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91517A1 - 차량용 난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난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91517A1
WO2020091517A1 PCT/KR2019/014735 KR2019014735W WO2020091517A1 WO 2020091517 A1 WO2020091517 A1 WO 2020091517A1 KR 2019014735 W KR2019014735 W KR 2019014735W WO 2020091517 A1 WO2020091517 A1 WO 20200915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electrolytic water
flow path
optional embod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47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노을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김노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노을 filed Critical 김노을
Priority to CN201980072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996681A/zh
Publication of WO20200915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915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1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n intermediat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59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output of a control sign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eating system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are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for example, a heating system for comfort of a driver or a vehicle occupant driving the vehicl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may be installed.
  • the vehicle is manufactured by including various parts for movement and control, it is not easy to utilize the space for the system for heating the vehicl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ehicle heating system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easily perform heating of an interior space in which a vehicle occupant is locate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performs heating for an interior space in which a vehicle occupant is located,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so that electrolyzed water is disposed therein, and at least one region is disposed within the main body portion.
  • a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n electrode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med to contact the electrolytic water and a heat receiving part that is discharged after being heated by a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part. .
  • the external air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 receiving portion, and the heated air may be transferr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o proceed with heating.
  • it may include one or more flow path portion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heat receiving portion.
  • a pump part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part and the heat receiving part to control the flow of electrolytic water may be further included.
  • heat generated in the vehicle heating system may be transferred to the vehicle interior space through a connection formed between the vehicle heating system and the interior spac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heating system that performs heating for the interior space and the interior space in which the occupant of the vehicle is located, wherein the vehicle heating system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formed so that electrolyzed water is disposed therein.
  • the electrode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region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ic water in the body portion and the electrolytic water inside the body portion are heated by a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portion and then discharged and transferred.
  • a vehicle that includes a heat receiving portion, and that the air heated through the heat receiving portion is delivered to the interior space.
  • the vehicle may not hav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the vehicl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can easily perform heating for an interior space in which a vehicle occupant is located.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to which a vehicl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2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of FIG. 1.
  • FIG 3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a vehicl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a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a vehicl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to which a vehicl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7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of FIG. 6.
  • FIG. 8 is a view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upply unit of FIG. 7.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heating system of FIG. 7.
  • FIG. 10 is a view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heating system of FIG. 7.
  • FIG. 11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on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heating system of FIG. 7.
  •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to which a vehicl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m.
  •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 a specific process order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order.
  •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at described.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to which a vehicl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2 is a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vehicle heating system of FIG. 1.
  • a vehicle CU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 the vehicle CU shows a passenger sedan.
  • the vehicle may include a wagon-type vehicle, a sports utility vehicle (SUV), a van, or a truck-type vehicle.
  • SUV sports utility vehicle
  • the vehicle may include a wagon-type vehicle, a sports utility vehicle (SUV), a van, or a truck-type vehicle.
  • the vehicle CU may include an interior space CUI, for example, the interior space CUI may include a space in which a vehicle driver or a passenger is disposed.
  • the vehicle heating system 100 may be disposed in the vehicle CU, for example, inside the vehicle CU. As an optional embodiment, at least one area of the vehicle heating system 1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vehicle CU, and one area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CU.
  • Heat generated in the vehicle heating system 100 may be formed to be transferred to the interior space (CUI).
  • connection unit I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heating system 100 and the interior space CUI.
  • the vehicle heating system 100 may be dispos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interior space space (CUI) when placed in the vehicle CU.
  • CUI interior space space
  • the vehicle heating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vehicle heating system 10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0, an electrode portion 120, a first flow path portion 101, a second flow path portion 102, and a heat receiving portion 190.
  •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portion 120.
  •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electrolytic water (IL).
  • IL electrolytic water
  • Electrolytic water may be of various types.
  • the electrolytic water IL may include an electrolyte solution, and specifically, distilled water, filtered water, bottled water, tap water, etc., to which one or more of various types of electrolyte solutions are appropriately diluted may be included.
  • Electrolyte materials included in electrolytic water may be various types including edible soda, silicates, silicates, inorganic substances of polyphosphates, rust inhibitors based on amines, oxy acids, and the like.
  • the body portion 11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portion 120,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one end of the electrode portion 12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
  •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ortion 110 may be heated by Joule heat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 portion 120, and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in the body portion 110 is primarily It can be a source of heat.
  •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a durable material,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body portion 110 may include Teflon resin, which is a fluorine resin.
  •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110 may include an insulating layer on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for example, a Teflon resin layer.
  • the Teflon resin layer may b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 the body portion 11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pillar as the inside is empty.
  • 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unit 110.
  • the electrode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121, 122, and 123.
  • the electrode unit 120 may include three electrodes 121, 122, and 123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specifically, a shape similar to an equilateral triangle.
  • the electrode unit 120 may include two electrodes in a two-phase form.
  • Power is connected to each electrode 121, 122, and 123 of the electrode unit 120 to receive a current.
  • one region of the electrodes 121, 122, and 123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ortion WL so that current is applied to each electrode 121, 122, and 123.
  • the conductive portion WL may be a wire-shaped conducting wire.
  • the conductive portion WL may be disposed in one region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110 so as not to contact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each electrode 121 may be external to the main body 110. 122, 123).
  • the first flow path part 1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110.
  • the first flow path 1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so that electrolytic water IL exits from the main body 110.
  • the electrolytic water IL emitted from the main body 110 for example,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120 is transmitted to the heat receiving unit 19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01. Can be.
  •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egion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is “top portion” may be a region far from the ground among the regions of the body portion 110. Through this, the electrolyzed water IL heated in the main body 110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first flow path 101.
  •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may be connected to a region of the lower portion or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 the pump portion PP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 the pump portion PP may apply pressure so that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ortion 110 is easily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19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can be controlled.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 Vent portion is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that is continuously heated while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ortion 110 is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19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It may be formed to discharge the resulting vapor pressure, or, conversely, may be formed to additionally introduce air when necessary.
  • the vent portion VT ma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vapor pressure of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at a selectively required time, including a valve or the like.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mp portion PP and the heat receiving portion 19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pressure increase due to excessive flow and boil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abnormal first flow path portion 101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portion PP.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mp portion PP and the body portion 110.
  • the first flow path 101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the rapid flow and heat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first flow path 101 may include Teflon resin, which is a fluorine resin.
  • a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at least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 the Teflon resin layer may b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ow path 101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n inner surface of a region connected to the pump portion PP and the vent portion VT among regions of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 the second flow path part 10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110.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10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10 so that electrolytic water IL flows into the body portion 110.
  • the electrolytic water IL emitted from the main body 110 for example,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120 is transmitted to the heat receiving unit 19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01. Can be.
  • Electrolyzed water (IL) accommodated in the heat receiving section 190 may be the temperature is lowered, that is, the electrolyzed water (IL) in a cooled state, the electrolytic water (IL) is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02 ).
  • the electrolytic water IL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102 is heated by the current by the electrode portion 120 and then flows out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19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Can be.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102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egion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is “lower portion” is the first of the regions of the body portion 110 among the regions of the body portion 110.
  • the flow path portion 101 may be an area closer to the ground than the connected upper surface.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102 may be connected to an area of the upper portion or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 the replenishment unit 15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102.
  • the replenishment unit 15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102 to supply electrolytic water IL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102.
  • the replenishment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ly provided supply unit (not shown) to receive electrolytic water IL from the supply unit.
  • the replenishment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102 to supply the electrolytic water IL to join the electrolytic water IL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unit 101.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or prevent overflow or abnormal increase in vapor pressure, etc. due to the rapid additional replenishment in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of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102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10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rapid flow and heat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102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102 may include Teflon resin, which is a fluorine resin.
  • At least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102 may include an insulating layer on an inner sid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for example, a Teflon resin layer.
  • the Teflon resin layer may b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th 102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gion connected to the replenishment portion 150 among the regions of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102.
  • Electrolyzed water IL heated by the electrode portion 120 in the body portion 110 may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flow path portion 101 and accommodated in the heat receiving portion 190.
  •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unit 190 is a heat source, and heat can be supplied to the interior space CUI of the vehicle CU through the heat source, for example, heat through the connection unit IL Can be delivered to the internal space (CUI).
  • the outside air (OAR)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heating system 100 and heated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eat receiving unit 190, and the heated air (HAR) can be supplied to the interior space (CUI), For example, it may be delivered to the interior space (CUI)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IL).
  • the external air OAR may b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CU.
  • a fan unit including one or more fans may be further included to accelerate the inflow of external air (OAR).
  • OAR external air
  • one or more fans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heat receiving unit 190 so as to effectively supply heated air (HAR) heated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eat receiving unit 190 to the interior space (CUI).
  • a heat supply unit (not shown) having a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heat receiving portion 19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 the heat receiving unit 19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rapid flow and heat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 the heat receiving portion 19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heat receiving unit 190 may include Teflon resin, which is a fluorine resin.
  • a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t least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190.
  • the Teflon resin layer may b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190.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is dispo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accordingly control the heating degre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102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unit 102. Although not show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unit 101.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may be formed and arrang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second flow path unit 102 in real time.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102 and reduces temperature measurement accuracy due to heated electrolyzed water IL flowing in the first flow path unit 101, weakening performance, and malfunctions or malfunctions. Can be reduced or prevented.
  • a cool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to control overheating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 the control unit 13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120.
  • control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a conductive unit WL that connects each electrode 121, 122, 123 of the electrode unit 120.
  • control unit 130 may perform real-time control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120.
  • control unit 130 may check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120 to control the current by making it larger or smaller according to the set value.
  • control unit 130 can check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120 in real time to control the curren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it according to the set value, thereby reducing the rapid temperature chang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can do.
  • control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and may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120 us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 For example, if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exceeds the normal setting range,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120 is lowered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is normal setting. If it is less than the range,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higher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 the controller 130 may have the information of the "reduction temperature” or “rise temperature” set higher or lower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as a preset value.
  • control unit 130 may change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width" and the "decrease width”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normal set range of the measurement temperature. Accordingly, the information on the value of the current to be changed may be set in advance and the control unit 130 may have it.
  • control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spaced apart.
  • control unit 13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an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 control unit 130 may be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 the controller 130 may have various forms to facilitate the change of current.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switches may be included, and a solid state relay (SSR) may be included for a sensitive and rapid control.
  • SSR solid state relay
  • a cool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ontrol unit 130 to control overheating of the control unit 130.
  • control unit 130 may be controlled by a user, and may be formed to be controlled by, for example, a driver or a passenger in an interior space (CUI) of the vehicle CU.
  • CUI interior space
  • at least one area of the control unit 13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internal space (CUI), and as another example, a control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by wire or wireless may be used as the internal space (CUI). It is disposed in the user may control the control unit 130 through the control unit.
  • the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of this embodiment can heat the electrolyzed water through control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portion in the body portion.
  • the electrolytic water may be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 the outside air is heated by absorbing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unit, and the vehicle can be easily heated through the heated air.
  • heated air may be deliver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is located.
  • the vehicle heating system may not require heat through the engin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us can be easily applied to vehicles without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 the electrolytic water of the hot-water receiving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again, and the process of heating and transferring the electrolytic water to the hot-water receiving portion may be repea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eating process for the vehicle.
  • control of the stable heating process for the electrolytic water through the easy control of the current to the electrode through the control unit can easi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 the main body portion in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disposed, the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transferred, the first flow path portion and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itself or the inner space ar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o that when the flow of electrolytic water occurs, the current flow Leakage can be reduced or blocked to provide a safe and efficient vehicle heating system.
