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51128A1 - 안전성 개선용 터미널 버스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안전성 개선용 터미널 버스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20251128A1 WO2020251128A1 PCT/KR2020/000202 KR2020000202W WO2020251128A1 WO 2020251128 A1 WO2020251128 A1 WO 2020251128A1 KR 2020000202 W KR2020000202 W KR 2020000202W WO 2020251128 A1 WO2020251128 A1 WO 2020251128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attery
- bus bar
- metal layer
- battery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ZQKXQUJXLSSJCH-UHFFFAOYSA-N melamine cyanurat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O=C1NC(=O)NC(=O)N1 ZQKXQUJXLSSJC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6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 polyphen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65 Polyparaphen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compound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3 artifici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41 carbon blac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1 channel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JLLQSBAHIKGKF-UHFFFAOYSA-N dipotassium dioxido(oxo)titanium Chemical compound [K+].[K+].[O-][Ti]([O-])=O NJLLQSBAHIKG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2 furnac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FSLODLOARCGLH-UHFFFAOYSA-N isocyanuric acid Chemical compound OC1=NC(O)=NC(O)=N1 ZFSLODLOARCGL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73 ketje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3 lamp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6 mem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2 natur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52 nicke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ELJHCBNGDEXLD-UHFFFAOYSA-N nickel zinc Chemical compound [Ni].[Zn] QELJHCBNGDEX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8 sulfonated EPD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BFKJFAAPBSQJPD-UHFFFAOYSA-N tetrafluoroethene Chemical group FC(F)=C(F)F BFKJFAAPBSQJ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XEYQDLBPFQVAA-UHFFFAOYSA-N tetra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F)(F)F TXEYQDLBPFQV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4 thermal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4—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6—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nent capable of improving the safety of a battery module by blocking current when the temperature rises.
- the battery module is a battery module including two or more battery cells, wherein the battery cell is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electrode leads of opposite polariti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uch case, and at least one battery cell among the battery cells It further includes a terminal busbar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of.
-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lead does not melt, so that the current flows and high heat accumulates, and the battery cell cannot tolerate it, resulting in ignition.
- high current flows even under normal circumstances.
- a large current flows through the battery module in situations such as rapid charging, rapid acceleration, or starting, and thus, high temperature occurs in the electrode lead, but it should not be operated under such a normal situation.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cut off the flow of current at a temperature of about 250°C or higher.
- the battery pack 1200 may be provided in other devices, devices, and facilities, such as an ESS BMS using a secondary battery, in addition to the vehicle 13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배터리 모듈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부품으로서의 터미널 버스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버스바는, 길이와 너비에 비해 두께가 얇은 대략 판상형인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단자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자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차례로 적층된 제1 금속층/평상시에는 도전성이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으로 작동할 수 있는 물질층/제2 금속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질층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저항을 증가시키는 가스발생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금속층이 상기 단자부와 일체형이고, 상기 제2 금속층이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의 연결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 상승시 전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에 이용될 수 있는 터미널 버스바,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출원은 2019년 6월 11일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제10-2019-0068725호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인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이 양극 집전체에 코팅된 양극판과, 음극 활물질이 음극 집전체에 코팅된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구조를 가진 단위 셀을 집합시킨 전극 조립체와, 이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ESS)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특히,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는 적층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볍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많이 이용된다.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전극 리드가 접속된 전극 조립체가 파우치 케이스에 전해액과 함께 수납되어 밀봉된 구조를 가진다. 전극 리드의 일부는 파우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전극 리드는 이차 전지가 장착되는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이차 전지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데 사용된다.
도 1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들을 연결해 제조한 배터리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다. 예컨대 2개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형 배터리 셀(10, 10')은 파우치 케이스(30) 외부로 인출된 두 개의 전극 리드(40, 40')를 구비한다. 전극 리드(40. 40')는 전기적 극성에 따라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로 구분되며 파우치 케이스(30) 내에 밀봉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양극 리드는 전극 조립체(20)의 양극판에, 음극 리드는 전극 조립체(20)의 음극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 모듈(1) 안에서 배터리 셀들(10, 10')이 연결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도 1은 전극 리드(40, 40')를 절곡시킨 후 버스바(50) 위에 놓고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 처리해 배터리 셀(10)의 전극 리드(40)와, 이 배터리 셀(10)에 인접한 다른 배터리 셀(10')의 전극 리드(40')간을 연결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리튬 이차 전지는 과열이 될 경우 폭발 위험성이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에 적용이 되면서 다수의 고용량 이차 전지 배터리 셀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에서는, 폭발시 매우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리튬 이차 전지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는 대표적인 원인은 단락 전류가 흐르는 경우이다. 단락 전류는 이차 전지와 연결된 전자기기 등에서 단락이 일어난 경우 주로 발생하게 되며, 리튬 이차 전지에 단락 현상이 일어나면 양극 및 음극에서 급격한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열에 의해 배터리 셀의 온도가 빠른 속도로 상승하게 되어 결국 발화를 일으킨다. 특히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있는 배터리 모듈 혹은 배터리 팩의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 셀에서 발생된 열이 주위의 배터리 셀로 전파되어 다른 배터리 셀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더욱 큰 위험으로 커지게 된다.
