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864B1 -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864B1
KR102369864B1 KR1020200128323A KR20200128323A KR102369864B1 KR 102369864 B1 KR102369864 B1 KR 102369864B1 KR 1020200128323 A KR1020200128323 A KR 1020200128323A KR 20200128323 A KR20200128323 A KR 20200128323A KR 102369864 B1 KR102369864 B1 KR 102369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ghting device
lighting unit
unit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Priority to KR102020012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안전모에 착용하여 360°전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는 안전모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측면조명부가 구비되는 환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며, 광원과 렌즈를 포함하는 전방조명부; 및 상기 전방조명부의 광원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줌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LIGHTING DEVICE WITH ZOOM FOR SAFETY HELMET}
본 발명은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안전모에 착용하여 360°전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이나 소방현장 또는 기타 산업체의 작업장 등 항상 위험에 노출된 작업환경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는 신변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모의 착용을 의무화를 하고 있다.
또한 안전모는 야구, 인라인 스케이트, 사이클, 스케이트 등 운동경기 중에서 선수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반드시 착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종목이 다수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 상기 안전모는 상기 근로자나 운동선수들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야외활동 등 레저활동을 하는 경우에 필수 안전장비로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안전모는 사람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매우 세심한 제작과정을 거쳐 양산되고 있으며, 또한 그 기능도 날로 다양하고 향상되어 제작되고 있다.
한편, 야간 작업이나 활동을 위한 발광장치가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발광장치는 안전모에 결합되는 것도 있고, 탈부착되는 것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장치는 어느 경우든 전방 주시를 위한 조명용으로만 제공하고 있을 뿐, 사용자의 위치를 외부에 알리는 역할에는 부족하여 공사현장에서 통행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한편, 근래에는 캠핑이나 낚시 또는 각종 야간 스포츠 등을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야외 레저활동시 조명장치로는 손으로 파지를 해야 하므로 손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450780호 등록특허 제10-2063218호 등록특허 제10-1842479호 등록특허 제10-2002153호 등록특허 제10-199754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환형의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발광하는 조명장치를 안전모 착용함으로써 사용자 주변 360°전방향을 밝게 비출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조명부를 구비하여 전방을 주변보다 더 밝게 비출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조명부를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 환경의 유해가스를 검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저 포인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물건을 지시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면조명부의 조사각을 하향하도록 함으로써 주위 사람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장배터리와 외장배터리 모두 사용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여 low battery 상태를 진동이나 점멸 또는 경고음 등으로 알릴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면조명부를 복수의 파트로 분리하여 개별제어가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는 안전모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측면조명부가 구비되는 환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며, 광원과 렌즈를 포함하는 전방조명부; 및 상기 전방조명부의 광원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줌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방조명부의 조사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조명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링형태의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된 적어도 1 이상의 LED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종단면의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상단이 상기 하단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일측에 유해가스 검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내장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외장배터리를 장착하는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장배터리 또는 외장배터리의 상태를 알리는 알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조명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파트로 구분되어 각각 개별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조명부를 빨간색 LED를 점멸시키는 경광등모드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는 레이저 포인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환형의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발광하는 조명장치를 안전모에 착용함으로써 사용자 주변을 360°밝게 비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조명부를 구비하여 전방을 주변보다 더 밝게 비추어 지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전방조명부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조사 면적 및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작업환경의 유해가스 농도를 제공하여 사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면조명부의 조사각을 하향하도록 함으로써 주위 사람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장배터리와 외장배터리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여 low battery 상태를 진동이나 점멸 또는 경고음 등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측면조명부를 복수의 파트로 분리하여 개별제어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실시예(1)는 프레임(10)과, 전방조명부(50)와, 줌조절부(53)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사용자가 안전모(100)에 착용할 수 있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은 평면형태가 원형보다는 타원형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환형의 프레임(10)은 유연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착용감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으로 분리 구성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는 전방조명부(5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주위를 밝힐 수 있도록 측면조명부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조명부(50)는 전방 주시를 위해 강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원(미도시)과 렌즈(51)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LED소자 또는 기타 공지의 광원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상기 전방조명부의 광원과 렌즈(5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줌 조절부(53)가 구비된다.
