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62731A1 -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62731A1
WO2020262731A1 PCT/KR2019/007759 KR2019007759W WO2020262731A1 WO 2020262731 A1 WO2020262731 A1 WO 2020262731A1 KR 2019007759 W KR2019007759 W KR 2019007759W WO 2020262731 A1 WO2020262731 A1 WO 20202627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lyte
electrolyte membrane
group
block copolymer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77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리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리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리너지
Priority to US17/621,62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76295A1/en
Priority to PCT/KR2019/007759 priority patent/WO2020262731A1/ko
Publication of WO20202627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627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3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block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5/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It relates to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 electrode structur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core components, are also required to be lightweight and miniaturized, and development of batteries having high output and high energy density is required.
  • one of the high-performance, next-generation, high-tech new batteries that are receiving the most attention in recent years is a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 the lithium metal electrode used as an electrode has high reactivity with the electrolyte component, and forms a passivation film by reaction with the organic electrolyte, and oxidation (dissolution, dissolution) and reduction (precipitation) of lithium on the lithium metal surface during charge and discharge. , deposition) reaction is repeated non-uniformly, the formation and growth of the passive film is severe. Accordingly, not only causes a de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as the charging/discharging process is repeated, a dendrite in which lithium ions grow in the form of needles is formed on the lithium metal surface, thereby reducing the charge/discharge cycl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t is shortened and causes a safety problem of the battery, such as causing a short between electrodes.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25585 proposes a technology for forming a protective film by crosslinking a general chain polymer on the surface of a lithium electrode and coating it on the lithium surface.
  • PEO or PVDF and a copolymer or mixture containing it for example, PEO or PVDF and a copolymer or mixture containing it, which are generally well known ether polymers or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 PEO or PVDF and a copolymer or mixture containing it which are generally well known ether polymers or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83181 proposes a lithium negative electrode that forms a protective film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lithium metal, stabilizing the lithium metal and lowering the interfacial resistance between the lithium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 the inorganic particles in the protective layer are spherical particl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lithium dendrites grow along the interface of the spherical particles, and thus there is still a risk of a battery short circuit.
  • a method of introducing a polymer protective film that suppresses the growth of dendrites to a lithium metal electrode can be used.
  • a protective film is formed by directly applying a protective film composition to a lithium metal plate forming a negative electrod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 protective layer due to growth of dendrite on a surface of a lithium metal electrode due to charge and discharge of a battery.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structure to which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applied.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hemical device to which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applied.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a is provided.
  • Lithium metal electrodes Lithium metal electrodes; And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lithium metal electrode and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electrode structure is provided.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claim 1 is provided.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high elasticity and high strength characteristics, so that when dendrite grows on the surface of a lithium metal electrod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battery, it can reliably protect it and prevent damage to the protective film, and improve battery performance. Can be improved.
  •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6.
  • Example 2 is a cross-sectional SEM image of a lithium metal electrode on which a protective film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btained in Example 7 is formed before charging and discharging.
  • Example 3 is a cross-sectional SEM image of a lithium metal electrode having a protective film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btained in Example 7 after charging and discharging.
  • substituted means that at least one hydrogen atom is a halogen atom (F, Cl, Br, I), a C1 to C20 alkoxy group, a nitro group, a cyano group, an amino group, an imino group, an azido group, Amidino group, hydrazino group, hydrazono group, carbonyl group, carbamyl group, thiol group, ester group, carboxyl group or salt thereof, sulfonic acid group or salt thereof, phosphoric acid or salt thereof, C1 to C20 alkyl group, C2 to C20 alkenyl group, C2 to C20 alkynyl group, C6 to C20 aryl group, C3 to C20 cycloalkyl group, C3 to C20 cycloalkenyl group, C3 to C20 cycloalkynyl group, C2 to C20 heterocycloalkyl group, C2 to C20 heterocyclo
  • hetero means that at least one hetero atom of at least one of N, O, S and P is included in the formula.
  • (meth)acrylate means that both “acrylate” and “methacrylate” are possible
  • (meth)acrylic acid refers to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It means both are possible.
  • Lithium salt includes.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cludes a copolymer of a crosslinkable precursor including a urethane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and a polyfunctional block copolymer and a lithium salt, thereby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of the polymer to maintain an amorphous state, and ionic conductivity and It can improve electrochemical properties.
  • the crosslinked matrix prepared by using urethane-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s and polyfunctional block copolymers as the main skeleton has very low crystallization of the polymer itself and free movement of lithium ions due to the segmental motion of the polymer in the amorphous region inside. Conductivity can be improved.
  •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ving a free standing level can be prepared by improving the high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polymer itself with a crosslinked polymer structure.
  • the urethane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may include diurethane dimethacrylate, diurethane diacry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urethane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may include a diurethane dimethacrylate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 each R is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or a C1-C3 alkyl group.
  •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containing urethane group has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elasticity including urethane moieties, so when forming a copolymer structure with a polyfunctional block copolymer, it maintains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has elasticity.
  • the membrane can be prepared.
  • urethane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in addition to the urethane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other monomers including a polyfunctional functional group having a similar structure may be further mixed and used.
  • Other monomers containing such a multifunctional functional group include, for example, urethane acrylate methacrylate, urethane epoxy methacrylate, Arkema's product names Satomer N3DE180, N3DF230, etc. You can use one or more selected.
  • the multifunctional block copolymer includes a (meth)acrylate group at both ends, and may include a diblock copolymer or a triblock copolymer including a polyethylene oxide repeat unit and a polypropylene oxide repeat unit. .
  • the multifunctional block copolymer includes a (meth)acrylate group at both ends, and a triblock copolymer consisting of a polyethylene oxide first block, a polypropylene oxide second block, and a polyethylene oxide third block It may include.
