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25539A1 -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25539A1
WO2021025539A1 PCT/KR2020/010509 KR2020010509W WO2021025539A1 WO 2021025539 A1 WO2021025539 A1 WO 2021025539A1 KR 2020010509 W KR2020010509 W KR 2020010509W WO 2021025539 A1 WO2021025539 A1 WO 20210255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valve
battery pack
fire extinguish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050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진규
정관수
이준민
오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AU202032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20324313A1/en
Priority to CN202080055076.8A priority patent/CN114175358A/zh
Priority to JP2022500981A priority patent/JP7233597B2/ja
Priority to EP20850852.3A priority patent/EP4002543A4/en
Priority to US17/628,055 priority patent/US20220278417A1/en
Publication of WO20210255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255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62C35/1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with a finite supply of 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67Internal gas exhaust passages forming part of the battery cover or case; Double cover vent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75Vent means sensitive to or responsiv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including a fire extinguish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pack that reduces the risk of secondary ignition or explosion.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inly use lithium-based oxides and carbon materials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respectively.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to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applied, respectively,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therebetween, and a case material for sealing and storing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that is, a battery pouch case material.
  •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not only in small devices such a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ut also in mid- to large-sized devices such as automobiles and power storage devices.
  • a large number of secondary batteri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increase capacity and output.
  •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in such medium-sized devices due to the advantage of easy stacking.
  • such a battery pack generally includes an outer housing made of a metal material to protect or store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from an external impact. Meanwhile, the demand for high-capacity battery packs is increasing recently.
  • the prior art battery pack or battery rack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when a secondary battery of each battery module generates thermal runaway and ignites or explode, heat or flame is transferred to the adjacent secondary battery. In some cases, secondary explosions or the like may occur,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prevent secondary ignition or explos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that reduces the risk of secondary ignition or explosion.
  •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modules arranged in one direction
  • a linear temperature sensor that senses when a part is linearly extended along the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modules and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i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fire extinguishing tank containing an extinguishing agent therein, And a pipe connected to supply the extinguishing agent to each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and a fire extinguishing unit having a valve opened to supply the extinguishing agent from the fire tank to the battery module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through the pipe.
  • each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may include a gas passage configured to discharge gas generated therein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gas outlets formed at an end of the gas passage and perforat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so that a portion of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faces a gas outlet provided in each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 the pipe may include a common pipe connected to an outlet through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of the fire extinguishing tank is discharged, and a distribution pipe having a structure distributed from the common pipe to an input port into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of each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is injected. I can.
  • valve may include a common valve located at any part of the common pipe to open and close the common pipe, and a distribution valve located at any part of the distribution pipe to open and close the distribution pipe.
  • the distribution valve may be a passive valve configured to be opened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can be injected into the battery module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 the passive valve may be inserted into an inle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gas passage provided in the battery module.
  • the common valve may be an active valve configured to be opened when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detects a battery module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and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battery module above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 the battery module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inlets.
  • a distribution pipe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at least two inlets.
  • one of the two distribution pipes may be provided with a passive valve configured to open when the battery module i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an active valve configured to be opened when the battery module i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may be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two distribution pipes, which is not selected.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moke detection sensor detecting smoke discharged from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 the battery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ttery pack and a rack case accommodating the battery pack.
  • the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t least two battery racks.
  •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ar temperature sensor extending linearly along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modules,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of the battery pack.
  •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one linear temperature sensor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ignal wire, and is light and flexible, so it is easy to install and cost to manufacture a battery pack. Can be greatly reduced.
  • the linear temperature sensing sensor makes it easy to set multiple points for more accurate temperature sensing even in one battery modul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reduce the failure rate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the battery module.
  • the battery when a part of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is positioned outside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so as to face a gas outlet provided in each of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modules, the battery When thermal runaway of the module's cell assembly occurs, high-temperature air with elevated temperature is discharged to the gas outlet, or high-temperature gas generated when the cell assembly is ignited is discharged to the gas outlet. can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apidly responding to thermal runaway.
  • the passive valve by configuring at least a part of the passive valve to be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inlet to communicate with the gas discharge passage provided in the battery module, when thermal runaway occurs, the battery in which thermal runaway occurs while the passive valve is opened. Only modules can be individually injected with extinguishing agent. Moreover, sinc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directly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battery module instead of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extinguishing and cooling the fire of the battery module in which thermal runaway occurs.
  •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configurations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some configurations of a fire extinguishing unit that is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ial internal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which is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module that is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module, which is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artial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some components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pe and a valve, which are some configurations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that is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pe and a valve, which are some configurations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and 15 are front and plan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moke detection sensor that is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configurations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pack 400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modules 200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a fire extinguishing unit configured to extinguish the battery module 200. Including 300.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300 may include a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a fire extinguishing tank 320, a pipe 330, and a valve 340.
  • the extinguishing tank 320 may contain a extinguishing agent (not shown) therein.
  •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a concentrated solution of an inorganic salt such as potassium carbonate, a chemical bubble, an air bubble, carbon dioxide, or water.
  • the fire extinguishing tank 320 may include a compressed gas therein to injec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t an appropriate pressure or move along the pipe 330.
  • the capacity of the digestion tank 320 may be 59 L
  • the compressed gas may be 8 bar of nitrogen
  •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40 L of water.
  • the pipe 33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supply the extinguishing agent to each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 the pipe 33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corroded by water.
  • the pipe 33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 One end of the pipe 33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321 of the digestion tank 320.