  • FIG 3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a vehicl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vehicle (not shown) is not shown.
  •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ehicl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tailed contents are omitted.
  • Heat generated in the vehicle heating system 200 may be formed to be transmitt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where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stays.
  • connection unit I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heating system 200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where users or passengers of the vehicle stay.
  • the vehicle heating system 200 includes a body portion 210, an electrode portion 220, a first flow path portion 201, a second flow path portion 202, a heat receiving portion 280, and a first fan portion 290. can do.
  • the body part 21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part 220.
  • the body portion 21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electrolytic water (IL).
  • IL electrolytic water
  •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ortion 210 may be heated by Joule heat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 portion 220, and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in the body portion 210 is primarily It can be a source of heat.
  • the electrode unit 22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unit 210.
  • the electrode unit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221, 222, 223.
  • the electrode unit 220 may include three electrodes 221, 222, and 223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specifically, a shape similar to an equilateral triangle.
  • the electrode unit 220 may include two electrodes in a two-phase form.
  • Power is connected to each electrode 221, 222, 223 of the electrode unit 220 to receive a current.
  • one region of the electrodes 221, 222, 223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ortion WL so that a current is applied to each electrode 221, 222, 223.
  • the conductive portion WL may be a wire-shaped conducting wire.
  • the first flow path portion 2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210.
  • the first flow path portion 2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10 so that the electrolytic water IL exits from the body portion 210.
  • the electrolytic water IL emitted from the main body 210 for example,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220 is transmitt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01. Can be.
  • the pump part PP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ssage part 201.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portion 201.
  • the vent portion VT ma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vapor pressure of the first flow path portion 201 at a required time, including a valve or the like.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mp portion PP and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mp portion PP and the body portion 210.
  • the second flow path part 20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210.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20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10 so that electrolytic water IL flows into the body portion 210.
  • the electrolytic water IL emitted from the main body 210 for example,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220 is transmitt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01. Can be.
  • Electrolyzed water (IL) accommodated in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may be the temperature is lower, that is, the electrolyzed water (IL) in a cooled state, the electrolytic water (IL) is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202 ).
  • the electrolytic water IL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part 202 is heated by the current by the electrode part 220 and then flows out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heat receiving part 28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art 201.
  • the replenishment part 25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ssage part 202.
  • the replenishment part 2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ssage part 202 and formed to supply electrolytic water IL to the second flow passage part 202.
  • the replenishment unit 25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ly provided supply unit (not shown) to receive electrolytic water IL from the supply unit.
  • Electrolyzed water IL heated by the electrode unit 220 in the body unit 210 may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flow path unit 201 and accommodated in the heat receiving unit 280.
  •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is a heat source, and can supply heat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hrough the heat source, for example,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IL. have.
  • the outside air (OAR)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heating system 200 and heated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and the heated air (HAR) can be supplied to the interior space, for exampl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on (IL).
  • OAR outside air
  • HAR heated air
  • this external air may b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an unit 290 having one or more fans to accelerate the inflow of external air OAR.
  • the first fan unit 29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or a power unit that drives and controls the fan.
  • heat receiving portion 280 it is arranged adjacent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to effectively supply the heated air (HAR) heated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has one or more fans.
  • a heat supply unit (not shown) provided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rapid flow and heat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may include Teflon resin, which is a fluorine resin.
  • a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t least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 the Teflon resin layer may b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280.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is dispo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accordingly control the heating degre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202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unit 202.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unit 201.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may be formed and dispo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second flow path unit 202.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202 and reduces temperature measurement accuracy due to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flowing in the first flow path unit 201, performance deterioration and malfunction or malfunction. Can be reduced or prevented.
  • a cool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to control overheating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 the control unit 23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220.
  • control unit 230 may be connected to a conductive unit WL connecting each electrode 221, 222, 223 of the electrode unit 220.
  • control unit 230 may perform real-time control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220.
  • control unit 230 may check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220 to control the curren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value according to the set value.
  • control unit 230 can check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in real time to control the current by making it larger or smaller according to the set value, thereby reducing the rapid temperature chang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can do.
  • control uni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and may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220 by us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
  • the control unit 230 may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220 by us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
  •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exceeds the normal setting range
  •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220 is lowered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is normal setting. If it is less than the range,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220 may be higher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 control unit 230 may have the information of “reduction temperature” or “rising temperature” set higher or lower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as a preset value.
  • control unit 230 may change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width" and the "decrease width”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normal set range of the measurement temperature. Accordingly, the information on the value of the current to be changed may be set in advance and the control unit 230 may have it.
  • control unit 230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spaced apart.
  • control unit 23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an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3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 control unit 230 may be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 the control unit 230 may have various forms to facilitate the change of current.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switches may be included, and a solid state relay (SSR) may be included for a sensitive and rapid control.
  • SSR solid state relay
  • a cool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ontrol unit 230 to control overheating of the control unit 230.
  • control unit 230 may be controlled by a user, and may be formed to be controlled by, for example, a driver or a passenger in an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 at least one area of the control unit 23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as another example, a control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30 by wire or wireless is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to provide a user The control unit 23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 the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of this embodiment can heat the electrolyzed water through control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portion in the body portion.
  • the electrolytic water may be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 the outside air is heated by absorbing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unit, and the vehicle can be easily heated through the heated air.
  • heated air may be deliver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is located.
  •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external air to be easily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fan unit, thereby effectively transmitting the external air to the heat receiving unit to improve vehicle heating efficiency.
  • the vehicle heating system may not require heat through the engin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us can be easily applied to vehicles without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 the electrolytic water of the hot-water receiving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again, and the process of heating and transferring the electrolytic water to the hot-water receiving portion may be repea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eating process for the vehicle.
  • control of the stable heating process for the electrolytic water through the easy control of the current to the electrode through the control unit can easi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 the main body portion in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disposed, the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transferred, the first flow path portion and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itself or the inner space ar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o that when the flow of electrolytic water occurs, the current flow Leakage can be reduced or blocked to provide a safe and efficient vehicle heating system.
  • FIG. 4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a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vehicle (not shown) is not shown.
  •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ehicl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tailed contents are omitted.
  • Heat generated from the vehicle heating system 300 may be formed to be transmitt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where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stays.
  • connection unit I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heating system 300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where users or passengers of the vehicle stay.
  • the vehicle heating system 300 includes a body portion 310, an electrode portion 320, a first flow path portion 301, a second flow path portion 302, a heat receiving portion 380, and a second fan portion 390. can do.
  • the body part 31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part 320.
  • the body portion 31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electrolytic water (IL).
  • IL electrolytic water
  •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ortion 310 may be heated by Joule heat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 portion 320, and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in the body portion 310 is primarily It can be a source of heat.
  • the electrode part 32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art 310.
  • the electrode unit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321, 322, and 323.
  • the electrode part 320 may include three electrodes 321, 322, and 323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specifically, a shape similar to an equilateral triangle.
  • the electrode unit 320 may include two electrodes in a two-phase form.
  • Power is connected to each electrode 321, 322, 323 of the electrode unit 320 to receive a current.
  • one region of the electrodes 321, 322, 323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ortion WL so that a current is applied to each electrode 321, 322, 323.
  • the conductive portion WL may be a wire-shaped conducting wire.
  • the first flow path part 3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310.
  • the first flow path part 3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310 so that electrolytic water IL exits from the body part 310.
  • the electrolytic water IL emitted from the main body 310 for example,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320 is transmitt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301. Can be.
  • the pump part PP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ssage part 301.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portion 301.
  • the vent portion VT ma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vapor pressure of the first flow path portion 301 at a required time, including a valve or the like.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mp portion PP and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mp portion PP and the body portion 310.
  • the second flow path part 30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310.
  • the second flow path part 30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310 so that electrolytic water IL flows into the body part 310.
  • the electrolytic water IL emitted from the main body 310 for example,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320 is transmitt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301. Can be.
  • the electrolytic water IL accommodated in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may be electrolytic water IL having a temperature lowered, that is, in a cooled state, and the electrolytic water IL is a main body 310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302. ).
  • the electrolytic water IL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part 302 is heated by the current by the electrode part 320 and flows out again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art 301 toward the heat receiving part 380.
  • the replenishment part 35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ssage part 302.
  • the replenishment part 3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ssage part 302 and formed to supply electrolytic water IL to the second flow passage part 302.
  • the replenishment unit 35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ly provided supply unit (not shown) to receive electrolytic water IL from the supply unit.
  •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by the electrode portion 320 in the body portion 310 may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flow path portion 301 and accommodated in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is a heat source, and can supply heat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hrough the heat source, for example,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IL. have.
  • the outside air (OAR)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heating system 300 and heated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eat receiving part 380, and this heated heating air (HAR) can be supplied to the interior space, for exampl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on (IL).
  • OAR outside air
  • HAR heated heating air
  • this external air may b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 a fan unit (not shown) having one or more fans to accelerate the inflow of external air OAR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second fan unit 39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heat receiving unit 380, for example, to face one side of the heat receiving unit 380.
  • the second fan unit 390 may effectively supply heated air (HAR)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 the second fan unit 390 may include one or more fans.
  •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rapid flow and heat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may include Teflon resin, which is a fluorine resin.
  • a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t least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 the Teflon resin layer may b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380.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is dispo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accordingly control the heating degre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302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unit 302.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unit 301.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may be formed and dispo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second flow path unit 302.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302 and reduces temperature measurement accuracy due to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flowing in the first flow path unit 301, performance deterioration, and malfunction or malfunction occurs. Can be reduced or prevented.
  • a cool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to control overheating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 the control unit 33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320.
  • control unit 330 may be connected to a conductive unit WL connecting each electrode 321, 322, 323 of the electrode unit 320.
  • control unit 330 may perform real-time control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320.
  • control unit 330 may check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320 and control the current by making it larger or smaller according to the set value.
  • control unit 330 may check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320 in real time to control the current by making it larger or smaller according to the set value, thereby reducing the rapid temperature chang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can do.
  • control unit 330 may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and may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320 us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
  • the control unit 330 may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320 us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exceeds the normal setting range
  •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320 is lowered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is normal setting.
  •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320 may be higher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 control unit 330 may have the information of "reduction temperature” or “rise temperature” set higher or lower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as a preset value.
  • control unit 330 may change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width" and the "decrease width”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normal set range of the measurement temperature. Accordingly, the information on the value of the current to be changed may be set in advance and the control unit 330 may have it.
  • control unit 330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spaced apart.
  • control unit 33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an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3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 control unit 330 may be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40.
  • the control unit 330 may have various forms to facilitate the change of current.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switches may be included, and a solid state relay (SSR) may be included for a sensitive and rapid control.
  • SSR solid state relay
  • a cool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ontrol unit 330 to control overheating of the control unit 330.
  • control unit 330 may be controlled by a user, and may be formed to be controlled by, for example, a driver or a passenger in an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 at least one area of the control unit 33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as another example, a control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30 by wire or wireless is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to the user The control unit 33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 the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of this embodiment can heat the electrolyzed water through control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portion in the body portion.
  • the electrolytic water may be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 the outside air is heated by absorbing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unit, and the vehicle can be easily heated through the heated air.
  • heated air may be deliver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is located.
