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30374A1 -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 - Google Patents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30374A1
WO2020130374A1 PCT/KR2019/015925 KR2019015925W WO2020130374A1 WO 2020130374 A1 WO2020130374 A1 WO 2020130374A1 KR 2019015925 W KR2019015925 W KR 2019015925W WO 2020130374 A1 WO2020130374 A1 WO 20201303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ite
bite bar
bar
ro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59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중보
이소현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JP202152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JP7157493B2/ja
Priority to EP19900032.4A priority patent/EP3900672B1/en
Priority to US17/295,813 priority patent/US20220023021A1/en
Priority to CN201980077254.4A priority patent/CN113164242B/zh
Publication of WO20201303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303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Definitions

  • the embodiments below relate to a prefabricated rod for occlusal plane popular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rod for occlusal plane popularity that can be easily used with a simple device.
  • the process of reproducing the patient's oral environment as a model and transferring it to the articulator is essential for the production of dental prostheses.
  • One of the most important patient information to be considered at this time is the occlusal plane.
  • the occlusal plane refers to a plane that connects the teeth of the maxilla and mandible based on the points where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anteroposterior (front, side) rooms displayed with anatomical indicators such as eyes, ears, and nose to set the correct occlusal plane.
  • a mixed impression material is placed in a frame called a'tray' having an arch form, and an impression centered on the dentition of the maxilla (upper jaw) or mandible (lower jaw) is acquired.
  • the maxillary tray covers the palate, while the mandibular tray takes the form of an arch considering the space where the tongue is placed. Since the result of the impression called “impression body” is a phonetic shape, it is not used for dental treatment directly.
  • a dental model of both types is produced by pouring plaster on the impression body.
  • Various reference planes have to be set in order to transfer the produced dental model to the articulator for the production of prosthesis. In the past, microbrush, cotton swab and face bow have been used for this purpose. .
  •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825894 relates to a jig-type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id-articular joint, and is used to simulate a dental prosthesis in the form of a tooth model by attaching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models to the articulator. It describes the technology.
  • Embodiments describe a prefabricated rod device for occlusal plane popularity,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 a technique for a prefabricated rod device for occlusal plane popularity that can easily reproduce and use necessary baselines through a simple device without deformation.
  • Embodiments are to provide a prefabricated rod for occlusal plane popularity that can simultaneously acquire a reference line seen from the front, the interpupillary line and the lateral reference line, Camper's line.
  • the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ront bite bar that positions the middle part between the user's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and obtains the same plane information as the user's pupil line through the bite bar to obtain an occlusal plane in the front part. Can be measured.
  • the bite bar may be combined with the upper or lower tray, and measure the occlusal plane at the same time as the impression is obtained.
  • the bite bar may include an adhesive portion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middle portion, and melt the adhesive as the heat is applied to the adhesive portion to be fixed to the upper or lower tray.
  • the stick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end may further include an indicator to indicate the midline.
  • bite bar It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bite bar, and may further include a bite portion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user's front tooth.
  • the bite portion the outer side is made of an open'U' shape, the bite bar can be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open portion.
  • the bite bar may include an adhesive portion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middle portion, and melt the adhesive as heat is applied to the adhesive portion to be inserted and fixed in an open portion of the bite portion.
  • It may be furthe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ite bar, and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parallel to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both ears of the user's nose and the center of both ears to obtain camper's line information.
  • the extension portion includes a ball-shaped coupl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bite bar and a ball & socket shape through the ball-shaped coupling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rotatable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bite bar. It can be fixed in parallel with the Camper's line on both sides.
  • the bite bar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 the bite bar may include a graduation portion to check the length of anatomical criteria when manufacturing a fixed or removable prosthesis.
  • a prefabricated rod for occlusal plane popularity that can simultaneously acquire the midline and symmetry of the arch, as well as the coplanar line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camper's line as the lateral reference line.
  • a prefabricated rod for occlusal plane popularity which is capable of popularizing the occlusal plane while simultaneously making impressions without expensive equipment and cumbersome additional work through a prefabricated rod device to improve the complicated clinical procedure and cumbersome occlusal acquisition method. Can provide.
  •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terior criterion of a general occlusal plane.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ateral reference of the general occlusal plane.
  • FIG. 3 is a view showing an occlusal material that is used by an existing dentist.
  •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articulator.
  • FIG. 5 is a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5.
  •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worn.
  •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fabricated rod coupled to the mandible ready-made me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fabricated rod coupled to the maxillary personalized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2 is a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3 is a view showing a side portion for explaining the wearing of the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4 is a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for explaining the wearing of a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occlusal plane follows the line connecting the sinusoids on both sides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line connecting the ear of the ear and the nose of the nose when viewed from the side.
  •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terior criterion of a general occlusal plane.
  • the anterior reference of the occlusal plane follows the interpupillary line 110.
  • the co-space line 110 means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both pupils.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ateral reference of the general occlusal plane.
  • the lateral criterion of the occlusal plane is, on average, along a line connecting the ear movement and the nose wing.
  • the occlusal plane follows the Camper's line 210 when viewed from the side.
  • the camper's line 210 means a line connecting the ear movement and the nose's wing.
  • FIG. 3 is a view showing an occlusal material 310 used by a conventional dentist made of wax.
  • This occlusal material is produced on a model that has been previously impressed, but when creating a model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occlusal plane, the form of the occlusal material is poor, and a lot of unnecessary time is spent to correct it. When it is delivered out of the oral cavity, there is an increased possibility of errors.
  •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articulator.
  • the existing articulator may popularize the occlusal plane and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and is a device for reproducing oral exercise.
