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11415A1 -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11415A1
WO2020111415A1 PCT/KR2019/006377 KR2019006377W WO2020111415A1 WO 2020111415 A1 WO2020111415 A1 WO 2020111415A1 KR 2019006377 W KR2019006377 W KR 2019006377W WO 2020111415 A1 WO2020111415 A1 WO 20201114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oller
escalator handrail
escalator
handrail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63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우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우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우정보기술
Priority to JP202154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65289B2/ja
Priority to US17/419,933 priority patent/US20220112053A1/en
Priority to CN201980005912.9A priority patent/CN111511669B/zh
Priority to EP19889391.9A priority patent/EP3889093A4/en
Publication of WO20201114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114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2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handr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08B1/20
    • B08B1/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Definitions

  • 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cleaning device for an escalator handrail.
  • the escalator is an elevator (elevator) as well as a representative up and down transportation means, these escalators have an excellent transport capacity (6,000 ⁇ 9,000 people / hr, about 10 times that of the elevator) than the elevator, so many passengers in a short time
  • elevator elevator
  • department stores, large buildings, hotels, subways, airports, etc. are often installed in places where people pass frequently, especially in recent years, as large discount stores have rapidly increased, escalator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 the escalator as described above moves people while the stairs move, and must hold the handrail for the safety of the occupant. For safety reasons, the handrail must be held at the same time as the boarding.
  • a conventional escalator includes a step of transporting passengers while circulating a certain track, a handrail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ep and serving as a handle, and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step and the handrail.
  • the escal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ing device is operated, the step and the hand rail circulate at a constant speed along a certain track and transport passengers. Therefore, passengers on the escalator can safely reach their destination by holding the handrail.
  • the handrail provided on the escalator is a means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using the escalator, and in contact with the hands of many passengers is inevitable. Therefore, hygiene has the same problems as listed below.
  • the surface of the handrail is easily dirty due to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sweat secreted from the passenger's hand, and secondly, as described above, Contamination by bacteria is serious because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ands of many passengers.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80655 (published on August 28, 2009) discloses an escalator handrail cleaner.
  •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washing device for an escalator handrail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powered manner by a frictional force with the handrail when the handrail of the escalator is rotated.
  • the purpo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transmitting the same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when the reverse rotation of the handrail is detected through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handrail while washing the escalator handrail. It is to provide an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washing device for an escalator handrail that can smoothly wash various types of escalator handrails as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elastically by an elastic element.
  • the cleaning device for the escalator handrail includes a case for accommodating the escalator handrail and the washing unit, a self-generation unit disposed inside the case to convert kinetic energy of the escalator handrail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escalator handrail. It includes a washing unit for wash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scalator handrail,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escalator handrail to a control center, and the wash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 At least one roller is rotated non-powered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opposite to a preset rotation direction of the escalator handrail by friction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and the other roller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t least one roller. As they are rotated, the other rollers can rotate to disinfect or clean the escalator handrail.
  • a first sensor element for sensi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roll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t least one roller, and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at least one roller in a first direction by a first sensor element. If it detects that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is determined to be normal, and if it detects that the at least one roller is not rotated by the first sensor elem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is stopped, and the at least If it is sensed that one roller is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is abnormal.
  • a warning sound may be generated by itself.
  • the communication unit may warn the control center that the escalator handrail is being rotated in a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reset rotation direction.
  • the washing unit a first roller that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roller
  • One sensor element may be arranged.
  • the washing unit further includes a frame accommodating the first roller to the fourth roller,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sequenti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d the first roller to the fourth roller are rollers, respectively.
  • Each of the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by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m.
  • the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elastic element disposed under the frame of the wash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frame, and the washing unit is elastically moved upward or downward by the elastic element, thereby allowing the first roller to the The fourth roller may contact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 the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elastic element connected to the frame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roller is disposed and a second elastic element connected to the frame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roller to fourth roller is disposed. can do.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irst elastic element such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element corresponds to a first preset pressure set such that the surfaces of the first roller and the escalator handrail are in close contact.
  •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econd elastic element such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element corresponds to a second preset pressure set to abut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to the fourth roller and the escalator handrail.
  • a second sensor element capable of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is disposed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mount of disinfectant spray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ing solution sensed by the second sensor ele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mount of the disinfecting solution spray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 the self-power generation unit is charged to store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kinetic energy of the escalator handrail into electrical energy while rotating by friction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and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element
  • a moving element capable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power generating element so that the element and the power generating element can contact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and the power generating element can be rotated about one axis by the moving element.
