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13911A1 - 날데메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날데메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13911A1
WO2020213911A1 PCT/KR2020/005007 KR2020005007W WO2020213911A1 WO 2020213911 A1 WO2020213911 A1 WO 2020213911A1 KR 2020005007 W KR2020005007 W KR 2020005007W WO 2020213911 A1 WO2020213911 A1 WO 20202139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reaction
vo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50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현익
이효선
Original Assignee
연성정밀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성정밀화학(주) filed Critical 연성정밀화학(주)
Priority to US17/604,60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194953A1/en
Priority to JP2021561713A priority patent/JP7302904B2/ja
Priority to EP20792080.2A priority patent/EP3957641A4/en
Publication of WO20202139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13911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4aH-8, 9 c- Iminoethano-phenanthro [4, 5-b, c, d] furan ring systems, e.g. derivatives of [4, 5-epoxy]-morphinan of the formula:
    • C07D489/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4aH-8, 9 c- Iminoethano-phenanthro [4, 5-b, c, d] furan ring systems, e.g. derivatives of [4, 5-epoxy]-morphinan of the formula: with a hetero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14
    • C07D489/08Oxygen at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naldemed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economically producing naldemedin of high purity in high yield.
  • Opioid analgesics act on ⁇ -opioid receptors in the brain and have a strong analgesic effect. As they act on ⁇ -opioid receptors in the intestine, they decrease intestinal activity and cause severe constipation.
  • Naldemedine of the following formula (I) is a peripheral-selective ⁇ -opioid receptor antagonist, and is a drug approved as a treatment for opioid-induced constipation in adults.
  • Naldemedin relieves constipation symptoms by binding to the peripheral ⁇ -opioid receptors without weakening the analgesic action of opioid analgesics and antagonizing the action of opioid analgesics.
  • naltrexone is protected with a benzyl group, ethoxycarbonyl is protected, and then naltrexone is protected with a benzyl group and hydrolyzed, as shown in Scheme 1 below, followed by coupling and deprotection. Methods of making medine are disclosed.
  • the manufactur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due to the use of expensive reagents, harsh reaction conditions, and low yield.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conomically producing naldemedine in high yiel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high purity naldemedine only by recrystallization without a purification process by column chromatography.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naldemedine of the following formula (1),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present invention is
  • the compound of formula 3 can be prepared by 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2 with diethyl pyrocarbonate and then treatment with a base.
  • sodium ethoxide, potassium ethoxide, lithium ethoxide, etc. may be used, and sodium ethoxide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reaction temperature with diethyl pyrocarbonate is preferably about 100 to 120°C, and the base treatment temperature is preferably room temperature.
  • the prepared compound of Formula 3 can be purified by recrystallization.
  • the recrystallization solvent is preferably a mixed solvent of ethyl acetate and methanol.
  • the compound of Formula 2 can be synthesized by prote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6 with a benzyl group.
  • the protection reaction may be carried out by 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6 with benzyl bromide in the presence of a base.
  • Potassium carbonate, cesium carbonate, sodium hydride, sodium hydroxide, and the like may be used as the base, and potassium carbonate in a fine powder form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re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about 50 to 70°C.
  • reaction solvent acetone, dimethylformamide, or the like may be used, and acetone is particularly preferred in terms of a work-up process and yield.
  • the compound of Formula 5 can be prepared by 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3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4 and then adding hydrochloric acid.
  • the coupling reaction may be carried out in the absence of a separate reaction reagent such as a catalyst.
  • the re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reflux heating conditions, and the reaction time is preferably 3 to 4 days.
  • toluene benzene, xylene, etc.
  • toluene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prepared compound of Formula 5 can be purified by recrystallization.
  • Ethyl acetate is preferable as the recrystallization solvent.
  • Step 3 Preparation of naldemedine of Formula 1
  • the compound of Formula 1 can be prepared by deprote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5.