  • the other end of the pipe 330 may have a shape extending to the inside of each of the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modules 200.
  • the pipe 330 may include a common pipe 333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321 through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of the fire extinguishing tank 320 is discharged, and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from the common pipe 333.
  • the pipe 330 is one common pipe 333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321 of the digestion tank 320, and 8 branched from the common pipe 333 It may be provided with two distribution pipes 336.
  • the eight distribution pipes 336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ports 264 of the eight battery modules 200.
  • valve 340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to supply a extinguishing agent from the digestion tank 320 to the battery module 200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through the pipe 330.
  • the valve 340 may be an active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340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fire extinguishing unit 300. More specifically, the active valve may be a control valve, an electric valve, a solenoid valve, or a pneumatic valve.
  • the linear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1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are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the linear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10 may be configured to emit a fire or overheat signal by melting and causing a short circuit between the two wires when the heat sensing material coated on the two wires reaches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 the heat sensing material may be a thermoplastic resin that is melted at 70 degrees Celsius or more to 100 degrees Celsius.
  •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a polyester resin or an acrylic resin.
  • the linear temperature sensing sensor 31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coating material configured to surround the heat sensing material.
  • the coating agent may include polyvinyl chloride.
  •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may have a structure that extends linearly along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arranged in one direction.
  • the battery pack 400 may include the eight battery modules 200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50 and extends downward along the eight battery modules 20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esistor 315 at the end.
  • a bracket (not shown) and a fixing buckle (not shown) may be used to partially fix the position of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 the battery pack 400 includes a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extending linearly along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modules 200,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attery pack. have.
  • the battery pack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on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200,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ignal wire, and is light and flexible. Since installation is eas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attery pack 400 can be greatly reduced.
  •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is easy to set multiple points for more accurate temperature sensing even in one battery module 20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failure rate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the battery module 200.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some configurations of a fire extinguishing unit that is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3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35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50 may include a valve opening/closing part 353 and a position calculating part 356.
  • valve opening/closing unit 353 may be configured to open the valve 340 when a temperatur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sensed by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 the valve opening/closing unit 353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active valve.
  • the location calculation unit 356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and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battery module 200 above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calculation unit 356 may analyze a signal received from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In addition, the location calculation unit 356 may calculate to determine which battery module 200 of the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modules 200 has risen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the position calculation unit 356 detects a temperatur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n a part of the entire length of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the detected part of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and the By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fire extinguishing unit 300, the battery module 200 in which thermal runaway has occurred may be estimated.
  •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ial internal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which is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module 200 may include at least two cell assemblies 100 and a module housing 210.
  • Each of the at least two or more cell assemblies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10 stacked in a front-rear direction.
  • the secondary battery 110 may be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110.
  • FIG. 5 when viewed in the F direction (from the front) of FIG. 1, each of the two cell assemblies 100 has a plurality of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110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t may be configured in a stacked form.
  •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110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an electrolyte (not shown), and a pouch 116.
  •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may be formed at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ary battery 110. That is,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11 may be provided at one en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ary battery 110. In addition, the negative lead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ary battery 110 based on the center of the secondary battery 110.
  • the battery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110 described above, and various secondary batteries know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ployed.
  • the battery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bus bar assembly 270.
  • the bus bar assembly 270 is configured to mount at least one bus bar 272 configured to electrically interconnect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10 and the at least one bus bar 272 outside.
  • At least two or more busbar frames 276 may be provided.
  • the at least two busbar frames 276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cell assembly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module housing 210 may have an inner space to accommodate the cell assembly 100 therein.
  • the module housing 210 may include an upper cover 220, a base plate 240, a front cover 260, and a rear cover 250. .
  • the base plate 240 may have an area larger than a size of a bottom surface of the at least two cell assemblies 100 so as to mount the at least two cell assemblies 100 on the top.
  • the base plate 240 may have a plate shap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aid to mea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when the battery module 200 is placed on the ground, and may also be called at least one direction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 the upper cover 220 may include an upper wall 224 and a side wall 226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224.
  • the upper wall 224 may have a plate shap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100.
  • the sidewall 226 may have a plate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wall 224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as to cover both sides of the cell assembly 1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 the sidewall 226 may be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ase plate 240.
  • the upper cover 220 may include an upper wall 224 having a plate shape that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the upper cover 220 may include two sidewalls 226 extending downward from each of both ends of the upper wall 22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two side walls 226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se plate 2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coupling method may be a male and female coupling method or a welding coupling method.
  • the front cover 260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10.
  • the front cover 260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ront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10.
  • the plate shape may b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rear cover 250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rear of the cell assembly 100.
  • the rear cover 250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rea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10.
  • the module housing 210 may be provided with a gas passage 211 so that the gas generated from the cell assembly 100 flows.
  • the gas passage 211 may be a space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 the gas passage 211 may be provid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cell assembly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 the gas passage 211 may be a space betwee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100 and the module housing 210. That is, the gas generated in the cell assembly 1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module 200 is left and right of the cell assembly 100 through a gas passage 211 located above or below the cell assembly 100. It can be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gas outlets 212 which are moved to both sides of the direction and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gas passage 211 and are perforat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200.
  •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module that is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module, which is a part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rear cover 250 located at the rear of each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264 configured to allow the extinguishing agent to be injected.
  • the inlet port 264 may be positioned to communicate with the gas passage 211. That is, the inlet port 264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gas passages 21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ll assembly 1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 the inlet port 264 may b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ar cover 250.
