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62776A1 - 연료처리장치 및 그 연료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가상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처리장치 및 그 연료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가상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62776A1
WO2020262776A1 PCT/KR2019/016092 KR2019016092W WO2020262776A1 WO 2020262776 A1 WO2020262776 A1 WO 2020262776A1 KR 2019016092 W KR2019016092 W KR 2019016092W WO 2020262776 A1 WO2020262776 A1 WO 20202627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formed
fuel
reactor
steam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60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승철
Original Assignee
비비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비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비에이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02627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627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8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Processes to increase or to retard the rate of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1Controlling catalyt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477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thermal insul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504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means of a bur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11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by combustion of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33Heating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ot fluids, other than combustion gases, product gases or non-combustive exothermic reaction product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66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by combination of different heating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processing device for treating hydrocarbons to provide hydrogen and a virtual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fuel processing device.
  • Fuel treatment units are units that extract hydrogen from hydrocarbons, such as methane or butane.
  • hydrocarbons such as methane or butane.
  • Patent Registration No. 10-1771303 a fuel processing device, is known.
  •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uel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by unifying a conversion reactor.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uel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steam reactor and a conversion reactor are individually controlled to prevent damage to the catalyst.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uel processing apparatus that enables a catalyst to be exchanged and thus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replacing the catalyst.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uel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output and heat quantity by providing a fuel processing device that is modularized so that the supply fluid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fuel processing device is individually controlled.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uel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catalytic reaction of a steam reactor is efficiently performed.
  • At least two distributed power sources At least two distributed power sources;
  • a hydrogen production/storage system for producing and storing hydrogen using the surplus power of the at least two distributed power sources;
  • a demand supply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 distributed power supply with insufficient power by generating power using the hydrogen when power is insufficient i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two distributed power sources, wherein the demand supply control device includes the at least Its number is smaller than that of two distributed power sources, and the accommodation supply control device includes a fuel cell and a reformer that supplies hydrogen to the fuel cell.
  • the configuration is modularized and simplified, so that a fuel processing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and simply. For exa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elding operation becomes easy.
  • the steam reactor and the conversion reactor ar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dividual control of each module is possibl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parts, particularly, damage to the catalyst.
  • the catalyst can be ex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 time of the fuel treatment device is lengthen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output control of the fuel processing device and the heat quantity control can be controlled by enabling individual operation control for each module.
  • the catalyst region of the steam reactor can react as a who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uel treatment efficiency is increas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iciently operate a virtual power generation system in a distributed power supply using fluctuating new and renewable energy.
  • FIG. 1 is a view showing a fue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th a mechanical configuration as the center
  • FIG. 2 is a view showing a fue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th a heat exchange action as the center.
  • FIG. 3 is a view showing a fue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th a focus on flow and control.
  • FIG. 1 and 3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e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 is a view showing a mechanical configura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heat exchange action
  • FIG. 3 is a fluid flow And a view showing the control.
  • Each drawing may have a configuration not shown in any one drawing, but the overall interaction is the same. In some cases, a simple configuration such as a check valve may not be shown within an operable range.
  • the operation of the fuel process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sequentially.
  •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at a corresponding pipe or a valve or a fluid in the pipe can be indicated togeth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 the first material water inlet is indicated by 11, and a valve that controls the first reformed water pipe through which the first reformed water flows, the first reform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reformed water inlet, and the first material water inlet It may be referred to as FIG. 11.
  • the valve may control the flow rate, or may control the flow on and off.
  • FIG. 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a fue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is drawing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member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center may not be displayed on the other side.
  • the member of this drawing may be configured as a hollow cylind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al view, and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by winding a pipe in a coil shape.
  • the steam reaction module 1 and the conversion reaction module 2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eparate casings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pipes.
  • At least a steam reactor 4 is included in the steam reaction module 1 to perform an action of reforming hydrocarbons into hydrogen.
  • the conversion reaction module 2 includes at least a conversion reactor 5 to perform a reaction of harmlessly converting harmful gases.
  • the steam reaction module 1 may be provided in a configuration stacked up and down as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configured in a different arrangement method, such as two modules spaced left and right from each other by extending or ben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ipe. .
  • the conduit connecting each component is shown to be concentr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uel processing device for convenie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rranged in other places, such as the side, as long as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fuel processing device.
  • the steam reactor 4 and the conversion reactor 5 are each external when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by applying a locking fitting structure. It can be revealed. Accordingly, when the life of the catalyst is over, the catalyst in the steam reactor 4 and the conversion reactor 5 may be exchanged.
  • each module Since the two modul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reduction of each module can be per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since the reduction process of each module does not affect other modules, the reduction process of each module can be properly performed, and the reduction process time is shortened, so that start/stop and sudden stop/quick start are performed faster. Can be.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the catalyst can be increased by a reduction treatment suitable for each module. As a result, the damage to the catalyst is reduced, and of course, the life of the catalyst can be extended.
  • the steam reaction module (1) includes a second heat exchanger (7) placed at the bottom and storing reformed fuel and reformed water, and a burner (7) plac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heat exchanger (7) and spraying a flame upward ( 3), a steam reactor 4 disposed outside the flame of the burner 3, and a first heat exchanger 6 disposed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outside of the stamp reactor 4.
  • the reformed water may include the first reformed water and the second reformed water.
  • the second reformed water may be reformed water supplied directly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7 from the outside.
  • the first reformed water may be reformed water heated by receiving heat from the third heat exchanger 8 and the fourth heat exchanger 9 provided to the conversion reaction module 9.
  • the reformed fuel may be a fuel supplied from the outside.
  • the reformed fuel may be a hydrocarbon, and natural gas may be used.
  • the reformed fuel may be supplied together with the second reformed water.
  • the steam reactor 4 may be a hollow cylinder, but at least two or more pipes may be annular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long vertically.
  • Nickel may be used as a catalyst for the steam reactor 4.
  • the reformed fuel and the reformed water are heated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6 placed outside the steam reactor 4 and then transferred to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of the steam reaction module 1 spaced apart from the steam reactor 4 do.
