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958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958B1
KR102436958B1 KR1020170120322A KR20170120322A KR102436958B1 KR 102436958 B1 KR102436958 B1 KR 102436958B1 KR 1020170120322 A KR1020170120322 A KR 1020170120322A KR 20170120322 A KR20170120322 A KR 20170120322A KR 102436958 B1 KR102436958 B1 KR 102436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ot air
door
open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967A (ko
Inventor
이동우
김동욱
길성호
백동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958B1/ko
Priority to PCT/KR2018/008730 priority patent/WO2019059516A1/ko
Priority to US16/648,912 priority patent/US11441256B2/en
Publication of KR2019003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8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Abstract

건조기가 개시된다. 건조기는, 일측에 제1 개구를 구비한 본체;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개구와 연결된 제1 건조실을 구비한 제1 드럼; 제1 드럼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1 열풍 유닛; 제1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결합된 제1 도어; 제1 도어에 배치된 제2 드럼; 및 제2 드럼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2 열풍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기 {DRYER}
본 발명은 복수의 건조실을 구비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젖어있는 피건조물이 수용된 드럼을 회전시키고 드럼의 내부로 고온 건조한 열풍을 통과시킴으로써, 드럼 내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건조기는 일반적으로 세탁을 마친 젖어있는 세탁물을 피건조물로 하는 의류 건조기를 지칭한다.
다만, 종래의 건조기는 단일의 드럼만을 통해 피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하였는바, 피건조물의 양과 관계 없이, 소량의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대량의 피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와 동일한 에너지를 소비하였다.
아울러, 종래의 건조기는, 울(wool) 등과 같은 소프트한 소재로 이루어진 섬세의류를 다른 소재의 피건조물과 함께 건조하는 경우, 섬세의류가 다른 소재의 세탁물들에 뒤엉켜 손상을 입을 수 있었으며, 고온이나 드럼의 빠른 회전으로 인한 섬세의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섬세의류는 별도로 분리하여 건조를 수행해야 했다.
이처럼, 종래의 건조기는 단일의 건조실을 통해서만 건조를 수행하는바 효율성, 편의성 및 범용성에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건조실을 구비함으로써 효율성, 편의성 및 범용성이 개선된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제1 개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된 제1 건조실을 구비한 제1 드럼; 상기 제1 드럼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1 열풍 유닛;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에 배치된 제2 드럼; 및 상기 제2 드럼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2 열풍 유닛;을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도어를 관통하는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드럼은 상기 제2 개구와 연결된 제2 건조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2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드럼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드럼 케이스는 상기 제2 열풍 유닛으로부터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입된 열풍을 배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드럼은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기구와 마주하는 다수의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열풍 유닛은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드럼은 상기 제2 개구를 향하여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통풍구는 상기 제2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드럼 케이스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기구는 상기 제2 드럼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드럼 케이스는 상기 제1 건조실을 향해 개방된 보조 유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드럼은 상기 보조 유입구와 마주하는 다수의 보조 통풍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드럼 케이스의 상기 유입구, 상기 보조 유입구 및 상기 배기구는 그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드럼의 상기 다수의 통풍구 및 상기 다수의 보조 통풍구는 그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에는 구동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드럼의 개구부에는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상기 제2 드럼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제3 개구 및 상기 제3 개구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된 모터 및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기어부와 치합된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드럼 및 상기 제2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 덕트의 흡기구는 상기 배기구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 내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유닛을 구비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측에 보조 건조실이 배치되고, 상기 보조 건조실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보조 건조실에 인접하게 배치된 보조 열풍 유닛을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건조실은, 그릴 형상의 통풍구가 형성된 고정 드럼; 및 상기 고정 드럼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 드럼의 통풍구와 연통되는 그릴 형상의 통풍구가 형성된 회전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드럼의 개구부에는 구동 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보조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드럼은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건조실은 상기 건조실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열풍 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 또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 드럼의 통풍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의 제1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의 제2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의 보조 건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드럼, 제2 드럼 케이스, 동력전달부재 및 구동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건조기가 제1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건조기가 제2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건조기가 제3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건조기가 제4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건조기(1)는 피건조물이 수용된 건조실에 고온 건조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피건조물은 열풍을 통해 건조가 가능한 모든 물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건조물은 의류, 타월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섬유, 원단으로 구현된 것을 포함하며, 제한은 없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 패널(11), 상면 패널(12) 및 측후면 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일측에 형성된 제1 개구(10H, 도 2 참조)를 포함하며, 제1 개구(10H)는 전면 패널(11)에 형성됨으로써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10)를 기준으로 전면 패널(11)이 배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칭하고, 전면 패널(11)과 마주하는 측후면 패널(13)의 후면 패널이 배치된 방향을 후방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본체(10)에는 제1 개구(10H)를 개폐하도록 제1 도어(30)가 결합되며, 제1 도어(30)는 제1 도어(30)를 관통하는 제2 개구(30H, 도 3 참조)를 개폐하도록 제1 도어(30)에 결합된 제2 도어(130)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전면 패널(11)의 상단에는 컨트롤 패널(14)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4)은 건조기(1)의 작동을 위한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 다이얼(1401) 및 건조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2)를 포함한다.