기존에 이차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전류를 차단하여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PTC 소자, 퓨즈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이들은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 내에서 별도의 장착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배터리 모듈 혹은 배터리 팩의 폭발은 그것이 채용된 전자기기 혹은 자동차 등의 파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안전 위협 및 화재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이차 전지가 과열되면 폭발 및/또는 발화의 위험이 커지게 되고, 과열로 인한 급격한 연소나 폭발은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이차 전지 사용상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수단 도입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도 상승시 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 배터리 모듈의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러한 부품을 채용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모듈의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부품으로서 새로운 터미널 버스바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버스바는, 길이와 너비에 비해 두께가 얇은 대략 판상형인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단자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자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차례로 적층된 제1 금속층/평상시에는 도전성이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으로 작동할 수 있는 물질층/제2 금속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질층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저항을 증가시키는 가스발생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금속층이 상기 단자부와 일체형이고, 상기 제2 금속층이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의 연결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터미널 버스바는 상기 결합부에 상기 전극 리드가 관통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물질층은 상기 가스발생재료와 전도성 물질 및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스발생재료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서로 연결 및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스 발생시 상기 전도성 물질의 연결이 해제되어 저항이 증가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버스바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금속층이 단자부와 일체형이고 단면이 L자인 금속 부재를 준비한다. 상기 제1 금속층 위에 상기 물질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물질층 위에 제2 금속층을 적층한다.
상기 물질층을 상기 가스발생재료와 전도성 물질 및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형성하면, 상기 물질층 위에 상기 제2 금속층을 적층한 다음 눌러 붙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이러한 터미널 버스바를 포함한다.
이 배터리 모듈은, 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반대되는 극성의 전극 리드가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이며, 상기 배터리 셀 중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연결된 터미널 버스바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 외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모듈로의 전류 흐름 경로는 상기 단자부, 상기 제1 금속층, 상기 물질층, 상기 제2 금속층 및 상기 전극 리드를 거치는 순서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둘 이상 포함하는 배터리 팩도 제공한다. 이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모듈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터미널 버스바의 단자부와 상기 배터리 모듈 중 다른 하나의 터미널 버스바의 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인터 버스바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모듈들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자동차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셀은 그대로 두고 터미널 버스바를 변경해 배터리 모듈을 구성한다. 터미널 버스바는 온도 상승시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터미널 버스바를 통한 전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사용시 과열되는 경우 전류 흐름이 차단될 수 있어 비이상적인 상황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버스바의 저항 증가 구성으로서는, 버스바 안에 가스발생재료를 포함하는 물질층을 포함시켜, 이 가스발생재료가 분해되는 온도에 도달시 전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차 전지 보호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더라도 전류의 흐름을 차단해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 예컨대 충전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 배터리 모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버스바를 개선함으로써 온도 상승시 자동으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수단을 구현하므로, 이차 전지 보호 회로의 과충전 방지 기능과 함께 이중으로 배터리 모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셀들 사이를 연결해 전기 접속 경로를 구성할 때에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터미널 버스바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비이상적인 온도에 도달하는 상황과 같은 이벤트 발생시, 터미널 버스바 안의 물질층에 포함된 가스발생재료가 분해되면서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배터리 셀들은 전기 접속이 해제되어 전류 흐름이 차단되므로 배터리 모듈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특히, 터미널 버스바 안의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 사이에 일정 온도 이상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저항을 증가시키는 가스발생재료를 포함하는 물질층을 포함시킴으로써, 이 물질층을 중심으로 터미널 버스바와 전극 리드가 연결된 부분인 제2 금속층과 전극 리드가 연결되지 않은 터미널 버스바 부분인 제1 금속층 사이의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게 구성한다. 이러한 터미널 버스바는 특히 이웃하는 배터리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데에도 이용이 된다. 이와 같이 이웃하는 배터리 모듈 사이의 배터리 셀간을 연결시켜주는 터미널 버스바를 구성하게 되면 온도 상승시 터미널 버스바를 통한 전류가 흐르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의 터미널 버스바 개선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다. 기존의 터미널 버스바 대신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터미널 버스바를 이용하는 점만 달라지고 기존의 배터리 모듈 제조 공정은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비교적 공정에 대한 변경없이 배터리 모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배터리 셀 자체는 기존 제조 공정을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공정 변경이나 양산 프로세스에 대한 조정이 필요치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전류 흐름이 확보되고 기존과 유사한 배터리 모듈 성능을 발현하면서도, 비이상적인 상황에 의해 일정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배터리 모듈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그리고 이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버스바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버스바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모듈에 포함되는 터미널 버스바 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배터리 모듈에 포함되는 버스바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실험적으로 제조한 ICB 조립체의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험에 사용한 배터리 모듈들의 시간에 따른 저항과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a, 도 12b, 도 13a 및 도 13b는 실험에 사용한 배터리 모듈들의 외부 단락 시험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가리킨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이차 전지는 리튬 이차 전지를 일컫는다. 여기서, 리튬 이차 전지라 함은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리튬 이온이 작동 이온으로 작용하여 양극판과 음극판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을 유발하는 이차 전지를 총칭한다.
한편, 리튬 이차 전지에 사용된 전해질이나 분리막의 종류, 이차 전지를 포장하는 데 사용된 전지 케이스의 종류, 리튬 이차 전지의 내부 또는 외부의 구조 등에 따라 이차 전지의 명칭이 변경되더라도 리튬 이온이 작동 이온으로 사용되는 이차 전지라면 모두 상기 리튬 이차 전지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 이외의 다른 이차 전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동 이온이 리튬 이온이 아니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이차 전지라면 그 종류에 상관 없이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터미널 버스바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버스바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버스바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터미널 버스바(150)는, 결합부(160)와 단자부(170)를 포함한다. 단자부(170)는 결합부(160)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다.
