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45496A1 -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45496A1
WO2019045496A1 PCT/KR2018/010080 KR2018010080W WO2019045496A1 WO 2019045496 A1 WO2019045496 A1 WO 2019045496A1 KR 2018010080 W KR2018010080 W KR 2018010080W WO 2019045496 A1 WO2019045496 A1 WO 20190454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ear
cushion
extension device
seat cushion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00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우현철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JP202050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JP6990843B2/ja
Priority to US16/642,303 priority patent/US11034262B2/en
Priority to CN201880053829.4A priority patent/CN111032424B/zh
Priority to DE112018004791.1T priority patent/DE112018004791T5/de
Publication of WO20190454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454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2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lin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60N2/548Torsion springs, e.g. torsion helicoida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52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apable of stably adjusting the length of a seat cushion in a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is mounted inside the vehicle to support the user's lower body from below, and a part of the seat cushion is made to extend forward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having various physical conditions.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6224 discloses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using a plurality of coil springs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34310 discloses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using a motor have.
  • the conventional methods have disadvantages that the seat cushion is difficult to slide when the motor is used or a plurality of springs are used and the elasticity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prings is reduced.
  • a seat cushion can be slidably moved through a single spring and a simple structure is achieved, thereby providing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with high assembly efficiency and low weight.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includes a base including first and second rack gears formed to face each other, a cushion portion formed on the base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 locking gear portion coupled to the shaft extending from the first gear to the base and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and a second gear that is movable between the cushion portion and the first ge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first gear is connected to the second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is connected to the second rack gear when the protruding portion moves down the first gear by moving the operating portion rearwardly
  • the cushion portion is switched so as to be capable of sliding movement.
  • the locking gea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first gear to generate a rotational elastic force, and when the first gear is disconnected from the second gear, And can move forward.
  • the thickness of the first rack gear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ack gear.
  •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are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e cushion portion moves forward when the cushion portion is disengaged from the second rack gear and reversely rotates when the cushion portion is moved backward to deform the torsion spring.
  • the lock gea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oil spring formed between the shaft and the torsion spring to surround the shaft and resiliently biasing the first gear toward the first gear when the first gear is lowered, When the protrusion is elastically mov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gear, the first gear is elastically moved upward, and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engage with each other and fix the cushion part.
  • the base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sliding grooves formed by being extended toward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gears in a longitudinally elongated shape, and the front end thereof may b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cushion portion And when the first gear is disconnected from the second gear, the cushion part can be moved forward through the springs.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utilizes the elastic rotation force of the torsion spring as a power for moving the seat cushion, so that power consumption in the vehicle can be reduced and weight is reduced.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is simple in its internal structure, and has a small number of springs necessary for driving, which is advantageous in manufacturing convenience and assembly efficiency.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moothly move the seat cushion due to a difference in elastic force of each of a plurality of coil springs installed in both sides of the existing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So that the seat cushion can be stably mov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teachings herein;
  • Figure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of Figure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riving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of Fig. 1;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herei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of FIG. 6 taken along line II-II '.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of FIG. 6 taken along line II-II '.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shown in Fig.
  • FIG. 1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teachings herein.
  • Figures 2 and 3 show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of Figure 1.
  • Fig. 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 Figure 5 shows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drive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of Figure 1;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100 includes a base 200, a cushion portion 400, a locking gear portion 600, and a manipulation portion 800.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100 does not need to use an electrically operated motor but the cushion part 400 is elastically moved forward by driving the user to pull the operation part 800 upward.
  • the base 200 includes a frame 220, a first rack gear 240 and a second rack gear 260.
  • the base 200 includes a frame 220 formed in a plate shape and first and second rack gears 240 and 26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220 such that respective toothed portions face each other .
  • sliding grooves which ar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wer direction, and the cushion part 400 is slidably moved forward or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200 through the sliding grooves. do.
  • the first rack gear 24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220 to have a relatively higher thickness than the second rack gear 260, And is formed to face the first rack gear 24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inner side.
  • Each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rack gear 240 and the second rack gear 260 is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ack gear 260 is spaced from the frame 2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Respectively.
  • the cushion part 4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200 so as to be movable forward or rearward.
  • the cushion portion 400 includes a cushion frame 420, a block flange 440, and a shaft 460.
  • the cushion frame 4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and sliding bar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frame 420 to engage with the sliding grooves, and a ring-shaped rim surrounding the predetermined space with the bottom opened is formed at the edges except the rear.
  • Each of the block flanges 44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im located at the front of the cushion frame 420 while the other end is protruded toward the lower side, And hollows (10) penetrating both side surfaces are formed at the ends.
  • each of the block flanges 44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00 in a state where the base 200 and the cushion part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relativ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 One end of the shaft 46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frame 420 while the base 200 and the cushion portion 400 are engaged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240 and 260 As shown in Fig.