  • the multifunctional block copolymer may be represented by Formula 2 below.
  • x, y, and z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1 to 50.
  • the multifunctional block copolymer of the above structure is similar in structure to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which is widely known in the past, but in the case of PEGDMA, the crystallinity is high due to a single linear structure, and it is broken depending on the degree of crosslinking after crosslinking polymerization. May occur, but the polyfunctional block copolymer breaks the crystallinity that appears in the ethylene oxide single structure due to the structure of a block copolymer of propylene oxide and ethylene oxide, and adds flexibility to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due to two different polymer blocks. can do.
  • PEGDMA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multifunctional block copolymer may range from 500 to 20,000.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multifunctional block copolymer may be in the range of 1,000 to 20,000, or in the range of 1,000 to 10,000.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functional block copolymer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length of the block copolymer itself is appropriate so that the polymer may not change to brittle after crosslinking, and a lithium metal electrode that does not use a solvent It can be easy to control viscosity and thickness during coating.
  • the weight ratio of the urethane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and the polyfunctional block copolymer may range from 1:100 to 100:1.
  • the weight ratio of the urethane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and the polyfunctional block copolymer may range from 1:10 to 10:1.
  • the weight ratio of the urethane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and the polyfunctional block copolymer may range from 1:5 to 5:1. In the above range, the crystallinity of the polymer is controlled to maintain an amorphous state, and ionic conductivity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may be improved.
  • Such other monomers or polymers having a similar structure may be additionally mixed and used.
  • Such other monomers or polymers include, for example, dipentaerythritol penta-/hexa-acrylate, glycerol propoxylate triacrylate, di(trimethylolpropane). ) Tetraacrylate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and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rylate, etc.
  • Tetraacrylate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triacrylate
  •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rylate etc.
  • One or more can be used from th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further add and copolymerize an oligomer together with the crosslinkable precursor to improve segmental motion of the copolymer and to smoothly move lithium ions.
  • an oligomer is added, the flexibility of the polymer chain is improve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ions and the polymer is facilitated by the oligomer having a low molecular weight compared to the polymer, so that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can be accelerated, thereby increasing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t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oligomer usable with the crosslinkable precurso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n the range of 200 to 600.
  • the oligomer may include an ether type, an acrylate type, a ketone type, or a combination thereof. Further, the oligomer may include an alkyl group, an allyl group, a carboxyl group, or a combination thereof as a functional group. This is because these functional groups are not reactive with lithium metal and are electrochemically stable.
  • a structure including -OH, -COOH, or -SO 3 H in the terminal group is not suitable. This is because these end groups are reactive with lithium metal and are not electrochemically stable.
  • oligomer for example, PEG-based diglyme (di-ethylelen glycol), triglyme (tri-ethylelen glycol), tetraglyme (tetra ethylene glycol),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added amount of the oligomer may be 1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urethane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and the polyfunctional block copolymer.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polymer itself and the crosslinked matrix are not loosened, the mechanical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stability of the copolymer can be maintained, and the shap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at high temperatures.
  • the lithium salt serves to secure the ion conduction path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the lithium sal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commonly used in the art.
  • lithium salts include LiSCN, LiN(CN) 2 , LiClO 4 , LiBF 4 , LiAsF 6 , LiPF 6 , LiCF 3 SO 3 , LiC(CF 3 SO 2 ) 3 , LiN(SO 2 C 2 F 5 ) 2 , LiN(SO 2 CF 3 ) 2 , LiN(SO 2 F) 2 , LiSbF 6 , LiPF 3 (CF 2 CF 3 ) 3 , LiPF 3 (CF 3 ) 3 and LiB(C 2 O 4 ) 2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ent of the lithium salt contained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 to 5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and the lithium salt.
  • the content of the lithium salt may be 5% by weight to 5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and the lithium salt, and specifically, may be 10% by weight to 30% by weight.
  • Lithium ion mobility and ion conductivity may be excellent in the above range.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liquid electrolyte, a solid electrolyte, a gel electrolyte, a polymer ionic liquid, and a separator, and as a result, the ionic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lyte may be further improved.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further include a liquid electrolyte to further form an ion conductive path through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the liquid electrolyt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organic solvent, an ionic liquid, an alkali metal salt and an alkaline earth metal salt.
  • Organic solvents include carbonate compounds, glyme compounds, dioxolane compounds, dimethyl ether, 1,1,2,2-tetrafluoroethyl 2,2,3,3-tetrafluoropropyl ether, and the like.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very stable with respect to an organic solvent such as a carbonate compound or an electrolyte containing the same when a liquid electrolyte containing an organic solvent such as a carbonate compound is used together.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ntains a copolymer of a crosslinkable precursor including a urethane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and a polyfunctional block copolymer and a lithium salt, thereby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of the polymer to maintain an amorphous state, and ionic conductivity and electricity. Chemical properties can be improved.
  •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ving a free standing level can be prepared by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elastomeric properties of the copolymer itself with a crosslinked polymer structure.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maintain a free standing film at 25 to 60°C.
  • the ion conductivity ( ⁇ )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1 x 10 -5 S/cm to 1 x 10 -3 S/cm at room temperature and in a temperature range of 25°C to 60°C.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otective film by directly coating a free standing film or a lithium metal electrode, thereby minimiz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lithium metal electrode and the protective film.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s excellent ionic conductivity and mechanical strength, and can implement an electrolyte membrane that can be used in an electrochemical device such as a high-density, high-energy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a lithium metal electrode.
  • an electrochemical device such as a high-density, high-energy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a lithium metal electrode.
  • there is no leakage us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electrochemical side reactions occurring in the cathode and anode are eliminated, and unlike an electrolyte using a liquid electrolyte, there is no electrolyte decomposition reaction, and battery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can be improved.
