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075A -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075A
KR20180079075A KR1020160184453A KR20160184453A KR20180079075A KR 20180079075 A KR20180079075 A KR 20180079075A KR 1020160184453 A KR1020160184453 A KR 1020160184453A KR 20160184453 A KR20160184453 A KR 20160184453A KR 20180079075 A KR20180079075 A KR 20180079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elmet
data processing
camera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4536B1 (ko
Inventor
강용식
김재용
김광식
박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6018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5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모듈 및 전원공급장치를 안전모와 분리하여 구성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는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은, 작업환경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작업환경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생성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밴드; 상기 안전모 밴드가 체결되는 안전모; 및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안전모 밴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안전모 밴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 또는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Industrial Environment}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제철소, 조선소, 또는 기계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면서, 작업자들의 안전성과 작업 효율 향상을 위해 안전모나 장갑 등과 같은 보호장구들 또한 발전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802호에는, 작업환경의 먼지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와 통합관리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탑재된 안전모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802호를 비롯한 대부분의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모의 경우 센서 및 통신모듈 뿐만 아니라 센서나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도 안전모에 직접 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안전모의 무게가 증가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불편함이 증대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모의 경우 센서가 안전모에 직접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환경에 따라 센서를 변경할 수 없어 적용범위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센서가 부착된 안전모의 경우 습도나 분진이 많은 작업 환경에서 습도나 분진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고, 스파크로 인해 화제 발생 위험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모듈 및 전원공급장치를 안전모와 분리하여 구성한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모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회의를 수행할 수 있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업무에 따라 센서를 안전모에 탈부착할 수 있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가 안전모에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센서로 전원을 공급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은, 작업환경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작업환경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생성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밴드; 상기 안전모 밴드가 체결되는 안전모; 및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안전모 밴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안전모 밴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 또는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모듈 및 전원공급장치를 안전모와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안전모를 경량화 할 수 있고, 안전모 무게 증가로 인한 작업자와 피로도를 최소화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모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작업자와 원격지에 있는 전문가들간에 영상회의를 수행할 수 있어 원격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탈부착할 수 있는 안전모 밴드를 이용하여 센서들을 안전모에 탈부착시키기 때문에, 기존의 안전모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에 따라 원하는 종류의 센서들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적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모 밴드에 센서들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만 센서들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습도나 분진이 많은 작업환경에서도 습도나 분진 등에 의한 스파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데이터 생성장치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및 제1 커넥터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게이팅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게이팅 신호의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100, 이하,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이라 함)은 복수개의 스마트 안전모 세트(110) 및 서버(12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스마트 안전모 세트(110)는 작업자에 착용되어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스마트 안전모 세트(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112), 스마트밴드(114), 및 데이터 처리장치(116)로 구성된다. 또한, 각 스마트 안전모 세트(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작업자가 직접 착용하는 이어셋(11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전모(112)는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외부의 위험요소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한다. 안전모(112)는 충격에 강하면서 무게가 가벼운 재질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114)는 스마트밴드(114)의 체결을 위해 안전모(112)의 외주면에 스마트밴드(114) 체결홈(미도시) 및 고정돌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마트밴드(114) 체결홈에 스마트밴드(114)가 삽입되고, 고정돌기는 스마트밴드(112)가 체결홈 내에 유지되도록 스마트밴드(114)를 고정시킨다.
스마트밴드(114)는 안전모(112)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스마트밴드(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모듈(210) 및 복수개의 소켓(330)을 포함한다. 복수개의소켓(330)에는 데이터 생성장치(220)들이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밴드(114)에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생성장치(220)들 중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데이터 생성장치(220)를 선택적으로 스마트밴드(114)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소켓(330)이 형성된다.
