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89841A1 -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덕트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덕트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89841A1
WO2020189841A1 PCT/KR2019/005297 KR2019005297W WO2020189841A1 WO 2020189841 A1 WO2020189841 A1 WO 2020189841A1 KR 2019005297 W KR2019005297 W KR 2019005297W WO 2020189841 A1 WO2020189841 A1 WO 20201898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duct
negative pressure
cleaning
washing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52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병석
김성중
Original Assignee
윤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석 filed Critical 윤병석
Priority to CN201990000283.6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3701078U/zh
Priority to JP2022501105A priority patent/JP2022524894A/ja
Publication of WO20201898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898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2209/053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being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and a ventilation duct clean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and a ventilation duct cleaning method to facilitate internal cleaning of a ventilation duct in order to remove pollutants in a ventilation duct installed in a building. It is about.
  • the ventilation function of indoor air is provided only in large buildings such as office spaces or factories.
  • Recently newly built residential buildings are often provided with a ventilation function for controlling indoor air pollution in addition to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such as cooling or heating.
  • Indoor air can be controlled by using an air conditioner or the like.
  • the pollution level of the indoor air increases, and the increased indoor pollution level may be slightly lowered by an air purifier, but the purification operation by the air purifier is inefficient or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that cannot be removed by the air purifier increases. Therefore, a ventilation process of periodically supplying fresh outdoor air to the room and discharging contaminated indoor air to the outside is required.
  • the necessity of ventilation of indoor air has become an issue due to reasons such as combustion gas for cooking, sick house syndrome or old house syndrome.
  • a method of exchanging air by connecting indoors and outdoors with ventilation ducts may be used.
  • ventilation ducts used in large office buildings or factories residential spaces have a low floor height and a narrow or complex installation space of ventilation ducts, so a flexible ventilation duct that is small in diameter and easy to deploy is used.
  • contamination inside the duct increases. Therefore, even if ventilation is performed using a contaminated ventilation duct, the user's desire to receive clean outdoor air cannot be satisfied, or more contaminated air is supplied indoor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ventilation function, the cleaning condition or hygiene condition of the ventilation duct must be ensured,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lutants inside the ventilation duct are regularly remov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and a ventilation duct cleaning method to facilitate internal cleaning of a ventilation duct in order to remove pollutants in a ventilation duct installed in a build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 negative pressure of the negative pressure; And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uct, a second connection part receiving the sound pressure generated by the sound pressure generating device, and a receiving part forming a sound pressur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generated sound pressure
  • a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a recovery member for recovering water sucked into the interior from the other side of the ventilation duct and a washing member injected after the water is sucked through the receiving part.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may directly provide negative pressure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or indirectly provide the sound pressure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through the closed space.
  • a main body part accommodating the recovery member and forming the sealed space therein may be further included, wherein one opening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be exposed to the sealed space to receive the negative pressure.
  • the main body includes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mounted, and includes a rubber packing provided along the outer rim of the mounting portion to form the sealed space when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I can.
  • the body portion may have a height of a region in which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or is mounted is lower than a height of a region in which the accommodating member is accommodated, so that the side cross-section may have a'b' shape.
  • the washing member may be a fabric of an irregular shape.
  • the area or volume of the cleaning member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length of the cleaning area, which is an area occupied by the clea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duct, is 1.4 times or more and 3.7 times or less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ventilation duct.
  • the amount of water injected into the ventilation duct at one time may be 5 liters or less.
  • the ventilation duct is made of a resin material
  • the outer surface of the ventilation duct has a corrugation structure in which valleys and floors are repeated, but the inner surface has a flat structure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or has a vacuum degree inside the ventilation duct of 15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egative pressure so as to be several millimeters (mmH 2 O) to 7000 several millimeters (mmH 2 O).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may be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inhaling the washing water and before inhaling the washing member.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connected to directly supply negative pressure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or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n open/close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at a connection part with the receiving part. hav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ntilation duct cleaning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ventilation duct clean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at one end of the ventilation duct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the other end of the ventilation duct A washing water supply step of sucking and supplying the washing water; A cleaning member supplying step of supplying a cleaning member in an irregular fabric form to the other end of the ventilation duct in a state in which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to one end of the ventilation duct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after the washing water supply step; In a state in which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to one end of the ventilation duct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after the washing member supply step,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 the washing water supply step and the washing member supply step and the washing member constitute the ventilation duct wash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ntilation duct cleaning method including the washing water to be recovered by the collecting member and the washing member collecting step.
  • the amount of water injected at one time into the ventilation duct may be 5 liters or less.
  • the ventilation duct is made of a resin materia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ventilation duct has a corrugation structure in which valleys and floors are repeated, but the inner surface has a flat structure,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has a negative pressure such that the degree of vacuum inside the ventilation duct is from 1500 millimeters (mmH 2 O) to 7000 millimeters (mmH 2 O). Can provide.
  • the area or volume of the cleaning member so that the length of the cleaning area, which is an area that the clean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ventilation duct and occupies inside the ventilation duct, is not less than 1.4 times and not more than 3.7 times the inner diameter of the ventilation duct. Can be determined.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may be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n an operation day.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ventilating duct drying step of drying the interior of the ventilated duct that has been washed.
  • the cleaning operation for removing the pollutant source of the ventilation duct is easy, but also the efficiency of removing the pollutant source will be significantly increased.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ntilation duc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recovery member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of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of FIG. 2 is removed.
  • FIG. 5 is a view showing a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device of FIG.
  •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a guide unit 230'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of FIG. 2.
  • FIG. 7 is a flowchart of a ventilation duct clea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of a ventilation duct cleaning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ntilation duc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ntilation system 90 includes a ventilation device 100 and a ventilation duct 130.
  •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air conditioning room (as).
  • the ventilation duct 130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more precisely, to the fastening part 110, and outdoor diffusers 121 and 122 are fastened to the other side.
  • the outdoor diffusers 121 and 122 are divided into an outdoor diffuser 121 for supply air and an outdoor diffuser 122 for exhaust, through which the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indoor residential space and the indoor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
  • the ventilation duct 130 includes a ventilation duct 131 for supply air and a ventilation duct 132 for exhaust.
