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173B1 -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173B1
KR102504173B1 KR1020200028609A KR20200028609A KR102504173B1 KR 102504173 B1 KR102504173 B1 KR 102504173B1 KR 1020200028609 A KR1020200028609 A KR 1020200028609A KR 20200028609 A KR20200028609 A KR 20200028609A KR 102504173 B1 KR102504173 B1 KR 10250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ofile
groove
coupl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933A (ko
Inventor
윤성훈
Original Assignee
윤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훈 filed Critical 윤성훈
Priority to KR102020002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17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made of webs, e.g. of fabrics, or wallpaper, used as coverings or linings
    • E04F13/005Stretched foil- or web-like elements attached with edge grip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전방에는 전방홀이 관통형성되고, 후방에는 일방으로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로파일본체와 전방에는 상기 전방홀에 대응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관통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플러그삽입판이 삽입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단자프로파일과 후방 내측에는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기접속판과 제2전기접속판이 각각 삽입결합되는 단자홈이 형성되고, 전방 양측에는 접지단자가 탈착가능하게 결합 되는 접지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프로파일의 내부에 삽입결합 되는 단자고정부와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후방에 형성되어 캐링채널 또는 천장 슬래브 등에 고정되는 배면지지대와 상기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는 상기 전방홀과, 상기 가이드홀 및 상기 삽입공을 일체로 관통하여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Ceiling finishing sheet fix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개시된 내용은 천장시공에 사용되는 캐링채널 등에 설치되어 다양한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하되, 마감시트를 고정 시킬 수 있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면의 조명 인테리어 시설은 광원이 외부에서 드러나지 않고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특정한 색상이나 모양의 아크릴판이나 유리판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아크릴판이나 유리판 등은 시공이 어렵고 디자인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정에는 단열보온재, 전기배선 및 배관 등의 설비가 구비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이러한 것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천정마감재가 커버되어지도록 하는 천정패널 설치구가 설치되어 있다.
천정마감재는 슬래브에 매립되어진 행거볼트의 하단으로 캐링채널에 결합 된 행거가 너트로 결합되어지고, 캐링채널의 하부에는 엠바가 별도의 조인클립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엠바의 하단에는 천정마감재가 나사로 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다.
조인클립은 캐링채널과 엠바가 서로 결합 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와이어가 절곡된 와이어클립과 플레이트가 절곡된 플레이트클립으로 구성되어 와이어클립은 각각 캐링채널과 엠바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지고, 플레이트클립은 양측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엠바의 양측단이 삽입되어 걸려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와이어클립은 캐링채널과 엠바에 결합은 용이하나, 와이어클립이 캐링채널과 엠바를 단순하게 감싼형태로 결합되어짐으로써, 결합력의 약화로 인하여 결합 이후에 캐링채널과 엠바가 유동되어 결합된 위치가 변화되는 원인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엠바의 하부에 결합된 천정마감재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변형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플레이트클립은 캐링채널의 상부와 양측면을 감싼형태로 형성되어지며, 그 하부로 걸림홈을 형성하여 엠바가 걸림홈에 걸려지도록 하였으나, 걸림홈의 상부가 캐링채널의 상부에 단순하게 얹혀짐과 동시에 그 양측면이 캐링채널의 양측면에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측방향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 플레이트크립이 캐링채널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바리솔 시트(Barrisol Sheet)라고 알려진 스트레칭 시트는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PVC 시트로서 열풍기로써 가열하여 잡아 늘린 후, 건축물의 천장면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시공과 디자인 구현을 매우 단순화시키도록 한 건축용 내장재이다.