제1 커넥터모듈(210)은 케이블(118)을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116)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복수개의 소켓(330)을 통해 데이터 생성장치(22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밴드(114)에는 스마트밴드(114)에 장착된 데이터 생성장치(2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라인(230)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커넥터모듈(210)은 데이터 생성장치(220)들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케이블(118)을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116)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밴드(114)에는 각 데이터 생성장치(22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1 커넥터모듈(210)을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116)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전송라인(240)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커넥터모듈(210)은 스마트밴드(114)의 소켓(330)에 데이터 생성장치(220)들이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데이터 생성장치(220)들이 스마트밴드(114)의 소켓(330)에 삽입된 경우 해당 데이터 생성장치(220)가 삽입된 소켓(3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커넥터모듈(210)에 각 데이터 생성장치(220)가 스마트밴드(114)의 소켓(330)에 장착된 경우에만 해당 데이터 생성장치(220)가 삽입된 소켓(33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작업자가 수분이나 분진이 많은 곳에서 작업할 때 데이터 생성장치(22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소켓(330)에 전원을 계속하여 공급하는 경우 분이나 분진 등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될 수 있고 스파크로 인해 화제 발생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켓(330)은 전원공급을 위한 제1 및 제2 단자(330a, 330b), 신호전송을 위한 제3 및 제4 단자(330c, 330d) 이외에 데이터 생성장치(220)들의 삽입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단자(330e)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커넥터모듈(210)은 스위치(310) 및 게이트 신호 생성부(320)를 포함한다.
소켓(330)의 제1 단자(330a)는 전원전압(Vcc)가 인가되는 단자이고, 제2 단자(330b)는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단자이며, 제3 및 제4 단자(330c, 330d)는 해당 소켓(330)에 삽입된 데이터 생성장치(2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자이다.
소켓(330)에 포함된 검출단자(330e)는 데이터 생성장치(220)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검출단자(330e)의 일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링크(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검출단자(330e)의 타단은 소켓(330)에 데이터 생성장치(220)가 삽입되면 데이터 생성장치(220)를 통해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 단자(33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소켓(330)에 데이터 생성장치(220)가 삽입되지 않으면 검출단자(330e)의 타단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전압이 커넥터 모듈(210)의 게이트 신호 생성부(320)로 공급됨에 따라, 링크(340)를 통해 게이트 신호 생성부(320)로 하이레벨의 검출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링크(340)는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소스(350)에 저항(R)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소켓(330)에 데이터 생성장치(220)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 링크(340)에 인가되는 검출전압이 미리 정해진 하이레벨 값이 되도록 한다.
또한, 소켓(330)에 데이터 생성장치(220)가 삽입되면 검출단자(330e)의 일단이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 단자(33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검출단자(330e)의 타단으로 인가된 전원전압이 제2 단자(330b)를 통해 접지단자로 흐르게 되므로 게이트 신호 생성부(320)로 로우레벨의 검출전압이 인가된다.
스위치(310)는 게이팅 신호 생성부(320)로부터 인가되는 게이팅 신호에 따라 온되어 각 소켓(330)의 제1 단자(330a)로 전원전압을 공급하고, 제2 단자(330b)를 접지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400)로 구현될 수 있고, 게이팅 신호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400)의 게이트 단자(410)에는 커패시터(420)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트랜지스터(400)의 게이트 단자(410)에 커패시터(420)를 연결한 이유는 게이팅 신호가 커패시터(420)에 충전되도록 하고, 커패시터(420)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부터 트랜지스터(400)가 턴온되도록 함으로써 각 소켓(330)으로 급격하게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게이팅 신호 생성부는(320)는 검출단자(330e)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소켓(330)에 삽입된 데이터 생성장치(2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게이팅신호를 생성한다. 게이팅 신호 생성부(320)는 생성된 게이팅 신호를 스위치(33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팅 신호 생성부(320)에 의해 생성된 게이팅 신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단자(330e)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된 이후의 미리 정해진 초기기간 동안(△t)에는 하이레벨과 로우레벨로 교번하고, 초기기간(△t)의 경과 이후에는 하이레벨로 유지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게이팅 신호 생성부(320)가 초기기간(△t) 동안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이 교번하는 펄스 형태의 게이팅 신호를 생성하는 이유는 갑작스러운 전원공급으로 인해 스파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밴드(114)에 마련된 복수개의 소켓(330)에는 데이터생성장치(220)들이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생성장치(220)들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스마트밴드(114)의 소켓(3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환경에 따라 원하는 데이터 생성장치(220)만을 스마트밴드(114)에 선택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스마트밴드(114)에 장착되는 데이터 생성장치(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21), 센서(222), 및 특고압 검전기(2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밴드(114)에는 조명장치(224), 진동센서(225), 및 비콘태그(226)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먼저, 카메라(221)는 영상회의를 위해 작업환경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221)는 카메라 활성화 요청에 따라 데이터 처리장치(116)로부터 전원공급이 개시됨으로써 활성화된다. 카메라(221)는 데이터 처리장치(116)로부터의 전원공급개시로 인해 활성화되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커넥터 모듈(210)을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116)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카메라(2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모듈(210)과 연결된 전원공급라인(230)을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116)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활성화된다. 또한, 카메라(221)는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신호제공라인(240)을 통해 제1 커넥터모듈(210)로 전달한다.