  • One of the features of this device is the face bow, which is the patient's occlusal plane delivered to the articulator through the model.
  • 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prefabricated rod device for occlusal plane popularity, and a prefabricated rod device for occlusal plane popularity that can easily reproduce and use necessary baselines through a simple and non-deformable device.
  • FIG. 5 is a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prefabricated rod 500 may include a bite bar 510.
  • the prefabricated rod 500 may further include a bite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520.
  • the prefabricated rod 5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 (patient), and the middle portion 530 is positioned between the user's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to obtain the same plane information as the same space line with the symmetry of the courtesy and the arch. It can be made by including a rod 510.
  • the bite bar 510 is not limited in its shape, but may have a length of a facial degree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user.
  • the bite bar 51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about 90mm to 100mm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copper space line.
  • the bite bar 51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 the bite bar 510 is described as being made of a plast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 the same plane information as the user's pupil line can be obtained to measure the front occlusal plane.
  • the bite bar 510 may be combined with the maxillary tray or mandibular tray to measure the occlusal plane at the same time as the impression acquisit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odel in which the correct occlusal plane is reproduced, thereby reducing errors for the production of a prosthesis in the future. Specifically, the use of a bite bar 510 when acquiring a preliminary impression or a final impression using a tray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errors that may occur with respect to the occlusal plane in the model,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an occlusal material with the correct criterion. It is very easy to acquire the vertical dimension and central relation of the patient, which is essential for the patient.
  • the bite bar 510 may include an adhesive portion with an adhesive applied to the middle portion 530. Accordingly, the adhesive can be melted and fixed to the upper or lower tray by applying heat to the adhesive portion.
  • the bite bar 510 may further include a graduation portion 511, and the anatomical criteria for setting the shape and length of teeth when manufacturing a fixed or removable prosthesis (denture) through the graduation portion 511 You can easily check the length.
  • the bite bar 510 can be used to check the anterior occlusal plane, the median line of the face, and the symmetry of the arch, so information on the three-dimensional plane is provided when the model is mounted on the articulator. Error can be reduced.
  • the prefabricated rod 500 may further include a bite portion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user's front tooth seated on the back of the bite bar middle portion 530.
  • the bite portion is positioned within the silicone popular material squeezed into the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and allows the bite bar 510 to be fixed while the silicone popular material is cured.
  • the bite portion is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530 of the bite bar 510,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s front tooth is seated and fixed.
  • the bite portion is made of an'c' shape with the outside open, and the bite bar 510 can be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open portion.
  • the bite bar 510 may include an adhesive portion coated with an adhesive on the middle portion 530, and melt the adhesive as the heat is applied to the adhesive portion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bite portion.
  • the prefabricated rod 500 may further include extensions 52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ite bar 510.
  • the extension part 52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ser,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can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ite bar 510, and the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520 are parallel to a line connecting the user's wings and migration.
  • the lateral occlusal plane can be measured by extending and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Camper's line. That is, the extension part 520 may be extended in parallel in the direction of a line connecting the wing part of the user's nose and the center of both ears to obtain camper's line information.
  • the extension portion 520 includes a ball-shaped coupling portion 521, and may be coupled to the bite bar 510 and a ball & socket through the ball-shaped coupling portion 521. Accordingly, the extension portion 520 is rotatable in a state where it is combined with the bite bar 510, and thus can be fixed to the Camper's line on both sides.
  • the bite bar 510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520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521. That is, after separating the bite bar 510 from the extension 520, the bite bar 510 can be used alone.
  • the prefabricated rod 500 includes four-dimensional information about the oral environment of the patient, including the symmetry of the reference line, the coplanar line, the lateral reference line, the Camper's line, the midline, and the arch. As it can provide, it can be used by replacing the existing face bow in an economical and easy way.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5.
  • the bite bar 510 and the extension 520 may be combined in a ball & socket form.
  • the coupling portion 521 in the form of a round ball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ip of the bite bar 510 may be configur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520.
  • the coupling portion 521 of the extension portion 520 can be fitted into the bite bar 510 in the form of a ball & socket, and the extension portion 520 can be rotated from the bite bar 510, so that both sides Can be fixed according to the Camper's line.
  • the end of the bite bar 510 may be formed in a semi-circle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to accommodate the ball-shaped end of the extension 520.
  • an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520 may be configured with a semicircle-shaped coupling portion 521 in which the inside of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ing the end portion of the bite bar 510 is empty.
  • the coupling part 521 of the extension part 520 may be fitted with a bite bar 510 in the form of a ball & socket, and the extension part 520 may be rotated from the bite bar 510 to allow both sides. Can be fixed according to the Camper's line.
  •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worn
  •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worn.
  • the user can obtain the occlusal plane information of the front side parallel to the sinusoidal line by positioning the middle end of the bite bar of the prefabricated ba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 the bite bar and the ball & socket form are coupled through the ball-shaped coupling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rotatable in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bite rod, so that both sides of the camper line According to (Camper's line), information on the lateral occlusal plane can be obtained.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fabricated rod combined with an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bite bar 910 without an extension is illustrated.
  • the same plane information as the co-space line 930 can be obtained, but the camper's line, which is a lateral plane reference, cannot be popular.
  • the extension part 520 described in FIG. 5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ite bar 910.
  •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fabricated rod coupled to a personal impression tray customized maxill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 prefabricated rod may include a bite bar 1020 and a bite bar 1010 coupled through a silicone popular material 1030.
  • the bite portion 1020 is coupled to the bite bar 1010, and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s front tooth to be seated and fixed.
  • the bite portion 1020 is made of a'c' shape with an open outside, so that the bite bar 1010 can be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opened portion.