  • the extinguishing agent injected through the inlet 264 may move along the gas passage 211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ell assembly 100, and then, the gas passage located above or below the cell assembly 100 (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moved to the gas passage 211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ll assembly 100 through 211). Through this process, the ignited or overheated cell assembly 100 inside the battery module 200 may be extinguished and cooled.
  • FIG.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may be positioned so that a portion of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faces the gas outlet 212 provided in each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 a gas outlet 212 may be provided in the rear cover 250 of each of the two or more battery modules 200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may be disposed outside each of the two or more battery modules 200 to face the gas outlet 212.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two or more battery modules so that a part of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faces the gas outlet 212 provided in each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two or more battery modules so that a part of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faces the gas outlet 212 provided in each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 the cell assembly 100 of the battery module 200 When positioned outside the battery module 200, when thermal runaway of the cell assembly 100 of the battery module 200 occurs, high-temperature air with an increased temperature is discharged to the gas outlet 212, or the cell assembly is ignited. The high-temperature gas generated during this time is discharged to the gas outlet 212, so that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can detect it with a quick respons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by quickly coping with the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pack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alve 340 includes a common valve 343 located at any part of the common pipe 333 to open and close the common pipe 333, and the distribution pipe 336. It may be provided with a distribution valve 346 located in any portion of the distribution pipe 336 to open and close.
  • the common valve 343 may be an active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340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valve opening/closing unit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300. For example, when one or more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i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position calculation unit 356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300 detects this, and the valve opening/closing unit 353 is the fire tank The common valve 343 may be opened by transmitting an open signal to the common valve 343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discharged from the 320.
  • the active valve may be a control valve, an electric valve, a solenoid valve, or a pneumatic valve.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some components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tribution valve 346 may be a passive valve 347 configured to be opened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can be injected into the battery module 200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 the passive valve 347 may be configured to open the valve 340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200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the passive valve 347 may include a glass bulb 347a and a predetermined liquid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glass bulb 347a.
  • the glass bulb 347a may be configured to seal the passage 347c through which the fluid of the passive valve 347 flows.
  • the glass bulb 347a may be configured to be broken by volume expansion of the predetermined liqui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70 degrees Celsius to 100 degrees Celsius or more. That is, when the passive valve 347 is located inside the battery module 200,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200 rise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of the valve 340 flows ( The glass bulb 347a blocking the 347c)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passage 347c of the valve is opened.
  • the passive valve 347 may further include a sprinkler head 347b provided with a dispersion pin to disperse the discharged fluid in all directions.
  • FIG.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pe and a valve, which are some configurations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ssive valve 347 is inserted into an inlet port 264 configured to communic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gas passage 211 provided in the battery module 200. It can be configured to be.
  • the pipe 3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336 along the common pipe 333, and the distribution pipe 336 may be a Tee pipe or an elbow pipe.
  • a distribution valve 346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distribution pipe 336.
  • the distribution valve 346 may be the manual valve 347.
  • the passive valve 347 may include a glass bulb and a sprinkler head.
  •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tribution valve 346 may be inserted into an inlet port 264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gas passage 211 provided in the battery module 200.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assive valve 347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inlet 264 to communicate with the gas discharge passage provided in the battery module 200.
  •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that is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pe and a valve, which are some configurations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module 200A may include two or more inlet ports 264.
  • a distribution pipe 336A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or more inlet ports 264.
  • One of the two distribution pipes 336A may be provided with a passive valve 347 that is opened when the battery module 200A i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the passive valve 347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can be injected into the battery module 200A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 the passive valve 347 may be configured to open the valv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200A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 the passive valve 347 may be positioned at an end of the distribution pipe 336A and configured to insert at least a portion of the passive valve 347 into the inlet 264.
  • the pipe 330A of the battery pack includes a common pipe 333A, and at least two distribution pipes 336A connected to the common pipe 333A. Equipped. At this time, of the two distribution pipes 336A, one of the two distribution pipes 336A is connected to the passive valve 347,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active valve 348 that is opened when the battery module 200A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have.
  • the active valve 348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when the linear temperature sensor 310 detects the battery module 200A above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 it may be an active valve 348 configured to operate by receiving an opening/closing signal from the valve opening/closing unit (353 in FIG. 4) of the control unit 350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300.
  • the active valve 348 may be, for example, a motor valve or a solenoid valve.
  • a passive valve 347 is provided, and the other is an active type valve. Since the valve 348 is provided, even when the passive valve 347 is not opened when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module 200A occurs, the fire extinguishing unit 300 can send a signal to the active valve 348 to open it. Thus, it is possible to more safely increase the safety of the battery pack 400.
  • FIG. 14 and 15 are front and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moke detection sensor that is a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smoke detection sensor 370 for detecting smoke discharged from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 the smoke detection sensor 370 may be positioned at the top (FIG. 1, T)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when a fire occurs in the battery module 200, the generated gas may move upward,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at the top (FIG. 1, T) of the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200.
  • the smoke detection sensor 37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350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300 when detecting smoke.
  • the control unit 350 may allow the valve opening/closing unit 353 to open the common valve 343 and/or the distribution valve 346 according to a received signal.
  • 1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attery rack 500 may include the battery pack 400 and a rack case 510 accommodating the battery pack 400.
  • the rack case 510 may also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200 in a stacked form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rack case 510,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0 may be mounted in a form parallel to a horizontal surface.
  • the rack case 510 i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one side is openable, so that the battery module 2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open side.
