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71143A1 -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71143A1
WO2021071143A1 PCT/KR2020/012970 KR2020012970W WO2021071143A1 WO 2021071143 A1 WO2021071143 A1 WO 2021071143A1 KR 2020012970 W KR2020012970 W KR 2020012970W WO 2021071143 A1 WO2021071143 A1 WO 20210711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ound
vehicle
base substrate
area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9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CN202080072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586237A/zh
Priority to US17/767,233 priority patent/US11949151B2/en
Publication of WO20210711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711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3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antennas of an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16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where the road or rail vehicle is only used as transporta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0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 H01Q21/205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providing an omnidirectional cover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module installed in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antenna module for a vehicle tha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support communication in various frequency bands including the V2X band.
  • the vehicle smart antenna module is an antenna module that supports V2X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frequency bands by mounting a plurality of antennas on a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and installed in a vehicle.
  • V2X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 a general vehicle smart antenna module supports V2X communication using frequency bands such a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WIFI, and Bluetooth (BLE).
  •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WIFI Wireless Fidelity
  • BLE Bluetooth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antenna module for a vehicle in which a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are mounted in a non-ground area and spaced apart from a ground pattern to minimize mutual interference.
  • the smart antenna module for a vehicle includes a base substrate having a ground area disposed in the center, a non-ground area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ound area, and a base material disposed in the ground area of the base substrate. It includes one antenna and a cellular antenna disposed in a non-ground area of the base substrate.
  • the base substrate includes an upper ground pattern formed in the ground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a lower ground pattern formed in the ground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a first mounting region in which the first antenna is mounted is formed in the ground region of the base substrate.
  • the first mounting area may include a clearance area of a non-ground area.
  • An antenna mounting area in which the cellular antenna is mounted may be formed in the non-ground area, and at least one fitting hole into which a fitting protrusion of the cellular antenna is inserted and fixed,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round wire of the cellular antenna passes may be formed in the antenna mounting area.
  • the fitting hole includes a first fitting hole into which a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ellular antenna is inserted, and a second fitting hole into which another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llular antenna is inserted, and the through hole is a first fitting hole. And the second fitting hole.
  • a clearance area may be further formed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antenna mounting area and the ground area to separate the antenna mounting area and the ground area.
  • the cellular antenna may include a polyhedral guide substrate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the base substrate and mounting a radiator.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guide substrate, and a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 surface on which the radiator is mounted.
  • the cellular antenna further includes a ground wire having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adiator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antenna mounting area of the base substrate, and the other end of the ground wir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are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Can be connected.
  • the guide substrate includes a fitting protrusion that is fitted into a fitting hole formed in a non-ground region of the base substrate, and the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substrate, and is fitted into a first fitting hole formed in the non-ground region of the base substrate. And a second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substrate and fitted into a second fitting hole formed in a non-ground region of the base substrate.
  • the smart antenna module for a vehicle can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by mounting a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in a non-ground area and separating the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from the ground pattern through a clearance area of the non-ground area. There is an effect.
  • the vehicle smart antenna module has an effect that can satisfy the isolation performance required by the automobile industry by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by separating a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from a ground pattern through a clearance area in a non-ground area.
  • FIG.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general smart antenna module for a vehicle.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mart antenna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ellular antenna of FIG. 3.
  • 6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ase substrate of FIG. 3.
  • FIG. 10 is a graph measuring isolation performance of a smart antenna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general smart antenna module for a vehicle includes a base substrate 10 and a plurality of antennas 21 to 28 mounted on the base substrate 10.
  • the base substrate 10 is compos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ground plane).
  • the base substrate 10 has a ground (ground) formed over almost the entire area, and a plurality of antennas are mounted on the ground of the base substrate 10.
  • the plurality of antennas are a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V2X) antenna 21,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antenna 22, a WIFI antenna 23, a Bluetooth (BLE) antenna 24, and a cellular antenna. It is composed of (25 ⁇ 28), etc.
  • the isol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cellular antennas 21 to 28 installed in the general smart antenna module for a vehicle is measured to be about 6 dB to 12 dB, and the isolation performance of the automobile industry that requires an isolation performance of about 12 dB or more is required. You will not be able to meet the criteria.