조작 다이얼(1401)은 사용자가 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건조기(1)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2)는 건조기(1)의 동작 정보를 시각적인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402)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4)의 내부에는 건조기(1)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1)의 제1 도어(3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기(1)의 제2 도어(13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에는 제1 개구(10H)가 형성되며, 제1 개구(10H)는 전면 패널(11) 상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드럼(20)은 제1 개구(10H)와 연결됨으로써 제1 개구(10H)를 통해 피건조물이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드럼(20)은 제1 개구(10H)와 연결된 제1 건조실(20S, 도 4 참조)을 구비하며, 제1 개구(10H)를 통해 제1 건조실(20S)로 투입된 피건조물은 제1 건조실(20S)로 유입된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제1 드럼(20)은 본체(10)의 설치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원통의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드럼(20)은 그 회전중심이 전후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가 제1 개구(10H)와 연결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제1 드럼(20)은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드럼(20)의 외주면과 접하는 구동 롤러(60, 도 4 참조)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드럼(20)은 제1 건조실(20S)로 투입된 피건조물에 균일하게 열풍을 가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의 전면 패널(11)에는 제1 개구(10H)를 개폐하도록 제1 도어(30)가 결합된다.
제1 도어(30)는 전면 패널(11)에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개구(10H)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10H)에 인접한 전면 패널(11)의 일측에는 제1 힌지(30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도어(30)는 제1 힌지(301)에 연결되어 제1 힌지(301)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개구(10H)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도어(30)는 제1 개구(10H)의 형상과 대응하는 원형일 수 있으며, 제1 개구(10H)보다 직경이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피건조물은 제1 도어(30)가 열림으로써 제1 개구(10H)를 통해 제1 드럼(20)의 제1 건조실(20S)로 투입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3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제2 드럼 케이스(140)가 결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제2 드럼(11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드럼(20)과 전면 패널(11) 사이에는 건조에 사용된 열풍을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52)의 흡기구(521)가 배치된다.
건조를 마친 제1 건조실(20S) 내부의 열풍은 흡기구(521)를 통해 배기 덕트(52)로 유입되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 건조실(110S) 내부의 열풍 역시 흡기구(5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도어(30)는 제1 도어(3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제1 도어(30)를 관통하는 제2 개구(30H)를 포함한다.
제2 개구(30H)는 제1 도어(30)의 중앙부 상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어(30)의 내측면에는 제2 개구(30H)를 감싸도록 제2 드럼 케이스(140)가 결합된다.
제2 드럼 케이스(140)는 제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내측에서 제1 드럼(2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다(도 4 참조).
제2 드럼 케이스(140)는 전면부가 제2 개구(30H)와 연결되도록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 원통의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제2 드럼(11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도어(30)가 제1 힌지(301)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개구(10H)를 개폐함에 따라, 제1 도어(30)에 결합된 제2 드럼(110) 및 제2 드럼 케이스(140) 역시 제1 도어(30)와 함께 제1 힌지(30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 드럼(110)은 제2 개구(30H)와 연결된 제2 건조실(110S, 도 4 참조)을 포함하며, 제2 개구(30H)를 통해 투입된 피건조물은 제2 건조실(110S)의 내부에서 제2 건조실(110S)로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제2 드럼(110)은 제1 도어(30)에 배치된 구동 유닛(15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구동 유닛(150)을 통해 제2 드럼(110)이 회전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도어(30)에는 제2 개구(30H)를 개폐하는 제2 도어(130)가 결합된다.
제2 도어(130)는 제1 도어(30)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2 개구(30H)를 개폐할 수 있다. 제2 도어(130)는 보조 도어로도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구(30H)에 인접한 제1 도어(30)의 일측에는 제2 힌지(130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도어(130)는 제2 힌지(1301)에 연결되어 제2 힌지(1301)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개구(30H)를 개폐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30)와 제2 도어(130)는 제1 및 제2 힌지(301, 1301)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및 제2 개구(10H, 30H)를 각각 개폐할 수 있다.
제2 도어(130)는 제2 개구(30H)의 형상과 대응하는 원형일 수 있으며, 제2 개구(30H)보다 직경이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피건조물은 제2 도어(130)가 열림으로써 제2 개구(30H)를 통해 제2 드럼(110)의 제2 건조실(110S)로 투입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도어(130)는 중앙부에 배치된 윈도우(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31)는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과 같은 광투과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도어(130)의 중앙부에 배치된 윈도우(131)는 제2 도어(130)가 닫히면 제2 개구(30H) 내부로 들어가고, 제2 도어(130)는 제2 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윈도우(131)와 제2 개구(30H) 사이를 밀봉시킴으로써 열풍이 새나오지 않도록 제2 개구(30H)나 윈도우(131)에 결합, 고정된 실링 부재(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윈도우(131)를 통해 제2 건조실(110S)의 내부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건조실(110S)에서 건조가 수행되는 피건조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1)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1)의 보조 건조 장치(1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드럼(110), 제2 드럼 케이스(140), 동력전달부재(160) 및 구동 유닛(150)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조 건조 장치(100)를 중심으로 건조기(1)의 세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건조실(20S)을 구비한 제1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드럼(20)은 제1 개구(10H)와 연결되도록 전방을 향해 개방된 원통의 형상일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드럼(20)의 외주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60)가 배치된다.
