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45762A1 - 립스틱 케이스 - Google Patents

립스틱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45762A1
WO2020045762A1 PCT/KR2018/016401 KR2018016401W WO2020045762A1 WO 2020045762 A1 WO2020045762 A1 WO 2020045762A1 KR 2018016401 W KR2018016401 W KR 2018016401W WO 2020045762 A1 WO2020045762 A1 WO 20200457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se
protrusion
bridge
sli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64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인용
고원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Priority to US17/266,31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298452A1/en
Publication of WO20200457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457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45D40/02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consisting of a movable stri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7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n axial action, e.g. by pushing

Definitions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third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ird body 310 may form a skeleton of the third case 300.
  • the stopper 320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third body 310.
  • the stopper 320 may block the hollow formed in the third body 310.
  • a pattern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body 310.
  • the patter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body 310 may be located inside the third body 310.
  • the patter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body 310 may be a portion to which the third case 300 and the first case 100 (see FIG. 1) are coupled.
  • the coupling slit 220 may communicate with a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body 210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210.
  • the patter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0 may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upling slit 220.
  • FIG. 4 may not display a pattern visible through the coupling slit 22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first case 100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art 160.
  • the second coupling part 160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70 and an arm 180.
  • Arm 18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nnection portion”.
  •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51 may provide force to the first protrusion 150 in both directions.
  •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51 may provide a force to the first protrusion 150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 the first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from the first dimple 231 (see FIG. 5) to the second dimple 232 (see FIG. 5).
  • the second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10 to the inside. In other words,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rom the second body 210 toward the first body 1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210.
  • the second direction may be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 the first direction may be parallel to the Z-axis direction.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립스틱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케이스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 그리고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케이스를 수용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는, 립스틱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1 돌기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일측에 길게 형성된 결합 슬릿에 수용되어 이동함에 따라, 제1 케이스는 제2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3 케이스는 제1 돌기에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립스틱 케이스
본 발명은 립스틱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케이스가 서로 결합되어 회전 없이 립스틱을 인출할 수 있는 립스틱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립스틱 케이스는, 원통형의 하우징 및 하우징에 연결된 돌림 부재를 포함하고, 돌림 부재를 방위각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우징에 수용된 립스틱을 인출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방식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구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운동 변환 구조는, 립스틱 케이스의 제작 비용에 있어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으며, 립스틱 케이스의 내구성 문제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 등록특허 10-134664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전 없이 립스틱을 인출하는 립스틱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an aspect)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을 가지며 립스틱을 수용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이격된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 케이스;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바디를 수용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결합 슬릿, 그리고 상기 제2 바디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홈을 구비하는, 제2 케이스; 그리고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케이스를 수용하는 제3 바디, 그리고 상기 제3 바디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3 후크를 구비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슬릿은, 상기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브릿지(bridge); 그리고 상기 브릿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 슬릿에 수용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3 후크와 결합 가능한, 제1 돌기를 포함하는, 립스틱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1 돌기에게 상기 제1 바디의 내외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1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브릿지;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1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브릿지와 이격된 제2 브릿지; 상기 제1 브릿지와 상기 제2 브릿지를 연결하되, 상기 제1 브릿지에서 상기 제1 바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브릿지에 이어지며, 상기 제1 돌기에 결합되는, 제3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결합 슬릿은, 상기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슬라이딩 슬릿;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슬릿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돌기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는 안착 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슬릿의 폭은, 상기 슬라이딩 슬릿에서 상기 안착 홀로 갈수록, 작아지고 다시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결합 슬릿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슬릿과 상기 안착 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바디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딤플(dimpl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타측에 형성된 암(arm); 그리고 상기 암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결합 슬릿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딤플 중 