  • the shaft 460 is formed adjacent to the rear side of the base 200 and the cushion portion 400 in a state where the base 200 and the cushion portion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240 and 260 To the locking gear portion 600, respectively.
  • the locking gear portion 600 is formed between the base 200 and the cushion portion 400 and moves the cushion portion 400 forward or the movement of the cushion portion 4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800 Stop.
  • the locking gear portion 600 includes a first gear 620 and a torsion spring 640.
  • the other end of the shaft 460 is inserted into the ho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gear 620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shaft 460 and is slidable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shaft 460 .
  •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64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frame 42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ear 620 surrounding the shaft 460, It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provides an elastic rotational force.
  • the operating portion 800 is coupled with the cushion portion 400 so as to be slidable forward or rearward between the cushion portion 400 and the first gear 620 and is moved forward And stops the movement of the cushion part 400.
  • the operating portion 800 includes a rod 820, a lever 840, and a spring 860.
  • One end of the rod 820 is disposed to the front and the other end extends in the form of a plate toward the rear.
  • the rod 820 is formed to bifurcate to both sides with a through-hole at the center.
  • the rod 820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240 and 260 in a state where the base 200 and the cushion part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so as to extend rearwardly with the shaft 460 therebetween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gear 620.
  • the lever 840 is coupled such that one end of the lever 840 is rotatable with one end of the rod 820 while one end of the lever 840 is rotatably coupled with an axis passing through the hollows 10 of the block flanges 440, And extends in the form of a plate toward the rear lower part.
  • each of the springs 86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8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extends rearward and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ame 220 to move the rod 820 forward .
  • the rod 820 includes a rod frame 822, a shaft 824, a first spring support 826, a second spring support 827, and a protrusion 828.
  • the rod frame 822 is formed in a plate shape at one end and positioned at the front, and the other end located at the rear is formed such that both side surfaces thereof are reduced toward the cent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shaft 824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a cylindrical shape from one end of the rod frame 822 toward both sides and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lever 840 so as to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lever 840.
  • One end of the first spring support 826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rod frame 822 and the other end extends rearward to insert a portion of the center into one of the springs 860.
  •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support 827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rod frame 82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ne end of the first spring support 827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ortion of the center is inserted into the remaining one.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 supports 826 and 827 moves forward or rearward by driving the lever 840 to pull or contract the springs 860.
  • each of the protrusions 828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spring support 826 and the second spring support 827, and the base 200 and the cushion 400, The posi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projections 828 is located at or near the bottom of the second rack gear 260.
  • the other ends of the levers 840 are raised toward the upper side by the user's manipulation and when the rod 820 moves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trusions 828 Each slide on both sides of the shaft 460 and push the first gear 620 downward.
  • One side of the first gear 620 is positioned below the bottom of the second rack gear 260 while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protrusions 828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gear 620, Is disengaged from the second rack gear 260 and is converted into a state capable of rotating with the first rack gear 240.
  • the torsion spring 64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gear 620 in a state where the base 200 and the cushion portion 4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gear 620 is rotated The first gear 620 is rotated forward by the elastic rotation force of the torsion spring 640.
  • the first gear 620 moves forward along the first rack gear 240 and the cushion portion 400 is also slid forward together with the first gear 620, Move.
  • the first rack gear 620 rotates reversely while engaged with the first rack gear 240 and moves rearward.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100 can easi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ushion part 400 only by the elastic rotation force of the torsion spring 640, and it is not necessary to drive the cushion part 400 by the mot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eight of the battery is reduced.
  • the lever 840 includes a lever shaft 842, a fastening ring 844, and an operating plate 846, and the locking gear portion 600 further includes a coil spring 660 .
  • each of the lever shafts 842 is coupled to both ends of one end of the lever 840 and the other end of the lever shaft 842 is projected toward both sides in the form of a cylinder to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block flange 440.
  • One end of the operating plate 846 is pivotally coupled to the lever shaft 842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ver shaft 842 and then bent toward the lower side .
  • the fastening rings 844 are formed in a ring shape bent back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plate 846 and surround both sides of the shaft 824 and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haft 924 so as to be rotatable.
  • the coil spring 66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haft 460 between the shaft 460 and the torsion spring 640.
  •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660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shaft 460,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ear 620.
  • the first gear 620 is gradually lowered while the inclined surface located at the rear of the protruding portion 828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ear 620 and the protruding portion 828 When the bottom surfa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ear 620, the first gear 62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rack gear 260 and is switched to a state in which rotation is possible.
  •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cushion part 400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cushion part 400 and release the operating plate 846.
  • the operating plate 846 moves downward, and the protruding portion 828 moves forward.