  • the bite bar 1010 may include an adhesive portion with an adhesive applied to the middle portion, and melt the adhesive as heat is applied to the adhesive portion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bite portion.
  • the personal impression tray is made to be patient-specific, if the handle of the tray is poorly positioned when the impression is obtained, information on the occlusal plane 1050 is transmitted, which may cause a large error in model production.
  • the bite bar 1010 is adhered to the handle portion of the tray in parallel with the copper wire line 1040, the correct occlusal plane information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technician, thereby reducing the error of prosthesis fabrication.
  • the bite bar 1010 without an extension is shown.
  • the standard of the frontal space line 1040 which is the front reference, but not the lateral element.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Camper's line, the extension part 520 described in FIG. 5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ite bar 1010.
  • the step of acquiring the impression of the prefabricated rod, especially the bite bar, to make the hardwa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andard coincident with the pupil line by simply adhering to the impression device (tray). Information can be included.
  •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3 is a view showing a side portion for explaining the wearing of the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4 is a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for explaining the wearing of the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prefabricated rod 1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bite bar 1110.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fabricated rod 110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1120, an indicating box 1140, and a bite 1160. Here, the prefabricated rod 1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prefabricated rod 500 and the prefabricated rod 5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 the prefabricated rod 1100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user, and includes a bite bar 1110 that positions the middle part between the user's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to obtain the same plane information as that of the sinusoidal cavity and symmetry of the arch. It can be done.
  • the bite bar 1110 is not limited in its shape, but may have a length of a facial degree in a state plac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user. Through the bite bar 1110, the same plane information as the user's pupil line can be obtained to measure the front occlusal plane.
  • the bite bar 1110 is combined with the maxillary tray or the mandibular tray to measure the occlusal plane at the same time as the impression acquisition.
  • the tray may be coupled to the tray through the tray connecting member 1114 on the lower sid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bite bar 111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odel in which the correct occlusal plane is reproduced, thereby reducing errors for the production of a prosthesis in the future.
  • the bite bar 1110 may further include a graduation portion 1111, anatomical standards for setting the shape and length of the teeth when manufacturing a fixed or removable prosthesis (denture) through the graduation portion 1111 You can easily check the length.
  • the bite bar 1110 may further include a marker 1115 for digital superposition.
  • the prefabricated rod 1100 may further include a bite portion 1160.
  • the bite portion 116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bite bar 1110, and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s front tooth to be seated and fixed with the use of silicone popular material.
  • the prefab rod 1100 may further include an indicating box 1140.
  • the indicator 1140 is formed in a'b' shape, and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coupling member 1113 configured in the middle of the bite bar 1110.
  • the stick portion 115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dicator 1140 to display the midline. Accordingly, the bite bar 1110 can be used to check the anterior occlusal plane, the median line of the face, and the symmetry of the arch, so information on the three-dimensional plane is provided when the model is mounted on the articulator. Error can be reduced.
  • the prefabricated rod 1100 may further include extensions 112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ite bar 1110.
  • the extension 112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ser,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can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ite bar 1110, and the plurality of extensions 1120 are parallel to a line connecting the user's wings and migration.
  • the lateral occlusal plane can be measured by extending and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Camper's line. That is, the extension part 1120 may be extended in parallel in a direction of a line connecting the wing part of the user's nose and the center of both ears to obtain camper's line information.
  • the extension 1120 may further include a marker 1122 for digital superimposition.
  • the extension portion 1120 includes a ball-shaped coupling portion 1121, and may be coupled to a bite bar 1110 and a ball & socket through a ball-shaped coupling portion 1121.
  • a coupling portion 1121 in the form of a round ball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1112 of the bite bar 1110 may be configured at an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120.
  • the engaging portion 1121 of the extension portion 1120 may fit into the end 1112 of the bite bar 1110 in the form of a ball & socket, and the extension portion 1120 may be provided from the bite bar 1110. It can be rotated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camper's line on both sides.
  • the end 1112 of the bite bar 1110 may be formed in a semi-circle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to accommodate the coupling portion 1121, which is the ball-shaped end of the extension 1120.
  • the end 1112 of the bite bar 1110 is marked with an angle, such as a scale, so that information on the side occlusal plane can be transmitted.
  •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120 may be configured with a semi-circle-shaped coupling portion 1121 having an empty interior that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s the end portion 1112 of the bite bar 1110.
  • the coupling portion 1121 of the extension portion 1120 may be fitted with a bite bar 1110 in the form of a ball and socket, and the extension portion 1120 may be rotated from the bite bar 1110 so that both sides Can be fixed according to the Camper's line.
  • the extension portion 1120 is rotatable in a state where it is combined with the bite bar 1110 and can be fixed to the Camper's line on both sides.
  • the bite bar 1110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1120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1121. That is, after separating the bite bar 1110 from the extension portion 1120, the bite bar 1110 can be used alone.
  • the prefabricated rod 1100 includes four-dimensional information about the oral environment of the patient, including the symmetry of the reference line, the coplanar line, the lateral reference line, the Camper's line, the midline, and the arch. As it can provide, it can be used by replacing the existing face bow in an economical and easy way.
  • the embodiments may popularize the occlusal plane while simultaneously obtaining impressions without expensive equipment and cumbersome additional work through a prefabricated rod device to improve complicated clinical procedures and cumbersome occlusal acquisition methods.
