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17422A1 -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17422A1
WO2018117422A1 PCT/KR2017/012775 KR2017012775W WO2018117422A1 WO 2018117422 A1 WO2018117422 A1 WO 2018117422A1 KR 2017012775 W KR2017012775 W KR 2017012775W WO 2018117422 A1 WO2018117422 A1 WO 20181174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ying
air
rack
drying chamb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7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로치포드팀
남연영
이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73,22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11623B2/en
Priority to EP17882795.2A priority patent/EP3543394A4/en
Priority to CN201780086927.3A priority patent/CN110325680B/zh
Publication of WO20181174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174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6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heatable surfaces for contacting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Definitions

  • the drying apparatus 900 may further include a door (not shown) installed in the casing 410 to open and close the drying chamber 420.
  • the door may be installed in the casing 410 to be rotatable.
  • the door may be installed in the casing 41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door rotating axis.
  • the door rotating shaft and the second drying rack rotating shaft 911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 the drying apparatus 10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eaters.
  • the plurality of heaters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sing 410 to he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rying chamber 420.
  • the plurality of heaters may include a first heater 1510 provided to he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rying rack flow path 1200.
  • the plurality of heater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eater 1520 provided to he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moving space 1300.
  • the first heater 1510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heater 1520.
  • the positions of the first heater 1510 and the second heater 152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 the drying apparatus 10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ying passages.
  • the plurality of drying passages may include a first drying passage 1710.
  • the first drying passage 1710 may connect the drying duct 1400 and the drying chamber 420 such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drying duct 1400 flows into the drying chamber 420.
  • the plurality of drying passage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ying passage 1720.
  • the second drying channel 1720 may connect the air moving space 1300 and the drying chamber 420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air moving space 1300 flows into the drying chamber 420.
  • Air moving along the first drying passage 1710 flows into the drying rack passage 1200 through the drying duct 1400,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rying rack passage 120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communication holes 1121. It is dispersed into the drying chamber 420 through.
  • the air moving along the second drying passage 1720 flows into the air movement space 1300,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movement space 1300 flows into the drying chamber 420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vents 421a. d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건조과정 중 피 건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건조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챔버,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1건조 랙(drying rack) 및 상기 제 1건조 랙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건조 랙(drying rack)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은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조과정 중 피 건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는 피 건조물이 수용된 드럼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가운데 드럼의 내부로 열풍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드럼 내부의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건조장치는 내부에 피 건조물을 수용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회전하는 드럼 내부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 장치와, 드럼으로의 공기 유입을 안내하는 공급 유로와,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배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내부로 피 건조물을 투입한 후 건조장치를 작동시키면, 구동 장치의 동작에 의해 드럼의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송풍 장치의 동작에 의해 드럼 내부로 공기의 송풍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드럼 내부에 수용된 피 건조물은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빠른 속도로 건조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회전식 건조장치는 드럼의 회전 동작에 의해 피 건조물의 상승 및 낙하가 반복되므로 피 건조물에 작용하는 기계력에 의해 피 건조물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건조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피 건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건조 챔버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챔버,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1건조 랙(drying rack) 및 상기 제 1건조 랙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건조 랙(drying ra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건조 랙은 핸들이 마련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메쉬 바디(mesh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 챔버의 양측 내벽에 마련되고, 상기 제 2건조 랙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메쉬 바디가 감기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인더(win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 챔버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건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덕트의 상판은 상기 건조 챔버의 바닥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챔버의 바닥판에는 복수의 송풍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 챔버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 챔버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상기 히터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흡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건조 덕트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 챔버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건조 랙은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건조 유로 및 상기 건조 유로 및 상기 건조 챔버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건조 랙에 마련되는 복수의 공기 유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기 유동홀은 상기 제 1건조 랙의 상면 및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챔버 및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 랙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 랙은 공기가 유동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건조 랙 유로 및 상기 건조 랙 유로 및 상기 건조 챔버가 연통되도록 상기 건조 랙에 마련되는 복수의 공기 유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챔버의 바닥판에는 상기 건조 챔버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복수의 송풍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기 유동홀은 상기 건조 랙의 상면 및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 공간은, 상기 건조 랙이 상기 건조 챔버의 바닥판과 평행한 관계에 있을 때, 상기 건조 랙을 사이에 두고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 랙은 상기 건조 랙 유로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건조 랙의 회전축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 챔버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회전축 및 상기 건조 랙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처리 공간을 가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챔버, 상기 건조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건조 랙(drying rack) 및 상기 도어와 상기 제 1건조 랙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건조 랙(drying ra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건조 랙은 상기 건조 챔버 내부의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쉬 바디(mesh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식 건조장치를 사용하는 대신 열풍을 이용하여 피 건조물을 건조시킴으로써, 회전식 건조장치 사용 시 피 건조물에 작용하는 기계력에 의해 피 건조물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건조 랙을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건조 챔버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건조 챔버 내부에 피 건조물을 걸어서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 랙을 설치함으로써 피 건조물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제 1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제 2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 2건조 랙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a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제 3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제 4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 2건조 랙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제 4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제 5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 2건조 랙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제 6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 2건조 랙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a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종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의류는 피복(被服)의 개념을 포함한다. 따라서, 의류는 옷뿐 만 아니라 모자, 장갑, 신발 등 착용 가능한 일체의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부호 "L"은 피 건조물을 지칭한다.