  • the first gear 620 is lifted by the coil spring 660 and moved in the original position while engag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240 and 260 and the cushion part 400 To stop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ushion part 400.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100 utilizes the elastic rotation force of the torsion spring 640 as a power for moving the cushion part 400,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and reduce the weight.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100 does not require the installation of the springs disposed inside the motor or the conventional base 200 by only installing the springs 860 and the torsion springs 640, There are advantages.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100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in that the operating portion 80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400 and the first gear 620 is connected to the cushion portion 400),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manufacturing convenience and assembly efficiency are increased.
  • FIG. 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disclosed herein.
  • Fig. 7 shows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of Fig. 6 taken along line II-II '.
  • Fig. 8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shown in Fig.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120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spring shafts 270 and 280 of the base 300,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275 and 285, the cushion part 500,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100 of Figs. 1 to 5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ortions 520 and 540,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ions 540 and 550, And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are used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120 includes a base 300, a cushion portion 500, and a locking gear portion 700.
  • the base 300 further includes a first spring shaft 270, a first spring 275, a second spring shaft 280 and a second spring 285.
  • the frame 2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240 and 260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side facing the groove recessed downward in the form of elongated front and rear at the center .
  • the first rack gear 240 and the frame 220 extend forward and backward to be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220 and extend forward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space at the front of the frame 220
  • the first sliding groove 50 is formed.
  • the second rack gear 260 and the other side of the frame 220 are extend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frame 220 in the form of elongated front and back so as to extend forward and connected to the outer space at the front of the frame 220 A second sliding groove 55 is formed.
  • the first spring shaft 27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ding groove 50 and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ame 220 located at one end inside the first sliding groove 50, It extends by a distance.
  • One end of the first spring 275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ding groove 5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pring 275 extends forward to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ushion unit 500, (Not shown).
  • the second spring shaft 280 is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frame 220 located in the second sliding groove 55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pring shaft 28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ing groove 55, It extends by a distance.
  • the second spring 28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ing groove 55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285 surrounds the second spring shaft 28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pring 285 extends forward to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ushion unit 500, (Not shown).
  • the cushion part 500 further includes a first sliding part 520, a second sliding part 530, a first insertion part 540 and a second insertion part 550.
  • the bottom of the cushion frame 420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60 which is recessed in a rectangular shape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bottom of the cushion frame 420 and extended and opened rearward to be connected to the outside.
  • Each of the first sliding part 520, the second sliding part 530, the first insertion part 540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55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frame 420 located inside the guide groove 60 As shown in Fig.
  •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220 is engaged with the cushion part 500 so as to be slidable forward or backwar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60.
  • One end of the first sliding part 52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ushion part 5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right room of the first sliding groove 50 in a bar shape elongated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And a part of both the opposite ends protrude to both sides to form protrusions.
  • a first space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sliding part 520 so as to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part 520 so as to insert a part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spring 275,
  • a first projection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first sliding portion 520 and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pring 275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first space.
  •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53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ushion portion 5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ight room of the second sliding groove 55 in a bar shape elongated in the fore-and-aft direction, And a part of both the opposite ends protrude to both sides to form protrusions.
  • a second space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530 so as to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530 to insert a part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pring 285,
  • a second projection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second sliding portion 530 and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pring 285 is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space.
  •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ortions 520 and 53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50 and 55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2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60. [ And is inserted and coupled so that sliding movement is possible.
  •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40 is bent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frame 4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ight room of the second spring support 827 And a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support 827 and the springs 86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 540 at the front of the first insert 540.
  • the second spring support 827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40 so that the second spring support 827 can slide forward and backward while the rear portion of the spring 8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ovement of the insertion portion 540 is blocked by the back surface.
  •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50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frame 4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ight chamber of the first spring support table 826 in the form of a bar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826 and springs 860 ar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insert 550 at the front of the second insert 550.
  • the first spring support 82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50 so as to be slidable forward and backward while the rear portion of the spring 86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ovement of the insertion portion 550 is blocked by the back surface.
  •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a seat cushion installed inside a vehicle, and can be used for a domestic or industrial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단일의 스프링을 통해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높은 조립효율성 및 낮은 중량을 가지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랙기어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서 상기 베이스로 연장되는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들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는 록킹기어부 및 상기 쿠션부 및 제1 기어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쿠션부와 결합되고, 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기어를 하강시키면,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2 랙기어와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쿠션부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환된다.

Description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의 시트쿠션의 전후방향의 안정적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밑에서 지지하고, 다양한 신체 조건을 가지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시트쿠션의 일부가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제작된다.
최근에는 전력 소비, 제작 비용 및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트쿠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및 유성기어의 사용을 지양하고 있고, 스프링들을 시트쿠션의 이동을 위한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6224호는 복수의 코일스프링들을 사용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310호는 모터를 사용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모터를 사용하거나 복수의 스프링들을 사용하여 중량이 높고 복수의 스프링들 중 어느 하나의 탄성력이 저하되면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이동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단일의 스프링을 통해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높은 조립효율성 및 낮은 중량을 가지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랙기어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서 상기 베이스로 연장되는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들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는 록킹기어부 및 상기 쿠션부 및 제1 기어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쿠션부와 결합되고, 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기어를 하강시키면,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2 랙기어와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쿠션부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환된다.