  • the deprotection reaction can be carried out in acetic acid using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 re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about 50 to 60 °C.
  • the prepared naldemedine of Formula 1 may be added to aqueous ammonia at 0°C to form a solid.
  • the naldemedine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preparation method may be used to prepare an acid addition salt of naldemedine by adding an acid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 p-toluenesulfonic acid As the acid, p-toluenesulfonic acid, acetic acid, hydrochloric acid, and the like may be used, and p-toluenesulfonic acid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acid addition re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room temperature, and methanol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reaction solvent.
  • the prepared p-toluenesulfonate of naldemedine can be purified by recrystallization.
  • Methylene chloride is preferable as the recrystallization solvent.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5), which is an intermediate for preparing naldemedine of formula (1).
  • naldemedin can be conveniently and economically produced.
  • it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because high-purity naldemedine can be produced in high yield only by recrystallization without purification by column chromatography.
  • t-butoxycarbonylamino isobutyric acid 200 g, 1.0 equiv was added to n-propyl acetate (1400 mL, 7 vol.), stirred, and then N,N-diisopropylethylamine (DIPEA, 188.5 mL, 1.1 equiv) was added at 0°C. Then, isobutyl chloroformate (IBCF, 134.7 mL, 1.05 equiv) was added dropwise at 0° C., and the resulting mixture was stirred for 1 hour.
  • DIPEA N,N-diisopropylethylamine
  • IBCF isobutyl chloroformate
  • the residue (300 g) was diluted with 4 N HCl in dioxane (3000 mL, 10 vol) and stirred at 20° C. for 2 hours. After filtering the resulting white solid, the filter cake was washed with methyl t-butyl ether (MTBE, 300 mL, 1 vol.). The filtrate was evaporated, MTBE (500 mL, 10 vol.) was added and stirred, followed by filtration, and the filter cake was washed with MTBE (50 mL, 1 vol.). The combined filter cakes were dried in a vacuum oven to give the HCl salt of the compound of formula 4 (228 g, 97.6% yield) as a white solid.
  • MTBE methyl t-butyl ether
  • the crude product (65 g) was diluted with EA (688 mL, 7.5 vol.), and a 4 N HCl solution in dioxane (26 mL, 1.05 equiv) was added dropwise. After the dropwise addition, the mixture was heated to reflux to obtain a clear solution. The clear solution was slowly cooled to room temperature. The formed solid was filtered, and the filter cake was washed with EA (32 mL, 0.5 vol.) and MTBE (65 mL, 1 vol.). The filter cake was dried in a vacuum oven to obtain a compound of Formula 5 (47 g, 73% yield, 99.5% purity) as a white sol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순도의 날데메딘을 고수율로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날데메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날데메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순도의 날데메딘을 고수율로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피오이드 진통제는 뇌내 μ-오피오이드 수용체에 작용해 강한 진통작용을 하는데, 장관의 μ-오피오이드 수용체에도 작용함에 따라 장의 활동을 저하시키고 중증 변비증상을 유발한다.
하기 화학식 I의 날데메딘(naldemedine)은 말초선택성 μ-오피오이드 수용체 길항제로서, 성인의 오피오이드 유발성 변비 치료제로서 승인된 약물이다.
[화학식 I]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01
날데메딘은 오피오이드 진통제의 진통작용을 약화시키지 않고 말초 μ-오피오이드 수용체에 결합해 오피오이드 진통제의 작용에 길항함에 따라 변비증상을 완화시킨다.