  • the rack case 5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such an open side can be closed.
  • the battery rack 500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530).
  •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 the power storage device 600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racks 500.
  • the two or more battery racks 500 may be arranged to be arranged in one direction.
  • the power storage device 6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ree battery racks 500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 the power storage device 600 may include a central control unit (not shown) capable of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three battery racks 500.
  • gas passage 212 gas outlet
  • valve common valve, dosing valve
  •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position calculation uni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 industry related to a battery rack including the battery pack and a large-scale power storage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ra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발화 내지 폭발의 위험성을 줄인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일부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따라 선형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일 때 이를 감지하는 선형 온도 감지 센서, 내부에 소화제가 수용된 소화 탱크, 상기 소화 탱크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각각으로 상기 소화제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배관, 및 상기 소화 탱크로부터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로 소화제를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하도록 개방되는 밸브를 구비한 소화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본 발명은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차 발화 내지 폭발의 위험성을 줄인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9년 08월 08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출원 번호 제10-2019-0096939호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파우치 외장재를 구비한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만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이차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는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많이 이용된다.
한편, 근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전기적으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이차전지, 및 이러한 이차전지를 내부에 수용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구비한 배터리 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팩은, 복수의 이차전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수납 보관하기 위해서 금속 재질의 외부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최근 고용량의 배터리 팩이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배터리 팩 또는 배터리 랙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고, 각각의 배터리 모듈의 이차전지가 열폭주가 발생되어, 발화 내지 폭발할 경우, 인접한 이차전지로 열 또는 화염이 전달되어 2차 폭발 등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2차 발화 내지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팩 또는 배터리 랙에서 일부 이차전지가 열폭주가 발생될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빠르고 완전한 소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2차 발화 내지 폭발의 위험성을 줄인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및
일부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따라 선형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일 때 이를 감지하는 선형 온도 감지 센서, 내부에 소화제가 수용된 소화 탱크, 상기 소화 탱크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각각으로 상기 소화제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배관, 및 상기 소화 탱크로부터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로 소화제를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하도록 개방되는 밸브를 구비한 소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각각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가스 통로 및 상기 가스 통로의 끝단에 형성되고 외부와 연통되도록 천공된 다수의 가스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는 일부분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각각에 구비된 가스 배출구와 대면하도록 상기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관은, 상기 소화 탱크의 소화제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연결된 공통 배관, 및 상기 공통 배관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각각의 소화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연결되도록 분배된 구조의 분배 배관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는, 상기 공통 배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공통 배관 중 어느 일부분에 위치한 공통 밸브, 및 상기 분배 배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분배 배관 중 어느 일부분에 위치한 분배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배 밸브는,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 내부로 상기 소화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도록 구성된 수동형 밸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형 밸브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상기 가스 통로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투입구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밸브는,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에서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감지할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된 능동형 밸브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소화 유닛은,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위치를 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산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에는 상기 투입구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2개 이상의 투입구 각각에는 분배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분배 배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된 수동형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2개의 분배 배관 중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된 능동형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 유닛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에서 배출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랙은,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을 수용하는 랙 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는, 배터리 랙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따라 선형 연장된 선형 온도 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 복수의 온도 센서를 구비할 경우, 복수의 온도 센서 및 복수의 온도 센서를 연결을 위한 별도의 신호 와이어가 필요한 바, 자재 비용이 크고 설치 작업이 길어져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오직 하나의 선형 온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배터리 모듈의 온도 감지가 가능하고, 별도의 신호 와이어가 불필요하며 가볍고 유연하여 설치가 용이하여 배터리 팩의 제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선형 온도 감지 센서는 하나의 배터리 모듈에도 보다 정확한 온도 센싱을 위해 다중 포인트를 설정하기 용이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것에 대한 실패율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선형 온도 감지 센서의 일부분이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각각에 구비된 가스 배출구와 대면하도록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외측에 위치시킬 경우, 배터리 모듈의 셀 어셈블리의 열 폭주 발생시, 온도가 상승한 고온의 공기가 가스 배출구로 배출되거나, 또는, 셀 어셈블리의 발화시 발생된 고온의 가스가 가스 배출구로 배출됨으로써, 빠른 반응성으로 선형 온도 감지 센서가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의 열폭주에 대한 빠른 대처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수동형 밸브를 적어도 일부분이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가스 배출 통로와 연통되도록 천공된 투입구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열폭주 발생시, 수동형 밸브가 열리면서 열폭주가 발생된 배터리 모듈만 개별적으로 소화제를 투입할 수 있다. 