이하, 제 1건조 랙 및 제 2건조 랙 중 어느 하나만 설치된 경우, "건조 랙"이라고 통칭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의류 처리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공간은 의류를 수용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 처리 공간을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건조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30)는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제 1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a)는 복수의 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의류처리장치(1a)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피 건조물에 대한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복수의 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의류처리장치(1a)는 회전식 건조장치 및 비(非) 회전식 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회전식 건조장치 및 비(非) 회전식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1a)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의류처리장치(1a)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제 1건조유닛(20)의 제 1투입구(25)를 개폐하는 제 1도어(91)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도어(91)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면에는 제 2건조유닛(30)의 제 2투입구(31a)를 개폐하는 제 2도어(92)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도어(92)는 제 2투입구(31a)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 상부에는 의류처리장치(1a)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a)는 회전 방식으로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제 1건조유닛(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건조유닛(2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 드럼(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건조유닛(20)은 회전 드럼(21)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전방 지지판(24) 및 후방 지지판(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지지판(24)은 회전 드럼(21)의 전단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전방 지지부(24a)와, 제 1건조유닛(20)의 내부로 피 건조물를 투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투입구(25)와, 제 2건조유닛(30)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연결구(26)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지지판(27)은 회전 드럼(21)의 후단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후방 지지부(27a)와, 외부 공기가 제 1건조유닛(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28)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드럼(21)의 하부에는 회전 드럼(21)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롤러(18)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드럼(21)의 내주면에는 피 건조물을 들어 올리는 리프터(22)가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a)는 회전 드럼(21)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송풍팬(12)을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4)의 회전축의 일 단에는 송풍팬(12)이 연결되고 회전축의 타단에는 풀리(15)가 연결될 수 있다. 풀리(15)의 외면과 회전 드럼(21)의 외면은 벨트(16)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 모터(14)의 구동력이 회전 드럼(21)에 전달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a)는 제 2건조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건조유닛(30)은 제 1건조유닛(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건조유닛(30)은 비(非) 회전 방식으로 피 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즉, 제 2건조유닛(30)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2건조유닛(30)은 피 건조물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건조 챔버(31)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챔버(31)는 개방된 일 면을 가질 수 있다. 건조 챔버(31)의 개방된 일 면은 제 2투입구(31a)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투입구(31a)는 제 2도어(9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건조 챔버(31)의 바닥판(31b)에는 복수의 송풍구(31c)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건조유닛(30)은 본체(10) 및 건조 챔버(31) 사이에 형성되는 건조 덕트(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공급유로(40) 및 건조 덕트(180)는 제 2공급유로(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 2공급유로(50) 및 건조 덕트(180)의 연결부위에는 제 2공급유로(50)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 덕트(18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32)를 통해 건조 덕트(180)로 유입된 공기는 건조 챔버(3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덕트(180)로 유입된 공기는 건조 챔버(31)의 바닥판(31b)에 형성된 복수의 송풍구(31c) 및 건조 챔버(31)의 후면(31d)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31e)를 통해 건조 챔버(3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건조 챔버(3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건조 챔버(31) 내부의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건조 챔버(3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출구(33)를 통해 건조 챔버(3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 2건조유닛(30)의 건조 챔버(31)의 크기는 제 1건조유닛(20)의 회전 드럼(2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건조 챔버(31)에 수용되는 피 건조물의 양은 회전 드럼(21)에 수용되는 피 건조물의 양보다 적을 수 있다.
제 2건조유닛(30)은 건조 챔버(31) 내부로 피 건조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 2투입구(3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투입구(31a)는 건조 챔버(3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건조유닛(30)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2) 및 건조 챔버(3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a)는 제 1건조유닛(2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 1공급유로(40), 제 2건조유닛(3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 1공급유로(40)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 2공급유로(50), 제 1건조유닛(20)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 1배출유로(60) 및 제 2건조유닛(30)의 공기를 제 1건조유닛(20)을 거쳐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 2배출유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공급유로(40)는 공급 덕트(41,4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덕트(41,42)는 대략 제 1건조유닛(2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공급 덕트(41)와, 일 단은 하부 공급 덕트(41)에 결합되고 타 단은 제 1건조유닛(20)의 흡입구(28)에 결합되는 후방 공급 덕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9)는 의류 처리 공간의 일 예인 회전 드럼(21) 및 건조 챔버(31) 중 적어도 하나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제 1건조유닛(20)의 본체(10) 및 제 2건조유닛(30)의 본체(1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19)는 제 1공급 유로(40)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제 1공급 유로(40)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공급유로(50)는 인렛 덕트(5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인렛 덕트(51)는 후방 공급 덕트(42)의 분기구(42a)와, 제 2건조유닛(30)의 유입구(32)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는 인렛 덕트(51)와 후방 공급 덕트(42)가 별개로 마련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인렛 덕트(51)와 후방 공급 덕트(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배출유로(60)는 필터 케이스(81)와, 송풍팬 케이스(13)와, 배출 덕트(6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2배출유로(70)는 아웃렛 덕트(7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웃렛 덕트(71)는 제 2건조유닛(30)의 유출구(33)와, 전방 지지판(24)의 연결구(26)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구동 모터(14)가 작동하면 구동 모터(14)에서 발생한 구동력이 풀리(15) 및 벨트(16)를 거쳐 회전 드럼(21)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회전 드럼(21)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 모터(14)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송풍팬(12)을 회전시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각각 제 1공급유로(40)와 제 2공급유로(50)를 통해 제 1건조유닛(20)과 제 2건조유닛(30)으로 공급된다. 제 1건조유닛(20)에서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고 습해진 공기는 제 1배출유로(60)를 통해 배출된다. 제 2건조유닛(30)에서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고 습해진 공기는 제 2배출유로(70)를 통해 제 1건조유닛(20)의 내부로 안내되었다가 최종적으로 제 1배출유로(60)를 통해 배출된다.
