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11693A1 -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11693A1
WO2020111693A1 PCT/KR2019/016269 KR2019016269W WO2020111693A1 WO 2020111693 A1 WO2020111693 A1 WO 2020111693A1 KR 2019016269 W KR2019016269 W KR 2019016269W WO 2020111693 A1 WO2020111693 A1 WO 20201116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ofile body
coupled
plug
ground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62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회욱
Original Assignee
정회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회욱 filed Critical 정회욱
Publication of WO20201116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116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Definitions

  • Disclosed is, for example, a wall, ceiling, floor, etc. installed on a support surface to connect and use power plugs of various electrical products regardless of their location and number. It is about.
  • a wall outlet of a building is provided with an outlet for connecting and using a power plug of an electrical appliance to indoor indoor wiring.
  • the loca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should be limited to the adjacent location of the outlet, or inevitably, a multi-tap must be connected to the outlet to extend the length.
  • a multi-ta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 wiring is not beautiful.
  • the conventional outlet has a limitation in connecting and us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at the same time, as the number of electrical connections to which the power plug of the electrical product can be connected is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for example, two.
  •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3-0022429 (published on October 16, 1993) is formed with a support frame having a coupling portion, and an insertion portion coupled under the support frame,
  • the support frame has a T-shaped center jaw in the inner center and a projection on both sides of the inside.
  • a connecting rod as a conducto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 square pole rod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rod.
  • a line outlet is disclo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quare pole rod is made to be installed inside the coupling hole.
  • line outlet grooves and line plug inserts are form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rops that constitute a vertical opening and a channel insert in the center, and the line outlet groove
  • a channel holding device comprising a channel outlet and a power plug,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tal and vertical power plug for a channel line outlet to be used is connected to an LED lamp with a conductive plate.
  • the power plug of the electric produc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and number, for example, a support bracket for a shelf, etc. can be installed, and the finishing sheet can be fixed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eat fixing device for an electric outlet.
  • a terminal fixing part in which a first plug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 power plug of an electrical product is penetrated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late and a ground plate are insulatedly coupled to the front side.
  • a profile body in which a rotation groove is formed and a side cov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groove to grip an end of the finishing sheet, and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rofile body and fixed to the wall surface with the side cover se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 a first connection protrusion contacting one of the plug protrusions of the power plug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protruded at regular intervals in front of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late, and the front of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late
  •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contacting the other of the plug protrusions of the power plug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alternately with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protrusions protrude on both front sides of the ground plate. Is done.
  • the ground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more forward than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 the terminal fixing part is formed with a second plug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of the profile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round plat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fix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late is coupled.
  • the side cover is composed of a gripping body and a gripping portion formed to b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ipping body, and at one end of the gripping body,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rotating groove is longitudinal It is formed to be exten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sheet fixing bar is formed to protrude inside the other end of the grip body.
  • a bracket support hole on which a rea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is caught and supported is formed through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in front of the profile body.
  • fitting grooves ar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ofile body, and fitting protrusion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body when the side cover is closed, and the side surface When the cover is clo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sheet fixing grooves to which the finishing sheet fixing bars are combin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profile body.
  • fitting grooves ar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ofile body, and fitting protrusion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body when the side cover is closed, and the side surface When the cover is clo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sheet fixing grooves to which the finishing sheet fixing bars are combin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profile body.
  • locking grooves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front sides of the profile body, and at the end of the gripping portion, the locking when the side cover is clo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jaw is coupled to the groove.
  • the electric outlet-compatible seat fixing device is installed on a support surface such as a wall surface, a ceiling surface, a floor surface, and the like and can be used by connecting power plugs of various electric products regardless of their location and number, and each component is inserted or As it can be assembled by fitting method, the assembly convenience and construction convenience are increased, and in addition to the line outlet function that the power plug of the electric produc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and number, for example, a support bracket for shelves, etc. can be installed and clo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ixed to the sheet at the same tim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outlet combined seat fixing device fixed to a wall surface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outlet combined seat fixing devic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outlet combined sea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outlet combined seat fixing device showing the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rotation to fix the finishing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support bracket and the electric outlet as a sea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safety cap and a power plug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t fixing device for an electric outlet showing the contact structure of each protrusion of the power plug and the ground gender and the ground protrusion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when the ground gender is used.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lock terminal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 FIG. 9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us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 the profile body 10 is divided into a front projecting one surface protruding based on a wall surface, etc., and a rear fixed to the wall 1 or the like. 2 to 6,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11a through which the power plug 5 of the electric product penetrates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ront of the protruding profile body 10. .
  • the number of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11a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or use of the wall 1 to be constructed,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electric plug to be inserted.
  • the shape of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11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 rectangle, but as shown in FIGS. 2 to 6, the shape of the plug protrusion 5a of a commonly used electric product is circular. It is desirable to be molded.
  •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15a is formed,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17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one of the plug protrusions 5a of the power plug 5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late 17. ) And alternately protrudes at regular intervals.
  • the plug protrusion 5a of the electrical product when the plug protrusion 5a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11a, as shown in FIG. 7, the plug protrusion 5a contact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rotrusions 15a and 17a, respectively. This will power the electrical appliances.
  • ground protrusions 20a are protrud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ground plate 20.
  • ground protrusions 20a ar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plate 20,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each ground protrusion 20a.
  •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late 15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late 17 ar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on protrusion is bent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is protruded.
