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80795A1 -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80795A1
WO2020080795A1 PCT/KR2019/013509 KR2019013509W WO2020080795A1 WO 2020080795 A1 WO2020080795 A1 WO 2020080795A1 KR 2019013509 W KR2019013509 W KR 2019013509W WO 2020080795 A1 WO2020080795 A1 WO 20200807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eceptor
group
compound represented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350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은정
손의동
강영규
김형준
이태룡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2268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327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CN201980068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867479A/zh
Priority to US17/285,750 priority patent/US20220000816A1/en
Publication of WO20200807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807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a mineral corticoid receptor.
  • the present inventors continued to study substances derived from asthma which can prevent or treat mental stress-related diseases, and cortisol with an increased concentration in the epidermis in the context of mental stress, binds to the mineralcorticoid receptor and binds to the skin barrier It was confirmed that the function was reduced.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skin barrier funct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henomenon caused by other causes (eg, physical injury or aging) not caused by mental stres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compound extracted from pine needles interfered with the degree of increased concentration in the epidermis to bind to the mineralcorticoid receptors,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 One embodimen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apable of shortening the recovery time of the barrier function of the stratum corneum by inhibiting the activity of the mineral corticoid receptor activated by the binding of cortisol, which is a factor that deteriorates skin barrier function due to mental stress Will do.
  •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a mineral corticoid receptor compri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20 alkyl group.
  •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an unsubstituted C1 to C20 alkyl group, R 3 is a substituted C1 to C20 alkyl group, and R 4 may be a hydrogen atom.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may be a pine needle extract.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may inhibit the binding of cortisol to the mineralcorticoid receptor.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may be included in a concentration range of 0.01 ⁇ g / ml to 1,000 ⁇ g / ml.
  • the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gene expression level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and the mineralcorticoid receptor.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activity of the mineral corticoid receptor through the Luciferase promoter assay.
  • Improve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at cortisol having an increased concentration in the epidermis due to mental stress is inhibited to bind to the mineral corticoid receptor, thereby reducing the activity level of the mineral corticoid receptor. It is not related to suppressing oxidative stress due to physical trauma or aging or maintaining skin homeostasis. This is because suppressing oxidative stress due to physical trauma or aging or maintaining skin homeostasis is not due to mental stress, and the mechanism is completely different.
  • neurosis means a misaligned state because it cannot properly adapt to psychosis, but mental stress in the specification is psychosisless Adapted to, but irrespective of the will of the party, cortisol having an increased concentration in the epidermis is bound to the mineralcorticoid receptor, and it means that the mineralcorticoid receptor is activated.
  • substitution means at least one hydrogen atom is a halogen atom (F, Cl, Br, I), a hydroxy group, a C1 to C20 alkoxy group, a nitro group, a cyano group, an amine group, an imino group, Azido group, amidino group, hydrazino group, hydrazono group, carbonyl group, carbamyl group, thiol group, ester group, ether group, carboxyl group or salt thereof, sulfonic acid group or salt thereof, phosphoric acid or salt thereof, C1 To C20 alkyl group, C2 to C20 alkenyl group, C2 to C20 alkynyl group, C6 to C20 aryl group, C3 to C20 cycloalkyl group, C3 to C20 cycloalkenyl group, C3 to C20 cycloalkynyl group, C2 to C20 heterocycloalkyl group, C2 To C20 alkyl group, C2
  • composition for inhibiting mineral corticoid receptor activity inclu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20 alkyl group.
  •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an unsubstituted C1 to C20 alkyl group
  • R 3 is a substituted C1 to C20 alkyl group
  • R 4 may be a hydrogen atom.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ctivation of the mineral corticoid receptor by preventing the cortisol having an increased concentration in the epidermis under the condition of mental stress from being bound to the mineral corticoid receptor.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xample may prevent the skin barrier function from being deteriorated even under a mental stress situation or may improve the skin barrier function weakened due to mental stress quickly.