  • It includes;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lithium metal electrode,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described above.
  • the thickness of the lithium metal electrode may be 100 ⁇ m or less, for example, 80 ⁇ m or less, or 50 ⁇ m or less, or 30 ⁇ m or less, or 20 ⁇ m or l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lithium metal electrode may be 0.1 to 60 ⁇ m.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lithium metal electrode may be 1 to 25 ⁇ m, for example 5 to 20 ⁇ m.
  • the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lithium metal electrode includes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tective film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s high ionic conductivity and mechanical strength even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orm an electrode structure applicable to a battery while suppressing dendrite on the surface of the lithium metal electrode.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an continuously maintain its shape even 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eds, and it can safely cover the dendrite even when the dendrite grows, thereby preventing internal short circuits caused by the dendrite, thereby improving battery life and securing stability.
  •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es the electrode structure.
  • the telephony device uses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s a protective film, so it has excellent safety and high energy density,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even at a temperature of 60°C or higher, and enables the operation of all electronic products even at such high temperatures. have.
  • the electrochemical device ma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ion battery, a lithium polymer battery, a lithium air battery, and a lithium solid state battery.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ion battery, a lithium polymer battery, a lithium air battery, and a lithium solid state battery.
  • the electrochemical device to which the solid polymer electrolyte is applied is suitable for applications that require high capacity, high output and high temperature driving such as electric vehicles, in addition to conventional mobile phones and portable computers, and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fuel cells. , Supercapacitors, etc. can be used in hybrid vehicles. In addition, the electrochemical device can be used in all other applications requiring high power, high voltage and high temperature driving.
  • crosslinkable precursor and lithium salt including the urethane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and the polyfunctional block copolymer are as described above.
  • the precursor mixture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a photoinitiator, and the like to assist crosslinking of the crosslinkable precursor.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photoinitiator, and the like may be in a conventional range, and for example, may be used in a range of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rosslinkable precursor.
  • the precursor mixture may further include an initiator to form a copolymer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with a crosslinking agent.
  • the precursor mixture When a precursor mixture including a crosslinkable precursor and a lithium salt is prepared, the precursor mixture is applied in a film form and cured to form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the precursor mixture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film without using a solvent and including the crosslinkable precursor, an optional initiator, and a lithium salt.
  • a method of applying the precursor mixture in a film form is variou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a precursor mixture may be injected between two glass plates, and a predetermined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glass plate using a clamp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can be adjusted.
  • the precursor mixture may be coated directly on the lithium metal electrode using a coating device such as spin coating to form a thi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coating process is a gravure coater, a reverse roll coater, a slit die coater, a screen coater, a spin coater, a doctor blade. ), etc., can be used to perform coating.
  • the coating thickness can range from 1 ⁇ m to 10 ⁇ 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1 ⁇ m, there is a risk that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torn during dendrite growth, and if the thickness exceeds 10 ⁇ m, the properties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deteriorated as the resistance according to the thickness increases.
  • a method of curing the precursor mixture may include a curing method using UV, heat or high energy radiation (electron beam, ⁇ -ray).
  • the precursor mixture may be directly irradiated with UV (365 nm) or heat treated at about 60° C. to prepare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Diurethane dimethacrylate (Sigma-Aldrich, 470.56/mol) 5 g of Formula 1 and Poly(ethylene glycol)-block-poly(propylene glycol)-block-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PG-b) of Formula 2 -PEG) (Sigma-Aldrich, average Mn ⁇ 1200) 2g was mixed in a vial and stirred for 10 minutes, and then 0.7 g of lithium salt LiFSI (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 was added to the vial and mixed again.
  • LiFSI 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
  • an initiator BEE (Benzoin ethyl ether, Sigma-Aldrich, 240.30 g/mol) was added in an amount of 1%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followed by stirring and mixing again to prepare a gel precursor mixture.
  • an initiator BEE Benzoin ethyl ether, Sigma-Aldrich, 240.30 g/mol
  • 0.2 g of the gel precursor mixture was placed on a glass plate, covered with another prepared glass plate, and irradiated with 365 nm UV for 50 seconds to prepare a 20 ⁇ m thick transparent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contents of DUDMA and PPG-b-PEG were adjusted to 3g and 3g, respectively.
  •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contents of DUDMA and PPG-b-PEG were adjusted to 2g and 5g, respectively.
  • Example 1 except that 5 g of an ether oligomer Tr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TEGDME) was additionally mixed with the mixture, and 0.5 g of lithium salt LiFSI (lithium bis (fluorosulfonyl) imide) was mixed.
  • LiFSI lithium bis (fluorosulfonyl) imide
  • Example 4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that an Ethylene carbonate (EC) electrolyte containing 1M LiFSI salt was used instead of the ether oligomer.
  • EC Ethylene carbonate
  • Example 5 the addition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was changed to 0g, 0.7g, 2.1g, 3.5g, 4.9g, 6.4g, 7.0g, and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5 was performed to prepare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the ionic conductivity was measured. Evaluated.
  • the amount of each electrolyte added is an amount corresponding to 0, 10, 30, 50, 70, 90 and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DUDMA and PPG-b-PEG.
  • the gel precursor mixture prepared in Example 1 was applied on a Cu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 2 ⁇ m vacuum-deposited on the surface of a Si wafer by spin coating rather than pressing between glass plates, and irradiated with 365 nm UV for 50 seconds to a thickness of about 2 to 5 ⁇ m.
  • a transparent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s prepared.
  •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contents of DUDMA and PPG-b-PEG were adjusted to 0g and 5g, respectively.
  •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s 1-4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on conductivity is measured between 1Hz and 1MHz frequency using Solatron 1260A Impedance / Gain-Phase Analyzer with constant pressure applied with springs from both sides after placing the sample between the sus disks using two 1cm 2 sus disks. I did.