  • the base substrate is divided into a ground area and a non-ground area, existing antennas are mounted in the ground area, and cellular antennas added to the non-ground area are mounted to prevent degradation of isolation due to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 a smart antenna module for a vehicl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ntennas 100, a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200, and a base substrate 300.
  • the plurality of first antennas 100 are antennas mounted on a smart antenna module for a vehicle before the cellular antenna 200 is added.
  • the plurality of first antennas 100 include a V2X antenna 110a, a GNSS antenna 100b, a WIFI antenna 100c, an LPWA antenna 100d, and the like.
  • the plurality of first antennas 100 include a radiation pattern formed directly on the base substrate 300, a radiation pattern formed on a separate substrate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300, a patch antenna in which a radiation patch is stacked on a dielectric, and a coil on a magnetic body.
  • it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types of antennas, such as a solenoid antenna wound with a radiation pattern.
  • the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200 are antennas supporting cellular V2X communication, and are configured as dipole antennas.
  • the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200 operate as cellular V2X antennas resonating in a frequency band of approximately 600 MHz to 6 GHz through a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operation.
  • MIMO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 a cellular V2X antenna is described as an example consisting of four cellular antennas 200, and each cellular antenna 200 includes a first cellular antenna 200, a second cellular antenna 200, and a third cellular antenna ( 200) and the fourth cellular antenna 200 will be described.
  • two of the four cellular antennas 200 may operate as reception antennas, and the other two cellular antennas 200 may operate as transmission antennas.
  • the cellular V2X antenna is not limited to the four cellular antennas 200 described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umber of cellular antennas 200 requi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may be changed.
  • the cellular antenna 200 includes a guide substrate 210, a radiator 230, and a ground wire 250.
  • the guide substrate 210 may be formed as a polyhedron having a plurality of surfaces on which the radiator 230 is mounted.
  • the guide substrate 210 is formed of a hexahedron to facilitate surface mounting of the radiator 230 as an example.
  • the guide substrate 210 may be variously deformed as long as it has a shape in which the radiator 230 can be mounted.
  • the guide substrate 210 supports the radiator 230.
  • the guide substrate 210 is an example in which the radiator 230 is mounted on the surface. That is, the guide substrate 210 is mounted on the base substrate 300 and supports the radiator 230 mounted on the surface.
  • the guide substrate 210 may have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11 formed to easily mount the radiator 230 and support it firmly.
  •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11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guide base 210 (ie, the surface on which the radiator 230 is mounte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11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to facilitate and accurately mount the radiator 230 on the surface of the guide substrate 210.
  • the guide substrate 210 is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and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as an example. In the guide substrate 210, one of a plurality of surfaces constituting a polyhedron is opened, and an empty space 212 is formed therein.
  • the guide substrate 210 has an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the base substrate 300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00) to form an empty space 212 therein.
  • the guide substrate 2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left surface and a right surface, and an opening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00.
  • the guide substrate 210 may have a reinforcing wall connecting at least two inner wall surfaces in the empty space 212 to increase rigidity of the guide substrate 210.
  • the antennas may be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300 by vehicle vibration.
  • the cellular antenna 200 is larger in size than other antennas (ie, the first antenna 100), it is very susceptible to vibration.
  • the first antenna 100 Since the first antenna 100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even if it is mounted on the base substrate 300 through the SMT process, there is little frequency in that the soldering portion is removed due to vehicle vibration or itself is removed to the base substrate 300, but cellular When the antenna 200 is mounted on the base substrate 300 through an SMT process, the soldering portion is often removed from the base substrate 300 due to vehicle vibration or itself is removed from the base substrate 300.
  • the cellular antenna 200 and the base substrate 300 are coupled by a fitting coupling method in order to prevent the cellular antenna 200 from being removed from the base substrate 300.
  • the guide substrate 210 is formed with a fitting member.
  • the fitting member is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the base substrate 300.
  • the fitting member may be formed on side surfaces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substrate 300.
  • the fitting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substrate 210.
  • the fitting member includes a first fitting protrusion 214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substrate 210 to the outside of the left surface, a second fitting protrusion 216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substrate 210 to the right surface. It may be composed of a third fitting protrusion 218. At this time,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216 and the third fitting protrusion 218 ar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214.
  •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214 may have an inclined or rounded surface facing the base substrate 300 to facilitate fitting.