또한, 상기 록킹기어부는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어 회전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제2 렉기어와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회전탄성력을 통해 정회전하며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랙기어의 두께는 상기 제2 랙기어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들 각각의 상부면은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기어가 하강하여 상기 제2 랙기어와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쿠션부는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쿠션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역회전하며 상기 토션스프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기어부는 상기 축 및 토션스프링 사이에 상기 축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가 하강하면 상기 제1 기어를 향해 탄성 저항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전방을 향해 탄성 이동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기어와 분리되면, 상기 제1 기어가 상부를 향해 탄성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들과 맞물리며 상기 쿠션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렉기어들의 양측에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홈들에 각각 배치되고, 전방 끝단은 상기 쿠션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제2 렉기어와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들을 통해 상기 쿠션부가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토션스프링의 탄성 회전력을 시트쿠션을 이동시키는 동력으로 활용하므로 차량 내부의 전력 소비 절감이 가능하고 중량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기존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와 달리 내부의 구조가 단순하고, 구동에 필요한 스프링들의 숫자가 적어 제작편의성 및 조립효율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기존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양측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코일스프링들 각각의 탄성력 차이로 시트쿠션의 원활한 이동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는 것과 달리 단일의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전방을 향해 구동하므로 시트쿠션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3들은 도 1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분해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들은 도 1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100)는 베이스(200), 쿠션부(400), 록킹기어부(600) 및 조작부(800)를 포함한다.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100)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터를 사용할 필요없이 해당 사용자가 조작부(800)를 상부를 향해 당기는 구동에 의해 쿠션부(400)가 전방을 향해 탄성 이동한다.
베이스(200)는 프레임(220), 제1 랙기어(240) 및 제2 랙기어(260)를 포함한다.
베이스(20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220)과 프레임(220)의 중앙에 각각의 이(Tooth)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랙기어(240, 260)들로 구성된다.
프레임(220)의 양측 상단에는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는 슬라이딩 홈들이 형성되고, 쿠션부(400)는 상기 슬라이딩 홈들을 통해 베이스(200)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랙기어(240)는 프레임(220)의 중앙에 형성된 홈의 내측면에 제2 랙기어(26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 랙기어(260)는 상기 홈의 내측면에서 제1 랙기어(2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제1 랙기어(240) 및 제2 랙기어(260)의 상부면 각각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하고, 제2 랙기어(260)의 저면은 상기 홈의 내부에서 프레임(22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쿠션부(400)는 베이스(200)의 상부에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쿠션부(400)는 쿠션프레임(420), 블록플랜지(440) 및 축(460)을 포함한다.
쿠션프레임(420)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들과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들이 형성되며, 후방을 제외한 가장자리에는 하부가 개방된 소정의 공간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된다.
블록플랜지(440)들 각각은 양측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일단은 쿠션프레임(420)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테두리의 안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하부 끝단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중공(10)들이 각각 형성된다.
블록플랜지(440)들 각각의 하부 끝단은 베이스(200) 및 쿠션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200)의 저면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중공(10)들은 베이스(200)의 저면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다.
축(460)은 베이스(200) 및 쿠션부(4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단이 쿠션프레임(42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200)의 제1 및 제2 랙기어(240, 260)들 사이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축(460)은 베이스(200) 및 쿠션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200) 및 쿠션부(400)의 후방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제1 및 제2 랙기어(240, 260)들 각각의 사이에서 록킹기어부(600)와 결합된다.
록킹기어부(600)는 베이스(200) 및 쿠션부(400) 사이에 형성되고, 조작부(800)의 구동에 따라 쿠션부(400)를 전방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쿠션부(40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록킹기어부(600)는 제1 기어(620) 및 토션스프링(640)을 포함한다.
제1 기어(620)는 중앙을 관통하는 홀에 축(460)의 타단이 삽입되어 축(46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축(460)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토션스프링(640)의 일단은 쿠션프레임(42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축(460)을 둘러싸며 제1 기어(620)의 저면에 결합되어 제1 기어(6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에 따라 변형되며 탄성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1 기어(620)는 소정의 거리만큼 하부를 향해 이동하면, 제2 랙기어(260)와 맞물리는 연결 상태가 해제되어 토션스프링(64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된다.
제1 기어(620)가 제1 랙기어(240)와 맞물린 상태에서 토션스프링(640)의 탄성력을 통해 정회전하면, 제1 랙기어(240)를 따라 쿠션프레임(420)과 함께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조작부(800)는 쿠션부(400) 및 제1 기어(620)의 사이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쿠션부(400)와 결합되고, 조작에 따라 쿠션부(400)를 전방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쿠션부(40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조작부(800)는 로드(820), 레버(840) 및 스프링(860)을 포함한다.