  • Example 1 Example 2
  • Example 3 Example 4 DUDMA / PPG-b-PEG 5g/2g 3g/3g 2g/5g 5g/2g TEGDME - - - 5g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prepared in Example 1-4 and Comparative Example 1 have a difference in ionic conductivity depending on the content ratio of DUDMA and PPG-b-PEG, but the stat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fter measuring the ion conductivity was good without significant change.
  • the manufactured electrolyte membrane tends to be somewhat brittle depending on the content of DUDMA, and in the case of Example 1 containing the most DUDMA and Comparative Example 1 (Example 4) not including DUDMA, the flexibility aspect of the membrane There was a lot of difference in.
  • the film produced by crosslinking the composition of PPG-b-PEG without DUDMA was very soft and was not suitable for free standing.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egnated in a large amount of electrolyte or Even when add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hap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did not damage the membrane due to excessive swelling. From this, it is thought that the same effect can be expected whe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applied as a protective layer to a lithium metal electrode.
  • Evaluation Example 2 Film stat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charging and discharging
  • a PE separator (Celgard, Celgard 3501) and a positive electrode we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btained in Example 7, and then vacuum-packed in an aluminum pouch.
  • the cell was prepared.
  • the positive electrode was prepared as follows, and prepared by sufficiently impregnating an EC electrolytic solution in which 1.3M LiPF 6 was dissolved in advance was used.
  • LiCoO 2 LiCoO 2
  • a conductive agent Super-P; Timcal Ltd.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 N-pyrrolidone N-pyrrolidone
  • the mixing weight ratio of LiCoO 2 , the conductive agent and PVDF was 97:1.5:1.5.
  • the positive electrode composition was coated on an aluminum foil (thickness: about 15 ⁇ m) and dried at 25° C., and the dried result was dried at about 110° C. in vacuum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 a Cu metal electrode is coated on a Si wafer, and a polymer electrolyte protective film is formed thereon to a thickness of about 5 ⁇ m.
  • Li + deriv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plated on the surface of the Cu metal electrode to form a lithium metal electrode, and lithium dendrites are deposited thereon to be located under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not torn or punctured due to its elasticity, and its shape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the dendrites are safely covered.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superior ionic conductivity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compared to a generally well-known polymer electrolyte that uses PEO, PVDF, or PEGDMA as a main chain, and in particular, degradation or volume expansion of the membrane due to excessive electrolyte impregnation. It can be seen that it exhibits excellent mechanical and stable properties that maintain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ithout any damage caused by i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성 전구체의 공중합체; 및 리튬염;을 포함함으로써, 고탄성 및 고강도 특성을 가져 리튬 금속 전극 표면에 전지의 충방전에 따른 덴드라이트(dendrite)의 성장 시 이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보호막의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free standing 형태의 필름 또는 리튬 메탈전극에 직접 코팅 후 보호막의 형태로 성형하여 고밀도 고에너지 리튬 메탈 전지와 같은 전기화학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제품의 경박단소 및 휴대화 추세에 따라 핵심 부품인 이차 전지도 경량화 및 소형화가 요구되며 고출력,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 가장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고성능의 차세대 첨단 신형 전지중의 하나가 리튬 금속 이차 전지이다.
그러나, 전극으로 사용하는 리튬 금속 전극은 전해액 성분과 반응성이 높아, 유기 전해액과의 반응에 의해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게 되고, 충방전 동안 리튬 금속 표면에서 리튬의 산화(용해, dissolution) 및 환원(석출, deposition) 반응이 불균일하게 반복됨에 따라 부동태 피막의 형성 및 성장이 극심하다. 이에 따라, 충방전시 전지의 용량 감소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충방전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리튬 금속 표면에 리튬 이온이 바늘 형태로 성장하는 덴드라이트(dendrite)가 형성되어 리튬 이차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이 단축되고, 전극간 단락(short)을 야기시키는 등 전지의 안전성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0425585호에서는 리튬 전극 표면에 일반적인 사슬형 고분자를 가교하여 리튬표면에 코팅하여 보호막을 형성하는 기술을 제안하였으나 상기 고분자의 특성상 소량의 전해액과 접할 경우 스웰딩 되거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에테르계 고분자 또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을 포함한 전해질 예로 PEO 또는 PVDF 및 이를 포함한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의 경우, 고분자의 기계적 강도가 낮아 바늘형태의 덴드라이트를 효과적으로 막지 못하며, 지속적인 리튬의 덴드라이트의 석출로 인하여 보호막이 손상되어 보호막으로서 제대로 작용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3181호에서는 리튬 금속 표면에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리튬 음극을 제시하면서, 리튬 금속을 안정화하고 리튬 전극 과 전해질간 계면저항을 낮출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보호막 내 무기물 입자는 구형의 입자로서, 리튬 덴드라이트가 구형 입자의 계면을 따라 성장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여전히 전지 단락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튬 금속 전극에 덴드라이트의 성장을 억제하는 폴리머 보호막을 도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음극을 형성하는 리튬 금속판 등에 직접 보호막 조성물을 도포하여 보호막을 형성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물질을 사용하여 리튬 금속에 직접 코팅하는 경우에 리튬 금속의 높은 반응성으로 인하여 용매의 선정이 까다롭고, 도포 후에 잔여물이 남아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전지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리튬 전극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새로운 고분자 재료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리튬 금속 전극 표면에서 전지의 충방전에 따른 덴드라이트(dendrite)의 성장으로 인한 보호막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이 적용된 전극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이 적용된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성 전구체의 공중합체; 및
리튬염;
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리튬 메탈 전극; 및 상기 리튬 메탈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성 전구체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전구체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전구체 혼합물을 막 형태로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은 고탄성 및 고강도 특성을 가져 리튬 금속 전극 표면에 전지의 충방전에 따른 덴드라이트(dendrite)의 성장 시 이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보호막의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6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7에서 얻은 고분자 전해질막의 보호막이 형성된 리튬 금속 전극의 충방전 전의 단면 SEM 이미지이다.