  • the cortisol binds with a similar affinity to the glucocorticoid receptor (GR), which is a receptor in the peripheral tissue, and the mineralocorticoid receptor (MR), thereby causing various phenomena caused by stress. This is the deterioration of skin barrier function.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events the cortisol having an increased concentration in the epidermis from binding to the mineralcorticoid receptor, thereby inhibiting the activation of the mineralcorticoid receptor, thereby preventing skin barrier function from deteriorating.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may be a pine needle extract.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may be an extract of a substance other than the pine needle,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derived from a substance other than the pine needle is difficult or difficult to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and further, related to mental stress, in the epidermis It does not play a role in inhibiting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cortisol to bind to the mineralcorticoid receptor. That is, whe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is an extract derived from pine needles, it is possible to most effectively inhibit the activation of the mineral corticoid receptor.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s extracted from a substance other than the pine needle, the mechanism of action is completely differen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s extracted from pine needle.
  • one embodiment provide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a mineral corticoid receptor compri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extracted from the pine needle as an active ingredient, alone containing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oumestrole Or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 the pine needles refer to pine needles belonging to the pineaceae family such as red pine, yusong, mami pine, and sea pine, and extracts extracted from pine needles belonging to other pineaceae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ine needle extract may include a crude extract of a pine needle extracted by adding water or lower alcohol after drying the pine needle.
  • the alcohol extract of pine needles may also include fractions sequentially extracted by using an organic solvent such as hexane, chloroform, and water.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n the composition may be included in a concentration range of 0.01 ⁇ g / ml to 1,000 ⁇ g / ml, for example, a concentration range of 0.01 ⁇ g / ml to 100 ⁇ g / ml.
  • a concentration range of 0.01 ⁇ g / ml to 100 ⁇ g / ml Whe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is used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0.01 ⁇ g / ml, cortisol has little effect of inhibiting the binding capacity to the mineral corticoid receptor, and thus cannot have an effect of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and i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 the compound is used at a concentration of more than 1,000 ⁇ g / ml,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cytotoxicity may appear and may harm the human body.
  • a pharmacologically effective amount refers to an amount sufficient for the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 to be administered to an animal or human to exhibit a desired physiological or pharmacological activity.
  •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ymptoms, the age of the patient, weight, health status, sex, administration route, and treatment period.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 the above refers to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does not cause an allergic reaction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 dizziness or similar reaction when administered to humans.
  • carrier, excipients and diluent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fillers, anti-coagula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fragrances, emulsifiers and preservatives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 cosmetics may mean not only cosmetic functions, but also all substances that may have additional medical functions in addition to cosmetic functions.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as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and spray, etc.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this. More specifically, cosmetic compositions such as detergents, tonics, hairdressers, nutrients, essences, serums, treatments, conditioners, shampoos, lotions, wool or hair dyes, oil-in-water (O / W), water-in-oil (O / W) can be formulated as a basic cosmetic.
  •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ssential ingredients in each formula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blended without difficulty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type or purpose of use of other external agents.
  • it may further include a sunscreen, a hair conditioning agent, fragrance,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a cosmet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 a cosmet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for example solutions, gels, solid or dough anhydrous products, emulsions, suspensions, microemulsions, microcapsules, microgranules or ionic (liposomes) obtained by dispersing an oil phase in an aqueous phase and / or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ionic vesicle dispersant, or in the form of a cream, skin, lotion, powder, ointment, spray or conceal stick.
  • These compositions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rt.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 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 liquid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s carrier component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suspensions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s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s, microcrystals Sex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kant, etc. can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k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etc.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You can.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can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additionally contain a thickener.
  • the thickener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thyl cellulose, carboxy methyl cellulose, carboxy methyl hydroxy guanine, hydroxy m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carboxy vinyl polymer, polyquaternium, cetearyl alcohol, stearic acid, Carrageenan or the like can be used, preferably, one or more of carboxy methyl cellulose, carboxy vinyl polymer, and polyquaternium can be used, and most preferably carboxy vinyl polymer.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various base materials and additives as necessary, and the types and amounts of these components can be easily selected by the inventor. If necessary, it may contain an acceptable additive, for example, it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such as preservatives, pigments, additives, etc., which are customary in the art.