  • the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prefabricated r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ommercialized, it is very easy and convenient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occlusal plane at the same time as the impression acquisition.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a dentist's clinic very generally, so it is a simple device, but can be used universally.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bstract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가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는, 중단부를 환자의 상하악 전치부 사이에 위치시켜 동공간선과 평행한 정면의 교합평면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바이트막대를 포함하고, 볼 형태의 결합부를 통해 바이트막대와 볼 앤 소켓(ball & socket) 형태로 결합되며, 바이트막대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여 양측의 캄퍼 라인(Camper's line)에 맞추어 측면 교합평면에 대한 정보까지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
아래의 실시예들은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장치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상에서 치과 보철물 제작을 위해서는 환자의 구강 환경을 모형으로 재현하고 교합기에 옮기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인상을 채득한 후 기공실에서 치과 보철물을 제작해야 하는 기공사에게 환자의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환자 정보 중 하나가 교합평면이다. 여기서 교합평면은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점들을 기준으로 연결한 평면을 의미하며 올바른 교합평면 설정을 위해 눈, 귀, 코와 같은 해부학적인 지표들로 표시되는 전후(정면, 측면)방적인 기준평면(reference plane)들을 이용한다. .
우선 환자의 구강 환경을 모형으로 제작하기 위해 치열궁 형태를 갖는 ‘트레이’라고 부르는 틀 안에 혼합된 인상재를 위치시키고 상악(위턱) 혹은 하악(아래턱)의 치열을 중심으로 하는 인상을 채득하게 된다. 상악 트레이는 입천장을 덮는 형태인 반면, 하악 트레이는 혀가 놓여지는 공간을 고려한 아치 형태를 갖는다. ‘인상체’라고 부르는 인상의 결과물은 음형이기 때문에 직접 치과 진료를 위해 사용되지 않고, 실제적으로는 인상체에 석고 등을 부어 양형의 치과모형을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제작된 양형의 치과 모형을 보철물 제작을 위한 교합기에 옮기기 위해서 각종 기준 평면(reference plane)이 설정 되어야 하고 기존에는 이를 위해 간단하게 마이크로브러쉬(microbrush), 면봉 및 페이스 보우(face bow) 등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기존 방법의 경우 교합평면이 고려되지 않은 모형이 제작되어 기공사에게 잘못된 정보가 전달되기도 하고, 단순한 막대형의 마이크로 브러쉬나 면봉 등은 변형의 가능성이 크고 정면에서의 기준선만을 설정할 수 있어 정확한 교합평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우며, 페이스 보우 등은 고가의 장비로 사용 방법이 복잡하고 제조사에 따른 전용 교합기만 사용 가능하며 눈, 귀 등의 해부학적인 지표들이 비대칭적일 경우 교합평면에 대한 정보가 잘못 전달될 가능성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어왔다.
한국등록특허 10-1825894호는 이러한 정중환축관절 회전운동 모사가 가능한 지그타입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 상악골 모형 및 하악골 모형을 교합기에 장착하여 치아모형을 형성한 상태에서 치아 보철물을 시뮬레이션할 때에 활용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실시예들은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변형이 없고 간단한 장치를 통해 필요한 기준선들을 재현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전방에서 바라본 기준선인 동공간선(interpupillary line)과 측방의 기준선인 캄퍼 라인(Camper’s line)을 동시에 채득할 수 있는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는, 중단부를 상기 사용자의 상하악 전치부 사이에 위치시키는 정면 바이트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트막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동공간선과 동일한 평면 정보를 획득하여 전방부 교합평면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바이트막대는, 상악 트레이 또는 하악 트레이과 결합되어, 인상 채득과 동시에 상기 교합평면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바이트막대는, 상기 중단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에 열을 가함에 따라 상기 접착제를 녹여 상기 상악 트레이 또는 하악 트레이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다.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이트막대의 중단부에 구성된 결합부재에 삽입 고정되고, 상측 끝단에 스틱부가 결합되어 정중선을 표시는 지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트막대와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앞쪽 치아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트부는, 외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바이트막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이트막대는, 상기 중단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에 열을 가함에 따라 상기 접착제를 녹여 상기 바이트부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이트막대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코의 날개 부분과양측 귀의 중앙을 이은 선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캄퍼 라인(Camper’s line)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볼 형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 형태의 결합부를 통해 상기 바이트막대와 볼 앤 소켓(ball & socket)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바이트막대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여 양측의 캄퍼 라인(Camper‘s line)에 평행하게 맞추어 고정 가능하다.
상기 바이트막대는,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연장부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바이트막대는, 고정성 또는 가철성의 보철물 제작 시 해부학적 기준들의 길이를 확인하도록 하는 눈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정중선, 악궁의 대칭성뿐 아니라 전방에서 바라본 기준선인 동공간선과 측방의 기준선인 캄퍼 라인(Camper’s line)을 동시에 채득할 수 있는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잡한 임상 술식과 번거로운 교합 채득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조립식 막대 장치를 통해 고가의 장비와 번거로운 추가 작업 없이 인상 채득을 하면서 동시에 교합평면을 인기할 수 있는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교합평면의 전방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교합평면의 측방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기존의 치과의사가 임의로 만들어 사용하는 교합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기존의 교합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확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기성 메탈 인상 트레이와 결합되는 조립식 막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 개인 맞춤형 인상 트레이와 결합되는 조립식 막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합평면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양측 동공간을 연결한 선을 따르며, 측방에서 보았을 때 귀의 이주(耳珠)와 코의 비익(鼻翼)을 연결한 선을 따른다.
도 1은 일반적인 교합평면의 전방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합평면의 전방 기준은 동공간선(interpupillary line)(110)을 따르게 된다. 여기서, 동공간선(110)은 양측 동공의 중심점을 이은 선을 의미한다.