미국 특허 제8,084,460호에는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날트렉손을 벤질기로 보호화하고 에톡시카보닐화한 후, 다시 벤질기로 보호화하고 가수분해한 다음, 커플링시키고 탈보호화하는 총 6 단계 공정에 의해 날데메딘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조 방법은 값비싼 시약을 사용하고, 반응 조건이 가혹하며, 수율이 낮아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02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날데메딘을 고수율로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순도의 날데메딘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공정 없이 재결정만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하기 화학식 1의 날데메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i)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디에틸 피로카보네이트와 반응시킨 다음, 염기로 처리하여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ii)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결합 반응시킨 다음 염산을 부가하여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iii)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탈보호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03
[화학식 3]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04
[화학식 4]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05
[화학식 5]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06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07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하기 반응식 2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반응식 2에 기재된 방법은 대표적으로 사용된 방법을 예시한 것일 뿐 반응시약, 반응조건 등은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08
제1단계: 화학식 3의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디에틸 피로카보네이트와 반응시킨 다음, 염기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디에틸 피로카보네이트(DEPC)와 반응시키면, 하기 반응식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히드록시기가 에톡시카보닐화되어 카보네이트 중간체가 생성되고, 이를 염기로 처리하면 에톡시카보닐기가 케톤기의 α-위치로 전이(transfer)되어 화학식 3의 화합물이 제조된다.
[반응식 3]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09
상기 염기로는 소듐 에톡사이드, 포타슘 에톡사이드, 리튬 에톡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소듐 에톡사이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디에틸 피로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온도는 약 100 내지 120℃가 바람직하며, 염기 처리 온도는 상온이 바람직하다.
제조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재결정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재결정 용매로는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한편,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벤질기로 보호화하여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10
상기 보호화 반응은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 하에 벤질 브로마이드와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염기로는 탄산칼륨, 탄산세슘, 수소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미세 분말 형태의 탄산칼륨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약 50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반응 용매로는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후처리(work-up) 공정 및 수율 측면에서 아세톤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 화학식 5의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5의 화합물은 화학식 3의 화합물과 화학식 4의 화합물을 결합 반응시킨 다음 염산을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반응은 촉매와 같은 별도의 반응시약의 부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환류 가열 조건이 바람직하며, 반응 시간은 3일 내지 4일이 바람직하다.
이때, 반응 용매로는 톨루엔, 벤젠, 자일렌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제조된 화학식 5의 화합물은 재결정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재결정 용매로는 에틸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제3단계: 화학식 1의 날데메딘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탈보호화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탈보호화 반응은 아세트산에서 진한 염산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반응 온도는 약 50 내지 60℃가 바람직하다.
제조된 화학식 1의 날데메딘을 0℃에서 암모니아수에 가하여 고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날데메딘은 추가의 정제 과정 없이 산을 부가하여 날데메딘의 산부가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으로는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염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p-톨루엔술폰산이 바람직하다.
산 부가 반응 온도는 상온이 바람직하며, 반응 용매로는 메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조된 날데메딘의 p-톨루엔술폰산염은 재결정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재결정 용매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화학식 1의 날데메딘의 제조 중간체인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5]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11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날데메딘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공정 없이 재결정만으로 고순도의 날데메딘을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화학식 4의 화합물의 합성
n-프로필 아세테이트(1400 mL, 7 vol.)에 t-부톡시카보닐아미노 이소부티르산(200 g, 1.0 equiv)을 가하고 교반한 다음,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188.5 mL, 1.1 equiv)를 0℃에서 가하였다. 그런 다음, 이소부틸 클로로포메이트(IBCF, 134.7 mL, 1.05 equiv)를 0℃에서 적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프로필 아세테이트(800 mL, 4 vol.) 중의 벤즈아미드 옥심(140.7 g, 1.05 equiv) 용액을 가하고,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생성된 혼합물을 95℃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CH2Cl2:MeOH = 20:1)로 반응이 종결된 것을 확인한 후, 반응물을 0.1 N HCl 용액(3000 mL, 10 vol.)으로 퀀칭시키고, 유기상을 포화 NaHCO3 용액(3000 mL, 10 vol.)과 물(3000 mL, 10 vol.)로 세척하였다.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다음, 잔류물(300 g)을 디옥산 중의 4 N HCl(3000 mL, 10 vol)로 희석시키고,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백색 고체를 여과한 후, 여과 케이크를 메틸 t-부틸 에테르(MTBE, 300 mL, 1 vol.)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증발시키고, MTBE(500 mL, 10 vol.)를 가하여 교반한 다음,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MTBE(50 mL, 1 vol.)로 세척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합하여 진공 오븐 내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화학식 4의 화합물의 HCl 염(228 g, 97.6% 수율)을 얻었다. 그런 다음,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2 L)과 MTBE(2 L)를 가하고 30분 동안 강하게 교반한 다음, 유기층을 분리하여 농축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진공 오븐 내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화학식 4의 화합물(190 g, 98% 수율)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 9.16 (3H, s), 8.05-8.02 (2H, m), 7.65-7.59 (3H, m), 1.79 (6H, s).