이와 같이 PVC 재질의 스트레칭 시트는 단열성, 비부식성, 방염성, 방수성, 항습성 등이 우수하고, 마감과 동시에 전체 조명화가 가능하고 시공성이 수월하며, 일정시간 이후 벗겨짐이나 갈라짐이 없어 유지보수 관리가 쉽고, 공정에 따른 원가 절감 및 재활용 가능한 효과 등 다양한 이점이 있기 때문에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하푼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을 건축구조물의 설치면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킨 다음, 스트레칭 시트를 당기면서 스트레칭 시트의 끝단에 접착된 하푼을 프레임의 하푼 수용공간 내측으로 삽입하여 결합시켰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스트레칭 시트 설치 구조에서는 시공 후에 하푼 수용공간의 하측이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기존 천정 또는 벽면 마감과 스트레칭 시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스트레칭 시트와 기존 마감재와의 이질감이 생기고, 스트레칭 시트와 하푼의 접착면이 외부에서 보여 마감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과 설치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에는 프레임이 설치면에 고르게 고정되지 못하여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그 틈새로 불필요한 빛이 새거나, 외부 이물질이 스트레칭 시트 내부로 들어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스트레칭 시트의 끝단에 하푼을 접착하는 단계가 있어야 하고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하푼 수용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전기접속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 등에는 실내에서 전기의 옥내배선에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콘센트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는 건물의 벽체 등의 고정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전기제품의 위치를 콘센트의 인접위치로 한정하여 사용하거나, 부득이 멀티탭을 콘센트에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멀티탭을 이용할 경우에는 전기배선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콘센트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접속 가능한 전기접속구가 예를 들어 2개와 같이 특정개수로 한정됨에 따라 다수의 전기제품을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콘센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3-0022429호(1993.10.16. 공개)에는 결합부를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서 결합 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인입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에 덮개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결합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끼워 결합 되는 고정구가 상호 결합 되어 이루어지는 통상의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내측중앙의 T형돌턱과 내부양측엔 돌턱을 각각 형성하고, 내측에 지지탄편과 삽입요홈을 갖는 홀더를 상기 T형돌턱과 돌턱을 이용하여 각각 결합하며, 상기 삽입요홈에는 도체인 접속봉을 삽입결합하고, 접속봉의 하부에는 사각극봉을 고정하되 상기 사각극봉이 결합구의 내측에 결합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콘센트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05244호(2014.09.01. 공개)에는 중앙에 수직개구부와 채널삽입구를 구성한 지주의 좌우 양측에 라인콘센트 홈과 라인플러그 삽지구를 구성하며, 상기 라인콘센트 홈에는 전도판을 끼워서 구성 한 것과, 상기 지주에 LED용 조명등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채널 라인콘센트용 수평형 및 수직형 전원플러그를 끼워서 사용케 함을 특징으로 한 채널 콘센트와 전원플러그를 구성한 채널 지주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라인 콘센트의 경우에는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지지탄편과 삽입요홈을 갖는 홀더가 별도 결합 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채널삽입구가 형성된 지주에 전기접속을 위한 전도판 외에도 채널을 끼워 사용해야 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지 않고 마감시트를 고정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2172호 2.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3-0022429호 3. 대한만국 특허공개 제10-2014-0105244호
개시된 내용은, 조립편의성 및 시공편의성이 증대되고, 마감시트를 고정하는 기능 이외에 다양한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전방에는 전방홀이 관통형성되고, 후방에는 일방으로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로파일본체와 전방에는 상기 전방홀에 대응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관통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플러그삽입판이 삽입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단자프로파일과 후방 내측에는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기접속판과 제2전기접속판이 각각 삽입결합되는 단자홈이 형성되고, 전방 양측에는 접지단자가 탈착가능하게 결합 되는 접지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프로파일의 내부에 삽입결합 되는 단자고정부와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후방에 형성되어 캐링채널 또는 천장 슬래브 등에 고정되는 배면지지대와 상기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는 상기 전방홀과, 상기 가이드홀 및 상기 삽입공을 일체로 관통하여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홈과 상기 회동홈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마감시트를 파지하는 기능을 하는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커버는 파지본체와 상기 파지본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파지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지본체의 일단에는 상기 회동홈과 결합 되는 회동축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본체의 타단 내측에는 마감시트고정바가 삽입되어 상기 마감시트의 단부를 고정하는 마감시트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정면 양측에는 걸림홈이 길이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고정부의 말단에는 상기 측면커버 폐쇄시 상기 걸림홈에 결합 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입형성되는 고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전기접속판의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 중 하나에 접촉되는 제1접속돌기가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전기접속판의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는 제2접속돌기가 상기 제1접속돌기와 교호적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며,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단자고정부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되, 다수개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접속돌기와 상기 제2접속돌기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자고정부는 후면이 상기 단자프로파일의 내부에 안착 되며, 상기 단자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고정부본체와, 상기 고정부본체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단자홈을 축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측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상기 측고정부의 상부 외측에는 상기 접지단자의 일단이 끼움 되어 고정되는 접지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제1접속돌기 또는 상기 제2접속돌기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감시트는 직물원단 또는 바리솔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자프로파일의 후방 양측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끼움편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후방 내측에는 상기 끼움편이 삽입되어 결합 되는 본체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는 천장시공에 사용되는 캐링채널과 같은 천장용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다양한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구성요소가 삽입 또는 끼움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어 조립편의성과 시공편의성이 증대되며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라인콘센트 기능 이외에 마감시트를 사용하여 천장시공을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시공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사시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단면도.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단자 및 접속돌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0)의 전방에는 전방홀(110)이 관통형성된다.