로드(820)의 일단은 전방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중앙의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두 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된다.
로드(820)는 베이스(200) 및 쿠션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랙기어(240, 260)들 사이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이 가능하고, 두 갈래로 갈라지는 타단은 제1 기어(620)의 상부에서 축(460)을 사이에 두고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레버(840)는 일단이 블록플랜지(440)들의 중공(10)들을 관통하는 축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 일부는 로드(820)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후방 하부를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레버(840)는 블록플랜지(440)들 사이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부를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하면 로드(820)의 일단과 결합된 상단 일부가 로드(820)를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스프링(860)들 각각의 일단은 로드(820)의 타단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프레임(220)의 후방에 결합되어 로드(820)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로드(820)는 로드프레임(822), 샤프트(824), 제1 스프링지지대(826), 제2 스프링지지대(827) 및 돌출부(828)를 포함한다.
로드프레임(822)은 전방에 위치하는 일단 일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타단은 양측면이 중앙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샤프트(824)는 로드프레임(822)의 일단에서 양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레버(840)의 상단 일부에 삽입되어 레버(84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스프링지지대(826)의 일단은 로드프레임(822)의 타단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스프링(860)들 중 어느 하나에 중앙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제2 스프링지지대(827)의 일단은 제1 스프링지지대(827)의 일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로드프레임(822)의 타단 타측과 결합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스프링(860)들 중 나머지 하나에 중앙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프링지지대(826, 827)들 각각의 타단은 레버(840)의 구동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스프링(860)들을 당기거나 수축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828)들 각각은 제1 스프링지지대(826) 및 제2 스프링지지대(827) 각각의 일단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축소 연장되고, 베이스(200) 및 쿠션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828)들 각각의 저면의 위치는 제2 랙기어(260)의 저면의 위치와 비슷하거나 하부에 위치한다.
돌출부(828)들 각각의 전후방에는 경사면들이 형성되고, 레버(840)의 타단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부를 향해 상승하고, 로드(820)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면, 돌출부(828)들 각각의 경사면은 축(460)의 양측을 지나면서 제1 기어(620)를 하부를 향해 밀어낸다.
돌출부(828)들 각각의 저면이 제1 기어(620)의 상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1 기어(620)의 일측은 제2 랙기어(260)의 저면 하부에 위치하므로 제1 기어(620)는 제2 랙기어(260)와 이탈하여 제1 랙기어(240)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베이스(200) 및 쿠션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640)은 제1 기어(620)의 하부에 비틀려진 상태로 결합되므로, 제1 기어(620)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면 토션스프링(640)의 탄성 회전력에 의해 제1 기어(620)가 정회전한다.
제1 기어(620)가 정회전하면 제1 기어(620)는 제1 랙기어(240)를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쿠션부(400) 역시 제1 기어(620)와 함께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쿠션부(400)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가 레버(840)를 통해 제1 기어(620)를 하강시키고 쿠션부(400)를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밀어내면, 제1 기어(620)는 제1 랙기어(240)와 맞물린 상태에서 역회전하며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제1 기어(620)가 역회전하면 토션스프링(640)이 비틀려지고 토션스프링(640)의 타단이 제1 기어(620)를 향해 발생시키는 탄성 회전력이 증가하며, 쿠션부(40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저항력을 발생시켜 상기 저항력에 대항하며 정밀하게 쿠션부(4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100)는 토션스프링(640)의 탄성 회전력만으로 쿠션부(400)의 이동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고, 모터로 구동할 필요가 없어 차량의 전력소비 절감이 가능하고 시트의 중량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도 3 내지 5들을 참조하면, 레버(840)는 레버축(842), 체결고리(844) 및 조작판(846)을 포함하고, 록킹기어부(600)는 코일스프링(660)을 더 포함한다.
레버축(842)들 각각의 일단은 레버(840)의 일단 양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실린더 형태로 양측을 향해 돌출되어 블록플랜지(44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조작판(846)의 일단은 레버축(842)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레버축(842)의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절곡되고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체결고리(844)는 조작판(846)의 상단에서 후방을 향해 절곡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샤프트(824)의 양측을 둘러싸며 샤프트(924)의 양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조작판(846)의 타단을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레버(840)는 레버축(842)을 축으로 회전하고, 체결고리(844)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며 로드(820)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코일스프링(660)은 축(460)과 토션스프링(640) 사이에서 축(46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하는 일단은 축(460)의 하단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 기어(620)의 저면에 결합된다.