결합부(160)는 길이(L)와 너비(W)에 비해 두께(T)가 얇은 대략 판상형 부재이다. 결합부(160)는 단자부(17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아래에서부터 위로 차례로 적층된 제1 금속층(162)/평상시에는 도전성이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으로 작동할 수 있는 물질층(164)/제2 금속층(166)으로 이루어진다. 제1 금속층(162), 물질층(164) 및 제2 금속층(166)은 두께(T) 방향을 따라 적층이 되어 있는 것이다. 단자부(170)의 두께는 결합부(160)의 두께(T)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1 금속층(162)은 단자부(170)와 일체형이고, 제2 금속층(166)은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의 연결면을 제공한다. 단자부(170)는 외부 입력 또는 배터리 모듈간을 연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보통 전극 리드와 연결하여 전기 배선을 형성하는 부품을 버스바라고 하므로 결합부(160)와 단자부(170)를 포함하는 부품을 버스바라고 불러도 되지만, 다른 버스바와는 달리 결합부(160) 이외에 단자부(17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 버스바라고 명명하였다.
제1 금속층(162)과 제2 금속층(166)은 전기적 전도성이 좋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니켈 및 SU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속층(162)과 제2 금속층(166)은 기존 버스바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금속층(162)과 제2 금속층(166)은 서로 같은 종류이거나 서로 다른 종류일 수도 있다.
제1 금속층(162)과 제2 금속층(166) 사이에 샌드위치된 물질층(164)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저항을 증가시키는 가스발생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물질층(164)은 이러한 가스발생재료와 전도성 물질 및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다. 접착제에 의해 전도성 물질이 서로 연결 및 고정되어 있고, 가스발생재료에서 가스 발생시 전도성 물질의 연결이 해제되어 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 가스발생재료는 부피 팽창 수지일 수 있다.
가스발생재료는 부피 팽창 수지의 일종인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는 질소와 인이 결합된 질소-인계 난연 성분으로 사용되는 물질로서, 다양한 제조사를 통해 평균 입경 크기가 수십 um 수준인 원료 상태로 입수할 수 있다.
보통 난연 용도로 사용되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는 온도가 약 300℃를 초과하는 흡열 분해를 겪는다.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는 멜라민 및 시아누르산으로 분해된다. 기화된 멜라민은 비활성 질소 가스를 방출한다.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의 분자량을 조절하면 분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의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구조식]
전도성 물질은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은,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휘스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는 가스발생재료와 전도성 물질 등의 결합과 제1 금속층(162) 및 제2 금속층(166)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이다. 이러한 접착제의 예로는, 폴리불화 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상적인 상황에 의해 일정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 예컨대 300℃ 이상으로 상승시, 제1 금속층(162)과 제2 금속층(166) 사이에 삽입된 물질층(164)에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가 분해되고 N
2 가스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물질층(164)은 저항이 증가해 저항층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터미널 버스바(150)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금속층(162)이 단자부(170)와 일체형이고 단면이 L자인 금속 부재(M)를 준비한다. 전체적인 두께를 두께(T)로 하기 위하여, 금속 부재(M)은 단자부(170)에 비하여 제1 금속층(162)이 얇게 준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부재(M)는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만들 수 있다. 그런 다음, 제1 금속층(162) 위에 물질층(164)을 형성한다. 그리고, 물질층(164) 위에 제2 금속층(166)을 적층한다. 물질층(164)과 제2 금속층(166)의 두께는 이들을 제1 금속층(162) 위에 적층하였을 때에 전체적으로 두께(T)를 만족할 수 있도록 각기 설정될 수 있다.
물질층(164)을 상기 가스발생재료와 전도성 물질 및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형성하면, 물질층(164) 위에 제2 금속층(166)을 적층한 다음 눌러 붙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질층(164)은 상기 가스발생재료와 전도성 물질 및 접착제를 혼합한 페이스트(paste) 혹은 슬러리(slurry)를 제1 금속층(162) 위에 도포해 형성할 수 있다. 그 위에 제2 금속층(166)을 놓고 위 아래에서 누르면, 두 금속층(162, 166) 사이에 물질층(164)이 끼워진 터미널 버스바(150)를 얻을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열처리도 실시할 수 있다.
결합부(160)의 두께(T)는 기존 버스바의 두께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1 금속층(162)과 제2 금속층(166)도 기존 버스바의 재질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물질층(164)의 평상시 전기전도도는 물질층(164) 안의 전도성 물질을 기존 버스바 재질과 동일하게 하거나 더 높게 함으로써 기존 버스바의 전기전도도와 유사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터미널 버스바(150) 안의 물질층(164)의 도전성이 유지되어 기존 버스바를 사용할 때와 유사한 배터리 모듈 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비이상적인 상황에 의해 일정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에는 물질층(164)의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정도가 된다. 이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면 물질층(164)이 저항으로 작동해 전류를 차단하므로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배터리 모듈에서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터미널 버스바(150')는 기본적으로 도 2의 터미널 버스바(150)와 동일하다. 이 터미널 버스바(150')는 결합부(160)에 전극 리드가 관통하는 홈(168)이 더 형성되어 있다. 홈(168)의 개수는 전극 리드의 개수나 연결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자부(170)에는 홀(172)이 더 형성되어 있다. 홀(172)은 외부 입력 또는 배터리 모듈간을 연결하는 데에 이용된다. 연결 방법에 따라 홀(172)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터미널 버스바(150 또는 150')는 전극 리드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 되는 부분(버스바의 장축이라고 볼 수 있음)을 금속 - 부피 팽창 수지 + 전도성 물질 + 접착제 - 금속의 3층 구조로 한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터미널 버스바-전극 리드간 전류가 흐를 수 있지만, 고온에서는 부피 팽창 수지 + 전도성 물질 + 접착제 부분에서 부피 팽창 수지가 부피 팽창하면서 전도성 물질간의 사이를 벌려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이 때문에 터미널 버스바-전극 리드간 저항이 커져 전류 흐름이 어려워진다. 이처럼, 이상 온도에서는 터미널 버스바를 통한 전류가 흐르지 않아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모듈에 포함되는 터미널 버스바 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배터리 모듈에 포함되는 버스바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4의 배터리 모듈(1000)은 4P3S 연결 예를 도시한다. 즉, 4개의 배터리 셀(210)을 병렬(P) 연결한 셀 뱅크(211) 3개를 직렬(S) 연결한 것이다. 배터리 셀(210) 각각은 앞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4P3S는 어디까지나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 셀(210)은 이차 전지로서, 파우치 케이스(230) 외부로 인출된 2개의 전극 리드(240)를 구비한다. 전극 리드(240)는 전기적 극성에 따라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로 구분되며 파우치 케이스(230) 내에 밀봉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양극 리드는 전극 조립체의 양극판에, 음극 리드는 전극 조립체의 음극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처럼 배터리 셀(210)은 반대되는 극성의 전극 리드(240)의 일단부가 양단에 각각 접속된 전극 조립체가 파우치 케이스(230)에 전해액과 함께 수납 밀봉된 구조를 가지고, 전극 리드(240)의 타단부가 파우치 케이스(23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이다.