도 2는 일반적인 교합평면의 측방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합평면의 측방 기준은 평균적으로 귀의 이주와 코의 비익을 연결한 선을 따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교합평면은 측방에서 보았을 때 캄퍼 라인(Camper’s line)(210)을 따른다. 여기서, 캄퍼 라인(Camper’s line)(210)은 귀의 이주와 코의 비익을 연결한 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교합평면을 구강 외의 모형상에 옮기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상하악 치아의 교합면 인기(taking)과 함께 교합기 장치의 한 부품인 페이스 보우(face bow)를 이용하는 것이다. 만약 치아가 없는 무치악 부위의 경우에는 치과 의사에 의해 왁스로 만들어진 교합재(occlusal rim)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도 3은 기존의 치과의사가 왁스로 만들어 사용하는 교합재(3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교합재는 이전에 인상 채득된 모형상에서 제작되는데 교합평면이 고려되지 않은 모형 제작 시 교합재의 형태가 불량하여 이를 수정하기 위해 불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교합면 인기하고 페이스 보우 이용하여 교합평면의 정보를 구강 외로 전달 시에 오차가 발생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 4는 기존의 교합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교합기는 교합평면과 하악 과두의 위치를 인기할 수 있고, 구강 운동을 재현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의 기능 중 하나인 페이스 보우에 의해 환자의 교합평면이 모형을 통해 교합기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러나, 교합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인기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복잡한 조작 과정으로 인해 임상에서는 경제적이며 간단하고 손쉽게 올바른 교합평면의 정보를 채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많은 실정이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에 관한 것으로, 변형이 없고 간단한 장치를 통해 필요한 기준선들을 재현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500)는 바이트막대(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막대(500)는 바이트부 및 연장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막대(500)는 사용자(환자)의 정면에 배치되며, 중단부(530)를 사용자의 상하악 전치부 사이에 위치시켜 정중성 및 악궁의 대칭성과 함께 동공간선과 동일한 평면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바이트막대(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이트막대(510)는,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사용자의 전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안면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바이트막대(510)는 동공간선의 확인을 위해 90mm~100mm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이트막대(51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이트막대(5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재질에 제한은 없다.
이러한 바이트막대(510)를 통해 사용자의 동공간선과 동일한 평면 정보를 획득하여 정면 교합평면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바이트막대(510)는 상악 트레이 또는 하악 트레이과 결합되어, 인상 채득과 동시에 교합평면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올바른 교합평면이 재현된 모형제작이 가능하여 추후의 보철물 제작을 위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를 이용한 예비 인상 또는 최종 인상을 채득 시 바이트막대(510)를 사용하면 모형에서 교합평면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올바른 기준을 갖는 교합재 제작이 가능해져 보철물 제작에 필수적인 환자의 수직고경(Vertical Dimension), 중심위(Centric Relation) 채득에 매우 용이하다. 이 경우 바이트막대(510)는 중단부(530)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부에 열을 가함에 따라 접착제를 녹여 상악 트레이 또는 하악 트레이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이트막대(510)는 눈금부(51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눈금부(511)를 통해 고정성 또는 가철성의 보철물(의치) 제작 시 치아의 형태와 길이 설정을 위한해부학적 기준들의 길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바이트막대(510)를 이용하여 전방 교합평면, 안모의 정중선(median line), 악궁의 대칭성까지 확인할 수 있어 모형을 교합기에 마운팅 시에 3차원적인 평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 실제 구강환경과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조립식 막대(500)는 바이트막대 중단부(530) 후면에, 사용자의 앞쪽 치아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트부는 상하악 전치부에 짜 넣은 실리콘 인기재 내로 위치하게 되며 이 실리콘 인기재가 경화하는 동안 바이트막대(5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바이트부는 바이트막대(510)의 중단부(53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앞쪽 치아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이트부는 외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부분을 통해 바이트막대(51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트막대(510)는 중단부(530)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를 포함하고, 접착부에 열을 가함에 따라 접착제를 녹여 바이트부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막대(500)는 바이트막대(510)의 양단에 결합되는 연장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520)는 사용자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복수 개로 구성되어 바이트막대(51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연장부(520)는 사용자의 비익과 이주를 연결한 선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캄퍼 라인(Camper’s line) 에 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측면 교합평면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연장부(520)는 사용자의 코의 날개부위와 양측 귀 중앙을 연결한 선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캄퍼 라인(Camper’s line)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연장부(520)는 볼 형태의 결합부(521)를 포함하고, 볼 형태의 결합부(521)를 통해 바이트막대(510)와 볼 앤 소켓(ball & socket)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520)가 바이트막대(5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여 양측의 캄퍼 라인(Camper’s line)에 맞추어 고정 가능하다.