  • Preservatives may be specifically phenoxyethanol (Phenoxyethanol) or 1,2-hexanediol (1,2-Hexanediol) and the like, the fragrance may be artificial flavoring.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a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sphingo lipids, and seaweed extract.
  • Other ingredients that may be added include fats and oils, moisturizers, emollients, surfacta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ganic powders, ultraviolet absorbers, preservatives, fungicides, antioxidants, plant extracts, pH adjusters, alcohols, pigments, flavors, And blood circulation accelerators, cooling agents, limiting agents, and purified water.
  • the compounding component which may be added in addi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of the above components can be compounded within a range not impairing the object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a health functional food.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a health functional food.
  • it can be easily utilized as a main raw material, an auxiliary raw material, a food additive, a functional food or beverage.
  • the "food” refers to a natural product or a processed product that contains one or more nutrients, and preferably means a state that can be directly eaten through a certain processing process, and in a general sense, food It includes food additives, functional foods and beverages.
  • Foods to which the food composition can be added include, for example, various foods, beverages, gums, teas, vitamin complexes, and functional foods.
  • special nutritional foods e.g., dairy products, English, baby food, etc.
  • the food, beverage or food additive may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 the "functional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means a food group or a living body having a food composition that gives added value to act and express the function of the food for a specific purpose by using physical, biochemical, or biotechnological techniques. Refers to foods designed and processed to sufficiently express the body's regulation functions for defense rhythm control, disease prevention and recovery, etc. Specifically, it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 the functional food may include a food-acceptable food supplement additive, and may further includ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s.
  • the type of the dietary supplemen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 tablet, capsule or beverage.
  • Test Example 2 Inhibitory effect of mineralcorticoid receptor activity
  • CV-1 cells were cultured in a 24-well plate incubator. After 24 hours, the culture medium was replaced with 10% charcoal dextran-treated FBS-DMEM, and after 4 hours, a mixed DNA of MMTV-luciferase reporter plasmid and internal control pRL-SV-40 plasmid was used with TransFast reagent (Promega). transfection. After 24 hours, 10 ⁇ g / ml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1 (Ramidus AB) was treated, and after 2 hours, dexamethasone (1 nM) was treated and cultured for 24 hours.
  • the luciferase activity in cell lysate was measured using the Dual-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 (Promega), and the relative luciferase activity was measured by normalizing the transfection efficiency by correcting renilla luciferase activity,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1 inhibits the activity of the mineralcorticoid receptor by dexamethas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특정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본 기재는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는 예로부터 만병의 근원으로 일컬어지고 있으며,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학업, 업무, 결혼, 육아 등의 사회적 요인, 날씨, 교통 등의 주변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과도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 사회가 급격히 발전하고 다변화되면서 현대인에게 요구되는 역할들이 증대됨에 따라, 여러 가지 스트레스로 인한 범불안 장애 및 정신질환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06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에 따르면, 2006년 1년간 한 가지 이상의 정신질환 경험 인구비율인 '정신질환 일년 유병율'은 17.1 %로 나타났다. 이는 18세 이상 64세 이하 성인 6명 중 1명 꼴이며, 2006년 현재 평생동안 한가지 이상의 정신질환 경험 인구비율인 '정신질환 평생 유병율'은 성인 3명 중 1명인 30%로 나타났다. 최근 과도한 학구열 또는 각종 스트레스로 인한 청소년 정신질환이 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전체 인구의 유병율은 더욱 높다고 할 수 있겠다.