  • the ground plate 20 is also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projection is formed protruding forward from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 the ground protrusion 20a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ductor through which current flows.
  •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profile body 10 for inserting a terminal fixing part 50 to be described later.
  • the shape of the space can be variously formed, such as a rectangle or a square.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file body 10 for representing a space.
  • the length of the upper side of the profile body 1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11a.
  • the plug protrusion 5a of the power plug 5 cannot be inserted in front of the profile body 10, and thus an electrical product to be used. Power cannot be supplied.
  • the upper side formed in front of the profile body 10 is vertically formed in the ground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upper side to form a rectangular space inside the profile body 10.
  • the profile body 10 extends symmetrically outwardly toward the ground at both end points of the rectangular shape mentioned above, and each of the symmetrical ends is connected to form a rear surface.
  •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13a are formed in the rear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profile body 10 and the terminal fixing part 50 can be combined, and the assembly of the profile body 10 and the terminal fixing part 50 can be fixed to a wall or the like integrally. .
  • a space of “ ⁇ ” shape is formed inside the profile body 10, and a terminal fixing part 5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pace.
  • the second plug insertion hole 11b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11a of the profile body 10 is fix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ront of the terminal fixing portion 50. Is formed.
  • the second bracket support hole (12b)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plug insertion hole (11b).
  • the second bracket supporting hole 12b of the terminal fixing 5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fixing 50 inside the profile body 10, and when combined,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first bracket supporting hole 12a ( When the ground gender 6 is inserted, the ground gender protrusion 6a integrally integrates the first bracket support hole 12a and the second bracket support hole 12b when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support hole 12a). I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projection (20a) of the terminal fixing 50 is coupled to the inside through the furnace.
  • the terminal fixing part 5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pace formed inside the profile body 10,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file body 10, than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profile body 10. It should be formed with a small value.
  • the terminal fixing part 50 is also formed with a space of “ ⁇ ” inside, and a rear end is formed by connecting an inclined end point to the outside.
  • the ground plate 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 the second fixing hole 50a is formed, and correspondingly, a plurality of third fixing holes 21 are also formed in the ground plate 20.
  • the rear surface of the ground plate 20 is close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fixing unit 50 and the screw 9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each of the corresponding fixing holes, thereby fixing the terminal fixing unit 50 ) And the combination of the ground plate 20 is fixed.
  • the screw 9 may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or the like by integrally connecting the profile body 10 and the terminal fixing part 50 through the first fixing hole 13a formed at the rear of the profile body 10 described above.
  • the profile body 10 to which the terminal fixing part 50 is coupled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wall surface 1 using the wall skirt 2.
  • the terminal fitting groove 50b is formed in the rear both sides of the terminal fixing part 50, so that one of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late 15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late 17 is formed. Sides are fitted.
  • the shape of the terminal fitting groove 50b may be variously formed, but one side of each connecting plate 15 and 17 is forcibly fitted, and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one side of each connecting plate 15 and 17 and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rminal fixing unit 50 when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rofile body 10.
  • the plug protrusion 5a of the power plug 5 penetrates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11a and the second plug insertion hole 11b,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rotrusions coupled to the terminal fixing 50 It is connected to (15a, 17a) to supply power to electronic products.
  • the terminal fixing unit 50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and as illustrated in FIG. 8, may be manufactured prefabricated through blocking.
  • hooks 51a are formed inwardly at both ends of the upper terminal fixing part 51, and corresponding to hooks 51a at both ends of the lower terminal fixing part 53.
  • Hook grooves 53a may be formed.
  • the hook (51a) is hooked to the hook groove (53a) to form a terminal fixing 50 to facilitate assembly and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provides convenient advantages in use.
  • the terminal fixing unit 5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luminum, plastic, etc., but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lightweight and non-conductive plastic material to reduce the risk of electric shock for incorrect insertion of plugs and to reduce costs.
  • the first and second plug insertion holes (11a, 11b) and the first and second bracket support holes (12a, 12b)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profile body (10) and the terminal fixing part (50) are shown in FIGS. 3 and 7 As shown in the figure, the bracket support holes 12a and 12b are placed between each of the plug insertion holes 11a and 11b, so that the user only uses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5a when using the ground gender 6 (11a) or the second plug insertion hole (11b) when combined to fit the position of the ground gender projection (6a) is automatically coupled with the ground projection (20a) to provide the user with convenience and electrical stability.
  • the back support 6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profile body 10.
  • the profile body 10 that is formed to be inclined to be extended is formed to have a surface having a constant size from both ends of the shape " ⁇ ".
  • the back support 60 is for fixing the profile body 10 to a wall surface and the like, and the rear surface must be formed in a flat surface, and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variously formed, but when considering the fixing force to the wall, the profile body 10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 the length of the back support 60 in the lateral direction may be variously formed,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nufactured to fit the space of the region where the profile body 10 is installed.
  • the back support 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back support 60 to be fixed with screws 9, nails, etc.
  • a plurality of wall fixing holes 60a are formed in 60).
  • the pivoting groove 1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file body 10 at both rear sides of the profile body 10, that is, at the point where the back support 60 extends.
  • the rotation groove 13 is the insertion of the rotation shaft 32 of the side cover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shape of the rotation groove 13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rotation shaft (32).
  • the main function is to rotate the side cover 30, and the rotation shaft 3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ccordingly, the rotation groove 13 is embedded inward.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circular arc surface.