m/z [M+H] = 204.1
제조예 2: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합성
아세톤(1000 mL, 10 vol.)에 화학식 6의 화합물(100 g, 1 equiv), BnBr(41 mL, 1.3 equiv) 및 K2CO3(110 g, 3 equiv)을 가하고 교반한 다음, 60℃에서 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CH2Cl2:MeOH = 15:1)로 반응이 종결된 것을 확인한 후,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 케이크를 아세톤(200 mL×2, 2 vol.)으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 N HCl 용액(300 mL, 3 vol.)으로 희석시킨 후, MTBE(300 mL×2, 3 vol.)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NH3·H2O로 중화시키고, CH2Cl2(300 mL×2, 3 vo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여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증발시켜 연노란색 검으로서 화학식 2의 화합물(106.93 g, 93.6% 수율)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7.47-7.44 (2H, m), 7.37-7.25 (3H, m), 6.72-6.54 (2H, dd, J =8.1 Hz), 5.31-5.18 (3H, m), 4.68 (1H, s), 3.18-3.16 (1H, d), 3.06-3.00 (2H, m), 2.76-2.12 (7H, m), 1.96-1.83 (1H, m), 1.64-1.53 (2H, m), 0.98-0.77 (1H, m), 0.57-0.53 (2H, m), 0.15-0.13 (2H, m);
13C NMR(300 MHz, CDCl3): δ= 208.5, 145.5, 141.8, 137.5, 129.8, 128.3, 127.7, 125.6, 119.4, 118.0, 90.4, 72.1, 70.1, 62.0, 59.2, 50.7, 43.5, 36.2, 31.5, 30.7, 22.6, 9.4, 3.9, 3.8.
m/z [M+H] = 432.2
실시예 1: 화학식 3의 화합물의 합성
화학식 2의 화합물(106.9 g, 1 equiv) 및 디에틸 피로카보네이트(DEPC, 1000 mL, 10 vol.)의 교반된 혼합물을 110℃에서 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휘발 물질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H(1000 mL, 10 vol.)로 희석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에 EtONa(107 mL, 1 vol., EtOH 중의 20% 용액)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CH2Cl2:MeOH = 15:1)로 반응이 종결된 것을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 N HCl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CH2Cl2(1000 mL, 10 vol.)과 물(500 mL, 5 vol.)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분리된 수층을 CH2Cl2(3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조생성물을 결정화(EA:MeOH = 2 vol.:4 vol.)에 의해 정제하고, 여과한 후 여과 케이크를 MeOH(1 vol.)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증발시키고 다시 재결정화하였다. 2개의 여과 케이크를 합하여 진공 오븐 내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화학식 3의 화합물(110 g, 88% 수율, 98.4% 순도)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12.06 (1H, s), 7.43-7.39 (2H, m), 7.34-7.25 (3H, m), 6.74-6.54 (2H, dd, J =8.1 Hz), 5.20-5.18 (2H, t, J = 4.2 Hz), 4.95 (1H, s), 4.89 (1H, br), 4.17-4.14 (2H, m), 3.23-3.21 (1H, d), 3.09-3.03 (1H, d), 2.69-2.25 (7H, m), 2.03-1.98 (1H, d), 1.75-1.65 (2H, d), 1.28-1.23 (3H, t, J =6.9), 0.97-0.77 (1H, m), 0.57-0.54 (2H, m), 0.15-0.12 (2H, m);
13C NMR(300 MHz, CDCl3): δ= 172.1, 164.4, 145.3, 141.9, 137.3, 131.0, 128.3, 127.8, 126.2, 119.0, 117.7, 98.4, 87.0, 71.9, 70.0, 61.2, 60.9, 59.4, 46.5, 43.3, 31.1, 29.9, 22.9, 14.1, 9.3, 4.1, 3.6.
