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55174A1 -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55174A1
WO2020055174A1 PCT/KR2019/011846 KR2019011846W WO2020055174A1 WO 2020055174 A1 WO2020055174 A1 WO 2020055174A1 KR 2019011846 W KR2019011846 W KR 2019011846W WO 2020055174 A1 WO2020055174 A1 WO 20200551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abion
unit
gaebion
retaining wall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18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성대
Original Assignee
(주)삼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삼일이엔씨
Publication of WO20200551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551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ly drained by stacking the gaebion units up and down to form the front member of the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and fixing one en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to the fixing memb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to prevent horizontal displacement and collapse of the front member due to horizontal earth pressure. It is about a retaining wall of a fully drained Gae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that is easy to construct and economical while preventing construction.
  • the retaining wall refers to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ack so that it does not collapse because it resists the back soil pressure.It is largely reinforced by the weight of the back soil by reinforcing the gravity concrete retaining wall and the back soil itself that support the back soil pressure by their own weight. It can be divided into a retaining wall that can withstand soil pressure.
  • the gravity-type concrete retaining wall is vulnerable to cracks i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ack soil, has a height limitation, and has a high foundation cost.
  • the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in the back soil by placing a reinforcement material such as a geogrid in the back soil, thereby resisting the earth pressure.
  • Blocks are stacked on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to protect the front.
  • the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has a weak binding for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on the front, and when the groundwater level rises, there is a risk of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due to an increase in horizontal soil pressure due to poor drainage.
  • FIG. 1 a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block on the front of a retaining wall is replaced with Gaebion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block and to facilitate drainag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22548).
  • the registration technique still has a weak binding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taining wall blocks, and the gaebion may be conducted forward by horizontal earth pressure.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structural weaknesses, the thickness of Gaebion has to be widened, so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uneconomical.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lly drained gabion-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prevent deformation and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by removing back pressure due to complete drainag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ally advantageous and easy construction and economical fully drained Gae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with excellent binding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taining wall block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memb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gabion units filled with gabion stone inside the wire mesh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back soil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member; A fixing member that is a cast-in-place concrete that wraps and integrates the wire mesh and reinforcement of the upper and lower gaebion units on the rear side between the stacked gaebion units; And one end is fixed inside the fixing member, the other end is a reinforcing material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back soil; Consisting of, in the area where th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are stacked, a space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lower gabion unit, and the fixing member is poured into the space portion so as to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gabion unit, and on the rear side of the fixing member.
  • a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ded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back soil side is integrally 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xing reinforcing bar for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gaebion units to each other.
  •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reinforcing bar is formed in a wave shape and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etaining wall in the fixing member.
  •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xing bar.
  •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a nonwoven fabric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member and the back soil.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of the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ment soil, (a) installing a wire mesh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and filling the gabion stone inside the wire mesh to construct a gabion unit; (b) filling and compacting the back soil with the same height as the gaebion unit on the back of the gaebion unit; (c) installing a reinforcement material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ck soil so that one end spans the upper surface of the gaebion unit; (D) installing a fixing me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ebion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e) installing a wire mesh of another gaebion unit on the top of the gaebion unit at the bottom where the fixing member is installed, and filling the gaebion stone inside the wire mesh; And (f) filling and compacting the back soil at the same height as the gaebion unit on the back of the upper gabion unit;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a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 the fixing member is a cast-in-place concrete
  • step (e) the wire mesh of the upper gaebion unit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before the cast-in-place concrete is cu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of the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ment, (a) installing a wire mesh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and filling the gabion stone inside the wire mesh to construct a gabion unit; (b) filling and compacting the back soil with the same height as the gaebion unit on the back of the gaebion unit; (c) installing a reinforcement material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ck soil so that one end spans the upper surface of the gaebion unit; (d) installing a wire mesh of another gaebion unit on the upper gabion unit of the lower portion; (e) installing a fixing me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gaebion unit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esh wire to be buried, and filling the gaebion stone inside the upper wire mesh; And (f) filling and compacting the back soil at the same height as the gaebion unit on the back of the upper gabion unit;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a fully drained gabion
  • the front member constituting the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is formed by stacking the gaebion units, the permeate in the back soil can be smoothly drained to the front of the front member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gaebion stones. Accordingly, complete drainage is possible and the back pressure can be removed.
  • the fix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aebion units integrates th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and one en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s fixed in the fixing member. Accordingly, the reinforcing soil and the front member are firmly fixed to prevent horizontal displacement and collapse of the front member due to horizontal earth pressure. In addition, since the rigidity of the entire front member is increased, the thickness of the gaebion unit can be reduced, which is economical.
  •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only on the rear side of the gaebion unit, drainage can be smoothly perform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fixing member.
  • the stacked gaebion uni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conducted forwar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 FIG. 1 is a view showing a gabion-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taining wall of a fully drained gaebion reinforced soil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gaebion unit and a reinforcing material by a fixing member.
  • FIG. 4 is a view showing a lower gaebion unit in which a space portion is formed.
  •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eld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pace.
  •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 mesh of the upper gaebion unit fixed member.
  •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bion stone is filled with wire mesh of the upper gabion unit.
  • FIG. 8 is a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of a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a fixing rebar.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rrugated fixing bar is provided in a fixing member.