  • the disinfecting solution spray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alcohol or chlorine dioxide.
  • the washing device of the escalator handrail may be operated in a non-powered manner by a frictional force with the handrail when the handrail of the escalator is rotated.
  • the washing device of the escalator handrail transmits this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when the reverse rotation of the handrail is detected through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handrail while washing the escalator handrail. This will prevent safety accidents.
  • the cleaning device for the escalator handrail may smoothly wash various types of escalator handrails as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elastically by an elastic element.
  • FIG. 1 schematically shows a conventional escalator.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of an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of the cleaning part of the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escalator.
  • Figure 6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 schematically shows a conventional escalator.
  •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of an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of a cleaning part of an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5 shows a state in which an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ounted on an escalator
  • FIG. 6 shows an operating state of an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 conventional escalator is a step (1) for transporting passengers while circulating a certain track, a handrail (2) and the step (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ep (1) to serve as a handle And a driving device 3 for driving the hand rail 2.
  • an apparatus for washing an escalator handrail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scalator to clean and disinfect the surface of the handrail.
  • the washing device 10 of the escalator handrail is disposed inside the case 100 and the case 100 accommodating the escalator handrail and the washing unit 300, the escalator handrail Self-generation unit 200 for converting kinetic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 washing unit 300 for washing the escalator handrail,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washing device 10 of the escalator handrail, and an escalator handrail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center, the washing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 the at least one roller may be rotated non-powered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preset rotational direction of the escalator handrail, by friction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 other rollers ar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t least one roller, and the other rollers can be rotated to disinfect or clean the escalator handrail.
  • the washing unit 300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receives at least one driving force from the escalator handrail, and rotates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friction roller 310 and the friction roller 310 to rotate. Rollers 320 and 330.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iction roller 31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al force with the surface of the handrail so that the driving force can be transmitted from the surface of the handrail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and the friction roller 310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rubber.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iction roller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or friction protrusions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and include a plurality of uneven acid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friction roller 310 can do.
  • the at least one washing roller 320 may also rotat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through which cleaning of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can be performed.
  • the washing roller 320 is preferably set to have a smaller frictional force with the surface of the handrail tha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riction roller 310 so as to smoothly wash the escalator handrail.
  • At least one washing roller (320, 330)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friction roller 310, the rotating shaft of the washing roller (320, 330)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friction roller 310 is a gear, pulley
  • the washing rollers 320 and 330 may rotate together by rotation of the friction roller 310.
  • the washing unit 300 itself may be operated without power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 the injection unit for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washing roller 320 may be oper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riction roller 310. That is, the injection unit for spraying the washing liquid may also be operated without power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 a first sensor element 410 for sensi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roller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t least one roller. That is, the first sensor element 410 for sens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riction roller 3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iction roller 310.
  • the controller detects that the at least one roller 310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sensor element 410, it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is normal, and the first sensor element 41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at least one roller 310 is not rotating,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is stopped, and the at least one roller 310 is revers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sensor element 410. When it is sensed that it is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is abnormal.
  • a warning sound may be generated by itself.
  • the communication unit may warn the control center that the escalator handrail is being rotated in a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reset rotation direction.
  • the at least one roller when the handrail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preset direction for normal operation, the at least one roller also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rather than a first direction, which is a conventional rotation direction. At this time, such a situation can be immediately recognized by the first sensor element 4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quickly delivers this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passenger, and the control cent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It can be stopped.
  • the washing unit 300 is made of a first roller 310 (friction roller) that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by a friction force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roller. It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the reverse direction of 1 direction, and removes and sterilizes foreign substances on the handrail by using a disinfectant sprayed on the surface. Rotating in the direction and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hird roller 330 (washing roller) and the first roller 310 that washes the disinfectant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handle rail, and re-dissolves the disinfectant solution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handrail.
  • a fourth roller 340 (washing roller) for washing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sensor element 4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ller 310.
  • a second sensor element 420 capable of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320 may be disposed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first roller 310.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mount of the disinfecting solution spray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32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mount of the disinfecting solution spray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320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ing solution sensed by the second sensor element 420.
