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13362A1 - 인덕션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인덕션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13362A1
WO2020013362A1 PCT/KR2018/007953 KR2018007953W WO2020013362A1 WO 2020013362 A1 WO2020013362 A1 WO 2020013362A1 KR 2018007953 W KR2018007953 W KR 2018007953W WO 2020013362 A1 WO2020013362 A1 WO 20200133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induction cooking
heating plate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79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동희
Original Assignee
서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8028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121673A/ko
Application filed by 서동희 filed Critical 서동희
Publication of WO20200133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133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ion cook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uction cooking container capable of simply and efficiently heating food by an induction heating method.
  • induction is an induction heating method of heating the cooking vessel using a magnetic force line.
  • Induction in particular is excellent in heating properties and safety, the demand is increasing trend.
  • a conventional induction cooking container is sealed by a bottom layer 1 made of a paper material and has an inner space in which contents are filled through the other open end. ; It is integrally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layer (1), it is composed of a heating element (3) is he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to heat the contents through the bottom layer (1).
  • the container body 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4, the bottom layer 1 is provided with a bent jaw (5)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4).
  • the induction cooking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layer 1 and the heating element 3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bottom layer 1 is directly heated by the heating element 3, and thus the heat conduction to the bottom layer 1 is performed. Is not uniformly made and the life of the bottom layer 1 is lowered.
  • the heating element 3 is bonded to the bottom layer 1 by the adhesive, there is a limit to maintain the bonded state firmly and stably, there is a problem that replacement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ion cooking vessel that can be improved as well as easy to assemble and maintain.
  •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floor plate; And a heating plate of a magnetic material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wherein the heating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to form an air layer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heating plate.
  • the inductio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by stably transferring heat to the entire bottom plate by forming an air layer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heating plate, and extend the life by indirectly heating the bottom plate. You can.
  • the heating plat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is easy to assemble and maintain.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induction cooking vessel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uctio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plate of the inductio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ing plate of the inductio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heating plate of the inductio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inductio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ductio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ductio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 body (10); A heating plate 20 coupled to the main body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the main body 10 is a portion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nd is provided with a circular bottom plate 12.
  • the bottom plate 1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thermal conductivity.
  • the bottom plate 12 has a plurality of heat conducting portions 13 protrudingly formed, and the locking jaw 13a is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heat conducting portion 13 so that the heat generating plate 20 can be fitted.
  • heat conduction portion 13 is disposed substantially radially throughout the bottom plate (12).
  • positioning form, etc. of the heat conductive part 13 can be suitably changed as needed.
  • the heating plate 2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is stably gener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2 of the main body 10 to facilitat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 the heating plate 2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12 of the main body 10, thereby forming an air layer 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between the bottom plate 12 and the heating plate 20.
  • the bottom plate 12 of the main body 10 is indirectly heated, thereby stably transferring heat to the whole of the bottom plate 12, thereby improving heating efficiency.
  • the life of the bottom plate 12 can be extended by indirect heating.
  •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heat of the bottom plate 20 may be minimized, and the food may be prevented from burning.
  • the heat generating plate 20 has a coupling hole 22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at conductive portion 13 of the bottom plate 12, and is closely supported by the locking step 13a formed in the heat conductive portion 13. Caulking is engaged in the state.
  • the heating plate 20 to discharge the air of the air layer (A) to the outside during the cooking operation through the induction cooking vessel and a plurality of to naturally discharge the residual water of the air layer (A) to the outside during the cleaning of the induction cooking vessel
  • the drain exhaust hole 24 is formed.
  • the plurality of drainage exhaust holes 24 may include a central hole 24a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heat generating plate 20 and outer holes 24b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side of the heat generating plate 20.
  • the number and arrangement intervals of the outer holes 24b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cessary.
  • Handle 30 is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0.
  • Such a handle 30 can be chang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induction cooking vessel.
  • the heating plate 20 is fitted to the bottom plate 12 by applying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while the heating plate 2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plate 12 of the main body 10.
  • the protruding heat conduction portion 13 of the bottom plate 1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2 of the heat generating plate 20, the edge portion of the heat generating plate 20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12.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ductio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duction cooking container includes a main body 10 (see FIG. 2) having a bottom plate 12; A heat generation plate 20 coupled to the heat conduction portion 13 of the bottom plate 12 to form an air layer A between the bottom plate 12 and the heat generation plate 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rain relief 40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plate 12 and the heat generating plate (20).
  • the strain bar 40 is for easily and efficientl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heating plate 20 due to heat, and the strain bar 4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plate 12 of the main body 10.
  • the strain relief 4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t generating plate (20).
  •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mber 4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to simultaneously perform a deform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a thermal conducting function.