더욱이, 소화제가 배터리 모듈의 외부가 아닌 내부로 직접 분사할 수 있어, 열폭주가 일어난 배터리 모듈의 화재를 효과적으로 소화시키고, 냉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소화 유닛의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터리 모듈의 일부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관 및 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관 및 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연기 감지 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400)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및 상기 배터리 모듈(200)을 소화하도록 구성된 소화 유닛(3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 유닛(300)은,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 소화 탱크(320), 배관(330), 및 밸브(34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소화 탱크(320)는, 내부에 소화제(보이지 않음)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화제는, 탄산칼륨과 같은 무기염의 농후(濃厚)용액, 화학포, 공기포, 이산화탄소, 또는 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 탱크(320)는 소화제를 적절한 압력으로 분사 내지 상기 배관(330)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압축 가스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화 탱크(320)의 용량은 59 L일 수 있고, 상기 압축 가스는 8 bar의 질소일 수 있으며, 상기 소화제는 40 L의 물일 수 있다. 여기서, 소화제로 물을 사용할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내부에 분무로 했을 때는 소화 냉각 효과와 함께 열차단작용이 있기 때문에 특히, 열폭주로 인한 고온의 가스 및 화염이 발생된 경우, 열 전파(Thermal Propagation)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로 인해,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 사이로 화재나 열폭주가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관(330)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각각으로 상기 소화제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관(330)은 물에 부식되지 않은 소재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관(330)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관(330)은 일단은 상기 소화 탱크(320)의 토출구(321)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330)은 타단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각각의 내부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관(330)은, 상기 소화 탱크(320)의 소화제가 토출되는 토출구(321)와 연결된 공통 배관(333), 및 상기 공통 배관(333)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각각에 구비된 투입구(264)와 연결되도록 분배된 구조의 분배 배관(336)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330)은 상기 소화 탱크(320)의 토출구(321)와 연결된 하나의 공통 배관(333), 및 상기 공통 배관(333)으로부터 분지된 8개의 분배 배관(336)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8개의 분배 배관(336)은 8개의 배터리 모듈(200)의 투입구(264)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340)는, 상기 소화 탱크(320)로부터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로 소화제를 상기 배관(330)을 통해 공급하도록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340)는 상기 소화 유닛(30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밸브(340)의 개방과 폐쇄를 컨트롤할 수 있는 능동형 밸브일 수 있다. 더욱 구제적으로, 상기 능동형 밸브는, 제어 밸브, 전동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공압 밸브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일 때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는 2개의 전선에 피복되어진 열감지 물질이 기준 온도 이상의 온도 되었을 때, 용융되어 2개의 전선의 단락을 일으켜, 화재 또는 과열 신호를 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감지 물질은 섭씨 70도 이상 내지 섭씨 100도에서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는 상기 열감지 물질을 감싸도록 구성된 절연성 피복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복제는 폴리염화비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는 일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을 따라 선형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팩(400)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8개의 배터리 모듈(2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는 일단이 제어부(350)에 연결되고, 상기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8개의 배터리 모듈(200)을 따라 하향 연장되며, 타단이 종단부의 저항체(315)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를 부분적으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브라켓(도시하지 않음) 및 고정 버클(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 팩(4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을 따라 선형 연장된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 복수의 온도 센서를 구비할 경우, 복수의 온도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온도 센서를 연결을 위한 별도의 신호 와이어가 필요한 바, 자재 비용이 크고 설치 작업이 길어져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배터리 팩(400)은 오직 하나의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를 이용하여,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의 온도 감지가 가능하고, 별도의 신호 와이어가 불필요하며 가볍고 유연하여 설치가 용이하여 배터리 팩(400)의 제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는 하나의 배터리 모듈(200)에도 보다 정확한 온도 센싱을 위해 다중 포인트를 설정하기 용이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200)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것에 대한 실패율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소화 유닛의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소화 유닛(300)은 제어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50)는 밸브 개폐부(353) 및 위치 산정부(356)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 개폐부(353)는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로부터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될 경우, 상기 밸브(340)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밸브 개폐부(353)는, 상기 밸브(340)가 능동형 밸브일 때, 상기 능동형 밸브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산정부(356)는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의 위치를 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산정부(356)는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산정부(356)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중 어느 배터리 모듈(200)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것인 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치 산정부(356)는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의 전체 길이 중, 일부위에서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를 감지할 경우,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의 감지된 일부위와 상기 소화 유닛(300)과의 거리를 산정하여, 열 폭주가 발생한 배터리 모듈(200)을 추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터리 모듈의 일부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셀 어셈블리(100) 및 모듈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셀 어셈블리(100) 각각은 전후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이차전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110)는 파우치형 이차전지(11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F 방향으로(정면에서) 바라볼 경우, 2개의 셀 어셈블리(100) 각각은 복수개의 파우치형 이차전지(110)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상호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상, 하, 전, 후, 좌, 우 방향에 대하여, F 방향으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한다.