  • the second fan unit may improve heating efficiency of the vehicle by allowing heated air heated through the heat receiving unit to effectively enter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 the vehicle heating system may not require heat through the engin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us can be easily applied to vehicles without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 the electrolytic water of the hot-water receiving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again, and the process of heating and transferring the electrolytic water to the hot-water receiving portion may be repea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eating process for the vehicle.
  • control of the stable heating process for the electrolytic water through the easy control of the current to the electrode through the control unit can easi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 the main body portion in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disposed, the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transferred, the first flow path portion and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itself or the inner space ar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o that when the flow of electrolytic water occurs, the current flow Leakage can be reduced or blocked to provide a safe and efficient vehicle heating system.
  • FIG. 5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a vehicl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vehicle (not shown) is not shown.
  •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ehicl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tailed contents are omitted.
  • Heat generated in the vehicle heating system 400 may be formed to be transmitt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where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stays.
  • connection unit I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heating system 400 and the vehicl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users or passengers.
  • the vehicle heating system 400 includes a body portion 410, an electrode portion 420, a first flow path portion 401, a second flow path portion 402, a heat receiving portion 480, and a third fan portion 490. can do.
  • the body part 41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part 420.
  • the main body 41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electrolytic water IL.
  •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ortion 410 may be heated by Joule heat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 portion 420, and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in the body portion 410 may be primary. It can be a source of heat.
  • the electrode portion 42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ortion 410.
  • the electrode unit 4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421, 422, and 423.
  • the electrode part 420 may include three electrodes 421, 422, and 423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specifically, a shape similar to an equilateral triangle.
  • the electrode unit 420 may include two electrodes in a two-phase form.
  • Power is connected to each electrode 421, 422, 423 of the electrode unit 420 to receive a current.
  • one region of the electrodes 421, 422, and 423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ortion WL so that current is applied to each electrode 421, 422, and 423.
  • the conductive portion WL may be a wire-shaped conducting wire.
  • the first flow path part 4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410.
  • the first flow path part 4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410 so that electrolytic water IL exits from the body part 410.
  • the electrolytic water IL emitted from the body portion 410 for example,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portion 420 is transmitt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401. Can be.
  • the pump part PP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ssage part 401.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portion 401.
  • the vent portion VT ma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vapor pressure of the first flow path portion 401 at a required time, including a valve or the like.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mp portion PP and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mp portion PP and the body portion 410.
  • the second flow path part 40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410.
  • the second flow path part 40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410 so that electrolytic water IL flows into the body part 410.
  • the electrolytic water IL emitted from the body portion 410 for example,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portion 420 is transmitt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401. Can be.
  • Electrolyzed water (IL) accommodated in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may be the temperature is lower, that is, the electrolyzed water (IL) in a cooled state, the electrolytic water (IL) is a body portion 410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402 ).
  • the electrolytic water IL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part 402 is heated by the electric current by the electrode part 420 and flows out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heat receiving part 48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art 401. Can be.
  • the replenishment part 45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ssage part 402.
  • the replenishment part 4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part 402 and formed to supply electrolytic water IL to the second flow path part 402.
  • the replenishment unit 45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ly provided supply unit (not shown) to receive electrolytic water IL from the supply unit.
  • Electrolyzed water IL heated by the electrode portion 420 in the body portion 410 may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flow path portion 401 and accommodated in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is a heat source, and can supply heat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hrough the heat source, for example,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IL. have.
  • the outside air (OAR)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heating system 400 and heated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and this heated heating air (HAR) can be supplied to the interior space, for exampl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on (IL).
  • OAR outside air
  • HAR heated heating air
  • this external air may b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 a fan unit (not shown) having one or more fans to accelerate the inflow of external air OAR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third fan unit 490 of this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heat receiving unit 480, for example, to face one side of the heat receiving unit 480.
  • the third fan unit 4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 receiving unit 480 and the connection unit IL.
  • one region of the third fan unit 490 may contact the heat receiving unit 480 or the connection unit IL.
  • the third fan unit 490 may allow the heating air HAR to effectively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unit I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ing effect o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y reducing unnecessary discharge of the heating air (HAR) or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 HAR heating air
  • the third fan unit 490 may include one or more fans.
  •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rapid flow and heat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may include Teflon resin, which is a fluorine resin.
  • a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t least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 the Teflon resin layer may b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480.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is dispo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accordingly control the heating degre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402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unit 402.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unit 401.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may be formed and dispo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second flow path unit 402.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part 402, thereby reducing temperature measurement precision due to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flowing in the first flow path part 401, weakening performance, and malfunction or malfunction. Can be reduced or prevented.
  • a cool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to control overheating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 the control unit 43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420.
  • control unit 430 may be connected to a conductive unit WL that connects each electrode 421, 422, 423 of the electrode unit 420.
  • control unit 430 can perform real-time control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420.
  • control unit 430 may check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420 to control the current by making it larger or smaller according to the set value.
  • control unit 430 can control the curren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urrent amou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420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et value, thereby reducing the rapid temperature chang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can do.
  • control unit 430 may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and may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420 by us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
  • the control unit 430 may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420 by us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exceeds the normal setting range
  •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420 is lowered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is normal setting. If it is less than the range,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420 may be higher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 control unit 430 may have the information of "reduction temperature” or “rise temperature” set higher or lower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as a preset value.
  • control unit 430 may change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width" and the "decrease width”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normal set range of the measurement temperature. Accordingly, the information on the value of the current to be changed may be set in advance and the control unit 430 may have it.
  • control unit 430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spaced apart.
  • control unit 43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an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3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 control unit 430 may be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 the control unit 430 may have various forms to facilitate the change of current.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switches may be included, and a solid state relay (SSR) may be included for a sensitive and rapid control.
  • SSR solid state relay
  • a cool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ontrol unit 430 to control overheating of the control unit 430.
  • control unit 430 may be controlled by a user, and may be formed to be controlled by, for example, a driver or a passenger in an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 at least one area of the control unit 43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as another example, a control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30 by wire or wireless is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to the user The control unit 43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 the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of this embodiment can heat the electrolyzed water through control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portion in the body portion.
  • the electrolytic water may be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 the outside air is heated by absorbing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unit, and the vehicle can be easily heated through the heated air.
  • heated air may be deliver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is located.
  • the third fan unit may reduce undesired movement of heated air heated through the heat receiving unit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or in the heating unit for the vehicle, and to allow heated air to enter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on unit. Through this,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 the vehicle heating system may not require heat through the engin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us can be easily applied to vehicles without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 the electrolytic water of the hot-water receiving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again, and the process of heating and transferring the electrolytic water to the hot-water receiving portion may be repea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eating process for the vehicle.
  • control of the stable heating process for the electrolytic water through the easy control of the current to the electrode through the control unit can easi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 the main body portion in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disposed, the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transferred, the first flow path portion and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itself or the inner space ar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o that when the flow of electrolytic water occurs, the current flow Leakage can be reduced or blocked to provide a safe and efficient vehicle heating system.
  •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to which a vehicl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7 is a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vehicle heating system of FIG. 6,
  • FIG. 8 is a supply unit of FIG. 7 A diagram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heating system of FIG. 7,
  •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heating system of FIG. 7,
  • FIG. 11 is a vehicle heating system of FIG.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one configuration of the.
  • the vehicle CU shows a passenger sedan.
  • the vehicle may include a wagon-type vehicle, a sports utility vehicle (SUV), a van, or a truck-type vehicle.
  • SUV sports utility vehicle
  • the vehicle may include a wagon-type vehicle, a sports utility vehicle (SUV), a van, or a truck-type vehicle.
  • the vehicle CU may include an interior space CUI, for example, the interior space CUI may include a space in which a vehicle driver or a passenger is disposed.
  • the vehicle heating system 500 may be disposed in the vehicle CU, for example, inside the vehicle CU. As an optional embodiment, at least one area of the vehicle heating system 5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vehicle CU, and one area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CU.
  • Heat generated in the vehicle heating system 500 may be formed to be transferred to the interior space (CUI).
  • connection unit I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heating system 500 and the interior space (CUI).
  • the vehicle heating system 500 may be dispos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internal space space (CUI) when placed in the vehicle CU.
  • CUI internal space space
  • the vehicle heating system 500 may include a body portion 510, an electrode portion 520, a first flow path portion 501, a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and a heat transfer unit 590.
  • the body part 51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part 520.
  • the body portion 51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electrolytic water IL.
  • Electrolytic water may be of various types.
  • the electrolytic water IL may include an electrolyte solution, and specifically, distilled water, filtered water, bottled water, tap water, etc., to which one or more of various types of electrolyte solutions are appropriately diluted may be included.
  • Electrolyte materials included in electrolytic water may be various types including edible soda, silicates, silicates, inorganic substances of polyphosphates, rust inhibitors based on amines, oxy acids, and the like.
  • the body portion 51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portion 520,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one end of the electrode portion 52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10. .
  •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ortion 510 may be heated by Joule heat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 portion 520, and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in the body portion 510 may be primary. It can be a source of heat.
  • the body portion 5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 the body portion 510 may be formed of a durable material,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 the body portion 51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body portion 510 may include Teflon resin, which is a fluorine resin.
  • At least an insulating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10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for example, a Teflon resin layer.
  • the Teflon resin layer may b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10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 the body portion 51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pillar as the inside is empty.
  • the body portion 51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convex pillar, and may include an insulating layer (TFL).
  • TTL insulating layer
  • the body portion 510 ′ may include an inner layer 511 ′ and an outer layer 512 ′.
  • the outer layer 512 ′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a durable material,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 the outer layer 512 ′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inner layer 511 ′ may include an insulating resin. Further, as another example, the inner layer 511 ′ may includ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the inner layer 511 ′ may include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 the inner layer 511 ' may be form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outer layer 512' of the body portion 510 ', and as another example, the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It can only be formed.
  • the electrode portion 52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ortion 510.
  • the electrode unit 5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521, 522, 523.
  • the electrode unit 520 may include three electrodes 521, 522, and 523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specifically, a shape similar to an equilateral triangle.
  • the electrode unit 520 may include two electrodes in a two-phase form.
  • Power is connected to each electrode 521, 522, 523 of the electrode unit 520 to receive a current.
  • one region of the electrodes 521, 522, 523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ortion WL so that a current is applied to each electrode 521, 522, 523.
  • the conductive portion WL may be a wire-shaped conducting wire.
  • the conductive portion WL may be disposed in one area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portion 510 so as not to contact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each electrode 521 may be external to the main body portion 510. 522, 523).
  •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510.
  •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510 and formed so that electrolytic water IL exits from the main body part 510.
  • the electrolytic water IL emitted from the main body 510 for example,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520, is to be transferred to the heat transfer unit 59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501. You can.
  • the first flow path portion 501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egion of the body portion 510, and such an “upper portion” may be a region remote from the ground among the regions of the body portion 510. Through this, the electrolyzed water IL heated in the main body portion 510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first flow path portion 501.
  •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may be connected to a region of the lower portion or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510.
  • the pump part PP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ssage part 501.
  • the pump portion PP may apply pressure so that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ortion 510 is easily transferred to the heat transfer unit 59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501.
  • the control of the pump unit PP when passing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from the first flow path unit 501 to the heat transfer unit 59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portion 501.
  • Vent part (VT) is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that is continuously heated while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body portion 510 is transferred to the heat transfer unit (59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It may be formed to discharge the generated vapor pressure, or, conversely, may be formed to additionally introduce air when necessary.
  • the vent portion VT ma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vapor pressure of the first flow path portion 501 at a selectively necessary time, including a valve or the like.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mp portion PP and the heat transfer unit 59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pressure increase due to excessive flow and boil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abnormal first flow path part 501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part PP.
