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22395A1 -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22395A1
WO2020122395A1 PCT/KR2019/013495 KR2019013495W WO2020122395A1 WO 2020122395 A1 WO2020122395 A1 WO 2020122395A1 KR 2019013495 W KR2019013495 W KR 2019013495W WO 2020122395 A1 WO2020122395 A1 WO 20201223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rea
score
questionnaire
icing
ar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34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미희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01223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223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estionnaire-based firming analysis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use a survey method, a user's body, stress, housing, occupation, sleep, skin, detoxification, and harmfulness exposure areas It relates to a questionnaire-based firming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questionnaire-based sequencing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stiffing scores corresponding to the user's body, stress, housing, occupation, sleep, skin, detoxification, and pest exposure areas using a survey method It is about.
  • the step of receiving a response from users for the icing questionnaire divided into 8 areas, for each area Summing the response scores to calculate the total score and exposure scores for each area, calculating the stiffing scores using the total scores for each area, and the degree of freezing using the calculated total scores and the stiffening scores for each area And providing the analyzed result to the user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 the eight areas can be divided into body, stress, housing, occupation, sleep, skin, detoxification, and harmful areas.
  • the areas exposed to body, stress, housing, occupation, sleep, skin, and pests have higher scores for the response in the view showing the worst condition, and the scores for response are higher in the decoding area with the view showing the best condition. Can be set to high.
  • the freezing score of the decoding area may be calculated using a sum of scores in the decoding area selected by the user and a sum of best cases in the decoding area,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 the calculating of the exposure score may be performed using the sum of scores excluding the score of the decoding area and the worst case sum in each area, as in the following equation.
  • area 1 is a questionnaire area on the body
  • area 2 is a questionnaire area on stress
  • area 3 is a questionnaire area on residential environment
  • area 4 is a questionnaire area on occupation
  • area 5 is a questionnaire area on sleep
  • area 6 Silver is a questionnaire area for skin exposure
  • area 8 is a hazardous area.
  • the icing score may be calculated using the sum of the total areas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calculated icing coefficient, as in the following equation.
  • the freezing coefficient is a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the worst-case composite score to 100.
  •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response from users for a icing questionnaire divided into 8 areas, sums the response scores for each area
  • 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total score and exposure score for each area, and calculates the freezing score using the total score for each area, and analyzes the degree of freezing using the calculated total score for each area and the freezing score, and the questionnaire.
  • a resul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analyzed result to the created user.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exposure level of hazardous substances of each user based on a questionnaire divided into 8 areas, and to provide a solution suitable for the user by using the identified exposure level of hazardous substances.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questionnaire-based firming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s of a first area surv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 of a second area surv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s of a third area surv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D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 of a survey in a fourth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E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s of a fifth area surv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F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s of a questionnaire in a sixth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G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 of a survey in a seventh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H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 of a survey in an eighth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analyzing icing using a icing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A is a diagram showing an ideal stiffening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reezing scor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A is a table exemplarily showing the results of exposure to hazardous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B is an exemplary diagram for providing a decoding score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C is an exemplary diagram for providing a stiffening total score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questionnaire-based firming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cing analysis system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calculation unit 120, and a result providing unit 130.
  •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response from users with respect to the icing questionnaire divided into 8 areas.
  • the eight areas include the areas of body, stress, housing, occupation, sleep, skin, detoxification and pest exposure.
  • the first area is the body area
  • the second area is the stress area
  • the third area is the residential area
  • the fourth area is the occupation area
  • the fifth area is the sleep area
  • the sixth area is the skin area
  • the first area The 7th area is set as the detoxification area
  • the 8th area is set as the hazardous area.
  • the body, stress, dwelling, occupation, sleep, skin, and pest exposure areas showed the worst condition, the higher the score for the response, and the seventh area detoxification area showed the best condition The more, the higher the score for the response is set.
  • 2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s of a first area surv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rve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is composed of questions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ser's body, and scores are differentially assigne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 the corresponding score is calculated as 0.
  • 2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 of a second area surv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rve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is composed of questions for obtaining the degree of stress of the user.
  • 2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s of a third area surv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rve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area is composed of items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ser'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cores are differentially assigned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 the corresponding score is converted to 1.4 points.