프로파일본체(100)는 천장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천장 슬래브(C)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캐링채널(3)의 배열에 상응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홀(110)은 선형으로 형성되는 프로파일본체(100)의 전방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또한, 프로파일본체(100)의 내부에는 후술할 단자프로파일(20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는 것으로, 프로파일본체(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의 형성을 위해 프로파일본체(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0)의 전방이 프로파일본체(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로파일본체(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횡단면이 ∩ 형상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다.
∩ 형상에서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이 전방이 되고, 개구된 부분이 후방이 되는 것이다.
개구부(120)는 ∩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로파일본체(100)의 후방에 형성된다.
개구부(120)에는 후술할 단자프로파일(200)이 삽입되어 프로파일본체(100)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개구부(120)의 크기 또는 간격은 단자프로파일(200)의 가로 폭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120)는 프로파일본체(100) 후방의 간격이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간격은 단자프로파일(200)의 가로 폭 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되, 후술할 본체끼움홈(122)에 삽입결합되는 끼움편(230)의 돌출 정도를 고려하여 그 값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프로파일(200)은 개구부(120)를 통해 프로파일본체(10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된다.
단자프로파일(20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선형으로 형성되는 프로파일본체(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선형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후술할 단자고정부(400)가 삽입결합되는 공간을 고려할 때. 전방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전방과 후방이 이격 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프로파일(200)은 프로파일본체(100)에 안정적으로 안착 되기 위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 공간에는 단자고정부(400)가 삽입되어야 함으로, 단자프로파일(200)은 단자고정부(4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프로파일(200)의 후방 양측에는 끼움편(230)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끼움편(23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끼움홈(122)에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내측으로 함입형성되되, 프로파일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본체끼움홈(122)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한 두께와 일정한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끼움편(230)은 선형의 단자프로파일(20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편(230)이 본체끼움홈(122)에 삽입됨으로써, 단자프로파일(200)이 프로파일본체(100)에 고정된다.
단자프로파일(200)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프로파일본체(100)의 내부에 삽입결합되고, 삽입시 가이드홀(240)이 전방홀(110)에 대응되는 위치 즉, 전방홀(110)의 후방에 위치하게 결합되어야 함으로, 단자프로파일(200)의 길이는 프로파일본체(100)의 길이보다 작거나 상응하는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0)의 후방 내측에는 본체끼움홈(122)이 형성된다.
본체끼움홈(122)에는 끼움편(230)이 삽입되어 프로파일본체(100)의 내부에 안착 되는 단자프로파일(200)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킨다.
본체끼움홈(122)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편(230)이 프로파일본체(100)의 상방 또는 하방에서 반대 반향으로 끼워지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되는 것인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끼움홈(122)은 프로파일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로파일본체(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면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240)은 단자프로파일(200)의 전방에 형성된다.
가이드홀(24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홀(240)은 전방홀(110)의 후방에 위치하게 결합 되고,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20)는 전방홀(110)과 가이드홀(240)을 관통하여 후술할 단자고정부(400)의 접속돌기 및 접지단자(700)에 접촉되는 것으로, 가이드홀(240)은 세로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전방홀(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세로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홀(240)의 폭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가이드홀(24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20)가 가이드홀(240)을 관통하여 내부에 결합 되는 단자고정부(400)에 접촉되는 것인바, 가이드홀(240)의 폭은 최소한 전원플러그(20)의 횡단면(원형)의 지름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가이드홀(240)의 폭이 플러그돌기(22)의 지름보다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되면,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2)가 가이드홀(240)을 관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250)은 단자프로파일(200)의 전방에 형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끼움홈(250)은 단자프로파일(200)의 전방에 형성되되, 가이드홀(240)의 후방 내측에 형성된다.
끼움홈(25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끼움홈(250)에는 세로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플러그삽입판(30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인바, 끼움홈(250)은 플러그삽입판(3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끼움홈(250)은 단자프로파일(2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형성되고, 플러그삽입판(300)의 두께보다 크거나 상응하는 값의 폭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삽입판(300)에는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2)가 관통되는 삽입공(310)이 형성된다.
또한, 다수개의 삽입공(310)은 플러그삽입판(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삽입공(310)의 지름과 간격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2) 간의 간격 및 지름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삽입판(300)이 단자프로파일(200)에 결합 되면, 전원플러그(20)는 전방홀(110), 가이드홀(240), 삽입공(310)을 차례대로 관통하여 결합 되는 것이다.
따라서, 플러그삽입판(300)의 세로길이는 단자프로파일(200)의 세로길이에 상응하거나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플러그삽입판(300)의 세로길이가 단자프로파일(200)의 세로길이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면, 플러그삽입판(300)의 일단이 단자프로파일(200)의 외측, 프로파일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어 천장시공에 있어, 마감이 깔끔하지 못 하고, 작업이 불편한 문제가 발생한다.