하나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암은, 상기 제2 돌기에게 상기 제1 바디의 내외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제3 후크는, 상기 제3 바디의 일단(一端)에 이어지며 상기 제3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형성하는 제1 경사면; 그리고 상기 제1 경사면에서 상기 제3 바디의 타단(他端)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3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3 바디의 외부를 마주하며,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3 바디의 내부를 마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제3 케이스는,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상기 제3 바디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케이스의 내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3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제3 후크는, 상기 제3 케이스의 내부를 향하여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양단에서 개방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1 기둥; 그리고 상기 제1 기둥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격벽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은, 상기 격벽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기둥의 상부와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립스틱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기둥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케이스는, 회전 없이 립스틱을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스의 상부가 제3 케이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케이스 단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스의 하부가 제3 케이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돌기와 제3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돌기와 제2 케이스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립스틱 케이스(10)는,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는, “이너 케이스(inner case)”라 칭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는, “미들 케이스(middle case)”라 칭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는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에 형성된 중공부는, 적어도 일단(一端)에서 개방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는 기둥(pillar)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케이스(2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케이스(20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케이스(200)의 양 단은, Z축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는, 제1 케이스(1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케이스(200)에 형성된 중공부는, 제1 케이스(1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는, 제2 케이스(200)에 삽입될 수 있다. 립스틱(50)은, 제1 케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립스틱(50)은, 화장품(cosmetics)으로서, 인체의 입술에 도포될 수 있다. 립스틱(50)은, 제1 케이스(100)가 제2 케이스(200)에 삽입되면, 제2 케이스(200)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의 일부는, 제1 케이스(100)가 제2 케이스(2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케이스(200)에 형성된 슬릿(slit)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립스틱(50)의 일부는, 제1 케이스(100)가 제2 케이스(2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케이스(200)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에 형성된 슬릿은, 제1 케이스(100)가 제2 케이스(2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케이스(100)가 제2 케이스(200)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립스틱 케이스(10)는, 제3 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는, “아우터 케이스(outer case)”라 칭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케이스(300)의 길이 방향은, 제2 케이스(2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케이스(30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케이스(300)는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에 형성된 중공부는, 제3 케이스(300)의 상단에서, 막힐 수 있다. 제3 케이스(300)에 형성된 중공부는, 제3 케이스(300)의 하단에서 개방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는, 제2 케이스(2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는 제3 케이스(30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에 결합된 제2 케이스(200)는, 제3 케이스(3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에 형성된 중공부는, 제2 케이스(2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3 케이스(300)를 A-A따라 자른 제3 케이스(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3 케이스(300)는 제3 바디(310)와 마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디(310)는, 제3 케이스(3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마개(320)는, 제3 바디(310)의 일단(一端)에 위치할 수 있다. 마개(320)는 제3 바디(310)에 형성된 중공부를 막을 수 있다. 제3 바디(310)의 타단(他端)에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바디(310)의 타단에 형성된 패턴은, 제3 바디(3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바디(310)의 타단에 형성된 패턴은, 제3 케이스(300)와 제1 케이스(100, 도 1 참조)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3 바디(310)를 B1-B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1 및 2와 함께 설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바디(310)는 제3 기둥(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둥(311)은, 기둥(pillar)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기둥(311)은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둥(311)의 두께는, 제1 두께(T1)일 수 있다.
버튼 안착부(313)는, 제3 기둥(31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버튼 안착부(313)는, 제3 기둥(311)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 안착부(313)는, 제3 기둥(311)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버튼 안착부(313)는, 제3 기둥(311)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버튼 안착부(313)의 두께는, 제2 두께(T2)일 수 있다.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 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후크(315)는, 버튼 안착부(313)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후크(315)는, 버튼 안착부(313)를 기준으로, 제3 기둥(311)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후크(315)는, 버튼 안착부(313)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후크(315)는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후크(315)의 두께는, 제3 두께(T3)일 수 있다. 제3 두께(T3)는, 제1 두께(T1) 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두께(T3)는, 제2 두께(T2) 보다 클 수 있다. 제3 후크(315)는, 제3 케이스(300)의 내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후크(315)는, 제1 경사면(3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3151)은 제3 기둥(311)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경사면(3151)은, 제3 기둥(3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각도(ANG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경사면(3151)은, 제3 바디(310)의 외부를 마주할 수 있다.
제3 후크(315)는, 평탄부(3153, flat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3153)는 제1 경사면(3153)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평탄부(3153)는, 제3 기둥(3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3 후크(315)는, 제2 경사면(3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면(3155)은, 평탄부(3153)에서 연장되어 버튼 안착부(313)에 이어질 수 있다. 제2 경사면(3155)은, 제3 기둥(3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2 각도(ANG)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각도(ANG2)는, 제1 각도(ANG1) 보다 클 수 있다. 제2 경사면(3155)은, 제1 경사면(3151)에 이어질 수 있다. 제2 경사면(3155)은, 제3 바디(310)의 내부를 마주할 수 있다.