  • 2D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 of a survey in a fourth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rve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ourth area is composed of questions related to the user's occupation.
  • 2E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s of a fifth area surv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rve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fth area is composed of questions related to the user's sleep state.
  • 2F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s of a questionnaire in a sixth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questionnaire survey corresponding to the sixth area is composed of questions that can confirm the degree of use of chemical products on the user's body.
  • 2G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 of a survey in a seventh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rve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venth area consists of questions that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user has decryption activity.
  • 2H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 of a survey in an eighth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questionnair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ighth area consists of questions that can confirm the degree of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 the calculating unit 120 calculates a total score and an exposure score for each area by summing the response scores for each area, and calculates a freezing score using the total score for each area.
  • the result providing unit 130 analyzes the degree of freezing using the total score and the freezing score for each area calculated from the calculating unit 120, and provides the analyzed result to the user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analyzing icing using a icing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response corresponding to a stiffening questionnaire from a user (S310).
  • the user writes an answer to the icing questionnai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eighth areas.
  • the user's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may be directly input through the smart terminal, or the user may collect the result of the survey and the input result 110 may be input.
  • the calculating unit 120 calculates a total score and an exposure score by summing the response scores for each area (S320).
  • Equation 1 the stress scores of the stress, dwelling, occupation, sleep, skin, and pest exposure areas (1st to 6th and 8th areas), excluding the scores of the detoxification areas corresponding to the 7th area, are respectively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Is calculated.
  • the icing score in the first area is calculated as 28.5 points.
  • the freezing point of the deco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seventh area is calculated using Equation 2 below.
  • the stiffening score in the calculated decryption area is calculated as 70.9 points.
  • FIG. 4A is a diagram showing an ideal icing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B is a diagram showing a icing scor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deal icing score in all areas is calculated as 100 points.
  • the shape of the grap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freezing score.
  • the calculation unit 120 calculates the exposure score using Equation 3 below.
  • the exposure score is calculated as 59.89 points.
  • the calculating unit 120 calculates the freezing point using the calculated exposure score and the area-specific score (S330).
  • the calculation unit 120 calculates the total stiffening score using Equation 4 below.
  • the freezing coefficient is a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the worst-case composite score to 100.
  • the freezing score is calculated as 62.4 points.
  • the result providing unit 130 analyzes the degree of crushing for each user by using the calculated sculpting score and the total score for each area, and provides a result to the user (S340).
  • FIG. 5A is a table exemplarily providing results of exposure scores of hazardous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B is an exemplary view providing results of detoxification sco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C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for providing the result of the stiffing synthesis sc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result providing unit 130 evaluates and provides a situation that matches the exposure score and the hazardous substance exposure score calculated by the calculating unit 120.
  • the result providing unit 130 judges that if the exposure score of a hazardous substance is 50 or more, it is judged that it has been exposed to many harmful substances, and provides a phrase that an alternative to preventing exposure such as improving lifestyle is needed. Measures are evaluated as urgent and solutions are provided.
  • the result providing unit 130 displays a result such as good or dangerous according to the score corresponding to the decoding area.
  • the freezing point of the detoxification area is 50 points or more, it has good detoxification habits, and if it is 70 or more points, it is judged to have good detoxification habits. If the freezing point of the detoxification area is 100 points, it has the best detoxification habit. It is judged and provided to the user.
  • the result providing unit 130 represents the overall freezing score.
