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40357A1 - 블럭완구 - Google Patents

블럭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40357A1
WO2020040357A1 PCT/KR2018/014274 KR2018014274W WO2020040357A1 WO 2020040357 A1 WO2020040357 A1 WO 2020040357A1 KR 2018014274 W KR2018014274 W KR 2018014274W WO 2020040357 A1 WO2020040357 A1 WO 20200403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present
groov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42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교삼
Original Assignee
서교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4231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14436B1/ko
Application filed by 서교삼 filed Critical 서교삼
Publication of WO20200403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403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to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ck toy that can be freely assembled a plurality of blocks of various patterns in a variety of shapes.
  •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are configured to allow children to directly combine and disassemble the unit blocks of various shapes, so that they can induce interest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thus play equipment for developing children's creativity and intelligence to be.
  • the magnetic blocks for early childhood learning are play equipment made for the purpose of cognitiv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 active thinking development and concentration can be naturally improved.
  •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etal ball is fixed to each side of the block embedded.
  • the children's learning magnetic block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spatial concept or creativity through the process of easily connecting or disassembling the blocks of various shapes.
  • a magnetic block has to fix a permanent magnet and metal plates or metal balls attached thereto to a block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or wood in a buried state.
  • the support block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block arrangement area is arranged on the board game board to place various blocks;
  • Unit blocks having three pairs of face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two or more, the first coupling block having a metal on each side of the unit block, and coupl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block to deform the desired shape
  • a coupling block configured to join or separate a second coupling block having magnets on one of six surfaces of the unit block to form a block;
  • An unbound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so as not to be combined or separated;
  • an obstructive block selective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block arrangement area to change a position where the transform block and the non-combined block are arranged, wherein the at least one player is rotated and the uncombined block or the first combined block;
  • Arrange the modified blocks created by combining the second combined blocks to stack the blocks so that one row is the same color horizontally or vertically to obtain points to win
  •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creativity cannot be improved because it can not be deformed into various patterns because only a plurality of blocks in which magnets are built can be stack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 the conventional technical configuration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pattern because it uses the same block.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freely assemble a plurality of blocks of various patterns in various shap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easily replace the pattern of the block.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ck portion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first blocks to which a fitting piece having a pattern is expressed on a surface of a first body having a magnet installed therein, and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block portion is disposed. It is a basic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is made of a support portion which is opened in a plurality of pressure members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and the cushion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ure member.
  • the first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fitting piec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e fitting groove is fitted.
  • the first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on the six sides of the cube and the fitting piece is fitted to the fitting groove.
  • the block portion, the insertion space i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body protruding the engaging projection on the surface of the cube and further comprises a second block consisting of a pair of cover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 a first sensor is installed inside the block part,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s ar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o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indicating a score when each sensor is matched.
  • the display and the speaker that makes a sound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each of the sensor further comprises a light emitting member for displaying the light is installed on the pressing member.
  • the block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freely assembled a plurality of blocks of various patterns in a variety of shapes, the first piece is affixed to the custom piece i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ody is installed a magnet therein
  • a block portion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blocks,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block portion is disposed, is opened to the upper portion,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ating space, and a cushioning member incorporating a cushioning member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members. It is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hild intelligence and prevention of dementia in the elderly.
  •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body and the fitting piec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e fitting groove is fitted to be able to easily replace the pattern of the block,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mpatibility is improved.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block toys.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block toys.
  • Figure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 toys.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block toys.
  • Figure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block toys.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block toys.
  •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block toys.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 toys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 toys
  • Figure 6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 toys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 toys
  •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 toys.
  • FIG. 1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 to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onsists of a block portion 100, a support portion 200.
  • the block unit 100 arranges a plurality of first blocks 110 to which a fitting piece 117 in which a pattern is expressed is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in which the magnet 113 is installed.
  • the first block 110 has a fitting groove 115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and a fitting piece 117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5 is fitted.
  • the first block 110 has a fitting groove 115 formed on a cube of the cube and a fitting piece 117 is fitted to the fitting groove 115.
  • the fitting piece 117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o be attached to the magnet 113.
  • the fitting piece 117 may have a square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groove 115, o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hapes such as an isosceles triangle.
  • the magnet 113 may be provided only on one side or may be installed on all six sides.
  • the fitting groove 117 is formed in the first body 111 and the fitting piece 117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e fitting groove 115 is fitted so that the pattern of the block can be easily replaced, the compatibility is improved. do.