도 4,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삽입판(300)의 양측에는 삽입판걸림턱(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자프로파일(200)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홀(240)의 말단 내측에는 가이드걸림턱(241)이 형성된다.
삽입판걸림턱(320)과 가이드걸림턱(241)은 플러그삽입판(300)을 단자프로파일(200)에 결합 시, 서로 맞물리게 결합 되어 플러그삽입판(300)이 단자프로파일(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플러그삽입판(300)은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고정부(400)는 단자프로파일(200) 내부에 삽입결합된다.
이를 위해, 단자고정부(400)의 형상은 단자프로파일(200)의 내부 형상(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프로파일(200)은 끼움편(230)과 수직되게 형성되되, 양측에 끼움편(230)을 포함하는 후방단자프로파일(210)과, 후방단자프로파일(21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전방단자프로파일(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단자프로파일(210)의 후면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후방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오목부(211)를 포함하며, 제1오목부(211)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후방지지부(213)가 형성된다.
후방지지부(213)는 제1오목부(211)가 형성되는 지점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후방지지부(213)는 후술할 단자고정부(400)가 후방에 삽입되되, 후방지지부(213)의 상면과 단자고정부(400)의 후면이 밀접하게 결합 되는 것으로, 후방지지부(213)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단자프로파일(2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단자프로파일(21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측지지부(221)와, 제1측지지부(221)의 말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되,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제1만곡부(222), 제1만곡부(222)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측지지부(223), 제2측지지부(223)에서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제2만곡부(224), 제2만곡부(224)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되, 말단에 가이드걸림턱(241)을 포함하는 삽입판고정부(225)로 이루어진다.
단자프로파일(2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기 위해, 전술한 제1측지지부(221), 제1만곡부(222), 제2측지지부(223), 제2만곡부(224)는 후방단자프로파일(210)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삽입판고정부(225)도 후방단자프로파일(210)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게 되는, 삽입판고정부(225)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 빈 공간이 전술한 가이드홀(240)이 되는 것이다.
제1만곡부(222)와 제2만곡부(224)의 만곡되는 정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압출이나 사출을 통한 제조 단가를 해 만곡되는 정도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만곡부(222)와 제2만곡부(224)는 동일한 곡률을 갖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만곡되는 방향만 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전방단자프로파일(220)은 제2측지지부(223)를 기준으로 상하에 제1만곡부(222)와 제2만곡부(224)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자프로파일(200)의 내부에는 전술한 제1오목부(211), 후방지지부(213), 제1측지지부(221), 제1만곡부(222), 제2만곡부(224), 제2측지지부(22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단자프로파일(200) 내부면에는 다수개의 절곡 지점이 형성되고, 이러한 절곡 지점에 의해 내부에 삽입되는 단자고정부(400)의 고정력이 강화되어, 단자고정부(400)의 외부 이탈이 방지된다.
더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만곡부(222)의 상단과 제2측지지부(223)의 하단이 연장되는 지점에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단자단턱(226)이 형성된다.
단자단턱(226)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단자단턱(226)은 단자프로파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지단자(700)의 일단이 단자단턱(226)의 상면에 안착 되어 고정되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고정부(400)는 단자프로파일(200)의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것인바, 단자프로파일(2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선형 즉, 단자프로파일(20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단자고정부(400)는 후면이 제1오목부(211)의 상면에 안착되되, 단자프로파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고정부본체(410)와 고정부본체(410)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단자홈(430)을 축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측고정부(44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본체(410)의 후면에는 제1오목부(211)의 원호면에 대응되는 원호면을 갖는 제2오목부(4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오목부(411)는 제1오목부(211)와 마찬가지로 고정부본체(410)의 중앙에 형성되며, 단자고정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지지부(413)는 제2오목부(411)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된다.
단자지지부(413)의 하면은 전술한 후방지지부(213)의 상면에 밀접하게 결합 되는 것으로, 단자지지부(413)의 하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고정부(440)는 단자지지부(413)의 말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고정부(440)는 측고정지지부(441), 측고정경사부(442) 및 접지고정부(443)로 이루어진다.