  • the reformed fuel and the reformed water may be supplemented by the third reformed water injected through the third reformed water inlet 13.
  • the reformed water flowing through each of the reformed water inlets 11, 12 and 13 is abbreviated as reformed water.
  • the reformed water injected through the third reformed water inlet 13 is called third reformed water.
  • the reformed fuel and the reformed water may move downward and are heated by heat from the burner 3, and then may be supplied to the steam reactor 4. In this way, since the reformed fuel and the reformed water are directly heated by the flame of the burner 3, the reformed fuel and the reformed water can be sufficiently heated.
  • the flame of the burner 3 is closed, and a pot for storing the reformed fuel and the reformed wat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 the reformed fuel and reformed water are reformed in the steam reactor 4 and then transferr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7. After the reformed reformed gas is heat-exchanged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7), it moves to the conversion reaction module (2).
  • Combustion fuel and air provided to the burner 3 may be directly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burner 3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heat exchanger 7.
  • the combustion fuel may be supplied to the burner through the combustion fuel inlet 31 and the air inlet 32.
  • the problem of heating the burner due to the reverse flow of the flame can be improved.
  • insufficient heat is supplemented in the top of the steam reactor 4, where endothermic reaction occurs mainly, and the catalytic reaction is evenly performed in the entire area of the steam reactor 4. You can make it happen.
  •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steam reactor 4 is reduced.
  • the reformer inlet is provided with three, it is possible to optimally control the amount of heat exchange between each flui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input and the position of the inj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uel treatment device.
  • the temperatures of the steam reaction module 1 and the conversion reaction module 2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when adjusting the load of each module,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o different thermal equilibrium of each process of the two modules. .
  • a reducing gas intake and discharge port 41 is provided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reformed gas, which is the exhaust gas of the steam reactor 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as not to flow into the conversion reactor 5.
  • the reducing gas of the steam reactor may be a mixture of H2 and H2O
  • the reducing gas of the conversion reactor may be H2 or CH4. The reduc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 the conversion reaction module 2 includes a fourth heat exchanger 9 and a third heat exchanger 8 for heating the first reform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reformed water inlet 11.
  • the fourth heat exchanger 9 mainly performs heat exchange between the first reformed water and the reformed gas.
  • the third heat exchanger 8 performs heat exchange between the combustion gas, the reformed gas and the first reformed water. Accordingly, the third heat exchanger 8 may be further heated by the first reformed water heated by the fourth heat exchanger 9.
  • the combustion gas is branched into the second combustion gas 34 passing through the third heat exchanger 8 and the first combustion gas 33 not passing through the third heat exchanger 8, so that the amount of heat exchange may be adjusted.
  • each flow rate of the branch passage may be controlled using a member such as a valve.
  • the first reformed water heated by the heat exchangers 8 and 9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7.
  • the high-temperature reformed gas supplied from the steam reaction module 1 gradually flows up and down the third and fourth heat exchangers 8 and 9, After moving from the side to the inside,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ormed gas outlet (21).
  • a conversion reactor 5 is placed on the path of the reformed gas to remove harmful gases.
  • the conversion reactor 5 may be a hollow cylinder, but at least two or more pipes may be annular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long vertically.
  • the reformed gas outlet 21 is configured a little more complicated,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3.
  • a heater 51 is provided at an inlet through which the reformed gas is sucked from the conversion reactor 5, that is,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version reactor 5.
  • the heater may be a sheath heater.
  • the heater 51 may directly heat the sucked reformed ga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reformed gas and the heater can heat the catalyst of the conversion reactor 5.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heat the catalyst more quickly than a method of he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ntional conversion reactor 5,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emperature deviation inside and outside the catalyst or above and below the catalyst. Accordingly, in the end, sudden start of the conversion reactor 5 may be possible.
  • Copper may be used as a catalyst for the conversion reactor 5.
  • the inlet of the conversion reactor 5, which is provided long vertically, at the bottom the heat of the conversion reactor 5, which is an exothermic reaction, naturally moves upward,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conversion reactor 5 catalyst. Can be reduced. For this reason, the entire region of the conversion reactor can act as a catalyst.
  • the first reformed water may rise while filling the internal volume of the conversion reaction module 2.
  • the water surface of the first reformed water may reach the second heat exchanger 7. This state may be a normal operating state of the fuel processing device.
  • the steam reaction module and the conversion reaction modu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heating and cooling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efficiency due to different heat loads of each module.
  •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steam reactor and the conversion reactor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at is, since the remaining heat of the steam reaction process heats the conversion reactor, the response performance is poor. In order to cool the conversion reactor, an excessive amount of water is injected,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Therefore, in case of sudden overheating of the conversion reactor, virtually all of the process must be stopped and stop operation must be entered. However, even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nversion reactor partially rises as latent heat of the steam reaction process remains. In this way, the problem of moving the steam reactor and the conversion reactor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can be solved with the fuel treatment apparatus of the embodiment.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e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cusing on a heat exchange action.
  • the reformed fuel and the reformed water are heated by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6 and 7, and further heated by the burner 3. Meanwhile, the third reformed water may be supplied to a pot adjacent to the burner without heating to cool the reformed fuel and the reformed water. According to the third process, sudden stop and sudden start can be performed quickly.
  • the steam reactor 4 may absorb combustion heat of the burner 3 and heat conducted from the side to perform a reforming action by a catalyst through an endothermic reaction.
  • the first heat exchanger 6 may perform heat exchange with combustion gas and reforming raw materials (reformed fuel and reformed water).
  • the second heat exchanger 7 may be provided as a triple heat exchanger.
  • the heat of the combustion gas and the reformed gas can be transferred to the reformed fuel and the reformed water. Thereby, the reforming material can be heated.
  •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by bypassing the combustion gas input to the conversion reaction module 2. Through this, the process temperature of the conversion reaction module 2, in particular, the conversion reactor 5 can be controlled.
  • the third heat exchanger 8 performs a triple heat exchange action of the combustion gas, the reformed gas, and the first reformed water. Thereby,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cool the reformed gas and recover the exhaust heat of the combustion gas.