m/z [M+H] = 504.2
실시예 2: 화학식 5의 화합물의 합성
톨루엔(200 mL, 2 vol.)에 화학식 3의 화합물(100 g, 1 equiv) 및 화학식 4의 화합물(60.54 g, 1.5 equiv)을 가하고 교반한 다음, 110℃에서 4일 동안 가열하였다. TLC(CH2Cl2:MeOH = 15:1)로 반응이 종결된 것을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CH2Cl2(1000 mL, 10 vol.)로 희석시키고, 0.1 N HCl 용액(500 mL×5, 5 vol.), 포화 NaHCO3 용액(500 mL, 5 vol.) 및 식염수(500 mL, 5 vol.)로 세척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생성물(65 g)을 EA(688 mL, 7.5 vol.)로 희석시키고, 디옥산 중의 4 N HCl 용액(26 mL, 1.05 equiv)을 적가하였다. 적가 후, 혼합물을 환류 가열하여 투명한 용액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투명한 용액을 상온으로 서서히 냉각시켰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EA(32 mL, 0.5 vol.) 및 MTBE(65 mL, 1 vol.)로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 케이크를 진공 오븐 내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화학식 5의 화합물(47 g, 73% 수율, 99.5% 순도)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13.30 (1H, s), 8.23 (1H, br), 8.00 (1H, s), 7.99-7.97 (2H, m), 7.59-7.53 (3H, m), 7.41-7.28 (5H, m), 6.96-6.73 (2H, dd, J =8.1 Hz), 5.17-5.12 (2H, m), 5.04 (1H, s), 4.04-4.02 (1H, d), 3.47-2.04 (9H, m), 1.72-1.70 (6H, d), 1.66-1.60 (1H, d), 1.17-1.06 (1H, m), 0.75-0.61 (2H, m), 0.55-0.39 (2H, m);
13C NMR(300 MHz, DMSO): δ= 183.4, 171.4, 167.8, 161.4, 145.1, 142.1, 137.2, 132.0, 129.7, 129.6, 128.8, 128.7, 128.3, 127.4, 126.6, 124.1, 120.3, 117.4, 98.4, 86.5, 70.8, 70.0, 60.4, 57.2, 52.1, 45.9, 45.0, 30.9, 28.0, 26.7, 26.5, 24.0, 6.1, 5.7, 2.8.
m/z [M+H] = 661.3
실시예 3: 화학식 1의 날데메딘의 합성
아세트산(40 mL, 4 vol.)에 화학식 5의 화합물(10 g, 1 equiv) 및 conc. HCl(20 mL, 2 vol.)을 가하고 교반한 다음, 6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CH2Cl2:MeOH = 15:1)로 반응이 종결된 것을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NH3·H2O(75 mL, 7.5 vol.)와 물(75 mL, 7.5 vol.)의 혼합물에 0℃에서 적가하였다. 침전된 백색 고체를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물(20 mL×2, 2 vol.)로 세척하였다. 분리된 고체를 EtOAc(80 mL, 8 vol.)로 희석시키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MTBE(10 mL, 10 vol.)를 가하고 교반하여 생성물을 고체화시킨 후, 이를 여과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1H NMR(300 MHz, DMSO): 13.40 (1H,br), 9.16 (1H, br), 8.08 (1H, br), 7.99-7.95 (2H, m), 7.58-7.52 (3H, m), 6.60-6.53 (2H, m), 4.77 (1H, br), 4.72 (1H, s), 3.33-1.97 (8H, m), 1.69-1.58 (6H, m), 1.43-1.14 (2H, m), 0.88-0.81 (1H, m), 0.53-0.47 (2H, m), 0.15-0.14 (2H, m).