  • the self-power generation unit 200 is rotated by a friction force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to generate kinetic energy of the escalator handrail into electrical energy. It includes a moving element 230 that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power generation element so that the charging element 220 and the power generation element 210 for storing the generated electrical energy can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the moving element ( 230, the power generation element 210 may be rotated around one axis.
  • the washing unit 300 further includes a frame 350 accommodating the first roller to the fourth roller, and a plurality of holes 351 are sequenti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It can be formed as.
  • the first roller to the fourth roller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les 35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by the rotating shaft 352 passing through the rollers, respectively.
  • the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10 further includes an elastic element 500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350 of the washing part 300 and connected to the frame, and the washing part ( 300) is elastically moved upward or downward, so that the first to fourth rollers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 the disinfecting solution spray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420 may be alcohol or chlorine dioxide for effective and safe disinfection and clean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hat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standpoi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as a disinfectant.
  • the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10 may be mounted and operated on the escalator handrail 2.
  • the washing unit 300 may wash the handrail 2 while operating without power by rotation of the handrail 2.
  • the power generation element 210 of the self-power generation unit 200 may also generate electrical energy while rotating by the frictional force when the handrail 2 is rotated and store it in the charging element 220.
  • the washing unit 300 is moved by the elastic element 500 and is optimal for disinfecting and cleaning the escalator handrail 2. Can be placed in position.
  • the escalator handrail cleaning device includes a first elastic element connected on the frame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roller is disposed and a second elastic element connected on the frame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roller to fourth roller are disposed. It may further includ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elastic element such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element corresponds to a first preset pressure set such that the surfaces of the first roller and the escalator handrail are in close contact.
  •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econd elastic element such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element corresponds to a second preset pressure set so that the surfaces of the second roller to the fourth roller and the escalator handrail abut.
  •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lastic elements may include separate driving units so that the first to fourth rollers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at first and second preset pressures, for example.
  •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elements include components such as pistons or solenoids, an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istons or solenoids, the first to fourth roll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scalator handrail at first and second preset pressures. Elastic force can be manipulated so as to be able to.
  • the cleaning device for the escalator handrail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operated in a non-powered manner by a frictional force with the handrail when the handrail of the escalator is rotated.
  • the washing device of the escalator handrail is safe by transmitting this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when the reverse rotation of the handrail is detected through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handrail while washing the escalator handrail. You can prevent accidents.
  • the washing device of the escalator handrail can smoothly wash various types of escalator handrails as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elastically by the elastic element.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과 세척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자가발전부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복수 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기 설정된 회전 방향의 역방향인 제1 방향으로 무동력 회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다른 롤러들이 회전되며, 상기 다른 롤러들은 회전하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소독 또는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
아래의 실시예들은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escalator)는 엘리베이터(elevator)와 더불어 대표되는 상하 운송수단으로서,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엘리베이터보다 수송능력(6,000~9,000명/hr, 엘리베이터의 약 10배)이 우수하여 단시간에 많은 승객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백화점, 대형빌딩, 호텔, 지하철, 공항 등 사람들의 통행이 빈번한 곳에 주로 설치되는데, 특히, 최근에는 대형 할인판매점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에스컬레이터도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계단이 움직이면서 사람들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반드시 핸드레일을 붙잡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은 안전상의 이유로 탑승과 동시에 붙잡고 있어야 한다.
통상의 에스컬레이터는 일정한 궤도를 순환하며 승객을 수송하는 스텝과, 상기 스텝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핸드레일과, 상기 스텝 및 핸드레일을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스컬레이터는 구동장치를 작동시킬 경우 스텝 및 핸드레일이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순환하며 승객을 운송하게 된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한 승객들은 핸드레일만 붙잡고 있으면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에스컬레이터에 마련된 핸드레일은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많은 승객들의 손과의 접촉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위생상 아래에 나열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첫째로는, 승객의 손에서 분비된 땀 등의 각종 이물질에 의해 핸드레일이 표면이 쉽게 더러워져 미관상 좋지 않고, 둘째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많은 승객들의 손과 접촉하게 되므로 세균에 의한 오염이 심각하다.