  • the reformed fuel and the second reformed water in gaseous state can be heated to control the process speed.
  • the conversion reactor 5 Since the conversion reactor 5 is an exothermic process, the reformed fuel, combustion gas, and heat of the conversion reactor 5 can all be cooled using the first reformed water.
  • the third and fourth heat exchangers 8 and 9 can perform this func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e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cusing on a control action.
  • the reformed fuel and the reformed water are supplied through the respective injection ports 11, 12, and 13.
  • the first combustion gas 33, the first reformed gas 411, the second reformed gas 412, and the reducing gas 41 are all blocked from their flow. Through this, raw materials for reforming can be introduced.
  • the reformed ga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reformed gas outlet 21 or supplied to the burner 3 together with the reformed fuel by controlling the second reformed gas valve 412 to be burned.
  • the steam reactor 4 may be heated by combustion gas, air, reforming gas, and burner.
  • the conversion reactor 5 may be heated by a heater 51 and exhaust gas.
  • the steam reactor 4 may be cooled by the third reformed water 13 and air.
  • the conversion reactor 5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flow rate and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reformed water.
  • the reformed fuel reformed water inlet valve 12 is opened so that the mixed gas of H2 and H2O is sucked into the steam reactor 4.
  • the reformed fuel and the reformed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separate pipes.
  • the reducing gas is discharged by opening the reducing gas valve 41 to discharge the reformed gas so that the reformed gas containing H2O does not enter the conversion reactor 5. And the main reformed gas valve and the second reformed gas valve 412 are shut off. To reuse the exhausted reformed gas as combustion fuel, the reducing gas valve 41 may be closed and the first reformed gas valve 411 may be opened to burn the reformed gas.
  • Steam reactor heating It can be done by supplying air and raw materials for combustion and by the heat of combustion in the burner.
  • Cooling of the steam reactor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the second reformed water and the third reformed water by adjusting the flow rate and ratio. In addition, it can be cooled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air.
  • the process of the steam reactor is stopped and only H2 or CH4 is injected into the reducing gas valve 41.
  • the first reformed gas valve 411, the combustion fuel valve 31, the first 1, 2, and the reformed water injection ports 11, 12, 13 are closed, and the reducing gas flows into the conversion reactor 5 I can go.
  • H2O should not be present in the reducing gas.
  • the reducing gas discharge may be performed by opening the reformed gas bell 21.
  • the heating of the conversion reactor may be performed by heating the reduced fuel with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fuel and the heater 51 of the reduced fuel suction unit.
  • Cooling of the conversion reactor can be performed by circulating air through the combustion line. If necessary, the first reformed water 11 may be injected as cooling water and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reformed water inlet 12 in the form of steam.
  • VPP virtual power plant
  • the fuel cell system may include a fuel cell system (fuel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creating a flexible supply based on energy demand.
  • the fuel cell system may be used as a system that produces insufficient energy.
  • a system capable of elastically converting and storing electrical energy due to excess energy into hydrogen may be included.
  • This system may include a hydrogen production/storage system.
  • a hydrogen transport device that transports produced hydrogen
  • an electricity supply device that supplies electricity
  • a hot water utilization device that utilizes hot water
  • the fuel cell system supplies insufficient energy when configuring the entire virtual power plant
  • the hydrogen production/storage system is a system that stores excess energy, and two systems for production and storage are interlocked to operate in the virtual power plant. It can be used as a supply and demand control device for efficient use of energy.
  • the hydrogen transport device, the electricity supply device, and the hot water utilization device may be used as an energy transport means to serve as an accommodation and supply control device for a shortage energy production system and a hydrogen production system.
  • the hydrogen production device is located in each new and renewable energy distributed power source, and can produce hydrogen for storage of excess energy.
  • the produced hydrogen is transported to a hydrogen storage device connected to a centrally located fuel cell system.
  • the fuel cell system may be provided as a single central service system for at least two distributed power sources. Two or more fuel cell systems may be provided in parallel, but may be provided smaller than the number of distributed power sources.
  • the unpredictable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volume of a new and renewable energy distributed power source (or any other form of distributed power source having an intermittent nature) is converted into hydrogen using a flexible hydrogen production device, which is then transferred to the accommodation supply control device.
  • a flexible hydrogen production device By supplying, it is possible to reduce various losses and damages caused by fluctuations in electrical energy of the entire virtual power plant grease.
  • the transported hydrogen is supplied using a fuel cell system in case of lack of energy in a specific distributed power source of the entire virtual power plant.
  • the fuel cell system is used to produce insufficient hydrogen.
  • the capacity and necessity of the fuel cell system are determined using the following energy balance equation.
  • E2 Electric energy supplied through distributed fuel cell power
  • the amount of hydrogen stored in the virtual power plant increases.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recommended to use machinery that can supply hydrogen to other virtual power plants or that can bring demand for hydrogen, such as hydrogen vehicles.
  • Storage in the form of hydrogen enables more stable long-term storage than energy storage using a secondary battery that causes natural energy loss over time.
  • a hydrogen storage device for storing hydrogen in the hydrogen production/storage system may be provided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the fuel cell system.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safety and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hydrogen.
  • the hydrogen storage device may collect and store hydrogen produced by at least two hydrogen production devices provided in the hydrogen production/storage system.
  • Hydrogen produced from each distributed power source is transported to a fuel cell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ource with a fuel cell system that serves as a central accommodation and supply control device for central management.
  • the fuel cell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ource which will play the role of an accommodation supply control device when the electricity of a specific distributed power source is insufficient, produces and supplies electricity by using stored hydrogen or hydrogen supplied from a separately connected fuel cell system when insufficient. .
  • the fuel cell power source in the center is advantageous for carbon dioxide treatment when necessary by centralizing the point of carbon dioxide generation.
  • Hot water can also be used to optimize overall efficiency. Hot water is produced from the fuel cell system and fuel processing unit and is transported to specific distributed power systems as needed.
  • hot water can increase the efficiency through the use of a cooling system using it.