  • a heat resistant coating layer may be further formed.
  • strain relief 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ting plate 12 of the main body 10 as needed.
  • it may be bonded by an adhesive means such as an adhesive.
  • main body 12 floor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션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열전도부(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닥플레이트(12)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0); 바닥플레이트(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성체의 발열플레이트(20)를 포함하며, 발열플레이트(20)는 바닥플레이트(12)와 이격 배치되어, 바닥플레이트(12) 및 발열플레이트(20) 사이에 공기층(30)을 형성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인덕션 조리용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덕션 조리용기
본 발명은 인덕션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가열방식에 의해 조리물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인덕션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레인지의 종류는 열원의 원리에 따라 인덕션 및 하이라이트로 구분되며, 그 중 인덕션은 자력선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유도가열방식이다.
특히 인덕션은 가열성 및 안전성 등이 우수하여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추세에 보조하여 인덕션 조리용기에 대한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인덕션 조리용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방된 일단이 종이소재로 이루어지는 바닥층(1)에 의해서 밀폐되고, 개방된 타단을 통해 내용물이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2); 바닥층(1)의 하부면에 노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며, 유도가열방식에 의해서 발열되어 바닥층(1)을 통하여 내용물을 가열하는 발열체(3)로 구성된다. 용기본체(2)에는 결합부(4)가 구비되고, 바닥층(1)에는 결합부(4)에 대응 결합되는 절곡턱(5)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인덕션 조리용기는 등록특허공보 제10-176323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인덕션 조리용기는 바닥층(1) 및 발열체(3)가 서로 맞대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바닥층(1)이 발열체(3)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되며, 이에 따라 바닥층(1)으로의 열전도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바닥층(1)의 수명이 저하된다.
또한 발열체(3)가 접착제에 의해 바닥층(1)에 결합되어, 그 결합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한계가 있음은 물론이고 교체 및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결국, 인덕션 조리용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인덕션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는, 바닥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상기 바닥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성체의 발열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플레이트는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발열플레이트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는 바닥플레이트 및 발열플레이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바닥플레이트의 전체에 골고루 안정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어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닥플레이트가 간접 가열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발열플레이트가 바닥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그로 인해, 인덕션 조리용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인덕션 조리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의 바닥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의 발열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의 발열플레이트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의 결합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는 본체(10); 본체(10)에 결합되는 발열플레이트(20); 본체(10)에 결합되는 손잡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조리물이 수용되는 부위로서, 원형의 바닥플레이트(12)가 구비되어 있다.
바닥플레이트(12)는 열전도성을 비롯하여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닥플레이트(12)에는 다수 개의 열전도부(13)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열전도부(13)의 상부 중앙에는 발열플레이트(2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13a)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열전도부(13)는 바닥플레이트(12) 전체에 걸쳐 대략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한편, 열전도부(13)의 형상 및 배치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발열플레이트(20)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유도가열방식에 의해 안정적으로 발열되며,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본체(10)의 바닥플레이트(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발열플레이트(20)는 본체(10)의 바닥플레이트(12)와 이격 배치되고, 이에 따라 바닥플레이트(12) 및 발열플레이트(20) 사이에 일정 폭의 공기층(A)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층(A)에 의해 발열플레이트(20)의 발열 시 본체(10)의 바닥플레이트(12)를 간접적으로 가열시키게 됨으로써 바닥플레이트(12)의 전체에 골고루 안정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어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닥플레이트(12)가 간접 가열됨으로서 그 수명을 한층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플레이트(20)의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플레이트(20)는 바닥플레이트(12)의 열전도부(13)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22)이 형성되어, 열전도부(13)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3a)에 밀착 지지된 상태에서 코킹 결합된다.
또한 발열플레이트(20)에는 인덕션 조리용기를 통한 조리작업 시 공기층(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인덕션 조리용기의 세척 시 공기층(A)의 잔수를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배수배기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배수배기홀(24)은 발열플레이트(20)의 중앙영역에 형성되는 중앙홀(24a) 및 발열플레이트(20)의 외곽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외곽홀(24b)로 이루어진다.
한편, 외곽홀(24b)의 개수 및 배치간격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손잡이(30)는 본체(10)의 일측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손잡이(30)는 인덕션 조리용기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인덕션 조리용기의 조립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본체(10)의 바닥플레이트(12)와 대응되도록 발열플레이트(2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일정의 외력을 가하여 발열플레이트(20)를 바닥플레이트(12)에 끼움 결합시킨다.
이때, 바닥플레이트(12)의 돌출된 열전도부(13)는 발열플레이트(20)의 결합홀(22)에 삽입되고, 발열플레이트(20)의 테두리부는 바닥플레이트(12)에 밀착 지지된다.