  • the guide substrate 210 can reduce vehicl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cellular antenna 200 and facilitate replacement if necessary.
  • the radiator 230 is configured as a dipole antenna and mounted on the guide substrate 210.
  • the radiator 230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guide substrate 210.
  • the radiator 230 i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of the guide substrate 210.
  • a plurality of guide holes are formed in the radiator 230.
  •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11 formed on the guide substrate 210.
  • the guide protrusions 211 of the guide substrate 21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 the end of the guide protrusion 211 passing through the guide hole may be heated and pressed to be compressed. Accordingly, the end of the guide protrusion 211 is formed in a disc shape to prevent the radiator 23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guide substrate 210.
  • the radiator 230 may be formed separately in two. That is, the radiator 230 may be composed of a first radiator 232 and a second radiator 23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first radiator 23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guide base 210
  • the second radiator 234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guide base 210.
  • the formation of the first radiator 232 and the second radiator 234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shape and number of the radiators 230 may vary according to the required frequency band and characteristics, they are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number shown in the drawings.
  • the ground wire 250 connects the radiator 230 to a ground (GND, ground).
  • GND ground
  • One end of the ground wire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adiator 230, and the other end of the ground wire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base substrate 300 (ie, the lower ground pattern 324).
  • one end of the ground wire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radiator 230.
  • ground wire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adiator 230 through soldering, and the other end of the ground wire 25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erminal to be connected to a terminal formed on the ground of the base substrate 300. Take that as an example.
  • the base substrate 300 is a substrate o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antennas 100 and the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200 are mounted, and is an example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 PCB printed circuit board
  • the base substrate 300 is divided into a ground area 310 and a non-ground area 330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ground pattern is formed.
  • the ground region 310 is a region in which a ground pattern is formed among the entire region of the base substrate 300 and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ase substrate 300.
  • the ground region 310 refers to a region in which a ground patter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substrate 300.
  • the base substrate 300 includes a ground pattern forming the ground region 310.
  • the ground pattern includes an upper ground pattern 322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00 and a lower ground pattern 324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00.
  • the upper ground pattern 322 is a grounding patter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00 an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00.
  • the upper ground pattern 32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enter of the base substrate 300.
  • the lower surface ground pattern is a ground patter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00 an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00.
  • the lower surface ground patter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enter of the base substrate 300.
  • the non-ground region 330 is a region in which a ground pattern is not formed among the entire region of the base substrate 300 and surrounds the ground region 310.
  • the non-ground area 330 may be divided into an antenna mounting area 332 in which a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200 are mounted, and a clearance area 334 separating the antenna mounting area 332 from the ground area 310.
  • a plurality of first mounting areas 350 on which the first antenna 100 is mounted and a plurality of second mounting areas 370 on which the cellular antenna 200 are mounted are positioned on the base substrate 300. do.
  • the first mounting area 350 is located in the ground area 310.
  • the first mounting area 350 is positioned by removing a part of the ground pattern.
  • the first mounting area 350 may include a part of the non-ground area 300 (that is, the clearance area 334).
  • An electrode pattern for feeding and grounding of the first antenna 100 and an auxiliary radiation pattern for expanding antenna performance of the first antenna 1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area 350.
  • the first mounting region 350 may have different sizes, shapes, electrode patterns, auxiliary radiation pattern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mounted first antenna 100.
  • the second mounting area 370 is located in the non-ground area 330.
  • the second mounting area 370 is located in the antenna mounting area 332 of the non-ground area 330.
  • the second mounting area 37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rea 310 by a clearance area 334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for mounting the cellular antenna 200 are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area 370.
  • the second mounting area 370 includes a first fitting hole 372 into which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214 formed on the guide substrate 210 of the cellular antenna 200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guide substrate 210 of the cellular antenna 200.
  • a second fitting hole 374 into which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216 and the third fitting protrusion 218 formed in) are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 a through hole 376 through which the ground wire 250 of the cellular antenna 200 passes is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area 370.
  • the through hole 376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tting hole 372 and the second fitting hole 374. Referring to FIG. 9, when the cellular antenna 200 is mounted on the base substrate 300, the other end of the ground wire 25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76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attern.