  • the block part 100 is provided with a second body 121 having a protrusion 123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cube. Furthermore, the cover 125 is fitted above and below the second body 121. In particular, the cover 125 has an insertion space 127 opened to one side and a locking groove 129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127. The cover 125 is formed in a pair to be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body 121.
  • the support portion 20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the seating space 201 in which the block portion 100 is disposed is opened upward.
  • the first block 110 and the second block 120 may be independent or mixed in the seating space 201. That is, arranged at 3x3 or 5x5.
  •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203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201.
  • a cushion member 21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203 to provide an elastic force.
  • the cushion member 210 is preferably a sponge having an elastic fo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sing member 203 receives the elastic force of the cushion member 210 to press the side of the block unit 100.
  • the arrangement of the block unit 100 can be replaced.
  • the block toy 10 has a fitting piece 117 having a pattern expressed on a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having a magnet 113 installed therein so as to freely assemble a plurality of blocks of various patterns in various shapes.
  • a block portion 100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first blocks 110 and a seating space 201 in which the block portion 100 is disposed are opened upward, and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203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201, and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ing member 203.
  • Cushion member 210 is provided to provide a support 200 made of a built-in, it helps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hild intelligence and prevention of dementia of the elderly.
  • the first sensor 130 is installed inside the block portion 100.
  • a plurality of second sensors 230 ar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or 13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200.
  • the display 220 indicating the score and the speaker 250 that make a sound ar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200, and when the sensors are matched, the light emitting member 240 is displayed on the pressure member 203.
  • the controller 260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260 that changes the score and the congratulatory value by changing the sensor 130 according to the pattern difficulty of the block unit 100.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완구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무늬의 복수개 블럭을 다양한 모양으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자석이 설치된 제1몸체의 표면에 무늬가 표현된 맞춤편이 부착되는 제1블럭을 복수개로 배치하는 블럭부와, 상기 블럭부가 배치되는 안착공간이 상부로 개구되고 안착공간 내측면에 복수개의 가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쿠션부재가 내입된 받침부로 이루어져, 창작 및 아동지능 발달과 노인들의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럭완구
본 발명은 블럭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무늬의 복수개 블럭을 다양한 모양으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블럭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단위블록을 유아들이 직접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키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하여 유아들의 창의력과 지능을 발달시키기 위한 놀이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학습용 자석블록은 미취학 유아들의 인지발달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놀이도구로, 삼각기둥 내지 정육면체 등 여러 가지 모양의 블록을 이용해 토막 쌓기, 퍼즐 맞추기 등을 수행하면서 놀 경우 심신의 발달과 아울러,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집중도 등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각 블록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영구자석을 이용하기 위해 블록의 각 면마다 영구자석 및 금속볼을 매립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아 학습용 자석블록은 여러 가지 모양의 블록을 쉽게 연결하거나 그것을 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유아들이 공간개념이나 창의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종래, 자석블록은 영구자석과 이에 자착되는 금속판 내지 금속볼을 합성수지재 내지 목재로 된 블록체에 매립상태로 고정시켜야 한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2351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드 게임판에 배치되어 여러가지 블록을 배치할 블록배치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지지블록; 서로 마주보는 3쌍의 면을 갖는 단위블록이 적어도 2 이상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블록의 각면에 금속을 갖는 제 1 결합블록과, 상기 제 1 결합블록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되어 원하는 모양의 변형블록을 형성하도록 단위블록의 6면 중 일면에 자석을 갖는 제 2 결합블록을 합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결합블록; 합치거나 분리할 수 없게 미리 정해진 모양을 갖는 비결합블록; 및 상기 블록배치 영역에 대해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변형블록과 상기 비결합블록이 배치되는 위치를 변경시키는 방해블록을 포함하며, 적어도 1 이상의 플레이어가 