로드(820)가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 돌출부(828)의 후방에 위치한 경사면이 제1 기어(620)의 상부면과 밀착하면서 제1 기어(620)를 점진적으로 하강시키고, 돌출부(828)의 저면이 제1 기어(620)의 상부면과 밀착되면 제1 기어(620)는 제2 랙기어(260)와 분리되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조작판(846)의 타단이 상승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는 쿠션부(40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쿠션부(400)의 위치를 조절한 후에 조작판(846)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860)들의 탄성력으로 조작판(846)이 하강하고, 돌출부(828)는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돌출부(828)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제1 기어(620)는 코일스프링(660)에 의해 상승하며 원위치로 이동하고, 제1 및 제2 랙기어(240, 260)들과 맞물리며 쿠션부(400)의 위치를 고정시켜 쿠션부(4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100)는 토션스프링(640)의 탄성 회전력을 쿠션부(400)를 이동시키는 동력으로 활용하므로 전력 절감이 가능하고 중량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100)는 스프링(860)들 및 토션스프링(640)의 설치만으로 모터 또는 기존의 베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들의 설치가 불필요하여 제작 비용 절감 및 중량 감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100)는 기존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와 달리 쿠션부(400)의 저면에 조작부(800)가 결합되고, 제1 기어(620)를 축(460)을 통해 쿠션부(400)와 결합시키는 단순한 조립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작편의성 및 조립효율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120)는 베이스(300)의 제1 및 제2 스프링축(270, 280)들, 제1 및 제2 스프링(275, 285)들, 쿠션부(500)의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520, 540)들, 제1 및 제2 삽입부(540, 550)들 및 록킹기어부(7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8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120)는 베이스(300), 쿠션부(500) 및 록킹기어부(700)를 포함한다.
베이스(300)는 제1 스프링축(270), 제1 스프링(275), 제2 스프링축(280) 및 제2 스프링(285)을 더 포함한다.
프레임(220)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하부를 향해 함몰된 홈을 마주하는 내측면들 각각에 제1 및 제2 랙기어(240, 260)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제1 랙기어(240) 및 프레임(220)의 일측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프레임(220)의 하부를 향해 함몰되고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프레임(220)의 전방에서 외부공간과 연결되는 제1 슬라이딩홈(50)이 형성된다.
제2 랙기어(260) 및 프레임(220)의 타측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프레임(220)의 하부를 향해 함몰되고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프레임(220)의 전방에서 외부공간과 연결되는 제2 슬라이딩홈(55)이 형성된다.
제1 스프링축(270)은 제1 슬라이딩홈(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은 제1 슬라이딩홈(50) 내부에 위치하는 프레임(220)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1 스프링(275)은 제1 슬라이딩홈(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은 제1 스프링축(270)을 둘러싸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일부분이 쿠션부(500)에 삽입되며 쿠션부(500)와 결합된다.
제2 스프링축(280)은 제2 슬라이딩홈(55)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은 제2 슬라이딩홈(55) 내부에 위치하는 프레임(220)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2 스프링(285)은 제2 슬라이딩홈(55)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은 제2 스프링축(280)을 둘러싸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일부분이 쿠션부(500)에 삽입되며 쿠션부(500)와 결합된다.
따라서, 레버(840)를 전방 상부를 향해 당기면 로드(820)가 후방을 향해 이동하고, 돌출부(828)가 제1 기어(620)를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제1 기어(620)는 제2 랙기어(260)와 연결이 해제되고 제1 및 제2 스프링(275, 285)들의 탄성력에 의해 쿠션부(500)는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쿠션부(500)는 제1 슬라이딩부(520), 제2 슬라이딩부(530), 제1 삽입부(540) 및 제2 삽입부(550)를 더 포함한다.
쿠션프레임(420)의 저면에는 쿠션프레임(420)의 저면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직사각 형태로 함몰되고 후방을 향해 연장 및 개방되어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60)이 형성된다.
제1 슬라이딩부(520), 제2 슬라이딩부(530), 제1 삽입부(540) 및 제2 삽입부(550)들 각각은 가이드홈(60) 내부에 위치하는 쿠션프레임(420)의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220)의 상단 일부분은 가이드홈(6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쿠션부(500)와 결합된다.
제1 슬라이딩부(520)의 일단은 제1 슬라이딩홈(50)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위치의 쿠션부(500)의 저면에서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타단 양측면의 일부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들을 형성한다.
제1 슬라이딩부(520)의 타단 후방에는 제1 슬라이딩부(520)의 저면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제1 스프링(275)의 타단 일부가 삽입되는 제1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의 전방에는 제1 슬라이딩부(520)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제1 스프링(275)의 타단에 삽입되는 제1 돌기가 형성된다.
제2 슬라이딩부(530)의 일단은 제2 슬라이딩홈(55)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위치의 쿠션부(500)의 저면에서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타단 양측면의 일부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들을 형성한다.
제2 슬라이딩부(530)의 타단 후방에는 제2 슬라이딩부(530)의 타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제2 스프링(285)의 타단 일부가 삽입되는 제2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공간의 전방에는 제2 슬라이딩부(530)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제2 스프링(285)의 타단에 삽입되는 제2 돌기가 형성된다.