배터리 셀(210)은 그 양단으로 전극 리드(240)가 돌출되어 있다. 병렬 연결되는 셀 뱅크(211) 내에서 이들 전극 리드(240)는 서로 같은 극성이 옆에 오도록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셀 뱅크(211) 사이에서는 서로 반대 극성이 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전극 리드(240)가 연결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전극 리드(240)의 타단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꺾어진 형태로 절곡시켜 평평한 접촉면을 제공하도록 한 후 이를 버스바(290) 또는 터미널 버스바(150')와 서로 겹치게 하여 용접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터미널 버스바(150')는 하나의 셀 뱅크(211) 내에서 같은 극성의 전극 리드(240)간을 연결하게 된다. 버스바(290)는 두 셀 뱅크(211) 사이에서 다른 극성의 전극 리드(240)간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터미널 버스바(150')와 버스바(290)는 각각 2개씩 구비된다.
각 전극 리드(240)의 절곡된 부위 사이에 터미널 버스바(150')와 버스바(290)가 배터리 셀(210)들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게 놓여 전극 리드(240)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에 의해 결합 및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미널 버스바(150')와 버스바(290)에는 전극 리드(240)가 관통하는 홈(168, 296)이 형성되어 있다. 터미널 버스바(150')에 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된다.
터미널 버스바(150') 정면도인 도 5와 버스바(290) 정면도인 도 7을 보면, 홈(168, 296) 주변으로 대략 O형으로 되어 있다. 가운데에 형성된 홈(168, 296)을 통해 전극 리드(240)가 관통해 나와 절곡된 후 전극 리드(240)-버스바(150', 290) 용접이 버스바(150', 290)의 장축을 따라 선형으로 진행된다.
특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터미널 버스바(150')의 결합부(160) 중 제2 금속층(166)에 4개의 전극 리드(2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터미널 버스바(150')의 결합부(160)에 4개의 전극 리드(240)가 결합하는 경우, 4개의 전극 리드(240) 중 2개는 서로 적층된 상태로 홈(168)을 관통해 나와 좌측으로 절곡되어 결합부(160)의 좌측에 연결되고, 나머지 2개 전극 리드(240)는 좌측으로 절곡되어 결합부(160)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4개의 전극 리드(240)는 서로 다른 4개의 배터리 셀(210)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서,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 우측 상단 터미널 버스바(150')에 연결된 전극 리드(240)는 모두 양극 리드이다. 따라서, 도 4 우측 상단 터미널 버스바(150')는 양극 터미널 버스바라고 부를 수 있다. 도 4 좌측 하단 터미널 버스바(150')에 연결된 전극 리드(240)는 모두 음극 리드이다. 따라서, 도 4 좌측 하단 터미널 버스바(150')는 음극 터미널 버스바라고 부를 수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1개의 버스바(290)에는 8개의 전극 리드(2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버스바(290)에 8개의 전극 리드(240)가 결합하는 경우, 8개의 전극 리드(240) 중 2개는 서로 적층된 상태로 우측으로 절곡되어 버스바(290)의 좌측에 연결되고, 나머지 2개는 서로 적층된 상태로 두 개의 홈(296) 중 좌측의 홈(296)을 관통해 나와 우측으로 절곡되어 버스바(290)의 중앙부 좌측에 연결된다. 나머지 2개는 서로 적층된 상태로 두 개의 홈 중 우측의 홈(296)을 관통해 나와 좌측으로 절곡되어 버스바(290)의 중앙부 우측에 연결된다. 나머지 2개의 전극 리드(240)는 좌측으로 절곡되어 버스바(290)의 우측에 연결된다.
이 때, 8개의 전극 리드(240)는 서로 다른 8개의 배터리 셀(210)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서, 좌측 4개는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갖지만 우측 4개는 이들과는 다른 극성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버스바(290)에 연결된 전극 리드(240)는 양극 리드 4개와 음극 리드 4개이다.