  • FIG. 10 is a view showing upper and lower fixing members fixed by a fixing bar.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ep-by-step process for a construction method of a fully drained gae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ep-by-step process for a construction method of a fully drained gae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front member (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abion units (10) filled with gabion stone (12) inside the wire mesh (11)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a back soil 2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member 1;
  • a fixing member (3) that is a cast-in-place concrete that wraps and integrates the wire mesh (11, 11 ') and reinforcement (4) of the upper and lower gaebion units (10, 10') on the rear side between the stacked gaebion units (10); And one end is fixed inside the fixing member (3), the other end is a reinforcing material (4)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back soil (2); Consisting of,
  • a space portion 13 is formed on a rear upper surface of the lower gaebion unit 10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10 and 10 'are stacked, and the fixing member 3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gabion unit 10.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retaining wall of a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ment s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gabion unit and a reinforcement by a fixing member.
  • the present invention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s a front memb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abion units 10 filled with gabion stones 12 inside the wire mesh 11 ( One); A back soil 2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member 1; A fixing member 3 provided between the stacked gaebion units 10; And one end is fixed inside the fixing member (3), the other end is a reinforcing material (4)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back soil (2);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lete drainage type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that can be completely drained to prevent deformation and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by removing back water pressure, and is easy to construct and economical.
  • the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ont member 1, a back soil 2, a fixing member 3, and a reinforcing material 4.
  • the front member 1 is config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gabion units 10 filled with gabion stones 12 inside the wire mesh 11.
  • the front member 1 constitutes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nd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gaebion units 10 upward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5.
  • the gaebion unit 10 may be configured of a gaebion stone 12 filled in the wire mesh wire 11 and the wire mesh wire 11 formed in a box shape by assembling a welded wire mesh.
  • the foundation part 5 means a foundation floor surface on which the drilling work has been completed, or a foundation on which the foundation work has been completed.
  • the back soil 2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member 1.
  • the front member (1) constituting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s composed of the Gaebion unit (10), the water infiltration in the back soil (2) through the air gap between the Gaebion stone (12) smoothly moves to the front of the front member (1). Can be drained. Therefore, since the back water pressure can be remo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r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due to an increase in horizontal earth pressure.
  • the gaebion unit 10 as the front member 1, the gaebion stone 12 is mainly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thereby providing excellent natural beauty.
  • the fixing member 3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10 stacked up and down, and th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1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 the fixing member 3 coupled to one en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4 serves as an anchor member for fixing the gabion unit 10 at the junction of th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10.
  • the reinforcing material 4 is settled between the fixing members 3, the reinforcing soil (back soil 2 + reinforcing material 4) and the front member 1 are firmly fixed, and thus the front member 1 by the horizontal earth pressure is fixed. Horizontal displacement and collapse can be prevented.
  • the rigidity of the entire front member 1 is increased, the thickness of the gaebion unit 10 can be reduced, which is economical.
  • the fixing member 3 may be provided to be continuou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member 1, or may be disposed discontinuously to each other.
  • the fixing member 3 When the fixing member 3 is dis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member 1, the fixing member 3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side wire mesh of the adjacent gabion unit 10 in the width direction meets and i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It is preferred that the wire mesh 11 is configured to be continuous by the fixing member 3.
  • the gabion units 10 and 10 'stacked up and down are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xing member 3 is a wire mesh 11 and 11 of th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10 and 10'.
  • reinforcement (4) can be composed of cast-in-place concrete that is integrated.
  • the wire mesh (11, 11 ') is buried inside the cast-in-place concrete to form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the cast-in-place concrete penetrates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abion seats 12 and 12 'and physically meshes with the gabion seats 12 and 12', thereby exhibiting great adhesion.
  • the fixing member 3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gaebion unit 10.
  • the vertical drainage passage in the front member 1 is blocked, so that the permeate is only drained in the front direction. Then, the drainage may not be smoothly performed in the section where the drainage amount is concentrated depending on the height.
  • the fixing member 3 may be provided only in a portion of the gaebion unit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particularly at the rear side, the permeate discharged from the back soil 2 exceeds the fixing member 3 to open the gaebion unit 10. It may be configured to be drained to the lower front member (1) through the front.
  • the gabion unit 10 receives a forward force with respect to horizontal earth pressure,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gabion unit 10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rear.
  • the fixing member 3 for fixing th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10, 10 ' is provided only on the rear side of the gabion unit 10 and is forward. It may be configured so as not to be provided.
  • a nonwoven fabric 8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member 1 and the back soil 2.
  • the non-woven fabric 8 When the non-woven fabric 8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member 1, the water infiltrated in the back soil 2 is smoothly drained, and the soil of the back soil 2 is opened to the gabion stone 12 of the front member 1 )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side.
  • FIG. 4 is a view showing a lower gaebion unit in which a space part is formed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field concrete is poured in the space part
  •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 mesh of the upper gabion unit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bion stone is filled in the wire mesh of the upper gabion unit.
  • a space portion 13 is formed on a rear upper surface of the lower gaebion unit 10 at a portion wher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10 and 10 'are stacked, and the fixing member 3 ) Can be poured into the space 13 so as to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gaebion unit 10.