  • the rotation groove 13 may be formed in various lengths.
  • i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of the profile body 10, and a plurality of rotation grooves 13 having a short length may be regularly spaced apart.
  • the profile body 10 when manufacturing the profile body 10, it is preferable to have a length equal to the length of the profile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cost reduction by extrusion or injection manufacturing.
  • the rotation groove 13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file body (10).
  • fitting groove 39 is symmetric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ending point of the profile body 10.
  • the number and shape of the fitting grooves 39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and number of the fitting projections 37 of the side cover 30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tting protrusion 37 has a certain length in the form of a circular bar,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nd correspondingly, several fitting grooves 39 are embedded. .
  • the fitting protrusion 37 i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39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as well as to fix the finishing sheet 3 more firmly.
  • the fitting protrusion 37 may be formed of a magnet, and accordingly, the fitting groove 39 is formed of a magnet opposite to the magnetism of the fitting protrusion 37.
  • Side cover 30 as shown in Figures 2 to 4, consists of a gripping body 31 and the gripping portion 40.
  • the pivot shaft 32 is formed to extend at one end of the gripping body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rotation shaft 32 is forcibly fitted to the circular surface of the rotation groove 13 of the profile body 10, and the side cover 30 is rotated.
  • the finishing sheet fixing bar 35 is protrud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grip body 31.
  • the shape of the finishing sheet fixing bar 35 may be variously formed, but the finishing sheet fixing bar 35 is forcibly closed in the finishing sheet fixing groove 33 formed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profile body 10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xing sheet 3 inserted into the seat fixing groove 33 is fixed, and the shape of the finishing sheet fixing bar 35 is as shown in FIGS. 2 to 4, in the closing sheet fixing groove 33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 the fitting projection 3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body 31.
  • the fitting projection 37 i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39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ofile body 10,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side cover 30 is closed.
  • the shape of the fitting protrusion 37 may be variously formed.
  • the fitting projection 37 and the fitting groove 39 is forcibly fitted so that the closed state is maintained, and the shape of the fitting groove 39 depends on the shape of the fitting projection 37. Is different.
  • the fitting groove 39 is formed with a square with a groove in the center so that the fitting projection 37 of the square can be inserted.
  • the fitting protrusion 37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fitting groove 39 is preferably form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profile body 10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groove in the center,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gripping portion 40 is formed by b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ipping body 31 as shown in FIG. 4.
  • the locking jaw 41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gripping top 40 is bent and extended at a point where the finishing sheet fixing bar 35 of the gripping body 31 is formed.
  • the lateral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locking jaw 41 of the gripping part 40 is formed may be variously formed, as illustrated in FIG. 4, when the side cover 30 is closed, the side cover 30 is in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ted fitting protrusion 37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itting protrusion 37 to provide a space that can be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39 of the profile body 10.
  • the gripping portion when the side cover 30 is closed Since the locking jaw 41 of 40 cannot be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43 of the profile body 10, it cannot maintain a closed state, and furthermore, the finishing sheet 3 cannot be fixed to the locking jaw 41. .
  • the engaging groove 43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length of the engaging jaw 41 described above.
  • the locking jaw 41 may also be made of a magnet having magnetism.
  • the locking groove 43 is configured to have a magnetic force opposite to that of the locking jaw 41 so that the opposite magnet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the gripping state with the liver's manpower.
  • the first bracket support hole 12a in which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8 is caught and supported is formed in front of the profile body 10.
  • first and second bracket support holes 12a and 12b are form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lug insertion holes 11a and 11b.
  • first and second bracket support holes 12a and 12b may be variously formed, as shown in FIG. 5,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8 is generally formed in a right angled shape. It is preferred that the center is formed in an open rectangle.
  • first and second bracket support holes 12a and 12b are inserted into the ground gender projections 6a of the ground gender 6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projections 20a of the terminal fixing unit 50,
  • the first bracket support hole 12a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ut the center is preferably formed by opening in a circular shape.
  • the ground protrusions 20a are positioned where the first and second bracket support holes 12a and 12b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terminal fixing 50 when the terminal fixing 50 is inserted into the profile body 10 and used as a combined body, as shown in FIGS. 5 to 7, as well as the power plug 5, the ground gender 6 and the support
  • the bracket (8) also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 the ground protrusion 20a is formed to protrude more forward tha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rotrusions 15a and 17a,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ground gender protrusion 6a of the ground gender 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protrusion 20a befor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rotrusions 15a and 17a, and maintains the potential of the device at zero.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protect the user from electric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 the safety cap 7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rough which the inside is to be inserted, and the safety cap 7 should be inserted into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11a while being coupled to the plug protrusion 5a.
  • the diameter of (7)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maller value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11a).
  • the diameter of the second plug insertion hole (11b) ha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lug projection (5a) to be inserted,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valu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afety cap (7).
  • the safety cap 7 is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that may occur when the plug protrusion 5a is in contact with the profile body 10 formed of aluminum,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is formed of light plastic without passing electricity.
  • the power plug 5 can be inserted into the ground gender 6 or the safety cap 7 can be inserted into the plug protrusion 5a to provide a seat fixing device for electric outlets that is safe from the risk of electric shock. .
  • a plurality of finishing sheet fixing bars 35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upper sides of the profile body 10.