참고로, 핸드레일과 화장실 변기를 놓고 보았을 때 화장실 변기가 더 오염되었을 거라는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핸드레일에서 더 많은 수의 세균이 검출된 조사결과를 보면 그 심각성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어 왔으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작업자로 하여금 세제와 헝겊 등을 이용하여 핸드레일을 직접 닦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수작업에 의하여 진행되므로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작업자의 눈에 띄지 않는 부분은 간과되기 쉽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단순히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준의 작업에 불과하므로 살균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으며, 이에 육안으로 보았을 때에는 청결한 것과 같이 보일지 몰라도 세균은 그대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9-0080655호 (공개일 2009년 08월 28일)에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크리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핸드레일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동작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세척함과 동시에 핸드레일의 역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하여 핸드레일의 역회전이 감지될 경우 이와 같은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달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에 대하여 원활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과 세척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자가발전부,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복수 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기 설정된 회전 방향의 역방향인 제1 방향으로 무동력 회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다른 롤러들이 회전되며, 상기 다른 롤러들은 회전하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소독 또는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일측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제1 센서요소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센서요소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제1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센서요소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센서요소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상기 제1 방향에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하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체적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관제 센터에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이 기 설정된 회전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음을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무동력 회전을 하는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표면에 분사된 소독액을 이용하여 핸드레일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하는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레일의 표면에 묻은 소독액을 세척하는 제3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드레일의 표면에 잔존하는 소독액을 재차 세척하는 제4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의 일측에 상기 제1 센서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는, 상기 제1 롤러 내지 상기 제4 롤러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홀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롤러 내지 상기 제4 롤러는 각각 롤러들을 관통하는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형성된 홀들에 각각 탈부착 될 수 있다.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부의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된 탄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요소에 의하여 상기 세척부는 탄력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 내지 상기 제4 롤러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는, 제1 롤러가 배치된 부분의 프레임 상에 연결되는 제1 탄성요소 및 제2 롤러 내지 제4 롤러가 배치된 부분의 프레임 상에 연결되는 제2 탄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탄성요소의 탄성력이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이 밀착하도록 설정된 제1 기설정 압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탄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탄성요소의 탄성력이 상기 제2 롤러 내지 제4 롤러와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이 맞닿도록 설정된 제2 기설정 압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탄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의 표면의 일부에는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잔존하는 소독액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제2 센서요소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분사되는 소독액의 양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센서요소에 의하여 감지되는 소독액의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분사되는 소독액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가발전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발전요소, 상기 발전요소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요소 및 상기 발전요소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발전요소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요소에 의하여 상기 발전요소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분사되는 상기 소독액은 알코올 또는 이산화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핸드레일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세척함과 동시에 핸드레일의 역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하여 핸드레일의 역회전이 감지될 경우 이와 같은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달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는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에 대하여 원활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에스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의 측면에 대한 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의 세정부의 측면에 대한 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가 에스컬레이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에스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장치의 측면에 대한 투시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장치의 세정부의 측면에 대한 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가 에스컬레이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에스컬레이터는 일정한 궤도를 순환하며 승객을 수송하는 스텝(1), 상기 스텝(1)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핸드레일(2) 및 상기 스텝(1) 및 핸드레일(2)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3)를 포함한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핸드레일의 표면을 세척하고 소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10)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과 세척부(300)를 수용하는 케이스(100),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어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자가발전부(200),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세척하는 세척부(300),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세척부(300)는 복수 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기 설정된 회전 방향의 역방향인 제1 방향으로 무동력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다른 롤러들이 회전되며, 상기 다른 롤러들은 회전하면서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소독 또는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부(300)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하여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마찰롤러(310) 및 마찰롤러(3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롤러(320, 330)를 포함한다.
마찰롤러(310)의 외주면은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핸드레일의 표면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핸드레일의 표면과의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찰롤러(310)의 외주면은 고무 등과 같은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마찰롤러(310)의 외주면은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다수의 요철 또는 마찰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찰롤러(310)의 회전축과 평행한 다수의 요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척롤러(320) 역시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에 대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세척롤러(320)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의 표면과의 마찰력이 마찰롤러(310)의 마찰력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세척롤러(320, 330)는 마찰롤러(3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세척롤러(320, 330)의 회전축과 마찰롤러(310)의 회전축은 기어, 풀리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마찰롤러(310)의 회전에 의해 세척롤러(320, 33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처럼, 세척부(300) 자체는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무동력으로 동작될 수 있다.
아울러, 세척롤러(320)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부는 상기 마찰롤러(310)의 구동력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즉,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부 또한 별도의 전원 없이 무동력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제1 센서요소(41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마찰롤러(310)의 일측에는 마찰롤러(310)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제1 센서요소(4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센서요소(410)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310)가 제1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센서요소(410)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310)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센서요소(410)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310)가 상기 제1 방향에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하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체적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관제 센터에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이 기 설정된 회전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음을 경고할 수 있다.