센서(222)는 작업환경 내의 온도나 가스 등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222)는 작업환경 내의 산소가스(O2)를 센싱하는 제1 가스센서 또는 작업환경 내의 일산화가스(CO2)를 센싱하는 제2 가스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스센서는 작업환경 내의 산소가스(O2)를 센싱하여 제1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가스센서는 작업환경내의 일산화가스(CO2)를 센싱하여 제2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가스 센서 및 제2 가스 센서는 센서(222)로 통칭하고, 제1 센싱 데이터 및 제2 센싱 데이터를 센싱 데이터로 통칭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센서(222)는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커넥터 모듈(210)을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130)로 전달한다.
센서(2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모듈(210)과 연결된 전원공급라인(230)을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116)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센서(222)는 센싱 데이터를 신호제공라인(240)을 통해 제1 커넥터모듈(210)로 전송한다.
특고압 검전기(223)는 스마트밴드(114)에 형성된 전원공급라인(230)을 통해 커넥터 모듈(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된다. 특고압 검전기(223)는 작업환경 내에서 고전압을 검출하고, 고전압이 검지되면 내장된 알람장치를 통해 고전압 검출결과를 작업자에게 통지한다.
조명장치(224)는 데이터 처리장치(116)에 의한 조명장치 활성화 요청에 따라 데이터 처리장치(116)로부터 전원공급이 개시됨으로써 활성화되어 작업환경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장치(224)는 영상회의를 위해 카메라(221)가 활성화되면 카메라(221)와 함께 자동으로 함께 활성화될 수 있다.
진동센서(225)는 데이터 처리장치(116)에 의해 전원공급이 결정되면 커넥터 모듈(210)을 통해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장치(116)에 의해 센싱 데이터가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작업자가 위험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가 해당 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장치(116)가 진동센서로의 전원공급을 결정함으로써 진동센서(225)가 동작하게 된다.
비콘태그(226)는 작업자가 이동시 작업환경 중 위험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비콘 리더기에 의해 리딩됨으로 서버(120)가 작업자가 위험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비콘태그(226)는 스마트밴드(114)에 형성된 전원공급라인(230)을 통해 커넥터 모듈(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어셋(115)은 마이크를 통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제1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장치(116)로 전달하거나 데이터 처리장치(116)로부터 전달되는 제2 음성 데이터를 이어폰을 통해 작업자에게 송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어셋(115)은 데이터 처리장치(116)와 무선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장치(116)로 무선으로 전달하고, 데이터 처리장치(116)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어셋(115)은 데이터 처리장치(116)와 무선으로 페어링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이어셋(115)이 스마트밴드(114)와 분리된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에에 있어서 이어셋(115)은 스마트밴드(114)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이어셋(115)은 스마트밴드(114)에 탑재되어 스마트밴드(11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스마트밴드(114)를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116)로 제1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데이터 처리장치(116)는 케이블(118)을 통해 스마트밴드(114)로 전원을 공급하고, 케이블(118)을 통해 스마트밴드(114)로부터 데이터 생성장치(2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장치(1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처리장치(116)의 하우징에는 데이터 처리장치(116)를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시키기 위한 결합장치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장치(116)의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장치(116)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장치(116)는 제2 커넥터 모듈(610), 제어부(620), 제1 통신모듈(630), 제2 통신모듈(640), 및 배터리(650)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장치(116)는 배터리 잔량 알림부(660), 충전모듈(670), 카메라 활성화 버튼(680), 조명장치 활성화 버튼(690), 전원버튼(700), 작동상태 표시부(710), 및 USB 포트(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모듈(610)은 스마트밴드(114)에 포함된 제1 커넥터 모듈(210)과 케이블(118)을 통해 연결된다. 제2 커넥터 모듈(610)은 케이블(118)을 통해 제1 커넥터 모듈(2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제어부(620)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커넥터 모듈(610)은 배터리(65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케이블(118)을 통해 스마트밴드(114)로 공급한다.