  • the virtu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virtual power plant because it can quickly respond to produce and use hydrogen by using the fuel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발전시스템에는,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의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저장하는 수소 생산/저장시스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전력이 부족할 때, 상기 수소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전력이 부족한 분산전원에 전기를 공급하는 수요공급조절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수요공급조절장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보다 그 수가 작고, 상기 수용공급조절장치에는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전지에 수소를 공급하는 개질기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연료처리장치 및 그 연료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가상발전시스템
본 발명은 탄화수소를 처리하여 수소를 제공하는 연료처리장치 및 그 연료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가상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처리장치는 탄화수소, 예를 들어 메탄 또는 부탄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의 종래기술로서, 특허등록번호 10-1771303, 연료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고온전환반응기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스팀리액터와 전환반응기가 일관되는 관로로 제공되어, 촉매의 환원이 오래 걸리고, 촉매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연료처리장치의 각 구성이 일체로 모듈화 되어 있기 때문에, 촉매를 개별적으로 분리 및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기, 개질연료, 연소연료, 및 물의 주입이 각각 단일의 주입구로 제공되기 때문에, 시동, 및 정지시의 운전에 대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급정지 및 급시동 시에는 기기가 파손되거나, 촉매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일의 주입구로 인하여 각 부분별로 시스템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연료처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유체의 제어가 연료처리장치의 정상상태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연료처리장치의 발생 수소량이 일정하게 정해져서 그 출력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스팀 리액터의 촉매반응이 버너의 상부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수용되는 촉매를 전체로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연료처리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환반응기를 단일화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연료처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스팀리액터와 전환반응기가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촉매의 손상을 방지하는 연료처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촉매의 교환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촉매를 교환하는 것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연료처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모듈화되는 연료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연료처리장치를 이루는 각 부분품의 공급유체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여, 출력조절, 및 열량조절이 제어가능한 연료처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스팀 리액터의 촉매반응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연료처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발전시스템에는,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의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저장하는 수소 생산/저장시스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전력이 부족할 때, 상기 수소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전력이 부족한 분산전원에 전기를 공급하는 수요공급조절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수요공급조절장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보다 그 수가 작고, 상기 수용공급조절장치에는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전지에 수소를 공급하는 개질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이 모듈화 단순화됨으로써, 연료처리장치를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작업이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팀리액터와 전환반응기가 서로 분리되는 구조물에 제공됨으로써, 각 모듈의 개별제어가 가능하여 부품의 손상, 특히, 촉매의 손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촉매의 교환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연료처리장치의 사용시간이 길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각 모듈에 대한 개별 동작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연료처리장치의 출력조절, 및 열량조절이 제어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팀 리액터의 촉매영역이 전체적으로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처리효율이 상승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요동하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분산전원에서, 가상발전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를 기구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보이는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를 열교환 작용을 중심으로 보이는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를 유동 및 제어를 중심으로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및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은 기구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열교환 작용을 중심으로 보이는 도면이고, 도 3은 유체흐름 및 제어를 중심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각 도면에는 어느 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성이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인 상호 작용은 서로 동일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동작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체크벨브 등의 간단한 구성은 도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순차적으로 참조하여 연료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번호가 지시되는 것은, 해당하는 관로 또는 밸브 또는 관로의 유체를 함께 지시하여 이해를 편리하게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재질수 주입구는 11로 지시되고, 제 1 개질수가 유동하는 제 1 개질수 관로, 제 1 개질수 주입구를 통과하는 제 1 개질수, 및 제 1 재질수 주입구를 제어하는 밸브도 11로 지칭할 수 있다. 다른 부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밸브는 유량을 제어할 수도 있고, 유동을 온오프로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의 기구적 구성을 보이는 세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은 단면도로서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표시되는 부재가 다른 일측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도면의 부재는 단면도 중심을 기준으로 속이 빈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파이프를 코일형태로 감아 원통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파이프를 환상형으로 배치하여 원통형을 구현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는, 스팀반응모듈(1) 및 전환반응모듈(2)이 서로 별도의 케이싱으로 분리되고 다수의 관로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반응모듈(1)에는 적어도 스팀 리액터(4)가 포함되어 탄화수소를 수소로 개질하는 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환반응모듈(2)은 적어도 전환반응기(5)가 포함되어 유해가스를 무해하게 전환하는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반응모듈(1)은 도면과 같이 상하로 적층되는 구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으나, 관로의 구성이 연장되거나 굴곡되는 것에 의해서 두 모듈이 서로 좌우로 이격되는 등의 다른 배치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 부품을 연결하는 관로는 편의상 연료처리장치의 하부에 집중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연료처리장치의 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한, 측부 등 다른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되는 바와 같이, 두 모듈이 서로 별도의 케이싱을 이용하여 분리되어 이격됨으로써, 스팀리액터(4)와 전환반응기(5)는 잠금피팅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잠금장치가 풀이도록 하는 경우에는, 각각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촉매의 수명이 다하는 등의 경우에는 스팀리액터(4)와 전환반응기(5) 내부의 촉매를 교환할 수도 있다.
상기 두 모듈이 서로 분리됨으로써, 각 모듈의 환원이 서로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는 각 모듈의 환원공정이 다른 모듈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각 모듈의 환원공정이 알맞게 수행될 수 있고, 환원공정시간이 단축됨으로써, 기동/정지, 및 급정지/급시동이 더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에 적합한 환원처리로 촉매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결과적으로 촉매의 손상이 줄어들어 촉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상기 스팀반응모듈(1)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스팀반응모듈(1)에는, 하부에 놓이고 개질연료 및 개질수를 저장하는 제 2 열교환기(7), 상기 제 2 열교환기(7)의 가운데에 놓이고 상방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3), 상기 버너(3)의 화염의 바깥쪽에 놓이는 스팀 리액터(4), 상기 스탬 리액터(4)의 외부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놓이는 제 1 열교환기(6)가 포함된다.