  • the fixing member 3 may be buried in the fixing member 3 at least 15% of the height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10 and 10'. It is desirable to form a thickness. That is, when the heights of the upper and lower gaebion units 10 and 10 'are the same, the thickness of the fixing member 3 becomes 30% or more of the height of the gabion ubits 10 and 10'.
  • the space portion 13 formed on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lower gaebion unit 10 can be formed by filling the gaebion stone 12 inside the wire mesh net 11 except for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wire mesh net 11. Do.
  • the wire mesh 11 'of the upper gabion unit 10' may be installed and fixed to the fixing member 3 by installing it before the concrete is hardened.
  • the gabion stone 12 ′ of the upper gabion unit 10 ′ may be filled before or after curing the concrete of the fixing member 3.
  • the reinforcing material 4 is preferably disposed to be curv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13).
  • an extension portion 31 protruding toward the back soil 2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xing member 3.
  • the back soil 2 and the front member 1 are mutually heterogeneous materials. Accordingly, the reinforcing material 4 may be damaged due to different behavior characteristics at the joint between the back soil 2 and the front member 1 due to constant earth pressure or seismic force.
  • the reinforcement 4 is protected at the joint between the back soil 2 and the front member 1,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reinforcement 4 due to dynamic loading. It can be configured to.
  • the extension part (31) extends toward the back surface (2) of 10% or more of the thickness of the front member (1).
  • the fixing member 3 can be formed without a separate formwork.
  • the gaebion unit 10 'of the stacked upper portion may be installed to be retracted toward the rea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o correspond to this.
  • the rear wire mesh 11 'of the upper gabion unit 10' is also located behind the rear wire mesh 11 of the lower gabion unit 10.
  • the upper gabion unit is provided by the extension 31.
  • the back wire mesh (11 ') of (10')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buried and fixed within the fixing member (3).
  • the front member 1 maintains a proper front slope, while the rear of each gaebion unit 10, 10 'is fixed to maintain structural stability.
  • the back soil 2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aebion unit 10 can be compacted by a roller.
  • a roller due to the shape of the roller, which is a circular cross section, it is difficult to compact the back soil 2 in the adjacent portion of the gaebion unit 10.
  • the extension portion 31 of the fixing member 3 reinforces the compaction portion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reinforcing soil.
  • the extension portion 31 may protrude not only to the rear of the upper gabion unit 10 ', but also to the rear of the lower gabion unit 10.
  • the rear soil 2 in the immediate rear of the lower gaebion unit 10 is poorly compacted, so a portion of the upper soil is easily removed to form a space 21 as shown in FIG. 4, and concrete is poured on the site.
  • the extension portion 31 can also be protruded.
  • the back wire mesh of the wire mesh 11 is also buried inside the fixing member 3, so that the gaebion unit 10 can be firmly fixed to the reinforcing material 4.
  • FIG. 8 is a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of a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a reinforcing bar.
  • the fixing member 3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reinforcing bar (6) for mutually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gaebion units (10, 10 ').
  • the wire meshes 11 and 11 'of the upper and lower gabion units 10 and 10' are fixed in the fixing member 3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fixing reinforcing bar 6 can be installed in the fixing member 3.
  • the fixing reinforcing bar 6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fixing member 3 up and down to secure the fixing length.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rrugated fixing bar is provided in a fixing member.
  • the fixing reinforcing bar 6 is formed in a wave shape and may be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fixing member 3.
  • the fixing reinforcing bar 6 bent in the above-described wave shape may be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fixing member 3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gaebion units 10 and 10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 the fixing reinforcing bar 6 may be formed of a steel material or another material having excellent tensile strength.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mbers fixed by a fixing bar.
  •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mbers 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xing bar 7.
  • the fixing members 3 spaced apart vertically can constitute one continuous tension member. do.
  • the front member 1 can effectively resist the bending moment caused by the horizontal earth pressure.
  • the top and bottom of the fixing bar 7 can be firmly fixed in the fixing member 3 by enlarging the cross-section, respectively.
  • the lowermost fixing bar 7 can be settled inside the foundation 5.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ep-by-step process for a construction method of a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 a wire mesh wire 11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5, and a gaebion unit 12 is filled with a gaebion stone 12 inside the wire mesh wire 11
  • the step of constructing (10) is carried out (Fig. 11 (a)).
  • the space portion 13 in which the gabion stone 12 is not filled in the rear side may be formed in the gabion unit 10 so that the fixing member 3 may be formed of cast-in-place concrete.
  • the wire mesh 11 may be installed with the upper portion open, and after filling the gabion stone 12, the upper portion may be closed.
  • the back of the gaebion unit 10 is filled with a backing soil 2 at the same height as the gaebion unit 10 and compacted (Fig. 11 (b)).
  • the space portion 21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to form the fixing member 3 by the cast-in-place concrete eve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soil 2.
  • a reinforcement 4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soil 2 so that one end spans the upper surface of the gaebion unit 10 (Fig. 11 (c)).
  • the reinforcing material 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is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13 or 21 to settle inside the fixing member 3 when the fixing member 3 is formed.
  • the fixing member 3 may be composed of cast-in-place concrete.
  • the gabion unit 11 'of the other gabion unit 1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gabion unit 10 at the bottom where the fixing member 3 is installed, and the gabion stone ( 12 ') (FIG. 11 (e)).