현재 임상에서는 약물치료와 장기적 정신치료를 병행해 불안증을 치료하고 있으며, 약물치료의 경우에는 주로 디아제팜(diazepam), 로라제팜(lorazepam), 클로나제팜(clonazepam), 알프러졸람(alprazolam)과 같은 벤조디아제팜(benzodiazepine) 계통의 항불안 약물들을 주로 사용되고 있고, 아자피론(azapirone) 계의 부스피론(buspirone)은 선택적으로 세로토닌(serotonin) 수용체에 작용하여서 선택적으로 불안증후를 완화시킬 수 있는 약물로 사용이 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약물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스트레스 조절물질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정신적 스트레스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열물로부터 유래한 물질에 대한 연구를 계속한 끝에, 정신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표피 내 농도가 증가된 코티졸은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친화적으로 결합하여 피부장벽기능을 저하시킴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기 피부장벽기능 저하 현상은 정신적 스트레스에 기인하지 않은 다른 원인(예컨대, 물리적 상해나 노화 등)에 의한 현상과는 그 작용기전이 전혀 상이함 또한 확인하였다. 나아가, 솔잎으로부터 추출된 특정 화합물이, 표피 내 농도가 증가된 코티졸이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친화적으로 결합하는 정도를 방해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나아가 현재까지 물리적 상해나 노화 등에 기인한 것이 아닌, 정신적 스트레스에 기인한 표피 내 농도가 증가된 코티졸이 결합되어 활성화되는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서 피부장벽기능 저하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물질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일 구현예는 정신적 스트레스에 기인한 피부장벽기능 저하 요인이 되는 코티졸의 결합으로 인해 활성화되는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각질층의 장벽기능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13509-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다.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상기 R3은 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상기 R4는 수소 원자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솔잎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대한 코티졸의 결합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0.01 ㎍/ml 내지 1,000 ㎍/ml의 농도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정신적 스트레스에 기인한 피부장벽기능 저하 요인이 되는 코티졸의 결합으로 인해 활성화되는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각질층의 장벽기능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다양한 피부장벽기능 저하 원인 중 정신적 스트레스에 기인한 피부장벽기능 저하 현상을 특정하게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글루코코티코이드 수용체 및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Luciferase promoter assay를 통해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장벽기능 개선이란, 정신적 스트레스에 기인하여 표피 내 농도가 증가된 코티졸이,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친화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여, 상기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물리적 외상이나 노화 등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 억제 또는 피부 항상성 유지 등과는 무관하다. 물리적 외상이나 노화 등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 억제 또는 피부 항상성 유지 등은 정신적 스트레스에 기인한 것이 아니어서 그 기전이 전혀 상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정신적 스트레스라 함은 의약학 분야에서 말하는 신경증과는 다른 의미로서, 상기 신경증은 심리스트레스에 대해 제대로 적응을 할 수 없어 비뚤어진 부적응상태를 의미하나, 본 명세서에서의 정신적 스트레스는 심리스트레스에 적응을 하고는 있으나, 당사자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표피 내 농도가 증가된 코티졸이,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친화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가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치환"이란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원자(F, Cl, Br, I), 히드록시기, C1 내지 C20 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민기, 이미노기, 아지도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바밀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카르복실기 또는 그것의 염, 술폰산기 또는 그것의 염, 인산이나 그것의 염, C1 내지 C20 알킬기, C2 내지 C20 알케닐기, C2 내지 C20 알키닐기, C6 내지 C20 아릴기, C3 내지 C20 사이클로알킬기, C3 내지 C20 사이클로알케닐기, C3 내지 C20 사이클로알키닐기,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기,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키닐기, C3 내지 C2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조합"이란 혼합 또는 공중합을 의미한다. 또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내지 랜덤 공중합을 의미하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내지 랜덤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13509-appb-I0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R3은 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R4는 수소 원자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정신적 스트레스 상황 하에서 표피 내 농도가 증가된 코티졸이,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결합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상기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가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정신적 스트레스 상황 하에서도 피부장벽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약화된 피부장벽기능을 조속히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면 상처 치유가 지연되고 피부장벽기능이 저하되어 각질층의 견고함이 감소하거나 손상 후 장벽기능 회복이 지연되는데, 구체적으로 정신적인 스트레스 상황에서 hypothalamus pituitary adrenal axis의 활성화를 통한 glucocorticoids (GC) 분비 증가 및 말초 조직 내 코티존 환원효소(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1)의 활성 증가로 인한 말초 조직 내 코티졸(활성화된 GC 형태) 농도 증가가 야기된다. 그리고 상기 코티졸은 말초 조직 내 수용체인 글루코코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 GR)와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mineralocorticoid receptor; MR)에 유사한 친화력으로 결합하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에 의한 여러 현상들을 유발하는데, 상기 여러 현상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피부장벽기능 저하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표피 내 농도가 증가된 코티졸이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상기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화를 저해시킴으로써, 피부장벽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솔잎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솔잎이 아닌 다른 물질의 추출물일 수도 있는데, 솔잎이 아닌 다른 물질로부터 유래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거 어려우며, 나아가 정신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표피 내 농도가 증가된 코티졸이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저해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지는 못한다. 즉,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솔잎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인 경우,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솔잎이 아닌 다른 물질로부터 추출된 것일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솔잎으로부터 추출된 것인 경우와 비교하여, 그 작용기전이 전혀 상이하다.