개질의 원료가 되는 개질연료 및 개질수의 이동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팀 리액터(4)에서 촉매반응되는 개질의 원료로서 개질연료 및 개질수는 상기 제 2 열교환기(7)로부터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개질수는, 제 1 개질수 및 제 2 개질수가 포함될 수 있다. 제 2 개질수는 외부에서 상기 제 2 열교환기(7)로 직접 공급되는 개질수 일 수 있다. 상기 제 1 개질수는, 상기 전환반응모듈(9)에 제공되는 제 3 열교환기(8) 및 제 4 열교환기(9)에서 열을 받아 더워진 개질수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질연료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연료일 수 있다. 상기 개질연료는 탄화수소를 예시할 수 있고, 천연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질연료는 상기 제 2 개질수와 함께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리액터(4)는 속이 빈 원통형이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파이프가 환상형으로 서로 이격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리액터(4)의 촉매로는 니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질연료 및 개질수는 상기 스팀 리액터(4)의 외부에 놓이는 제 1 열교환기(6)를 거쳐서 가열된 후에, 스팀 리액터(4)와 이격되는 스팀반응모듈(1)의 중앙부 빈 공간으로 이송된다. 상기 개질연료 및 개질수는 제 3 개질수주입구(13)를 통하여 주입되는 제3 개질수에 의해서 보충될 수 있다.
각 개질수 주입구(11)(12)(13)를 통하여 유입되는 개질수는 개질수로 약칭한다. 예를 들어 제 3 개질수 주입구(13)를 통하여 주입되는 개질수는 제 3 개질수라고 이름한다.
상기 개질연료 및 개질수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버너(3)로부터의 열에 의해서 가열된 후에, 상기 스팀 리액터(4)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개질연료 및 상기 개질수가 상기 버너(3)의 화염에 의해서 직접 가열되기 때문에, 개질연료 및 개질수가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 상기 버너(3)의 화염이 닫고, 개질연료 및 개질수가 저장되는 단지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질연료 및 개질수는는 스팀 리액터(4)에서 개질된 다음에, 제 2 열교환기(7)로 이동한다. 개질된 개질가스는 제 2 열교환기(7)에서 열교환된 다음에, 상기 전환반응모듈(2)로 이동한다.
상기 버너(3)에 제공되는 연소연료 및 공기는, 외부에서 상기 제 2 열교환기(7)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버너(3)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연소연료는 연소연료주입구(31), 상기 공기는 공기주입구(32)를 통하여 버너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버너(3)가 상방으로 화염을 분사함으로서, 화염이 역류하여 버너를 가열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화염이 스팀 리액터(4)의 상부에 직접 가 닫도록 함으로써, 흡열반응이 주로 일어나는 스팀 리액터(4)의 상부에 부족한 열을 보충하고, 스팀 리액터(4)의 전체 영역에 골고루 촉매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스팀 리액터(4)의 상하에서 온도차이가 줄어드는 것도 물론이다.
상기되는 바와 같이 개질기 주입구가 세 개로 마련됨으로써, 물의 투입량과 투입위치를 제어하여, 각 유체간의 열교환량을 연료처리장치의 위치별로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스팀반응모듈(1) 및 전환반응모듈(2)의 온도가 서로 분리되어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각 모듈의 부하를 조절할 때 두 모듈의 각 공정의 서로 다른 열평형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의 연료처리장치에는, 환원가스흡배출구(41)가 마련되어 스팀리액터(4)의 배출가스인 개질가스가 전환반응기(5)로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스팀리액터의 촉매와 전환반응기의 촉매에 대응하여, 환원공정에서 서로 다른 환원가스의 흐름을 분리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리액터의 환원가스는 H2와 H2O 혼합가스이고, 전환반응기의 환원가스는 H2 또는 CH4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환원공정은 추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전환반응모듈(2)이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전환반응모듈(2)에는, 제 1 개질수 주입구(11)를 통하여 공급되는 제 1 개질수를 가열하는, 제 4 열교환기(9) 및 제 3 열교환기(8)가 포함된다. 상기 제 4 열교환기(9)는 주로 상기 제 1 개질수와 상기 개질가스 간에 열교환이 수행된다. 상기 제 3 열교환기(8)는 상기 연소가스와 상기 개질가스와 상기 제 1 개질수 간에 열교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제 3 열교환기(8)는, 상기 제 4 열교환기(9)에 의해서 가열된 제 1 개질수가 추가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연소가스는, 상기 제 3 열교환기(8)를 거치는 제 2 연소가스(34)와 거치지 않는 제 1 연소가스(33)로 분기됨으로써, 열교환의 양이 조절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밸브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분기유로의 각 유량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8)(9)에 의해서 가열된 제 1 개질수는, 상기 제 2 열교환기(7)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8)(9)의 열교환을 위하여, 상기 스팀반응모듈(1)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개질가스는, 제 3, 4 열교환기(8)(9)의 상하로 유동하면서 점진적으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한 다음에 개질가스출구(21)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개질가스의 이동경로에는, 전환반응기(5)가 놓여,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전환반응기(5)는 속이 빈 원통형이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파이프가 환상형으로 서로 이격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질가스출구(21)는 조금 더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3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전환반응기(5)에서 상기 개질가스가 흡입되는 입구, 즉, 전환반응기(5)의 하부에는 히터(51)가 마련된다. 상기 히터는 시즈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히터(51)는 상기 흡입되는 개질가스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개질가스 및 상기 히터가 전환반응기(5)의 촉매를 가열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이때문에, 종래 전환반응기(5)의 외부표면을 가열하는 방식에 비하여 촉매를 더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고, 촉매 내외부나 상하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결국, 전환반응기(5)의 급시동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상기 전환반응기(5)의 촉매로는 구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길게 제공되는 상기 전환반응기(5)의 입구를 하부에 배치함으로서, 발열반응인 전환반응기(5)의 열이 상부로 자연스릅게 이동함으로써, 전환반응기(5) 촉매의 상하에서 온도차이를 줄일 수 있다. 이때문에, 전환반응기의 전체 영역이 촉매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질수는 상기 전환반응모듈(2)의 내부용적을 채우며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질수의 수면은, 상기 제 2 열교환기(7)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 상태는 연료처리장치의 정상운전상태일 수 있다.
