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59912A1 - 안전모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모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59912A1
WO2020059912A1 PCT/KR2018/011176 KR2018011176W WO2020059912A1 WO 2020059912 A1 WO2020059912 A1 WO 2020059912A1 KR 2018011176 W KR2018011176 W KR 2018011176W WO 2020059912 A1 WO2020059912 A1 WO 20200599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helmet
lighting device
light emitt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1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riority to JP202153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14271B2/ja
Priority to BR112021005030-2A priority patent/BR112021005030B1/pt
Priority to EP18933866.8A priority patent/EP3854247A4/en
Priority to CA3112911A priority patent/CA3112911C/en
Publication of WO20200599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59912A1/ko
Priority to AU2021101365A priority patent/AU2021101365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shipment o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주시를 위한 조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링형상의 프레임 전면에서 발광되어 사용자의 위치를 알릴 수 있고, 레이저 포인터가 구비되어 원거리의 물체를 지시할 수 있는 안전모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모 조명장치는 안전모의 외주면에 장착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발광부의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프레임이 안전모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모 조명장치
본 발명은 안전모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주시를 위한 조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링형상의 프레임 전면에서 발광되어 사용자의 위치를 알릴 수 있고, 레이저 포인터가 구비되어 원거리의 물체를 지시할 수 있는 안전모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이나 소방현장 또는 기타 산업체의 작업장 등 항상 위험에 노출된 작업환경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는 신변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모의 착용을 의무화를 하고 있다.
또한 안전모는 야구, 인라인 스케이트, 사이클, 스케이트 등 운동경기 중에서 선수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반드시 착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종목이 다수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 상기 안전모는 상기 근로자나 운동선수들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야외활동 등 레저활동을 하는 경우에 필수 안전장비로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안전모는 사람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매우 세심한 제작과정을 거쳐 양산되고 있으며, 또한 그 기능도 날로 다양하고 향상되어 제작되고 있다.
한편, 야간 작업이나 활동을 위한 발광장치가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발광장치는 안전모에 결합되는 것도 있고, 탈부착되는 것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장치는 어느 경우든 전방 주시를 위한 조명용으로만 제공하고 있을 뿐, 사용자의 위치를 외부에 알리는 역할에는 부족하여 공사현장에서 통행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어두운 공간에서 작업하면서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레이저 포인터를 별도로 소지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레이저 포인터를 별도로 소지하는 것도 번거로울 뿐 아니라 레이저 포인터를 손으로 들고 있을 경우, 작업 중 도구 사용 등 손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발광할 수 있고,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할 경우 진동 또는 점멸을 통해 경고할 수 있는 안전모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모에 장착되고 안전모의 전면부 뿐만 아니라 둘레 전체에 발광부를 구비한 안전모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안전모에 안정적으로 장착하여 호환성이 높은 안전모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저 포인터를 구비하여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지시할 수 있는 안전모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안전모 조명장치는 안전모의 외주면에 장착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발광부의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프레임이 안전모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안전모에 장착시 탄성변형되는 탄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안전모에 밀착되고 미끄럼이 방지되는 소재의 마찰패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프레임과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량 미만인 경우, 상기 프레임에는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량 미만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점멸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설정시간 이상으로 움직임이 없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발광할 수 있고,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할 경우 진동 또는 점멸을 통해 경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모의 전면부 뿐만 아니라 둘레 전체에 발광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을 위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를 타인에게 알려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소와 용도에 따라 발광부의 밝기와 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발광부의 점멸 제어도 가능하여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범용 또는 전용 휴대용 배터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가 구비되어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지시할 수 있고, 레이저 포인터를 별도로 손으로 들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도구 사용 등 손사용이 자유롭다.
특히, 다양한 안전모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도 및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절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홈(1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서 절첩부(13)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홈(11)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1)에 장착되고 이동 가능한 밀착수단(20)이 복수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에 2개씩 4개의 밀착수단(2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수단(20)은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판스프링(21)과, 상기 판스프링(21)의 끝단을 감싸는 마찰패드(22)를 포함한다(도 3 참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패드(21)는 실리콘으로 형성되지만, 안전모에 미끄러지지 않는 다양한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
상기 판스프링(21)은 일단이 상기 안내홈(11)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10)을 안전모에 장착시 탄성변형되면서 밀착된다.
상기 밀착수단(20)은 안내홈(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찰패드(22)가 안전모에 가장 밀착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모의 다양한 형태와 크기에 대응할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된다. 즉, 안내홈(11)을 따라 밀착수단(20)을 이동시키면서 판스프링(21)이 가장 많은 탄성변형이 되는 위치가 있는데, 해당 위치에서 마찰패드(22)가 안전모에 가장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수단(20)은 판스프링(21)으로 구성되지만, 이와 달리 탄성고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탄성고무는 상기 안내홈(11)에 장착되는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홀더도 상기 판스프링과 같이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탄성고무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외주면에는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발광부(L)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LED소자로 구성된다. 따라서 발광부(L)는 전면에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10)의 외주면 전체에 결쳐 띠형태로 배열된다. 따라서 발광부(L)가 발광하게 되면 사용자의 전면 뿐 아니라 측면이나 후면에서도 발광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사용자의 측면이나 후면에서 발광하는 것은 사용자의 위치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의 위치를 외부에 알려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10)의 전면에는 헤드라이트부(30)가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헤드라이트부(30)는 발광부(L)를 상하로 3개씩 배열하여 측면이나 후면보다 밝게 발광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헤드라이트부(30)는 전방 주시를 위해 강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발광부(L)는 단색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RG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10)의 후면에는 제어부(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부(50)는 다색 LED소자의 색깔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광부(L)의 점멸(간격)을 제어할 수도 있고, 밝기를 제어하는 디밍제어를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헤드라이트부(30)의 중심에 레이저 포인터(P)가 더 구비된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P)는 원거리에 있는 물체(위치 포함)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헤드라이트부(30)와 별도로 레이저 포인터(P)를 구비하게 되면 사용자가 별도로 레이저 포인터를 소지할 필요가 없고, 특히,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손사용이 자유롭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의 저부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포트(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폰 등의 충전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배터리(B)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배터리(B)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충전이 용이하다. 상기 휴대용 배터리(B)에는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인디게이터가 구비된다. 인디게이터(In)는 배터리의 일면에 구비된 발광체로서, 4단계로 표시된다.
상기 배터리는 스마트 폰 등을 충전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범용의 보조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만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 전용 배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는 전원버튼(12)이 구비되어 발광부(L)를 on/off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을 안전모(100)에 장착한 후,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착수단(40)이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프레임(10)을 안전모(100)에 장착한 후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안전모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절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절첩부(13)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부(H)를 중심으로 상하로 절첩이 가능하다. 따라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를 안전모(100)에 장착한 후, 프레임(10)에 일단이 연결된 고정수단(40)을 안전모(100)의 끝단 내측에 걸어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전원버튼(12)을 푸쉬하여 발광부(L)를 발광한다. 전면에 구비되는 헤드라이트부(30)에서 발광하는 강한 빛을 이용하여 작업이나 각종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측면이나 후면에 구비된 발광부(L)에서의 발광을 통해 외부에 사용자의 위치를 알려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지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 레이저 포인터(P)를 사용한다.
또한 디밍제어부나 점멸부를 이용하여 밝기 및 점멸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점멸 제어를 통해 외부에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는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어부(50)를 통해 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백색광을 발광하고 위험상황에서는 적색광을 발광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배터리(B)의 잔량이 설정량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량 미만인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모터는 제어부(5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터리 잔량이 부족할 경우 사용자는 바이브레이터의 작동에 의한 진동을 인지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기회를 얻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B)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발광부(L)를 점멸시킨다. 그러나 앞선 점멸제어보다 배터리 잔량 부족에 의한 점멸제어가 점멸속도를 더욱 빨리 하여 긴박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일정 시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L)를 소등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청구범위에 표현된 다양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발광할 수 있고,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할 경우 진동 또는 점멸을 통해 경고하는 효과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450780호