제어부(620)는 제2 커넥터 모듈(610)을 통해 스마트밴드(11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6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제어부(621), 제1 데이터 처리부(622), 센싱 데이터 보정부(623), 제2 데이터 처리부(624), 진동센서젱어부(625), 문자-음성 변환부(626), 및 조명장치 제어부(627)를 포함한다.
먼저, 카메라 제어부(621)는 영상회의를 위한 카메라의 활성화 요청이 입력되면 제2 커넥션 모듈(610)을 제어하여 카메라(21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를 활성화시킨다. 예컨대, 카메라 제어부(621)는 제2 커넥션 모듈(610) 중 카메라(2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핀을 배터리(650)에 연결시킴으로써 카메라(21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밴드(114)에 장착된 카메라(211)가 활성화됨으로써 카메라(211)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621)는 카메라(211)의 활성화와 동시에 영상회의의 개시를 위해 서버(120)로 전송할 영상회의 개설요청을 생성한다. 카메라 제어부(621)는 제1 통신모듈(630)을 통해 영상회의 개설요청을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서버(120)에 포함된 영상회의 시스템(미도시)가 영상회의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621)는 영상회의의 종료로 인한 카메라 비활성화 요청이 입력되면 카메라(221)를 비활성화 요청에 따라 제2 커넥션 모듈(610)을 제어하여 카메라(221)에 대한 전원공급이 중단되도록 한다. 예컨대, 카메라 제어부(621)는 제2 커넥션 모듈(610) 중 카메라(2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핀을 배터리(650)와 분리시킴으로써 카메라(221)에 대한 전원공급이 차단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부(621)는 카메라의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조명장치 활성화 명령을 생성하여 조명장치 제어부(627)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장치 제어부(627)가 조명장치(224)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조명장치(224)가 활성화 되어 작업자가 위치한 환경의 조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양질의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처리부(622)는 카메라 제어부(621)에 의해 카메라(221)가 활성화됨으로써 카메라(221)에 의해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면, 카메라(221)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는 제2 커네터 모듈(610)을 통해 카메라(221)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데이터 처리부(622)는 제2 통신모듈(640)을 통해 이어셋(115)으로부터 작업자에 의해 생성된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데이터 처리부(622)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와 제1 음성 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영상회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데이터 처리부(622)는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에 따라 정렬하여 동일한 시점에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하나로 결합할 수 있다.
이후, 제1 데이터 처리부(622)는 생성된 영상회의 데이터를 스트리밍이 가능한 형태로 포맷 변환하여 제1 통신모듈(630)을 통해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영상회의 데이터는 서버(120)에 포함된 영상회의 시스템을 통해 스트리밍 형식으로 출력된다.
한편, 제1 데이터 처리부(622)는 제1 통신모듈(630)을 통해 서버(120)로부터 영상회의를 위한 제2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제2 통신모듈(640)을 통해 이어셋(115)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영상회의 시스템과 작업자간에 영상회의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싱 데이터 보정부(623)는 안전모 밴드(114)에 장착된 센서(222)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싱 데이터 보정부(623)는 안전모 밴드(114)에 복수개의 센서(222)들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각 센서(222) 별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센싱 데이터 보정부(623)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보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싱 데이터 보정부(623)는 일정시간 동안 수신된 센싱 데이터들을 평균한 평균값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센싱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센싱 데이터 보정부(623)는 평균값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처리부(624)로 전달한다.