  • the wire mesh 11 'of the upper gaebion unit 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3 before the cast-in-place concrete is cured.
  • the upper and lower gaebion units 10 and 10 ' can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spaced apart.
  • the wire mesh 11 ' may be installed with the upper portion open, filling the gabion stone 12'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 steps (c) to (f) may be repeated at least once or more after step (f).
  •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ep-by-step process for a construction method of a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of the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 to (f) of FIG. 12 is different from FIG. 11, in an embodiment of installing the fixing member 3 after installing the upper wire mesh 11 ' It is about.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ul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s for constructing the completely drained gab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 a wire mesh (11) is installed on top of the foundation (5), and a wire mesh (11) Filling the gabion stone 12 inside the construction of the gabion unit 10; (b) filling and compacting the back soil 2 at the same height as the gaebion unit 10 on the back side of the gabion unit 10; (c) installing a reinforcement 4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soil 2 so that one end spans the upper surface of the gaebion unit 10; (d) installing a wire mesh wire 11 'of another gaebion unit 10' on the upper gabion unit 10 of the lower portion; (e) A fixing member 3 i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wire mesh 11 'is buri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aebion unit 10 installed in the lower part, and the gabion stone 12' is placed inside the upper wire mesh 11 '. Filling);
  • the upper wire mesh 11' is inserted into the correct position by the coarse aggregate included in the fixing member 3 Difficult cases can occur.
  • the fixing member 3 is installed in the step (e) while the upper wire mesh 11 'is first installed in step (d) and fixed to the lower wire mesh 11 with a binding line, the upper wire mesh 11 ') Can be installed in the correct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비온 유니트를 상하로 적층하여 보강토 옹벽의 전면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완전배수가 가능하고, 보강재의 일단을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 사이의 고정 부재에 정착함으로써 수평 토압에 의한 전면 부재의 수평 변위 및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은 철망태의 내부에 개비온석이 채워진 개비온 유니트가 서로 밀착되도록 복수 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전면 부재; 상기 전면 부재의 배면에 구비되는 배면토; 상기 적층되는 개비온 유니트 사이 후방 측에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의 철망태 및 보강재를 감싸 일체화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인 고정 부재; 및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배면토의 내부에 매립되는 보강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본 발명은 개비온 유니트를 상하로 적층하여 보강토 옹벽의 전면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완전배수가 가능하고, 보강재의 일단을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 사이의 고정 부재에 정착함으로써 수평 토압에 의한 전면 부재의 수평 변위 및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옹벽은 배면 토압에 저항하여 배면토가 무너지지 않게 배면 전면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일컫는 것으로, 크게 옹벽 자신의 자중에 의해 배면 토압을 지지하는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과 배면토 자체를 보강함으로써 배면토 자체 중량에 의해 토압을 견디는 보강토 옹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은 배면토와 접하는 부분의 균열에 취약하고, 높이에 제한이 있으며 기초 비용이 과다하다.
반면, 보강토 옹벽은 지오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배면토 내에 배치함으로써 배면토 내 마찰력을 증대시켜 토압에 저항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경제적이면서도 형상과 높이가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는 블록 등을 쌓아 전면을 보호한다. 그러나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전면의 옹벽블록 간 결속력이 취약하고, 지하수위 상승시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수평 토압 증가로 인한 옹벽 붕괴의 우려가 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전면의 블록을 개비온으로 대체하여 옹벽 블록 시공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2548호).
그러나 상기 등록 기술은 여전히 상하부 옹벽블록 간 결속력이 취약하고, 수평 토압에 의해 개비온이 전방으로 전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적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비온의 두께를 넓게 할 수밖에 없어 비경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완전배수가 가능하여 배면 수압을 제거함으로써, 옹벽의 변형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하부 옹벽블록 간 결속력이 우수하여 구조적으로 유리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철망태의 내부에 개비온석이 채워진 개비온 유니트가 서로 밀착되도록 복수 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전면 부재; 상기 전면 부재의 배면에 구비되는 배면토; 상기 적층되는 개비온 유니트 사이 후방 측에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의 철망태 및 보강재를 감싸 일체화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인 고정 부재; 및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배면토의 내부에 매립되는 보강재; 로 구성되되,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가 적층되는 부위에서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의 후방 상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공간부에 타설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후방 측에는 배면토 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를 상호 결합하는 정착철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정착철근은 파형으로 형성되어 고정 부재 내에 옹벽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의 