전방 지지판(24)의 하부에는 제 1배출유로(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80)가 장착될 수 있다. 필터(80)는 필터 케이스(81), 필터 케이스(81)의 일 면에 형성되는 그릴(82) 및 필터 케이스(81)의 내부에 마련되는 필터 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달리, 구동 모터(14)가 작동하면 제 2건조유닛(30)에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고, 제 1건조유닛(20)에만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건조유닛(30)의 공기를 제 1건조유닛(20)으로 안내하는 제 2배출유로(70)에는 셔터(72)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건조유닛(2)과 제 2건조유닛(30)을 모두 사용하여 건조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셔터(72)를 개방하여 제 1건조유닛(20) 및 제 2건조유닛(30) 모두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제 2건조유닛(30)은 사용하지 않고 제 1건조유닛(20)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셔터(72)를 폐쇄하여 제 2건조유닛(30)으로 공기가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셔터(72)가 제 2배출유로(70)에 마련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셔터(72)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서, 셔터(72)는 제 2공급유로(5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의류건조장치(1a)는 본체(10)의 내부에 회전 방식의 제 1건조유닛(20) 및 비(非) 회전 방식의 제 2건조유닛(30)이 함께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피 건조물의 특성에 따라 회전 방식 건조 또는 비(非) 회전 방식 건조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히터(19)와 하나의 송풍팬(12)으로 제 1건조유닛(20) 및 제 2건조유닛(30) 모두에 건조한 공기(열풍)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내부 구조가 간단하고 유효 건조 공간이 증대될 수 있다. 다만, 제 2건조유닛(30)이 제 1건조유닛(20)과 별개로 제 2건조유닛(30)만을 위한 히터 및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2건조유닛(30)의 공기가 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고 제 1건조유닛(20)을 거쳐서 배출되므로, 유로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상대적으로 부하가 작은 제 2건조유닛(30)을 통과한 공기를 바로 배출시키지 않고 재활용함으로써 건조 효율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제 2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b)는 세탁장치 및 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장치는 드럼식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식 세탁기는 드럼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프터로 세탁물을 들어 올렸다가 낙하시킴으로써 세탁물이 세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드럼식 세탁기는 세탁물을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방식을 취한다. 다만, 세탁장치의 종류는 드럼식 세탁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세탁장치로서 드럼식 세탁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1b)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b)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건조장치(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본체(110a) 및 세탁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본체(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본체(110a) 및 하부 본체(110b)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별개로 마련되어 서로 조립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1b)는 세탁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장치(100)는 통상적인 프런트 로딩 방식의 드럼 세탁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장치(100)는 세탁수를 저수하도록 마련되는 터브(tub)(111)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장치(100)는 세탁물(laundry)을 수용하도록 터브(1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drum)(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럼(112)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럼(112)은 모터(200)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다. 드럼(112)의 내주면에는 세탁물을 들어 올렸다가 낙하시킴으로써 세탁물을 교반시키고, 세탁물에 충격을 가하게 하는 리프터(114)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112)에는 터브(111)에 저수된 세탁수가 유동하도록 통공(115)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112)은 코트(coat)나 이불 등과 같이 크기가 큰 세탁물이나 많은 양의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터브(111) 및 드럼(112) 각각의 전방에는 개구(111a,113)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물은 개구(111a,113)를 통해 드럼(112)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세탁장치(100)는 개구(111a,113)를 개폐하도록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장치(100)는 터브(111)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 장치(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장치(222)는 수도(tap) 등의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관(223) 및 급수관(223)을 통한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급수관(223)에 마련되는 급수 밸브(224)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223)에는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 각종 세제류를 투입할 수 있는 세제 투입 장치(225)가 연결될 수 있다.
세탁장치(100)는 세탁 행정이 종료된 후에 터브(111)에 저수된 세탁수를 본체(110)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 장치(2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장치(227)는 터브(111)의 세탁수를 본체(110)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228) 및 터브(111)의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 펌프(229)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b)는 건조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30)는 세탁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본체(110a)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e) 및 외부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110f)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0e) 및 유출구(110f)는 상부 본체(110a)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거나, 상부 본체(110a)의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상부 본체(110a)의 후면에 유입구(110e)가 형성되고, 상부 본체(110a)의 전면에 유출구(110f)가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나, 유입구(110e) 및 유출구(110f)의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건조장치(30)는 피 건조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 본체(110a)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챔버(31)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챔버(31)는 일 면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건조 챔버(31)의 바닥판(31b)에는 복수의 송풍구(31c)이 형성될 수 있다. 건조 챔버(31)의 후면(31d)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31e)가 형성될 수 있다. 건조 챔버(31)의 전면에는 공기 유출구(31f)가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30)는 건조챔버(31)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부 본체(110a)에 설치되는 도어(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92)는 피 건조물을 업 로딩(up loading) 방식으로 건조챔버(31)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 본체(110a)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30)는 상부 본체(110a) 및 건조 챔버(31) 사이에 형성되는 건조 덕트(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건조 덕트(180)로 유입되고, 건조 덕트(180)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160)에 의해 가열된 후 복수의 송풍구(31c)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31e)를 통해 건조 챔버(3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건조장치(30)는 유입구(110e)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60)는 건조 덕트(18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60)는 유입구(110e) 및 건조 챔버(3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건조 덕트(18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30)는 히터(16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 챔버(31)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50)은 히터(160)와 인접하도록 건조 덕트(18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장치(100) 및 건조장치(30)를 모두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1b)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증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장치(100)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대한 세탁을 완료한 후 세탁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건조장치(30)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대한 건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각각 복수의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1a)와, 세탁장치 및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1b)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의류처리장치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단지 건조장치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의류처리장치가 건조장치만으로 구성된 경우는 의류처리장치뿐 만 아니라 건조장치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건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 2건조 랙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a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제 2건조 랙(430)이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4b는 제 2건조 랙(430)이 인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a 내지 도 5는 토출유닛(520)이 생략된 경우를 도시하고, 도 6은 토출유닛(520)이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400)는 케이싱(4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410)은 건조장치(4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41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11) 및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400)는 케이싱(4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챔버(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개방된 일 면을 가질 수 있다. 건조 챔버(420)의 개방된 일 면은 투입구(420a)로 정의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바닥판(42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421)은 투입구(420a)와 대응관계에 있을 수 있다. 