제2 데이터 처리부(624)는 센싱 데이터 보정부(623)에 의해 생성된 평균값 데이터를 기준치와 비교함으로써 이상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평균값 데이터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작업환경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해당 평균값 데이터를 제1 통신모듈(630)을 통해 서버(120)로 전송한다. 또한, 제2 데이터 처리부(624)는 평균값 데이터가 기준치를 초과는 경우 판단결과를 진동센서 제어부(625)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데이터 처리부(624)는 평균값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포맷을 갖는 형태로 변환하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데이터 처리부(624)는 평균값 데이터를 JSON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JSON 포맷은 속성과 해당 속성에 대한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포맷으로서, 본 발명에서 JSON 프로토콜의 속성은 센서(222)의 식별자를 나타내고 값은 해당 센서(222)에서 센싱된 센싱 데이터들의 평균값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2 데이터 처리부(624)가 각 센서(222)에 의해 생성된 센싱 데이터들의 평균값 데이터를 JSON 포맷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안전모 밴드(114)에 장착되는 센서(222)의 종류가 변경되더라도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변경된 센서(222)의 식별정보 및 해당 센서(222)에 의해 생성된 센싱 데이터의 평균갑 데이터만을 추가하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데이터 처리부(624)는 평균값 데이터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해당 평균값 데이터는 포맷 변환하지 않고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거나 폐기한다.
진동센서 제어부(625)는 제2 데이터 처리부(624)로부터 평균값 데이터가 기준치를 초과한다는 판단결과가 수신되면 제2 커넥션 모듈(610)을 제어함으로써 진동센서(22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예컨대, 진동센서 제어부(625)는 제2 커넥션 모듈(610) 중 진동센서(22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핀을 배터리(650)와 연결시킴으로써 진동센서(225)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모 밴드(114)에 장착된 진동센서(224)가 작동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환경은 센싱 데이터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위험지역임을 알려 작업자가 해당 위험지역으로부터 조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문자-음성 변환부(626)는 제1 통신모듈(630)을 통해 서버(12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평균한 평균값 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라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함으로써 제2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문자-음성 변환부(626)는 생성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제2 통신모듈(640)을 통해 이어셋(115)으로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버(120)로부터 위험여부를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제2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어셋(115)으로 전달함으로써, 작업자가 이어셋(115)을 통해 출력되는 제2 음성 데이터를 청취하여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환경이 센싱 데이터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위험지역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조명장치 제어부(627)는 외부로부터 조명장치 활성화 요청이 입력되거나, 카메라 제어부(612)로부터 조명장치 활성화 요청이 입력되면 제2 커넥션 모듈(610)을 제어하여 조명장치(224)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조명장치(224)를 활성화시킨다. 예컨대, 조명장치 제어부(627)는 제2 커넥션 모듈(610) 중 조명장치(22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핀을 배터리(650)에 연결시킴으로써 조명장치(224)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통신모듈(630)은 데이터 처리장치(116)와 서버(12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모듈(630)은 카메라 제어부(621)에 의해 생성된 영상회의 개설요청 및 영상회의 데이터를 서버(120)로 전송하고, 서버(120)로부터 영상회의를 위한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 처리부(622)로 전달한다.
또한, 제1 통신모듈(630)은 제2 데이터 처리부(624)에 의해 생성된 JSON 포맷의 평균값 데이터를 서버(120)로 전송하고, 서버(120)로부터 위험여부를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문자-음성 변환부(626)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통신모듈(640)은 LTE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통신모듈(640)을 3G모듈이 아닌 LTE모듈로 구현하는 것은 3G모듈은 영상회의 데이터를 서버(120)로 원활하게 전송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제1 통신모듈(640)은 보안을 위해 Private LTE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640)은 데이터 처리장치(116)과 이어셋(115)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모듈(640)은 이어셋(115)으로부터 작업자의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 처리부(622)로 전달하고, 제1 데이터 처리부(622)로부터 영상회의를 위한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어셋(115)로 전달한다.