  • vent portion V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mp portion PP and the body portion 510.
  •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rapid flow and heat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may include Teflon resin, which is a fluorine resin.
  • a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at least the first flow path portion 501.
  • the Teflon resin layer may b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ow path portion 501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n inner surface of a region connected to the pump portion PP and the vent portion VT among the regions of the first flow path portion 501.
  •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may include an outer layer 501a 'and an inner layer 501b'.
  • the outer layer 501a '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a durable material,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 the outer layer 501a '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inner layer 501b ' may include an insulating resin. Further, as another example, the inner layer 501b 'may includ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the inner layer 501b ' may include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 the inner layer 501b ' may be form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outer layer 501a' of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and as another example, the inner layer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may be formed. It may be formed only on the side.
  • the inner layer 501b ' including 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formed in an inner region of the first flow path portion 501 connected to the pump portion PP and an inner region connected to the vent portion VT as an optional embodiment. Can be.
  • the electrolytic water IL present in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layer 501b ', which can improve the electrical efficiency and thermal efficiency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leak current. The risk caused by this can be reduced.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510.
  • the second flow path part 50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510 so that electrolytic water IL flows into the body part 510.
  • the electrolytic water IL emitted from the main body 510 for example, the electrolytic water IL heat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520, is to be transferred to the heat transfer unit 59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501. You can.
  • Electrolyzed water (IL) accommodated in the heat transfer unit 590 may be lowered in temperature, that is, electrolyzed water (IL) in a cooled state, and the electrolyzed water (IL) is the main body 510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Can be introduced into.
  • the electrolytic water IL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part 502 may be heated by the current by the electrode part 520 and flow out again to the heat transfer unit 59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have.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egion of the body portion 510, and this “lower portion” is the first of the regions of the body portion 510 among the regions of the body portion 510.
  • the flow path portion 501 may be an area closer to the ground than the connected upper surface.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may be connected to an area of the upper portion or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510.
  • the supplementary part 55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ssage part 502.
  • the replenishment part 5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ssage part 502 and may be formed to supply electrolytic water IL to the second flow passage part 502.
  • the replenishment unit 55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ly provided supply unit (not shown) to receive electrolytic water IL from the supply unit.
  • the replenishment unit 5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unit 502 and supply the electrolytic water IL to join the electrolytic water IL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flowing in the first flow path unit 501.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or prevent overflow or an abnormal increase in vapor pressure due to a sudden additional replenishment in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of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rapid flow and heat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may include Teflon resin, which is a fluorine resin.
  • an insulating layer may be included on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of at least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for example, a Teflon resin layer.
  • the Teflon resin layer may b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n inner surface of a region connected to the supplementary portion 550 among the regions of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502.
  • Electrolyzed water IL heated by the electrode portion 520 in the body portion 510 may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flow path portion 501 and accommodated in the heat transfer unit 590.
  •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transferred to the heat transfer unit 590 is a heat source, and can supply heat to the interior space (CUI) of the vehicle CU through the heat source, for example, heat through the connection unit IL It can be delivered to the internal space (CUI).
  • the outside air (OAR)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heating system 500 and heated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eat transfer unit 590, and this heated air (HAR) can be supplied to the interior space (CUI), e.g. For example, it may be transferred to the internal space CUI through the connection unit IL.
  • the external air OAR may b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CU.
  • a fan unit including one or more fans may be further included to accelerate the inflow of external air (OAR).
  • OAR external air
  • the heat transfer unit 590 is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heat transfer unit 590 so as to effectively supply heated air (HAR) that is warmed in contact with the heat transfer unit 590 and has one or more fans.
  • a heat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heat transfer unit 590 ' may include a heat receiving portion 595' and a fan portion 591 '.
  •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 is a place where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510, and to increase the area where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and external air come into contact,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 the shape can vary.
  •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 may include one or more refractive regions, and may have, for example, a shape in which multiple circuits are refracted.
  •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 may include a wrinkle shap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 the fan portion 591 '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and after the outside air is heated through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 the heating air HAR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IL. It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space (CUI).
  • the heat transfer unit 590 ' includes a housing, and a heat receiving portion 595' and a fan portion 591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rapid flow and heat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resin and ceramic may be included.
  •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 may include Teflon resin, which is a fluorine resin.
  • a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t least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
  • the Teflon resin layer may be an insulating Teflon layer.
  • an antistatic Teflo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on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olytic water IL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595 '.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is dispo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and accordingly control the heating degre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 the temperature sensor 5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part 502 and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part 502.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unit 501.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may be formed and arrang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in the second flow path unit 502.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part 502 and reduces temperature measurement precision due to heated electrolytic water IL flowing in the first flow path part 501, performance deterioration and malfunction or malfunction. Can be reduced or prevented.
  • a cool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to control overheating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 the control unit 53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520.
  • control unit 530 may be connected to a conductive unit WL connecting each electrode 521, 522, 523 of the electrode unit 520.
  • control unit 530 can perform real-time control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520.
  • control unit 530 may check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520 to control the curren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value according to the set value.
  • control unit 530 may check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520 in real tim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set value, thereby reducing the rapid temperature change of the electrolytic water IL can do.
  • control unit 530 may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and may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520 by us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
  • the control unit 530 may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520 by us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exceeds the normal setting range
  •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520 is lowered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is normally set. If it is less than the range,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520 may be higher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 control unit 530 may have the information of “reduction temperature” or “rise temperature” set higher or lower than the normal setting range as a preset value.
  • control unit 530 may change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width" and the "decrease width”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normal set range of the measurement temperature. Accordingly, the information on the value of the current to be changed may be set in advance and the controller 530 may have it.
  • control unit 530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spaced apart.
  • control unit 530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an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30 may be arranged on one surfac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 control unit 530 may be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40.
  • the control unit 530 may have various forms to facilitate the change of current.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switches may be included, and a solid state relay (SSR) may be included for a sensitive and rapid control.
  • SSR solid state relay
  • a cool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ontrol unit 530 to control overheating of the control unit 530.
  • control unit 530 may be controlled by a user, and may be formed to be controlled by, for example, a driver or a passenger in the interior space CUI of the vehicle CU.
  • at least one area of the control unit 53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internal space (CUI), and as another example, a control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30 by wire or wireless may be used as an internal space (CUI). It is disposed in the user may control the control unit 530 through the control unit.
  • the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of this embodiment can heat the electrolyzed water through control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portion in the body portion.
  • the electrolytic water may be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ortion.
  • the outside air is heated by absorbing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d electrolytic water transferred to the heat receiving unit, and the vehicle can be easily heated through the heated air.
  • heated air may be deliver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is located.
  • the vehicle heating system may not require heat through the engin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us can be easily applied to vehicles without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 the electrolytic water of the hot-water receiving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again, and the process of heating and transferring the electrolytic water to the hot-water receiving portion may be repea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eating process for the vehicle.
  • control of the stable heating process for the electrolytic water through the easy control of the current to the electrode through the control unit can easi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 the main body portion in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disposed, the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transferred, the first flow path portion and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itself or the inner space ar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o that when the flow of electrolytic water occurs, the current flow Leakage can be reduced or blocked to provide a safe and efficient vehicle heating system.
  •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to which a vehicl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the vehicle CU shows a passenger sedan. Although not shown, the vehicle may include a wagon-type vehicle, a sports utility vehicle (SUV), a van, or a truck-type vehicle.
  • SUV sports utility vehicle
  • the vehicle CU may include an interior space CUI, for example, the interior space CUI may include a space in which a vehicle driver or a passenger is disposed.
  • the vehicle heating system 100 may be disposed in the vehicle CU, for example, inside the vehicle CU. As an optional embodiment, at least one area of the vehicle heating system 1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vehicle CU, and one area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CU.
  • Heat generated in the vehicle heating system 600 may be formed to be transferred to the interior space (CUI).
  • connection unit I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heating system 600 and the interior space (CUI).
  • the vehicle heating system 600 may be dispos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interior space space (CUI) when placed in the vehicle CU.
  • CUI interior space space
  • the vehicle heating system 60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CU. That is, it may be located behind the interior space (CUI) based o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CU).
  • CUI interior space
  • a vehicle heating system may be disposed below or above the interior space (CUI).
  • At least a part of the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may be arranged in a side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CUI).
  • a heating system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a vehicle (CU) to improve heating efficiency and operation control characteristics for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탑승자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대한 난방을 수행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으로서, 전해수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전해수와 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의 전해수가 상기 전극부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후 유출되어 전달되는 열수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난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본 발명은 차량용 난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기계, 전자 등의 다양한 기술을 이용한 제품이 개발되고 생산되고 있다. 또한, 이동 수단으로서 다양한 차량이 생산되고 있고, 새로운 컨셉을 갖는 다양한 타입의 차량들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이 설치되고, 예를들면 차량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 또는 차량 탑승자의 쾌적함을 위한 난방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운동 및 제어를 위한 다양한 부품들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바, 차량 난방을 위한 시스템을 위한 공간 활용이 용이하지 않다.
나아가, 내연 기관을 갖지 않는 차량, 예를들면 전기 자동차와 같은 경우에는 내연 기관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차량 난방을 위한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탑승자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대한 난방 수행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탑승자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대한 난방을 수행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으로서, 전해수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전해수와 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의 전해수가 상기 전극부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후 유출되어 전달되는 열수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상기 열수용부에서 발생한 열에 의하여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를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여 난방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열수용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열수용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해수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펌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난방 시스템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차량용 난방 시스템과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의 탑승자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난방을 수행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전해수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전해수와 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의 전해수가 상기 전극부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후 유출되어 전달되는 열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수용부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내연 기관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은 차량의 탑승자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대한 난방 수행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공급 유닛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의 본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의 본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의 일 구성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CU)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차량(CU)은 승용 세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량은 왜건형 차량,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승합차 또는 트럭형 차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CU)은 내부 공간(CUI)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내부 공간(CUI)은 차량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배치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100)은 차량(CU)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CU)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10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차량(CU)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일 영역은 차량(CU)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100)에서 발생한 열은 내부 공간(CUI)에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100)과 내부 공간(CUI)의 사이에 연결부(IL)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100)은 차량(CU)에 배치 시 내부 공간 공간(CUI)과 구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100)은 본체부(110), 전극부(120), 제1 유로부(101), 제2 유로부(102) 및 열수용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전극부(1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전해수(IL)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해수(IL)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전해수(IL)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전해질 용액 중 하나 이상이 적절하게 희석된 증류수, 여과수, 생수, 수돗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수(IL)에 포함된 전해질 물질로는 식용소다, 아산염, 규산염, 폴리 인산염의 무기질, 아민류, 옥시산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방청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본체부(1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전극부(1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극부(120)의 일단이 본체부(110)의 일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내의 전해수(IL)는 전극부(120)를 통하여 인가된 전류의 제어에 의하여 줄열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고, 본체부(110)내에서 가열된 전해수(IL)는 1차적인 열의 공급원이 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110)는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10)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체부(110)는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본체부(11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1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내부가 빈 형태로서 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극부(120)는 본체부(110)내의 전해수(IL)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120)는 복수 개의 전극(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극부(120)는 3상의 형태로서 삼각형, 구체적으로 정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배치된 3개의 전극(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극부(120)는 2상 형태로서 2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극부(120)의 각 전극(121, 122, 123)에는 전원이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 전극(121, 122, 123)에는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극(121, 122, 123)의 일 영역이 도전부(WL)와 연결될 수 있다. 도전부(WL)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일 수 있다.