m/z [M+H] = 571.2
실시예 4: 날데메딘 토실레이트의 합성
MeOH(65 mL, 10 vol.) 중의 화학식 1의 화합물(6.5 g, 1 equiv) 용액에 p-톨루엔술폰산(PTSA, 2.1 g, 1 equiv)를 가하고,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에 ACN 및 MTBE(ACN:MTBE = 1:10)를 가하고 교반한 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MTBE(1 vol.)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MC(10 vol.)로 희석시키고, 2일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백색 고체를 결정화하였다(비용매화물) (순도 99.8%).

Claims (15)

  1. (i)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디에틸 피로카보네이트와 반응시킨 다음, 염기로 처리하여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ii)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결합 반응시킨 다음 염산을 부가하여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iii)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탈보호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의 날데메딘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12
    [화학식 3]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13
    [화학식 4]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14
    [화학식 5]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15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16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염기는 소듐 에톡사이드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수득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재결정에 의해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벤질기로 보호화하여 합성되는 제조방법:
    [화학식 6]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17
    .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화 반응은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 하에 벤질 브로마이드와 반응시켜 수행되는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는 미세 분말 형태의 탄산칼륨인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화 반응의 용매는 아세톤인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에서 결합 반응은 별도의 반응시약의 부재 하에 수행되는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에서 결합 반응의 온도는 환류 가열 조건이고, 반응 용매는 톨루엔인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에서 수득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재결정에 의해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에서 탈보호화 반응은 아세트산에서 진한 염산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날데메딘에 산을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날데메딘의 산부가염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또는 염산인 날데메딘의 산부가염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부가염은 p-톨루엔술폰산염인 제조방법.
  15.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
    [화학식 5]
    Figure PCTKR2020005007-appb-I000018
    .
PCT/KR2020/005007 2019-04-19 2020-04-14 날데메딘의 제조방법 WO202021391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04,605 US20220194953A1 (en) 2019-04-19 2020-04-14 Method for preparing naldemedine
JP2021561713A JP7302904B2 (ja) 2019-04-19 2020-04-14 ナルデメジンの製造方法
EP20792080.2A EP3957641A4 (en) 2019-04-19 2020-04-14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NALDEMED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88A KR102201609B1 (ko) 2019-04-19 2019-04-19 날데메딘의 제조방법
KR10-2019-0046088 2019-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911A1 true WO2020213911A1 (ko) 2020-10-22

Family

ID=7283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5007 WO2020213911A1 (ko) 2019-04-19 2020-04-14 날데메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94953A1 (ko)
EP (1) EP3957641A4 (ko)
JP (1) JP7302904B2 (ko)
KR (1) KR102201609B1 (ko)
WO (1) WO202021391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8819A (ja) * 1999-11-29 2003-09-30 アドラ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ピオイドおよびそのアンタゴニストに関する新規方法および組成物
KR20080014791A (ko) * 2005-05-25 2008-02-14 시오노기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6,7-불포화-7-카르바모일 치환 모르피난 유도체
KR20090057031A (ko) * 2006-09-21 2009-06-03 사노피-아벤티스 N-알킬날트렉손 할로겐화물의 제조 방법