또한, 제2 통신모듈(640)은 문자-음성 변환부(626)로부터 위험여부를 알리는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어셋(115)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통신모듈(640)은 제2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650)는 데이터 처리장치(116) 내부에 탑재되어 데이터 처리장치(116)의 전압원으로써 동작하는 것으로서, 안전모 밴드(114)에 장착된 데이터 생성장치(220)에도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 세트(110)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안전모(112)나 안전모(112)에 체결되는 안전모 밴드(114)가 아니라 데이터 처리장치(115)에 포함시킴으로써 안전모(112)를 경량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배터리 잔량 알림부(660)는 주기적으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 잔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색상을 외부로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 알림부(660)는 배터리 잔량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모듈(670)은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배터리(650)를 충전시킨다.
카메라 활성화 버튼(680)은 작업자에 의해 온 상태로 되면 카메라 활성화 요청을 생성하여 카메라 제어부(621)로 전달한다. 또한, 카메라 활성화 버튼(680)은 작업자에 의해 오프 상태로 되면 카메라 비활성화 요청을 생성하여 카메라 제어부(621)로 전달한다.
조명장치 활성화 버튼(690)은 작업자에 의해 온 상태로 되면 조명장치 활성화 요청을 생성하여 조명장치 제어부(627)로 제어부로 전달한다. 또한, 조명장치 활성화 버튼(690)은 작업자에 의해 오프 상태로 되면 조명장치 비활성화 요청을 생성하여 조명장치 제어부(627)로 전달한다.
전원버튼(700)은 작업자에 의해 온 상태로 되면 데이터 처리장치(116)를 온 시킴으로써 데이터 처리장치(116)가 동작하도록 하고, 작업자에 의해 오프상태로 되면 데이터 처리장치(116)를 오프시킨다.
이외에도, 데이터 처리장치(116)는 데이터 처리장치(116)의 작동여부를 나타내는 작동상태 표시부(710) 및 시스템 업데이트 및 설정을 위한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USB 포트(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장치는 제2 가스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스센서는 작업환경에 노출된 일산화탄소를 센싱하여 제2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2 가스센서는 생성한 제2 센싱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일정시간 동안 수신된 제2 센싱 데이터를 평균하여 제2 센싱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제2 센싱 데이터를 보정한다.
제어부는 제2 센싱 데이터에 대한 제2 평균값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 비교한다. 비교결과, 제2 평균값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면 제어부는 작업자가 위치한 환경에 기준치 이상의 일산화탄소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 평균값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평균값 데이터 및 제2 평균값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제2 평균값 데이터 및 제2 평균값 데이터를 JSON 포맷에 따라 하나의 패킷으로 생성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제1 평균값 데이터 및 제2 평균값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평균값 데이터 및 제2 평균값 데이터를 JSON 포맷에 따라 하나의 패킷으로 변환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케이블(118)은 제1 커넥터 모듈(210) 및 제2 커넥터 모듈(610)을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케이블(118)은 제2 커넥터 모듈(610)을 통해 배터리(6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 커넥터 모듈(210)을 통해 안전모 밴드(114)의 소켓(330)에 공급한다.