여기서, 바이트막대(510)는 결합부(521)를 통해 연장부(52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바이트막대(510)를 연장부(520)와 분리 후, 바이트막대(510)만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바이트막대(510)의 양 옆으로 부착될 아주 간단한 장치를 통해 후방 구치부 교합평면의 캄퍼 라인(Camper’s line)까지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막대(500)는 전방에서 바라본 기준선인 동공간선과 측방의 기준선인 캄퍼 라인(Camper’s line), 정중선 그리고 악궁의 대칭성을 포함하여 환자의 구강환경에 대한 4차원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손쉬운 방법으로 기존의 페이스 보우(face bow)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A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500)는 바이트막대(510)와 연장부(520)가 볼 앤 소켓(ball & socket)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연장부(520)의 끝단에는 바이트막대(510)의 끝단에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둥근 볼과 같은 형태의 결합부(521)가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520)의 결합부(521)는 볼 앤 소켓(ball & socket) 형태로 바이트막대(510)에 끼워 들어갈 수 있고, 연장부(520)가 바이트막대(510)로부터 회전이 가능하여 양측의 캄퍼 라인(Camper’s line)에 맞추어 고정이 가능하다. 이때, 바이트막대(510)의 끝단은 연장부(520)의 볼 형태의 끝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연장부(520)의 끝단에는 바이트막대(510)의 끝단을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내부가 비어있는 반원 형태의 결합부(521)가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520)의 결합부(521)는 볼 앤 소켓(ball & socket) 형태로 바이트막대(510)가 끼워 들어갈 수 있고, 연장부(520)가 바이트막대(510)로부터 회전이 가능하여 양측의 캄퍼 라인(Camper’s line)에 맞추어 고정이 가능하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환자)가 조립식 막대의 바이트막대의 중단부를 상하악 전치부 사이에 위치시켜 동공간선과 평행한 정면의 교합평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의 볼 형태의 결합부를 통해 바이트막대와 볼 앤 소켓(ball & socket) 형태로 결합되어, 바이트막대와 결합된 상태에서 연장부가 회전 가능하여 양측의 캄퍼 라인(Camper’s line)에 맞추어 측면 교합평면에 대한 정보까지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 트레이와 결합되는 조립식 막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조립식 막대를 이용하여 인상 채득과 동시에 하악 기성 메탈 인상용 장치(트레이)(920)에 붙임으로써 동공간선(930)과 동일한 평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기존에는 인상채득 시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인상 채득 후 제작되는 모형은 교합평면이 고려되지 않은 채 임의로 다듬어져 실제 환자의 구강상황과 다른 그릇된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매우 컸다.
여기에서는 연장부가 구성되지 않은 바이트막대(910)만을 도시하였다. 이 경우, 동공간선(930)과 동일한 평면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측방 평면 기준인 캄퍼 라인(Camper’s line)을 인기할 수 없다.
따라서 캄퍼 라인(Camper’s line)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도 5에서 설명한 연장부(520)를 바이트막대(910)의 양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 맞춤형 개인 인상 트레이에 결합되는 조립식 막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는 바이트부(1020)와 실리콘 인기재(1030)를 통해 결합되는 바이트막대(10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이트부(1020)는 바이트막대(1010)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앞쪽 치아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이트부(1020)는 외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부분을 통해 바이트막대(101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트막대(1010)는 중단부 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를 포함하고, 접착부에 열을 가함에 따라 접착제를 녹여 바이트부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인상트레이가 환자 맞춤형으로 만들어 졌다 하더라도 인상 채득시 트레이의 손잡이가 양호하지 못하게 위치되면 잘못된 교합평면의 정보(1050)가 전달되어 모형 제작에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바이트막대(1010)를 동공간선(1040)과 평행하게 트레이의 손잡이부에 접착하면 올바른 교합평면의 정보를 기공사에게 바로 전달 가능하므로 보철물 제작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연장부가 구성되지 않은 바이트막대(1010)만 도시되었다. 이 경우, 전방 기준인 동공간선(1040)의 기준은 채득이 가능하나 측방요소의 채득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캄퍼 라인(Camper’s line)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도 5에서 설명한 연장부(520)를 바이트막대(1010)의 양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립식 막대, 특히 바이트막대를 철물을 만들기 위해 인상을 채득하는 단계에서 인상용 장치(트레이)에 간단히 접착함으로써 동공간선과 일치되는 기준을 얻을 수 있어 모형제작 단계부터 교합평면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1100)는 바이트막대(1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막대(1100)는 연장부(1120), 지시부(indicating box)(1140) 및 바이트부(1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1100)는 앞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500) 및 조립식 막대(5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막대(1100)는 사용자의 정면에 배치되며, 중단부를 사용자의 상하악 전치부 사이에 위치시켜 정중성 및 악궁의 대칭성과 함께 동공간선과 동일한 평면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바이트막대(1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이트막대(1110)는,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사용자의 전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안면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바이트막대(1110)를 통해 사용자의 동공간선과 동일한 평면 정보를 획득하여 정면 교합평면을 측정할 수 있다. 바이트막대(1110)는 상악 트레이 또는 하악 트레이과 결합되어, 인상 채득과 동시에 교합평면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바이트막대(1110)의 중단부 하측에 트레이 연결부재(1114)를 통해 트레이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올바른 교합평면이 재현된 모형제작이 가능하여 추후의 보철물 제작을 위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바이트막대(1110)는 눈금부(111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눈금부(1111)를 통해 고정성 또는 가철성의 보철물(의치) 제작 시 치아의 형태와 길이 설정을 위한 해부학적 기준들의 길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트막대(1110)는 디지털 중첩을 위한 마커(marker, 1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막대(1100)는 바이트부(1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트부(1160)는 바이트막대(1110)의 중단부 후면에 위치되며, 실리콘 인기재의 사용과 함께 사용자의 앞쪽 치아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립식 막대(1100)는 지시부(indicating box)(1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시부(114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이트막대(1110)의 중단부에 구성된 