그리고 바닥플레이트(12)의 열전도부(13) 및 테두리부의 코킹작업을 통해 발열플레이트(20)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는 바닥플레이트(12)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0, 도 2 참조); 바닥플레이트(12)의 열전도부(13)에 결합되어, 바닥플레이트(12) 및 발열플레이트(20) 사이에 공기층(A)을 형성하는 발열플레이트(20); 바닥플레이트(12) 및 발열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하는 변형방지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형방지대(40)는 열에 의한 발열플레이트(20)의 변형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변형방지대(40)는 본체(10)의 바닥플레이트(12)에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변형방지대(40)는 발열플레이트(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변형방지대(4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변형방지 기능과 아울러 열전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변형방지대(40)의 외부면에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두께의 내열코팅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변형방지대(40)는 필요에 따라 본체(10)의 발열플레이트(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변형방지대(40)를 제외한 다른 기술적 구성은 도 1 내지 도 7를 통해 설명한 인덕션 조리용기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바닥플레이트
13 : 열전도부 20 : 발열플레이트
22 : 결합홀 24 : 배수배기홀
24a : 중앙홀 24b : 외곽홀
30 : 손잡이 40 : 변형방지대
A : 공기층

Claims (5)

  1. 바닥플레이트(12)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0);
    상기 바닥플레이트(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성체의 발열플레이트(20)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플레이트(2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2)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바닥플레이트(12) 및 상기 발열플레이트(20) 사이에 공기층(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조리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12) 및 상기 발열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열플레이트(2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조리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12)에는 다수 개의 열전도부(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발열플레이트(20)에는 결합홀(22)이 형성되며,
    상기 열전도부(13)는 상기 결합홀(22)에 코킹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조리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열플레이트(20)에는 복수 개의 배수배기홀(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조리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배수배기홀(24)은,
    상기 발열플레이트(20)의 중앙영역에 형성되는 중앙홀(24a); 상기 발열플레이트(20)의 외곽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외곽홀(2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조리용기.
PCT/KR2018/007953 2018-07-11 2018-07-13 인덕션 조리용기 WO202001336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281 2018-07-11
KR1020180080281A KR20190121673A (ko) 2018-04-18 2018-07-11 인덕션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362A1 true WO2020013362A1 (ko) 2020-01-16

Family

ID=6914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7953 WO2020013362A1 (ko) 2018-07-11 2018-07-13 인덕션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01336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892A (ko) * 2004-05-17 2005-11-22 오정근 조리구이판
KR20110078653A (ko) * 2009-12-31 2011-07-07 양성원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20120121660A (ko) * 2011-04-27 2012-11-06 조관형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JP2014113222A (ja) * 2012-12-06 2014-06-26 Shinano Kagaku Kogyo Kk 食器及び食器用加熱器
KR101691204B1 (ko) * 2015-07-31 2016-12-30 조관형 이중가열 조리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892A (ko) * 2004-05-17 2005-11-22 오정근 조리구이판
KR20110078653A (ko) * 2009-12-31 2011-07-07 양성원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20120121660A (ko) * 2011-04-27 2012-11-06 조관형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JP2014113222A (ja) * 2012-12-06 2014-06-26 Shinano Kagaku Kogyo Kk 食器及び食器用加熱器
KR101691204B1 (ko) * 2015-07-31 2016-12-30 조관형 이중가열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71385A1 (ko) 전기밥솥
WO2010128722A1 (ko) 조리기기
WO2018093004A1 (ko)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
WO2010131806A1 (ko) 조리기기
WO2017104892A1 (ko) 전기밥솥
WO2017023025A1 (ko) 이중가열 조리기구
WO2017104898A1 (ko) 전기 가열 조리기
WO2010128719A1 (ko) 조리기기
WO2013137552A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WO2012148114A2 (ko)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WO2013154292A1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조리용기
WO2015012571A1 (ko) 인덕션 렌인지용 일회용 조리용
WO2020013362A1 (ko) 인덕션 조리용기
WO2015199433A1 (ko) 유도가열 방식의 튀김장치
WO2017074111A1 (ko) 인덕션용 균일가열 용기
WO2022025492A1 (ko) 고정 받침대를 가지는 조리기기
WO2020130336A1 (ko) 선택적 통전 소결장치
WO2013048076A2 (ko)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WO2021157979A1 (en) Cooking appliance
CN1199328A (zh) 电热容器的改进
WO2013002444A1 (ko) 유도가열부로 열전달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한 인덕션 레인지
WO2021101212A1 (ko) 발열도료를 이용한 전기그릴
WO2022231227A1 (ko)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CN213605781U (zh) 耐用型电饭煲
WO2016013825A1 (ko)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258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258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