  • the closing sheet fixing bar 35 is forcibly fitted into the finishing seat fixing groove 33 of the side cover 30, and the finishing sheet fixing bar 35
  • the shape of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inishing sheet fixing groove 33, and the position to be formed should also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t which the finishing sheet fixing groove 33 is formed.
  • the fitting protrusion 37 inside the side cover 30 i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39.
  • finishing sheet 3 surrounding the wall or the like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9 to provide neat appearance.
  • the method of fixing the finishing sheet 3 rotates the side cover 30 to secure one end of the finishing sheet 3 to the locking jaw 41 and the fixing sheet fixing groove 33, and secure the side cover 30.
  • the closing sheet 3 is fixed by simply rotating and closing, so the method of use is simple and easy to provide the user with ease of use.
  • the type of the finishing sheet 3 may be used in various ways, but considering convenience of use and aesthetic appearance, it is preferable to use a fabric fabric or a barisole sheet.
  • the seat fixing device for both electric outlets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all 1 and the intended use.
  • the size of the wall 1 used and the size of the finishing sheet 3 are small,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lug insertion holes 11a, 11b are used. It can be produced in a size of about 2 to 4 formed.
  •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plug insertion holes 11a and 11b of the seat fixing device for an electric outlet may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user to use, and accordingly, the length and volume of the seat fixing device for an electric outlet may also vary. have.
  • the disclosed content relates to the interior design industry, and more particularly, to be used for finishing construction of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관통되는 제1플러그삽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제2전기접속판 및 접지판이 절연되게 결합 되는 단자고정부가 삽입결합되며 후방 양측에는 회동홈이 형성되는 프로파일본체와 상기 회동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마감시트의 단부를 파지하는 측면커버와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커버가 안착한 상태로 벽면 등에 고정되는 배면지지대를 포함하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개시된 내용은 예를 들어 벽면, 천장면, 바닥면 등과 같은 지지면에 설치되어 다양한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를 위치와 개수에 관계없이 연결하여 사용하되, 다양한 시트를 고정 시킬수 있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 등에는 실내에서 전기의 옥내배선에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콘센트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는 건물의 벽체 등의 고정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전기제품의 위치를 콘센트의 인접위치로 한정하여 사용하거나, 부득이 멀티탭을 콘센트에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멀티탭을 이용할 경우에는 전기배선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콘센트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접속 가능한 전기접속구가 예를 들어 2개와 같이 특정개수로 한정됨에 따라 다수의 전기제품을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콘센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3-0022429호(1993.10.16. 공개)에는 결합부를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인입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에 덮개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결합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끼워 결합되는 고정구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통상의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내측중앙의 T형돌턱과 내부양측엔 돌턱을 각각 형성하고, 내측에 지지탄편과 삽입요홈을 갖는 홀더를 상기 T형돌턱과 돌턱을 이용하여 각각 결합하며, 상기 삽입요홈에는 도체인 접속봉을 삽입결합하고, 접속봉의 하부에는 사각극봉을 고정하되 상기 사각극봉이 결합구의 내측에 결합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콘센트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05244호(2014.09.01. 공개)에는 중앙에 수직개구부와 채널삽입구를 구성한 지주의 좌우 양측에 라인콘센트 홈과 라인플러그 삽지구를 구성하며, 상기 라인콘센트 홈에는 전도판을 끼워서 구성 한 것과, 상기 지주에 LED용 조명등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채널 라인콘센트용 수평형 및 수직형 전원플러그를 끼워서 사용케 함을 특징으로 한 채널 콘센트와 전원플러그를 구성한 채널 지주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라인 콘센트의 경우에는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지지탄편과 삽입요홈을 갖는 홀더가 별도 결합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채널삽입구가 형성된 지주에 전기접속을 위한 전도판 외에도 채널을 끼워 사용해야 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지 않고 마감시트를 고정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조립편의성 및 시공편의성이 증대되고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위치와 개수에 관계없이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기본 기능 이외에 예를 들어 선반 등을 위한 지지브래킷이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마감시트까지 동시에 고정지지 될 수 있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관통되는 제1플러그삽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제2전기접속판 및 접지판이 절연되게 결합 되는 단자고정부가 삽입결합되며 후방 양측에는 회동홈이 형성되는 프로파일본체와 상기 회동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마감시트의 단부를 파지하는 측면커버와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커버가 안착한 상태로 벽면 등에 고정되는 배면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전기접속판의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 중 하나에 접촉되는 제1접속돌기가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전기접속판의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는 제2접속돌기가 상기 제1접속돌기와 교호적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며, 상기 접지판의 전방양측에 접지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지돌기가 상기 제1접속돌기 및 제2접속돌기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자고정부는 전방에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제1플러그삽입공에 대응되는 제2플러그삽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후방의 상면에는 접지판이 결합 되고, 후방의 양측에 상기 제1전기접속판과 상기 제2전기접속판이 결합되는 접속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커버는 파지본체와 상기 파지본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파지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지본체의 일단에는 상기 회동홈에 결합 되는 회동축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파지본체의 타단 내측에는 마감시트고정바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전방에는 지지브래킷의 후방 측이 걸려져 지지 되는 브래킷지지공이 상기 