Claims (9)

  1. 안전모의 외주면에 장착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발광부의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프레임이 안전모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안전모에 장착시 탄성변형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안전모에 밀착되고 미끄럼이 방지되는 소재의 마찰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조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프레임과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량 미만인 경우, 상기 프레임에는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점멸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설정시간 이상으로 움직임이 없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조명장치.
PCT/KR2018/011176 2018-09-19 2018-09-20 안전모 조명장치 WO2020059912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39318A JP7214271B2 (ja) 2018-09-19 2018-09-20 安全帽照明装置
BR112021005030-2A BR112021005030B1 (pt) 2018-09-19 2018-09-20 Dispositivo de iluminação para capacete de segurança
EP18933866.8A EP3854247A4 (en) 2018-09-19 2018-09-20 SAFETY HELMET LIGHTING DEVICE
CA3112911A CA3112911C (en) 2018-09-19 2018-09-20 Safety helmet lighting device
AU2021101365A AU2021101365A4 (en) 2018-09-19 2021-03-16 Safety helmet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09A KR102063218B1 (ko) 2018-09-19 2018-09-19 안전모 조명장치
KR10-2018-0112209 2018-09-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AU2021101365A Division AU2021101365A4 (en) 2018-09-19 2021-03-16 Safety helmet ligh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9912A1 true WO2020059912A1 (ko) 2020-03-26