또한, 케이블(118)은 각 데이터 생성장치(2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장치(116)으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선을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선은 각 데이터 처리장치(220)와 1:1로 연결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장치(116)의 제어부(620)는 해당 데이터 처리장치(220)와 연결된 데이터선의 구별을 통해 제어부(620)로 수신되는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 생성장치(220)로부터 전송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서버(120)는 각각의 스마트 안전모 세트(110)에 포함된 데이터 처리장치(116)와 통신하여 영상회의를 수행하거나 각 데이터 처리장치(116)로부터 평균값 데이터가 수신되면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기 위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한다. 서버(120)는 작성된 문자 메시지를 해당 서버(120)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 처리장치(116)들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120)는 각 데이터 처리장치(116)들을 각 데이터 처리장치(116)의 MAC 어드레스 및 각 데이터 처리장치(116) 별로 부여된 고유키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즉, 서버(120)는 각 데이터 처리장치(116)의 MAC어드레스를 각 데이터 처리장치(116) 별로 할당되는 고유키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고, 각 데이터 처리장치(116)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데이터에 포함된 MAC어드레스와 동일한 MAC 어드레스와 매칭되어 있는 고유키를 확인함으로써 각 데이터 처리장치(116)들을 구분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100)은, 스마트밴드(114)에 장착된 비콘 태그(226)를 인식할 수 있는 비콘 리더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콘 리더기는 작업환경 내에서 위험지역에 배치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모 밴드(114)에 장착된 비콘 태그(226)가 인식되면 인식된 비콘 태그(226)의 정보를 서버(11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비콘 태그(226)와 매칭되어 있는 고유키를 검색하고, 해당 고유키를 갖는 데이터 처리장치(116)로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서(222)가 안전모 밴드(114)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서(222) 들 중 일산화가스를 센싱하기 위한 제2 가스센서는 데이터 처리장치(116)에 포함될 수도 있다. . 이는 일산화가스는 공기보다 무게가 무거워 작업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체류하기 때문에, 안전모(112)에 체결된 안전모 밴드(114)에 장착되는 것에 비해 작업자의 허리에 부착되는 데이터 처리장치(116)에 포함시키는 것이 일산화가스를 더 정화하게 센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위치(310) 및 게이팅 신호 생성부(320)가 제1 커넥터 모듈(21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310) 및 게이팅 신호 생성부(320)는 제2 커넥터 모듈(610)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안전모 밴드(114)의 소켓(330)에 데이터 생성장치(220)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제2 커넥터 모듈(610)을 통해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110: 스마트 안전모 세트
112: 안전모 114: 안전모 밴드
115: 이어셋 116: 데이터 처리장치
118: 케이블 210: 제1 커넥터 모듈
220: 데이터 생성장치 610: 제2 커넥터 모듈
620: 제어부 630: 제1 통신모듈
640: 제2 통신모듈

Claims (14)

  1. 작업환경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작업환경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생성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밴드;
    상기 안전모 밴드가 체결되는 안전모; 및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안전모 밴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안전모 밴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 또는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제1 음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제2 음성 데이터를 상기 작업자에게 출력하는 이어셋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이어셋으로부터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2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이어셋으로 전송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회의를 위한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 요청에 따라 상기 카메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영상회의의 개설요청을 생성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이어셋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영상회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회의 데이터를 스트리밍이 가능한 형태로 포맷 변환하는 제1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모듈은 상기 서버로 사기 영상회의 개설요청 및 상기 포맷 변환된 영상회의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영상회의를 위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평균하여 평균값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 데이터 보정부; 및
    상기 평균값 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평균값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포맷 변환하는 제2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모듈은 상기 포맷 변환된 평균값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평균값 데이터를 JSON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에는 진동센서가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값 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이상일 때 상기 진동센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진동센서를 작동시키는 진동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평균값 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이상임을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음성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안전모 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색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알림부; 및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소켓; 및
    상기 복수개의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소켓에 삽입된 데이터 생성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소켓에 삽입된 데이터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 전달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소켓에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가 장착된 소켓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1 단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 단자;
    상기 센싱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3 단자 및 제4 단자; 및