즉, 핸드레일이 정상적인 운행을 위해 기 설정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 또한 종래의 회전방향인 제1 방향이 아닌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1 센서요소(410)에 의하여 이와 같은 상황이 즉각적을 인지될 수 있으며, 통신부는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관제 센터에 신속하게 전달하고, 관제 센터는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을 정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써, 세척부(300)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무동력 회전을 하는 제1 롤러(310, 마찰롤러), 제1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표면에 분사된 소독액을 이용하여 핸드레일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하는 제2 롤러(320, 세척롤러), 제1 롤러(310)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핸들레일의 표면에 묻은 소독액을 세척하는 제3 롤러(330, 세척롤러) 및 제1 롤러(310)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핸드레일의 표면에 잔존하는 소독액을 재차 세척하는 제4 롤러(340, 세척롤러)를 포함하며, 제1 롤러(310)의 일측에 제1 센서요소(4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310)의 표면의 일부에는 제2 롤러(320)의 표면에 잔존하는 소독액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제2 센서요소(4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 롤러(320)의 표면에 분사되는 소독액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센서요소(420)에 의하여 감지되는 소독액의 농도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제2 롤러(320)의 표면에 분사되는 소독액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자가발전부(200)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발전요소(210), 발전요소(21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요소(220) 및 발전요소(210)가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발전요소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요소(230)를 포함하고, 이동요소(230)에 의하여 발전요소(210)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세척부(300)는, 제1 롤러 내지 상기 제4 롤러를 수용하는 프레임(350)을 더 포함하고,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홀들(351)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 내지 상기 제4 롤러는 각각 롤러들을 관통하는 회전축(352)에 의하여 프레임의 양 측면에 형성된 홀들(351)에 각각 탈부착 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10)는, 세척부(300)의 프레임(350)의 하측에 배치되어 프레임과 연결된 탄성요소(500)를 더 포함하고, 탄성요소(500)에 의하여 세척부(300)는 탄력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 롤러 내지 제4 롤러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롤러(420)의 표면에 분사되는 소독액은 효과적이고 안전한 소독 및 세척을 위하여 알코올 또는 이산화염소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입장에서 지극히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재료가 소독액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10)가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2)에 장착되어 동작될 수 있다. 이 때, 핸드레일(2)이 회전하면 세척부(300)는 핸드레일(2)의 회전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작동하면서 핸드레일(2)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자가발전부(200)의 발전요소(210) 또한 핸드레일(2)이 회전될 때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를 충전요소(22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6과 같이, 장착되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2)의 종류에 상관없이, 세척부(300)는 탄성요소(500)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2)을 소독 및 세척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는, 제1 롤러가 배치된 부분의 프레임 상에 연결되는 제1 탄성요소 및 제2 롤러 내지 제4 롤러가 배치된 부분의 프레임 상에 연결되는 제2 탄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는 상기 제1 탄성요소의 탄성력이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이 밀착하도록 설정된 제1 기설정 압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탄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2 탄성요소의 탄성력이 상기 제2 롤러 내지 제4 롤러와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이 맞닿도록 설정된 제2 기설정 압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탄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탄성요소는, 제1 및 제2 기설정 압력으로 제1 내지 제4 롤러가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탄성요소는 피스톤 또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피스톤 또는 솔레노이드의 동작을 통해 제1 내지 제4 롤러가 제1 및 제2 기설정 압력으로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조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이 회전되는 경우 핸드레일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세척함과 동시에 핸드레일의 역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하여 핸드레일의 역회전이 감지될 경우 이와 같은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달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장치는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에 대하여 원활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과 세척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자가발전부;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복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기 설정된 회전 방향의 역방향인 제1 방향으로 무동력 회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다른 롤러들이 회전되며, 상기 다른 롤러들은 회전하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소독 또는 세척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일측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제1 센서요소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센서요소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제1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센서요소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센서요소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상기 제1 방향에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하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하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무동력 회전을 하는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표면에 분사된 소독액을 이용하여 핸드레일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하는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레일의 표면에 묻은 소독액을 세척하는 제3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드레일의 표면에 잔존하는 소독액을 재차 세척하는 제4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의 일측에 상기 제1 센서요소가 배치되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제1 롤러 내지 상기 제4 롤러를 수용하는 프레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홀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롤러 내지 상기 제4 롤러는 각각 롤러들을 관통하는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형성된 홀들에 각각 탈부착 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의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된 탄성요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요소에 의하여 상기 세척부는 탄력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 내지 상기 제4 롤러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롤러가 배치된 부분의 프레임 상에 연결되는 제1 탄성요소; 및
    제2 롤러 내지 제4 롤러가 배치된 부분의 프레임 상에 연결되는 제2 탄성요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탄성요소의 탄성력이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이 밀착하도록 설정된 제1 기설정 압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탄성요소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탄성요소의 탄성력이 상기 제2 롤러 내지 제4 롤러와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이 맞닿도록 설정된 제2 기설정 압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탄성요소를 제어하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의 표면의 일부에는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잔존하는 소독액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제2 센서요소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2 롤러의 표면에 분사되는 소독액의 양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센서요소에 의하여 감지되는 소독액의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분사되는 소독액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발전요소;
    상기 발전요소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요소; 및
    상기 발전요소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표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발전요소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요소에 의하여 상기 발전요소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세척 장치.