  • the ventilation duct 1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s by a wal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from a residential space to an air conditioning room such as a veranda and each compartment (eg, living room, master room, toilet, etc.) It is assumed that the ventilation duct 130 connected to is formed.
  • the other side of the ventilation duct 130 is provided on the ceiling of each partition space in the room to supply outdoor air provided from the ventilation device 100 to the room, and the indoor air is suck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It is connected to the indoor diffuser (141, 142) to exhaust.
  • the outdoor diffusers 141 and 142 here may also include an indoor diffuser 141 for supply air and an indoor diffuser 142 for exhaust. Of course, it may be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supply and exhaust through one diffuser, but since it deviates from the subject mat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Ventilation duct 130 may be used in various types of pipes, that is, ducts, but it is composed of a non-toxic PVC material that is strong against chemicals, and a soft hose or the like may be used for ease of construction.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ntilation duct 130 has a corrugation structure or a corrugated pipe structure in which valleys and floors are repeated in order to prevent bending, and the inner surface has a substantially flat structure or minutely valleys and floors in order to improve cleanability. It is preferable to apply a structure with a smaller size of the valley and floor compared to the outer surface.
  • a pip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50mm to 160mm may be applied. If the inner diameter of the ventilation duct is less than 50mm, it is easily clogged when washing with an irregular fabric type washing member, and in the case of a ventilation duct with an inner diameter of 160mm or more, it has sufficient output and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movable negative pressure generato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is easily constricted.
  •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ducts 130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evice 100 will be installed along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nd thus each living room or toilet In the same partition space, it can be seen that only the indoor diffusers 141 and 142 are exposed.
  • the ventilation device shown in FIG. 1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the ventilation device of a residential space such as an apartment as an example, but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ntilation device in the air conditioning room, the air conditioning space is divided, and suspends the ventilation device and the air conditioning space. If the ventilation duct is connected 1:1,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to hospitals, schools, government offices, or offices, as well as residential spaces.
  • the amount of air conditioning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each divided space, and the diameter of the ventilation duct may be determined accordingly, and the output of the sound pressur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ventilation duct. .
  • the ventilation duct 130 connecting each of the indoor spaces and the air conditioning room as may b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evice 100 by 1:1, and thus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washing described later.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recovery member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of FIG. 2
  • FIG. 4 is a negative pressure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of FIG. A view showing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generator is removed
  • FIG. 5 is a view showing a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of FIG. 2.
  •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300 includes a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and a recovery member 220, and an outer frame, that is, a main body part representing a housing. It may further include (200).
  • the body portion 200 is a housing forming an outer edge,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using various materials.
  • FIG. 2 it is shown that the portion where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is mounted or fastened and the portion where the recovery member 220 is received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that is, steps,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is particularly limited. I won't.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door in the form of an opening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and carrying of the recovery member 220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recovery member 220 and the ventilation duct 130 of FIG. It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on.
  •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hose 205 and a guide par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se 205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and the guide portion 230 may be formed of iron (Fe) or SUS material.
  • the guide part 230 is a first connection part 230a connected to the hose 205 and the first opening 221 of the recovery member 220, the second opening of the recovery member 220 as seen in FIG.
  • a second connector 230b connected to 223 may be included.
  • the second connection part 230b connected to the second opening 223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recovery member 220, and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230b is transferred to the recovery member ( 220) It is transferred to the internal space, and water and the washing member may be recovered by negative pressure at the first connection part 230a.
  • the body por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ateral cross-sectional shape is'b' so that the overall height deviation is minimized when the recovery member 220 is accommodated and the sound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is seated.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is mounted on a mounting portion (or mounting portion) 201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00 as shown in FIG. 4.
  • a rubber packing 203 may be provided outside the mounting portion 201.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that is, the negative pressure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ventilation duct 130 through the hose 205.
  • one side of the recovery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hose 205 by the guide unit 230, so that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osed space. This is, for example, the negative pressure introduced to the other side may be transmitted to the hose 205 and the ventilation duct 130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recovery member 220.
  • water eg, water l
  • a washing member eg, towel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includes a vacuum pump 211 for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that is, negative pneumatic or negative pressur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acuum pump 211.
  • the vacuum pump 211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external commercial power. Of course, it could also be possible to run on an internal battery.
  •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n operation to control the vacuum pump 211 on or off or adjust the level of the sound pressure.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vacuum pump 211 by receiving a user command according to an interface with the user.
  • the sound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When the length of the ventilation duct is 50 meters (m) or less, and the diameter is 50 millimeters (mm) to 160 mm (mm), the sound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has an output of 9,000 W or les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degree of vacuum inside the ventilation duct is 1,500 millimeters (mmH 2 O) to 7,000 millimeters (mmH 2 O).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used in the test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motor operating at 3600W/4.8HP (here, HP is horsepower) as a pump, and the pump can operate at 220V/60Hz, and the vacuum degree Was operated to become 2700mmH 2 O.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operates continuously, but it may be driven so that the injection of two to three times of washing water, such as water and two to three times of the washing member, can be repeated.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210 may be used during a drying operation for a drying operation in the ventilation duct 130 after the cleaning process is finished.
  • the recovery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uct 130 through a hose 205 having one opening of the guide part 230, more precisely, the first connection part 230a,
  • the second connection part 230b connected to the other opening or the other opening of the recovery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211 or may be placed in an open state in the inner sealed space of the main body 200.
  •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300 can be seen to have a structure for efficiently recovering water and a cleaning member by transferring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211 to the ventilation duct 130. have.
  • the initial amount of washing water for example, water of 5 l or less can be used when a duct with a diameter of 80 mm or less is used, and when the diameter is 160 mm, it is preferable that 10 l or less of water is initially injected during one washing. It was confirmed throug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ashing effect even if a larger amount of water was added at once.
  • the length of the ventilation duct is preferably 50 meters (m) or less for effective ventilation duct cleaning while preventing clogging of the ventilation duct.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However, based on the initial input amount, the washing water may be added 2 to 3 times, and the washing water may be repeatedly injected according to the washing condition in the duct using an endoscope camera.
  • the structure of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leaning the ventilation duct may be very diverse. Another structure will be continu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a guide unit 230'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of FIG. 2.