도 6을 참조하여 특히 본 발명의 터미널 버스바(150')를 경유하는 전류 흐름 경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도 4의 1000) 외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모듈(1000)로의 전류 흐름 경로는 터미널 버스바(150')의 단자부(170), 제1 금속층(162), 물질층(164), 제2 금속층(166)을 거쳐 전극 리드(240)를 거치는 순서로 마련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질층(164)은 평상시에는 도전성이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재료이다. 비이상적인 상황에 의해 일정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 예컨대 300℃ 이상으로 상승시, 물질층(164)에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가 분해되고 N
2 가스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물질층(164)은 저항이 증가해 저항층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부피 팽창을 통해 전기적 연결을 끊어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터미널 버스바(150') 안의 물질층(164)의 도전성이 유지되어 기존 버스바와 유사한 배터리 모듈 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비이상적인 상황에 의해 일정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에는 물질층(164)의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단자부(170), 제1 금속층(162)까지 흘러온 전류가 물질층(164)을 지나 제2 금속층(166)까지 흘러가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전극 리드(240)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정도가 된다. 이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면 물질층(164)이 저항으로 작동해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 보호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더라도 전류의 흐름을 차단해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 예컨대 충전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 배터리 모듈(100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은 터미널 버스바를 개선함으로써 온도 상승시 자동으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수단을 구현하므로, 이차 전지 보호 회로의 과충전 방지 기능과 함께 이중으로 배터리 모듈(1000)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버스바(290)가 아닌 터미널 버스바(150')를 이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배터리 모듈(1000)로의 전류 흐름이 외부에서부터 원천 차단되거나 다른 배터리 모듈로부터 원천 차단될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대표적인 원인은 단락 전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여러 배터리 셀을 연결한 배터리 모듈 혹은 배터리 팩의 안전성에서 단락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단락 저항이 낮을수록 높은 단락 전류가 흐르게 되어 큰 열이 발생하게 되고, 배터리 셀이 견딜 수 없게 되면 발화가 발생하게 된다. 단락 저항이 매우 낮을 때 일부 안전한 결과를 얻기도 하는데, 이는 고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한 열이 660℃를 초과하면서 전극 리드가 녹게 되고 그로 인해 전류 흐름이 끊어져 안전성을 확보한 경우이다. 발생한 온도가 이보다 낮은 온도인 경우, 전극 리드가 녹지 않아 전류의 흐름은 지속되면서 고열이 쌓이게 되고 배터리 셀이 견디지 못해 발화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고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있다. 전기차에서 급속 충전이나 급가속, 시동 등의 상황시 배터리 모듈에 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전극 리드에 고온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작동을 하게 되면 안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약 250℃ 이상의 온도에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1000)이 약 300℃에 도달하였을 때 터미널 버스바(150')의 물질층(164)에서 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물질층(164) 저항이 증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고전류 범위에서는 작동하지 않고 실제 단락이 발생하여 그 이상의 온도로 과열될 때에만 작동하여 그로 인한 화재, 폭발 등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안전성 개선용 장치인 PTC 소자나 퓨즈처럼 모듈 내에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에너지 밀도를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0)은 우수한 안전성을 가지므로 고온 안정성 및 긴 사이클 특성과 높은 레이트 특성 등이 요구되는 중대형 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되기에도 적합하다. 상기 중대형 장치의 바람직한 예로는 전기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EV, HEV,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및 ESS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미널 버스바(150')와 버스바(290)는 다양한 전기적 연결 관계를 구현하기 위하여 모양, 크기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터미널 버스바(150')와 버스바(290) 단독으로 이용되기 보다는 배선 관계를 고려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된 프레임 위에 조합되어진 ICB 조립체라는 부품으로 배터리 모듈 제조 공정에 적용이 된다. 프레임의 형태와 프레임에 조합되는 버스바의 형태는 배터리 모듈의 연결 관계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8에는 실험적으로 제조한 ICB 조립체의 사진을 나타내었다.
ICB 조립체(300)는 프레임(310)과 버스바(290), 터미널 버스바(150')를 포함한다.
터미널 버스바(150')는 프레임(310)에 피어싱 등을 통해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금속층(162)과 제2 금속층(166) 사이에 평면적으로 부피 팽창 수지 + 전도성 물질 + 접착제와 같은 물질층(164)을 샌드위치시켜도 부피 팽창 수지 + 전도성 물질 + 접착제와 제1 금속층(162), 부피 팽창 수지 + 전도성 물질 + 접착제와 제2 금속층(166) 사이가 미끄러지거나 층분리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의 터미널 버스바 개선을 통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기존의 버스바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버스바(150')를 이용해 배터리 모듈(1000)을 제조하기만 하면 안정성이 향상되며, 기존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을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공정 변경이나 양산 프로세스에 대한 조정이 필요치 않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터미널 버스바(150') 안의 물질층(164)의 도전성이 유지되어 기존 배터리 모듈과 유사한 배터리 모듈 성능을 발현하면서도, 비이상적인 상황에 의해 일정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배터리 모듈(1000)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1000),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그리고 이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배터리 팩(120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터리 모듈(1000)을 둘 이상 포함한다. 인터 버스바(1250)는 이웃하는 배터리 모듈(1000) 사이에서 터미널 버스바(150')의 단자부(170)끼리를 연결한다. 즉, 인터 버스바(1250)는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1000) 중 어느 하나의 터미널 버스바(150')의 단자부(170)와 배터리 모듈(1000) 중 다른 하나의 터미널 버스바(150')의 단자부(170) 사이를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1000)간을 연결한다.
인터 버스바(1250)는 터미널 버스바(150')의 단자부(170)에 접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인터 버스바(1250)의 형상을 간결화하기 위하여, 즉 이웃하는 터미널 버스바(150')가 가장 가까운 거리에 놓일 수 있도록, 배터리 모듈(1000) 안에서의 터미널 버스바(150')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배터리 모듈(1000)은 도 9의 하단에 위치하고, 도 4의 배터리 모듈(1000)을 좌우 거울대칭으로 형성한 배터리 모듈을 도 9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한 예라고 볼 수 있다.
도 9와 같은 구조에서,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터미널 버스바(150')는 음극 터미널 버스바이다. 이 터미널 버스바(150')의 단자부(170)에는 외부 입력을 위해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 터미널이 마련된다. 좌측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두 터미널 버스바(150')는 도면 위에서부터 아래로 양극 터미널 버스바, 음극 터미널 버스바이다. 그러므로 인터 버스바(1250)은 서로 다른 극성의 두 터미널 버스바(150') 사이를 직렬 연결하는 것이다. 우측 하단의 터미널 버스바(150')는 양극 터미널 버스바이다. 이 터미널 버스바(150')의 단자부(170)에는 외부 입력을 위해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터미널이 마련된다.