특히,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110)는, 전극 조립체(도시하지 않음), 전해액(도시하지 않음) 및 파우치(116)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양극 리드(111)와 상기 음극 리드(보이지 않음)는, 이차전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양극 리드(111)는 상기 이차전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리드는 이차전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에는, 앞서 설명한 파우치형 이차전지(110)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이차전지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200)은 버스바 어셈블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270)는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110)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272)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272)를 외측에 탑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둘 이상의 버스바 프레임(27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버스바 프레임(276)은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좌우 방향의 양측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 하우징(210)은, 상기 셀 어셈블리(100)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F 방향으로 바로 보았을 때, 상기 모듈 하우징(210)은, 상부 커버(220), 베이스 플레이트(240), 전방 커버(260), 및 후방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0)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셀 어셈블리(100)를 상부에 탑재하도록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셀 어셈블리(100)의 하면 크기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이란, 상기 배터리 모듈(200)을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에 수직하는 평면상의 적어도 한 방향이 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220)는 상벽(224) 및 상기 상벽(224)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22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벽(224)은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측벽(226)은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좌우 방향의 양 측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상벽(224)의 좌우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226)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0)의 일부위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220)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 상벽(22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220)는 상기 상벽(224)의 좌우 방향의 양 단부 각각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측벽(226)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2개의 측벽(226) 각각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0)의 좌우 방향의 양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방식은 암수 결합 방식 또는 용접 결합 방식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방 커버(260)는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11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방 커버(260)는 복수의 이차전지(110)의 전면의 크기 보다 큰 크기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형상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커버(250)는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후방 커버(250)는 복수의 이차전지(110)의 후면의 크기 보다 큰 크기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모듈 하우징(210)은 상기 셀 어셈블리(100)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유통되도록 가스 통로(21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 통로(211)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가스 통로(211)는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좌우 방향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 통로(211)는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상부 또는 하부와 상기 모듈 하우징(210)과의 사이 공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 모듈(200) 내부에 수납된 셀 어셈블리(100)에서 발생된 가스는,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가스 통로(211)를 통해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 이동하고, 다시, 상기 가스 통로(211)의 끝단에 형성되고 배터리 모듈(20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천공된 다수의 가스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5와 함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각각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커버(250)에는 상기 소화제가 투입되도록 구성된 투입구(2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264)는 상기 가스 통로(211)와 연통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투입구(264)는 상기 셀 어셈블리(100)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의 양측에 위치한 가스 통로(211)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R 방향에서 바라 볼 경우, 상기 후방 커버(250)의 우측에 투입구(26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264)를 통해 투입된 소화제는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좌측에 위치한 가스 통로(2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가스 통로(211)를 통해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우측에 위치한 가스 통로(211)로 소화제가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화되거나 과열된 상기 배터리 모듈(200) 내부의 셀 어셈블리(100)를 소화 및 냉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다시 도 5와 함께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는 일부분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각각에 구비된 가스 배출구(212)와 대면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각각의 후방 커버(250)에는 가스 배출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각각의 외측에는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가 상기 가스 배출구(212)와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의 일부분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각각에 구비된 가스 배출구(212)와 대면하도록 상기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의 외측에 위치시킬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셀 어셈블리(100)의 열 폭주 발생시, 온도가 상승한 고온의 공기가 상기 가스 배출구(212)로 배출되거나, 또는, 셀 어셈블리의 발화시 발생된 고온의 가스가 가스 배출구(212)로 배출됨으로써, 빠른 반응성으로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가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팩(400)의 열폭주에 대한 빠른 대처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다시 7과 함께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340)는, 상기 공통 배관(333)을 개폐하도록 상기 공통 배관(333) 중 어느 일부분에 위치한 공통 밸브(343), 및 상기 분배 배관(336)을 개폐하도록 상기 분배 배관(336) 중 어느 일부분에 위치한 분배 밸브(346)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통 밸브(343)는 상기 소화 유닛(300)의 밸브 개폐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밸브(340)의 개방과 폐쇄를 컨트롤할 수 있는 능동형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소정 온도 이상일 때, 이를 소화 유닛(300)의 위치 산정부(356)가 감지하고, 상기 밸브 개폐부(353)가 상기 소화 탱크(320)로부터 소화제를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통 밸브(343)에 개방(open)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공통 밸브(343)를 개방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능동형 밸브는, 제어 밸브, 전동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공압 밸브 등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과 함께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분배 밸브(346)는,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 내부로 상기 소화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도록 구성된 수동형 밸브(347)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동형 밸브(347)는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 밸브(340)가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동형 밸브(347)는 유리 벌브(347a) 및 상기 유리 벌브(347a) 내부에 수용된 소정의 액체(보이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리 벌브(bulb, 347a)는 상기 수동형 밸브(347)의 유체가 흐르는 통로(347c)를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벌브(347a)는 소정 온도 예를 들면, 섭씨 70도 내지 섭씨 100도 이상에서 상기 소정의 액체의 부피 팽창에 의해 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동형 밸브(347)는,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내부에 위치될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 시, 밸브(340)의 유체가 흐르는 통로(347c)를 막고 있던 유리 벌브(347a)가 깨지면서 밸브의 통로(347c)가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동형 밸브(347)는 배출되는 유체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도록 분산 핀이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347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관 및 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다시 도 5 및 도 8과 함께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수동형 밸브(347)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터리 모듈(200)에 구비된 상기 가스 통로(211)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투입구(264)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관(330)은 상기 공통 배관(333)을 따라 복수의 분배 배관(336)이 구비되고, 상기 분배 배관(336)은 티이 배관 또는 엘보우 배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 