  •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300 of FIG. 2 may include a guide part 230 ′ having the structure as in FIG. 6.
  • the guide part 230 ′ of FIG. 6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ath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cludes open/close switches 230a ′ and 230b ′ therein.
  • the internal flow path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open/close switches 231a' and 231b'.
  • the first switch 231a' is opened to provide the negative pressure to the ventilation duct 13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water or the washing member is transferred to the recovery member 220.
  • the first switch 231a' is closed and the second switch 231b' is opened.
  • This method can be set by finding an appropriate time through various experiments.
  • a sensor, etc. are further includ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open/close switches 231a' and 231b'. Since it is also possibl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For example, if a certain time (eg, several seconds) elapses after the time the washing member is input, the second path to which the negative pressure is provided may be blocked and the third path may be opened at the same time.
  • FIG. 7 is a flowchart of a ventilation duct clea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ntilation duct cleaning method using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device described above, and in a state in which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at one end of the ventilation duct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ventilation duct.
  •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at one end of the ventilation duct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afte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by suction (S1000), and after the washing water supply step, the cleaning member in the form of an irregular fabric is suck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ventilation duct.
  •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 the supplying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supplying of the washing member and th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ashing water and a washing member collecting step (S3000) for recovering the washing member to a collecting member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duct washing device.
  •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method generates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ventilation duct by activating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device 300 fastened to one side of the ventilation duct. It can begin with doing.
  • a washing water supply step (S1000) of sucking and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other end of the ventilation duct can be performed, and supply of washing water and supply of washing members
  • the viewpoin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re is a time deviation. That is, water is first supplied to the ventilation duct so that water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ventilation duct, so that dust or dirt is called off.
  • the initial amount of washing water such as water
  • the initial amount of washing water may be 5 l or less when using a duct with a diameter of 80 mm or less, and when the diameter is 160 mm, 10 l or less of water is initially injected when washing once, and the ventilation duct is blocked.
  • the length of the ventilation duct is preferably 50 meters (m) or less for effective ventilation duct cleaning while preventing the like.
  • washing water supply step (S1000) in a state in which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to one end of the ventilation duct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a washing member supplying step of suctioning and supplying a washing member in the form of an irregular fabric to the other end of the ventilation duct. (S2000) may be perform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ashing member is composed of a fabric of an irregular shape.
  • a method of supplying the cleaning member to the inside of the ventilation duct while being wetted with washing water or the like can further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 the washing water is sufficiently wetted inside the ventilation duct before the washing member is inserted, or if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extent that the flow of washing water occurs, turbulence is generated inside the ventilation duct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ventilation duct is evenly wetted.
  • An environment in which water flows can be created.
  • an irregular type of cleaning member such as a cloth or towel is added later, the cleaning member together with the water remaining in the ventilation duct pushe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leaning pipe tightly, You can get rid of grime.
  • the cleaning member introduced into the ventilation duct has an irregular shape.
  • the cleaning member has a regular shape such as a spherical or polygonal shape
  • the shape of the cleaning member was changed in various ways, but even when the material was flexible, a common washing shaded area occurred,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ntilation duct among the cleaning members During the cleaning process of the ventilation duct, the contaminated part (the circumferential part of the maximum diameter part) and the part that was not used for clean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ventilation duct were clearly partitioned.
  • washing, dehydration, or drying of the cleaning member of the fixed form was also not easy.
  • a cleaning member such as an indefinite cloth or towel
  • it is transferred to the ventilation duct at negative pressure, its shape is continu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the ventilation duct, and the cleaning area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ntilation duct, It was confirmed that the washing area could be sufficiently utilized.
  • the length of the cleaning area which is an area that passes through the ventilation duct and occupies the interior of the ventilation duct, is 1.4 times or more and 3.7 times or less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ventilation duc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 the length of the washing area of the washing member is less than 1.4 times, as a result of checking through an endoscope during one washing of the washing member, the area easily identified by endoscopic photographing is 30 mm2 or more, even if the same washing member is washed three or more times.
  • the cleaning effect was not sufficient because around 10 contaminated areas (non-cleaned areas) were found in the 1 meter (m) section of the ventilation duct, and when the length of the cleaning area is more than 3.7 times the inner diameter of the ventilation duct, the cleaning memb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ventilation duct is easily blocked and cannot be recovered.
  • the length of the cleaning area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leaning member (or the volume in a clustered state), and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length occupied by the cleaning member by removing the negative pressure from the ventilation duct while the cleaning member flows in the ventilation duct.
  • the size or volume of the cleaning member is determined so that the length of the cleaning region by the cleaning member supplied in the cleaning member supply step (S2000) is 1.4 times or more and 3.7 times or less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ventilation duct, and one time of the cleaning member.
  • S2000 the length of the cleaning region by the cleaning member supplied in the cleaning member supply step
  • a satisfactory level of cleaning quality could be obtained because three or less contaminated areas (non-cleaned areas) with an area of 30 mm2 or more were found in the 1 meter (m) section of the ventilation duct.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may be used for drying of a ventilation duct that has been cleaned in addition to supplying or recovering the washing water or the washing member.
  • a ventilation duct drying step (S4000) of drying the inside of the ventilation duct that has been washed by operating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or may be performed.
  • the washing water supply step (S1000), the washing member supply step (S2000), and the washing water and washing member recovery step (S300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according to the contamination state of the ventilation duct.
  • an endoscope inspection step may be performed in which an endoscope is inserted into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ventilation duct and inspected.
  • FIG. 8 is a flowchart of a ventilation duct cleaning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method illustrated in FIG. 8 may correspond to a case in which the ventilation duct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guide part 230' of FIG. 6 or the like.
  • the first switch 231a' is opened (S900) to provide a negative pressure to the ventilation duc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ransport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member. And the washing water or the washing member is transferred by negative pressure, and the first switch 231a' is closed and the second switch 231b' is opened at the point immediately before being recovered to the collecting member 220 to collect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member by inertia. You can do it.
  • This method can be set by finding an appropriate time (for example, a few second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in particular, to determine whether to recover water or a washing member, for example, a sensor or the like is further included to effectively open and close the switch 231a. ', 231b') can also be controlled.
