출구의 개도량이 조절된 상태로 동시 건조 행정이 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동시 행정 진행 시간 판단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 항에서,
    상기 동시 행정 진행 시간 판단 단계에서 상기 동시 건조 행정이 개시된 이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측정 단계, 상기 목표 습도 도달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습도 차이값 판단 단계, 및 상기 유로 개방 비율 조절 단계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129863A 2019-10-18 2019-10-18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46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863A KR20210046300A (ko) 2019-10-18 2019-10-18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0/013872 WO2021075811A1 (ko) 2019-10-18 2020-10-12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7/769,969 US20220372685A1 (en) 2019-10-18 2020-10-12 Integrated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080072974.4A CN114555878B (zh) 2019-10-18 2020-10-12 一体式洗涤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AU2020368815A AU2020368815B2 (en) 2019-10-18 2020-10-12 Integrated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0877790.4A EP4047118A4 (en) 2019-10-18 2020-10-12 INTEG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863A KR20210046300A (ko) 2019-10-18 2019-10-18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300A true KR20210046300A (ko) 2021-04-28

Family

ID=7553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863A KR20210046300A (ko) 2019-10-18 2019-10-18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72685A1 (ko)
EP (1) EP4047118A4 (ko)
KR (1) KR20210046300A (ko)
CN (1) CN114555878B (ko)
AU (1) AU2020368815B2 (ko)
WO (1) WO20210758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986A1 (ko) * 2022-10-25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WO2024101817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6866B2 (en) * 2020-05-27 2024-01-09 Monotony.ai, Inc. Autonomous laundry washing and drying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694A (ja) * 1994-12-27 1996-07-09 Toshiba Corp ランドリー装置
CN1242112C (zh) * 2002-11-18 2006-02-1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滚筒式洗衣及烘干装置
KR100662364B1 (ko) * 2004-11-01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및 건조 장치
KR100692582B1 (ko) * 2006-03-24 2007-03-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 건조방법
KR101276815B1 (ko) * 2006-08-29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건조기
JP4858321B2 (ja) * 2007-06-13 2012-0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乾燥機
CN102758342B (zh) * 2012-02-24 2015-10-14 上海鸿尔机械有限公司 双转笼式烘干机
KR20140028406A (ko) * 2012-08-28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와 이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0738412B2 (en) * 2016-12-29 2020-08-11 Lg Electronics Inc. Dual type drying machine
CN108950976A (zh) 2017-05-27 2018-12-0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108085941A (zh) * 2018-01-02 2018-05-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烘干系统、洗涤烘干一体机及其控制方法
CN208562910U (zh) * 2018-06-26 2019-03-0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986A1 (ko) * 2022-10-25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WO2024101817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68815A1 (en) 2022-05-12
AU2020368815B2 (en) 2024-02-15
WO2021075811A1 (ko) 2021-04-22
US20220372685A1 (en) 2022-11-24
EP4047118A1 (en) 2022-08-24
EP4047118A4 (en) 2023-11-15
CN114555878A (zh) 2022-05-27
CN114555878B (zh)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368815B2 (en) Integrated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119072A1 (en) Single body washing machine and dry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5226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417009B2 (en) Controlling method for a washing machine
US9080271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supply unit
US6748772B2 (en) Washing/drying machine and clothes dryer
US8544187B2 (en)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55358B2 (en) Drying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laundry
KR102118045B1 (ko) 의류처리장치
US1075302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01559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201209A1 (en) Laundry device
US2014023808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50067970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242856A1 (en) Dry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0385495B2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U2792055C1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для стирки и способ его управления
US20060248659A1 (en) Laundr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060112497A1 (en) Operation method for combination type laundry device
KR101314241B1 (ko) 세탁기
KR20030084066A (ko)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KR1019898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73554B1 (ko) 상하 열풍 순환식 전기 건조기
JP7199732B2 (ja) 洗濯機
EP401209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laundry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