구동 롤러(60)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구동 롤러(60)가 구동부(미도시)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함으로써 제1 드럼(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드럼(20)의 외주면과 접하는 구동 롤러(60)의 외주면은 제1 드럼(20)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고무 등과 같은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드럼(20)은 제1 드럼(20)의 외주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다수의 구동 롤러 외에도, 제1 드럼(20)의 회전중심에 직접 결합된 구동축(미도시)을 통해 회전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드럼(20)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1 열풍 유닛(40)이 배치된다.
제1 열풍 유닛(40)에서 발생된 열풍은 제1 건조실(20S)로 유입됨으로써, 제1 건조실(20S)에 투입된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제1 열풍 유닛(40)은 제1 히터(41) 및 제1 열풍 덕트(42)를 포함한다.
제1 히터(41)는 제1 가열부재(미도시) 및 제1 송풍 팬(미도시)을 포함하며, 제1 가열 부재를 통해 가열된 공기는 제1 송풍 팬을 통해 제1 열풍 덕트(42)를 지나 제1 드럼(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열풍 덕트(42)는 제1 드럼(20)과 제1 히터(41)를 연결하는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히터(41)에서 발생된 열풍은 제1 열풍 덕트(42)를 지나 제1 드럼(20)의 제1 건조실(20S)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가열부재는 코일의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전기 히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가스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가스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드럼(20) 및 제1 열풍 유닛(40)의 구조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도어(30)는 본체(10)에 결합되어 제1 개구(10H)를 개폐하며, 제2 도어(130)는 제1 도어(30)에 결합되어 제2 개구(30H)를 개폐한다.
제1 도어(30)의 내측면에는 제2 드럼 케이스(140)가 결합되며,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제2 드럼(11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의 내부에는 제2 드럼(110)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2 열풍 유닛(120)이 배치된다.
제2 열풍 유닛(120)은 보조 열풍 유닛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열풍 유닛(120)은 전면 패널(11)의 내측면상에서 제1 개구(10H)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개구(10H)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열풍 유닛(120)은 제2 드럼 케이스(14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제2 드럼 케이스(140)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열풍 유닛(120)은 제2 가열부재(121), 제2 송풍 팬(122) 및 하우징(123)을 포함한다.
제2 가열부재(121)는 코일의 전기 저항열을 통해 열풍을 생성하는 전기 히터로 구성되거나, PTC 서미스타를 이용한 전기발열체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송풍 팬(122)은 제2 가열부재(121)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제2 드럼 케이스(140)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송풍 날개 및 송풍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송풍 팬(122)은 제2 가열부재(1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가열부재(121)와 제2 드럼 케이스(14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가열부재(121)에서 가열된 공기를 제2 드럼 케이스(1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가열부재(121) 및 제2 송풍 팬(122)은 하우징(123)의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123)은 전면 패널(1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23)은 전면 패널(11) 상에서 제1 드럼(2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제2 드럼 케이스(140)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됨으로써 제2 가열부재(121) 및 제2 송풍 팬(122)을 통해 생성된 열풍이 제2 드럼 케이스(14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3)은 하단부가 하우징(123)의 하측에 배치된 제2 드럼 케이스(14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열풍 유닛(120)은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고, 제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드럼 케이스(140)에 열풍을 공급하는바, 제2 드럼(110) 또는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에 설치 시 제2 건조실(110S)의 내용적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제1 도어(30)에 배치된 제2 드럼(110)의 제2 건조실(110S)의 내용적 크기를 증대할 수 있다.
제1 도어(30)의 내측면에 결합된 제2 드럼 케이스(140)는 제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제1 건조실(20S)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드럼 케이스(140)는 제2 개구(30H)를 향하여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개구(30H)와 마주하는 후면(142) 및 후면(142)에 결합된 외주면(141)을 포함한다.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외주면(141)의 일단은 제1 도어(30)에 결합됨으로써, 제2 드럼 케이스(140)가 제1 도어(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드럼 케이스(140)는 제2 열풍 유닛(120)으로부터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1411H) 및 유입된 열풍을 배출하는 배기구(1412H)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411H)는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외주면(141)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제2 열풍 유닛(120)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유입구(1411H)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열풍 유닛(120)은 인접하게 배치된 유입구(1411H)를 통해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로 열풍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배기구(1412H)는 유입구(1411H)와 반대되는 하단측에 배치되며,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외주면(141)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열풍 유닛(120)으로부터 유입구(1411H)로 유입된 열풍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외주면(141)의 하단부에 배치된 배기구(1412H)를 통해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유입구(1411H)와 배기구(1412H)는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외주면(141)에 형성된 그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외주면(141) 전체가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그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유입구(1411H)는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외주면(141)의 상단부에서 제2 열풍 유닛(120)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구멍을 통칭할 수 있으며,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배기구(1412H)는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외주면(141)의 하단부에 배치된 다수의 구멍을 통칭할 수 있다.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측에는 제2 드럼(110)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40S)이 마련된다.