도 3은 실시예 7에서 얻은 고분자 전해질막의 보호막이 형성된 리튬 금속 전극의 충방전 후의 단면 SEM 이미지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창의적 사상(present inventive concept)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창의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창의적 사상의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창의적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성분, 재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나타내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성분, 재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는 상황에 따라 "및"으로 해석될 수도 있고 "또는"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여러 구성요소,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직경, 길이, 두께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나, 이는 발명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생략된 구성요소를 배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치환"이란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F, Cl, Br, I), C1 내지 C20 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아지도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바밀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 또는 그것의 염, 술폰산기 또는 그것의 염, 인산이나 그것의 염, C1 내지 C20 알킬기, C2 내지 C20 알케닐기, C2 내지 C20 알키닐기, C6 내지 C20 아릴기, C3 내지 C20 사이클로알킬기, C3 내지 C20 사이클로알케닐기, C3 내지 C20 사이클로알키닐기,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기,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키닐기, C3 내지 C2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헤테로"란, 화학식 내에 N, O, S 및 P 중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 둘 다 가능함을 의미하며, "(메타)아크릴산"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 둘 다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예시적인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은,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성 전구체의 공중합체; 및
리튬염;을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성 전구체의 공중합체와 리튬염을 포함함으로써, 고분자의 결정성을 제어하여 비정질 상태를 유지하고, 이온전도도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를 주 골격으로 하여 제조된 가교 매트릭스는 고분자 자체의 결정화가 매우 낮으며 내부의 비정질 영역에서 고분자의 segmental motion으로 인한 리튬 이온의 이동이 자유로워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분자 가교 구조로 공중합체 자체의 높은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켜 프리스탠딩(free standing) 수준의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할 수 있다.
가교성 전구체로서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는 디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759-appb-I000001
상기 식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기이다.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는 우레탄 모이어티(moiety)를 포함하여 높은 기계적 강도 및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와 공중합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며 탄성을 갖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할 수 있다.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와 함께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다관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기타 모노머가 추가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기타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methacrylate), 우레탄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Urethane epoxy methacrylate), Arkema사의 제품명 Satomer N3DE180, N3DF230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성 전구체로서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는 양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반복단위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디블록 공중합체 또는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는 양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제1블록,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제2블록,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제3블록으로 이루어진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759-appb-I000002
상기 식 중, x, y, z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0의 정수이다.
위와 같은 구조의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는 기존에 널리 알려진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EGDMA)와 구조상 유사하나, PEGDMA의 경우 단일 선형구조(linear구조)로 결정화도가 높으며 가교 중합 후 가교도에 따라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는 프로필렌옥사이드와 에틸렌옥사이드의 블록공중합체의 구조로 에틸렌옥사이드 단일구조에서 나타나는 결정성을 무너뜨리며, 두 개의 다른 고분자 블록으로 인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에 유연함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500 내지 20,000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 내지 20,000 범위, 또는 1,000 내지 10,000 범위 일 수 있다.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이 상기 범위일 때, 블록공중합체 자체의 길이가 적절하여 가교 후 고분자가 브리틀(brittle)하게 변하지 않을 수 있고,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리튬 금속 전극 코팅시 점도 및 두께 조절에도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100 내지 100:1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5 내지 5:1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분자의 결정성을 제어하여 비정질 상태를 유지하고, 이온전도도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와 함께,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기타 모노머 또는 폴리머가 추가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모노머 또는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penta-/hexa-acrylate), 글리세롤 프로폭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Glycerol propoxylate triacrylate),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rylate) 등이 있고, 이로부터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공중합체의 segmental motion을 향상시키고 리튬 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가교성 전구체와 함께 올리고머를 더 첨가하고 공중합시킬 수 있다. 올리고머를 첨가할 경우, 고분자 대비 저분자의 올리고머에 의하여 고분자의 체인의 유연성 향상 및 이온과 고분자간의 상호작용이 용이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성 전구체와 함께 사용가능한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 내지 60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로는 에테르계, 아크릴레이트계, 케톤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머는 작용기로서 알킬기, 알릴기, 카르복실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들 작용기는 리튬 메탈과 반응성이 없고 전기화학적으로도 안정하기 때문이다. 반면, 말단기에 -OH, -COOH, 또는 -SO3H 등이 포함된 구조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말단기는 리튬 메탈과 반응성이 있으며 전기화학적으로도 안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어 PEG계의 diglyme (di-ethylelen glycol), triglyme (tri-ethylelen glycol), tetraglyme (tetra ethylene glycol) 등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올리고머의 첨가량은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 총중량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공중합체 자체의 물성 및 가교된 매트릭스가 느슨해지지 않고, 공중합체의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고온에서도 고분자 전해질막의 형상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리튬염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 경로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튬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염으로는 LiSCN, LiN(CN)2, LiClO4, LiBF4, LiAsF6, LiPF6, LiCF3SO3, LiC(CF3SO2)3, LiN(SO2C2F5)2, LiN(SO2CF3)2, LiN(SO2F)2, LiSbF6, LiPF3(CF2CF3)3, LiPF3(CF3)3 및 LiB(C2O4)2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에 포함되는 리튬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공중합체 및 상기 리튬염의 총중량 중 1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염의 함량은 상기 공중합체 및 리튬염의 총중량 중 5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리튬 이온 이동도 및 이온 전도도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액체 전해질, 고체 전해질, 겔 전해질, 고분자 이온성 액체(polymer ionic liquid) 및 세퍼레이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결과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및 기계적 물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액체 전해질을 더 포함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통하여 이온 전도성 경로를 더욱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전해질은 유기용매, 이온성 액체, 알칼리금속염 및 알칼리토금속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유기용매로는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글라임계 화합물, 디옥소란계 화합물, 디메틸 에테르,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에테르 등이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카보네이트계 화합물과 같은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액체 전해질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카보네이트계 화합물과 같은 유기용매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에 대하여 매우 안정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성 전구체의 공중합체와 리튬염을 포함함으로써, 고분자의 결정성을 제어하여 비정질 상태를 유지하고, 이온전도도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분자 가교 구조로 공중합체 자체의 기계적 특성 및 탄성(elastomeric) 특성을 향상시켜 프리스탠딩(free standing) 수준의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25 내지 60℃에서 프리스탠딩막(free standing film)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σ)는 상온, 25℃ 내지 60℃ 온도 범위에서 1 x 10-5 S/cm 내지 1 x 10-3 S/cm 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free standing 형태의 필름 또는 리튬 금속 전극에 직접 코팅하여 보호막의 형태로 성형되어 리튬 금속 전극과 보호막 사이의 계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이온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리튬 메탈 전극을 사용하는 고밀도 고에너지용 리튬 이차 전지 등의 전기화학소자에 사용이 가능한 전해질막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용하여 누액이 없고, 음극 및 양극에서 일어나는 전기화학적 부반응이 업고, 액체 전해액을 사용하는 전해질과 달리 전해액 분해반응이 없으며 전지 특성 향상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는,
리튬 메탈 전극; 및
상기 리튬 메탈 전극 상에 배치된, 상술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보호막;을 포함한다.