    상기 소켓에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제2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 모듈로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켓에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가 장착되지 않으면 상기 커넥터 모듈로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모듈은,
    특정 소켓의 검출단자에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해당 소켓에 전원공급을 위한 게이팅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팅 신호 생성부; 및
    상기 게이팅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 전원단자로 상기 전원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원단자로 상기 접지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작업환경의 산소가스를 센싱하여 제1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가스센서 및 상기 작업환경의 일산화가스를 센싱하여 제2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가스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의 탈부착으로 인한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KR1020160184453A 2016-12-30 2016-12-30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KR101884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453A KR101884536B1 (ko) 2016-12-30 2016-12-30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453A KR101884536B1 (ko) 2016-12-30 2016-12-30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075A true KR20180079075A (ko) 2018-07-10
KR101884536B1 KR101884536B1 (ko) 2018-08-01

Family

ID=6291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453A KR101884536B1 (ko) 2016-12-30 2016-12-30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5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0467A (zh) * 2019-03-12 2019-05-21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语音交互式智能安全帽
WO2020059912A1 (ko) * 2018-09-19 2020-03-26 김성규 안전모 조명장치
KR20200063012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무선타입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KR20210109353A (ko) *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 정보 제공 장치
KR102382985B1 (ko) * 2021-11-17 2022-04-08 (주)에스엔디글로벌 스마트 골전도 이어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761B1 (ko) 2018-11-30 2019-12-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착식 안전관리용 모듈을 포함하는 안전모
KR20220118822A (ko) 2021-02-19 2022-08-26 이경복 지능형 안전모 및 이를 구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549306B1 (ko) 2022-04-01 2023-06-29 우기찬 스마트 워치를 이용한 감전사고 안전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527A (ko) * 2008-09-24 2010-04-01 주식회사 두원 컴퓨터용 이중 제어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구동 방법
KR101282669B1 (ko) * 2012-11-12 2013-07-12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1355163B1 (ko) * 2012-08-22 2014-01-27 화신커넥터 주식회사 스파크 방지기능을 갖는 플러그 조립체
KR101381139B1 (ko) * 2007-08-13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노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4618A (ko) * 2014-11-28 2016-06-08 (주)유로스마트 현장상황에 적응적인 실시간 영유아건강관리모니터링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39B1 (ko) * 2007-08-13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노드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34527A (ko) * 2008-09-24 2010-04-01 주식회사 두원 컴퓨터용 이중 제어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구동 방법
KR101355163B1 (ko) * 2012-08-22 2014-01-27 화신커넥터 주식회사 스파크 방지기능을 갖는 플러그 조립체
KR101282669B1 (ko) * 2012-11-12 2013-07-12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KR20160064618A (ko) * 2014-11-28 2016-06-08 (주)유로스마트 현장상황에 적응적인 실시간 영유아건강관리모니터링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12A1 (ko) * 2018-09-19 2020-03-26 김성규 안전모 조명장치
KR20200063012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무선타입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CN109770467A (zh) * 2019-03-12 2019-05-21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语音交互式智能安全帽
KR20210109353A (ko) *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 정보 제공 장치
KR102382985B1 (ko) * 2021-11-17 2022-04-08 (주)에스엔디글로벌 스마트 골전도 이어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536B1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536B1 (ko)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JP6488394B2 (ja) 着用式通信アセンブリおよび通信アセンブリ
KR102128679B1 (ko)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무선타입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US9486027B2 (en) Connection assembly for adjoining a peripheral with a host wearable device
US10061296B2 (en) Safety switch device, operation terminal, and machine control system
KR101340008B1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CN108576961A (zh) 电力施工作业现场信息化智能工作服
KR102051214B1 (ko)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JP2017010185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21058A (ko) 스마트 모니터링 운용 시스템
KR101270132B1 (ko)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
JP5866557B1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法
US20180075734A1 (en) Powering Peripheral Devices
KR101496730B1 (ko) 이동 영상 실시간 전송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10261398B2 (en) Electronic device that accepts a removable, externally-connected device
JP2020007670A (ja) 中継ターミナル及び頭部保護具
CN106817661A (zh) 听力辅助系统及电子装置
JP6533450B2 (ja) 監視センサ装置
US1021275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ed by workers undertaking dangerous operations
KR101743059B1 (ko) 랜턴 겸용 다목적 비상상황 검출램프
CN114762547A (zh) 一种头戴装置
CN209628678U (zh) 电力施工作业现场信息化智能工作服
KR20170082040A (ko) 조명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6570505B2 (ja) 送受信システム及びその端末装置
KR20170033740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