제1플러그삽입공 사이에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외면 양측에는 끼움홈이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본체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측면커버 폐쇄시 상기 끼움홈에 결합 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 폐쇄시 상기 마감시트고정바가 결합 되는 마감시트고정홈이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외면 양측에는 끼움홈이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본체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측면커버 폐쇄시 상기 끼움홈에 결합 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 폐쇄시 상기 마감시트고정바가 결합 되는 마감시트고정홈이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전방 양측에는 걸림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플러그삽입공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고정부의 말단에는 상기 측면커버 폐쇄시 상기 걸림홈에 결합 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는 벽면, 천정면, 바닥면 등과 같은 지지면에 설치되어 다양한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를 위치와 개수에 관계없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구성요소가 삽입 또는 끼움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어 조립편의성과 시공편의성이 증대되며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위치와 개수에 관계없이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라인콘센트 기능 이외에 예를 들어 선반 등을 위한 지지브래킷이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마감시트까지 동시에 고정지지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쇄상태로 벽면에 고정된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상태의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시트를 고정 시킨 회동전후의 구조를 나타내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래킷과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태내는 사시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과 전원플러그가 결합 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접지젠더 사용시 전원플러그와 접지젠더의 각 돌기와 접지돌기 및 접속돌기의 접촉구조를 나타내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된 단자고정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는 벽면등을 기준으로 일면이 돌출되어 돌출되는 전방과 벽체(1) 등에 고정되는 후방으로 나누어진다. 돌출된 프로파일본체(10)의 전방에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5)가 관통되는 제1플러그삽입공(1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플러그삽입공(11a)의 수는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1)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하고자 하는 전기플러그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플러그삽입공(11a)의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돌기(5a)의 형상인 원형으로 성형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기접속판(15)의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5)의 플러그돌기(5a) 중 하나에 접촉되는 제1접속돌기(15a)가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고, 제2전기접속판(17)의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5)의 플러그돌기(5a)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는 제2접속돌기(17a)가 전술한 제1접속돌기(15a)와 교호적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 형성된다.
이로써 제1플러그삽입공(11a)에 전기제품의 플러그돌기(5a) 삽입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돌기(5a)가 제 1 및 제 2 접속돌기(15a,17a)에 각각 접촉하게 되어 전기제품에 전력을 공급하게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판(20)의 전방양측에는 접지돌기(20a)가 돌출형성 된다.
이러한 접지돌기(20a)는 접지판(20)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각 접지돌기(20a)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는 프로파일본체(10)에 접지젠더(6) 삽입시 접지젠더돌기(6a)가 전술한 공간에 삽입되어 접지돌기(20a)의 일면과 접촉을 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기접속판(15) 및 제2전기접속판(17)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접속돌기는 접속판의 일면에서 절곡 되어 돌출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판(20) 또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각 돌기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 된다. 접지돌기(20a)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의 내부에는 후술할 단자고정부(5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 공간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공간을 나타내기 위한 프로파일본체(10)의 단면도이다.
위의 단면도에 나타나듯이 프로파일본체(10) 윗변의 길이는 제1플러그삽입공(11a)의 지름과 같거나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윗변의 길이가 삽입되는 제1플러그삽입공(11a)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면 전원플러그(5)의 플러그돌기(5a)가 프로파일본체(10)의 전방에 삽입이 불가능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제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된 윗변은 윗변의 양단에서 지면방향으로 수직형성 되어 프로파일본체(10)의 내부에 직사각형의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는 위에서 언급한 직사각형 모양의 양끝지점에서 지면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대칭으로 연장되며, 대칭되는 각 말단이 연결됨으로써 후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제1고정홀(1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고정홀(13a)을 통해 프로파일본체(10)와 단자고정부(50)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프로파일본체(10)와 단자고정부(50)의 조립체를 일체로 벽 등에 고정 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 내부에는 "ㅅ"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단자고정부(50)가 삽입되어 결합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고정부(50)의 전방에는 프로파일본체(10)의 제1플러그삽입공(11a)에 대응되는 제2플러그삽입공(11b)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래킷지지공(12b)은 제2플러그삽입공(11b) 사이에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단자고정부(50)의 제2브래킷지지공(12b)은 프로파일본체(10) 내부에 단자고정부(50)를 삽입하여 결합시, 제1브래킷지지공(12a)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제1브래킷지지공(12a)의 아래)에 오게 결합 되어, 접지젠더(6) 삽입시, 접지젠더돌기(6a)는 제1브래킷지지공(12a) 및 제2브래킷지지공(12b)을 일체로 관통하여 내부에 결합 되는 단자고정부(50)의 접지돌기(20a)와 접하게 된다.
단자고정부(50)는 프로파일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 되는 것으로, 프로파일본체(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프로파일본체(10)의 각 면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고정부(50) 또한 내부에 "ㅅ"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경사진 끝점이 연결되어 후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후면의 상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판(20)이 결합 된다.
결합 되는 방법은 접착제, 나사(9), 등 다양하지만, 결합고정력을 고려할 때 나사(9) 등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단자고정부(50)의 후방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2고정홀(50a)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접지판(20)에도 다수개의 제3고정홀(21)이 형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고정부(50)의 후방 일면에 접지판(20)의 후면이 밀접하게 되고 대응되는 각 고정홀에 나사(9)가 삽입결합 됨으로써 단자고정부(50)와 접지판(20)의 결합이 고정된다.