프레임(220)의 상단 일부분이 가이드홈(6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520, 530)들 각각은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50, 55)들 각각에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 및 결합된다.
도 3 및 도 8들을 참조하면, 제1 삽입부(540)는 제2 스프링지지대(827)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쿠션프레임(420)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돌출되고, 제2 스프링지지대(827)의 일부분 및 스프링(860)들은 제1 삽입부(540)의 전방에서 제1 삽입부(540)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2 스프링지지대(827)는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삽입부(540)에 삽입되고, 스프링(860)의 후방은 제1 삽입부(540)에 소정의 거리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삽입부(540)의 배면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다.
제2 삽입부(550)는 제1 스프링지지대(826)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쿠션프레임(420)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돌출되며, 제1 스프링지지대(826)의 일부분 및 스프링(860)들은 제2 삽입부(550)의 전방에서 제2 삽입부(550)의 내부로 삽입된다.
제1 스프링지지대(826)는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2 삽입부(550)에 삽입되고, 스프링(860)의 후방은 제2 삽입부(550)에 소정의 거리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삽입부(550)의 배면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레버(840)의 구동으로 로드(820)가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 스프링(860)들이 수축하고 쿠션부(500)의 전방을 향한 이동이 제한되며, 레버(840)의 구동을 중지하면 레버(840)는 스프링(860)들의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이동한다.
또한, 레버(840)의 구동에 따라 스프링(860)들이 수축하면서 증가하는 탄성력이 레버(840)의 구동을 제한하므로, 로드(820)가 차량의 가속 또는 브레이크에 의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세밀하게 레버(840)의 조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쿠션의 전후방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치로서, 가정용 또는 산업용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랙기어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서 상기 베이스로 연장되는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들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는 록킹기어부; 및
    상기 쿠션부 및 제1 기어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쿠션부와 결합되고, 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기어를 하강시키면,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2 랙기어와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쿠션부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어부는,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어 회전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제2 렉기어와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회전탄성력을 통해 정회전하며 전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기어의 두께는 상기 제2 랙기어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들 각각의 상부면은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기어가 하강하여 상기 제2 랙기어와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쿠션부는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쿠션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역회전하며 상기 토션스프링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어부는,
    상기 축 및 토션스프링 사이에 상기 축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가 하강하면 상기 제1 기어를 향해 탄성 저항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전방을 향해 탄성 이동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기어와 분리되면, 상기 제1 기어가 상부를 향해 탄성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들과 맞물리며 상기 쿠션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렉기어들의 양측에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홈들에 각각 배치되고, 전방 끝단은 상기 쿠션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제2 렉기어와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들을 통해 상기 쿠션부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PCT/KR2018/010080 2017-08-30 2018-08-30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WO2019045496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09014A JP6990843B2 (ja) 2017-08-30 2018-08-30 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US16/642,303 US11034262B2 (en) 2017-08-30 2018-08-30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N201880053829.4A CN111032424B (zh) 2017-08-30 2018-08-30 坐垫延伸装置
DE112018004791.1T DE112018004791T5 (de) 2017-08-30 2018-08-30 Sitzkissenerweiterungs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899 2017-08-30
KR1020170109899A KR101913740B1 (ko) 2017-08-30 2017-08-30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496A1 true WO2019045496A1 (ko) 2019-03-07

Family

ID=6409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0080 WO2019045496A1 (ko) 2017-08-30 2018-08-30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34262B2 (ko)
JP (1) JP6990843B2 (ko)
KR (1) KR101913740B1 (ko)
CN (1) CN111032424B (ko)
DE (1) DE112018004791T5 (ko)
WO (1) WO2019045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6619A1 (fr) * 2019-05-27 2020-12-04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Ensemble d’accoudoir pour siege de vehicule
USD917206S1 (en) * 2019-06-13 2021-04-27 Purple Innovation, Llc Cushion with offset cells
USD990930S1 (en) 2019-06-13 2023-07-04 Purple Innovation, Llc Cushion with hexagonal cells
USD991706S1 (en) 2019-06-13 2023-07-11 Purple Innovation, Llc Cushion
USD917927S1 (en) * 2019-06-13 2021-05-04 Purple Innovation, Llc Cushion with offset cells
USD911071S1 (en) * 2019-10-29 2021-02-23 Easepal Enterprises Ltd. Seat cushion
JP1678082S (ko) * 2020-04-26 2021-02-01
USD903377S1 (en) * 2020-08-05 2020-12-01 Shenzhen Supertempo Digital Technology Co. LTD Gel cushion
DE102020209986A1 (de) * 2020-08-06 2022-02-1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tiefenverstellvorrichtung
USD962680S1 (en) * 2021-06-21 2022-09-06 Yannan Huang Gel seat cushion