또한, 도전부(WL)는 본체부(110)의 외부에 배치된 일 영역에 배치되어 전해수(IL)와 접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본체부(110)의 외부에서 각 전극(121, 122, 123)과 연결되도록 형성 수 있다.
제1 유로부(101)는 본체부(1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부(101)는 본체부(110)와 연결되어 본체부(110)로부터 전해수(IL)가 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에서 나온 전해수(IL), 예를들면 전극부(1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는 제1 유로부(101)를 통하여 열수용부(19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101)는 본체부(110)의 영역 중 상부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부"는 본체부(110)의 영역 중 지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체부(110)내에서 가열된 전해수(IL)가 용이하게 제1 유로부(101)로 유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유로부(101)가 본체부(110)의 하부 또는 일 측면의 영역에 연결될 수도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101)에 연결되도록 펌프부(PP)가 배치될 수 있다.
펌프부(PP)는 제1 유로부(101)를 통하여 본체부(110)내의 가열된 전해수(IL)가 용이하게 열수용부(190)로 전달되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펌프부(PP)의 제어를 통하여 제1 유로부(101)에서 열수용부(190)로 가열된 전해수(IL)의 전달시 전해수(IL)의 통과 수량 및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101)에 연결되도록 벤트부(VT)가 배치될 수 있다.
벤트부(VT)는 제1 유로부(101)를 통하여 본체부(110)내의 가열된 전해수(IL)가 열수용부(190)로 전달되는 중에,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전해수(IL)의 온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증기압을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반대로 필요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공기 유입을 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밸브 등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필요한 시기에 제1 유로부(101)의 증기압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펌프부(PP)와 열수용부(1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펌프부(PP)의 동작 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제1 유로부(101)에서의 전해수(IL)의 과도한 흐름 및 끓어오름으로 인한 압력 증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펌프부(PP)와 본체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유로부(10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유로부(101)는 전해수(IL)의 급격한 흐름 및 가열에 견디도록 내구성 및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101)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유로부(101)는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제1 유로부(101)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101)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101)의 영역 중 펌프부(PP) 및 벤트부(VT)와 연결된 영역의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부(102)는 본체부(1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부(102)는 본체부(110)와 연결되어 본체부(110)로 전해수(IL)가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에서 나온 전해수(IL), 예를들면 전극부(1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는 제1 유로부(101)를 통하여 열수용부(190)에 전달될 수 있다.
열수용부(190)에 수용되어 있던 전해수(IL)는 온도가 내려간, 즉 식은 상태의 전해수(IL)일 수 있고, 이러한 전해수(IL)는 제2 유로부(102)를 통하여 본체부(11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유로부(102)를 통하여 유입된 전해수(IL)는 전극부(120)에 의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어 다시 제1 유로부(101)를 통하여 열수용부(190)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102)는 본체부(110)의 영역 중 하부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하부"는 본체부(110)의 영역 중 상기 본체부(110)의 영역 중 제1 유로부(101)가 연결된 상면보다 지면에 더 가까운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유로부(102)가 본체부(110)의 상부 또는 일 측면의 영역에 연결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102)에 연결되도록 보충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충부(150)는 제2 유로부(102)에 연결되어 제2 유로부(102)로 전해수(IL)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보충부(150)는 별도로 구비된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급부로부터 전해수(IL)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보충부(150)는 제2 유로부(102)에 연결되어 제1 유로부(101)에 흐르는 전해수(IL)보다 낮은 온도의 전해수(IL)에 합류하도록 전해수(IL)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열된 전해수(IL)의 제1 유로부(101)에서의 급격한 추가 보충으로 인한 흘러 넘침이나 비정상적인 증기압 증가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2 유로부(1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유로부(102)는 전해수(IL)의 급격한 흐름 및 가열에 견디도록 내구성 및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102)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유로부(102)는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제2 유로부(102)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102)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102)의 영역 중 보충부(150)와 연결된 영역의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에서 전극부(120)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가 제1 유로부(101)로부터 전달되어 열수용부(190)에 수용될 수 있다.
열수용부(190)에 전달된 가열된 전해수(IL)는 열원으로서, 이러한 열원을 통하여 차량(CU)의 내부 공간(CUI)에 열을 공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IL)을 통하여 열을 내부 공간(CUI)에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 공기(OAR)가 차량용 난방 시스템(100)에 유입되고 열수용부(190)와 접하면서 데워지고, 이러한 데워진 가열 공기(HAR)가 내부 공간(CUI)로 공급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IL)를 통하여 내부 공간(CUI)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외부 공기(OAR)은 차량(CU)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 공기(OAR)의 유입을 가속하도록 하나 이상의 팬(fan)을 구비하는 팬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190)와 접하면서 데워진 가열 공기(HAR)를 효과적으로 내부 공간(CUI)으로 공급하도록 열수용부(19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팬(fan)을 구비하는 열공급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열수용부(19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열수용부(190)는 전해수(IL)의 급격한 흐름 및 가열에 견디도록 내구성 및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190)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열수용부(190)는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열수용부(19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19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140)가 배치되어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전해수(IL)의 가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온도 감지부(140)는 제2 유로부(102)에 연결되어 제2 유로부(102)를 통과하는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온도 감지부(140)는 제1 유로부(10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실시간으로 온도 감지부(140)는 제2 유로부(102)내의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140)는 제2 유로부(102)에 연결되어 제1 유로부(101)에 흐르는 가열된 전해수(IL)로 인한 온도 측정 정밀도 감소, 성능 약화 및 오동작이나 불량 발생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140)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냉각부(미도시)가 온도 감지부(14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130)는 전극부(120)의 각각의 전극(121, 122, 123)을 연결하는 도전부(WL)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130)는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전류의 실시간 제어를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확인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하여 전류 제어를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130)는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하여 전류 제어를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해수(IL)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40)와 연결될 수 있고, 온도 감지부(140)가 측정한 온도를 이용하여,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온도 감지부(140)가 측정한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상 설정 범위보다 낮추고, 온도 감지부(140)가 측정한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의 미만일 경우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상 설정 범위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이러한 정상 설정 범위보다 높게 또는 낮게 설정한 "감소 온도" 또는 "상승 온도"의 정보를 미리 설정한 값으로 갖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측정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에 대응하는 "증가폭" 및 "감소폭"에 따라 전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증가폭" 및 "감소폭"에 따라 변화시켜야 할 전류의 값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제어부(130)가 갖고 있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40)와 이격된 채, 통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4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4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40)와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류의 변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민감하고 신속한 제어를 위하여 반도체 릴레이(solid state relay, SSR)이와 같은 무접점 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130)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냉각부(미도시)가 제어부(13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제어부(130)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CU)의 내부 공간(CUI)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부(1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내부 공간(CUI)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콘트롤부(미도시)가 내부 공간(CUI)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콘트롤부를 통하여 제어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본체부 내에서 전극부의 전극에 인가된 전류의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는 제1 유로부를 통하여 열수용부에 전달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이러한 열수용부에 전달된 가열된 전해수를 지나치면서 열을 흡수하여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를 통하여 차량의 난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가열된 공기는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위치하는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내연 기관의 엔진을 통한 열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어 내연 기관이 없는 차량, 예를들면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열수용부의 전해수는 다시 본체부로 유입되어 전해수에 대한 가열 및 열수용부로의 전달 과정을 반복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에 대한 난방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하여 전극부에 대한 전류의 용이한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에 대한 안정적인 가열의 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대한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해수가 배치되는 본체부, 전해수가 전달되는 수용부의 공간, 제1 유로부와 제2 유로부 자체 또는 내측 공간을 절연 물질로 형성하여 전해수의 흐름이 발생 시 외부로 전류의 누출을 감소 또는 차단하여 안전하고 효율이 높은 차량의 난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미도시)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차량과 관련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200)에서 발생한 열은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머무르는 차량의 내부 공간에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200)과 차량의 사용자들이나 동승자가 머무르는 차량의 내부 공간의 사이에 연결부(IL)가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200)은 본체부(210), 전극부(220), 제1 유로부(201), 제2 유로부(202), 열수용부(280) 및 제1 팬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부(210)는 전극부(2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0)는 전해수(IL)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10)내의 전해수(IL)는 전극부(220)를 통하여 인가된 전류의 제어에 의하여 줄열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고, 본체부(210)내에서 가열된 전해수(IL)는 1차적인 열의 공급원이 될 수 있다.
전극부(220)는 본체부(210)내의 전해수(IL)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220)는 복수 개의 전극(221, 222, 2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극부(220)는 3상의 형태로서 삼각형, 구체적으로 정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배치된 3개의 전극(221, 222, 2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극부(220)는 2상 형태로서 2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극부(220)의 각 전극(221, 222, 223)에는 전원이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 전극(221, 222, 223)에는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극(221, 222, 223)의 일 영역이 도전부(WL)와 연결될 수 있다. 도전부(WL)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일 수 있다.
제1 유로부(201)는 본체부(2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부(201)는 본체부(210)와 연결되어 본체부(210)로부터 전해수(IL)가 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10)에서 나온 전해수(IL), 예를들면 전극부(2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는 제1 유로부(201)를 통하여 열수용부(28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201)에 연결되도록 펌프부(PP)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201)에 연결되도록 벤트부(VT)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밸브 등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필요한 시기에 제1 유로부(201)의 증기압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펌프부(PP)와 열수용부(2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펌프부(PP)와 본체부(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유로부(202)는 본체부(2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부(202)는 본체부(210)와 연결되어 본체부(210)로 전해수(IL)가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10)에서 나온 전해수(IL), 예를들면 전극부(2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는 제1 유로부(201)를 통하여 열수용부(280)에 전달될 수 있다.
열수용부(280)에 수용되어 있던 전해수(IL)는 온도가 내려간, 즉 식은 상태의 전해수(IL)일 수 있고, 이러한 전해수(IL)는 제2 유로부(202)를 통하여 본체부(21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유로부(202)를 통하여 유입된 전해수(IL)는 전극부(220)에 의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어 다시 제1 유로부(201)를 통하여 열수용부(280)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202)에 연결되도록 보충부(25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충부(250)는 제2 유로부(202)에 연결되어 제2 유로부(202)로 전해수(IL)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보충부(250)는 별도로 구비된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급부로부터 전해수(IL)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본체부(210)에서 전극부(220)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가 제1 유로부(201)로부터 전달되어 열수용부(280)에 수용될 수 있다.