측고정지지부(4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지지부(413)의 말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측고정지지부(441)는 전술한 제1측지지부(221)에 대응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지지부(2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고정지지부(441)의 외면은 제1측지지부(221)의 내면에 밀접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고정경사부(442)는 측고정지지부(441)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측고정경사부(442)는 제1만곡부(222)에 대응되는 것으로, 측고정경사부(442)의 외면이 제1만곡부(222)의 내면에 밀접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고정부(443)는 측고정경사부(442)의 말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접지고정부(443)는 제2측지지부(223)에 대응되는 것으로, 단자프로파일(200)의 내부에 단자고정부(400) 삽입시, 제2측지지부(223)가 형성되는 지점에 상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다만, 전술한 측고정지지부(441) 및 측고정경사부(442)와는 달리, 접지고정부(443)의 외면은 제2측지지부(223)의 내면과 소정거리 이격 되게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접지단자(700)가 결합 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고정부(443)의 외측 하부에는 접지고정홈(445)이 형성된다.
접지고정홈(445)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접지고정부(443)의 형상에 대응하여, 접지고정부(443)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접지고정홈(445)이 형성되는 지점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접지단자(700)의 일단이 단자단턱(226)에 안착되고, 접지고정홈(445)에 억지끼움되어 결합 되는 것인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자단턱(226)이 형성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홈(430)은 단자고정부(400)의 후방 내측에 형성된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단자홈(430)은 중앙에 형성되는 제2오목부(4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단자홈(430)에는 제1전기접속판(500)과 제2전기접속판(600)이 각각 삽입결합된다.
단자홈(43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측고정부(440)가 단자홈(430)을 축으로 용이하게 회동하게 하기 위해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전기접속판(500)과 제2전기접속판(600)의 형상과 크기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단자홈(430)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해 원형으로 형성되는 단자홈(43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의 단면을 갖되,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고정부(440)는 고정부본체(41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된다.
측고정부(44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는 방법은 힌지부재를 통한 힌지결합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단자고정부(400)의 재질 특성을 고려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홈(430)의 일측에 고정부본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절개홈(431)을 포함하여, 측고정부(440)가 회동가능하게 하는 것이 제조단가 측면에서 저렴하여 경제적인바, 절개홈(431)을 통해 회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고정부(440)는 단자홈(430)을 축으로 회동하되, 절개홈(431)을 기준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고정경사부(442)와 고정부본체(410)는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본체(410)의 상면 양측에는 측고정경사부(442)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고정부본체경사부(420)가 형성된다.
고정부본체경사부(420)는 측고정경사부(442)와 마찬가지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평행하게 구비되어, 동일한 경사각을 갖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본체경사부(420)와 측고정경사부(442)가 이격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에는 돌기삽입홈(450)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삽입홈(450)에는 후술할 제1접속돌기(510) 및 제2접속돌기(610)가 삽입되고, 측고정부(440)를 폐쇄하여, 제1접속돌기(510)와 제2접속돌기(610)를 단자고정부(400)에 고정하게 된다.
단자홈(430)에 결합 되는 제1전기접속판(500)과 제2전기접속판(600)은 프로파일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결합 되어, 제1접속돌기(510) 및 제2접속돌기(610)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를 위해, 단자홈(430), 프로파일본체(100), 단자프로파일(200)에는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전기결합홀(미도시)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천장시공에 있어, 제1전기접속판(500)과 제2전기접속판(600)에 전력공급원과 전기적 결합을 통해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 등은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단자(700)는 접지고정부(44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접지단자(700)는 내부와 일방이 개구되는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단자(700)는 단자고정부(400) 폐쇄시, 접지고정부(443)에 끼움되어 단자고정부(400)의 폐쇄 상태를 고정 시킨다.
즉, 접지단자(700)의 개구된 부분으로 접지고정부(443)가 접지단자(7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고리형태에서 외측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는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접지단자(700)의 일단은 접지고정홈(445)에 끼움 결합 된다.
이를 위해 접지단자(700)의 일단에는 접지고정홈(445)의 형상에 대응되는 접지단자고리부(710)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단자(700)는 전술한 접지고정부(443)의 외면과 제2측지지부(223)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접지단자(700)의 양단이 단자고정부(400)의 후방을 향하되, 잡지단자 양단 사이에 접지고정부(443)의 상면이 삽입되게 결합 된다.
즉 접지단자(7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접지단자고리부(710)는 접지고정홈(445)에, 접지단자(700)의 타단은 접지고정부(443)의 내측벽에 걸림으로써, 접지단자(700)가 접지고정부(443)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접지단자(7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단자고정부(400)의 전방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형성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돌기(510)는 제1전기접속판(500)의 전방에 형성되되, 다수개가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된다.
제1접속돌기(510)에는 전기제품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2) 중 하나에 접촉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속돌기(610)는 제2전기접속판(600)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20)의 제1접속돌기(510)와 접하게 되는 플러그돌기(22) 이외의 나머지 플러그돌기(22)와 접촉을 한다.