PCT/KR2019/006377 2018-11-28 2019-05-28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 WO2020111415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43316A JP7265289B2 (ja) 2018-11-28 2019-05-28 エスカレータの手すりの洗浄装置
US17/419,933 US20220112053A1 (en) 2018-11-28 2019-05-28 Escalator handrail washing device
CN201980005912.9A CN111511669B (zh) 2018-11-28 2019-05-28 自动扶梯扶手的洗涤装置
EP19889391.9A EP3889093A4 (en) 2018-11-28 2019-05-28 ESCALATOR HANDRAIL WAS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203 2018-11-28
KR1020180150203A KR101985696B1 (ko) 2018-11-28 2018-11-28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415A1 true WO2020111415A1 (ko) 2020-06-04

Family

ID=6681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6377 WO2020111415A1 (ko) 2018-11-28 2019-05-28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12053A1 (ko)
EP (1) EP3889093A4 (ko)
JP (1) JP7265289B2 (ko)
KR (1) KR101985696B1 (ko)
CN (1) CN111511669B (ko)
WO (1) WO20201114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1112A1 (ja) * 2022-03-22 2023-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殺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を行う装置、及び殺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を行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3402B (zh) * 2019-09-28 2021-04-20 绍兴市览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洁扶手功能的楼梯清扫装置
CN112187092B (zh) * 2020-09-24 2021-08-17 东南大学 一种自动扶梯能量收集装置
JP7323087B2 (ja) * 2021-04-22 2023-08-08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清掃システム、移動体、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清掃方法
CN113800373A (zh) * 2021-10-20 2021-12-17 王怡 一种用于自动扶梯的扶手带消毒机
CN114148870B (zh) * 2021-10-28 2024-04-26 山东三润物联网有限公司 一种用于商超电梯扶手的消毒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055A (ja) * 1996-07-17 1998-02-10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清掃装置
KR20090080655A (ko) 2008-01-22 2009-07-27 이화자 전자클러치용 링 조립체
KR20110016145A (ko) * 2009-08-11 2011-02-17 임미숙 에스컬레이터의 광고겸용 핸드레일 크리닝장치
KR20150098342A (ko) * 2014-02-20 2015-08-28 김일희 자가 발전형 에스컬레이터 손잡이 청소기
KR101663602B1 (ko) * 2015-12-09 2016-10-07 (주)엘틱스컴퍼니 무동력 핸드레일 살균 클린장치
KR20170073913A (ko) *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서우정보기술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6731A (en) * 1989-11-30 1991-04-17 Hwang Feng Lin Cleaning a moving endless elongate member.