제3 홈(317)은, 제3 기둥(31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317)은, 제3 기둥(311), 버튼 안착부(313), 그리고 제3 후크(31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317)은, 제3 기둥(310, 도 1 참조)의 중공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홈(317)은, 제1 케이스(100, 도 1 참조)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홈(317)은, 제1 케이스(100, 도 1 참조)에 구비된 돌기에 결합(분리 가능하도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립스틱(50)은, 제1 케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립스틱(50)은, 제1 케이스(10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케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는, 제2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10)는, “제2 기둥”라 칭할 수 있다. 제2 바디(210)는 기둥(pillar)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디(210)는, 제3 케이스(300, 도 1 참조)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바디(210)는, 제1 케이스(1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바디(210)는,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210)에 형성된 중공부는, 양단에서 개방될 수 있다. 제2 바디(210)의 길이 방향은, Z축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는, 결합 슬릿(22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슬릿(220)은, 제2 바디(210)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슬릿(220)은 제2 바디(210)의 전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 슬릿(220)은, 제2 바디(210)에 형성된 중공부와 제2 바디(210)의 외부에 연통될 수 있다. 제2 바디(210)의 내면에 형성되는 패턴은, 결합 슬릿(220)을 통해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 슬릿(220)을 통해 보일 수 있는 패턴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결합 슬릿(220)은, 전체적으로 길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슬릿(220)은, 제2 바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 슬릿(220)은, 슬라이딩 슬릿(221)과 안착 홀(223)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25)는, 슬라이딩 슬릿(221)과 안착 홀(22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부(225)는, 제2 바디(21)에서 결합 슬릿(22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25)는, 결합 슬릿(220)의 언더컷(undercut)일 수 있다.
슬라이딩 슬릿(221)에서 걸림부(225)로 갈수록, 결합 슬릿(220)의 폭은 작아질 수 있다. 안착 홀(223)에서 걸림부(225)로 갈수록, 결합 슬릿(220)의 폭은 작아질 수 있다. 슬라이딩 슬릿(221)에서 안착 홀(223)로 가면서, 결합 슬릿(220)의 폭은, 작아지고 다시 커질 수 있다. 결합 슬릿(220)의 폭은, 걸림부(225)에서 가장 작을 수 있다.
슬라이딩 슬릿(221)은, 제2 바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홀(223)은, 슬라이딩 슬릿(221)에 연통될 수 있다. 안착 홀(223)은, 슬라이딩 슬릿(221)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 홀(223)은, 슬라이딩 슬릿(221)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는, 제1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제1 케이스(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외면(outer surface)은, 전체적으로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10)의 외면(outer surface)은,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외면은, 제2 케이스(200)의 내면(inner surface)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기둥 형상을 가지므로, 원통형 좌표계(cylindrical coordinate)을 이용하여 해석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중심축(axis)은, 원통형 좌표계의 Z축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는, 제1 바디(1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는, 결합 슬릿(2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는, 제1 결합 슬릿(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결합 슬릿(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바디(2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는, 브릿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130)는 제1 바디(110)에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130)는, 제1 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130)의 양측에 브릿지 슬릿(140)이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 슬릿(140)은, 제1 브릿지 슬릿(141)과 제2 브릿지 슬릿(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릿지 슬릿(141)과 제2 브릿지 슬릿(143)은, 브릿지(130)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릿지 슬릿(141)과 제2 브릿지 슬릿(143)의 사이에, 브릿지(130)가 위치할 수 있다. 브릿지 슬릿(140)은, 슬릿(slit)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릿지 슬릿(140)은, 브릿지(130)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브릿지(13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브릿지(130)의 탄성 방향은, 제1 바디(110)의 반지름(radius) 방향일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반지름 방향은, 제1 바디(110)의 내부로부터 제1 바디(110)를 거쳐 제1 바디(11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반지름 방향은, 제1 바디(110)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브릿지(130)는, 제1 브릿지(131), 제2 브릿지(133), 그리고 제3 브릿지(135)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브릿지(131)는, 브릿지(130)의 일단부(一端部)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브릿지(131)는, 제1 바디(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브릿지(131)는, 제1 바디(1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릿지(131)는 제1 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바디(1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릿지(133)는, 브릿지(130)의 타단부(他端部)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브릿지(133)는, 제1 바디(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브릿지(133)는, 제1 바디(1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릿지(133)는 제1 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바디(1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브릿지(135)는, 제1 브릿지(131)와 제2 브릿지(133)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브릿지(135)는, 제1 브릿지(131)와 제2 브릿지(1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브릿지(135)는, 제1 바디(110)에서 이격될 수 있다. 제3 브릿지(135)는, 제1 브릿지(131)에서 제1 바디(1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브릿지(133)에 이어질 수 있다.