터미널 버스바(150')와 인터 버스바(1250) 사이의 연결은 터미널 버스바(150')의 단자부(170)에 형성한 홀(172)을 이용하는 볼트와 너트 체결 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인터 버스바(1250)에는 홀(172)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와 너트 체결을 위한 다른 홀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 팩(1200)은 배터리 모듈(1000)들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200)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1000)과 팩 케이스 이외에 배터리 모듈(100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배터리 팩(1200)은 자동차(1300)의 연료원으로써, 자동차(13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로써, 배터리 팩(1200)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기타 배터리 팩(1200)을 연료원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자동차(1300)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동차(1300)는 전기자동차일 수 있다. 배터리 팩(1200)은 전기자동차의 모터(131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자동차(1300)를 구동시키는 전기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팩(1200)은 100V 이상의 높은 공칭 전압을 가진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용이면 270V에 맞춰져 있다.
배터리 팩(1200)은 모터(1310) 및/또는 내연 기관의 구동에 따라 인버터(1320)에 의해 충전되거나 방전될 수 있다. 배터리 팩(1200)은 브레이크(break)와 결합된 회생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 팩(1200)은 인버터(1320)를 통해 자동차(1300)의 모터(1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200)에는 BMS도 포함되어 있다. BMS는 배터리 팩(1200) 내의 배터리 셀들의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1200)을 관리한다. 예컨대, 배터리 팩(1200)의 SOC(State Of Charge), SOH(State Of Health), 최대 입출력 전력 허용량, 출력 전압 등 배터리 팩(1200) 상태 정보를 추정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1200)의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며, 나아가 배터리 팩(1200)의 교체 시기 추정도 가능하다.
ECU(1330)는 자동차(1300)의 상태를 제어하는 전자적 제어 장치이다. 예컨대, 가속기(accelerator), 브레이크, 속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토크 정보를 결정하고, 모터(1310)의 출력이 토크 정보에 맞도록 제어한다. 또한, ECU(1330)는 BMS에 의해 전달받은 배터리 팩(1200)의 SOC, SOH 등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팩(1200)이 충전 또는 방전될 수 있도록 인버터(1320)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인버터(1320)는 ECU(13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 팩(1200)이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한다. 모터(1310)는 배터리 팩(1200)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ECU(13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정보(예컨대,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1300)를 구동한다.
이러한 자동차(1300)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200)을 포함하는데, 배터리 팩(1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1000)을 포함한다. 따라서, 배터리 팩(1200)의 안정성이 향상되며, 이러한 배터리 팩(1200)은 안정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1300)는 안전하고 운용이 쉽다.
또한, 배터리 팩(1200)은 자동차(1300) 이외에도 이차 전지를 이용하는 ESS BMS 등 기타 다른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에도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200)과 자동차(1300)와 같은, 배터리 팩(1200)을 구비하는 장치나 기구 및 설비는 전술한 배터리 모듈(1000)을 포함하는 바, 전술한 배터리 모듈(100)로 인한 장점을 모두 갖는 배터리 팩(1200) 및 이러한 배터리 팩(1200)을 구비하는 자동차(1300) 등의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와 같은 배터리 모듈을 실험실 규모에서 제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버스바의 전류 차단 효과를 검증하였다.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은 일반적인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제조 방법을 따랐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버스바(150')처럼 차례로 적층된 제1 금속층/평상시에는 도전성이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으로 작동할 수 있는 물질층/제2 금속층을 포함하는 버스바를 이용한 것을 실시예로 하였다. 평상시에는 도전성이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으로 작동할 수 있는 물질층은 가스발생재료와 전도성 물질 및 접착제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가스발생재료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이용하고 전도성 물질은 은(Ag) 분말을 이용하고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였다. 은의 함량은 약 75~85 wt%로 하였다.
하나의 금속층으로만 이루어진 버스바를 이용한 것을 비교예 1로 하였다.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이 실버 에폭시 수지로 접착된 상태로 이루어진 버스바를 이용한 것을 비교예 2로 하였다.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 재질 및 비교예 1의 버스바 재질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 1, 2의 버스바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하였다.
도 11은 실험에 사용한 배터리 모듈들의 시간에 따른 저항과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배터리 모듈에 600A의 과전류를 인가하면서 시간에 따른 저항과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과전류 인가는 1000A급 충방전기를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측정은 데이터로거를 이용하였다. 온도는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 부위를 측정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온도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30초 지난 시점에 60℃ 가까이에 이르고, 그동안에 저항이 점차 증가하기는 하나 버스바를 통한 전류는 계속 흐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교예 2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교예 1보다 온도가 더 가파르게 상승하여 30초 지난 시점에 110℃에 이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의 저항은 비교예 1보다 약간 큰 정도를 유지한 채 점차 증가하기는 하나 버스바를 통한 전류는 계속 흐르고 과전류 차단 효과는 없음이 확인된다.
실시예를 보면, 8초 지난 시점에 급격한 저항 증가를 보이고, 이후에 저항이 0으로 측정된 것으로부터는 과전류가 차단되어 저항 측정이 안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온도의 증가에 따른 저항의 증감이 나타날 뿐 아니라 특정한 온도에서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는 온도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는 PTC 버스바라고 불러도 될 정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할 때에, 특정 시점에서 버스바의 저항은 급격히 증가되어 과전류 차단 효과가 발생함이 확인되었다. 도 12a, 도 12b, 도 13a 및 도 13b는 실험에 사용한 배터리 모듈들의 외부 단락 시험 결과이다. 도 12a와 도 12b는 비교예 1의 경우이고 도 13a와 도 13b는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이다. 외부 단락 시험은 배터리 모듈에 저항값을 아는 션트 저항을 병렬 연결하고 큰 전류를 흘려주어 단락을 시키면서 션트 저항에 걸린 션트 전압을 측정해 전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시험 동안에 셀 전압도 측정하고, 버스바, 양극, 음극 및 셀 중심부 온도도 측정하였다. 데이터 측정은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로거를 이용하였다.
