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653A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8653A KR20110078653A KR1020090135513A KR20090135513A KR20110078653A KR 20110078653 A KR20110078653 A KR 20110078653A KR 1020090135513 A KR1020090135513 A KR 1020090135513A KR 20090135513 A KR20090135513 A KR 20090135513A KR 20110078653 A KR20110078653 A KR 201100786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uction
- protruding ring
- protrusion
- hole
- protru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기 본체의 바닥에서 돌출된 돌부의 하단에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프레스 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프레싱할 수 있을 정도로 폭이 얇은 압착 주연부를 형성하여 이 압착 주연부가 일정한 두께의 유도부재에 프레싱 됨으로써 바닥에 유도부재가 일체화 되도록 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중심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배열된 일정한 두께의 유도판재; 중앙에 상기 통공에 끼워지게 돌출 형성된 제 1 돌출링부와, 상기 제 1 돌출링부와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유도부재가 끼워지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돌출링부와, 상기 제 1,2 돌출링부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이 끼워지는 다수의 돌부가 형성된 바닥을 갖는 용기 본체; 상기 제 1,2 돌출링부와 돌부의 하단 테두리 부위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도부재에 프레싱 되는 압착 주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인덕션 렌지, 구이판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성을 갖는 유도부재를 용기 본체의 바닥에 견고히 설치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여도 용기 바닥이 열에 의해 볼록해질 염려가 없으며, 유도부재와 용기 본체의 결합부위를 통해 물이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는 유도전류에 의한 발열 방식으로 유도코일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자장이 유도됨에 따라 자장이 미치는 영역에 있는 자성체가 가열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가스 렌지용 조리용기는 재질이 자성체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열이 전달되기 때문에 단일 재질로 제작되며, 조리용기의 경량화와 소비자의 선호도를 감안할 때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유도전류에 의한 가열방식에 사용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는 바닥 부분이 자성체로 이루어져야만 가열될 수 있기 때문에 비자성체인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로 용기 본체를 제작하는 경우에도 그 바닥에 자성을 갖는 금속계열의 유도부재를 설치하여야만 한다.
종래에는 제작비용과 생산성을 감안하여 특허등록 제874214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도부재를 균일한 두께의 판재로 제작한후 용기 본체의 바닥에 소정 깊이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그 수용공간에 다수의 돌부를 형성하여 유도부재를 수용공간에 삽입시킨 후 돌부를 유도부재에 프레싱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용기 본체의 바닥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부에 균일한 프레싱 압력을 가하여 유도부재를 일체화 시키는 것은 용기 제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프레스 장치가 갖는 특성상 한계가 있기 때문에 유도부재가 바닥에서 부분적으로 들뜨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이유때문에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돌부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유도부재의 엠보싱부를 경사부에 밀착되도록 프레싱 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시도 되었으나 현재까지도 용기 제조에 사용되는 프레스 장치로 유도부재를 용기 본체의 바닥에서 들뜨는 현상 없이 일체화 할 수 있는 기술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기 본체의 바닥에서 돌출된 돌부의 하단에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프레스 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프레싱할 수 있을 정도로 폭이 얇은 압착 주연부를 형성하여 이 압착 주연부가 일정한 두께의 유도부재에 프레싱 됨으로써 바닥에 유도부재가 일체화 되도록 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중심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배열된 일정한 두께의 유도판재; 중앙에 상기 통공에 끼워지게 돌출 형성된 제 1 돌출링부와, 상기 제 1 돌출링부와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유도부재가 끼워지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돌출링부와, 상기 제 1,2 돌출링부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이 끼워지는 다수의 돌부가 형성된 바닥을 갖는 용기 본체; 상기 제 1,2 돌출링부와 돌부의 하단 테두리 부위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도부재에 프레싱 되는 압착 주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유도부재에 프레싱 되는 부위가 압착주연부로 한정되기 때문에 용기 제작에 사용되는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용기 본체의 바닥에 유도부재를 들뜨는 현상 없이 일체화 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과 함께 생 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1)을 중심으로 다수의 관통공(12)이 배열된 일정한 두께의 유도판재(10); 중앙에 상기 통공(11)에 끼워지게 돌출 형성된 제 1 돌출링부(21)와, 상기 제 1 돌출링부(21)와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유도부재(10)가 끼워지는 공간부(23)를 형성하는 제 2 돌출링부(22)와, 상기 제 1,2 돌출링부(21)(22)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12)이 끼워지는 다수의 돌부(24)가 형성된 바닥(25)을 갖는 용기 본체(20); 상기 제 1,2 돌출링부(21)(22)와 돌부(24)의 하단 테두리 부위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도부재(10)에 프레싱 되는 압착 주연부(210)(220)(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도부재(20)는 인덕션 렌지의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되는 자성체로써 0.5~2㎜ 두께의 판재로 제작된다.