리튬 메탈 전극의 두께는 100㎛ 이하, 예를 들어, 80㎛ 이하, 또는 50㎛ 이하, 또는 30㎛ 이하, 또는 20㎛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일구현예에 의하면, 리튬 메탈 전극의 두께는 0.1 내지 6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튬 메탈 전극의 두께는 1 내지 25㎛, 예를 들어 5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리튬 메탈 전극 상에 배치되는 보호막은, 상술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보호막은 상온 및 높은 온도에서도 높은 이온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지므로, 리튬 메탈 전극의 표면의 덴드라이트를 억제하면서 효과적으로 전지에 적용가능한 전극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기존에 알려진 물질로 제조된 보호막의 경우 충방전시 덴드라이트가 리튬 메탈 전극에 쌓이면서 보호막을 뚫고 성장하여 내부 단락 또는 전지 수명이 짧아지는 원인이 되었으나,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경우 탄성이 매우 좋아 덴드라이트 석출시 리튬 메탈 전극 표면의 부피가 팽창되어도 고분자 전해질막의 elastomeric한 특성으로 보호막도 같이 늘어날 수 있어 보호막 자체가 찢어지거나 뚫어지지 않고 덴드라이트를 덮고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충방전 진행에도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지속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덴드라이트의 성장에도 안전하게 덴드라이트를 덮을 수 있어, 덴드라이트에 의한 내부 단락을 방지하여 전지 수명 향상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화학소자는 상기 전극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화학소자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보호막으로 사용하여 안전성이 우수하고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60℃ 이상의 온도에서도 전지의 특성을 유지하며, 이와 같은 고온에 있어서도 모든 전자 제품의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리튬이온전지, 리튬폴리머전지, 리튬공기전지, 리튬전고체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 전지일 수 있다.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이 적용된 전기화학소자는 기존의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등의 용도 외에, 전기차량(Electric Vehicle)과 같은 고용량, 고출력 및 고온 구동이 요구되는 용도에도 적합하며, 기존의 내연기관, 연료전지, 수퍼커패시터 등과 결합하여 하이브리드차량(Hybrid Vehicle)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고출력, 고전압 및 고온 구동이 요구되는 기타 모든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은,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성 전구체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전구체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전구체 혼합물을 막 형태로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성 전구체 및 리튬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전구체 혼합물은 가교성 전구체의 가교를 돕기 위하여 가교제, 광개시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 광개시제 등의 사용함량은 통상적인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교성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구체 혼합물은 개시제를 더 포함하여, 가교제가 함께 가교된 구조의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과산화물(-O-O-) 계열의 벤조일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디라우릴 퍼옥사이드, 디-터트-부틸퍼옥사이드, 쿠밀 히드로퍼옥사이드 등 또는 아조계 화합물(-N=N-) 계열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이소발레로니트릴 등의 열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가교성 전구체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전구체 혼합물이 준비되면, 상기 전구체 혼합물을 막 형태로 도포하고 경화시켜 고분자 전해질막을 형성한다. 상기 전구체 혼합물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가교성 전구체, 선택적인(optional) 개시제 및 리튬염을 포함한 상태로 막 형태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전구체 혼합물을 막 형태로 도포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구체 혼합물을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주입하고, 유리판에 클램프를 사용하여 일정 압력을 가해 전해질 막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전구체 혼합물을 스핀 코팅 등의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리튬 메탈 전극 위에 코팅하여 소정 두께의 박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구체 혼합물을 도포하는 공정은 코팅 공정은 그라비아(gravure) 코터, 리버스 롤(reverse roll) 코터, 슬릿다이(slit die) 코터, 스크린(screen) 코터, 스핀(spin) 코터,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등의 증착 장비를 사용하여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코팅 두께는 1μm 내지 10μm 범위일 수 있다. 두께가 1μm 미만이면 덴드라이트 성장시 고분자 전해질막이 찢어질 염려가 있고 두께가 10μm 초과하면 두께에 따른 저항이 높아짐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막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전구체 혼합물을 경화하는 방법으로는 UV, 열 또는 고에너지 복사(전자빔, γ선)를 이용한 경화 방법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구체 혼합물에 UV(365nm)를 직접 조사하거나 약 60℃ 정도에서 열처리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예시적인 구현예들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상기 화학식 1의 Diurethane dimethacrylate (DUDMA) (Sigma-Aldrich, 470.56/mol) 5g 및 상기 화학식 2의 Poly(ethylene glycol)-block-poly(propylene glycol)-block-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PG-b-PEG) (Sigma-Aldrich, average Mn ~1200) 2g을 바이알에서 혼합하여 10분간 교반한 후, 리튬염 LiFSI (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 0.7g을 바이알에 넣은 뒤 다시 혼합하였다. 혼합된 혼합물에 개시제 BEE (Benzoin ethyl ether, Sigma-Aldrich, 240.30 g/mol)를 상기 혼합물 총중량 대비 1%로 첨가하고 다시 교반 혼합하여 겔 전구체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겔 전구체 혼합물 0.2g을 유리판에 놓은 후 준비된 다른 유리판으로 덮은 후 365nm UV를 50초간 조사하여 20μm 두께의 투명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 DUDMA 및 PPG-b-PEG의 함량을 각각 3g 및 3g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DUDMA 및 PPG-b-PEG의 함량을 각각 2g 및 5g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상기 혼합물에 에테르계(ether) 올리고머 Tr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TEGDME) 5g을 추가로 혼합하고, 리튬염 LiFSI (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은 0.5g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상기 에테르계 올리고머 대신에 1M LiFSI염을 포함한 Ethylene carbonate(EC) 전해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상기 전해액의 첨가량을 0g, 0.7g, 2.1g, 3.5g, 4.9g 6.4g, 7.0g으로 변화시켜 가면서,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고 이온전도도를 평가하였다. 각 전해액의 첨가량은 DUDMA 및 PPG-b-PEG 총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 10, 30, 50, 70, 90 및 100 중량부에 대응되는 함량이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상기 겔 전구체 혼합물을 유리판 사이에서 압착이 아닌 spin coating으로 Si 웨이퍼 표면에 진공증착시킨 두께 약 ~2μm의 Cu 막 상에 도포하고, 365nm UV를 50초간 조사하여 약 2~5μm 두께의 투명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DUDMA 및 PPG-b-PEG의 함량을 각각 0g 및 5g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이온전도도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온전도도는 두 개의 면적 1cm2의 sus disk를 사용하여 시료를 sus disk 사이에 넣은 후 양쪽에서 스프링으로 일정한 압력을 준 상태에서 Solatron 1260A Impedance / Gain-Phase Analyzer를 사용하여 1Hz~1MHz frequency 구간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DUDMA / PPG-b-PEG 5g/2g 3g/3g 2g/5g 5g/2g