  • the plurality of first antennas 100 are disposed in the ground area 310, and the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200 are disposed in the non-ground area 330. And, by disposing the plurality of cellular antennas 200 apart from the ground pattern through the clearance area 334 of the non-ground area 330, interference between the cellular antennas 200 is minimized.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10, the isol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cellular antennas 200 installed in the vehicle smart antenn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solation performance of about 6 dB, and is measured about 16 dB to 22 dB. , It satisfies the isolation performance required by the automotive industry.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를 비그라운드 영역에 실장하여 그라운드 패턴과 이격시켜 상호간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을 제시한다. 제시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은 베이스 기재의 그라운드 영역에 배치된 제1 안테나가 배치되고, 베이스 기재의 비 그라운드 영역에 배치된 셀룰러 안테나가 배치되고, 셀룰러 안테나가 베이스 기재 하면의 그라운드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V2X 대역을 포함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내에 복수의 안테나가 실장되고, 차량 내에 설치되어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통신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WIFI, Bluetooth(BLE) 등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V2X 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 자동차 업계에서는 자율 주행 기능을 차량에 추가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차량은 자율 주행 기능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서 주변 차량, 사물 등과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셀룰러 V2X(Cellular V2X)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가 추가됨에 따라 안테나들 간에 간섭이 증가하여 셀룰러 안테나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를 비그라운드 영역에 실장하여 그라운드 패턴과 이격시켜 상호간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은 중앙에 그라운드 영역이 배치되고, 그라운드 영역의 외주에 비 그라운드 영역이 배치된 베이스 기재, 베이스 기재의 그라운드 영역에 배치된 제1 안테나 및 베이스 기재의 비 그라운드 영역에 배치된 셀룰러 안테나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재는 베이스 기재의 상면의 그라운드 영역에 형성된 상부 그라운드 패턴 및 베이스 기재의 하면의 그라운드 영역에 형성된 하부 그라운드 패턴을 포함하고, 베이스 기재의 그라운드 영역에는 제1 안테나가 실장되는 제1 실장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실장 영역은 비 그라운드 영역의 클리어런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 그라운드 영역에는 셀룰러 안테나가 실장되는 안테나 실장 영역이 형성되고, 안테나 실장 영역에는 셀룰러 안테나의 끼움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 홀 및 셀룰러 안테나의 접지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 홀은 셀룰러 안테나의 일측부에 형성된 끼움 돌기가 삽입되는 제1 끼움 홀 및 셀룰러 안테나의 타측부에 형성된 다른 끼움 돌기가 삽입되는 제2 끼움 홀을 포함하고, 관통 홀은 제1 끼움 홀 및 제2 끼움 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비 그라운드 영역에는 안테나 실장 영역과 그라운드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안테나 실장 영역과 그라운드 영역을 이격시키는 클리어런스 영역을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셀룰러 안테나는 베이스 기재와 마주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방사체가 실장된 다면체 형상의 가이드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기재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방사체가 실장되는 표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셀룰러 안테나는 일단이 방사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 기재의 안테나 실장 영역에 형성된 관통 홀을 관통하는 접지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접지 와이어의 타단은 베이스 기재의 하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기재는 베이스 기재의 비 그라운드 영역에 형성된 끼움 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끼움 돌기는 가이드 기재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의 비 그라운드 영역에 형성된 제1 끼움 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돌기 및 가이드 기재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의 비 그라운드 영역에 형성된 제2 끼움 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2 끼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를 비그라운드 영역에 실장하고 비그라운드 영역의 클리어런스 영역을 통해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를 그라운드 패턴과 이격시킴으로써,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은 비그라운드 영역의 클리어런스 영역을 통해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를 그라운드 패턴과 이격시킴으로써,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자동차 업계에서 요구하는 아이솔레이션 성능을 만족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셀룰러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도 9는 도 3의 베이스 기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의 아이솔레이션 성능을 측정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은 베이스 기재(10)와 베이스 기재(10) 상에 실장된 복수의 안테나(21~28)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재(10)는 인쇄회로기판(PCB, Ground plane)로 구성된다. 베이스 기재(10)는 거의 전 영역에 걸쳐 그라운드(접지)가 형성되고, 복수의 안테나는 베이스 기재(10)의 그라운드 상에 실장된다. 이때, 복수의 안테나는 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안테나(21),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안테나(22), WIFI 안테나(23), Bluetooth(BLE) 안테나(24) 및 셀룰러(Cellular) 안테나(25~2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인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안테나(21~28)가 하나의 그라운드 영역 내에 모두 배치되기 때문에 셀룰러 안테나(21~28)들 간의 간섭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에 설치된 셀룰러 안테나(21~28)들 간의 아이솔레이션 성능이 대략 6dB 내지 12dB 정도로 측정되며, 대략 12dB 이상의 아이솔레이션 성능이 요구하는 자동차 업계의 아이솔레이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기재를 그라운드 영역과 비 그라운드 영역으로 구분하고, 그라운드 영역에 기존 안테나들을 실장하고, 비 그라운드 영역에 추가되는 셀룰러 안테나들을 실장하여 안테나들 간의 간섭으로 인한 격리도 저하를 방지하는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을 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제1 안테나(100),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200) 및 베이스 기재(3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안테나(100)는 셀룰러 안테나(200)가 추가되기 이전의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에 실장된 안테나들이다. 복수의 제1 안테나(100)는 V2X 안테나(110a), GNSS 안테나(100b), WIFI 안테나(100c), LPWA 안테나(100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일례로 한다.