즉, 정신적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피부장벽강화를 위해서는, 표피 내 코티졸 농도를 감소시키거나, 표피 내 농도가 증가된 코티졸이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친화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저해해야 하는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대한 코티졸의 결합을 저해함으로써, 정신적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피부장벽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구현예는 상기 솔잎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쿠메스트롤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잎은 적송, 유송, 마미송, 해송 등의 소나무과에 속하는 솔잎을 말하며, 기타 소나무과에 속하는 솔잎에서 추출된 추출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솔잎 추출물은 상기 솔잎을 건조한 후 물 또는 저급 알콜을 첨가하여 추출한 솔잎의 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솔잎의 알콜 추출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와 물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 추출한 분획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0.01 ㎍/ml 내지 1,000 ㎍/ml의 농도범위, 예컨대 0.01 ㎍/ml 내지 100 ㎍/ml의 농도범위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0.01 ㎍/ml 미만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코티졸이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대한 결합력을 저해하는 효과가 미미하여 피부장벽 기능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없으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000 ㎍/ml 초과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세포독성이 나타나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상기 생리활성성분이 동물 또는 사람에게 투여되어 목적하는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장료"는, 미용 기능뿐만 아니라, 미용 기능 외에 추가적으로 의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제, 토닉, 정발제, 영양화장수, 에센스, 세럼, 트리트먼트, 컨디셔너, 샴푸, 로션,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화장료 조성물, 수중유(O/W)형, 유중수(O/W)형 등의 기초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 차단제, 헤어 컨디셔닝제,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하이드록시 구아닌,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또는 1,2-헥산디올 (1,2-Hexanediol) 등이 될 수 있고, 향료는 인공향료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나아가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체,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낵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 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험예 1: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 확인
CV-1 세포에서 RNA를 분리하고 reverse transcriptase를 이용한 PCR을 수행하여 코티졸 수용체인 글루코코티코이드 수용체(GR)과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MR)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보면, CV-1 cell에서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MR)의 유전자만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CV-1 세포가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화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에 적합한 세포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 효과
CV-1 세포를 24-well 평판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배지를 10% charcoal dextran-treated FBS-DMEM으로 교체하고, 4시간 후, TransFast reagent (Promega)를 이용하여 MMTV-luciferase reporter plasmid와 내부 대조군인 pRL-SV-40 plasmid의 혼합 DNA를 transfection 하였다. 24시간 후,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Ramidus AB) 10 ㎍/ml을 처리하고 2시간 후에 dexamethasone (1 nM)을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Cell lysate 내 luciferase 활성을 Dual-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 (Promega)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renilla luciferase 활성 보정으로 transfection 효율성을 normalize하여 상대적인 luciferase 활성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보면,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dexamethasone에 의한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CTKR2019013509-appb-I000003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13509-appb-I0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다.