상기 줌 조절부(53)는 상기 전방조명부(50)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휘도(밝기) 및 가시 거리 확보를 위해 광원과 렌즈(5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줌 조절부(53)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광의 조사면적 및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조명부(50)를 상기 프레임(10)에 장착하기 위한 전방장착부(13)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장착부(13)는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탈부착되도록 장착되며, 특히, 상기 전방조명부(50)가 힌지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전방장착부(13)에는 상기 전방조명부(50)가 장착되는 장착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4)의 양측면에는 결합홀(15)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조명부(50)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52)가 상기 결합홀(15)에 장착되어 상기 전방조명부(50)가 상하로 스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개를 움직이지 않더라도 상기 전방조명부(50)를 상하로 스윙하여 광의 조사방향을 조절하여 사물을 지시하고 가리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방조명부에는 레이저 포인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하로 스윙하면서 레이저 포인터로 물건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조명부는 상기 프레임(1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링형태의 기판(20)과, 상기 기판(20)에 실장된 적어도 1 이상의 LED소자(2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프레임(10)의 외주면에는 전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LED소자(21)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측면조명부는 프레임(10)의 외주면 전체에 결쳐 띠형태로 배열된다. 따라서 LED소자(21)가 발광하게 되면 사용자의 전면 뿐 아니라 측면이나 후면에서도 발광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사용자의 측면이나 후면에서 발광하는 것은 사용자의 위치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의 위치를 외부에 알려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기판(20)은 종단면이 수직으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기울어지게 구비된다는 특징이 있다(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에는 내주면을 따라 안내부가 형성된다(도 8). 상기 안내부(16)에는 고정수단(40)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안내부(16)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안내부(16)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프레임(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0)은 절곡된 판스프링(41)과, 상기 판스프링(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16)에 결합되는 결합부(42)와, 상기 판스프링(41)의 타측에 형성된 마찰패드(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복수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40)은 프레임(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안전모(100)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하여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모(100)에 장착할 때, 상기 판스프링(41)이 변형되면서 탄성적으로 안전모(10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43)가 구비되어 안전모에 슬립되지 않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40)이 내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구조, 그리고 판스프링 구조라는 특징으로 인해 상기 프레임을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안전모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판(20)의 종단면은 하단은 상기 프레임(10)의 중심방향으로, 상단은 상기 하단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기판은 종단면의 하단이 상단보다 상기 프레임의 중심방향에 가깝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변 360°방향으로 광이 조사될 때, 수평하게 조사되는 것이 아니라 하향하도록 조사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사람의 눈높이보다 낮게 광을 조사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LED소자(21)를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3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30)는 렌즈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판(20)과 같이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측면조명부의 LED소자(21)와, 전방조명부의 광원을 온오프하는 버튼과,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외장배터리(B)가 장착되는 배터리장착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내장배터리를 충전하여 상기 전방조명부(50)의 광원과 측면조명부의 LED소자(21)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와 별도로 배터리장착부에 장착된 외장배터리(B)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어부에 연결단자를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배터리를 연결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내장배터리와 외장배터리의 상태를 알리는 알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장배터리와 외장배터리가 LOW BATTERY일 경우, 진동이나 측면조명부를 점멸시키거나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충전을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조명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파트로 구분되어 각각 개별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측면조명부는 전측의 제1측면조명부와, 중심의 제2측면조명부와, 후측의 제3측면조명부를 각각 개별제어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조사하는 것을 막고, 배터리 사용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조명부는 단색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RG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에는 제어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부는 다색 LED소자의 색깔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측면조명부의 점멸(간격)을 제어할 수도 있고, 밝기를 제어하는 디밍제어를 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밍제어부나 점멸부를 이용하여 밝기 및 점멸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점멸 제어를 통해 외부에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는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어부를 통해 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백색광을 발광하고 위험상황에서는 적색광을 발광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배터리(B)의 잔량이 설정량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량 미만인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모터는 제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터리 잔량이 부족할 경우 사용자는 바이브레이터의 작동에 의한 진동을 인지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기회를 얻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측면조명부를 점멸시킨다. 