돌아가면서 상기 비결합블록 또는 상기 제 1 결합블록과 제 2 결합블록을 결합하여 생성한 변형블록을 배치하여 블록을 쌓아 가로로 또는 세로로 한줄이 동일한 색이 되면 점수를 획득하여 더 많은 점수를 획득한 플레이어가 이기도록 적어도 2 가지 다른 색의 결합블록과 비결합블록 세트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자석이 내장된 복수개의 블럭을 가로 또는 세로로만 쌓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무늬로 변형할 수 없어서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구성은 동일한 블럭을 이용하기 때문에 무늬를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무늬의 복수개 블럭을 다양한 모양으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럭의 무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자석이 설치된 제1몸체의 표면에 무늬가 표현된 맞춤편이 부착되는 제1블럭을 복수개로 배치하는 블럭부와, 상기 블럭부가 배치되는 안착공간이 상부로 개구되고 안착공간 내측면에 복수개의 가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쿠션부재가 내입된 받침부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블럭은, 상기 제1몸체의 상부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복수개로 나누어진 맞춤편이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블럭은, 정육면체의 육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맞춤편이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럭부는, 정육면체의 표면에 걸림돌기가 돌출된 제2몸체의 상하로 끼움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삽입공간 내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커버로 이루어진 제2블럭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럭부의 내부에 제1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 바닥면에는 상기 제1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센서가 설치되되, 각각 센서가 일치될 경우 점수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와 소리를 내는 스피커가 받침부의 표면에 설치되고, 각각 센서가 일치될 경우 빛으로 표시하는 발광부재가 가압부재에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블럭완구는 다양한 무늬의 복수개 블럭을 다양한 모양으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자석이 설치된 제1몸체의 표면에 무늬가 표현된 맞춤편이 부착되는 제1블럭을 복수개로 배치하는 블럭부와, 상기 블럭부가 배치되는 안착공간이 상부로 개구되고 안착공간 내측면에 복수개의 가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쿠션부재가 내입된 받침부로 이루어져, 창작 및 아동지능 발달과 노인들의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럭완구는 블럭의 무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제1몸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복수개로 나누어진 맞춤편이 끼움 결합되어,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블럭완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블럭완구를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블럭완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블럭완구를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블럭완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 1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블럭부 100, 받침부 20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 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블럭부 100는 내부에 자석 113이 설치된 제1몸체 111의 표면에 무늬가 표현된 맞춤편 117이 부착되는 제1블럭 110을 복수개로 배치한다.
이러한, 제1블럭 110은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몸체 111의 상부면에 끼움홈 115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115에 복수개로 나누어진 맞춤편 117이 끼움 결합된다.
나아가, 제1블럭 110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육면체의 육면에 끼움홈 115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115에 맞춤편 117이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맞춤편 117은 자석 113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금속재질이 바람직하다. 특히, 맞춤편 117은 끼움홈 115에 대응되는 정사각형 판형상일 수도 있고, 이등변 삼각형과 같이 복수개로 나누어진 형상일 수도 있다.
여기서, 자석 113은 한쪽면에만 있을 수도 있고 6면에 모두 설치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블럭완구 10는 블럭의 무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제1몸체 111에 끼움홈 115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115에 복수개로 나누어진 맞춤편 117이 끼움 결합되어, 호환성이 향상된다.
한편, 블럭부 100는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육면체의 표면에 걸림돌기 123가 돌출된 제2몸체 121가 마련된다. 나아가, 제2몸체 121의 상하로 커버 125가 끼움된다. 특히, 커버 125는 일측으로 개구된 삽입공간 127이 형성되고 삽입공간 127 내측면에 걸림홈 129이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125는 제2몸체 121의 상하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받침부 200는 사각틀 형상으로 블럭부 100가 배치되는 안착공간 201이 상부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제1블럭 110과 제2블럭 120은 안착공간 201에 독립 또는 혼합 배치가 가능하다. 즉, 3x3 또는 5x5로 배치된다.
더불어, 안착공간 201 내측면에 복수개의 가압부재 203가 마련된다. 또한, 가압부재 203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쿠션부재 210가 내입된다.
이때, 쿠션부재 210는 탄성력을 갖는 스폰지가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가압부재 203는 쿠션부재 210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블럭부 100의 측면을 가압한다.
다양한 패턴의 샘플이미지를 보고 블럭부 100의 배치를 교체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블럭완구 10는 다양한 무늬의 복수개 블럭을 다양한 모양으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자석 113이 설치된 제1몸체 111의 표면에 무늬가 표현된 맞춤편 117이 부착되는 제1블럭 110을 복수개로 배치하는 블럭부 100와, 상기 블럭부 100가 배치되는 안착공간 201이 상부로 개구되고 안착공간 201 내측면에 복수개의 가압부재 203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재 20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쿠션부재 210가 내입된 받침부 200로 이루어져, 창작 및 아동지능 발달과 노인들의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럭부 100의 내부에 제1센서 130가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받침부 200 바닥면에는 상기 제1센서 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센서 230가 설치된다.