도 12a와 도 13a는 시간에 따른 전압, 온도, 전류 그래프이고, 도 12b와 도 13b는 외부 단락이 일어난 시점 부분을 확대해 션트 전압과 전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a와 도 13a 모두 전류 인가 후 10분되는 시점에서 강제로 외부 단락을 시킨 결과를 도시한다. 시간 경과에 따라 도 12a의 비교예 1의 경우는 셀 전압이 3.15 V까지만 회복이 되지만 도 13a의 실시예의 경우는 셀 전압이 4.25V까지 회복이 된다. 비교예 1에서 1.1V 정도 회복이 덜 된 것은 전류가 완벽히 차단되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제로 외부 단락 시점의 션트 전압과 전류를 보여주는 도 12b를 보면 비교예 1의 경우 외부 단락 이후에 300A 이상의 전류가 흐르고 있음이 확인되는 반면, 도 13b를 보면 실시예의 경우 외부 단락 이후에 전류가 거의 0임이 확인된다.
버스바의 온도를 비교해 보면 도 12a의 비교예 1의 경우보다 도 13a의 실시예의 경우가 초기에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저항이 증가한 결과, 전류가 차단되어 거의 흐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 전류 차단 효과가 확실하므로 비교예 1의 양극, 음극 온도가 100℃ 전후로 상승함에 비해 실시예의 경우 전류 차단 이후의 온도가 거의 상온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해, 본원의 실시예가 비교예들보다 전류 차단 효과가 확실하고, 실제로 온도 증가시 전류 차단 기능을 달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3)
- 길이와 너비에 비해 두께가 얇은 대략 판상형인 결합부; 및상기 결합부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단자부를 포함하며,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자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차례로 적층된 제1 금속층/평상시에는 도전성이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으로 작동할 수 있는 물질층/제2 금속층으로 이루어지고,상기 물질층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저항을 증가시키는 가스발생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며,상기 제1 금속층이 상기 단자부와 일체형이고, 상기 제2 금속층이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의 연결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버스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층은 상기 가스발생재료와 전도성 물질 및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버스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재료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버스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서로 연결 및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스 발생시 상기 전도성 물질의 연결이 해제되어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버스바.
- 제1항 기재의 터미널 버스바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제1 금속층이 단자부와 일체형이고 단면이 L자인 금속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제1 금속층 위에 평상시에는 도전성이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으로 작동할 수 있는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물질층 위에 제2 금속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버스바 제조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층은 상기 가스발생재료와 전도성 물질 및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형성하며, 상기 물질층 위에 상기 제2 금속층을 적층한 다음 눌러 붙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버스바 제조 방법.
- 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상기 배터리 셀은 반대되는 극성의 전극 리드가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이며,상기 배터리 셀 중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연결된 터미널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상기 터미널 버스바는 길이와 너비에 비해 두께가 얇은 대략 판상형인 결합부; 및상기 결합부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단자부를 포함하며,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자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차례로 적층된 제1 금속층/평상시에는 도전성이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으로 작동할 수 있는 물질층/제2 금속층으로 이루어지고,상기 물질층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저항을 증가시키는 가스발생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며,상기 제1 금속층이 상기 단자부와 일체형이고, 상기 제2 금속층이 상기 전극 리드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층은 상기 가스발생재료와 전도성 물질 및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재료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서로 연결 및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스 발생시 상기 전도성 물질의 연결이 해제되어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 외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모듈로의 전류 흐름 경로는 상기 단자부, 상기 제1 금속층, 상기 물질층, 상기 제2 금속층 및 상기 전극 리드를 거치는 순서로 마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둘 이상 포함하고,상기 배터리 모듈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터미널 버스바의 단자부와 상기 배터리 모듈 중 다른 하나의 터미널 버스바의 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인터 버스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12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7/608,428 US20220231383A1 (en) | 2019-06-11 | 2020-01-06 | Terminal busbar for improving safety, an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EP20823314.8A EP3951916A4 (en) | 2019-06-11 | 2020-01-06 | Terminal busbar for improving safety, an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CN202080027392.4A CN113661604A (zh) | 2019-06-11 | 2020-01-06 | 提高安全性的端子汇流排及包括其的电池模块和电池组 |
JP2021564357A JP7206423B2 (ja) | 2019-06-11 | 2020-01-06 | 安全性改善用ターミナルバスバー、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8725 | 2019-06-11 | ||
KR20190068725 | 2019-06-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251128A1 true WO2020251128A1 (ko) | 2020-12-17 |
Family
ID=7378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20/000202 WO2020251128A1 (ko) | 2019-06-11 | 2020-01-06 | 안전성 개선용 터미널 버스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31383A1 (ko) |
EP (1) | EP3951916A4 (ko) |
JP (1) | JP7206423B2 (ko) |
KR (1) | KR20200141918A (ko) |
CN (1) | CN113661604A (ko) |
WO (1) | WO202025112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64545A (zh) * | 2021-03-17 | 2021-05-28 | 昆山宝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热自适应性模块、电池模组及电池包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4558A (ko) | 2021-07-21 | 2023-01-3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KR102526844B1 (ko) * | 2022-01-18 | 2023-05-03 | 삼보모터스주식회사 | 버스바 프레임 및 이를 갖는 배터리 모듈 |
KR102523946B1 (ko) * | 2022-01-18 | 2023-04-24 | 삼보모터스주식회사 | 버스바 프레임 및 이를 갖는 배터리 모듈 |
KR102543155B1 (ko) * | 2022-01-18 | 2023-06-15 | 삼보모터스주식회사 | 버스바 프레임 및 이를 갖는 배터리 모듈 |
KR102439345B1 (ko) | 2022-04-28 | 2022-09-01 | 노영호 | 볼티지 센싱 어셈블리용 비전검사기 |