배관(336)의 말단부는 분배 밸브(34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배 밸브(346)는 상기 수동형 밸브(347)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동형 밸브(347)는 유리 벌브 및 스프링클러 헤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 밸브(346)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터리 모듈(200)에 구비된 상기 가스 통로(211)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투입구(26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수동형 밸브(347)를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터리 모듈(200)에 구비된 상기 가스 배출 통로와 연통되도록 천공된 투입구(264)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열폭주 발생시, 상기 수동형 밸브(347)가 열리면서 열폭주가 발생된 배터리 모듈(200)만 개별적으로 소화제를 투입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소화제가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외부가 아닌 내부로 직접 분사할 수 있어, 열폭주가 일어난 배터리 모듈(200)의 화재를 효과적으로 소화시키고, 냉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배관 및 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와 함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 배터리 모듈(200A)은, 투입구(264)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투입구(264) 각각에는 분배 배관(336A)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분배 배관(336A)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200A)이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 개방되는 수동형 밸브(3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동형 밸브(347)는,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A) 내부로 상기 소화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동형 밸브(347)는 상기 배터리 모듈(200A)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될 경우, 밸브가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동형 밸브(347)는 상기 분배 배관(336A)의 말단에 위치되어, 상기 수동형 밸브(347)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투입구(264)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 13에서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배관(330A)은, 공통 배관(333A), 상기 공통 배관(333A)과 연결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분배 배관(336A)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2개의 분배 배관(336A) 중, 하나는 수동형 밸브(347)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배터리 모듈(200A)이 소정 온도 이상이 될 경우, 개방되는 능동형 밸브(34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능동형 밸브(348)는,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310)에서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A)을 감지할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 유닛(300)의 제어부(350)의 밸브 개폐부(도 4의 353)로부터 개폐 신호를 받아 작동하도록 구성된 능동형 밸브(348)일 수 있다. 상기 능동형 밸브(348)는 예를 들면, 모터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2개의 분배 배관(336A)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배터리 모듈(200A)이 소정 온도 이상이 될 경우, 개방되는 수동형 밸브(347)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능동형 밸브(348)가 구비됨으로써, 배터리 모듈(200A)의 열 폭주가 발생시 수동형 밸브(347)가 개방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소화 유닛(300)이 상기 능동형 밸브(348)에 신호를 보내 개방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배터리 팩(40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인 연기 감지 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과 함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소화 유닛(300)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에서 배출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서(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기 감지 센서(370)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의 최 상부(도 1, T)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배터리 모듈(200)의 화재가 발생할 경우, 발생된 가스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의 최 상부(도 1, T)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기 감지 센서(370)는 연기를 감지할 경우, 상기 소화 유닛(300)의 제어부(350)에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는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밸브 개폐부(353)가 상기 공통 밸브(343) 및/또는 상기 분배 밸브(346)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500)은 상기 배터리 팩(400), 및 상기 배터리 팩(400)을 수용하는 랙 케이스(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케이스(510)는 또한, 상기 배터리 팩(40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랙 케이스(510) 내부에서는 배터리 모듈(200)의 하부면이 수평면에 평행한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랙 케이스(510)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개방된 측면을 통해 배터리 모듈(200)이 내부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랙 케이스(510)는, 이러한 개방된 측면이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랙(500)은, 배터리 관리 장치(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53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600)는 상기 배터리 랙(500)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배터리 랙(500)은 일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 저장 장치(600)는 3개의 배터리 랙(500)이 일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저장 장치(600)는 3개의 배터리 랙(500)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200: 배터리 모듈 100: 셀 어셈블리
110: 이차전지 210: 모듈 하우징
211: 가스 통로 212: 가스 배출구
264: 투입구
300: 소화 유닛 310: 선형 온도 감지 센서
320: 소화 탱크 321: 토출구
330, 333, 336: 배관, 공통 배관, 분배 배관
340, 343, 346: 밸브, 공통 밸브, 분배 밸브
350, 353, 356: 제어부, 밸브 개폐부, 위치 산정부
370: 연기 감지 센서
400: 배터리 팩 500: 배터리 랙
510: 랙 케이스
600: 전력 저장 장치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과, 복수의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대규모 전력 저장 장치와 관련된 산업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1)

  1. 일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및
    일부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따라 선형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일 때 이를 감지하는 선형 온도 감지 센서, 내부에 소화제가 수용된 소화 탱크, 상기 소화 탱크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각각으로 상기 소화제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배관, 및 상기 소화 탱크로부터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로 소화제를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하도록 개방되는 밸브를 구비한 소화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각각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가스 통로 및 상기 가스 통로의 끝단에 형성되고 외부와 연통되도록 천공된 다수의 가스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는 일부분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각각에 구비된 가스 배출구와 대면하도록 상기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외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소화 탱크의 소화제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연결된 공통 배관, 및 상기 공통 배관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각각의 소화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연결되도록 분배된 구조의 분배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공통 배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공통 배관 중 어느 일부분에 위치한 공통 밸브, 및 상기 분배 배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분배 배관 중 어느 일부분에 위치한 분배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밸브는,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 내부로 상기 소화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도록 구성된 수동형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밸브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상기 가스 통로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투입구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밸브는,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에서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감지할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된 능동형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유닛은, 상기 선형 온도 감지 센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위치를 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산정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에는 상기 투입구가 2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2개 이상의 투입구 각각에는 분배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2개의 분배 배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된 수동형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분배 배관 중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된 능동형 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유닛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에서 배출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을 수용하는 랙 케이스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11. 제10항에 따른 배터리 랙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장치.