또한, 다수개의 제2접속돌기(610)는 제1접속돌기(510)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쌍으로 형성되는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2)에 대응하여, 제2접속돌기(610)는 제1접속돌기(510)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접지단자(7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제1접속돌기(510)와 제2접속돌기(6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접지단자(700)의 외면은 제1접속돌기(510) 및 제2접속돌기(610)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젠더(30)를 사용하는 경우 접지젠더(30)의 접지돌기(33)가 접지단자(700)에 먼저 접촉하게 되어, 전압의 발생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고 인체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제품을 사용하는 겨우, 전지제품의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2)는 전방홀(110), 가이드홀(240) 및 삽입공(310)을 일체로 관통하여 제1접속돌기(510) 또는 제2접속돌기(610)에 각각 결합되어, 전기제품에 전원을 제공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본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측면커버(800)의 회동축(813)이 결합 되는 회동홈(101)이 형성된다.
회동홈(101)의 형상은 회동축(813)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지만, 회동홈(101)과 회동축(813)이 측면커버(800)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인바, 회동축(813)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하여 회동홈(101)은 내측으로 함입형성되는 원호면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의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커버(800)의 회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만약, 회동축(813)이 각이 진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측면커버(800) 회동시 각진 부분이 회동홈(101)에 걸리게 되어 마찰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측면커버(8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본체(810)와 파지고정부(830)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커버(800)는 회동홈(10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마감시트(10)를 파지한다.
측면커버(800)는 파지본체(810)와 상기 파지본체(8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파지고정부(830)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본체(810)의 일단에는 회동축(813)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파지본체(810)의 타단 내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시트(10)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마감시트고정홈(8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마감시트고정바(821)는 파지본체(810)의 타단 내측에 형성되는 마감시트고정홈(820)에 마감시트(10)의 단부가 삽입되고, 그 상태에서 마감시트고정바(821)가 억지끼움되면서 마감시트(10)의 단부를 가압하여 마감시트고정홈(820)에 마감시트(10)를 고정하는 것이다.
마감시트고정바(821)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외면에 마감시트(10)의 단부를 감거나 접하게 하여, 그대로 마감시트고정홈(820)에 끼움 함으로써, 마감시트(10)를 고정하는 것인바, 마감시트(10)의 단부가 잘 감기기 위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마감시트고정홈(820)은 측면커버(8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인바, 이에 대응하여, 마감시트고정바(821)도 일정한 길이를 갖되, 횡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시트고정홈(820)은 마감시트고정바(821)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호면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마감시트고정홈(820)의 형상은 원통형의 마감시트고정바(8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갖되, 일방향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이 개구되어 형성됨으로써, 마감시트(10)의 단부가 개구된 부분을 통해 마감시트고정홈(820)에 안착 되게 되는데, 마감시트(10)를 고정하기 위해선, 프로파일본체(100)와 측면커버(800) 등을 천장 슬래브(C)에 고정 시킨 상태에서, 마감시트(10)를 마감시트고정홈(820)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마감시트고정홈(820)의 개구된 부분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마감시트고정홈(820)에서 상방우측(1시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마감시트고정홈(820)은 측면커버(800)를 결합한 상태로 천장 슬래브(C)에 고정 시켰을 때, 개구된 부분이 천장 슬래브(C)를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작업자는 용이하게 마감시트(10)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고정부(830)는 파지본체(8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파지고정부(830)의 일단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831)이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 형성된다.
걸림턱(831)이 형성되는 파지고정부(830)의 일단은 측면커버(800) 폐쇄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831)이 프로파일본체(1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130)에 걸림 되어, 마감시트(10)를 파지시킨다.
걸림턱(831)과 걸림홈(13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걸림턱(831)은 걸림홈(130)에 맞물리게 결합 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걸림턱(831)은 걸림홈(1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30)은 프로파일본체(1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홈(130) 사이에는 전방홀(110)이 형성된다.
전방홀(110)에는 전기제품 등이 결합 되는 것이고, 걸림홈(130)에는 마감시트(10)가 파지되어 고정되는 것인바, 전방홀(110)에 결합 되는 전기제품의 기능과 마감시트(10)를 고정하는 걸림홈(130) 등의 기능이 서로 간섭없이 이루어지기 위해, 걸림홈(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홀(110)의 형성되는 지점에서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 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전방홀(110)과 걸림홈(130)이 근접하게 형성된다면, 마감시트(10) 고정시, 전기제품에 의한 간섭과 걸림턱(831)이 결합 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작업자의 마감시트(10) 고정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시트(10)의 일단이 1차적으로 마감시트고정홈(820)에 삽입된 후 마감시트고정바(821)에 의해 가압 고정되고 2차적으로 걸림턱(831)에 의해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홈(833)은 걸림턱(831)의 일측에 내측으로 함입형성된다.