TEGDME - - - 5g
상온 이온전도도 7.40E-05 8.30E-05 8.8E-05 8.23E-05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은, DUDMA 와 PPG-b-PEG의 함량비에 따라 이온전도도의 차이가 있으나, 이온전도도 측정 후의 전해질 막의 상태는 크게 변화가 없이 양호하였다. 제조된 전해질막은 DUDMA의 함량에 따라 다소 브리틀(brittle)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DUDMA이 가장 많이 함유된 실시예 1의 경우와 DUDMA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실시예 4)의 경우 막의 유연성 측면에서는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DUDMA를 포함하지 않은 PPG-b-PEG 만의 조성을 가교하여 제조된 막의 특성은 매우 soft하며 free standing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이는 가교 후 고분자의 밀도 및 구조와 자체 DUDMA의 구조에 따른 차이로 생각되며 실시예 2의 경우 DUDMA가 고분자 구조상 linear structure인 반면 PPG-b-PEG의 경우 block copolymer 구조로 좀더 유연한 특성이 있다고 생각된다.한편, TEGDME 대신 이온 전지용 액체 전해액 1M LiFSI염을 포함한 EC를 첨가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고분자 전해질과 동일하게 전해액의 함량이 많이 첨가될수록 이온전도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일반 겔형 고분자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은 다량의 전해액에 함침 또는 첨가되어도 고분자 전해질막의 형태는 과다한 스웰링(swelling)으로 인한 막의 훼손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리튬 금속 전극에 보호막으로 적용되었을 때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평가예 2: 충방전 전후의 막 상태 평가
상기 실시예 7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의 보호막으로서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7에서 얻은 고분자 전해질막 위에 PE 분리막(Celgard, Celgard 3501) 및 양극을 차례로 적층한 후, 알루미늄 파우치에 넣어 진공 포장하여 셀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양극은 아래와 같이 제조하고, 미리 1.3M LiPF6이 용해된 EC 전해액에 충분히 함침하여 준비한 것을 사용하였다. 양극 제조를 위하여, 먼저 LiCoO2, 도전제(Super-P; Timcal Ltd.),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및 N-피롤리돈을 혼합하여 양극 조성물을 얻었다. 양극 조성물에서 LiCoO2, 도전제 및 PVDF의 혼합 중량비는 97:1.5:1.5이었다. 상기 양극 조성물을 알루미늄 호일(두께: 약 15㎛) 상부에 코팅하고 25℃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된 결과물을 진공, 약 110℃에서 건조시켜 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셀에 대하여, 0.05C rate의 전류로 2회 화성(formation) 사이클 후, 0.5C rate의 전류로 CC-CV 충방전을 50회 실시하고, 충방전 전후에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한 음극의 단면 SEM 사진을 각각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Si 웨이퍼 상에 Cu 금속 전극이 코팅된 상태이고, 그 위에 고분자 전해질 보호막이 약 5μm 두께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셀의 50회 충방전 후 Cu 금속 전극 표면에 양극 활물질로부터 유래된 Li+가 plating되어 리튬 메탈 전극이 형성되고, 그 위에 리튬 덴드라이트가 석출되어 고분자 전해질막 아래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덴드라이트의 석출로 전극 표면의 부피가 팽창되어도 고분자 전해질막은 그 탄성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뚫어지지 않고, 그 형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안전하게 덴드라이트를 덮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일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은 PEO, PVDF 또는 PEGDMA 등을 주쇄로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고분자 전해질에 비하여 상온 및 고온 이온 전도도가 우수하며 특히 과다한 전해액 함침으로 인한 막의 특성 열화 또는 부피팽창으로 인한 훼손 등이 없이 고분자 전해질 막의 형태 및 특성을 유지하는 우수한 기계적 안정적인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성 전구체의 공중합체; 및
    리튬염;
    을 포함하는 리튬 금속 전극용 고분자 전해질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는 디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759-appb-I000003
    상기 식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기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는 양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반복단위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디블록 공중합체 또는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759-appb-I000004
    상기 식 중, x, y, z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0의 정수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 내지 20,000 범위인 고분자 전해질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100 내지 100:1 범위인 고분자 전해질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 범위인 고분자 전해질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가교성 전구체에 중량평균분자량(Mw) 200 내지 600 범위의 올리고머를 더 포함하여 공중합시킨 것인 고분자 전해질막.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에테르계, 아크릴레이트계, 케톤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작용기로서 알킬기, 알릴기, 카르복실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막.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SCN, LiN(CN)2, LiClO4, LiBF4, LiAsF6, LiPF6, LiCF3SO3, LiC(CF3SO2)3, LiN(SO2C2F5)2, LiN(SO2CF3)2, LiN(SO2F)2, LiSbF6, LiPF3(CF2CF3)3, LiPF3(CF3)3 및 LiB(C2O4)2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및 상기 리튬염의 총중량 중, 상기 리튬염의 함량은 1 중량% 내지 50 중량%인 고분자 전해질막.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25 내지 60℃에서 프리스탠딩막(free standing film)을 유지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14. 제1항에 있어서,
    액체 전해질, 고체 전해질, 겔 전해질, 고분자 이온성 액체(polymer ionic liquid) 및 세퍼레이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15. 리튬 메탈 전극; 및
    상기 리튬 메탈 전극 상에 배치되고,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보호막;