결합부재(111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지시부(1140)의 상측에 스틱부(1150)가 결합되어 정중선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바이트막대(1110)를 이용하여 전방 교합평면, 안모의 정중선(median line), 악궁의 대칭성까지 확인할 수 있어 모형을 교합기에 마운팅 시에 3차원적인 평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 실제 구강환경과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조립식 막대(1100)는 바이트막대(1110)의 양단에 결합되는 연장부(1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20)는 사용자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복수 개로 구성되어 바이트막대(111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연장부(1120)는 사용자의 비익과 이주를 연결한 선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캄퍼 라인(Camper’s line) 에 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측면 교합평면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연장부(1120)는 사용자의 코의 날개부위와 양측 귀 중앙을 연결한 선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캄퍼 라인(Camper’s line)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1120)는 디지털 중첩을 위한 마커(marker, 1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20)는 볼 형태의 결합부(1121)를 포함하고, 볼 형태의 결합부(1121)를 통해 바이트막대(1110)와 볼 앤 소켓(ball & socket)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연장부(1120)의 끝단에는 바이트막대(1110)의 끝단(1112)에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둥근 볼과 같은 형태의 결합부(1121)가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1120)의 결합부(1121)는 볼 앤 소켓(ball & socket) 형태로 바이트막대(1110)의 끝단(1112)에 끼워 들어갈 수 있고, 연장부(1120)가 바이트막대(1110)로부터 회전이 가능하여 양측의 캄퍼 라인(Camper’s line)에 맞추어 고정이 가능하다. 이 때, 바이트막대(1110)의 끝단(1112)은 연장부(1120)의 볼 형태의 끝단인 결합부(112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이트막대(1110)의 끝단(1112)은 눈금 등으로 각도 표시가 되어 있어, 측면 교합평면에 대한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장부(1120)의 끝단에는 바이트막대(1110)의 끝단(1112)을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내부가 비어있는 반원 형태의 결합부(1121)가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1120)의 결합부(1121)는 볼 앤 소켓(ball & socket) 형태로 바이트막대(1110)가 끼워 들어갈 수 있고, 연장부(1120)가 바이트막대(1110)로부터 회전이 가능하여 양측의 캄퍼 라인(Camper’s line)에 맞추어 고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연장부(1120)가 바이트막대(1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여 양측의 캄퍼 라인(Camper’s line)에 맞추어 고정 가능하다. 여기서, 바이트막대(1110)는 결합부(1121)를 통해 연장부(112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바이트막대(1110)를 연장부(1120)와 분리 후, 바이트막대(1110)만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바이트막대(1110)의 양 옆으로 부착될 아주 간단한 장치를 통해 후방 구치부 교합평면의 캄퍼 라인(Camper’s line)까지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막대(1100)는 전방에서 바라본 기준선인 동공간선과 측방의 기준선인 캄퍼 라인(Camper’s line), 정중선 그리고 악궁의 대칭성을 포함하여 환자의 구강환경에 대한 4차원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손쉬운 방법으로 기존의 페이스 보우(face bow)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은 복잡한 임상 술식과 번거로운 교합 채득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조립식 막대 장치를 통해 고가의 장비와 번거로운 추가 작업 없이 인상 채득을 하면서 동시에 교합평면을 인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막대가 상용화되면 아주 간편하고 편리하게 교합평면의 정보를 인상채득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한 치과의사의 임상에서 아주 일반적으로 쓰일 수 있어서 간단한 장치이지만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중단부를 사용자의 상하악 전치부에 위치시켜 정중성, 악궁의 대칭성 및 동공간선과 동일한 평면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바이트막대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트막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동공간선과 동일한 평면 정보를 획득하여 교합평면을 측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막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막대는,
    상악 트레이 또는 하악 트레이과 결합되어, 인상 채득과 동시에 상기 교합평면을 측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막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막대는,
    상기 중단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에 열을 가함에 따라 상기 접착제를 녹여 상기 상악 트레이 또는 하악 트레이에 접착 고정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막대.
  4. 제1항에 있어서,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이트막대의 중단부에 구성된 결합부재에 삽입 고정되고, 상측 끝단에 스틱부가 결합되어 정중선을 표시는 지시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막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막대와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앞쪽 치아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이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트부는,
    외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바이트막대가 삽입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막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막대는,
    상기 중단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에 열을 가함에 따라 상기 접착제를 녹여 상기 바이트부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막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막대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코의 날개부위와 양측 귀 중앙을 연결한 선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캄퍼 라인(Camper’s line)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연장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막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볼 형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 형태의 결합부를 통해 상기 바이트막대와 볼 앤 소켓(ball & socket)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바이트막대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여 양측의 캄퍼 라인(Camper’s line)에 맞추어 고정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막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막대는,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연장부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막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막대는,
    고정성 또는 가철성의 보철물 제작 시 해부학적 기준들의 길이를 확인하도록 하는 눈금부
    를 포함하는, 조립식 막대.