복수의 제1 안테나(100)는 베이스 기재(300)에 직접 형성된 방사 패턴, 베이스 기재(300)와 분리된 별도의 기재에 형성된 방사 패턴, 유전체에 방사 패치를 적층한 패치 안테나, 자성 소체에 코일 또는 방사 패턴을 권선한 솔레노이드 안테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200)는 셀룰러 V2X 통신을 지원하는 안테나로, 다이폴(Dipole) 안테나로 구성된다.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200)는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동작을 통해 대략 600㎒ 내지 6㎓ 정도의 주파수 대역에 공진하는 셀롤러 V2X 안테나로 동작한다.
이하에서는 셀룰러 V2X 안테나가 4개의 셀룰러 안테나(200)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각각의 셀룰러 안테나(200)는 제1 셀룰러 안테나(200), 제2 셀룰러 안테나(200), 제3 셀룰러 안테나(200) 및 제4 셀룰러 안테나(200)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4개의 셀룰러 안테나(200) 중 2개의 셀룰러 안테나(200)는 수신용 안테나로 동작하고, 나머지 2개의 셀룰러 안테나(200)는 송신용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V2X 안테나는 제조사에 따라 요구되는 셀룰러 안테나(200)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는 4개의 셀룰러 안테나(200)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셀룰러 안테나(200)는 가이드 기재(210), 방사체(230) 및 접지 와이어(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기재(210)는 방사체(230)가 실장되는 복수의 면을 갖는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기재(210)는 방사체(230)의 표면 실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육면체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한다. 이때, 가이드 기재(210)는 방사체(230)를 실장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가이드 기재(210)는 방사체(230)를 지지한다. 이때, 가이드 기재(210)는 표면에 방사체(230)가 실장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즉, 가이드 기재(210)는 베이스 기재(300)에 실장되어 표면에 실장된 방사체(230)를 지지한다.
가이드 기재(210)는 방사체(230)를 쉽게 실장하고,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가이드 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돌기(211)는 가이드 기재(210)의 표면(즉, 방사체(230)가 실장되는 표면)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가이드 돌기(211)는 방사체(230)를 가이드 기재(210)의 표면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실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기재(210)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수지 재질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한다. 가이드 기재(210)는 다면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들 중에서 하나의 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212)이 형성된다.
가이드 기재(210)는 베이스 기재(300)와 마주하는 일면(베이스 기재(300)의 상면과 접촉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빈 공간(212)이 형성된다. 가이드 기재(210)는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300)의 상면과 마주하는 하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일례로 한다.
가이드 기재(210)는 빈 공간(212)에는 가이드 기재(21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내벽면을 연결하는 보강벽이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는 차량에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 진동에 의해 안테나들이 베이스 기재(3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특히, 셀룰러 안테나(200)는 다른 안테나(즉, 제1 안테나(100))들에 비해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진동에 매우 취약하다.
제1 안테나(100)는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SMT 공정을 통해 베이스 기재(300)에 실장되더라도 차량 진동에 의해 납땜 부분이 탈락되거나, 자체가 베이스 기재(300)로 탈락하는 빈도가 거의 없지만, 셀룰러 안테나(200)는 SMT 공정을 통해 베이스 기재(300)에 실장되는 경우 차량 진동에 의해 납땜부분이 탈락되거나 자체가 베이스 기재(300)로부터 탈락하는 빈도가 많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셀룰러 안테나(200)가 베이스 기재(300)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셀룰러 안테나(200)와 베이스 기재(300)를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한다.