  • an appropriate time for example, a few seconds
  • a washing member for example, a sensor or the like
  • 231b' can also be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덕트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장치는, 음압의 음압을 발생시키는 음압발생장치, 및 환기덕트의 일측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발생된 음압을 제공받는 제2 연결부, 및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간 통로를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발생된 음압에 의해 환기덕트의 타측에서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부재를 수용부를 통해 회수하는 회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덕트 세척방법
본 발명은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덕트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환기덕트 내의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 환기덕트의 내부 세척을 쉽게 하려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덕트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기의 환기 기능은 사무공간 또는 공장 등의 대형 건물에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신축되는 주거형 건물에는 냉방 또는 난방 등의 온도 조절기능 이외에도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조절하기 위한 환기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실내 공기는 에어컨디셔너 등을 사용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는 있다. 그러나 실내 활동이 많아지면,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되고 증가된 실내 오염도는 공기청정기 등에 의하여 다소 낮아질 수 있으나, 공기청정기 의한 정화 작업이 비효율적이거나 공기청정기에 의하여 제거되지 않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신선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 과정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조리용 연소가스, 새집 증후군 또는 헌집 증후군 등의 이유로 실내 공기의 환기의 필요성이 이슈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기 기능을 주거용 공간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실내와 실외를 환기덕트로 연결하여 공기를 교환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대형 사무용 건물 또는 공장에서 사용되는 환기덕트와 달리 주거용 공간은 층고가 낮고 환기덕트의 설치 공간이 협소하거나 복잡하여, 통상적인 환기덕트가 아닌 직경이 작고 배치가 용이한 유연한 형태의 환기덕트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주거용 공간에 환기덕트가 설치되어 장기간 사용되면 덕트 내부의 오염이 증가된다. 따라서, 오염된 환기덕트를 사용하여 환기를 수행하여도 깨끗한 실외 공기를 공급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거나, 오히려 더 오염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환기 기능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환기덕트의 세척상태 또는 위생상태가 보장되어야 하므로, 환기덕트 내부의 오염물질은 정기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현실은 환기덕트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방법이 부재한 상황이다. 인력 또는 로봇에 의한 청소가 가능한 대형 건물 또는 공장 등의 환기덕트와 달리 가정용 환기덕트는 환기덕트가 분지되는 구조를 갖거나, 환기덕트의 크기가 너무 작고 배치 경로가 복잡하여 현실적으로 환기덕트의 세척이 필요하고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공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주거용 건물의 환기덕트를 세척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문제이다.
물론 종래에 세척용 볼을 환기덕트에 삽입하여 바람을 불어넣는 방법이 소개된 적이 있으나, 환기덕트 내부를 이동하는 세척볼은 환기덕트에 흡착된 접착된 먼지층 또는 슬러지 등과 같은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는 못한다.
세척볼을 사용한 세척 후에도 여전히 환기덕트의 내부에 상당량의 오염물질이 잔류함으로써 체류시간이 긴 생활 공간으로서의 주거용 건물의 환기덕트를 세척하는 방법으로 적절치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환기덕트 내의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 환기덕트의 내부 세척을 쉽게 하려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덕트 세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압의 음압을 발생시키는 음압발생장치; 및 환기덕트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음압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음압을 제공받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간 음압 전달경로를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생된 음압에 의해 상기 환기덕트의 타측에서 내부로 흡입되는 물 및 물 흡입후 투입되는 세척부재를 상기 수용부를 통해 회수하는 회수부재;를 포함하는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음압을 상기 제2 연결부로 직접 제공하거나 상기 밀폐공간을 통해 상기 제2 연결부로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수부재를 수납하며 내부에 상기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 개방구는 상기 밀폐공간에 노출되어 상기 음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음압발생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고무패킹을 더 함하여, 상기 음압발생장치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될 때 상기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음압발생장치가 거치되는 영역의 높이가 상기 수용부재가 수용되는 영역의 높이보다 낮아 측단면이 'ㄴ'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부재는 부정형 형태의 직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환기덕트를 통과하며 환기덕트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영역인 세척영역의 길이는 환기덕트의 내경의 1.4배 이상 3.7배 이하가 되도록 세척부재의 면적 또는 부피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기덕트의 직경이 80 밀리미터 이하이며, 길이가 50미터 이하인 경우 환기덕트로 1회에 주입되는 물의 양은 5리터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환기덕트는 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환기덕트의 외면은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코러게이션 구조를 가지되 내면은 평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환기덕트 내부의 진공도는 1500 수주밀리미터(mmH 2O) 내지 7000 수주밀리미터(mmH 2O)가 되도록 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세척수 흡입 후 상기 세척부재 흡입 전 작동이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중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음압을 상기 제2 연결부로 직접 공급하도록 연결되며,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수용부와의 연결부위에 유로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환기덕트 세척방법으로서,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통해 환기덕트의 일단으로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환기덕트의 타단으로 세척수를 흡입시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단계;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 후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통해 환기덕트의 일단으로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환기덕트의 타단으로 부정형의 직물 형태의 세척부재를 흡입시켜 공급하는 세척부재 공급단계;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 후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통해 환기덕트의 일단으로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 및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에서 공급된 세척수와 상기 세척부재를 상기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회수부재로 회수하는 세척수 및 세척부재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환기덕트 세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에서 상기 환기덕트의 직경이 80 밀리미터 이하이며, 길이가 50미터 이하인 경우 환기덕트로 1회에 주입되는 물의 양은 5리터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덕트는 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환기덕트의 외면은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코러게이션 구조를 가지되 내면은 평탄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 및 상기 세척수 및 세척부재 회수단계에서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환기덕트 내부의 진공도는 1500 수주밀리미터(mmH 2O) 내지 7000 수주밀리미터(mmH 2O)가 되도록 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에서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환기덕트를 통과하며 환기덕트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영역인 세척영역의 길이는 환기덕트의 내경의 1.4배 이상 3.7배 이하가 되도록 세척부재의 면적 또는 부피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와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 사이에 상기 음압발생장치의 작동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척수 및 세척부재 회수단계 후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작동시켜 세척이 완료된 환기덕트의 내부를 건조하는 환기덕트 건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기덕트의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작업 수월할 뿐 아니라, 아울러 오염원의 제거 효율도 상당히 증대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회수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음압발생장치가 제거된 상태의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환기덕트 세척장치의 본체부에서 분리된 음압발생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부(230')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과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90)은 환기 장치(100) 및 환기덕트(13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조실(as)의 천장에는 환기장치(100)가 구비된다. 환기장치(100)의 일측에, 더 정확하게는 체결부(110)에 환기덕트(130)가 체결되며, 그 타측에는 실외 디퓨저(121, 122)가 체결된다. 여기서, 실외 디퓨저(121,122)는 급기용 실외 디퓨저(121)와 배기용 실외 디퓨저(122)로 구분되며, 이를 통해 실외의 공기를 실내의 주거공간으로 급기하고,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게 된다.