이러한 나사(9)는 전술한 프로파일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1고정홀(13a)을 관통하여 프로파일본체(10)와 단자고정부(50)를 일체로써 벽면 등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스커드(2)를 사용하여 단자고정부(50)가 결합 된 프로파일본체(10)를 벽면(1)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고정부(50)의 후방양측에는 단자끼움홈(50b)이 함입형성되어 제1전기접속판(15)과 제2전기접속판(17)의 일측면이 끼움 결합 된다.
단자끼움홈(50b)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각 접속판(15,17)의 일측면이 억지끼움 되는 것인바, 각 접속판(15,17) 일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및 두께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단자고정부(50)가 프로파일본체(10)의 내부공간에 삽입결합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지판(20) 및 접속판(15,17)이 결합된 단자고정부(50)를 프로파일본체(10)의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제1플러그삽입공(11a)과 제2플러그삽입공(11b)이 동일한 위치에 오게 되고, 접지판(20)의 접지돌기(20a)가 제1 및 제2접속돌기(15a,17a)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전원플러그(5)의 플러그돌기(5a)는 제1플러그삽입공(11a)과 제2플러그삽입공(11b)을 관통하여 단자고정부(50)에 결합 된 제1 및 제2접속돌기(15a,17a) 에 접속되어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젠더(6) 삽입시, 접지젠더(6)의 접지젠더돌기(6a)가 각 접속돌기(15a,17a)보다 접지돌기(20a)에 접촉됨으로써 감전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단자고정부(5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화를 통한 조립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단자고정부(51)의 양측말단에 내측으로 후크(51a)가 형성되고, 하부단자고정부(53)의 양측말단에 후크(51a)에 대응되는 후크홈(53a)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51a)가 후크홈(53a)에 걸림 결합되어 단자고정부(50)를 형성하는 것으로 조립이 편리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사용상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단자고정부(50)는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플러그 오삽입에 대한 감전위험을 줄이고, 원가절감을 위해 기볍고 부도체인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파일본체(10)와 단자고정부(50)의 결합에 따른 제1 및 제2플러그삽입공(11a,11b)과 제1 및 제2브래킷지지공(12a,12b)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러그삽입공(11a,11b) 사이에 브래킷지지공(12a,12b)이 놓이게 되어 사용자는 접지젠더(6) 사용시 어느 하나의 플러그돌기(5a)만 제1플러그삽입공(11a) 또는 제2플러그삽입공(11b)의 위치에 맞게 결합하면 자동적으로 접지젠더돌기(6a)가 접지돌기(20a)와 결합 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성과 전기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지지대(60)는 프로파일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프로파일본체(10) "ㅅ" 형상 양단에서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의 면을 갖게 연장형성된다.
배면지지대(60)는 프로파일본체(10)를 벽면 등에 고정 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종방향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벽 등에 대한 고정력을 고려할 때, 프로파일본체(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지지대(60)의 횡방향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로파일본체(10)가 설치되는 구역의 공간에 맞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면지지대(60)는 프로파일본체(10)가 벽 등에 고정될 때 배면지지대(60)의 후면이 벽 등에 밀접촉하여 나사(9), 못 등으로 고정되는 것인바 배면지지대(60)에는 다수개의 벽체고정홀(60a)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의 후방 양측 즉 배면지지대(60)가 연장형성되는 지점에 회동홈(13)이 프로파일본체(10)의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홈(13)은 후술할 측면커버(30)의 회동축(32)이 삽입 결합 되는 것으로 회동홈(13)의 형상은 회동축(3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부호의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 기능이 측면커버(30)를 회동하게 하는 것인바, 회동축(32)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바 이에 대응하여 회동홈(13)은 내측으로 함입형성되어 원호면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동홈(13)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본체(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짧은 길이를 갖는 회동홈(13)이 일정하게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프로파일본체(10) 제작 시 압출 또는 사출제작으로 원가절감을 위해 프로파일본체(10)의 장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홈(13)은 프로파일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파일본체(10)의 절곡지점 양측면에는 끼움홈(39)이 대칭적으로 결합 된다.
끼움홈(39)의 수와 형상은 후술할 측면커버(30)의 끼움돌기(37)의 형상과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37)는 원형바의 형태로 일정한 길이는 갖게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수개의 끼움홈(39)이 함입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커버(30) 폐쇄시 끼움홈(39)에 끼움돌기(37)가 결합되어 폐쇄상태를 유지할 뿐 아니라 마감시트(3)를 좀 더 단단히 고정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끼움돌기(37)가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끼움홈(39)은 끼움돌기(37)의 자성과 반대의 자석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측면커버(30) 폐쇄시 반대자석 사이의 인력에 의해 파지상태가 유지된다.
측면커버(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본체(31)와 파지고정부(40)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본체(31)의 일단에는 회동축(32)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32)은 프로파일본체(10)의 회동홈(13)의 원호면에 억지끼움되어 측면커버(30)는 회동된다.
또한, 파지본체(31)의 상단 내측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시트고정바(35)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마감시트고정바(35)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후술할 프로파일본체(10) 상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마감시트고정홈(33)에 마감시트고정바(35)가 억지끼움되어 마감시트고정홈(33)에 삽입된 마감시트(3)를 고정하는 것인 바, 마감시트고정바(35)의 형상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시트고정홈(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본체(31)의 내면일측에는 끼움돌기(37)가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돌기(37)는 측면커버(30)폐쇄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의 외면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홈(39)에 결합된다.