고정 부재는 정착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전면 부재와 배면토의 사이에는 부직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기초부의 상부에 철망태를 설치하고, 철망태의 내부에 개비온석을 채워 개비온 유니트를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개비온 유니트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c) 일단이 개비온 유니트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면토의 상부에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d) 하부에 설치된 개비온 유니트의 상면에 고정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고정 부재가 설치된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 상부에 다른 개비온 유니트의 철망태를 설치하고, 철망태 내부에 개비온석을 채우는 단계; 및 (f) 상부 개비온 유니트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 부재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상기 (e) 단계에서, 상부 개비온 유니트의 철망태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고정 부재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기초부의 상부에 철망태를 설치하고, 철망태의 내부에 개비온석을 채워 개비온 유니트를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개비온 유니트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c) 일단이 개비온 유니트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면토의 상부에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 상부에 다른 개비온 유니트의 철망태를 설치하는 단계; (e) 하부에 설치된 개비온 유니트의 상면에 상부의 철망태 하부가 묻히도록 고정 부재를 설치하고, 상부의 철망태 내부에 개비온석을 채우는 단계; 및 (f) 상부 개비온 유니트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강토 옹벽을 구성하는 전면 부재를 개비온 유니트를 적층하여 형성하므로, 개비온석 사이 공극을 통해 배면토 내 침투수가 전면 부재의 전면으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전배수가 가능하여 배면 수압을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 사이에 구비된 고정 부재가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를 일체화하며, 보강재의 일단이 고정 부재 내에 정착된다. 이에 따라 보강토와 전면 부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수평 토압에 의한 전면 부재의 수평 변위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부재 전체의 강성이 증가하므로, 개비온 유니트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셋째, 고정 부재가 개비온 유니트의 후방 측에만 구비되면, 고정 부재의 간섭 없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적층된 개비온 유니트가 옹벽 후방에서 분리되면서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개비온식 보강토 옹벽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고정 부재에 의한 개비온 유니트 및 보강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공간부가 형성된 하부 개비온 유니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공간부에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고정 부재에 상부 개비온 유니트의 철망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상부 개비온 유니트의 철망태에 개비온석을 채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정착철근이 구비된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고정 부재 내에 파형 정착철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정착바에 의해 고정된 상하부 고정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최선의 형태로, 철망태(11)의 내부에 개비온석(12)이 채워진 개비온 유니트(10)가 서로 밀착되도록 복수 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전면 부재(1); 상기 전면 부재(1)의 배면에 구비되는 배면토(2); 상기 적층되는 개비온 유니트(10) 사이 후방 측에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의 철망태(11, 11') 및 보강재(4)를 감싸 일체화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인 고정 부재(3); 및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3)의 내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배면토(2)의 내부에 매립되는 보강재(4); 로 구성되되,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가 적층되는 부위에서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방 상면에는 공간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3)는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공간부(13)에 타설되며, 상기 고정 부재(3)의 후방 측에는 배면토(2) 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3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고정 부재에 의한 개비온 유니트 및 보강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은 철망태(11)의 내부에 개비온석(12)이 채워진 개비온 유니트(10)가 복수 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전면 부재(1); 상기 전면 부재(1)의 배면에 구비되는 배면토(2); 상기 적층되는 개비온 유니트(10)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 부재(3); 및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3)의 내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배면토(2)의 내부에 매립되는 보강재(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완전배수가 가능하여 배면 수압 제거로 옹벽의 변형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하면서 경제적인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은 전면 부재(1), 배면토(2), 고정 부재(3) 및 보강재(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부재(1)는 철망태(11)의 내부에 개비온석(12)이 채워진 개비온 유니트(10)가 복수 개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면 부재(1)는 옹벽의 전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기초부(5)의 상부에 상향으로 복수의 개비온 유니트(10)를 적층하여 형성된다.
상기 개비온 유니트(10)는 용접철망을 조립하여 박스형으로 형성한 철망태(11) 및 상기 철망태(11)의 내부에 채워지는 개비온석(12)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기초부(5)는 터파기 작업이 완료된 기초 바닥면 또는 기초공사가 완료된 기초 등을 의미한다.
상기 전면 부재(1)의 배면에는 배면토(2)가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토 옹벽을 구성하는 전면 부재(1)가 개비온 유니트(10)로 구성되므로, 개비온석(12) 사이 공극을 통해 배면토(2) 내 침투수가 전면 부재(1)의 전면으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배면 수압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수평 토압 증가에 의한 옹벽의 변형이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비온 유니트(10)를 전면 부재(1)로 사용함으로써, 전면에 주로 개비온석(12)이 노출되어 자연미가 우수하다.
상기 고정 부재(3)는 상하로 적층되는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를 서로 일체화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4)의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3)의 내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배면토(2)의 내부에 매립된다.