    을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16. 제15항에 따른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17.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성 전구체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전구체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전구체 혼합물을 막 형태로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는 디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기 함유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759-appb-I000005
    상기 식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기이다.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는 양말단에 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반복단위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디블록 공중합체 또는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블록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759-appb-I000006
    상기 식 중, x, y, z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0의 정수이다.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UV, 열 또는 고에너지 복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PCT/KR2019/007759 2019-06-26 2019-06-26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WO202026273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21,627 US20220376295A1 (en) 2019-06-26 2019-06-26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electrode structure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CT/KR2019/007759 WO2020262731A1 (ko) 2019-06-26 2019-06-26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7759 WO2020262731A1 (ko) 2019-06-26 2019-06-26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731A1 true WO2020262731A1 (ko) 2020-12-30

Family

ID=7406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7759 WO2020262731A1 (ko) 2019-06-26 2019-06-26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76295A1 (ko)
WO (1) WO202026273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251A (ja) * 1999-07-21 2001-02-09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高分子固体電解質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素子
JP2001123040A (ja) * 1999-10-27 2001-05-08 Nippon Kayaku Co Ltd 高分子固体電解質用樹脂組成物、高分子固体電解質及びポリマー電池
KR20130058403A (ko) * 2011-11-25 2013-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해액 조성물,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20150061538A (ko) * 2013-11-25 2015-06-04 한국화학연구원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가 가지결합하여 형성된 고분자 및 이온성 전해질을 함유하는 수지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전해질 막 및 이의 용도
KR20160133309A (ko)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251A (ja) * 1999-07-21 2001-02-09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高分子固体電解質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素子
JP2001123040A (ja) * 1999-10-27 2001-05-08 Nippon Kayaku Co Ltd 高分子固体電解質用樹脂組成物、高分子固体電解質及びポリマー電池
KR20130058403A (ko) * 2011-11-25 2013-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해액 조성물,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20150061538A (ko) * 2013-11-25 2015-06-04 한국화학연구원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가 가지결합하여 형성된 고분자 및 이온성 전해질을 함유하는 수지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전해질 막 및 이의 용도
KR20160133309A (ko)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76295A1 (en)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16727A2 (en) Method of preparing gel polymer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gel polymer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O2017104867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7217596A1 (ko) 리튬금속전지용 복합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리튬금속전지
WO2010137889A2 (ko)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리튬 이차 전지
WO2017146426A1 (ko)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112167A1 (ko) 리튬금속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한 리튬금속전지
WO2018159950A1 (ko) 리튬 이차전지
WO2015065102A1 (ko) 리튬 이차전지
WO2019208959A1 (ko) 고체 전해질 전지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전지팩
WO2019208958A1 (ko) 고체 전해질 전지용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전지
WO2020214009A1 (ko) 고체 전해질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용 전극
KR102310319B1 (ko) 유무기 복합 고체 고분자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유무기 복합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WO2020185014A1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0214010A1 (ko) 전고체 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WO2020159202A1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0226472A1 (ko) 전고체 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WO2018056615A1 (ko) 다중 보호층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20153790A1 (ko)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WO2022211521A1 (ko) 리튬 금속 전극 코팅 조성물, 리튬 금속 전극 제조방법, 리튬 금속 전극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19203455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245087A1 (ko)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적용한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20054889A1 (ko) 고체 고분자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고체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방법
WO2019083257A1 (ko) 리튬-황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WO2017074116A1 (ko) 다층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WO2017030416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43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43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2/04/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43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