환기덕트(130)는 급기용 환기덕트(131)와 배기용 환기덕트(132)를 포함한다. 환기덕트(130)는 가령 도 1에서와 같이 벽 등에 의해 복수의 파티션으로 구획되는 가령 주거공간에서 베란다 등의 공조실(as)과 각 구획 공간(예: 거실, 안방, 화장실 등)까지 1:1로 연결되는 환기덕트(130)를 형성함을 전제로 한다.
또한, 환기덕트(130)의 타측은 실내의 각 파티션 공간의 천장에 구비되어 환기장치(100)에서 제공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의 공기는 흡입하여 환기장치(100)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실내 디퓨저(141, 142)에 연결된다. 여기서의 실외 디퓨저(141, 142)도 급기용 실내 디퓨저(141)와 배기용 실내 디퓨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디퓨저를 통해 급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지를 벗어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130)는 다양한 종류의 배관 즉 덕트가 사용 가능하겠지만, 약품에 강한 무독성 PVC 재질로 구성되고 시공 용이성을 위하여 연질 호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덕트(130)의 외주면은 꺾임 방지를 위하여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코러게이션 구조 또는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내면은 세척성 향상을 위하여 거의 평탄한 구조 또는 미세하게 골과 마루가 존재하여도 상기 외면에 비해 골과 마루의 크기가 더 작은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환기덕트의 예로 50mm 내지 160mm 내경의 배관이 적용될 수 있다. 환기덕트의 내경이 50mm 이하인 경우에는 부정형의 직물 형태의 세척부재로 세척시 쉽게 막히고, 내경이 160mm 이상의 환기덕트의 경우는 충분한 출력을 가지며 이동 가능한 형태의 음압발생장치를 구축하기 어렵고 수지 재질의 배관이 쉽게 협착되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령 도 1에서와 같은 구조의 건축물 시공시에 환기장치(100)와 그 환기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수의 환기덕트(130)는 건축물의 천장을 따라 설치될 것이고, 따라서 각 거실이나 화장실과 같은 각 파티션 공간에서는 실질적으로 실내 디퓨저(141, 142)만 노출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환기장치는 아파트와 같은 주거공간의 환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공조실에 환기장치가 구비되고 공조공간이 분할되며 환기장치와 공조공간을 현결하는 환기덕트가 1:1로 연결되는 경우라면 주거공간 이외에도, 병원, 학교, 관공서 또는 오피스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분할된 공간의 크기에 따라 공조량이 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환기덕트의 직경이 결정될 수 있으며, 환기덕트의 직경과 길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음압발생장치의 출력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실내공간과 공조실(as)을 연결하는 환기덕트(130)는 환기장치(100)와 1 : 1로 연결되어 후술하는 세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현실에서 주거공간뿐 아니라, 상업공간 등 다양한 건축공간에서 통일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정하에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세척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회수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음압발생장치가 제거된 상태의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2의 환기덕트 세척장치의 본체부에서 분리된 음압발생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장치(300)는 음압발생장치(210) 및 회수부재(220)를 포함하며, 외부프레임 즉 하우징을 나타내는 본체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00)는 외연을 형성하는 하우징이므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음압발생장치(210)가 거치 또는 체결되는 부위와 회수부재(220)가 수납되는 부위가 서로 다른 높이 즉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체부(200)는 수납부에 수용되는 회수부재(220)의 수용 및 반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여닫이 형태의 개폐문을 포함하고, 또 회수부재(220)와 도 1의 환기덕트(13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호스(205)와 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205)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230)는 철(Fe), SU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30)는 도 3에서 볼 때 호스(205)와 회수부재(220)의 제1 개방구(221)에 연결된 제1 연결부(230a), 회수부재(220)의 제2 개방구(223)에 연결된 제2 연결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방구(223)에 연결된 제2 연결부(230b)는 회수부재(220)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제2 연결부(230b)를 통해 음압발생장치(210)에서 발생된 음압이 회수부재(220)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어 제1 연결부(230a)에서 음압에 의하여 물과 세척부재의 회수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재(220)의 제2 개방구(223)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도 음압 전달에는 문제가 없으나 상기 제2 연결부(230b)는 상기 본체부(200) 하우징 저면에 지지되도록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압발생장치(210)에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하여 본체부(200) 또는 본체부 내에서의 회수부재(220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부는 회수부재(220)의 수용과 음압발생장치(210)의 안착시 전체적인 높이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측방향 단면 형상이 'ㄴ'자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압발생장치(210)는 도 4에서와 같이 본체부(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혹은 안착부)(201)에 거치된다. 그 거치부(201)의 외부로는 고무패킹(203)이 구비될 수 있다. 음압발생장치(210)가 거치부(201)에 거치된 후, 본체부(200)의 개폐문이 닫힌 경우 본체부(200)의 내부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면, 음압발생장치(210)를 통해 발생된 음압, 즉 음압이 호스(205)를 통해 환기덕트(130)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에서 볼 때, 회수부재(220)의 일측은 가이드부(230)에 의해 호스(205)에 연결되어 있어, 타측은 밀폐공간의 외부로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가령 타측으로 유입된 음압이 회수부재(220)의 내부 공간을 통해 호스(205)와 환기덕트(13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음압발생장치(210)에 의해 발생된 음압에 의해 환기덕트(130)의 타측에서 공급된 물(예: 수ℓ)과 세척부재(예: 타월)는 회수부재(220)로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압발생장치(210)는 음압 즉 음의 공압 또는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211) 등을 포함하며, 진공펌프(21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진공펌프(211)는 외부의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물론 내부 배터리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는, 진공펌프(211)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음압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진공펌프(211)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음압발생장치(210)은 환기덕트의 길이가 50미터(m) 이하이고, 직경이 50 밀리미터(mm) 내지 160 밀리미터(mm)인 경우,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9,000W 이하의 출력을 가지며, 환기덕트 내부의 진공도는 1,500 수주밀리미터(mmH 2O) 내지 7,000 수주밀리미터(mmH 2O)가 되도록 음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적으로 환기덕트 내부의 진공도가 1,500 수주밀리미터(mmH 2O)보다 작은 경우에는 직물 형태의 세척부재가 회수되지 못하거나 세척부재로 환기덕트 내부가 폐색되는 문제 또는 세척부재가 음압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환기덕트 내부의 세척을 위한 충분한 충돌 에너지 또는 운동 에너지를 확보하지 못하여 세척부재에 의한 세척과정을 여러번 반복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환기덕트 내의 진공도가 크면 클수록 세척 성능과 세척부재의 회수가 용이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환기덕트 내부의 진공도가 7,000 수주밀리미터(mmH 2O) 이상이 되는 경우, 세척을 위하여 세척부재보다 먼저 투입되는 물이 환기덕트 내부를 충분히 적시지 못하고 회수되거나, 환기덕트가 협착되어 유로가 막히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시험과정에서 사용된 음압발생장치(210)는 가령 펌프로서 3600W/4.8HP(여기서, HP는 마력)로 동작하는 진공모터를 포함하고, 펌프는 220V/60Hz로 동작할 수 있으며, 진공도는 2700mmH 2O가 되도록 동작시켰다.