바닥판(421)에는 복수의 송풍구(421a)가 형성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건조장치(400)의 전방을 향하는 전판(422), 건조장치(400)의 후방을 향하는 후판(423) 및 건조장치(400)의 측방을 향하는 측판(4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제 2건조 랙(430)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챔버(420)의 내부 공간은 제 2건조 랙(430)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 챔버(420)의 내부 공간은, 제 2건조 랙(430)이 건조 챔버(420)의 바닥판(421)과 평행한 관계에 있을 때, 제 2건조 랙(430)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공간은 도어(460)와 인접하도록 제 2건조 랙(4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공간(426) 및 제 2건조 랙(430)을 통해 제 1공간(426)과 연통되도록 제 2건조 랙(4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2공간(4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건조 랙(450)은 제 2공간(427)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400)는 건조 챔버(4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건조 랙(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건조 랙(430)은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건조 챔버(4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건조 랙(430)은 건조 챔버(420)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 2건조 랙(430)은 프레임(43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431)에는 핸들(433)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433)을 이용하여 제 2건조 랙(430)을 용이하게 인입 내지 인출할 수 있다. 핸들(433)은 소정 깊이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핸들(433)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 2건조 랙(430)은 프레임(43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부(4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34)는 제 2건조 랙(43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후술할 가이드 레일(4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434)에는 제 2건조 랙(430)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롤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건조 랙(430)은 메쉬 바디(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쉬 바디(432)는 프레임(43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메쉬 바디(432)는 와인더(500)에 감길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메쉬 바디(432)는 그물구조(mesh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메쉬 바디(432)는 복수의 연통홀(435)을 가질 수 있다. 메쉬 바디(432)의 그물구조는 메쉬 바디(432) 상에 놓여진 피 건조물에 대한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건조장치(400)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40)은 제 2건조 랙(43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40)은 제 2건조 랙(430)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도록 건조 챔버(420)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가이드 레일(440)은 건조 챔버(420)의 양 측벽(424)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레일(440)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제 2건조 랙(430)의 인입 및 인출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440)은 후술할 제 1건조 랙(450)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400)는 건조 챔버(4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건조 랙(drying rack)(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피 건조물은 제 1건조 랙(450)에 걸린 상태로 또는 끼워진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신발, 속옷 등과 같은 피 건조물은 제 1건조 랙(450)에 걸리거나 끼워진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제 1건조 랙(450)은 제 2건조 랙(4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400)는 제 2건조 랙(430)이 감기도록 마련되는 와인더(winder)(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인더(500)는 제 2건조 랙(430)의 메쉬 바디(432)가 감길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와인더(500)는 건조 챔버(420)의 후면(423)에 함몰 형성된 와인더 장착부(42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건조장치(400)는 건조 챔버(420)의 바닥판(421)을 형성하도록 케이싱(4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덕트(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덕트(490)의 상판은 건조 챔버(420)의 바닥판(421)을 형성할 수 있다. 건조 덕트(490)의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491)가 형성될 수 있다. 건조 챔버(420) 및 건조 덕트(490)는 건조 챔버(420)의 바닥판(421)에 형성되는 복수의 송풍구(421a)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건조 덕트(490) 내부의 유로(49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복수의 송풍구(421a)를 통과하여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건조장치(400)는 히터(heater)(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470)는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케이싱(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400)는 흡입유닛(480) 및 토출유닛(520)(도6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480)은 외부 공기를 케이싱(410)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481), 내부에 흡입팬(481)이 수용되는 흡입팬 하우징(미도시) 및 흡입팬(481)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흡입팬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480)은 히터(47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 챔버(420)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히터(47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480)은 흡입팬(481)과 건조 덕트(490) 내부의 유로(491)가 서로 연통되도록 건조 덕트(490)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유닛(520)은 건조 과정에서 생성된 습한 공기를 케이싱(410)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팬(521), 내부에 토출팬(521)이 수용되는 토출팬 하우징(미도시) 및 토출팬(521)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토출팬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400)는 건조 챔버(420)를 개폐하도록 케이싱(410)에 설치되는 도어(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460)는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싱(410)에 설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400)는 건조 유로(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유로(510)는 건조 덕트(490)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 챔버(420)로 유입되도록 건조 덕트(490)와 건조 챔버(420)를 연결할 수 있다. 히터(470), 흡입팬(481) 및 토출팬(521)은 건조 유로(5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피 건조물은 제 2건조 랙(430) 상에 배치되거나, 건조 챔버(420)의 바닥판(421)에 배치되거나, 제 1건조 랙(450)에 걸린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 챔버(420) 내부에 제 2건조 랙(430) 및 제 1건조 랙(450)을 설치할 경우, 건조 챔버(420)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 챔버(420) 내부에 제 2건조 랙(430) 및 제 1건조 랙(450)을 설치할 경우, 상당한 양의 피 건조물이 서로 포개진 상태로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조 효율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흡입팬(481)의 작동에 의해 유입구(411)를 통해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470)에 의해 가열된 후 건조 덕트(490)의 유로(491)로 유입된다. 건조 덕트(490)의 유로(491)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송풍구(421a)를 통해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된다.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피 건조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습한 공기로 변한다. 습한 공기는 토출팬(521)의 작동에 의해 유출구(412)를 통해 케이싱(410) 외부로 토출된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피 건조물이 건조 랙(610)에 끼워진 상태로 건조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되지 않은 도면번호에 대한 설명은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600)는 케이싱(4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41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11) 및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600)는 케이싱(4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챔버(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개방된 일 면을 가질 수 있다. 건조 챔버(420)의 개방된 일 면은 투입구(420a)로 정의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바닥판(42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421)은 투입구(420a)와 대응관계에 있을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건조장치(600)의 전방을 향하는 전판(422), 건조장치(600)의 후방을 향하는 후판(423) 및 건조장치(600)의 측방을 향하는 측판(4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건조 챔버(420)의 바닥판(421)에는 공기 이동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건조장치(600)는 건조 챔버(4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 랙(drying rack)(6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랙(610)의 일 단부는 건조 챔버(420)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고, 건조 랙(610)의 타 단부는 건조 챔버(42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만, 건조 랙(610)의 구조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서, 건조 랙(610)의 양 단부가 모두 건조 챔버(420)의 내벽에 고정될 수도 있다. 피 건조물은 건조 랙(610)에 걸린 상태로 또는 끼워진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신발, 속옷 등과 같은 피 건조물은 건조 랙(610)에 걸리거나 끼워진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건조장치(600)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랙(610)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랙(610)은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은 건조 유로(620) 및 건조 챔버(420)가 연통되도록 건조 랙(6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은 건조 랙(61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은 규칙적으로 건조 랙(6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을 불규칙적으로 건조 랙(610)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건조 랙(610)에는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 대신 노즐 형태의 복수의 공기 노즐이 형성될 수도 있다.