Family

ID=6915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176 WO2020059912A1 (ko) 2018-09-19 2018-09-20 안전모 조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854247A4 (ko)
JP (1) JP7214271B2 (ko)
KR (1) KR102063218B1 (ko)
BR (1) BR112021005030B1 (ko)
CA (1) CA3112911C (ko)
WO (1) WO2020059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946B1 (ko) 2020-10-05 2023-10-30 김성규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두부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KR102369864B1 (ko) 2020-10-05 2022-03-04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USD976462S1 (en) * 2021-11-08 2023-01-24 Fuguang Liu Lam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71Y1 (ko) * 2008-01-24 2010-02-19 주식회사 맥스세이프 안전모
JP2015166508A (ja) * 2014-03-04 2015-09-24 株式会社ミナミ ヘルメット用照明構造および照明構造付きヘルメット
KR20170138862A (ko) * 2016-06-08 2017-12-18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KR101817606B1 (ko) * 2017-05-30 2018-01-11 주식회사 선테크 모듈형 보호구 및 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9075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282A (ja) * 1995-01-23 1996-08-09 Oodeitsukusu:Kk 携帯用発光表示装置
JPH11329003A (ja) * 1998-05-11 1999-11-30 Ikeno Tsuken Kk ヘルメット用発光装置
JP2003027321A (ja) * 2001-07-19 2003-01-29 Tooaboojin:Kk ヘルメット用の保護具取り付け治具
JP4035478B2 (ja) * 2002-11-19 2008-01-23 武光 堀之内 点灯点滅式交通安全用品
KR200334145Y1 (ko) * 2003-02-25 2003-11-21 이동석 절첩되는 헤어밴드
US8025432B2 (en) * 2007-09-13 2011-09-27 Lee Wainright Helmet LED lighting system
KR200450780Y1 (ko) 2010-04-13 2010-10-29 이호남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JP3162958U (ja) * 2010-07-12 2010-09-24 株式会社ワコーシステムコントロール 携行用照明器具
CN104270978A (zh) * 2012-02-29 2015-01-07 伊路玛吉尔有限公司 用于头帽的发光系统
EP3138430A1 (en) * 2015-09-01 2017-03-08 BAE Systems PLC Helmet for communications
JP3204166U (ja) * 2016-02-29 2016-05-1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ライト固定バンド
KR20180010083A (ko) * 2016-07-20 2018-01-30 엄정한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헬멧
CN206365527U (zh) * 2016-12-09 2017-08-01 点子建有限公司 一种集成智能头戴式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71Y1 (ko) * 2008-01-24 2010-02-19 주식회사 맥스세이프 안전모
JP2015166508A (ja) * 2014-03-04 2015-09-24 株式会社ミナミ ヘルメット用照明構造および照明構造付きヘルメット
KR20170138862A (ko) * 2016-06-08 2017-12-18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KR20180079075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KR101817606B1 (ko) * 2017-05-30 2018-01-11 주식회사 선테크 모듈형 보호구 및 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12911C (en) 2023-08-15
CA3112911A1 (en) 2020-03-26
BR112021005030B1 (pt) 2023-12-26
JP7214271B2 (ja) 2023-01-30
EP3854247A4 (en) 2022-06-22
JP2021536117A (ja) 2021-12-23
BR112021005030A2 (pt) 2021-06-08
KR102063218B1 (ko) 2020-01-07
EP3854247A1 (en)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59912A1 (ko) 안전모 조명장치
US6497493B1 (en) Illuminated safety helmet
WO2010120154A2 (ko) 안전조끼
AU2005230419A1 (en) An article, such as a cap or a protective helmet, equipped with light
US7950074B2 (en) Hard hat outer shell having clear acrylic construction and internal illumination
KR20190012489A (ko) 안전모 조명장치
WO2018124422A1 (ko) 다용도 재난안전용 랜턴
KR200489213Y1 (ko) 탈착식 조명장치가 구비된 안전모
US10746393B1 (en) Harness vest with portable safety and illumination lighting
WO2011105710A2 (ko) 자동차의 사이드 카메라 및 측면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WO2017209476A1 (ko) 조명장치를 구비한 잠수복용 방수 커넥터
WO2010120134A2 (ko) 시인성이 향상된 led 어셈블리, 이의 부착방법 및 이를 부착한 제품
KR20190060751A (ko) 안전모 발광장치
KR20190062348A (ko) 안전모 조명장치
WO2012111960A2 (ko) 자전거 운전자용 입는 안전장치
EP3974300A1 (en) Portable light emitting signal apparatus
CN211483134U (zh) 一种多功能警用头盔
AU2021101365A4 (en) Safety helmet lighting device
KR102369864B1 (ko)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KR20190012490A (ko) 안전모 발광장치
CN205155625U (zh) 一种头戴式照明设备
KR102595946B1 (ko)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두부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CN211925440U (zh) 一种新型眩目电击手电
CN220936938U (en) Safety helmet with illumination function based on lantern fish structure
US20160367843A1 (en)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illumin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33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112911

Country of ref document: CA

Ref document number: 202153931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1005030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933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419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1005030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1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