이에 따라 보강재(4)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 부재(3)가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의 접합부에서 개비온 유니트(10)를 고정하는 앵커부재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강재(4)가 고정 부재(3) 사이에 정착되므로, 보강토(배면토(2)+보강재(4))와 전면 부재(1)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수평 토압에 의한 전면 부재(1)의 수평 변위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부재(1) 전체의 강성이 커져 개비온 유니트(1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상기 고정 부재(3)는 전면 부재(1)의 폭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호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부재(3)가 전면 부재(1)의 폭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고정 부재(3)는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개비온 유니트(10)의 측면 철망이 만나는 부분에 구비하며 상하부 철망태(11)가 고정 부재(3)에 의해 연속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되는 개비온 유니트(10, 10')는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3)는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의 철망태(11, 11') 및 보강재(4)를 감싸 일체화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 및 배면토(2)를 시공한 후, 보강재(4)를 설치한 상태에서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 및 보강재(4)의 상부에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리고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경화하기 전에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철망태(11')를 설치한다. 이후, 상부 철망태(11')의 내부에 개비온석(12')을 채움으로써, 고정 부재(3)에 의해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 및 보강재(4)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망태(11, 11')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부에 묻혀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상하부 개비온석(12, 12') 사이 공간에 침투하여 개비온석(12, 12')과 물리적으로 맞물리므로 큰 부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3)는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방 측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3)가 개비온 유니트(10)의 두께 전체에 걸쳐 구비되면, 전면 부재(1) 내에서 수직 방향 배수 통로가 차단되어 침투수가 전면 방향으로만 배수된다. 그러면 높이에 따라 배수량이 집중되는 구간에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3)를 개비온 유니트(10)의 두께 방향으로 일부 구간, 특히 후방 측에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배면토(2)에서 배수되는 침투수가 고정 부재(3)를 넘어 개비온 유니트(10)의 전방을 통해 전면 부재(1) 하부로 배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3)의 간섭 없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비온 유니트(10)는 수평 토압에 대해 전방으로 힘을 받으므로, 개비온 유니트(10)의 전방은 압축력, 후방은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적층된 개비온 유니트(10)가 후방에서 분리되면서 전방으로 전도되려고 하므로,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3)는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방 측에만 구비되고 전방에는 구비되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부재(1)와 배면토(2)의 사이에는 부직포(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부재(1)의 배면에 부직포(8)를 설치하면, 배면토(2) 내 침투수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배면토(2)의 토사가 전면 부재(1)의 개비온석(12)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공간부가 형성된 하부 개비온 유니트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공간부에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고정 부재에 상부 개비온 유니트의 철망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상부 개비온 유니트의 철망태에 개비온석을 채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가 적층되는 부위에서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방 상면에는 공간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3)는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공간부(13)에 타설할 수 있다.
상기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에 공간부(13)를 형성하면, 충분한 두께의 고정 부재(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한 두께의 고정 부재(3)에 의해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가 맞물리게 되므로, 수평 토압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 전단력에 대하여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를 상호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부재(3)는 상하부 각 개비온 유니트(10, 10') 높이의 15% 이상이 고정 부재(3) 내부에 묻힐 수 있는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의 높이가 같은 경우, 고정 부재(3)의 두께는 개비온 유비트(10, 10') 높이의 30% 이상이 된다.
이때, 하부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방 상면에 형성되는 공간부(13)는 철망태(11) 내부에 개비온석(12)을 채울 때 철망태(11)의 후방 상면을 제외하고 채움으로써 형성 가능하다.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철망태(11')는 고정 부재(3)의 콘크리트 경화 전 설치하여 고정 부재(3)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개비온석(12')은 고정 부재(3)의 콘크리트 경화 전 또는 경화 후에 채울 수 있다.
상기 보강재(4)의 간섭으로 인해 보강재(4)의 하부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굴곡 배치가 가능한 지오그리드를 보강재(4)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4)는 공간부(13)의 저면을 따라 굴곡지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3)의 후방 측에는 배면토(2) 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3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토(2)와 전면 부재(1)는 상호 이질 재료이다. 이에 상시 토압이나 지진력 등에 의해 배면토(2)와 전면 부재(1)의 접합부에서 거동 특성이 달라 보강재(4)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배면토(2) 측으로 연장부(31)를 연장 형성하여 배면토(2)와 전면 부재(1)의 접합부에서 보강재(4)를 보호함으로써, 동적 하중에 의한 보강재(4)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보강재(4)의 손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도록 연장부(31)는 전면 부재(1) 두께의 10% 이상 배면토(2) 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슬럼프 값을 적절히 조절하여 연장부(31)의 상면을 경사지게 형성하면, 별도의 거푸집 없이도 고정 부재(3)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부재(1)의 전면이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적층되는 상부의 개비온 유니트(10')는 이에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 배면 측으로 후퇴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면 철망태(11') 역시 하부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면 철망태(11)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연장부(31)에 의해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면 철망태(11') 역시 고정 부재(3) 내에 묻혀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전면 부재(1)가 적절한 전면 기울기를 유지하면서도 각 개비온 유니트(10, 10')의 후방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개비온 유니트(10)의 배면에 위치하는 배면토(2)는 롤러에 의해 다짐 가능하다. 그런데 원형 단면이라는 롤러의 형상적 특성상, 개비온 유니트(10)의 인접 부분은 배면토(2)를 다짐하기 어렵다.
상기 고정 부재(3)의 연장부(31)는 이러한 미다짐부를 보강하여 보강토의 안정성을 높인다.
상기 연장부(31)는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방뿐 아니라 하부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방으로도 돌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하부 개비온 유니트(10)의 직후방에 있는 배면토(2)는 다짐이 불량하므로 상부토 일부를 손쉽게 제거하여 도 4와 같이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이 부분에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방으로도 연장부(31)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1)의 형성에 의해 철망태(11)의 후면철망 역시 고정 부재(3) 내부에 묻히므로, 개비온 유니트(10)가 보강재(4)에 견고하게 정착될 수 있다.
도 8은 정착철근이 구비된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3)에는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를 상호 결합하는 정착철근(6)이 구비될 수 있다.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의 철망태(11, 11')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고정 부재(3) 내에 정착된다.
따라서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를 상호 결합하여 서로 연속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 부재(3) 내에 정착철근(6)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정착철근(6)은 정착 길이 확보를 위해 고정 부재(3)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정착철근(6)에 의해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 사이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다.