제2 드럼(110)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수용공간(140S)에 배치된다.
제2 드럼(110)은 본체(10)의 설치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통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드럼(110)은 그 회전중심이 전후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가 제2 개구(30H)와 연결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제2 드럼(110)은 제2 드럼 케이스(140)와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2 개구(30H)를 향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드럼(110)은 제1 드럼(20)보다 그 크기가 작게 구성되며, 따라서, 제2 건조실(110S) 역시 제1 건조실(20S)보다 그 부피가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건조실(110S)에서는 제1 건조실(20S)을 통해 건조할 수 있는 피건조물보다 소량의 피건조물이 투입되어 건조될 수 있다.
제2 드럼(110)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제1 도어(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1 드럼(20)과 제2 드럼(110)은 본체(10)은 설치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드럼(20)의 회전중심과 제2 드럼(110)의 회전중심은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제2 건조실(110S)은 보조 건조실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2 드럼(110)은 회전 드럼으로, 제2 드럼(110)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2 드럼 케이스(140)는 고정 드럼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드럼(110)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후면(141)과 마주하는 후면(112) 및 제2 드럼(110)의 후면(112)에 결합된 외주면(111)을 포함한다.
제2 드럼(110)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유입구(1411H) 및 배기구(1412H)와 마주하는 다수의 통풍구(111H)를 포함한다.
전술한 다수의 통풍구(111H)는 제2 드럼(110)의 외주면(111)에 형성됨으로써,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외주면(141)에 형성된 유입구(1411H) 및 배기구(1412H)와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열풍 유닛(120)에서 발생된 열풍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유입구(1411H)를 통해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로 유입된 열풍은 유입구(1411H)와 마주하는 제2 드럼(110)의 다수의 통풍구(111H)를 통해 제2 드럼(110)의 내부, 즉 제2 건조실(110S)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건조실(110S)의 내부에 배치된 피건조물은 다수의 통풍구(111H)를 통해 제2 건조실(110S)로 유입된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건조실(110S)에 유입되어 피건조물의 건조를 마침으로써 습기를 함유한 열풍(공기)은 배기구(1412H)와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통풍구(111H)를 지나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배기구(1412H)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드럼(110)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에서 회전하므로, 제2 드럼(110)의 외주면(111)에 배치된 다수의 통풍구(111H) 역시 제2 드럼(1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2 드럼(110)의 외주면(111)에 배치된 다수의 통풍구(111H)는 제2 드럼(110)의 회전에 따라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유입구(1411H) 및 배기구(1412H)와 순차적으로 마주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드럼(110)은 제2 드럼(110)의 외주면(111) 전체가 다수의 통풍구(111H)를 형성하는 그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제2 드럼(110)은 유입구(1411H)를 통과한 열풍을 효과적으로 제2 건조실(110S)로 투입할 수 있으며, 제2 건조실(110S)에서 건조를 마친 열풍을 배기구(1412H)로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배기구(1412H)의 하측에는 전술한 배기 덕트(52)의 흡기구(521)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 드럼(20, 110) 내부의 공기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덕트(52)를 구비한 배기 유닛(50)이 배치된다.
배기 유닛(50)은 배기 팬(51) 및 배기 덕트(52)를 포함하며,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습기를 함유한 제1 및 제2 건조실(20S, 110S) 내부의 열풍을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덕트(52)의 흡기구(521)는 제2 드럼 케이스(14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배기구(1412H)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제2 건조실(110S)을 통과한 열풍을 효과적으로 배기 덕트(52)로 흡입할 수 있다.
아울러, 배기 덕트(52)의 흡기구(521)는 제1 드럼(20)의 개구부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제1 건조실(20S)에서의 건조를 마친 습기를 함유한 열풍을 흡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기 덕트(52)의 흡기구(521)는 다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덕트(52)의 흡기구(521)는 도 4를 기준으로,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배기구(1412H)를 향하는 상측 방향으로 개방된 다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드럼(20)의 내부를 향하는 후측 방으로 개방된 다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 팬(51)은 흡입 날개(미도시) 및 흡입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흡입 날개가 회전함으로써 흡기구(521)를 통해 제1 및 제2 건조실(20S, 110S) 내부의 공기가 흡기구(521)로 흡입될 수 있다.