실시예의 연료처리장치에 따르면, 상기 스팀반응모듈과 전환반응모듈이 서로 분리됨으로써, 가열 및 냉각이 서로 독립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에 따르면, 각 모듈의 열부하가 달라짐으로 인한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 따르면, 스팀리액터와 전환반응기의 온도조절이 서로 연동된다. 즉 스팀반응공정의 남는 열이 전환반응기를 가열하기 때문에 응답성능이 떨이지고. 전환반응기를 냉각시키려면 물을 과량으로 주입하므로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전환반응기의 급격한 과열시, 사실상 공정을 모두 중단하고 정지 운전으로 들어가야 한다. 하지만 이때도 스팀반응공정의 잠열이 남아있어 전환반응기온도가 일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스팀리액터와 전환반응기가 서로 연동되어 움직이는 문제를 실시예의 연료처리장치로 해소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를 열교환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스팀반응모듈(1)의 열교환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2 열교환기(6)(7)로 개질연료 및 개질수를 가열하고, 버너(3)에 의해서 추가로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개질수는 가열이 없이 바로 버너에 인접하는 단지로 공급되어 개질연료 및 개질수를 냉각할 수도 있다. 상기 제 3 공정에 따르면, 급정지 및 급시동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리액터(4)는 버너(3)의 연소열 및 측면에서 전도되는 열을 흡수하여 흡열반응을 통하여 촉매에 의한 개질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6)는 연소가스 및 개질원료(개질연료와 개질수)와 열교환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기(7)는 삼중 열교환기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소가스 및 개질가스의 열이, 개질연료 및 개질수로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개질원료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전환반응모듈(2)의 열교환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전환반응모듈(2)로 입력되는 연소가스를 바이패스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환반응모듈(2), 특히, 전환반응기(5)의 공정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열교환기(8)는, 연소가스, 개질가스, 및 제 1 개질수의 삼중열교환작용을 수행한다. 이로써, 개질가스를 충분히 냉각하고, 연소가스의 배열을 회수할 수 있다.
개질연료 및 제 2 개질수의 유동관로가 전환반응기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가스상태인 개질연료 및 제 2 개질수를 가열하여 공정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환반응기(5)는 발열공정이기 때문에, 제 1 개질수를 이용하여 개질연료, 연소가스, 전환반응기(5)의 열 모두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4 열교환기(8)(9)가 이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를 제어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에서 개질작용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개질연료와 개질수의 공급를 각 주입구(11)(12)(13)를 통하여 수행한다. 이 경우에 제 1 연소가스(33), 제 1 개질가스(411) 제 2 개질가스(412), 환원가스(41)는 모두 그 유동이 차단된다. 이를 통하여 개질을 위한 원료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개질가스는, 상기 개질가스출구(21)를 통하여 배출되거나, 제 2 개질가스 밸브(412)를 제어하여, 개질연료와 함께 버너(3)로 공급되어 연소될 수 있다.
가열이 필요한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스팀 리액터(4)는, 연소가스, 공기, 개질가스, 버너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전환반응기(5)는 히터(51) 및 배기가스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냉각이 필요한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스팀 리액터(4)는, 제 3 개질수(13), 공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전환반응기(5)는 제 1, 2 개질수의 유량 및 비율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스팀 리액터(4)의 촉매를 환원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환원연료 흡입은, H2와 H2O 혼합가스가 스팀 리액터(4)에 흡입되도록 개질연료 개질수 주입구 밸브(12)를 개방한다. 물론, 개질연료 및 개질수는 서로 분리되는 관로를 통하여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환원가스의 배출은, H2O가 포함된 개질가스가 전환반응기(5)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환원가스 밸브(41)를 열어 개질가스를 배출한다. 그리고 메인 개질가스 밸브와 제 2 개질가스 밸브(412)는 차단한다. 배출되는 개질가스를 연소 연료로 재 사용하려면 환원가스 밸브(41)를 닫고 제 1 개질가스 밸브(411)를 열어 개질가스를 연소시킬 수도 있다.
스팀 리액터 가열은. 공기와 연소원료를 공급하고 버너에서의 연소열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스팀 리액터의 냉각은, 제 2 개질수와 제 3 개질수의 유량과 비율을 조절하여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전환 반응기(5)의 촉매를 환원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환원가스 흡입은, 스팀 리액터의 공정을 정지시키고 환원가스 밸브(41)로 H2 또는 CH4만을 투입한다. 이때 제 1 개질가스 밸브(411), 연소연료밸브(31), 제 1 1, 2, 및 개질수 주입구(11)(12)(13)는 닫혀서, 환원가스는, 전환반응기(5)로 흘러갈 수 있다. 상기 환원가스에는 H2O가 있으면 안된다.
환원가스 배출은, 개질가스 밸(21) 열어서 수행될 수 있다.
전환반응기의 가열은, 연소연료의 연소열과, 환원연료 흡입부의 히터(51)로 환원연료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전환반응기의 냉각은, 연소라인으로 공기를 순환시켜 냉각시킬 수 있다. 필요하면 제 1 개질수(11)를 냉각수로 주입하고, 수증기의 형태로 제 2 개질수 주입구(12)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여러개의 분산전원을 연결한 가상발전소(VPP: Virtual Power Plant)의 구성 시에, 분산전원들은 중앙발전소와 혹은 일정한 전력을 안정되게 생산할 수 있는 전력 생산 시스템과 연결되어 운용된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분산전원의 경우 간헐성으로 인한 에너지의 부족과 과잉으로 인하여, 부족한 에너지를 보충하고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시설과 에너지 생산 시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효율적으로 해결해 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에너지 수요에 의한 탄력적 공급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 (fuel processing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부족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과잉에 의한 전기에너지를 수소로 탄력적으로 전환하여 저장할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는 수소 생산/저장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생산된 수소를 운송하는 수소 운송 장치,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장치, 및 온수를 활용하는 온수활용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시스템은, 전체 가상발전소의 구성시에 부족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수소생산/저장시스템은 과잉에너지를 저장하는 시스템으로서, 생산 및 저장을 위한 두 개의 시스템이 연동적으로 운전되어, 가상발전소에서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수요공급조절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특정분산 전원에서, 에너지의 부족 시 에너지를 전기에너지 형태로 특정 분산전원에 공급하고, 특정 분산전원에서 에너지의 잉여 생산 시 각각의 분산전원에서 여러 형태의 수소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수소가 수요공급조절장치로 보내져 저장되어진다.