상기 용기 본체(20)는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 비자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제 1,2 돌출링부(21)(22)가 바닥(25)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링부(21)는 통공(11)에 끼워져 상기 유도부재(10)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활을 하며, 상기 제 2 돌출링(22)는 상기 유도부재(10)의 외주연부를 지지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돌부(24)는 관통공(12)에 끼워져 상기 유도부재(10)가 공간부(23)의 내부에 넣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유도부재(10)를 다수의 돌부(24)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관통공(12)중 한줄 이상의 중심선(S)을 조립 기준이 되는 배열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부재(10)에 일체화 되는 상기 압착주연부(210)(220)(240)의 깊이는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12)과 돌부(24)의 모양은 그 주연부에 2곳 이상의 요철부(120)(240)가 형성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압착주연부(240)의 결합력을 증대 시키는 효과를 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레스 작업에 의해 압착주연부(210)(220)(240)가 유도부재(10)에 밀착됨으로써 일체화 된 상태에서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제 1,2 돌출링부(21)(22)와 돌부(24)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맞춰주는 연마작업을 하더라도 압착주연부(210)(220)(240)가 유도부재(10)에 일체화 된 상태에서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렇게 통공(11)과 관통공(12)에 제 1 돌출링부(21)와 돌부(24)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압착주연부(210)(220)(240)를 상기 유도부재(10)에 압착되도록 프레싱하여 일체화 시킨 상태에서 표면 작업후 코팅하게 되면 용기 제작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유도부재(10)에 프레싱 되는 부위가 압착주연부(210)(220)(240)로 한정되기 때문에 용기 제작에 사용되는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용기 본체(20)의 바닥(25)에 유도부재(10)를 들뜨는 현상 없이 일체화 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과 함께 생산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도부재를 바닥에 끼운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도부재를 바닥에 일체화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도부재 11 : 통공
12 : 관통공 20 : 용기 본체
21,22 : 돌출링부 24 : 돌부
25 : 바닥 210,220,240 : 압착주연부
Claims (1)
- 중앙에 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1)을 중심으로 다수의 관통공(12)이 배열된 일정한 두께의 유도판재(10); 중앙에 상기 통공(11)에 끼워지게 돌출 형성된 제 1 돌출링부(21)와, 상기 제 1 돌출링부(21)와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유도부재(10)가 끼워지는 공간부(23)를 형성하는 제 2 돌출링부(22)와, 상기 제 1,2 돌출링부(21)(22)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12)이 끼워지는 다수의 돌부(24)가 형성된 바닥(25)을 갖는 용기 본체(20); 상기 제 1,2 돌출링부(21)(22)와 돌부(24)의 하단 테두리 부위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도부재(10)에 프레싱 되는 압착 주연부(210)(220)(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5513A KR20110078653A (ko) | 2009-12-31 | 2009-12-31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5513A KR20110078653A (ko) | 2009-12-31 | 2009-12-31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8653A true KR20110078653A (ko) | 2011-07-07 |
Family
ID=4491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5513A KR20110078653A (ko) | 2009-12-31 | 2009-12-31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78653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1440B1 (ko) * | 2011-04-27 | 2013-10-23 | 조관형 |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
KR101691204B1 (ko) * | 2015-07-31 | 2016-12-30 | 조관형 | 이중가열 조리기구 |
KR20180034364A (ko) * | 2018-03-23 | 2018-04-04 | 공재철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WO2020013362A1 (ko) * | 2018-07-11 | 2020-01-16 | 서동희 | 인덕션 조리용기 |
-
2009
- 2009-12-31 KR KR1020090135513A patent/KR2011007865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1440B1 (ko) * | 2011-04-27 | 2013-10-23 | 조관형 |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
KR101691204B1 (ko) * | 2015-07-31 | 2016-12-30 | 조관형 | 이중가열 조리기구 |
WO2017023025A1 (ko) * | 2015-07-31 | 2017-02-09 | 조관형 | 이중가열 조리기구 |
KR20180034364A (ko) * | 2018-03-23 | 2018-04-04 | 공재철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WO2020013362A1 (ko) * | 2018-07-11 | 2020-01-16 | 서동희 | 인덕션 조리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89410C2 (ru) | Мультиплита | |
KR20110078653A (ko)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
KR100889722B1 (ko) |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 |
CN205166315U (zh) | 烹饪器具 | |
KR101954781B1 (ko)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
JP2009160372A (ja) | インダクション容器 | |
US20050204928A1 (en) | Cooking utensil the covering of which comprise an ornamental piece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 |
KR20090002403U (ko)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
KR20060122235A (ko)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 |
JP2010042212A (ja) | 誘導加熱調理容器 | |
KR20110131856A (ko) |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 |
JP4139682B2 (ja) | 調理用容器 | |
KR101137706B1 (ko)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
KR101176295B1 (ko) |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 |
KR20070047263A (ko) |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 |
JP2020517417A (ja) |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容器の加熱磁性体 | |
KR100799741B1 (ko) |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 |
KR20070006993A (ko) | 자성판이 부착된 인덕션 레인지용 주방용기. | |
WO2016071858A1 (en) |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hob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cooking vessel | |
JP3477951B2 (ja) | 電磁誘導加熱炊飯器 | |
JP3146405U (ja) | 複合型磁気伝導鍋 | |
CN219863373U (zh) | 一种磁性固定器 | |
JP3146405U6 (ja) | 複合型磁気伝導鍋 | |
CN207754990U (zh) | 温控器及电烹饪炊具 | |
KR20140048510A (ko) |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