가이드 기재(210)는 끼움 부재가 형성된다. 끼움 부재는 베이스 기재(300)와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된다. 끼움 부재는 베이스 기재(300)의 측면(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끼움 부재는 가이드 기재(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 부재는 가이드 기재(210)의 하면에서 좌측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끼움 돌기(214), 가이드 기재(210)의 하면에서 우측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끼움 돌기(216) 및 제3 끼움 돌기(218)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끼움 돌기(216) 및 제3 끼움 돌기(218)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끼움 돌기(214)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끼움 돌기(214)는 끼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베이스 기재(300)와 마주하는 면에 경사 또는 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 기재(210)는 셀룰러 안테나(200)로 전달되는 차량 진동을 저감하고, 필요시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방사체(230)는 다이폴(dipole) 안테나로 구성되어 가이드 기재(210)에 실장된다. 방사체(230)는 가이드 기재(210)의 표면에 실장된다. 방사체(230)는 가이드 기재(210)의 표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실장된다.
방사체(230)에는 복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 홀은 가이드 기재(21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21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방사체(230)가 가이드 기재(210)에 실장될 때, 복수의 가이드 홀에는 가이드 기재(210)의 가이드 돌기(211)들이 각각 삽입된다. 이때, 방사체(23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가이드 홀을 관통한 가이드 돌기(211)의 단부를 가열 가압하여 압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이드 돌기(211)의 단부는 원판 형성으로 형성되어 방사체(230)가 가이드 기재(2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방사체(230)는 두 개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즉, 방사체(230)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제1 방사체(232) 및 제2 방사체(23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방사체(232)는 가이드 기재(210)의 좌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2 방사체(234)는 가이드 기재(210)의 우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방사체(232) 및 제2 방사체(234)의 형성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여기서, 방사체(230)의 형상 및 개수는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 및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 개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접지 와이어(250)는 방사체(230)를 그라운드(GND, 접지)에 연결한다. 접지 와이어(250)의 일단은 방사체(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접지 와이어(250)의 타단은 베이스 기재(300)의 그라운드(즉, 하부 그라운드 패턴(3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방사체(230)가 복수로 구성된 경우, 접지 와이어(250)의 일단은 복수의 방사체(23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지 와이어(250)의 일단은 솔더링(Soldering)을 통해 방사체(2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접지 와이어(250)의 타단은 단자 형태로 구성되어 베이스 기재(300)의 그라운드에 형성된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베이스 기재(300)는 복수의 제1 안테나(100) 및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200)가 실장되는 기재로 인쇄회로기판(PCB)인 것을 일례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재(300)는 그라운드 패턴의 형성 여부에 따라 그라운드 영역(310) 및 비 그라운드 영역(330)으로 구분된다.
그라운드 영역(310)은 베이스 기재(300)의 전체 영역 중에서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된 영역으로, 베이스 기재(300)의 중앙에 위치한다. 그라운드 영역(310)은 베이스 기재(300)의 상면 및 하면 중에서 적어도 한 면에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의미한다.
베이스 기재(300)는 그라운드 영역(310)을 형성하는 그라운드 패턴을 포함한다. 이때, 그라운드 패턴은 베이스 기재(300)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그라운드 패턴(322), 베이스 기재(300)의 하면에 형성된 하부 그라운드 패턴(324)을 포함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상부 그라운드 패턴(322)은 베이스 기재(300)의 상면에 형성된 접지용 패턴으로, 베이스 기재(300)의 상면 중앙에 배치된다. 상부 그라운드 패턴(322)은 베이스 기재(300)의 중앙에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면 그라운드 패턴은 베이스 기재(300)의 하면에 형성된 접지용 패턴으로, 베이스 기재(300)의 하면 중앙에 배치된다. 하면 그라운드 패턴은 베이스 기재(300)의 중앙에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비 그라운드 영역(330)은 베이스 기재(300)의 전체 영역 중에서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그라운드 영역(310)의 주위를 둘러싼다. 비 그라운드 영역(330)은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200)가 실장되는 안테나 실장 영역(332)과, 안테나 실장 영역(332)과 그라운드 영역(310)을 이격시키는 클리어런스 영역(334)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재(300)에는 제1 안테나(100)가 실장되는 복수의 제1 실장 영역(350) 및 셀룰러 안테나(200)가 실장되는 복수의 제2 실장 영역(370)이 위치한다.