배기 덕트(52)의 배출구(522)는 측후면 패널(13)에 배치됨으로써, 흡기구(521)로 흡입된 열풍을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드럼 케이스(140)는 제1 건조실(20S)을 향해 개방된 보조 유입구(142H)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유입구(142H)는 제1 드럼(20)의 후면과 마주하는 제2 드럼 케이스(140)의 후면(142) 상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드럼(20) 내부, 즉 제1 건조실(20S)의 공기는 보조 유입구(142H)를 통해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드럼(110)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보조 유입구(142H)와 마주하는 다수의 보조 통풍구(112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보조 통풍구(112H)는 제2 드럼 케이스(140)의 후면(142)과 마주하는 제2 드럼(110)의 후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풍 유닛(40)을 통해 제1 건조실(20S)의 내부로 유입된 열풍의 일부는 보조 유입구(142H) 및 보조 통풍구(112H)를 통해 제2 드럼(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2 드럼(110)의 내부로 유입된 열풍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배기구(1412H)를 통해 배기 덕트(52)의 흡기구(521)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보조 유입구(142H)는 제2 드럼 케이스(140)의 후면(142)에 형성된 그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드럼(110)의 다수의 보조 통풍구(112H) 역시 제2 드럼(110)의 후면(112)에 형성된 그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드럼(110) 및 제2 드럼 케이스(140)는 그 표면 전체가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그릴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열풍 유닛(40, 120)으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이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외주면(141)의 내측(내주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1413)가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지지돌기(1413)는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드럼 케이스(140)의 회전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지지돌기(1413)는 수용공간(140S) 내부에서 회전하는 제2 드럼(110)의 외주면(111)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드럼(110)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드럼(110)의 후면(112)의 중심부에는 결합 홈(1121)이 형성되고, 제2 드럼 케이스(140)의 후면(142)의 중심부에는 제2 드럼(110)의 결합 홈(112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421)가 결합 홈(1121)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2 드럼(110)의 결합 홈(1121)과 제2 드럼 케이스(140)의 결합돌기(1421)는 제2 드럼(110)의 회전중심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드럼(110)은 결합돌기(1421)에 결합되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드럼(110)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더라도, 다수의 지지돌기(141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2 드럼(110)은 처짐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드럼(110)의 외주면(111)의 내측(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1111)가 배치될 수 있다.
리프터(1111)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리프터(1111)가 제2 드럼(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리프터(1111)는 제2 드럼(110)의 외주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드럼(110)의 회전 중심을 향해 돌출된 날개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리프터(1111)는 제2 드럼(110)이 회전함에 따라 제2 건조실(110S)에 투입된 피건조물을 끌어올려 낙하시킴으로써, 피건조물을 텀블링(tumbling)할 수 있다.
또한, 제1 드럼(20) 역시 내주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30)에는 제2 드럼(110)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유닛(15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유닛(150)은 제1 도어(30)에 결합된 모터(151) 및 모터(151)의 모터 축(151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 기어(152)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드럼(110)의 개구부에는 구동 유닛(15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2 드럼(110)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60)가 결합된다.
동력전달부재(160)는 제2 드럼(110)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링 형상일 수 있으며, 중앙부에 형성된 제3 개구(160H) 및 제3 개구(160H)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기어부(161)를 포함한다.
제3 개구(160H)는 동력전달부재(160)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일 수 있으며, 제2 건조실(110S)과 제2 개구(30H)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개구(160H)는 피건조물이 제2 건조실(110S)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기어부(161)는 제3 개구(160H)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랙 기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 유닛(150)의 구동 기어(152)와 치합한다.
또한, 동력전달부재(160)의 회전중심은 제2 드럼(110)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며, 기어부(161)의 회전중심은 제2 드럼(110)의 회전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51)가 작동함으로써 구동 기어(152)가 회전하면, 구동 기어(152)에 치합된 기어부(161)는 제2 드럼(1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이를 통해, 동력전달부재(160)가 결합된 제2 드럼(110)은 회전중심에 배치된 결합돌기(142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컨트롤러는 모터(151)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2 드럼(1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제2 드럼(110)은 피건조물의 건조 과정에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별도의 제어 구조 없이 일정한 속도로 모터 축(1511)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구조의 모터(151)를 사용하여 구동 기어(152)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고, 기어부(161)의 직경을 변경함으로써 기어부(161)와 구동 기어(152)의 기어 비를 최적으로 설정하고 제2 드럼(110)의 회전 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151)는 별도의 속도조절 없이 일정한 속도로만 모터 축(1511)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구조의 모터로 구성되고, 설정된 모터 축(1511)의 회전속도에 따라 기어부(161)의 직경을 최적의 기어 비를 구성하는 별도 부품으로 구성해서 제2 드럼(110)과 결합시킴으로써, 컨트롤러를 통한 모터(151)의 온/오프 만을 통해 제2 드럼(110)을 요구하는 최적의 속도로 일정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피건조물의 투입구 크기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드럼(110)은 간단한 구조로서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건조물을 효과적으로 텀블링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드럼(110), 제2 열풍 유닛(120), 제2 도어(130), 제2 드럼 케이스(140), 구동 유닛(150) 및 동력전달부재(160)는 보조 건조 장치(100)로 통칭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건조기(1)가 제1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건조기(1)가 제2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건조기(1)가 제3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건조기(1)가 제4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건조기(1)가 동작함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열풍의 흐름을 화살표로서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 내지 제4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건조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건조기(1)는 제1 열풍 유닛(40)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는 제1 드럼(20)이 회전하는 제1 건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건조기(1)가 제1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 열풍 유닛(120)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2 드럼(110)은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된다.