KR20140057410A (ko) * 2010-11-12 2014-05-12 시오노기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6,7-불포화-7-카르바모일 모르피난 유도체의 결정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5348B (zh) * 2015-02-12 2019-02-01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溴甲基纳曲酮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8819A (ja) * 1999-11-29 2003-09-30 アドラ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ピオイドおよびそのアンタゴニストに関する新規方法および組成物
KR20080014791A (ko) * 2005-05-25 2008-02-14 시오노기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6,7-불포화-7-카르바모일 치환 모르피난 유도체
US8084460B2 (en) 2005-05-25 2011-12-27 Shionogi & Co., Ltd. 6,7-unsaturated-7-carbamoyl substituted morphinan derivative
KR20090057031A (ko) * 2006-09-21 2009-06-03 사노피-아벤티스 N-알킬날트렉손 할로겐화물의 제조 방법
KR20140057410A (ko) * 2010-11-12 2014-05-12 시오노기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6,7-불포화-7-카르바모일 모르피난 유도체의 결정 및 그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UJII, H. ET AL.: "The First Example of the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7beta-Carbamoyl-4,5a- epoxymorphinan via a Novel and Reactive y-Lactone",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vol. 52, no. 6, 2004, pages 747 - 750, XP008073040, DOI: 10.1248/cpb.52.747 *
See also references of EP3957641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7641A4 (en) 2023-01-18
US20220194953A1 (en) 2022-06-23
JP7302904B2 (ja) 2023-07-04
KR102201609B1 (ko) 2021-01-12
KR20200122826A (ko) 2020-10-28
EP3957641A1 (en) 2022-02-23
JP2022529453A (ja)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23123A1 (ko) 크로마논 유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WO2010027150A2 (en) New preparation of hydroxychloroquine
AU2018308164B2 (en) Intermediates useful for the synthesis of a selective inhibitor against protein kinase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TWI693208B (zh) 惡拉戈利(elagolix)之製造方法
WO2011004980A2 (ko) 트리사이클릭 유도체의 제조방법
WO2022164150A1 (ko) 나파모스타트 메실산염 및 그의 중간체의 제조방법
WO2010036048A2 (ko) 몬테루카스트 나트륨염의 제조방법
WO2011090323A2 (en) Novel preparation method of 2-(2-n-butyl-4-hydroxy-6-methyl-pyrimidin-5-yl)-n,n-dimethylacetamide
WO2020213911A1 (ko) 날데메딘의 제조방법
WO2022092774A1 (ko) 포말리도마이드로부터 3,6'-디티오포말리도마이드를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방법
WO2011087211A2 (ko) 4-아미노메틸벤조산의 제조방법
AU2018308039B2 (en) Novel intermediates useful for the synthesis of aminopyrimidin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eparing aminopyrimidine derivatives using the same
WO2019231166A1 (ko) 슈가마덱스 나트륨염의 제조방법
WO2014035107A1 (ko) 플루복사민 자유 염기의 정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순도 플루복사민 말레이트의 제조방법
EP3535237A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s)-n1-(2-aminoethyl)-3-(4-alkoxyphenyl)propane-1,2-diamine trihydrochloride
WO2014017797A1 (ko) 1-옥사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WO2020085616A1 (ko) 아픽사반의 제조방법
WO2010074387A1 (ko) 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텐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셀타미비르의 중간체의 제조방법
EP4065557A1 (en) A method for preparing novel crystalline forms of 1-(4-benzyloxy-benzyl)-3-methyl-thiourea
EP3356372A1 (en) Novel process for preparing thienopyrimidine compound and intermediates used therein
WO2011105649A1 (ko) 새로운 중간체를 이용하는 피타바스타틴 헤미칼슘의 신규한 제조방법
WO2018128390A1 (ko) 5-(3,6-다이하이드로-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페닐싸이올 화합물의 제조 방법
WO2011155689A2 (ko) 피타바스타틴 또는 그의 염의 중간체의 제조방법
WO2013180403A1 (en) Process for preparing gefitinib and an intermediate used for preparing thereof
WO2023140435A1 (ko) 아베난쓰라마이드 c의 합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920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6171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7920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