제1 실장 영역(350)은 그라운드 영역(310)에 위치한다. 제1 실장 영역(350)은 그라운드 패턴의 일부를 제거하여 위치한다. 제1 실장 영역(350)은 비 그라운드 영역(300; 즉, 클리어런스 영역(334))의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실장 영역(350)에는 제1 안테나(100)의 급전 및 접지를 위한 전극 패턴, 제1 안테나(100)의 안테나 성능을 확장하기 위한 보조 방사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장 영역(350)은 실장되는 제1 안테나(100)에 따라 크기, 형상, 전극 패턴, 보조 방사 패턴 등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장 영역(370)은 비 그라운드 영역(330)에 위치한다. 제2 실장 영역(370)은 비 그라운드 영역(330)의 안테나 실장 영역(332)에 위치한다. 제2 실장 영역(370)은 클리어런스 영역(334)에 의해 그라운드 영역(310)과 소정 간격 이격된다.
제2 실장 영역(370)에는 셀룰러 안테나(200)의 실장을 위한 복수의 끼움 홀이 형성된다. 제2 실장 영역(370)에는 셀룰러 안테나(200)의 가이드 기재(210)에 형성된 제1 끼움 돌기(214)가 삽입 고정되는 제1 끼움 홀(372), 셀룰러 안테나(200)의 가이드 기재(210)에 형성된 제2 끼움 돌기(216) 및 제3 끼움 돌기(218)가 삽입 고정되는 제2 끼움 홀(374)이 형성된다. 제2 실장 영역(370)에는 셀룰러 안테나(200)의 접지 와이어(250)가 관통하는 관통 홀(376)이 형성된다. 관통 홀(376)은 제1 끼움 홀(372)과 제2 끼움 홀(374) 사이에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셀룰러 안테나(200)를 베이스 기재(300)에 실장할 때, 접지 와이어(250)의 타단은 관통 홀(376)을 관통하여 하면 그라운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는 복수의 제1 안테나(100)를 그라운드 영역(310)에 배치하고,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200)를 비 그라운드 영역(330)에 배치하고, 비 그라운드 영역(330)의 클리어런스 영역(334)을 통해 복수의 셀룰러 안테나(200)를 그라운드 패턴과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셀룰러 안테나(200)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이로 인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에 설치된 셀룰러 안테나(200)들 간의 아이솔레이션 성능은 대략 6dB 정도의 아이솔레이션 성능을 가지며, 대략 16dB 내지 22dB 정도로 측정되며, 자동차 업계에서 요구하는 아이솔레이션 성능을 만족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5)

  1. 중앙에 그라운드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그라운드 영역의 외주에 비 그라운드 영역이 배치된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그라운드 영역에 배치된 제1 안테나;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비 그라운드 영역에 배치된 셀룰러 안테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면의 그라운드 영역에 형성된 상부 그라운드 패턴;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하면의 그라운드 영역에 형성된 하부 그라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의 그라운드 영역에는 제1 안테나가 실장되는 제1 실장 영역이 형성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장 영역은 상기 비 그라운드 영역의 클리어런스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 그라운드 영역에는 셀룰러 안테나가 실장되는 안테나 실장 영역이 형성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실장 영역에는,
    셀룰러 안테나의 끼움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 홀; 및
    상기 셀룰러 안테나의 접지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홀은,
    상기 셀룰러 안테나의 일측부에 형성된 끼움 돌기가 삽입되는 제1 끼움 홀; 및
    상기 셀룰러 안테나의 타측부에 형성된 다른 끼움 돌기가 삽입되는 제2 끼움 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제1 끼움 홀 및 상기 제2 끼움 홀 사이에 배치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 그라운드 영역에는 상기 안테나 실장 영역과 상기 그라운드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 실장 영역과 상기 그라운드 영역을 이격시키는 클리어런스 영역을 더 형성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안테나는 상기 베이스 기재와 마주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방사체가 실장된 다면체 형상의 가이드 기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재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재는 상기 방사체가 실장되는 표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안테나는,
    일단이 상기 방사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기재의 안테나 실장 영역에 형성된 관통 홀을 관통하는 접지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하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재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비 그라운드 영역에 형성된 끼움 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가이드 기재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비 그라운드 영역에 형성된 제1 끼움 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돌기; 및
    상기 가이드 기재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비 그라운드 영역에 형성된 제2 끼움 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2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PCT/KR2020/012970 2019-10-07 2020-09-24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WO202107114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72641.1A CN114586237A (zh) 2019-10-07 2020-09-24 用于车辆的智能天线模块