물론 음압발생장치(210)는 연속으로 동작하지만, 2~3회의 세척수, 가령 물의 투입과 2~3회의 세척부재의 투입이 반복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압발생장치(210)는 세척과정이 종료된 후 환기덕트(130) 내 건조 동작을 위한 건조작업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재(220)는 일측 개방구가 가이드부(230), 더 정확하게는 제1 연결부(230a)에 연결된 호스(205)를 통해 환기덕트(130)에 연결될 수 있고, 회수부재(220)의 타측 개방구 또는 타측 개방구에 연결된 제2 연결부(230b)는 진공펌프(211)에 연결되거나 본체부(200)의 내부 밀폐공간에 개방된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수부재(220)의 타측으로 제공된 음압은 가이드부(230)와, 호스(205) 및 환기덕트(130)로 전달되어 제공된 음압에 의해 물과 세척부재를 흡입 즉 빨아들이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장치(300)는 진공펌프(211)에 의해 발생된 음압이 환기덕트(130)로 전달되어 물과 세척부재를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수 가령 물의 초기 투입량은 직경이 80mm이하인 덕트 사용시 5ℓ 이하의 물이 사용될 수 있고, 직경이 160mm인 경우 10 ℓ 이하의 물이 1회 세척시 초기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반복적인 세척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더 많은 양의 물을 한번에 투입하더라도 세척효과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환기덕트 막힘 등을 방지하며 효과적인 환기덕트 세척을 위하여 환기덕트의 길이가 50미터(m) 이하의 길이가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관길이나 직경에 따라 세척수의 투입량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초기 투입량을 기준으로 세척수 투입을 2~3회 정도로 수행하고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덕트내 세척 상태에 따라 반복적으로 세척수를 투입할 수 있다.
물론 환기덕트의 세척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장치(300)의 구조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계속해서 다른 구조를 살펴본다.
도 6은 도 2의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부(230')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환기덕트 세척장치(300)는 도 6에서와 같은 구조의 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의 구조와 비교해 볼 때, 도 6의 가이드부(230')는 복수의 경로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개폐 스위치(230a', 230b')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개폐 스위치(231a', 231b')의 제어를 통해 내부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압발생장치(210)로부터 음압이 제공될 때에는 제1 스위치(231a')를 개방하여 일정시간 동안 환기덕트(130)로 음압을 제공하고, 물이나 세척부재가 회수부재(220)로 회수되는 시점에 제1 스위치(231a')를 닫고 제2 스위치(231b')를 개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적절한 시간을 찾아 설정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물이나 세척부재의 회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가령 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개폐 스위치(231a', 231b')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세척부재의 투입 시점 이후에 일정 시간(예: 수초)이 경과하면 음압이 제공되는 제2 경로를 차단하고 동시에 제3 경로를 개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방법은 전술한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환기덕트 세척방법으로서,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통해 환기덕트의 일단으로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환기덕트의 타단으로 세척수를 흡입시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단계(S1000),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 후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통해 환기덕트의 일단으로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환기덕트의 타단으로 부정형의 직물 형태의 세척부재를 흡입시켜 공급하는 세척부재 공급단계(S2000) 및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 후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통해 환기덕트의 일단으로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 및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에서 공급된 세척수와 상기 세척부재를 상기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회수부재로 회수하는 세척수 및 세척부재 회수단계(S30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방법은 환기덕트의 일측에 체결된 환기덕트 세척장치(300)를 가동시켜 환기덕트의 내부에 음압을 생성하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다.