이때 상기 수소운송장치, 상기 전기공급장치, 및 상기 온수활용장치는, 부족에너지 생산 시스템과 수소제작 시스템의 수용공급조정장치로서의 역할을 위한 에너지 운송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소생산 장치는 각각의 신재생에너지 분산전원에 위치하여, 과잉 에너지의 저장을 위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생산된 수소는 중앙에 위치한 연료전지 시스템과 연결되어진 수소저장 장치로 운송되어진다.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을 위한 단일의 중앙서비스체계로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두개 이상이 병렬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분산전원의 갯수보다는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생산 시에 간헐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 분산전원 (혹은 다른 형태의 간헐성을 가진 분산전원)의 불예측적인 생산시간과 생산량을, 탄력 있는 수소 생산 장치를 이용하여 수소로 변환하여 수용공급조절장치에 공급함으로써, 전체 가상발전소 그리스의 전기에너지 요동에 의한 다양한 손실과 파손를 감소시킬 수 있다.
운송된 수소는 전체 가상발전소의 특정 분산전원에서 에너지의 부족 시 연료전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급된다.
이때 저장수소의 총량이 필요 에너지보다 작을 때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부족분의 수소를 생산한다. 연료전지 시스템의 용량과 필요여부는 아래의 에너지 밸런스 식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Figure PCTKR2019016092-appb-M000001
E1: 개질공정을 통하여 일정시간동안 생산된 수소에너지
E2: 연료전지분산전원을 통하여 공급된 전기에너지
E3: 잉여에너지를 이용하여 일정시간동안 생산된 수소에너지
만일, 오른쪽 항이 0혹은 0보다 작은 경우 개질공정은 불필요하다.
오른쪽 항이 0보다 큰 경우는 가상발전소에서 수소의 저장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 경우 다른 가상발전소로 수소의 공급이 가능하거나 수소자동차 등 수소의 수요를 가져올 수 있는 기계의 사용이 권장된다.
에너지의 흐름과 장점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분산전원에서 과잉에너지 생산은 수소에너지로 전환되어 부족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운송된다. 신재생에너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는 요동이 심하므로 이러한 요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수전해 장치를 사용한다.
수소형태의 저장은 시간에 따른 자연적인 에너지 손실을 가져오는 2차 전지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보다 안정된 장기저장이 가능하다.
상기 수소생산/저장시스템 중에서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저장장치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인근에 집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수소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소저장장치는 상기 수소생산/저장시스템 중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소생산장치에서 생산된 수소를 모아서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분산전원 에너지원으로부터 생산된 수소는 중앙의 수용공급조절장치의 역할을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이 있는 연료전지 분산발전원으로 운송되어 중앙관리된다.
특정 분산전원의 전기가 부족 시 수용공급조절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연료전지분산발전원은 저장되어 있는 수소, 혹은 부족 시 별도로 연결되어진 연료전지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한다.
중앙에서의 연료전지발전원은 이산화탄소의 발생지점을 중앙화 함으로서 필요시 이산화탄소 처리에 유리하다.
전체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온수의 사용도 가능하다. 온수는 연료전지 시스템과 연료처리장치로부터 생산되며 필요에 따라 특정 분산 전원 시스템으로 운송된다.
겨울에 온수의 사용이 증가하고 여름에 온수의 사용이 감소함을 고려시 온수는 이를 이용한 냉방시스템의 사용을 통하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가상발전소는 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를 사용함으로 신속하게 대응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상발전소의 운용효율이 상승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한 동작 및 정지가 가능한 연료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가상발전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제 1 케이싱으로 둘러싸이고 내부에 스팀리액터가 놓이는 스팀반응모듈; 및
    제 2 케이싱으로 둘러싸이고 내부에 전환반응기가 놓이는 전환반응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스팀반응모듈에는,
    하부에 놓이고 개질연료 및 개질수를 저장하는 제 2 열교환기;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놓이고 상방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 및
    상기 화염의 외부에 놓이는 스팀 리액터가 포함되고,
    상기 전환반응모듈에는,
    상기 스팀리액터에서 개질되는 개질가스에서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전환반응기;
    상기 전환반응기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 1 개질수와 상기 개질가스와 열교환하는 제 4 열교환기가 포함되는 연료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상기 제 4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양이 조절되는 연료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반응기의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전환반응기에 상기 개질가스가 유입되는 입구는 상기 전환반응기의 하측인 연료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반응기의 입구에서 상기 개질가스를 가열하는 히터가 포함되는 연료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교환기에서 상기 스팀 리액터에 공급되는 개질연료 및 개질수에 개질수를 추가하는 제 3 개질수 주입구가 포함되는 연료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열교환기와 상기 제 4 열교환기는 연결되어 제 1 개질수는 상기 제 2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연료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제 2 개질수 및 개질연료를 공급하는 개질연료 개질수 주입구가 포함되는 연료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질수는 상기 전환반응기의 외부에서 상기 전환반응모듈의 케이싱 내부를 채우는 연료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의 직근 상방에 마련되어, 상기 스팀 리액터롤 공급되는 개질연료 및 개질수를 수용하는 단지가 포함되는 연료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반응모듈 및 상기 전환반응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개질가스가 유동하는 관로에는 환원가스관로가 연결되는 연료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가스관로에는 상기 스팀반응모듈에서 배출되는 개질가스 중의 일부가 상기 버너로 바이패스될 수 있는 제 1 개질가스 관로가 포함되는 연료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열교환기에서 배출되는 개질가스 중의 일부가 상기 버너로 바이패스 될 수 있는 제 2 개질가스 관로가 포함되는 연료처리장치.