사용자는 제1 도어(30)를 열어 대량의 피건조물을 제1 드럼(20)의 내부로 투입한 후, 건조기(1)를 제1 건조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건조기(1)가 제1 건조 모드로 작동함으로써, 제1 건조실(20S)의 내부에 투입된 피건조물은 회전하는 제1 드럼(20)의 내부에서 텀블링 될 수 있으며, 제1 열풍 유닛(40)으로부터 제1 건조실(20S)로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건조실(20S)에서의 건조를 마침으로써 습기를 함유한 열풍은 배기 덕트(52)의 흡기구(521)로 흡입되어 배기 덕트(52)의 배출구(522)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열풍 유닛(40)으로부터 제1 드럼(20)의 내부로 유입된 열풍의 일부는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보조 유입구(141H) 및 제2 드럼(110)의 다수의 보조 통풍구(112H)를 통해 제2 건조실(110S)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 및 열에 의해 손상을 입기 쉬운 재질로 이루어진 소량의 섬세의류(예를 들어, 울 소재의 니트, 또는 유아복 등)를 제2 건조실(110S)에 추가로 투입한 상태에서, 건조기(1)를 제1 건조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제1 건조실(20S)을 통한 피건조물의 건조와 제1 건조실(110S)로부터 제2 건조실(110S)의 내부로 유입된 열풍을 통한 섬세의류의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드럼(110)은 회전하지 않는바, 제2 건조실(110S)에 배치된 피건조물은 텀블링 없이 제2 드럼(110) 내부에 놓여진 상태에서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건조실(20S)로부터 제2 건조실(110S)에 투입되는 열풍은 제1 건조실(110S)을 통과함으로써 그 온도가 하강하므로, 제2 건조실(110S)에 투입된 섬세의류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풍을 통해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온의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건조기(1)는 제1 건조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제1 건조실(20S)에 투입된 대량의 피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2 건조실(110S)에 유입되는 열풍을 통해 제2 건조실(110S)에 투입된 소량의 섬세의류의 건조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건조기(1)는 제2 열풍 유닛(120)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는 제2 드럼(110)이 회전하는 제2 건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건조기(1)가 제2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열풍 유닛(40)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1 드럼(20)은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된다.
사용자는 제2 도어(130)를 열어 소량의 피건조물을 제2 드럼(110)의 내부로 투입한 후, 건조기(1)를 제2 건조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열풍 유닛(120)으로부터 발생된 열풍이 제2 드럼 케이스(140)의 유입구(1411H)를 지나 제2 드럼(110)의 외주면(111)에 형성된 다수의 통풍구(111H)를 통해 제2 건조실(110S)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건조실(110S)의 내부에 배치된 피건조물은 제2 드럼(110S)이 회전함에 따라 텀블링되며, 제2 건조실(110S)로 유입된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제2 건조실(110S)에서 건조를 마침으로써 습기를 함유한 열풍은 제2 드럼 케이스(140)의 배기구(1412H)를 통해 배기구(1412H)에 인접한 배기 덕트(52)의 흡기구(521)로 흡입되며, 배기 덕트(52)의 배출구(522)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건조기(1)는 제2 건조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제1 드럼(20) 및 제1 열풍 유닛(40)의 작동 없이 제2 드럼(110)의 내부에 투입된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만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량의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를 보조 건조 장치(100)만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건조기(1)의 작동에 소요되는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건조기(1)는 제1 열풍 유닛(40)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는 제1 드럼(20)이 회전하고, 제2 열풍 유닛(120)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는 제2 드럼(20)이 함께 회전하는 제3 건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도어(30)를 열어 대량의 피건조물을 제1 드럼(20)의 내부로 투입하고, 제2 도어(130)를 열어 소량의 피건조물을 제2 드럼(110)의 내부로 투입한 후, 건조기(1)를 제3 건조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건조실(20S) 내부에서는 투입된 대량의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가 수행되며, 제2 건조실(110S) 내부에서는 투입된 소량의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제1 드럼(20)과 제2 드럼(110)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건조실(110S)에 투입되는 소량의 피건조물은 제1 건조실(20S)에 투입되는 대량의 피건조물과는 별도 건조가 요구되는 섬세의류일 수 있다.