US17/767,233 US11949151B2 (en) 2019-10-07 2020-09-24 Smart antenna modul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977A KR102347789B1 (ko) 2019-10-07 2019-10-07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KR10-2019-0123977 2019-10-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1143A1 true WO2021071143A1 (ko) 2021-04-15

Family

ID=7543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970 WO2021071143A1 (ko) 2019-10-07 2020-09-24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49151B2 (ko)
KR (1) KR102347789B1 (ko)
CN (1) CN114586237A (ko)
WO (1) WO2021071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234B1 (ko) * 2021-10-14 2024-01-08 주식회사 아모텍 다중 대역 안테나 모듈
WO2023068401A1 (ko) * 2021-10-21 2023-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414Y1 (ko) * 2005-04-13 2005-07-14 주식회사 니즈텍 차량용 위성 dmb 안테나
KR20060073767A (ko) * 2004-12-24 200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특성 튜닝 방법 및 이를이용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20090075464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메닉스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350500B1 (ko) * 2012-09-10 2014-01-20 변주희 컨테이너 수송용 위치추적 안테나
WO2018043808A1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580B1 (ko) * 2016-08-31 201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KR102368601B1 (ko) 2017-06-20 2022-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EP3432418A1 (en) * 2017-07-18 2019-01-23 Advanced Automotive Antennas, S.L. Antenna modules for vehicles
CN110247199B (zh) * 2019-07-10 2021-06-25 常州柯特瓦电子股份有限公司 天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767A (ko) * 2004-12-24 200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특성 튜닝 방법 및 이를이용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200389414Y1 (ko) * 2005-04-13 2005-07-14 주식회사 니즈텍 차량용 위성 dmb 안테나
KR20090075464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메닉스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350500B1 (ko) * 2012-09-10 2014-01-20 변주희 컨테이너 수송용 위치추적 안테나
WO2018043808A1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76384A1 (en) 2022-11-24
CN114586237A (zh) 2022-06-03
US11949151B2 (en) 2024-04-02
KR20210041366A (ko) 2021-04-15
KR102347789B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9068B2 (en) Planar antenna with multiple radiators and notched ground pattern
CN102714349B (zh) 用于车辆的高度集成的多波段鳍形天线
JP6009062B2 (ja) 送信アンテナ部材と受信アンテナ部材とを備えたアンテナモジュール
WO2011087177A1 (ko) 아이솔레이션 에이드를 구비한 내장형 mimo 안테나
WO2021071143A1 (ko)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US7372412B2 (en) Transceiver-integrated antenna
WO2015041422A1 (ko)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9343806B2 (en) Antennas integrated in shield can assembly
EP1610413A1 (en) Top-loaded monopole antenna
US20230208027A1 (en)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O2022220429A1 (ko) 안테나 기능을 갖는 쉴드 캔
US20010041541A1 (en) Method and antenna arrangement for coupling external antennas to a communication unit
WO2020262942A1 (ko) Uwb 안테나 모듈
WO2019216721A1 (ko) 이중 편파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KR20210020667A (ko) 비아 집단 패턴이 형성된 pcb 임베디드 필터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인쇄 회로 기판
WO2020096094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structure, housing with the same, and electronic terminal
KR102133406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02065581A1 (en) A layered micro strip patch antenna
WO2023027519A1 (ko) 안테나 기능을 갖는 쉴드 캔
WO2017074033A1 (ko)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CN114095591A (zh) 按键、卡托、摄像头装饰件及移动终端
WO2020235866A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23027442A1 (ko) 안테나 기능을 갖는 쉴드 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
WO2020242099A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216529323U (zh) 天线模组和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739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739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