그러나 앞선 점멸제어보다 배터리 잔량 부족에 의한 점멸제어가 점멸속도를 더욱 빨리 하여 긴박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일정 시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면조명부를 소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유해가스 검출부가 구비된다. 유해가스 중 특히,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구비된다. 유해가스 검출부에서 검출된 값에 따라 사용자에게 위험도를 알려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레이저 포인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사용자가 물건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별도의 레이저 포인터를 손으로 들지 않아도 물건을 지시할 수 있으므로 손의 사용이 자유롭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전방장착부에 구비되어 각도를 조절하여 물건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조명부를 빨간색 LED를 점멸시키는 경광등모드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청구범위에 표현된 다양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조명장치(실시예)
10: 프레임
20: 기판
21; LED소자
30: 커버
40: 고정수단
50: 전방조명부

Claims (6)

  1. 안전모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측면조명부가 구비되는 환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며, 광원과 렌즈를 포함하는 전방조명부;
    상기 전방조명부의 광원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줌조절부; 및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링형태의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된 적어도 1 이상의 LED소자가 구비되는 측면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종단면의 하단이 상단보다 상기 프레임의 중심방향에 가깝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일측에 유해가스 검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내장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조명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파트로 구분되어 각각 개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는 레이저 포인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200128323A 2020-10-05 2020-10-05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KR102369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323A KR102369864B1 (ko) 2020-10-05 2020-10-05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323A KR102369864B1 (ko) 2020-10-05 2020-10-05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864B1 true KR102369864B1 (ko) 2022-03-04

Family

ID=8081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323A KR102369864B1 (ko) 2020-10-05 2020-10-05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86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153A (ko) 2000-03-14 2002-01-04 니시무로 타이죠 정리번호의 자동발행에 의한 주문접수방법 및 주문접수단말장치
KR200450780Y1 (ko) 2010-04-13 2010-10-29 이호남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KR20130021060A (ko) * 2011-08-22 2013-03-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KR101842479B1 (ko) 2017-03-08 2018-03-27 김성규 필터유닛 세정장치
KR101997546B1 (ko) 2017-07-27 2019-07-09 김성규 안전모 조명장치
KR102054168B1 (ko) * 2018-08-03 2019-12-10 김동기 안전모용 헤드램프
KR102063218B1 (ko) 2018-09-19 2020-01-07 김성규 안전모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153A (ko) 2000-03-14 2002-01-04 니시무로 타이죠 정리번호의 자동발행에 의한 주문접수방법 및 주문접수단말장치
KR200450780Y1 (ko) 2010-04-13 2010-10-29 이호남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KR20130021060A (ko) * 2011-08-22 2013-03-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KR101842479B1 (ko) 2017-03-08 2018-03-27 김성규 필터유닛 세정장치
KR101997546B1 (ko) 2017-07-27 2019-07-09 김성규 안전모 조명장치
KR102054168B1 (ko) * 2018-08-03 2019-12-10 김동기 안전모용 헤드램프
KR102063218B1 (ko) 2018-09-19 2020-01-07 김성규 안전모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188B2 (en) Light-emitting systems for headgear
US8117676B1 (en) Hardhat with vent strip and lighting configuration
KR200450780Y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US20110242799A1 (en) Lighting apparatus
KR101997546B1 (ko) 안전모 조명장치
KR102063218B1 (ko) 안전모 조명장치
KR102369864B1 (ko)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KR102595946B1 (ko)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두부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KR102151669B1 (ko) 안전모 발광장치
KR102151671B1 (ko) 안전모 조명장치
KR102002153B1 (ko) 안전모 발광장치
AU2021101365A4 (en) Safety helmet lighting device
US9433807B2 (en)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illumin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