  2. 제1항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상기 R3은 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상기 R4는 수소 원자인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솔잎 추출물인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에 대한 코티졸의 결합을 저해하는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0.01 ㎍/ml 내지 1,000 ㎍/ml의 농도범위로 포함되는 조성물.
  6.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PCT/KR2019/013509 2018-10-15 2019-10-15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WO202008079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68134.8A CN112867479A (zh) 2018-10-15 2019-10-15 盐皮质激素受体活性阻碍用组合物
US17/285,750 US20220000816A1 (en) 2018-10-15 2019-10-15 Composition and method of inhibiting activity of mineralocorticoid receptor by applying it to the sk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680 2018-10-15
KR1020180122680A KR102673271B1 (ko) 2018-10-15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0795A1 true WO2020080795A1 (ko) 2020-04-23

Family

ID=7028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3509 WO2020080795A1 (ko) 2018-10-15 2019-10-15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00816A1 (ko)
CN (1) CN112867479A (ko)
WO (1) WO202008079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4102A (ja) * 1990-07-12 1992-03-09 Kao Corp 外用殺菌剤組成物及び皮膚洗浄剤組成物
JPH0798730B2 (ja) * 1987-01-23 1995-10-25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KR20060104161A (ko) * 2005-03-29 2006-10-09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솔방울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140363530A1 (en) * 2012-05-31 2014-12-11 Gueulri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ine tree leaf or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disease by inhibiting hpv virus and the uses thereby
KR20150057390A (ko) * 2013-11-19 2015-05-28 (주)아모레퍼시픽 탈수소 아비에틱산과 트랜스 쿠미닉산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47B1 (ko) * 2015-06-12 2016-01-21 조영희 초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bl-s를 포함하는 피부유분조절, 피부장벽강화, 피부수분조절, 피부보호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730B2 (ja) * 1987-01-23 1995-10-25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H0474102A (ja) * 1990-07-12 1992-03-09 Kao Corp 外用殺菌剤組成物及び皮膚洗浄剤組成物
KR20060104161A (ko) * 2005-03-29 2006-10-09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솔방울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140363530A1 (en) * 2012-05-31 2014-12-11 Gueulri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ine tree leaf or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disease by inhibiting hpv virus and the uses thereby
KR20150057390A (ko) * 2013-11-19 2015-05-28 (주)아모레퍼시픽 탈수소 아비에틱산과 트랜스 쿠미닉산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283A (ko) 2020-04-23
US20220000816A1 (en) 2022-01-06
CN112867479A (zh)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04806A (ja) 経口紫外線抵抗性向上剤
KR101248503B1 (ko) 녹차 잎의 열수추출물 및 녹차 잎의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US6491943B2 (en) Method for treating an allergic or inflammatory disease
KR102115666B1 (ko) 노나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U2009256524B2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rosacea comprising chitosan and a dicarboxylic acid
WO2020080795A1 (ko)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WO2020080801A1 (ko)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2673271B1 (ko)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WO2020076103A1 (ko) 코티존 환원효소 저해용 조성물
JP6456032B2 (ja) Sirt1活性化剤および当該Sirt1活性化剤の利用
WO2020076104A1 (ko) 코티존 환원효소 저해용 조성물
KR101819670B1 (ko)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48225A (ko) 화합물 수득 방법
WO2021118286A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WO2020085776A1 (ko)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WO2020069683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WO2020080797A1 (ko)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081003B1 (ko) 수베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7530253A (zh) 含有补骨脂定的用于促进生发及/或育发的组合物
KR20210123895A (ko) 노화세포 회춘용 조성물 및 노화세포 회춘방법
JP2023130893A (ja) Grem2発現抑制剤
TW202033210A (zh) 丁香萃取物與其化合物用於調控IL-1β基因、IL-18基因、IFNG基因、TGF-β基因、IL-8基因、IL-16基因、及/或IL-23基因表現量的用途
JP2019099541A (ja) 亜鉛トランスポーター発現促進剤
JP2019099542A (ja) 亜鉛トランスポーター発現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34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34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