고리홈(833)의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고리홈(833)은 프로파일본체(100)에 측면커버(800)가 결합 된 상태에서 고리형태의 도구를 사용하여 측면커버(800)를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리형태의 도구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고리형태의 도구 단부는 후크(hook)의 형태로 형성되는바, 이에 대응하여 후크가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리홈(833)은 프로파일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커버(800)에 형성되는 것으로, 측면커버(800) 폐쇄시, 고리홈(833)은 서로 마주보되, 측면커버(8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리홈(833)은 걸림턱(831)에 측면커버(8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거나, 다수개사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만, 천장의 마감시공이 끝난 후, 작업자가 어느 지점에서도 측면커버(800)를 개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작업의 편리성과, 압출이나 사출공정을 통한 제조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걸림턱(831)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홈(8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커버(800) 폐쇄시 각 파지고정부(830)의 걸림턱(831)은 전방홀(110)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되고, 그 내측에 고리홈(833)이 형성된다.
이때, 고리홈(833)의 외측부는 프로파일본체(100) 등이 천장 슬래브(C)에 설치된 구조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향하게 형성되고, 고리홈(833)의 내측부는 하방으로 향하게 형성된다.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측면커버(800)를 폐쇄 시킨 상태로 채링 찬넬 등에 고정 시킨 후, 고리형태의 도구를 고리홈(833)에 끼워 측면커버(800)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지지대(900)는 프로파일본체(100)의 후방에 형성된다.
배면지지대(900)는 측면커버(800)가 프로파일본체(100)에 안착 된 상태로, 천장 슬래브(C)에 고정되는 행거 볼트(5), 캐링채널(3) 등의 천장용 고정부재에 고정된다.
배면지지대(900)는 프로파일본체(100)를 행거 볼트(5), 캐링채널(3) 등의 천장용 고정부재에 고정 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종방향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천장용 고정부재에 대한 고정력을 고려할 때, 프로파일본체(1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지지대(900)의 횡방향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로파일본체(100)가 설치되는 구역의 공간에 맞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지지대(900)는 프로파일본체(100)가 천장용 고정부재에 고정될 때, 배면지지대(900)의 후면이 천장용 고정부재에 밀접촉하여 나사, 못 등으로 고정되는 것인바, 배면지지대(900)에는 다수개의 고정홀(901)이 형성된다.
배면지지대(900)는 프로파일본체(100)의 후방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프로파일본체(100)에는 개구부(120)가 형성됨으로, 배면지지대(900)는 개구부(12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된다.
배면지지대(900)는 프로파일본체(100)와 별도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지만, 제조단가를 고려하여, 프로파일본체(100)와 일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프로파일본체(100), 측면커버(800), 배면지지대(900), 단자프로파일(200), 단자고정부(400), 제1전기접속판(500), 제2전기접속판(600) 및 접지단가가 일체로 결합 된 상태에서, 배면지지대(900)가 천장 슬래브(C)를 향하고, 프로파일본체(100)의 전방홀(110)이 지면을 향하게 놓인 후, 배면지지대(900)의 고정홀(901)과 캐링채널(3) 등의 결합을 통해 천장 슬래브(C)와 연결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 천장 슬래브
3 : 캐링채널
5 : 행거 볼트
7 : 조명기구
10 : 마감시트
20 : 전원플러그
22 : 플러그돌기
30 : 접지젠더
33 : 접지돌기
100 : 프로파일본체
101 : 회동홈
110 : 전방홀
120 : 개구부
122 : 본체끼움홈
130 : 걸림홈
200 : 단자프로파일
210 : 후방단자프로파일
211 : 제1오목부
213 : 후방지지부
220 : 전방단자프로파일
221 : 제1측지지부
222 : 제1만곡부
223 : 제2측지지부
224 : 제2만곡부
225 : 삽입판고정부
226 : 단자단턱
230 : 끼움편
240 : 가이드홀
241 : 가이드걸림턱
250 : 끼움홈
300 : 플러그삽입판
310 : 삽입공
320 : 삽입판걸림턱
400 : 단자고정부
410 : 고정부본체
411 : 제2오목부
413 : 단자지지부
420 : 고정부본체경사부
430 : 단자홈
431 : 절개홈
440 : 측고정부
441 : 측고정지지부
442 : 측고정경사부
443 : 접지고정부
445 : 접지고정홈
450 : 돌기삽입홈
500 : 제1전기접속판
510 : 제1접속돌기
600 : 제2전기접속판
610 : 제2접속돌기
700 : 접지단자
710 : 접지단자고리부
800 : 측면커버
810 : 파지본체
813 : 회동축
820 : 마감시트고정홈
821 : 마감시트고정바
830 : 파지고정부
831 : 걸림턱
833 : 고리홈
900 : 배면지지대
901 : 고정홀

Claims (11)

  1. 전방에는 전방홀이 관통형성되고, 후방에는 일방으로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로파일본체;
    전방에는 상기 전방홀에 대응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관통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플러그삽입판이 삽입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단자프로파일;
    후방 내측에는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기접속판과 제2전기접속판이 각각 삽입결합되는 단자홈이 형성되고, 전방 양측에는 접지단자가 탈착가능하게 결합 되는 접지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프로파일의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단자고정부;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후방에 형성되어 캐링채널 또는 천장 슬래브 등에 고정되는 배면지지대; 및
    상기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는 상기 전방홀과, 상기 가이드홀 및 상기 삽입공을 일체로 관통하여 결합 되며,
    상기 단자고정부는 후면이 상기 단자프로파일의 내부에 안착 되며, 상기 단자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고정부본체와, 상기 고정부본체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단자홈을 축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측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홈과