도 9는 고정 부재 내에 파형 정착철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착철근(6)은 파형으로 형성되어 고정 부재(3) 내에 옹벽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형으로 절곡된 정착철근(6)은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를 폭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연결하기 위해 고정 부재(3) 내에 옹벽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정착철근(6)은 강재 또는 인장강도가 우수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정착바에 의해 고정된 상하부 고정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의 고정 부재(3)는 정착바(7)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착바(7)의 단부가 고정 부재(3)의 내부에 정착되어 상하부 고정 부재(3)를 연결하면, 상하로 이격되는 고정 부재(3)가 하나의 연속된 인장 부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면 부재(1)가 수평 토압에 의한 휨 모멘트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상기 정착바(7)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단면을 확대하여 고정 부재(3) 내에 견고하게 정착할 수 있다.
이때, 최하단의 정착바(7)는 기초부(5)의 내부에 정착 가능하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은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전술한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에서는 먼저 (a) 기초부(5)의 상부에 철망태(11)를 설치하고, 철망태(11)의 내부에 개비온석(12)을 채워 개비온 유니트(10)를 시공하는 단계가 실시된다(도 11의 (a)).
이때,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고정 부재(3)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개비온 유니트(10)에는 후방 측에 개비온석(12)이 채워지지 않는 공간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망태(11)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개비온석(12)을 채운 후 상부를 덮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b) 상기 개비온 유니트(10)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10)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2)를 채우고 다짐한다(도 11의 (b)).
이때, 배면토(2)의 전면에도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고정 부재(3)의 형성을 위하여 소정 깊이로 공간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c) 일단이 개비온 유니트(1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면토(2)의 상부에 보강재(4)를 설치한다(도 11의 (c)).
상기 보강재(4)는 일단이 공간부(13 또는 21)에 위치하여 고정 부재(3) 형성시 고정 부재(3)의 내부에 정착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후, (d) 하부에 설치된 개비온 유니트(10)의 상면에 고정 부재(3)를 설치한다(도 11의 (d)).
이때, 상기 고정 부재(3)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구성 가능하다.
그리고 (e) 상기 고정 부재(3)가 설치된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 상부에 다른 개비온 유니트(10')의 철망태(11')를 설치하고, 철망태(11') 내부에 개비온석(12')을 채워넣는다(도 11의 (e)).
상기 고정 부재(3)가 현장 타설 콘크리트인 경우,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철망태(11')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고정 부재(3)에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가 간격 없이 서로 밀착되어 상호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서도, 상기 철망태(11')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개비온석(12')을 채운 후 상부를 덮어 폐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f)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10')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2)를 채우고 다짐한다(도 11의 (f)).
전체 보강토 옹벽의 높이에 따라 (f) 단계 이후에 (c) 내지 (f) 단계를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a) 내지 (f)에 도시된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은 도 11과 달리, 고정 부재(3)를 상부 철망태(11') 설치 후 시공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은 상기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기초부(5)의 상부에 철망태(11)를 설치하고, 철망태(11)의 내부에 개비온석(12)을 채워 개비온 유니트(10)를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개비온 유니트(10)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10)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2)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c) 일단이 개비온 유니트(1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면토(2)의 상부에 보강재(4)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 상부에 다른 개비온 유니트(10')의 철망태(11')를 설치하는 단계; (e) 하부에 설치된 개비온 유니트(10)의 상면에 상부의 철망태(11') 하부가 묻히도록 고정 부재(3)를 설치하고, 상부의 철망태(11') 내부에 개비온석(12')을 채우는 단계; 및 (f)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10')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2)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과 같이, 상부 개비온 유니트(10') 시공 전 고정 부재(3)를 먼저 설치하는 경우, 고정 부재(3)에 포함된 굵은 골재에 의해 상부 철망태(11')를 정확한 위치에 삽입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d) 단계에서 상부 철망태(11')를 먼저 설치하여 하부 철망태(11)에 결속선 등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e) 단계에서 고정 부재(3)를 시공하면, 상부 철망태(11')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Claims (8)

  1. 철망태(11)의 내부에 개비온석(12)이 채워진 개비온 유니트(10)가 서로 밀착되도록 복수 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전면 부재(1);
    상기 전면 부재(1)의 배면에 구비되는 배면토(2);
    상기 적층되는 개비온 유니트(10) 사이 후방 측에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의 철망태(11, 11') 및 보강재(4)를 감싸 일체화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인 고정 부재(3); 및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3)의 내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배면토(2)의 내부에 매립되는 보강재(4); 로 구성되되,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가 적층되는 부위에서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의 후방 상면에는 공간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3)는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공간부(13)에 타설되며,
    상기 고정 부재(3)의 후방 측에는 배면토(2) 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3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3)에는 상하부 개비온 유니트(10, 10')를 상호 결합하는 정착철근(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3. 제2항에서,
    상기 정착철근(6)은 파형으로 형성되어 고정 부재(3) 내에 옹벽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4. 제1항에서,
    상부와 하부의 고정 부재(3)는 정착바(7)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5. 제1항에서,
    상기 전면 부재(1)와 배면토(2)의 사이에는 부직포(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6. 제1항에 의한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기초부(5)의 상부에 철망태(11)를 설치하고, 철망태(11)의 내부에 개비온석(12)을 채워 개비온 유니트(10)를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개비온 유니트(10)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10)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2)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c) 일단이 개비온 유니트(1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면토(2)의 상부에 보강재(4)를 설치하는 단계;