이처럼, 섬세의류에 대한 건조를 대량의 피건조물과 별도로 분리하여 제1 및 제2 건조실(20S, 110S)에서 각각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섬세의류가 손상됨이 없이 건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 성능 및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건조기(1)는 제1 열풍 유닛(40)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는 제1 드럼(20)이 회전함과 동시에 제2 드럼(20)이 함께 회전하는 제4 건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건조기(1)가 제4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 열풍 유닛(120)은 동작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제1 도어(30)를 열어 대량의 피건조물을 제1 드럼(20)의 내부로 투입하고, 제2 도어(130)를 열어 소량의 피건조물을 제2 드럼(110)의 내부로 투입한 후, 건조기(1)를 제4 건조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건조실(20S) 내부에서는 투입된 대량의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가 수행되며, 제2 건조실(110S) 내부에서는 투입된 소량의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제1 건조실(20S)의 내부에 투입된 피건조물은 회전하는 제1 드럼(20)의 내부에서 텀블링될 수 있으며, 제1 열풍 유닛(40)으로부터 제1 건조실(20S)로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건조실(110S)에 투입되는 소량의 피건조물은 제1 건조실(20S)에 투입되는 대량의 피건조물과 별도 건조가 요구되는 섬세의류일 수 있으며, 열에 의해 손상을 입기 쉬운 재질로 이루어진 섬세의류일 수 있다.
제2 건조실(110S)의 내부로 투입된 피건조물은 제1 건조실(20S)로부터 보조 유입구(141H) 및 다수의 보조 통풍구(112H)를 통해 제2 건조실(110S)의 내부로 유입된 열풍을 통해 건조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2 드럼(110)의 내부에 배치된 피건조물은 제2 드럼(110)의 회전을 통해 텀블링됨으로써 효과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건조기(1)가 제4 건조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제1 건조실(20S)에서는 대량의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고, 회전하는 제2 드럼(110)의 내부에 투입된 피건조물은 제1 열풍 유닛(40)의 열풍을 통해 간접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건조실(110S)에 투입된 피건조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풍을 통해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온의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건조실(110S)에 투입된 섬세의류는 고온의 열에 의한 손상 없이 제1 건조실(20S)에 투입된 피건조물과 동시에 건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1)는 제1 건조실(20S)을 구비한 제1 드럼(20), 제1 열풍 유닛(40), 제2 건조실(110S)을 구비한 제2 드럼(110) 및 제2 열풍 유닛(120)을 포함함으로써, 제1 및 제2 건조실(20S, 110S)을 통한 피건조물의 건조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건조물의 양에 따라 제1 건조실(20S) 또는 제2 건조실(110S) 중 어느 하나에서의 건조를 수행하거나, 피건조물의 종류에 따라 제1 및 제2 건조실(20S, 110S)에서의 피건조물의 건조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건조기(1)의 효율성, 편의성 및 범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드럼(110)은 보조 유입구(142H) 및 다수의 보조 통풍구(112H)를 통해 제1 건조실(20S)과도 연결됨으로써, 제1 열풍 유닛(40)의 열풍을 활용한 제2 건조실(110S)에서의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바, 제2 건조실(110S)에 보다 다양한 건조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될 것이다.
1; 건조기
10; 본체
20; 제1 드럼
20S; 제1 건조실
30; 제1 도어
40; 제1 열풍 유닛
50; 배기 유닛
60; 구동 롤러
100; 보조 건조 장치
110; 제2 드럼
110S; 제2 건조실
120; 제2 열풍 유닛
130; 제2 도어
140; 제2 드럼 케이스
150; 구동 유닛
160; 동력전달부재

Claims (20)

  1. 일측에 제1 개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된 제1 건조실을 구비한 제1 드럼;
    상기 제1 드럼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1 열풍 유닛;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에 배치된 제2 드럼;
    상기 제2 드럼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2 열풍 유닛; 및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2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드럼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드럼 케이스는 상기 제2 열풍 유닛으로부터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입된 열풍을 배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드럼은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기구와 마주하는 다수의 통풍구를 포함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도어를 관통하는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드럼은 상기 제2 개구와 연결된 제2 건조실을 포함하는 건조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풍 유닛은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건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럼은 상기 제2 개구를 향하여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통풍구는 상기 제2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럼 케이스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기구는 상기 제2 드럼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된 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럼 케이스는 상기 제1 건조실을 향해 개방된 보조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럼은 상기 보조 유입구와 마주하는 다수의 보조 통풍구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럼 케이스의 상기 유입구, 상기 보조 유입구 및 상기 배기구는 그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드럼의 상기 다수의 통풍구 및 상기 다수의 보조 통풍구는 그릴 구조로 형성되는 건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에는 구동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드럼의 개구부에는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상기 제2 드럼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되는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제3 개구 및 상기 제3 개구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된 모터 및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기어부와 치합된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건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 및 상기 제2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 덕트의 흡기구는 상기 배기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건조기.
  14.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 내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유닛을 구비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측에 보조 건조실이 배치되고, 상기 보조 건조실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배치된 보조 열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보조 열풍 유닛과 상기 보조 건조실 사이에 상기 보조 열풍 유닛으로부터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입된 열풍을 배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건조실은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기구와 마주하는 다수의 통풍구를 포함하는, 건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건조실은,
    그릴 형상의 통풍구가 형성된 고정 드럼; 및
    상기 고정 드럼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 드럼의 통풍구와 연통되는 그릴 형상의 통풍구가 형성된 회전 드럼;을 포함하는 건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개구부에는 구동 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건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보조 도어를 구비하는 건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리프터를 포함하는 건조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건조실은 상기 건조실과 연통되는 건조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열풍 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 또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 드럼의 통풍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건조기.