먼저, 압발생장치를 통해 환기덕트의 일단으로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환기덕트의 타단으로 세척수를 흡입시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단계(S1000)가 수행될 수 있고, 세척수 공급과 세척부재의 공급 시점은 시간 편차가 존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물을 먼저 환기덕트에 공급하여 환기덕트 전체에 물이 도포될 수 있도록 하여, 먼지 또는 찌든때 등이 불리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에서 세척수 가령 물의 초기 투입량은 직경이 80mm이하인 덕트 사용시 5ℓ 이하의 물이 사용될 수 있고, 직경이 160mm인 경우 10ℓ 이하의 물이 1회 세척시 초기 투입하고, 환기덕트 막힘 등을 방지하며 효과적인 환기덕트 세척을 위하여 환기덕트의 길이가 50미터(m) 이하의 길이가 바람직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S1000) 후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통해 환기덕트의 일단으로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환기덕트의 타단으로 부정형의 직물 형태의 세척부재를 흡입시켜 공급하는 세척부재 공급단계(S200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재는 부정형 형태의 직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부재는 세척수 등에 적신 상태로 환기덕트 내부로 공급하는 방법도 세척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세척부재 투입전 세척수를 환기덕트 내부를 충분히 적시거나 세척수를 세척수의 흐름이 발생될 정도로 공급하면, 환기덕트 내부에서 난류가 발생하고 환기덕트 내주면을 골고루 적시게 되고 음압을 제거하면 배관을 따라 일정량의 물이 흐르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고, 이때 헝겁 또는 수건 등의 부정형 형태의 세척부재를 추후 투입하면, 환기덕트에 잔류하는 물과 함께 세척부재가 세척배관 내주면을 빈틈없이 밀고 나가며 마찰에 의하여 먼지 또는 찌든때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환기덕트로 투입되는 세척부재는 부정형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척부재가 일정한 형태를 갖는 구형 또는 다각형 등의 정형 형태을 갖는 경우, 세척부재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험하였으나 재질이 유연한 경우에도 공통적으로 세척 음영 영역이 발생되고, 세척부재 중 환기덕트 내주면의 세척과정에서 환기덕트 내주면 세척에 사용되어 오염되는 부분(최대 직경 부분의 원주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명확하게 구획되어 세척부재 전체 면적을 세척에 사용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형 형태의 세척부재는 세척, 탈수 또는 건조가 역시 쉽지 않았다. 그러나, 부정형의 헝겁 또는 수건 등의 세척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환기덕트에 음압으로 이송되며, 환기덕트의 궤적에 따라 그 형태가 지속적으로 변경되며 환기덕트 내의 길이방향으로 세척영역을 길게 형성하며, 세척면적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S2000)에서, 상기 환기덕트를 통과하며 환기덕트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영역인 상기 세척영역의 길이는 환기덕트의 내경의 1.4배 이상 3.7배 이하가 되도록 세척부재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세척부재의 세척영역의 길이가 1.4배 이하가 되는 경우 세척부재의 1회 세척시 내시경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동일한 세척부재로 3회 이상 세척을 해도 내시경 촬영에 의하여 쉽게 식별되는 면적이 30㎟ 이상의 오염영역(미세척 영역)이 환기덕트 1 미터(m) 구간에서 10개 내외가 발견되어 세척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세척영역의 길이가 환기덕트 내경의 3.7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세척부재가 환기덕트 내부에서 쉽게 막혀 회수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세척영역의 길이는 세척부재의 크기(또는 뭉쳐진 상태의 부피)에 따라 변화되는 것으로 세척부재가 환기덕트에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환기덕트에서 음압을 제거하여 세척부재가 점유하는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결국,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S2000)에서 공급되는 세척부재에 의한 세척영역의 길이는 환기덕트의 내경의 1.4배 이상 3.7배 이하가 되도록 세척부재의 크기 또는 부피를 결정하고, 세척부재의 1회 세척시, 면적이 30㎟ 이상의 오염영역(미세척 영역)이 환기덕트 1 미터(m) 구간에서 3개 이하로 발견되어 만족할 수준의 세척품질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S1000)와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S2000) 사이에 상기 음압발생장치의 작동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중단하여 오염 물질의 불림 효과를 유도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세척수 또는 세척부재의 공급 또는 회수 이외에도 세척이 완료된 환기덕트의 건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및 세척부재 회수단계(S3000) 후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작동시켜 세척이 완료된 환기덕트의 내부를 건조하는 환기덕트 건조단계(S400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환기덕트의 오염상태에 따라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S1000)와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S2000) 및 상기 세척수 및 세척부재 회수단계(S3000)는 복수 회 반복 시행될 수 있으며, 환기덕트의 세척상태 확인을 위하여 환기덕트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 내시경을 투입하여 검사하는 내시경 검사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덕트 세척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환기덕트 세척방법은 환기덕트 세척장치가 도 6의 가이드부(230') 등을 포함하는 형태인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 공급단계(S1000) 및 세척부재 공급단계(S2000) 전에 제1 스위치(231a') 만을 개방(S900)하여 일정시간 환기덕트에 음압을 제공하여 세척수와 세척부재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세척수나 세척부재가 음압에 의하여 이송되되 회수부재(220)로 회수되기 직전 시점에 제1 스위치(231a')를 닫고 제2 스위치(231b')를 개방하여 관성에 의하여 세척수와 세척부재가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적절한 시간(예를 들면, 수초)을 찾아 설정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물이나 세척부재의 회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가령 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개폐 스위치(231a', 231b')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의 내용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지만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17)

  1. 음압을 발생시키는 음압발생장치; 및
    환기덕트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음압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음압을 제공받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간 음압 전달경로를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생된 음압에 의해 상기 환기덕트의 타측에서 내부로 흡입되는 물 및 물 흡입후 투입되는 세척부재를 상기 수용부를 통해 회수하는 회수부재;를 포함하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음압을 상기 제2 연결부로 직접 제공하거나 상기 밀폐공간을 통해 상기 제2 연결부로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재를 수납하며 내부에 상기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 개방구는 상기 밀폐공간에 노출되어 상기 음압을 제공받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음압발생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고무패킹을 더 함하여, 상기 음압발생장치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될 때 상기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음압발생장치가 거치되는 영역의 높이가 상기 수용부재가 수용되는 영역의 높이보다 낮아 측단면이 'ㄴ'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는 부정형 형태의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환기덕트를 통과하며 환기덕트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영역인 세척영역의 길이는 환기덕트의 내경의 1.4배 이상 3.7배 이하가 되도록 세척부재의 면적 또는 부피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덕트의 직경이 80 밀리미터 이하이며, 길이가 50미터 이하인 경우 환기덕트로 1회에 주입되는 물의 양은 5리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덕트는 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환기덕트의 외면은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코러게이션 구조를 가지되 내면은 평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환기덕트 내부의 진공도는 1500 수주밀리미터(mmH 2O) 내지 7000 수주밀리미터(mmH 2O)가 되도록 음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세척수 흡입 후 상기 세척부재 흡입 전 작동이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중지되는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음압을 상기 제2 연결부로 직접 공급하도록 연결되며,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수용부와의 연결부위에 유로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 스위치를 포함하는 환기덕트 세척장치.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환기덕트 세척방법으로서,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통해 환기덕트의 일단으로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환기덕트의 타단으로 세척수를 흡입시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단계;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 후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통해 환기덕트의 일단으로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환기덕트의 타단으로 부정형의 직물 형태의 세척부재를 흡입시켜 공급하는 세척부재 공급단계;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 후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통해 환기덕트의 일단으로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 및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에서 공급된 세척수와 상기 세척부재를 상기 환기덕트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회수부재로 회수하는 세척수 및 세척부재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환기덕트 세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에서 상기 환기덕트의 직경이 80 밀리미터 이하이며, 길이가 50미터 이하인 경우 환기덕트로 1회에 주입되는 물의 양은 5리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 세척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덕트는 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환기덕트의 외면은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코러게이션 구조를 가지되 내면은 평탄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 및 상기 세척수 및 세척부재 회수단계에서 상기 음압발생장치는 환기덕트 내부의 진공도는 1500 수주밀리미터(mmH 2O) 내지 7000 수주밀리미터(mmH 2O)가 되도록 음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 세척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에서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환기덕트를 통과하며 환기덕트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영역인 세척영역의 길이는 환기덕트의 내경의 1.4배 이상 3.7배 이하가 되도록 세척부재의 면적 또는 부피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 세척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단계와 상기 세척부재 공급단계 사이에 상기 음압발생장치의 작동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 세척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및 세척부재 회수단계 후 상기 음압발생장치를 작동시켜 세척이 완료된 환기덕트의 내부를 건조하는 환기덕트 건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호 하는 환기덕트 세척방법.