제1 결합부(120)는, 제1 돌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150)는, 브릿지(130)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기(150)는, 예를 들어 제3 브릿지(135)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돌기(150)는, 결합 슬릿(2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돌기(150)는, 결합 슬릿(220)에 끼워져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결합 슬릿(220)에 결합되는 과정이 고려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결합 슬릿(220)에 결합되기 이전에, 제1 돌기(150)는, 제2 바디(2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제2 바디(210)의 내부에 위치하면, 제1 돌기(150)는, 제2 바디(210)의 내면을 마주하며 접할 수 있다. 브릿지(130)는, 제1 돌기(150)가 제2 바디(2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돌기(150)는 제2 바디(210)의 내부에서 이동하며, 결합 슬릿(22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결합 슬릿(220)에 위치하면, 브릿지(130)에서 제공된 탄성에 의하여, 제1 돌기(150)는 결합 슬릿(22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슬릿(220)에 결합된 제1 돌기(150)는, 결합 슬릿(2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돌기(150)는, 예를 들어, 결합 슬릿(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결합 슬릿(220)의 폭(width)은, 제1 돌기(15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결합 슬릿(220)을 따라 이동하면, 제1 케이스(100)는 제2 바디(21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가 제2 바디(210)의 내부에서 이동하면, 제2 케이스(200)에 대한 립스틱(50)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돌기(150)는, 안착 홀(223)에 위치할 수 있다. 안착 홀(223)의 크기는, 제1 돌기(150)에 대응될 수 있다. 안착 홀(223)에 위치하는 제1 돌기(150)는, 슬라이딩 슬릿(22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안착 홀(223)에 위치하는 제1 돌기(150)가 슬라이딩 슬릿(221)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돌기(150)는 걸림부(225)와 작용할 수 있다.
걸림부(225)는, 제1 돌기(150)에 물리적(또는 기계적)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슬라이딩 슬릿(221)에서 안착 홀(223)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부(225)는 제1 돌기(150)에 기계적(또는 물리적)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1 돌기(150)가 안착 홀(223)에서 슬라이딩 슬릿(221)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부(225)는 제1 돌기(150)에 기계적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 슬릿(220) 내에서 제1 돌기(150)가 안착 홀(223)을 출입하기 위하여, 외력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기(150)에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결합 슬릿(220) 내에서 제1 돌기(150)가 안착 홀(223)을 출입할 수 있다. 제1 돌기(150)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은, 결합 슬릿(2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케이스(200)를 C-C를 따라 자른 제2 케이스(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홈(230)은, 제2 바디(21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230)은, 제2 바디(210)의 후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홈(230)은, 제2 바디(210)의 후면부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230)은, 제2 바디(210)의 중공부를 향하여 오목할 수 있다. 제2 홈(230)은, “딤플(dimple)”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홈(23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홈(230)은, 제1 딤플(231), 제2 딤플(232), 제3 딤플(233), 제4 딤플(234), 제5 딤플(235), 그리고 제6 딤플(2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딤플(230)은, 제2 바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딤플(230), 결합 슬릿(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6은, 립스틱(50)과 제1 케이스(10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바디(110)는 제1 기둥(111)과 격벽 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둥(111)은, 기둥(pillar)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기둥(111)은,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둥(111)에 형성된 중공부는, 제1 기둥(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둥(111)에 형성된 중공부는, 제1 기둥(111)의 양단에서 개방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113)는, 제1 기둥(1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113)는, 제1 기둥(111)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113)는, 판(板)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113)는, 도 6에서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113)는, 제1 기둥(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 플레이트(113)와 제1 기둥은, 사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113)는, 제1 기둥(111)에 형성된 중공부를 상하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기둥(111)의 상부에 형성된 중공부는, 제1 기둥(111)의 상단에서 개방될 수 있다. 제1 기둥(111)의 하부에 형성된 중공부는, 제1 기둥(111)의 하단에서 개방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113)는, 제1 기둥(111)을 상부와 하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제1 기둥(111)은, 상부와 하부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기둥(111)의 상부와 격벽 플레이트(113)는, 립스틱(50)을 수용할 수 있다. 립스틱(50)의 하부는, 제1 기둥(111)의 상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와 제2 결합부(160)는, 제1 기둥(1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는, 제2 결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60)는, 제1 결합부(120)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120)가 제1 바디(110)의 전면부에 위치한다면, 제2 결합부(160)는 제1 바디(110)의 후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60)는, 제2 홈(230, 도 5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60)는, 제2 홈(230, 도 5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케이스(100)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케이스(100)의 전면부가 삭제된 상태에서 제1 케이스(100)의 후면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케이스(100)는 제2 결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60)는, 제2 돌기(170)와 암(180)을 포함할 수 있다. 암(180, arm)은, “제2 연결부”라 칭할 수 있다.