  • the overall icing score is similar to the icing score in the detoxification area, and if it is 50 points or more, good icing is practiced, and if it is 70 points or more, good icing is practiced. To g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굳빙 분석 방법에 있어서, 8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굳빙 설문에 대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각 영역 별로 응답 점수를 합산하여 각 영역별 합계 점수 및 노출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영역 별 합계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연산된 각 영역별 합계 점수와 굳빙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정도를 분석하고, 상기 설문을 작성한 사용자에게 상기 분석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8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각 사용자들의 유해물질 노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유해물질 노출 정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해독 및 유해물 노출 영역에 해당되는 굳빙 점수를 분석하는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람들은 미세먼지, 농약, 각종 유해물질 및 환경호르몬과 같은 내분비 장애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으며, 최근 유해물질은 알레르기, 기형, 불임, 치매 및 암과 같은 질병과 연관성이 매우 높으며, 임산부, 영유아, 청소년등과 같이 신체발달이 왕성한 시기에 유해물질에 노출되면 유전자적 기억에 의해 성인이 되어 병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유해물질에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였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해결하지 못하고 자신이 얼마나 유해물질에 노출되었는지 모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스스로 유해물질에 얼마나 노출되었는지, 어느 경로로 노출되었는지 자가진단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국내 공개특허 10-1900414(2018.09.20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해독 및 유해물 노출 영역에 해당되는 굳빙 점수를 분석하는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굳빙 분석 방법에 있어서, 8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굳빙 설문에 대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각 영역 별로 응답 점수를 합산하여 각 영역별 합계 점수 및 노출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영역 별 합계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연산된 각 영역별 합계 점수와 굳빙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정도를 분석하고, 상기 설문을 작성한 사용자에게 상기 분석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8개의 영역은,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해독 및 유해물 노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8개의 영역 중에서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및 유해물 노출 영역은 최악의 상태를 나타내는 보기일수록 응답에 대한 점수가 높고, 상기 해독 영역은 최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보기일수록 응답에 대한 점수가 높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및 유해물 노출영역의 굳빙 점수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응답에 대한 점수의 합과 각 영역에서의 최악의 경우의 합을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01
상기 해독영역의 굳빙 점수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해독 영역에서의 점수 합과 상기 해독 영역에서의 최상의 경우의 합을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02
상기 노출점수를 연산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해독영역의 점수를 제외한 점수들의 합과 각 영역에서의 최악의 경우의 합을 이용하여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03
여기서, 1영역은 신체에 관한 설문 영역, 2영역은 스트레스에 관한 설문 영역, 3영역은 주거환경에 관한 설문 영역, 4영역은 직업에 관한 설문 영역, 5영역은 수면에 관한 설문 영역, 6영역은 피부 노출에 관한 설문 영역, 8영역은 유해물 노출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굳빙 점수를 연산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전체영역에서의 총합과 연산된 굳빙 계수를 이용하여 굳빙 점수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04
여기서, 굳빙 계수는 최악의 경우의 종합 점수를 100으로 환산한 값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굳빙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에 있어서, 8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굳빙 설문에 대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각 영역 별로 응답 점수를 합산하여 각 영역별 합계 점수 및 노출점수를 연산하고, 상기 영역 별 합계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점수를 연산하는 연산부, 그리고 상기 연산된 각 영역별 합계 점수와 굳빙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정도를 분석하고, 상기 설문을 작성한 사용자에게 상기 분석된 결과를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8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각 사용자들의 유해물질 노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유해물질 노출 정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5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7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2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8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굳빙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굳빙 분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적 굳빙 점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굳빙 점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점수 결과를 예시적으로 제공하는 표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독점수 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굳빙 종합 점수 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굳빙 분석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연산부(120) 및 결과 제공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입력부(110)는 8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굳빙 설문에 대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응답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8개의 영역은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해독 및 유해물 노출 영역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영역은 신체영역, 제2 영역은 스트레스영역, 제3 영역은 주거영역, 제4 영역은 직업영역, 제5 영역은 수면영역, 제6 영역은 피부영역, 제7 영역은 해독영역, 제8 영역은 유해물 노출영역으로 설정한다.
또한, 8개의 영역 중에서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및 유해물 노출 영역은 최악의 상태를 나타내는 보기일수록 응답에 대한 점수가 높고, 제7 영역에 해당하는 해독 영역은 최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보기일수록 응답에 대한 점수가 높도록 설정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1 영역에 해당되는 설문조사 내용은 사용자의 신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문항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나이 및 성별에 따라 점수를 차등으로 부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나이가 45세이면 해당되는 점수는 0점으로 연산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b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2 영역에 해당되는 설문조사 내용은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획득하기 위한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c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3 영역에 해당되는 설문조사 내용은 사용자의 주거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거지역에 따라 점수를 차등부여한다.