JP3195272B2 (ja) * 1997-06-05 2001-08-0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清掃装置
JP2004113729A (ja) * 2002-09-25 2004-04-15 Kankyo Create:Kk 殺菌用具
ATE380775T1 (de) * 2003-10-30 2007-12-15 Inventio Ag Reinigungseinheit zum reinigen einer fahreinrichtung, fahreinrichtung mit einer reinigunseinheit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r reinigungssequenz zum reinigen der fahreinrichtung
JP2008063103A (ja) 2006-09-08 2008-03-21 Miyawaki Sharyo Kogyo Kk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の清掃装置
JP2008280141A (ja) 2007-05-10 2008-11-20 Toa Holdings Inc エスカレータのハンドベルトクリーナー
KR100928390B1 (ko) * 2008-01-16 2009-11-2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에스컬레이터 레일 청소장치
KR101012067B1 (ko) * 2008-08-21 2011-02-01 윤인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살균장치
US7854313B1 (en) * 2010-03-12 2010-12-21 Jonathan Gotsche Escalator handrail sanitizer
ITPD20110257A1 (it) 2011-08-02 2013-02-03 Andrea Lissandrin Dispositivo per la disinfezione e igienizzazione dei corrimano scorrevoli
JP5352733B1 (ja) * 2012-12-28 2013-11-27 利博 雪本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消毒装置
CN103910274B (zh) * 2012-12-28 2016-03-02 雪本利博 乘客输送机的移动扶手消毒装置
EP3831763A1 (en) * 2015-03-19 2021-06-09 Clear Win Korea Co., Ltd. Self-powered type handrail sterilizing device and device for collecting visitor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9856116B2 (en) * 2016-02-03 2018-01-02 Malek Y. S. Ibrahim Device for cleaning a moving handrail belt
CN207774584U (zh) * 2018-01-29 2018-08-28 陈爱珍 一种流水式扶手带清洗设备
US11174131B1 (en) * 2020-10-01 2021-11-16 Beatris Gonzalez Sanitizing system for handrail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055A (ja) * 1996-07-17 1998-02-10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清掃装置
KR20090080655A (ko) 2008-01-22 2009-07-27 이화자 전자클러치용 링 조립체
KR20110016145A (ko) * 2009-08-11 2011-02-17 임미숙 에스컬레이터의 광고겸용 핸드레일 크리닝장치
KR20150098342A (ko) * 2014-02-20 2015-08-28 김일희 자가 발전형 에스컬레이터 손잡이 청소기
KR101663602B1 (ko) * 2015-12-09 2016-10-07 (주)엘틱스컴퍼니 무동력 핸드레일 살균 클린장치
KR20170073913A (ko) *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서우정보기술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889093A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1112A1 (ja) * 2022-03-22 2023-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殺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を行う装置、及び殺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を行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11669A (zh) 2020-08-07
US20220112053A1 (en) 2022-04-14
KR101985696B1 (ko) 2019-06-04
CN111511669B (zh) 2022-02-22
EP3889093A4 (en) 2022-09-07
JP2022508571A (ja) 2022-01-19
EP3889093A1 (en) 2021-10-06
JP7265289B2 (ja)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11415A1 (ko)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
WO2010021506A2 (ko)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살균장치
US7854313B1 (en) Escalator handrail sanitizer
CA2535551C (en) Guard device for escalator handrail
WO2013069986A1 (ko) 자기 인력의 조정이 가능한 창문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069987A1 (ko) 내부 유닛에서 외부 유닛으로 실시간 전원 공급이 가능한 창문 청소 장치
DE59708769D1 (de) Einrichtung zur Vorraumüberwachung für Fahrtreppen und Fahrsteige
KR101582229B1 (ko)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핸드레일 다단 살균기
WO2015056957A1 (ko) 유리창 청소 로봇
KR101793608B1 (ko)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장치
KR20120037899A (ko) 맨컨베이어
RU27850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ытья поручней эскалатора
CN211619732U (zh) 乘客输送机的梯级监视装置及乘客输送机
WO2022030726A1 (ko)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살균장치
CN215924130U (zh) 一种简易电动扶梯自动消杀器
JP7147008B1 (ja) 乗客コンベア
KR200494827Y1 (ko) 살균 범위가 강화된 자가동력형 핸드레일 살균 장치
CN214733709U (zh) 自动触发的自动扶梯消毒装置
CN216918257U (zh) 乘客输送机用的除菌装置
KR20190019761A (ko) Uv-c led를 이용한 무 전원 에스컬레이터 손잡이 살균장치
WO2024019323A1 (ko) 청소 장치 및 청소 장치의 작동 방법
CN214733707U (zh) 具有通讯功能的自动扶梯消毒器
CN212439490U (zh) 可移动式安全检测消毒装置
CN214733706U (zh) 一种自动扶梯用识别灯带
TWM616476U (zh) 自我驅動型扶手殺菌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893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893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628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4331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