암(180)은, 제1 바디(1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암(180)은,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암(180)의 길이 방향은, 제1 바디(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180)의 길이 방향은, Z축과 나란할 수 있다. 암(180)의 일단(一端)은, 제1 바디(110)에 이어질 수 있다. 암(180)의 타단(他端)은, 제2 돌기(170)에 이어질 수 있다.
암(180)은, 제1 바디(110)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암(180)인 제1 바디(110)에서 연장되는 방향은, 제1 바디(1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될 수 있다. 암(180)은, 제1 바디(110)에 대하여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암(180)의 탄성 방향은, 제1 바디(110)의 반지름 방향일 수 있다. 암(180)은, 제1 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170)는, 암(18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돌기(170)는, 암(18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170)는, 암(18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170)는, 암(18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기(170)는, 암(180)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 슬릿(190)은, 제1 바디(110)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 슬릿(190)은, 암(180)의 일부를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 슬릿(190)은, 제2 돌기(170)를 감쌀 수 있다. 연결부 슬릿(190)은, 제1 바디(110)의 내부와 외부에 연통될 수 있다. 연결부 슬릿(190)의 형상은, 암(18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연결부 슬릿(190)은, 암(180)과 제2 돌기(170)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 슬릿(190)은, 제1 연결부 슬릿(191)과 제2 연결부 슬릿(19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 슬릿(191)과 제2 연결부 슬릿(193)의 사이에, 암(18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 슬릿(191)은, 제2 연결부 슬릿(193)에 연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케이스(100)에 결합된 제2 케이스(200)는, 제3 케이스(3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의 하단부는, 제3 케이스(3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2 케이스(200)와 제3 케이스(300)의 결합 관계는, 도 1에 도시된 제2 케이스(200)와 제3 케이스(300)의 결합 관계와, 결합 방향의 관점에서, 다를 수 있다. 즉 도 1에서 제2 케이스(200)의 상단부가 제3 케이스(300)에 삽입되는 결합 관계가 나타나고, 도 8에서 제2 케이스(200)의 하단부가 제3 케이스(300)에 삽입되는 결합 관계가 나타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립스틱 케이스(10)의 전면부를 E1-E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립스틱 케이스(10)의 후면부를 E1-E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케이스(100)의 제1 돌기(150)는, 제3 홈(317, 도 3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제3 홈(317, 도 3 참조)에 결합되는 과정이 설명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의 하단부가 제3 케이스(300)에 삽입되면, 제1 돌기(150)는 제3 후크(315)의 제1 경사면(3151)에 걸릴 수 있다. 제1 경사면(3151)은 제1 돌기(150)에게 양 방향으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면(3151)은 제1 돌기(150)에게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제1 딤플(231, 도 5 참조)에서 제2 딤플(232, 도 5 참조)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바디(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방향은,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바디(210)에서 제1 바디(11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은, 반지름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Z축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경사면(3151)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제1 돌기(150)에 전해지는 힘은, 걸림부(225, 도 4 참조)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경사면(3151)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제1 돌기(150)에 전해지는 힘은, 브릿지(13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경사면(3151)의 제1 각도(ANG1, 도 3 참조)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제1 돌기(150)에 전해지는 힘과 제2 방향으로 제1 돌기(150)에 전해지는 힘의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걸림부(225)는 제1 돌기(150)로부터, 제1 경사면(3151)이 제1 돌기(150)에 전하는 제1 방향의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브릿지(130)는 제1 돌기(150)로부터, 제1 경사면(3151)이 제1 돌기(150)에 전하는 제2 방향의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경사면(3151)이 제1 돌기(150)에 접하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걸림부(225)의 저항력(또는 마찰력)이 브릿지(130)의 탄성력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경사면(3151)이 제1 돌기(150)에 접하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돌기(150)는 안착 홀(223)에서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 후크(315)는 제1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돌기(150)에 맞물릴 수 있다.