    상기 회동홈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마감시트를 파지하는 기능을 하는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파지본체와 상기 파지본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파지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지본체의 일단에는 상기 회동홈과 결합되는 회동축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본체의 타단 내측에는 마감시트고정바가 삽입되어 상기 마감시트의 단부를 고정하는 마감시트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정면 양측에는 걸림홈이 길이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고정부의 말단에는 상기 측면커버 폐쇄시 상기 걸림홈에 결합 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입형성되는 고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접속판의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 중 하나에 접촉되는 제1접속돌기가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전기접속판의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는 제2접속돌기가 상기 제1접속돌기와 교호적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며,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단자고정부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되, 다수개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접속돌기와 상기 제2접속돌기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7. 삭제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측고정부의 상부 외측에는 상기 접지단자의 일단이 끼움 되어 고정되는 접지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9.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제1접속돌기 또는 상기 제2접속돌기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시트는 직물원단 또는 바리솔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11.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프로파일의 후방 양측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끼움편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후방 내측에는 상기 끼움편이 삽입되어 결합 되는 본체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KR1020200028609A 2020-03-06 2020-03-06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KR10250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09A KR102504173B1 (ko) 2020-03-06 2020-03-06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09A KR102504173B1 (ko) 2020-03-06 2020-03-06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933A KR20210112933A (ko) 2021-09-15
KR102504173B1 true KR102504173B1 (ko) 2023-03-03

Family

ID=7779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609A KR102504173B1 (ko) 2020-03-06 2020-03-06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1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005B1 (ko) * 2018-11-28 2019-10-29 정회욱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290Y1 (ko) 1992-03-26 1995-02-25 연정웅 라인콘센트
KR100442172B1 (ko) 2001-09-17 2004-07-30 고충훈 건축물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
KR100538161B1 (ko) * 2002-07-23 2005-12-22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저 프로파일 커넥터
JP4562538B2 (ja) * 2005-01-31 2010-10-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KR20140105244A (ko) 2013-02-21 2014-09-01 김병국 찬넬 콘센트 와 플러그를 구성한 찬넬 지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005B1 (ko) * 2018-11-28 2019-10-29 정회욱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933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4132B2 (en) Lighting system
ES2964091T3 (es) Aparato de conexión eléctrica
US20150292692A1 (en) Lighting device, insertion and receiving element
US11891805B2 (en) Panel mounting system
KR102038006B1 (ko) 마감시트 고정장치
BG63405B1 (bg) Закрепващо средство за екраниращо устройство
KR102504173B1 (ko) 전기접속이 가능한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US10079460B2 (en) Busbar, consumer unit, use of such a consumer unit,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building element
KR102038005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시트고정장치
KR200465278Y1 (ko) 콘센트 결합형 천정 고정식의 등기구장치
KR102391999B1 (ko) 천장용 마감시트고정장치
KR200426773Y1 (ko)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CN209928893U (zh) 一种可组合灯箱
CN209788733U (zh) 一种灯光伞
US6655818B2 (en) Structure of twisted flexible lights
US5355288A (en) Lampholder and mounting means therefor
KR101223131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US5941627A (en) Lighting conductor rail system
US2864070A (en) Electric socket and support holder for portable display lighting outfits
CN215061730U (zh) 一种具有应急照明功能的感应支架灯
CN209926158U (zh) 一种可自由拼接组合的灯
CN211774829U (zh) 一种装配式隔墙龙骨
KR102618573B1 (ko) 글램핑 구조체
CN207214627U (zh) 灯组件
KR101758982B1 (ko) 조명등용 링 형 전기 컨택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