    (d) 하부에 설치된 개비온 유니트(10)의 상면에 고정 부재(3)를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고정 부재(3)가 설치된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 상부에 다른 개비온 유니트(10')의 철망태(11')를 설치하고, 철망태(11') 내부에 개비온석(12')을 채우는 단계; 및
    (f)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10')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2)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3)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상기 (e) 단계에서,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철망태(11')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고정 부재(3)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
  8. 제1항에 의한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기초부(5)의 상부에 철망태(11)를 설치하고, 철망태(11)의 내부에 개비온석(12)을 채워 개비온 유니트(10)를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개비온 유니트(10)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10)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2)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c) 일단이 개비온 유니트(1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면토(2)의 상부에 보강재(4)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하부의 개비온 유니트(10) 상부에 다른 개비온 유니트(10')의 철망태(11')를 설치하는 단계;
    (e) 하부에 설치된 개비온 유니트(10)의 상면에 상부의 철망태(11') 하부가 묻히도록 고정 부재(3)를 설치하고, 상부의 철망태(11') 내부에 개비온석(12')을 채우는 단계; 및
    (f) 상부 개비온 유니트(10')의 배면에 개비온 유니트(10')와 동일한 높이로 배면토(2)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
PCT/KR2019/011846 2018-09-13 2019-09-11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WO202005517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52A KR101963362B1 (ko) 2018-09-13 2018-09-13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18-0109752 2018-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5174A1 true WO2020055174A1 (ko) 2020-03-19

Family

ID=6590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1846 WO2020055174A1 (ko) 2018-09-13 2019-09-11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3362B1 (ko)
WO (1) WO20200551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8837A (zh) * 2020-11-12 2021-03-23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托巴水电工程建设管理局 一种搭建库岸防高速水流冲击的方法
CN115142464A (zh) * 2022-06-18 2022-10-04 中国水利水电第十六工程局有限公司 格宾挡土墙的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417A (ko) * 2007-05-18 2008-11-21 김인근 돌망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20100059380A (ko) * 2008-11-26 2010-06-04 김지신 돌망태 무근 콘크리트 옹벽성형공법
KR20100119853A (ko) * 2010-10-24 2010-11-11 장진찬 환경 친화형 조립식 돌망태
US20110110728A1 (en) * 2008-06-30 2011-05-12 Jin Tae Kim Method for constructing an environmentally-friendly retaining wall using soil bags for vegetation and fixing members,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KR20160143357A (ko) * 2015-06-05 2016-12-14 노정협 식생 개비온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417A (ko) * 2007-05-18 2008-11-21 김인근 돌망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US20110110728A1 (en) * 2008-06-30 2011-05-12 Jin Tae Kim Method for constructing an environmentally-friendly retaining wall using soil bags for vegetation and fixing members,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KR20100059380A (ko) * 2008-11-26 2010-06-04 김지신 돌망태 무근 콘크리트 옹벽성형공법
KR20100119853A (ko) * 2010-10-24 2010-11-11 장진찬 환경 친화형 조립식 돌망태
KR20160143357A (ko) * 2015-06-05 2016-12-14 노정협 식생 개비온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8837A (zh) * 2020-11-12 2021-03-23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托巴水电工程建设管理局 一种搭建库岸防高速水流冲击的方法
CN115142464A (zh) * 2022-06-18 2022-10-04 中国水利水电第十六工程局有限公司 格宾挡土墙的施工方法
CN115142464B (zh) * 2022-06-18 2024-05-14 中国水利水电第十六工程局有限公司 格宾挡土墙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362B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97061A1 (ko)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의 수중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WO2017090975A1 (ko) 선지보와 후지보를 이용한 터널 공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WO2018221933A1 (ko) 지반 굴착기용 케이싱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방법
US4564316A (en) Face panel system
WO2020055174A1 (ko)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WO2015005582A1 (ko) 가이드 형강을 이용한 함체 추진공법
WO2018194394A1 (ko) 하부 말뚝이 구비된 현장 타설 일체형 팽이말뚝 기초 및 이의 시공 방법
WO2020138860A1 (ko)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기초의 시공방법 및 그 기초
WO2015142017A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 구조의 강지보재를 구비한 터널 및 그 시공 방법
JP4021056B2 (ja) 駐車場設置用地下ピット等の地下構造物工事工法
KR102023135B1 (ko) 팔각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WO2018186612A1 (ko) 현장 타설 보강 팽이말뚝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106915A (zh) 一种免支撑逆作地下工程施工方法及地下工程建筑结构
JP6543176B2 (ja) 躯体構築方法
WO2009142397A2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8194279A1 (ko) 현장 타설 팽이말뚝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1045440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WO2002061211A1 (en) Integrated excavation shoring building foundation method
WO2019017598A1 (ko) 아웃리거가 구비된 아치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아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US4875807A (en) Method and means for basement construction
US5325643A (en) Soil retainer block
JP7182176B2 (ja) トンネルの覆工方法
JP3778392B2 (ja) 基礎ブロック
KR101733110B1 (ko) 강성보강노반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4019100A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600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600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