제1 돌기(150)의 이동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제1 경사면(3151)은, 제1 돌기(150)를 제3 케이스(300)의 내부로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의 제2 케이스(200)로의 결합 방향으로 제3 케이스(300)에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제1 돌기(150)는 제3 후크(315, 도 3 참조)의 제1 경사면(3151)을 타고 이동하여 제3 홈(317, 도 3 참조)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제3 후크(315)를 타고 이동하여 제3 홈(317, 도 3 참조)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브릿지(130, 도 4 참조)는 제1 돌기(150)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제3 케이스(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3 케이스(300)는 제2 케이스(200)의 상단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가 제2 케이스(200)의 상단을 향해 이동하면, 제1 돌기(150)가 제3 케이스(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돌기(150)는 결합 슬릿(220)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기(150)는, 안착 홀(223, 도 4 참조)에서 슬라이딩 슬릿(22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돌기(150, 도 9 참조)가 제3 홈(317, 도 3 참조)에 위치하면, 제2 돌기(170)는 1 딤플(2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홈(230)은, 제2 돌기(170)의 이동을 방해하는 힘을 제2 돌기(17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가 제2 케이스(200)의 상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힘을 제공받으면, 제1 돌기(150, 도 9 참조)는 제3 케이스(300)로부터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돌기(150, 도 9 참조)는 제2 돌기(170)에게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돌기(170)에 전달된 힘은, 암(180)에 도달할 수 있다.
암(180)은 탄성을 가지므로, 제2 돌기(170)에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제공되면, 제2 돌기(170)는 제1 바디(110)의 내부로 이동하며 제2 바디(210)의 내부면을 접하며 이동할 수 있다. 제2 바디(210)의 내부면을 접하며 이동하는 제2 돌기(170)는, 제2 딤플(232)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가 제2 케이스(200)의 상단부를 향해 더 진행하면, 제2 돌기(170)는 제6 딤플(236, 도 5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돌기(170)가 제1 딤플(231)에서 제2 딤플(232)로 이동하는 방향은, 립스틱(50, 도 1 참조)이 인출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제2 케이스(200)에 결합된 제3 케이스(300)가 제2 케이스(200)에서 분리되는 과정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0에서 제2 돌기(170)가 제2 딤플(232)에 결합된 상황이 가정될 수 있다.
제2 돌기(170)가 제2 딤플(2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3 케이스(300)가 제2 케이스(2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3 후크(315)는 제1 돌기(15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돌기(150)는, 제2 돌기(170)와 브릿지(130, 도 4 참조)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제3 후크(315, 도 3 참조)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면서, 제2 돌기(170)가 제2 딤플(23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2 딤플(232)에서 분리된 제2 돌기(170)는 제1 딤플(231)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 돌기(170)가 제2 딤플(232)에서 제1 딤플(231)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돌기(150)는, 걸림부(225)의 저항을 받을 수 있다. 제3 경사면(3155)이 제1 돌기(150)에 가하는 제3 방향(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에 의하여, 제1 돌기(150)는, 걸림부(225)를 통과하여 안착 홀(223, 도 4 참조)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안착 홀(223, 도 4 참조)에 위치하면, 제2 돌기(170)는 제1 딤플(2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가 제2 케이스(200)에 대하여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력을 받으면, 제2 경사면(3155)은 제1 돌기(150)에게 제2 방향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브릿지(130, 도 4 참조)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 후크(315)는 제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후크(315)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 케이스(300)는 제2 케이스(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가 제2 케이스(2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제2 케이스(200)의 상단부터 제3 케이스(300)에 삽입되는 과정이 고려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의 상단이 제3 케이스(300)에 삽입되어 진행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가 계속 진행하면서, 제1 돌기(150)는 제1 경사면(3151)에 접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가 더 진행하면, 제1 돌기(150)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3 케이스(300)는 제1 돌기(15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user)는, 이 상태에서, 립스틱 케이스(10, 도 1 참조)를 보관할 수 있다. 이 상태를 립스틱 케이스(10, 도 1 참조)의 “보관 상태”라 할 수 있다.