WO2024117787A1 (ko) * | 2022-12-02 | 2024-06-0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팩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0851A (ko) * | 2010-12-22 | 2012-07-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리드를 사용하는 이차전지 |
KR20130064031A (ko) * | 2011-12-07 | 2013-06-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KR20150113827A (ko) * | 2014-03-31 | 2015-10-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US20170237060A1 (en) * | 2014-08-19 | 2017-08-17 | Nec Corporation | Battery having current interrupting fun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WO2018155281A1 (ja) * | 2017-02-24 | 2018-08-30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電気化学素子用電極および電気化学素子 |
KR20190068725A (ko) | 2017-12-10 | 2019-06-19 | 권기현 | 진공기능을 추가한 라텍스 장갑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64765B2 (en) * | 1998-05-19 | 2004-07-20 | Sony Chemicals Corporation | Fire-retardant adhesive, fire-retardant adhesive film using the same, and flat cable |
JP4809517B2 (ja) * | 2000-07-19 | 2011-11-09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絶縁樹脂組成物および絶縁電線 |
JP4135516B2 (ja) * | 2003-01-23 | 2008-08-20 | ソニー株式会社 | リード端子及び電源装置 |
JP4301340B2 (ja) * | 2007-08-15 | 2009-07-22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組電池 |
CN102315408A (zh) * | 2011-09-29 | 2012-01-11 | 北京神州远望科技有限公司 | 可重复使用的热敏电阻过流保护装置及电池模块中的应用 |
US8721368B2 (en) * | 2011-10-06 | 2014-05-13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Power terminal connector and system |
CN203710704U (zh) * | 2014-01-25 | 2014-07-16 | 杭州速泽电子科技有限公司 | 兼容型磁吸附式电子积木 |
JP6760256B2 (ja) | 2015-02-17 | 2020-09-23 | 日本電気株式会社 |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2267056B1 (ko) * | 2017-06-20 | 2021-06-1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WO2019103310A1 (ko) * | 2017-11-23 | 2019-05-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KR102264906B1 (ko) * | 2017-11-23 | 2021-06-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KR102450418B1 (ko) * | 2018-12-07 | 2022-09-3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
2020
- 2020-01-06 EP EP20823314.8A patent/EP3951916A4/en active Pending
- 2020-01-06 JP JP2021564357A patent/JP7206423B2/ja active Active
- 2020-01-06 KR KR1020200001498A patent/KR20200141918A/ko unknown
- 2020-01-06 CN CN202080027392.4A patent/CN113661604A/zh active Pending
- 2020-01-06 WO PCT/KR2020/000202 patent/WO2020251128A1/ko unknown
- 2020-01-06 US US17/608,428 patent/US20220231383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0851A (ko) * | 2010-12-22 | 2012-07-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리드를 사용하는 이차전지 |
KR20130064031A (ko) * | 2011-12-07 | 2013-06-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KR20150113827A (ko) * | 2014-03-31 | 2015-10-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US20170237060A1 (en) * | 2014-08-19 | 2017-08-17 | Nec Corporation | Battery having current interrupting fun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WO2018155281A1 (ja) * | 2017-02-24 | 2018-08-30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電気化学素子用電極および電気化学素子 |
KR20190068725A (ko) | 2017-12-10 | 2019-06-19 | 권기현 | 진공기능을 추가한 라텍스 장갑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ee also references of EP3951916A4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64545A (zh) * | 2021-03-17 | 2021-05-28 | 昆山宝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热自适应性模块、电池模组及电池包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661604A (zh) | 2021-11-16 |
KR20200141918A (ko) | 2020-12-21 |
EP3951916A1 (en) | 2022-02-09 |
US20220231383A1 (en) | 2022-07-21 |
JP2022533015A (ja) | 2022-07-21 |
EP3951916A4 (en) | 2022-06-29 |
JP7206423B2 (ja) | 2023-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20251128A1 (ko) | 안전성 개선용 터미널 버스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 |
WO2022080908A1 (ko)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
CN112106228B (zh) | 具有提高的安全性的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车辆 | |
WO2020111564A1 (ko) | 열 방출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
WO2012173451A2 (ko) | 솔더링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 |
WO2013002608A2 (ko) |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이차전지 | |
WO2019245214A1 (ko) | 이차 전지 및 버스바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 |
WO2018225920A1 (ko) | 배터리 모듈 | |
WO2013129844A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WO2020111550A1 (ko) | 열 방출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
WO2018186659A1 (ko) |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
WO2018217040A1 (ko) |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
WO2020085815A1 (ko) | 배터리 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과 자동차 | |
WO2020111549A1 (ko) |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
WO2018230907A1 (ko) |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
WO2022005233A1 (ko) |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및 이의 제조 방법 | |
WO2020197040A1 (ko) | 버스 바 모듈과 그 제조 방법 | |
WO2018199511A1 (ko) | 전도성 폴리머를 이용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WO2022211250A1 (ko)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WO2022005234A1 (ko) |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및 이의 제조 방법 | |
WO2019103310A1 (ko) |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
WO2024162623A1 (ko) | 버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WO2023027522A1 (ko) | 연결 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WO2024162624A1 (ko) | 버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WO2019045365A1 (ko) | 열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208233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2156435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208233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103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