열수용부(280)에 전달된 가열된 전해수(IL)는 열원으로서, 이러한 열원을 통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열을 공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IL)을 통하여 열을 내부 공간에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 공기(OAR)가 차량용 난방 시스템(200)에 유입되고 열수용부(280)와 접하면서 데워지고, 이러한 데워진 가열 공기(HAR)가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IL)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외부 공기(OAR)는 차량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외부 공기(OAR)의 유입을 가속하도록 하나 이상의 팬(fan)을 구비하는 제1 팬부(2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팬부(290)는 팬을 구동 및 제어하는 제어부 또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280)와 접하면서 데워진 가열 공기(HAR)를 효과적으로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열수용부(28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팬(fan)을 구비하는 열공급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열수용부(28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열수용부(280)는 전해수(IL)의 급격한 흐름 및 가열에 견디도록 내구성 및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280)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열수용부(280)는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열수용부(28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28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240)가 배치되어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전해수(IL)의 가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온도 감지부(240)는 제2 유로부(202)에 연결되어 제2 유로부(202)를 통과하는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온도 감지부(240)는 제1 유로부(20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실시간으로 온도 감지부(240)는 제2 유로부(202)내의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240)는 제2 유로부(202)에 연결되어 제1 유로부(201)에 흐르는 가열된 전해수(IL)로 인한 온도 측정 정밀도 감소, 성능 약화 및 오동작이나 불량 발생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240)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냉각부(미도시)가 온도 감지부(24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극부(2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230)는 전극부(220)의 각각의 전극(221, 222, 223)을 연결하는 도전부(WL)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230)는 전극부(220)에 인가되는 전류의 실시간 제어를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30)는 전극부(2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확인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하여 전류 제어를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230)는 전극부(2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하여 전류 제어를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해수(IL)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230)는 온도 감지부(240)와 연결될 수 있고, 온도 감지부(240)가 측정한 온도를 이용하여, 전극부(2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온도 감지부(240)가 측정한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극부(2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상 설정 범위보다 낮추고, 온도 감지부(240)가 측정한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의 미만일 경우 전극부(2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상 설정 범위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30)는 이러한 정상 설정 범위보다 높게 또는 낮게 설정한 "감소 온도" 또는 "상승 온도"의 정보를 미리 설정한 값으로 갖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230)는 측정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에 대응하는 "증가폭" 및 "감소폭"에 따라 전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증가폭" 및 "감소폭"에 따라 변화시켜야 할 전류의 값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제어부(230)가 갖고 있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230)는 온도 감지부(240)와 이격된 채, 통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230)는 온도 감지부(24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온도 감지부(24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230)는 온도 감지부(240)와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류의 변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민감하고 신속한 제어를 위하여 반도체 릴레이(solid state relay, SSR)이와 같은 무접점 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230)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냉각부(미도시)가 제어부(23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제어부(230)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내부 공간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부(2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제어부(2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콘트롤부(미도시)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콘트롤부를 통하여 제어부(2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본체부 내에서 전극부의 전극에 인가된 전류의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는 제1 유로부를 통하여 열수용부에 전달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이러한 열수용부에 전달된 가열된 전해수를 지나치면서 열을 흡수하여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를 통하여 차량의 난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가열된 공기는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위치하는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팬부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용이하게 유입하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외부 공기를 열수용부 방향으로 전달하여 차량 난방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내연 기관의 엔진을 통한 열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어 내연 기관이 없는 차량, 예를들면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열수용부의 전해수는 다시 본체부로 유입되어 전해수에 대한 가열 및 열수용부로의 전달 과정을 반복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에 대한 난방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하여 전극부에 대한 전류의 용이한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에 대한 안정적인 가열의 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대한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해수가 배치되는 본체부, 전해수가 전달되는 수용부의 공간, 제1 유로부와 제2 유로부 자체 또는 내측 공간을 절연 물질로 형성하여 전해수의 흐름이 발생 시 외부로 전류의 누출을 감소 또는 차단하여 안전하고 효율이 높은 차량의 난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미도시)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차량과 관련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300)에서 발생한 열은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머무르는 차량의 내부 공간에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300)과 차량의 사용자들이나 동승자가 머무르는 차량의 내부 공간의 사이에 연결부(IL)가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300)은 본체부(310), 전극부(320), 제1 유로부(301), 제2 유로부(302), 열수용부(380) 및 제2 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부(310)는 전극부(3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10)는 전해수(IL)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310)내의 전해수(IL)는 전극부(320)를 통하여 인가된 전류의 제어에 의하여 줄열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고, 본체부(310)내에서 가열된 전해수(IL)는 1차적인 열의 공급원이 될 수 있다.
전극부(320)는 본체부(310)내의 전해수(IL)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320)는 복수 개의 전극(321, 322, 3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극부(320)는 3상의 형태로서 삼각형, 구체적으로 정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배치된 3개의 전극(321, 322, 3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극부(320)는 2상 형태로서 2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극부(320)의 각 전극(321, 322, 323)에는 전원이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 전극(321, 322, 323)에는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극(321, 322, 323)의 일 영역이 도전부(WL)와 연결될 수 있다. 도전부(WL)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일 수 있다.
제1 유로부(301)는 본체부(3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부(301)는 본체부(310)와 연결되어 본체부(310)로부터 전해수(IL)가 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310)에서 나온 전해수(IL), 예를들면 전극부(3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는 제1 유로부(301)를 통하여 열수용부(38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301)에 연결되도록 펌프부(PP)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301)에 연결되도록 벤트부(VT)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밸브 등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필요한 시기에 제1 유로부(301)의 증기압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펌프부(PP)와 열수용부(3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펌프부(PP)와 본체부(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유로부(302)는 본체부(3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부(302)는 본체부(310)와 연결되어 본체부(310)로 전해수(IL)가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310)에서 나온 전해수(IL), 예를들면 전극부(3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는 제1 유로부(301)를 통하여 열수용부(380)에 전달될 수 있다.
열수용부(380)에 수용되어 있던 전해수(IL)는 온도가 내려간, 즉 식은 상태의 전해수(IL)일 수 있고, 이러한 전해수(IL)는 제2 유로부(302)를 통하여 본체부(31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유로부(302)를 통하여 유입된 전해수(IL)는 전극부(320)에 의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어 다시 제1 유로부(301)를 통하여 열수용부(380)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302)에 연결되도록 보충부(35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충부(350)는 제2 유로부(302)에 연결되어 제2 유로부(302)로 전해수(IL)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보충부(350)는 별도로 구비된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급부로부터 전해수(IL)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본체부(310)에서 전극부(320)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가 제1 유로부(301)로부터 전달되어 열수용부(380)에 수용될 수 있다.
열수용부(380)에 전달된 가열된 전해수(IL)는 열원으로서, 이러한 열원을 통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열을 공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IL)을 통하여 열을 내부 공간에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 공기(OAR)가 차량용 난방 시스템(300)에 유입되고 열수용부(380)와 접하면서 데워지고, 이러한 데워진 가열 공기(HAR)가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IL)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외부 공기(OAR)는 차량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 공기(OAR)의 유입을 가속하도록 하나 이상의 팬(fan)을 구비하는 팬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팬부(390)는 열수용부(380)와 인접하도록, 예를들면 열수용부(380)의 일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팬부(390)는 가열 공기(HAR)를 효과적으로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팬부(390)는 하나 이상의 팬(fan)을 구비할 수 있다.
열수용부(38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열수용부(380)는 전해수(IL)의 급격한 흐름 및 가열에 견디도록 내구성 및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380)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열수용부(380)는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열수용부(38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38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340)가 배치되어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전해수(IL)의 가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온도 감지부(340)는 제2 유로부(302)에 연결되어 제2 유로부(302)를 통과하는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온도 감지부(340)는 제1 유로부(30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실시간으로 온도 감지부(340)는 제2 유로부(302)내의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340)는 제2 유로부(302)에 연결되어 제1 유로부(301)에 흐르는 가열된 전해수(IL)로 인한 온도 측정 정밀도 감소, 성능 약화 및 오동작이나 불량 발생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340)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냉각부(미도시)가 온도 감지부(34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전극부(3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330)는 전극부(320)의 각각의 전극(321, 322, 323)을 연결하는 도전부(WL)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330)는 전극부(320)에 인가되는 전류의 실시간 제어를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30)는 전극부(3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확인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하여 전류 제어를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330)는 전극부(3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하여 전류 제어를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해수(IL)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330)는 온도 감지부(340)와 연결될 수 있고, 온도 감지부(340)가 측정한 온도를 이용하여, 전극부(3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온도 감지부(340)가 측정한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극부(3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상 설정 범위보다 낮추고, 온도 감지부(340)가 측정한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의 미만일 경우 전극부(3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상 설정 범위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30)는 이러한 정상 설정 범위보다 높게 또는 낮게 설정한 "감소 온도" 또는 "상승 온도"의 정보를 미리 설정한 값으로 갖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330)는 측정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에 대응하는 "증가폭" 및 "감소폭"에 따라 전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증가폭" 및 "감소폭"에 따라 변화시켜야 할 전류의 값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제어부(330)가 갖고 있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330)는 온도 감지부(340)와 이격된 채, 통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330)는 온도 감지부(34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온도 감지부(34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330)는 온도 감지부(340)와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전류의 변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민감하고 신속한 제어를 위하여 반도체 릴레이(solid state relay, SSR)이와 같은 무접점 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330)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냉각부(미도시)가 제어부(33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제어부(330)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내부 공간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부(3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제어부(3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콘트롤부(미도시)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콘트롤부를 통하여 제어부(3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본체부 내에서 전극부의 전극에 인가된 전류의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는 제1 유로부를 통하여 열수용부에 전달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이러한 열수용부에 전달된 가열된 전해수를 지나치면서 열을 흡수하여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를 통하여 차량의 난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가열된 공기는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위치하는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 팬부는 열수용부를 통하여 가열된 가열 공기가 효과적으로 차량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차량의 난방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내연 기관의 엔진을 통한 열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어 내연 기관이 없는 차량, 예를들면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열수용부의 전해수는 다시 본체부로 유입되어 전해수에 대한 가열 및 열수용부로의 전달 과정을 반복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에 대한 난방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하여 전극부에 대한 전류의 용이한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에 대한 안정적인 가열의 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대한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해수가 배치되는 본체부, 전해수가 전달되는 수용부의 공간, 제1 유로부와 제2 유로부 자체 또는 내측 공간을 절연 물질로 형성하여 전해수의 흐름이 발생 시 외부로 전류의 누출을 감소 또는 차단하여 안전하고 효율이 높은 차량의 난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미도시)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차량과 관련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400)에서 발생한 열은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머무르는 차량의 내부 공간에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400)과 차량의 사용자들이나 동승자가 머무르는 차량의 내부 공간의 사이에 연결부(IL)가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400)은 본체부(410), 전극부(420), 제1 유로부(401), 제2 유로부(402), 열수용부(480) 및 제3 팬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부(410)는 전극부(4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410)는 전해수(IL)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410)내의 전해수(IL)는 전극부(420)를 통하여 인가된 전류의 제어에 의하여 줄열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고, 본체부(410)내에서 가열된 전해수(IL)는 1차적인 열의 공급원이 될 수 있다.
전극부(420)는 본체부(410)내의 전해수(IL)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420)는 복수 개의 전극(421, 422, 4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극부(420)는 3상의 형태로서 삼각형, 구체적으로 정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배치된 3개의 전극(421, 422, 4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극부(420)는 2상 형태로서 2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극부(420)의 각 전극(421, 422, 423)에는 전원이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 전극(421, 422, 423)에는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극(421, 422, 423)의 일 영역이 도전부(WL)와 연결될 수 있다. 도전부(WL)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일 수 있다.
제1 유로부(401)는 본체부(4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부(401)는 본체부(410)와 연결되어 본체부(410)로부터 전해수(IL)가 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410)에서 나온 전해수(IL), 예를들면 전극부(4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는 제1 유로부(401)를 통하여 열수용부(48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401)에 연결되도록 펌프부(PP)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401)에 연결되도록 벤트부(VT)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밸브 등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필요한 시기에 제1 유로부(401)의 증기압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펌프부(PP)와 열수용부(4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펌프부(PP)와 본체부(410)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유로부(402)는 본체부(4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부(402)는 본체부(410)와 연결되어 본체부(410)로 전해수(IL)가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410)에서 나온 전해수(IL), 예를들면 전극부(4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는 제1 유로부(401)를 통하여 열수용부(480)에 전달될 수 있다.