립스틱 케이스(10, 도 1 참조)의 보관 상태에서, 제3 케이스(300)를 제2 케이스(200)에서 분리하는 과정이 고려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를 제2 케이스(2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은, 제1 방향(Z축 방향)일 수 있다. 제3 케이스(300)가 제1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받으면, 제2 경사면(3155)은, 제1 돌기(150)에 접할 수 있다. 제2 경사면(3155)이 제1 돌기(150)에 접하여 힘을 가하면, 제1 돌기(150)가 안착 홀(223, 도 4 참조)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돌기(150)는 제2 방향(제1 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돌기(15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 케이스(300)는 제1 돌기(1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기둥 형상을 가지며 립스틱을 수용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이격된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 케이스;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바디를 수용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결합 슬릿, 그리고 상기 제2 바디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홈을 구비하는, 제2 케이스; 그리고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케이스를 수용하는 제3 바디, 그리고 상기 제3 바디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3 후크를 구비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슬릿은,
    상기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브릿지(bridge); 그리고
    상기 브릿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 슬릿에 수용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3 후크와 결합 가능한, 제1 돌기를 포함하는,
    립스틱 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1 돌기에게 상기 제1 바디의 내외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립스틱 케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1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브릿지;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1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브릿지와 이격된 제2 브릿지;
    상기 제1 브릿지와 상기 제2 브릿지를 연결하되, 상기 제1 브릿지에서 상기 제1 바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브릿지에 이어지며, 상기 제1 돌기에 결합되는, 제3 브릿지를 포함하는,
    립스틱 케이스.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슬릿은,
    상기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슬라이딩 슬릿;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슬릿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돌기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는 안착 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슬릿의 폭은,
    상기 슬라이딩 슬릿에서 상기 안착 홀로 갈수록, 작아지고 다시 커지는,
    립스틱 케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결합 슬릿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슬릿과 상기 안착 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립스틱 케이스.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바디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딤플(dimpl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타측에 형성된 암(arm); 그리고
    상기 암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결합 슬릿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딤플 중 하나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립스틱 케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제2 돌기에게 상기 제1 바디의 내외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립스틱 케이스.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후크는,
    상기 제3 바디의 일단(一端)에 이어지며 상기 제3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형성하는 제1 경사면; 그리고
    상기 제1 경사면에서 상기 제3 바디의 타단(他端)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3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립스틱 케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3 바디의 외부를 마주하며,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3 바디의 내부를 마주하는,
    립스틱 케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 보다 큰,
    립스틱 케이스.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케이스는,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상기 제3 바디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케이스의 내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3 홈을 포함하는,
    립스틱 케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후크는,
    상기 제3 케이스의 내부를 향하여 볼록한,
    립스틱 케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양단에서 개방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1 기둥; 그리고
    상기 제1 기둥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격벽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은,
    상기 격벽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기둥의 상부와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립스틱을 수용하는,
    립스틱 케이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기둥의 하부에 위치하는,
    립스틱 케이스.