나아가, 각각 센서가 일치될 경우 점수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220와 소리를 내는 스피커 250가 받침부 200의 표면에 설치되고, 각각 센서가 일치될 경우 빛으로 표시하는 발광부재 240가 가압부재 203에 설치된다.
즉, 블럭부 100의 무늬 난이도에 따라 센서 130를 달리하여 점수 및 축하멘트가 변하도록 하는 제어부 260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내부에 자석이 설치된 제1몸체의 표면에 무늬가 표현된 맞춤편이 부착되는 제1블럭을 복수개로 배치하는 블럭부와,
    상기 블럭부가 배치되는 안착공간이 상부로 개구되고 안착공간 내측면에 복수개의 가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쿠션부재가 내입된 받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은,
    상기 제1몸체의 상부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복수개로 나누어진 맞춤편이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은,
    정육면체의 육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맞춤편이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는,
    정육면체의 표면에 걸림돌기가 돌출된 제2몸체의 상하로 끼움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삽입공간 내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커버로 이루어진 제2블럭을 더 포함하는 블럭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의 내부에 제1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 바닥면에는 상기 제1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센서가 설치되되,
    각각 센서가 일치될 경우 점수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와 소리를 내는 스피커가 받침부의 표면에 설치되고, 각각 센서가 일치될 경우 빛으로 표시하는 발광부재가 가압부재에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블럭완구.
PCT/KR2018/014274 2018-08-21 2018-11-20 블럭완구 WO202004035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7406 2018-08-21
KR10-2018-0097406 2018-08-21
KR10-2018-0142313 2018-11-19
KR1020180142313A KR102114436B1 (ko) 2018-08-21 2018-11-19 블럭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0357A1 true WO2020040357A1 (ko) 2020-02-27

Family

ID=6959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4274 WO2020040357A1 (ko) 2018-08-21 2018-11-20 블럭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04035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661Y1 (ko) * 1999-11-25 2000-06-01 안영환 조립완구
KR20090050589A (ko) * 2007-11-16 2009-05-20 안종수 단어 학습용 놀이도구
KR2015001023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KR20170122116A (ko) * 2016-04-26 2017-11-03 문성원 그림카드의 탈부착이 용이한 자석블록완구
KR101864050B1 (ko) * 2016-12-16 2018-06-04 이경미 모니터링 및 지도가 가능한 IoT 교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661Y1 (ko) * 1999-11-25 2000-06-01 안영환 조립완구
KR20090050589A (ko) * 2007-11-16 2009-05-20 안종수 단어 학습용 놀이도구
KR2015001023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KR20170122116A (ko) * 2016-04-26 2017-11-03 문성원 그림카드의 탈부착이 용이한 자석블록완구
KR101864050B1 (ko) * 2016-12-16 2018-06-04 이경미 모니터링 및 지도가 가능한 IoT 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9013A1 (ko) 자석 장착식 다각형 장난감 판넬
US3707287A (en) Color familiarization game
WO2020040357A1 (ko) 블럭완구
KR102114436B1 (ko) 블럭완구
WO2013077513A1 (ko) 유아용 변형완구
KR101047689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20210109398A (ko)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080044985A (ko) 블록 완구 세트
JPS61284282A (ja) 組立おもちや
KR20210001216A (ko) 시지각 통합교육이 가능한 장애아동 및 영유아 학습용 교구세트,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KR20140122575A (ko) 자석 블록완구
KR20100053006A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004887B1 (ko) 유아용 자석블록
WO2012150776A2 (ko) 조립식 적층 퍼즐
WO2017142337A1 (ko) 다면체 블록 완구
WO2019107843A1 (ko) 보드게임용 조립식 블럭 구조
KR100987575B1 (ko) 유아용 자석블록
WO2023038423A1 (ko) 다방면으로 조립이 가능한 놀이블럭
WO2017138683A1 (ko) 자석블록완구
CN217489713U (zh) 三维立体拼图
CN211724645U (zh) 用于儿童娱乐的墙面建构及建构插件
CN219167706U (zh) 一种磁力板益智玩具
WO2017099290A1 (ko) 장난감 블록완구
CN214436436U (zh) 一种益智拼图
CN213432985U (zh) 一种叠叠高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310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8.07.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310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