건조장치(600)는 히터(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470)는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케이싱(4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600)는 흡입유닛(480) 및 토출유닛(520)(도8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480)은 히터(47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 챔버(420)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히터(47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480)은 흡입팬(481)과 건조 챔버(420)가 서로 연통되도록 건조 챔버(420)에 결합될 수 있다.
건조장치(600)는 건조 챔버(420)를 개폐하도록 케이싱(410)에 설치되는 도어(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600)는 건조 유로(62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유로(620)는 건조 랙(610)을 통과한 공기가 건조 챔버(420)로 유입되도록 건조 랙(6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 유로(6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을 통해 건조 챔버(420) 내부로 분산될 수 있다. 이 때, 건조 유로(6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을 통해 복수의 방향을 향하도록 건조 챔버(420) 내부로 분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건조 유로(6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을 통해 상방 및 하방을 향하도록 건조 챔버(420) 내부로 분산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흡입팬(481)의 작동에 의해 유입구(411)를 통해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470)에 의해 가열된 후 건조 랙(610) 내부에 형성되는 건조 유로(620)로 유입된다. 건조 유로(620)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을 통해 건조 챔버(420) 내부로 분산된다. 건조 챔버(420) 내부로 분산된 공기는 피 건조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습한 공기로 변한다. 습한 공기는 토출팬(521)의 작동에 의해 유출구(412)를 통해 케이싱(410) 외부로 토출된다.
도 9는 제 3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00)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6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되지 않은 도면번호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00)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600)를 참고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700)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00)와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600)가 복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건조장치(700)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00)와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건조 랙(610)은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은 건조 랙(6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에 대한 설명은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6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건조장치(700)는 복수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는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케이싱(4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는 제 1건조 유로(76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제 1히터(7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는 제 2건조 유로(77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제 2히터(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히터(710)는 제 2히터(7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 1히터(710) 및 제 2히터(720)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건조장치(700)는 복수의 흡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흡입유닛은 복수의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 챔버(420)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복수의 히터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유닛은 제 1흡입유닛(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흡입유닛(730)은 제 1히터(71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 챔버(420)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제 1히터(7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흡입유닛(730)은 흡입팬(481)과 건조 덕트(490)가 서로 연통되도록 건조 덕트(49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유닛은 제 2흡입유닛(7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흡입유닛(740)은 제 2히터(7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 챔버(420)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제 2히터(7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흡입유닛(740)은 흡입팬(481)과 건조 챔버(420)가 서로 연통되도록 건조 챔버(420)에 결합될 수 있다.
건조장치(700)는 토출유닛(7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흡입유닛을 통해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하나의 토출유닛(750)을 통해 케이싱(4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토출유닛(750)의 개수는 한 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장치(700)는 복수의 건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건조 유로는 제 1건조 유로(7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건조 유로(760)는 건조 덕트(490)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 챔버(420)로 유입되도록 건조 덕트(490)와 건조 챔버(420)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건조 유로는 제 2건조 유로(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건조 유로(770)는 건조 랙(610)을 통과한 공기가 건조 챔버(420)로 유입되도록 건조 랙(6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건조 유로(77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을 통해 건조 챔버(420)로 분산된다.