PCT/KR2018/016401 2018-08-29 2018-12-21 립스틱 케이스 WO202004576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66,311 US20210298452A1 (en) 2018-08-29 2018-12-21 Lipstick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740A KR101926025B1 (ko) 2018-08-29 2018-08-29 립스틱 케이스
KR10-2018-0101740 2018-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762A1 true WO2020045762A1 (ko) 2020-03-05

Family

ID=6556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6401 WO2020045762A1 (ko) 2018-08-29 2018-12-21 립스틱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98452A1 (ko)
KR (1) KR101926025B1 (ko)
WO (1) WO20200457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98452A1 (en) * 2018-08-29 2021-09-30 Ctk Cosmetics Co., Ltd. Lipstick c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7072B2 (en) * 2018-07-11 2023-08-08 Pat Mcgrath Cosmetics Llc Lipstick arrang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108U (ja) * 1983-11-25 1985-06-21 竹内工業株式会社 口紅等の収納容器
JPH04135215U (ja) * 1991-06-07 1992-12-16 竹内工業株式会社 口紅等の収納容器
JP2001120348A (ja) * 1999-10-29 2001-05-08 Yoshino Kogyosho Co Ltd 繰り出し容器
US20040213624A1 (en) * 2003-04-22 2004-10-28 Techpack International Dispenser of a product, typically a cosmetic product, with magnetic support
KR200483398Y1 (ko) * 2015-02-13 2017-05-12 (주)아모레퍼시픽 꺾인 안내슬릿을 구비한 립스틱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4551A (en) * 1997-04-25 1999-11-16 Kinney, Jr.; George C. Dispenser of solids and semi-solids
KR101346644B1 (ko) 2013-10-29 2014-01-02 이상대 립스틱 케이스
KR101933888B1 (ko) * 2017-07-03 2019-01-02 펌텍코리아(주) 측면버튼이 구비된 스틱형 화장료용기
KR101926025B1 (ko) * 2018-08-29 2019-02-26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립스틱 케이스
GB2584870A (en) * 2019-06-18 2020-12-23 Multi Packaging Solutions Uk Ltd Dispensers
US10835016B1 (en) * 2019-07-17 2020-11-17 Jane Galitello Cosmetic ca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108U (ja) * 1983-11-25 1985-06-21 竹内工業株式会社 口紅等の収納容器
JPH04135215U (ja) * 1991-06-07 1992-12-16 竹内工業株式会社 口紅等の収納容器
JP2001120348A (ja) * 1999-10-29 2001-05-08 Yoshino Kogyosho Co Ltd 繰り出し容器
US20040213624A1 (en) * 2003-04-22 2004-10-28 Techpack International Dispenser of a product, typically a cosmetic product, with magnetic support
KR200483398Y1 (ko) * 2015-02-13 2017-05-12 (주)아모레퍼시픽 꺾인 안내슬릿을 구비한 립스틱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98452A1 (en) * 2018-08-29 2021-09-30 Ctk Cosmetics Co., Ltd. Lipstick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98452A1 (en) 2021-09-30
KR101926025B1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45762A1 (ko) 립스틱 케이스
WO2016199975A1 (ko) 연동구조를 가지는 플렉시블 힌지 장치
WO2014181975A1 (ko) 심장판막 고정장치
WO2011013897A2 (ko) 화장품 용기
WO2019045496A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WO2013154282A1 (en) 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WO2013062292A1 (en) Voice coil motor
WO2018174345A1 (ko)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WO2019240378A1 (ko) 2열 터미널 구조의 pcb 다이렉트 커넥터
WO2020071725A1 (ko) 마이크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013398A1 (ko) 화장용 브러시 기구
WO2023140443A1 (ko)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
WO2015088142A1 (ko) 카테터 또는 내시경용 제어장치
WO2013191377A1 (ko) 감전보호 베이스를 가지는 직관형 엘이디램프
WO2015182988A1 (ko) 콘센트 안전장치
WO2013118924A1 (ko) 폴더용 휴대단말기의 프리스탑 힌지모듈
WO2018097672A1 (ko) 회전이 가능한 커넥터
WO2021033948A1 (ko) 플레이트 연결 조립체
WO2022197051A1 (ko)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WO201913241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017935A1 (ko) 아이섀도용 화장품 용기
WO2012067416A2 (ko) 슬라이딩 장치용 완충 부재가 설치된 리테이너
WO2021006555A1 (ko) 슬라이드 장치
WO2023043141A1 (ko) 케이블 커넥터
WO2023182682A1 (ko) 광섬유 케이블 마그네틱 커플링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31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09.07.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31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