이러한 끼움돌기(37)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37)와 끼움홈(39)에 억지끼움되어 폐쇄상태가 유지되는 것인바, 끼움홈(39)의 형상은 끼움돌기(37)의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끼움돌기(37)가 사각형일 경우에는 끼움홈(39)은 사각형의 끼움돌기(37)가 삽입될 수 있게 중앙에 홈이 형성된 사각형이 형성되어야 바람직하다.
다만, 결합력과 제조용이성을 고려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37)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끼움홈(39)도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홈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프로파일본체(10)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고정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본체(3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파지고정부(40)의 일단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41)이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 형성된다.
걸림턱(41)이 형성되는 파지고정부(40)의 일단은 측면커버(30) 폐쇄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43)에 결합 되어 마감시트(3)를 파지시킨다.
파지고정부(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본체(31)의 마감시트고정바(35)이 형성되는 지점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파지고정부(40)의 걸림턱(41)이 형성되는 부분의 횡방향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커버(30) 폐쇄시 측면커버(30) 내측에 위치한 끼움돌기(37)가 프로파일본체(10)의 끼움홈(39)에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끼움돌기(37)의 돌출된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파지고정부(40)의 걸림턱(41)이 형성되는 부분의 횡방향길이가 끼움돌기(37)보다 짧거나 파지고정부(40)가 절곡되지 않는다면 측면커버(30) 폐쇄시 파지고정부(40)의 걸림턱(41)이 프로파일본체(10)의 걸림홈(43)에 결합 될 수 없어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없고 더 나아가 마감시트(3)는 걸림턱(41)에 고정될 수 없다.
걸림홈(43)은 전술한 걸림턱(41)의 모양과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끼움돌기(37)와 마찬가지로, 걸림턱(41)도 자성을 갖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걸림홈(43)은 걸림턱(41)과 반대 자성을 갖게 구성하여 반대자석 간의 인력으로 파지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8)의 후방측이 걸려져 지지 되는 제1브래킷지지공(12a)은 프로파일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제1 및 제2브래킷지지공(12a,12b)은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삽입공(11a,11b) 사이에 관통형성 된다.
제1 및 제2브래킷지지공(12a,12b)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8)의 후방측은 직가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에 대응하여 중앙이 개구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제1 및 제2브래킷지지공(12a,12b)에는 접지젠더(6)의 접지젠더돌기(6a)가 삽입되어 단자고정부(50)의 접지돌기(20a)와 접촉되어야 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래킷지지공(12a)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중앙은 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로파일본체(10)와 단자고정부(50)를 결합하는 경우, 접지돌기(20a)는 제1 및 제2브래킷지지공(12a,12b)이 형성되는 곳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단자고정부(50)를 프로파일본체(10)에 삽입하여 결합 된 일체로 사용하는 경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5)뿐만 아니라 접지젠더(6) 그리고 지지브래킷(8)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접지젠더(6) 삽입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2플러그삽입공(11a,11b)에 두 개의 플러그돌기(5a)가, 제1 및 제2브래킷지지공(12a,12b)에는 접지젠더돌기(6a)가 삽입된다.
접지돌기(20a)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접속돌기(15a,17a)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젠더(6)의 접지젠더돌기(6a)가 제1 및 제2접속돌기(15a,17a) 보다 접지돌기(20a)에 먼저 접하게 되고 기기의 전위를 0으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감전 등의 전기사고로부터 예방 및 보호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돌기(5a)에 안전캡(7)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안전캡(7)은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전캡(7)이 플러그돌기(5a)에 결합 된 상태로 제1플러그삽입공(11a)에 삽입되어야 하는바, 안전캡(7) 의 지름은 제1플러그삽입공(11a)의 지름보다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되어야 바람직하다.
또한, 제2플러그삽입공(11b)의 지름은 삽입되는 플러그돌기(5a)의 지름에 상응하는 값을 갖되, 안전캡(7) 의 지름보다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전캡(7) 은 플러그돌기(5a)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프로파일본체(10)에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감전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므로 재질은 전기가 통하지 아니하고 가볍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접지젠더(6)에 전원플러그(5)를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안전캡(7) 을 플러그돌기(5a)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를 제공할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의 상부양측에 마감시트고정바(35)가 다수개 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커버(30) 폐쇄시 마감시트고정바(35)는 측면커버(30)의 마감시트고정홈(33)에 억지끼움되는 것인 바, 마감시트고정바(35)의 형상은 마감시트고정홈(33)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형성되는 위치 또한 마감시트고정홈(33)이 형성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측면커버(30) 폐쇄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시트(3)의 일단이 마감시트고정홈(33)에 삽입되고 측면커버(30)에 형성된 마감시트고정바(35)가 마감시트고정홈(33)에 끼움 되어 마감시트(3)를 가압함으로써 1차적으로 고정하고 걸림턱(41)이 걸림홈(43)에 결합되어 2차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더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커버(30) 내부의 끼움돌기(37)가 끼움홈(39)에 결합 된다.