외부 공기는 흡입팬(481)의 작동에 의해 유입구(411)를 통해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제 1히터(710)에 의해 가열된 후 건조 덕트(490)의 유로(491)로 유입된다. 건조 덕트(490)의 유로(491)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송풍구(421a)를 통해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된다.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제 2히터(720)에 의해 가열된 후 건조 랙(610) 내부로 유입된다. 건조 랙(6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공기 유동홀(610a)을 통해 건조 챔버(420) 내부로 분산된다.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피 건조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습한 공기로 변한다. 습한 공기는 토출팬(521)의 작동에 의해 유출구(412)를 통해 케이싱(410) 외부로 토출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 4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 2건조 랙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4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800)는 케이싱(4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410)은 건조장치(8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410)에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412)는 건조 챔버(420)의 후면(423)과 연통되도록 케이싱(4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유출구(412)의 위치는 케이싱(410)의 후면에 한정하지 않는다. 공기는 후술할 흡입유닛(850)을 통해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건조장치(800)는 케이싱(4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챔버(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개방된 일 면을 가질 수 있다. 건조 챔버(420)의 개방된 일 면은 투입구(420a)로 정의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바닥판(42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421)은 투입구(420a)와 대응관계에 있을 수 있다. 바닥판(421)에는 복수의 송풍구(421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송풍구(421a)은 건조 챔버(420) 및 공기 이동 공간(830)이 서로 연통되도록 건조 챔버(420)의 바닥판(421)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건조장치(800)의 전방을 향하는 전판(422), 건조장치(800)의 후방을 향하는 후판(423) 및 건조장치(800)의 측방을 향하는 측판(4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800)는 건조 챔버(4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건조 랙(8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건조 랙(810)은 회전 가능하도록 건조 챔버(4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건조 랙(810)은 제 2건조 랙 회전축(8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건조 랙(810)은 건조 챔버(420)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 2건조 랙(810)의 표면에는 복수의 공기 연통홀(81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연통홀(812)은 제 2건조 랙(810)의 복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공기 연통홀(812)은 제 2건조 랙(81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건조 랙(810)은 건조 랙 유로(820)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제 2건조 랙(810) 및 제 1덕트(841)의 연결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800)는 건조 랙 유로(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랙 유로(820)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건조 랙(8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800)는 건조 챔버(420) 및 케이싱(4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이동 공간(8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이동 공간(830)은 건조 챔버(4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싱(4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800)는 케이싱(41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건조 덕트(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덕트(840)는 건조 랙 유로(820)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 1덕트(841)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덕트(840)는 공기 이동 공간(830)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 2덕트(8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덕트(841) 및 제 2덕트(842)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건조 덕트(840)는 제 2건조 랙(810) 및 흡입유닛(850)을 연결하는 제 1덕트(841)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덕트(840)는 공기 이동 공간(830) 및 흡입유닛(850)을 연결하는 제 2덕트(8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건조 랙(810)은 건조 덕트(8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건조 랙(810)은 제 1덕트(8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건조 랙(810)은 제 2건조 랙 회전축(811)에 의해 제 1덕트(8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건조 랙(810)의 공기 유입구는 제 2건조 랙 회전축(81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800)는 히터(heater)(8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860)는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860)는 건조 덕트(8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케이싱(4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히터(860)는 건조 덕트(8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그 위치는 케이싱(410)의 외측에 한정되지 않는다.
건조장치(800)는 흡입유닛(8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850)은 외부 공기를 케이싱(410)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851), 내부에 흡입팬(851)이 수용되는 흡입팬 하우징(852) 및 흡입팬(851)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흡입팬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850)은 히터(86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 덕트(840)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히터(86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850)은 흡입팬(851)과 건조 덕트(840)가 서로 연통되도록 건조 덕트(840)에 결합될 수 있다.
건조장치(800)는 토출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은 건조 과정에서 생성된 습한 공기를 케이싱(410)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팬, 내부에 토출팬이 수용되는 토출팬 하우징 및 토출팬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토출팬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800)는 건조 챔버(420)를 개폐하도록 케이싱(410)에 설치되는 도어(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870)는 도어 회전축(87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싱(4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 회전축(rotating shaft)(871) 및 제 2건조 랙 회전축(rotating shaft)(81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800)는 복수의 건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건조 유로는 제 1건조 유로(8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건조 유로(880)는 외부 공기가 건조 랙 유로(820)를 통해 건조 챔버(420)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건조 유로(880)는 흡입유닛(850), 제 1덕트(841), 건조 랙 유로(820) 및 건조 챔버(420)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건조 유로는 제 2건조 유로(8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건조 유로(890)는 외부 공기가 공기 이동 공간(830)을 통해 건조 챔버(420)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건조 유로(890)는 흡입유닛(850), 제 2덕트(842), 공기 이동 공간(830) 및 건조 챔버(4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건조 유로(88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제 2건조 랙(810)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연통홀(812)을 통해 건조 챔버(420)로 분산될 수 있다. 제 2건조 유로(89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건조 챔버(420)의 바닥판(421)에 형성되는 복수의 송풍구(421a)를 통해 건조 챔버(420)로 유입될 수 있다.
히터(860)에 의해 가열된 외부 공기는 흡입팬(851)의 작동에 의해 흡입팬 하우징(852) 내부로 유입된다. 흡입팬 하우징(852)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제 1덕트(841)를 통해 제 2건조 랙(810)의 건조 랙 유로(820)로 유입된다. 건조 랙 유로(820)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공기 연통홀(812)을 통해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된다. 흡입팬 하우징(852)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제 2덕트(842)를 통해 공기 이동 공간(830)으로 유입된다. 공기 이동 공간(830)으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송풍구(421a)를 통해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된다.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피 건조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습한 공기로 변한다. 습한 공기는 토출팬의 작동에 의해 유출구(412)를 통해 케이싱(410) 외부로 토출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 5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 2건조 랙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건조장치의 도어가 생략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900)는 케이싱(4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410)은 건조장치(9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41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미도시) 및 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900)는 케이싱(4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챔버(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개방된 일 면을 가질 수 있다. 건조 챔버(420)의 개방된 일 면은 투입구(420a)로 정의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바닥판(42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421)은 투입구(420a)와 대응관계에 있을 수 있다. 