PCT/KR2019/015925 2018-12-18 2019-11-20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 WO2020130374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29084A JP7157493B2 (ja) 2018-12-18 2019-11-20 咬合平面の印記のための組立式バー
EP19900032.4A EP3900672B1 (en) 2018-12-18 2019-11-20 Assembly type rod for recording occlusal plane
US17/295,813 US20220023021A1 (en) 2018-12-18 2019-11-20 Assembly type rod for recording occlusal plane
CN201980077254.4A CN113164242B (zh) 2018-12-18 2019-11-20 用于取用咬合平面的装配式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499A KR102117417B1 (ko) 2018-12-18 2018-12-18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
KR10-2018-0164499 2018-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0374A1 true WO2020130374A1 (ko) 2020-06-25

Family

ID=7108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5925 WO2020130374A1 (ko) 2018-12-18 2019-11-20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23021A1 (ko)
EP (1) EP3900672B1 (ko)
JP (1) JP7157493B2 (ko)
KR (1) KR102117417B1 (ko)
CN (1) CN113164242B (ko)
WO (1) WO202013037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9186Y (zh) * 1991-06-25 1993-12-15 崔义滨 一种口腔矫形多功能测量尺
US20060160044A1 (en) * 2004-10-29 2006-07-20 Juan Olivier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JP4214419B2 (ja) * 2004-09-07 2009-01-28 野口歯科医学研究所株式会社 咬合面トランスファー器具、咬合器、咬合面設定用器具及びそれらを用いた差し歯製作方法
US7601000B1 (en) * 2005-11-16 2009-10-13 Incisal Edge Products Llc Facial plane indicator
KR20170124135A (ko) * 2016-04-29 2017-11-10 (주)하이템 악안면 비대칭 측정장치
KR101825894B1 (ko) 2017-10-13 2018-02-05 이상진 정중환축관절 회전운동 모사가 가능한 지그타입 교합기
KR101909829B1 (ko) * 2017-07-07 2018-10-18 김오봉 치과용 페이스 보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7855A (en) * 1969-03-17 1971-05-11 Lloyd Baum Jaw hinge axis locator
US4242087A (en) * 1978-11-30 1980-12-30 Lee Robert L Articulator yoke assembly
US4424035A (en) * 1981-10-09 1984-01-03 Hansen Gorm P Self-centering dental face-bow
DE4211016C2 (de) * 1992-04-02 1997-06-26 Kaltenbach & Voigt Zahnärztlicher Gesichtsbogen
DE10007368A1 (de) * 2000-02-18 2001-09-06 Rainer Schoettl Vorrichtung zur Vermessung der Kauebene
AU2003268686A1 (en) * 2002-09-27 2004-04-19 Nihon University Occludator, face bow, occlusion-confirming system and tempromandibular joint-reproducing system
JP4123933B2 (ja) * 2002-12-27 2008-07-23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導電回路の形成方法
FR2912050B1 (fr) * 2007-02-02 2010-04-23 Patrice Margossian Dispositif de reperage et de mesure de parametres anatomiques faciaux
ES2588707T3 (es) * 2012-12-17 2016-11-04 Ivoclar Vivadent Ag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la construcción de una prótesis dental
BG66738B1 (bg) * 2013-03-22 2018-09-28 Димитров Филчев Андон Метод за нагласяване на артикулатор и гнатологически инструментариум за работа по метода
KR101302701B1 (ko) * 2013-05-15 2013-09-03 김종화 인공치아 교합기
CN203885655U (zh) * 2014-04-22 2014-10-22 邱玟鑫 具水平线及垂直线记录之牙齿咬合装置
EP3386432A4 (en) * 2015-12-11 2019-09-04 Timothy Hillukka DETERMINATION OF THE PINE AND FACE MOVEMENT
US9987111B1 (en) * 2017-05-04 2018-06-05 King Saud University Occlusal canting identifying tool
US20190290411A1 (en) * 2018-02-26 2019-09-26 Precision Dental Products, L.C. Dental measurement device and prosthetic manufacturing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9186Y (zh) * 1991-06-25 1993-12-15 崔义滨 一种口腔矫形多功能测量尺
JP4214419B2 (ja) * 2004-09-07 2009-01-28 野口歯科医学研究所株式会社 咬合面トランスファー器具、咬合器、咬合面設定用器具及びそれらを用いた差し歯製作方法
US20060160044A1 (en) * 2004-10-29 2006-07-20 Juan Olivier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US7601000B1 (en) * 2005-11-16 2009-10-13 Incisal Edge Products Llc Facial plane indicator
KR20170124135A (ko) * 2016-04-29 2017-11-10 (주)하이템 악안면 비대칭 측정장치
KR101909829B1 (ko) * 2017-07-07 2018-10-18 김오봉 치과용 페이스 보우
KR101825894B1 (ko) 2017-10-13 2018-02-05 이상진 정중환축관절 회전운동 모사가 가능한 지그타입 교합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900672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1431A (ja) 2022-01-31
US20220023021A1 (en) 2022-01-27
EP3900672A1 (en) 2021-10-27
EP3900672B1 (en) 2023-05-17
JP7157493B2 (ja) 2022-10-20
CN113164242B (zh) 2022-09-09
KR102117417B1 (ko) 2020-06-09
EP3900672A4 (en) 2022-01-26
CN113164242A (zh)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2931B1 (en) Dento-facial analyzer
US4616998A (en) Face bow and method of use in orthodontic procedures
WO2012150843A2 (ko)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마커
WO2011108776A1 (ko) 교합기
WO2015160044A1 (ko) 치아모델의 제조방법
CA27619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WO2014185622A1 (ko) 틀니 제작용 상하트레이 장치
WO2020091115A1 (ko)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시스템
WO2020162730A1 (ko)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인체의 해부학적 위치 및 평면 분석과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WO2016182214A1 (ko) 인공치아 교합기
WO2011065777A2 (ko) 치열교정용 원피스 지그
US20090117514A1 (en) Method and components for producing edentulous dentures
WO2021162220A1 (ko)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Rubel et al. Intraoral gothic arch tracing
WO2022065594A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WO2020130374A1 (ko) 교합평면 인기를 위한 조립식 막대
JP3181517U (ja) バイトフォーク
US10492895B1 (en) Facebow with double bite forks
US7220123B1 (en) Device for registration of the dental bite
WO2008144258A1 (en) Dynamically generated dental articulator controls
US20200093580A1 (en) Dental articulator capable of fixed horizontal condyle and adjustable horizontal condyle
WO2015178616A1 (ko) 가이드라인이 구비된 치과 보철 제작용 템플레이트
US3896551A (en) Method of transferring axis-orbital plane information from a patient to a dental articulator
KR102239741B1 (ko)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JPH01376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000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2908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9000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