예를 들어, 농어촌 지역에서 거주한 기간이 10년이고, 상가 지역에서 거주한 기간이 20년이라고 할 때, 해당점수는 1.4점으로 환산된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2d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4 영역에 해당되는 설문조사 내용은 사용자의 직업과 관련된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5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2e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5 영역에 해당되는 설문조사 내용은 사용자의 수면상태와 관련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2f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6 영역에 해당되는 설문조사 내용은 사용자의 신체에 화학제품을 사용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7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2g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7 영역에 해당되는 설문조사 내용은 사용자의 해독활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8 영역의 설문조사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2h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8 영역에 해당되는 설문조사 내용은 유해물에 노출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연산부(120)는 각 영역 별로 응답 점수를 합산하여 각 영역별 합계 점수 및 노출점수를 연산하고, 상기 영역 별 합계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점수를 연산한다.
다음으로, 결과 제공부(130)는 연산부(120)로부터 연산된 각 영역별 합계 점수와 굳빙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정도를 분석하고, 설문을 작성한 사용자에게 상기 분석된 결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c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굳빙 분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굳빙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굳빙 분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굳빙 설문에 해당되는 응답을 받는다(S310).
즉, 사용자는 제1 영역 내지 제8 영역에 해당되는 굳빙 설문에 대하여 답변을 작성한다.
여기서, 설문에 응하는 사용자의 응답은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설문 조사한 결과를 취합하여 취합한 결과를 입력부(110)는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연산부(120)는 각 영역별 응답점수를 합산하여 합계 점수 및 노출점수를 연산한다(S320).
이때, 제7 영역에 해당되는 해독영역의 점수를 제외한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및 유해물 노출영역(제1 내지 제6 영역, 제8 영역)의 굳빙 점수는 각각 아래의 수학식 1으로 연산된다.
Figure PCTKR2019013495-appb-M000001
예를 들면, 제1 영역에서 획득한 값이 10점이고, 제1 영역에서의 최악의 경우의 합이 14이면, 제 1영역에서의 굳빙 점수는 28.5점으로 연산된다.
그리고, 제7 영역에 해당되는 해독영역의 굳빙 점수는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연산된다.
Figure PCTKR2019013495-appb-M000002
예를 들면, 해독 영역에서의 합이 22이고, 해독 영역에서의 최상의 경우의 합이 31이라고 하면, 연산된 해독 영역에서의 굳빙 점수는 70.9점으로 연산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적 굳빙 점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굳빙 점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서 나타낸 것처럼, 모든 영역에서 이상적인 굳빙 점수는 100점으로 연산된다.
또한, 도 4b에서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별 굳빙 점수에 따라 그래프의 모양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면, 연산부(120)는 노출점수를 아래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연산한다.
Figure PCTKR2019013495-appb-M000003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6 영역 및 제8 영역의 합이 79.05이고, 최악의 경우의 합이 132이면, 노출 점수는 59.89점으로 연산된다.
그러면, 연산부(120)는 연산된 노출점수와 영역별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점수를 연산한다(S330).
즉, 연산부(120)는 아래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종합 굳빙 점수를 연산한다.
Figure PCTKR2019013495-appb-M000004
여기서, 굳빙 계수는 최악의 경우의 종합 점수를 100으로 환산한 값이다.
예를 들면, 전체 영역의 총합이 46.28이고, 굳빙 계수가 0.8이라고 하면, 굳빙 점수는 62.4점으로 연산된다.
예를 들어, 최악의 경우의 총합이 125이면, 굳빙계수는 0.8으로 연산된다(100/125=0.8).
다음으로, 결과 제공부(130)는 연산된 굳빙 점수와 영역별 합계 점수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굳빙 정도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한다(S340).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점수 결과를 예시적으로 제공하는 표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독점수 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굳빙 종합 점수 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5a에서 나타낸 것처럼, 결과 제공부(130)는 연산부(120)로부터 연산된 유해물질 노출 점수와 점수에 맞는 상황을 평가하여 제공한다.
즉, 결과 제공부(130)는 유해물질 노출점수가 50이상이면 많은 유해물질에 노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생활 습관 개선과 같은 노출 방지 대안이 필요하다는 문구를 제공하고, 70점 이상이면 유해물질 노출 방지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평가하여 해결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도 5b에서 나타낸 것처럼, 결과 제공부(130)는 해독 영역에 해당되는 점수에 따라 양호 또는 위험과 같은 결과를 나타낸다.