이에 따라 벽면 등을 감싸는 마감시트(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어 외관상 깔끔함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마감시트(3)를 고정하는 방법이 측면커버(30)를 회동시켜 걸림턱(41)과 마감시트고정홈(33)에 마감시트(3)의 일단을 안착시키고 측면커버(30)를 회동시켜 폐쇄하기만 하면 마감시트(3)가 고정되는 것으로 사용방법이 단순하고 쉬워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마감시트(3)의 종류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 편리성과 외관상의 미감을 고려할 때, 직물원단 또는 바리솔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기 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는 벽체(1)의 크기와 사용 용도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벽체가 아닌 사무실이나 독서실 등의 벽체시공에 사용되는 경우, 사용되는 벽체(1)의 크기와 마감시트(3)의 크기가 작아 제1 및 제2플러그삽입공(11a,11b)이 2개 내지 4개 정도 형성되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전기 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의 제1 및 제2플러그삽입공(11a,11b)의 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기 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의 길이와 부피 또한 달라질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된 내용은, 실내디자인 산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의 마감시공에 사용되는 것이다.

Claims (8)

  1.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관통되는 제1플러그삽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제2전기접속판 및 접지판이 절연되게 결합 되는 단자고정부가 삽입결합되며 후방 양측에는 회동홈이 형성되는 프로파일본체;
    상기 회동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마감시트의 단부를 파지하는 측면커버; 및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커버가 안착한 상태로 벽면 등에 고정되는 배면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접속판의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 중 하나에 접촉되는 제1접속돌기가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전기접속판의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는 제2접속돌기가 상기 제1접속돌기와 교호적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며,
    상기 접지판의 전방양측에 접지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지돌기가 상기 제1접속돌기 및 제2접속돌기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고정부는 전방에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제1플러그삽입공에 대응되는 제2플러그삽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후방의 상면에는 접지판이 결합 되고, 후방의 양측에 상기 제1전기접속판과 상기 제2전기접속판이 결합되는 접속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파지본체와 상기 파지본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파지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지본체의 일단에는 상기 회동홈에 결합 되는 회동축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파지본체의 타단 내측에는 마감시트고정바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전방에는 지지브래킷의 후방 측이 걸려져 지지 되는 브래킷지지공이 상기 제1플러그삽입공 사이에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외면 양측에는 끼움홈이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본체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측면커버 폐쇄시 상기 끼움홈에 결합 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 폐쇄시 상기 마감시트고정바가 결합 되는 마감시트고정홈이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전방 양측에는 걸림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플러그삽입공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고정부의 말단에는 상기 측면커버 폐쇄시 상기 걸림홈에 결합 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PCT/KR2019/016269 2018-11-28 2019-11-25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WO202011169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76 2018-11-28
KR1020180149876A KR102038005B1 (ko) 2018-11-28 2018-11-28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693A1 true WO2020111693A1 (ko) 2020-06-04

Family

ID=6842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6269 WO2020111693A1 (ko) 2018-11-28 2019-11-25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8005B1 (ko)
WO (1) WO20201116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7195A (zh) * 2021-03-30 2021-07-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同轴线组件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173B1 (ko) * 2020-03-06 2023-03-03 윤성훈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798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이지에프시스템 선반장치
KR200460453Y1 (ko) * 2010-05-26 2012-05-25 (주)디포그 파워콘센트 결합구조
KR200468978Y1 (ko) * 2011-10-28 2013-09-10 김기풍 콘센트모듈에 일괄로 체결하는 멀티콘센트
KR20140027670A (ko) * 2012-08-27 2014-03-07 (주)태미소 진열기구
KR20140105244A (ko) * 2013-02-21 2014-09-01 김병국 찬넬 콘센트 와 플러그를 구성한 찬넬 지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7669A (ko) * 2012-08-27 2014-03-07 (주)태미소 진열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798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이지에프시스템 선반장치
KR200460453Y1 (ko) * 2010-05-26 2012-05-25 (주)디포그 파워콘센트 결합구조
KR200468978Y1 (ko) * 2011-10-28 2013-09-10 김기풍 콘센트모듈에 일괄로 체결하는 멀티콘센트
KR20140027670A (ko) * 2012-08-27 2014-03-07 (주)태미소 진열기구
KR20140105244A (ko) * 2013-02-21 2014-09-01 김병국 찬넬 콘센트 와 플러그를 구성한 찬넬 지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7195A (zh) * 2021-03-30 2021-07-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同轴线组件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005B1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11693A1 (ko)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US4929187A (en) Light fixture connector
WO2014137142A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WO2013094857A1 (ko) 안전 콘센트
US4015397A (en) Service poles and accessories
WO2016021776A1 (ko)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WO2015093694A1 (ko) 조명장치
US3889044A (en) Service poles
WO2013165053A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JPH06505828A (ja) 低電圧照明具に対する電力供給兼支持装置
WO2020071609A1 (ko) 전극 레일에 삽입 가능한 모듈 디바이스
JPS63268418A (ja) 情報用ジヨイント装置
WO2016108639A1 (ko) 전원부 직결형 엘이디 조명장치
EP0370825B1 (en) Light fixture connector
WO2020036352A1 (en) Adapter
WO2023068721A1 (ko) 조명이 구비된 선반을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
WO2020096215A1 (ko) 분할 사용가능한 led 바 및 이를 위한 커넥터를 구비한 led 조명기구
KR102195876B1 (ko) 레이스웨이 결합형 led 조명장치
WO2019164116A1 (ko)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WO2011055924A2 (ko) 전원 연결 기구
WO2016003032A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US6774308B1 (en) Wire termination box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of installation
US5924882A (en) Front mounting socket for a gas light tube
WO2021194045A1 (ko)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20010100583A (ko) 콘센트가 부설된 매립형 상품진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886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886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