열수용부(480)에 수용되어 있던 전해수(IL)는 온도가 내려간, 즉 식은 상태의 전해수(IL)일 수 있고, 이러한 전해수(IL)는 제2 유로부(402)를 통하여 본체부(41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유로부(402)를 통하여 유입된 전해수(IL)는 전극부(420)에 의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어 다시 제1 유로부(401)를 통하여 열수용부(480)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402)에 연결되도록 보충부(45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충부(450)는 제2 유로부(402)에 연결되어 제2 유로부(402)로 전해수(IL)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보충부(450)는 별도로 구비된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급부로부터 전해수(IL)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본체부(410)에서 전극부(420)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가 제1 유로부(401)로부터 전달되어 열수용부(480)에 수용될 수 있다.
열수용부(480)에 전달된 가열된 전해수(IL)는 열원으로서, 이러한 열원을 통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열을 공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IL)을 통하여 열을 내부 공간에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 공기(OAR)가 차량용 난방 시스템(400)에 유입되고 열수용부(480)와 접하면서 데워지고, 이러한 데워진 가열 공기(HAR)가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IL)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외부 공기(OAR)는 차량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 공기(OAR)의 유입을 가속하도록 하나 이상의 팬(fan)을 구비하는 팬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3 팬부(490)는 열수용부(480)와 인접하도록, 예를들면 열수용부(480)의 일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3 팬부(490)는 열수용부(480)와 연결부(IL)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팬부(490)의 일 영역은 열수용부(480)와 접하거나 연결부(IL)과 접할 수 있다.
제3 팬부(490)는 가열 공기(HAR)를 효과적으로 연결부(IL)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열 공기(HAR)가 불필요하게 방출되거나 차량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감소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대한 난방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제3 팬부(490)는 하나 이상의 팬(fan)을 구비할 수 있다.
열수용부(48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열수용부(480)는 전해수(IL)의 급격한 흐름 및 가열에 견디도록 내구성 및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480)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열수용부(480)는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열수용부(48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48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440)가 배치되어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전해수(IL)의 가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온도 감지부(440)는 제2 유로부(402)에 연결되어 제2 유로부(402)를 통과하는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온도 감지부(440)는 제1 유로부(40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실시간으로 온도 감지부(440)는 제2 유로부(402)내의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440)는 제2 유로부(402)에 연결되어 제1 유로부(401)에 흐르는 가열된 전해수(IL)로 인한 온도 측정 정밀도 감소, 성능 약화 및 오동작이나 불량 발생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440)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냉각부(미도시)가 온도 감지부(44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전극부(4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430)는 전극부(420)의 각각의 전극(421, 422, 423)을 연결하는 도전부(WL)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430)는 전극부(420)에 인가되는 전류의 실시간 제어를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30)는 전극부(4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확인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하여 전류 제어를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430)는 전극부(4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하여 전류 제어를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해수(IL)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430)는 온도 감지부(440)와 연결될 수 있고, 온도 감지부(440)가 측정한 온도를 이용하여, 전극부(4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온도 감지부(440)가 측정한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극부(4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상 설정 범위보다 낮추고, 온도 감지부(440)가 측정한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의 미만일 경우 전극부(4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상 설정 범위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30)는 이러한 정상 설정 범위보다 높게 또는 낮게 설정한 "감소 온도" 또는 "상승 온도"의 정보를 미리 설정한 값으로 갖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430)는 측정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에 대응하는 "증가폭" 및 "감소폭"에 따라 전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증가폭" 및 "감소폭"에 따라 변화시켜야 할 전류의 값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제어부(430)가 갖고 있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430)는 온도 감지부(440)와 이격된 채, 통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430)는 온도 감지부(44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어부(430)는 온도 감지부(44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430)는 온도 감지부(440)와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전류의 변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민감하고 신속한 제어를 위하여 반도체 릴레이(solid state relay, SSR)이와 같은 무접점 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430)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냉각부(미도시)가 제어부(43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제어부(430)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내부 공간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부(4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제어부(4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콘트롤부(미도시)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콘트롤부를 통하여 제어부(4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본체부 내에서 전극부의 전극에 인가된 전류의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는 제1 유로부를 통하여 열수용부에 전달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이러한 열수용부에 전달된 가열된 전해수를 지나치면서 열을 흡수하여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를 통하여 차량의 난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가열된 공기는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위치하는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3 팬부는 열수용부를 통하여 가열된 가열 공기가 차량의 외부 또는 차량용 난방 장치 내에서 원하지 않게 이동하는 것을 감소하고 가열 공기가 연결부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의 난방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내연 기관의 엔진을 통한 열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어 내연 기관이 없는 차량, 예를들면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열수용부의 전해수는 다시 본체부로 유입되어 전해수에 대한 가열 및 열수용부로의 전달 과정을 반복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에 대한 난방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하여 전극부에 대한 전류의 용이한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에 대한 안정적인 가열의 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대한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해수가 배치되는 본체부, 전해수가 전달되는 수용부의 공간, 제1 유로부와 제2 유로부 자체 또는 내측 공간을 절연 물질로 형성하여 전해수의 흐름이 발생 시 외부로 전류의 누출을 감소 또는 차단하여 안전하고 효율이 높은 차량의 난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공급 유닛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의 본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의 본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7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의 일 구성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CU)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차량(CU)은 승용 세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량은 왜건형 차량,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승합차 또는 트럭형 차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CU)은 내부 공간(CUI)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내부 공간(CUI)은 차량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배치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500)은 차량(CU)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CU)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50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차량(CU)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일 영역은 차량(CU)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500)에서 발생한 열은 내부 공간(CUI)에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500)과 내부 공간(CUI)의 사이에 연결부(IL)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500)은 차량(CU)에 배치 시 내부 공간 공간(CUI)과 구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500)은 본체부(510), 전극부(520), 제1 유로부(501), 제2 유로부(502) 및 열전달 유닛(5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10)는 전극부(5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10)는 전해수(IL)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해수(IL)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전해수(IL)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전해질 용액 중 하나 이상이 적절하게 희석된 증류수, 여과수, 생수, 수돗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수(IL)에 포함된 전해질 물질로는 식용소다, 아산염, 규산염, 폴리 인산염의 무기질, 아민류, 옥시산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방청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본체부(5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전극부(5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극부(520)의 일단이 본체부(510)의 일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510)내의 전해수(IL)는 전극부(520)를 통하여 인가된 전류의 제어에 의하여 줄열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고, 본체부(510)내에서 가열된 전해수(IL)는 1차적인 열의 공급원이 될 수 있다.
본체부(51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510)는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510)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체부(510)는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본체부(51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510)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내부가 빈 형태로서 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부(510)는 볼록한 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절연층(TF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부(510')는 내부층(511') 및 외형층(512')을 포함할 수 있다.
외형층(512')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형층(512')은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층(511')은 절연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내부층(511')은 절연성 테프론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내부층(511')은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내부층(511')은 본체부(510')의 외형층(512')의 전체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전극부(520)는 본체부(510)내의 전해수(IL)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520)는 복수 개의 전극(521, 522, 5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극부(520)는 3상의 형태로서 삼각형, 구체적으로 정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배치된 3개의 전극(521, 522, 5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극부(520)는 2상 형태로서 2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극부(520)의 각 전극(521, 522, 523)에는 전원이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 전극(521, 522, 523)에는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극(521, 522, 523)의 일 영역이 도전부(WL)와 연결될 수 있다. 도전부(WL)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일 수 있다.
또한, 도전부(WL)는 본체부(510)의 외부에 배치된 일 영역에 배치되어 전해수(IL)와 접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본체부(510)의 외부에서 각 전극(521, 522, 523)과 연결되도록 형성 수 있다.
제1 유로부(501)는 본체부(5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부(501)는 본체부(510)와 연결되어 본체부(510)로부터 전해수(IL)가 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510)에서 나온 전해수(IL), 예를들면 전극부(5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는 제1 유로부(501)를 통하여 열전달 유닛(59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501)는 본체부(510)의 영역 중 상부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부"는 본체부(510)의 영역 중 지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체부(510)내에서 가열된 전해수(IL)가 용이하게 제1 유로부(501)로 유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유로부(501)가 본체부(510)의 하부 또는 일 측면의 영역에 연결될 수도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501)에 연결되도록 펌프부(PP)가 배치될 수 있다.
펌프부(PP)는 제1 유로부(501)를 통하여 본체부(510)내의 가열된 전해수(IL)가 용이하게 열전달 유닛(590)으로 전달되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펌프부(PP)의 제어를 통하여 제1 유로부(501)에서 열전달 유닛(590)으로 가열된 전해수(IL)의 전달시 전해수(IL)의 통과 수량 및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501)에 연결되도록 벤트부(VT)가 배치될 수 있다.
벤트부(VT)는 제1 유로부(501)를 통하여 본체부(510)내의 가열된 전해수(IL)가 열전달 유닛(590)으로 전달되는 중에,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전해수(IL)의 온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증기압을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반대로 필요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공기 유입을 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밸브 등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필요한 시기에 제1 유로부(501)의 증기압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펌프부(PP)와 열전달 유닛(5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펌프부(PP)의 동작 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제1 유로부(501)에서의 전해수(IL)의 과도한 흐름 및 끓어오름으로 인한 압력 증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벤트부(VT)는 펌프부(PP)와 본체부(510)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유로부(50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유로부(501)는 전해수(IL)의 급격한 흐름 및 가열에 견디도록 내구성 및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501)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유로부(501)는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제1 유로부(501)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501)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501)의 영역 중 펌프부(PP) 및 벤트부(VT)와 연결된 영역의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유로부(501)는 외형층(501a') 및 내부층(501b')을 포함할 수 있다.
외형층(501a')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형층(501a')은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층(501b')은 절연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내부층(501b')은 절연성 테프론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내부층(501b')은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유로부(501)의 외형층(501a')의 전체의 내측면에 내부층(501b')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내부층(501b')은 선택적 실시예로서 펌프부(PP)와 연결되는 제1 유로부(501)의 내측 영역 및 벤트부(VT)와 연결되는 내측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유로부(501)에 존재하는 전해수(IL)가 내부층(501b')과 접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전해수(IL)에 대한 전기적 효율 및 열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전류의 누설로 인한 위험을 감소할 수 있다.
제2 유로부(502)는 본체부(5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부(502)는 본체부(510)와 연결되어 본체부(510)로 전해수(IL)가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510)에서 나온 전해수(IL), 예를들면 전극부(5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는 제1 유로부(501)를 통하여 열전달 유닛(590)에 전달될 수 있다.