USD970259S1 (en) * 2021-09-08 2022-11-22 Taizhou Sunjoy Car Accessories Co., Ltd Foldable honeycomb gel cushion
JP2023131625A (ja) 2022-03-09 2023-09-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44A (ko) *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서스펜션 구조
KR20100033580A (ko) * 2008-09-22 2010-03-31 다이모스(주)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110016566A (ko) * 2009-08-12 2011-02-18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93817B1 (ko) * 2014-08-13 2016-02-15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
KR101685927B1 (ko) * 2016-06-09 2016-12-13 (주)디에스시 수동형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2800C1 (de) * 2000-03-16 2001-10-18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raftfahrzeugsitz mit verstellbarer Sitztiefe
US6540296B1 (en) * 2001-03-01 2003-04-01 Ram Machines (1990) Ltd. Chair back height-adjustment mechanism
JP2007113629A (ja) * 2005-10-19 2007-05-10 Advanex Inc スライドロック機構
JP4635835B2 (ja) * 2005-11-10 2011-02-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電動伸縮装置
US7578554B2 (en) * 2005-11-17 2009-08-25 Illinois Tool Works Inc. Thigh extens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DE202006001969U1 (de) * 2006-02-08 2007-06-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tiefenversteller
DE102007049865B4 (de) * 2007-01-19 2019-02-21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Kraftfahrzeugsitz mit verstellbarer Sitztiefe
DE102008030608B4 (de) * 2007-08-09 2010-11-25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Sitztiefenverstellbarer Kraftfahrzeugsitz
KR100892494B1 (ko) * 2007-10-05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쿠션 길이 조절장치
DE102008046000A1 (de) * 2007-12-14 2009-06-18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Sitztiefenverstellbarer Fahrzeugsitz mit einem ersten Sitzteil und einem zweiten Sitzteil
DE102009040461B3 (de) * 2009-09-01 2011-02-03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Nutzfahrzeugsitz
FR2958889A1 (fr) * 2010-04-20 2011-10-21 Faurecia Sieges D Automobiles Dispositif de reglage de la longueur d'assise pour un siege d'automobi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FR2971207B1 (fr) * 2011-02-08 2013-02-15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de reglage de la longueur d'assise pour un siege d'automobi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8888181B2 (en) * 2011-12-30 2014-11-18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Seat bottom tilt drive for vehicle seat
US9278636B2 (en) * 2013-09-05 2016-03-08 Lear Corporation Fixed thigh extender trim closeout
KR101664690B1 (ko) * 2015-05-20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쿠션 익스텐션장치
JP6105116B1 (ja) * 2016-03-23 2017-03-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69047B1 (ko) 2016-10-26 2018-06-20 주식회사 다스 랙과 피니언의 결합 구조
US10773624B2 (en) * 2017-09-28 2020-09-15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Cushion-length adjuster for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44A (ko) *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서스펜션 구조
KR20100033580A (ko) * 2008-09-22 2010-03-31 다이모스(주)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110016566A (ko) * 2009-08-12 2011-02-18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93817B1 (ko) * 2014-08-13 2016-02-15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
KR101685927B1 (ko) * 2016-06-09 2016-12-13 (주)디에스시 수동형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8004791T5 (de) 2020-06-18
US20200198500A1 (en) 2020-06-25
CN111032424B (zh) 2022-07-15
JP6990843B2 (ja) 2022-01-12
JP2020531344A (ja) 2020-11-05
CN111032424A (zh) 2020-04-17
US11034262B2 (en) 2021-06-15
KR101913740B1 (ko)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45496A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WO2011071211A1 (ko) 자동차 시트쿠션용 펌핑 디바이스
WO2017000299A1 (zh) 限位装置及具有该限位装置的无人飞行器
WO2017171292A1 (en) Door driving system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WO2011052953A2 (ko) 전동식 루버 시스템
WO2014021582A1 (en) Pumping device for adjusting seat height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eat height for motor vehicle having the same
WO2018128374A1 (ko) 음향 출력 장치
WO2019156292A1 (ko)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WO2014084652A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WO2012015135A1 (ko)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WO2014084653A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WO2022055072A1 (ko) 록킹수단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WO2015084001A1 (en) Air vent dial for automobile
WO2021118245A1 (ko) 자동차 에어 벤트용 조절 노브
EP3374710A1 (en) Door driving system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WO2019172592A1 (ko) 냉장고 도어용 댐핑 힌지 모듈
WO2022139509A1 (ko) Bldc 모터를 구비한 구동모터 및 이를 이용한 스위블 액추에이터
WO2016178530A1 (ko) 비간섭 전면개폐형 프레임의 구조
WO2013125746A1 (ko)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WO2019009517A1 (ko) Moc 액츄에이터 기어박스의 기어 고정구조
WO2010107168A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WO2023234686A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WO2011065624A1 (ko) 임의 위치로의 클로저 기능을 갖는 힌지 장치
WO2019225841A1 (ko)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WO2016163693A1 (ko) 단말 거치용 고정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517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0901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517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