바닥판(421)에는 복수의 송풍구(421a)가 형성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건조장치(900)의 전방을 향하는 전판(422), 건조장치(900)의 후방을 향하는 후판(423) 및 건조장치(900)의 측방을 향하는 측판(4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900)는 건조 챔버(4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건조 랙(9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건조 랙(910)은 회전 가능하도록 건조 챔버(4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건조 랙(910)은 제 2건조 랙 회전축(rotating axis)(9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건조 랙(910)은 건조 챔버(420)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 2건조 랙(910)에는 복수의 공기 연통홀(912)이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900)는 건조 챔버(4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건조 랙(drying rack)(9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피 건조물은 제 1건조 랙(920)에 걸린 상태로 또는 끼워진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신발, 속옷 등과 같은 피 건조물은 제 1건조 랙(920)에 걸리거나 끼워진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건조장치(900)는 건조 챔버(420)의 바닥판(421)을 형성하도록 케이싱(4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덕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덕트에 대한 설명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건조장치(900)는 히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에 대한 설명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건조장치(900)는 흡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에 대한 설명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건조장치(900)는 건조 챔버(420)를 개폐하도록 케이싱(410)에 설치되는 도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싱(4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는 도어 회전축(rotating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싱(4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 회전축 및 제 2건조 랙 회전축(91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900)는 건조 유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유로에 대한 설명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공기 유동에 관한 설명 역시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제 6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 2건조 랙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a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1000)는 케이싱(4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410)은 건조장치(10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410)에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412)는 건조 챔버(420)의 후면(423)과 연통되도록 케이싱(4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유출구(412)의 위치는 케이싱(410)의 후면에 한정하지 않는다. 공기는 후술할 흡입유닛(1610,1620)을 통해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0)는 케이싱(4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챔버(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개방된 일 면을 가질 수 있다. 건조 챔버(420)의 개방된 일 면은 투입구(420a)로 정의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바닥판(42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421)은 투입구(420a)와 대응관계에 있을 수 있다. 바닥판(421)에는 복수의 송풍구(421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송풍구(421a)은 건조 챔버(420) 및 공기 이동 공간(1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건조 챔버(420)의 바닥판(421)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 챔버(420)는 건조장치(1000)의 전방을 향하는 전판(422), 건조장치(1000)의 후방을 향하는 후판(423) 및 건조장치(1000)의 측방을 향하는 측판(4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0)는 건조 챔버(4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건조 랙(1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건조 랙(1100)은 회전 가능하도록 건조 챔버(4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건조 랙(1100)은 제 2건조 랙 회전축(rotating shaft)(110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건조 랙(1100)은 건조 챔버(420)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 2건조 랙(1100)은 복수의 건조 랙(1110) 및 복수의 건조 랙(1110)을 서로 연결하도록 복수의 건조 랙(1110) 사이에 위치하는 건조 랙 연결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건조 랙(1110) 및 건조 랙 연결부(1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피 건조물은 건조 랙(1110)에 걸린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또한, 피 건조물은 건조 랙 연결부(1120) 상에 배치된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건조 랙 연결부(1120)의 표면에는 복수의 공기 연통홀(112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연통홀(1121)은 건조 랙 연결부(1120)의 복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공기 연통홀(1121)은 건조 랙 연결부(112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0)는 건조 랙 유로(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랙 유로(1200)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건조 랙(1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0)는 건조 챔버(420) 및 케이싱(4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이동 공간(1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이동 공간(1300)은 건조 챔버(4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싱(4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0)는 케이싱(41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건조 덕트(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덕트(1400)는 건조 랙 유로(1200)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건조 덕트(1400)는 제 2건조 랙(1100) 및 제 1흡입유닛(1610)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건조 랙(1100)은 건조 덕트(14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0)는 복수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는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케이싱(4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는 건조 랙 유로(1200)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제 1히터(1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는 공기 이동 공간(130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제 2히터(1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히터(1510)는 제 2히터(15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 1히터(1510) 및 제 2히터(1520)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건조장치(1000)는 복수의 흡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흡입유닛은 복수의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 챔버(420)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복수의 히터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유닛은 제 1흡입유닛(16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흡입유닛(1610)은 제 1히터(151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 랙 유로(1200)로 송풍시키도록 제 1히터(15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흡입유닛(1610)은 흡입팬(1611)과 건조 덕트(1400)가 서로 연통되도록 케이싱(41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유닛은 제 2흡입유닛(1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흡입유닛(1620)은 제 2히터(15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기 이동 공간(1300)으로 송풍시키도록 제 2히터(15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흡입유닛(1620)은 흡입팬(1621)과 공기 이동 공간(1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케이싱(410)에 결합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0)는 토출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흡입유닛을 통해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하나의 토출유닛을 통해 케이싱(4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토출유닛의 개수는 한 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토출유닛은 건조 과정에서 생성된 습한 공기를 케이싱(410)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팬, 내부에 토출팬이 수용되는 토출팬 하우징 및 토출팬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토출팬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0)는 복수의 건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건조 유로는 제 1건조 유로(1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건조 유로(1710)는 건조 덕트(1400)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 챔버(420)로 유입되도록 건조 덕트(1400)와 건조 챔버(420)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건조 유로는 제 2건조 유로(1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건조 유로(1720)는 공기 이동 공간(1300)을 통과한 공기가 건조 챔버(420)로 유입되도록 공기 이동 공간(1300)과 건조 챔버(4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 1건조 유로(171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건조 덕트(1400)를 거쳐 건조 랙 유로(1200)로 유입되고, 건조 랙 유로(1200)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공기 연통홀(1121)을 통해 건조 챔버(420) 내부로 분산된다. 제 2건조 유로(17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공기 이동 공간(1300)으로 유입되고, 공기 이동 공간(1300)으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송풍구(421a)를 통해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된다.