PCT/KR2020/010509 2019-08-08 2020-08-07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WO20210255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0324313A AU2020324313A1 (en) 2019-08-08 2020-08-07 Battery pack comprising extinguishment unit
CN202080055076.8A CN114175358A (zh) 2019-08-08 2020-08-07 包括灭火单元的电池组
JP2022500981A JP7233597B2 (ja) 2019-08-08 2020-08-07 消火ユニット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EP20850852.3A EP4002543A4 (en) 2019-08-08 2020-08-07 BATTERY PACK WITH EXTINGUISHING UNIT
US17/628,055 US20220278417A1 (en) 2019-08-08 2020-08-07 Battery pack comprising extinguishment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39 2019-08-08
KR1020190096939A KR20210017535A (ko) 2019-08-08 2019-08-08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5539A1 true WO2021025539A1 (ko) 2021-02-11

Family

ID=7450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0509 WO2021025539A1 (ko) 2019-08-08 2020-08-07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78417A1 (ko)
EP (1) EP4002543A4 (ko)
JP (1) JP7233597B2 (ko)
KR (1) KR20210017535A (ko)
CN (1) CN114175358A (ko)
AU (1) AU2020324313A1 (ko)
WO (1) WO20210255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18951A1 (en) * 2022-01-27 2023-08-02 Samsung SDI Co., Ltd. Energy storag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041A (ko) * 2019-09-05 2021-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KR20210033763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KR20220152918A (ko) * 2021-05-10 2022-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소화 시스템
KR102442567B1 (ko) 2021-08-23 2022-09-14 인셀(주) 이차 전지 시스템
US20230231268A1 (en) * 2022-01-18 2023-07-20 Carrier Corporation Suppression of safety gases
KR102407796B1 (ko) * 2022-01-28 2022-06-10 정대원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소화장치
KR102531012B1 (ko) 2022-03-17 2023-05-11 김동휘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KR102531013B1 (ko) 2022-03-17 2023-05-12 김동휘 전기 모빌리티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WO2024107392A1 (en) * 2022-11-15 2024-05-23 Enphase Energy, Inc. Storage system configured for use with an energy management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000A (ko) * 2005-07-05 2007-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소화 시스템
KR20090051889A (ko) * 2007-11-20 2009-05-25 지멘스신화주식회사 광센서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20110090236A (ko) * 2010-02-03 2011-08-1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424704B1 (ko) * 2011-09-08 2014-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KR101918022B1 (ko) * 2018-08-29 2018-11-13 (주)대은 공조 및 소화 기능을 포함하는 ess시스템
KR20190096939A (ko) 2016-12-22 2019-08-20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무코팅 금속 표면의 산화를 감소시키기 위한 카테콜 화합물 및 관능화된 공-반응 화합물의 예비 형성된 반응 생성물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3139B2 (ja) * 2002-08-30 2007-09-26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JP5074809B2 (ja) 2007-04-16 2012-11-14 ホーチキ株式会社 閉鎖型消火ヘッド
JP4953013B2 (ja) * 2007-08-23 2012-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異常監視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二次電池収容棚
JP4786700B2 (ja) * 2008-12-24 2011-10-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5421632B2 (ja) 2009-03-27 2014-02-19 伊藤忠商事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8851197B2 (en) * 2011-04-28 2014-10-07 Pacific Scientific Energetic Materials Company Self contained fire extinguisher system including a linear temperature sensor
JP6126816B2 (ja) 2012-09-24 2017-05-10 日本碍子株式会社 組み合わせ製品
JP6189603B2 (ja) 2013-02-19 2017-08-30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装置
JP2016067642A (ja) 2014-09-30 2016-05-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消火設備、蓄電装置および蓄電装置消火方法
CN204158920U (zh) * 2014-10-24 2015-02-18 江西凯马百路佳客车有限公司 一种分体式电池箱自动灭火装置
JP2019075191A (ja) 2016-03-08 2019-05-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装置
CN109513135B (zh) * 2018-12-07 2023-09-0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储能集装箱消防系统及方法
CN210583417U (zh) * 2019-08-30 2020-05-22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户外储能系统机柜以及户外储能系统
KR20210097523A (ko) * 2020-01-30 2021-08-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000A (ko) * 2005-07-05 2007-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소화 시스템
KR20090051889A (ko) * 2007-11-20 2009-05-25 지멘스신화주식회사 광센서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20110090236A (ko) * 2010-02-03 2011-08-1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424704B1 (ko) * 2011-09-08 2014-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KR20190096939A (ko) 2016-12-22 2019-08-20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무코팅 금속 표면의 산화를 감소시키기 위한 카테콜 화합물 및 관능화된 공-반응 화합물의 예비 형성된 반응 생성물의 용도
KR101918022B1 (ko) * 2018-08-29 2018-11-13 (주)대은 공조 및 소화 기능을 포함하는 ess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02543A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18951A1 (en) * 2022-01-27 2023-08-02 Samsung SDI Co., Ltd. Energy stor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2543A1 (en) 2022-05-25
AU2020324313A1 (en) 2022-03-17
EP4002543A4 (en) 2022-12-21
JP7233597B2 (ja) 2023-03-06
KR20210017535A (ko) 2021-02-17
CN114175358A (zh) 2022-03-11
JP2022540463A (ja) 2022-09-15
US20220278417A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25539A1 (ko)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WO2021045410A1 (ko)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WO2021002626A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WO2021054625A1 (ko)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WO2021153926A1 (ko)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WO2021091058A1 (ko)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WO2021145706A1 (ko) 방염 시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WO2021172785A1 (ko) 배터리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WO2022050780A1 (ko)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WO2020256304A1 (ko) 가스배출통로를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장치
WO2022031056A1 (ko) 배터리 모듈,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1177761A1 (ko) 배터리 랙 및 이러한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WO2021145605A1 (ko) 흡수 부재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WO2020242035A1 (ko) 열 폭주 현상 발생 시 내부로 투입된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ess
WO2022075635A1 (ko)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WO2021015469A1 (ko) 전력 저장 장치
WO2023027404A1 (ko) 이차 전지 시스템
WO2022164180A2 (ko) 화재 방지 성능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WO2022086060A1 (ko)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WO2021091329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WO2022260425A1 (ko) 배터리 모듈,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33458A1 (ko) 열폭주 시 산소 유입 차단을 위한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WO2022169247A2 (ko) 셀 단위 가스계 소화약제 가이드 날개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과 에너지 저장장치
WO2021177759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이러한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WO2022108290A1 (ko) 열확산 억제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508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0098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508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218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324313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00807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