KR1020170120322A 2017-09-19 2017-09-19 건조기 KR102436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22A KR102436958B1 (ko) 2017-09-19 2017-09-19 건조기
PCT/KR2018/008730 WO2019059516A1 (ko) 2017-09-19 2018-08-01 건조기
US16/648,912 US11441256B2 (en) 2017-09-19 2018-08-01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22A KR102436958B1 (ko) 2017-09-19 2017-09-19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967A KR20190031967A (ko) 2019-03-27
KR102436958B1 true KR102436958B1 (ko) 2022-08-29

Family

ID=6580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322A KR102436958B1 (ko) 2017-09-19 2017-09-19 건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41256B2 (ko)
KR (1) KR102436958B1 (ko)
WO (1) WO2019059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958B1 (ko) * 2017-09-19 2022-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EP3795733B1 (en) * 2019-09-17 2024-01-10 Girbau, S.A. Washing machine with status ind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318B1 (ko) * 2014-12-09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8432A (en) * 1951-05-14 1953-02-17 Whirlpool Co Delicate goods drier
US3866333A (en) * 1971-09-17 1975-02-18 Siemens Elektrogeraete Gmbh Dehumidifier for air utilized in laundry drying
US4091548A (en) * 1976-11-10 1978-05-30 Fedders Corporation Door mounted stationary drying rack
US4621438A (en) * 1980-12-04 1986-11-11 Donald M. Thompson Energy efficient clothes dryer
US5113562A (en) * 1991-03-29 1992-05-19 Speed Queen Company Method for reversing mounting side of clothes dryer door assembly
US5369892A (en) * 1993-06-04 1994-12-06 Dhaemers; Gregory L. Armoire
DE634783T1 (de) 1993-07-16 1996-02-15 Semiconductor Systems Inc Thermische Behandlungsmodul für Beschichtungs/Entwicklungseinrichtung für Substrat.
US5743025A (en) * 1997-04-03 1998-04-28 Jordan, Jr.; Richard W. Dryer basket for sneakers insertable into a clothes dryer
JP4103512B2 (ja) 2002-09-06 2008-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DE10323494A1 (de) * 2003-05-23 2004-12-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trockner
KR100499363B1 (ko) 2003-09-22 2005-07-07 주식회사 클라인 의류 건조기
KR200335754Y1 (ko) 2003-09-22 2003-12-11 전우금 의류 건조기
KR101093988B1 (ko) * 2004-06-05 201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도어 린트 필터 밀착 장치
CA2508607C (en) * 2005-05-30 2007-09-11 Camco Inc. Clothes dryer door assembly
KR100701329B1 (ko) * 2006-05-09 2007-03-29 박민화 세탁기
KR200464726Y1 (ko) 2007-09-10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JP2009078067A (ja) 2007-09-27 2009-04-16 Sanyo Electric Co Ltd 洗濯乾燥機
KR101010080B1 (ko) * 2008-06-03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도어
KR101550843B1 (ko) * 2008-10-10 2015-09-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US8127464B2 (en) * 2009-07-31 2012-03-06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Front ring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KR20120022364A (ko) * 2010-09-02 2012-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2086508B1 (ko) * 2013-07-16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장치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97861B1 (ko) 2014-01-29 2021-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개의 터브를 구비하는 세탁기
KR102073314B1 (ko) 2014-04-11 2020-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DK179480B1 (en) * 2016-06-10 2018-12-12 Force Technology Dryer and method of drying
KR20180074492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348088B1 (ko) * 2017-01-02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장치
KR101894883B1 (ko) * 2017-06-02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36958B1 (ko) * 2017-09-19 2022-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US10774462B2 (en) * 2017-12-08 2020-09-1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separate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318B1 (ko) * 2014-12-09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41256B2 (en) 2022-09-13
US20200325621A1 (en) 2020-10-15
WO2019059516A1 (ko) 2019-03-28
KR20190031967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41367B2 (en) A single body washing machine and dry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65471B2 (en) Dryer
US9416484B2 (en) Household appliance
EP271145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796608A2 (en) Door assembly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165595B1 (ko) 의류처리장치
CN103348058B (zh) 用于烘干柔和衣物的可旋转筒式衣物烘干机及其控制方法
KR102436958B1 (ko) 건조기
KR20100040478A (ko)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KR20110098382A (ko) 건조기
CN110325680B (zh) 干燥装置和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KR102373023B1 (ko) 의류 건조기
EP340982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754868B1 (ko) 드럼 건조기
KR20120079797A (ko)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EP340982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4308064B2 (en) Laundry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050076083A (ko) 의류건조기
KR102469104B1 (ko) 건조기
KR100651901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01439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65726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465718B1 (ko) 건조기
KR101241876B1 (ko) 드럼식 의류건조기의 컨트롤부
KR20150118859A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