즉, 해독 영역의 굳빙점수는 50점 이상이면 양호한 해독 습관을 가지고 있으며, 70점 이상이면 좋은 해독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해독 영역의 굳빙점수가 100점이면 가장 좋은 해독 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도 5c에서 나타낸 것처럼, 결과 제공부(130)는 종합 굳빙 점수를 나타낸다.
종합 굳빙 점수는 해독 영역의 굳빙 점수와 마찬가지로 50점 이상이면 양호한 굳빙을 실천하고 있으며, 70점 이상이면 좋은 굳빙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100점이면 가장 좋은 굳빙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8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각 사용자들의 유해물질 노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유해물질 노출 정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굳빙 분석 방법에 있어서,
    8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굳빙 설문에 대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각 영역 별로 응답 점수를 합산하여 각 영역별 합계 점수 및 노출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영역 별 합계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연산된 각 영역별 합계 점수와 굳빙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정도를 분석하고, 상기 설문을 작성한 사용자에게 상기 분석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굳빙 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영역은,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해독 및 유해물 노출 영역으로 구분되는 굳빙 분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영역 중에서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및 유해물 노출 영역은 최악의 상태를 나타내는 보기일수록 응답에 대한 점수가 높고,
    상기 해독 영역은 최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보기일수록 응답에 대한 점수가 높도록 설정되는 굳빙 분석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및 유해물 노출영역의 굳빙 점수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응답에 대한 점수의 합과 각 영역에서의 최악의 경우의 합을 이용하여 연산되는 굳빙 분석 방법: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05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독영역의 굳빙 점수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해독 영역에서의 점수 합과 상기 해독 영역에서의 최상의 경우의 합을 이용하여 연산되는 굳빙 분석 방법.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0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점수를 연산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해독영역의 점수를 제외한 점수들의 합과 각 영역에서의 최악의 경우의 합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굳빙 분석 방법: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07
    여기서, 1영역은 신체에 관한 설문 영역, 2영역은 스트레스에 관한 설문 영역, 3영역은 주거환경에 관한 설문 영역, 4영역은 직업에 관한 설문 영역, 5영역은 수면에 관한 설문 영역, 6영역은 피부 노출에 관한 설문 영역, 8영역은 유해물 노출 영역을 의미한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굳빙 점수를 연산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전체영역에서의 총합과 연산된 굳빙 계수를 이용하여 굳빙 점수를 연산하는 굳빙 분석 방법: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08
    여기서, 굳빙 계수는 최악의 경우의 종합 점수를 100으로 환산한 값이다.
  8. 굳빙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에 있어서,
    8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굳빙 설문에 대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각 영역 별로 응답 점수를 합산하여 각 영역별 합계 점수 및 노출점수를 연산하고, 상기 영역 별 합계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점수를 연산하는 연산부, 그리고
    상기 연산된 각 영역별 합계 점수와 굳빙 점수를 이용하여 굳빙 정도를 분석하고, 상기 설문을 작성한 사용자에게 상기 분석된 결과를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굳빙 분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영역은,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해독 및 유해물 노출 영역으로 구분되는 굳빙 분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영역 중에서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및 유해물 노출 영역은 최악의 상태를 나타내는 보기일수록 응답에 대한 점수가 높고,
    상기 해독 영역은 최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보기일수록 응답에 대한 점수가 높도록 설정되는 굳빙 분석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스트레스, 주거, 직업, 수면, 피부 및 유해물 노출영역의 굳빙 점수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응답에 대한 점수의 합과 각 영역에서의 최악의 경우의 합을 이용하여 점수를 연산하는 굳빙 분석 시스템: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09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해독영역의 굳빙 점수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해독 영역에서의 점수 합과 상기 해독 영역에서의 최상의 경우의 합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굳빙 분석 시스템.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10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해독영역의 점수를 제외한 점수들의 합과 각 영역에서의 최악의 경우의 합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굳빙 분석 시스템: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11
    여기서, 1영역은 신체에 관한 설문 영역, 2영역은 스트레스에 관한 설문 영역, 3영역은 주거환경에 관한 설문 영역, 4영역은 직업에 관한 설문 영역, 5영역은 수면에 관한 설문 영역, 6영역은 피부 노출에 관한 설문 영역, 8영역은 유해물 노출 영역을 의미한다.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전체영역에서의 총합과 연산된 굳빙 계수를 이용하여 굳빙 점수를 연산하는 굳빙 분석 시스템:
    Figure PCTKR2019013495-appb-I000012
    여기서, 굳빙 계수는 최악의 경우의 종합 점수를 100으로 환산한 값이다.