외부 공기 중 일부는 제 1히터(1510)에 의해 가열된 후 제 1흡입유닛(1610)의 작동에 의해 건조 덕트(1400)로 유입된다. 건조 덕트(1400)로 유입된 공기는 건조 랙 유로(1200)로 유입되고, 복수의 공기 연통홀(1121)을 통해 건조 챔버(420) 내부로 분산된다. 외부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제 2히터(1520)에 의해 가열된 후 제 2흡입유닛(1620)의 작동에 의해 공기 이동 공간(1300)으로 유입된다. 공기 이동 공간(1300)으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송풍구(421a)를 통해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된다. 건조 챔버(4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피 건조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습한 공기로 변한다. 습한 공기는 토출팬의 작동에 의해 유출구(412)를 통해 케이싱(410) 외부로 토출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챔버;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1건조 랙(drying rack); 및
    상기 제 1건조 랙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건조 랙(drying rack);을 포함하는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건조 랙은,
    핸들이 마련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메쉬 바디(mesh body);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챔버의 양측 내벽에 마련되고, 상기 제 2건조 랙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바디가 감기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인더(winder)를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챔버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건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덕트의 상판은 상기 건조 챔버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챔버의 바닥판에는 복수의 송풍구가 마련되는 건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챔버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 챔버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상기 히터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흡입유닛을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건조 덕트에 결합되는 건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챔버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건조 랙은,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건조 유로; 및
    상기 건조 유로 및 상기 건조 챔버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건조 랙에 마련되는 복수의 공기 유동홀;을 포함하는 건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유동홀은 상기 제 1건조 랙의 상면 및 하면에 마련되는 건조장치.
PCT/KR2017/012775 2016-12-23 2017-11-13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WO201811742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73,229 US11111623B2 (en) 2016-12-23 2017-11-13 Drying devic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7882795.2A EP3543394A4 (en) 2016-12-23 2017-11-13 DRYING DEVICE AND WASHING PROCESSING DEVICE THEREFOR
CN201780086927.3A CN110325680B (zh) 2016-12-23 2017-11-13 干燥装置和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594A KR102667329B1 (ko) 2016-12-23 2016-12-23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78594 2016-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422A1 true WO2018117422A1 (ko) 2018-06-28

Family

ID=6262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775 WO2018117422A1 (ko) 2016-12-23 2017-11-13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11623B2 (ko)
EP (1) EP3543394A4 (ko)
KR (1) KR102667329B1 (ko)
CN (1) CN110325680B (ko)
WO (1) WO20181174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1685A (zh) * 2019-07-26 2021-02-0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干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088B1 (ko) * 2017-01-02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장치
KR102436958B1 (ko) * 2017-09-19 2022-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KR20210062398A (ko) * 2019-11-21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4085839A1 (en) * 2022-10-17 2024-04-25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 domestic appliance with a laundry drying fun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213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식 건조장치의 선반구조
EP2194184A1 (en) * 2008-12-04 2010-06-0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evice for drying shoes exploiting a laundry drying household appliance
EP2199453A1 (en) * 2008-12-17 2010-06-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household appliance
KR20140058763A (ko) * 2012-11-06 2014-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US20140360043A1 (en) * 2011-01-28 2014-12-11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Washing drying rack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5863A (en) * 1952-02-09 1953-07-21 Willard L Morrison Clothes drier
NL7711292A (nl) 1976-10-18 1978-04-20 Baltes Hans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wasgoed en droog- kast voor toepassing van deze werkwijze.
EP1146161A1 (en) 2000-04-10 2001-10-17 Whirlpool Corporation Accessory assembly for a clothes drum type dryer
CN2637532Y (zh) * 2003-07-09 2004-09-01 葛保根 升流式衣物风干机
KR100530602B1 (ko) 2004-03-10 2005-11-23 이석영 전기열풍방식 빨래건조대
US20070151306A1 (en) * 2005-12-30 2007-07-05 Gilboe Kevin J Modular laundry system with work surface
US20060137208A1 (en) * 2004-11-30 2006-06-29 Lg Electronics, Inc. Complex type drying apparatus
DK1710342T3 (da) 2005-04-04 2008-01-02 Electrolux Home Prod Corp Husholdningsmaskine til vask og/eller törring af vasketöj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ES2327669T3 (es) * 2006-05-09 2009-11-0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Electrodomestico.
KR100857799B1 (ko) * 2007-04-04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건조기
EP3109358B1 (en) * 2009-06-29 2018-08-2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KR101608653B1 (ko) * 2009-09-29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102351650B1 (ko) * 2015-01-27 2022-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780422A (zh) 2016-05-13 2016-07-20 徐自升 一种卷筒式毛巾干燥消毒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213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식 건조장치의 선반구조
EP2194184A1 (en) * 2008-12-04 2010-06-0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evice for drying shoes exploiting a laundry drying household appliance
EP2199453A1 (en) * 2008-12-17 2010-06-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household appliance
US20140360043A1 (en) * 2011-01-28 2014-12-11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Washing drying rack
KR20140058763A (ko) * 2012-11-06 2014-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43394A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1685A (zh) * 2019-07-26 2021-02-0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干衣机
CN112301685B (zh) * 2019-07-26 2023-12-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干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492A (ko) 2018-07-03
EP3543394A1 (en) 2019-09-25
EP3543394A4 (en) 2019-11-06
US20190330791A1 (en) 2019-10-31
CN110325680B (zh) 2022-05-03
CN110325680A (zh) 2019-10-11
KR102667329B1 (ko) 2024-05-21
US11111623B2 (en)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7422A1 (ko)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WO2015068934A1 (en) Laundry machine
WO2018066933A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099393A1 (ko)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WO2018038380A1 (en) Laundry apparatus
WO2013125794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WO2018070730A1 (en) Washing machine
WO201700321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1078610A1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WO2015080487A1 (en) Washing machine
WO2018164548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99404A1 (ko) 세탁기
WO201700318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0046015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496753A2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a mechanism for changing wash water into whirling water
WO2011078612A2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WO2020040420A1 (ko) 의류 관리기
WO201703937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9112384A1 (ko) 의류 처리 장치
WO2018093205A2 (ko) 의류처리장치
WO2021075811A1 (ko) 일체형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00317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700317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2154402A1 (ko)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WO2018016903A1 (en) Clothes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82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82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