열전달 유닛(590)에 수용되어 있던 전해수(IL)는 온도가 내려간, 즉 식은 상태의 전해수(IL)일 수 있고, 이러한 전해수(IL)는 제2 유로부(502)를 통하여 본체부(51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유로부(502)를 통하여 유입된 전해수(IL)는 전극부(520)에 의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어 다시 제1 유로부(501)를 통하여 열전달 유닛(590)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502)는 본체부(510)의 영역 중 하부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하부"는 본체부(510)의 영역 중 상기 본체부(510)의 영역 중 제1 유로부(501)가 연결된 상면보다 지면에 더 가까운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유로부(502)가 본체부(510)의 상부 또는 일 측면의 영역에 연결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502)에 연결되도록 보충부(55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충부(550)는 제2 유로부(502)에 연결되어 제2 유로부(502)로 전해수(IL)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보충부(550)는 별도로 구비된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급부로부터 전해수(IL)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보충부(550)는 제2 유로부(502)에 연결되어 제1 유로부(501)에 흐르는 전해수(IL)보다 낮은 온도의 전해수(IL)에 합류하도록 전해수(IL)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열된 전해수(IL)의 제1 유로부(501)에서의 급격한 추가 보충으로 인한 흘러 넘침이나 비정상적인 증기압 증가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2 유로부(5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유로부(502)는 전해수(IL)의 급격한 흐름 및 가열에 견디도록 내구성 및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502)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유로부(502)는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제2 유로부(502)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502)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유로부(502)의 영역 중 보충부(550)와 연결된 영역의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10)에서 전극부(520)에 의하여 가열된 전해수(IL)가 제1 유로부(501)로부터 전달되어 열전달 유닛(590)에 수용될 수 있다.
열전달 유닛(590)에 전달된 가열된 전해수(IL)는 열원으로서, 이러한 열원을 통하여 차량(CU)의 내부 공간(CUI)에 열을 공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IL)을 통하여 열을 내부 공간(CUI)에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 공기(OAR)가 차량용 난방 시스템(500)에 유입되고 열전달 유닛(590)와 접하면서 데워지고, 이러한 데워진 가열 공기(HAR)가 내부 공간(CUI)으로 공급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IL)를 통하여 내부 공간(CUI)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외부 공기(OAR)은 차량(CU)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 공기(OAR)의 유입을 가속하도록 하나 이상의 팬(fan)을 구비하는 팬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전달 유닛(590)과 접하면서 데워진 가열 공기(HAR)를 효과적으로 내부 공간(CUI)으로 공급하도록 열전달 유닛(590)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팬(fan)을 구비하는 열공급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열전달 유닛(590')은 열수용부(595') 및팬부(591')을 포함할 수 있다.
열수용부(595')는 본체부(510)에서 가열된 전해수(IL)가 전달되는 곳이고, 이러한 가열된 전해수(IL)와 외부 공기가 접하는 영역을 증가하도록, 열수용부(595')는 그 형태가 다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595')는 하나 이상의 굴절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회로 굴절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열수용부(595')는 표면적을 증가하도록 주름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팬부(591')은 열수용부(595')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외부 공기가 열수용부(595')를 통하여 가열된 후, 가열 공기(HAR)가 연결부(IL)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CUI)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열전달 유닛(590')은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 내에 열수용부(595')와 팬부(591')이 수용될 수 있다.
열수용부(595')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열수용부(595')은 전해수(IL)의 급격한 흐름 및 가열에 견디도록 내구성 및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595')은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열수용부(595')은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열수용부(595')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수용부(595')의 면 중 전해수(IL)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540)가 배치되어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전해수(IL)의 가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온도 감지부(540)는 제2 유로부(502)에 연결되어 제2 유로부(502)를 통과하는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온도 감지부(540)는 제1 유로부(50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실시간으로 온도 감지부(540)는 제2 유로부(502)내의 전해수(IL)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540)는 제2 유로부(502)에 연결되어 제1 유로부(501)에 흐르는 가열된 전해수(IL)로 인한 온도 측정 정밀도 감소, 성능 약화 및 오동작이나 불량 발생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감지부(540)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냉각부(미도시)가 온도 감지부(54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전극부(5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530)는 전극부(520)의 각각의 전극(521, 522, 523)을 연결하는 도전부(WL)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530)는 전극부(520)에 인가되는 전류의 실시간 제어를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30)는 전극부(5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확인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하여 전류 제어를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530)는 전극부(5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하여 전류 제어를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해수(IL)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530)는 온도 감지부(540)와 연결될 수 있고, 온도 감지부(540)가 측정한 온도를 이용하여, 전극부(5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온도 감지부(540)가 측정한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극부(5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상 설정 범위보다 낮추고, 온도 감지부(540)가 측정한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의 미만일 경우 전극부(5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상 설정 범위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30)는 이러한 정상 설정 범위보다 높게 또는 낮게 설정한 "감소 온도" 또는 "상승 온도"의 정보를 미리 설정한 값으로 갖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530)는 측정 온도가 정상 설정 범위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에 대응하는 "증가폭" 및 "감소폭"에 따라 전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증가폭" 및 "감소폭"에 따라 변화시켜야 할 전류의 값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제어부(530)가 갖고 있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530)는 온도 감지부(540)와 이격된 채, 통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530)는 온도 감지부(54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어부(530)는 온도 감지부(54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530)는 온도 감지부(540)와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전류의 변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민감하고 신속한 제어를 위하여 반도체 릴레이(solid state relay, SSR)이와 같은 무접점 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530)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냉각부(미도시)가 제어부(53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제어부(530)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CU)의 내부 공간(CUI)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부(5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내부 공간(CUI)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제어부(5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콘트롤부(미도시)가 내부 공간(CUI)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콘트롤부를 통하여 제어부(5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본체부 내에서 전극부의 전극에 인가된 전류의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는 제1 유로부를 통하여 열수용부에 전달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이러한 열수용부에 전달된 가열된 전해수를 지나치면서 열을 흡수하여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를 통하여 차량의 난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가열된 공기는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위치하는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내연 기관의 엔진을 통한 열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어 내연 기관이 없는 차량, 예를들면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열수용부의 전해수는 다시 본체부로 유입되어 전해수에 대한 가열 및 열수용부로의 전달 과정을 반복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에 대한 난방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하여 전극부에 대한 전류의 용이한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에 대한 안정적인 가열의 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에 대한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해수가 배치되는 본체부, 전해수가 전달되는 수용부의 공간, 제1 유로부와 제2 유로부 자체 또는 내측 공간을 절연 물질로 형성하여 전해수의 흐름이 발생 시 외부로 전류의 누출을 감소 또는 차단하여 안전하고 효율이 높은 차량의 난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난방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CU)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차량(CU)은 승용 세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량은 왜건형 차량,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승합차 또는 트럭형 차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CU)은 내부 공간(CUI)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내부 공간(CUI)은 차량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배치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100)은 차량(CU)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CU)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10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차량(CU)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일 영역은 차량(CU)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차량용 난방 시스템(600)에서 발생한 열은 내부 공간(CUI)에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600)과 내부 공간(CUI)의 사이에 연결부(IL)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용 난방 시스템(600)은 차량(CU)에 배치 시 내부 공간 공간(CUI)과 구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차량용 난방 시스템(600)은 차량(CU)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차량(CU)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내부 공간(CUI)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내부 공간(CUI)의 하부 또는 상부에 차량용 난방 시스템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부피를 고려하여 배치와 외형에 대한 조건을 설계하여 내부 공간(CUI)의 측면부에 차량용 난방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CU)에 다양한 방법으로 난방 시스템을 구현하여 차량에 대한 난방 효율성 및 작동 제어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차량의 탑승자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대한 난방을 수행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으로서,
    전해수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전해수와 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의 전해수가 상기 전극부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후 유출되어 전달되는 열수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상기 열수용부에서 발생한 열에 의하여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를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여 난방을 진행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열수용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열수용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해수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펌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난방 시스템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차량용 난방 시스템과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
  6. 차량의 탑승자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난방을 수행하는 차량용 난방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난방 시스템은 전해수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전해수와 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의 전해수가 상기 전극부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열된 후 유출되어 전달되는 열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수용부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내연 기관을 구비하지 않는 차량.
PCT/KR2019/014735 2018-11-02 2019-11-01 차량용 난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2009151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72444.7A CN112996681A (zh) 2018-11-02 2019-11-01 车辆用供暖系统及包括其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846A KR102197715B1 (ko) 2018-11-02 2018-11-02 차량용 난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8-0133846 2018-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517A1 true WO2020091517A1 (ko) 2020-05-07

Family

ID=7046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4735 WO2020091517A1 (ko) 2018-11-02 2019-11-01 차량용 난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97715B1 (ko)
CN (1) CN112996681A (ko)
WO (1) WO202009151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6802A (ja) * 1995-07-31 1997-02-14 Nippon Soken Inc 電気自動車用暖房装置
JP2002283836A (ja) * 2001-03-26 2002-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電池車両の空気調和装置、および、燃料電池車両の空気調和方法
KR20110061986A (ko) * 2009-12-02 2011-06-10 황보기철 전기아크 반응장치를 이용한 온수온풍기
KR20140099656A (ko) * 2013-02-04 2014-08-13 주식회사 브이비엠 이온전극 열원장치를 이용한 난방장치
KR101700065B1 (ko) * 2016-05-31 2017-01-25 김인호 흡기 배기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를 구비한 전극보일러 제어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극보일러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3416A (zh) * 2010-04-30 2010-09-0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燃气采暖系统
KR20130038594A (ko) * 2011-10-10 2013-04-18 동아전장주식회사 차량의 난방 시스템
JP6469119B2 (ja) * 2014-02-03 2019-02-13 フィナジー リミテッド 車両を加熱するための熱バッテリ
JP2015232423A (ja) * 2014-06-10 2015-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熱装置及び過冷却解除方法
CN106828022B (zh) * 2017-03-08 2023-11-14 四川航勰汽车空调有限公司 纯电动汽车热管理系统以及空调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6802A (ja) * 1995-07-31 1997-02-14 Nippon Soken Inc 電気自動車用暖房装置
JP2002283836A (ja) * 2001-03-26 2002-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電池車両の空気調和装置、および、燃料電池車両の空気調和方法
KR20110061986A (ko) * 2009-12-02 2011-06-10 황보기철 전기아크 반응장치를 이용한 온수온풍기
KR20140099656A (ko) * 2013-02-04 2014-08-13 주식회사 브이비엠 이온전극 열원장치를 이용한 난방장치
KR101700065B1 (ko) * 2016-05-31 2017-01-25 김인호 흡기 배기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를 구비한 전극보일러 제어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극보일러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90A (ko) 2020-05-12
KR102197715B1 (ko) 2020-12-31
CN112996681A (zh)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03391A1 (ko) 전극 보일러 시스템
WO2020145718A1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WO2018182117A1 (ko) 모터
WO2021157873A1 (ko) 냉각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53560A1 (ko) 인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버터 패널
WO2019045222A1 (ko) 유동 발생장치
WO2021177577A1 (ko) 씰링 부재가 구비된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가 결합된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19240516A2 (ko) 게이트 밸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0091517A1 (ko) 차량용 난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8147490A1 (ko) 유압식 브레이커, 스크래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스크래치 모니터링 방법
WO2022071729A1 (ko) 전극 보일러 시스템
WO2022086155A1 (ko) 전극 보일러 디바이스
WO2022173213A1 (ko) 전극 기반 가열 디바이스
WO2020153559A1 (ko) 인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WO2019221491A1 (ko) 유동 발생장치
WO2022270974A1 (ko) 유체 및 열교환 영역을 감싸는 이온수 배치 구조의 가열 디바이스
WO2022097854A1 (en) Block type vehicle body assembly structure
WO2023120916A1 (ko) 덕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모듈
WO2023171907A1 (ko) 유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WO2023219187A1 (ko) 양면 냉각형 전력반도체 패키지
WO2023120915A1 (ko) 전력 변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WO2022098217A1 (ko) 단락 조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WO2024039087A1 (ko) 결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전자기기
WO2023075477A1 (ko) 조리기기
WO2024111900A1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99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XXXX DATED DD/MM/YYYY)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99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