  13. 제 1 케이싱으로 둘러싸이고 내부에 스팀리액터가 놓이는 스팀반응모듈; 및
    제 2 케이싱으로 둘러싸이고 내부에 전환반응기가 놓이는 전환반응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스팀반응모듈에는,
    개질연료 및 개질수와 개질된 개질가스를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기;
    상방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
    상기 개질연료 및 상기 개질수와 상기 버너의 연소가스가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기; 및
    상기 화염의 외부에 놓이고 상하로 연장되는 스팀 리액터가 포함되고,
    상기 전환반응모듈에는,
    상기 스팀리액터에서 개질되는 개질가스에서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하측에 입구를 가지는 전환반응기; 및
    상기 전환반응기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 1 개질수와 상기 개질가스와 열교환하는 제 4 열교환기가 포함되는 연료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열교환기에는, 상기 제 2 케이싱의 내부와 상기 전환반응기의 외부의 사이 공간에 상기 제 1 개질수가 수용되는 공간이 제공되는 연료처리장치.
  1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처리장치에는, 제 1 개질수에 더하여, 외부에서 개질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스팀반응모듈의 하부에서 개질수를 공급하는 제 2 재질수 주입구, 및
    상기 스팀반응모듈의 상부에서 개질수를 공급하는 제 3 개질수 주입구가 포함되는 연료처리장치.
  16.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의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저장하는 수소 생산/저장시스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전력이 부족할 때, 상기 수소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전력이 부족한 분산전원에 전기를 공급하는 수요공급조절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수요공급조절장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산전원보다 그 수가 작고,
    상기 수용공급조절장치에는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전지에 수소를 공급하는 개질기가 포함되고,
    상기 개질기는,
    제 1 케이싱으로 둘러싸이고 내부에 스팀리액터가 놓이는 스팀반응모듈; 및
    제 2 케이싱으로 둘러싸이고 내부에 전환반응기가 놓이는 전환반응모듈이 포함되는 가상발전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반응모듈에는,
    하부에 놓이고 개질연료 및 개질수를 저장하는 제 2 열교환기;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놓이고 상방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 및
    상기 화염의 외부에 놓이는 스팀 리액터가 포함되는 가상발전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반응모듈에는,
    상기 스팀리액터에서 개질되는 개질가스에서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전환반응기;
    상기 전환반응기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 1 개질수와 상기 개질가스와 열교환하는 제 4 열교환기가 포함되는 가상발전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전원에는, 전력생산이 요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재생에너지원이 포함되는 가상발전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생산/저장시스템의 수소저장장치는, 상기 연료전지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적어도 두개의 수소생산장치에서 생산된 수소를 모아서 저장하는 가상발전시스템.
PCT/KR2019/016092 2019-06-25 2019-11-22 연료처리장치 및 그 연료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가상발전시스템 WO202026277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27 2019-06-25
KR20190075527 2019-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776A1 true WO2020262776A1 (ko) 2020-12-30

Family

ID=7406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6092 WO2020262776A1 (ko) 2019-06-25 2019-11-22 연료처리장치 및 그 연료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가상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210000642A (ko)
WO (1) WO2020262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90B1 (ko) * 2021-06-28 2021-11-1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일체형수소생성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655A (ko) * 1998-11-30 1999-02-25 전성범 수증기개질형 수소생산방법 및 수소생산장치
KR20000022546A (ko) * 1996-06-28 2000-04-25 이마이 기요스케 개질장치
KR20040032784A (ko) * 2002-10-10 2004-04-1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소발생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발전장치
JP2009161370A (ja) * 2007-12-28 2009-07-23 Panasonic Corp 燃料改質装置
JP2010157402A (ja) * 2008-12-26 2010-07-15 Tokyo Gas Co Ltd 燃料電池用水蒸気改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303B1 (ko) 2015-02-16 2017-08-24 한국가스공사 연료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546A (ko) * 1996-06-28 2000-04-25 이마이 기요스케 개질장치
KR19990014655A (ko) * 1998-11-30 1999-02-25 전성범 수증기개질형 수소생산방법 및 수소생산장치
KR20040032784A (ko) * 2002-10-10 2004-04-1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소발생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발전장치
JP2009161370A (ja) * 2007-12-28 2009-07-23 Panasonic Corp 燃料改質装置
JP2010157402A (ja) * 2008-12-26 2010-07-15 Tokyo Gas Co Ltd 燃料電池用水蒸気改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41A (ko) 2021-01-05
KR20210000640A (ko) 2021-01-05
KR20210000642A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30562A1 (ko) 암모니아 기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시스템
CN101796680B (zh) 具有多股流热交换器及单一空气控制的热箱设计
RU2601873C2 (ru) Высокоэффективная система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и рециркуляции на основе твердооксидного топл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CN101589498B (zh) 燃料电池热交换系统和方法
WO2018097450A1 (ko) 병렬 복열 방식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시스템
US8097376B2 (en) Fuel cell system comprising modular design features
WO2024063347A1 (ko) 공기 및 연료 공급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CA2447060A1 (en) Cogeneration of power and heat by an integrated fuel cell power system
WO2019209045A1 (ko) 연료전지 시스템
WO2010005165A2 (en) Fuel processor of fuel cell system
WO2017065430A1 (ko) 복수의 열원을 활용한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시스템
JP200312381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複合発電システム
WO2017222253A1 (ko) 연료극 가스 또는 연료극 배가스를 이용한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WO2020262776A1 (ko) 연료처리장치 및 그 연료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가상발전시스템
CN115172800A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热电联供系统
WO2013183853A1 (ko) 연료전지 시스템
WO2017222267A1 (ko) 연소 배가스를 이용한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CN109964351B (zh) 具有用于整体式重整燃料电池的修正燃料电池循环的整合燃料电池块
WO2017191353A1 (en) A stack row structure and method of high temperature fuel cell
JPH10507867A (ja) 燃料電池設備及び燃料電池設備の運転方法
JP2004022230A (ja) 燃料電池複合ガスタービンシステム
WO2013183854A1 (ko) 연료전지와 보일러의 복합 시스템
WO2015052695A1 (en) A system for utilizing excess heat for carrying out electrochemical reactions
WO2011040714A2 (ko) 소형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운전방법
KR20200058922A (ko) 연료전지용 열캐스캐이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44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44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07-07-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