PCT/KR2019/005297 2019-03-15 2019-05-03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덕트 세척방법 WO202018984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90000283.6U CN213701078U (zh) 2019-03-15 2019-05-03 一种通风管道清洗装置
JP2022501105A JP2022524894A (ja) 2019-03-15 2019-05-03 換気ダクト洗浄装置及び換気ダクト洗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160 2019-03-15
KR1020190030160A KR102041751B1 (ko) 2019-03-15 2019-03-15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덕트 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9841A1 true WO2020189841A1 (ko) 2020-09-24

Family

ID=6872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5297 WO2020189841A1 (ko) 2019-03-15 2019-05-03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덕트 세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524894A (ko)
KR (1) KR102041751B1 (ko)
CN (1) CN213701078U (ko)
WO (1) WO202018984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10Y1 (ko) * 2000-07-25 2001-01-15 최의택 차량용 진공청소기
KR101412080B1 (ko) * 2012-01-05 2014-06-26 (주)에스이피 액체필터부를 구비한 입자회수장치
JP2015217344A (ja) * 2014-05-19 2015-12-07 東海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ドレン配管・熱交換器コイル等配管内洗浄方法
KR101652212B1 (ko) * 2016-03-07 2016-08-29 (주) 쏘노 환기덕트 및 환기덕트 세척 시스템
KR20170103211A (ko) * 2016-03-03 2017-09-13 (주)진성이알브이 전열교환기에 적용되는 환기 덕트의 청소 장치 및 청소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8236B2 (ja) * 1980-08-05 1983-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粉体塗料輸送ホ−スの洗浄方法
JP3324324B2 (ja) * 1995-03-08 2002-09-17 栗田工業株式会社 液体回収装置
DE19516533A1 (de) * 1995-05-05 1996-11-07 Proair Geraetebau Gmbh Naßreinigungsgerät
JP2011156495A (ja) * 2010-02-02 2011-08-18 Sunyda Techno:Kk 配管の洗浄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10Y1 (ko) * 2000-07-25 2001-01-15 최의택 차량용 진공청소기
KR101412080B1 (ko) * 2012-01-05 2014-06-26 (주)에스이피 액체필터부를 구비한 입자회수장치
JP2015217344A (ja) * 2014-05-19 2015-12-07 東海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ドレン配管・熱交換器コイル等配管内洗浄方法
KR20170103211A (ko) * 2016-03-03 2017-09-13 (주)진성이알브이 전열교환기에 적용되는 환기 덕트의 청소 장치 및 청소 방법
KR101652212B1 (ko) * 2016-03-07 2016-08-29 (주) 쏘노 환기덕트 및 환기덕트 세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751B1 (ko) 2019-11-27
CN213701078U (zh) 2021-07-16
JP2022524894A (ja)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04700A1 (ko) 먼지제거기능을 구비한 공조장치
WO2010056001A1 (en) Air conditioner
WO2018190609A1 (ko) 구슬이 적용된 먼지 흡입장치
WO2015060587A1 (ko) 공기조화 장치
JP4340228B2 (ja) Hepaフィルタとダクトを具えるブロア付クリーンルーム
JP4457774B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並びに建物構造
US20060199509A1 (en) Ventilating system
WO2014021684A2 (ko) 환기 시스템
KR100787920B1 (ko) 이동식 열 회수 환기장치의 급배기 유로 설치 구조 및그것을 이용한 이동식 열회수 환기장치
CN106395288A (zh) 物料传输设施及其方法
WO2020189841A1 (ko) 환기덕트 세척장치 및 환기덕트 세척방법
WO2020189838A1 (ko) 환기장치용 온도조절장치
KR20170103211A (ko) 전열교환기에 적용되는 환기 덕트의 청소 장치 및 청소 방법
KR101652212B1 (ko) 환기덕트 및 환기덕트 세척 시스템
KR100865742B1 (ko) 공동주택 환기용 덕트의 내부 청소장치
KR101114214B1 (ko) 환기장치용 덕트의 분할식 청소방법
KR102129080B1 (ko)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KR102210161B1 (ko) 하이브리드 공기정화 시스템
JP2001074286A (ja) 清浄空間の形成方法及びクリーンブース
JP2000356380A (ja) 住宅用粉塵除去装置
JP2006299736A (ja) 空気清浄器
JP2003041790A (ja) 部屋構造
KR20110117861A (ko) 공조기용 분배관 및 상기 공조기용 분배관을 이용한 덕트 청소방법
JPH116643A (ja) 住宅における給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WO2021045314A1 (ko)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96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0110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96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96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22/04/2022)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2/04/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96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