PCT/KR2019/013495 2018-12-10 2019-10-15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1223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058A KR20200070670A (ko) 2018-12-10 2018-12-10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8-0158058 2018-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395A1 true WO2020122395A1 (ko) 2020-06-18

Family

ID=7107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3495 WO2020122395A1 (ko) 2018-12-10 2019-10-15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00070670A (ko)
WO (1) WO202012239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314A (ja) * 2003-10-14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健康支援プログラム及び健康支援システム
JP2006263114A (ja) * 2005-03-23 2006-10-05 Sendan Gakuen Tohoku Fukushi Daigaku 元気・健康点検票、元気・健康点検装置、および元気・健康点検方法
JP2009037577A (ja) * 2007-08-01 2009-02-19 Seiji Shiga 元気生活チェック調査システム
KR20120119836A (ko) * 2011-04-22 2012-10-3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웰빙 인덱스를 활용한 건강 검진 방법
KR20130026845A (ko) * 2011-09-06 2013-03-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문 정보를 이용한 건강 상태 판단 장치 및 방법, 건강 분류 함수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314A (ja) * 2003-10-14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健康支援プログラム及び健康支援システム
JP2006263114A (ja) * 2005-03-23 2006-10-05 Sendan Gakuen Tohoku Fukushi Daigaku 元気・健康点検票、元気・健康点検装置、および元気・健康点検方法
JP2009037577A (ja) * 2007-08-01 2009-02-19 Seiji Shiga 元気生活チェック調査システム
KR20120119836A (ko) * 2011-04-22 2012-10-3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웰빙 인덱스를 활용한 건강 검진 방법
KR20130026845A (ko) * 2011-09-06 2013-03-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문 정보를 이용한 건강 상태 판단 장치 및 방법, 건강 분류 함수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326B1 (ko) 2021-12-21
KR20210122758A (ko) 2021-10-12
KR20200070670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hias et al. A continuum of admixture in the Western Hemisphere revealed by the African Diaspora genome
Hewitt et al. The factor structure of schizotypy in a normal population
Crysnanto et al. Novel functional sequences uncovered through a bovine multiassembly graph
WO2012165859A2 (ko) 사용자 심리지수에 기초한 조언 추천 시스템
WO2016006727A1 (ko) 인지기능 검사 장치 및 방법
EP260163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 identified object
WO2017026850A1 (ko) 신체 및 인지능력 평가를 통한 고령자 맞춤형 ui/ux 출력 방법
WO2012093815A2 (ko)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하여 타사용자 또는 사물을 추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9093569A1 (ko)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7175997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23654A1 (ko) 지역기반의 유행성 질병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9027070A1 (ko) 웹 사이트 제작 지원 서버 및 이에 의한 웹 사이트 제작 지원 방법
WO2020062657A1 (zh) 用户风险画像生成方法、装置、设备及相关设备
WO2019139192A1 (ko) 메시징 서비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상황 감지 및 사용자 상황에 기반한 메시징 서비스와의 인터랙션
WO2017160133A2 (ko)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WO2020119118A1 (zh) 异常数据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096262A1 (ko) 전자 장치, 그의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WO2019147101A1 (ko) 악성 코드를 분류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122395A1 (ko) 설문조사 기반 굳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25219A1 (ko) 유전적 구성비를 이용한 질병 또는 표현형의 위험도 예측 장치 및 방법
WO2016060326A1 (ko)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2065579A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72639A1 (ko) 실시간 경험 분석 시스템 및 방법
WO2021141312A1 (ko) 인공지능 기반 게놈 빅데이터를 이용한 자기개선 유전자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1096236A1 (ko) 질병 카테고리에 대한 통합 위험도 계산 및 시각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969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969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